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2105A - 골프 샤프트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골프 샤프트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2105A
KR20230162105A KR1020237037510A KR20237037510A KR20230162105A KR 20230162105 A KR20230162105 A KR 20230162105A KR 1020237037510 A KR1020237037510 A KR 1020237037510A KR 20237037510 A KR20237037510 A KR 20237037510A KR 20230162105 A KR20230162105 A KR 20230162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p
golf shaft
midpoint
stiffness
out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7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스케 후지와라
Original Assignee
닛폰 하츠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폰 하츠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폰 하츠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62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210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42Devices for measuring, verifying, correcting or customising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e.g. measuring the maximum torque a batting shaft can withst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12Metallic shaf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10Non-metallic shaf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081Substantially flexible shafts; Hinged shaf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충분한 저탄도 및 저스핀을 얻을 수 있는 골프 샤프트를 제공한다.
선단부(5)로부터 기단부(7)에 걸쳐 점차 강성이 증가하는 강성분포를 가지며, 이 강성분포에서 선단부(5) 및 기단부(7) 사이의 중간부(9)에 기울기가 변하는 중간점(P)을 가지며, 선단부(5)와 중간점(P) 사이의 강성의 차이가 3.00 kgf·㎡ ~ 5.00 kgf·㎡이고, 중간점(P)과 기단부(7) 사이의 강성의 차이가 2.00 kgf·㎡ 이하이다.

Description

골프 샤프트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저탄도 및 저스핀을 실현하는 골프 샤프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골프에서는 고탄도(高彈道) 및 저스핀에 의해 볼의 비거리가 길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고탄도 및 저스핀의 볼은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서와 같이 골프 클럽의 샤프트(골프 샤프트)의 강성(剛性)분포를 조정함으로써 실현 가능하다.
이러한 고탄도 및 저스핀 볼은 바람의 영향을 받기 쉬워 비거리가 늘어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탄도를 더 낮춘 저탄도 및 저스핀 볼로 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 저탄도 및 저스핀 볼은 일반적으로 골프 샤프트의 선단의 강성을 향상시키면 실현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단순히 선단의 강성을 향상시키는 것만으로는 불충분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2014-33831 호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은 충분한 저탄도 및 저스핀을 얻지 못했다는 점이다.
본 발명은 선단부로부터 기단부에 걸쳐 점차 강성이 증가하는 강성분포를 가지며, 강성분포에서 상기 선단부 및 상기 기단부 사이의 중간부에 기울기가 변하는 중간점을 가지며, 상기 선단부와 상기 중간점 사이의 강성의 차이가 3.00 kgf·㎡ ~ 5.00 kgf·㎡이고, 상기 중간점과 상기 기단부 사이의 강성의 차이가 2.00 kgf·㎡ 이하인 골프 샤프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선단부로부터 기단부에 걸쳐 점차 강성이 증가하는 강성분포를 갖는 골프 샤프트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와 상기 기단부 사이의 중간부가, 본체부와, 이 본체부에 대하여 선단측에 위치하는 외경이 다른 복수의 조정단부와, 이 조정단부에 대하여 선단측에 위치하는 외경이 일정한 스트레이트부를 갖는 기본형상에 대하여, 하나 또는 복수의 조정단부만큼 상기 기단부의 길이를 축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기단부의 길이의 연장량에 대응하는 조정단부를 제거하는 골프 샤프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골프 샤프트에서는 중간점과의 관계에서 선단부 및 기단부의 강성을 적절히 설정하여, 충분한 저탄도 및 저스핀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골프 샤프트의 제조방법에서는 충분한 저탄도 및 저스핀을 얻을 수 있는 골프 샤프트를 포함하여, 선단부로부터 기단부에 걸쳐 점차 강성이 증가하는 골프 샤프트에서 복수의 플렉스를 용이하게 전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골프 샤프트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골프 샤프트의 강성분포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도 1의 골프 샤프트의 타구각도와 스핀량을 비교예와 함께 도시하는 도표이다.
