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5434B1 - 조작패널 보호커버 - Google Patents

조작패널 보호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5434B1
KR101095434B1 KR1020090077430A KR20090077430A KR101095434B1 KR 101095434 B1 KR101095434 B1 KR 101095434B1 KR 1020090077430 A KR1020090077430 A KR 1020090077430A KR 20090077430 A KR20090077430 A KR 20090077430A KR 101095434 B1 KR101095434 B1 KR 101095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operation panel
frame
protective cover
touch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7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9845A (ko
Inventor
이순만
이승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즈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즈컨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즈컨텍
Priority to KR1020090077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5434B1/ko
Publication of KR20110019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9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5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5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작패널 보호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반도체 등의 가공 장비에 설치된 터치스크린 또는 콘트롤 패널 등의 조작패널 면을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도록 하는 커버를 설치하여 상기 커버가 폐쇄시 콘트롤 패널 혹은 터치스크린과의 접촉을 제한함으로써 의도하지 않은 터치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하는 조작패널 보호커버를 제공하며, 이를 위해 슬라이드(미닫이) 방식, 링크 방식 또는 여닫이 방식으로 터치스크린 표면을 개방 혹은 폐쇄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패널 보호커버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조작패널 보호커버{CONTROL PANEL COVER}
본 발명은 조작패널 보호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반도체 등의 각종 장비에 장착된 터치스크린을 임의로 조작할 수 없도록 물리적으로 커버하여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패널 보호커버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각종 제어 장비를 컴퓨터에 의해서 자동으로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 범용화되어 있고, 이러한 장비는 대부분 현재의 컴퓨터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모니터가 수반된다.
좀 더 진보적인 형태로서 최근에는 상기 모니터가 단순히 컴퓨터의 동작 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일방 수단으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모니터의 스크린에 표시되는 버튼을 사용자가 직접 터치하여 컴퓨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게 하고 있다.
즉, 터치스크린은 컴퓨터로 제어되는 각종 장비의 모니터를 사용자가 직접 접촉함으로써 컴퓨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터치스크린은 사람이 컴퓨터와 상호 대화하는 가장 단순하고 직접적인 방식이라 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은 누구나 어떠한 훈련을 받지 않더라도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 고, 사용자가 명확히 한정된 메뉴에서 선정하므로 사용자의 오류를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최근 반도체 등의 각종 컴퓨터 장비를 비롯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까지 그 사용처가 점차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장점에 반해 터치스크린은 스크린 표면에 작은 접촉이 있는 경우 곧바로 제어되기 때문에 예컨대 반도체 가공 장비에 터치스크린이 채용된 경우, 가공 중 의도하지 않은 스크린 터치로 인해 오류가 발생 수 있다.
즉, 터치스크린은 가공 수치를 설정하거나 어떠한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세팅한 후, 가공 도중에 사용자 혹은 제3자가 의도하지 않은 방법으로 터치스크린에 접촉을 시도하면 본래 설정된 수치 계산이나 프로그램에 오류가 발생하여 가공 오차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이러한 문제점은 터치스크린 형태에서만 나타나는 것은 아니며 각종 장비의 콘트롤 패널의 버튼이나 스위치 역시 의도하지 않은 터치로 인해 오작동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반도체 등의 각종 장비에 설치된 터치스크린 혹은 콘트롤 패널 등의 조작패널 부분을 물리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커버를 설치하여 상기 커버가 폐쇄 시 조작패널과의 접촉을 제한함으로써 의도하지 않은 터치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패널 보호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은, 조작패널의 외부에 슬라이드(미닫이) 방식, 링크 방식 또는 여닫이 방식으로 그 표면을 개방 혹은 폐쇄할 수 있도록 하는 커버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상기 보호커버가 조작패널을 폐쇄하였을 경우, 물리적으로 커버가 