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8537A - 스냅-끼워 맞춤 연결 및 접착제에 의해 연결된 하우징 부분을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스냅-끼워 맞춤 연결 및 접착제에 의해 연결된 하우징 부분을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8537A
KR20230158537A KR1020237034919A KR20237034919A KR20230158537A KR 20230158537 A KR20230158537 A KR 20230158537A KR 1020237034919 A KR1020237034919 A KR 1020237034919A KR 20237034919 A KR20237034919 A KR 20237034919A KR 20230158537 A KR20230158537 A KR 20230158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osol
housing portion
generating device
housing
mechanical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4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쎄 치엑 어우
카이 신 정
테무 헨릭 마타넨
영 타우르 이오우
Original Assignee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filed Critical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230158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853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70Manufacture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에어로졸 발생 장치(3)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3)의 외부 표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하는 하우징(17)을 포함한다. 하우징(17)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3)의 외부 표면의 제1 부분을 정의하는 제1 하우징 부분(19)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3)의 외부 표면의 제2 부분을 정의하는 제2 하우징 부분(21)을 포함한다. 제1 하우징 부분(19)은 제1 기계적 체결 특징부(53)를 포함한다. 제2 하우징 부분(21)은 제2 기계적 체결 특징부(51)를 포함한다. 제1 기계적 체결 특징부(53) 및 제2 기계적 체결 특징부(51)는 함께 작동하여 제1 하우징 부분(19) 및 제2 하우징 부분(21)을 서로에 대해 제 위치에 유지시킨다. 제1 하우징 부분(19) 및 제2 하우징 부분(21)은 접착제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Description

스냅-끼워 맞춤 연결 및 접착제에 의해 연결된 하우징 부분을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본 개시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개시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으로서 에어로졸 발생 물품과 조합하여 사용되도록 구성되어소비를 위한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유형의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은 전기 작동식 흡연 시스템이다. 공지된 핸드헬드 전기 작동식 흡연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배터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제어 전자 부품(electronics)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사용하기 위하여 특별히 설계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가열하기 위한 전기 히터를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담배 로드 또는 담배 플러그와 같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고, 에어로졸 발생 장치 내에 수용된 히터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에어로졸 발생 물품 내로 삽입될 때 에어로졸 형성 기재 내로 삽입되거나 에어로졸 형성 기재 주위에 위치된다. 일 대안의 전기 작동식 흡연 시스템에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느슨한 담배와 같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함유하는 캡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에 개선된 또는 대안적인 방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측면에 따르면,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외부 표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하우징은 제1 하우징 부분 및 제2 하우징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제1 하우징 부분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외부 표면의 제1 부분을 정의한다. 제2 하우징 부분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외부 표면의 제2 부분을 정의한다. 제1 하우징 부분은 제1 기계적 체결 특징부를 포함하고,제2 하우징 부분은 제2 기계적 체결 특징부를 포함한다. 제1 기계적 체결 특징부 및 제2 기계적 체결 특징부는 함께 작동하여 제1 하우징 부분과 제2 하우징 부분을 서로에 대해 제자리에 유지시킨다. 제1 하우징 부분 및 제2 하우징 부분은 접착제에 의해 서로 추가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접착제는 제1 하우징 부분과 제2 하우징 부분의 분리를 방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방지, 실질적으로 방지, 또는 완전히 방지 또는 저항할 수 있다. 접착제는 제1 하우징 부분과 제2 하우징 부분 사이의 연결을 강화할 수 있다.
제1 기계적 체결 특징부 및 제2 기계적 체결 특징부는 제1 하우징 부분 및 제2 하우징 부분을 연결하는 빠르고 신뢰성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기계적 체결 특징부 및 제2 기계적 체결 특징부는 제1 하우징 부분과 제2 하우징 부분이 서로에 대해 정확하게 위치 설정되어 있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제1 하우징 부분과 제2 하우징 부분을 연결할 때, 제1 기계적 체결 특징부 및 제2 기계적 체결 특징부는, 접착제가 경화될 때까지 제1 하우징 부분과 제2 하우징 부분이 서로에 대해 정확하게 위치 설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제1 기계적 체결 특징부 및 제2 기계적 체결 특징부는 제1 하우징 부분과 제2 하우징 부분 사이의 연결이 정확하게 확립되었음을 확인하기 위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피드백은, 예를 들어, 청각 피드백, 시각 피드백, 및 제1 하우징 부분과 제2 하우징 부분 사이의 연결을 확립할 때 느낄 수 있는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제는 글루(glue)를 포함할 수 있거나 글루일 수 있다. 접착제는 공기, 온도, 방사선 및 광에 대한 노출 중 하나 이상에 의해 경화 가능할 수 있다. 접착제는 적용된 후 경화 시간 내에 경화될 수 있다. 경화 시간은 30초 초과, 또는 3분 초과, 또는 10분 초과일 수 있다. 경화 시간은 30분 미만, 또는 10분 미만, 또는 5분 미만, 또는 1분 미만, 또는 30초 미만일 수 있다. 접착제는 적어도 경화 후에 방수될 수 있다.
접착제는 제1 하우징 부분과 제2 하우징 부분 사이에 밀봉부를 제공할 수 있다. 접착제는 제1 하우징 부분과 제2 하우징 부분 사이의 계면을 밀봉할 수 있다. 접착제는 제1 하우징 부분과 제2 하우징 부분 사이의 계면을 방수로 만들 수 있다.
제1 기계적 체결 특징부 및 제2 기계적 체결 특징부는 스냅-끼워 맞춤 연결을 함께 형성할 수 있다. 스냅-끼워 맞춤 연결은 제1 기계적 체결 특징부와 제2 기계적 체결 특징부 사이에 형태-끼워 맞춤 연결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계적 체결 특징부 및 제2 기계적 체결 특징부 중 적어도 하나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할 수 있다.
제1 기계적 체결 특징부 및 제2 기계적 체결 특징부 중 하나는 돌출 구조로서 형성될 수 있거나 돌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계적 체결 특징부 및 제2 기계적 체결 특징부 중 다른 하나는 오목 구조로서 형성될 수 있거나 오목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오목 구조는 돌출 구조를 수용할 수 있다. 돌출 구조와 오목한 구조 사이에 형태-끼워 맞춤 연결이 있을 수 있다.
돌출 구조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할 수 있다. 돌출 구조의 탄성 변형성은, 제1 하우징 부분과 제2 하우징 부분을 조합할 때 돌출 구조가 오목 구조 내에 삽입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돌출 구조는 제1 하우징 부분과 제2 하우징 부분을 조합할 때, 오목 구조 내에 스냅되도록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오목 구조는 돌출 구조보다 더 높은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오목 구조는 돌출 구조를 위한 앵커를 제공할 수 있다.
