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5240A - 모발처리용 조성물 및 모발처리방법 - Google Patents

모발처리용 조성물 및 모발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5240A
KR20230165240A KR1020237033664A KR20237033664A KR20230165240A KR 20230165240 A KR20230165240 A KR 20230165240A KR 1020237033664 A KR1020237033664 A KR 1020237033664A KR 20237033664 A KR20237033664 A KR 20237033664A KR 20230165240 A KR20230165240 A KR 20230165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hair treatment
composition
acid
dicarboxyl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3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노부 타나카
요시오 츠지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비. 프로
가부시키가이샤 바이오톱 마야
소 파마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다이아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비. 프로, 가부시키가이샤 바이오톱 마야, 소 파마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다이아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비. 프로
Publication of KR20230165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524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5Explicitly spheroidal or spherical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2Poly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7/00Processes of waving, straightening or curling hair
    • A45D7/06Processes of waving, straightening or curling hair combined chemical and therm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54Platelets;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6Alumi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61K8/375Esters of carboxylic acids the alcohol moiety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61Q1/06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4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4Preparations for permanent waving or straighte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8Preparations for bleach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0Preparations for permanently dye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 A61K2800/62Coated
    • A61K2800/621Coated by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 A61K2800/62Coated
    • A61K2800/622Coated by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 A61K2800/62Coated
    • A61K2800/63More than one co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5Characterized by the composition of the particulate/core
    • A61K2800/651The particulate/core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과제] 축모교정, 염색 및 탈색 시의 머릿결 개선, 웨이브 파마 및 스트레이트 파마 시의 머릿결 개선, 샴푸 및 헤어 트리트먼트를 목적으로 해서, 효과가 오래 지속되고, 또한 안전성이 확보된 모발처리용 조성물이 요구되고 있었다. [해결 수단] 본 발명은, 다이카복실산과 티올류로 이루어진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모발처리용 조성물로서, 다이카복실산이 아디프산, 뮤콘산 및 화장품으로서 허용 가능한 이들의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복수 종인, 모발처리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해당 모발처리용 조성물을 이용한 모발처리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모발처리용 조성물 및 모발처리방법
본 발명은, 이작용성 화합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C6) 이상인 이작용성 화합물 및 티올류로 이루어진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모발처리용 조성물이고, 또한 해당 모발처리용 조성물을 이용한 모발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발의 상태 개선을 목적으로 해서, 이작용성 화합물 등의 유기산을 함유하는 모발처리용 조성물이 많이 개발되어 있다. 예를 들면, 티오글리콜산, 아디프산 등을 포함하는 파마제(특허문헌 1 참조), 티올기를 갖는 모발환원성 물질 및 아디프산을 적합으로 하는 이작용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모발형상제어제 제1제 조성물(특허문헌 2 참조), 아디프산, 뮤콘산 등의 이작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조성물과, pH가 다른 제2 조성물을 모발에 적용하는 모발처리방법이고, 실시형태에서는 환원제를 포함하지 않는 해당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3 참조).
WO 2006/011771 A JP 5112836 B WO 2018/191362 A
축모교정, 염색 및 탈색 시의 머릿결 개선, 웨이브 파마 및 스트레이트 파마(straight permanent wave) 시의 머릿결 개선, 및 샴푸나 헤어 트리트먼트를 목적으로 해서, 효과가 오래 지속되고, 또한 안전성이 확보된 모발처리용 조성물이 요구되고 있었다. 특허문헌 1 및 2에서는, 다이카복실산을 함유하는 파마제 제1제가 개시되어 있지만, 파마제 제1제에 의한 모발의 환원 반응 시의, 모발의 과수축에 의한 손상의 억제를 목적으로 하고 있고,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와, 이들 발명의 과제는 다르다. 또, 특허문헌 3은, 실시형태에서는 환원제를 포함하지 않는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다이카복실산이 단독으로 모발에 작용하고 있다.
본 발명은, 발명자들이, 특정 다이카복실산과 티올류로 이루어진 복합체에 의해, 모발에 현저한 개선 효과가 얻어지는 것을 발견한 것에 의해 도달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모발처리용 조성물이고, 다이카복실산과 티올류로 이루어진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하고, 다이카복실산이 탄소수 6 내지 탄소수 10의 다이카복실산 및 화장품으로서 허용 가능한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복수종이고, 티올류가 아미노티올류 및 화장품으로서 허용 가능한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복수종이다. 복합체는, 티올류/다이카복실산=0.01 내지 100의 몰비로 반응시켜서 형성된 복합체일 수 있다. 또한, 티올류/다이카복실산=1 이상의 몰비로 반응시켜서 얻어진 복합체이기도 할 수 있다.
다른 본 발명에서는, 다이카복실산과 티올류를 함유하는 모발처리용 조성물이고, 다이카복실산이 탄소수 6 내지 탄소수 10의 다이카복실산 및 화장품으로서 허용 가능한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복수종이고, 티올류가 아미노티올류 및 화장품으로서 허용 가능한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복수종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이카복실산, 티올류, 다이카복실산과 티올류로 이루어진 복합체 이외의 작용 성분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모발처리용 조성물이다. 다른 본 발명은, 축모교정제, 염색 또는 탈색 시의 머릿결 개선제, 웨이브 파마 또는 스트레이트 파마 시의 머릿결 개선제, 샴푸제, 헤어 트리트먼트제 및 정발제(정발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복수종이지만, 또 다른 본 발명은 웨이브 파마 또는 스트레이트 파마용 제1제 또는 제2제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티올류는, 아미노티올류로서, 구체적으로는, 시스테아민, 시스테인, 아미디노시스테인, 아미노티오페놀, 머캅토피리딘, 호모시스테인, 아미노운데칸티올 및 화장품으로서 허용 가능한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복수종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다이카복실산은, 아디프산, 피멜산, 수베르산, 아젤라산, 헥센2산, 헵텐2산, 옥텐2산, 뮤콘산 및 화장품으로서 허용 가능한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복수종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처리용 조성물은 다이카복실산 및 티올류를 고온하에서 혼합하는 혼합 단계를 적어도 포함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서 얻어진다. 다이카복실산과 티올류가 형성하는 복합체는 혼합 단계에 의해서 얻어진다. 혼합 단계는 다이카복실산 및 티올류를 60 내지 100℃에서 혼합하는 혼합 단계일 수 있다. 또, 혼합 단계는 다이카복실산, 티올류, 이들의 용매 및 pH 조정제 이외의 작용 성분이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환경에서 혼합하는 혼합 단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발처리방법이고, 전술한 모발처리용 조성물 또는 전술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모발처리용 조성물을 모발에 도포하는 도포 단계와, 도포 단계 후에, 모발을 가온시키는 가온 단계를 적어도 포함한다. 가온 단계는, 모발의 표면온도가 40 내지 60℃, 80℃, 100℃, 120℃, 140℃, 160℃ 또는 180℃가 되도록 가온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모발처리방법에서는, 모발처리용 조성물을, 웨이브 파마 또는 스트레이트 파마용 제1제 또는 제2제로서 모발에 도포하는 방법을 제외하고, 축모교정, 염색 및 탈색 시의 머릿결 개선, 웨이브 파마 및 스트레이트 파마 시의 머릿결 개선, 및 샴푸나 헤어 트리트먼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복수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모발처리방법은 비치료적인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부터 화장품 재료로서 이용되어 왔던 다이카복실산 및 티올류로 이루어지므로, 사용자에 있어서 안전성이 확보된 모발처리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처리용 조성물을 이용한 모발처리방법은, 축모교정, 염색 및 탈색 시의 머릿결 개선, 웨이브 파마 및 스트레이트 파마 시의 머릿결 개선, 및 샴푸나 헤어 트리트먼트가 가능하고, 그 효과는 복수회의 샴푸 세정 후에도 지속된다.
모발의 축모교정 시에 본 발명의 모발처리용 조성물을 이용한 경우에는, 모발의 꼬임이 없고, 부드러운 마무리가 된다. 더욱, 축모교정처리 후에도 모발에 대한 축모교정의 효과나, 모발의 건강하면서도 유연한 상태가 유지된다. 염색 및 탈색 시에 본 발명의 모발처리용 조성물을 이용한 경우에는, 모발을, 높은 탄성을 가지면서, 또한 부드럽게 마무리할 수 있다. 또한, 탈색 시의 모발에의 손상이 경감되어, 모발의 꼬임이 경감된다. 웨이브 파마 및 스트레이트 파마 시에 본 발명의 모발처리용 조성물을 이용한 경우에는, 모발을 부드럽게 마무리할 수 있고, 모발에 대한 파마의 효과나, 건강하면서도 유연한 상태가 유지된다. 샴푸나 헤어 트리트먼트에 본 발명의 모발처리용 조성물을 이용한 경우에는, 모발의 의도하지 않는 굴곡을 완화시켜, 모발의 탄성을 높이고, 또한 부드럽게 마무리할 수 있다. 샴푸에 의해 모발의 세정을 복수회 행한 후에도, 이들의 효과는 지속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모발처리방법에서는, 모발처리용 조성물을 모발에 도포한 후에, 모발을 가온시킴으로써 효과가 얻어지지만, 해당 가온 단계가 모발의 표면온도를 40 내지 60℃로 하는 단계이어도 효과가 얻어지는 점에서 우위이다. 해당 온도범위는, 모발을 손상시킬 위험성이 낮고, 가정에 있어서의 일상적인 모발 손질 행위에 있어서의 온도범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이나 방법은, 전문적인 기기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모발처리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파마넌트 웨이브제의 중간처리제로서, 본 발명의 모발처리용 조성물로 처리한 모발의 컬 형성 및 그 지속성의 향상 효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이디오피아인 여성의 축모에 대한 본 발명의 모발처리용 조성물에 의한 교정 효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모발처리용 조성물로 처리한 표백모의 컬 형성 및 그 지속성의 향상 효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모발처리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샴푸제로 처리한 표백모의 컬 형성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본 발명을, 그 실시형태에 의거해서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실시형태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이작용성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C6) 이상의 이작용성 화합물, 및 티올류로 이루어진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모발처리용 조성물이다. 이작용성 화합물이란, 작용기를 2개 포함하는 화합물의 총칭이고, 구체적으로는 다이카보닐 화합물인 다이카복실산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처리용 조성물은, 조성물이 함유되는 다이카복실산 및 티올류로 이루어진 복합체가 유효성분으로서 모발에 작용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복합체란, 복수의 분자가 분자간력이나 공유결합에 의해 회합 또는 결합한 상태를 지칭하고, 복수의 분자로 이루어진 화합물이나 회합체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모발처리용 조성물에서는, 티올류와 다이카복실산이 반응해서 형성된 복합체가 유효성분으로서 작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1실시형태는, 다이카복실산 및 티올류를 함유하는 모발처리용 조성물이다. 다이카복실산 및 티올류가 형성하는 복합체가 유효성분으로서 모발에 작용하지만, 다이카복실산 및/또는 티올류가 단독으로 모발에 작용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다이카복실산 및 티올류를 함유하는 모발처리용 조성물이고, 다이카복실산은, 뮤콘산, 아디프산, 옥텐2산 및 화장품으로서 허용 가능한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복수종일 수 있다. 티올류는, 아미노티올류 및 화장품으로서 허용 가능한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복수종이고, 시스테아민 또는 화장품으로서 허용 가능한 이의 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복합체는, 다이카복실산과 티올류가 물이나 에탄올 등의 용매 중, 바람직하게는 수용액 중에서 반응하여, 형성할 수 있는 복합체이다. 구체적으로는, 티올류가 가진 티올기와, 다이카복실산이 가진 알켄, 또는 다이카복실산이 환원되어서 형성된 알켄에 있어서의 이중 결합이 작용한 티올-엔 반응에 의해 유인되는 복합체나, 다이카복실산과 티올류 사이에 형성되는 분자간 수소결합에 의해 유인되는 복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복합체는, 다이카복실산 및 티올류를 고온하에서 혼합하는 혼합 단계에 의해서 얻을 수 있다.
