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8941A - 조립식 가구 - Google Patents

조립식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8941A
KR20230158941A KR1020220058688A KR20220058688A KR20230158941A KR 20230158941 A KR20230158941 A KR 20230158941A KR 1020220058688 A KR1020220058688 A KR 1020220058688A KR 20220058688 A KR20220058688 A KR 20220058688A KR 20230158941 A KR20230158941 A KR 20230158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bracket
connector
bolt fastening
rafi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8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연
Original Assignee
정태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태연 filed Critical 정태연
Priority to KR1020220058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8941A/ko
Priority to PCT/KR2023/001330 priority patent/WO2023219226A1/ko
Publication of KR20230158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894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91Modular arrangements of similar assemblies of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25Horizontal connecting members adapted to receive and retain the edges of several panel elements
    • A47B47/005Combination of corners and ba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4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made mainly of wood or plastic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 A47B87/0207Stackable racks, trays or shelf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03Adjustable furniture jointing
    • A47B2230/0018Screws or bolts sliding in sectional gro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urniture Connections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의 조립식 가구는, 물건을 놓일 수 있도록 하면서, 네 모서리 일부가 절단된 8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유리 단위 선반과, 나무 재질로 이루어진 목재 단위 선반과, 상기 유리 단위 선반 및 목재 단위 선반의 측면에 결합되고,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봉 볼트 체결홀이 형성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내부로 일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커넥터 로드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드측 볼트 체결홀이 형성되는 봉 커넥터와, 상기 유리 단위 선반의 네 모서리를 고정시키고, 상기 지지봉과 결합되는 커넥터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브라켓은 상측을 형성하는 제 1 브라켓과, 하측을 형성하면서 상기 제 1 브라켓의 2개의 측면과 연결되는 제 2 브라켓과, 상기 제 1 브라켓과 제 2 브라켓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유리 단위 선반의 모서리를 지지하기 위한 유리 에지 밀착바를 포함하고, 상기 봉 커넥터는 구 형상의 커넥터 바디와, 상기 커넥터 바디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드측 볼트 체결홀이 형성된 커넥터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로드측 볼트 체결홀은 상기 커넥터 로드의 단부로부터 제 1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 제 1 로드측 볼트 체결홀과, 제 2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 제 2 로드측 볼트 체결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가구{Assembly furniture}
본 발명은 조립식 가구에 대한 것으로서, 조립식 가구이나 도어장, 서랍장 등의 가구에 유리가 사용되는 경우에 유리를 견고히 지지하면서도 나무 선반을 조립하는 때에도 용이하게 조립과 해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가구에 대한 것이다.
조립식 가구들은 다양한 형상이나 구조들도 출시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 조립식 가구의 경우를 예로 들면, 조립식 가구은 책 등의 물품을 일부 면이 폐쇄된 받침판에 꽂아 보관하거나, 받침판의 상부면에 안착시켜 진열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조립식 가구은 한국등록특허 제10-1934029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1,2 측면프레임에 제1 연결부재를 설치하고, 제1,2 장식프레임에 제1,2 연결부재를 각각 설치한 상태에서 제1,2 선반프레임의 결합구멍과, 지지프레임의 체결구멍에 제1,2 연결부재를 끼움식으로 삽입하여 고정부재를 회전시키는 간단한 동작으로 고정부재의 고정홈에 연결부의 내측이 고정되면서 책장 결합작업을 수행하거나 한국등록특허 제10-0842217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고정클램프를 지지봉에 설치하고 선반을 고정하는 방식으로 조립된다.
이러한 종래의 조립식 가구은 상술한 연결부재 및 고정클램프가 연결된 선반 및 선반에 안착된 물품의 무게에 의하여 프레임 또는 지지봉 상에서 수평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무너져 내리거나 기울어져 물품이 선반에서 이탈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조립식 가구은 조립이 복잡하기 때문에 잘못 조립된 부분에 대한 교체 및 수리가 번거로우며 선반을 프레임이나 지지봉에 고정하기 위한 홀, 볼트, 나사 등이 외부에서 보여 심미감을 가지는데 있어서 어려움이 존재하며 따라서 가구의 인테리어를 중시하는 최근 추세를 반영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면서도 견고한 구조를 갖으면서, 유리가 사용되는 경우에 유리의 견고한 지지와 조립이 모두 가능하도록 하는 조립식 가구를 제안하고자 한다.
