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2772A - 몰드 제조 방법, 광학 부재의 제조 방법 및 안경 렌즈 - Google Patents

몰드 제조 방법, 광학 부재의 제조 방법 및 안경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2772A
KR20230162772A KR1020237023659A KR20237023659A KR20230162772A KR 20230162772 A KR20230162772 A KR 20230162772A KR 1020237023659 A KR1020237023659 A KR 1020237023659A KR 20237023659 A KR20237023659 A KR 20237023659A KR 20230162772 A KR20230162772 A KR 20230162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ocus
mold
manufacturing
concave portion
spectacle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3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게키 오오쿠보
다카코 이시자키
Original Assignee
호야 렌즈 타일랜드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야 렌즈 타일랜드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호야 렌즈 타일랜드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62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277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8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 manufacturing proces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22Ophthalmic lenses having special refractive features achieved by special materials or material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6Remov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8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 manufacturing process
    • B29C33/3842Manufacturing moulds, e.g. shaping the mould surface by machi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oulding surface, e.g. ribs or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oulding surface, e.g. ribs or grooves
    • B29C33/424Moulding surfaces provided with means for marking or patter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39/26Moulds or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28Bifocal lenses; Multifocal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317Production of lenses with markings or patterns
    • B29D11/00326Production of lenses with markings or patterns having particular surface properties, e.g. a micro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317Production of lenses with markings or patterns
    • B29D11/00326Production of lenses with markings or patterns having particular surface properties, e.g. a micropattern
    • B29D11/00336Production of lenses with markings or patterns having particular surface properties, e.g. a micropattern by making depressions in the lens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355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a refractive index grad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8Moulds for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932Combined cutting and grinding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09/00Use of inorganic materia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9K2803/00 - B29K2807/00, as mould material
    • B29K2909/08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8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fluorescent or phosphorescent
    • B29K2995/0031Refra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11/00Optical elements, e.g. lenses, prisms
    • B29L2011/0016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2/00Generic opt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subgroups of G02C7/00
    • G02C2202/24Myopia progression preven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적어도 일방의 광학면에 볼록 모양의 디포커스부를 가지는 광학 부재를 제조하기 위한 성형 몰드로서, 유리재에 의해서 형성된 유리 몰드를 준비하는 공정(S11)과, 상기 유리 몰드에 있어서의 상기 광학면의 형성면에 단펄스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상기 디포커스부에 대응하는 오목 형상부를 형성하는 공정(S12)을 구비하는 몰드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몰드 제조 방법, 광학 부재의 제조 방법 및 안경 렌즈
본 발명은 몰드 제조 방법, 광학 부재의 제조 방법 및 안경 렌즈에 관한 것이다.
근래, 근시 등의 굴절 이상의 진행을 억제하는 안경 렌즈로서, 물체측의 광학면에 볼록 모양의 디포커스부가 형성된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안경 렌즈는, 수지 재료의 성형에 의해서 제조되지만, 그 때에 금속제의 성형형(금형)을 이용하여 성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미국 출원 공개 제2017/0131567호 국제 공개 제2019/124354호
안경 렌즈의 성형형은, 안경 렌즈의 제조 코스트를 고려하면, 광학면이 복잡한 형상의 경우라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경 렌즈를 구성하는 수지 재료에는 굴절률의 차이 등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것이 존재하지만, 어느 종류라도 적절하게 성형 가능한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복잡한 형상이어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또한 다양한 종류의 수지 재료에 대응 가능한 성형 몰드를 제조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적어도 일방의 광학면에 볼록 모양의 디포커스부를 가지는 광학 부재를 제조하기 위한 성형 몰드로서, 유리재에 의해서 형성된 유리 몰드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유리 몰드에 있어서의 상기 광학면의 형성면에 단(短)펄스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상기 디포커스부에 대응하는 오목 형상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몰드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하나의 상기 오목 형상부를 상기 단펄스 레이저광의 복수 쇼트에 의해서 형성함과 아울러, 각 쇼트의 오버랩에 의해 상기 오목 형상부의 형성 깊이를 제어하는 제1 양태에 기재된 몰드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3 양태는,
상기 오목 형상부의 외연(外緣)측으로부터 중심측을 향하여 각 쇼트의 오버랩량이 증대하도록, 상기 오버랩량을 변화시키면서 상기 복수 쇼트의 조사를 행하는 제2 양태에 기재된 몰드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4 양태는,
상기 단펄스 레이저광의 조사 후의 상기 오목 형상부에 연마 가공을 행하여 상기 오목 형상부의 면 형상을 다듬는 공정을 구비하는 제1 내지 제3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기재된 몰드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5 양태는,
제1 내지 제4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기재된 광학 부재의 몰드 제조 방법으로 얻어지는 성형 몰드를 이용하여 수지 재료를 성형하고, 적어도 일방의 광학면에 디포커스부를 가지는 광학 부재를 제조하는 광학 부재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6 양태는,
상기 수지 재료로서, 굴절률 1.40 이상의 재료를 이용하는 제5 양태에 기재된 광학 부재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7 양태는,
상기 광학 부재로서, 투과광이 눈 내의 소정 위치에서 초점을 맺도록 형성된 베이스 영역과, 상기 디포커스부에 의해서 상기 투과광이 상기 소정 위치로부터 디포커스한 위치에서 초점을 맺도록 형성된 디포커스 영역을 가지는 안경 렌즈를 제조하는 제5 양태 또는 제6 양태에 기재된 광학 부재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8 양태는,
물체측과 안구측에 각각 광학면을 가지는 안경 렌즈로서,
상기 광학면의 적어도 일방에, 디포커스부가 형성된 디포커스 영역과, 상기 디포커스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베이스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디포커스부는 복수 개소에 형성되고,
상기 디포커스부가 X회의 회전 대칭의 형상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디포커스부의 배치가 Y회의 회전 대칭일 때, X와 Y가 모두 3의 배수이거나, 또는, X와 Y가 모두 4의 배수인 안경 렌즈이다.