도 4는 도 2의 강성분포를 비교예의 강성분포와 함께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골프 샤프트의 제조방법에 이용되는 기본형상의 골프 샤프트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 (A) ~ (D)는 플렉스가 상이한 골프 샤프트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7 (A) 및 (B)는 도 6 (A) ~ (D)의 골프 샤프트의 선단부, 중간점, 기단부의 강성을 비교예의 대응하는 강성과 함께 도시하는 도표이다.
충분한 저탄도 및 저스핀을 얻는다는 목적을 골프 샤프트의 강성분포에 의해 실현했다.
즉, 골프 샤프트(1)는 선단부(5)로부터 기단부(7)에 걸쳐 점차 강성이 증가하는 강성분포를 가진다. 이 강성분포에서 선단부(5) 및 기단부(7) 사이의 중간부(9)에 기울기가 변하는 중간점(P)을 가지며, 선단부(5)와 중간점(P) 사이의 강성의 차이가 3.00 kgf·㎡ ~ 5.00 kgf·㎡이고, 중간점(P)과 기단부(7) 사이의 강성의 차이는 2.00 kgf·㎡ 이하로 되어 있다.
중간점(P)은 골프 샤프트(1)의 선단으로부터의 거리가 전체 길이의 40 % ~ 60 % 까지의 범위에 위치시켜도 된다.
골프 샤프트(1)는 선단부(5)와 기단부(7)의 사이에서 점차 외경이 커지는 계단 형상이며, 이 계단 형상은 선단부(5)로부터 중간점(P)까지의 인접한 단부(17) 사이의 외경의 차이보다도 중간점(P)으로부터 기단부(7)까지의 인접하는 단부(17) 사이의 외경의 차이가 작다.
골프 샤프트의 제조방법은 선단부(5)로부터 기단부(7)에 걸쳐 점차 강성이 증가하는 강성분포를 갖는 골프 샤프트(1)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이 제조방법은, 선단부(5)와 기단부(7) 사이의 중간부(9)가, 본체부(11)와, 이 본체부(11)에 대하여 선단측에 위치하는 외경이 다른 복수의 조정단부(13)와, 이 조정단부(13)에 대하여 선단측에 위치하는 외경이 일정한 스트레이트부(15)를 갖는 기본형상에 대하여, 하나 또는 복수의 조정단부(13)만큼 기단부(7)의 길이를 축방향으로 연장하고, 또한 기단부(7)의 길이의 연장량에 대응하는 조정단부(13)를 제거한다.
이 제조방법에서는, 스트레이트부(15)의 외경을, 제거한 조정단부(13) 내의 가장 큰 외경과 동일하게 해도 무방하다.
실시예 1
[골프 샤프트의 구조]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골프 샤프트의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골프 샤프트(1)는 금속 샤프트이며, 금속제의 중공관체로 구성된다. 이 골프 샤프트(1)는 전체적으로 계단 형상의 점차 증가하는 외경을 가지고 있다. 골프 샤프트(1)의 횡단면에 있어서의 단면 형상은 원형으로 되어 있다. 또한, 골프 샤프트(1)의 외경은 계단 형상이 아닌 전체 또는 일부가 테이퍼형 등과 같이 다른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골프 샤프트(1)의 횡단면 형상은 타원형 등 다른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골프 샤프트(1)의 길이는 37 ~ 41 inch(약 93.98 ~ 104.14 cm)로 되어 있다. 단, 골프 샤프트(1)는 37 inch보다 짧고 혹은 41 inch보다 길게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골프 샤프트(1)의 재질은 스틸이지만, 다른 재질이어도 무방하다. 다른 재질로는 다른 금속, 예를 들어 알루미늄이나 티타늄 혹은 그들의 합금, 또는 CFRP 등의 비금속, 혹은 금속과 비금속을 조합한 컴포지트재 등이 있다.
이러한 골프 샤프트(1)는 선단부(5), 기단부(7), 중간부(9)로 구성되어 있다.
선단부(5)는 축방향의 선단부이며, 축방향에서 골프 샤프트(1)의 선단으로부터 소정 범위의 영역을 말한다. 본 실시예의 선단부(5)는 골프 클럽의 헤드가 장착되는 부분이다. 이 선단부(5)는 골프 샤프트(1)의 기단측을 향하여 점차 약간 외경이 증가하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 선단부(5)는 외경을 일정하게 한 스트레이트형으로 형성해도 무방하다.