다이카복실산이란, 2개의 카복시기를 갖는 화합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모발처리용 조성물은, 다이카복실산 중에서도, α,ω-다이카복실산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탄소수 6 내지 10의 직쇄 또는 분지형의 알칸 또는 알켄의 양단에 카복시기가 부가된 것,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 내지 8의 직쇄 또는 분지형의 알칸 또는 알켄의 양단에 카복시기가 부가된 것이 이용된다.
본 발명의 모발처리용 조성물에 이용되는 다이카복실산은, 직쇄형의 포화 다이카복실산 및/또는 불포화 다이카복실산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포화 다이카복실산으로서는, 헥산2산, 헵테인2산, 옥탄2산, 노난2산, 데칸2산 등을 들 수 있고, 불포화 다이카복실산으로서는, 헥센2산, 헵텐2산, 옥텐2산, 노넨2산, 데센2산, 헥사다이엔2산, 헵타다이엔2산, 옥토다이엔2산, 노나다이엔2산, 데카다이엔2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처리용 조성물에 이용되는 다이카복실산은, 아디프산, 피멜산, 수베르산, 아젤라산, 헥센2산, 헵텐2산, 옥텐2산, 뮤콘산 및 화장품으로서 허용 가능한 이들의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복수종일 수 있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디프산, 옥텐2산, 뮤콘산 및 화장품으로서 허용 가능한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복수종일 수 있다. 이들 다이카복실산과 티올류로 이루어진 복합체를 함유하는 모발처리용 조성물에는, 높은 모발처리효과가 확인되었다.
시스·트랜스 이성질체가 존재하는 다이카복실산은,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발휘하는 한, 어느 쪽의 이성질체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뮤콘산은, trans, trans형, cis, trans형, cis, cis형의 3종의 시스·트랜스 이성질체가 존재한다. 다이카복실산으로서 뮤콘산을 이용할 경우에는, 어느 쪽의 이성질체라도 본 발명에 이용할 수 있지만, trans, trans형의 뮤콘산은, 다른 이성질체와 비교해서, 짧은 시간에 티올류와의 복합체 형성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티올류란, 적어도 1개의 티올기를 갖는 화합물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다이카복실산과 함께 모발처리용 조성물에 이용되는 티올류는,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발휘하는 한 한정되지 않지만, 구체적으로는, 아미노티올이다. 아미노티올은, 머캅토아민이라고도 지칭되고, 하나 또는 복수의 아미노기를 갖는 티올류이다.
본 발명의 모발처리용 조성물에 이용되는 아미노티올은, 구체적으로는 시스테아민, 시스테인, 아미디노시스테인, 아미노티오페놀, 머캅토피리딘, 호모시스테인, 아미노운데칸티올 및 화장품으로서 허용 가능한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복수종일 수 있다. 티올류 중에서도, 시스테아민, 시스테인 등의 제1급 아민을 가진 화합물이 바람직하게 이용되고, 시스테아민이 보다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본 발명의 모발처리용 조성물의 pH는, 약산성으로부터 약알카리성인 것이 바람직하고, 중성 영역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pH는 5 내지 8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pH는 5.5 내지 7.5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pH는 6 내지 7이다. 후술하는 혼합 단계 후에, 조성물의 pH를, 소망의 pH로 조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모발용 조성물은, 염모제나 탈색제, 파마제에 배합할 수도 있다. 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모발처리용 조성물의 pH는, 중성으로부터 알카리성인 것이 바람직하고, 중성으로부터 약알카리성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pH는 7 내지 12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pH는 8 내지 11이다.
본 발명의 모발처리용 조성물은 다이카복실산 및 티올류가 형성하는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하지만, 다이카복실산과 티올류나 그 복합체 이외의 작용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포함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다이카복실산과 티올류나 그 복합체 이외의 작용 성분을 포함하지 않고 있어도, 적어도 복합체가 포함되어 있는 조성물이면, 모발에 효과를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다이카복실산과 티올류나 그 복합체 이외의 작용 성분이란, 모발에 도포함으로써 모발에 어떠한 효과를 부여하는 성분을 지칭하고, 구체적으로는 다이설파이드화합물, 아황산나트륨 등의 티올류 이외의 환원제, 브로민산나트륨, 과산화수소수 등의 산화제, 하이알루론산, 콘드로이틴황산, 콜라겐, 글리세린, 자일리톨, 글루코스, 수크로스, 아미노산, 이들의 유도체, 이들의 염 등의 보습제, 잔탄검, 구아검, 펙틴 등의 증점제,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비이온 계면활성제 등의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다이카복실산과 티올류나 그 복합체 이외의 작용 성분에는, 산화 방지제나 방부제, 보존료, 향료, 착색료, pH 조정제 등, 모발에 직접 효과를 부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 성분은 포함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다이카복실산 및 티올류를 고온하에서 혼합하는 혼합 단계를 적어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서 얻어지는 모발처리용 조성물이다. 고온하에서 혼합함으로써, 유효성분인 다이카복실산 및 티올류의 복합체의 형성이 촉구되기 때문이다.
혼합 단계에서는, 다이카복실산 및 티올류 외에, 다이카복실산과 티올류의 복합체 형성을 저해하지 않는 용매(물, 에탄올 등) 및 pH 조정제의 존재는 허용되지만, 그 이외의 작용 성분이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환경에서, 다이카복실산 및 티올류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성분의 존재 하에서 혼합하면, 다이카복실산과 티올류의 복합체의 형성이 저해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혼합 단계는, 구체적으로는, 다이카복실산 및 티올류가 함께 용매(물, 에탄올 등)에 용해된 상태에서, 고온환경하에서 혼합하는 단계이다. pH 조정을 위한 산 또는 알칼리를 제외하고, 다이카복실산과 티올류의 복합체 형성을 저해하는 성분이 용매(물, 에탄올 등) 중에 실질적으로 존재하고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실질적으로 존재하고 있지 않다"란, 모발처리용 조성물의 제조 공정상, 성분을 고의로 함유시키지 않는 것을 지칭하고, 용매(물, 에탄올 등)에 당초부터 용해되어 있던 물질이나, 제조 공정 중에 외부 분위기로부터 용매에 용해된 물질의 존재는 허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혼합 단계가, 다이카복실산, 티올류, 이들의 용매(물, 에탄올 등), 및 pH 조정제 이외의 작용 성분이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환경에서 혼합하는 제조 방법이다. 여기서 존재가 허용되지 않는 작용 성분은, 다이카복실산과 티올류의 복합체의 형성을 저해할 수 있는 것이고, 다이카복실산과 티올류의 복합체의 형성을 저해하지 않는 성분의 존재는 허용된다.
혼합 단계에 있어서, 다이카복실산 및 티올류를 혼합하는 온도는 40 내지 120℃가고,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00℃가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00℃가고, 용매가 물일 경우, 상압하에서 비등 상태까지 가온하면 된다. 고온하에 두는 시간은 한정되지 않지만, 구체적으로는 1분 내지 24시간이고, 바람직하게는 1시간 내지 6시간이다. 또한, 혼합 단계는 고압하에서 실시해도 되고, 이러한 경우에는, 상압하에서의 혼합 단계와 비교해서, 보다 낮은 온도나, 보다 짧은 시간으로도 복합체가 얻어진다.
