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0540A - 파티션 연결 구조 - Google Patents

파티션 연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0540A
KR20230160540A KR1020220060139A KR20220060139A KR20230160540A KR 20230160540 A KR20230160540 A KR 20230160540A KR 1020220060139 A KR1020220060139 A KR 1020220060139A KR 20220060139 A KR20220060139 A KR 20220060139A KR 20230160540 A KR20230160540 A KR 20230160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receiving groove
profile
connecting member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0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운
윤형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인
Priority to KR1020220060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0540A/ko
Publication of KR20230160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05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61Details of connection of sheet panels to frame or posts
    • E04B2002/7474Details of connection of sheet panels to frame or posts using releasable connectors actuable with a key or a to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곽 프레임을 구비하는 파티션들을 연결하기 위한 구조와 관련되며 실시예로, 파티션의 측면을 구성하며, 내부 단면에 비하여 입구가 좁은 수용홈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프로파일과, 한 쌍의 상기 프로파일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됨에 따라, 서로 대칭을 이루는 두 수용홈에 삽입되어 프로파일들을 결합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파티션 연결구조를 제시한다.

Description

파티션 연결 구조{CONNECTING STRUCTURE OF PARTITION}
본 발명은 외곽 프레임을 구비하는 파티션들을 연결하기 위한 구조와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파티션은 개인 사생활 보호를 위한 가림 벽 세움 용도나 실내 공간을 구획하여 작은 공간을 창출하는 등의 인테리어 용도로 활용된다.
사용 목적에 따라 파티션의 높이를 달리하여 개인 사무 공간을 형성케 하거나, 성인키보다 높게 하여 벽면과 같이 일부 공간을 시각적으로 가릴 수 있다. 또한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여러 장을 연결하여 넓은 면 또는 복잡한 평면적 조립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파티션은 한 번 설치된 이후에는 사무실 이전이나 별도의 리뉴얼이 없으면 같은 자리에서 계속 사용되는 것으로, 인테리어 효과와 더불어 구조적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금속 프레임을 구비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파티션은 사각으로 짜인 프레임에 패널과 가장자리 마감재를 결합하여 구성되는데, 여러 장의 파티션을 연결할 때에는 이웃하는 프레임 간에 볼트 체결이나 별도 커넥터를 사용한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0168537호 (1999.11.1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128425호 (2006.12.14)
종래의 기술에 따른 파티션들 간의 연결 방식 중 하나는, 두 파티션을 나란히 세워두고, 인접한 프로파일의 각 홈에 들어가는 졸대를 위에서부터 넣는 것이다. 이 졸대는 휘어짐이 가능하면서도 질긴 것으로, 두 파티션이 접하는 측면 프로파일의 길이만큼 길게 삽입되어 파티션의 연결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하였다.
이러한 졸대는 두 파티션을 곧게 나란히 밀착시킨 상태에서야 삽입 가능한 것으로, 졸대를 넣는 과정 중에 조금이라도 파티션들의 정렬이 흩어지면 더 이상 졸대를 넣지 못하게 되어 설치 작업의 번거로움이 크다. 또한 금속 재질의 프레임을 구비한 대형 파티션의 조립에서는 가요성 졸대만으로 충분한 조립 강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또 다른 종래의 기술은 파티션 프레임을 볼트와 너트로 체결하거나 또는 그에 준하는 철물을 이용하는 것이다. 철물을 이용하여 여러 군데에서 체결 작업이 진행됨으로써 비교적 높은 조립 강성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도 파티션을 나란히 세워 밀착시킨 다음에야 볼트 등을 체결할 수 있는 것으로, 밀착시킨 파티션을 잡고 있는 조력자나 별도 고정 지그 등이 필요하다. 따라서 추가적인 장비의 취급에 따른 번거로움 또는 추가적인 현장 인력의 필요에 의해 비경제적인 한계가 있다. 또한 조립 현장에서 여러 철물과 이를 조일 도구들을 파티션 부재들과 함께 취급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기술이 갖는 여러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파티션 조립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사용자가 누구나 쉽고 견고하게 파티션 조립을 가능케 하고자 한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파티션의 측면을 구성하며, 내부 단면에 비하여 입구가 좁은 수용홈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프로파일과, 한 쌍의 상기 프로파일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됨에 따라, 서로 대칭을 이루는 두 수용홈에 삽입되어 프로파일들을 결합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파티션 연결구조를 제시한다. 여기서 연결부재는 어느 한 프로파일의 수용홈에 장착되는 제1 장착부, 다른 프로파일의 수용홈에 장착되는 제2 장착부 및 상기 입구에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2 장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를 향하는 상기 제2 장착부의 내측부에는 경사진 안내면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안내면에 상기 수용홈의 입구 쪽의 내면과 접하면서 상기 프로파일의 일단부가 상기 제2 장착부에 비스듬히 삽입될 수 있다.
