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2534A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대시보드 및 운송 수단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대시보드 및 운송 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2534A
KR20230162534A KR1020230051655A KR20230051655A KR20230162534A KR 20230162534 A KR20230162534 A KR 20230162534A KR 1020230051655 A KR1020230051655 A KR 1020230051655A KR 20230051655 A KR20230051655 A KR 20230051655A KR 20230162534 A KR20230162534 A KR 20230162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dashboard
housing
elastic fastening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1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쿠스 코흐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30162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253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5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eans of attachment to or integration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7/00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60R21/045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associated with the instrument panel or 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55Padded or energy-absorbing fittings, e.g. seat belt anch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4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523Matrix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60Structural details of dashboards or instruments
    • B60K2360/65Features of dashboards
    • B60K2360/652Crash protection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60Structural details of dashboards or instruments
    • B60K2360/68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691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816Fastening of displays or touch screens
    • B60K2370/152
    • B60K2370/63
    • B60K2370/69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48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2Driver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 및 이러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를 가진 대시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대시보드를 가진 운송 수단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는 디스플레이 패널(3)을 가진 디스플레이 모듈(2) 및 디스플레이 모듈(2)을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5)을 갖는다. 2개의 대향 측면(50) 상의 하우징(5)은 탄성 체결 요소(51)를 갖는다. 탄성 체결 요소는 디스플레이 패널(3) 상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이 2개의 대향 측면(50)과 수직인 축(52)을 중심으로 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회전을 유발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대시보드 및 운송 수단{DISPLAY DEVICE, DASHBOARD, AND TRANSPORTATION MEAN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이러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가진 대시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대시보드를 가진 운송 수단에 관한 것이다.
차량 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차량 탑승자의 바로 앞에 위치되므로 항상 머리 충돌의 위험에 노출된다. 따라서, 새로운 제품은 사용 허가를 위해 공인된 머리 충돌 테스트를 통과해야 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유리 표면으로 인해, 유리 자체가 파손되지 않기 위해 충분히 보호되는 한편, 충돌 에너지가 유리 뒤의 연성 요소에 의해 흡수되지 않을 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이러한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할 위험이 증가한다. 유리 에지는 충돌이 발생하는 유리 에지에 가까울수록 파손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특히 위험하다.
따라서 현재의 해결책은 머리 충돌의 에너지를 흡수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뒤의 고도의 연성 요소와 결합한, 유리를 위한 매우 견고하고 단단한 지지부에 기초한다. 대부분의 경우에, 유리는 충격을 견디기 위해 부가적인 보호 필름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필름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광학적 성능을 저하시키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생산 공정에 대한 부가적인 비용을 초래한다.
운송 수단의 내부를 위한 다른 컴포넌트에도 유사한 일련의 문제가 있으며, 이는 각각의 탑승자가 충격을 받는 경우에 탑승자에게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이 맥락에서, EP 1 687 185 B1은 상부 부분 및 연결 수단의 도움으로 상부 부분에 연결되는 하부 부분을 가진, 자동차용 대시보드를 설명한다. 하부 부분은 승객의 하지에 대해서 연장되는 보관 트레이에 의해 형성된다. 승객이 미리 규정된 힘으로 하부 부분에 충돌하는 경우에, 하부 부분이 자동차의 전방 단부를 향해 상부 부분에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 수단이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운송 수단의 탑승자를 위한 개선된 보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제1항의 특징부를 가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의해 그리고 청구항 제9항에 따른 대시보드에 의해 그리고 청구항 제10항에 따른 운송 수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인용 청구항의 주제이다.
