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1796A - 바람 취출방향의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 - Google Patents

바람 취출방향의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1796A
KR20230161796A KR1020220061597A KR20220061597A KR20230161796A KR 20230161796 A KR20230161796 A KR 20230161796A KR 1020220061597 A KR1020220061597 A KR 1020220061597A KR 20220061597 A KR20220061597 A KR 20220061597A KR 20230161796 A KR20230161796 A KR 202301617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fan module
casing
blade
exha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1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원
Original Assignee
(주)아트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트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아트콤코리아
Priority to KR1020220061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1796A/ko
Publication of KR20230161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1796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084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hand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0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281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6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adjustable
    • F04D29/462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adjustable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유닛의 축전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팬 모듈을 포함하는 제2 유닛과 제1 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팬 모듈을 수용하고 배풍구를 가지는 제3 유닛을 포함한 구조로부터, 사용자의 의복이나 혁대를 포함한 장신구에 간단히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여 사용자의 신체측으로 바람이 취출되는 방향과 바람의 세기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바람 취출방향의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바람 취출방향의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PORTABLE FAN WHICH BE ABLE TO ALTER THE DIRECTION OF WIND DISCHARGING}
본 발명은 바람 취출방향의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의복이나 혁대를 포함한 장신구에 간단히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여 사용자의 신체측으로 바람이 취출되는 방향과 바람의 세기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바람 취출방향의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에 관한 것이다.
공개특허 제10-2018-0106241호의 "휴대용 선풍기" 등을 포함한 일반적인 휴대용 선풍기는 기존의 부채와 같이 팔과 손목의 힘을 이용하지 않으면서 쉽게 바람을 이용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최근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하지만 휴대용 선풍기는 한 손으로 파지하여 사용하고, 파지한 손으로 바람의 방향을 조절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이는 휴대용 선풍기를 파지한 한 손은 오로지 휴대용 선풍기를 잡고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구조적인 특징으로 사용자는 휴대용 선풍기를 잡지 않은 다른 한 손만을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밖에 없는 불편이 있다.
즉, 양손을 사용해야 하는 사람이나 간헐적이나마 양손을 사용하는 사람들에게는 불편함을 넘어 무용지물의 기기가 될 수도 있는 단점이 있다.
공개특허 제10-2018-010624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사용자의 의복이나 혁대를 포함한 장신구에 간단히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여 사용자의 신체측으로 바람이 취출되는 방향과 바람의 세기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바람 취출방향의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충방전 회로가 어레이된 PCB와, 상기 충방전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 전원으로부터 충전되는 축전지와, 상기 PCB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축전지의 전력 사용을 차단 또는 허용하는 작동 스위치와, 상기 PCB와 상기 축전지와 상기 작동 스위치가 내장되는 고정 하우징을 포함하는 제1 유닛; 상기 고정 하우징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작동 스위치의 온오프 조작에 의하여 상기 축전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가동 또는 가동 정지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구비한 팬 모듈을 포함하는 제2 유닛; 및 상기 고정 하우징의 일측에 맞물리고 일정 각도만큼 상기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시키거나 회전후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팬 모듈의 가동으로부터 발생되는 바람이 취출되는 배풍구를 포함하고 상기 팬 모듈을 내부에 수용하는 가동 하우징을 포함하는 제3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람 취출방향의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의복이나 장신구에 탈착 고정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 하우징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클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고정 하우징은, 상기 축전지와 상기 PCB와 상기 작동 스위치가 내장되는 제1 수납 공간을 구비한 베이스 케이싱과, 상기 베이스 케이싱의 개방된 일면을 마감하는 베이스 커버와, 상기 팬 모듈을 받침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가동 하우징의 회전 및 상기 가동 하우징과 맞물리는 부분을 형성하는 미들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팬 모듈은, 상기 축전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축 단부에 장착되는 원기둥 형상의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의 외주면과 마주보는 내측 가장자리를 가지는 원형 링 형상의 블레이드 지지링과, 상기 회전자의 외주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블레이드 지지링의 내측 가장자리와 연결되는 복수의 링 지지편과, 상기 블레이드 지지링의 일면으로부터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안장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블레이드 지지링의 중심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들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1 블레이드 어레이와, 상기 블레이드 지지링의 타면으로부터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안장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블레이드 지지링의 중심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들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2 블레이드 어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블레이드 어레이를 형성하는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들 중 하나의 블레이드는, 상기 제1 블레이드 어레이를 형성하는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들 중 하나의 블레이드와 이웃한 블레이드 사이의 빈 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블레이드 지지링의 일면 반대쪽인 타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동 하우징은, 상기 팬 모듈을 수용하는 제2 수납 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배풍구가 관통 형성된 측면을 가지는 회전 케이싱과, 상기 제2 수납 공간과 연통되게 개방된 상기 회전 케이싱의 일면 가장자리 내측으로부터 상기 회전 케이싱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연장편과, 