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0298A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0298A
KR20230160298A KR1020237035268A KR20237035268A KR20230160298A KR 20230160298 A KR20230160298 A KR 20230160298A KR 1020237035268 A KR1020237035268 A KR 1020237035268A KR 20237035268 A KR20237035268 A KR 20237035268A KR 20230160298 A KR20230160298 A KR 20230160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ack cover
leg
display device
bas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5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광현
최해석
한동균
윤지훈
권석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160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02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s on the outside of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34Feet; Stands; Pedestals, e.g. wheels for moving casing on flo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47Electrical details of casings, e.g. terminals, passages for cables or wiring

Abstract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후방을 커버하고,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백커버; 그리고, 상기 백커버의 후방에 위치하고, 내부 공간을 지니는 바스켓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백커버의 상변은, 상기 프레임의 상변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될 수 있으며, 상기 바스켓은, 상기 백커버의 상변에 걸쳐질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display device)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LCD 패널은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TFT 기판과 컬러 기판을 구비하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빛을 이용해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OLED 패널은 투명전극이 형성된 기판에 자체적으로 발광할 수 있는 유기물층을 증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최근, 대화면 초박형(ultra-thi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백커버의 후방에 주변기기를 수납할 수 있는 바스켓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멀티 탭과 같은 기기를 거치할 수 있는 브라켓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백커버와 바스켓의 결합 구조와, 바스켓과 브라켓의 결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케이블이 위치하는 그루브가 후면에 형성되는 백커버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바스켓이나 브라켓에 구비된 기기와 백커버의 그루브 사이의 케이블의 경로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면으로부터 위쪽으로 이격시키고, 케이블이 위치하는 케이블 홈이 형성되는 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후방을 커버하고,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백커버; 그리고, 상기 백커버의 후방에 위치하고, 내부 공간을 지니는 바스켓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백커버의 상변은, 상기 프레임의 상변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될 수 있으며, 상기 바스켓은, 상기 백커버의 상변에 걸쳐질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백커버의 후방에 주변기기를 수납할 수 있는 바스켓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멀티 탭과 같은 기기를 거치할 수 있는 브라켓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백커버와 바스켓의 결합 구조와, 바스켓과 브라켓의 결합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케이블이 위치하는 그루브가 후면에 형성되는 백커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바스켓이나 브라켓에 구비된 기기와 백커버의 그루브 사이의 케이블의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면으로부터 위쪽으로 이격시키고, 케이블이 위치하는 케이블 홈이 형성되는 스탠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28은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 표시된 상(U), 하(D), 좌(Le), 우(Ri), 전(F), 그리고 후(R)의 방향표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이며, 이에 의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제1 장변(LS1, first long side), 제1 장변(LS1)에 대향하는 제2 장변(LS2, second long side), 제1 장변(LS1) 및 제2 장변(LS2)에 인접하는 제1 단변(SS1, first short side), 및 제1 단변(SS1)에 대향하는 제2 단변(SS2, second short side)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및 제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1 및 제2 단변(SS1, SS2)의 길이보다 더 긴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제1 및 제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1 및 제2 단변(SS1, SS2)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의 단변(SS1, SS2, short side)과 나란한 방향을 상하방향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장변(LS1, LS2, long Side)과 나란한 방향을 좌우방향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장변(LS1, LS2) 및 단변(SS1, SS2)에 수직한 방향을 전후방향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이 화상을 표시하는 방향을 전방(F, z)이라 할 수 있고, 이와 반대되는 방향을 후방(R)이라 할 수 있다. 제1 단변(SS1) 쪽을 왼쪽(Le, x)이라 할 수 있다. 제2 단변(SS2) 쪽을 오른쪽(Ri)이라 할 수 있다. 제1 장변(LS1) 쪽을 위쪽(U, y)이라 할 수 있다. 제2 장변(LS2) 쪽을 아래쪽(D)이라 할 수 있다.
이하,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개시에 적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는 디스플레이 패널(10), 플레이트(20), 프레임(30), 마운트 플레이트(40), 전자부품(EP), 백커버(50), 엔드 커버(60, end cover), 스탠드(80), 그리고 바스켓(90, basket)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화상을 복수개의 픽셀들로 나누어 각 픽셀당 색상, 명도, 채도를 맞추어 화상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화상이 표시되는 활성 영역(active area)과,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활성 영역(de-active area)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제어신호에 따라 레드, 그린, 또는 블루의 색에 해당하는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
플레이트(20)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0)이 결합될 수 있다. 플레이트(20)는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용융아연도금강판(hot dipped galvanized iron, GI)이거나 전기아연도금강판(electrolytic galvanized iron, EGI)일 수 있다. 플레이트(20)는 이너 플레이트라 칭할 수 있다.
프레임(30)은 플레이트(2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고, 플레이트(20)에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30)은 사출물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레임(30)은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30)은 메인 프레임, 모듈 커버(module cover), 또는 커버 바텀(cover bottom)라 칭할 수 있다.
마운트 플레이트(40)는 프레임(3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고, 프레임(30)에 결합될 수 있다. 마운트 플레이트(40)는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마운트 플레이트(40)는 고정 플레이트 또는 PCB 플레이트라 칭할 수 있다.
전자부품(EP)은 마운트 플레이트(4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고, 마운트 플레이트(40)에 장착될 수 있다.
백커버(50)는 마운트 플레이트(40)와 전자부품(EP)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고, 마운트 플레이트(40)에 결합될 수 있다. 백커버(50)는 마운트 플레이트(40)와 전자부품(EP)의 후방을 커버할 수 있다. 백커버(50)는 사출물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백커버(50)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엔드 커버(60)는 백커버(5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고, 백커버(50)에 결합될 수 있다. 백커버(50)의 후면은 엔드 커버(6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엔드 커버(60)는 사출물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엔드 커버(60)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스탠드(80)는 백커버(50)와 엔드 커버(60)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백커버(50)에 결합될 수 있다. 백커버(50)는 스탠드(80)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위쪽으로 이격될 수 있다. 바스켓(90)은 엔드 커버(6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고, 엔드 커버(60)의 상단에 걸쳐질 수 있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프레임(30)의 크기는 플레이트(20)의 크기에 대응할 수 있다. 프레임(30)의 크기는 플레이트(20)의 크기보다 클 수 있고, 프레임(30)의 엣지들(30U, 30D, 30L, 30R)은 플레이트(20)의 엣지들(20U, 20D, 20L, 20R)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마운트 플레이트(40)의 크기는 프레임(30)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또는, 마운트 플레이트(40)의 크기는 프레임(30)의 크기에 대응할 수도 있다.