그리고, 경제적인 조립식 가구이면서도 다양한 용도에 따라 구조를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조립식 가구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의 조립식 가구는, 물건을 놓일 수 있도록 하면서, 네 모서리 일부가 절단된 8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유리 단위 선반과, 나무 재질로 이루어진 목재 단위 선반과, 상기 유리 단위 선반 및 목재 단위 선반의 측면에 결합되고,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봉 볼트 체결홀이 형성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내부로 일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커넥터 로드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드측 볼트 체결홀이 형성되는 봉 커넥터와, 상기 유리 단위 선반의 네 모서리를 고정시키고, 상기 지지봉과 결합되는 커넥터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브라켓은 상측을 형성하는 제 1 브라켓과, 하측을 형성하면서 상기 제 1 브라켓의 2개의 측면과 연결되는 제 2 브라켓과, 상기 제 1 브라켓과 제 2 브라켓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유리 단위 선반의 모서리를 지지하기 위한 유리 에지 밀착바를 포함하고, 상기 봉 커넥터는 구 형상의 커넥터 바디와, 상기 커넥터 바디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드측 볼트 체결홀이 형성된 커넥터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로드측 볼트 체결홀은 상기 커넥터 로드의 단부로부터 제 1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 제 1 로드측 볼트 체결홀과, 제 2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 제 2 로드측 볼트 체결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봉의 지지봉 볼트 체결홀은, 상기 지지봉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 1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 제 1 지지봉 볼트 체결홀이 형성되거나, 상기 지지봉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 2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 제 2 지지봉 볼트 체결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브라켓의 상부면에는 일부가 절개되는 형상의 라픽스 하우징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브라켓의 측면에는 상기 라픽스 하우징 삽입홈과 연통되는 볼트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라픽스 하우징 삽입홈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의 라픽스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라픽스 하우징은 상기 라픽스 하우징 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과 크기를 갖는 하우징 바디와, 상기 하우징 바디의 일측에 형성된 개방홈으로서 라픽스 볼트가 삽입되는 볼트 체결홈과, 상기 하우징 바디의 내측에 배치되어 도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회전시키는 경우에 소정 각도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내측 체결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브라켓과 제 2 브라켓의 두 측면을 연결하는 부위에는 상기 지지봉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어 소정 깊이 함몰 형성되는 지지봉 접착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봉 접착면에는 소정 크기로 형성된 접착면 홀이 복수개 형성된다.
제안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조립식 가구를 통해서, 선반 유리 뿐만 아니라 나무 선반 등의 다른 재질의 선반도 안전하면서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그 조립과 해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조립식 가구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조립식 가구를 구성하는 유리 단위 선반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브라켓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와 도 5는 본 실시예의 조립식 가구에 사용되는 라픽스 하우징과 라픽스 볼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봉 커넥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봉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라 제 1 실시예의 커넥터 브라켓을 이용하여 유리 단위 선반과 지지봉을 조립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다른 구성의 커넥터 브라켓과 이를 이용한 조립식 가구의 조립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가구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물건을 놓일 수 있는 유리로 이루어진 유리 단위 선반(30)들이 복수개 구성되고, 각 유리 단위 선반(30)들이 결합되는 지지봉(20)과, 상기 지지봉(20)의 내부로 일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봉(20)과 결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봉 커넥터(10)와, 상기의 유리 유리 단위 선반(30)들을 지지봉(20)에 견고히 결합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커넥터 브라켓(100)과, 상기 지지봉(20)과 결합이 가능하면서도 일측은 바닥에 놓일 수 있는 모양으로 구성된 선반 다리용 커넥터(40)를 포함한다.
