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1071A - 반탄화된 열처리목을 이용한 친환경 diy 참숯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탄화된 열처리목을 이용한 친환경 diy 참숯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1071A
KR20230161071A KR1020220060632A KR20220060632A KR20230161071A KR 20230161071 A KR20230161071 A KR 20230161071A KR 1020220060632 A KR1020220060632 A KR 1020220060632A KR 20220060632 A KR20220060632 A KR 20220060632A KR 20230161071 A KR20230161071 A KR 20230161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ak
heat treatment
cubic
heat
treatment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0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중
김영진
이갑수
김남희
윤서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티
Priority to KR1020220060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1071A/ko
Publication of KR20230161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1071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4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vegetable substances
    • C10L5/447Carbonized vegetable substances, e.g. charcoal, or produced by hydrothermal carbonization of biomas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9/00Destructive distillation of solid carbonaceous materials by direct heating with heat-carrying agents including the partial combustion of the solid material to be treated
    • C10B49/02Destructive distillation of solid carbonaceous materials by direct heating with heat-carrying agents including the partial combustion of the solid material to be treated with hot gases or vapours, e.g. hot gases obtained by partial combustion of the charg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51/00Destructive distillation of solid carbonaceous materials by combined direct and indirect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53/00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 C10B53/02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of cellulose-contain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9/00Treating solid fuels to improve their combustion
    • C10L9/08Treating solid fuels to improve their combustion by heat treatments, e.g. calcining
    • C10L9/086Hydrothermal carboniz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08Drying or removing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28Cutting, disintegrating, shredding or grin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36Applying radiation such as microwave, IR, UV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And Physical Treatments For Wood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참나무 장작을 열처리하여 착화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불꽃이 크게 생성되도록 하고 연기와 불똥의 발생이 극소화되도록 하고 간편하게 불꽃의 크기나 숯불의 크기를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반탄화된 열처리목을 이용한 친환경 DIY 참숯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숯은 건조된 참나무를 절단하여 좌우폭 6 내지 10cm이고 상하 길이 8 내지 15cm의 사각입방체로 형성되고, 절단된 입방체의 참나무를 섭씨 180 내지 220도의 온도로 가열하고, 그 후에 물을 3 내지 5분 동안 분무하여 냉각시키며, 상기 가열과 냉각의 과정을 반복하여 입방체의 참나무의 외면에서 내부까지 균열이 형성되면서 건조 및 열처리되어 형성된다.

Description

반탄화된 열처리목을 이용한 친환경 DIY 참숯 및 이의 제조 방법{ECO-FRIENDLY DIY CHARCOAL USING TORREFACTION WOO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숯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자재의 참나무 상태를 직접 확인 가능하며 참나무 장작을 열처리하여 착화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불꽃이 크게 생성되도록 하고 연기와 불똥의 발생이 극소화되도록 하고 간편하게 불꽃의 크기나 숯불의 크기를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반탄화된 열처리목을 이용한 친환경 DIY 참숯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숯은 목재를 공기의 공급을 차단하고 가열하거나 또는 공기를 아주 적게 하여 가열하였을 때 생성되는 고체 생성물을 말하며, 재료로는 보통 단단한 나무가 사용되는데 한국에서는 참나무류가 주로 사용되어 이로부터 생성되는 참숯이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숯은 통상적으로 비닐봉지 등에 일정량씩 넣어 포장된 상태로 공급되어 사용자가 그릴 등의 장치에 일정량의 숯을 넣고 착화시켜 돼지고기나 소고기, 닭고기, 오리고기 등의 육류나 어류를 직화식으로 구이요리를 하는 경우의 연료로서 사용하게 된다.
한편, 생활수준의 향상과 주5일 근무 환경 등이 형성되면서 주말 연휴 등을 이용하여 가족, 친구 등과 함께 캠핑을 즐기는 인구가 급속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캠핑 중에 참나무 장작을 화로에 넣고 연소시켜 모닥불을 피우고, 연소된 참나무 장작이 숯으로 형성되면 이를 이용하여 숯불구이 등의 요리를 하게 된다.