제1 케이블 홀(20H)은 플레이트(20)의 하변(20D)에 인접할 수 있고, 플레이트(20)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케이블 홀(20H)은 하변(20D)을 따라서 서로 이격되는 제1 좌측 케이블 홀(20Ha)과 제1 우측 케이블 홀(20H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피커 홀(20a, 20b)은 플레이트(20)의 하변(20D)으로부터 플레이트(20)의 내측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피커 홀(20a, 20b)은 플레이트(20)의 하변(20D)의 일부가 컷-아웃(cut-out)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피커 홀(20a, 20b)은 하변(20D)을 따라서 서로 이격되는 제1 좌측 스피커 홀(20a)과 제1 우측 케이블 홀(2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케이블 홀(30H)은 프레임(30)의 하변(30D)에 인접할 수 있고, 프레임(30)을 전후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케이블 홀(30H)은 하변(30D)을 따라서 서로 이격되는 제2 좌측 케이블 홀(30Ha)과 제2 우측 케이블 홀(30H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피커 홀(30a, 30b)은 프레임(30)의 하변(30D)과 제2 케이블 홀(30H)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프레임(30)을 전후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스피커 홀(30a, 30b)은 하변(30D)을 따라서 서로 이격되는 제2 좌측 스피커 홀(30a)과 제2 우측 스피커 홀(3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케이블 홀(40H)은 마운트 플레이트(40)의 하변(40D)에 인접할 수 있고, 마운트 플레이트(40)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여 헝성될 수 있다. 제3 케이블 홀(40H)은 하변(40D)을 따라서 서로 이격되는 제3 좌측 케이블 홀(40Ha)과 제3 우측 케이블 홀(40Hb)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스피커 홀(40a, 40b)은 마운트 플레이트(40)의 하변(40D)으로부터 마운트 플레이트(40)의 내측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제3 스피커 홀(40a, 40b)은 마운트 플레이트(40)의 하변(40D)의 일부가 컷-아웃(cut-out)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3 스피커 홀(40a, 40b)은 하변(40D)을 따라서 서로 이격되는 제3 좌측 스피커 홀(40a)과 제3 우측 스피커 홀(40b)을 포함할 수 있다.
전후방향에서, 제1 케이블 홀(20H)은 제2 케이블 홀(30H) 및 제3 케이블 홀(40H)에 정렬될 수 있다. 전후방향에서, 제1 스피커 홀(20a, 20b)은 제2 스피커 홀(30a, 30b) 및 제3 스피커 홀(40a, 40b)에 정렬될 수 있다.
한편, 프런트 커버(20C)는 플레이트(20)의 하변(20D)에 인접할 수 있고, 하변(20D)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프런트 커버(20C)는 플레이트(20)에 대하여 프레임(30)에 대향할 수 있다. 제4 스피커 홀(20Ca, 20Cb)은 프런트 커버(20C)에 형성될 수 있다. 전후방향에서, 제4 스피커 홀(20Ca, 20Cb)은 제1 스피커 홀(20a, 20b)에 정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런트 커버(20C)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 프런트 커버(20C)는 패브릭(fabric)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프레임(30)은 복수개의 접착부재들(30T1, 30T2, 30T3, 30T4, 30T5, 30T6, 도 4 참조)을 통해 플레이트(20)의 후면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접착부재들(30T1, 30T2, 30T3, 30T4, 30T5, 30T6)은 양면 테이프일 수 있다.
프레임(30)은 제1 파트(30A1), 제2 파트(30A2), 그리고 제3 파트(30A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트(30A1)와 제2 파트(30A2)는 플랫부(flat portion)라 통칭할 수 있고, 제3 파트(30A3)는 커브드부(curved portion)라 칭할 수 있다.
제1 파트(30A1)는 전체적으로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고, 제2 케이블 홀(30H, 도 4 참조)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파트(30A2)는 제1 파트(30A1)의 위쪽에 위치한 프레임(30)의 부분일 수 있다. 수직방향에서, 제2 파트(30A2)의 길이는 제1 파트(30A1)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패턴(30g)은 제2 파트(30A2)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패턴(30g)은 양각된 세로 줄들(embossed vertical stripes)일 수 있다.
제3 파트(30A3)는 제1 파트(30A1)의 아래쪽에 위치한 프레임(30)의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파트(30A3)는 제1 파트(30A1)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커브드될 수 있다. 수직방향에서, 제3 파트(30A3)의 길이는 제1 파트(30A1)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플레이트(20)의 하변(20D, 도 3 참조)은 제1 파트(30A1)와 제3 파트(30A3)의 경계 또는 그 위에 위치할 수 있다.
마운트 플레이트(40)는 프레임(30)의 제1 파트(30A1)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마운트 플레이트(40)의 크기는 제1 파트(30A1)의 크기에 대응할 수 있다. 즉, 프레임(30)의 제2 파트(30A2)는 마운트 플레이트(40)에 의해 커버되지 않을 수 있다.
고정부(20P)는 플레이트(20)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고, 프레임(30)의 제1 파트(30A1)를 관통할 수 있다. 복수개의 고정부들(20P)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고정부들(20P)은 제1 파트(30A1)의 둘레를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20P)는 마운트 플레이트(40)에 형성된 홀(미부호)에 정렬될 수 있다.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Fa)는 마운트 플레이트(40)의 상기 홀을 통해 고정부(20P)에 체결될 수 있다. 복수개의 체결부재들(Fa)은 복수개의 고정부들(20P)에 체결될 수 있다. 즉, 마운트 플레이트(40)는 플레이트(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레임(30)은 플레이트(20)와 마운트 플레이트(40) 사이에서 플레이트(20)와 마운트 플레이트(40)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30Q)는 제1 파트(30A1)의 후면과 제3 파트(30A3)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고, 고정부(20P)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복수개의 결합부들(30Q)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결합부들(30Q)은 제1 파트(30A1)와 제3 파트(30A3)의 둘레를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결합부(30Q)는 마운트 플레이트(40)를 관통할 수 있다. 복수개의 홀들(미부호)은 마운트 플레이트(40)에 형성될 수 있고, 복수개의 결합부들(30Q)이 관통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0)은 플레이트(2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접착부재들(20T1, 20T2, 20T3, 20T4, 20T5)은 디스플레이 패널(10)과 플레이트(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면과 플레이트(20)의 전면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접착부재들(20T1, 20T2, 20T3, 20T4, 20T5)은 양면 테이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은 플레이트(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10)은 플레이트(20)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로어 접착부재(20Tf)는 프런트 커버(20C)의 위에 위치할 수 있고, 플레이트(20)의 전면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복수개의 로어 접착부재들(20Tf)은 프런트 커버(20C)를 따라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로어 접착부재(20Tf)는 케이블 접착부재라 칭할 수 있다.
어퍼 접착부재(20Ts)는 로어 접착부재(20Tf)와 제1 케이블 홀(20H)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플레이트(20)의 전면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제1 어퍼 접착부재(20Tsa)는 제1 좌측 케이블 홀(20Ha)에 인접한 플레이트(20)의 부분으로부터 플레이트(20)의 좌변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2 어퍼 접착부재(20Tsb)는 제1 우측 케이블 홀(20Hb)에 인접한 플레이트(20)의 부분으로부터 플레이트(20)의 우변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어퍼 접착부재(20Ts)는 기판 접착부재라 칭할 수 있다.
