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1882A - 아연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아연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1882A
KR20230161882A KR1020230058991A KR20230058991A KR20230161882A KR 20230161882 A KR20230161882 A KR 20230161882A KR 1020230058991 A KR1020230058991 A KR 1020230058991A KR 20230058991 A KR20230058991 A KR 20230058991A KR 20230161882 A KR20230161882 A KR 20230161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orous
secondary battery
coating film
zinc second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8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스야마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230161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188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24Alkaline accumulators
    • H01M10/2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281Large cells or batteries with stacks of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24Alkaline accumulators
    • H01M10/2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50/451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layers of only organic material and layers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24Alkaline 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24Alkaline accumulators
    • H01M10/26Selection of materials as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36Accumula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M10/05-H01M10/34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2/00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2/04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composed of a half-cell of the fuel-cell type and of a half-cell of the primary-cell type
    • H01M12/06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composed of a half-cell of the fuel-cell type and of a half-cell of the primary-cell type with one metallic and one gaseous electr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24Electrodes for alkaline accumulators
    • H01M4/244Zinc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01M50/417Polyolef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31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31Inorganic material
    • H01M50/434Ceram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Fibrous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50/454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a non-fibrous layer and a fibrous layer superimposed on one ano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50/457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three or mor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H01M50/491Poros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02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14Alkaline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ell Separator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과제) 본 개시는, 사이클 특성이 개선된 아연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본 개시의 아연 이차 전지는, 정극층, 피복막 부착 다공질 필름층, 및 부극층을 이 순서로 갖고 있고, 또한 상기 정극층, 상기 피복막 부착 다공질 필름층, 및 상기 부극층에 전해액이 함침되어 있는, 아연 이차 전지로서, 상기 피복막 부착 다공질 필름층은, 다공질 필름층 및 상기 다공질 필름층 상에 형성되어 있는 다공질 피복막을 갖고 있고, 상기 피복막 부착 다공질 필름층은, 상기 부극층에 직접 인접되어 있고, 또한 상기 다공질 피복막은, Mg(OH)2, Mg2P2O7, MgTiO3, MgCO3, Ca(OH)2, CaSO4, Ca2P2O7, SrTiO3, SrF2, TiO2, SnO2, Zr(OH)4, 및 ZrO2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함유하고 있는, 아연 이차 전지이다.

Description

아연 이차 전지{ZINC SECONDARY BATTERY}
본 개시는 아연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 은, 정극에 대향하는 제 1 막과 부극에 대향하는 제 2 막을 적어도 갖는 세퍼레이터를 구비하고 있고, 제 1 막이 내알칼리성 미공막이며, 제 2 막이 폴리비닐알코올막이며, 제 1 막은, 니켈, 철, 코발트, 백금, 팔라듐, 인듐, 크롬, 망간, 티탄, 및 이들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 중에서 임의로 선택된 금속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칼리 아연 축전지를 개시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73541호
아연 이차 전지를 반복 충방전했을 때의 충방전 용량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 즉 아연 이차 전지의 사이클 특성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본 개시는, 사이클 특성이 개선된 아연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자는, 이하의 수단에 의해 상기 과제를 달성할 수 있음을 알아냈다 :
《양태 1》
정극층, 피복막 부착 다공질 필름층, 및 부극층을 이 순서로 갖고 있고, 또한 상기 정극층, 상기 피복막 부착 다공질 필름층, 및 상기 부극층에 전해액이 함침되어 있는, 아연 이차 전지로서,
상기 피복막 부착 다공질 필름층은, 다공질 필름층 및 상기 다공질 필름층 상에 형성되어 있는 다공질 피복막을 갖고 있고,
상기 피복막 부착 다공질 필름층은, 상기 부극층에 직접 인접되어 있고, 또한
상기 다공질 피복막은, Mg(OH)2, Mg2P2O7, MgTiO3, MgCO3, Ca(OH)2, CaSO4, Ca2P2O7, SrTiO3, SrF2, TiO2, SnO2, Zr(OH)4, 및 ZrO2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함유하고 있는, 아연 이차 전지.
《양태 2》
상기 피복막 부착 다공질 필름층보다 상기 정극층 측에 부직포층을 추가로 갖고 있는, 양태 1 에 기재된 아연 이차 전지.
《양태 3》
상기 부직포층보다 상기 정극층 측에 다공질 필름층을 추가로 갖고 있는, 양태 2 에 기재된 아연 이차 전지.
《양태 4》
상기 다공질 필름층은, 다공질 수지 필름층인, 양태 1 ∼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아연 이차 전지.