상기 고정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팬 모듈을 받침 지지하는 미들 커버의 상면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팬 모듈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조절홈과 맞물리는 것으로, 상기 한 쌍의 연장편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조절돌편과, 상기 회전 케이싱의 내측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고, 원형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미들 커버의 외주면을 따라 함몰 형성된 이동허용 레일에 맞물려 상기 회전 케이싱과 함께 상기 미들 커버에 대하여 회전하는 복수의 이동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가동 하우징은, 상기 배풍구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회전 케이싱의 측면에 상기 회전 케이싱의 개방된 일면 가장자리와 평행하게 장공 형상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제2 수납 공간과 연통되는 복수의 배풍 슬릿과, 상기 복수의 배풍 슬릿 각각의 일단부 외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수납 공간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팬 모듈의 외주면과 마주보는 내측면을 가진 제1 배풍 가이드와, 상기 복수의 배풍 슬릿 각각의 타단부 외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수납 공간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1 배풍 가이드의 선단부와 평행한 내측면을 가진 제2 배풍 가이드와, 상기 제2 배풍 가이드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상기 회전 케이싱의 내측면과 마주보는 외측면을 가진 배풍 연장 가이드와, 상기 제1 배풍 가이드의 말단부와 맞닿는 제1 단부와, 상기 배풍 연장 가이드의 말단부와 맞닿는 제2 단부를 가지며 상기 팬 모듈의 외주면과 마주보는 내주면을 가진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상기 제2 수납 공간에 형성되는 팬 가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절돌편을 가지는 상기 한 쌍의 연장편은 상기 팬 가이드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회전 케이싱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의복이나 혁대를 포함한 장신구에 간단히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여 사용자의 신체측으로 바람이 취출되는 방향과 바람의 세기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는 특장점을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일단 사용자의 의복이나 장신구에 고정한 후 사용자가 희망하는 방향으로 바람을 취출시키고자 배풍구의 위치를 조절하기만 하면, 사용자의 두 손이 자유로우므로 행동의 제약없이 활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람 취출방향의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도 1(a)는 전체적인 외관을 나타낸 사시 개념도이며, 도 1(b)는 제3 유닛을 분리한 제1 유닛과 제2 유닛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람 취출방향의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의 주요부인 제1 유닛중 고정 하우징에 구비된 클립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도 2(a)는 측면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측면 개념도이며, 도2(b)는 제1 유닛 중 베이스 케이싱의 내부에 고정된 클립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람 취출방향의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의 주요부인 제1 유닛에 제3 유닛이 결합되는 관계를 도시한 것으로, 도 3(a)는 일부 분해 사시 개념도이며, 도 3(b)는 제1 유닛으로부터 분리된 제3 유닛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람 취출방향의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의 주요부인 제1 유닛과 제2 유닛의 구조 및 결합 관계를 도시한 것으로, 도 4(a)는 제1 유닛에 제2 유닛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며, 도 4(b)는 제1 유닛중 베이스 커버로부터 미들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 개념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람 취출방향의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의 주요부인 제1 유닛과 제2 유닛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람 취출방향의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의 주요부인 제1 유닛을 도시한 것으로, 도 7(a)는 PCB 및 축전지 주변부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 개념도이며, 도 7(b)는 베이스 케이싱 내부에 버튼이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람 취출방향의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의 주요부인 제1 유닛중 베이스 케이싱에 장착되는 버튼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람 취출방향의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의 주요부인 제3 유닛중 가동 하우징의 전체적인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 개념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람 취출방향의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의 주요부인 제3 유닛중 가동 하우징을 구성하는 회전 케이싱과 팬 가이드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부분 확대 분해 사시 개념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람 취출방향의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의 주요부인 제3 유닛중 가동 하우징을 구성하는 회전 케이싱과 마감 커버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람 취출방향의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도 1(a)는 전체적인 외관을 나타낸 사시 개념도이며, 도 1(b)는 제3 유닛(300)을 분리한 제1 유닛(100)과 제2 유닛(200)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람 취출방향의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의 주요부인 제1 유닛(100)중 고정 하우징(101)에 구비된 클립(170)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도 2(a)는 측면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측면 개념도이며, 도2(b)는 제1 유닛(100) 중 베이스 케이싱(110)의 내부에 고정된 클립(170)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람 취출방향의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의 주요부인 제1 유닛(100)에 제3 유닛(300)이 결합되는 관계를 도시한 것으로, 도 3(a)는 일부 분해 사시 개념도이며, 도 3(b)는 제1 유닛(100)으로부터 분리된 제3 유닛(300)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람 취출방향의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의 주요부인 제1 유닛(100)과 제2 유닛(200)의 구조 및 결합 관계를 도시한 것으로, 도 4(a)는 제1 유닛(100)에 제2 유닛(200)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며, 도 4(b)는 제1 유닛(100)중 베이스 커버(120)로부터 미들 커버(130)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람 취출방향의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의 주요부인 제1 유닛(100)과 제2 유닛(200)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람 취출방향의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의 주요부인 제1 유닛(100)을 도시한 것으로, 도 7(a)는 PCB(140) 및 축전지(150) 주변부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 개념도이며, 도 7(b)는 베이스 케이싱(110) 내부에 버튼(190)이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람 취출방향의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의 주요부인 제1 유닛(100)중 베이스 케이싱(110)에 장착되는 버튼(190)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람 취출방향의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의 주요부인 제3 유닛(300)중 가동 하우징(301)의 전체적인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 개념도이다.