제 1 실시예의 조립식 가구를 조립하기 위하여 필요한 각 구성부품을 상세히 설명하여 본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조립식 가구를 구성하는 유리 단위 선반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의 유리 단위 선반(30)은, 네 모서리 일부가 절단된 형상인 8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모서리들에 인접한 위치에는 볼트 등의 체결 수단이 통과할 수 있는 제 1 결합홀(31)과 제 2 결합홀(32)이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유리 단위 선반(30)의 제 1 모서리(E1)에 인접한 위치에 제 1 및 제 2 결합홀(31,32)이 형성되고, 나머지 3개의 모서리에 인접한 위치에도 이러한 결합홀들이 형성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브라켓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의 커넥터 브라켓(100)은 2개의 측면에는 지지봉(20)이 밀착 및 결합되도록 하면서, 다른 측면에는 유리 단위 선반(30)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부재이다.
상세히, 상기 커넥터 브라켓(100)은 전체적으로 "ㄱ"자 또는 삼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측을 형성하는 제 1 브라켓(110)과, 상기 제 1 브라켓(110)과 2개의 측면에서 서로 연결되면서 하측을 형성하는 제 2 브라켓(12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브라켓(110)과 제 2 브라켓(120)의 외형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 1 브라켓(110)과 제 2 브라켓(120) 사이의 내측에는 유리 에지 밀착바(170)가 배치되어, 이들 브라켓들에서 유지 에지 밀착바가 위치한 부분은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브라켓(110)과 제 2 브라켓(120)은 평평한 측면들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지지봉(20)의 밀착될 수 있도록 완만하게 굴곡된 측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 1 브라켓(110)과 제 2 브라켓(120)은 2면이 서로 연결된 일체 형상이지만, 이들의 차이는 라픽스 하우징(도 4 참조)이 수용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구별될 수 있다.
상기 제 1 브라켓(110)과 제 2 브라켓(120)은 서로 다른 지지봉이 결합되는 2개의 측면을 갖는 브라켓 바디(111)와, 상기 브라켓 바디(111)의 일측 형성하면서 완만하게 굴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바디 굴곡면(113)과, 유리 단위 선반(30)의 결합홀들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유리 고정홀(112)을 모두 포함한다. 제 2 브라켓(120)에는 유리 단위 선반의 결합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유리 고정홀(122)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브라켓(110)의 브라켓 바디(111) 상부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라픽스 하우징이 삽입 및 수용되는 라픽스 하우징 삽입홈(140)이 형성된다. 도 3에는 두개의 라픽스 하우징 삽입홈(140,150)이 형성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9에는 브라켓 바디에 한 개의 라픽스 하우징 삽입홈이 형성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브라켓(110)에서 지지봉(30)이 밀착 결합되는 측면에는 상기 하픽스 하우징 삽입홈(140,150)과 연통되는 볼트 삽입홀들(141)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지지봉(30)을 커넥터 브라켓(100)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라픽스 볼트가 라픽스 하우징과 지지봉에 각각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브라켓(110)과 제 2 브라켓(120) 사이에 배치된 유리 에지 밀착바(170)는 유리 단위 선반(30)의 모서리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본 실시예에 따라 유리 단위 선반의 모서리가 일부 절단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해당 단면이 상기 유리 에지 밀착바(170)이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도 4와 도 5는 본 실시예의 조립식 가구에 사용되는 라픽스 하우징과 라픽스 볼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라픽스 하우징(200)은 상기 라픽스 하우징 삽입홈(140,150)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과 크기를 갖는 하우징 바디(201)와, 상기 하우징 바디(201)의 일측에 형성된 개방홈으로서 라픽스 볼트(210)가 삽입되는 볼트 체결홈(202)과, 상기 하우징 바디(201)의 내측에 배치되어 도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회전시키는 경우에 소정 각도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내측 체결 바디(203)를 포함한다.