나아가 확실한 고정을 위하여 연결부재에는 상기 제1,2 장착부 및 상기 연결부를 관통하는 피스홀이 형성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수용홈의 입구의 끝단부에는 상기 수용홈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된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2 장착부에는 상기 돌기부에 대응하여 오목하게 함몰된 파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파티션 설치 작업에서 작업자가 파티션의 양단부를 파지할 수 있는 살짝 기울어진 상태로 조립이 진행되므로 설치 작업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 연결 구조가 채택된 파티션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프로파일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연결부재의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와 프로파일의 고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의 조립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또 다른 조립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조립이 완료된 두 파티션과 연결부재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 연결 구조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단, 도면들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번호는 통일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기술적 의미가 동일성 범위에 있는 구성요소를 편의상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즉, 어떠한 하나의 구성은 임의적으로 '제1구성' 또는 '제2구성'으로 명명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제한 해석해서는 아니된다. 이 기술분야에 속하는 전문가의 견지에서 도면에 도시된 일부 또는 전부가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형상, 모양, 순서가 아니라고 해석될 수 있다면,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을 한정하지 아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 연결 구조가 적용된 파티션과 관련된다.
도시된 파티션(300)은 적어도 양측에 노출되어 있는 프로파일(20)을 구비하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결합되는 판 형상의 패널(40)을 포함한다.
여기서 프레임의 짜임 구조와 패널의 종류는 공지된 다양한 구조나 종류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은 패널의 사이즈에 맞춘 사각 프레임이거나, 이러한 사각 프레임의 중간에 보강재가 구비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패널은 프레임의 폭에 대응하는 두께를 가진 판재이거나, 프레임의 전면부에 부착하는 얇은 합성수지 판재가 될 수 있다.
나아가,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파티션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마감을 위한 덧댐 프로파일이나 높낮이 조절을 위한 지지 포스트, 패널 하단과 지면 사이의 들뜸 공간을 가리는 가니쉬 플레이트 등이 더 결합될 수 있다.
도시한 파티션(300)은 측면의 프로파일(20)에 결합되는 연결부재(10)를 통하여, 같은 종류의 프로파일을 구비하는 다른 파티션과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 장의 파티션이 같은 평면 상에서 좌우로 연장되어 하나의 넓은 벽면을 형성하거나, 사각 기둥의 측면 둘레에 파티션들이 연결부재를 통해 결합되어 직각의 벽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채용된 프로파일과 관련된다.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20)은 파티션의 프레임 중 양 측면을 구성하는 것으로, 금속 또는 경질 합성수지를 인발 가공하여 제조한 후 요구되는 파티션 사이즈에 맞춰 절단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프로파일(20)에는 패널의 단부에 접하는 베이스판부(25)가 구비되며, 패널과 접촉하는 면과 반대측에 연결부재가 결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홈은 프로파일의 폭에 대하여 중앙에 형성됨으로써, 폭에 맞춰 두 프로파일을 마주보게 두었을 때에 두 수용홈도 중앙에서 마주보게 배치된다.