또한,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람 취출방향의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의 주요부인 제3 유닛(300)중 가동 하우징(301)을 구성하는 회전 케이싱(310)과 팬 가이드(340)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부분 확대 분해 사시 개념도이다.
아울러,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람 취출방향의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의 주요부인 제3 유닛(300)중 가동 하우징(301)을 구성하는 회전 케이싱(310)과 마감 커버(319)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닛(100)의 축전지(15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팬 모듈(210)을 포함하는 제2 유닛(200)과 제1 유닛(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팬 모듈(210)을 수용하고 배풍구(312)를 가지는 제3 유닛(300)을 포함한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제1 유닛(100)은 충방전 회로(이하 미도시)가 어레이된 PCB(140, 이하 도 6 및 도 7 참조)와, 충방전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 전원으로부터 충전되는 축전지(150, 이하 도 6 및 도 7 참조)와, PCB(140)의 일측에 구비되어 축전지(150)의 전력 사용을 차단 또는 허용하는 작동 스위치(160, 이하 도 7 참조)와, PCB(140)와 축전지(150)와 작동 스위치(160)가 내장되는 고정 하우징(101)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2 유닛(200)은 고정 하우징(101)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작동 스위치(160)의 온오프 조작에 의하여 축전지(15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가동 또는 가동 정지되는 복수의 블레이드(201)를 구비한 팬 모듈(210)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제3 유닛(300)은 고정 하우징(101)의 일측에 맞물리고 일정 각도만큼 고정 하우징(101)에 대하여 회전시키거나 회전후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며, 팬 모듈(210)의 가동으로부터 발생되는 바람이 취출되는 배풍구(312)를 포함하고 팬 모듈(210)을 내부에 수용하는 가동 하우징(301)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본 발명에서는 도 2와 같이 사용자의 의복이나 장신구에 탈착 고정 가능하도록 고정 하우징(101)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클립(170)을 더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클립(170)은 본 발명의 가장 큰 목적인 휴대의 간편함을 도모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으로, 도 2(a)와 같이 베이스 케이싱(110)의 측면에 고정되는 일단부(171)를 구비하고, 도 2(b)와 같이 일단부(171)로부터 연장되어 베이스 케이싱(110)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밀착 지지편(172)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클립(170)은 다시 도 2(a)와 같이 일단부(171)로부터 원호 형상으로 연장되는 굴곡부(173)를 구비하고, 굴곡부(173)로부터 연장되어 베이스 케이싱(110)의 외측 바닥면에 접촉 또는 이격 가능하게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가변접촉부(174)와, 일단부(171)와 굴곡부(173)와 가변접촉부(174)를 감싸는 피복부(175)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따라서, 축전지(150)는 밀착 지지편(172)의 상부측에 안착(이하 도 6 참조)되고, PCB(140)는 밀착 지지편(172)에 이웃하게 베이스 케이싱(110)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것을 확인(이하 도 6 참조)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고정 하우징(101)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축전지(150)와 PCB(140)와 작동 스위치(160)가 내장되는 제1 수납 공간(111)을 구비한 베이스 케이싱(110)과, 베이스 케이싱(110)의 개방된 일면을 마감하는 베이스 커버(120)와, 팬 모듈(210)을 받침 지지함과 동시에, 가동 하우징(301)의 회전 및 가동 하우징(301)과 맞물리는 부분을 형성하는 미들 커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하우징(101)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베이스 커버(120)와 마주보는 미들 커버(130)의 대향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방사상으로 복수 배치되는 중공의 스페이서 칼럼(132)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하우징(101)은 미들 커버(130)의 표면으로부터 관통되어 스페이서 칼럼(132)과 연통되는 제1 체결홀(131)과, 베이스 커버(120)에 관통되어 제1 체결홀(131)과 스페이서 칼럼(132)과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제2 체결홀(122)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하우징(101)은 베이스 케이싱(110)의 바닥면에 돌출 형성되어 제1 체결홀(131)과 스페이서 칼럼(132)과 제2 체결홀(122)과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체결 칼럼(112, 이하 도 2(b) 참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고정 하우징(101)은 제1 체결홀(131)로부터 삽입되어 스페이서 칼럼(132)과 제2 체결홀(122)을 관통하여 체결 칼럼(112)에 고정되는 몸체(181)와 제1 체결홀(131)에 고정되는 헤드(182)를 가진 체결구(180, 이하 도 4(a) 참조)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미들 커버(130)는 베이스 커버(120)로부터 스페이서 칼럼(132)에 의하여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 가능하게 배치된다.