본 발명의 제1 양상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 디스플레이 패널을 가진 디스플레이 모듈; 및
- 디스플레이 모듈을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을 갖고;
2개의 대향 측면 상의 하우징은,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이 2개의 대향 측면과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회전을 유발하는 방식으로 설계되는 탄성 체결 요소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회전 그리고 이 방식으로 동시에 탑승자의 머리로부터 먼 방향으로의 충돌점의 이동은 머리 충돌의 경우에 디스플레이 패널에 가해진 힘에 의해 유발된다. 동시에, 디스플레이 패널의 평면 내 충돌점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내부 구역으로 더 멀리 변위된다. 이것은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덮개 유리의 파손 위험이 감소되어 위험한 유리 조각의 생성이 방지된다는 이점을 갖는다. 여기서 탄성 체결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유리에 아직 위험을 주지 않는, 상대적으로 작은 힘이 회전을 트리거링하는 데 충분한 방식으로 설계된다. 동시에 필요한 힘은 작동 오류의 결과로서 회전의 임의의 의도하지 않은 트리거링을 방지하기 위해 충분히 높아야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에 따르면, 2개의 대향 측면은 각각의 경우에 2개 이상의 탄성 체결 요소를 갖는다. 측면당 2개 이상의 탄성 체결 요소를 사용함으로써, 상대적으로 큰 회전각이 탄성 체결 요소의 비교적 작은 편향 또는 변형과 관련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에 따르면, 탄성 체결 요소는 하우징의 필수적인 구성 부분이다. 이것은 부가적인 부품, 따라서 또한 부가적인 도구 또는 생산 단계가 필요하지 않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것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더 강력한 허용 오차 체인 및 인접한 컴포넌트에 대한 잠재적인 갭을 발생시킨다. 동시에, 비슷하지 않은 물질이 결합되지 않고, 이것은 온도 변동의 잠재적인 파괴적 영향, 예를 들어, 변형 또는 그로부터 발생하는 무라 효과(Mura effect)를 감소시킨다. 부식과 연관된 위험이 또한 감소된다. 탄성 체결 요소는 예를 들어, 적합한 주형을 사용함으로써 또는 후속 스탬핑에 의해, 생산의 맥락에서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에 따르면, 하우징 및 탄성 체결 요소는 마그네슘-기반 물질로 이루어진다. 마그네슘은 특히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하우징을 위해 사용되는, 자동차 부문에서 흔히 사용되는 물질이다. 그러나, 다른 물질도 물론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에 따르면, 탄성 체결 요소는 쌍안정 요소이다. 쌍안정 요소의 사용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회전 시 규정된 위치에 위치된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 위치에 의해, 충돌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발생했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수리되거나 또는 교체되어야 하는 것이 탑승자 또는 그렇지 않으면 작업장에 의해 즉시 확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에 따르면, 쌍안정 요소는 휨 좌굴 메커니즘을 구현한다. 이러한 휨 좌굴 메커니즘에서, 쌍안정 요소의 암은 충분한 힘이 가해질 때 안정된 제1 상태에서 안정된 제2 상태로 스냅핑되거나 또는 점핑된다. 이 신속한 점핑 동작은 체결점과 관련하여 하우징의 높은 가속을 초래한다. 이 경우에, 머리 충돌은 오직 회전에 대한 트리거이지만, 굽힘 메커니즘은 후속하여 회전을 가속한다. 이것은 충돌로 인해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덮개 유리에 의해 흡수되어야 하는 에너지를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에 따르면, 쌍안정 요소의 암 길이는, 결과적인 탄성 변형 경로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의 점프를 가능하게 하도록 선택된다. 마그네슘은 오직 작은 탄성의 다소 취성 물질이다. 하우징 및 쌍안정 요소가 마그네슘-기반 물질 또는 임의의 다른 취성 물질로 이루어진다면, 큰 레버 암이 점핑 동작을 위해 필요한 탄성 변형 경로를 달성하기 위해 요구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에 따르면, 쌍안정 요소는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점핑될 때 항복점을 넘어 가압된다. 이것은 점핑 동작 후 쌍안정 요소가 더 이상 이 이동을 위해 기능하지 않고 따라서 다시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을 보장한다. 쌍안정 요소가 제자리에 다시 스냅핑되는 것이 가능하더라도, 쌍안정 요소의 변형 경화는 문제가 될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발생한 사고 또는 머리 충돌의 측면에서 전적으로 중요하지 않은 상태이다. 오히려, 메커니즘의 트리거링이 분명히 식별 가능하고 메커니즘이 분명히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이 실제로 안전과 관련된다. 한번 트리거링된 메커니즘은 제2 트리거링의 경우에 정확한 기능이 더 이상 신뢰할 수 있게 보장되지 않기 때문에 반드시 교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는 운송 수단을 위한 대시보드에서 사용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탄성 체결 요소에 의해 대시보드의 지정된 체결점에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대시보드는 운송 수단의 탑승자에게 개선된 충격 보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대시보드는 바람직하게는 운송 수단에서 사용된다. 