기단부(7)는 골프 샤프트(1)의 축방향의 기단부이고, 축방향에서 골프 샤프트(1)의 기단으로부터 소정 범위의 영역을 말한다. 본 실시예의 기단부(7)는 골프 클럽의 그립이 장착되는 부분이다. 이 기단부(7)는 외경을 일정하게 한 스트레이트 형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기단측으로 향하여 점차 약간 외경이 변화하는 테이퍼형으로 형성해도 무방하다.
중간부(9)는 선단부(5)와 기단부(7)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이며, 본체부(11)와 복수의 조정단부(13), 스트레이트부(15), 테이퍼부(16)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부(11)는 전체적으로 계단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이며, 복수의 단부(17)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단부(17)는 기단측으로 향하여 점차 외경이 커지도록 되어 있다. 각 단부(17)에서는 외경이 일정하게 되어 있지만, 외경을 기단측으로 향하여 점차 증가시켜도 무방하다.
본체부(11)의 계단 형상은 선단부(5)로부터 후술하는 중간점(P, 도 2 참조)까지의 인접한 단부 사이의 외경의 차이보다도 중간점(P)으로부터 기단부(7)까지의 인접한 단부(17) 사이의 외경 차이가 작다. 또한, 중간점(P)이 단부(17)의 도중에 위치하는 경우는, 그 단부(17)와 직전 또는 직후에 위치하는 단부(17)의 외경의 차이로부터, 거기까지의 단부(17) 사이의 외경의 차이보다도 작게 하면 된다. 또한, 중간점(P)으로부터 기단부(17)까지의 단부(17)는 선단부(5)로부터 중간점(P)까지의 단부(17)보다도 축방향의 치수가 길게 설정되어 있다.
이 본체부(11)는 골프 샤프트(1)의 플렉스의 바리에이션에 관계없이 형상이 변하지 않는 부분이다. 골프 샤프트(1)의 플렉스란 골프 샤프트(1)의 경도를 의미하며, 동일한 골프 샤프트(1)라 해도 복수의 바리에이션이 전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복수의 조정단부(13)는 골프 샤프트(1)의 플렉스를 조정하기 위한 단부이다. 이들 조정단부(13)의 수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플렉스가 단단해짐에 따라 감소한다. 이 때문에 플렉스에 따라서는 골프 샤프트(1)에 조정단부(13)가 없는 것도 있다. 또한, 조정단부(13)는 플렉스에 관계없이 전혀 구비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복수의 조정단부(13)는 본체부(11)에 대하여 선단측에 위치하며, 상이한 외경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조정단부(13)는 전체적으로 본체부(11)와 인접한 계단 형상이며, 본체부(11)의 계단 형상에 연속한다. 이들 조정단부(13)는 본체부(11)의 단부(17)와 마찬가지로 기단측으로 향하여 점차 외경이 커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조정단부(13)는 본체부(11)에 인접할 필요는 없으며, 조정단부(13)와 본체부(11) 사이에는 테이퍼부나 단부 등을 개재시켜도 무방하다.
각 조정단부(13)의 외경은 일정하게 되어 있다. 다만, 조정단부(13)의 외경은 기단측으로 향하여 점차 증가시켜도 무방하다. 복수의 조정단부(13)는 동일한 축방향의 길이를 가진다. 다만, 복수의 조정단부(13)의 축방향의 길이는 플렉스 전개에 따라 다르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트레이트부(15)는 조정단부(13)에 대하여 선단측에 위치하는 외경이 일정한 부분이다. 또한, 스트레이트부(15)는 조정단부(13)가 생략될 경우, 선단부(5)와 중간부(9)의 본체부(11) 사이에 끼워 넣으면 된다.
본 실시예의 스트레이트부(15)는 선단부(5)와 조정단부(13) 사이에 개재하며, 외경이 조정단부(13)의 가장 작은 것 보다도 작고, 선단부(5) 보다 크다. 이 스트레이트부(15)의 외경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플렉스가 단단해짐에 따라 크게 설정된다. 또한, 스트레이트부(15)는 조정단부(13)에 인접하여 있지만, 조정단부(13)와 스트레이트부(15) 사이에는 테이퍼부나 단부 등을 개재시켜도 된다.