본 발명의 제9 양태는,
상기 안경 렌즈를 투과하는 광선이 상기 베이스 영역에 의해서 초점을 맺는 위치와, 상기 안경 렌즈를 투과하는 광선이 상기 디포커스부에 의해서 초점을 맺는 위치가, 서로 다르도록 구성된 제8 양태에 기재된 안경 렌즈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잡한 형상이어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또한 다양한 종류의 수지 재료에 대응 가능한 성형 몰드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안경 렌즈의 주요부 구성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안경 렌즈에 있어서의 디포커스부의 배치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제1예)로서, 6회 대칭 배치의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안경 렌즈에 있어서의 디포커스부의 배치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제2예)로서, 4회 대칭 배치의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몰드 제조 방법의 절차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몰드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단펄스 레이저광의 복수 쇼트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광학 부재가 안경 렌즈인 경우를 예로 들어, 이하의 설명을 행한다.
(1) 안경 렌즈의 구성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안경 렌즈의 주요부 구성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안경 렌즈(1)는, 광학면으로서, 물체측의 면(2)과 안구측의 면(3)을 가진다. 물체측의 면(2)은, 안경 렌즈(1)를 구비한 안경이 착용자에게 착용되었을 때에 물체측에 위치하는 표면이다. 안구측의 면(3)은, 그 반대, 즉 안경 렌즈(1)를 구비한 안경이 착용자에게 착용되었을 때에 안구측에 위치하는 표면이다.
물체측의 면(2)과 안구측의 면(3) 중 적어도 일방, 예를 들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물체측의 면(2)에는, 볼록 모양의 디포커스부(4)가 형성되어 있다. 즉, 안경 렌즈(1)는 적어도 일방의 광학면에 볼록 모양의 디포커스부(4)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안경 렌즈(1)는 디포커스부(4)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인 베이스 영역(5)과, 디포커스부(4)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인 디포커스 영역(6)을 구비하게 된다. 또한, 디포커스부(4)는 복수 개소에 형성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디포커스 영역(6)도 이산적으로 복수 개소에 존재하게 된다.
베이스 영역(5)은 착용자의 처방 굴절력을 실현 가능한 형상의 부분이다. 즉, 베이스 영역(5)은 안경 렌즈(1)를 투과하는 광선이 착용자의 눈 내의 소정 위치, 구체적으로는 착용자의 망막 상에 초점을 맺도록, 착용자의 처방 굴절력에 따른 소정의 곡률(커브)의 곡면에 의해서 구성된 영역 부분이다. 따라서, 베이스 영역(5)은 착용자의 처방 정보에 기초하여 설계된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해당 처방 정보, 또는 그것이 기록된 매체는, 안경 렌즈(1)와 연관지어 관리할 수 있다.
디포커스 영역(6)은 그 영역 중의 적어도 일부가 베이스 영역(5)에 의한 집광 위치에는 집광시키지 않는 영역이다. 즉, 디포커스 영역(6)은 안경 렌즈(1)를 투과하는 광선이 상기의 소정 위치로부터 디포커스한 위치, 즉 착용자의 망막 상과는 다른 위치에 초점을 맺도록, 디포커스부(4)에 의해서 구성된 영역 부분이다. 예를 들어, 디포커스부(4)에 양의 디포커스를 주어, 착용자의 망막보다도 앞쪽에 초점을 맺는 집광 스폿을 마련함으로써, 망막이 받는 자극을 컨트롤하여, 근시 진행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안경 렌즈(1)를 투과하는 광선이, 베이스 영역(5)의 형상에 의해서 초점을 맺는 위치와, 디포커스부(4)의 형상에 의해서 초점을 맺는 위치가 다르도록 구성한다. 예를 들어, 디포커스부(4)의 형상에 의해서 초점을 맺는 위치가, 베이스 영역(5)의 형상에 의해서 초점을 맺는 위치보다도, 앞쪽(물체측)으로 할 수 있다.
디포커스 영역(6)을 구성하는 디포커스부(4)는, 베이스 영역(5)의 구성면으로부터 물체측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돌출 표면이 베이스 영역(5)의 구성면과는 다른 곡률(커브)의 곡면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디포커스부(4)를 투과한 광은, 착용자의 망막 상과는 다른 위치에 초점을 맺게 된다. 따라서, 디포커스부(4)는 베이스 영역(5)과는 다른 굴절력을 가지는 광학 요소이다. 디포커스부(4)를 구성하는 곡면(즉, 디포커스부(4)의 돌출 표면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면(球面) 형상, 비구면 형상, 토릭면(toric面) 형상, 또는 그것들이 혼재한 형상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비구면 형상으로서는, 디포커스부(4)의 형상이, 회전 대칭성을 가지는 비구면이며, 구체적으로는 X회 대칭(X는 3 또는 4)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4회 대칭 이상의 회전 대칭의 비구면 형상을, 그 표면 형상에 실질적으로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이것들 중, 6회 대칭의 비구면, 또는 8회 대칭의 비구면의 형상이 바람직한 예로서 들 수 있다. 상한은, 12회 대칭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10회 대칭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포커스부(4)를 구성하는 면으로서는, 평면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되고, 다면체여도 된다. 예를 들어, 정12면체, 정40면체 등을 절반으로 분할한 형상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도 회전 대칭인 비구면 형상에 포함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실질적으로 상기한 형상이면 되고, 정점이나 능선 부분이 둥그스름한 모양이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디포커스부(4)가 구면 형상인 경우를 예시한다. 디포커스부(4)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지름은, 예를 들면, 0.6~2.0mm이며, 돌출 높이는, 예를 들면, 0.1~10㎛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안경 렌즈(1)의 광학면(본 실시 형태에서는 물체측이 되는 볼록면)에 있어서, 복수의 디포커스부(4)가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다만, 광학면 상의 배열 영역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디포커스부(4)가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으면, 광학면 상의 전면에 걸쳐서 디포커스부(4)가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광학면 상의 일부 영역에 부분적으로 디포커스부(4)가 배치되어 있어도 되며, 렌즈 중심에 디포커스부(4)가 형성되지 않는 영역을 마련하고, 이 영역을 둘러싸도록 원주(圓周) 모양의 영역 부분에 디포커스부(4)가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복수의 디포커스부(4)는, 각각이 독립한 섬 모양으로(즉, 서로 인접하지 않고 이간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각 디포커스부(4)는, 각각이 이산적으로(즉, 각각이 연속하지 않고, 뿔뿔이 흩어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다만, 여기에서는, 각 디포커스부(4) 모두가 독립한 섬 모양인 경우를 예시하지만, 반드시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이웃하는 디포커스부(4)의 외연끼리가 서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거나, 혹은 접하는 것을 포함하도록 각 디포커스부(4)가 배치된 영역을 마련해도 된다.