운송 수단은 예를 들어, 자동차 하지만 대안적으로 또한 항공기, 전차 또는 선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은 도면과 함께 다음의 설명 및 첨부된 청구범위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운송 수단 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의 머리 충돌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회전의 결과로서 충돌점의 변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는 제1 상태의 2개의 쌍안정 요소를 가진,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5는 쌍안정 요소가 제2 상태로 점핑된 후 도 4로부터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활용하는 운송 수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본 발명의 원리의 더 나은 이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도면에 의해 아래에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하거나 또는 기능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위해 도면에서 사용되고 반드시 각각의 도면에 대해 다시 설명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이 예시된 실시형태로 제한되지 않고 설명된 특징이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에 규정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결합되거나 또는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한다.
도 1은 운송 수단 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 상의 머리 충돌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측면도가 도시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는 하우징(5)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3) 및 덮개 유리(4)를 가진, 디스플레이 모듈(2)을 갖는다. 차량 내부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는 차량 탑승자의 바로 앞에 위치되므로 항상 머리 충돌의 위험에 노출된다. 머리(7)의 충돌점(70)이 디스플레이 패널(3) 또는 덮개 유리(4)의 내부 구역에 있는 경향이 있다면, 유리의 파손은 상대적으로 발생 가능성이 낮다. 그러나, 충돌점(70)이 유리 에지(40)에 더 가까울수록 파손의 발생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유리 에지(40)는 특히 위험 상태에 있다.
도 2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회전의 결과로서 충돌점(70)의 변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패널(3)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3)의 덮개 유리(4)의 파손 위험은, 충돌점(70)이 유리 에지(40)로부터 멀리, 디스플레이 패널(3) 또는 덮개 유리(4)의 내부 구역으로 더 멀리 변위될 때 감소될 수 있다. 이것은 디스플레이 패널(3)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수평축을 중심으로 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회전이 디스플레이 패널(3) 상의 머리(7)의 충돌 동안 발생한다는 점에서 사용자의 신체의 해부학적 구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유리에 아직 위험을 주지 않는, 상대적으로 작은 힘(F)이 회전을 트리거링하는 데 충분한 메커니즘은 이 회전을 위해 바람직하다. 동시에, 필요한 힘(F)은 작동 오류의 결과로서 회전의 임의의 의도하지 않은 트리거링을 방지하기 위해 충분히 높아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2개의 대향 측면(50) 상의 하우징(5)은 탄성 체결 요소(51)를 갖는다. 이들은 오직 도 3에 개략적으로 예시된다. 탄성 체결 요소(51)의 특정한 구현예가 도 4 및 도 5에 의해 본 명세서의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탄성 체결 요소(51)는,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덮개 유리(4) 상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F)이 2개의 대향 측면(50)과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회전을 유발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2개의 대향 측면(50)은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경우에 2개 이상의 탄성 체결 요소(51)를 갖는다. 측면(50)당 2개 이상의 탄성 체결 요소(51)를 사용함으로써, 상대적으로 큰 회전각은 탄성 체결 요소(51)의 작은 편향 또는 변형과 관련하여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부가적인 피벗점과 결합하여, 단 하나의 탄성 체결 요소(51)가 측면(50)당 제공되는 것이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도 4는 제1 상태의 2개의 쌍안정 요소(6)를 가진,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쌍안정 요소(6)의 각각은 하나의 탄성 체결 요소(51)를 형성하고 휨 좌굴 메커니즘을 구현한다. 이러한 휨 좌굴 메커니즘에서, 쌍안정 요소(6)의 암(60)은 충분한 힘이 가해질 때 안정된 제1 상태에서 안정된 제2 상태로 스냅핑하거나 또는 점핑한다. 도 5는 쌍안정 요소(6)가 이러한 방식으로 제2 상태로 점핑된 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이 신속한 점핑 동작은 대시보드 내 체결점(11)과 관련하여 하우징(5)의 높은 가속을 초래한다. 이 경우에, 머리 충돌은 오직 수평축(52)을 중심으로 한 회전에 대한 트리거이지만, 굽힘 메커니즘은 후속하여 상기 회전을 가속한다. 이것은 충돌로 인해,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덮개 유리(4)에 의해 흡수되어야 하는 에너지를 감소시킨다. 쌍안정 요소(6)의 암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결과적인 탄성 변형 경로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의 점프를 가능하게 하도록 선택된다.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하우징(5)은 종종 자동차 부문에서 마그네슘-기반 물질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마그네슘은 단지 작은 탄성의 상당히 취성 물질이다. 따라서, 큰 레버 암이 점핑 동작을 위해 필요한 탄성 변형 경로를 달성하기 위해 요구된다.