상기 볼트 체결홈(202) 내로 라픽스 볼트(210)를 삽입시킨 다음, 상기 내측 체결 바디(203)가 소정 각도 회전되도록 조작하는 경우에, 상기 라픽스 볼트(210)의 일단이 상기 내측 체결 바디(203) 내의 부재와 걸림 결합이 이루어져 그 체결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라픽스 볼트(2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의 볼트 바디(212)와, 상기 볼트 바디(212)로부터 일측으로 연장형성되면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산부(211)와, 사익 볼트 바디(212)로부부터 타측으로 연장형성되면서 상기 볼트 바디(212) 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바디 넥(213)과, 상기 바디 넥(213) 보다 큰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내측 체결 바디(203) 내에서 걸림 결합이 이루어지는 볼트 헤드(214)를 포함한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봉 커넥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구 형상의 커넥터 바디(11)와, 상기 커넥터 바디(11)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드측 볼트 체결홀(121)이 형성된 커넥터 로드(12)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 로드(12)는 지지봉(2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도 3에는 서로 수직한 각도로 배치된 3개의 커넥터 로드가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개수로 커넥터 로드가 결합/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봉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면이 원 형상이면서 내부가 비어 있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지지봉(20)의 양측 단부에는 각각 지지봉 볼트 체결홀(21)이 형성되어 미니픽스 연결볼트의 일부가 삽입 및 체결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봉(20)의 길이는 유리 단위 선반(30)과 커넥터 브라켓이 결합된 상태에서의 측면 길이와 동일하게 이루어지고, 만약 유리 단위 선반(30)의 가로 또는 세로 길이가 서로 다른 경우라면, 상기 지지봉(20) 역시 유리 단위 선반과 커넥터 브라켓이 결합된 상태에서의 길이와 각각 동일한 길이를 갖는 다양한 종류가 사용되어야 한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라 제 1 실시예의 커넥터 브라켓을 이용하여 유리 단위 선반과 지지봉을 조립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 커넥터(10)의 커넥터 로드(12)가 지지봉(20)의 일측으로 삽입되어 봉 커넥터(10)와 지지봉(20) 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봉(20)의 지지봉 볼트 체결홀(21)은 상기 커넥터 브라켓(100)의 볼트 삽입홀(141)에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 브라켓(100)의 구성하는 제 1 브라켓과 제 2 브라켓 사이에 유리 단위 선반이 삽입되고, 삽입된 유리 단위 선반의 모서리 부분은 유리 에지 밀착바(170)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라픽스 볼트(210)의 나사산부(211)를 지지봉(20)의 지지봉 볼트 체결홀(21)에 결합하고, 상기 라픽스 볼트(210)를 볼트 삽입홀(141)을 통과시켜 상기 라픽스 볼트(210)의 볼트 헤드(214)가 상기 라픽스 하우징 삽입홈(140) 내의 라픽스 하우징(200)을 향하도록 한다.
그 다음, 상기 라픽스 하우징(200)의 상부면으로 일부 노출되는 내측 체결 바디(203)를 도구를 이용해 회전시킴으로써, 라픽스 볼트(210)의 볼트 헤드(214)가 내측 체결 바디(203)이 걸림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라픽스 볼트와 라픽스 하우징 사이의 결합 및, 이를 통한 커넥터 브라켓(100)과 지지봉(20) 사이의 결합을 완성시킨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 브라켓(100)의 유리 고정홀(112)들에 볼트 등의 체결 부재를 이용하여 유리 단위 선반과 커넥터 브라켓(100) 사이의 체결도 완성한다.
도 8에는 두 개의 라픽스 하우징 삽입홈 중에서 하나의 삽입홈에만 라픽스 하우징이 삽입되고, 이를 이용한 체결이 이루어진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성의 커넥터 브라켓을 이용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의 라픽스 하우징 삽입홈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다만, 하나의 라픽스 하우징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사용자는 조립 방법에 따라서 커텍터 브라켓들의 조립 순서를 지키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다른 구성의 커넥터 브라켓과 이를 이용한 조립식 가구의 조립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다른 구성의 커넥터 브라켓(300)은, 제 1 실시예의 커넥터 브라켓(100)과 동일하게, 지지봉(20)이 밀착되는 제 1 브라켓(310)과 제 2 브라켓(320)의 2개의 측면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면서 굴곡된 측면을 갖는다. 즉, 상기 제 1 브라켓(310)과 제 2 브라켓(320)이 상호 연결된 2개의 면은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깊이 함몰 형성된 측면 오목부(330)가 형성된다. 이러한 측면 오목부는 제 1 실시예의 커넥터 브라켓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형성된다. 왜냐하면, 제 1 브라켓과 제 2 브라켓이 연결된 측면의 경우 지지봉이 밀착되기 위해서는 지지봉의 형상에 대응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제 1 브라켓(310)과 제 2 브라켓(320) 사이의 내측 부위에 유리 에지 밀착바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브라켓(310)에는 상부면이 절개되어 라픽스 하우징이 수용될 수 있는 한개의 라픽스 하우징 삽입홈(34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브라켓(310)과 제 2 브라켓(320)이 연결된 측면에는 상기 라픽스 하우징 삽입홈(340)과 연통되면서 라픽스 볼트가 통과할 수 있는 볼트 삽입홀(341)이 형성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봉 커넥터(10)의 커넥터 로드(12)를 지지봉(20) 내부로 삽입시키고, 지지봉(20)을 커넥터 브라켓(100)의 측면 오목부에 밀착시킨다. 그리고, 라픽스 하우징 삽입홈과 연통되는 볼트 삽입홀을 통과한 라픽스 볼트를 이용해 지지봉과 커넥터 브라켓 사이의 결합을 준비한다.