디포커스부(4)는, 상기 광학면 상에, 다수(예를 들면 200~600개 정도, 보다 구체적으로는 300~500개 정도) 마련할 수 있다. 이것들 중 적어도 일부가 규칙적으로 배치되는 경우, 그 배치는, Y회 대칭(Y는 3 또는 4의 배수)의 회전 대칭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치가 3회 대칭이라는 것은, 디포커스부(4)가 다수 배치된, 그 배치 상태가, 3회 회전 대칭인 것을 말한다.
또한, 개개의 디포커스부(4)의 형상과, 복수의 디포커스부(4)의 배치에는, 상관(相關)이 있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디포커스부(4)의 형상이 X회의 회전 대칭이며, 배치가 Y회의 회전 대칭일 때, X와 Y가 모두 3의 배수인 경우, 또는, X와 Y가 모두 4의 배수인 경우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X와 Y가 모두 6인 경우, 또는 모두 4인 경우가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관에 의한 규칙성이 충족되는 경우에는, 안경 렌즈(1)의 광학적인 작용에 이점이 있다. 즉, 착용자의 망막 상의 상에 흐릿함이 생기는 경우라도, 흐릿함이 생기는 쪽이 회전 대칭으로 되기 때문에, 착용자에게는 위화감이 생기기 어렵다. 규칙성이 없는 흐릿한 상은, 착용자에게 인식되기 쉽지만, 규칙성, 특히 회전 대칭성의 흐릿한 상은, 인식되기 어렵고, 착용자에 대한 불쾌감이나, 피로감을 일으키기 어렵다.
도 2 및 도 3은, 디포커스부의 배치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예를 들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회 대칭의 입체 형상(예를 들면 삼각형)을 가지는 디포커스부(4)(도면 중 A 참조)가, 3회 대칭(또는 6회 대칭)의 배치로 배열되는 경우는, 대칭성을 손상시키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한 양태이다. 6회 대칭의 입체 형상(예를 들면 육각형)을 가지는 디포커스부(4)(도면 중 B 참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다만, 4회 대칭의 입체 형상(예를 들면 사각형)을 가지는 디포커스부(4)(도면 중 C 참조)에 대해서는, 3회 대칭(또는 6회 대칭)의 배치로 배열되면, 대칭성이 손상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회 대칭의 입체 형상(예를 들면 사각형)을 가지는 디포커스부(4)(도면 중 C 참조)가, 4회 대칭의 배치로 배열되는 경우는, 대칭성을 손상시키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한 양태이다. 다만, 3회 대칭의 입체 형상(예를 들면 삼각형)을 가지는 디포커스부(4)(도면 중 A 참조) 또는 6회 대칭의 입체 형상(예를 들면 육각형)을 가지는 디포커스부(4)(도면 중 B 참조)에 대해서는, 4회 대칭의 배치로 배열되면, 대칭성이 손상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안경 렌즈(1)로서는, 예를 들면, 안경 착용자의 눈의 굴절 이상의 진행을 억제하는 굴절 이상 진행 억제 렌즈, 특히 근시의 진행을 억제하는 근시 진행 억제 렌즈를 예시할 수 있다. 근시 진행 억제 렌즈는, 베이스 영역(5)을 투과한 광선을 착용자의 망막 상에 수속시키는 한편으로, 디포커스 영역(6)을 투과한 광선을 망막보다도 물체측 근처의 위치에 수속시킨다. 즉, 근시 진행 억제 렌즈는 착용자의 처방을 실현하기 위한 광선 수속 기능과는 별개의, 물체측 근처의 위치로의 광선 수속 기능을 가진다. 이와 같은 광학 특성을 가짐으로써, 근시 진행 억제 렌즈는 착용자의 근시 등의 굴절 이상의 진행을 억제하는 효과(이하 「근시 억제 효과」라고 함.)를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안경 렌즈(1)에 있어서의 물체측의 면(2)(본 실시 형태에서는 볼록면)과 안구측의 면(3)(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목면) 중 적어도 일방에는, 피막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피막으로서는, 예를 들면, 하드 코트막(HC막) 및 반사 방지막(AR막)을 들 수 있지만, 이것들에 더하여, 추가로 다른 막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피막에 대해서는, 공지 기술을 이용하여 실현하면 되고, 여기에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2) 안경 렌즈의 제조 방법
상술한 구성의 안경 렌즈(1)는, 이하의 절차를 거쳐 제조된다. 구체적으로는, 안경 렌즈(1)는 기재 형성 공정과, 필요에 따라서 막 형성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기재 형성 공정은, 성형 몰드를 이용하여, 수지 재료의 주형 성형을 행함으로써, 안경 렌즈(1)가 되는 렌즈 기재를 형성하는 공정이다.
여기서 형성되는 렌즈 기재는, 적어도 일방의 광학면에 볼록 모양의 디포커스부(4)를 가진 것이다. 이와 같은 렌즈 기재를 형성하기 위해서, 성형 몰드로서는, 광학면의 형성면에, 디포커스부(4)에 대응하는 오목 형상부가 형성된 것을 이용한다. 또한, 성형 몰드에 대해서는, 상세를 후술한다.