개방되지 않도록 하는 잠금수단을 구비하여 특정 사용자만 개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작패널 보호커버에 의하면, 조작패널 표면을 개방 혹은 폐쇄할 수 있도록 하는 커버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커버의 개방 상태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세팅한 후 커버를 폐쇄시키면 커버가 조작패널의 접촉을 제한하므로 의도하지 않은 접촉에 의한 오작동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커버 폐쇄 후, 커버가 개방하지 않도록 물리적인 잠금수단으로 잠그 면 특정 사용자, 즉 잠금수단을 해제할 수 있는 사용자 외에는 커버를 개방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가 조작패널을 주시하거나 주의를 기울이지 않더라도 조작패널의 사용이 원천적으로 차단되어 안전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작패널 보호커버는 조작패널의 표면 외부에 슬라이드(미닫이) 방식, 링크 방식 또는 여닫이 방식 등 다양한 기구적 수단으로 조작패널 표면을 개방 혹은 폐쇄할 수 있도록 위치 이동 가능한 커버를 설치하고, 상기 커버가 조작패널을 폐쇄하였을 경우, 물리적으로 커버가 개방되지 않도록 하는 잠금수단을 구비하여 특정 사용자만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상세하게 설명하며, 다만 예시된 도면의 구조는 본 발명의 조작패널 보호커버 구조를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해 선택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도면의 구조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작패널 보호커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작패널 보호커버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작패널 보호커버의 개방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작패널 보호커버의 폐쇄 상태를 보인 정면도로서, 보호커버가 터치스크린의 표면에서 슬라이드 작동하는 구조를 보인 것이다.
물론, 도면의 터치스크린은 일반적인 스위치 혹은 버튼이 장착된 콘트롤 패널일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 혹은 콘트롤 패널 모두에 보호커버의 적용이 가능함을 이해해야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방식은, 대략 사각 틀 형태로 된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커버(120)로 대별되며, 상기 커버(120)에는 잠금수단(13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0)은 도 3과 같이 제어부(10)에 설치되어 장비를 제어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20)의 외주변에 고정되도록 한 것으로, 4각 틀을 이루는 프레임 중 서로 마주보는 프레임이 상호 대칭한 형태로 된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111)의 각 내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슬릿(114)이 형성되어 상기 커버(120)가 슬릿(114)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각 가이드프레임(111)의 양측 단부 중 일측 단부에는 고정측 프레임(112)이 연결 설치되고, 타측 단부에는 개방측 프레임(113)이 연결 설치된다. 상기 고정측 프레임(112)은 커버(120)가 슬라이드 이동할 수 없도록 상기 슬릿(114)을 폐쇄한 것이고, 개방측 프레임(113)은 상기 커버(120)가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슬릿(114)이 연속하여 형성됨과 동시에 각 가이드프레임(111)을 상호 연결하여 지지하도록 폭을 얇게 형성한 것이다.
상기 커버(120)는 판재 형태로 되고, 양측 단부가 상기 슬릿(114)에 끼워져서 슬릿(114)을 타고 개방측 프레임(113)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즉,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커버(120)가 개방측 프레임(113)의 외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된 경우 프레임(110)의 내부가 개방되어 터치스크린(20)에 접촉을 할 수 있게 되고, 반대로 도 4와 같이 커버(120)가 고정측 프레임(112)과 접할 때까지 슬라이드 이동된 경우 커버(120)가 프레임(110) 내부의 개방면을 폐쇄하게 되어 누구든지 터치스크린(20)에 접촉을 할 수 없도록 제한한다.
상기 커버(120)가 개방측 프레임(113) 방향으로 이동할 때 슬라이드 이동 거리를 제한함으로써 커버(120)가 프레임(110)에서 이탈하지 않게 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프레임(111)의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장방홀(115)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120)에는 상기 장방홀(115)에 삽입되어 이동 가능하게 된 핀(121)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하면, 도 3과 같이 커버(120)가 개방되었을 때, 핀(121)이 장방홀(115)의 하단 폐쇄부와 접촉하여 커버(120)가 더 이상 슬라이드 이동하지 않게 되어 프레임(110)에서 이탈하지 않게 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방홀(115) 및 핀(121)은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111) 각각에 설치될 수도 있고, 그 중 어느 일측에만 형성되어도 동일한 기능이 발휘되므로 본 발명은 장방홀(115) 및 핀(121)이 어느 일측 가이드프레임(111)에만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반대로, 도 4와 같이 상기 커버(120)가 고정측 프레임(112)에 접촉되어 터치스크린(20)을 폐쇄하였을 경우, 상기 커버(120)가 개방되지 않도록 고정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프레임(111)와 커버(120)에 각각 자석(117)(123)을 설치하고, 상기 각 자석(117)(123)은 도 4의 상태에서 서로 동을한 위치에 설치된다.