이때, 상기 지지봉(20) 내에 삽입된 커넥터 로드(12)의 로드측 볼트 체결홀(121) 역시 지지봉(20)의 지지봉 볼트 체결홀의 위치에 대응되도독 배치되고, 상기 라픽스 볼트에 나사산부에 의해 이들의 결합도 이루어진다.
그 다음, 상기 라픽스 하우징 삽입홈 내에 라픽스 하우징(200)을 삽입하면서 라픽스 볼트(210)의 볼트 헤드(214)가 라픽스 하우징(200)의 볼트 체결홈(202)으로 삽입되도록 하고, 그 후 내측 체결 바디(203)를 회전시켜 라픽스 볼트와 라픽스 하우징 사이의 결합도 완료되도록 한다.
그 다음, 유리 단위 선반(30)에 형성된 제 1 결합홀(31)과 제 2 결합홀(32)과, 커넥터 브라켓의 유리 고정홀을 볼트 등의 체결 부재를 이용하여 결합시킨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가구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가구의 경우, 봉 커넥터과 지지봉 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지지봉은 유리 단위 선반이나 목재 단위 선반에 결합되는데, 유리 단위 선반을 결합하거나 목재 단위 선반에 결합하는 때에 봉 커넥터를 변경할 필요없이, 단일의 봉 커넥터를 사용하여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를 통해 목재 단위 선반을 지지봉에 결합하기 위하여 미니픽스 체결부재를 사용하는 경우나, 유리 단위 선반을 지지봉에 결합하기 위하여 라픽스 체결부재를 사용하는 경우라도 해당 봉 커넥터를 변경할 필요없이 봉 커넥터의 로드측 볼트 체결홀의 위치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인 조립식 가구가 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 2 실시예의 조립식 가구는, 물건을 놓일 수 있는 유리로 이루어진 유리 단위 선반(30)과, 각 유리 단위 선반(30)들이 결합되는 지지봉(20)과, 상기 지지봉(20)에 의해 지지 및 결합되면서 상기 유리 단위 선반(30)과는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는 목재 단위 선반(60)과, 상기 지지봉(20)의 내부로 일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봉(20)과 결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봉 커넥터(10)와, 상기의 유리 유리 단위 선반(30)이 파손되지 않도록 보호하면서 상기 지지봉(20)에 견고히 결합하는 커넥터 브라켓(300)과, 상기 지지봉(20)과 결합이 가능하면서도 일측은 바닥에 놓일 수 있는 모양으로 구성된 선반 다리용 커넥터(40)를 포함한다.
상기 봉 커넥터(10)의 구성과, 상기 봉 커넥터에 형성되어 일단으로부터 16mm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는 체결홀과, 일단으로부터 35mm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는 체결홀의 구성에 대해서도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여 본다.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가구에 있어서 목재 단위 선반을 조립하는 경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와 도 13을 참조하면, 제 2 실시예의 조립식 가구를 구성하는 봉 커넥터(10)는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 형상의 커넥터 바디(11)와, 상기 커넥터 바디(11)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드측 볼트 체결홀(121)이 형성된 커넥터 로드(12)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 로드(12)는 지지봉(2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넥터 로드(12)는 1개 또는 그 이상의 개수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 2 실시예의 조립식 가구의 경우, 상기 커넥터 로드(12)에 형성되는 로드측 볼트 체결홀은, 상기 구 형상의 커넥터 바디에 접하는 단부로부터 제 1 거리에 형성되는 제 1 로드측 볼트 체결홀(121a)과, 단부로부터 제 2 거리에 형성되는 제 2 로드측 볼트 체결홀(121b)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거리는 16mm가 될 수 있고, 제 2 거리는 35mm가 될 수 있다.