소스 PCB(12a, 12b, source PCB)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하변에 인접할 수 있고, 상기 하변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전후방향에서, 제1 소스 PCB(12a)는 제1 어퍼 접착부재(20Tsa)에 정렬될 수 있고, 제2 소스 PCB(12b)는 제2 어퍼 접착부재(20Tsb)에 정렬될 수 있다.
소스 COF(11, source chip on film)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하변과 소스 PCB(12a, 12b)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0)과 소스 PCB(12a, 12b)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후방향에서, 복수개의 소스 COF들(11)은 복수개의 로어 접착부재(20Tf)에 정렬될 수 있다.
FFC(Flexible Flat Cable)와 같은 케이블(C)은 소스 PCB(12a, 12b)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케이블(Ca)은 제1 소스 PCB(12a)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1 좌측 케이블 홀(20Ha)을 관통하여 프레임(30)의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케이블(Cb)은 제2 소스 PCB(12b)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1 우측 케이블 홀(20Hb)을 관통하여 프레임(30)의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로어 접착부재(20Tf)는 소스 COF(11)와 플레이트(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소스 COF(11)와 플레이트(20)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어퍼 접착부재(20Tsa, 20Tsb)는 소스 PCB(12a, 12b)와 플레이트(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소스 PCB(12a, 12b)와 플레이트(20)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로어 접착부재(20Tf)와 어퍼 접착부재(20Tsa, 20Tsb)는 양면 테이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스 COF(11)와 소스 PCB(12a, 12b)는 플레이트(2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마운트 플레이트(40)는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에서 프레스되면서 형성되는 프레스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운트 플레이트(40)의 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전자부품(EP)은 마운트 플레이트(4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고, 마운트 플레이트(40)에 장착될 수 있다. 전자부품(EP)은 복수개의 보드들(B1, B2, B3)과 스피커(SPKa, SPKb)를 포함할 수 있다.
파워 서플라이 보드(B1, power supply board)는 마운트 플레이트(4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고, 스크류 체결 방식 등을 통해 마운트 플레이트(40)에 결합될 수 있다. 파워 서플라이 보드(B1)는 마운트 플레이트(40)의 중앙 영역의 왼쪽에 위치할 수 있다(도 6의 40B1 참조). 파워 서플라이 보드(B1)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각 구성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B2, timing controller board)는 마운트 플레이트(4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고, 스크류 체결 방식 등을 통해 마운트 플레이트(40)에 결합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B2)는 마운트 플레이트(40)의 중앙 영역에 위치할 수 있고(도 6의 40B2 참조), 제3 케이블 홀(40H)의 위에 위치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B2)는 케이블(C, 도 11 참조)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0)에 영상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메인 보드(B3, main board)는 마운트 플레이트(4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고, 스크류 체결 방식 등을 통해 마운트 플레이트(40)에 결합될 수 있다. 메인 보드(B3)는 마운트 플레이트(40)의 중앙 영역의 오른쪽에 위치할 수 있다(도 6의 40B3) 참조). 메인 보드(B3)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스피커(SPKa, SPKb)는 마운트 플레이트(4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고, 스크류 체결 방식 등을 통해 마운트 플레이트(40)에 결합될 수 있다. 스피커(SPKa, SPKb)는 마운트 플레이트(40)의 하변에 인접할 수 있다. 좌측 스피커(SPKa)는 좌측 스피커 홀(40a, 30a, 20a, 20Ca, 도 3 및 4참조)에 정렬될 수 있고, 우측 스피커(SPKb)는 우측 스피커 홀(40b, 30b, 20b, 20Cb, 도 3 및 4 참조)에 정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피커(SPKa, SPKb)는 스피커 홀(40a, 30a, 20a, 20Ca, 40b, 30b, 20b, 20Cb)을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방으로 소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이드 커버(52)는 전체적으로 꺾쇠 괄호(square bracket)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사이드 커버(52)는 탑 파트(521), 좌측 파트(522), 그리고 우측 파트(523)를 포함할 수 있다.
탑 파트(521)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사이드 커버(52)의 장변(long side)을 형성할 수 있다. 수평부(521H)는 사이드 커버(52)의 후면(rear side)을 형성할 수 있다. 수직부(521V)는 수평부(521H)에 교차할 수 있고, 사이드 커버(52)의 상측(upper side)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개의 홀들(521a)은 수직부(521V)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고, 좌우방향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홀(521a)은 방열홀이라 칭할 수 있다.
좌측 파트(522)는 탑 파트(521)의 좌측 끝단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될 수 있고, 사이드 커버(52)의 단변(short side)을 형성할 수 있다. 수평부(522H)는 사이드 커버(52)의 후면(rear side)을 형성할 수 있다. 수직부(522V)는 사이드 커버(52)의 좌측(left side)을 형성할 수 있다.
우측 파트(523)는 탑 파트(521)의 우측 끝단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될 수 있고, 사이드 커버(52)의 단변(short side)을 형성할 수 있다. 수평부(523H)는 사이드 커버(52)의 후면(rear side)을 형성할 수 있다. 수직부(523V)는 사이드 커버(52)의 우측(right side)을 형성할 수 있다.
리어 커버(51)는 사이드 커버(52)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리어 커버(51)는 사이드 커버(52)에 대하여 마운트 플레이트(40, 도 12 참조)에 대향할 수 있다. 리어 커버(51)는 이너 파트(511)와 아우터 파트(5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 파트(511)는 사이드 커버(52)의 안쪽에 위치하는 리어 커버(51)의 부분일 수 있다. 이너 파트(511)의 크기는 마운트 플레이트(40, 도 8 참조)의 크기에 대응할 수 있다. 이너 파트(511)는 마운트 플레이트(40)와 전자부품(EP)의 후방을 커버할 수 있다(도 2 참조). 복수개의 홀들(511a)은 이너 파트(511)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홀(511a)은 방열홀이라 칭할 수 있다.
아우터 파트(512)는 사이드 커버(52)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리어 커버(51)의 부분일 수 있다. 아우터 파트(512)는 사이드 커버(52)의 탑 파트(521)에 대하여 이너 파트(511)에 대향할 수 있다. 상하방향에서, 아우터 파트(512)의 길이는 이너 파트(511)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패턴(51g)은 아우터 파트(512)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패턴(51g)은 양각된 세로 줄들(embossed vertical stripes)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패턴(51g)은 프레임(30)의 제2 파트(30A2)의 후면에 형성된 패턴(30g, 도 6 참조)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Fc)는 사이드 커버(52)의 수평부(521H, 522H, 523H)를 관통하여 이너 파트(511)에 체결될 수 있다. 복수개의 체결부재들(Fc)은 사이드 커버(52)의 내둘레를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이드 커버(52)는 리어 커버(51)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리어 결합부(51Q)는 이너 파트(511)의 내측에서 결합부(30Q, 도 5 및 6 참조)를 향해 돌출될 수 있고, 결합부(30Q)의 내측과 연통되는 홀을 구비할 수 있다. 전후방향에서, 복수개의 리어 결합부들(51Q)은 복수개의 결합부들(30Q, 도 5 및 6 참조)에 정렬될 수 있다. 복수개의 리어 결합부들(51Q)은 사이드 커버(51)의 내둘레를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Fd)는 리어 결합부(51Q)를 통해 결합부(30Q)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어 커버(51)는 프레임(3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슬롯(51a, 51b, 51c, slot)은 리어 커버(51)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슬롯(51a, 51b, 51c)은 사각형 개구일 수 있다. 복수개의 슬롯들(51a, 51b, 51c)은 좌우방향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슬롯(51a)은 리어 커버(51)의 상변과 우변에 인접할 수 있다. 제2 슬롯(51b)은 제1 슬롯(51a)으로부터 왼쪽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3 슬롯(51c)은 제2 슬롯(51b)으로부터 왼쪽으로 이격될 수 있다.