돌출 구조는 후크 형상일 수 있다. 후크는 오목 구조 내로 도달할 수 있다. 후크는 오목 구조와 체결로써, 제1 하우징 부분과 제2 하우징 부분을 분리하는 쪽으로 인가되는 힘에 대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접착제는 제1 기계적 체결 특징부 및 제2 기계적 체결 특징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덮을 수 있다. 접착제는 제1 기계적 체결 특징부 및 제2 기계적 체결 특징부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할 수 있다. 접착제는 제1 기계적 체결 특징부와 제2 기계적 체결 특징부 사이의 연결을 강화할 수 있다. 접착제는 제1 기계적 체결 특징부 및 제2 기계적 체결 특징부에서 밀봉부를 제공할 수 있다. 접착제는 돌출 구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을 수 있다. 접착제는 오목 구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을 수 있다. 접착제는 돌출 구조와 오목 구조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하우징 부분은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우징 부분은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는 삽입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쌀 수 있다. 수용부와 삽입부 사이의 중첩은 제1 하우징 부분과 제2 하우징 부분 사이의 밀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접착제는 삽입부와 수용부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접착제는 삽입부와 수용부 사이에 밀봉층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접착제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원주 주위에 완전히 삽입부와 수용부 사이에 제공되어 있다. 접착제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하우징의 원주 주위에 완전히 삽입부와 수용부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접착제는 삽입부와 접촉할 수 있다. 접착제는 수용부와 접촉할 수 있다. 접착제는 삽입부 및 수용부와 접촉할 수 있다.
제1 기계적 체결 특징부는 삽입부에 제공될 수 있다. 제2 기계적 체결 특징부는 수용부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기계적 체결 특징부는 제1 하우징 부분의 삽입부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기계적 체결 특징부는 제2 하우징 부분의 수용부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돌출 구조는 삽입부 및 수용부 중 하나로부터 삽입부 및 수용부 중 다른 하나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스냅-끼워 맞춤 연결은 삽입부와 수용부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스냅-끼워 맞춤 연결은 조립된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이지 않을 수 있다. 스냅-끼워 맞춤 연결은 삽입부와 수용부 사이에서 보호될 수 있다.
오목 구조는 제1 하우징 부분의 삽입부 내에 압입부 또는 제2 하우징 부분의 수용부 내에 압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오목 구조는 제1 하우징 부분의 삽입부 내의 개구부 또는 제2 하우징 부분의 수용부 내의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 부분 및 제2 하우징 부분 중 적어도 하나는 축 방향 주위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하우징 부분 및 제2 하우징 부분 중 적어도 하나는 원주 방향을 따라 축 방향 주위로 완전히 연장될 수 있다. 삽입부 및 수용부 중 하나 또는 모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축 방향 주위로 완전히 연장될 수 있다.
제1 하우징 부분 및 제2 하우징 부분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하우징 부분 및 제2 하우징 부분은 상이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하우징 부분 및 제2 하우징 부분은 경도가 상이할 수 있다. 제1 하우징 부분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하우징 부분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 구조를 포함하는 하우징 부분(제1 하우징 부분 또는 제2 하우징 부분)은 오목 구조를 포함하는 하우징 부분(제1 하우징 부분 또는 제2 하우징 부분)의 재료보다 더 높은 탄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오목 구조를 포함하는 하우징 부분(제1 하우징 부분 또는 제2 하우징 부분)은 돌출 구조를 포함하는 하우징 부분(제1 하우징 부분 또는 제2 하우징 부분)의 재료보다 높은 경도를 갖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하우징 부분 및 제2 하우징 부분 중 하나는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하우징 부분 및 제2 하우징 부분 중 하나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하우징 부분은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다른 하우징 부분은 알루미늄 재료와 같은 금속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방법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해 제1 하우징 부분의 삽입부를 제2 하우징 부분의 수용부 내로 슬라이딩시켜 제1 하우징 부분과 제2 하우징 부분을 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단계 동안, 제1 하우징 부분과 제2 하우징 부분은 스냅-끼워 맞춤 연결을 통해 서로 맞물린다. 제1 하우징 부분의 삽입부 및 제2 하우징 부분의 수용부 중 하나는 접착제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여 있다. 슬라이딩 단계 동안, 접착제는 제1 하우징 부분의 삽입부 및 제2 하우징 부분의 수용부 중 다른 하나와 체결로써, 제1 하우징 부분과 제2 하우징 부분 사이에 접착제 연결을 확립한다.
접착제는 슬라이딩 단계 전에 제1 하우징 부분의 삽입부 및 제2 하우징 부분의 수용부 중 하나에 적용될 수 있다. 접착제는 여전히 슬라이딩 단계 동안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화되지 않을 수 있다.
접착제는 슬라이딩 단계 전에 제1 하우징 부분의 삽입부 및 제2 하우징 부분의 수용부 중 하나에만 적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접착제는 슬라이딩 단계 전에 제1 하우징 부분의 삽입부 및 제2 하우징 부분의 수용부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접착제의 제1 성분은 슬라이딩 단계 전에 제1 하우징 부분의 삽입부 및 제2 하우징 부분의 수용부 중 하나에 적용될 수 있다. 접착제의 제2 성분은 슬라이딩 단계 전에 제1 하우징 부분의 삽입부 및 제2 하우징 부분의 수용부 중 다른 하나에 적용될 수 있다. 접착제의 제1 성분 및 제2 성분은 슬라이딩 단계 동안 접촉하게 될 수 있다. 제1 성분과 제2 성분이 혼합될 때, 접착제는 경화될 수 있다.
슬라이딩 단계는 제1 하우징 부분의 삽입부를 축 방향을 따라 제2 하우징 부분의 수용부 내로 슬라이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 부분은 제1 기계적 체결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우징 부분은 제2 기계적 체결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계적 체결 특징부 및 제2 기계적 체결 특징부는 스냅-끼워 맞춤 연결을 함께 형성할 수 있다. 제1 기계적 체결 특징부 및 제2 기계적 체결 특징부는 함께 작동하여 제1 하우징 부분 및 제2 하우징 부분을 서로에 대해 제자리에 유지시킬 수 있다. 제1 기계적 체결 특징부는 제1 하우징 부분의 삽입부에 제공될 수 있다. 제2 기계적 체결 특징부는 제2 하우징 부분의 수용부에 제공될 수 있다.
돌출 구조는 제1 하우징 부분의 삽입부 및 제2 하우징 부분의 수용부 중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오목 구조는 제1 하우징 부분의 삽입부 및 제2 하우징 부분의 수용부 중 다른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스냅-끼워 맞춤 연결은 돌출 구조가 오목 구조 내로 탄성적으로 스냅핑됨으로써 확립될 수 있다. 제1 기계적 체결 특징부는 돌출 구조 및 오목 구조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계적 체결 특징부는 돌출 구조 및 오목 구조 중 다른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 구조의 스냅 동작은 적어도 본질적으로 축 방향에 수직인 주요 구성요소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에 따르면,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제1 하우징 부분과 제2 하우징 부분 간의 스냅-끼워 맞춤 연결을 제조하기 위한 접착제의 용도가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내부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내부 부분은 제1 표면을 갖는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하우징 부분을 포함한다. 하우징 부분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외부 외관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한다. 하우징 부분은 제1 표면을 향하는 제2 표면을 갖는다. 하우징 부분은 개구부를 갖는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하우징 부분의 개구부를 둘러싸는 원주 주위에서 제1 표면 및 제2 표면 모두에 완전히 접착된 접착 테이프를 더 포함한다.