특히, 모닥불을 피우는 중에 장작불을 보며 멍하게 있는 것을 의미하는 '불멍'이라는 신조어가 생겨나고 있으며, 이는 아무 생각 없이 타오르는 불꽃을 보고 있노라면 자신도 모르게 심신이 안정되면서 힐링이 되기 때문에 근자에는 야외 캠핑시 많은 사람들이 야간에 장작불을 피워 추억을 만듦과 동시에 힐링을 위한 불멍을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숯은 참나무 장작을 연소시킨 후에 생성됨에 따라 참나무 장작을 착화시키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면서 많은 연기가 발생하여 사용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숯은 그 연소시에 연기가 발생하면서 불똥이 튀는 등 사용상의 불편함이 상존하고, 불꽃과 숯불의 크기를 사용자가 적절히 조절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713495호 "커피 성형 숯 및 그 제조방법"(2017.02.28.)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원자재의 참나무 상태를 직접 확인 가능하며 참나무 장작을 열처리하여 착화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불꽃이 크게 생성되도록 하고 연기와 불똥의 발생이 극소화되도록 하고 간편하게 불꽃의 크기나 숯불의 크기를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반탄화된 열처리목을 이용한 친환경 DIY 참숯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반탄화된 열처리목을 이용한 친환경 DIY 참숯"은, 건조된 참나무를 절단하여 좌우폭 6 내지 10cm이고 상하 길이 8 내지 15cm의 사각 입방체로 형성되고, 절단된 입방체의 참나무를 섭씨 180 내지 220도의 온도로 가열하고, 그 후에 물을 3 내지 5분 동안 분무하여 냉각시키며, 상기 가열과 냉각의 과정을 반복하여 입방체의 참나무의 외면에서 내부까지 균열이 형성되면서 건조 및 열처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반탄화된 열처리목을 이용한 친환경 DIY 참숯"의 상기 절단된 사각입방체 참나무는, 착화 효율을 올리기 위해 그 상단과 하단이 20 내지 45도의 각도로 경사지게 절단되어 외측으로 뾰족하게 돌출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경사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반탄화된 열처리목을 이용한 친환경 DIY 참숯의 제조 방법"은, 참나무 생목을 준비하고, 준비된 참나무 생목을 함수율 15 내지 30%로 건조시키는 생목 건조 단계와; 건조된 참나무를 좌우폭 6 내지 10cm이고 상하 길이 8 내지 15cm의 사각입방체로 절단하여 다수개로 준비하는 건조목 절단 단계와; 절단된 입방체의 참나무를 열처리 챔버에 넣고 열처리 챔버를 밀봉한 후에 열처리 챔버의 내부에 설치된 전기히터와 팬을 가동하고 과열증기를 주입하여 챔버 내부의 온도를 섭씨 90 내지 110도까지 상승시키는 과열증기 승온 단계와; 과열증기의 주입을 차단하고, 열처리 챔버의 내부에 설치된 전기히터와 팬을 가동하여 24 내지 48시간 동안 섭씨 180 내지 200도로 가열하여 입방체의 참나무를 건조 및 열처리시키는 1차 열처리 단계와, 상기 전기히터와 팬의 구동을 중지시키고, 열처리 챔버의 내부에서 입방체의 참나무에 섭씨 50 내지 70도의 물을 3 내지 5분 동안 분무하여 입방체 참나무를 냉각시키면서 참나무의 외면에 균열을 발생시키는 1차 균열 단계와; 물의 분무가 완료된 후에 전기히터와 팬을 가동시키면서 참나무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10 내지 12시간 동안 섭씨 180 내지 200도로 가열하여 입방체의 참나무를 건조 및 열처리시키는 2차 열처리 단계와; 상기 전기히터와 팬의 구동을 중지시키면서 마이크로파의 조사를 중지시키고, 열처리 챔버의 내부에서 입방체의 참나무에 섭씨 50 내지 70도의 물을 3 내지 5분 동안 분무하여 입방체 참나무를 냉각시키면서 참나무의 외면과 내부에 균열을 발생시키는 2차 균열 단계와; 물의 분무가 완료된 후에 열처리 챔버의 내부에 설치된 전기히터와 팬을 가동하여 10 내지 12시간 동안 섭씨 200 내지 220도로 가열하여 입방체의 참나무를 건조 및 열처리시키는 3차 열처리 단계와; 상기 전기히터와 팬의 구동을 중지시키고, 열처리 챔버의 내부에 증기를 분사하여 열처리 챔버의 내부의 온도를 섭씨 100 내지 120도까지 천천히 냉각시키는 완속 냉각 단계와; 증기의 분사를 중지시키고, 열처리 챔버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외부 공기를 열처리 챔버의 내부로 주입하여 입방체의 참나무를 급속하게 상온으로 냉각시키는 급속 냉각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반탄화된 열처리목을 이용한 친환경 DIY 참숯의 제조 방법"의 상기 건조목 절단 단계는, 사각입방체로 절단된 입방체 참나무의 상단과 하단을 20 내지 45도의 각도로 경사지게 절단하는 상하단 절단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2차 