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4903A - 가로등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가로등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4903A
KR20230164903A KR1020220064621A KR20220064621A KR20230164903A KR 20230164903 A KR20230164903 A KR 20230164903A KR 1020220064621 A KR1020220064621 A KR 1020220064621A KR 20220064621 A KR20220064621 A KR 20220064621A KR 20230164903 A KR20230164903 A KR 20230164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lluminance
sensor
streetlight
movement
street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4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윤수
정태민
양재승
조웅현
엄주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토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토,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토
Priority to KR1020220064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4903A/ko
Publication of KR20230164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49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21S8/08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with lighting device mounted on top of the standard, e.g. for pedestrian zon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brightness or colour temperature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6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following a pre-assigned programmed sequence; Logic control [L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제어 장치는, 복수개로 배치되는 가로등을 제어하는 가로등 제어 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가로등에 설치되어 보행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1 센서 내지 제3 센서를 구비하는 동작 센서부; 상기 제1 센서 내지 제3 센서의 연속적인 감지 결과에 따라 보행자의 이동 방향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된 보행자의 이동 방향으로 이웃하는 가로등의 조도를 예비 조도로 변경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로등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Street light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가로등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로등은 도로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도로를 통행하는 사람 또는 차마의 안전한 이동을 위해 빛을 조사하는 수단이다.
일반적으로는 센서를 사용하여 도로를 통행하는 움직임을 감지하여 빛을 비추도록 제어됨으로써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그러나,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는 경우 보행자의 이동 방향을 미리 예측하기 어렵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수의 가로등을 그룹핑하여 제어하는 경우 에너지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보행자의 이동 방향을 예측하여 조도를 차등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가로등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제어 장치는, 복수개로 배치되는 가로등을 제어하는 가로등 제어 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가로등에 설치되어 보행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1 센서 내지 제3 센서를 구비하는 동작 센서부; 상기 제1 센서 내지 제3 센서의 연속적인 감지 결과에 따라 보행자의 이동 방향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된 보행자의 이동 방향으로 이웃하는 가로등의 조도를 예비 조도로 변경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로등의 주변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기본 조도를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복수개의 상기 가로등 중에서 상기 제1 센서 내지 제3 센서를 통해 연속적인 감지가 수행된 가로등 및 상기 예비 조도로 변경된 가로등을 제외한 나머지 가로등에 대해, 상기 기본 조도로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센서 내지 상기 제3 센서는 상기 가로등과 이웃하는 지면의 일측 영역으로부터 타측 영역까지 순차적인 영역에서 감지 대상물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센서의 감지 영역과 상기 제2 센서의 감지 영역이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중첩되고, 상기 제2 센서의 감지 영역과 상기 제3 센서의 감지 영역이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중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3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센서에 의해 움직임이 감지되고,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다른 센서에 의해 움직임이 감지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보행자의 동선을 예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에 의해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가로등의 조도를 상기 기본 조도보다 높은 제1 조도로 변경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에 의해 움직임이 감지되고,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제2 센서에 의해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가로등의 조도를 상기 제1 조도보다 높은 제2 조도로 변경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센서에 의해 움직임이 감지되고,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제3 센서에 의해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가로등의 조도를 상기 제2 조도보다 낮은 제3 조도로 변경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작 센서부는 도플러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제어 방법은,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가로등 제어 장치를 사용하는 가로등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조도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주변 조도에 따라 설정되는 기본 조도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상기 가로등의 전체의 조도를 변경하는 단계; 복수개의 상기 가로등 중에서 제1 가로등의 상기 제1 센서 내지 제3 센서에 의한 연속적인 감지 결과에 따라 보행자의 이동 방향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보행자의 이동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2 가로등의 조도를 예비 