수용홈(21)은 그 바닥(211)보다 입구(212)가 좁게 형성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수용홈(21)의 마주보는 내벽은 바닥(211)으로부터 나란히 수직되게 돌출되다가, 입구(212)측에 이르러 곡면(213)을 형성하면서 서로 가까워지는 형상을 취하고 있다.
입구(212)의 끝단부에는 수용홈(21)의 내부(정확히는 바닥)를 향하여 돌출된 돌기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홈(21)의 내벽이 입구(212) 가까이에서 곡면(213)으로 말린 형상이기에 수용홈(21)의 입구(212) 안쪽 부분은 돌기부(22)까지 갈고리의 형태의 단면이 된다.
이때 돌기부(22)의 돌출 길이가 더해져, 입구(212) 끝단의 폭 길이(d)는 내벽의 두께 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두텁게 형성된 입구(212) 끝단은 후술하는 연결부재(10)의 연결부(13)와 넓은 면으로 접촉함으로써 연결부재(10)의 이동에 따라 접촉 부위의 쓸리면서 마모되는 문제점를 줄인다.
한편 프로파일(20)의 꼭짓점 부분에는 대략 원형 단면으로 함몰된 모서리홈(23)이 형성되어 있다. 이 모서리홈(23)에는 기존의 졸대 등이 결합되어 동종의 다른 프로파일 또는 기존에 졸대를 사용하는 타입의 기둥 등과 파티션을 결합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패널(40)과 접촉하는 베이스판부(25)의 배면 양단에는 패널을 수용하는 얕은 홈을 형성하는 가림턱부(24)가 구비된다. 가림턱부(24)는 패널(40)의 단부와 베이스판부(25)의 접촉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하게 가리는 역할을 한다.
가림턱부(24)의 내측은 베이스판부(25)를 향하여 내림경사진 테이퍼면(241)이 형성되어 있다. 프로파일(20)의 전체 폭보다 다소 작은 폭을 가진 패널(40)이 결합될 때에, 양 가림턱부(24)의 테이퍼면(241)을 타고 프로파일(20)의 중앙으로 패널(40)이 맞춰짐으로써 현장에서 패널(40)을 프로파일(20)의 정중앙으로 정렬시키기 매우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과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10)는, 한 쌍의 프로파일을 대향되게 인접시킴에 따라 서로 마주보는 두 수용홈에 삽입되어 두 프로파일을 결합시키는 것이다. 연결부재로 두 프로파일을 연결하는 방식을 채택하여 두 장의 파티션을 나란히 연장하거나, 수용홈이 형성된 기둥부재와 파티션을 연결할 수 있다.
겹쳐진 프로파일을 결합시키는 연결부재(10)는 어느 한 프로파일의 수용홈에 장착되는 제1 장착부(11), 다른 프로파일의 수용홈에 장착되는 제2 장착부(12) 및 제1,2 장착부(11, 12)를 연결하는 연결부(13)를 포함한다.
제1,2 장착부(11, 12)는 수용홈(21)의 내부 폭에 대응하는 폭 사이즈로 형성되어 있다. 반면 연결부(13)는 입구(212) 사이즈에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되어 있어 제1,2 장착부(11, 12)의 폭에 비하여 좁은 폭을 가진다. 따라서 수용홈(21)에 어느 장착부(11, 12)가 삽입되면, 연결부재(10)는 프로파일(20)의 길이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며 수용홈(21)의 입구(212)로는 빠지지 않는다.
제1,2 장착부(11, 12)는 모두 수용홈(21)의 폭에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수용홈의 얼마나 깊이에 들어가지에 대해서는 차이가 있다. 즉 제1 장착부(11)는 수용홈(21)의 바닥(211)에 이를 정도로 두텁게 형성된 반면 제2 장착부(12)는 수용홈의 바닥과 간격을 두는 정도로 제1 장착부(11)에 비하여 얇게 형성되어 있다(도 4 또는 도 6 참고).