혼합 단계에 있어서, 다이카복실산 및 티올류의 혼합 용매의 pH 조정은 필수적이지 않지만, 다이카복실산 및/또는 티올류의 용매에의 용해가 불충분할 경우에는, pH를 조정함으로써, 용해가 촉진된다. 다이카복실산은 산성을 나타내므로, 알카리성을 나타내는 pH 조정제의 존재 하에서 혼합하면 된다. 혼합 시의 용매의 pH는 한정되지 않지만, 산성 영역에서부터 약알카리성 영역인 것이 바람직하고, 산성 영역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pH는 4 내지 9이고, 4 내지 7이고, 4 내지 6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처리용 조성물에서의 다이카복실산과 티올류의 물질량(몰비)은 한정되지 않고, 티올류/다이카복실산=0.01 내지 100(즉, 다이카복실산의 물질량에 대한 티올류의 물질량의 몰비가 0.01 내지 100)일 수 있지만, 티올류/다이카복실산=1 이상의 몰비(즉, 다이카복실산의 물질량에 대한 티올류의 물질량의 몰비가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티올류/다이카복실산=1 내지 100이고, 1 내지 10이고, 1 내지 5이고, 1 내지 3일 수 있다. 티올류의 물질량이, 다이카복실산의 물질량을 하회할 경우에는, 복합체의 형성이 불충분하여 머릿결 개선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는 일이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모발처리용 조성물을 모발에 도포하는 도포 단계와, 도포 단계 후에, 모발을 가온시키는 가온 단계를 적어도 포함하는, 모발처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모발처리방법의 다른 실시형태는, 도포 단계에 계속해서, 모발처리용 조성물을 모발로부터 씻어버리는 세정 단계 및 모발처리용 조성물을 씻어버린 모발을 가온시키는 가온 단계를 포함하는 모발처리방법이다.
가온 단계에 있어서의 가온 온도는, 본 발명의 모발처리용 조성물의 효과가 얻어지는 온도이면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모발의 표면온도가 40 내지 60℃, 70℃, 80℃, 90℃, 100℃, 110℃, 120℃, 130℃, 140℃, 150℃, 160℃, 170℃ 또는 180℃가 되도록 가온시키는 단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모발의 표면온도가 40 내지 60℃가 되도록 가온시키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모발처리방법은, 모발의 표면온도가 40 내지 60℃에서도 효과가 얻어지는 점에서 우위이다. 해당 온도범위는, 모발을 손상시킬 위험성이 낮고, 가정에 있어서의 일상적인 모발 손질 행위에 있어서의 가온에 있어서의 온도범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문적인 기기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모발처리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이 제공하는 모발처리방법은, 축모교정, 염색 및 탈색 시의 머릿결 개선, 웨이브 파마 및 스트레이트 파마 시의 머릿결 개선, 및 샴푸나 헤어 트리트먼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복수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모발처리용 조성물의 1의 실시형태는, 모발처리용 조성물을 함유하고, 파마 시의 머릿결 개선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머릿결 개선제이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웨이브 파마 또는 스트레이트 파마용의 제1제 또는 제2제가 아니고, 그들의 중간제로서 사용되는 머릿결 개선제이다. 구체적으로는 모발에 제1제를 도포하고, 모발에 충분히 환원 작용이 얻어진 후에, 본 발명의 모발처리용 조성물을 도포한다. 도포 시, 본 발명의 모발처리용 조성물을 단독으로 도포해도 되고, 본 발명의 모발처리용 조성물과 제1제를 혼합해서 도포해도 된다. 모발에 도포된 상태로 방치하고, 제1제 및 본 발명의 모발처리용 조성물을 씻어버리고, 모발을 가온 시켜 건조시키고, 필요에 따라서 고데기 등을 이용해서 더욱 가열하고, 제2제를 도포한다. 그 결과, 모발이 부드러운 마무리가 되고, 파마 처리 후, 샴푸 세정을 반복해도, 건강하면서도 유부드러운 모발의 상태가 유지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은, 모발처리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축모교정제를 제공한다. 축모교정제는, 축모교정 시에 단독으로, 또는 축모교정의 제1제와 혼합해서 모발에 도포하고, 방치하고, 씻어버리고, 모발을 가온시켜 건조시키고, 필요에 따라서 고데기 등을 이용해서 더욱 가열하고, 제2제를 도포한다. 그 결과, 모발의 꼬임이 없고, 부드러운 마무리가 되고, 축모교정 처리 후, 샴푸 세정을 반복해도, 건강하면서도 유부드러운 모발의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은, 모발처리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염색 또는 탈색 시의 머릿결 개선제를 제공한다. 머릿결 개선제를, 산화 염료를 포함하는 제1제 및 제2제에 혼합하고, 또는 제1제와 제2제의 혼합액에 혼합해서 모발에 도포하고, 방치하고, 씻어버리고, 모발을 가온시켜 건조시키고, 필요에 따라서 고데기 등을 이용해서 더욱 가열한다. 그 결과, 염색 및 탈색 시의 직후의 불쾌한 냄새가 억제되어, 모발의 탄력성이 높으면서도 부드럽게 마무리할 수 있다. 또한, 탈색 시의 모발에 대한 손상이 경감되어, 모발의 비틀어지기가 경감된다. 즉, 본 발명은 모발처리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염모제 또는 탈색제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은 모발처리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샴푸제나 헤어 트리트먼트제를 제공한다. 샴푸제나 헤어 트리트먼트제를 단독으로, 또는 기존의 샴푸제나 헤어 트리트먼트제와 혼합해서 모발에 도포하고, 방치하고, 씻어버리고, 모발을 가온시켜 건조시키고, 필요에 따라서 고데기 등을 이용해서 더욱 가열한다. 그 결과, 높은 탄력성을 가지고, 또한 부드러운 모발로 마무리할 수 있다. 그 후에도, 모발에 대한 샴푸 세정을 행해도, 모발의 탄력성 및 부드러움이 지속된다.
본 발명의 모발처리용 조성물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은, 모발처리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정발제(정발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정발제는, 정발된 상태의 모발의 탄력성 및 부드러움을 높게 보유할 수 있고, 높은 정발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처리용 조성물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은 모발처리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양모제 및/또는 육모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양모제 및/또는 육모제는 모발을 탄력성 및 부드러움을 높게 보유함으로써, 높은 양털효과 및/또는 육모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를 참조해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1. 본 발명의 모발처리용 조성물의 제조
실험예 1로서, 뮤콘산 및 시스테아민으로 이루어진 복합체를 함유하는 모발처리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뮤콘산은, 3종의 이성질체 중, trans, trans형 뮤콘산을 이용하였다. 1.42g의 뮤콘산을 10g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pH 조정을 위하여 암모니아수 3g을 첨가한 후, 80℃까지 가열하였다. 뮤콘산이 용해된 것을 확인한 후, 시스테아민 0.77g을 첨가하고, 혼합하면서 비등할 때까지(100℃까지) 가열하고, 비등 상태(100℃)를 3분간 유지하고, 뮤콘산과 시스테아민으로 이루어진 복합체를 얻었다. 가온을 중지시키고, 상온이 될 때까지 방치하여, 용해되어 남은 것이 없는 것을 확인한 후에, 암모니아수로 pH 7.0 부근으로 조정하고, 정제수를 첨가해서, 뮤콘산 및 시스테아민의 최종농도가 10질량%가 되도록 조제하였다.
실험예 2로서, 아디프산 및 시스테아민으로 이루어진 복합체를 함유하는 모발처리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아디프산 1.46g을 10g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pH 조정을 위하여 암모니아수 3g을 첨가한 후, 80℃까지 가열하였다. 아디프산이 용해된 것을 확인한 후, 시스테아민 0.77g을 첨가하고, 혼합하면서 비등할 때까지(100℃까지) 가열하고, 비등 상태(100℃)를 3분간 유지하고, 아디프산과 시스테아민으로 이루어진 복합체를 얻었다. 가온을 중지시키고, 상온이 될 때까지 방치하여, 용해되어 남은 것이 없는 것을 확인한 후에, 암모니아수로 pH 7.0 부근으로 조정하고, 정제수를 첨가해서, 아디프산 및 시스테아민의 최종농도가 10질량%가 되도록 조제하였다.
실험예 3으로서, 뮤콘산 및 티오글리세린을 이용해서 모발처리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의 시스테아민 대신에 티오글리세린 1.08g을 첨가한 이외에는, 동일 조건으로 제조하였다.
실험예 4로서, 아디프산 및 티오글리세린을 이용해서 모발처리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2의 시스테아민 대신에 티오글리세린 1.08g을 첨가한 이외에는, 동일 조건으로 제조하였다.
실험예 5로서, 뮤콘산 및 티오글리콜산글리세릴을 이용해서 모발처리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의 시스테아민 대신에 티오글리콜산글리세릴 1.66g을 첨가한 이외에는, 동일 조건으로 제조하였다.
실험예 6로서, 아디프산 및 티오글리콜산글리세릴을 이용해서 모발처리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2의 시스테아민 대신에 티오글리콜산글리세릴 1.66g을 첨가한 이외에는, 동일 조건으로 제조하였다.
실험예 7로서, 아디프산 및 티오글리콜산 암모늄을 이용해서 모발처리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2의 시스테아민 대신에 50중량% 티오글리콜산 암모늄 수용액 2.18g을 첨가한 이외에는, 동일 조건으로 제조하였다.
또, 비교예 1로서, 푸마르산 및 시스테아민을 이용해서 모발처리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2의 아디프산 대신에 푸마르산 1.16g을 첨가한 이외에는, 동일 조건으로 제조하였다.
또한, 비교예 2로서, 석신산 및 시스테아민을 이용해서 모발처리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2의 아디프산 대신에 석신산 1.18g을 첨가한 이외에는, 동일 조건으로 제조하였다.
2. 본 발명의 모발처리용 조성물의 평가(1): 가온 처리 시의 웨이브 형성력 및 그 지속성의 평가
본 발명의 모발처리용 조성물의 평가를 행하였다. 인간의 건강한 정상 모발30 내지 40가닥(평균 길이 25㎝)을 한 다발로 하고, 플라스틱제의 측정용 빗에 모발의 다발을 지그재그 감기로 해서 고정하였다. Kirby 법(참고 문헌: Donald H. Kirby, Drug and Cosmetic Industry, 80(3), 314-315, 397-400 (1957))에 따라서, 모발을 10질량%의 티오글리콜산 암모늄 수용액의 파마제 제1제(pH 9.2)에 10분간 침지시키고, 그 후 40℃의 유수로 30초 헹구었다. 그 후, 모발을, 실험예 1, 실험예 2 또는 비교예 1의 각 모발처리용 조성물에 2분간 침지시키고, 꺼내고, 타월로 모발상의 수분을 닦아내었다.