렌즈 기재를 형성하기 위한 수지 재료로서는, 다양한 종류의 원료로 이루어지는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지 재료로서,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우레탄우레아 수지, (티오) 우레탄 수지, 폴리술피드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아릴 수지, (메타) 아크릴 수지를 비롯한 스티렌 수지, 디에틸렌글리콜 비스 아릴 카보네이트 수지(CR-39) 등의 아릴 카보네이트 수지, 비닐 수지, 폴리 에테르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 중에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열가소성 수지)는, 몰드 중에서의 고화(固化) 소용 시간이 짧기(예를 들면, 10분 이하) 때문에, 생산 효율이 높고, 즉 생산 코스트상 유리하다. (티오) 우레탄 수지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폴리 티올 화합물을 반응시킨 티오 우레탄 수지, 및,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디에틸렌글리콜 등의 히드록시 화합물의 반응으로 얻어진 우레탄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의미한다. 이것들 중에서도 (티오) 우레탄 수지, 폴리술피드 수지가 바람직하다. 이것들은, 고굴절률(예를 들면, 1.6 이상)의 안경 렌즈로 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예를 들어, 분자 내에 1개 이상의 디술피드 결합을 가지는 (티오) 에폭시 화합물을 함유하는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한 경화물(일반적으로 투명 수지라고 불림.)이어도 된다. 경화성 조성물은 중합성 조성물이라고 칭해도 상관없다. 또한, 수지 재료는 염색되어 있지 않은 것(무색 렌즈)을 이용해도 되고, 염색되어 있는 것(염색 렌즈)을 이용해도 된다. 상기 (티오)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수지는, 성형에 필요로 하는 시간이 길고(예를 들면, 10~20시간 정도), 몰드의 점유 시간이 길기 때문에, 다수의 몰드를 사용하여 생산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따라서, 비교적 염가로 제작이 용이한 유리 몰드가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렌즈 기재를 형성하기 위한 수지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굴절률(nD) 1.40 이상 1.74 이하 정도의 수지 재료가 이용된다. 다만, 굴절률은 이 범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범위 내에서도, 이 범위로부터 상하로 벗어나 있어도 된다. 본 발명 및 본 명세서에 있어서, 굴절률이란, 파장 500nm의 광에 대한 굴절률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범위 내에서도, 굴절률은, 이하와 같은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즉, 수지 재료에 의해서 형성되는 렌즈 기재는, 굴절률 1.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굴절률 1.60 이상의 이른바 고굴절률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렌즈 기재의 시판품으로서는, 아릴 카보네이트계 플라스틱 렌즈 「HILUX 1.50」(HOYA 주식회사제, 굴절률 1.50), 티오 우레탄계 플라스틱 렌즈 「MERIA」(HOYA 주식회사제, 굴절률 1.60), 티오 우레탄계 플라스틱 렌즈 「EYAS」(HOYA 주식회사제, 굴절률 1.60), 티오 우레탄계 플라스틱 렌즈 「EYNOA」(HOYA 주식회사제, 굴절률 1.67), 폴리술피드계 플라스틱 렌즈 「EYRY」(HOYA 주식회사제, 굴절률 1.70), 폴리술피드계 플라스틱 렌즈 「EYVIA」(HOYA 주식회사제, 굴절률 1.74) 등을 들 수 있다.
주형 성형에 대해서는, 공지 기술을 이용하여 행하면 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막 형성 공정은 기재 형성 공정에서 얻어진 렌즈 기재의 적어도 일방 주면 상(바람직하게는 양 주면 상)에, HC막이나 AR막 등의 피막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HC막은, 예를 들면, 규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화성 재료를 이용하여 구성된 것으로, 3㎛~4㎛ 정도의 두께로 형성된 막이다. HC막의 굴절률(nD)은, 상술한 렌즈 기재의 재료의 굴절률에 가깝고, 예를 들면 1.49~1.74 정도이며, 렌즈 기재의 재료에 따라 막 구성이 선택된다. 이와 같은 HC막의 피복에 의해서, 안경 렌즈의 내구성 향상이 도모되게 된다. HC막의 성막은, 예를 들면, 규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화성 재료를 용해시킨 용액을 이용한 침지법(Dipping method)에 따라 행하면 된다.
AR막은 굴절률이 다른 막을 적층시킨 다층 구조를 가지고, 간섭 작용에 의해서 광의 반사를 방지하는 막이다. 구체적으로는, AR막은 저굴절률층과 고굴절률층이 적층된 다층 구조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저굴절률층은, 예를 들면, 굴절률 1.43~1.47 정도의 이산화 규소(SiO2)로 이루어진다. 또한, 고굴절률층은 저굴절률층 보다도 높은 굴절률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면, 산화 지르코늄(ZrO2), 산화 주석(SnO2), 산화 니오브(Nb2O5), 산화 탄탈(Ta2O5), 산화 티탄(TiO2), 산화 이트륨(Y2O3), 산화 알루미늄(Al2O3), 이것들의 혼합물(예를 들면 산화 인듐 주석(ITO)) 등을 이용하여 구성된다. 다만, 다층 구조의 AR막의 가장 표면층은, 반드시 저굴절률층(예를 들면, SiO2층)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은 AR막의 피복에 의해서, 안경 렌즈를 투과한 상의 시인성 향상이 도모되게 된다. AR막의 성막은, 예를 들면, 이온 어시스트 증착을 적용하여 행하면 된다.
이상과 같은 공정을 거침으로써, 상술한 구성의 안경 렌즈(1)가 제조된다.