열처리 단계는, 입방체의 참나무를 건조 및 열처리하는 동안에 열처리 챔버의 내부의 온도를 1시간 동안 섭씨 200도까지 승온시킨 후에 1시간 동안 섭씨 180도까지 하강시키는 승온 및 하강을 1시간씩 반복하는 온도 승하강 과정과, 입방체의 참나무를 건조 및 열처리가 완료된 후에 열처리 챔버의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진공을 형성하는 진공 형성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원자재의 참나무 상태를 직접 확인 가능하며 참나무 장작을 열처리하여 착화가 신속하게 이루어져 사용이 간편해지고, 불꽃이 크게 생성되어 불멍에 사용할 수 있으며, 연기와 불똥의 발생이 극소화되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되고, 간편하게 불꽃의 크기나 숯불의 크기를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어 DIY 기능을 가지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참숯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참숯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참숯을 보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참숯을 보인 도면들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탄화된 열처리목을 이용한 친환경 DIY 참숯은 건조된 참나무를 절단하여 좌우폭 6 내지 10cm이고 상하 길이 8 내지 15cm의 사각입방체 참나무(1)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사각입방체 참나무(1)는 섭씨 180 내지 220도의 온도로 가열하고 그 후에 물을 3 내지 5분 동안 분무하여 냉각시키며 상기 가열과 냉각의 과정을 반복하여 사각입방체 참나무(1)의 외면에서 내부까지 균열(2)이 형성되면서 건조 및 열처리되어 형성된다.
상기 사각입방체 참나무(1)는 고온 가열에 의한 건조 및 열처리에 의해 완전히 건조되면서 어느 정도의 탄화가 이루어져 연기의 발생이 극소화된 상태로 신속하게 착화되면서 불꽃을 발생시키고 연소되어 숯불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화로의 내부로 상기 사각입방체 참나무(1)의 투입량에 의해 불꽃과 숯불의 크기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균열(2)은 상기 사각입방체 참나무(1)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나무결 사이에 상하로 형성되어 상기 사각입방체 참나무(1)가 연기가 발생되지 않은 상태로 외부와 내부가 거의 동일하게 연소되면서 빠르게 불꽃과 숯불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사각입방체 참나무(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화 효율을 올리기 위해 그 상단과 하단이 20 내지 45도의 각도(A)로 경사지게 절단되어 외측으로 뾰족하게 돌출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경사돌출부(3)를 더 포함한다.
상기 경사돌출부(3)는 외측으로 뾰족하게 돌출됨으로써 상대적으로 얇은 부위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참숯에 불을 붙일 때 착화가 용이하면서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경사돌출부(3)는 연기의 발생이 극소화된 상태로 불이 잘 붙는 부위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각도(A)가 20도보다 작으면 뾰족하게 돌출된 부위가 너무 두꺼워 착화가 어렵고, 상기 각도(A)가 45도보다 크면 뾰족하게 돌출된 부위가 너무 얇아 내구성이 떨어져 쉽게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반탄화된 열처리목을 이용한 친환경 DIY 참숯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참숯의 제조 방법은 참나무 생목을 건조시키는 생목 건조 단계와, 건조된 참나무를 사각입방체로 절단하는 건조목 절단 단계와, 과열증기로 열처리 챔버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과열증기 승온 단계와, 고온으로 1차 건조 및 열처리시키는 1차 열처리 단계와, 물로 급냉시켜 1차적으로 참나무에 균열을 발생시키는 1차 균열 단계와, 고온으로 2차 건조 및 열처리시키는 2차 열처리 단계와, 물로 급냉시켜 2차적으로 참나무에 균열을 발생시키는 2차 균열 단계와, 고온으로 3차 건조 및 열처리시키는 3차 열처리 단계와, 증기를 이용하여 완속으로 냉각시키는 완속 냉각 단계와, 외부 공기를 이용하여 급속으로 냉각시키는 급속 냉각 단계를 포함하고, 이와 같은 단계들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져 본 발명에 따른 DIY 참숯이 제조 된다.