함몰부(51ha)는 리어 커버(51)의 후면에서 전방으로 함몰되면서 형성될 수 있고, 리어 커버(51)의 우변에 인접할 수 있다. 개구(51h1, 도 9 참조)는 함몰부(51ha)의 측면(lateral side) 또는 측벽(lateral wall)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개구(51h1)를 통해 메인 보드(B3, 도 8 참조)에 구비된 입출력부들에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 입출력 단자와, USB 단자, 또는 전원입력 단자 등을 연결할 수 있다.
커버 홀(51h2)은 리어 커버(5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커버 홀(51h2)의 위치는 파워 서플라이 보드(B1, 도 8 참조)의 위치에 대응할 수 있다.
복수개의 그루브들(50a, 50b, 50c, 50d, 50e)은 리어 커버(51)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그루브들(50a, 50b, 50c, 50d, 50e)은 긴 도랑 형상(elongated ditch shape)을 지닐 수 있다.
제1 그루브(50a)는 리어 커버(51)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그루브(50a)의 상단은 제3 슬롯(51c)의 경계를 형성하는 리어 커버(51)의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컷-아웃(521Vb, second cut-out)은 수직부(521V)에 형성될 수 있고, 제1 그루브(50a)와 대향할 수 있다. 제2 컷-아웃(521Vb)은 제1 그루브(50a)와 연통될 수 있다. 제1 홀더(53a)는 리어 커버(51)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고, 제1 그루브(50a)의 후방의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제2 그루브(50b)는 제1 그루브(50a)의 하단으로부터 좌우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그루브(50b)는 리어 커버(51)의 하변에 인접할 수 있다. 제2 홀더(53b)는 리어 커버(51)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고, 제2 그루브(50b)의 후방의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제3 그루브(50c)는 제2 그루브(50b)의 좌측 끝단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될 수 있고, 리어 커버(51)의 하변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그루브(50c)는 리어 커버(51)의 좌변에 인접할 수 있다. 제3 홀더(53c)는 제3 그루브(50c)에 위치할 수 있고, 리어 커버(51)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제3 그루브(50c)에 연통하는 패스(path)를 구비할 수 있다.
제4 그루브(50d)는 제2 그루브(50b)의 우측 끝단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될 수 있고, 리어 커버(51)의 하변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4 그루브(50d)는 리어 커버(51)의 우변에 인접할 수 있다. 전술한 함몰부(51ha)는 제2 그루브(50b)와 제4 그루브(50d)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그루브(50b)와 제4 그루브(50d)를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함몰부(51ha)는 리어 커버(51)의 우변에 인접할 수 있고, 웅덩이(puddle)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제4 홀더(53d)는 제4 그루브(50d)에 위치할 수 있고, 리어 커버(51)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제4 그루브(50d)에 연통하는 패스(path)를 구비할 수 있다.
제5 그루브(50e)는 함몰부(51ha)의 상단에서 제1 슬롯(51a)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5 그루브(50e)의 상단은 제1 슬롯(51a)의 경계를 형성하는 리어 커버(51)의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컷-아웃(521Va, first cut-out)은 수직부(521V)에 형성될 수 있고, 제5 그루브(50e)와 대향할 수 있다. 제1 컷-아웃(521Va)은 제5 그루브(50e)와 연통될 수 있다.
철(Fe)과 같은 자성체(54, magnetic substance)는, 예를 들어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Fe)를 통해, 리어 커버(51)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복수개의 자성체들(54)은 리어 커버(51)의 둘레를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도 11 및 12를 참조하면, 엔드 커버(60)는 백커버(5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엔드 커버(60)의 크기는 백커버(50)의 리어 커버(51)의 크기에 대응할 수 있다. 복수개의 홀들(611a)은 엔드 커버(60)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홀(611a)은 홀(511a)과 마주할 수 있고, 방열홀이라 칭할 수 있다.
블록(61a, 61b, 61c, block)은 엔드 커버(60)의 전면에서 슬롯(51a, 51b, 51c, 도 17 참조)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블록(61a, 61b, 61c)은 슬롯(51a, 51b, 51c)에 대응하는 크기를 지닐 수 있다. 제1 블록(61a)은 제1 슬롯(51a)에 삽입될 수 있고, 패턴(51g)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패턴(61g)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블록(61b)은 제2 슬롯(51b)에 삽입될 수 있고, 패턴(51g)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패턴(61g)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블록(61c)은 제3 슬롯(51c)에 삽입될 수 있고, 패턴(51g)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패턴(61g)이 형성될 수 있다.
마그넷(64, magnet)은, 예를 들어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Ff)를 통해, 엔드 커버(60)의 전면에 결합될 수 있다. 복수개의 마그넷들(64)은 엔드 커버(60)의 둘레를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전후방향에서, 복수개의 마그넷들(64)은 복수개의 자성체들(54)에 정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엔드 커버(60)는 마그넷(64)과 자성체(54) 간의 자기적 결합을 통해, 리어 커버(51)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 따라, 자성체가 엔드 커버(60)에 구비되고 마그넷이 리어 커버(51)에 구비되거나, 서로 자기적 인력이 작용하는 한쌍의 마그넷 각각이 리어 커버(51)와 엔드 커버(60) 각각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1 및 13을 참조하면, 가이드 돌기(62)는 엔드 커버(60)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가이드 돌기들(62a, 62b)은 엔드 커버(60)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고,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전후방향에서, 가이드 돌기(62)는 리어 커버(51)의 리어 결합부(51Q)에 정렬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62)는 리어 결합부(51Q)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어 결합부(51Q)는 가이드 돌기(62) 및 엔드 커버(60)의 상하좌우 유동, 즉 수평방향 유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 가이드 돌기(62)는 엔드 커버(60)와 리어 커버(51)의 결합을 가이드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리어 커버(51)의 밴딩부(501)는 리어 커버(51)의 둘레에서 후방으로 밴딩 되면서 형성될 수 있고, 상변(51U), 좌변(51L, 도 10 참조), 그리고 우변(51R, 도 10 참조)을 형성할 수 있다. 커브드부(512A1, 512A2, curved portion)는 리어 커버(51)의 하부를 형성할 수 있고, 커브드될 수 있다. 제2 커브드부(512A2)는 제1 커브드부(512A1)에 대해 단차를 형성할 수 있고, 리어 커버(51)의 하변(51D)을 형성할 수 있다.