(3) 몰드 제조 방법
다음으로, 기재 형성 공정에서 이용하는 성형 몰드에 대해서, 그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렌즈 기재를 형성하기 위한 수지 재료에는, 굴절률의 차이나 조성의 차이 등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것이 존재한다. 그 때문에, 기재 형성 공정에서는, 어느 종류의 수지 재료여도, 성형 몰드를 이용한 주형 성형을 적절히 행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된다. 그렇지만, 성형 몰드로서 금속제의 성형형(금형)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제조상의 문제때문에, 수지 재료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 한정되어 버리는 것이 염려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열가소성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이면, 사출 성형에 의해서 단시간에서의 성형이 실현 가능하고, 고가의 금속 금형을 다수 준비하지 않아도 렌즈 기재의 대량 생산에 대응할 수 있다. 그렇지만,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이외의 수지 재료는, 중합 타입(열경화성)으로 반응에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금형 점유 시간이 길고, 렌즈 기재의 대량 생산에 대응하려고 하면, 고가의 금속 금형을 다수 준비하지 않으면 안 된다. 특히, 렌즈 기재 재료에 대해서, 미세하고 정밀한 볼록부를 형성하기 위한 전사면을 가지는 금속성 금형은, 그 제작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고가이다. 따라서, 금속 금형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수지 재료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 한정되는 경향이 있다.
성형 몰드로서 유리재에 의해서 형성된 유리 몰드를 이용하는 경우라면, 금속 금형과 비교하면, 다수 준비하는 것이 비교적 실현 용이하다. 즉, 유리 몰드를 이용하면, 수지 재료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 한정되지 않고, 어느 종류의 수지 재료라도 대응할 수 있도록 될 수 있다. 그렇지만, 유리 몰드에 대해서는, 유리재가 취성 재료이며 난가공재이기 때문에, 가공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특히, 예를 들어 디포커스부(4)에 대응하는 오목 형상부가 형성된 성형 몰드와 같이, 광학면이 복잡한 형상의 경우, 그 복잡한 형상을 고정밀도로 형성하는 것이 반드시 용이하지 않으며, 그 때문에 복잡한 가공을 필요로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즉, 성형 몰드는, 안경 렌즈(1)의 제조 코스트를 고려하면, 광학면이 복잡한 형상의 경우라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것을 바탕으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하의 절차를 거쳐 성형 몰드가 제조된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몰드 제조 방법의 절차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시된 예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적어도, 유리 몰드 준비 공정(스텝 11, 이하 스텝을 「S」라고 약칭함.)과, 오목 형상부 형성 공정(S12)과, 면 형상 연마 공정(S13)을 거쳐, 안경 렌즈(1)를 형성하는 성형 몰드가 제조된다.
유리 몰드 준비 공정(S11)에서는, 안경 렌즈(1)를 제조하기 위한 성형 몰드로서, 유리재에 의해서 형성된 유리 몰드를 준비한다. 여기서 준비하는 유리 몰드는, 디포커스부(4)의 형성에 대응하고 있지 않는 면 형상의 것이다. 즉, 유리 몰드는 물체측의 면(2)의 형성에 이용하기 위한 것과, 안구측의 면(3)의 형성에 이용하기 위한 것을 각각 준비하지만, 물체측의 면(2)측에 대해서는, 디포커스부(4)가 없는 경우의 면 형상(즉, 베이스 영역(5)의 형성에 대응한 면 형상)의 것을 준비한다. 베이스 영역(5)의 면 형상은, 착용자의 처방 정보를 기초로 해서 결정할 수 있다. 베이스 영역(5)의 형성에 대응한 면 형상이면, 복잡한 가공을 필요로 하지 않고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어서, 오목 형상부 형성 공정(S12)에서는, 준비한 유리 몰드에 있어서의 광학면의 형성면 중, 베이스 영역(5)의 형성에 대응한 면 형상의 형성면에 대해서, 단펄스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해당 형성면에 디포커스부(4)에 대응하는 오목 형상부를 형성한다.
여기서 말하는 단펄스 레이저광은, 펄스 폭이 1나노초 미만 레이저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단펄스 레이저는, 예를 들면, 펄스 폭이 0.1피코초 이상 100피코초 미만인 것, 바람직하게는 펄스 폭이 0.1피코초 이상 30피코초 이하인 것, 보다 바람직하게는 펄스 폭이 0.1피코초 이상 15피코초 이하인 것을 말한다. 펄스 폭의 하한값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0펨토초를 초과하는 것이면 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0.1피코초 이상의 것(1피코초 이상의 것을 포함함.)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단펄스 레이저광의 파장은, 예를 들면, 355nm의 THG(Third Harmonic Generation) 또는 532nm의 SHG(Second Harmonic Generation)이다. 다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1064nm의 기본 파장 또는 266nm의 FHG(Forth Harmonic Generation)이어도 된다. 단펄스 레이저광의 펄스 에너지는, 예를 들면, 50kHz에서 0.1μJ 이상 30μJ 이하(최대 60μJ 정도)이다. 단펄스 레이저광의 빔 지름은, 예를 들면, 10㎛ 이상 30㎛ 이하이다.
이와 같은 단펄스 레이저광을 이용하면, 펄스 폭이 상기 영역에 있기 때문에, 비가열 가공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비가열 가공이란, 예를 들면 어브레이션 가공이라고도 불리고, 단펄스 레이저광의 다광자 흡수 현상에 의해 비가열로 가공을 행하는 기술이다. 더 자세하게는, 비가열 가공은, 가공 개소 주변의 열의 영향을 최대한 억제하고, 대기압 하에서 상당한 고온에서밖에 용융되지 않는 재료라도 단펄스 레이저광의 조사 개소가 순간적으로 용융하여, 증발, 비산함으로써 행해지는 제거 가공이다. 이와 같은 비가열 가공에 의하면, 용융된 개소가 순간적으로 증발, 비산하여 제거되기 때문에, 가공 개소 주변에 대한 열 영향이 적어, 열 손상(열에 의한 변형 등)을 억제한 가공을 행할 수 있다.
즉, 단펄스 레이저광을 이용함으로써, 열 영향이 전달되기 전에 발진이 끝나기 때문에 열 영향이 거의 없는 비가열 가공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난가공재인 유리재에 의해서 형성된 유리 몰드여도, 단펄스 레이저광의 조사에 의해 부분적인 제거 가공을 행하여, 오목 형상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단펄스 레이저광의 조사는, 예를 들면, 펄스 스플릿 모드에 의해서 행한다.