조도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가로등의 상기 제1 센서 내지 제3 센서에 의한 연속적인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가로등의 조도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가로등의 조도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센서에 의해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제1 가로등의 조도를 제1 조도로 변경하는 단계; 상기 제1 조도로 변경된 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제2 센서에 의해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제1 가로등의 조도를 제1 조도보다 높은 제2 조도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조도로 변경된 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제3 센서에 의해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제1 가로등의 조도를 제2 조도보다 낮은 제3 조도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가로등에 3개의 센서를 구비하여 보행자의 이동 방향을 예측하여 가로등의 개별적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조도 센서를 통해 주변의 조도에 따라 가로등의 기본 밝기를 조절하기 때문에 에너지 저감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제어 장치의 제1 센서 내지 제3 센서의 감지 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제어 장치의 각 구성요소들 사이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날씨에 따른 주변 조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가로등 제어 장치를 이용한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기재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또는 '결합'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또는 '결합'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제어 장치의 제1 센서 내지 제3 센서의 감지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제어 장치의 각 구성요소들 사이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3은 날씨에 따른 주변 조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가로등 제어 장치를 이용한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제어 장치는, 보행자의 이동 방향을 예측하여 각각의 가로등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동작 센서부(110), 조도 센서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가로등은 복수개로 구비되어 도로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가로등은 지면으로부터 기둥 형태의 본체(20)를 갖고 연장되어, 상단부에 빛을 방출하는 발광부(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복수개의 가로등 중에서 어느 하나를 제1 가로등(1a)으로 설명할 수 있고, 이와 이웃하는 다른 하나를 제2 가로등(1b), 제2 가로등(1b)과 이웃한 또 다른 가로등을 제3 가로등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가로등의 조도를 제어함은 발광부(10)의 조도를 제어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로등에는 보행자 또는 차량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복수개의 센서를 포함하는 동작 센서부(110)가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동작 센서부(110)는 도플러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플러 센서는 대상물의 이동 속도에 따른 주파수를 감지하기 때문에 보행자의 이동을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거리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 등 감지 대상물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공지된 다양한 감지 수단이 사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동작 센서부(110)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예시적으로 제1 센서(111), 제2 센서(112), 제3 센서(113)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센서부(110)는 복수개의 가로등 전체에 대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가로등 중에서 제1 가로등(1a)에 제1 센서(111) 내지 제3 센서(113)가 구비될 수 있고, 제1 가로등(1a)과 이웃한 제2 가로등(1b)에도 제1 센서(111) 내지 제3 센서(113)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기본적으로 어느 하나의 가로등(예컨대 제1 가로등(1a))에 설치된 제1 센서(111) 내지 제3 센서(113)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1 센서(111) 내지 상기 제3 센서(113)는 상기 가로등과 이웃하는 지면의 일측 영역으로부터 타측 영역까지 순차적인 영역에서 보행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1 센서(111)는 가로등과 이웃하는 지면의 어느 일측 영역(예컨대 도 1의 A 영역)에서의 보행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도록 가로등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센서(111)는 후술하는 제2 센서(112)보다 상대적으로 원거리 영역에서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제2 센서(112)는 제1 센서(111)의 감지 영역과 인접하고 상대적으로 가로등과 가까운 영역(예컨대 도 1의 B영역)에 대해 보행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도록 가로등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센서(112)는 제1 센서(111) 또는 제3 센서(113)보다 상대적으로 근거리 영역에서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제3 센서(113)는 제2 센서(112)의 감지 영역과 인접하고, 가로등과 이웃하는 지면의 어느 타측 영역(예컨대 도 1의 C영역)에서의 보행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도록 가로등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제3 센서(113)는 제2 센서(112)보다 가로등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원거리 영역에서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센서(111)의 감지 영역과 상기 제2 센서(112)의 감지 영역이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중첩될 수 있다. 또한 제2 센서(112)의 감지 영역과 상기 제3 센서(113)의 감지 영역이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중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가로등에 서로 다른 영역에 대한 보행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3개의 동작 센서를 구비하여, 3개의 동작 센서의 연속적인 감지 결과에 따라 보행자의 이동 방향에 대한 예측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조도 센서는 가로등의 일측에 설치되어 가로등 주변의 조도를 감지할 수 있다. 조도 센서는 복수개의 가로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로등에 설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가로등 중 2이상에 설치되는 경우 각 감지 값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주변 조도를 판단할 수도 있다.