측정용 빗에 고정된 모발에, 40℃, 60℃ 또는 80℃의 가온 처리를 실시하였다. 헤어 드라이어를 이용해서, 측정용 빗에 고정된 모발의 표면온도가 40℃, 60℃ 또는 80℃가 되도록 열풍을 3분간 적용시키고, 그 후, 15 내지 20℃의 상온에서 7분간 방치하였다. 모발을, 6질량%의 브로민산나트륨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제2제에 10분간 침지시키고, 꺼낸 모발을 측정용 빗으로부터 떼고, 15 내지 20℃에서 방치해서 건조시켰다.
모발에 있어서의 각 조건의 웨이브 형성력을 측정하였다. 웨이브 형성력은, 각 온도에서 처리한 모발상에 형성된, 하나의 웨이브의 피크와, 해당 웨이브에 인접하는 웨이브와의 피크 간의 거리로 표시된다. 해당 거리가 짧은 쪽이, 모발상의 웨이브 형성력이 강한 것을 나타낸다.
동시에, 모발처리 직후의 모발의 촉감을 평가하고, 점수화하였다. 처리 전부터 악화되어 있는 경우를 0, 처리 전과 변화가 없는 경우를 1, 처리 전과 비교해서 약간의 개선이 보이는 경우를 2, 처리 전과 비교해서 분명히 양호한 경우를 3, 처리 전과 비교해서 현저하게 양호한 경우를 4로 하였다.
또한, 샴푸 세정에 대한 웨이브 형성의 지속성의 평가를 하기 방법으로 행하였다. 웨이브 형성된 모발을, 라우레스 황산나트륨(sodium laureth sulfate)을 주성분으로 하는 샴푸를 2중량% 포함하는 수용액(이하, "샴푸 수용액"이라 칭함)으로 비벼 씻고, 40℃의 유수로 30초간 헹군 후에 타월로 모발상의 수분을 닦아내고, 30㎝ 이상의 거리로부터 헤어 드라이어로 80℃의 열풍을 적용하여 건조시켰다. 이 처리를 반복해서, 웨이브 형성 직후에 얻어진 촉감이 변화되는지의 여부를 검증하는 동시에, 웨이브 형성력이 손실되는 샴푸 세정 횟수를 밝혔다. 웨이브의 피크 간 거리가, 형성 직후 2배 이상이 된 시점에서, 웨이브 형성력이 손실된 것으로 판정하였다.
샴푸 세정에 대한 지속성이 높을 경우에는, 모발을 가속 열화 조건으로 처리하였다. 즉, 모발을, 샴푸 수용액에 40℃에서 2시간 침지시켜, 40℃의 유수로 30초간 헹군 후에 타월로 모발상의 수분을 닦아내고, 30㎝ 이상의 거리로부터 헤어 드라이어로 80℃의 열풍을 적용시켜서 건조시켰다. 이 처리가, 상기 샴푸 세정 28회와 동등한 효과를 모발에 대해서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래서, 모발에 대하여, 이 가속 열화 처리와, 전술의 통상의 샴푸 세정 처리를 조합시켜서, 웨이브 형성력이 손실되는 샴푸 세정 횟수를 밝혔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험예 1, 실험예 2 및 비교예 1에서는, 어느 쪽의 조건이어도 20㎜ 이하의 양호한 웨이브 형성력이 확인되었다. 비교예 1에서는 모발의 표면온도를 60℃로 하는 가온 처리로 29회·모발의 표면온도를 80℃로 하는 가온 처리로 57회의 샴푸 세정에 대하여 그 효과가 지속되었지만, 실험예 1에서는 모발의 표면온도를 60℃로 하는 가온 처리로 38회 이상, 실험예 2는 모발의 표면온도를 40℃로 하는 가온 처리로 38회 이상의 샴푸 세정에 대한 지속성이 확인되었다. 즉, 실험예 1 및 실험예 2에서는, 모발의 표면온도를 40 내지 60℃로 하는 가온 처리에 있어서 얻어진 지속성은, 비교예 1이 40 내지 60℃의 가온 처리에 있어서 얻어진 지속성보다도 높고, 비교예에서 80℃의 가온 처리로 얻어진 지속성과 필적하였다.
또한, 실험예와 비교예의 웨이브 형성 직후의 촉감을 검토하였다. 어느 쪽의 조건이어도 모발의 촉감은, 처리 전과 비교해서 개선이 나타났다. 그러나, 비교예 1에서는, 모발의 표면온도가 60℃ 이하인 처리에서는, 모발의 촉감은 영속적이지 않고, 샴푸 세정에 의해 손실되는 반영속적인 것이고, 표면온도를 80℃로 하는 처리가 아니면, 촉감은 영속적이지 않았다. 그 한편으로, 실험예 1에서는 모발의 표면온도를 60℃로 하는 가온 처리로, 실험예 2에서는 모발의 표면온도를 40℃ 및 60℃로 하는 가온 처리로, 샴푸 세정에 대하여, 영속적인 촉감이 얻어졌다. 따라서, 실험예 1 및 실험예 2는, 비교예 1보다도 낮은 온도처리로, 현저한 모발처리효과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 본 발명의 모발처리용 조성물의 평가(2): 상온처리 시에서의 웨이브 형성력 및 그 지속성의 평가
또한, 모발을 상온으로 처리한 경우의 웨이브 형성력 및 그 지속성을 평가하였다. "2."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용 빗에 고정된 모발을 실험예 1 내지 7, 또는 비교예 1·2의 각 모발처리용 조성물에 2분간 침지시켰다. 블랭크 테스트에서는, 모발을 정제수에 2분간 침지시켰다. 모발을 꺼내고, 타월로 모발상의 수분을 닦아냈다. 측정용 빗에 고정된 모발을, 15 내지 20℃에서 10분간 방치하고, 6 질량%의 브로민산나트륨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제2제에 10분간 침지시키고, 꺼낸 모발로부터 측정용 빗을 떼어내고, 15 내지 20℃에서 건조시켰다.
평가 결과를 표 2 및 표 3에 나타낸다. 실험예 1 내지 6에서는, 어느 쪽의 조건이어도 20㎜ 이하의 양호한 웨이브 형성력이 모발에 확인되어, 각각 5 내지 10회의 샴푸 세정후에도 웨이브가 유지되어 있었다. 모발의 촉감은, 실험예 3 및 4에서는 처리 전과의 변화는 보이지 않았지만, 실험예 1 및 2, 및 실험예 5 및 6에서는 처리 전으로부터의 개선이 보였다. 각 실험예로부터 얻어진 모발의 촉감은 반영속적이었다.
4. 본 발명의 모발처리용 조성물의 평가(3): 컬 형성력 및 그 지속성의 평가
인간의 건강한 정상 모발 30 내지 40가닥(평균 길이 25 ㎝)을, 10질량%의 티오글리콜산 암모늄 수용액의 파마제 제1제(pH 9.2)에 10분간 침지시키고, 40℃의 유수로 30초 헹구었다. 그 후, 모발을, 실험예 1, 실험예 2, 실험예 3, 실험예 4, 실험예 5, 실험예 6 또는 실험예 7의 각 모발처리용 조성물에 2분간 침지시켰다. 블랭크 테스트의 모발은 정제수에 2분간 침지시켰다. 40℃의 유수로 30초간 헹구고, 여분의 수분을 타월로 닦아냈다. 직경 25㎜의 원주 형상 고데기에 3번 감은 모발을, 모발의 표면온도가 180℃가 되고 나서 고데기로 2분간 가온시켜서 컬을 형성한 후, 고데기로부터 떼고, 상온에서 7분간 방치하였다. 그 후, 6질량%의 브로민산나트륨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파마제 제2제에 모발을 10분간 침지시키고, 꺼낸 후에 상온에서 건조시켰다.
모발상에 형성된 컬의 직경 또는 원주를 측정하고, 이것을 컬 형성력으로서 평가하였다. 측정값이 작은 쪽이, 모발상의 컬 형성력이 강한 것을 나타낸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샴푸 세정에 대한 컬 형성의 지속성을 조사하는 동시에, 모발처리 직후의 모발의 촉감의 평가를 하고, 점수화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4 및 표 5에 나타낸다. 실험예 3에서는 모발상에 컬 형성력은 확인되지 않았지만, 실험예 1·2 및 실험예 4 내지 7에서는 컬 형성력이 확인되었다. 특히, 실험예 1 및 2의 컬 형성력은, 각각 85회 이상의 샴푸 세정 후에도 유지되어 있고, 높은 지속성을 가지고 있었다. 어느 쪽의 조건으로도 컬 형성 직후의 촉감에는 개선이 보였지만, 실험예 1 및 2에서는 특히 현저하게 촉감이 개선되었다.
실험예 1 및 실험예 2에서 얻어진 모발의 촉감은 영속적이고, 다른 실험예·비교예와 비교해도, 그 효과의 지속성은 현저하였다. 실험예 1 및 실험예 2에 있어서의 촉감은, 100회 이상의 샴푸 세정에 대해서도 전혀 열화되는 일이 없었다.
또한, 실험예 1, 실험예 2, 비교예 1 또는 비교예 2의 각 조성물, 더욱 블랭크 테스트로서 실험예나 비교예 대신에 정제수로 위에서 설명한 기재와 동등한 조건으로 처리한 직후의 모발의 사진을 도 1A에, 87회 상당의 샴푸 처리, 즉, 가속 열화 처리 3회와 통상의 샴푸 3회로 처리한 후의 모발의 사진을 도 1B에 나타낸다. 모발에 대한 가열에는, 직경 25㎜의 고데기 대신에, 직경 15㎜의 열 로드를 이용하였다.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험예 1(도면 중 "실1"로 나타냄), 실험예 2(도면 중 "실2"로 나타냄), 비교예 1(도면 중 "비1"로 나타냄) 및 비교예 2(도면 중 "비2"로 나타냄)에서는, 블랭크 테스트(도면 중 "블랭크"로 나타냄)와 비교해서, 처리 직후의 모발상의 컬 형성력은 현저하게 강하였다. 비교예 1 및 비교예 2는, 87회 상당의 샴푸로 털끝의 결속이 손실되는 한편, 실험예 1 및 실험예 2에서 처리한 모발은, 87회 상당의 샴푸 후에도 샴푸 전과 동등한 품질을 유지하였다.
