KR101446675B1 - 코골이 방지기구 - Google Patents

코골이 방지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6675B1
KR101446675B1 KR1020130061856A KR20130061856A KR101446675B1 KR 101446675 B1 KR101446675 B1 KR 101446675B1 KR 1020130061856 A KR1020130061856 A KR 1020130061856A KR 20130061856 A KR20130061856 A KR 20130061856A KR 101446675 B1 KR101446675 B1 KR 101446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ue
support
supporting
mandible
suppor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1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훈
김혜웅
정규림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61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66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6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6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혀를 위로 받쳐서 상기 혀를 거상(Lift)시키는 혀 지지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코골이 방지기구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의 혀 지지체는, 설소대를 지나는 혀의 정중선을 기준으로 상기 혀의 좌측 밑면을 지지하는 좌측 지지부와 상기 혀의 우측 밑면을 지지하는 우측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혀 지지체의 상부에 상기 혀의 밑면이 접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의 혀 지지체는 혀의 아래에서 혀를 위로 거상(Lift)시킴으로써 상기도의 공간을 확보하므로 이물감이 적고 착용 및 제거가 용이하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코골이 방지기구{Appliance For Preventing Snoring}
본 발명은 코골이 방지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혀의 아래에 설치되어서 혀의 거상(Lift)을 통해 코골이 및/또는 수면 무호흡을 방지 또는 개선하는 코골이 방지기구에 관한 것이다.
코골이(Snoring)는 수면 중의 호흡 기류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좁아진 기도를 지나면서 일으키는 호흡 잡음을 말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코골이는 수면 중의 호흡 기류가 기도를 지나면서 연구개(10, 입 천정에서 비교적 연한 뒤쪽 부분)와 구개수(20, 목젖, 구강 연구개의 중앙 아래에 늘어진 모양으로 현옹수라고도 함) 등의 주위 조직에 진동을 일으킴으로 인해 발생되는 호흡 잡음이다.
그리고, 수면 무호흡(Sleep Apnea)은 수면 중 호흡 정지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현상으로서, 심한 코골이와 주간 졸음증 등의 수면 장애의 원인이 된다. 또한 상기 수면 무호흡으로 인해 수면 중 유발되는 저산소증은 다양한 심폐혈관계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현재까지 상기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의 발생 과정과 원인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고 그에 따른 여러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으며,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 환자의 대부분이 비강으로부터 후두개(40)에 의해 덮인 후두(50)까지 이어지는 구조인 상기도(Upper Airway)가 수면 중에 좁아지는 해부학적 이상 증상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비만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목 부위에 지방이 축적되거나, 혀(T)와 편도 등의 조직이 비대해진 경우에 목 안의 공간이 줄어들고 상기도가 좁아져서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이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턱이 비정상적으로 작거나 목이 짧고 굵은 사람에게서 상술한 코골이나 수면 무호흡이 나타나는 경우도 많다. 또한, 인두(30) 주변 근육의 기능에 문제가 생겨 상기 인두(30)의 기도 확장근의 힘이 횡격막에 의한 흉곽 내 음압을 이겨내지 못할 때에도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이 발생한다. 한편, 소아의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의 가장 큰 원인은 편도 비대와 아데노이드 비대이다.
상기 수면 무호흡이 장기간 지속될 경우, 부정맥, 고혈압, 허혈성 심장질환, 좌심실부전, 폐 질환(폐성 고혈압, 폐성심, 호흡부전) 등이 유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골이는 당뇨병이나 녹내장을 악화시키거나 유발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으며, 발기부전 등의 성 관련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코골이가 심한 경우에는 수면 무호흡을 동반하게 되고 충분한 수면을 방해하여 만성 피로와 기억력/집중력 감퇴를 야기하는 등의 심각한 문제가 있으며, 더 나아가 요란한 소음으로 인해 동침자의 수면도 방해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의 치료 방법은 크게 비수술적인 방법과 수술적인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상기 비수술적 치료 방법으로는 옆으로 잠을 자도록 하거나, 체중 감량, 금주, 금연 등을 통해 위험 인자를 줄이는 방법, 약물 치료, 구강 내 장치를 통해 혀(T)가 목 뒤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 그리고 양압을 지속적으로 기도로 공급하여 인두부 연조직의 허탈을 방지하는 방법 등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수술적인 치료 방법은 코골이의 원인 부위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데, 비강수술(비중격 만곡 및 하비갑개 비후에 대한 교정술), 인두부 수술(편도 및 구인두의 점막을 절제하는 구개인두 성형술, 고주파 온열 구개술), 설부 축소수술, 두경부 골격수술(이설근전진술과 설골근절개술, 양측 상악전진술) 등이 있다.