기후 상황이나 주변 조명등의 상황에 따라 가로등 주변의 조도가 달라질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현재의 주변 조도가 감지될 수 있다. 또한 감지된 주변 조도에 따라 가로등의 기본 조도가 설정될 수 있고, 제어부(130)는 동작 센서부(110)에 의해 보행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가로등의 조도를 설정된 기본 조도로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조도 센서부(120) 및 동작 센서부(110)의 감지 결과에 따라 가로등의 조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가로등의 조도를 조도 센서부(120)에 의해 감지된 주변 조도에 따라 설정된 기본 조도로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본 조도는 가로등이 점등된 상태에서, 보행자의 움직임에 따른 제어가 없는 상태에서의 기본적인 조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본 조도는 가로등의 광원부에서 조사될 수 있는 최대 조도보다 낮은 조도로 설정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기본 조도는 가로등의 광원부에서 조사될 수 있는 최대 조도 대비 20% 내지 40%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별빛이나 달빛이 없는 어두운 밤은 0.0001 lux 정도로 주변 조도가 낮고, 보름달이나 맑은날 밤은 01~100 lux 정도로 상대적으로 주변 조도가 높다. 또한 주변의 건물 조명등에 의해 주변 조도가 차이가 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주변의 조도를 반영하여, 날씨 등의 영향으로 주변 조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날에는 기본 조도가 상대적으로 높게(예컨대 최대 조도 대비 약 40%) 설정될 수 있고, 주변 조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날에서는 기본 조도가 상대적으로 낮게(예컨대 최대 조도 대비 약 20%)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조도 센서부(120)의 감지 결과에 의해 기본 조도가 설정되면, 가로등의 조도를 설정된 기본 조도로 변경함으로써, 최대 조도 대비 낮은 조도를 갖도록 제어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로등의 조도가 기본 조도로 변경 제어되는 상태에서, 제어부(130)는 동작 센서부(110)의 감지 결과에 따라 보행자의 이동 방향을 판단하여 가로등의 조도를 차등적으로 변경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제1 센서(111) 내지 제3 센서(113)의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보행자의 이동 방향(동선)을 예측하고, 예측된 이동 방향에 따라 가로등의 조도를 차등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보행자의 심리적 안정감을 높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제1 가로등(1a)의 제1 센서(111) 내지 제3 센서(113) 중 어느 2이상의 센서로부터 연속적인 움직임 감지 결과가 발생되면, 제1 센서(111)의 감지 영역인 가로등의 일측 영역으로부터 제3 센서(113)의 감지 영역인 가로등의 타측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보행자의 이동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제1 내지 상기 제3 센서(113) 중 어느 하나의 센서에 의해 움직임이 감지되고,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다른 센서에 의해 움직임이 감지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보행자의 동선을 판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가로등(1a)의 제1 센서(111) 내지 제3 센서(113)의 연속적인 감지 결과에 따라 보행자의 이동 방향을 판단하고, 판단된 이동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2 가로등(1b)의 조도를 예비 조도로 미리 변경할 수 있다. 예비 조도는 기본 조도보다 높고 후술하는 제1 조도 보다 낮은 범위에서 기 설정된 조도일 수 있다.
한편, 제1 가로등(1a)의 제1 센서(111)를 통해 보행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제어부(130)는 제1 가로등(1a)의 조도를 제1 조도로 변경할 수 있다. 제1 조도는 상술한 기본 조도보다 높은 조도일 수 있다. 이때 제1 가로등(1a)을 제외한 다른 가로등에서 보행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았다면 다른 가로등의 조도는 기본 조도가 유지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가로등(1a)의 제1 센서(111) 이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2 센서(112)를 통해 보행자의 움직임이 연속적으로 감지되면, 제어부(130)는 보행자의 이동 방향이 제1 가로등(1a)의 일측 영역으로부터 제1 가로등(1a)을 향하는 방향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제1 가로등(1a)의 조도를 제1 조도로부터 제2 조도로 변경할 수 있다. 제2 조도는 제1 조도보다 높은 조도일 수 있다.
