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9993B1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9993B1
KR102509993B1 KR1020210063388A KR20210063388A KR102509993B1 KR 102509993 B1 KR102509993 B1 KR 102509993B1 KR 1020210063388 A KR1020210063388 A KR 1020210063388A KR 20210063388 A KR20210063388 A KR 20210063388A KR 102509993 B1 KR102509993 B1 KR 102509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over body
magnet
display device
cover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3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5755A (ko
Inventor
김찬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63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9993B1/ko
Publication of KR20220155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5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9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9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8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forward-backward translation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결합되는 프레임;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에 위치하는 커버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어셈블리는: 상기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 베이스; 그리고, 상기 커버 베이스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커버 베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바디의 하변은, 상기 커버 베이스의 하변보다 하측에 위치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DISPLAY DEVICE}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LCD 패널은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TFT 기판과 컬러 기판을 구비하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빛을 이용해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OLED 패널은 투명전극이 형성된 기판에 자체적으로 발광할 수 있는 유기물층을 증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최근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을 커버하는 구조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을 개폐할 수 있는 커버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의 개폐를 위하여 커버 어셈블리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하강하는 커버 어셈블리에 의한 커버 어셈블리의 하측에 위치한 사용자의 발 또는 외부 물체의 상해 또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커버 어셈블리의 구성들을 용이하게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결합되는 프레임;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에 위치하는 커버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어셈블리는: 상기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 베이스; 그리고, 상기 커버 베이스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커버 베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바디의 하변은, 상기 커버 베이스의 하변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을 개폐할 수 있는 커버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의 개폐를 위하여 커버 어셈블리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하강하는 커버 어셈블리에 의한 커버 어셈블리의 하측에 위치한 사용자의 발 또는 외부 물체의 상해 또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커버 어셈블리의 구성들을 용이하게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31은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특정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설명하더라도, 필요한 경우, 상기 특정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참조 번호를 언급할 수 있으며, 상기 특정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참조 번호는, 다른 도면에(in the other figures) 상기 참조 번호가 나타난 경우에 사용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는 디스플레이 패널(11)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은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는 제1 장변(First Long Side, LS1), 제1 장변(LS1)에 대향하는 제2 장변(Second Long Side, LS2), 제1 장변(LS1) 및 제2 장변(LS2)에 인접하는 제1 단변(First Short Side, SS1) 및 제1 단변(SS1)에 대향하는 제2 단변(Second Short Side, SS2)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및 제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1 및 제2 단변(SS1, SS2)의 길이보다 더 긴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제1 및 제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1 및 제2 단변(SS1, SS2)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장변(Long Side, LS1, LS2)과 나란한 방향을 상하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단변(Short Side, SS1, SS2)과 나란한 방향을 좌우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장변(LS1, LS2) 및 단변(SS1, SS2)에 수직한 방향을 전후방향(FR)이라고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이 화상을 표시하는 방향을 전방(F)이라 하고, 이와 반대되는 방향을 후방(R)이라 할 수 있다. 제1 단변(SS1) 쪽을 상측(U)이라 할 수 있다. 제2 단변(SS2) 쪽을 하측(D)이라 할 수 있다. 제1 장변(LS1) 쪽을 좌측(Le)이라 할 수 있다. 제2 장변(LS2) 쪽을 우측(Ri)이라 할 수 있다.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엣지(edge)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이 서로 만나는 지점을 코너(corner)라 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단변(SS1)과 제1 장변(LS1)이 만나는 지점을 제1 코너(C1)라 칭할 수 있다. 제1 장변(LS1)과 제2 단변(SS2)이 만나는 지점을 제2 코너(C2)라 칭할 수 있다. 제2 단변(SS2)과 제2 장변(LS2)이 만나는 지점을 제3 코너(C3)라 칭할 수 있다. 제2 장변(LS2)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을 제4 코너(C4)라 칭할 수 있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프레임(2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프레임(20)은 아우터 프레임(21), 로어 프레임(22), 어퍼 프레임(23), 그리고 가이드 프레임(24)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레임(2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중심을 지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준선(VV', 도 6 참조)에 대해 좌우로 대칭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21)은 프레임(20)의 둘레를 형성하며, 전체적으로 사각 프레임일 수 있다. 제1 아우터 프레임(21a)은 아우터 프레임(21)의 상측(upper side)을 형성하고,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아우터 프레임(21b)은 아우터 프레임(21)의 하측(lower side)을 형성하고,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3 아우터 프레임(21c)은 아우터 프레임(21)의 좌측(left side)을 형성하고,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4 아우터 프레임(21d)은 아우터 프레임(21)의 우측(right side)을 형성하고,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코너(C1, 도 1 참조)는 제1 아우터 프레임(21a)과 제3 아우터 프레임(21c)이 만나는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코너(C2, 도 1 참조)는 제3 아우터 프레임(21c)과 제2 아우터 프레임(21b)이 만나는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코너(C3, 도 1 참조)는 제2 아우터 프레임(21b)과 제4 아우터 프레임(21d)이 만나는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제4 코너(C4, 도 1 참조)는 제4 아우터 프레임(21d)과 제1 아우터 프레임(21a)이 만나는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로어 프레임(22)은 제3 아우터 프레임(21c)과 제4 아우터 프레임(21d) 사이에서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제3 아우터 프레임(21c)과 제4 아우터 프레임(21d)에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로어 프레임(22)은 제1 아우터 프레임(21a)보다 제2 아우터 프레임(21b)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어퍼 프레임(23)은 로어 프레임(22)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어퍼 프레임(23)은 후술하는 가이드 프레임(24)과 바(25, bar)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퍼 프레임(23)은 제3 아우터 프레임(21c)과 제4 아우터 프레임(21d) 사이에서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제3 아우터 프레임(21c)과 제4 아우터 프레임(21d)에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어퍼 프레임(23)은 후술하는 제1 가이드 프레임(24a)과 제2 가이드 프레임(24b) 사이에서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제1 가이드 프레임(24a)과 제2 가이드 프레임(24b)에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어퍼 프레임(23)은 센터 프레임이라 칭할 수 있다.