제1 장착부(11)는 수용홈(21)의 바닥(211)과 넓은 면적으로 만나 접촉함으로써 연결부재(10)에 걸리는 하중을 프로파일(20)에 온전히 전달하는 데에 유리하다. 따라서 나중에 설명하는 파티션의 결합 과정 중에 얹힌 파티션의 큰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 지지하여 연결부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반면 제1 장착부(11)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제2 장착부(12)는, 제1 장착부(11)에 비하여 수용홈(21)에 진입하기가 쉽다. 이는 후술하는 파티션의 연결 작업을 용이하게 돕는 효과가 있다.
다시 도 3을 참고하면, 도면을 기준으로 연결부재(10)의 상부의 각 둘레에는 수용홈(21)으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다수의 경사면(142, 143, 144, 145, 146, 147)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장착부(11)에는 폭 방향에 경사면(143)을 형성해 둠과 함께 수용홈(21)의 바닥과 접하는 단부에도 깊은 경사면(14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장착부(11)의 큰 평단면 사이즈가 수용홈의 단면 사이즈에 대등함에도 불구하고 수용홈(21)에 제1 장착부(11)가 원활하게 삽입된다.
연결부(13)에도 입구(212)의 폭보다 선단부를 좁게 하는 경사면들(144, 145)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 장착부(12)에도 폭 방향으로 수용홈(21)에 진입을 용이하게 하는 경사면들(146)이 형성되어 있다. 반면 제1 장착부(11)에 비하여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있는 제2 장착부(12)에는 수용홈의 바닥을 향하는 전면부에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지 아니하다.
한편 연결부(13)와 이어지는 제2 장착부(12)의 내측부에는 하향 경사진 안내면(121)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장착부(12)의 안내면(121)은 이후 설명하는 파티션의 수월한 연결 작업에 사용된다.
제1,2 장착부(11, 12)와 연결부(13)가 이어지는 부위에는, 수용홈(21) 입구에 구비된 돌기부(22)에 대응하여 오목하게 함몰된 파지홈(141)이 형성되어 있다.
파지홈(141)은 돌기부(22)의 선단부와 대응하는 호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연결부(13)와 수직으로 만나는 장착부(11, 12)의 내측부를 곡면으로 연결한다.
나아가 연결부재(10)에는 제1,2 장착부(11, 12) 및 연결부(13)를 관통하는 피스홀(101)이 형성되어 있다. 도 3과 도 4를 참고하면, 피스홀(101)은 카운트보어 타입으로 피스(p)의 헤드(h)가 제2 장착부(12) 쪽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파일(20)에 제1 장착부(11)를 삽입하여 연결부재(10)를 끼워 넣은 다음 피스홀(101)에 피스(p)를 장착하여, 피스(p)가 프로파일(20)과 패널(40)에까지 파고들게 함으로써 연결부재(10)를 프로파일(20)에 완전히 고정할 수 있다. 이때 피스의 헤드(h)는 제2 장착부로 매립된 형태가 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 연결 구조가 적용된 파티션의 결합 방식과 관련된다.
도 5에서 오른쪽의 파티션(302)은 이미 설치가 완료되어 위치가 고정된 것이고, 왼쪽의 파티션(301)은 이제 오른쪽 파티션(302)에 연결하려는 것이다.
오른쪽의 파티션(302)의 프로파일(20)의 하부에 연결부재(10)를 장착한다. 이때 수용홈(21)에 제1 장착부(11)를 삽입하게 되며, 프로파일(20)의 하단부에서 연결부재(10)를 밀어올림에 따라 제1 장착부(11)의 경사면(142, 143)이 상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결부재(10)를 장착하게 된다. 적당한 높이(프로파일의 하단으로부터 대략 5 센티미터 정도)에서 연결부재(10)를 피스를 통해 견고히 고정할 수 있다.
작업자는 새로이 설치할 파티션(301)을 살짝 기울인 상태로 파지하여, 이 파티션(301)의 프로파일(20)을 오른쪽 파티션(302) 하단부에 돌출된 제2 장착부(12)에 맞춰 삽입할 수 있다.