5. 본 발명의 모발처리용 조성물의 평가(4): 축모교정력 및 그 지속성의 평가
일본인 여성의 축모 30가닥 내지 40가닥(평균 길이 25㎝)을, 10질량%의 티오글리콜산 암모늄 수용액의 파마제 제1제(pH 9.2)에 10분간 침지시키고, 40℃의 유수로 30초 헹구었다. 그 후, 모발을 실험예 1 또는 실험예 2의 모발처리용 조성물에 2분간 침지시키고, 더욱 40℃의 유수로 30초간 헹구고, 여분의 수분을 타월로 닦아냈다. 평형 고데기를 이용해서, 모발의 근원으로부터 꼬임을 펴도록, 조금씩 잡아당기면서, 1분간을 요해서 모발의 근원에서부터 털끝까지를 곧바로 교정하였다. 또한, 근원에서부터 털끝까지를 3초간 걸려 균일한 속도로 고데기를 1회 통과시키고, 재차, 모발의 근원에서부터 열을 가하고, 상온에서 7분간 방치하였다. 그 후, 모발을 6질량%의 브로민산나트륨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파마제 제2제에 10분간 침지시키고, 꺼낸 후에 상온에서 건조시켰다.
그 결과, 실험예 1 및 2에서 처리한 모발은 부드러운 마무리가 되었다. 특히, 실험예 2에서는, 부드러움과 건강함을 겸비하여, 모발의 표면에 윤기가 나고 있었다. 샴푸 세정에 대한 축모교정력의 지속성을 측정한 바, 실험예 1 및 2 모두 85회 이상의 높은 지속성이 확인되었다.
또한, 다른 축모교정 시험결과를 도 2에 나타낸다. 강한 수축의 경향이 있는 이디오피아인 여성의 모발에 대해서, 10 질량%의 티오글리콜산 암모늄 수용액의 파마제 제1제(pH 9.2)에 30분간 침지시키고, 40℃의 유수로 30초 헹구었다. 그 후, 모발을, 실험예 1, 실험예 2 또는 비교예 2의 각 모발처리용 조성물에 3분간 침지시켰다. 블랭크 테스트로서, 실험예나 비교예 대신에 정제수를 이용해서, 동일 조건으로 모발을 처리하였다. 40℃의 유수로 모발을 30초간 헹구고, 여분의 수분을 타월로 닦아냈다. 저온의 드라이어로 더욱 수분을 취하고, 180℃의 고데기로 모발을 천천히 늘렸다.
도 2A는 이디오피아인 여성의 축모(20 내지 30가닥, 평균 길이 15㎝)의 처리 전의 상태, 도 2B는 처리 후의 모발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비교예 2(도면 중 "비2"로 나타냄)는, 블랭크 테스트(도면 중 "블랭크"로 나타냄)에 이용한 모발과 상태가 다르지 않지만, 실험예 1(도면 중 "실1"로 나타냄) 및 실험예 2(도면 중 "실2"로 나타냄)는 축모가 곧바로 연신되었다. 특히 실험예 1은, 털끝의 결속이 좋아, 이상적인 축모교정효과가 확인되었다.
6. 본 발명의 모발처리용 조성물의 평가(5): 모발에 대한 각 처리 온도에 있어서의 헤어 트리트먼트제로서의 평가
실험예 1 및 2의 조성물의, 인간의 건강한 정상모 또는 표백모에 대한 헤어 트리트먼트 효과를 검증하였다. 인간의 건강한 정상모 또는 표백모 30가닥 내지 40가닥(평균 길이 25㎝)을 한 다발로 해서 실험예 1, 실험예 2 또는 비교예 2의 조성물을, 다이카복실산 및 티올류의 농도가 0.5질량%가 되도록 희석시킨 액체(pH 7)에 3분간 침지시키고, 여분의 수분을 닦아냈다. 그 모발을, 모발의 표면온도를 20℃, 60℃, 80℃ 또는 120℃로 하는 처리를 행하였다.
모발을 20℃로 하는 처리에서는, 모발을 15㎜의 열 로드에 간극 없이 둘러 감고, 20℃(실온)에서 10분간 방치하고, 여분의 수분이 있으면 타월로 닦아내고, 더욱 1분 방치한 후에 모발을 열 로드로부터 떼어냈다. 모발을 60℃ 또는 80℃로 하는 처리에서는, 모발을 15㎜의 열 로드에 간극 없이 둘러 감고, 모발 표면이 60℃또는 80℃가 되도록 10분간 가온하고, 더욱 1분 방치해서 열 로드를 식힌 후에 모발을 열 로드로부터 떼어냈다. 모발을 120℃로 하는 처리에서는, 직경 25㎜의 원주 형상 고데기에 모발을 3번 감고, 모발이 10분간 약 180℃가 되도록 가온해서 컬을 형성한 후, 고데기로부터 떼어내고, 상온에서 1분간 방치하였다.
각 모발은, 40℃의 샴푸 수용액에 10초 담그고, 그 후 40℃의 유수로 10초 헹구고 나서 타월로 수분을 닦아냈다. 이 모발에 대한 효과는, 컬 형성률, 컬 형성의 지속성 및 촉감을 포함하는 종합적인 소견으로 평가하였다. 컬 형성률은, 컬이 형성된 상태에서의 털다발의 근원측의 구부러짐 개시 위치를 기점으로, 털다발의 털끝이 2번째로 긴 모발의 선단까지의 거리(컬 직경)를 측정하고, 또한, 털다발을 연신시킨 상태에서 기점으로부터 해당 모발의 선단까지의 거리(모발길이)를 측정하고, 컬 형성률을 (모발길이-컬 직경)/모발길이×100으로서 산출하였다.
컬 형성의 지속성의 평가는, 샴푸 수용액에 털다발을 담그고, 물을 흐르게 해서, 타월로 여분의 수분을 닦아내고, 실온에서의 방치에 의해 건조시키는 처리를 1회로 하고, 형성된 컬이 유지되지 않게 되는(털다발이 1회전하지 않게 되는) 처리 횟수를 측정하였다. 또한, 표백모를 80℃로 한 조건에서는, 전술한 촉감 점수에 의해 평가하였다.
건강한 정상모를 이용한 평가 결과를 표 6에, 표백모를 이용한 평가 결과를 표 7에 나타낸다. 실험예 1 및 실험예 2에서는, 모발의 표면온도를 40 내지 180℃로 하는 처리에서, 비교예보다도 높은 컬 형성률이 측정되었다. 또, 실험예 1 및 실험예 2에서는, 모발의 표면온도를 20 내지 80℃로 하는 처리에서, 적어도 2회 이상의 샴푸 행위에 대한 컬 형성의 지속성이 확인되었지만, 비교예 2에서는, 어느 쪽의 온도조건이어도 1회의 샴푸 세정으로 컬 형성이 손실되었다. 또한, 실험예 1 및 실험예 2는 표백모에 대한 촉감을 향상시켰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을 함유하는 헤어 트리트먼트제의 효과가 명확해졌다.
표 7에 기재한 조건 중, 60℃ 처리 직후의 표백모의 사진을 도 3A에, 처리 후에 샴푸한 표백모의 사진을 도 3B에 나타낸다. 실험예 1(도면 중, "실1"로 나타냄), 실험예 2(도면 중, "실2"로 나타냄) 및 비교예 2(도면 중, "비2"로 나타냄)에 부가해서, 비교예 1(도면 중, "비1"로 나타냄)을 처리에 이용하였다. 블랭크 테스트(도면 중, "블랭크"로 나타냄)에는, 실험예나 비교예 대신에 정제수를 이용하였다. 블랭크 테스트의 표백모는 탈색에 의한 손상이 나타났다. 실험예 1 및 실험예 2에서 처리한 표백모는, 부드러우면서도 건강하고, 샴푸 후에도 컬이 유지되어 있었다. 그 한편으로,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서는, 샴푸에 의해 표백모상의 컬이 소실되었다.
7. 본 발명의 모발처리용 조성물의 평가(6): 각 온도조건의 혼합 단계에서 얻어진 조성물의 헤어 트리트먼트제로서의 평가
다이카복실산과 티올류를 20℃(상온), 60℃ 또는 80℃에서 혼합하는 혼합 단계에서 얻어진 조성물(실험예 8 내지 14)과, 100℃에서 혼합하는 공정에서 얻어진 조성물(실험예 1 및 2)의 헤어 트리트먼트제로서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실험예 8 내지 11에서는, 뮤콘산 및 시스테아민을 이용해서 모발처리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1.42g의 뮤콘산을 10g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0.77g의 시스테아민을 첨가하였다. 실험예 8 및 9는 20℃(상온), 실험예 10은 60℃, 실험예 11은 80℃가 되도록 가온시키고, 각각 혼합하였다. 뮤콘산과 시스테아민이 물에 완전히 용해된 지점에서 실험예 10 및 11은 가온을 중지시키고, 상온으로 되돌아갈 때까지 방치하였다. 정제수 및 필요에 따라서 암모니아수를 첨가해서 pH 7 부근으로 조정하고, 정제수를 첨가해서, 뮤콘산 및 시스테아민의 최종농도가 10%중량이 되도록 조정하였다. 20℃에서 교반하는 조건에서는 pH 7로 하는 것이 곤란했기 때문에, pH 6.5로 조정한 것을 실험예 8, pH 8로 조정한 것을 실험예 9로 하였다.