제1 가로등(1a)의 제2 센서(112) 이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3 센서(113)를 통해 보행자의 움직임이 연속적으로 감지되면, 제어부(130)는 보행자의 이동 방향이 제1 가로등(1a)으로부터 멀어지는 타측 방향을 향하는 방향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제1 가로등(1a)의 조도를 제3 조도로 변경할 수 있다. 제3 조도는 제2 조도보다 낮은 조도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제1 센서(111) 내지 제3 센서(113)를 통한 연속적인 움직임 감지 결과에 따라 보행자의 이동 방향을 가로등의 일측 영역으로부터 타측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판단하고, 해당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2 가로등(1b)의 조도를 예비 조도로 미리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130)는 복수개의 상기 가로등 중에서 상기 제1 센서(111) 내지 제3 센서(113)를 통해 연속적인 감지가 수행된 가로등 및 상기 예비 조도로 변경된 가로등을 제외한 나머지 가로등에 대해, 상기 기본 조도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보행자의 도달 전 다음 가로등의 조도를 기본 조도보다 높지만 제1 조도보다는 낮은 예비 조도로 미리 변경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높이면서도 사용자 안정감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은 상술한 가로등 제어 장치를 이용한 가로등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제어 방법은, 조도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주변 조도에 따라 설정되는 기본 조도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상기 가로등의 전체의 조도를 변경하는 단계, 복수개의 상기 가로등 중에서 제1 가로등(1a)의 상기 제1 센서(111) 내지 제3 센서(113)에 의한 연속적인 감지 결과에 따라 보행자의 이동 방향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보행자의 이동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2 가로등(1b)의 조도를 예비 조도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가로등(1a)의 상기 제1 센서(111) 내지 제3 센서(113)에 의한 연속적인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가로등(1a)의 조도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가로등(1a)의 조도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센서(111)에 의해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제1 가로등(1a)의 조도를 제1 조도로 변경하는 단계, 상기 제1 조도로 변경된 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제2 센서(112)에 의해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제1 가로등(1a)의 조도를 제1 조도보다 높은 제2 조도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조도로 변경된 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제3 센서(113)에 의해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제1 가로등(1a)의 조도를 제2 조도보다 낮은 제3 조도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2 가로등(1b)의 조도로 예비 조도로 변경된 상태에서, 제2 가로등(1b)의 제1 센서(111)에 의해 움직임이 감지되면 제2 가로등(1b)의 조도가 상술한 제1 조도로 변경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제1 가로등(1a) 및 제2 가로등(1b)이 동작 센서부(110)의 감지 결과에 따라 조도가 변경 제어되는 동안 다른 가로등에 대해서는 기본 조도로 제어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가로등에 3개의 센서를 구비하여 보행자의 이동 방향을 예측하여 가로등의 개별적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조도 센서를 통해 주변의 조도에 따라 가로등의 기본 밝기를 조절하기 때문에 에너지 저감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가로등
1a: 제1 가로등
1b: 제2 가로등
10: 발광부
20: 본체
110: 동작 센서부
111: 제1 센서
112: 제2 센서
113: 제3 센서
120: 조도 센서부
130: 제어부

Claims (12)

  1. 복수개로 배치되는 가로등을 제어하는 가로등 제어 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가로등에 설치되어 보행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1 센서 내지 제3 센서를 구비하는 동작 센서부;
    상기 제1 센서 내지 제3 센서의 연속적인 감지 결과에 따라 보행자의 이동 방향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된 보행자의 이동 방향으로 이웃하는 가로등의 조도를 예비 조도로 변경 제어하는 가로등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등의 주변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기본 조도를 설정하는 가로등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개의 상기 가로등 중에서 상기 제1 센서 내지 제3 센서를 통해 연속적인 감지가 수행된 가로등 및 상기 예비 조도로 변경된 가로등을 제외한 나머지 가로등에 대해, 상기 기본 조도로 제어하는 가로등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 내지 상기 제3 센서는 상기 가로등과 이웃하는 지면의 일측 영역으로부터 타측 영역까지 순차적인 영역에서 감지 대상물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가로등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의 감지 영역과 상기 제2 센서의 감지 영역이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중첩되고, 상기 제2 센서의 감지 영역과 상기 제3 센서의 감지 영역이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중첩되는 가로등 제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3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센서에 의해 움직임이 감지되고,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다른 