《양태 5》
상기 다공질 수지 필름층은, 폴리올레핀계 다공질층, 폴리아미드계 다공질층, 또는 나일론계 다공질층인, 양태 4 에 기재된 아연 이차 전지.
《양태 6》
상기 전해액은, 알칼리 전해액인, 양태 1 ∼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아연 이차 전지.
《양태 7》
상기 전해액은, Zn(OH)4 2- 를 함유하고 있는, 양태 1 ∼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아연 이차 전지.
본 개시에 의하면, 사이클 특성이 개선된 아연 이차 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개시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아연 이차 전지 (100) 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 는, 본 개시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아연 이차 전지 (101) 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 은, 본 개시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아연 이차 전지 (102) 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 는, 본 개시의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아연 이차 전지 (103) 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 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와는 상이한 아연 이차 전지 (200) 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 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와는 상이한 또 다른 아연 이차 전지 (201) 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 은, 실시예 1 ∼ 13, 그리고 비교예 1 및 2 의 아연 이차 전지의 사이클 수명/용량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8 은, 실시예 1, 그리고 비교예 1, 3, 및 4 의 아연 이차 전지의 사이클 수명/용량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히 서술한다. 또한, 본 개시는, 이하의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개시의 본 취지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아연 이차 전지는, 정극층, 피복막 부착 다공질 필름층, 및 부극층을 이 순서로 갖고 있고, 또한 정극층, 피복막 부착 다공질 필름층, 및 부극층에 전해액이 함침되어 있는, 아연 이차 전지로서, 피복막 부착 다공질 필름층은, 다공질 필름층 및 다공질 필름층 상에 형성되어 있는 다공질 피복막을 갖고 있고, 피복막 부착 다공질 필름층은, 부극층에 직접 인접되어 있고, 또한 다공질 피복막은, Mg(OH)2, Mg2P2O7, MgTiO3, MgCO3, Ca(OH)2, CaSO4, Ca2P2O7, SrTiO3, SrF2, TiO2, SnO2, Zr(OH)4, 및 ZrO2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함유하고 있는, 아연 이차 전지이다.
본 개시의 아연 이차 전지는, 예를 들어 니켈 아연 이차 전지, 산화은아연 이차 전지, 산화망간아연 이차 전지, 아연공기 이차 전지, 및 그 외 각종 알칼리아연 이차 전지여도 된다. 이와 같은 아연 이차 전지에서는, 부극에 있어서 하기 반응식 (1) 과 같은 방전 반응이 실시되고, 이와 같이 하여 발생한 징케이트 아니온 (Zn(OH)4 2-) 이 전해액 중을 이동하고, 하기 반응식 (2) 에서와 같이 하여 의도하지 않은 지점에서 산화아연 (ZnO) 으로서 석출되는 경우가 있다.
방전 반응 : Zn+4OH-→Zn(OH)4 2-+2e- … 반응식 (1)
석출 반응 : Zn(OH)4 2-→ZnO+H2O+2OH- … 반응식 (2)
대체로, 아연 이차 전지는, 충방전을 반복함으로써 충방전 용량이 저하될 수 있다. 충방전 용량의 저하의 하나의 원인으로서 산화아연 (ZnO) 의 부극에서의 편석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편석을 억제함으로써, 아연 이차 전지의 충방전 용량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부극층에 있어서의 산화아연의 편석은, 충방전의 반복에 의한 전해액 중의 Zn(OH)4 2- 의 농도 불균일을 하나의 원인으로 한다.
본 개시의 아연 이차 전지에서는, 특정한 종류의 금속 화합물, 즉 Mg(OH)2, Mg2P2O7, MgTiO3, MgCO3, Ca(OH)2, CaSO4, Ca2P2O7, SrTiO3, SrF2, TiO2, SnO2, Zr(OH)4, 및 ZrO2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함유하고 있는 다공질 피복막을 갖는 피복막 부착 다공질 필름층이, 부극층에 직접 인접되어 있다.
상기 금속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는 다공질 피복막이 부극층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으면, Zn(OH)4 2- 의 전해액 중에서의 확산, 특히 부극층의 근방으로부터 정극층 측으로의 확산이 억제된다. 또, 바람직하게는 Zn(OH)4 2- 가 부극층 근방에 머문다.
따라서, 본 개시의 아연 이차 전지에서는, 부극층에 있어서의 산화아연의 편석이 억제됨으로써, 아연 이차 전지를 반복 충방전했을 때의 충방전 용량의 저하가 억제된다. 즉, 본 개시의 아연 이차 전지에서는, 아연 이차 전지의 사이클 특성이 개선된다.