작업자에 의해 옮겨진 파티션(301)에 장착된 프로파일(20)의 수용홈(21) 안으로, 미리 설치된 파티션의 하단부에서 돌출되어 있는 제2 장착부(12)가 일부 들어갈 때에, 수용홈(21)의 내벽이 제2 장착부(12)의 안내면(121)과 접촉함으로써, 작업자가 파티션(301)을 여전히 비스듬한 각도(A)로 파지할 수 있다.
즉 새로 설치할 파티션(301)이 기울어진 채로 기존 파티션(302) 하단부에 장착해둔 연결부재(10)에 얹히듯이 조립할 수 있다.
제2 장착부(12)의 안내면(121)에 프로파일(20)의 하단을 걸쳐 파티션(301)을 비스듬히 얹어 놓은 다음에, 작업자는 지면과 수직하게 파티션(301)을 세워 두 파티션을 나란히 세우게 된다.
이후 겹쳐진 좌우의 프로파일(20)에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또 다른 연결부재(10)를 위로부터 장착하여 두 파티션(301, 302)을 상하의 연결부재들로 고정할 수 있다. 이때 파티션들(301, 302)의 아랫부분이 이미 연결부재(10)로 결합되어 있기에 작업자가 파티션들의 정렬 유지에 크게 신경쓰지 않고, 상부에 새로운 연결부재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상부에서 장착하는 연결부재(10)는 하부의 연결부재(10)와 대칭이 되도록 하여 프로파일의 고정이 견고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즉 수용홈을 거의 꽉 채우는 제1 장착부(11)가 마주보는 수용홈에 하나씩 들어가 채우는 구조가 이루어져 프로파일 간의 들뜸이 없게 된다.
다시 도 4와 도 5를 참고하면, 수용홈(21) 내벽의 갈고리 형상과 돌출되게 구비되는 돌기부(22)는 그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갖추어 파지홈(141)이 형성되어 있는 장착부(11, 12)와 접촉하여 결합되는 것으로, 서로 대응하는 복잡한 단면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프로파일(20)과 연결부재(10)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고정용 피스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장착해 둔 연결부재가 헐겁게 빠지거나 이동하지 아니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 연결 구조는 제2 장착부(12)에 구비된 경사진 안내면(121)이 있어, 작업자가 파티션을 비스듬히 든 상태에서 연결부재에 안착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로써 조립할 파티션을 설치되어 있는 파티션과 나란하게 맞춰 높게 들어주어야 할 필요가 없다. 볼트나 너트 등으로 이웃한 프레임들의 상부와 하부를 함께 체결하는 종래의 기술에서는 파티션을 밀착시켜 잡아두어야 하기에 부피가 크고 무거운 파티션을 잡아줄 작업자와, 고정 작업을 수행할 작업자가 별도로 필요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 연결 구조에서는 하단의 연결부재를 미리 설치해 두고, 설치할 파티션을 비스듬히 연결부재에 얹는 방식으로 설치 작업이 가능하여 최소의 작업자 인원으로도 설치 작업이 가능하다.
기울어진 상태로 파티션을 장착하기 때문에 파티션의 양단부를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어 크고 무거운 파티션을 다루기 편리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아래에 위치하는 연결부재만큼만 파티션을 살짝 들어올리면 연결 가능하므로, 천장에 이를 정도로 높은 파티션의 경우에도 적용 가능한 장점도 있다.