현재까지 상술한 비수술적 치료 방법을 위해, 구강 내 장치에 해당되는 코골이 방지기구구/장치와 코골이 방지 베개가 개발되어 있으나, 구강 내에 설치되는 구강 내 장치의 경우 수면 중에 장치를 아랫니와 윗니로 물고 수면을 취해야 하므로 치아가 부실하거나 무치아 환자의 경우 사용이 어렵고, 기타 다른 구강 내 장치의 경우에도 이물감이 크게 발생하므로 수면의 방해요소로 작용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8746호, 2006년 10월 16일 공고 일본 공표특허공보 제2009-542377호, 2009년 12월 3일 공개 미국 공개특허공보 US 2012/0247485 A1, 2012년 8월 4일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혀의 밑면을 받쳐서 상기 혀를 위쪽으로 거상(Lift)시킴으로써 코골이 및/또는 수면 무호흡을 개선하는 코골이 방지기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혀를 위로 받쳐서 상기 혀를 거상(Lift)시키는 혀 지지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코골이 방지기구를 제공하며: 상기 혀 지지체는, 설소대를 지나는 혀의 정중선을 기준으로 상기 혀의 좌측 밑면을 지지하는 좌측 지지부와 상기 혀의 우측 밑면을 지지하는 우측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혀 지지체는, 하악 치궁의 설측 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상기 혀의 밑면, 즉 혀의 밑바닥을 거상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는, 상기 혀 지지체의 움직임을 구속하기 위해, 상기 혀 지지체에 구비되어서 하악의 치아에 장착되는 고정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체는, 상기 하악에 구비되는 구치부 중 적어도 하나의 치아에 장착되도록 상기 혀 지지체에 구비되는 한 쌍의 구치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체는, 상기 하악에 구비되는 전치부의 치아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되도록 상기 혀 지지체의 전방에 구비되는 전치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좌측 지지부와 우측 지지부는 수지 재질을 가지며; 상기 고정체는, 상기 하악의 치아에 장착되도록 상기 혀 지지체에 구비되어서 상기 혀 지지체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와이어 재질의 치아 걸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좌측 지지부는, 하악에 구비되는 좌측 구치부의 설측 영역 중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서 상기 혀의 좌측 밑면을 받치는 부분을 가지며; 상기 우측 지지부는 상기 하악에 구비되는 우측 구치부의 설측 영역 중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서 상기 혀의 우측 밑면을 받치는 부분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좌측 지지부와 우측 지지부는 좌우 대칭형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혀 지지체의 내측에 요입부(Recess)가 형성되도록, 상기 좌측 지지부와 우측 지지부는 상기 설소대의 양측으로 갈라져서 상기 설소대의 좌측과 우측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좌측 지지부는 상기 설소대의 좌측 후방에서 상기 혀의 밑면을 받치도록 솟은 좌측 융기턱을 포함하며; 상기 우측 지지부는 상기 설소대의 우측 후방에서 상기 혀의 밑면을 받치도록 솟은 우측 융기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는, 상기 혀 지지체에 구비되어서 상기 혀를 잡아주는 홀더(Holder)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좌측 지지부에서 위로 돌출되어서 상기 혀의 좌측을 가압하는 좌측 돌기와 상기 우측 지지부에서 위로 돌출되어서 상기 혀의 우측을 가압하는 우측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좌측 돌기와 우측 돌기의 사이에 상기 혀가 끼워진다.