또한, 대체로 전해액이 사용되는 아연 이차 전지에서는, 전해액의 유지 등의 관점에서, 부극층과 정극층의 사이에 부직포층이 배치되는 경우가 있다. 다공질 피복막을 부직포층에 직접 형성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었지만, 그러한 구성으로는, 아연 이차 전지의 사이클 특성의 개선은 얻어지지 않았다.
도 1 은, 본 개시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아연 이차 전지 (100) 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아연 이차 전지 (100) 는, 정극층 (10), 피복막 부착 다공질 필름층 (20), 및 부극층 (30) 을 이 순서로 갖고 있고, 또한 정극층 (10), 피복막 부착 다공질 필름층 (20), 및 부극층 (30) 에 전해액이 함침되어 있는, 아연 이차 전지 (100) 이다. 정극층 (10) 은, 정극 집전체층 (11) 과 정극 활물질층 (12) 이 서로 적층된 구조를 갖고 있다. 마찬가지로, 부극층 (30) 도, 부극 집전체층 (32) 과 부극 활물질층 (31) 이 서로 적층된 구조를 갖고 있다.
본 개시의 아연 이차 전지 (100) 에 있어서, 피복막 부착 다공질 필름층 (20) 은, 다공질 필름층 (21) 및 다공질 필름층 (21) 상에 형성되어 있는 다공질 피복막 (22) 을 갖고 있다. 피복막 부착 다공질 필름층 (20) 은, 부극층 (30) 에 직접 인접되어 있다. 특히, 도 1 에서는, 다공질 피복막 (22) 이 부극층 (30) 에 직접 인접되어 있다.
다공질 피복막 (22) 은, Mg(OH)2, Mg2P2O7, MgTiO3, MgCO3, Ca(OH)2, CaSO4, Ca2P2O7, SrTiO3, SrF2, TiO2, SnO2, Zr(OH)4, 및 ZrO2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함유하고 있다.
본 개시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아연 이차 전지 (100) 는, 상기 금속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는 다공질 피복막 (22) 이 부극층 (30), 특히 부극 활물질층 (31) 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전해액에 용해되어 있는 Zn(OH)4 2- 의 전해액 중에서의 확산, 특히 다공질 피복막 (22) 을 넘어 정극층 (10) 측으로의 확산이 억제된다. 또, 바람직하게는 Zn(OH)4 2- 가 부극층 (30) 의 근방, 특히 부극 활물질층 (31) 의 근방에 머문다. 이로써, 부극층 (30), 구체적으로는 부극 활물질층 (31) 에 있어서의 산화아연의 편석이 억제되고, 결과적으로 아연 이차 전지 (100) 의 사이클 특성의 개선이 얻어진다.
도 2 는, 본 개시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아연 이차 전지 (101) 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아연 이차 전지 (101) 에서는, 도 1 에 나타내는 구성과 비교하여, 피복막 부착 다공질 필름층 (20) 에 있어서의 다공질 필름층 (21) 과 다공질 피복막 (22) 의 적층의 순서가 상이하다. 즉, 도 2 에 나타내는 아연 이차 전지 (101) 에서는, 다공질 피복막 (22) 은, 다공질 필름층 (21) 을 개재하여 부극층 (30), 구체적으로는 부극 활물질층 (31) 과 인접되어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구성에서는, 도 1 에 나타내는 구성과 비교하여 다공질 피복막 (22) 이 부극층 (30) 에 대해 이간되어 있기는 하지만, 다공질 피복막 (22) 과 부극층 (30) 의 거리가 충분히 가깝기 때문에, Zn(OH)4 2- 의 전해액 중에서의 확산이 억제되고, 결과적으로 아연 이차 전지 (101) 의 사이클 특성의 개선이 얻어진다.
도 3 은, 본 개시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아연 이차 전지 (102) 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아연 이차 전지 (102) 에서는, 도 1 에 나타내는 구성에 더해, 부직포층 (40) 이 피복막 부착 다공질 필름층 (20) 과 정극층 (10) 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도, 도 1 에 나타내는 구성과 동일한 이유에 의해, 아연 이차 전지 (102) 의 사이클 특성의 개선이 얻어진다.
도 4 는, 본 개시의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아연 이차 전지 (103) 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아연 이차 전지 (103) 에서는, 도 3 에 나타내는 구성에 더해, 부직포층 (40) 과 정극층 (10) 의 사이에 다공질 필름층 (50) 을 추가로 갖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도, 도 1 에 나타내는 구성과 동일한 이유에 의해, 아연 이차 전지 (102) 의 사이클 특성의 개선이 얻어진다.