접착 테이프는 제1 표면과 제2 표면 사이에 밀봉부를 형성할 수 있다. 밀봉부는, 제1 표면과 제2 표면 사이에서 이동함으로써 하우징 부분의 개구부를 통해 진입하는 유체 또는 액체와 같은 물질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내부 공간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방지, 실질적으로 방지 또는 완전히 방지할 수 있다. 접착 테이프가 제1 표면 및 제2 표면에 접착됨에 따라, 접착 테이프는 제자리에 유지된다. 따라서, 접착 테이프에 의해 제공되는 밀봉부는 특히 신뢰성 있고 내구성일 수 있다.
하우징 부분에 대한 내부 부분의 상대 위치는 접착 테이프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접착 테이프는, 예를 들어, 먼저 내부 부분을 접착 테이프로 하우징 부분에 부착한 다음, 하우징 부분 및 내부 부분의 결과적인 조립체를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하나 이상의 추가 부분에 부착 가능하게 함으로써,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1 표면은 외측을 향할 수 있다. 제1 표면은 하우징 부분을 향할 수 있다. 제2 표면은 내측을 향할 수 있다.
제1 표면 및 제2 표면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접착 테이프는 제1 표면과 제2 표면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접착 테이프는 하우징 부분의 개구부를 둘러싸는 원주 주위에 제1 표면과 제2 표면 사이에 완전히 제공될 수 있다.
내부 부분은 플라스틱 부분일 수 있다. 내부 부분은 발포체 부분일 수 있다. 내부 부분은 실질적으로 강성일 수 있다. 내부 부분은 실질적으로 압축 가능할 수 있다. 내부 부분은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할 수 있다.
내부 부분은 물에 대해 비투과성일 수 있다. 내부 부분은, 그에 접착된 접착 테이프와 함께, 하우징 부분의 개구부를 통해 진입하는 액체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 내의 특정 영역 내로 흐르는 것을 방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방지, 실질적으로 방지, 또는 완전히 방지할 수 있다.
내부 부분은 하우징 부분의 개구부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가질 수 있다. 내부 부분의 개구부는 하우징 부분의 개구부와 정렬되어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내부를 향해 하우징 부분의 개구부의 연속성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 부분의 개구부 및 내부 부분의 개구부는 함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내부 부분에 대한 접근을 제공할 수 있거나, 함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내부 부분에 윈도우를 제공할 수 있거나, 함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내부 부분을 향해 연장되어 있는 요소를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접착 테이프는 하우징 부분의 개구부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 테이프의 개구부는 내부 부분의 개구부에 대응할 수 있다. 하우징 부분의 개구부, 접착 테이프의 개구부, 및 내부 부분의 개구부는 서로 뒤에서 정렬되어 동일 공간에 걸쳐 있는 개구부를 제공할 수 있다.
내부 부분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몸체와 하우징 부분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내부 부분은 몸체와 밀봉 체결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내부 부분은 접착 테이프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몸체 사이의 거리를 가교할 수 있다. 내부 부분은 몸체와 접착 테이프 또는 하우징 부분 사이에서 압축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하우징 부분의 개구부를 통해 접근 가능한 누름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누름 버튼에 도달하기 위해 하우징 부분의 개구부가 진입되어야 하는 상황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누름 버튼이 하우징 부분의 개구부를 통해 접근 가능하다는 문구는 또한 누름 버튼이 하우징 부분의 개구부를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황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누름 버튼은 하우징 부분의 개구부 내로 도달하지 않고 가압될 수 있다.
접착 테이프는 누름 버튼과 하우징 부분 사이에 진입하는 유체가 하우징 부분과 내부 부분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누름 버튼은 내부 부분의 개구부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누름 버튼은 접착 테이프 내의 개구부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누름 버튼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누름 버튼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조명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 어셈블리는 하우징 부분의 개구부를 통해 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조명 어셈블리는 LED와 같은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조명 어셈블리는 도광체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 어셈블리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작동 상태에 따라 개구부를 통해 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조명 어셈블리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조명 어셈블리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작동 상태에 따라 상이한 색상의 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 부분은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 테이프는 하우징 부분의 제1 개구부를 둘러싸는 원주 주위에서 제1 표면 및 제2 표면 모두에 완전히 접착될 수 있다. 접착 테이프는 하우징 부분의 제2 개구부를 둘러싸는 원주 주위에서 제1 표면 및 제2 표면 모두에 완전히 접착될 수 있다. 누름 버튼은 하우징 부분의 제1 개구부를 통해 접근 가능할 수 있다. 조명 어셈블리는 하우징 부분의 제2 개구부를 통해 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접착 테이프의 형상은 제1 표면의 형상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표면은 접착 테이프에 의해 완전히 덮여서 제1 표면과 제2 표면 사이에 높은 유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접착 테이프는 양면 접착 테이프일 수 있다. 양면 접착 테이프의 제1 접착면이 제1 표면에 접착될 수 있다. 양면 접착 테이프의 제2 접착면이 제2 표면에 접착될 수 있다. 양면 접착 테이프의 제1 접착면 및 제2 접착면은 반대 방향으로 향할 수 있다. 양면 접착 테이프의 제1 접착면 및 제2 접착면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접착 테이프는 0.05mm 내지 1mm, 또는 0.1mm 내지 1mm, 또는 0.1mm 내지 0.6mm, 또는 0.1mm 내지 0.4mm, 또는 0.1mm 내지 0.3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방법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내부 부분을 제공하는 단계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외부 부분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외부 부분은 개구부를 갖는다. 상기 방법은 양면 접착 테이프의 제1 접착면을 내부 부분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양면 접착 테이프의 제2 접착면을 외부 부분의 개구부를 둘러싸는 원주 주위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부 부분에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외부 부분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하우징 부분일 수 있다. 하우징 부분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외부 외관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할 수 있다.
양면 접착 테이프의 제1 접착면을 내부 부분에 부착하는 단계는 양면 접착 테이프의 제2 접착면을 외측 부분에 부착하는 단계 이전, 이후,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양면 접착 테이프의 제2 접착면은 외부 부분의 개구부를 둘러싸는 원주 주위에서 외부 부분에 완전히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외부 부분을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몸체에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부분을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몸체에 부착할 때, 내부 부분은 몸체와 밀봉 접촉하게 될 수 있다.
외부 부분을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몸체에 부착하는 단계는 양면 접착 테이프의 제1 접착면을 내부 부분에 부착하는 단계 후 및 양면 접착 테이프의 제2 접착면을 외부 부분에 부착하는 단계 후에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 부분은 양면 접착 테이프에 의해 외부 부분에 고정될 수 있고, 외부 부분과 함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몸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누름 버튼을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장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누름 버튼은 외부 부분의 개구부를 통해 접근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특히, 누름 버튼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몸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조명 어셈블리를 장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명 어셈블리는 외부 부분의 개구부를 통해 인공 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되도록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장착될 수 있다.