목재 단위 선반(60)을 조립하는 경우에, 상기 지지봉(20)의 지지봉 볼트 체결홀은 지지봉 단부로부터 제 2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지지봉(20)의 경우에는 단부로부터 제 1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제 1 지지봉 볼트 체결홀이 형성되고, 제 2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제 2 지지봉 볼트 체결홀이 형성되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목재 단위 선반(60)을 조립하는 경우에, 지지봉의 단부로부터 제 2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 지지봉 볼트 체결홀을 제 2 지지봉 볼트 체결홀이라고 명칭할 수 있으며, 후술할 유리 단위 선반을 조립하는 경우에, 지지봉의 단부로부터 제 1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 지지봉 볼트 체결홀을 제 1 지지봉 볼트 체결홀이라고 명칭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봉(20) 내부로 봉 커넥터의 커넥터 로드를 삽입한 다음, 미니픽스 볼트(220)를 제 2 지지봉 볼트 체결홀(21b)과, 제 2 로드측 볼트 체결홀(121b)을 통과시키고, 상기 미니픽스 볼트(220)의 단부에 형성된 나사산부(221)가 목재 단위 선반 내부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조립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미니픽스 볼트(220)는, 앞서 설명한 라픽스 볼트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지만, 목재 내부로 나사산부(221)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중앙의 볼트 바디(222)와, 상기 볼트 바디(222)로부터 일측으로 연장형성되면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산부(221)와, 상기 볼트 바디(222)로부부터 타측으로 연장형성되면서 상기 볼트 바디(222) 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바디 넥(223)과, 상기 바디 넥(223) 보다 큰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드라이버를 이용한 회전이 용이해지도록 하는 볼트 헤드(224)를 포함한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가구에 있어서 유리 단위 선반을 조립하는 경우의 구성과 커넥터 브라켓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제 2 실시예의 조립식 가구에서 유리 단위 선반을 조립하는 경우에 목재 단위 선반을 조립하는 때에 사용되는 봉 커넥터(10)가 동일하게 구성되며, 봉 커넥터(10)의 커넥터 로드에 형성된 제 1 로드측 볼트 체결홀(121a)에 라픽스 볼트(210)가 체결된다.
제 2 실시예의 커넥터 브라켓(400)은, 앞서 설명한 커넥터 브라켓들(100,300)과 전체적으로 유사한 형상과 구조를 갖으면서, 상측을 형성하는 제 1 브라켓(410)과 하측을 형성하는 제 2 브라켓(420)의 두께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됨으로써, 크기를 최소화하면서 유리 단위 선반의 지지 및 결합은 유지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세히, 상기 커넥터 브라켓(400)은 전체적으로 "ㄱ"자 또는 삼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측을 형성하는 제 1 브라켓(410)과, 상기 제 1 브라켓(410)과 2개의 측면에서 서로 연결되면서 상대적으로 더 얇은 뚜게를 갖으면서 하측을 형성하는 제 2 브라켓(42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 1 브라켓(410)과 제 2 브라켓(420) 사이의 내측에는 유리 에지 밀착바(470)가 배치되어, 이들 브라켓들에서 유지 에지 밀착바가 위치한 부분은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브라켓(410)과 제 2 브라켓(420)은 평평한 측면들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지지봉(20)의 밀착될 수 있도록 완만하게 굴곡된 측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 1 브라켓(410)과 제 2 브라켓(420)을 관통하는 크기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라픽스 하우징(도 10 참조)이 수용될 수 있는 삽입홈이다.