또한, 도 1 ∼ 4 는, 본 개시의 아연 이차 전지를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본 개시의 아연 이차 전지와 달리, 예를 들어 이하의 도 5 및 6 에 나타내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와는 상이한 아연 이차 전지 (200 및 201) 에서는, 아연 이차 전지의 사이클 특성의 개선은 얻어지지 않는다.
도 5 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와는 상이한 아연 이차 전지 (200) 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형태와는 상이한 아연 이차 전지 (200) 에서는, 도 1 에 나타내는 구성과 비교하여, 부직포층 (40) 이 피복막 부착 다공질 필름층 (20) 과 부극층 (30) 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다공질 피복막 (22) 과 부극층 (30) 의 사이에 부직포층 (40) 이 배치되어 있고, 다공질 피복막 (22) 이 부극층 (30) 에 대해 크게 이간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전해액에 용해되어 있는 Zn(OH)4 2- 의 전해액 중에서의 확산, 특히 부극층의 근방으로부터 정극층 측으로의 확산이 억제되지 않는다. 따라서, 아연 이차 전지의 사이클 특성의 개선은 얻어지지 않는다.
또, 도 6 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와는 상이한 또 다른 아연 이차 전지 (201) 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형태와는 또 다른 아연 이차 전지 (201) 에서는, 도 1 에 나타내는 구성과 마찬가지로, 피복막 부착 다공질 필름층 (20) 자체는 부극층에 직접 인접되어 있다. 그러나, 도 6 에 나타내는 구성에서는, 피복막 부착 다공질 필름층 (20) 대신에, 부직포층 (40) 에 다공질 피복막 (22) 이 직접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다공질 피복막을 충분히 조밀하게 형성할 수 없기 때문에, 전해액에 용해되어 있는 Zn(OH)4 2- 의 전해액 중에서의 확산, 특히 부극층의 근방으로부터 정극층 측으로의 확산을 충분히 억제할 수 없어, 아연 이차 전지의 사이클 특성의 개선은 얻어지지 않는다.
《정극층》
정극층은, 정극 집전체 상에 정극 활물질층이 적층된 구조, 예를 들어 정극 집전체의 표면이 정극 활물질층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정극 집전체)
정극 집전체는, 도전성을 갖는 재료,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 니켈, 혹은 티탄 등의 금속, 또는 카본 등이어도 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정극 집전체의 재료는, 니켈이어도 된다.
집전체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봉상, 박상, 판상, 메시상, 또는 다공체 등을 들 수 있다. 집전체는, 금속인 셀멧이어도 된다.
(정극 활물질층)
정극 활물질층은, 정극 활물질, 그리고 임의로 바인더 및 그 밖의 첨가물을 함유하고 있다. 정극 활물질은, 아연 이차 전지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정극 활물질은, 예를 들어, 수산화니켈, 옥시수산화니켈, 수산화망간, 옥시수산화망간, 이산화망간, 은, 산화은, 및 산소 가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바인더로는, 예를 들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SBR)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세퍼레이터층》
본 개시의 아연 이차 전지는, 정극층과 부극층의 사이에, 세퍼레이터층을 갖고 있다. 여기서, 본 개시의 아연 이차 전지에 있어서의 피복막 부착 다공질 필름층은, 세퍼레이터층의 전체 또는 일부이다.
세퍼레이터층은, 피복막 부착 다공질 필름층 이외에도, 복수의 층, 예를 들어 부직포층 및 피복막 부착 다공질 필름층을 구성하고 있는 다공질 필름층과는 별개의 다공질 필름층을 추가로 갖고 있을 수 있다.
세퍼레이터층이 피복막 부착 다공질 필름층 이외의 다른 층을 갖고 있는 경우, 이들 층은, 피복막 부착 다공질 필름층과 정극층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피복막 부착 다공질 필름층〉
피복막 부착 다공질 필름층은, 다공질 필름층 및 다공질 필름층 상에 형성되어 있는 다공질 피복막을 갖고 있다.