한편, 고정 하우징(101)은,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베이스 케이싱(110)의 측면에 관통되는 버튼 홀(113)과, 베이스 케이싱(110)의 측면에 관통되는 LED 홀(114)과, 베이스 케이싱(110)의 측면에 관통되는 단자 홀(115)을 더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고정 하우징(101)은 제1 수납 공간(111)으로부터 삽입되어 버튼 홀(113)에 끼움 결합되는 누름면을 가진 버튼(190)을 더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고정 하우징(101)은 버튼(19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베이스 케이싱(110)의 내측면에 걸림 고정되는 버튼이탈 방지 리브(191)를 더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고정 하우징(101)은 작동 스위치(160)와 접촉 또는 이격 가능하게 버튼(190)으로부터 돌출되어 버튼(190)과 일체로 형성되는 누름 리브(192)를 더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고정 하우징(101)은 버튼이탈 방지 리브(191)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작동 리브(193)를 더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고정 하우징(101)은 작동 리브(193)의 말단부로부터 버튼이탈 방지 리브(191)측으로 절개 형성되는 걸림 절개부(194)를 더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고정 하우징(101)은 베이스 케이싱(110)의 내측 바닥면에 돌출 형성되어 걸림 절개부(194)가 맞물려 버튼(190)이 더 이상 제1 수납 공간(111)측으로 이탈하여 들어오는 것을 규제하는 스토퍼 리브(116, 이하 도 2(b) 및 도 7(b) 참조)를 더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 리브(116)에 걸린 걸림 절개부(194)를 구비한 작동 리브(193)는 걸림 절개부(194)와 스토퍼 리브(116) 사이의 유격만큼 왕복 가능하게 되고, 버튼(190)을 작동 스위치(160)측으로 밀면 누름 리브(192)의 말단부가 작동 스위치(160)를 누르며 팬 모듈(210)을 가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고정 하우징(101)은 PCB(140)의 일측에 구비되어 LED 홀(114)측으로 가동중이거나 충방전을 알리는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조사하는 LED(141)를 더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고정 하우징(101)은 PCB(140)의 일측에 구비되어 단자 홀(115)에 맞물려 USB 케이블의 단자가 맞물리는 단자 몸체(142)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팬 모듈(210)은 다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축전지(15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모터(이하 미도시)와, 모터의 구동축 단부에 장착되는 원기둥 형상의 회전자(21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팬 모듈(210)은 회전자(211)의 외주면과 마주보는 내측 가장자리를 가지는 원형 링 형상의 블레이드 지지링(212)과, 회전자(211)의 외주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블레이드 지지링(212)의 내측 가장자리와 연결되는 복수의 링 지지편(21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팬 모듈(210)은 블레이드 지지링(212)의 일면으로부터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안장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블레이드 지지링(212)의 중심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블레이드(201)들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1 블레이드 어레이(214)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팬 모듈(210)은 블레이드 지지링(212)의 타면으로부터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안장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블레이드 지지링(212)의 중심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블레이드(201)들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2 블레이드 어레이(215)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2 블레이드 어레이(215)를 형성하는 복수의 블레이드들 중 하나의 블레이드(20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블레이드 어레이(214)를 형성하는 복수의 블레이드들 중 하나의 블레이드(201)와 이웃한 블레이드(201) 사이의 빈 공간을 형성하는 블레이드 지지링(212)의 일면 반대쪽인 타면에 형성되는 것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제1 블레이드 어레이(214)를 형성하는 복수의 블레이드들 각각의 안장 형상은, 블레이드 지지링(212)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기 시작하는 안장 형상의 외측 가장자리 선단부가, 안장 형상의 외측 가장자리 말단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 블레이드 어레이(215)를 형성하는 복수의 블레이드들 각각의 안장 형상은, 블레이드 지지링(212)의 타면으로부터 돌출되기 시작하는 안장 형상의 외측 가장자리 선단부가, 안장 형상의 외측 가장자리 말단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일 것이다.