엔드 커버(60)의 밴딩부(601)는 엔드 커버(60)의 둘레에서 전방으로 밴딩 되면서 형성될 수 있고, 엔드 커버(60)의 상변(60U, 도 11 참조), 좌변(60L, 도 11 참조), 그리고 우변(60R, 도 11 참조)을 형성할 수 있다. 커브드부(60A, curved portion)는 엔드 커버(60)의 하부를 형성할 수 있고, 커브드될 수 있다.
저지(69, jersey)는 엔드 커버(60)의 후방을 커버할 수 있다. 또는, 저지(69)는 엔드 커버(60)의 일 구성으로서, 엔드 커버(60)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저지(69)는 엔드 커버(60)의 엣지를 감쌀 수 있고, 엔드 커버(60)의 전면에 접착되거나 융착될 수 있다. 저지(69)는 패브릭(fabric)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 및 16을 참조하면, 결합 그루브(50GL, 50GR, 도 9 참조)는 리어 커버(51)의 후면에서 전방으로 프레스 되면서 형성될 수 있고, 리어 커버(51)의 하변(51D)에 인접할 수 있다. 제1 결합 그루브(50GL)는 리어 커버(51)의 좌변(51L)에 인접할 수 있고, 제2 결합 그루브(50GR)는 리어 커버(51)의 우변(51R)에 인접할 수 있다.
스탠드(80)는 리어 커버(51)의 하변(51D)에 인접할 수 있다. 스탠드(80)는 좌우방향에서 서로 이격되는 한쌍의 스탠드들(80a, 8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탠드(80a)는 리어 커버(51)의 좌변(51L)에 인접할 수 있고, 제2 스탠드(80b)는 리어 커버(51)의 우변(51R)에 인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스탠드(80a)와 제2 스탠드(80b)는 좌우로 대칭될 수 있다. 스탠드(80)는 리어 커버(51)의 스탠드(80)는 레그(81, 82), 바디(83), 그리고 넥(84)을 포함할 수 있다.
레그(81, 82)는 리어 커버(51)의 하변(51D)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 레그(81)와 제2 레그(8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레그(81)는 하변(51D)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며 전방으로 경사질 수 있다. 제2 레그(82)는 하변(51D)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며 후방으로 경사질 수 있다. 제1 레그(81)와 제2 레그(82) 사이의 각도(theta s)는 예각일 수 있다.
바디(83)는 리어 커버(51)의 하변(51D)과 레그(81, 82)의 상단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바디(83)는 제1 레그(81)와 제2 레그(82)를 연결할 수 있고, 리어 커버(51)의 하변(51D)을 지지할 수 있다.
넥(84)은 바디(83)로부터 연장될 수 있고, 리어 커버(51)의 결합 그루브(50GL, 50GR)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스탠드(80a)의 제1 넥(84a)은 제1 바디(83a)로부터 연장될 수 있고, 제1 결합 그루브(50GL)에 삽입될 수 있다. 또, 제1 넥(84a)의 중심선은 제1 스탠드(80a)의 레그(81a, 82a)로부터 오른쪽으로 오프셋(offset) 될 수 있다(도 15의 eL 참조). 제2 스탠드(80b)의 제2 넥(84b)은 제2 바디(83b)로부터 연장될 수 있고, 제2 결합 그루브(50GR)에 삽입될 수 있다. 또, 제2 넥(84b)의 중심선은 제2 스탠드(80b)의 레그(81b, 82b)로부터 왼쪽으로 오프셋(offset) 될 수 있다(도 15의 eR 참조).
그리고, 넥 고정부(841, 842)는 넥(84)의 후면에서 결합 그루브(50GL, 50GR)를 향해 프레스 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넥 고정부(841, 842)는 수직방향에서 서로 이격되는 한쌍의 넥 고정부들(841, 84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넥 결합부(40a1, 40a2)는 마운트 플레이트(40)의 후면에서 결합 그루브(50GL, 50GR)를 향해 돌출될 수 있고, 넥 고정부(841, 842)에 정렬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Fg)는 넥 고정부(841, 842)를 통해 넥 결합부(40a1, 40a2)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탠드(80)는 백커버(50)와 엔드 커버(60)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백커버(50)를 통해 마운트 플레이트(4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바디(83)는 조인트(831)와 보강판(8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인트(831)는 커넥터 또는 브릿지라 칭할 수 있다. 보강판(832)은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조인트(831)는 센터 파트(831a), 프런트 파트(831b), 리어 파트(831c), 그리고 바텀 파트(831d)를 포함할 수 있다. 센터 파트(831a)는 제1 레그(81)의 상단과 제2 레그(82)의 상단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프런트 파트(831b)는 센터 파트(831a)에서 제1 레그(81)를 향해 돌출될 수 있고, 제1 레그(81)에 삽입될 수 있다.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Fk)는 프런트 파트(831b)를 통해 제1 레그(81)에 체결될 수 있다. 리어 파트(831c)는 센터 파트(831a)에서 제2 레그(82)를 향해 돌출될 수 있고, 제2 레그(82)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바텀 파트(831d)는 리어 파트(831c)에서 제2 레그(82)의 내부를 향해 돌출될 수 있고, 제2 레그(82)에 삽입될 수 있다.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Fj)는 바텀 파트(831d)를 통해 제2 레그(82)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인트(831)는 제1 레그(81)와 제2 레그(82)에 결합될 수 있고, 제1 레그(81)와 제2 레그(82)를 연결할 수 있다.
프레임(30)의 좌변(30L)의 하부(30Lc)는 프레임(30)의 제3 파트(30A3, 도 5 참조)를 따라서 커브드 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프레임(30)의 우변의 하부도 커브드 될 수 있다. 리어 커버(51)의 좌변(51L)의 하부(51Lc)는 리어 커버(51)의 제2 커브드부(512A2, 도 14 참조)를 따라서 커브드 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리어 커버(51)의 우변(51R)의 하부도 커브드 될 수 있다.
프런트 커버(20C)는 플랫부(20C1, flat portion)와 커브드부(20C2, curved portion)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랫부(20C1)는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커브드부(20C2)는 플랫부(20C1)의 하단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고, 프레임(30)의 좌변(30L)의 하부(30Lc)를 따라서 커브드 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제1 레그(81)의 상단은 프런트 커버(20C)의 커브드부(20C2)를 지지할 수 있고, 리어 파트(831c)는 리어 커버(51)의 제2 커브드부(512A2, 도 14 참조)를 지지할 수 있다.