상기 생목 건조 단계는 참나무 생목을 준비하고 준비된 참나무 생목을 함수율 15 내지 30%로 건조시키는 단계를 말한다. 이 단계는 열처리가 원활하도록 참나무를 사전에 어느 정도 건조시키는 것이다.
상기 건조목 절단 단계는 건조된 참나무를 좌우폭 6 내지 10cm이고 상하 길이 8 내지 15cm의 사각입방체로 절단하여 다수개로 준비하는 단계를 말한다. 이 단계는 참나무를 절단하여 연소가 용이한 적당한 크기의 사각입방체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건조목 절단 단계는 사각입방체로 절단된 입방체 참나무의 상단과 하단을 20 내지 45도의 각도로 경사지게 절단하는 상하단 절단 과정을 더 포함한다. 상기 상하단 절단 과정은 절단된 입방체 참나무의 상단과 하단이 외측으로 뾰족하게 돌출됨으로써 상대적으로 얇은 부위를 형성하여 착화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과열증기 승온 단계는 절단된 입방체의 참나무를 열처리 챔버에 넣고 열처리 챔버를 밀봉한 후에 열처리 챔버의 내부에 과열증기를 주입하여 챔버 내부의 온도를 섭씨 90 내지 110도까지 상승시키는 단계를 말한다. 이 단계는 과열증기를 통해 열처리 챔버의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면서 참나무를 쪄서 즉, 증숙하여 이후의 고온에 의한 참나무의 분할이나 쪼개짐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1차 열처리 단계는 과열증기의 주입을 차단하고 열처리 챔버의 내부에 설치된 전기히터와 팬을 가동하여 10 내지 12시간 동안 섭씨 180 내지 200도로 가열하여 입방체의 참나무를 건조 및 열처리시키는 단계를 말한다. 이 단계는 입방체 참나무의 외부면을 가열하여 건조 및 열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1차 균열 단계는 상기 전기히터와 팬의 구동을 중지시키고 열처리 챔버의 내부에서 입방체의 참나무에 섭씨 50 내지 70도의 물을 3 내지 5분 동안 분무하는 단계를 말한다. 이 단계는 입방체 참나무를 냉각시키면서 참나무의 외면에 미세한 균열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2차 열처리 단계는 물의 분무가 완료된 후에 전기히터와 팬을 가동시키면서 참나무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10 내지 12시간 동안 섭씨 180 내지 200도로 가열하여 입방체의 참나무를 건조 및 열처리시키는 단계를 말한다. 이 단계는 입방체 참나무의 외부면과 내부를 모두 가열하여 건조 및 열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마이크로파는 열처리 챔버에 설치된 마이크로파발진기에 의해 조사되어 참나무의 내부를 가열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2차 열처리 단계는 입방체의 참나무를 건조 및 열처리하는 동안에 열처리 챔버의 내부의 온도를 1시간 동안 섭씨 200도까지 승온시킨 후에 1시간 동안 섭씨 180도까지 하강시키는 승온 및 하강을 1시간씩 반복하는 온도 승하강 과정과, 입방체의 참나무를 건조 및 열처리가 완료된 후에 열처리 챔버의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진공을 형성하는 진공 형성 과정을 더 포함한다.
상기 온도 승하강 과정은 온도의 승하강을 반복하여 참나무의 내부에 불균일한 충격파 및 내력이 가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불균일한 충격파와 내력은 추후 참나무에 균열을 보다 많이 발생시키는 요인이 된다.