여기서, 안장 형상은 각각 안장 형상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내측 가장자리로 갈수록 점차 얇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안장 형상의 내측 가장자리는 블레이드 지지링(212)의 내측 가장자리와 접하며, 안장 형상의 외측 가장자리는 블레이드 지지링(212)의 외측 가장자리와 접하는 것을 다시 도 3(b)를 참조하여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가동 하우징(301)은, 도 9를 참조하면, 회전 케이싱(310)과 한 쌍의 연장편(320)과 조절돌편(324)과 이동 리브(313)를 더 구비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회전 케이싱(310)은 팬 모듈(210)을 수용하는 제2 수납 공간(311)을 구비하며 배풍구(312)가 관통 형성된 측면을 가지는 것이다.
한 쌍의 연장편(320)은 제2 수납 공간(311)과 연통되게 개방된 회전 케이싱(310)의 일면 가장자리 내측으로부터 회전 케이싱(310)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것이다.
조절돌편(324)은 고정 하우징(101)에 구비되어 팬 모듈(210)을 받침 지지하는 미들 커버(130)의 상면에 함몰 형성되어 팬 모듈(210)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조절홈(134)과 맞물리는 것으로, 한 쌍의 연장편(320)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것이다.
복수의 이동 리브(313)는 회전 케이싱(310)의 내측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고, 원형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 미들 커버(130)의 외주면을 따라 함몰 형성된 이동허용 레일(133)에 맞물려 회전 케이싱(310)과 함께 미들 커버(130)에 대하여 회전하게 된다.
이때 가동 하우징(301)은, 배풍구(312)를 구성하는 것으로, 회전 케이싱(310)의 측면에 회전 케이싱(310)의 개방된 일면 가장자리와 평행하게 장공 형상으로 관통 형성되어 제2 수납 공간(311)과 연통되는 복수의 배풍 슬릿(312)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가동 하우징(301)은, 복수의 배풍 슬릿(312) 각각의 일단부 외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제2 수납 공간(311)에 배치됨과 동시에 팬 모듈(210)의 외주면과 마주보는 내측면을 가진 제1 배풍 가이드(33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가동 하우징(301)은, 복수의 배풍 슬릿(312) 각각의 타단부 외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제2 수납 공간(311)에 배치됨과 동시에 제1 배풍 가이드(331)의 선단부와 평행한 내측면을 가진 제2 배풍 가이드(33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가동 하우징(301)은, 제2 배풍 가이드(332)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회전 케이싱(310)의 내측면과 마주보는 외측면을 가진 배풍 연장 가이드(33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가동 하우징(301)은, 제1 배풍 가이드(331)의 말단부와 맞닿는 제1 단부(341)와, 배풍 연장 가이드(333)의 말단부와 맞닿는 제2 단부(342)를 가지며 팬 모듈(210)의 외주면과 마주보는 내주면을 가진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제2 수납 공간(311)에 형성되는 팬 가이드(34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조절돌편(324)을 가지는 한 쌍의 연장편(320)은 팬 가이드(340)의 가장자리를 따라 회전 케이싱(310)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팬 가이드(340)는 도 9 내지 도 11과 같이 회전 케이싱(310)에 대하여 탈착 가능한 구조로 제공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가동 하우징(301)은, 회전 케이싱(310)에 대하여 탈착 가능한 팬 가이드(340)의 제1 단부(341)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어 회전 케이싱(310)의 내측면과 제1 배풍 가이드(331)의 말단부 외측면 사이에 끼움 결합되는 제1 스페이서(343a)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가동 하우징(301)은, 팬 가이드(340)의 제2 단부(342)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어 회전 케이싱(310)의 내측면과 배풍 연장 가이드(333)의 말단부 외측면 사이에 끼움 결합되는 제2 스페이서(343b)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가동 하우징(301)은, 제1 스페이서(343a)와 제2 스페이서(343b)를 상호 연결하며 팬 가이드(340)의 가장자리를 따라 절곡 연장되어 회전 케이싱(310)의 내측면과 맞닿는 외측 가장자리를 가지는 리브 스페이서(343c)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가동 하우징(301)은, 리브 스페이서(343c)와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한 쌍의 연장편(320) 중 일측 연장편(320)에 말발굽 형상으로 절개 형성되는 제1 형성 슬롯(321a)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가동 하우징(301)은, 제1 형성 슬롯(321a)에 의하여 말발굽 형상의 내측에 배치되어 고정단과 자유단을 가지는 제1 탄성편(322a)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가동 하우징(301)은, 한 쌍의 연장편(320) 중 타측 연장편(320)에 말발굽 형상으로 절개 형성되는 제2 형성 슬롯(321b)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가동 하우징(301)은, 제2 형성 슬롯(321b)에 의하여 말발굽 형상의 내측에 배치되어 고정단과 자유단을 가지는 제2 탄성편(322b)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여기서 조절돌편(324)은 제1 탄성편(322a) 및 제2 탄성편(322b) 각각의 