여기서 커버가 폐쇄 상태일 때 동일한 위치에 자석이 설치되는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자석의 설치 위치는 제한이 없으므로, 상기 자석(117)은 가이드프 레임(111)에만 설치되는 것을 제한되지 않고, 프레임(110)의 어느 부분에도 설치 가능하다.
더 나아가 도 4와 같이 상기 커버(120)가 터치스크린(20)을 폐쇄한 위치에 있을 때 사용자 외에 제3자가 터치스크린을 개방하여 조작할 수 없도록 터치스크린의 접촉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커버(120)에 잠금수단(130)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잠금수단(130)은, 커버(120)를 관통하여 고정된 열쇠 축(131)과, 상기 열쇠 축(131)의 외측 부분에 설치된 핸들(132) 및 상기 핸들(132)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고 상기 열쇠 축(131)의 내측 부분에 설치된 록커(13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개방측 프레임(113)에는 상기 록커(113)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인 홈(116)이 형성된다.
상기 열쇠 축(131)은 열쇠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잠그는 경우 핸들(132)이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고, 반대로 푸는 경우에는 핸들(132)을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도 4의 확대도와 같이, 커버(120)가 터치스크린(20)을 폐쇄했을 경우, 잠금수단(130)은 홈(116) 위치에 있게 되고, 이때 핸들(132)을 잠금 위치로 돌리면 록커(133)가 연동하여 개방측프레임(113)과 접촉된다. 이후 열쇠 등을 이용하여 열쇠 축(131)의 회전을 잠금 상태로 하면, 핸들(132)의 임의 조작이 불가능하므로 열쇠를 소지한 사용자만 커버(120)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한 형태로서, 상기 커버(120)는 투명한 소재로 제조하여 터치스크린 폐쇄시에도 터리스크린으로 표시되는 사항을 관측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커버(120)의 슬라이드 이동이 편의를 위해 손잡이(122)가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커버가 투명한 소재로 되거나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은 이후에서 설명되는 다른 실시예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작패널 보호커버의 개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작패널 보호커버의 개방 동작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작패널 보호커버의 폐쇄 상태를 보인 사시도로서, 커버가 링크 방식으로 개폐되는 예를 보인 것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20)이 장착된 제어부(10)에는 한 쌍의 고정바(221)가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되어 있고, 고정바(221)의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에는 각각 링크(220)의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따라서 상기 링크(220)는 한 쌍의 고정바(221)의 각 단부에 연결되므로 총 4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물론 본 발명은 그 수량에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각 링크(220)의 타측 단부는 커버(200)의 측면 부분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때 커버(220)에 이동바(222)를 고정하여 이동바(222)에 링크(220)를 연결할 수도 있고, 아니면 커버(200) 측면에 직접 링크(220)를 연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도 7과 같이 커버(200)가 링크(220)에 의해서 제어부(10)와 평행 상태를 유지하는 형태로 터치스크린(20)을 폐쇄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로서, 상기 커버(200)는 불투명한 소재로 될 수 있고, 이때 커버(200)가 터치스크린(20)을 폐쇄하였을 때에도 터치스크린(20)의 표시 사항을 확 인할 수 있도록 커버(200)에 투시창(210)을 마련한다.
또한, 상기 커버(200)가 터치스크린(20)의 폐쇄 위치 시 커버(200)가 임의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200)에 잠금수단(230)을 설치하는 한편, 제어부(10)에는 상기 잠금수단(230)을 결속하기 위한 걸림턱(231)을 설치한다(도 5 참조).