내부 부분은 양면 접착 테이프를 통해 외부 부분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외부 부분의 개구부 주위로 원주 방향으로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외부 부분과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내부 부분의 표면 사이의 공간을 밀봉하기 위한 양면 접착 테이프의 용도가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몸체, 탄성중합체 밀봉부, 및 부착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 부분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하우징 부분의 부착 개구부를 통해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를 더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는 하우징 부분을 몸체에 고정한다.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는 탄성중합체 밀봉부를 압축하는 힘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방법은 하우징 부분을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몸체에 위치 설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하우징 부분의 부착 개구부를 통해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로 하우징 부분을 몸체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이에 의해 탄성중합체 밀봉부가 압축된다.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는 하우징 부분을 몸체에 부착하는 역할을 한다. 동일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는 탄성중합체 밀봉부를 압축하는 역할을 한다.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의 이러한 이중 기능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신속하고 효율적인 조립을 가능하게 한다. 탄성중합체 밀봉부의 압축은 탄성중합체 밀봉부의 밀봉 기능을 가능하게 하거나 개선할 수 있다. 탄성중합체 밀봉부의 압축은, 하우징 부분을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로 몸체에 고정시킬 때 인가되는 과도한 힘을 흡수하여, 하우징 부분 또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몸체를 손상시킬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탄성중합체 밀봉부는 하우징 부분과 몸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압축될 수 있다.
탄성중합체 밀봉부는 하우징 부분과 몸체 사이에서 압축될 수 있다. 탄성중합체 밀봉부는 하우징 부분 및 몸체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와 접촉할 수 있다. 탄성중합체 밀봉부는 하우징 부분과 몸체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와 접촉하거나 접촉하지 않고 하우징 부분과 몸체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하우징 부분과 탄성중합체 밀봉부 사이에 하나 이상의 중간 요소가 있을 수 있다. 탄성중합체 밀봉부와 몸체 사이에 하나 이상의 중간 요소가 있을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중간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로부터 비롯된 힘의 탄성중합체 밀봉부로의 분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탄성중합체 밀봉부는 몸체를 향하는 하우징 부분의 측면 상에서 압축될 수 있다. 탄성중합체 밀봉부는 몸체로부터 먼 쪽을 향하는 하우징 부분의 측면 상에서 압축될 수 있다.
탄성중합체 밀봉부를 압축하는 힘은,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가 부착 개구부를 통해 연장되어 있는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탄성중합체 밀봉부 상에 (적어도 주로 또는 완전히) 작용할 수 있다. 힘은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에 의해 인가되는 힘일 수 있다. 탄성중합체 밀봉부의 압축은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가 부착 개구부를 통해 연장되어 있는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탄성중합체 밀봉부의 두께의 감소를 초래할 수 있다. 탄성중합체 밀봉부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이 부착 개구부를 통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의 연장 방향과 적어도 주로 평행한 경우, 힘은 특히 효율적인 방식으로 탄성중합체 밀봉부에 인가될 수 있다.
탄성중합체 밀봉부를 압축하는 힘은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가 부착 개구부를 통해 연장되어 있는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구성요소를 적어도 가질 수 있다. 힘은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에 의해 인가될 수 있다. 탄성중합체 밀봉부를 압축하는 힘은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가 부착 개구부를 통해 연장되어 있는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주 구성요소를 가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로 하우징 부분을 몸체에 고정할 때 탄성중합체 밀봉부의 압축은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가 부착 개구부를 통해 연장되어 있는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탄성중합체 밀봉부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는 나사일 수 있다. 나사는 탄성중합체 밀봉부를 압축하는 힘을 효율적으로 인가할 수 있게 한다.
탄성중합체 밀봉부는 O-링을 포함할 수 있다. 표현 "O-링"은 엄격하게 환형 형상을 갖는 O-링을 예로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용어 "O-링"은 직사각형 또는 타원형 프레임, 또는 상이한 형상의 프레임, 또는 불규칙하게 형상화된 프레임에 대응하는 형상을 또한 포함한다.
탄성중합체 밀봉부는 탄성중합체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는 탄성중합체 밀봉부의 개구부를 통해 관통할 수 있다. 개구부는, 예를 들어, 탄성중합체 층 내의 O-링 또는 구멍의 중앙 개구부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가 탄성중합체 밀봉부의 개구부를 관통하는 경우, 고정 요소는 탄성중합체 밀봉부를 특히 효율적인 방식으로 압축할 수 있다.
탄성중합체 밀봉부 내의 개구부는 탄성중합체 밀봉부가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를 관통하기 전에 존재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탄성중합체 밀봉부 내의 개구부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가 탄성중합체 밀봉부를 관통할 때,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탄성중합체 밀봉부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는 탄성중합체 밀봉부의 개구부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는 2개 이상의 제1 고정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중합체 밀봉부는 2개 이상의 고정 요소 사이에, 특히 적어도 본질적으로 2개 이상의 고정 요소 사이에 위치 설정될 수 있다.
하우징 부분은 탄성중합체 밀봉부를 둘러쌀 수 있다. 하우징 부분은 탄성중합체 밀봉부의 원주를 따라 탄성중합체 밀봉부를 둘러쌀 수 있다. 탄성중합체 밀봉부와 하우징 부분 사이의 접촉 선은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가 부착 개구부를 통해 연장되어 있는 방향에 수직인 평면에 포함된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탄성중합체 밀봉부와 접촉하는 하우징 부분의 밀봉 표면은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가 부착 개구부를 통해 연장되어 있는 방향에 평행할 수 있다.
탄성중합체 밀봉부의 압축은 하우징 부분의 밀봉 표면에 대한 탄성중합체 밀봉부의 압축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부분의 밀봉 표면은 하우징 부분의 커넥터 개구부를 둘러싸는 하우징 부분의 표면일 수 있다.
탄성중합체 밀봉부는 외부 커넥터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연결 포트 상에서 오버몰딩될 수 있다. 연결 포트는, 예를 들어 USB 포트, 데이터 포트, 및 충전 포트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연결 포트는 하우징 부분의 커넥터 개구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공될 수 있거나, 하우징 부분의 커넥터 개구부를 통해 접근 가능할 수 있다.
탄성중합체 밀봉부는 제1 탄성중합체 밀봉부 및 제2 탄성중합체 밀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중합체 밀봉부는 하우징 부분과 몸체 사이에서 압축될 수 있다. 제2 탄성중합체 밀봉부는 하우징 부분을 통한 개구부, 특히 커넥터 개구부를 정의하는 하우징 부분의 밀봉 표면에 대해 압축될 수 있다. 제1 탄성중합체 밀봉부는 고정 요소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제2 탄성중합체 밀봉부는 고정 요소에 의해 관통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탄성중합체 밀봉부는 연결 포트 상에서 오버몰딩될 수 있다.