가이드 프레임(24)은 제1 아우터 프레임(21a)과 로어 프레임(22)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프레임(24a)은 제3 아우터 프레임(21c)의 우측에서 제3 아우터 프레임(21c)에 결합되거나 고정되고, 제1 가이드 프레임(24a)의 상단은 제1 아우터 프레임(21a)에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나아가, 제1 가이드 프레임(24a)의 하단은 로어 프레임(22)에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프레임(24b)은 제4 아우터 프레임(21d)의 좌측에서 제4 아우터 프레임(21d)에 결합되거나 고정되고, 제2 가이드 프레임(24b)의 상단은 제1 아우터 프레임(21a)에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나아가, 제2 가이드 프레임(24b)의 하단은 로어 프레임(22)에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바(25)는 제1 아우터 프레임(21a)과 로어 프레임(22)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제1 아우터 프레임(21a)과 로어 프레임(22)에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25)는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제1 바(25a)와 제2 바(25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25)는 1 개로 구비되어 프레임(20)의 가운데에 배치되거나, 3 개 이상으로 구비되어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도 있다. 바(25)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중심을 지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준선(VV')에 위치하거나 이에 인접할 수 있다. 한편, 바(25)는 수직 바 또는 미들 프레임이라 칭할 수 있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디스플레이부(10)는 디스플레이 패널(11), 미들 캐비닛(12), 플레이트(13), 모듈커버(14), 그리고 백커버(15)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은 OLED 패널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은 화상을 복수개의 픽셀들로 나누어 각 픽셀당 색상, 명도, 채도를 맞추어 화상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은 화상이 표시되는 활성 영역(active area)과,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활성 영역(de-active area)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은 제어신호에 따라 레드, 그린, 또는 블루의 색에 해당하는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11)은 LCD 등의 다양한 패널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미들 캐비닛(12)은 디스플레이 패널(11)의 후방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1)에 결합될 수 있다. 미들 캐비닛(12)은 디스플레이부(10)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미들 캐비닛(12)은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미들 캐비닛(12)은 사각 프레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들 캐비닛(12)은 금속 재질이나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들 캐비닛(12)은 사이드 파트(12V)와 리어 파트(12H)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파트(12V)는 미들 캐비닛(12)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사이드 파트(12V)의 일부는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리어 파트(12H)는 사이드 파트(12V)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리어 파트(12H)는 디스플레이 패널(11)의 후방의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한편, 갭 패드(12a)는 리어 파트(12H)의 후면에 구비되어, 아우터 프레임(21)과 마주할 수 있다.
플레이트(13)는 디스플레이 패널(11)의 후방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1)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접착부재(T)는 디스플레이 패널(11)과 플레이트(13) 사이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1)과 플레이트(13)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착부재(T)는 양면 테이프일 수 있다.
모듈커버(14)는 플레이트(13)의 후방에서 플레이트(13)에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즉, 모듈커버(14)는 플레이트(13)의 후방을 커버할 수 있다. 모듈커버(14)와 플레이트(13)는 디스플레이 패널(11)과 리어 파트(12H)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PCB(Printed Circuit Board) 또는 전자부품은 모듈커버(14)의 후면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커버(14)는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강성부(14a)는 모듈커버(14)의 전면에서 후방으로 프레스 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강성부(14a)는 모듈커버(14)의 비틀림 강성 및/또는 휨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모듈커버(14)는 메인 프레임 또는 이너 프레임이라 칭할 수 있다.
백커버(15)는 모듈커버(14)의 후방을 덮을 수 있다. 백커버(15)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후면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백커버(15)는 금속 재질이나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아우터 프레임(21a)은 수직부(21V)와 수평부(21H)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부(21V)와 수평부(21H)는 제1 아우터 프레임(21a)의 엣지를 따라서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수직부(21V)는 제1 아우터 프레임(21a)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수직부(21V)는 디스플레이부(10)와 교차하는 방향에서 폭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수직부(21V)의 길이는 좌우방향에서 정의되고, 수직부(21V)의 폭은 전후방향에서 정의되며, 수직부(21V)의 두께는 상하방향에서 정의될 수 있다. 수직부(21V)의 일부는 디스플레이부(10)의 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수평부(21H)는 수직부(21V)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수평부(21H)는 디스플레이부(10)의 후방에서 디스플레이부(10)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수평부(21H)의 길이는 좌우방향에서 정의되고, 수평부(21H)의 폭은 상하방향에서 정의되며, 수평부(2H)의 두께는 전후방향에서 정의될 수 있다. 수평부(21H)는 디스플레이부(10)의 후방의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평부(21H)는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제1 수평부(21Ha), 제2 수평부(21Hb), 그리고 제3 수평부(21H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수평부(21Ha)의 폭은 제2 수평부(21Hb)의 폭보다 크고, 제3 수평부(21Hc)의 폭은 제2 수평부(21Hb)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그리고, 제1 수평부(21Ha)는 적어도 2 번 밴딩될 수 있다.