상기 잠금수단(230)은 앞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잠금수단과 동일한 구조로 하여, 커버(200)를 관통한 열쇠 축과, 상기 열쇠 축의 외부에 설치된 핸들 및 상기 핸들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고 상기 열쇠 축의 내부에 설치된 록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도 7과 같이 커버(200)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잠금수단(230)의 핸들을 회전시키면 록커가 걸림턱(231)에 결속되며, 이후 열쇠 등으로 잠그면 핸들의 회전이 저지되어 커버(200)를 개방하 수 없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작패널 보호커버의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조작패널 보호커버의 정면도로서, 커버를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를 보인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제 3실시예에 의한 구조는, 사각 틀 형태로 되어 내부가 개방된 고정프레임(310)과, 상기 고정프레임(310)의 개방면과 대응하는 크기로 되어 개방면을 폐쇄할 수 있도록 한 커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프레임(310)은 터치스크린(20)의 외주변에 고정되고, 커버(300)의 일측 단부는 고정프레임(310)에 힌지(311)를 통해 결합되며, 커버(300)의 타측 단부에는 잠금수단(320)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하면 커버(300)는 힌지(311)를 축으로 하여 여닫이 형태로 터치스크린(20)을 개폐할 수 있게 되며, 폐쇄 위치에서 상기 잠금수단(320)으로 잠궈서 커버(300)의 임의 개방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제 4실시예에 의한 구조는, 사각 틀 형태로 되어 내부가 개방된 고정프레임(410)과, 상기 고정프레임(410)의 개방면과 대응하는 크기로 되되, 2개 부분으로 분리된 한 쌍의 커버(400)(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각 커버(400)(400')가 동시에 고정프레임(410)의 개방면을 폐쇄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410)은 터치스크린(20)의 외주변에 고정되고, 한 쌍의 커버 중 일측 커버(400)는 그 단부가 힌지(411)로 고정프레임(410)의 어느 하나의 프레임에 고정되며, 타측 커버(400') 역시 그 단부가 힌지(411')로 고정프레임(410)에 고정되며, 상기 커버(400)(400') 중 어느 하나 또는 각각의 커버에는 잠금수단(420)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하면, 각각의 커버(400)(400')는 힌지(411)(411')를 축으로 하여 여닫이 형태로 터치스크린(20)을 개폐할 수 있게 되며, 폐쇄 위치에서 상기 잠금수단(420)으로 잠그면 각 커버(400)(400')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제3 및 제4실시예의 커버에는 각각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고, 또한 각각의 커버는 투명한 소재로 제조하여 터치스크린(20)에서 표시되는 사항을 관측할 수 있게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선택 예시된 몇가지 구조에 한정 하여 설명한 것이다. 예컨대 도면에서는 터치스크린을 개폐할 수 있는 보호커버를 보였지만, 상기 보호커버는 일반적인 버튼이나 스위치가 설치된 콘트롤 패널에도 설치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커버는 모든 종류의 조작패널에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설명에 기하여 다양한 변형과 수정을 가할 수 있을 것이며, 그러한 변형 또는 수정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와 동일 내지 균등한 범주에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작패널 보호커버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작패널 보호커버의 조립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작패널 보호커버의 개방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작패널 보호커버의 폐쇄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작패널 보호커버의 개방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작패널 보호커버의 개방 동작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작패널 보호커버의 폐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작패널 보호커버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조작패널 보호커버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장치 제어부 20... 터치스크린
110... 프레임 114... 슬릿
115... 장방홀 117... 자석
120... 커버 121... 핀
123... 자석 130... 잠금수단
200... 커버 210... 투시창
220... 링크 221... 고정바
230... 잠금수단 231... 걸림턱
300... 커버 310... 고정프레임
311... 힌지 320... 잠금수단
400, 400'... 커버 410... 고정프레임
411, 411'... 힌지 420... 잠금수단

Claims (14)

  1. 제어부에 마련된 조작패널과,