상기 혀 지지체는, 후단의 중간 영역이 전방으로 함몰된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좌측 지지부와 우측 지지부는, 하악 치궁의 내측 갈수록 하향 경사진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의 혀 지지체는 혀의 아래에서 혀를 위로 거상(Lift)시킴으로써 상기도의 공간을 확보하므로 이물감이 적고 착용 및 제거가 용이하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는, 하악의 치아에 장착되어서 하악의 설측 공간에서 혀의 밑면을 위로 받치는 구조이므로, 상기 혀에 의해 상기 코골이 방지기구의 위치가 하악의 설측 공간 내에 유지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는, 혀를 위로 거상시키는 한편 혀의 양측을 구속해서 혀가 뒤로 쳐지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코골이 방지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혀 지지체의 위치가 하악의 치아에 장착되는 고정체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체는 상기 혀 지지체가 상기 혀에 의해 가압되는 힘을 상기 하악의 치아에 전달해서 치아교정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도 1은 인간의 구강 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2는 인간의 구강 구조 중 혀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3은 인간의 구강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의 일 실시예(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코골이 방지기구가 하악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코골이 방지기구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의 다른 실시예(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코골이 방지기구가 하악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6의 코골이 방지기구에 의해 혀가 거상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제3실시예)를 위한 혀 지지체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혀 지지체에 의해 혀가 거상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제4실시예)를 위한 혀 지지체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3는 도 12의 혀 지지체에 의해 혀가 거상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 및 중복되는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먼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의 제1실시예가 설명된다. 여기서, 도 3은 인간의 구강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의 일 실시예(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코골이 방지기구가 하악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의 제1실시예(100)는, 혀(T)를 위로 받쳐서 상기 혀(T)를 거상(Lift)시키는 혀 지지체(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혀 지지체(110)는 혀의 밑면(T1; 이하 '설하면'이라 칭함)을 위로 들어 올려서 코골이는 방지하는 구성으로서, 좌측 지지부(111)와 우측 지지부(1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좌측 지지부(111)는 혀의 정중선, 즉 설소대(T2)를 전후방향으로 지나는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상기 설하면(T1) 중에 좌측 밑면(우측 설하면)을 지지하고, 상기 우측 지지부(112)는 상기 정중선을 기준으로 상기 설하면(T1)의 중에 우측 밑면(우측 설하면)을 지지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설하면(T1) 중에서 상기 정중선의 좌측에 위치하는 부분(좌측 설하면)은 상기 좌측 지지부(111)에 의해 거상되고, 상기 설하면(T1) 중에 상기 정중선의 우측에 위치하는 부분(우측 설하면)은 상기 우측 지지부(112)에 의해 거상된다.
이에 따라, 상기 혀 지지체(110)에 의해 상기 설하면(T1)이 구강저(60, 입바닥)에서 이격되면서 상기 혀(T)가 위로 들어 올려지며, 이에 따라 상기 설소대(T2)가 긴장되는 동시에 상기 혀(T)가 목 뒤로 쳐지는 현상이 방지 또는 개선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설소대(T1; Lingual Frenulum)는 혀주름띠라고도 하며, 상기 설하면(T1)과 구강저(60)의 점막을 연결하는 띠 모양의 주름으로서, 상기 구강저(60)는 입의 바닥으로서, 상기 혀 지지체(110)에 의해 상기 혀(T)가 리프트(Lift)됨으로써 기도(Airway)가 확보될 수 있다.
상기 혀 지지체(110)의 상부에는 상기 설하면(T1)이 접촉되는데,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혀 지지체(110)는 구강 내, 특히 하악 치궁(Lower Dental Arch; 하악 치열궁)의 설측 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면 중에만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100)를 착용하고 일상 생활중에는 착용하지 않으므로 일상 생활에 장애나 불편이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혀 지지체(110)에는 상기 혀 지지체(110)가 구강 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혀 지지체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고정체(120)가 구비된다. 즉, 상기 고정체(120)는 상기 혀 지지체(110)에 구비되어서 하악의 치아(2, 3)에 장착되며, 상기 고정체(120)에 의해 상기 혀 지지체(110)의 움직임이 구속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혀 지지체(110)가 상기 하악 치궁의 설측 공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고정체(120)가 하악의 치아(2, 3)에 장착되면, 상기 혀 지지체(110)가 구강 내에서 전후 및/또는 좌우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상기 고정체(120)에 의해 구속을 받는다.