피복막 부착 다공질 필름층은, 부극층에 직접 인접되어 있다. 피복막 부착 다공질 필름층은, 다공질 필름층 또는 다공질 피복막의 어느 일방이 부극층에 대향하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전해액 중의 Zn(OH)4 2- 의 확산을 보다 억제하는 관점에서, 피복막 부착 다공질 필름층은, 다공질 피복막이 부극층에 대향하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직접 인접되어 있는」이란, 사이에 다른 층을 포함하지 않는 상태로 인접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다공질 필름층)
다공질 필름층은, 절연성이며, 또한 막의 양면을 관통하고 있는 관통공을 갖는 다공질의 층이다. 다공질 필름층은, 소수성 또는 친수성이어도 된다.
다공질 필름층의 다공률 및 평균 세공경은, 아연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에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다공도 및 세공경이어도 된다.
다공질 필름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10 ㎛ ∼ 1000 ㎛ 여도 된다. 다공질 필름층의 두께는, 10 ㎛ 이상, 50 ㎛ 이상, 또는 100 ㎛ 이상이어도 되고, 1000 ㎛ 이하, 500 ㎛ 이하, 또는 200 ㎛ 이하여도 된다.
다공질 필름층은, 예를 들어 수지 다공질 필름층, 보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올레핀계 다공질층, 폴리아미드계 다공질층, 또는 나일론계 다공질층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다공질 필름층은, 예를 들어 친수성 관능기를 부여함으로써 친수화 처리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다공질 필름층이 「다공질」이라는 것은, 층의 표리를 관통하는 관통공을 복수 갖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다공질 필름층은, 예를 들어 스펀지상의 층이어도 된다.
(다공질 피복막)
다공질 피복막은, Mg(OH)2, Mg2P2O7, MgTiO3, MgCO3, Ca(OH)2, CaSO4, Ca2P2O7, SrTiO3, SrF2, TiO2, SnO2, Zr(OH)4, 및 ZrO2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함유하고 있다.
다공질 피복막은, 예를 들어 상기 금속 화합물과 바인더를 분산매에 분산시켜 잉크를 조제하고, 다공질 필름층 상에 도포·건조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부직포층〉
본 개시의 아연 이차 전지는, 피복막 부착 다공질 필름층보다 정극층 측에 부직포층을 추가로 갖고 있을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본 개시의 아연 이차 전지에 있어서, 세퍼레이터층은, 부극층 측으로부터 차례로, 피복막 부착 다공질 필름층 및 부직포층이 적층된 구조를 갖고 있을 수 있다.
부직포층은,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계 부직포여도 된다.
〈다공질 필름층〉
본 개시의 아연 이차 전지는, 피복막 부착 다공질 필름층보다 정극층 측에 다공질 필름층을 추가로 갖고 있을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본 개시의 아연 이차 전지에 있어서, 세퍼레이터층은, 예를 들어, 부극층 측으로부터 차례로, 피복막 부착 다공질 필름층, 부직포층, 및 다공질 필름층이 적층된 구조를 갖고 있을 수 있다.
《부극층》
부극층은, 부극 집전체 상에 부극 활물질층이 적층된 구조, 예를 들어 부극 집전체의 표면이 부극 활물질층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부극 집전체)
부극 집전체는, 도전성을 갖는 재료,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 알루미늄, 구리, 니켈, 철, 주석, 혹은 티탄 등의 금속, 또는 카본 등이어도 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부극 집전체의 재료는, 주석이어도 된다.
집전체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봉상, 박상, 판상, 메시상, 또는 다공체 등을 들 수 있다. 집전체는, 금속인 셀멧이어도 된다.
(부극 활물질층)
부극 활물질층은, 아연 및 산화아연, 그리고 임의로 바인더 및 그 밖의 첨가물을 함유하고 있다. 아연계 부극 활물질층은, 추가로, 예를 들어 아연산칼슘과 같은 아연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을 수 있다.
바인더로는, 예를 들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SBR) 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TFE)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전해액》
본 개시의 아연 이차 전지에서는, 정극층, 피복막 부착 다공질 필름층, 및 부극층에 전해액이 함침되어 있다.
전해액은, 수용액, 보다 구체적으로는 알칼리 전해액일 수 있다. 알칼리 전해액은,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을 함유하고 있는 전해액,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수산화리튬, 또는 수산화암모늄 등을 들 수 있다. 전해액으로는, 수산화칼륨이 바람직하다. 전해액은, 그 밖의 무기·유기 첨가물을 추가로 함유하고 있을 수 있다.
전해액은, 추가로 산화아연이 용해되어 있을 수 있다. 산화아연은, 상온에 있어서 포화 상태로 전해액 중에 용해되어 있어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전해액은, Zn(OH)4 2- 를 함유하고 있을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 13, 그리고 비교예 1 및 2》
이하와 같이 하여, 실시예 1 의 아연 이차 전지를 조제하였다.