하우징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로 몸체에 탈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하우징 부분을 제거하는 것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내부 구획부에 대한 접근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하우징 부분을 제거하는 것은 전자 부품에 대한 접근을 제공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는 하우징 부분이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로 몸체에 고정된 후에 하우징 부분을 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제거되거나 느슨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는 수동으로 제거되거나 느슨해질 수 있다. 하우징 부분이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로 몸체에 고정된 후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를 제거하거나 느슨하게 하면, 하우징 부분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손상시키지 않고, 특히 하우징 부분, 몸체 및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 중 하나 이상을 손상시키지 않고 몸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가 하우징 부분을 탈착 가능한 방식으로 몸체에 고정시키는 경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지속 가능성이 개선될 수 있다. 하우징 부분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유지보수 또는 수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몸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가 몸체로부터 하우징 부분을 분리 가능하도록 제거되거나 느슨해진 후, 하우징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로 몸체에 다시 고정될 수 있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는 수동으로 다시 적용되거나 다시 조여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하우징 부분 및 하우징 부분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인 몸체를 포함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연결 포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 포트는, 연결 포트와 외부 커넥터 사이에서 데이터 또는 전력 또는 둘 다를 전송하도록 외부 커넥터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연결 포트는 오버몰딩된 밀봉 부재를 포함한다. 오버몰딩된 밀봉 부재는 하우징 부분과 밀봉 접촉한다.
밀봉 부재가 연결 포트 상에서 오버몰딩됨에 따라, 연결 포트에 대한 밀봉 부재의 정확한 위치 설정이 보장될 수 있다. 또한, 연결 포트 상의 밀봉 부재를 오버몰딩하는 것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최종 조립 전에 밀봉 부재의 손실을 방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방지, 실질적으로 방지, 또는 완전히 방지하거나 저항할 수 있다. 밀봉 부재를 연결 포트 상에 오버몰딩하는 것은 밀봉 부재가 연결 포트에서 제 위치에 유지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밀봉 부재를 연결 포트 상에 오버몰딩하는 것은 밀봉 부재가 실제로 연결 포트와 밀봉 접촉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하우징 부분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외부 표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할 수 있지만, 반드시 그렇게 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하우징 부분 외부에 제공된 하나 이상의 코스메틱 커버와 같은 하나 이상의 추가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부분은 오버몰딩된 밀봉 부재를 원주 방향으로 둘러쌀 수 있다.
하우징 부분은 하우징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부착 개구부를 통해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에 의해 몸체에 부착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가 연장되어 있고 고정 요소에 의해 압축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중합체 밀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는 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오버몰딩된 밀봉 부재는 하우징 부분에 대해 압축될 수 있다. 특히, 오버몰딩된 밀봉 부재는 외부 커넥터가 연결 포트에 연결될 수 있는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하우징 부분에 대해 압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하우징 부분을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몸체에 고정하고 동시에 탄성중합체 밀봉부를 압축하기 위한 나사의 용도가 제공되어 있다. 나사에 의해 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공되는 힘은 하우징 부분을 몸체에 대해 제 위치에 유지할 뿐만 아니라, 탄성중합체 밀봉부를 압축하여 탄성중합체 밀봉부의 밀봉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축 방향을 따라 에어로졸 발생 장치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적어도 본질적으로 로드 형상일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때, 축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 발생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섹션은 에어로졸 발생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재료는 가열될 때 에어로졸을 방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재료는, 예를 들어 초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재료는, 예를 들어 담배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필터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 내에 삽입될 때, 필터 섹션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입에 접근 가능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가열 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 챔버는 로드 형상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열 챔버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에어로졸 발생 섹션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는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기 위해 가열 챔버 내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가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히터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에어로졸 발생 재료를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히터는 에어로졸 발생 재료를 연소시키지 않고, 에어로졸 발생 재료를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전자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부품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하우징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전자 부품은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축 방향에 수직인 임의의 반경 방향으로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치수는 축 방향을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치수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하우징 부분 및 제2 하우징 부분은 축 방향을 따라 서로 뒤에 배열될 수 있다. 제1 하우징 부분은 축 방향에 평행하게 제2 하우징 부분 내로 부분적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하우징 부분의 삽입부는 축 방향에 평행하게 제2 하우징 부분의 수용부 내로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냅-끼워 맞춤 연결은 축 방향에 대해 서로로부터 멀리 제1 하우징 부분과 제2 하우징 부분을 이동시킴으로써 제1 하우징 부분과 제2 하우징 부분의 분리에 대한 유지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측면에 따르면, 본원에 기재된 구현예, 측면, 또는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이 제공되어 있다.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은 또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포함하고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 발생 재료일 수 있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가열될 때, 에어로졸을 형성할 수 있는 휘발성 화합물을 방출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한 물품을 지칭한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담배의 플러그를 포함할 수 있다. 담배 플러그는 담배 잎, 담배 리브 조각, 재생 담배, 균질화 담배, 압출 담배, 및 팽화 담배 중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분말, 과립, 펠렛, 슈레드, 스파게티, 스트립, 또는 시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담배 플러그는 담배 플러그의 가열 시 방출되는 추가 담배 또는 비-담배 휘발성 향미 화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담배 플러그는, 또한, 예를 들어 추가 담배 또는 비-담배 휘발성 향미 화합물을 포함하는 캡슐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캡슐은 담배 플러그가 가열되는 동안 용융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이러한 캡슐은 담배 플러그가 가열되기 전, 가열되는 도중, 또는 가열된 후에 분쇄될 수 있다.
담배 플러그가 균질화 담배 재료를 포함하는 경우, 균질화 담배 재료는 미립자 담배를 응집시켜 형성될 수 있다. 균질화 담배 재료는 시트 형태일 수 있다. 균질화 담배 재료는 건조 중량 기준으로 5% 초과하는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가질 수 있다. 균질화 담배 재료는 대안적으로 건조 중량 기준으로 5 중량% 내지 30 중량%의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가질 수 있다. 균질화 담배 재료의 시트는 담배 잎몸 및 담배 잎자루 중 하나 또는 모두를 분쇄하거나 또는 곱게 빻아서 얻은 미립자 담배를 응집시켜 형성될 수 있으며;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균질화된 담배 재료의 시트는, 예를 들어 담배의 처리, 취급 및 출하 중에 생성되는 담배 가루, 담배 미분 및 다른 미립자 담배 부산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균질화 담배 재료의 시트는 미립자 담배를 응집시키는 것을 돕기 위해 담배 내인성 결합제인 하나 이상의 내재성 결합제, 담배 외인성 결합제인 하나 이상의 외재성 결합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균질화 담배 재료 시트는,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담배 및 비-담배 섬유, 에어로졸 형성제, 습윤제, 가소제, 향미제, 충전제, 수성 및 비수성 용매,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다른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균질화 담배 재료의 시트는, 미립자 담배 및 하나 이상의 결합제를 포함하는 슬러리를 컨베이어 벨트 또는 다른 지지면 상에 캐스팅하는 단계, 캐스팅된 슬러리를 건조시켜 균질화 담배 재료의 시트를 형성하는 단계 및 지지면으로부터 균질화 담배 재료의 시트를 제거하는 단계를 일반적으로 포함하는 유형의 캐스팅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대략 30 mm 내지 대략 100 mm의 총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대략 5 mm 내지 대략 13 mm의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담배 플러그의 하류에 위치된 마우스피스를 포함할 수 있다. 마우스피스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하류 말단에 위치될 수 있다. 마우스피스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 플러그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마우스피스는 길이가 대략 7 mm이지만, 대략 5 mm 내지 대략 10 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담배 플러그는 대략 10 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담배 플러그는 대략 12 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담배 플러그의 직경은 대략 5 mm 내지 대략 12 mm일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대략 40 mm 내지 대략 50 mm의 총 길이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대략 45mm의 총 길이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대략 7.2mm의 외경을 가진다.