물론, 상기 혀 지지체(110)의 외곽(전방 및 양측 가장자리)이 상기 하악 치궁의 설측면에 맞닿는 형상으로 제조되면, 상기 하악 치궁에 의해 상기 혀 지지체(110)의 외곽이 구속되고 상기 혀 지지체(110)의 상부는 상기 혀(T)에 의해 눌리게 되므로, 상술한 고정체(120)가 없더라도 상기 혀 지지체(110)의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조에서는 상기 혀 지지체(110)에 의해 치아나 잇몸이 손상될 염려가 있다.
상기 고정체(120)는 하악의 치아(2, 3)에 장착되는 치아 결합부, 특히 상기 하악의 치아에 걸려서 상기 혀 지지체(110)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치아 걸이(121, 1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치아 걸이(121, 122)는, 전치부 및/또는 양측 구치부(어금니)에 장착될 수 있도록, 구치 결합부와 전치 결합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구치 결합부()는 구치부의 적어도 하나의 치아(3)에 장착되고, 상기 전치 결합부(122)는 전치부의 적어도 하나의 치아(2)에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전치 결합부(122)는 상기 혀 지지체(110)의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구치 결합부(121)는 상기 혀 지지체(110)의 양측(좌측과 우측)에 구비된다. 상기 치아 걸이(121, 122)는 상기 하악의 치아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치아에 걸리도록 상기 혀 지지체(110)에 고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치아 걸이(121, 122)는 상기 하악의 치아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치아에 장착되는데, 상기 치아 걸이가 장착되는 치아가 전사된 형상의 홈을 가지거나 상기 치아 걸이가 장착되는 치아가 끼워지는 홀을 갖는 구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치아 걸이(121, 122)는 와이어 재질을 가지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지 재질 등 다른 재질로 제조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혀 지지체(110)의 좌측 지지부(111)와 우측 지지부(112)는 다양한 종류의 치과용 레진(Dental Resin)과 같은 수지 재질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치과용 레진으로는 이미 다양한 종류가 공지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되며, 상기 치아 걸이는 특정의 치아에 장착되는 형상, 예를 들면 특정의 치아의 모양이 전사된 홈을 갖는 캡 구조 등의 형상으로 상기 혀 지지체(110)와 동일한 재질로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다.
상기 치아 걸이(121, 122)는 혀(T)로부터 상기 혀 지지체(110)에 가해지는 힘을 하악의 치아(2, 3)에 전달할 수 있으므로 반사적인 치열교정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치 결합부(121)가 구치부를 아래로 누르는 구조가 되면 전방개방교합의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치아 걸이(121, 122)를 형성하는 와이어의 일부는 상기 혀 지지체(110)에 매립되어서 상기 치아 걸이(121, 122)가 상기 혀 지지체(110)에 고정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구치 결합부(121)를 형성하는 와이어(이하 '제1와이어'라 칭함)의 일부와 상기 전치 결합부(122)를 형성하는 와이어(이하 '제2와이어'라 칭함)의 일부가 상기 혀 지지체(110)에 매립되어서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에서 상기 혀 지지체(110)에 매립되는 부분은 벤딩된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면, 상기 제1와이어의 양측 단부(End Portion)는 상기 혀 지지체(110)에 매립되며, 상기 제1와이어의 양측 단부 중 적어도 하나는 벤딩(Bending)되어서 상기 구치 결합부(121)와 혀 지지체(110)의 일체성을 강화한다. 또한, 상기 제2와이어의 양측 단부(End Portion)도 상기 혀 지지체(110)에 매립되며, 상기 제2와이어의 양측 단부 중 적어도 하나는 벤딩(Bending)되어서 상기 전치 결합부(122)와 혀 지지체(110)의 일체성을 강화한다.