펄스 스플릿 모드는, 단펄스 레이저광의 1펄스를 하나의 위치에 대해서 조사(쇼트)함과 아울러, 각 쇼트의 조사 위치를 갈바노 스캐너 등의 이용에 의해서 이차원 또는 삼차원으로 이동시키는 모드이다.
이와 같은 펄스 스플릿 모드에 의해, 단펄스 레이저광의 빔 지름이 예를 들면 10㎛ 이상 30㎛ 이하여도,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지름이 예를 들면 0.6~2.0mm인 디포커스부(4)에 대응하는 오목 형상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오목 형상부의 형성시에는, 하나의 오목 형상부를 단펄스 레이저광의 복수 쇼트에 의해서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단펄스 레이저광의 복수 쇼트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몰드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단펄스 레이저광의 복수 쇼트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시된 예에서는, 평면에서 볼때가 원 형상인 오목 형상부(7)의 형성에 있어서, 단펄스 레이저광의 복수 쇼트(8)의 위치를 원주 모양으로 늘어놓아 쇼트열을 구성함과 아울러, 원주의 지름이 다른 복수의 쇼트열을 동심원 모양으로 늘어놓아 배치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개개의 쇼트마다의 사이즈(지름)는 동일하게 하고 있다. 또한, 쇼트열에 의한 동심원의 중심은, 얻으려고 하는 안경 렌즈(1)의 광학 중심에 대응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은 복수 쇼트(8)의 배치예에 있어서, 원주 모양의 쇼트열을 구성하는 각 쇼트(8)에 대해서는, 서로 이웃하는 쇼트(8)끼리가 서로 중첩되는 부분을 가지도록, 각 쇼트(8)를 오버랩시키고 있다. 각 쇼트(8)의 오버랩 부분은, 단펄스 레이저광이 중복 조사되므로, 오버랩이 없는 단발 쇼트의 경우와 비교하면, 조사되는 에너지량이 증대하여, 비가열 가공의 가공 깊이를 크게 할 수 있다. 이것은, 각 쇼트(8)의 오버랩에 의해, 오목 형상부(7)의 형성 깊이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오목 형상부(7)의 형성 깊이를 크게(깊게) 하는 경우이면, 각 쇼트(8)의 오버랩량을 증대시키도록 하고, 오목 형상부(7)의 형성 깊이를 작게(얕게) 하는 경우이면, 각 쇼트(8)의 오버랩량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오버랩시키지 않도록 하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와 같이, 디포커스부(4)가 구면 형상이고, 이것에 대응하는 구면 형상의 오목 형상부(7)를 형성하는 경우이면, 그 오목 형상부(7)의 외연측으로부터 중심측을 향하여 각 쇼트(8)의 오버랩량이 증대하도록, 오버랩량을 변화시키면서 각 쇼트(8)의 조사를 행하면 된다. 즉, 오목 형상부(7)의 외연측에서는, 각 쇼트(8)의 오버랩량을 작게 하거나, 또는 오버랩시키지 않도록 하고, 오목 형상부(7)의 중심측을 향하여 서서히 각 쇼트(8)의 배치 피치를 좁게 하여 오버랩량을 증대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오목 형상부(7)의 외연측으로부터 중심측을 향하여 서서히 형성 깊이가 커지고(깊어지고), 그 결과로서, 구면 형상의 오목 형상부(7)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각 쇼트(8)의 배치예에서는, 오목 형상부(7)의 중심측을 향하여 각 쇼트(8)를 조밀하게 함에 있어서, 오목 형상부(7)의 둘레 방향(원주 모양의 쇼트열에 따른 방향)으로는 오버랩시키는 한편으로, 오목 형상부(7)의 지름 방향으로는 오버랩시키지 않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쇼트(8)는, 둘레 방향 및 지름 방향 양방향에 있어서 오버랩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한, 형성해야 할 오목 형상부(7)의 면 형상에 따라서, 각 쇼트(8)를 오버랩시키는 양태를 적절히 설정해도 되며, 특정 양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기에서는, 각 쇼트(8)의 오버랩에 의해 오목 형상부(7)의 형성 깊이를 제어하는 경우를 예로 들었지만, 반드시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오목 형상부(7)의 형성 깊이나 형상 등은, 각 쇼트(8)의 레이저 파워, 주파수, 쇼트수, 횟수 등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서도, 제어가 가능하다. 다만, 그 경우에는, 각 쇼트(8)의 제어가 번잡화해 버릴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오목 형상부(7)의 형성 깊이에 대해서는, 각 쇼트(8)의 위치 제어로 오버랩량을 컨트롤하여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목 형상부 형성 공정(S12)에서는, 이상과 같은 단펄스 레이저광의 조사를, 오목 형상부(7)를 형성해야 할 복수 개소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행한다. 이것에 의해, 유리 몰드에는, 디포커스부(4)를 형성하기 위한 오목 형상부(7)가 복수 개소에 형성되게 된다. 디포커스부(4)를 형성하기 위한 오목 형상부(7)는, 유리 몰드의 성형면에, 200~600개, 보다 구체적으로는 300~500개 마련할 수 있다. 상기 동심원을 형성하는 쇼트열은, 5~15열 정도 마련할 수 있다.
그 다음은, 면 형상 연마 공정(S13)을 행한다. 면 형상 연마 공정(S13)에서는, 단펄스 레이저광의 조사 후의 오목 형상부(7)에 연마 가공을 행하여, 그 오목 형상부(7)의 면 형상을 다듬는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산화 세륨 등의 연마제를 이용하여, 오목 형상부 형성 공정(S12)에서의 피가공면을 연마하여, 이것에 의해 피가공면의 면 거칠기의 평활화를 행한다.