〈전해액의 조제〉
4 mol/L 및 8 mol/L 의 수산화칼륨 수용액을 사용하여 6 mol/L 의 수산화칼륨 수용액을 조제하였다. 6 mol/L 의 수산화칼륨 수용액에, 침전물이 잔존할 때까지 ZnO 를 첨가하고, 25 ℃ 의 항온조에서 3 시간 이상 조온하고, 전해액으로 하였다.
〈세퍼레이터층의 조제〉
부직포 세퍼레이터를, 친수화 처리한 폴리프로필렌 세퍼레이터로 협지하여, 세퍼레이터로 하였다. 폴리프로필렌 세퍼레이터는, 두께 20 ㎛ 였다.
이어서, 폴리프로필렌 세퍼레이터에 다공질 피복막을 형성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표 1 에 나타내는 각 예에 사용한 금속 화합물 분말,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SBR)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CMC) 를, 질량비로 97.0 : 2.5 : 0.5 가 되도록 칭량하고, 유발로 혼련하고, 그 후, 물로 단단함을 조정하여 아와토리렌타로로 2000 rpm, 1 분 혼합하고, 다공질 피복막 형성용 잉크를 조제하였다. 다공질 피복막 형성용 잉크를, 폴리프로필렌 세퍼레이터의 표면에 닥터 블레이드로 도공하고, 자연 건조시킨 후에, 80 ℃ 의 감압 환경에서 하룻밤 건조시킴으로써, 다공질 피복막을 형성하였다. 또한, 비교예 1 에서는 폴리프로필렌 세퍼레이터에 다공질 피복막을 형성하지 않았다.
Figure pat00001
또한, 폴리프로필렌 세퍼레이터의 친수화 처리는, 에탄올을 50 g, 초순수를 50 g 혼합한 용액에 계면 활성제를 1 g 첨가, 용액을 충분히 확산시킨 후에, 폴리프로필렌 세퍼레이터를 7 ㎝ 로 컷하고, 용액에 1 분간 침지시키고, 침지된 세퍼레이터를 끌어올리면 자연 건조를 실시하고, 그 후 40 ℃ 의 항온조에서 3 시간 이상 정치함으로써 조제하였다.
〈정극층의 조제〉
Ni(OH)2 (포함하는 보조제), SBR, 및 CMC 를 질량비로 97.0 : 2.5 : 0.5 가 되도록 칭량하고, 유발로 혼련하고, 그 후, 물로 단단함을 조정하여 아와토리렌타로로 2000 rpm, 1 분 혼합하여, 정극 합재 잉크를 조제하였다. 정극 합재 잉크를 Ni 박 표면에 닥터 블레이드로 도공하고, 자연 건조시킨 후에, 80 ℃ 의 감압 환경에서 하룻밤 건조시킴으로써, 정극층을 조제하였다.
〈부극층의 조제〉
ZnO, Zn, SBR, 및 CMC 를, 질량비로 77.0 : 20.0 : 2.5 : 0.5 가 되도록 칭량하고, 유발로 혼련하고, 그 후 물로 단단함을 조정하여 아와토리렌타로로 2000 rpm, 1 분 혼합하여, 부극 합재 잉크를 조제하였다. 부극 합재 잉크를 Sn 도금을 실시한 Cu 박 표면에 닥터 블레이드로 도공하고, 자연 건조시킨 후에, 80 ℃ 의 감압 환경에서 하룻밤 건조시킴으로써, 부극층을 조제하였다.
〈전지의 조립〉
정극층, 세퍼레이터층, 및 부극층이 이 순서가 되도록 하여 적층하여, 전지 케이스 내에 수용하였다. 그 후, 전지 케이스 내에 전해액을 채워, 아연 이차 전지로 하였다.
또한, 세퍼레이터층은, 부극층 측으로부터 차례로, 다공질 피복막, 폴리프로필렌 세퍼레이터, 부직포 세퍼레이터, 및 폴리프로필렌 세퍼레이터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었다.
〈충방전 사이클 시험〉
각 예의 아연 이차 전지에 대해, 각각 충방전 사이클 시험을 실시하고, 방전 용량이 초기치로부터 70 % 를 밑돈 사이클수를 구하였다.
충방전 사이클 시험은, 정극층의 이론 충전 용량을 100 % 로 했을 때의 충전 상태 (SOC) 0 % ∼ 50 % 를 충방전 범위로 실시했다. C 레이트는 3.5 ㎃/㎠ 였다. 컷 전압은, 충전시가 2 V 이며, 방전시가 1.3 V 였다. 사이클 시험은, 사이클마다 5 분의 간격을 두고 실시했다.