실험예 12 내지 14에서는, 아디프산 및 시스테아민을 이용해서 모발처리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1.46g의 아디프산을 10g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시스테아민 0.77g을 첨가하였다. 실험예 12는 20℃(상온), 실험예 13은 60℃, 실험예 14는 80℃가 되도록 가온시키고, 각각 혼합하였다. 아디프산과 시스테아민이 물에 완전히 용해된 지점에서 실험예 13 및 14는 가온을 중시시키고, 상온으로 되돌아갈 때까지 방치하였다. 암모니아수로 pH 7.0 부근으로 조정하고, 정제수를 첨가해서, 아디프산 및 시스테아민의 최종농도가 10질량%가 되도록 조제하였다.
실험예 8 내지 14에 부가해서, 뮤콘산과 시스테아민을 100℃에서 혼합해서 얻어진 복합체를 포함하는 실험예 1, 아디프산과 시스테아민을 100℃에서 혼합해서 얻어진 복합체를 포함하는 실험예 2의 조성물의 인간의 건강한 정상모 또는 표백모에 대한 헤어 트리트먼트 효과를 검증하였다. 각 실험예의 조성물을, 다이카복실산 및 티올류의 농도가 0.5질량%가 되도록 희석시킨 액체를 이용하였다. 건강한 정상모 및 표백모를 사용해서, 모발은 표면온도가 80℃가 되도록 가온시키고, 그 외에는 5.와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건강한 정상모를 이용한 평가 결과를 표 8에, 표백 모발을 이용한 평가 결과를 표 9에 나타낸다. 뮤콘산을 이용한 조성물(실험예 8 내지 11 및 1)에서는, 60℃ 이상의 혼합으로 얻어진 실험예를 이용한 경우에 모발의 촉감이 우수하고, 아디프산을 이용한 조성물(실험예 12 내지 14 및 2)에서는, 60℃ 이상의 혼합으로 얻어진 실험예를 이용한 경우에 컬의 지속성 및 모발의 촉감이 우수하였다. 이상과 같이, 온도가 높은 혼합 단계에서 얻어진 실험예일수록, 컬의 지속성이나 촉감 점수는 우수한 경향을 보였으므로, 혼합 단계의 온도가 높을수록, 복합체 형성이 촉진되어 있는 것이 시사되었다.
8. 본 발명의 모발처리용 조성물의 평가(7)
실험예 2 및 실험예 12의 웨이브 형성력 및 그 지속성, 그리고 컬 형성력 및 그 지속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방법은, 전술한 방법과 동일하고, 웨이브 형성력 및 그 지속성은 모발의 표면온도를 40℃로 하는 가온으로, 컬 형성력 및 그 지속성은 모발의 표면온도를 180℃로 하는 가온으로, 각각 비교하였다.
결과를 표 10에 나타낸다. 실험예 2는, 웨이브 형성 시 및 컬 형성 시의 촉감이 양호하고, 복수회의 샴푸 세정 후에도 지속성이 보였다. 그 한편으로, 실험예 12는, 실험예 2와 비교해서, 웨이브의 형성 시 및 컬 형성 시의 촉감이 뒤떨어지고, 샴푸 세정 후의 지속성은 낮았다.
9. 본 발명의 모발처리용 조성물의 평가(8): 디지털 파마(열 로드를 이용한 파마)에 있어서의 파마제 제1제로서의 평가
실험예 15로서, 아디프산 및 시스테아민을 40℃에서 혼합해서 모발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1.46g의 아디프산을 10g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시스테아민 0.77g을 첨가하고, 40℃에서 혼합하고, 다 녹은 시점에서 상온으로 되돌아갈 때까지 방치하였다. 암모니아수로 pH 6.5 부근으로 조정하고, 정제수를 첨가해서, 아디프산 및 시스테아민의 최종농도가 10질량%가 되도록 조제하였다. 실험예 15의 조성물에 첨가해서, 20℃(상온)에서 혼합한 실험예 12, 60℃에서 혼합한 실험예 13, 80℃에서 혼합한 실험예 14, 100℃에서 혼합한 실험예 2의 조성물을 함유하는 파마제 제1제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각 실험예의 조성물에 대해서, 10 질량%의 티오글리콜산 암모늄이 혼입된 수용액을 이용해서, 아디프산 및 시스테아민의 농도가 0.5질량%가 되도록 희석시키고, 또한 pH를 9로 해서, 이들을 파마제 제1제로 하였다. 인간의 건강한 정상 모발30 내지 40가닥(평균 길이 25㎝)을 각각 제1제에 10분간 담그고, 40℃의 유수로 20초간 헹구고, 모발을 60℃로 가온시킨 열 로드에 4회전 둘러 감고, 건조를 방지하기 위하여 주위를 펠트로 감은 상태에서 10분간 방치하였다. 그 후, 모발을 6질량%의 브로민산나트륨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파마제 제2제에 10분간 침지시키고, 꺼낸 후에 열 로드로부터 모발을 떼어내서, 상온에서 건조시켰다.
평가 결과를 표 11에 나타낸다. 실험예 12 및 15에서는, 모발 표면의 큐티클(cuticle)에 작은 손상이 확인되었지만, 실험예 13·14 및 2에서는, 손상은 없고, 촉감은 양호하고, 실험예 15 및 실험예 2에서 처리한 모발상에는 윤기도 보였다. 또, 실험예 13·14 및 2에서 처리한 모발의 컬 형성력은 직경 30㎜ 미만이고, 각각 33회 이상의 샴푸 세정에 대한 지속성이 확인되었다. 이상과 같이, 아디프산 및 시스테아민을 60 내지 100℃에서 혼합해서 얻어진 복합체를 포함하는 실험예 13·14 및 2의 모발처리용 조성물은, 20 내지 40℃에서 혼합한 실험예 12 및 15와 비교해서, 파마제 제1제로서의 용도에서, 모발에 대한 현저한 머릿결 개선 효과가 확인되었다.
10. 본 발명의 모발처리용 조성물의 평가(9): 본 발명의 모발처리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샴푸제의 평가
실험예의 모발처리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샴푸제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라우로일메틸알라닌 TEA를 6중량%, 라우릴베타인을 3중량%, 코카미도메틸 MEA를 1중량%, 코카미도 DEA를 1중량%, 폴리쿼터늄-10을 0.3중량% 함유하고, 더욱 실험예 1 또는 실험예 2를 각각 4중량% 함유하는 샴푸제 원액을 제작하였다. 블랭크 테스트에는, 실험예 대신에 정제수를 함유하는 샴푸제 원액을 이용하였다.
약 40℃의 온수에 대해서, 온수 중 약 10중량%의 샴푸제 원액을 각각 첨가하고, 거품이 일 때까지 교반하고, 이것을 샴푸제로 하였다. 인간의 표백모 30가닥 내지 40가닥(평균 길이 25㎝)을 한 다발로 한 모발을 샴푸액에 담그고, 10초 후에 꺼내서, 손으로 털다발을 약 10초간 비벼서 넣고, 약 40℃의 유수로 약 10초간 헹구었다. 모발의 수분을 타월로 닦아내고, 냉풍의 헤어 드라이어로 건조시켰다.
직경 25㎜의 원주 형상 고데기에 모발을 3바퀴 둘러 감고, 모발의 표면 온도가 180℃가 되고 나서 2분간 가온시켜, 컬을 형성하였다. 또한, 컬이 형성된 모발을 약 40℃의 유수로 약 10초간 씻어버리고, 모발의 수분을 타월로 닦아내고, 모발이 건조되면,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컬 형성률을 측정하고, 이것을 샴푸 1회째의 컬 형성률로 하였다. 또한, 각각의 모발에 대해서, 같은 샴푸제를 이용해서 마찬가지의 샴푸 처리를 추가로 2회 행하고, 샴푸 2회째 및 3회째의 컬 형성률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2에 나타낸다. 실험예 1 또는 실험예 2를 함유하는 샴푸제를 이용한 모발에는, 현저한 컬이 형성되었다. 실험예 1 또는 실험예 2를 함유하는 샴푸제에서는, 샴푸의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모발에 형성된 컬은 강해졌다. 한편, 실험예를 정제수로 치환한 샴푸제를 이용한 경우에는, 컬이 거의 형성되지 않았다
또, 실험예 1 또는 실험예 2를 함유하는 샴푸제를 이용한 모발은, 윤기를 가져 부드러웠다. 이들 모발은, 고데기로 가열한 후의 감촉이 특히 양호하고, 탈색에 의한 모발상의 손상이 느껴지지 않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험예를 함유하는 샴푸제의 효과의 다른 검증 결과를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실험예 1 또는 실험예 2를 함유하는 샴푸제 원액에 첨가하고, 비교예 1을 함유하는 샴푸제 원액을 제작하였다. 블랭크 테스트로서 실험예나 비교예 대신에 정제수를 함유하는 샴푸제 원액을 이용하였다. 모발을, 약 40℃의 온수에 대해서, 온수 중 약 10중량%의 샴푸제 원액을 각각 첨가하고, 거품이 일 때까지 교반하고, 이것을 샴푸제로 하였다. 인간의 표백모 30가닥 내지 40가닥(평균 길이 25㎝)을 한 다발로 한 모발을 샴푸액에 담그고, 10 초후에 꺼내서, 약 40℃의 유수로 약 10초간 헹구었다.
모발을, 직경 25㎜의 헤어 컬러(hair curler)에 둘러감고, 모발 표면이 약 60℃가 되도록 헤어 드라이어로 3분간 가온시켰다. 모발을 헤어 컬러로부터 조심스럽게 꺼내고, 약 40℃의 온수의 샤워로 조심스럽게 씻고, 타월로 수분을 닦아내고, 방치하였다.
모발의 컬 형성률을 표 13에, 모발의 상태의 사진을 도 4에 나타낸다. 실험예 1을 함유하는 샴푸제(도면 중 "실1"로 나타냄), 및 실험예 2를 함유하는 샴푸제(도면 중 "실2"로 나타냄)를 이용한 모발은, 블랭크 테스트(도면 중 "블랭크"로 나타냄)의 모발이나 비교예 1을 함유하는 샴푸제(도면 중 "비1"로 나타냄)를 이용한 모발과 비교해서, 컬 형성률이 극히 높고, 온수 샤워 후에도 컬이 유지되었다.