본 개시는 다양한 측면, 구현예 및 실시예를 포함한다. 이들 측면, 구현예 및 실시예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개시된 특징, 장점 및 설명은 나머지 측면, 구현예 및 실시예 중 어느 하나와 조합되거나 이들에 전달될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은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조립하기에 적합하고, 적응되고, 구성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표현 "로드 형상"은 원형 단면을 갖는 로드 형상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로드 형상"은 또한, 예를 들어, 직사각형 단면, 또는 타원형 단면, 또는 삼각형 단면, 또는 불규칙 단면, 또는 임의의 다른 단면과 같은 다른 단면을 갖는 로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표현 "로드 형상"은 원통형 형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실린더의 베이스 표면은 원형 표면 또는 직사각형 표면, 또는 타원형 표면, 또는 삼각형 표면, 또는 불규칙 표면, 또는 임의의 다른 표면과 같은 임의의 다른 형상의 표면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청구범위에 정의된다. 그러나, 아래에 비제한적인 예의 비포괄적인 목록이 제공된다. 이들 예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특징은 본원에 기재된 다른 실시예, 구현예, 또는 측면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특징과 조합될 수 있다.
실시예 Ex1: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외부 표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상기 외부 표면의 제1 부분을 정의하는 제1 하우징 부분 및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상기 외부 표면의 제2 부분을 정의하는 제2 하우징 부분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하우징 부분은 제1 기계적 체결 특징부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2 하우징 부분은 제2 기계적 체결 특징부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기계적 체결 특징부 및 상기 제2 기계적 체결 특징부는 함께 작동해서 상기 제1 하우징 부분 및 상기 제2 하우징 부분을 서로에 대해 제자리에 유지시키고; 그리고
여기서 상기 제1 하우징 부분 및 상기 제2 하우징 부분은 접착제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2: 실시예 Ex1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계적 체결 특징부 및 상기 제2 기계적 체결 특징부는 스냅-끼워 맞춤 연결을 함께 형성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3: 실시예 Ex 1 또는 Ex2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계적 체결 특징부 및 상기 제2 기계적 체결 특징부 중 하나는 돌출 구조이고, 상기 제1 기계적 체결 특징부 및 상기 제2 기계적 체결 특징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돌출 구조를 수용하는 오목 구조인,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4: 실시예 Ex3에 있어서, 상기 돌출 구조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5: 실시예 Ex3 또는 Ex4에 있어서, 상기 돌출 구조는 후크 형상인,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6: 실시예 Ex1 내지 Ex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상기 제1 기계적 체결 특징부 및 상기 제2 기계적 체결 특징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7: 실시예 Ex1 내지 Ex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부분은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 부분은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삽입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8: 실시예 Ex7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상기 삽입부와 상기 수용부 사이에 제공되어 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9: 실시예 Ex7 또는 Ex8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상기 삽입부 및 상기 수용부와 접촉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10: 실시예 Ex7 내지 Ex1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계적 체결 특징부는 상기 삽입부에 제공되어 있고 상기 제2 기계적 체결 특징부는 상기 수용부에 제공되어 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11: 실시예 Ex1 내지 Ex1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상기 제1 하우징 부분과 상기 제2 하우징 부분 사이에 밀봉부를 제공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12: 실시예 Ex1 내지 Ex1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가열 챔버 및 히터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가열 챔버는 로드 형상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히터는 상기 가열 챔버 내의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13: 에어로졸을 발생 장치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 하우징 부분의 삽입부를 제2 하우징 부분의 수용부 내로 슬라이딩시켜 상기 제1 하우징 부분과 상기 제2 하우징 부분을 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단계 동안, 상기 제1 하우징 부분 및 상기 제2 하우징 부분은 스냅-끼워 맞춤 연결을 통해 서로 맞물리고;
여기서 상기 제1 하우징 부분의 상기 삽입부 및 상기 제2 하우징 부분의 상기 수용부 중 하나는 접착제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여 있고;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단계 동안, 상기 접착제는 상기 제1 하우징 부분의 상기 삽입부 및 상기 제2 하우징 부분의 상기 수용부 중 다른 하나와 체결로써, 상기 제1 하우징 부분과 상기 제2 하우징 부분 사이에 접착제 연결을 확립하는, 방법.
실시예 Ex14: 실시예 Ex13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단계는 상기 제1 하우징 부분의 상기 삽입부를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하우징 부분의 상기 수용부 내로 슬라이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스냅-끼워 맞춤 연결은 상기 삽입부 및 상기 수용부 중 하나에서의 돌출 구조가 상기 삽입부와 상기 수용부 중 다른 하나에서의 오목 구조 내로 탄성적으로 스냅핑됨으로써 확립되는, 방법.
실시예 Ex15: 실시예 Ex14에 있어서, 상기 돌출 구조의 스냅 동작은 상기 축 방향에 수직인 주요 구성요소를 갖는 방법.
실시예 Ex16: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제1 하우징 부분과 제2 하우징 부분 간의 스냅-끼워 맞춤 연결을 방수로 만들기 위한 접착제의 용도.
실시예 Ex17: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
제1 표면을 갖는 내부 부분;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외부 외관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하고 상기 제1 표면을 향하는 제2 표면을 갖는 하우징 부분으로서, 상기 하우징 부분은 개구부를 갖는, 상기 하우징 부분; 및
상기 하우징 부분의 상기 개구부를 완전히 둘러싸는 원주 주위에서 상기 제1 표면 및 상기 제2 표면 모두에 접착된 접착 테이프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18: 실시예 Ex17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 및 상기 제2 표면은 서로 평행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19: 실시예 Ex17 또는 Ex18에 있어서, 상기 내부 부분은 플라스틱 부분인,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20: 실시예 Ex17 내지 Ex1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내부 부분은 물에 대해 비투과성인,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21: 실시예 Ex17 내지 Ex2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내부 부분은 상기 하우징 부분의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22: 실시예 Ex17 내지 Ex2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내부 부분은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몸체와 상기 하우징 부분 사이에 제공되어 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23: 실시예 Ex22에 있어서, 상기 내부 부분은 상기 몸체와 밀봉 체결되어 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24: 실시예 Ex17 내지 Ex2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부분의 상기 개구부를 통해 접근 가능한 누름 버튼을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25: 실시예 Ex17 내지 Ex2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부분의 상기 개구부를 통해 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된 조명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26: 실시예 Ex17 내지 Ex2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접착 테이프의 형상은 상기 제1 표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27: 실시예 Ex17 내지 Ex2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접착 테이프는 양면 접착 테이프인,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28: 실시예 Ex17 내지 Ex2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접착 테이프는 0.05mm 내지 1mm, 또는 0.1mm 내지 1mm, 또는 0.1mm 내지 0.6mm, 또는 0.1mm 내지 0.4mm, 또는 0.1mm 내지 0.3mm의 두께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29: 실시예 Ex17 내지 Ex2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로드 형상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된 가열 챔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열 챔버 내의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히터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30: 에어로졸을 발생 장치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내부 부분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외부 부분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외부 부분은 개구부를 갖는, 단계;
양면 접착 테이프의 제1 접착면을 상기 내부 부분에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양면 접착 테이프의 제2 접착면을 상기 외부 부분의 상기 개구부를 둘러싸는 원주 주위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외부 부분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실시예 Ex31: 실시예 Ex30에 있어서, 상기 외부 부분을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몸체에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내부 부분은 상기 몸체와 밀봉 접촉하게 되는, 방법.
