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2687A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2687A
KR20240032687A KR1020230117069A KR20230117069A KR20240032687A KR 20240032687 A KR20240032687 A KR 20240032687A KR 1020230117069 A KR1020230117069 A KR 1020230117069A KR 20230117069 A KR20230117069 A KR 20230117069A KR 20240032687 A KR20240032687 A KR 20240032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display device
locking part
bending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7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완
권익수
심재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032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26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34Feet; Stands; Pedestals, e.g. wheels for moving casing on flo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47Electrical details of casings, e.g. terminals, passages for cables or wi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헤드; 상기 헤드를 지지하는 스탠드; 상기 헤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일부가 상기 스탠드의 내부에 위치하는 케이블; 그리고, 상기 스탠드의 내부에서 상기 케이블의 측면을 둘러싸는 홀더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홀더는: 상기 스탠드의 내면에 결합되는 홀더 바디; 상기 홀더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고, 회전이 가능한 힌지 파트; 그리고, 상기 홀더 바디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힌지 파트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락킹 파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홀더 바디, 상기 힌지 파트, 그리고 상기 락킹 파트에 의해 형성되는 폐루프의 안쪽에 위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DISPLAY DEVICE}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LCD 패널은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TFT 기판과 컬러 기판을 구비하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빛을 이용해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OLED 패널은 투명전극이 형성된 기판에 자체적으로 발광할 수 있는 유기물층을 증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최근 스탠드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스탠드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헤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을 스탠드의 내부에 배치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스탠드 내부에서 케이블을 붙잡는 홀더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홀더의 힌지 파트와 락킹 파트의 결합 및 분리 구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힌지 파트와 락킹 파트의 분리 과정에서 락킹 파트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헤드의 후면에 케이블이 배치되는 그루브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헤드; 상기 헤드를 지지하는 스탠드; 상기 헤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일부가 상기 스탠드의 내부에 위치하는 케이블; 그리고, 상기 스탠드의 내부에서 상기 케이블의 측면을 둘러싸는 홀더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홀더는: 상기 스탠드의 내면에 결합되는 홀더 바디; 상기 홀더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고, 회전이 가능한 힌지 파트; 그리고, 상기 홀더 바디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힌지 파트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락킹 파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홀더 바디, 상기 힌지 파트, 그리고 상기 락킹 파트에 의해 형성되는 폐루프의 안쪽에 위치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스탠드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헤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을 스탠드의 내부에 배치하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스탠드 내부에서 케이블을 붙잡는 홀더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홀더의 힌지 파트와 락킹 파트의 결합 및 분리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힌지 파트와 락킹 파트의 분리 과정에서 락킹 파트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헤드의 후면에 케이블이 배치되는 그루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22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 표시된 상(U), 하(D), 좌(Le), 우(Ri), 전(F), 그리고 후(R)의 방향표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이며, 이에 의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는 헤드(10)와 스탠드(100)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10)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1)을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10) 또는 디스플레이 유닛(10)이라 칭할 수 있다. 헤드(10)는 제1 장변(LS1, first long side), 제1 장변(LS1)에 대향(opposite)하는 제2 장변(LS2, second long side), 제1 장변(LS1) 및 제2 장변(LS2)에 인접하는 제1 단변(SS1, first short side), 그리고 제1 단변(SS1)에 대향(opposite)하는 제2 단변(SS2, second short side)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및 제2 장변들(LS1, LS2)의 길이가 제1 및 제2 단변들(SS1, SS2)의 길이보다 더 긴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지만, 제1 및 제2 장변들(LS1, LS2)의 길이가 제1 및 제2 단변들(SS1, SS2)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장변들(LS1, LS2, long sides)과 나란한 방향은 좌우방향이라 칭할 수 있다. 제1 단변(SS1) 쪽은 왼쪽(Le, x)이라 칭할 수 있고, 제2 단변(SS2) 쪽은 오른쪽(Ri)이라 칭할 수 있다.
단변들(SS1, SS2, short sides)과 나란한 방향은 상하방향이라 칭할 수 있다. 제1 장변(LS1) 쪽은 위쪽(U, y)이라 칭할 수 있고, 제2 장변(LS2) 쪽은 아래쪽(D)이라 칭할 수 있다.
장변들(LS1, LS2)과 단변들(SS1, SS2)에 수직한 방향은 전후방향이라 칭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이 이미지를 표시하는 방향은 전방(F, z)이라 칭할 수 있고, 이와 반대되는 방향은 후방(R)이라 칭할 수 있다.