쌍안정 요소(6)는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점핑될 때 바람직하게는 항복점을 넘어 가압된다. 이것은 점핑 동작 후 쌍안정 요소(6)가 더 이상 이 이동을 위해 기능하지 않고 따라서 다시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을 보장한다. 쌍안정 요소(6)가 제자리에 다시 스냅핑되는 것이 가능하더라도, 쌍안정 요소(6)의 변형 경화는 문제가 될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발생한 사고 또는 머리 충돌의 면에서 전적으로 중요하지 않은 상태이다. 오히려, 메커니즘의 트리거링이 분명히 식별 가능하고 메커니즘이 분명히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이 실제로 안전과 관련된다. 1회 트리거링된 메커니즘은 제2 트리거링의 경우에 정확한 기능이 더 이상 신뢰할 수 있게 보장되지 않기 때문에 반드시 교체되어야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를 활용하는 운송 수단(20)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운송 수단(20)은 이 예에서 자동차이다. 자동차는 대시보드(10)에 배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를 갖는다. 차량 환경에 대한 데이터가 센서 시스템(21)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센서 시스템(21)은 특히 환경 인지 센서, 예를 들어, 초음파 센서, 레이저 스캐너, 레이더 센서, 라이다 센서 또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시스템(21)에 의해 획득되는 정보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에 디스플레이될 콘텐츠를 생성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자동차의 추가의 구성 부분은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내비게이션 시스템(22) 그리고 또한 데이터 전송 장치(23)이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컴포넌트에 대한 업데이트된 소프트웨어를 수용하기 위한 백-엔드에 대한 연결은 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 장치(23)에 의해 확립될 수 있다. 메모리(24)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존재한다. 데이터는 네트워크(25)를 통해 자동차의 다양한 컴포넌트 간에 교환된다.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디스플레이 모듈
3 디스플레이 패널
4 덮개 유리
40 유리 에지
5 하우징
50 하우징의 측면
51 체결 요소
52 축
6 쌍안정 요소
60 암
7 머리
70 충돌점
10 대시보드
11 체결점
20 운송 수단
21 센서 시스템
22 네비게이션 시스템
23 데이터 전송 장치
24 메모리
25 네트워크
F 힘

Claims (10)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로서,
    - 디스플레이 패널(3)을 가진 디스플레이 모듈(2); 및
    -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을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5)
    을 갖되;
    2개의 대향 측면(50) 상의 상기 하우징(5)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 상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F)이 상기 2개의 대향 측면(50)과 수직인 축(52)을 중심으로 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회전을 유발하는 방식으로 설계되는 탄성 체결 요소(51)를 갖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대향 측면(50)은 각각의 경우에 2개 이상의 탄성 체결 요소(51)를 갖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체결 요소(51)는 하우징(5)의 필수적인 구성 부분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5) 및 상기 탄성 체결 요소(51)는 마그네슘-기반 물질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체결 요소(51)는 쌍안정 요소(6)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쌍안정 요소(6)는 휨 좌굴 메커니즘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쌍안정 요소(6)의 암 길이는 결과적인 탄성 변형 경로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의 점프를 가능하게 하도록 선택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쌍안정 요소(6)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점핑할 때 항복점을 넘어 가압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를 가진, 운송 수단(20)을 위한 대시보드(10)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는 상기 탄성 체결 요소(51)에 의해 상기 대시보드(10)의 지정된 체결점(11)에 체결되는, 대시보드(10).