보강판(832)은 센터 플레이트(832a), 프런트 플레이트(832b), 리어 플레이트(832c), 그리고 바텀 플레이트(832d)를 포함할 수 있다. 센터 플레이트(832a)는 센터 파트(831a)의 하면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고,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Fh)에 의해 센터 파트(831a)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프런트 플레이트(832b)는 센터 플레이트(832a)로부터 프런트 파트(831b)의 하면을 향해 굽어질 수 있고, 전술한 체결부재(Fk)에 의해 프런트 파트(831b)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리어 플레이트(832c)는 센터 플레이트(832a)로부터 리어 파트(831c)의 하면을 향해 굽어질 수 있고, 리어 파트(831c)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다. 바텀 플레이트(832d)는 리어 플레이트(832c)로부터 바텀 파트(831d)의 전방을 향해 굽어질 수 있고,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Fi)에 의해 바텀 파트(831d)의 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강판(832)은 조인트(831)에 고정될 수 있고, 제1 레그(81)와 제2 레그(82)를 연결하는 조인트(831)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스탠드는, 바디(83) 혹은 넥(84)이 손상되더라도, 보강판(832)에 의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18 및 19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케이블들은 복수개의 그루브들(50a, 50b, 50c, 50d, 50e)에 위치할 수 있다. 복수개의 홀더들(53a, 53b, 53c, 53d)은 복수개의 그루브들(50a, 50b, 50c, 50d, 50e)에 위치한 케이블들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케이블(C1)은 커버 홀(51h2, 도 14 참조)의 커버(PCC)에 형성된 홀(PCH)을 통해 파워 서플라이 보드(B1, 도 8 참조)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케이블(C1)은 제2 그루브(50b)와 제3 그루브(50c)에 위치할 수 있고, 제3 홀더(53c)의 제1 패스(first path)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케이블(C1)은 제1 스탠드(80a)의 제2 레그(82)의 후면에 형성된 케이블 홈(82S)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케이블(C1)은 파워 케이블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케이블(C2)은 개구(51h1, 도 12 참조)를 통해 메인 보드(B3, 도 8 참조)의 우변에 구비된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케이블(C2)은 함몰부(51ha)와 제5 그루브(50e)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케이블(C2)은 제1 컷-아웃(521Va, 도 10 및 13 참조)을 통해 리어 커버(51)와 프레임(30)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제2 케이블(C2)은 제2 컷-아웃(521Vb, 도 10 및 13 참조)을 통해 제1 그루브(50a), 제2 그루브(50b), 및 제3 그루브(50c)에 위치할 수 있고, 제3 홀더(53c)의 제2 패스(second path)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케이블(C2)은 제1 스탠드(80a)의 제2 레그(82)의 후면에 형성된 케이블 홈(82S)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케이블(C2)은 AV 케이블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케이블(C3)은 개구(51h1, 도 12 참조)를 통해 메인 보드(B3, 도 8 참조)의 하변에 구비된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케이블(C3)은 함몰부(51ha)와 제4 그루브(50d)에 위치할 수 있고, 제4 홀더(53d)에 구비된 패스(path)에 고정될 수 있다. 제3 케이블(C3)은 제2 스탠드(80b)의 제2 레그(82)의 후면에 형성된 케이블 홈(82S)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케이블(C3)은 AV 케이블일 수 있다.
도 20 및 21을 참조하면, 케이블 홈(82S)은 제2 레그(82)의 후면에서 전방으로 함몰되면서 형성될 수 있고, 제2 레그(8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케이블 커버(87)는 제2 레그(82)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케이블 홈(82S)의 후방을 커버할 수 있다. 케이블 커버(87)는, 예를 들어 후크 결합을 통해, 제2 레그(8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케이블(C3)과 같은 케이블은 케이블 홈(82S)에 위치할 수 있고, 케이블 커버(87)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서포터(85)는 케이블 홈(82S)에 위치할 수 있고, 조인트(831)의 바텀 파트(831d, 도 17 참조)의 후면에 접촉할 수 있다.
어퍼 홀더(86)는 제2 레그(82)의 상단에 인접할 수 있다. 어퍼 홀더(86)는 결합부(861)와 채널부(862)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861)는 제2 레그(82)의 외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지닐 수 있고, 제2 레그(82)의 외면을 붙잡을 수 있다. 이때, 서포터(85)는 제2 레그(82)와 결합부(861)의 결합을 지지할 수 있다. 채널부(862)는 결합부(861)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고, "U" 형상의 횡단면을 지닐 수 있다.
이에 따라, 어퍼 홀더(86)는 제2 레그(8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케이블 홈(82S)에 케이블이 가득차면, 다른 케이블은 채널부(862)에 의해 정의되는 어퍼 홀더(86)의 채널(86S)을 통과할 수 있다.
로어 홀더(88)는 제2 레그(82)의 하단에 인접할 수 있다. 로어 홀더(88)는 결합부(881)와 채널부(882)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881)는 제2 레그(82)의 외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지닐 수 있고, 제2 레그(82)의 외면을 붙잡을 수 있다. 이때, 케이블 커버(87)는 제2 레그(82)와 결합부(881)의 결합을 지지할 수 있다. 채널부(882)는 결합부(881)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고, "U" 형상의 횡단면을 지닐 수 있다.
이에 따라, 로어 홀더(88)는 제2 레그(8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케이블 홈(82S)에 케이블이 가득차면, 다른 케이블은 채널부(882)에 의해 정의되는 로어 홀더(88)의 채널(88S)을 통과할 수 있다.