이와 같은 면 형상 연마 공정(S13)을 거침으로써, 단펄스 레이저광의 조사를 거치는 경우라도, 그 레이저 가공에 의한 면 거칠기의 영향의 염려를 배제하여, 오목 형상부(7)의 면 형상을 다듬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디포커스부(4)를 형성하기 위한 성형 몰드로서, 매우 적합한 것이 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각 공정(S11~S13)을 거침으로써, 오목 형상부(7)가 형성된 유리 몰드가 얻어진다. 이러한 유리 몰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안경 렌즈(1)를 제조하기 위한 성형 몰드로서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유리 몰드를 물체측의 면(2)의 형성용으로 하고, 안구측의 면(3)의 형성용의 유리 몰드와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하고, 각 몰드의 사이에 수지 재료를 흘려 넣어 주형 성형을 행함으로써, 디포커스부(4)를 가지는 안경 렌즈(1)를 제조한다.
그 때에, 수지 재료로서는, 다양한 종류의 것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유리재에 의해서 형성된 유리 몰드를 이용하기 때문에, 어느 종류의 수지 재료라도 주형 성형을 적절히 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수지 재료로서, 굴절률 1.40이상 1.74 이하의 범위 내의 어느 종류의 수지 재료라도 이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굴절률 1.5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굴절률 1.60 이상의 고굴절률 재료에 대해서도 이용할 수 있어, 어느 경우라도 주형 성형을 적절히 행할 수 있다.
(4) 본 실시 형태에 의한 효과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이하에 나타내는 하나 또는 복수의 효과가 얻어진다.
(a) 본 실시 형태에서는, 디포커스부(4)를 가지는 안경 렌즈(1)를 제조하기 위한 성형 몰드로서, 유리재에 의해서 형성된 유리 몰드를 준비하고, 그 유리 몰드에 있어서의 광학면의 형성면에 단펄스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디포커스부(4)에 대응하는 오목 형상부(7)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단펄스 레이저광을 이용함으로써, 난가공재인 유리재에 의해서 형성된 유리 몰드라도, 복잡한 가공을 필요로 하지 않고, 오목 형상부를 용이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유리 몰드를 이용하기 때문에, 어느 종류의 수지 재료라도, 주형 성형을 적절히 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형성해야 할 광학면이 복잡한 형상의 경우라도, 그 광학면의 제조에 이용하는 성형 몰드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고, 또한, 그 성형 몰드는 다양한 종류의 수지 재료에 대응 가능한 것이 된다.
(b)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나의 오목 형상부(7)를 단펄스 레이저광의 복수 쇼트(8)에 의해서 형성함과 아울러, 각 쇼트(8)의 오버랩에 의해 오목 형상부(7)의 형성 깊이를 제어한다. 따라서, 복잡한 삼차원 형상의 오목 형상부(7)의 형성에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쇼트(8)의 위치 제어로 오버랩량을 컨트롤 할 수 있어, 1쇼트당 에너지량의 가변 제어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각 쇼트(8)의 제어가 번잡화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가공 개소에 대한 데미지에 대해서도 억제할 수 있다.
(c)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목 형상부(7)의 외연측으로부터 중심측을 향하여 각 쇼트(8)의 오버랩량이 증대하도록, 오버랩량을 변화시키면서 복수 쇼트(8)의 조사를 행한다. 따라서, 오목 형상부(7)의 외연측으로부터 중심측을 향하여 서서히 형성 깊이를 크게(깊게) 하는 것이 용이하게 실현 가능하게 되어, 실질적인 구면 형상의 오목 형상부(7)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매우 유용한 것이 된다.
(d)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단펄스 레이저광의 조사 후의 오목 형상부(7)에 연마 가공을 행하여, 그 오목 형상부(7)의 면 형상을 다듬도록 한다. 따라서, 단펄스 레이저광의 조사를 거치는 경우라도, 그 레이저 가공에 의한 면 거칠기의 영향의 염려를 배제하여, 오목 형상부(7)의 면 형상을 다듬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디포커스부(4)를 형성하기 위한 성형 몰드로서 매우 적합한 것이 된다.
(e)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성형 몰드로서 오목 형상부(7)를 가지는 유리 몰드를 이용하여 수지 재료를 성형하고, 이것에 의해 적어도 일방의 광학면에 디포커스부(4)를 가지는 안경 렌즈(1)를 제조한다. 따라서, 디포커스부(4)를 가지는 안경 렌즈(1)라도, 유리 몰드를 이용하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수지 재료에 의해서 해당 안경 렌즈(1)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금속제의 성형형(금형)에서는 성형이 곤란했던 고굴절률 재료라도, 그 고굴절률 재료를 이용하여 디포커스부(4)를 가지는 안경 렌즈(1)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5) 변형예 등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상술한 개시 내용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물체측의 면(2)에 디포커스부(4)를 가지는 안경 렌즈(1)를 제조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디포커스부(4)는, 적어도 일방의 광학면에 형성되는 것이면, 안구측의 면(3)에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물체측의 면(2)과 안구측의 면(3) 양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디포커스부(4)를 가지는 안경 렌즈(1)가 근시 진행 억제 렌즈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안경 렌즈(1)는, 적어도 일방의 광학면에 볼록 모양의 디포커스부(4)를 가지는 것이면, 근시 억제 효과의 발휘 이외의 목적인 것이라도 모두 마찬가지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광학 부재가 안경 렌즈인 경우를 예로 들었지만, 본 발명이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안경 렌즈 이외의 광학 부재에 대해서도, 모두 마찬가지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안경 렌즈(광학 부재) 2…물체측의 면(광학면)
3…안구측의 면(광학면) 4…디포커스부
5…베이스 영역 6…디포커스 영역
7…오목 형상부 8…쇼트

Claims (9)

  1. 적어도 일방의 광학면에 볼록 모양의 디포커스부를 가지는 광학 부재를 제조하기 위한 성형 몰드로서, 유리재에 의해서 형성된 유리 몰드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유리 몰드에 있어서의 상기 광학면의 형성면에 단펄스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상기 디포커스부에 대응하는 오목 형상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몰드 제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오목 형상부를 상기 단펄스 레이저광의 복수 쇼트에 의해서 형성함과 아울러, 각 쇼트의 오버랩에 의해 상기 오목 형상부의 형성 깊이를 제어하는 몰드 제조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오목 형상부의 외연측으로부터 중심측을 향하여 각 쇼트의 오버랩량이 증대하도록, 상기 오버랩량을 변화시키면서 상기 복수 쇼트의 조사를 행하는 몰드 제조 방법.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펄스 레이저광의 조사 후의 상기 오목 형상부에 연마 가공을 행하여 상기 오목 형상부의 면 형상을 다듬는 공정을 구비하는 몰드 제조 방법.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 부재의 몰드 제조 방법으로 얻어지는 성형 몰드를 이용하여 수지 재료를 성형하고, 적어도 일방의 광학면에 디포커스부를 가지는 광학 부재를 제조하는 광학 부재의 제조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수지 재료로서, 굴절률 1.40 이상의 재료를 이용하는 광학 부재의 제조 방법.