결합부(210)는 제1 수평부(21Ha)의 일부를 형성하며, 제1 수평부(21Ha)의 최후면(rearmost surface)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프레임(24a)은 결합부(210)의 내측에 접촉할 수 있다. 제1 고정부(14b)는 강성부(14a)에서 제1 가이드 프레임(24a)을 향하는 방향, 즉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고정부(14b), 제1 가이드 프레임(24a), 및 결합부(210)는 체결부재를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가이드 홀(241)은 제1 가이드 프레임(24a)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제1 결합 홀(211)은 결합부(21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가이드 홀(241)과 제1 결합 홀(211)은 제1 고정부(14b)에 정렬되고, 제1 고정부(14b)는 스크류와 체결되는 팸넛일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제1 아우터 프레임(21a)에 대한 모듈커버(14)와 제1 가이드 프레임(24a)의 결합 구조는 제1 아우터 프레임(21a)에 대한 모듈커버(14)와 제2 가이드 프레임(24b, 도 3 참조)의 결합 구조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강성부(14a)에 구비되는 고정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0)가 가이드 프레임(24a, 24b)과 제1 아우터 프레임(21a)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비틀림 강성 및/또는 휨 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모듈커버(14)는 제3 아우터 프레임(21c)과 제4 아우터 프레임(21d)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모듈커버(14)는 바(25)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모듈커버(14)의 상단은 제1 아우터 프레임(21a)에 결합되고, 모듈커버(14)의 하단은 어퍼 프레임(23)에 결합될 수 있다.
전자부품들은 모듈커버(14)의 후면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보드(E1), 제2 보드(E2), 그리고 제3 보드(E3)는 서로 이격되되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모듈커버(14)의 후면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보드(E1)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파워 서플라이 보드(power supply board)일 수 있다. 제2 보드(E2)는 디스플레이 패널(11, 도 5 참조)에 영상 신호를 제공하는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timing controller board)일 수 있다. 이 경우, 케이블 홀(CH)은 모듈커버(14)의 하단에 인접하여 모듈커버(14)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케이블(미도시)은 케이블 홀(CH)을 통해 제2 보드(E2)와 디스플레이 패널(11)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보드(E3)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각 구성을 제어하는 메인보드(main board)일 수 있다.
스피커(SPK)는 어퍼 프레임(23)과 로어 프레임(22) 사이에서 로어 프레임(22) 상에 고정되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전방으로 소리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좌측 스피커는 제3 아우터 프레임(21c)과 제1 바(25a) 사이에 배치되고, 우측 스피커는 제4 아우터 프레임(21d)과 제2 바(25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바(25)는 모듈커버(14)의 후방에서 모듈커버(14)에 결합될 수 있다. 마운트(70)는 모듈커버(14)와 바(25) 사이에서 모듈커버(14)와 바(25)에 결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서포터(30)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서포터(30)는 제1 파트(31), 제2 파트(32), 그리고 제3 파트(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트(31)는 서포터(30)의 전면을 형성하고, 서포터(30)의 전체 길이를 정의할 수 있다. 제2 파트(32)는 제1 파트(31)로부터 후방으로 밴딩되어 서포터(30)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파트(32)는 제1 파트(31)의 하단보다 상단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파트(32)의 상단은 제1 파트(31)의 상단에 연결되고, 제2 파트(32)의 길이는 제1 파트(31)의 길이의 약 1/2일 수 있다. 제3 파트(33)는 제2 파트(32)로부터 우측 또는 좌측으로 밴딩되어 제1 파트(31)와 마주할 수 있다. 이때, 제3 파트(33)는 제1 파트(31)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파트(31), 제2 파트(32), 그리고 제3 파트(33)는 일체(one body)로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1 파트(31), 제2 파트(32), 그리고 제3 파트(33)는 별개로 구비되고, 스크류 결합이나 용접 등을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서포터 홀(312)은 제1 파트(31)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포터 홀(312)은 좌우로 서로 이격되는 한쌍의 홀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포터 홀(312)은 제1 파트(31)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서포터 홀들(312a, 312b, 312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포터 홀(312a)은 제1 파트(31)의 상단에 인접하고, 제3 서포터 홀(312c)은 제1 파트(31)의 하단에 인접하며, 제2 서포터 홀(312b)은 제1 서포터 홀(312a)과 제3 서포터 홀(312c)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서포터(30)는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제1 서포터(30a)와 제2 서포터(3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포터(30a)는 제3 아우터 프레임(21c)에 이웃하고, 제2 서포터(30b)는 제4 아우터 프레임(21d)에 이웃할 수 있다. 제1 서포터(30a)의 제2 파트(32)는 제1 파트(31)의 좌측 끝단에 구비되고, 제1 서포터(30a)의 제3 파트(33)는 제2 파트(32)로부터 우측으로 밴딩될 수 있다. 제2 서포터(30b)의 제2 파트(32)는 제1 파트(31)의 우측 끝단에 구비되고, 제2 서포터(30b)의 제3 파트(33)는 제2 파트(32)로부터 좌측으로 밴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서포터(30a)와 제2 서포터(30b)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중심을 지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준선(VV')에 대해 좌우로 대칭될 수 있다.
리브(311)는 서포터(30)의 제1 파트(31)에서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리브(311)는 제1 파트(3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서포터(30a)의 리브(311)는 제1 서포터(30a)의 제1 파트(31)의 좌변에 인접할 수 있다. 제2 서포터(30b, 도 6 참조)의 리브(311)는 제2 서포터(30b)의 제1 파트(31)의 우변에 인접할 수 있다.
도 7 및 8을 참조하면, 제1 서포터(30a)는 제1 가이드 프레임(24a)의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갭(gb)은 제1 서포터(30a)의 제1 파트(31)와 제3 파트(33) 사이에 형성되고, 제1 가이드 프레임(24a)의 일부는 제2 갭(gb)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서포터(30b)는 제2 가이드 프레임(24b, 도 6 참조)의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갭은 제2 서포터(30b)의 제1 파트(31)와 제3 파트(33) 사이에 형성되고, 제2 가이드 프레임(24b)의 일부는 상기 제2 갭에 배치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커버 어셈블리(40)는 커버 베이스(41), 커버 바디(42), 그리고 커버(43)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베이스(41)는 커버 어셈블리(40)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서포터(30)는 커버 베이스(41)의 후방에서 커버 베이스(4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 홀(411)은 커버 베이스(41)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스피커(SPK, 도 6 참조)와 마주할 수 있다. 커버 베이스(41)는 디스플레이부(10, 도 5 참조)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 바디(42)는 커버 베이스(41)의 전방에서 커버 베이스(4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바디 홀(421)은 커버 바디(42)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베이스 홀(411)과 마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디 홀(421)은 작은 크기의 공극들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버 바디(42)는 금속이나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43)는 커버 바디(42)의 전방에서 커버 바디(4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버(43)는 패브릭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커버(43)는 저지(jersey)라 칭할 수 있다.