  10. 제9항에 따른 대시보드(10)를 가진, 운송 수단(20).
KR1020230051655A 2022-05-20 2023-04-19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대시보드 및 운송 수단 KR202301625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2205051.7 2022-05-20
DE102022205051.7A DE102022205051B3 (de) 2022-05-20 2022-05-20 Anzeigevorrichtung, Armaturentafel und Fortbewegungsmitte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2534A true KR20230162534A (ko) 2023-11-28

Family

ID=85795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1655A KR20230162534A (ko) 2022-05-20 2023-04-19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대시보드 및 운송 수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373302A1 (ko)
EP (1) EP4279314A3 (ko)
KR (1) KR20230162534A (ko)
CN (1) CN117087587A (ko)
DE (1) DE102022205051B3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62268B1 (fr) 2003-11-17 2008-10-17 Faurecia Interieur Ind Planche de bord a partie inferieure mobile en cas de choc et vehicule automobile correspondant
DE102014111676A1 (de) 2014-08-15 2016-02-18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Vorrichtung zur Halterung eines Anzeigeelementes in einem Kraftfahrzeug
JP6355567B2 (ja) * 2015-01-13 2018-07-11 アルパイン株式会社 車載用表示装置
WO2020008237A1 (en) * 2018-07-04 2020-01-09 Bosch Car Multimedia Portugal, S.A. System carrier for instrument clusters
DE102018218328B3 (de) 2018-10-26 2020-03-26 Audi Ag Anzeige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sowie Kraftfahrzeug mit einer derartigen Anzeigevorrichtung
DE102020112133A1 (de) * 2020-05-05 2021-11-11 Kirchhoff Automotive Deutschland Gmbh Baugruppe für ein Fahrze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79314A3 (de) 2023-12-13
CN117087587A (zh) 2023-11-21
US20230373302A1 (en) 2023-11-23
EP4279314A2 (de) 2023-11-22
DE102022205051B3 (de) 2023-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84570B1 (en) Head-up display system
EP1864876B1 (en) Crash safe vehicle brake assembly
CN107010114B (zh) 包括用于小偏置刚性壁障试验的支架的车辆车架
US10579882B1 (en) Sensor module
EP3702194B1 (en) Head-up display device and mounting structure for head-up display device
EP3702195B1 (en) Head-up display device
CN112867638B (zh) 含传感器支承板的用于集成在车辆前部总成中的保险杠增强件
US9446795B2 (en) Structure for reinforcing front vehicle body
JP4798459B2 (ja) 車両用衝突検知装置
JP2010064708A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5655912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KR20230162534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대시보드 및 운송 수단
KR20040034707A (ko) 센서 장치 및 센서 장치를 장착판에 배치하는 방법
EP3722136B1 (en) Display in steering wheel ride down
WO2015034055A1 (ja) 車載装置及び表示装置
US20230373303A1 (en) Display device, dashboard and transportation means
GB2563000A (en) A motor vehicle steering column assembly
US20230406232A1 (en) Subassembly for a means of transport, and means of transport
KR20180060110A (ko) 차량용 전방 레이더 고정 구조물
US20230373310A1 (en) Subassembly for a means of transport, and means of transport
JP2020078986A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US20240132006A1 (en) Shock absorption device
US9039071B2 (en) Device for absorbing mechanical energy for motor vehicles
JP2007302173A (ja) 車両衝突装置、車両
KR20030080846A (ko) 보행자 보호를 위한 자동차용 범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