300, 301, 302 : 파티션
20 : 프로파일
21 : 수용홈 211 : 바닥 212 : 입구 213 : 곡면 22 : 돌기부
23 : 모서리홈 24 : 가림턱부 241 : 테이퍼면 25 : 베이스판재
40 : 패널
10 : 연결부재 101 : 피스홀
11 : 제1 장착부 12 : 제2 장착부 121 : 안내면 13 : 연결부
141 : 파지홈 142 ~ 147 : 경사면

Claims (4)

  1. 파티션(300)의 측면을 구성하며, 내부 단면에 비하여 입구(212)가 좁은 수용홈(21)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프로파일(20)과,
    한 쌍의 상기 프로파일(20)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됨에 따라, 서로 대칭을 이루는 두 수용홈(21)에 삽입되어 프로파일들을 결합시키는 연결부재(1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10)는
    어느 한 프로파일의 수용홈에 장착되는 제1 장착부(11),
    다른 프로파일의 수용홈에 장착되는 제2 장착부(12) 및
    상기 입구(212)에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2 장착부(11, 12)를 연결하는 연결부(13)를 포함하는
    파티션 연결 구조.
  2. 제1항에서,
    상기 연결부(13)를 향하는 상기 제2 장착부(12)의 내측부에는 경사진 안내면(12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안내면(121)에 상기 수용홈의 입구 쪽의 내면과 접하면서 상기 프로파일의 일단부가 상기 제2 장착부(12)에 비스듬히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연결 구조.
  3. 제1항에서,
    상기 연결부재(10)에는
    상기 제1,2 장착부(11, 12) 및 상기 연결부(13)를 관통하는 피스홀(10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연결 구조.
  4. 제1항에서,
    상기 수용홈(21)의 입구(212)의 끝단부에는 상기 수용홈(21)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된 돌기부(2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2 장착부(11, 12)에는 상기 돌기부(22)에 대응하여 오목하게 함몰된 파지홈(14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연결 구조.
KR1020220060139A 2022-05-17 2022-05-17 파티션 연결 구조 KR202301605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139A KR20230160540A (ko) 2022-05-17 2022-05-17 파티션 연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139A KR20230160540A (ko) 2022-05-17 2022-05-17 파티션 연결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0540A true KR20230160540A (ko) 2023-11-24

Family

ID=88972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0139A KR20230160540A (ko) 2022-05-17 2022-05-17 파티션 연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054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8537Y1 (ko) 1999-08-16 2000-02-15 이정우 파티션 연결구조
KR20060128425A (ko) 2005-06-10 2006-12-14 주식회사 코아스웰 파티션의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8537Y1 (ko) 1999-08-16 2000-02-15 이정우 파티션 연결구조
KR20060128425A (ko) 2005-06-10 2006-12-14 주식회사 코아스웰 파티션의 연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66386A (en) Panel joint for assembling panel members
KR20230160540A (ko) 파티션 연결 구조
KR101079991B1 (ko) 차수막, 벽체패널과 프레임 부재를 이용한 벽체마감 장치 및 설치방법
KR20040051556A (ko) 건물에 있어서의 빔의 연결 구조
KR100806188B1 (ko) 석재패널 고정장치 및 시공방법
CN113498445B (zh) 顶棚面板
KR20230012280A (ko) 벽체 구조물용 프레임 결합구 및 이를 구비한 벽체 구조물
KR100538280B1 (ko) 천장 패널 지지용 행거
KR20190012585A (ko) 케이블 트레이 렁 및 이의 제조방법
JP3160179B2 (ja) パネル連結部の取付構造
CN217840834U (zh) 钢结构外脚手架连墙结构及外脚手架
JP3507817B2 (ja) 壁パネルの接続構造
CN112955625B (zh) 用于进入系统的角接器
JPH0579151A (ja) 板状建材の施工法
JPH07189373A (ja) 間仕切壁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6075906B1 (ja) 建物の下地構造
KR100333188B1 (ko) 울타리패널 조립구조
KR20160092978A (ko) 벽면 마감패널 무용접 시공시스템
JPH01244045A (ja) 天板付の間仕切装置
KR20020079129A (ko) 칸막이의 연결장치
JPH0781310B2 (ja) 柱取付構造
JP3831244B2 (ja) 横架材の接合装置
JPH11172823A (ja) Alcパネルの取付構造
JP2022168370A (ja) 取付装置及びアンカー補助具
KR0171678B1 (ko) 에이엘씨 패널의 시공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