테이퍼부(16)는 스트레이트부(15)와 선단부(5) 사이에 배치된 테이퍼형의 부분이며, 스트레이트부(15)와 선단부(5) 사이의 직경 차이를 흡수한다.
이러한 구성의 골프 샤프트(1)는 선단부(5)로부터 기단부(7)에 걸쳐 점차 강성이 증가하는 강성분포를 가지고 있다. 또한, 점차 강성이 증가한다는 것은 강성분포에서 선단부(5)로부터 기단부(7)에 이르는 근사직선(近似直線)의 기울기, 선단부(5)와 기단부(7)를 연결하는 선의 기울기, 혹은 선단부(5)로부터 기단부(7)에 이르는 선분의 기울기의 평균값 등이 양의 값을 갖는 것을 말한다. 이 한도 내에서, 선단부(5)로부터 기단부(7)에 이르기까지 강성이 약간 낮아지는 경우도 점차 강성이 증가하는 것에 포함된다.
강성이 낮아지는 경우에, 허용되는 강성의 저하량은 충분한 저탄도 및 저스핀을 얻기 위해, 선단부(5)와 기단부(7) 사이의 강성의 차이의 10 % 이하로 한다. 저하량이란 강성분포상 인접한 선단측의 산부(山部)와 기단측의 곡부(谷部) 사이의 강성의 차이를 말한다.
도 2는 골프 샤프트(1)의 강성분포를 나타낸다. 또한, 도 2에서 골프 샤프트(1)의 길이가 41 inch, 중량이 110 g으로 되어 있어서, 일반적인 동일 길이의 골프 샤프트보다 가볍다.
도 2의 강성분포와 같이, 본 실시예의 골프 샤프트(1)에서는 선단부(5) 및 기단부(7)의 강성이 일정하게 되어 있고, 선단부(5)로부터 기단부(7)에 이르는 부분으로서의 중간부(9)의 강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 강성분포는 골프 샤프트(1)의 계단 형상 및 두께에 따라 설정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단부(7)의 축방향 길이, 조정단부(13)의 수, 그리고 스트레이트부(15)의 외경의 설정에 따라 조정된다.
이러한 강성분포에서 중간부(9)는 기울기가 변하는 중간점(P)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기울기란 중간점(P)을 중심으로 한 선단측의 기울기와 기단측의 기울기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중간점(P)은 강성분포상 기울기가 변하는 점뿐만 아니라 이에 대응하는 골프 샤프트(1)의 축방향에서의 부위를 의미한다.
선단측의 기울기는 선단부(5)로부터 중간점(P)에 이르는 선분의 근사직선의 기울기, 선단부(5)와 중간점(P)을 연결하는 선의 기울기, 또는 선단부(5)로부터 중간점(P)에 이르는 선분의 기울기의 평균값 등이다. 기단측의 기울기는 중간점(P)으로부터 기단부(7)에 이르는 선분의 근사직선의 기울기, 중간점(P)과 기단부(7)를 연결하는 선의 기울기, 또는 중간점(P)으로부터 기단부(7)에 이르는 선분의 기울기의 평균값 등이다.
선단측의 기울기는 기단측의 기울기보다 크다. 이것은 계단 형상의 인접한 단부(17) 사이의 외경의 차이 및 축방향 치수의 차이에 의해 조정 가능하다.