장변들(LS1, LS2)과 단변들(SS1, SS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엣지들(edges)이라 칭할 수 있다. 장변들(LS1, LS2)과 단변들(SS1, SS2)이 서로 만나는 지점은 코너들(corners)이라 칭할 수 있다. 제1 코너(Ca)는 제1 단변(SS1)과 제1 장변(LS1)이 만나는 지점일 수 있다. 제2 코너(Cb)는 제1 장변(LS1)과 제2 단변(SS2)이 만나는 지점일 수 있다. 제3 코너(Cc)는 제2 단변(SS2)과 제2 장변(LS2)이 만나는 지점일 수 있다. 제4 코너(Cd)는 제2 장변(LS2)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일 수 있다.
스탠드(100)는 지면 상에서 헤드(10)를 지지할 수 있다. 스탠드(100)의 개수는 1 개 또는 2 개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1 개의 스탠드(100)가 헤드(10)의 제2 장변(LS2)의 중앙에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2 개의 스탠드들(100a, 100b)이 헤드(10)의 제2 장변(LS2)에 서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는 디스플레이 패널(11), 플레이트(12), 가이드 패널(13), 프레임(14), 그리고 백커버(15)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고, 전방으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은 복수개의 픽셀들로 이루어진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고, 각 픽셀의 색상, 명도, 채도는 조절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은 제어 신호에 따라 레드, 그린, 또는 블루의 색에 해당하는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은 이미지가 표시되는 활성 영역(active area)과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비활성 영역(de-active area)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은 LED 패널 또는 OLED 패널일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11)은 LCD 패널일 수 있고, 헤드(10)는 디스플레이 패널(11)에 빛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플레이트(12)는 디스플레이 패널(11)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플레이트(12)는 디스플레이 패널(11)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 패널(13)은 플레이트(12)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고, 플레이트(12)의 테두리를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패널(13)은 플레이트(12)에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 패널(13)은 플레이트(12)의 테두리를 덮을 수 있고, 헤드(10)의 엣지들(edges)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부분(13a)은 헤드(10)의 좌변, 즉 제1 단변(SS1)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부분(13b)은 헤드(10)의 우변, 즉 제2 단변(SS2)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부분(13c)은 헤드(10)의 상변, 즉 제1 장변(LS1)을 형성할 수 있다. 제4 부분(13d)은 헤드(10)의 하변, 즉 제2 장변(LS2)을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패널(13)은 미들 캐비닛(13)이라 칭할 수 있다.
프레임(14)은 가이드 패널(13)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고, 가이드 패널(13)은 프레임(14)에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14)은 커버 바텀(14) 또는 모듈 커버(14)라 칭할 수 있다. 백커버(15)는 프레임(14)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고, 프레임(14)에 결합될 수 있다.
복수개의 보드들(P)은 프레임(14)의 후면에 장착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자부품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보드(P)는 PCB(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고, 소자들은 보드(P) 상에 장착될 수 있다. 파워 서플라이 보드(P1, power supply board)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각 구성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P2, timing controller board)는 디스플레이 패널(11)에 영상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메인 보드(P3)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소스 PCB(11a, source PCB)는 디스플레이 패널(11)의 하변에 인접할 수 있고, 상기 하변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케이블(CF)은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상기 하변과 소스 PCB(11a)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케이블(CF)은 COF(Chip On Film)일 수 있다. 소스 PCB(11a)에 연결된 케이블(C10, C20, C30, C40)은 플레이트(12)와 프레임(14)에 형성된 홀(12, 14a)을 통해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P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케이블(C10, C20, C30, C40)은 FFC(Flexible Flat Cable)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케이블 그루브(15G)는 백커버(15)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 그루브(15G)는 적어도 한번 굽어질 수 있다. 제1 케이블 그루브(15Ga)는 백커버(15)의 중심에서 오른쪽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 있고, 백커버(15)의 하변에 인접하여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케이블 그루브(15Gb)는 제1 케이블 그루브(15Ga)의 상단으로부터 오른쪽으로 굽어질 수 있고,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바텀 그루브(15T)는 백커버(15)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바텀 그루브(15T)는 백커버(15)의 중심 또는 이 부근에 위치할 수 있고, 백커버(15)의 하변에 인접하여 여러 번 굽어질 수 있다. 제1 바텀 그루브(15Ta)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바텀 그루브(15Tb)는 제1 바텀 그루브(15Ta)의 좌측 끝단으로부터 위쪽으로 굽어질 수 있고, 프레임(14, 도 3 참조)과 백커버(15) 사이의 공간을 향할 수 있다. 제3 바텀 그루브(15Tc)는 제1 바텀 그루브(15Ta)의 우측 끝단으로부터 위쪽으로 굽어질 수 있고, 제1 케이블 그루브(15Ga)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4 바텀 그루브(15Td)는 제1 바텀 그루브(15Ta)의 중앙에서 아래쪽으로 형성될 수 있고, 헤드(10)의 아래쪽 공간을 향할 수 있다.