도 10 및 11을 참조하면, 커버 베이스(41)는 전체적으로 사각 플레이트일 수 있다. 커버 베이스(41)의 상변(41U)과 하변(41D)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커버 베이스(41)의 좌변(41L)과 우변(41R)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커버 베이스(41)의 좌변(41L)은 제1 서포터(30a)의 리브(311, 도 7 참조)의 우측에 접촉할 수 있다. 커버 베이스(41)의 우변(41R)은 제2 서포터(30b)의 리브(311)의 좌측에 접촉할 수 있다.
결합홀(412)은 커버 베이스(41)의 좌변(41L)과 우변(41R)에 인접하고, 커버 베이스(4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홀들(412)은 커버 베이스(41)의 좌변(41L)과 우변(41R)을 따라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서포터(30a)의 제1 파트(31)는 커버 베이스(41)의 후면에 접촉할 수 있다. 제2 서포터(30b)의 제1 파트(31)는 커버 베이스(41)의 후면에 접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서포터(30a)의 서포터 홀(312)은 커버 베이스(41)의 좌변(41L)에 인접한 결합홀(412)과 정렬될 수 있다.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F)는 커버 베이스(41)의 전방에서 결합홀(412)을 관통해 제1 서포터(30a)의 서포터 홀(312)에 체결될 수 있다. 제2 서포터(30b)의 서포터 홀(312)은 커버 베이스(41)의 우변(41R)에 인접한 결합홀(412)과 정렬될 수 있다.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F)는 커버 베이스(41)의 전방에서 결합홀(412)을 관통해 제2 서포터(30b)의 서포터 홀(312)에 체결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커버 베이스(41)는 제3 아우터 프레임(21c)과 제4 아우터 프레임(21d)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 베이스(41)의 하변(41D)은 제2 아우터 프레임(21b)으로부터 일정 간격(gm)만큼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스피커(SPK)는 제4 아우터 프레임(21d)보다 제3 아우터 프레임(21c)에 가까운 좌측 스피커(SPKa)와, 제3 아우터 프레임(21c)보다 제4 아우터 프레임(21d)에 가까운 우측 스피커(SPKb)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홀(411)은 스피커(SPK)와 마주할 수 있다. 제1 베이스 홀(411a)과 제2 베이스 홀(411b)은 커버 베이스(41)의 상변(41U)에 인접하고, 제3 베이스 홀(411c)과 제4 베이스 홀(411d)은 커버 베이스(41)의 하변(41D)에 인접할 수 있다. 제1 베이스 홀(411a)은 좌측 스피커(SPKa)와 마주하고, 제2 베이스 홀(411b)은 우측 스피커(SPKb)와 마주할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커버 베이스(41)가 위로 상승하면, 제3 베이스 홀(411c)은 좌측 스피커(SPKa)와 마주하고, 제4 베이스 홀(411d)은 우측 스피커(SPKb)와 마주할 수 있다.
결합부(413, 414, 415, 416, 417)는 커버 베이스(41)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413, 414, 415, 416, 417)는 제1 베이스 홀(411a)과 제2 베이스 홀(411b) 사이, 및/또는 제3 베이스 홀(411c)과 제4 베이스 홀(411d)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결합부(413), 제2 결합부(414), 그리고 제3 결합부(415)는 커버 베이스(41)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수직선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결합홈(413a)은 제1 결합부(413)에서 하측으로 함몰되면서 형성되고, 제1 결합홈(413a)의 크기는 제1 결합부(413)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제2 결합홈(414a)은 제2 결합부(414)에서 하측으로 함몰되면서 형성되고, 제2 결합홈(414a)의 크기는 제2 결합부(414)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제3 결합홈(415a)은 제3 결합부(415)에서 하측으로 함몰되면서 형성되고, 제3 결합홈(415a)의 크기는 제3 결합부(415)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제4 결합부(416)와 제5 결합부(417)는 커버 베이스(41)의 상변(41U)에 인접할 수 있다. 제4 결합부(416)는 제2 베이스 홀(411b)보다 제1 베이스 홀(411a)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5 결합부(417)는 제1 베이스 홀(411a)보다 제2 베이스 홀(411b)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4 결합홈(416a)은 제4 결합부(416)에서 하측으로 함몰되면서 형성되고, 제4 결합홈(416a)의 크기는 제4 결합부(416)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제5 결합홈(417a)은 제5 결합부(417)에서 하측으로 함몰되면서 형성되고, 제5 결합홈(417a)의 크기는 제5 결합부(417)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커버 바디(42)는 전체적으로 사각 플레이트일 수 있다. 커버 바디(42)의 상변(42U)과 하변(42D)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커버 바디(42)의 좌변(42L)과 우변(42R)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마그넷부(422)는 커버 바디(42)의 좌변(42L)과 우변(42R)에 인접할 수 있다. 마그넷부들(422)은 커버 바디(42)의 좌변(42L)과 우변(42R)을 따라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커버 바디(42)에 대한 마그넷부(422)의 위치는 커버 베이스(41)에 대한 결합홀(412, 도 10 참조)의 위치에 대응할 수 있다.