센서에 의해 움직임이 감지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보행자의 동선을 예측하는 가로등 제어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에 의해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가로등의 조도를 상기 기본 조도보다 높은 제1 조도로 변경 제어하는 가로등 제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에 의해 움직임이 감지되고,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제2 센서에 의해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가로등의 조도를 상기 제1 조도보다 높은 제2 조도로 변경 제어하는 가로등 제어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센서에 의해 움직임이 감지되고,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제3 센서에 의해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가로등의 조도를 상기 제2 조도보다 낮은 제3 조도로 변경 제어하는 가로등 제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센서부는 도플러 센서를 포함하는 가로등 제어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가로등 제어 장치를 사용하는 가로등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조도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주변 조도에 따라 설정되는 기본 조도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상기 가로등의 전체의 조도를 변경하는 단계;
    복수개의 상기 가로등 중에서 제1 가로등의 상기 제1 센서 내지 제3 센서에 의한 연속적인 감지 결과에 따라 보행자의 이동 방향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보행자의 이동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2 가로등의 조도를 예비 조도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로등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로등의 상기 제1 센서 내지 제3 센서에 의한 연속적인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가로등의 조도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가로등의 조도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센서에 의해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제1 가로등의 조도를 제1 조도로 변경하는 단계;
    상기 제1 조도로 변경된 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제2 센서에 의해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제1 가로등의 조도를 제1 조도보다 높은 제2 조도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조도로 변경된 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제3 센서에 의해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제1 가로등의 조도를 제2 조도보다 낮은 제3 조도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로등 제어 방법.

KR1020220064621A 2022-05-26 2022-05-26 가로등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1649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4621A KR20230164903A (ko) 2022-05-26 2022-05-26 가로등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4621A KR20230164903A (ko) 2022-05-26 2022-05-26 가로등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4903A true KR20230164903A (ko) 2023-12-05

Family

ID=89157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4621A KR20230164903A (ko) 2022-05-26 2022-05-26 가로등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490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74926B2 (en) Street lighting control, method, device and system
US9854645B2 (en) Intelligent and coordinated lighting of a lighting device
AU2007295183B2 (en) Control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ublic illumination
KR101001276B1 (ko) 무선 조명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ES2670410T3 (es) Dispositivo de iluminación y sistema de iluminación
KR101437541B1 (ko) 연동제어를 통한 지하 주차장의 지능형 엘이디 조명등 제어시스템
GB2470926A (en) Lighting system with sensor controlled illumination groups
JP2012226993A (ja) 照明システム
WO2018221849A2 (ko) 가로등 제어 시스템
KR102231298B1 (ko) 스마트 횡단보도 등기구
KR20180119266A (ko) 스마트 신호등 제어장치
KR20180051007A (ko) 스마트 가로등 시스템
KR200258569Y1 (ko) 교통자료에 따른 가로등 및 조명등 제어장치
JP2012174663A (ja) 調光照明装置および調光照明システム
KR101275498B1 (ko) 모션인식 조명등
JP6080547B2 (ja) 照明制御装置および照明制御システム
KR101184624B1 (ko) 디밍 기능을 갖는 횡단보도용 엘이디 투광등
CN103037562B (zh) 智能灯光系统及其控制方法
KR20230164903A (ko) 가로등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270126B1 (ko) 횡단보도용 조명 제어장치 및 과속 단속시스템
KR20150000101A (ko) Led 조명 제어 시스템
KR20150000098A (ko) Led 조명 제어 시스템
KR20140022324A (ko) 보행자를 위한 횡단보도 조명 장치
KR101200247B1 (ko) 복합센서를 구비한 조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명시스템
KR102450754B1 (ko) 차선간 차량 유무 인지가 가능한 가로등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