11. 본 발명의 모발처리용 조성물의 평가(10): 다이카복실산과 티올류의 조합의 검증
뮤콘산 및 시스테아민으로 이루어진 복합체를 함유하는 실험예 11, 과 아디프산 및 시스테아민으로 이루어진 복합체를 함유하는 실험예 14를 이용하였다. 또한, 옥텐2산의 일종인 (E)-옥트-4-엔-1,8-이산 및 시스테아민으로 이루어진 복합체를 함유하는 실험예 16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1의 뮤콘산 대신에 (E)-옥트-4-엔-1,8-이산을 1.73g을 첨가한 이외에는 동일 조건으로 제조하였다.
또한, 뮤콘산 및 티오황산을 이용해서 실험예 17, 뮤콘산 및 티오말산을 이용해서 실험예 18을 각각 제조하였다. 실험예 17은 실험예 11의 시스테아민 대신에 티오황산을 1.06g 첨가한 이외에는 동일 조건으로 제조하였다. 실험예 18은 실험예 11의 시스테아민 대신에 티오말산을 1.50g 첨가한 이외에는 동일 조건으로 제조하였다.
실험예 11, 14 및 16의 조성물을 이용해서, 인간의 건강한 정상모 또는 표백모에 대한 헤어 트리트먼트 효과를 검증하였다. 인간의 건강한 정상모 또는 표백 모발 30가닥 내지 40가닥(평균 길이 25㎝)을 한 다발로 해서 실험예의 조성물을, 다이카복실산 및 티올류의 농도가 0.5질량%가 되도록 희석한 액체(pH 7)에 3분간 침지시키고, 여분의 수분을 닦아냈다. 모발을 15㎜의 열 로드 간극 없게 둘러 감고, 모발 표면이 80℃가 되도록 10분간 가온시키고, 더욱 1분 방치해서 열 로드를 식힌 후에 모발을 열 로드로부터 떼어내었다.
각 모발은, 40℃의 샴푸 수용액에 10초 담그고, 그 후 40℃의 유수로 10초 헹구고 나서 타월로 수분을 닦아냈다. 이 모발에 대한 효과는, 컬 형성률, 컬 형성의 지속성 및 촉감을 포함하는 종합적인 소견으로 평가하였다. 컬 형성률은, 컬이 형성된 상태에서의 털다발의 근원측의 굴곡 개시 위치를 기점으로, 털다발 중 털끝이 2번째로 긴 모발의 선단까지의 거리(컬 직경)를 측정하고, 또한, 털다발을 연신시킨 상태에서 기점으로부터 해당 모발의 선단까지의 거리(모발길이)를 측정하고, 컬 형성률을 (모발길이-컬 직경)/모발길이×100으로서 산출하였다.
컬 형성의 지속성의 평가는, 샴푸 수용액에 털다발을 담그고, 물을 흐르게 해서, 타월로 여분의 수분을 닦아내고, 실온에서의 방치에 의해 건조시키는 처리를 1회로 하고, 형성된 컬이 유지되지 않게 되는(털다발이 1회전하지 않게 되는) 처리 횟수를 측정하였다.
건강한 정상모를 이용한 평가 결과를 표 14에, 표백모를 이용한 평가 결과를 표 15에 나타낸다. 실험예 11, 14 및 16은, 모두 모발의 상태는 양호하고, 모발상에는 지속성이 높은 컬이 형성되었다.
또, 실험예 11, 실험예 17, 실험예 18과 블랭크 테스트(정제수)를 이용해서, 상기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헤어 트리트먼트제로서의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6에 나타낸다. 실험예 11에서는, 실험예 17 및 18과 비교해서, 현저한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뮤콘산을 이용한 실험예 11, 아디프산을 이용한 실험예 14 및 (E)-옥트-4-엔-1,8-이산을 이용한 실험예 16과, 푸마르산을 이용한 비교예 1을 이용해서, "10."과 같은 방법으로, 인간의 표백모에 대한 효과를 비교하였다. 실험예 11, 실험예 14, 실험예 16 또는 비교예 1의 각 조성물을 함유하는 샴푸 원액을 제작하고, 블랭크 테스트로서 실험예나 비교예 대신에 정제수를 함유하는 샴푸제 원액을 이용하였다. 모발을, 약 40℃의 온수에 대해서, 온수의 약 10중량%의 샴푸제 원액을 각각 첨가해서, 거품이 일 때까지 교반하고, 이것을 샴푸제로 하였다. 인간의 표백모 30가닥 내지 40가닥(평균 길이 25㎝)을 한 다발로 한 모발을 샴푸액에 담그고, 10 초 후에 꺼내서, 약 40℃의 유수로 약 10초간 헹구었다.
모발을, 직경 25㎜의 헤어 컬러에 둘러 감고, 모발 표면이 약 60℃가 되도록 헤어 드라이어로 3분간 가온시켰다. 모발을 헤어 컬러로부터 조심스럽게 꺼내고, 약 40℃의 온수의 샤워로 부드럽게 흐르게 하고, 타월로 수분을 닦아내고, 방치하여, 컬 형성률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7에 나타낸다. 실험예 11, 14 및 16의 조성물을 이용한 경우에는, 비교예 1에 비해서, 현저하게 높은 컬 형성률이 얻어졌다.
12. 본 발명의 모발처리용 조성물의 평가(11): 혼합 단계에 있어서의 pH가 조성물의 헤어 트리트먼트 효과에 주는 영향
실험예 19로서, 뮤콘산 및 시스테아민을 이용해서 모발처리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뮤콘산은, 3종의 이성질체 중, trans, trans형 뮤콘산을 이용하였다. 1.42g의 뮤콘산을 10g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암모니아수를 첨가해서 pH를 4.2로 하였다. 또한, 80℃까지 가열하고, 뮤콘산이 용해된 것을 확인한 후, 시스테아민 0.77g을 첨가하고, 혼합하면서 비등할 때까지(100℃까지) 가열하고, 비등 상태(100℃)를 3분간 유지해서 복합체를 얻었다. 가온을 중지시키고, 상온이 될 때까지 방치하여, 용해되어 남은 것이 없는 것을 확인한 후에, 암모니아수로 pH 7.0 부근으로 조정하고, 정제수를 첨가해서, 뮤콘산 및 시스테아민의 최종농도가 10질량%가 되도록 조제하였다.
실험예 20으로서, 뮤콘산 및 시스테아민을 함유하는 모발처리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뮤콘산은, 3종의 이성질체 중, trans, trans형 뮤콘산을 이용하였다. 1.42g의 뮤콘산을 10g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암모니아수를 첨가해서 pH를 9.0으로 하였다. 또한, 80℃까지 가열하고, 뮤콘산이 용해된 것을 확인한 후, 시스테아민 0.77g을 첨가하고, 혼합하면서 비등할 때까지(100℃까지) 가열하고, 비등 상태(100℃)를 3분간 유지하였다. 가온을 중지시키고, 상온이 될 때까지 방치하여, 용해되어 남은 것이 없는 것을 확인한 후에, 암모니아수로 pH 7.0 부근으로 조정하고, 정제수를 첨가해서, 뮤콘산 및 시스테아민의 최종농도가 10질량%가 되도록 조제하였다.
실험예 19 및 20의 조성물을 이용해서, 인간의 건강한 정상모에 대한 헤어 트리트먼트 효과를 검증하였다. 인간의 건강한 정상모 또는 표백모 30가닥 내지 40가닥(평균 길이 25㎝)을 한 다발로 해서, 실험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을, 다이카복실산 및 티올류의 농도가 0.5질량%가 되도록 희석한 액체(pH 7)에 3분간 침지시키고, 여분의 수분을 닦아냈다. 모발을 15㎜의 열 로드에 간극 없게 둘러 감고, 모발 표면이 60℃가 되도록 10분간 가온시키고, 더욱 1분 방치해서 열 로드를 식힌 후에 모발을 열 로드로부터 떼어내었다. 모발은, 40℃의 샴푸 수용액에 10초 담그고, 그 후 40℃의 유수로 10초 헹구고 나서 타월로 수분을 닦아내고, 컬 형성률을 산출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8에 나타낸다. 실험예 19와 실험예 20의 효과를 비교하면, 실험예 19의 쪽이 컬의 지속성이 높았다. 따라서, 산성 영역에서의 혼합에 의해서 얻어진 복합체가, 보다 높은 헤어 트리트먼트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나타났다.
13. 본 발명의 모발처리용 조성물의 평가(12)
실험예 21로서, 시스테아민 및 뮤콘산을 2:1의 몰비로 혼합해서 모발처리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뮤콘산은, 3종의 이성질체 중, trans, trans형 뮤콘산을 이용하였다. 1.42g의 뮤콘산을 10g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암모니아수를 첨가해서 용해시켰다. 80℃까지 가열하고, 뮤콘산이 용해된 것을 확인한 후, 시스테아민 염산염 2.27g을 첨가하고, 혼합하면서 비등할 때까지(100℃까지) 가열하고, 비등 상태(100℃)를 1시간 유지하고, 뮤콘산과 시스테아민을 반응시켰다. 가온을 중지하고, 상온이 될 때까지 방치하여, 용해되어 남은 것이 없는 것을 확인한 후에, 암모니아수로 pH 7.0 부근으로 조정하고, 정제수를 첨가해서, 뮤콘산 및 시스테아민의 최종농도가 10질량%가 되도록 조제하였다.
실험예 22는, 뮤콘산과 시스테아민의 반응 시간을 6시간으로 한 이외에는, 실험예 21과 동일 조건으로 제조하였다. 실험예 23은, trans, trans형 뮤콘산 대신에 cis, cis형 뮤콘산을 이용한 이외에는 실험예 21과 동일 조건으로 제조하였다. 실험예 24는, trans, trans형 뮤콘산 대신에 cis, cis형 뮤콘산을 이용한 이외에는 실험예 22와 동일 조건으로 제조하였다.