후크부(423, 424, 425, 426, 427)는 커버 바디(42)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커버 바디(42)에 대한 후크부(423, 424, 425, 426, 427)의 위치는 커버 베이스(41)에 대한 결합부(413, 414, 415, 416, 417, 도 10 참조)의 위치에 대응할 수 있다. 즉, 후크부(423, 424, 425, 426, 427)는 커버 바디(42)에서 결합부(413, 414, 415, 416, 417)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바디 홀(421)은 커버 바디(42)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커버 바디(42)에 대한 바디 홀(421)의 위치는 커버 베이스(41)에 대한 베이스 홀(411, 도 10 참조)의 위치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3 및 14를 참조하면, 마그넷부(422)는 커버 바디(42)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홀(422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트(4221)는 커버 바디(42)의 홀(422a)의 경계를 형성하는 부분의 상측(upper side)에서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파트(4222)는 커버 바디(42)의 홀(422a)의 경계를 형성하는 부분의 하측(lower side)에서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파트(4221)와 제2 파트(4222)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하방향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3 파트(4223)는 커버 바디(42)의 홀(422a)의 경계를 형성하는 부분에서 홀(422a)을 향해 돌출되고, 제1 파트(4221) 및 제2 파트(4222)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커버 바디(42)의 좌변(42L)에 인접한 마그넷부(422)의 제3 파트(4223)는 커버 바디(42)의 홀(422a)의 경계를 형성하는 부분의 좌측(left side)에서 우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커버 바디(42)의 우변(42R)에 인접한 마그넷부(422)의 제3 파트(4223)는 커버 바디(42)의 홀(422a)의 경계를 형성하는 부분의 우측(right side)에서 좌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4 파트(4224)는 홀(422a)에 대하여 제3 파트(4223)와 대향할 수 있다. 제4 파트(4224)는 커버 바디(42)의 전면에서 후방으로 함몰되면서 형성되고, 제4 파트(4224)의 말단은 홀(422a)의 경계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5 파트(4225)는 제2 파트(4222)와 이웃할 수 있다. 제5 파트(4225)는 커버 바디(42)의 홀(422a)의 경계를 형성하는 부분의 하측(lower side)에서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5 파트(4225)의 높이는 제2 파트(4222)의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도 15 및 16을 참조하면, 마그넷(428)은 블록 형상으로 형성되고, 홀(422a)에 삽입될 수 있다. 마그넷(428)은 제1 파트(4221)와 제3 파트(4223) 사이와, 제2 파트(4222)와 제3 파트(422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마그넷(428)의 전면의 일부는 제3 파트(4223)에 의해 지지되고, 마그넷(428)의 후면의 일부는 제1 파트(4221)와 제2 파트(422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고정부(429)는 홀(422a)에 삽입되어, 커버 바디(42)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429)는 홈(4291), 탄성부(4292), 지지부(4293), 그리고 안착부(4294)를 포함할 수 있다. 제5 파트(4225)는 홈(4291)에 삽입되고, 안착부(4294)는 제4 파트(4224)에 안착되며, 지지부(4293)는 마그넷(428)의 전면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4292)가 홀(422a)의 경계를 형성하는 부분에 걸림으로써, 고정부(429)는 커버 바디(4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탄성부(4292)는 래치부라 칭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1 파트(4221)와 제2 파트(4222)는 커버 바디(42)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고정부(429)의 돌출부(4295)도 제1 파트(4211)와 동일하게 커버 바디(42)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전후방향에서, 마그넷(428)의 후면의 위치는 제1 파트(4221)의 후면과 제2 파트(4222)의 후면의 위치보다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후크부(423, 424, 425, 426, 427)의 일측은 커버 바디(42)의 후면에 고정되고, 타측은 커버 바디(42)의 후면으로부터 일정 간격(Du)만큼 후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도 18 및 19를 참조하면, 커버 바디(42)는 커버 베이스(41)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커버 바디(42)는 탄성을 지닐 수 있다. 사용자는 커버 바디(42)를 커버 베이스(41)를 향해 구부린 채로 커버 바디(42)를 커버 베이스(41)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로써, 커버 베이스(41)에 대한 커버 바디(42)의 결합이 용이해질 수 있다.
사용자는 후크부(423, 424, 425, 426, 427)를 결합부(413, 414, 415, 416, 417)에 삽입한 후 아래로 이동하여, 후크부(423, 424, 425, 426, 427)를 결합홈(413a, 414a, 415a, 416a, 417a)에 걸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후크부(423)는 제1 결합홈(413a)에 걸리고, 제2 후크부(424)는 제2 결합홈(414a)에 걸리며, 제3 후크부(425)는 제3 결합홈(415a)에 걸릴 수 있다. 그리고, 제4 후크부(426)는 제4 결합홈(416a)에 걸리고, 제5 후크부(427)는 제5 결합홈(417a)에 걸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 바디(42)는 커버 베이스(4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홈(413a, 414a, 415a, 416a, 417a)에 후크부(423, 424, 425, 426, 427)가 결합되면, 사용자는 커버 바디(42)를 더 이상 구부리지 않고, 그 결과 커버 바디(42)는 편평하게 펴질 수 있다.
도 20 및 21을 참조하면, 커버 바디(42)는 마그넷부(422)의 자력에 의해 커버 베이스(4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버 베이스(41)는 철과 같은 자성체(Magnetic substance)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마그넷부(422)는 커버 베이스(41)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체결부재(F1, F2)는 커버 베이스(41)를 관통해 서포터(30a, 30b)에 결합되고, 자성체 재질을 포함하며, 마그넷(428)과 마주할 수 있다. 이 경우, 마그넷부(422)는 체결부재(F1, F2)에 결합될 수 있다. 체결부재(F1, F2)의 헤드는 편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파트(4221)와 제2 파트(4222)에 의해 체결부재(F1, F2)와 마그넷(428) 사이에 틈(gt)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마그넷(428)은 체결부재(F1, F2)에 직접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이로써, 자기적 인력에 의한 마그넷(428)과 체결부재(F1, F2)의 충돌로 인한 마그넷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 베이스(41)는 알루미늄이나 플라스틱과 같이 가벼운 재질로 형성될 수 있어, 커버 어셈블리(40)의 무게를 줄이는 데 유리할 수 있다.