자유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제1 탄성편(322a)의 고정단과 자유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제2 탄성편(322b)의 고정단과 자유단까지 연장되는 가상원에 있어서, 제1 탄성편(322a)의 자유단은 제2 탄성편(322b)의 고정단을 추종함과 동시에, 제2 탄성편(322b)의 자유단은 제1 탄성편(322a)의 고정단을 추종하도록 배치되는 것 또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가상원은 조절돌편(324)과 맞물리도록 미들 커버(130)상에 함몰 형성된 복수의 조절홈(134) 각각의 중심을 관통하는 가상원과 평행하고 같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조절홈(134)에 대한 조절돌편(324)의 원활한 이동에 따른 맞물림이 가능하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가동 하우징(301)은 도 9와 함께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리브 스페이서(343c)의 일측에 관통 형성된 위치결정 슬릿(343s)과, 회전 케이싱(31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도 10(b)와 같이 팬 가이드(340)의 외측면에 함몰 형성된 제1 위치결정 홈(344a)이 안내되는 사각 기둥 형상의 위치결정 각대(31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결정 각대(314)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위치결정 편(314p)이 연장되어 도 11(a)와 같이 위치결정 슬릿(343s)에 맞물리게 된다.
이때 가동 하우징(301)은 리브 스페이서(343c)의 일측에 관통 형성된 한 쌍의 위치결정 핀홀(343p)과, 회전 케이싱(31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도 10(a)와 같이 팬 가이드(340)의 외측면에 함몰 형성된 한 쌍의 제2 위치결정 홈(344b)이 안내되는 한 쌍의 위치결정 리브(31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위치결정 리브(315) 각각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위치결정 핀(315p)이 돌출되어 도 11(b)와 같이 한 쌍의 위치결정 핀홀(343p)에 맞물리게 된다.
한편, 회전 케이싱(310)의 내측 천장면과 맞닿는 팬 가이드(340)의 가장자리를 따라 도 10과 같이 복수로 위치결정 돌편(345)이 돌출될 수 있다.
팬 가이드(340)의 가장자리와 맞닿게 회전 케이싱(310)의 내측 천장면에는 도 11과 같이 연장 가이드(316)가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연장 가이드(316)를 따라 위치결정 돌편(345)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돌편 안착 절개부(316s)가 절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리브 스페이서(343c)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회전 케이싱(31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복수의 이동 리브(313)들 각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돌편위치 안내 절개부(343g)가 절개 형성되는 응용 및 변형 설계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가동 하우징(301)은, 도 1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회전 케이싱(310)의 외측 천장면에 함몰 형성된 케이싱 홈(317)과, 케이싱 홈(317)의 중심에 원통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안착통(317c)과, 안착통(317c)의 일측에 절개 형성되는 결합위치 알림 절개부(317s)와, 케이싱 홈(317)의 중심에 복수의 관통 형성되어 안착통(317c)의 내주면 가장자리와 맞닿게 배치되는 후크결합 홀(317h)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가동 하우징(301)은 안착통(317c)을 중심으로 하여 케이싱 홈(317)에 방사상으로 관통되는 에어유입 허용 슬롯(318)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가동 하우징(301)은 복수의 후크결합 홀(317h)에 각각 맞물리는 결합 후크(319h)가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중심부를 가지며, 복수의 결합 후크(319h)의 선단부를 상호 연결하여 형성되며, 안착통(317c)의 내주면과 마주보는 외주면을 가진 삽입통(319c)이 중심부에 형성되는 원판 형상의 마감 커버(319)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가동 하우징(301)은 마감 커버(319)에 형성되어 삽입통(319c)의 외주면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결합위치 알림 절개부(317s)에 맞물리는 결합위치 알림 리브(319r)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안착통(317c)에 삽입통(319c)이 안착되어 결합 후크(319h)가 후크결합 홀(317h)에 맞물린 마감 커버(319)는, 케이싱 홈(317)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하여 배치됨과 동시에, 에어유입 허용 슬롯(318)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마감하게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의복이나 혁대를 포함한 장신구에 간단히 탈착하여 사용자의 신체측으로 바람이 취출되는 방향과 바람의 세기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바람 취출방향의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제1 유닛
101...고정 하우징
110...베이스 케이싱
111...제1 수납 공간
112...체결 칼럼
113...버튼 홀
114...LED 홀
115...단자 홀
116...스토퍼 리브
120...베이스 커버
122...제2 체결홀
130...미들 커버
131...제1 체결홀
132...스페이서 칼럼
133...이동허용 레일
134...조절홈
140...PCB
141...LED
142...단자 몸체
150...축전지
160...작동 스위치
170...클립
171...일단부
172...밀착 지지편