한편, 상기 설하면(T1) 중 좌측 설하면의 설하주름(혀밑주름, Sublingual Fold)이 형성된 영역은 상기 좌측 지지부(111)에 의해 거상되고, 상기 우측 설하면의 설하주름이 형성된 영역은 상기 우측 지지부(112)에 의해 거상된다. 이에 따라 상기 설소대의 전단 가장자리와 설근(혀뿌리) 사이의 영역이 거상되면서 상기 혀(T)가 목 뒤로 쳐지는 현상이 방지 또는 개선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좌측 지지부(111)는 좌측 구치부의 설측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좌측 설하면의 설하주름이 형성된 영역을 받치는 부분(예를 들면, 좌측 제1대구치 또는 제2대구치에서 제1소구치에 이르는 영역 중 적어도 일부의 설측에서 좌측 설하면을 받치는 부분)을 가지며, 상기 우측 지지부(112)는 우측 구치부의 설측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우측 설하면의 설하주름이 형성된 영역을 받치는 부분(예를 들면, 우측 제1대구치 또는 제2대구치에서 제1소구치에 이르는 영역 중 적어도 일부의 설측에서 우측 설하면을 받치는 부분)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좌측 지지부(111)는 하악 치아의 좌측 전치부에서 좌측 구치부의 제1대구치 또는 제2대구치에 이르는 영역의 설측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우측 지지부(112)는 하악 치아의 우측 전치부에서 우측 구치부의 제1대구치 또는 제2대구치에 이르는 영역의 설측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좌측 지지부(111)와 우측 지지부(112)는 좌우 대칭형이고 동일한 재질로서 앞 부분이 연결된 일체형 구조이나, 상기 좌측 지지부(111)와 우측 지지부(112)가 상호 분할된 구조가 될 수도 있으며, 상기 좌측 지지부(111)와 우측 지지부(112)가 상호 분할된 구조인 경우에 사용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좌측 지지부(111)와 우측 지지부(112)는 연결부재(예를 들면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어서 상호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코골이 방지기구(100)가 코골이 환자의 구강 내, 특히 하악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혀 지지체(110)가 상기 설소대(T2)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혀 지지체(110)의 후단은 전방으로 함입된 형상을 갖는다.
다시 말해서, 상기 혀 지지체(110)의 내측에 요입부(Recess)가 형성되도록, 상기 좌측 지지부(111)와 우측 지지부(112)는 상기 설소대(T2)의 양측으로 갈라져서 상기 설소대(T2)의 좌측과 우측으로 각각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혀 지지체(110)의 내측에는 하향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좌측 지지부(111)와 우측 지지부(112)의 내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코골이 방지기구의 제조방법에 대한 일 예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먼저, 제조자는 코골이 환자의 구강 모형, 특히 하악의 모형(M)을 준비하고, 상기 모형(M)상에서 상기 고정체(120)를 배치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조자는 와이어를 특정의 치아(예를 들면 제1대구치 및/또는 전치부)에 맞게 절단하고 구부려서 구치 결합부 및/또는 전치 결합부를 만들고 상기 구치 결합부(121) 및/또는 전치 결합부(122)를 해당 치아 모형(M1, M2)에 배치한다.