함몰부(15R)는 백커버(15)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고, 백커버(15)의 우변에 인접할 수 있다. 제2 케이블 그루브(15Gb)의 우측 끝단은 함몰부(15R)를 향할 수 있다. 제1 커넥터(161)와 제2 커넥터(162)를 구비하는 커넥터(16)는 함몰부(15R)의 경계의 일부에 구비될 수 있고, 오디오 잭, HDMI 케이블, LAN 단자, 또는 USB 등은 커넥터(16)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도 4의 C5, C6 참조).
리어 커버(15C)는 함몰부(15R)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고, 백커버(15)에 결합될 수 있다. 커버 홀(15Ca)은 리어 커버(15C)에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C)은 케이블 그루브(15G), 바텀 그루브(15T), 및/또는 함몰부(15R)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케이블(C1)의 일 부분은 제2 바텀 그루브(15Tb)에 위치할 수 있고, 프레임(14, 도 3 참조)의 후면에 장착된 전자부품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케이블(C1)의 다른 부분은 백커버(15)와 스탠드(100)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케이블(C2)의 일 부분은 프레임(14, 도 3 참조)의 후면에 장착된 파워 서플라이 보드(P1, 도 3 참조)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케이블(C2)의 다른 부분은 제2 바텀 그루브(15Tb), 제1 바텀 그루브(15Ta), 제3 바텀 그루브(15Tc), 그리고 케이블 그루브(15G)에 위치할 수 있다. 또, 제2 케이블(C2)은 함몰부(15R)와 리어 커버(15C)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커버 홀(15Ca)을 통해 스탠드(100)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케이블(C3)의 일 부분은 함몰부(15R)와 리어 커버(15C)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헤드(10)의 아래쪽 공간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3 케이블(C3)의 다른 부분은 케이블 그루브(15G) 또는 커넥터(16)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4 케이블(C4)의 일 부분은 제4 바텀 그루브(15Td)에 위치할 수 있다. 제4 케이블(C4)의 다른 부분은 제1 바텀 그루브(15Ta)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바텀 그루브(15Tc) 또는 제3 바텀 그루브(15Td)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스탠드(100)는 프런트 레그(110)와 리어 레그(12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런트 레그(110)의 경사부(111)는 지면 상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지면에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수평부(112)는 경사부(111)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으로 굽어질 수 있고, 수평방향에 나란할 수 있다.
리어 레그(120)의 바디(121)는 경사부(111)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경사부(111)와 바디(121) 사이의 각도(theta 1)는 예각일 수 있다. 레그 홈(122)은 바디(121)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고, 수평부(112)는 레그 홈(122)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리어 레그(120)의 일부는 수평부(112)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수평부(112)의 상면의 일부(113)는 레그 홈(122)에 의해 덮여지지 않을 수 있고, 안착부(113)라 칭할 수 있다. 결합면(123)은 수평부(112) 상에 위치한 바디(121)의 일부의 전면일 수 있고, 안착부(113)에 수직할 수 있다. 돌기(123a)와 후크(123b)는 결합면(123)에서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고, 수직방향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도 7 및 8을 참조하면, 제1 스탠드(100a)는 백커버(15)의 좌변에 인접할 수 있고, 제2 스탠드(100b)는 백커버(15)의 우변에 인접할 수 있다. 제1 스탠드(100a)와 제2 스탠드(100b)는 동일한 구조와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제1 및 제2 스탠드들(100a, 100b)의 돌기(123a, 도 5 참조)와 후크(123b, 도 5 참조)는 백커버(15)의 후면에 형성된 홈들(grooves)에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다. 헤드(10)의 하변은 제1 스탠드(100a)의 안착부(113)와 제2 스탠드(100b)의 안착부(113)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스탠드들(100a, 100b)은 지면 상에서 헤드(10)를 지지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픽서(17, fixer)는 함몰부(15R)와 리어 커버(15C)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함몰부(15R)에 고정될 수 있다. 픽서(17)는 집게(tongs) 형상을 지닐 수 있고, 집게(17) 또는 클립(17)이라 칭할 수 있다. 픽서(17)는 탄성을 지닐 수 있고, 제1 파트(171), 제2 파트(172), 그리고 복수개의 격벽들(17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트(171)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함몰부(15R)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파트(172)는 제1 파트(171)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해 접힐 수 있다. 복수개의 격벽들(173)은 제1 파트(171) 또는 제2 파트(172)의 내면에 형성될 수 있고, 제1 파트(171)와 제2 파트(172) 사이의 공간을 복수개의 공간들로 구획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픽서(17a)와 제2 픽서(17b)는 수직방향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워 케이블과 같은 제2 케이블(C2)은 제1 픽서(17a)의 제1 파트(171)와 제2 파트(172) 사이의 제1 공간에 배치될 수 있고, HDMI와 같은 제3 케이블(C3)은 제1 픽서(17a)의 제1 파트(171)와 제2 파트(172) 사이의 제2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또, 제2 케이블(C2)은 리어 커버(15C)의 커버 홀(15Ca)을 통해 리어 커버(15C)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고, 제3 케이블(C3)은 제2 픽서(17b)의 제1 파트(171)와 제2 파트(172) 사이의 제2 공간과 리어 커버(15C)의 아래쪽 틈을 통해 리어 커버(15C)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홀(120a)은 리어 레그(120)의 바디(121)의 우측 파트(121b)에 형성될 수 있고, 백커버(15)의 후면에 인접할 수 있다. 한편, 리어 레그(120)의 바디(121)의 좌측 파트(121a, 도 5 및 6 참조)는 홀을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홀(120a)은 사다리꼴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은 제1 홀(120a)을 통과할 수 있다. 제1 홀(120a)은 여러 케이블들이 통과하기에 충분한 크기의 홀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커버 홀(15Ca)을 통과한 제2 케이블(C2)을 제1 홀(120a)을 통해 리어 레그(120)의 내부로 삽입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제3 케이블(C3)을 제2 픽서(17b)에 고정시키지 않고 커버 홀(15Ca)과 제1 홀(120a)을 통해 리어 레그(120)의 내부로 삽입할 수 있다.