 이러한 강성분포에서, 선단부(5)와 중간점(P) 사이의 강성의 차이는 3.00 kgf·㎡ ~ 5.00 kgf·㎡이며, 중간점(P)과 기단부(7) 사이의 강성의 차이는 2.00 kgf·㎡ 이하로 되어 있다. 선단부(5)의 강성은 본 실시예에서 선단으로부터 50 mm의 위치의 강성이지만, 선단부(5)의 강성이 변동하는 경우는 선단부(5)의 평균값, 최대값, 최소값 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단부(7)의 강성은 기단부(7)의 어느 한 부위의 강성을 말한다. 다만, 기단부(7)의 강성이 축방향으로 변동하는 경우는 평균값, 최대값, 최소값 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중간점(P)은 바람직하게는 골프 샤프트(1)의 선단으로부터의 거리가 골프 샤프트(1) 전체 길이의 40 % ~ 60 % 까지의 범위에 위치한다. 중간점(P)의 강성은 바람직하게는 5.40 kgf·㎡ ~ 8.00 kgf·㎡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선단부(5)의 강성은 2.20 kgf·㎡ 이상, 기단부(7)의 강성은 9.00 kgf·㎡ 이하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중간점(P)의 위치는 전체 길이의 50 %의 위치이며, 중간점(P)의 강성은 6.06 kgf·㎡로 되어 있다. 선단부(5)의 강성은 2.30 kgf·㎡, 기단부(7)의 강성은 7.39 kgf·㎡로 되어 있다. 또한, 중간점(P)의 위치 및 강성, 선단부(5) 및 기단부(7)의 강성은 상기 이외에도 적용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선단으로부터 전체 길이의 20 %의 위치에 이르기까지, 강성이 4.00 kgf·㎡를 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강성분포에 의해 본 실시예의 골프 샤프트(1)에서는 중간점(P)과의 관계에서 선단부(5)의 강성을 높게 또한 기단부(7)의 강성을 낮게 함으로써 휨이 느려져 타구 각도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중간점(P)의 강성이 높기때문에 스핀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본 실시예의 골프 샤프트(1)에서는 충분한 저탄도 및 저스핀을 얻을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골프 샤프트(1)의 타구각도와 스핀량을 비교예와 함께 도시하는 도표이며, 도 4는 도 2의 강성분포를 비교예의 강성분포와 함께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또한, 비교예 3만, 골프 클럽으로서의 번호를 실시예 및 다른 비교예와 맞추기 위해 길이가 39 인치로 되어 있다.
비교예 1은 저탄도 및 낮지 않은 스핀, 비교예 2는 고탄도 및 저스핀, 비교예 3은 탄도 및 스핀량이 모두 일반적인 것이다.
비교예 1은 비교예 3에 대하여 선단부측의 강성이 높게 설정되어 있음과 함께, 기단부의 강성이 낮게 설정되어 있다. 비교예 2는 비교예 3에 대하여 중간부로부터 기단부에 걸친 전 영역에서 강성이 높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비교예 3에 대하여 선단부로부터 중간부에 걸쳐 강성이 높게 설정되고, 중간부로부터 기단부에 걸쳐서 강성이 낮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중간부(9)의 강성이 비교예 1 및 비교예 2 사이에 위치한다.
이러한 차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서는 단지 선단부측의 강성을 향상시킨 비교예 1에 대하여, 동등한 타구각도로 하면서도 스핀량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스핀량에 대해서는 저스핀의 비교예 2보다도 훨씬 작게 할 수 있다.
  [골프 샤프트의 제조방법]
본 실시예의 골프 샤프트(1)의 제조방법에서는, 예를 들어 판재를 둥글게 말아서 내외경이 일정한 관(管)체를 형성한다. 이 관체에 대하여 계단 가공을 함과 함께 두께를 설정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기단부(7)의 축방향 길이, 조정단부(13)의 수 그리고 스트레이트부(15)의 외경의 설정에 의해 플렉스가 조정된다.
플렉스의 조정은 도 5의 기본형상에 대하여 행해진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골프 샤프트(1)의 제조방법을 위한 기본형상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기본형상은 중간부(9)가, 본체부(11), 복수의 조정단부(13), 및 스트레이트부(15)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기본형상은 3개의 조정단부(13)를 가지며, 그 만큼 도 1의 골프 샤프트(1)보다도 기단부(7)가 짧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기본형상은 테이퍼부(16)를 가지고 있지 않다. 그 외에는 도 1의 골프 샤프트(1)와 동일하다. 또한, 기본형상에서 조정단부(13)의 수나 각 부의 치수 등은 골프 샤프트(1)의 특성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플렉스의 조정은 기본형상에 대하여 하나 또는 복수의 조정단부(13)만큼 기단부(7)의 길이를 축방향으로 연장하고, 또한 기단부(7)의 길이 연장량에 대응하는 조정단부(13)를 제거하는 방식으로 행해진다. 이에 의해 본체부(11)의 강성분포를 변경하지 않고도 플렉스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스트레이트부(15)의 외경을, 제거한 조정단부(13) 내 가장 큰 외경과 동일하게 한다. 이에 의해 선단측의 강성을 향상시켜 선단부(5)로부터 중간점(P)까지의 강성분포의 기울기 상승을 억제하고 있다. 이 때, 선단부(5)와 스트레이트부(15)의 외경의 차이를 흡수하기 위해 테이퍼부(16)가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플렉스 조정(제조방법)은 저탄도 및 저스핀을 위한 골프 샤프트(1) 이외의 다른 골프 샤프트에도 적용가능하다. 그 다른 골프 샤프트에서는 플렉스 조정시에 선단부(5)로부터 중간점(P)에 이르는 강성분포의 기울기 상승을 억제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스트레이트부(15)의 외경은 플렉스 조정시에 변동시킬 필요가 없이, 기본형상을 그대로 유지해도 된다.