각 예의 아연 이차 전지에 대해, 방전 용량이 초기치로부터 70 % 를 밑돈 사이클수를, 사이클 수명으로 하고, 부극/정극의 용량비로 나눈 값 (사이클 수명/용량비) 을 구하였다.
〈결과〉
결과를 도 7 에 나타낸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공질 피복막의 재료로서 각각 차례로 Mg(OH)2, Mg2P2O7, MgTiO3, MgCO3, Ca(OH)2, CaSO4·2H2O, Ca2P2O7, SrTiO3, SrF2, TiO2, SnO2, Zr(OH)4 및, ZrO2 를 사용한 실시예 1 ∼ 13 의 아연 이차 전지에서는, 다공질 피복막을 형성하지 않았던 비교예 1 과 비교하여, 사이클 수명/용량비가 커, 사이클 특성이 개선된 것을 나타낸다.
한편, 다공질 피복막의 재료로서 MgF2 를 사용한 비교예 2 에서는, 다공질 피복막을 형성하지 않았던 비교예 1 보다 사이클 수명/용량비가 작아, 사이클 특성이 오히려 악화되었다.
《실시예 1, 그리고 비교예 1, 3, 및 4》
〈아연 이차 전지의 조제〉
실시예 1 및 비교예 1 은, 상기《실시예 1 ∼ 13, 그리고 비교예 1 및 2》에 있어서 조제한 것과 같다.
비교예 3 의 아연 이차 전지는, 세퍼레이터층이, 부극층 측으로부터 차례로, 폴리프로필렌 세퍼레이터, 부직포 세퍼레이터, 폴리프로필렌 세퍼레이터, 및 다공질 피복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던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제작하였다.
비교예 4 의 아연 이차 전지는, 세퍼레이터층으로서, 부직포 세퍼레이터에 직접 다공질 피복막 형성용 잉크를 도공하여 다공질 피복막을 형성한 것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제작하였다. 또한, 비교예 4 의 아연 이차 전지가 갖는 세퍼레이터층은, 부극층 측으로부터 차례로, 다공질 피복막 및 부직포 세퍼레이터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었다.
즉, 각 예의 아연 이차 전지의 세퍼레이터층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 (부극측) 다공질 피복막/폴리프로필렌 세퍼레이터/부직포 세퍼레이터/폴리프로필렌 세퍼레이터 (정극측)
비교예 1 : (부극측) 폴리프로필렌 세퍼레이터/부직포 세퍼레이터/폴리프로필렌 세퍼레이터 (정극측)
비교예 3 : (부극측) 폴리프로필렌 세퍼레이터/부직포 세퍼레이터/폴리프로필렌 세퍼레이터/다공질 피복막 (정극측)
비교예 4 : (부극측) 다공질 피복막/부직포 세퍼레이터 (정극측)
〈시험〉
상기《실시예 1 ∼ 13, 그리고 비교예 1 및 2》의〈충방전 사이클 시험〉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각 예의 아연 이차 전지에 대해 충방전 사이클 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
결과를 도 8 에 나타낸다.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연 이차 전지의 세퍼레이터층의 구성이, (부극측) 폴리프로필렌 세퍼레이터/부직포 세퍼레이터/폴리프로필렌 세퍼레이터 (정극측) 였던 실시예 1 의 아연 이차 전지에 비해, 아연 이차 전지의 세퍼레이터층의 구성이, (부극측) 폴리프로필렌 세퍼레이터/부직포 세퍼레이터/폴리프로필렌 세퍼레이터 (정극측) 였던 비교예 1, (부극측) 폴리프로필렌 세퍼레이터/부직포 세퍼레이터/폴리프로필렌 세퍼레이터/다공질 피복막 (정극측) 이었던 비교예 3, 및 (부극측) 다공질 피복막/부직포 세퍼레이터 (정극측) 였던 비교예 4 는, 모두 사이클 수명/용량비가 작았다.