한편, 커버(43)는 커버 바디(42)의 전방에서 커버 바디(4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커버(43)의 전면의 크기는 커버 바디(42)의 전면의 크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커버(43)는 패브릭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43)는 다양한 색상을 지닐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버(43)는 커버(43)의 말단(431)이 커버 바디(42)의 내측에 걸림으로써 커버 바디(42)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커버(43)는 커버 바디(42)에 접착되거나 융착될 수 있다.
도 19 및 22를 참조하면, 커버 바디(42)의 좌우 폭은 커버 베이스(41)의 좌우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되, 커버 바디(42)의 상하 높이는 커버 베이스(41)의 상하 높이보다 클 수 있다.
이 경우, 커버 바디(42)의 하변(42D)은 커버 베이스(41)의 하변(41D)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커버 바디(42)의 하변(42D)과 커버 베이스(41)의 하변(41D) 사이의 간격(gm)은 커버 베이스(41)의 하변(41D)과 제2 아우터 프레임(21b) 사이의 간격(gm, 도 12 참조)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간격(gm)은 40~50 mm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 바디(42)는 커버 베이스(41)와 제2 아우터 프레임(21b) 사이의 틈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커버 어셈블리(40)는 제2 아우터 프레임(21b)으로부터 위로 상승하거나, 제2 아우터 프레임(21b)을 향해 아래로 하강할 수 있다. 커버 어셈블리(40)의 하강 동작 중에, 커버 어셈블리(40)와 제2 아우터 프레임(21b) 사이에 사용자의 발 또는 외부 물체가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 바디(42)는 사용자의 발 또는 외부 물체와 접촉하여, 위로 들어올려지며 커버 베이스(4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즉, 커버 바디(42)의 후크부(423, 424, 425, 426, 427)가 결합홈(413a, 414a, 415a, 416a, 417a)으로부터 이탈되고, 마그넷부(422)가 커버 베이스(4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마그넷부들(422)의 위치가 커버 바디(42)의 하부보다 상부에 가깝게 배치되어, 위 상황에서 마그넷부(422)가 커버 베이스(41)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커버 바디(42)는 사용자의 발 또는 외부 물체에 의해 커버 베이스(41)로부터 분리되고, 사용자의 발 또는 외부 물체는 커버 베이스(41)와 제2 아우터 프레임(21b) 사이의 틈에 안전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 바디(42)에 의한 사용자의 발 또는 외부 물체의 상해 또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제3 아우터 프레임(21c)은 제1 서포터(30a)의 측면과 후방을 커버하고, 커버 어셈블리(40: 41, 42, 43)는 제1 서포터(30a)의 전방을 커버할 수 있다. 제1 갭(ga)은 제3 아우터 프레임(21c)과 제1 가이드 프레임(24a)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서포터(30a)의 제2 파트(32)는 제1 갭(ga)에 배치되고, 제1 서포터(30a)와 커버 어셈블리(40)는 제3 아우터 프레임(21c)과 제1 가이드 프레임(24a)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서포터(30a)는 제1 가이드 프레임(24a)의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갭(gb)은 제1 서포터(30a)의 제1 파트(31)와 제3 파트(33) 사이에 형성되고, 제1 가이드 프레임(24a)의 일부는 제2 갭(gb)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제3 아우터 프레임(21c)과 제1 가이드 프레임(24a)에 대한 제1 서포터(30a)의 설명은 제4 아우터 프레임(21d)과 제2 가이드 프레임(24b)에 대한 제2 서포터(30b)의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도 6 참조).
도 23 및 24를 참조하면, 제1 리프트 어셈블리(60a)는 제1 가이드 프레임(24a)의 후방에 위치하고, 로어 프레임(22)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리프트 어셈블리(60a)는 제1 서포터(30a)에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리프트 어셈블리(60a)는 모터(61), 모터 마운트(62), 토크 리미터(63), 웜(64), 웜휠(65, worm wheel), 리드 스크류(51), 커넥터(52), 그리고 캡(53)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61)는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모터(61)는 모터 마운트(62)를 통해 로어 프레임(22) 상에 설치될 수 있다. 토크 리미터(63)는 모터(61)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모터의 토크를 제한할 수 있다.
웜(64)은 모터(61)의 회전축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웜(64)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좌우방향에 나란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웜휠(65)은 웜(64)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맞물릴 수 있다. 웜휠(65)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하방향에 나란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리드 스크류(51)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리드 스크류(51)의 하단은 웜휠(65)에 고정될 수 있다. 수나사산은 리드 스크류(51)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52)는 전체적으로 블록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 홀(미부호)은 커넥터(52)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리드 스크류(51)는 상기 커넥터 홀을 관통할 수 있다. 암나사산은 커넥터(52)의 상기 커넥터 홀의 경계를 형성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수나사산에 맞물릴 수 있다. 커넥터(52)의 일측은 제1 서포터(30a)의 제3 파트(33)에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캡(53)은 커넥터(52)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캡(53)은 전체적으로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리드 스크류(51)는 상기 커넥터 홀과 캡(53)을 관통할 수 있다.