도 6 (A) ~ 도 6 (D)는 플렉스가 다른 저탄도 및 저스핀을 위한 골프 샤프트(1)를 도시한다. 도 6 (A) ~ 도 6 (D)의 골프 샤프트(1)는 그 순서로 플렉스가 단단해 지며, 각각 R, S, X, TX로 되어 있다.
도 6 (A)의 골프 샤프트(1)는 도 5의 기본형상과 동일하다. 도 6 (B)의 골프 샤프트(1)는 도 5의 골프 샤프트(1)와 동일하고, 기본형상에 대하여 가장 직경이 작은 조정단부(13)를 제거한 것이다. 도 6 (C)의 골프 샤프트(1)는 직경이 작은 쪽으로부터 조정단부(13)를 두 개 제거한 것이고, 도 6 (D)의 골프 샤프트(1)는 조정단부(13)를 모두 제거한 것이다.
도 6 (B) ~ 도 6 (D)의 골프 샤프트(1)는 각각 조정단부(13)의 한 개, 두 개, 세 개씩만큼 기단부(7)의 길이를 축방향으로 연장한 것이다. 또한, 도 6 (B) ~ 도 6 (D)의 골프 샤프트(1)는 스트레이트부(15)의 외경이 각각 조정단부(13)의 일단째, 이단째, 삼단째의 외경과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외경 설정에 의해, 도 6 (B) ~ 도 6 (D)의 골프 샤프트(1)에서는 스트레이트부(15)와 선단부(5)의 외경의 차이가 커지기 때문에, 테이퍼부(16)가 스트레이트부(15)와 선단부(5) 사이에 개설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트레이트부(15)와 선단부(5)의 외경의 차이가 커질수록 테이퍼부(16)가 축방향으로 길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테이퍼부(16)의 테이퍼 각도가 커지는 것이 억제되어 있다.
도 7 (A) 및 도 7 (B)는, 도 6 (A) ~ 도 6 (D)의 골프 샤프트(1)의 선단부, 중간점, 기단부의 강성을 비교예의 대응하는 강성과 함께 도시한 것으로, 도 7 (A)는 41 인치, 도 7 (B)는 37 인치의 경우이다. 도 7에서, 도 6 (A) ~ (D)의 골프 샤프트(1)는 각각 R, S, X, TX로 표시되어 있다. 중간-선단은 중간점(P)과 선단부(5) 사이의 강성의 차이를 나타내며, 기단-중간은 기단부(7)와 중간점(P) 사이의 강성 차이를 나타낸다. 도 7의 수치는 단위가 kgf·㎡이다.
도 7과 같이 본 실시예의 골프 샤프트(1)는 모두 중간-선단이 3.00 ~ 5.00 kgf·㎡이고, 또한 기단-중간이 2.00 kgf·㎡로 되어 있다. 이에 대해, 비교예 1 및 2는 중간-선단이 3.00 kgf·㎡ ~ 5.00 kgf·㎡ 및 기단-중간이 2.00 kgf·㎡ 이하를 동시에 만족시키지 못했다. 그 결과, 비교예 1 및 2에서는 도 3과 같이 저탄도 및 저스핀을 얻을 수 없는 것으로 되어 있다.