상기 진공 형성 과정은 2차에 걸친 열처리 과정에서 참나무에서 배출된 가스나 액체 등이 외부로 배출되어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2차 균열 단계는 상기 전기히터와 팬의 구동을 중지시키면서 마이크로파의 조사를 중지시키고 열처리 챔버의 내부에서 입방체의 참나무에 섭씨 50 내지 70도의 물을 3 내지 5분 동안 분무하는 단계를 말한다. 이 단계는 입방체 참나무를 냉각시키면서 참나무의 외면과 내부에 균열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참나무의 외면에 형성된 균열을 내부까지 확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3차 열처리 단계는 물의 분무가 완료된 후에 열처리 챔버의 내부에 설치된 전기히터와 팬을 가동하여 10 내지 12시간 동안 섭씨 200 내지 220도로 가열하여 입방체의 참나무를 건조 및 열처리시키는 단계를 말한다. 이 단계는 입방체 참나무를 고온으로 가열하여 건조 및 열처리를 마무리하는 것이다.
상기 완속 냉각 단계는 상기 전기히터와 팬의 구동을 중지시키고 열처리 챔버의 내부에 증기를 분사하여 열처리 챔버의 내부의 온도를 섭씨 100 내지 120도까지 천천히 냉각시키는 단계를 말한다. 이 단계는 급속한 냉각에 의한 분할이나 할열을 방지시키면서 증기에 의해 쪄지면서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급속 냉각 단계는 증기의 분사를 중지시키고 열처리 챔버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외부 공기를 열처리 챔버의 내부로 주입하여 입방체의 참나무를 급속하게 상온으로 냉각시키는 단계를 말한다. 이 단계는 급속한 냉각을 통해 열처리된 참나무의 내부에 미세한 균일이 생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참숯 제조 방법은 참나무 장작을 열처리하여 착화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불꽃이 크게 생성되도록 하고 연기와 불똥의 발생이 극소화되도록 하는 참숯을 제조하는 획기적인 발명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
1 : 사각입방체 참나무
2 : 균열
3 : 경사돌출부
A : 각도

Claims (4)

  1. 건조된 참나무를 절단하여 좌우폭 6 내지 10cm이고 상하 길이 8 내지 15cm의 사각입방체로 형성되고,
    절단된 입방체의 참나무를 섭씨 180 내지 220도의 온도로 가열하고, 그 후에 물을 3 내지 5분 동안 분무하여 냉각시키며, 상기 가열과 냉각의 과정을 반복하여 입방체의 참나무의 외면에서 내부까지 균열이 형성되면서 건조 및 열처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탄화된 열처리목을 이용한 친환경 DIY 참숯.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된 사각입방체 참나무는,
    착화 효율을 올리기 위해 그 상단과 하단이 20 내지 45도의 각도로 경사지게 절단되어 외측으로 뾰족하게 돌출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경사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탄화된 열처리목을 이용한 친환경 DIY 참숯.
  3. 참나무 생목을 준비하고, 준비된 참나무 생목을 함수율 15 내지 30%로 건조시키는 생목 건조 단계와;
    건조된 참나무를 좌우폭 6 내지 10cm이고 상하 길이 8 내지 15cm의 사각입방체로 절단하여 다수개로 준비하는 건조목 절단 단계와;
    절단된 입방체의 참나무를 열처리 챔버에 넣고 열처리 챔버를 밀봉한 후에 열처리 챔버의 내부에 설치된 전기히터와 팬을 가동하고 과열증기를 주입하여 챔버 내부의 온도를 섭씨 90 내지 110도까지 상승시키는 과열증기 승온 단계와;
    과열증기의 주입을 차단하고, 열처리 챔버의 내부에 설치된 전기히터와 팬을 가동하여 10 내지 12시간 동안 섭씨 180 내지 200도로 가열하여 입방체의 참나무를 건조 및 열처리시키는 1차 열처리 단계와;
    상기 전기히터와 팬의 구동을 중지시키고, 열처리 챔버의 내부에서 입방체의 참나무에 섭씨 50 내지 70도의 물을 3 내지 5분 동안 분무하여 입방체 참나무를 냉각시키면서 참나무의 외면에 균열을 발생시키는 1차 균열 단계와;
    물의 분무가 완료된 후에 전기히터와 팬을 가동시키면서 참나무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10 내지 12시간 동안 섭씨 180 내지 200도로 가열하여 입방체의 참나무를 건조 및 열처리시키는 2차 열처리 단계와;
    상기 전기히터와 팬의 구동을 중지시키면서 마이크로파의 조사를 중지시키고, 열처리 챔버의 내부에서 입방체의 참나무에 섭씨 50 내지 70도의 물을 3 내지 5분 동안 분무하여 입방체 참나무를 냉각시키면서 참나무의 외면과 내부에 균열을 발생시키는 2차 균열 단계와;
    물의 분무가 완료된 후에 열처리 챔버의 내부에 설치된 전기히터와 팬을 가동하여 10 내지 12시간 동안 섭씨 200 내지 220도로 가열하여 입방체의 참나무를 건조 및 열처리시키는 3차 열처리 단계와;
    상기 전기히터와 팬의 구동을 중지시키고, 열처리 챔버의 내부에 증기를 분사하여 열처리 챔버의 내부의 온도를 섭씨 100 내지 120도까지 천천히 냉각시키는 완속 냉각 단계와;