실시예 Ex32: 실시예 Ex30 또는 Ex31에 있어서, 상기 외부 부분의 상기 개구부를 통해 접근 가능하도록 누름 버튼을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장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실시예 Ex33: 실시예 Ex30 내지 Ex3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외부 부분의 상기 개구부를 통해 인공 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될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조명 어셈블리를 장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실시예 Ex34: 실시예 Ex30 내지 Ex3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내부 부분은 상기 양면 접착 테이프를 통해 상기 외부 부분에 부착되어 있는, 방법.
실시예 Ex35: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외부 부분과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내부 부분의 표면 사이의 공간을 상기 외부 부분의 개구부 주위에서 원주 방향으로 밀봉하기 위한 양면 접착 테이프의 용도.
실시예 Ex36: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서,
부착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 부분;
몸체;
탄성중합체 밀봉부; 및
상기 하우징 부분의 상기 부착 개구부를 통해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는 상기 하우징 부분을 상기 몸체에 고정하고; 그리고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는 상기 탄성중합체 밀봉부를 압축하는 힘을 발생시키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37: 에어로졸을 발생 장치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하우징 부분을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몸체에 위치 설정시키는 단계; 및
상기 하우징 부분의 부착 개구부를 통해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로 상기 하우징 부분을 상기 몸체에 고정시킴으로써, 탄성중합체 밀봉부가 압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실시예 Ex38: 실시예 Ex36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 또는 실시예 Ex37에 따른 방법으로서, 상기 탄성중합체 밀봉부는 상기 하우징 부분 및 상기 몸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압축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또는 방법.
실시예 Ex39: 실시예 Ex36 내지 Ex3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탄성중합체 밀봉부는 상기 몸체와 대면하는 상기 하우징 부분의 측면 상에서 압축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또는 방법.
실시예 Ex40: 실시예 Ex36 내지 Ex3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탄성중합체 밀봉부를 압축하는 힘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가 상기 부착 개구부를 통해 연장되어 있는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적어도 주로 작용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또는 방법.
실시예 Ex41: 실시예 Ex36 내지 Ex4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탄성중합체 밀봉부를 압축하는 힘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가 상기 부착 개구부를 통해 연장되어 있는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구성요소를 가지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또는 방법.
실시예 Ex42: 실시예 Ex36 내지 Ex4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는 나사인, 에어로졸 발생 장치 또는 방법.
실시예 Ex43: 실시예 Ex36 내지 Ex4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탄성중합체 밀봉부는 O-링 또는 탄성중합체 층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또는 방법.
실시예 Ex44: 실시예 Ex36 내지 Ex4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는 상기 탄성중합체 밀봉부 내의 개구부를 통해 관통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또는 방법.
실시예 Ex45: 실시예 Ex36 내지 Ex4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부분은 상기 탄성중합체 밀봉부를 둘러싸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또는 방법.
실시예 Ex46: 실시예 Ex36 내지 Ex4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탄성중합체 밀봉부는 외부 커넥터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연결 포트 상에 오버몰딩되어 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또는 방법.
실시예 Ex47: 실시예 Ex36 내지 Ex4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부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로 상기 몸체에 탈착식으로 고정되어 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또는 방법.
실시예 Ex48: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
하우징 부분;
상기 하우징 부분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인 몸체; 및
데이터 또는 전력 또는 둘 모두를 상기 연결 포트와 상기 외부 커넥터 사이에서 전송하도록 외부 커넥터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연결 포트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연결 포트는 상기 하우징 부분과 밀봉 접촉하고 있는 오버몰딩된 밀봉 부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49: 실시예 Ex48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부분은 상기 오버몰딩된 밀봉 부재를 원주 방향으로 둘러싸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50: 실시예 Ex48 또는 Ex49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부분은 상기 하우징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부착 개구부를 통해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에 의해 상기 몸체에 부착되어 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51: 실시예 Ex50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가 연장되고 상기 고정 요소에 의해 압축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중합체 밀봉부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52: 실시예 Ex50 또는 Ex5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는 나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53: 실시예 Ex48 내지 Ex5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오버몰딩된 밀봉 부재는 상기 하우징 부분에 대해 압축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54: 실시예 Ex48 내지 Ex5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로드 형상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된 가열 챔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열 챔버 내의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히터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55: 하우징 부분을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몸체에 고정하고 동시에 탄성중합체 밀봉부를 압축하기 위한 나사의 용도.
실시예 Ex56: 전술한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으로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이제, 구현예는 도면을 참조하여 추가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한 구현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보여주고 있고;
도 2는 한 구현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말단 캡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I-I로 표시된 섹션을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부분 개략적인 단면도를 보여주고 있고;
도 4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제2 하우징 부분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보여주고 있고;
도 5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제1 하우징 부분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보여주고 있고;
도 6은 제거된 제2 하우징 부분을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를 보여주고 있고;
도 7은 도 1에서 II-II로 표시된 섹션을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부분 개략적인 단면도를 보여주고 있고;
도 8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원위 말단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보여주고 있고;
도 9는 제거된 제1 코스메틱 커버 플레이트를 갖는 도 8의 도면을 보여주고 있고;
도 10은 제거된 제2 코스메틱 커버 플레이트를 갖는 도 9의 도면을 보여주고 있고;
도 11은 도 10의 도면의 섹션(도 10에서 III-III로 표시된 섹션)을 도시하며, 여기서 명확성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 요소는 보여주고 있지 않다;
도 12는 제거된 제1 하우징 부분을 갖는 도 10의 도면을 보여주고 있고;
도 13은 제거된 스페이서를 갖는 도 12의 도면을 보여주고 있다.