173...굴곡부
174...가변접촉부
175...피복부
180...체결구
181...몸체
182...헤드
190...버튼
191...버튼이탈 방지 리브
192...누름 리브
193...작동 리브
194...걸림 절개부
200...제2 유닛
201...블레이드
210...팬 모듈
211...회전자
212...블레이드 지지링
213...링 지지편
214...제1 블레이드 어레이
215...제2 블레이드 어레이
300...제3 유닛
301...가동 하우징
310...회전 케이싱
311...제2 수납 공간
312...배풍구(배풍 슬릿)
313...이동 리브
314...위치결정 각대
314p...위치결정 편
315...위치결정 리브
315p...위치결정 핀
316...연장 가이드
316s...돌편 안착 절개부
317...케이싱 홈
317c...안착통
317h...후크결합 홀
317s...결합위치 알림 절개부
318...에어유입 허용 슬롯
319...마감 커버
319c...삽입통
319h...결합 후크
319r...결합위치 알림 리브
320...연장편
321a...제1 형성 슬롯
321b...제2 형성 슬롯
322a...제1 탄성편
322b...제2 탄성편
324...조절돌편
331...제1 배풍 가이드
332...제2 배풍 가이드
333...배풍 연장 가이드
340...팬 가이드
341...제1 단부
342...제2 단부
343a...제1 스페이서
343b...제2 스페이서
343c...리브 스페이서
343g...돌편위치 안내 절개부
343p...위치결정 핀홀
343s...위치결정 슬릿
344a...제1 위치결정 홈
344b...제2 위치결정 홈
345...위치결정 돌편

Claims (7)

  1. 충방전 회로가 어레이된 PCB와, 상기 충방전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 전원으로부터 충전되는 축전지와, 상기 PCB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축전지의 전력 사용을 차단 또는 허용하는 작동 스위치와, 상기 PCB와 상기 축전지와 상기 작동 스위치가 내장되는 고정 하우징을 포함하는 제1 유닛;
    상기 고정 하우징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작동 스위치의 온오프 조작에 의하여 상기 축전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가동 또는 가동 정지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구비한 팬 모듈을 포함하는 제2 유닛; 및
    상기 고정 하우징의 일측에 맞물리고 일정 각도만큼 상기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시키거나 회전후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팬 모듈의 가동으로부터 발생되는 바람이 취출되는 배풍구를 포함하고 상기 팬 모듈을 내부에 수용하는 가동 하우징을 포함하는 제3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람 취출방향의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사용자의 의복이나 장신구에 탈착 고정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 하우징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클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람 취출방향의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하우징은,
    상기 축전지와 상기 PCB와 상기 작동 스위치가 내장되는 제1 수납 공간을 구비한 베이스 케이싱과,
    상기 베이스 케이싱의 개방된 일면을 마감하는 베이스 커버와,
    상기 팬 모듈을 받침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가동 하우징의 회전 및 상기 가동 하우징과 맞물리는 부분을 형성하는 미들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람 취출방향의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팬 모듈은,
    상기 축전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축 단부에 장착되는 원기둥 형상의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의 외주면과 마주보는 내측 가장자리를 가지는 원형 링 형상의 블레이드 지지링과,
    상기 회전자의 외주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블레이드 지지링의 내측 가장자리와 연결되는 복수의 링 지지편과,
    상기 블레이드 지지링의 일면으로부터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안장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블레이드 지지링의 중심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들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1 블레이드 어레이와,
    상기 블레이드 지지링의 타면으로부터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안장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블레이드 지지링의 중심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들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2 블레이드 어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람 취출방향의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블레이드 어레이를 형성하는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들 중 하나의 블레이드는,
    상기 제1 블레이드 어레이를 형성하는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들 중 하나의 블레이드와 이웃한 블레이드 사이의 빈 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블레이드 지지링의 일면 반대쪽인 타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람 취출방향의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동 하우징은,
    상기 팬 모듈을 수용하는 제2 수납 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배풍구가 관통 형성된 측면을 가지는 회전 케이싱과,