도 10 및 11을 참조하면, 홀더(140)는 리어 레그(12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고, 제1 홀(120a)을 통과한 케이블(들)(C)은 홀더(140)를 관통할 수 있다. 리어 레그(120) 안에 배치된 홀더(140)의 개수는 1 개이거나 2 개 이상일 수 있다. 복수개의 홀더들(140)은 리어 레그(120)의 바디(121)의 길이방향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홀더(140a)는 제1 홀(120a)에 인접하여 제1 홀(120a)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도 8의 도면부호 M 참조).
도 11을 참조하면, 제2 홀더(140b)는 제2 홀(120b, 도 8 참조)에 인접하여 제2 홀(120b)의 위에 위치할 수 있다(도 8의 도면부호 N 참조). 여기서, 제2 홀(120b)은 리어 레그(120)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고, 리어 레그(120)의 하단에 인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어 레그(120)의 바디(121)의 후면은 개구될 수 있고, 커버(130)는 바디(121)의 개구된 후면을 덮을 수 있다. 이 경우, 바디(121)의 개구된 후면의 일부는 커버(130)에 의해 덮여지지 않을 수 있고, 제2 홀(120b)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홀(120a)은 리어 레그(120)의 내부 공간을 통해 제2 홀(120b)과 연통될 수 있다. 제1 홀(120a), 리어 레그(120)의 상기 내부 공간, 그리고 제2 홀(120b)은 케이블(들)이 배치되는 케이블 패스(cable path)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홀(120a)은 케이블 인렛(120a, cable inlet) 또는 어퍼 슬롯(120a, upper slot)이라 칭할 수 있다. 제2 홀(120b)은 케이블 아웃렛(120b, cable outlet) 또는 로어 슬롯(120b, lower slot)이라 칭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케이블(들)(C)은 제2 홀(120b)을 통해 리어 레그(120)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한편, 풋(124, foot)은 리어 레그(120)의 바디(121)의 하단에 인접하여 좌측 파트(121a)와 우측 파트(121b) 사이에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다. 풋(124)의 하면은 지면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전술한 제2 홀(120b)은 커버(130)와 풋(124)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홀더(140)는 탄성을 지닐 수 있고, 홀더 바디(141), 힌지 파트(143, hinge part), 그리고 락킹 파트(145, locking part)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140)는 클램프(140)라 칭할 수 있다.
홀더 바디(141)는 전체적으로 꺾쇠 괄호(square bracket)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제1 사이드 파트(141a)는 리어 레그(120)의 바디(121)의 좌측 파트(121a, 도 10 및 11 참조)의 내면을 향할 수 있다. 제2 사이드 파트(141b)는 리어 레그(120)의 바디(121)의 우측 파트(121b, 도 10 및 11 참조)의 내면을 향할 수 있다. 프런트 파트(141c)는 제1 사이드 파트(141a)의 전단과 제2 사이드 파트(141b)의 전단을 연결할 수 있고, 리어 레그(120)의 바디(121)의 전방부를 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런트 파트(141c)의 두께(t1c)는 홀더 바디(141)의 최대 두께를 형성할 수 있다.