[실시예 1의 효과]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골프 샤프트(1)는 선단부(5)로부터 기단부(7)에 걸쳐 점차 증가하는 강성분포에서 선단부(5) 및 기단부(7) 사이의 중간부(9)에 기울기가 변하는 중간점(P)을 가지며, 선단부(5)와 중간부(9)의 중간점(P) 사이의 강성의 차이는 3.00 kgf·㎡ ~ 5.00 kgf·㎡이고, 중간부(9)의 중간점(P)과 기단부(7) 사이의 강성의 차이가 2.00 kgf·㎡ 이하이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의 골프 샤프트(1)에서는 중간점(P)과의 관계에서 선단부(5)의 강성을 높게, 또한 기단부(7)의 강성을 낮게 함으로써, 확실하게 타구각도를 작게 하고, 또한 확실하게 스핀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본 실시예의 골프 샤프트(1)에서는 충분한 저탄도 및 저스핀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골프 샤프트(1)에서는 중간점(P)이 골프 샤프트(1)의 선단으로부터의 거리가 골프 샤프트(1)의 전체 길이의 40 % ~ 60 % 까지의 범위에 위치하므로, 보다 확실하게 저탄도 및 저스핀을 얻을 수 있다.
골프 샤프트(1)는 선단부(5)와 기단부(7) 사이에 점차 외경이 커지는 계단 형상이며, 이 계단 형상은 선단부(5)로부터 중간점(P)까지의 인접한 단부(17) 사이의 외경의 차이보다도 중간점(P)으로부터 기단부(7)까지의 인접하는 단부(17) 사이의 외경의 차이가 작다.
이 때문에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저탄도 및 저스핀을 실현가능한 골프 샤프트(1)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골프 샤프트(1)의 제조방법은, 기본형상에 대하여 하나 또는 복수의 조정단부(13)만큼 기단부(7)의 길이를 축방향으로 연장하고, 또한 기단부(7)의 길이의 연장량에 대응하는 조정단부를 제거하는 것으로 플렉스가 다른 골프 샤프트(1)를 제조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부(11)의 강성분포를 변경하지 않고, 플렉스 전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조된 골프 샤프트(1)의 조정단부(13)의 수에 따라 플렉스를 외관상으로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조정단부(13)의 길이 및 직경의 설정에 의해, 원하는 플렉스 전개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스트레이트부(15)의 외경을 제거한 조정단부(13) 내의 가장 큰 외경과 동일하게 한다. 따라서, 저탄도 및 저스핀의 골프 샤프트(1)에 서 플렉스 전개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1 골프 샤프트
5 선단부
7 기단부
9 중간부
11 본체부
13 조정단부
15 스트레이트부
P 중간점

Claims (5)

  1. 선단부로부터 기단부에 걸쳐 점차 강성이 증가하는 강성분포를 가지며,
    상기 강성분포에서, 상기 선단부 및 상기 기단부 사이의 중간부에 기울기가 변하는 중간점을 가지며, 상기 선단부와 상기 중간점 사이의 강성의 차이가 3.00 kgf·㎡ ~ 5.00 kgf·㎡이고, 상기 중간점과 상기 기단부 사이의 강성의 차이가 2.00 kgf·㎡ 이하인 골프 샤프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간점은 선단으로부터의 거리가 전체 길이의 40 % ~ 60 % 까지의 범위에 위치하는 골프 샤프트.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와 상기 기단부 사이에서 점차 외경이 커지는 계단 형상이며,
    상기 계단 형상은, 상기 선단부로부터 상기 중간점까지의 인접한 단부 사이의 외경의 차이보다도 상기 중간점으로부터 상기 기단부까지의 인접하는 단부 사이의 외경 차이가 작은 골프 샤프트.
  4. 선단부로부터 기단부에 걸쳐 점차 강성이 증가하는 강성분포를 갖는 골프 샤프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와 상기 기단부 사이의 중간부가, 본체부와, 이 본체부에 대하여 선단측에 위치하는 외경이 다른 복수의 조정단부와, 이 조정단부에 대하여 선단측에 위치하는 외경이 일정한 스트레이트부를 갖는 기본형상에 대하여, 하나 또는 복수의 조정단부만큼 상기 기단부의 길이를 축방향으로 연장하고, 또한 상기 기단부의 길이의 연장량에 대응하는 조정단부를 제거하는 골프 샤프트의 제조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이트부의 외경을, 상기 제거한 조정단부 내의 가장 큰 외경과 동일하게 하는 골프 샤프트의 제조방법.