  7.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광학 부재로서, 투과광이 눈 내의 소정 위치에서 초점을 맺도록 형성된 베이스 영역과, 상기 디포커스부에 의해서 상기 투과광이 상기 소정 위치로부터 디포커스한 위치에서 초점을 맺도록 형성된 디포커스 영역을 가지는 안경 렌즈를 제조하는 광학 부재의 제조 방법.
  8. 물체측과 안구측에 각각 광학면을 가지는 안경 렌즈로서,
    상기 광학면의 적어도 일방에, 디포커스부가 형성된 디포커스 영역과, 상기 디포커스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베이스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디포커스부는 복수 개소에 형성되고,
    상기 디포커스부가 X회의 회전 대칭의 형상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디포커스부의 배치가 Y회의 회전 대칭일 때, X와 Y가 모두 3의 배수이거나, 또는, X와 Y가 모두 4의 배수인 안경 렌즈.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안경 렌즈를 투과하는 광선이 상기 베이스 영역에 의해서 초점을 맺는 위치와, 상기 안경 렌즈를 투과하는 광선이 상기 디포커스부에 의해서 초점을 맺는 위치가, 서로 다르도록 구성된 안경 렌즈.
KR1020237023659A 2021-03-31 2022-03-11 몰드 제조 방법, 광학 부재의 제조 방법 및 안경 렌즈 KR202301627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59087 2021-03-31
JP2021059087 2021-03-31
PCT/JP2022/011114 WO2022209795A1 (ja) 2021-03-31 2022-03-11 モールド製造方法、光学部材の製造方法および眼鏡レンズ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2772A true KR20230162772A (ko) 2023-11-28

Family

ID=83456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3659A KR20230162772A (ko) 2021-03-31 2022-03-11 몰드 제조 방법, 광학 부재의 제조 방법 및 안경 렌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160040A1 (ko)
EP (1) EP4316769A1 (ko)
JP (1) JPWO2022209795A1 (ko)
KR (1) KR20230162772A (ko)
CN (1) CN116802035A (ko)
WO (1) WO2022209795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1567A (ko) 2015-03-27 2017-11-29 애질런트 테크놀로지스, 인크. 살아있는 세포의 통합된 대사 베이스라인 및 포텐셜의 측정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WO2019124354A1 (ja) 2017-12-19 2019-06-27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眼鏡レンズ成形型の製造方法及び眼鏡レンズ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086Y2 (ja) * 1990-02-28 1995-06-14 ホーヤ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多焦点眼鏡レンズ用モールド
MX2017008877A (es) * 2015-01-05 2018-05-17 E Vision Smart Optics Inc Métodos y sistemas para liberaciones de moldes.
US10268050B2 (en) 2015-11-06 2019-04-23 Hoya Lens Thailand Ltd. Spectacle le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1567A (ko) 2015-03-27 2017-11-29 애질런트 테크놀로지스, 인크. 살아있는 세포의 통합된 대사 베이스라인 및 포텐셜의 측정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WO2019124354A1 (ja) 2017-12-19 2019-06-27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眼鏡レンズ成形型の製造方法及び眼鏡レンズ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09795A1 (ja) 2022-10-06
JPWO2022209795A1 (ko) 2022-10-06
EP4316769A1 (en) 2024-02-07
CN116802035A (zh) 2023-09-22
US20240160040A1 (en) 2024-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83008B1 (en) Ophthalmic lens with graded microlenses
CN113366377B (zh) 眼镜镜片及其设计方法
JP2009540347A (ja) 光学部品の度数の修正用円盤
CN113260901A (zh) 眼镜镜片
WO2021059887A1 (ja) 眼鏡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30162772A (ko) 몰드 제조 방법, 광학 부재의 제조 방법 및 안경 렌즈
KR20240008836A (ko) 광학 요소를 포함하는 광학 물품의 개선된 코팅 방법
WO2021181885A1 (ja) 眼鏡レンズ
WO2021186878A1 (ja) 眼鏡レンズ
WO2020138134A1 (ja) 光学部材の製造方法および光学部材
WO2022209382A1 (ja) 眼鏡レンズの製造方法、および眼鏡レンズ
KR102557131B1 (ko) 안경 렌즈 및 안경 렌즈 설계 방법
WO2023166822A1 (ja) 眼鏡レンズ、眼鏡レンズの製造方法、眼鏡レンズの設計方法、眼鏡及び眼鏡の製造方法
US12007626B2 (en) Spectacle lens and method for designing the same
WO2023171061A1 (ja) 眼鏡レンズ、および眼鏡レンズの設計方法
WO2023120007A1 (ja) 眼鏡レンズ、および眼鏡レンズの設計方法
WO2023042572A1 (ja) 眼鏡レンズ
JP7177959B1 (ja) 眼鏡レンズ
WO2023189088A1 (ja) 眼鏡レンズおよび眼鏡レンズの設計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