레일(242)은 제1 가이드 프레임(24a)의 후면에서 제1 서포터(30a)의 제3 파트(33)를 향해 돌출되되, 제3 파트(33)와 이격될 수 있다. 레일(242)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레일(242)은 전체적으로 H 형강(H beam) 또는 I 형강(I beam)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레일(242)은 후술하는 슬라이더(34)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슬라이더(34)는 제1 서포터(30a)의 제3 파트(33)의 전면에 구비되고, 슬라이더(34)는 레일(242)의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즉, 슬라이더(34)는 레일(242)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슬라이더(34)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적어도 2 개의 슬라이더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터(61)가 구동되면, 제1 서포터(30a)는 리드 스크류(51)를 따라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한편, 제2 리프트 어셈블리(60b)는 제2 가이드 프레임(24b)의 후방에 위치하고, 로어 프레임(22) 상에 설치될 수 있다(도 6 참조). 제2 리프트 어셈블리(60b)는 제2 서포터(30b)에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리프트 어셈블리(60b)와 제1 리프트 어셈블리(60a)는 기준선(VV', 도 6 참조)에 대해 좌우로 대칭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리프트 어셈블리(60a)와 제2 어셈블리(60b)의 동작에 대응하여, 제1 서포터(30a)와 제2 서포터(30b)에 고정된 커버 어셈블리(40)가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스토퍼(54)는 제1 가이드 프레임(24a)의 후방에서 제1 가이드 프레임(24a)에 고정될 수 있다. 리드 스크류(51)의 상단은 스토퍼(54)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캡(53)은 스토퍼(54)의 하측과 마주하며, 스토퍼(54)의 하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스토퍼(54)는 홀더라 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캡(53)이 스토퍼(54)에 결합되면, 스토퍼(54)는 리드 스크류(51)의 회전에 대응한 커넥터(52)의 상승(Mv)을 제한할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커버(43)는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전방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26의 왼쪽 그림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1 상태에서, 커버(43)는 디스플레이 패널(11)을 커버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영역의 높이(h1)는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전체 높이일 수 있다.
도 26의 오른쪽 그림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2 상태에서, 커버(43)는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영역의 높이(h2)는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전체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커버(43)는 위로 올라가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1)을 점차 커버하거나, 아래로 내려가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1)을 점차 노출시킬 수 있다.
도 27 내지 29를 참조하면, 고정핀(P1, P2)은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커버(40: 41, 42, 43)의 전방에서 커버 어셈블리(40)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기 제1 상태에서, 고정핀(P1, P2)은 커버 어셈블리(40)를 관통해 제1 가이드 프레임(24a)의 하측 홀(240a, 240b, 도 30 참조)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핀(P1, P2)은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한쌍의 고정핀일 수 있다. 이 경우, 커버 어셈블리(40)는 고정핀(P1, P2)에 의해 제1 가이드 프레임(24a)에 고정되고, 커버 어셈블리(40)에 고정된 서포터(30: 31, 32, 33)의 위치도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제1 가이드 프레임(24a)에 대한 고정핀(P1, P2)의 설명은 제2 가이드 프레임(24b)에 대한 고정핀의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도 6 참조).
이에 따라, 사용자는 고정핀(P1, P2)을 커버 어셈블리(40)와 가이드 프레임(24a, 24b)에 삽입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태를 상기 제1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30 및 3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기 제2 상태에서, 고정핀(P1, P2)은 커버 어셈블리(40)를 관통해 제1 가이드 프레임(24a)의 상측 홀(미부호)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측 홀은 하측 홀(240a, 240b)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상측 홀과 하측 홀(240a, 240b) 사이의 거리는 h1-h2일 수 있다(도 26 참조). 이 경우, 커버 어셈블리(40)는 고정핀(P1, P2)에 의해 제1 가이드 프레임(24a)에 고정되고, 커버 어셈블리(40)에 고정된 서포터(30: 31, 32, 33)의 위치도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제1 가이드 프레임(24a)에 대한 고정핀(P1, P2)의 설명은 제2 가이드 프레임(24b)에 대한 고정핀의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도 6 참조).
이에 따라, 사용자는 고정핀(P1, P2)을 커버 어셈블리(40)와 가이드 프레임(24a, 24b)에 삽입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태를 상기 제2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결합되는 프레임;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에 위치하는 커버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어셈블리는: 상기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 베이스; 그리고, 상기 커버 베이스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커버 베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바디의 하변은, 상기 커버 베이스의 하변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커버 베이스는: 상기 커버 베이스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커버 베이스의 좌변과 우변 사이에 배치되는 결합부; 그리고, 상기 결합부에서 하측으로 함몰되면서 형성되는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바디는: 상기 커버 바디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결합홈에 걸리는 후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결합부의 크기는 상기 결합홈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결합부는: 상기 커버 베이스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수직선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결합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홈은: 각각이, 상기 복수개의 결합부들 각각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결합홈들을 포함하고, 상기 후크부는: 각각이, 상기 복수개의 결합홈들 각각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후크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커버 바디는 탄성을 지닐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커버 바디는: 마그넷을 구비하고, 자기력에 의해 상기 커버 베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마그넷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마그넷부는: 상기 커버 바디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마그넷이 삽입되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마그넷은, 상기 커버 바디의 상기 홀의 경계를 형성하는 부분에서 상기 홀을 향해 돌출되는 파트들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파트들은: 제1 파트; 상기 제1 파트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는 제2 파트; 그리고, 상기 제1 파트 및 상기 제2 파트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는 제3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파트 및 상기 제2 파트는, 상기 마그넷의 후면의 일부를 지지하고, 상기 제3 파트는, 상기 마그넷의 전면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마그넷부는: 상기 홀에 삽입되고, 상기 마그넷에 이웃하며, 상기 커버 바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마그넷에 대하여 상기 제3 파트와 대향하고, 상기 마그넷의 전면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커버 베이스에 대하여 상기 마그넷부와 대향하는 서포터; 그리고, 상기 커버 베이스를 관통해 상기 서포터에 결합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마그넷과 마주하고, 자성체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마그넷을 향하는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마그넷과 상기 헤드 사이에 틈이 형성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마그넷부는: 상기 커버 바디의 좌변에 인접하는 좌측 마그넷부; 그리고, 상기 커버 바디의 우변에 인접하는 우측 마그넷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하측 홀; 그리고,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하측 홀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측 홀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바디와 상기 커버 베이스를 관통해 상기 하측 홀 또는 상기 상측 홀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고정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커버 어셈블리는: 상기 커버 바디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커버 바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패브릭 재질을 포함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의 전면의 크기는, 상기 커버 바디의 전면의 크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커버 어셈블리에 동력을 제공하는 리프트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어셈블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의 적어도 일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Certain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from each other. Any or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in configuration or function).