힌지 파트(143)는 제1 사이드 파트(141a)의 후단으로부터 제2 사이드 파트(141b) 쪽으로 굽어질 수 있다. 또는, 힌지 파트(143)는 제2 사이드 파트(141b)의 후단으로부터 제1 사이드 파트(141a) 쪽으로 굽어질 수도 있다. 힌지 파트(143)는 연장부(143a)와 밴딩부들(143b, 143c, 143d, bent portions)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143a)는 제1 사이드 파트(141a)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밴딩부(143b)는 연장부(143a)의 말단으로부터 굽어질 수 있고, 제2 밴딩부(143c)는 제1 밴딩부(143b)로부터 굽어질 수 있으며, 제3 밴딩부(143d)는 제2 밴딩부(143c)로부터 굽어질 수 있다. 밴딩부들(143b, 143c, 143d)은 전체적으로 "v"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예를 들면, 연장부(143a)와 제1 밴딩부(143b) 사이의 각도는 90도에 가까울 수 있고, 제1 밴딩부(143b)와 제3 밴딩부(143d) 사이의 각도(theta c)는 예각일 수 있다.
조인트(142, joint)는 제1 사이드 파트(141a)와 힌지 파트(14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인트(142)는 제1 사이드 파트(141a)의 일부가 컷-아웃(cut-out)되어 형성될 수 있다. 조인트(142)의 두께는 제1 사이드 파트(141a)의 두께(t1a)와 힌지 파트(143)의 연장부(143a)의 두께(t3a)보다 작을 수 있다. 힌지 파트(143)는 조인트(142)를 중심으로 회전 운동할 수 있다.
락킹 파트(145)는 제2 사이드 파트(141b)의 후단으로부터 힌지 파트(143)를 향해 굽어질 수 있다. 또는, 락킹 파트(145)는 제1 사이드 파트(141a)의 후단으로부터 힌지 파트(143)를 향해 굽어질 수도 있다.
넥(144, neck)은 제2 사이드 파트(141b)와 락킹 파트(145)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넥(144)의 두께(t4)는 제2 사이드 파트(141b)의 두께(t1b)보다 작을 수 있다. 락킹 파트(145)는 넥(144)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할 수 있다.
전술한 홀더(140)의 홀더 바디(141), 조인트(142), 힌지 파트(143), 넥(144), 그리고 락킹 파트(145)는 일체(one body)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4 및 15를 참조하면, 힌지 파트(143)는 후크(1431), 가이드 돌기(1432), 그리고 핸들(1433)을 포함할 수 있다. 후크(1431)는 제2 밴딩부(143c)에 인접하여 제3 밴딩부(143d)의 측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후크(1431)의 횡단면은 삼각형일 수 있다. 가이드 돌기(1432)는 후크(1431)로부터 이격될 수 있고, 제3 밴딩부(143d)의 측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이드 돌기(1432)의 횡단면은 사다리꼴일 수 잇다. 핸들(1433)은 가이드 돌기(1432)에 대하여 후크(1431)와 대향(opposite)할 수 있고, 가이드 돌기(1432)로부터 이격될 수 있으며, 제3 밴딩부(143d)의 측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핸들(1433)의 횡단면은 사각형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후술하는 힌지 파트(143)와 락킹 파트(145)의 결합 및 분리 과정에서 핸들(1433)을 손으로 잡을 수 있다.
락킹 파트(145)는 전체적으로 속이 빈 블록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제1 파트(145a)와 제2 파트(145b)는 넥(144)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고, 락킹 파트(145)의 네 측면들 중 서로 대향(opposite)하는 한쌍의 측면들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파트(145c)와 제4 파트(145d)는 넥(144)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고, 락킹 파트(145)의 네 측면들 중 서로 대향(opposite)하는 나머지 한쌍의 측면들을 형성할 수 있다. 밴딩부들(143b, 143c, 143d)을 향하는 락킹 파트(145)의 일면은 개구될 수 있고, 밴딩부들(143b, 143c, 143d)은 상기 개구된 일면을 통해 락킹 파트(145)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파트들(145a, 145b, 145c, 145d)은 락킹 파트(145)의 내부로 삽입된 밴딩부들(143b, 143c, 143d)을 둘러쌀 수 있다. 한편, 홀(145h)은 제4 파트(145d)에 형성될 수 있다. 락킹 돌기(145e)는 제3 밴딩부(143d)를 향하는 제2 파트(145b)의 내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제2 밴딩부(143c)의 두께(t3c, 도 13 참조)는 밴딩부들(143b, 143c, 143d)의 최소 두께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제2 밴딩부(143c)의 두께(t3c)는 제1 밴딩부(143b)의 두께(t3b)와 제3 밴딩부(143d)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3 밴딩부(143d)를 제1 밴딩부(143b) 쪽으로 누를 수 있고, 밴딩부들(143b, 143c, 143d)이 락킹 파트(145)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힌지 파트(143)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가 밴딩부들(143b, 143c, 143d)에서 손을 떼면, 제3 밴딩부(143d)는 복원력에 의해 제1 밴딩부(143b)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락킹 돌기(145e)는 후크(1431)와 가이드 돌기(1432)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후크(1431)는 락킹 돌기(145e)에 걸릴 수 있다. 