한편, 풋(89, foot)은 제2 레그(82)의 하단과 제1 레그(81)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풋(89)은 지면에 닿는 부분으로서,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2 및 23을 참조하면, 바스켓(90)은 제1 바스켓(901)과 제2 바스켓(9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스켓(901)은 전체적으로 평평하게 형성된 제1 바디(901a), 걸림부(901b), 제1 결합부(901c), 그리고 측벽(901d)을 포함할 수 있다. 개구(991S)는 제1 바디(901a)에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901b)는 제1 바디(901a)의 상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접힐 수 있고, 제1 바디(901a)의 전면과 이격될 수 있다. 제1 결합부(901c)는 제1 바디(901a)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커브드 될 수 있다. 측벽(901d)은 제1 결합부(901c)의 양단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바스켓(902)은 전체적으로 평평하게 형성된 제2 바디(902a)와 제2 결합부(90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디(902a)는 제1 바디(901a)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될 수 있고, 제1 바디(901a)와 마주할 수 있다. 제2 결합부(902b)는 제2 바디(902a)의 하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커브드 될 수 있고, 제1 결합부(901c)에 연결될 수 있다.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Fl)는 제1 결합부(901c)에 형성된 홀(901h)을 통해 제2 결합부(902b)에 형성된 고정부(902h)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바스켓(901)은 제2 바스켓(902)에 결합될 수 있고, 제1 바스켓(901)과 제2 바스켓(902) 사이에 공간(90S)이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99)은 제1 바디(901a)의 상단에 인접할 수 있다. 브라켓(99)은 제1 바디(901a)와 제2 바디(902a)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브라켓(99)은 제1 바디(901a)의 후면과 마주하는 브라켓 바디(991a), 브라켓 걸림부(991b), 안착부(991c), 접착부(991d), 그리고 고정부(991e)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 걸림부(991b)는 브라켓 바디(991a)의 상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접힐 수 있고, 브라켓 바디(991a)의 전면과 이격될 수 있다. 안착부(991c)는 브라켓 바디(991a)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굽어질 수 있다. 접착부(991d)는 브라켓 바디(991a)의 후면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착부(991d)는 양면 테이프일 수 있다. 고정부(991e)는 브라켓 바디(991a)의 상단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고정부(991e)는 브라켓 바디(991a)에 연결된 양단을 지니는 오픈 링(open ring) 형상을 지니거나, 일 구간이 끊어진 오픈 링(도 23 참조)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라켓(99)은, 브라켓 걸림부(991b)가 제1 바디(901a)의 상단과 제1 바스켓(901)의 걸림부(901b)에 걸림으로써, 바스켓(9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99)은 바스켓(90)의 상단을 따라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또, 사용자는 파워 스트립(power strip) 또는 파워 바(power bar)와 같은 기기(MT)를 안착부(991c) 상에 위치시키며 접착부(991d)에 부착시킬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셋톱박스(set-top box) 또는 라우터(router)와 같은 주변기기(PD), 또는 책과 같은 물건을 바스켓(90)의 내부 공간(90S)에 넣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브라켓(99)에 놓인 기기(MT)는 외부 전원을 주변기기(PD)에 제공할 수 있다. 입력 케이블(Ca)은 기기(MT)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고, 고정부(991e)를 통과할 수 있다. 입력 케이블(Ca)은 리어 커버(51)와 프레임(30) 사이를 통해 제2 컷-아웃(521Vb, 도 10 및 13 참조)을 통과할 수 있다. 입력 케이블(Ca)은 제1 그루브(50a), 제2 그루브(50b), 및 제3 그루브(50c)에 위치할 수 있고, 제1 스탠드(80a)의 제2 레그(82)의 후면에 형성된 케이블 홈(82S)에 위치할 수 있다. 입력 케이블(Ca)은 외부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출력 케이블(Cb)은 기기(MT)와 주변기기(PD)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주변기기(PD)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5 및 26 참조하면, 전술한 입력 케이블(Ca) 등의 케이블이 리어 커버(51)의 후면에 위치되면, 엔드 커버(60)와 저지(69)는 리어 커버(51)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바스켓(90)은, 걸림부(901b)가 리어 커버(51)와 엔드 커버(60)의 상단에 걸림으로써, 리어 커버(51)와 엔드 커버(6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바스켓(90)은 리어 커버(51)와 엔드 커버(60)의 상단을 따라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도 26 및 27을 참조하면, 프레임(30)의 제2 파트(30A2)의 후방은 백커버(50)에 의해 커버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파트(30A2)의 패턴(30g)은 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최박부(thinnest part)는 제2 파트(30A2)의 위치에서 정의될 수 있다.
백커버(50)의 패턴(51g, 도 13 참조)과 블록(61a, 61b, 61c)의 패턴(61g, 도 13 참조)은 프레임(30)의 제2 파트(30A2)와 백커버(50)의 아우터 파트(512) 사이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저지(69)와 사이드 커버(52)는 같거나 다른 색상을 띨 수 있다. 또, 프런트 커버(20C, 도 1 참조)는 사이드 커버(52)와 같거나 다른 색상을 띨 수 있다.
프레임(30)의 제3 파트(30A3)와 리어 커버(51)의 제2 커브드부(512A2)는 일정 곡률(Rd)을 지닐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스탠드(80)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위쪽으로 이격될 수 있다.
도 20 및 28을 참조하면, 입력부(AU)는 프런트 커버(20C)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고, 마운트 플레이트(40, 도 2 참조)에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프런트 커버(20C)는 일정 곡률을 지닐 수 있고, 입력부(AU)의 전방은 프런트 커버(20C)에 의해 커버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AU)는 안테나 유닛이거나,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의 IR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광 장치일 수 있다.
리피터(RT, repeater)는 리어 커버(51)의 하변(51D)에 형성된 안착부(51S)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안착부(51S)는 지면에 XZ 평면에 평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피터(RT)는 양면 테이프를 통해 안착부(51S)에 부착될 수 있다. 리피터(RT)는 바스켓(90)에 수납된 셋톱박스(set-top box)와 같은 주변기기(PD)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피터(RT)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전방의 신호(예를 들어, IR 신호)를 주변기기(PD)에 전달할 수 있다.
도 1 내지 28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후방을 커버하고,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백커버; 그리고, 상기 백커버의 후방에 위치하고, 내부 공간을 지니는 바스켓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백커버의 상변은, 상기 프레임의 상변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될 수 있으며, 상기 바스켓은, 상기 백커버의 상변에 걸쳐질 수 있다.
상기 바스켓은: 상기 백커버의 후면과 마주하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에 대향하는 제2 바디; 그리고, 상기 제1 바디의 상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접힌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백커버의 상기 상변에 걸쳐질 수 있으며, 상기 바스켓의 상기 내부 공간은,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바디에 교차하는 안착부를 구비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바스켓의 상변에 걸쳐질 수 있다.
상기 바스켓은, 상기 백커버의 상기 상변을 따라서 이동 가능할 수 있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바스켓의 상기 상변을 따라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1 바디의 후면과 마주하는 브라켓 바디; 상기 브라켓 바디의 상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접힌 브라켓 걸림부; 그리고, 상기 브라켓 바디의 후면에 결합되는 접착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브라켓 걸림부는, 상기 바스켓의 상기 상변과 상기 걸림부에 걸쳐질 수 있으며, 상기 안착부는, 상기 브라켓 바디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굽어질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브라켓 바디에 연결된 양단을 지니는 고정부;로서, 오픈 링 형상을 지니거나, 일 구간이 끊어진 오픈 링 형상을 지니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커버는: 상기 백커버의 후면에 형성되는 그루브; 그리고, 상기 백커버의 후면에 고정되고, 상기 그루브의 후방의 일부를 덮는 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커버는: 상기 프레임에 대향하고, 상기 그루브를 구비하는 리어 커버; 그리고, 상기 프레임과 상기 리어 커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백커버의 측면(lateral side)을 형성하는 사이드 커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바스켓은, 상기 리어 커버의 상변에 걸쳐질 수 있다.