    증기의 분사를 중지시키고, 열처리 챔버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외부 공기를 열처리 챔버의 내부로 주입하여 입방체의 참나무를 급속하게 상온으로 냉각시키는 급속 냉각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탄화된 열처리목을 이용한 친환경 DIY 참숯의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목 절단 단계는,
    사각입방체로 절단된 입방체 참나무의 상단과 하단을 20 내지 45도의 각도로 경사지게 절단하는 상하단 절단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2차 열처리 단계는,
    입방체의 참나무를 건조 및 열처리하는 동안에 열처리 챔버의 내부의 온도를 1시간 동안 섭씨 200도까지 승온시킨 후에 1시간 동안 섭씨 150도까지 하강시키는 승온 및 하강을 1시간씩 반복하는 온도 승하강 과정과,
    입방체의 참나무를 건조 및 열처리가 완료된 후에 열처리 챔버의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진공을 형성하는 진공 형성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탄화된 열처리목을 이용한 친환경 DIY 참숯의 제조 방법.
KR1020220060632A 2022-05-18 2022-05-18 반탄화된 열처리목을 이용한 친환경 diy 참숯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301610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632A KR20230161071A (ko) 2022-05-18 2022-05-18 반탄화된 열처리목을 이용한 친환경 diy 참숯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632A KR20230161071A (ko) 2022-05-18 2022-05-18 반탄화된 열처리목을 이용한 친환경 diy 참숯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1071A true KR20230161071A (ko) 2023-11-27

Family

ID=88967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0632A KR20230161071A (ko) 2022-05-18 2022-05-18 반탄화된 열처리목을 이용한 친환경 diy 참숯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107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3495B1 (ko) 2016-08-16 2017-03-07 이찬우 커피 성형 숯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3495B1 (ko) 2016-08-16 2017-03-07 이찬우 커피 성형 숯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3074092A1 (ja) 燃焼用木材および燃焼用乾燥木材の製造方法
KR101300512B1 (ko) 캠핑용 열처리 장작 및 그 제조방법
KR20230161071A (ko) 반탄화된 열처리목을 이용한 친환경 diy 참숯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173000B1 (ko) 고기훈제기
KR101069748B1 (ko) 구이용 황토가마 제작공정 및 장치
US5242703A (en) Method of cooking food in a gas grill
KR102516300B1 (ko) 훈연구이기를 이용한 구이방법
KR200481248Y1 (ko) 구이용 화로
KR101039383B1 (ko) 덩어리 형상 단열부재를 이용한 구이용 화로
US5284671A (en) Method of charcoal cooking food in an electric grill
KR200222824Y1 (ko) 통닭구이용 황토가마
RU2578573C1 (ru)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шашлык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4669556B2 (ja) 調理器具
JP2004261995A (ja) 竹材薫製工芸品及びそれを用いた植物の栽培方法
KR20150117952A (ko) 참나무를 이용한 고체연료 및 그 제조 방법
JPH02167024A (ja) 魚節の製造法
KR102311240B1 (ko) 장작 자동 제조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179272B1 (ko) 훈연기
KR100412102B1 (ko) 실내용 무연바베큐구이장치
KR20240000548U (ko) 볏짚을 이용한 고체연료
KR100638515B1 (ko) 브라운가스 발열장치를 이용한 급속바베큐기
KR200196607Y1 (ko) 훈재 전기구이기
KR200206797Y1 (ko) 원적외선을 이용한 바베큐용 브라운가스 오븐
JPH06102790B2 (ja) 燃料用竹炭
KR20160123695A (ko) 세라믹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