가이드 돌기(1432)는 락킹 돌기(145e) 상에 위치하거나 이에 인접할 수 있다. 가이드 돌기(1432)는 지지 돌기(1432) 또는 스토퍼(1432)라 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힌지 파트(143)는 락킹 파트(145)에 결합될 수 있고, 홀더(140)는 폐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케이블(들)은 홀더(140)의 내부 공간(140g)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3 밴딩부(143d)를 제1 밴딩부(143b) 쪽으로 눌러 후크(1431)와 락킹 돌기(145e)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고, 밴딩부들(143b, 143c, 143d)이 락킹 파트(145)로부터 빠져나오도록 힌지 파트(143)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가 밴딩부들(143b, 143c, 143d)에서 손을 떼면, 밴딩부들(143b, 143c, 143d)은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 갈 수 있다. 이에 따라, 힌지 파트(143)는 락킹 파트(145)에서 분리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힌지 파트(143)에 가하는 힘의 크기와 "?향?* 따라서, 힌지 파트(143)가 결합된 락킹 파트(145)가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힌지 파트(143)가 사용자에 의해 홀더(140)의 내부 공간(140g) 쪽으로 눌리면, 락킹 파트(145)는 넥(144)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도 16의 RD 참조), 그 결과 힌지 파트(143)의 연장부(143a)도 변형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밴딩부들(143b, 143c, 143d)이 락킹 파트(145)로부터 빠져나오도록 힌지 파트(143)를 회전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지지 돌기(143e)는 제1 밴딩부(143b)에 인접하여 연장부(143a)에서 홀더(140)의 안쪽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지지 돌기(143e)는 지지 리브(143e)라 칭할 수 있다.
도 18 및 19를 참조하면, 락킹 파트(145)의 제1 파트(145a)는 지지 돌기(143e)와 제1 밴딩부(143b) 사이의 갭에 삽입될 수 있다. 지지 돌기(143e)는 제1 파트(145a)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 돌기(143e)는 사용자가 힌지 파트(143)에 가하는 힘의 크기와 "?향?* 따라서, 힌지 파트(143)가 결합된 락킹 파트(145)가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밴딩부들(143b, 143c, 143d)이 락킹 파트(145)로부터 빠져나오도록 힌지 파트(143)를 쉽게 회전시킬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힌지 파트(143)의 제1 밴딩부(143b)와 후크(1431) 사이의 거리(D3)는 락킹 파트(145)의 제1 파트(145a)와 락킹 돌기(145e) 사이의 거리(D5)보다 클 수 있다. 거리(D3)와 거리(D5)의 차이는 후크의 물림량이라 칭할 수 있다.
힌지 파트(143)의 지지 돌기(143e)와 제1 밴딩부(143b) 사이의 갭(g3)은 락킹 파트(145)의 제1 파트(145a)의 두께(t5)와 같거나 공차를 고려해 이보다 약간 더 클 수 있다. 갭(g3)과 두께(t5)의 차이는 0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고, 상기 후크의 물림량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 돌기(143e)는 힌지 파트(143)와 락킹 파트(145)가 서로 분리되는 동안에 제1 파트(145a)를 지지할 수 있다.
도 21 및 22를 참조하면, 홀더(140)는 바디(121)의 좌측 파트(121a)와 우측 파트(121b)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이너 돌기(121d)는 우측 파트(121b)의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홀더(140)의 넥(144)은 이너 돌기(121d)에 걸릴 수 있다. 이에 따라, 홀더(140)는 바디(121)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케이블(들)(C)은 홀더(140)를 관통할 수 있다. 사용자는 힌지 파트(143)를 락킹 파트(145)에 결합시킬 수 있고, 홀더(140) 내부의 케이블(들)(C)이 홀더(140) 외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130)는 탄성을 지닐 수 있고, 커버 바디(130c), 제1 레그(130a), 그리고 제2 레그(130b)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바디(130c)는 평평하거나 곡률질 수 있고, 홀더(140)의 후방을 덮을 수 있다. 제1 레그(130a)는 좌측 파트(121a)에 인접하여 커버 바디(130c)로부터 커버 바디(130c)와 홀더(140) 사이로 돌출될 수 있고, 적어도 한번 굽어질 수 있다. 제2 레그(130b)는 우측 파트(121b0에 인접하여 커버 바디(130c)로부터 커버 바디(130c)와 홀더(140) 사이로 돌출될 수 있고, 적어도 한번 굽어질 수 있다. 바디(121)로부터 분리된 커버(130)의 제1 레그(130a)와 제2 레그(130b) 사이의 간격은 바디(121)의 좌측 파트(121a)와 우측 파트(121b) 사이의 간격보다 클 수 있다. 즉, 커버(130)의 제1 레그(130a)와 제2 레그(130b)가 바디(121)의 좌측 파트(121a)와 우측 파트(121b) 사이로 삽입되면, 제1 레그(130a)와 제2 레그(130b) 사이의 간격이 작아질 수 있다.