예를 들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For example, a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and a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Namely, although the combination between the configurations is not directly described, the combination is possible except in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that the combination is impossible).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lthough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number of illustrative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umerous other modifications and embodiments can be devi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inciples of this disclosure. More particularly, various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of the subject combination arrangement within the scope of the disclosure, the drawings and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o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alternative uses will also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laims (15)

  1.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 베이스;로서,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을 점차 가리거나, 상기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전면을 점차 드러내는 커버 베이스; 그리고,
    상기 커버 베이스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커버 베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베이스와 상기 커버 바디 각각의 상기 제2 방향 쪽 엣지는,
    상기 커버 베이스 및 상기 커버 바디와 함께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커버 바디의 상기 엣지는,
    상기 커버 베이스의 상기 엣지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커버 바디는,
    상기 커버 베이스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베이스의 상기 엣지는, 상기 커버 베이스의 하변에 형성되고,
    상기 커버 바디의 상기 엣지는, 상기 커버 바디의 하변에 형성되며,
    상기 커버 바디의 상기 하변은,
    상기 커버 베이스의 상기 하변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상기 커버 베이스는:
    상기 커버 베이스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커버 베이스의 좌변과 우변 사이에 배치되는 결합부; 그리고,
    상기 결합부에서 하측으로 함몰되면서 형성되는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바디는:
    상기 커버 바디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결합홈에 걸리는 후크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크기는 상기 결합홈의 크기보다 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커버 베이스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수직선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결합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홈은:
    각각이, 상기 복수개의 결합부들 각각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결합홈들을 포함하고,
    상기 후크부는:
    각각이, 상기 복수개의 결합홈들 각각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후크부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바디는 탄성을 지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바디는:
    마그넷을 구비하고, 자기력에 의해 상기 커버 베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마그넷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부는:
    상기 커버 바디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마그넷이 삽입되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마그넷은,
    상기 커버 바디의 상기 홀의 경계를 형성하는 부분에서 상기 홀을 향해 돌출되는 파트들에 의해 지지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파트들은:
    제1 파트;
    상기 제1 파트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는 제2 파트; 그리고,
    상기 제1 파트 및 상기 제2 파트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는 제3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파트 및 상기 제2 파트는,
    상기 마그넷의 후면의 일부를 지지하고,
    상기 제3 파트는,
    상기 마그넷의 전면의 일부를 지지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부는:
    상기 홀에 삽입되고, 상기 마그넷에 이웃하며, 상기 커버 바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마그넷에 대하여 상기 제3 파트와 대향하고, 상기 마그넷의 전면의 일부를 지지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베이스에 대하여 상기 마그넷부와 대향하는 서포터; 그리고,
    상기 커버 베이스를 관통해 상기 서포터에 결합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마그넷과 마주하고, 자성체 재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마그넷을 향하는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마그넷과 상기 헤드 사이에 틈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부는:
    상기 커버 바디의 좌변에 인접하는 좌측 마그넷부; 그리고,
    상기 커버 바디의 우변에 인접하는 우측 마그넷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하측 홀; 그리고,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하측 홀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측 홀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바디와 상기 커버 베이스를 관통해 상기 하측 홀 또는 상기 상측 홀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고정핀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바디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커버 바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패브릭 재질을 포함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의 전면의 크기는,
    상기 커버 바디의 전면의 크기와 동일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베이스에 동력을 제공하는 리프트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베이스와 상기 커버 바디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의 적어도 일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210063388A 2021-05-17 2021-05-17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509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388A KR102509993B1 (ko) 2021-05-17 2021-05-17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388A KR102509993B1 (ko) 2021-05-17 2021-05-17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5755A KR20220155755A (ko) 2022-11-24
KR102509993B1 true KR102509993B1 (ko) 2023-03-14

Family

ID=84235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3388A KR102509993B1 (ko) 2021-05-17 2021-05-17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9993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5434B1 (ko) * 2009-08-21 2011-12-16 주식회사 이즈컨텍 조작패널 보호커버
KR102183007B1 (ko) * 2016-12-23 2020-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048485A (ko) * 2017-10-31 2019-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00114329A (ko) * 2019-03-28 2020-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10017565A (ko) * 2019-08-08 2021-0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5755A (ko) 2022-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0240B2 (en) Display device
US10390443B2 (en) Display device
US10512178B2 (en) Display Device
US11294215B2 (en) Display device with simplified appearance structure and improved coupling arrangement
US20130010413A1 (en) Flat panel type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0095264B2 (en) Sound system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it
US20170359909A1 (en) Display device
US11747664B2 (en) Display device
KR102509993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EP3559733B1 (en) Display apparatus
US11602071B2 (en) Display device
US20240155789A1 (en) Display device
US20240164037A1 (en) Display device
US20230320002A1 (en) Display device
KR102666701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20230422415A1 (en) Display device
US20230389206A1 (en) Display device
KR20240028794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40026679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30014457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1777127B1 (ko) 평판 표시장치 및 그 조립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