    상기 조작패널의 표면을 개방 혹은 폐쇄할 수 있도록 조작패널 외부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위치이동 가능한 커버가 구비되되, 상기 커버가 조작패널의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조작패널의 접촉을 제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방식은, 조작패널 외주변에 고정되도록 사각 틀 형태로 되되, 서로 마주보는 가이드프레임(111) 내면에 커버를 안내하는 슬릿(114)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111)의 일측 및 타측의 각 단부를 연결하는 고정측 프레임(112) 및 개방측 프레임(113)으로 이루어진 프레임(110)과, 상기 각 슬릿(114)에 양단이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는 커버(1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120)의 슬라이드 이동 거리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프레임(111)의 길이방향으로 장방홀(115)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120)에는 상기 장방홀(115)에 삽입되어 이동 가능한 핀(1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패널 보호커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패널 보호커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 손잡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패널 보호커버.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20)가 조작패널의 폐쇄 위치 시 커버가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커버(120)와 프레임(110)의 상호 대응 위치에 자석(123)(117)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패널 보호커버.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20)가 조작패널의 폐쇄 위치 시 커버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잠금수단(13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패널 보호커버.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130)은,
    커버(120)를 관통한 열쇠 축(131)과, 상기 열쇠 축(131)의 외부에 설치된 핸들(132) 및 상기 핸들(132)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고 상기 열쇠 축(131)의 내부에 설치된 록커(133)를 포함하고,
    상기 개방측 프레임(113)에는 커버의 폐쇄 위치시 상기 록커(133)가 개방측 프레임(113)에 걸리도록 홈(11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패널 보호커버.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090077430A 2009-08-21 2009-08-21 조작패널 보호커버 KR101095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430A KR101095434B1 (ko) 2009-08-21 2009-08-21 조작패널 보호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430A KR101095434B1 (ko) 2009-08-21 2009-08-21 조작패널 보호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9845A KR20110019845A (ko) 2011-03-02
KR101095434B1 true KR101095434B1 (ko) 2011-12-16

Family

ID=43929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7430A KR101095434B1 (ko) 2009-08-21 2009-08-21 조작패널 보호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54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5444A1 (ko) * 2021-11-09 2023-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9993B1 (ko) * 2021-05-17 2023-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09678A1 (en) 2007-07-06 2009-01-08 Hong Fu Jin Precision Industry (Shenzhen)Co., Ltd. Flat display device with protective cov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09678A1 (en) 2007-07-06 2009-01-08 Hong Fu Jin Precision Industry (Shenzhen)Co., Ltd. Flat display device with protective cov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5444A1 (ko) * 2021-11-09 2023-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9845A (ko) 2011-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87790B2 (ja) 電源スイッチの誤操作防止装置
KR100679176B1 (ko) 원터치형 도어록
CN101622417B (zh) 包括锁定装置的竖铰链式窗
JP2012041814A (ja) 鍵箱
JP2012041813A (ja) 金庫
KR101012498B1 (ko) 레버의 방향전환이 가능한 슬라이딩 도어 잠금장치용 손잡이
JP5111355B2 (ja) 開閉式小型電子機器
KR101095434B1 (ko) 조작패널 보호커버
US20140265781A1 (en) Panel with magnetic hinge
WO2013063875A1 (zh) 一种模数化终端电器的手柄锁定装置
TWI524835B (zh) 自動栓鎖裝置及其電子裝置
JP2007071283A (ja) スライド装置並びにスライド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KR20140100735A (ko) 디지털 패드락
KR100747455B1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 단말기
KR101086721B1 (ko) 모바일 기기
KR20090009546A (ko) 디지털 도어락
KR101440528B1 (ko) 다중 래치 멀티 록 장치
JPH11167855A (ja) 回路遮断器の外部操作ハンドル装置
JP2016164346A (ja) サッシ
KR101458924B1 (ko) 도어용 잠금장치
JP5962415B2 (ja) メディアスロットの開閉扉
WO2005031096A1 (ja) 乳幼児用フェンス
KR101107122B1 (ko) 모바일 기기
KR100877303B1 (ko) 스윙형단말기의 슬라이드 스윙 장치
KR101185826B1 (ko) 슬라이드 장치 및 이를 갖춘 전자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