KR1020237037510A 2021-07-13 2022-03-01 골프 샤프트 및 그 제조방법 KR202301621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115758 2021-07-13
JP2021115758A JP7142274B1 (ja) 2021-07-13 2021-07-13 ゴルフシャフトの製造方法
PCT/JP2022/008647 WO2023286324A1 (ja) 2021-07-13 2022-03-01 ゴルフシャフト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2105A true KR20230162105A (ko) 2023-11-28

Family

ID=83436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7510A KR20230162105A (ko) 2021-07-13 2022-03-01 골프 샤프트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4371630A1 (ko)
JP (1) JP7142274B1 (ko)
KR (1) KR20230162105A (ko)
CN (1) CN117440854A (ko)
TW (1) TWI801205B (ko)
WO (1) WO2023286324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33831A (ja) 2012-08-09 2014-02-24 Nhk Spring Co Ltd ゴルフ・シャフト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1691A (en) 1995-06-07 1996-09-03 Somar Corporation Golf club shaft
JP3718559B2 (ja) * 1996-06-20 2005-11-24 ダイワ精工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シャフト
JP3810493B2 (ja) * 1996-10-30 2006-08-16 ダイワ精工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シャフト
CA2364060A1 (en) * 2000-12-01 2002-06-01 Mizuno Corporation Golf club shaft
JP2005152613A (ja) 2003-10-28 2005-06-16 Sumitomo Rubber Ind Ltd ゴルフクラブシャフト
JP4800741B2 (ja) 2005-10-24 2011-10-26 Sri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シャフト
JP5499630B2 (ja) * 2009-10-28 2014-05-21 ヤマハ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シャフト
JP5439259B2 (ja) 2010-03-31 2014-03-12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用シャフトセット
JP5868683B2 (ja) 2011-12-02 2016-02-24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用シャフト
US9533203B2 (en) * 2014-10-19 2017-01-03 Eaton Corporation Golf grip with enhanced vibration transmission
US10112086B2 (en) 2015-03-19 2018-10-30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Ascending weight iron shaft system
KR101960278B1 (ko) * 2015-08-03 2019-03-20 프란시스코 제이. 실릭 핸드 스윙 구현을 위한 스포츠 또는 연습 훈련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33831A (ja) 2012-08-09 2014-02-24 Nhk Spring Co Ltd ゴルフ・シャフ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801205B (zh) 2023-05-01
JP7142274B1 (ja) 2022-09-27
JP2023012237A (ja) 2023-01-25
TW202302189A (zh) 2023-01-16
EP4371630A1 (en) 2024-05-22
CN117440854A (zh) 2024-01-23
WO2023286324A1 (ja) 2023-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24673B2 (ja) ゴルフ・シャフト
US4288075A (en) Ultra light weight golf club shaft
US5316299A (en) Golf club shaft
US20060211511A1 (en) Shaft for use in golf clubs and other shaft-based instrument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A1186711A (en) Golf club shaft
US8956246B2 (en) Striking face of a golf club head
US2146048A (en) Golf club
US11517795B1 (en) Putter with bi-material shaft
JP2004008345A (ja) ゴルフクラブ
JP2008079969A (ja) ウッド型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6322458B1 (en) Golf club shaft
EP0395603A2 (en) A tapered wall shaft with reinforced tip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JP3117934B2 (ja) ゴルフクラブシャフト
JP3617797B2 (ja) ゴルフクラブのシャフト
US11045700B2 (en) Golf shaft
US20060128494A1 (en) Golf club shaft
KR20230162105A (ko) 골프 샤프트 및 그 제조방법
EP3338865A1 (en) Tennis racket frame
JP7162231B1 (ja) ゴルフシャフト
US20180345103A1 (en) Bat with filled exterior grooves
US6134937A (en) Golf club and shaft therefo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935017A (en) Golf club shaft
JP3684298B2 (ja) ゴルフクラブシャフト
JP4088185B2 (ja) 野球用またはソフトボール用バ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152613A (ja) ゴルフクラブシャフ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