상기 제 1 브라켓(410)과 제 2 브라켓(420)은 서로 다른 지지봉이 결합되는 2개의 측면을 갖는 브라켓 바디(411)와, 상기 브라켓 바디(411)의 일측 형성하면서 완만하게 굴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바디 굴곡면(413)과, 유리 단위 선반(30)의 결합홀들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유리 고정홀(412)을 모두 포함한다. 제 2 브라켓(420)에도 유리 단위 선반의 결합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유리 고정홀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브라켓(410)의 브라켓 바디(411) 상부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라픽스 하우징이 삽입 및 수용되는 라픽스 하우징 삽입홈(440)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브라켓(410)에서 지지봉(30)이 밀착 결합되는 측면에는 상기 라픽스 하우징 삽입홈(440)과 연통되는 볼트 삽입홀들(441)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봉(30)을 커넥터 브라켓(100)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라픽스 볼트가 라픽스 하우징과 지지봉에 각각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브라켓(410)과 제 2 브라켓(420) 사이에 배치된 유리 에지 밀착바(470)는 유리 단위 선반(30)의 모서리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본 실시예에 따라 유리 단위 선반의 모서리가 일부 절단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해당 단면이 상기 유리 에지 밀착바(470)이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브라켓(410)과 제 2 브라켓(420)의 두 측면을 연결하는 부위에는 지지봉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어 소정 깊이 함몰 형성되는 지지봉 접착면(481)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지봉 접착면(481)에는 커텍터 브라켓의 무게를 줄이면서 휨을 억제하기 위한 복수개의 접착면 홀(460)이 형성된다.
도 17과 도 1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가구에 있어서 유리 단위 선반을 조립하는 경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과 도 18을 참조하면, 제 2 실시예의 조립식 가구를 구성하는 봉 커넥터(10)는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 형상의 커넥터 바디(11)와, 상기 커넥터 바디(11)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드측 볼트 체결홀(121)이 형성된 커넥터 로드(12)를 포함한다.
제 2 실시예의 조립식 가구에 있어서 유리 단위 선반(30)을 조립하는 경우에, 커넥터 로드(12)에 형성된 2개의 로드측 볼트 체결홀 중에서, 커넥터 로드의 단부, 즉, 커넥로 바디에 접하는 위치로부터 제 1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 제 1 로드측 볼트 체결홀(121a)을 이용하여 체결할 수 있다.
지지봉(20) 내부로 봉 커넥터의 커넥터 로드를 삽입한 다음, 라픽스 볼트(210)를 제 1 지지봉 볼트 체결홀(21a)과, 제 1 로드측 볼트 체결홀(121a)을 통과시켜 결합시킨다. 여기서, 유리 단위 선반(30)이 직접 접촉하여 결합되는 지지봉은 상기 유리 단위 선반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가로 지지봉이고, 상기 유리 단위 선반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세로 지지봉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지지봉의 제 1 지지봉 볼트 체결홀(21a)을 통해 라픽스 볼트를 체결한 경우에는 상기 라픽스 볼트의 볼트 헤드는 커넥터 브라켓의 라픽스 하우징 내에 삽입됨으로써 고정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에서, 제 1 실시예의 조립식 가구는 유리 단위 선반을 조립하는 때에 안전하면서도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고, 제 2 실시예의 조립식 가구는 유리 단위 선반과 목재 단위 선반을 혼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봉 커넥터를 동일한 종류를 사용할 수 있어 구성품을 추가 구매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물건을 놓일 수 있도록 하면서, 네 모서리 일부가 절단된 8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유리 단위 선반과,
    나무 재질로 이루어진 목재 단위 선반과,
    상기 유리 단위 선반 및 목재 단위 선반의 측면에 결합되고,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봉 볼트 체결홀이 형성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내부로 일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커넥터 로드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드측 볼트 체결홀이 형성되는 봉 커넥터와,
    상기 유리 단위 선반의 네 모서리를 고정시키고, 상기 지지봉과 결합되는 커넥터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브라켓은 상측을 형성하는 제 1 브라켓과, 하측을 형성하면서 상기 제 1 브라켓의 2개의 측면과 연결되는 제 2 브라켓과, 상기 제 1 브라켓과 제 2 브라켓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유리 단위 선반의 모서리를 지지하기 위한 유리 에지 밀착바를 포함하고,