100 ∼ 103, 그리고 200 및 201 : 아연 이차 전지
10 : 정극층
11 : 정극 집전체층
12 : 정극 활물질층
20 : 피복막 부착 다공질 필름층
21 : 다공질 필름층
22 : 다공질 피복막
30 : 부극층
31 : 부극 활물질층
32 : 부극 집전체층
40 : 부직포층
50 : 다공질 필름층

Claims (7)

  1. 정극층, 피복막 부착 다공질 필름층, 및 부극층을 이 순서로 갖고 있고, 또한 상기 정극층, 상기 피복막 부착 다공질 필름층, 및 상기 부극층에 전해액이 함침되어 있는, 아연 이차 전지로서,
    상기 피복막 부착 다공질 필름층은, 다공질 필름층 및 상기 다공질 필름층 상에 형성되어 있는 다공질 피복막을 갖고 있고,
    상기 피복막 부착 다공질 필름층은, 상기 부극층에 직접 인접되어 있고, 또한
    상기 다공질 피복막은, Mg(OH)2, Mg2P2O7, MgTiO3, MgCO3, Ca(OH)2, CaSO4, Ca2P2O7, SrTiO3, SrF2, TiO2, SnO2, Zr(OH)4, 및 ZrO2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함유하고 있는, 아연 이차 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막 부착 다공질 필름층보다 상기 정극층 측에 부직포층을 추가로 갖고 있는, 아연 이차 전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층보다 상기 정극층 측에 다공질 필름층을 추가로 갖고 있는, 아연 이차 전지.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 필름층은, 다공질 수지 필름층인, 아연 이차 전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 수지 필름층은, 폴리올레핀계 다공질층, 폴리아미드계 다공질층, 또는 나일론계 다공질층인, 아연 이차 전지.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은, 알칼리 전해액인, 아연 이차 전지.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은, Zn(OH)4 2- 를 함유하고 있는, 아연 이차 전지.
KR1020230058991A 2022-05-19 2023-05-08 아연 이차 전지 KR202301618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2082325A JP2023170509A (ja) 2022-05-19 2022-05-19 亜鉛二次電池
JPJP-P-2022-082325 2022-05-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1882A true KR20230161882A (ko) 2023-11-28

Family

ID=85704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8991A KR20230161882A (ko) 2022-05-19 2023-05-08 아연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378608A1 (ko)
EP (1) EP4283714A1 (ko)
JP (1) JP2023170509A (ko)
KR (1) KR20230161882A (ko)
CN (1) CN11709646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3541A (ja) 1994-11-24 2006-03-16 Yuasa Corp アルカリ亜鉛蓄電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63234B2 (en) * 2016-05-25 2019-04-16 Grst International Limited Asymmetric separator for secondary battery
KR102126371B1 (ko) * 2017-09-11 2020-06-25 주식회사 유뱃 전기화학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JP2021197340A (ja) * 2020-06-18 2021-12-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亜鉛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3541A (ja) 1994-11-24 2006-03-16 Yuasa Corp アルカリ亜鉛蓄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83714A1 (en) 2023-11-29
CN117096464A (zh) 2023-11-21
JP2023170509A (ja) 2023-12-01
US20230378608A1 (en) 2023-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28768C2 (ru) Новый серебряный положительный электрод для щелочных аккумуляторных батарей
JP2009518795A (ja) 2機能性空気電極
JP6234917B2 (ja) 金属−空気二次電池用負極材料、及びこれを備える金属−空気二次電池
US20150162571A1 (en) Concave cell design for an alkaline battery with a comb spacer
JP6352884B2 (ja) 金属−空気二次電池用負極材料、これを備える金属−空気二次電池、及び金属−空気二次電池用負極材料の製造方法
JP7007123B2 (ja) 亜鉛二次電池用負極及び亜鉛二次電池
KR102516551B1 (ko) 아연 이차 전지
US20150162601A1 (en) Cell design for an alkaline battery with channels in electrodes to remove gas
JP2021197340A (ja) 亜鉛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
JP2016186895A (ja) アニオン伝導性膜、電極及び電池
JP4240030B2 (ja) アルカリ亜鉛蓄電池
KR20230161882A (ko) 아연 이차 전지
JP5096910B2 (ja) アルカリ蓄電池
JP2016162681A (ja) 電極前駆体
JP6456138B2 (ja) 電極及びそれを用いて構成される電池
JP2020170652A (ja) 亜鉛電池用負極の製造方法、及び亜鉛電池用負極
KR102665900B1 (ko) 아연 이차 전지 및 아연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JP7310788B2 (ja) 亜鉛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
US20150162570A1 (en) Beveled cell design for an alkaline battery to remove gas
JP5023645B2 (ja) アルカリ蓄電池
JP2022048597A (ja) 二次電池
JP2022060743A (ja) 亜鉛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
CN117397060A (zh) 锌电池
US20150162573A1 (en) Beveled cell design for an alkaline battery
JP3365219B2 (ja) アルカリ蓄電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