상기 리어 커버의 상기 상변은, 상기 사이드 커버의 상측면(upper side)과 상기 프레임의 상변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사이드 커버는: 상기 사이드 커버의 상기 상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그루브와 대향하는 컷-아웃(cut-out)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백커버와 상기 바스켓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백커버의 후방을 커버하는 엔드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리어 커버는: 상기 컷-아웃의 위쪽에 위치하고, 상기 리어 커버를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슬롯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엔드 커버는: 상기 엔드 커버의 전면에서 상기 슬롯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슬롯에 삽입되는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프레임과 상기 백커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프레임과 상기 백커버에 결합되는 마운트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와 상기 백커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에 장착되는 PCB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백커버는: 상기 백커버의 후면에서 전방으로 프레스 되면서 형성되고, 상기 PCB의 일변을 향하는 개구를 구비하는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그루브는: 상기 함몰부와 연결되는 복수개의 그루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백커버의 하변에 인접하는 스탠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스탠드는: 상기 백커버의 후면에 결합되는 넥; 상기 넥과 연결되고, 상기 백커버의 상기 하변을 지지하는 바디; 그리고, 상기 바디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레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레그는: 상기 레그의 후면에 형성되고, 상기 레그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케이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탠드는: 상기 레그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케이블 홈의 후방을 커버하는 케이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케이블 커버는, 상기 레그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탠드는: 상기 레그의 상단에 인접하는 어퍼 홀더; 그리고, 상기 레그의 하단에 인접하는 로어 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어퍼 홀더와 상기 로어 홀더 각각은: 상기 레그의 외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지니고, 상기 외면에 결합되는 결합부; 그리고, 상기 결합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U 형상의 횡단면을 지니는 채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그는: 상기 바디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며 전방으로 경사진 제1 레그; 그리고, 상기 제1 레그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지고, 상기 케이블 홈을 구비하는 제2 레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바디는: 상기 제1 레그와 상기 제2 레그를 연결하는 조인트; 그리고, 상기 조인트의 하면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조인트의 하면에 결합되는 보강판;으로서, 상기 제1 레그와 상기 조인트에 결합되는 일단과, 상기 제2 레그와 상기 조인트에 결합되는 타단을 구비하는 보강판을 포함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5)

  1.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후방을 커버하고,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백커버; 그리고,
    상기 백커버의 후방에 위치하고, 내부 공간을 지니는 바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백커버의 상변은,
    상기 프레임의 상변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며,
    상기 바스켓은,
    상기 백커버의 상기 상변에 걸쳐지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은:
    상기 백커버의 후면과 마주하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에 대향하는 제2 바디; 그리고,
    상기 제1 바디의 상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접힌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백커버의 상기 상변에 걸쳐지며,
    상기 바스켓의 상기 내부 공간은,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사이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바디에 교차하는 안착부를 구비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바스켓의 상변에 걸쳐지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은, 상기 백커버의 상기 상변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바스켓의 상기 상변을 따라서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1 바디의 후면과 마주하는 브라켓 바디;
    상기 브라켓 바디의 상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접힌 브라켓 걸림부; 그리고,
    상기 브라켓 바디의 후면에 결합되는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 걸림부는,
    상기 바스켓의 상기 상변과 상기 걸림부에 걸쳐지며,
    상기 안착부는,
    상기 브라켓 바디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굽어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브라켓 바디에 연결된 양단을 지니는 고정부;로서, 오픈 링 형상을 지니거나, 일 구간이 끊어진 오픈 링 형상을 지니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백커버는:
    상기 백커버의 후면에 형성되는 그루브; 그리고,
    상기 백커버의 후면에 고정되고, 상기 그루브의 후방의 일부를 덮는 홀더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백커버는:
    상기 프레임에 대향하고, 상기 그루브를 구비하는 리어 커버; 그리고,
    상기 프레임과 상기 리어 커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백커버의 측면(lateral side)을 형성하는 사이드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바스켓은,
    상기 리어 커버의 상변에 걸쳐지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커버의 상기 상변은,
    상기 사이드 커버의 상측면(upper side)과 상기 프레임의 상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사이드 커버는:
    상기 사이드 커버의 상기 상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그루브와 대향하는 컷-아웃(cut-out)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백커버와 상기 바스켓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백커버의 후방을 커버하는 엔드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어 커버는:
    상기 컷-아웃의 위쪽에 위치하고, 상기 리어 커버를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엔드 커버는:
    상기 엔드 커버의 전면에서 상기 슬롯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슬롯에 삽입되는 블록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상기 백커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프레임과 상기 백커버에 결합되는 마운트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와 상기 백커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에 장착되는 PCB를 포함하고,
    상기 백커버는:
    상기 백커버의 후면에서 전방으로 프레스 되면서 형성되고, 상기 PCB의 일변을 향하는 개구를 구비하는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루브는:
    상기 함몰부와 연결되는 복수개의 그루브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백커버의 하변에 인접하는 스탠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탠드는:
    상기 백커버의 후면에 결합되는 넥;
    상기 넥과 연결되고, 상기 백커버의 상기 하변을 지지하는 바디; 그리고,
    상기 바디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레그는:
    상기 레그의 후면에 형성되고, 상기 레그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케이블 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는:
    상기 레그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케이블 홈의 후방을 커버하는 케이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커버는,
    상기 레그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는:
    상기 레그의 상단에 인접하는 어퍼 홀더; 그리고,
    상기 레그의 하단에 인접하는 로어 홀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어퍼 홀더와 상기 로어 홀더 각각은:
    상기 레그의 외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지니고, 상기 외면에 결합되는 결합부; 그리고,
    상기 결합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U 형상의 횡단면을 지니는 채널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는:
    상기 바디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며 전방으로 경사진 제1 레그; 그리고,
    상기 제1 레그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지고, 상기 케이블 홈을 구비하는 제2 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제1 레그와 상기 제2 레그를 연결하는 조인트; 그리고,
    상기 조인트의 하면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조인트의 하면에 결합되는 보강판;으로서, 상기 제1 레그와 상기 조인트에 결합되는 일단과, 상기 제2 레그와 상기 조인트에 결합되는 타단을 구비하는 보강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237035268A 2022-03-31 2022-03-3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301602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04647 WO2023191147A1 (ko) 2022-03-31 2022-03-3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0298A true KR20230160298A (ko) 2023-11-23

Family

ID=88202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5268A KR20230160298A (ko) 2022-03-31 2022-03-3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60298A (ko)
WO (1) WO2023191147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3410A (ja) * 2002-10-29 2004-05-27 Nec Plasma Display Corp 平面ディスプレイ装置
US20090008349A1 (en) * 2006-01-06 2009-01-08 Sung Jin Kim Shelf for Display Apparatus
KR101836402B1 (ko) * 2011-01-17 2018-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92451B1 (ko) * 2016-01-12 2023-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RU2019103750A (ru) * 2016-07-11 2020-08-11 Джеральд Двэйн ХОЛТ Монтажное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крепления устройства на плоский монито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91147A1 (ko) 2023-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84276B2 (en) Display device with simplified appearance structure and improved coupling arrangement
CN104883840B (zh) 显示器件
US11477898B2 (en) Display device
US20160186944A1 (en) Display Device
CN108370650A (zh) 印刷电路板安装结构及包括其的显示设备
US20180168060A1 (en) Display device
EP3255624B1 (en) Display device
CN104956426B (zh) 显示装置的安装适配器
US20170164080A1 (en) Speaker assembly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speaker assembly
KR20230160298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EP3249493B1 (en) Display device
KR20230142251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N109661810B (zh) 显示装置
KR20230164377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EP3949810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furniture provided with same
CN101388160B (zh) 显示器装置及具有该显示器装置的多显示器装置
KR102571670B1 (ko) 유기발광소자를 갖는 선반을 구비하는 조명장치
JP2019169799A (ja) インターホン機器
KR102564346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49245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1650623B2 (en) Display device
CN213028808U (zh) 支撑组件和显示设备
KR20240032687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JP2015072373A (ja) 映像表示装置
KR20110067537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지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