    상기 봉 커넥터는 구 형상의 커넥터 바디와, 상기 커넥터 바디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드측 볼트 체결홀이 형성된 커넥터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로드측 볼트 체결홀은 상기 커넥터 로드의 단부로부터 제 1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 제 1 로드측 볼트 체결홀과, 제 2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 제 2 로드측 볼트 체결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의 지지봉 볼트 체결홀은, 상기 지지봉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 1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 제 1 지지봉 볼트 체결홀이 형성되거나, 상기 지지봉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 2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 제 2 지지봉 볼트 체결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거리는 16mm이고, 제 2 거리는 3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브라켓의 상부면에는 일부가 절개되는 형상의 라픽스 하우징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브라켓의 측면에는 상기 라픽스 하우징 삽입홈과 연통되는 볼트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라픽스 하우징 삽입홈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의 라픽스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라픽스 하우징은 상기 라픽스 하우징 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과 크기를 갖는 하우징 바디와, 상기 하우징 바디의 일측에 형성된 개방홈으로서 라픽스 볼트가 삽입되는 볼트 체결홈과, 상기 하우징 바디의 내측에 배치되어 도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회전시키는 경우에 소정 각도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내측 체결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브라켓과 제 2 브라켓의 두 측면을 연결하는 부위에는 상기 지지봉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어 소정 깊이 함몰 형성되는 지지봉 접착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 접착면에는 소정 크기로 형성된 접착면 홀이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
KR1020220058688A 2022-05-13 2022-05-13 조립식 가구 KR2023015894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688A KR20230158941A (ko) 2022-05-13 2022-05-13 조립식 가구
PCT/KR2023/001330 WO2023219226A1 (ko) 2022-05-13 2023-01-30 조립식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688A KR20230158941A (ko) 2022-05-13 2022-05-13 조립식 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8941A true KR20230158941A (ko) 2023-11-21

Family

ID=88730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8688A KR20230158941A (ko) 2022-05-13 2022-05-13 조립식 가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58941A (ko)
WO (1) WO2023219226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702242U1 (de) * 1997-01-29 1997-05-07 Ruether Hubert Modular aufbaubares Möbel
KR200279727Y1 (ko) * 2002-03-27 2002-06-24 안형문 상품 진열대
US20040226249A1 (en) * 2003-05-13 2004-11-18 Chang Chou Wang Structure assembly assembled without tools
JP2005143686A (ja) * 2003-11-13 2005-06-09 Iris Ohyama Inc 組立式ラックの棚板取付構造
KR100553718B1 (ko) * 2005-07-19 2006-02-24 주식회사 삼광씨스템 테이블 지지용 코너 브래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19226A1 (ko) 2023-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4114B2 (en) Panels for an assembled product
US4563040A (en) Furniture assembly
CA2367531C (en) Mechanical joint including an angle bracket connector
US8720839B2 (en) Connector for panel members
US2722468A (en) Cabinet construction
KR19990064711A (ko) 선반 또는 수납장용 조립식 프레임 부재세트
US9554645B2 (en) Modular ease-of-use shelving system
US7419126B2 (en) Bracket
US3250582A (en) Structure for furniture, enclosures and the like
KR102164096B1 (ko) 가구조립용 연결구와 이에 의해 조립된 가구
KR20230158941A (ko) 조립식 가구
KR102657308B1 (ko) 조립식 가구
KR20130042220A (ko) 조립식 캐비넷
KR102003181B1 (ko) 절곡 판재 형상의 다리프레임을 구비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
KR20230144711A (ko) 조립식 가구
KR20090010039U (ko) 판넬과 판넬을 수직, 수평하게 연결하여 조립하는 조립식가구
KR20240016471A (ko) 조립식 가구
JP4832671B2 (ja) 組立家具用連結具
KR200398589Y1 (ko) 조립식 책꽂이의 구조
JP2006081922A (ja) 机における収納装置
JP5492692B2 (ja) 耐震補強工法
KR102376346B1 (ko) 프레임 연결구
KR100677911B1 (ko) 조립식 장식장의 프레임 구조
US6837556B1 (en) Method and kit for constructing a cabinet
KR102338617B1 (ko) 회전형 책장이 구비된 테이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