다음으로, 상기 모형(M)의 설측에 상기 혀 지지체(110)의 성형을 위한 치과용 레진이 상기 혀 지지체(110)의 디자인에 맞게 도포되는데, 이때 상기 구치 결합부(121) 및/또는 전치 결합부(122)를 형성하는 와이어의 일부에 상기 치과용 레진이 도포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치과용 레진의 경화가 완료되면 상기 구치 결합부(121) 및/또는 전치 결합부(122)가 혀 지지체에 일체화 된 구조의 코골이 방지기구가 상기 모형(M)에서 분리되고, 이 후에 상기 혀 지지체에 대한 표면 처리, 예를 들면 표면 그라인딩(Glinding) 등의 외관 마무리 작업이 추가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의 다른 실시예(제2실시예)가 설명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200)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혀의 밑면을 받쳐서 코골이를 방지 또는 개선하는 혀 지지체(21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혀 지지체(210)는 좌측 지지부(211)와 우측 지지부(212)를 가진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여 혀 지지체의 형상과 고정체에 차이가 있으나 기본적 기능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혀 지지체(210)에는 상기 혀 지지체(210)의 움직임을 구속하기 위한 고정체(220)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체(220)는 구치 결합부(221) 및/또는 전치 결합부(2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여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구치 결합부(221)와 전치 결합부(222)는 장착 위치나 형상에 차이가 있으나, 상기 고정체(220)의 기능을 수행하는 범위 내에서 상기 구치 결합부(221)와 전치 결합부(222)는 장착 위치나 형상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다.
상기 고정체(220)는, 상기 혀 지지체(210)의 높이를 유지시키기 위한 높이 유지부(221a)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높이 유지부(221a)는 상기 혀 지지체(210)가 아래로 침하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에 따라 상기 혀 지지체(210)에 의해 설측의 잇몸이 손상되지 않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높이 유지부(221a)는 와이어 재질로서, 일측이 상기 혀 지지체에 매립되어서 고정되고, 타측이 하악의 치아 표면, 예를 들면 구치의 교합면에 거치됨으로써 상기 혀 지지체(210)의 침하를 방지한다. 물론 상기 높이 유지부(221a)는 전술한 제1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혀 지지체(210)와 고정체(220)의 재질 등 본 실시예에서 설명되지 않은 부분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그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다음으로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의 혀 지지체에 대한 다른 실시예들이 설명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의 혀 지지체(310)는, 각각 융기턱(311a, 312a)을 갖는 좌측 지지부(311)와 우측 지지부(31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하에서는 상기 좌측 지지부(311)의 융기턱을 좌측 융기턱(311a)이라 칭하고, 상기 우측 지지부(312)의 융기턱을 우측 융기턱(312a)이라 칭한다.
상기 좌측 융기턱(311a)은, 하악에 구비되는 좌측 구치부의 설측 영역 중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서 상기 혀의 좌측 밑면(좌측 설하면)을 받치는 부분에 구비되며, 상기 설소대의 좌측 후방에서 상기 좌측 설면을 지지하도록 표면이 솟은 형상이다.
그리고 상기 우측 융기턱(312a)은, 하악에 구비되는 우측 구치부의 설측 영역 중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서 상기 혀의 우측 밑면(우측 설하면)을 받치는 부분에 구비되며, 상기 설소대의 우측 후방에서 상기 우측 설하면을 지지하도록 표면이 솟은 형상이다.
예를 들어, 상기 좌측 지지부(311)와 우측 지지부(312)가 후방부가 전방부보다 더 높게 솟은 형상, 즉 융기된 형상으로 제조해서 상기 좌측 융기턱(311a)과 우측 융기턱(312a)을 형성되면, 혀 몸통의 중간부 및/또는 후방부가 앞혀(전설)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높게 거상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혀(T)가 목 뒤로 처지는 현상이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 또는 개선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는 혀 지지체(410)에 구비되어서 상기 혀(T)를 잡아주는 홀더(411a, 412a)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홀더(411a, 412a)는 좌측 돌기(411a)와 우측 돌기(412a)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혀(T)가 상기 혀 지지체(410)에 의해 거상됨에 함께 상기 좌측 돌기(411a)와 우측 돌기(412a)의 사이에 끼워져서 구속될 수 있으므로, 상기 혀(T)가 목 뒤로 처지는 현상이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 또는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좌측 돌기(411a)는 상기 혀 지지체의 좌측 지지부(411)에서 위로 돌출되어서 상기 혀(T)의 좌측을 가압하며, 상기 우측 돌기(412a)는 상기 우측 지지부(412)에서 위로 돌출되어서 상기 혀(T)의 우측을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좌측 돌기(411a)는, 하악에 구비되는 좌측 구치부의 설측 영역 중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서 좌측 설하면을 받치는 부분의 상측면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우측 돌기(412a)는, 하악에 구비되는 우측 구치부의 설측 영역 중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서 우측 설하면을 받치는 부분의 상측면에 구비된다.