제1 돌기(130at)는 제1 레그(130a)의 굽어진 부분에서 좌측 파트(121a)를 향해 돌출될 수 있고, 제2 돌기(130bt)는 제2 레그(130b)의 굽어진 부분에서 우측 파트(121b)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좌측 파트(121a)에 형성된 제1 그루브(121ag)와 우측 파트(121b)에 형성된 제2 그루브(121bg) 사이의 간격은 좌측 파트(121a)와 우측 파트(121b) 사이의 간격보다 클 수 있다. 즉, 제1 레그(130a)와 제2 레그(130b)가 탄성력(복원력)에 의해 서로 벌어지면서, 제1 돌기(130at)는 제1 그루브(121ag)에 삽입될 수 있고, 제2 돌기(130bt)는 제2 그루브(121bg)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돌기(130at)는 제1 후크(130at)라 칭할 수 있다. 제2 돌기(130bt)는 제2 후크(130bt)라 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130)는 바디(12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커버(130)는 바디(121)의 내부에 배치된 홀더(140)를 덮을 수 있다.
도 1 내지 2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헤드; 상기 헤드를 지지하는 스탠드; 상기 헤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일부가 상기 스탠드의 내부에 위치하는 케이블; 그리고, 상기 스탠드의 내부에서 상기 케이블의 측면을 둘러싸는 홀더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홀더는: 상기 스탠드의 내면에 결합되는 홀더 바디; 상기 홀더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고, 회전이 가능한 힌지 파트; 그리고, 상기 홀더 바디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힌지 파트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락킹 파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홀더 바디, 상기 힌지 파트, 그리고 상기 락킹 파트에 의해 형성되는 폐루프의 안쪽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힌지 파트는: 상기 힌지 파트로부터 상기 폐루프의 안쪽으로 돌출되고, 상기 락킹 파트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 파트는: 상기 홀더 바디의 상기 일측으로부터 길게 연장되는 연장부; 그리고, 상기 연장부의 말단으로부터 굽어지고, 상기 락킹 파트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밴딩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지지 돌기는, 상기 연장부로부터 상기 폐루프의 안쪽으로 돌출될 수 있고, 상기 락킹 파트의 상기 일측은, 상기 지지 돌기와 상기 밴딩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돌기와 상기 밴딩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락킹 파트의 상기 일측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같을 수 있다.
상기 밴딩부는: 상기 연장부로부터 상기 락킹 파트의 내부로 굽어지는 제1 밴딩부; 상기 제1 밴딩부로부터 굽어지는 제2 밴딩부; 상기 제2 밴딩부로부터 상기 락킹 파트의 외부로 굽어지고, 상기 제1 밴딩부와 마주하는 제3 밴딩부; 그리고, 상기 제3 밴딩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후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락킹 파트는: 상기 락킹 파트의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후크가 걸리는 락킹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락킹 파트의 상기 일측은, 상기 지지 돌기와 상기 제1 밴딩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지지 돌기와 상기 제1 밴딩부 사이의 간격과 상기 락킹 파트의 상기 일측의 두께의 차이는, 상기 제1 밴딩부와 상기 후크 사이의 거리와 상기 락킹 파트의 상기 일측과 상기 락킹 돌기 사이의 거리의 차이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밴딩부는: 상기 제3 밴딩부의 상기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후크와 이격되는 가이드 돌기; 그리고, 상기 제3 밴딩부의 상기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에 대하여 상기 후크와 대향(opposite)하는 핸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홀더 바디의 상기 일측과 상기 힌지 파트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힌지 파트의 회전 중심이 위치하는 조인트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조인트의 두께는, 상기 홀더 바디의 두께와 상기 힌지 파트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홀더 바디의 상기 타측과 상기 락킹 파트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락킹 파트의 회전 중심이 위치하는 넥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넥의 두께는, 상기 홀더 바디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홀더 바디의 상기 타측과 상기 락킹 파트 사이에 형성되는 넥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스탠드는: 후면이 개구되고, 상기 홀더가 위치하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내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넥이 걸리는 이너 돌기; 그리고, 상기 바디의 상기 개구된 후면을 덮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탠드는: 상기 바디의 일단에 인접하고, 상기 바디의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 홀; 그리고, 상기 바디의 타단에 인접하고, 상기 바디의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 홀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제1 홀, 상기 바디의 상기 내부 공간, 그리고 상기 제2 홀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헤드는: 상기 헤드의 후면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이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탠드는: 상기 헤드의 하변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프런트 레그; 그리고, 상기 프런트 레그로부터 후방을 향해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헤드에 결합되는 리어 레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홀더는, 상기 리어 레그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3)

  1.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헤드;
    상기 헤드를 지지하는 스탠드;
    상기 헤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일부가 상기 스탠드의 내부에 위치하는 케이블; 그리고,
    상기 스탠드의 내부에서 상기 케이블의 측면을 둘러싸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스탠드의 내면에 결합되는 홀더 바디;
    상기 홀더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고, 회전이 가능한 힌지 파트; 그리고,
    상기 홀더 바디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힌지 파트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락킹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홀더 바디, 상기 힌지 파트, 그리고 상기 락킹 파트에 의해 형성되는 폐루프의 안쪽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파트는:
    상기 힌지 파트로부터 상기 폐루프의 안쪽으로 돌출되고, 상기 락킹 파트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 돌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파트는:
    상기 홀더 바디의 상기 일측으로부터 길게 연장되는 연장부; 그리고,
    상기 연장부의 말단으로부터 굽어지고, 상기 락킹 파트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밴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 돌기는,
    상기 연장부로부터 상기 폐루프의 안쪽으로 돌출되고,
    상기 락킹 파트의 상기 일측은,
    상기 지지 돌기와 상기 밴딩부 사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돌기와 상기 밴딩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락킹 파트의 상기 일측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같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밴딩부는:
    상기 연장부로부터 상기 락킹 파트의 내부로 굽어지는 제1 밴딩부;
    상기 제1 밴딩부로부터 굽어지는 제2 밴딩부;
    상기 제2 밴딩부로부터 상기 락킹 파트의 외부로 굽어지고, 상기 제1 밴딩부와 마주하는 제3 밴딩부; 그리고,
    상기 제3 밴딩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락킹 파트는:
    상기 락킹 파트의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후크가 걸리는 락킹 돌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 파트의 상기 일측은,
    상기 지지 돌기와 상기 제1 밴딩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 돌기와 상기 제1 밴딩부 사이의 간격과 상기 락킹 파트의 상기 일측의 두께의 차이는,
    상기 제1 밴딩부와 상기 후크 사이의 거리와 상기 락킹 파트의 상기 일측과 상기 락킹 돌기 사이의 거리의 차이보다 작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밴딩부는:
    상기 제3 밴딩부의 상기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후크와 이격되는 가이드 돌기; 그리고,
    상기 제3 밴딩부의 상기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에 대하여 상기 후크와 대향(opposite)하는 핸들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홀더 바디의 상기 일측과 상기 힌지 파트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힌지 파트의 회전 중심이 위치하는 조인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의 두께는,
    상기 홀더 바디의 두께와 상기 힌지 파트의 두께보다 작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홀더 바디의 상기 타측과 상기 락킹 파트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락킹 파트의 회전 중심이 위치하는 넥을 더 포함하고,
    상기 넥의 두께는,
    상기 홀더 바디의 두께보다 작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홀더 바디의 상기 타측과 상기 락킹 파트 사이에 형성되는 넥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탠드는:
    후면이 개구되고, 상기 홀더가 위치하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내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넥이 걸리는 이너 돌기; 그리고,
    상기 바디의 상기 개구된 후면을 덮는 커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는:
    상기 바디의 일단에 인접하고, 상기 바디의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 홀; 그리고,
    상기 바디의 타단에 인접하고, 상기 바디의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제1 홀, 상기 바디의 상기 내부 공간, 그리고 상기 제2 홀을 통과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상기 헤드의 후면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이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는:
    상기 헤드의 하변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프런트 레그; 그리고,
    상기 프런트 레그로부터 후방을 향해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헤드에 결합되는 리어 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리어 레그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230117069A 2022-09-02 2023-09-04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400326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1496 2022-09-02
KR20220111496 2022-09-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2687A true KR20240032687A (ko) 2024-03-12

Family

ID=90300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7069A KR20240032687A (ko) 2022-09-02 2023-09-04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268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299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504803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1477898B2 (en) Display device
JP5669807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330105B1 (ko) 디스플레이장치
US10034399B2 (en) Display device
US10613363B2 (en) Display device and multi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2010128498A (ja) 液晶表示装置
US11038295B2 (en) Display device
EP3270215A2 (en) Display device
US20090244886A1 (en)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20170012659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460231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CN205788905U (zh) 一种异形显示屏
US10111352B2 (en) Display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901252B2 (en) Display device
CN102007523A (zh) 电子封装件、显示装置以及电子设备
US10356917B2 (en) Display device
US20180359856A1 (en) Structure for connecting printed circuit board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240032687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0231346B2 (en) Display device
KR102093629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794797B1 (ko) 액정표시장치
KR20240064663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663591B1 (ko) 스피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