    상기 제2 수납 공간과 연통되게 개방된 상기 회전 케이싱의 일면 가장자리 내측으로부터 상기 회전 케이싱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연장편과,
    상기 고정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팬 모듈을 받침 지지하는 미들 커버의 상면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팬 모듈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조절홈과 맞물리는 것으로, 상기 한 쌍의 연장편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조절돌편과,
    상기 회전 케이싱의 내측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고, 원형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미들 커버의 외주면을 따라 함몰 형성된 이동허용 레일에 맞물려 상기 회전 케이싱과 함께 상기 미들 커버에 대하여 회전하는 복수의 이동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람 취출방향의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동 하우징은,
    상기 배풍구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회전 케이싱의 측면에 상기 회전 케이싱의 개방된 일면 가장자리와 평행하게 장공 형상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제2 수납 공간과 연통되는 복수의 배풍 슬릿과,
    상기 복수의 배풍 슬릿 각각의 일단부 외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수납 공간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팬 모듈의 외주면과 마주보는 내측면을 가진 제1 배풍 가이드와,
    상기 복수의 배풍 슬릿 각각의 타단부 외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수납 공간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1 배풍 가이드의 선단부와 평행한 내측면을 가진 제2 배풍 가이드와,
    상기 제2 배풍 가이드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상기 회전 케이싱의 내측면과 마주보는 외측면을 가진 배풍 연장 가이드와,
    상기 제1 배풍 가이드의 말단부와 맞닿는 제1 단부와, 상기 배풍 연장 가이드의 말단부와 맞닿는 제2 단부를 가지며 상기 팬 모듈의 외주면과 마주보는 내주면을 가진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상기 제2 수납 공간에 형성되는 팬 가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절돌편을 가지는 상기 한 쌍의 연장편은 상기 팬 가이드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회전 케이싱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람 취출방향의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
KR1020220061597A 2022-05-19 2022-05-19 바람 취출방향의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 KR202301617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1597A KR20230161796A (ko) 2022-05-19 2022-05-19 바람 취출방향의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1597A KR20230161796A (ko) 2022-05-19 2022-05-19 바람 취출방향의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1796A true KR20230161796A (ko) 2023-11-28

Family

ID=88957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1597A KR20230161796A (ko) 2022-05-19 2022-05-19 바람 취출방향의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179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6241A (ko) 2017-03-17 2018-10-01 프롬비 (주) 휴대용 선풍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6241A (ko) 2017-03-17 2018-10-01 프롬비 (주) 휴대용 선풍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91467B1 (en) Support and selfie stick with support
CN1954737B (zh) 包括一可以改变空气流几何形状的装置的干发器
US9341326B2 (en) Lighting device
US7125139B2 (en) Flashlight
US6932487B2 (en) Lighting device designed to fit on a mounting, particularly textile
JP2015534255A (ja) 一体型クランプハンドル部を備えたワークライト
JP2008183400A (ja) 回転可能な戻り止めヘッド付ヘアトリマー
KR101967844B1 (ko) 미니 다용도 선풍기
KR200483235Y1 (ko) 목걸이형 선풍기
US20030147237A1 (en) Flashlight
CN218237260U (zh) 支撑座、风扇及灯具
KR200489177Y1 (ko) 풍향 조절 및 탁상 거치가 용이한 휴대용 선풍기
KR20230161796A (ko) 바람 취출방향의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
US20080286114A1 (en) Portable fan
JP3150936U (ja) 折り畳み式扇風機
US6955524B2 (en) Necklace fan
US11154455B2 (en) Portable massage device
KR200232788Y1 (ko) 헤드랜턴의 구조
KR20150122459A (ko) 휴대용 랜턴
EP3674600B1 (en) Solar disk light with swivel mount
KR102246260B1 (ko) 발광각도 조절이 가능한 포켓형 led 렌턴
US20110126379A1 (en) Umbrella handle
US20190293271A1 (en) Lighting device
JP3237433U (ja) ハンディーファン
CN213777347U (zh) 一种新型灯具及其便携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