상기 좌/우측 융기턱(311a, 312a)와 상기 좌/우측 돌기(411a, 412a)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 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 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200: 코골이 방지기구 110, 210: 혀 지지체
111, 211: 좌측 지지부 112, 212: 우측 지지부
120, 220: 고정체 121, 221: 구치 결합부
122, 222: 전치 결합부 221a: 높이 유지부
311a, 312a: 융기턱 411a, 412a: 돌기

Claims (12)

  1. 하악 치궁의 설측 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혀를 위로 받쳐서 상기 혀를 거상(Lift)시키는 혀 지지체와, 상기 혀 지지체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고정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코골이 방지기구로서:
    상기 혀 지지체는, 설소대를 지나는 혀의 정중선을 기준으로 상기 혀의 좌측 밑면을 지지하는 좌측 지지부와 상기 혀의 우측 밑면을 지지하는 우측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체는, 상기 혀 지지체의 움직임을 구속하기 위해, 상기 혀 지지체에 구비되어서 하악의 치아에 장착되는 코골이 방지기구.
  2. 혀를 위로 받쳐서 상기 혀를 거상(Lift)시키는 혀 지지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코골이 방지기구로서:
    상기 혀 지지체는, 설소대를 지나는 혀의 정중선을 기준으로 상기 혀의 좌측 밑면을 지지하는 좌측 지지부와 상기 혀의 우측 밑면을 지지하는 우측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좌측 지지부는, 상기 설소대의 좌측 후방에서 상기 혀의 밑면을 받치도록 표면이 솟은 좌측 융기턱을 포함하고; 상기 우측 지지부는, 상기 설소대의 우측 후방에서 상기 혀의 밑면을 받치도록 표면이 솟은 우측 융기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코골이 방지기구.
  3. 혀를 위로 받쳐서 상기 혀를 거상(Lift)시키는 혀 지지체와 상기 혀 지지체에 구비되어서 상기 혀를 잡아주는 홀더(Holder)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코골이 방지기구로서:
    상기 혀 지지체는, 설소대를 지나는 혀의 정중선을 기준으로 상기 혀의 좌측 밑면을 지지하는 좌측 지지부와 상기 혀의 우측 밑면을 지지하는 우측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코골이 방지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상기 하악에 구비되는 구치부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되도록 상기 혀 지지체에 구비되는 구치 결합부를 포함하는 코골이 방지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상기 하악에 구비되는 전치부의 치아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되도록 상기 혀 지지체의 전방에 구비되는 전치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코골이 방지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지지부와 우측 지지부는 수지 재질을 가지며; 상기 고정체는, 상기 하악의 치아에 장착되도록 상기 혀 지지체에 구비되어서 상기 혀 지지체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와이어 재질의 치아 걸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코골이 방지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지지부는, 하악에 구비되는 좌측 구치부의 설측 영역 중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서 상기 혀의 좌측 밑면을 받치는 부분을 가지며; 상기 우측 지지부는 상기 하악에 구비되는 우측 구치부의 설측 영역 중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서 상기 혀의 우측 밑면을 받치는 부분을 갖는 코골이 방지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지지부와 우측 지지부는 좌우 대칭형인 코골이 방지기구.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혀 지지체의 내측에 요입부(Recess)가 형성되도록, 상기 좌측 지지부와 우측 지지부는 상기 설소대의 양측으로 갈라져서 상기 설소대의 좌측과 우측으로 연장되는 코골이 방지기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지지부는 상기 설소대의 좌측 후방에서 상기 혀의 밑면을 받치도록 표면이 솟은 좌측 융기턱을 포함하며; 상기 우측 지지부는 상기 설소대의 우측 후방에서 상기 혀의 밑면을 받치도록 표면이 솟은 우측 융기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코골이 방지기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혀 지지체에 구비되어서 상기 혀를 잡아주는 홀더(Holder)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코골이 방지기구.