실험예 25는, 시스테아민 및 뮤콘산을 3:1의 몰비로 혼합해서 얻어진 모발처리용 조성물이고, 1.42g의 cis, cis형 뮤콘산에 대해서, 시스테아민 염산염 3.40g을 첨가한 이외에는, 실험예 24와 동일 조건으로 제조하였다. 실험예 26은, 시스테아민 및 뮤콘산을 1:1의 몰비로 혼합해서 얻어진 모발처리용 조성물이고, 1.42g의 cis, cis형 뮤콘산에 대해서, 시스테아민 염산염 1.13g을 첨가한 이외에는, 실험예 24와 동일 조건으로 제조하였다. 실험예 27은, 시스테아민 및 뮤콘산을 1:2의 몰비로 혼합해서 얻어진 모발처리용 조성물이고, 1.42g의 cis, cis형 뮤콘산에 대해서, 시스테아민 염산염 0.57g을 첨가한 이외에는, 실험예 24와 동일 조건으로 제조하였다.
실험예 21 내지 27의 조성물을 이용해서, "12."와 같은 방법으로, 인간의 건강한 정상모에 대한 헤어 트리트먼트 효과를 검증하였다. 각 실험예의 제조 조건 및 컬 형성률을 표 19에 나타낸다. 어느 쪽의 이성질체의 뮤콘산을 이용한 실험예라도 양호한 헤어 트리트먼트 효과가 얻어졌지만, trans, trans-뮤콘산을 이용한 경우에는, 짧은 반응 시간이어도 높은 효과를 발휘하는 복합체가 얻어지는 것을 나타내었다. 또, 시스테아민:뮤콘산을 1:1 내지 3:1의 몰비로 혼합한 경우에, 높은 효과를 발휘하는 복합체가 얻어졌다. 그러나, 3:1의 몰비로 혼합한 실험예 25를 사용한 경우, 모발 상에 티올에 유래하는 악취가 남고, 실험예 25에서 처리한 모발의 감촉은 실험예 24 또는 실험 26과 비교해서, 다소 나빴다.

Claims (20)

  1. 다이카복실산과 티올류로 이루어진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모발처리용 조성물로서,
    상기 다이카복실산이, 탄소수 6 내지 탄소수 10의 다이카복실산 및 화장품으로서 허용 가능한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복수종이고,
    상기 티올류가 아미노티올류 및 화장품으로서 허용 가능한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복수종인, 모발처리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카복실산이, 아디프산, 피멜산, 수베르산, 아젤라산, 헥센2산, 헵텐2산, 옥텐2산, 뮤콘산 및 화장품으로서 허용 가능한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복수종인, 모발처리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티올류가, 시스테아민, 시스테인, 아미디노시스테인, 아미노티오페놀, 머캅토피리딘, 호모시스테인, 아미노운데칸티올 및 화장품으로서 허용 가능한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복수종인, 모발처리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카복실산이 아디프산, 옥텐2산, 뮤콘산 및 화장품으로서 허용 가능한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복수종인, 모발처리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카복실산이 뮤콘산 또는 화장품으로서 허용 가능한 이의 염이고, 상기 티올류가 시스테아민 또는 화장품으로서 허용 가능한 이의 염인, 모발처리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카복실산과 상기 티올류를, 티올류/다이카복실산=0.01 내지 100의 몰비로 반응시켜서 얻어진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모발처리용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몰비가 티올류/다이카복실산=1 이상인, 모발처리용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체가 상기 다이카복실산 및 상기 티올류를 고온하에서 혼합하는 혼합 단계에 의해서 얻어지는, 모발처리용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단계가 상기 다이카복실산 및 상기 티올류를 60 내지 100℃에서 혼합하는 혼합 단계인, 모발처리용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카복실산 및 상기 티올류를 고온하에서 혼합하는 혼합 단계를 적어도 포함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서 얻어지는, 모발처리용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단계가 상기 다이카복실산 및 상기 티올류를 60 내지 100℃에서 혼합하는 혼합 단계인, 모발처리용 조성물.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단계가 상기 다이카복실산, 상기 티올류, 이들의 용매 및 pH 조정제 이외의 작용 성분이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환경에서 혼합하는, 모발처리용 조성물.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카복실산, 상기 티올류 및 상기 복합체 이외의 작용 성분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모발처리용 조성물.
  14.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모발처리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축모교정제, 염색 또는 탈색 시의 머릿결 개선제, 웨이브 파마 또는 스트레이트 파마 시의 머릿결 개선제, 샴푸제, 헤어 트리트먼트제, 및/또는 정발제.
  15. 제14항에 있어서,
    웨이브 파마 또는 스트레이트 파마용 제1제 또는 제2제가 아닌, 웨이브 파마 또는 스트레이트 파마 시의 머릿결 개선제.
  16. 모발처리방법으로서,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모발처리용 조성물을 모발에 도포하는 도포 단계; 및
    상기 도포 단계 후에, 모발을 가온시키는 가온 단계
    를 적어도 포함하는, 모발처리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가온 단계는, 모발의 표면온도가 40 내지 180℃가 되도록 가온시키는 단계인, 모발처리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가온 단계가, 모발의 표면온도가 40 내지 60℃가 되도록 가온시키는 단계인, 모발처리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처리용 조성물을, 웨이브 파마 또는 스트레이트 파마용 제1제 또는 제2제로서 모발에 도포하는 방법을 제외하는, 모발처리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처리방법이, 축모교정, 염색 및 탈색 시의 머릿결 개선, 웨이브 파마 및 스트레이트 파마 시의 머릿결 개선, 샴푸 및 헤어 트리트먼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복수를 목적으로 하는, 모발처리방법.
KR1020237033664A 2021-03-31 2022-03-31 모발처리용 조성물 및 모발처리방법 KR202301652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59023 2021-03-31
JP2021059023 2021-03-31
PCT/JP2022/016376 WO2022210997A1 (ja) 2021-03-31 2022-03-31 毛髪処理用組成物、及び毛髪処理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5240A true KR20230165240A (ko) 2023-12-05

Family

ID=83459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3664A KR20230165240A (ko) 2021-03-31 2022-03-31 모발처리용 조성물 및 모발처리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156701A1 (ko)
EP (1) EP4316601A1 (ko)
JP (2) JP7232484B2 (ko)
KR (1) KR20230165240A (ko)
CN (1) CN117120023A (ko)
WO (1) WO2022210997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11771A1 (en) 2004-07-30 2006-02-02 Korea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 Self-molding permanent agent and method for proceeding free-rod and free-band type permanent
JP5112836B2 (ja) 2007-12-06 2013-01-09 花王株式会社 毛髪形状制御剤第1剤
WO2018191362A1 (en) 2017-04-12 2018-10-18 Coty Inc. Method for treating hair, kit, and use of the ki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985B1 (ko) 2004-07-30 2007-02-20 한국화학연구원 자가조형성 퍼머제
JP5033488B2 (ja) * 2006-06-07 2012-09-26 花王株式会社 毛髪形状制御剤第1剤
JP2009256289A (ja) * 2008-04-21 2009-11-05 Hoyu Co Ltd パーマネントウェーブ用又は縮毛矯正用後処理剤組成物
FR3009785A1 (fr) * 2013-08-22 2015-02-27 Marcel Georges Cohen Composition cosmetique de lissage, ensemble et utilisation associes.
US11110041B2 (en) * 2015-09-08 2021-09-07 Kao Germany Gmbh Process for permanent shaping hai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11771A1 (en) 2004-07-30 2006-02-02 Korea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 Self-molding permanent agent and method for proceeding free-rod and free-band type permanent
JP5112836B2 (ja) 2007-12-06 2013-01-09 花王株式会社 毛髪形状制御剤第1剤
WO2018191362A1 (en) 2017-04-12 2018-10-18 Coty Inc. Method for treating hair, kit, and use of the k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156701A1 (en) 2024-05-16
JP2022176370A (ja) 2022-11-25
WO2022210997A1 (ja) 2022-10-06
JP2022159183A (ja) 2022-10-17
EP4316601A1 (en) 2024-02-07
CN117120023A (zh) 2023-11-24
JP7232484B2 (ja) 2023-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92729B2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hair straightening
EP2561855A2 (en) Method for chemically modifying the internal region of a hair shaft
CN106999382B (zh) 毛发变形处理剂
JP2605235B2 (ja) ケラチン繊維類を一時的に成形するためのグアガムを含有する化粧品組成物
TWI802784B (zh) 毛髮處理方法
JP5875303B2 (ja) 毛髪用化粧料
KR20230165240A (ko) 모발처리용 조성물 및 모발처리방법
JPS62132813A (ja) 毛髪処理用薬剤及び毛髪処理方法
TWI705829B (zh) 捲髮矯正處理或燙髮處理之毛髮成形處理方法、及毛髮成形處理用毛髮處理液
JP2017014175A (ja) 毛髪前処理方法及び毛髪前処理剤
JP7285494B2 (ja) 頭髪化粧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髪質を改良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髪型を形成するための方法
JP7277913B2 (ja) 毛髪変形剤第1剤、および毛髪変形方法
JP2023074329A (ja) 毛髪処理剤、毛髪変形剤セット、および毛髪変形処理方法
JP2022178704A (ja) 毛髪化粧料組成物
WO2008156459A1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hair straightening
JP2009120543A (ja) 縮毛矯正施術方法
JP4648492B1 (ja) パーマネントの処理方法
KR100691867B1 (ko) 퍼머액 및 이를 이용한 퍼머방법
JP2022015879A (ja) 毛髪処理方法
JP2023070502A (ja) 毛髪変形用組成物及び毛髪処理方法
JP2021059517A (ja) 毛髪化粧料、および毛髪処理方法
JP2023133043A (ja) 炭酸アルキレン・チオグリコール酸グリセリル混合液ならびに、酸性縮毛矯正用第1剤、酸性パーマネントウェーブ用第1剤、又は酸性加熱式パーマネントウェーブ用第1剤
KR20050027842A (ko) 퍼머액 및 이를 이용한 퍼머방법
KR20110109020A (ko)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