  12. 제3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좌측 지지부에서 위로 돌출되어서 상기 혀의 좌측을 가압하는 좌측 돌기와 상기 우측 지지부에서 위로 돌출되어서 상기 혀의 우측을 가압하는 우측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좌측 돌기와 우측 돌기의 사이에 상기 혀가 끼워지는 코골이 방지기구.
KR1020130061856A 2013-05-30 2013-05-30 코골이 방지기구 KR101446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1856A KR101446675B1 (ko) 2013-05-30 2013-05-30 코골이 방지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1856A KR101446675B1 (ko) 2013-05-30 2013-05-30 코골이 방지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6675B1 true KR101446675B1 (ko) 2014-10-06

Family

ID=51996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1856A KR101446675B1 (ko) 2013-05-30 2013-05-30 코골이 방지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66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4000B1 (ko) * 2016-04-22 2017-06-07 박영수 치아 교정장치
KR102663917B1 (ko) * 2023-06-14 2024-05-07 서종진 구강 삽입형 코골이 방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5368A (en) 1986-08-06 1987-12-29 George Peter T Nocturnal airway-patency appliance
US5752822A (en) * 1997-03-13 1998-05-19 Robson; Farrand C. Apparatus for relieving upper airway disorders and related problems
JP2001190676A (ja) 1999-11-05 2001-07-17 Katsunari Nishihara 口呼吸防止具
JP2011519598A (ja) 2008-05-02 2011-07-14 リー,ウー いびき防止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5368A (en) 1986-08-06 1987-12-29 George Peter T Nocturnal airway-patency appliance
US5752822A (en) * 1997-03-13 1998-05-19 Robson; Farrand C. Apparatus for relieving upper airway disorders and related problems
JP2001190676A (ja) 1999-11-05 2001-07-17 Katsunari Nishihara 口呼吸防止具
JP2011519598A (ja) 2008-05-02 2011-07-14 リー,ウー いびき防止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4000B1 (ko) * 2016-04-22 2017-06-07 박영수 치아 교정장치
KR102663917B1 (ko) * 2023-06-14 2024-05-07 서종진 구강 삽입형 코골이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2349B1 (ko)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
KR101782093B1 (ko)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
US7770582B2 (en) Removable tongue position corrective anti-snoring and anti-suffocating device
KR100856672B1 (ko)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의 교정구
US9204991B1 (en)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JP5052353B2 (ja) 下顎を前方移動させる方法及び装置
KR102029965B1 (ko) 혀 운동 페달부를 갖는 상악치과장치
AU691849B2 (en) A jaw position-regulating oral device
CN102614041B (zh) 止鼾器
JP2013106811A (ja) 軟口蓋安定器
US20200323677A1 (en) Mandibular repositioning device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101446675B1 (ko) 코골이 방지기구
JP2004073473A (ja) 無呼吸症候群又はいびき症改善用のマウスピース
KR101828841B1 (ko) 범용 코골이 방지기구
US11951030B1 (en) Snoring and sleep apnea prevention device and methods
KR20190048094A (ko) 코골이 수면무호흡 치료용 구강 장치
WO2010072878A1 (es) Férula intraoral
JP5268181B2 (ja) 睡眠時無呼吸症候群対策装具および対策枕
JP5858549B1 (ja) 睡眠時無呼吸症候群改善用補助器具
JP2005312853A (ja) 閉塞性睡眠時無呼吸症候群や習慣性いびき症の予防と改善の口腔内装置
CN220546327U (zh) 一种不良舌习惯矫治器
KR102663917B1 (ko) 구강 삽입형 코골이 방지장치
CN214908739U (zh) 松弛咀嚼肌咬力的防吞前牙区颌垫
CN213851155U (zh) 一种功能矫治肌调节器
KR102551228B1 (ko) 음압을 이용한 수면무호흡 코골이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