도 1은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기 위한 시스템(1)을 보여주고 있다. 시스템(1)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3) 및 에어로졸 발생 물품(5)을 포함하고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5)은 물품(5)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서로 뒤에 배열된 다수의 섹션을 포함하는 로드 형상 물품이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5)은 가열될 때 에어로졸을 방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재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섹션(7)을 포함한다. 재료는, 예를 들어 초본 재료, 특히 담배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5)은 필터를 포함하는 필터 섹션(9)을 더 포함한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5)은 에어로졸 발생 섹션(7)과 필터 섹션(9) 사이에 제공된 스페이서 섹션(11)을 더 포함한다. 스페이서 섹션(11)은 스페이서 섹션(11)을 통과하는 에어로졸이 필터 섹션(9)에 도달하기 전에 냉각되게 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5)의 섹션(7, 9, 11)은 종이 래퍼와 같은 래퍼로 포장함으로써 조합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3)는 원위 말단(13)과 근위 말단(15) 사이에서 축 방향(20)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핸드헬드 장치이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3)는 일반적으로 로드 형상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3)는 제1 하우징 부분(19) 및 제2 하우징 부분(21)을 갖는 하우징(17)을 포함하고 있다. 제1 하우징 부분(19) 및 제2 하우징 부분(21)은 축 방향(20)을 따라 서로 뒤에 배열되어 있다. 축 방향(20)을 따라 제1 하우징 부분(19)과 제2 하우징 부분(21) 사이에 중첩이 있을 수 있다. 제1 하우징 부분(19) 및 제2 하우징 부분(21)은 각각 에어로졸 발생 장치(3)의 외부 외관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할 수 있다. 제1 하우징 부분(19) 및 제2 하우징 부분(21)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3)의 하나 이상의 내부 구성 요소를 덮을 수 있다. 제1 하우징 부분(19)의 외부 표면 또는 제2 하우징 부분(21)의 외부 표면(또는 둘 모두)은 하나 이상의 선택적인 코스메틱 커버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일 수 있다. 제1 하우징 부분(19) 및 제2 하우징 부분(21)은 축 방향(20)에 대해 에어로졸 발생 장치(3)의 내부 구성 요소를 원주 방향으로 둘러싼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3)의 근위 말단(15)에서, 제2 하우징 부분(21)은 축 방향(20)으로 향하는 개구부를 포함한다. 근위 말단 캡(23)은 제2 하우징 부분(21)의 개구부 내에 삽입되고 근위 말단(15)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3)를 폐쇄한다. 근위 말단 캡(23)은 도 2에 별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그의 근위 말단(15)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3)를 통한 개략적인 단면도를 보여주고 있다. 섹션은 도 1의 I-I에 표시되어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3)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5)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된 가열 챔버(25)를 포함한다. 특히, 가열 챔버(25)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5)의 에어로졸 발생 섹션(7)을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열 챔버(25)는 축 방향(20)으로 연장되어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3)는 가열 챔버(25) 내에서, 에어로졸 발생 물품(5), 특히 그의 에어로졸 발생 섹션(7)을 가열하도록 구성된 히터(27)를 포함한다. 히터(27)는, 예를 들어, 가열 챔버(25)를 둘러싸는 하나 이상의 유도 코일을 포함할 수 있고, 유도 가열에 의해 에어로졸 발생 물품(5)의 에어로졸 발생 섹션(7)을 가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히터(27)는 전기 저항 히터 또는 가스 기반 히터일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3)는 가열-비연소 개념에 따라 작동할 수 있다. 히터(27)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5)의 에어로졸 발생 섹션(7)을 가열하여 에어로졸 발생 재료를 연소시키지 않고 에어로졸을 방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3)는 근위 말단(15)에 제공된 삽입 개구부(29)를 가지며, 축 방향(20)에 평행한 가열 챔버(25) 내로 에어로졸 발생 물품(5)의 삽입을 허용한다. 근위 말단 캡(23)은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된 슬라이더(31)를 포함한다. 도 1, 도 2 및 도 3은 슬라이더(31)의 폐쇄 위치를 보여주고 있다. 폐쇄 위치에서, 슬라이더(31)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3)의 삽입 개구부(29)를 덮는다. 사용자가 에어로졸 발생 물품(5)을 삽입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도 3에서 우측을 향해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슬라이더(31)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켜 삽입 개구부(29)를 드러낼 수 있다.
근위 말단 캡(23)은 근위 말단 캡(23)을 원주 방향으로 둘러싸는 말단 캡 O-링(33)의 형태인 밀봉부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단 캡 O-링(33)은 근위 말단 캡(23)의 원주 주위에서 제2 하우징 부분(21)의 내부 표면과 밀봉 접촉하여 근위 말단 캡(23)과 제2 하우징 부분(21) 사이의 계면에서 밀봉부를 제공한다. 말단 캡 O-링(33)은 근위 말단 캡(23) 상에 오버몰딩될 수 있다. 말단 캡 O-링(33)에 의해 제공된 밀봉부는 방수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 챔버(25)의 벽면과 에어로졸 발생 장치(3)의 다른 구성 요소 사이의 계면에 가열 챔버 O-링(35)이 제공되어 있다. 특히, 가열 챔버 O-링(35)은 가열 챔버(25)의 벽면과 근위 말단 캡(23)의 표면 사이의 계면에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가열 챔버 O-링(35)은 가열 챔버(25)의 벽면과 가열 챔버(25) 위에 제공된 팽창 챔버(37)의 벽면 사이의 계면에 제공될 수 있다. 가열 챔버 O-링(35)은 삽입 개구부(29)로 진입하는 액체, 또는 가열 챔버(25) 내에 발생된 에어로졸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3)의 특정 내부 구획부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제2 하우징 부분(21)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 5는 제1 하우징 부분(19)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보여주고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3)의 조립 시, 제1 하우징 부분(19) 및 제2 하우징 부분(21)이 조합되어 하우징(17)을 형성한다. 제1 하우징 부분(19)은 제2 하우징 부분(21)의 수용부(41) 내로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된 삽입부(39)를 포함한다. 삽입부(39)는 조립 후 제2 하우징 부분(21)을 향하는 제1 하우징 부분(19)의 말단에 제공되어 있다. 수용부(41)는 조립 후 제1 하우징 부분(19)과 향하는 제2 하우징 부분(21)의 말단에 제공되어 있다. 대안적으로, 삽입부(39)는 제2 하우징 부분(21)에 제공될 수 있고, 수용부(41)는 제1 하우징 부분(19)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하우징 부분(19)은 단차부(43)를 포함한다. 삽입부(39)는 축 방향(20)을 따라 단차부(43)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제1 하우징 부분(19)이 제2 하우징 부분(21) 내에 삽입될 때, 단차부(43)는 제2 하우징 부분(21)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정지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하우징 부분(21)은 그의 내부 표면 상에 림부(45)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41)는 림부(45)로부터 축 방향(20)에 대해 연장될 수 있다. 림부(45)는, 제1 하우징 부분(19)과 제2 하우징 부분(21)이 조합될 때, 삽입부(39)에 의해 맞물릴 정지부를 형성할 수 있다.
삽입부(39)가 수용부(41) 내에 삽입될 때, 삽입부(39)의 외부 표면(47)은 수용부(41)의 내부 표면(49)과 대면할 수 있다. 삽입부(39), 특히 삽입부(39)의 외부 표면(47), 및 수용부(41), 특히 수용부(41)의 내부 표면(49)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제1 하우징 부분(19) 및 제2 하우징 부분(21)이 조합되기 전에 접착제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덮인다. 접착제는 제1 하우징 부분(19)을 제2 하우징 부분(21)에 부착할 수 있다. 접착제는 삽입부(39), 특히 삽입부(39)의 외부 표면(47)과 수용부(41), 특히 수용부(41)의 내부 표면(49) 사이에 층을 형성할 수 있다. 접착제는 삽입부(39)와 수용부(41) 사이의 공간을 밀봉할 수 있다. 특히, 접착제는 방수 밀봉부를 제공할 수 있다.
돌출 구조(51)는 수용부(41)의 내부 표면(49) 상에 제공되어 있다. 오목 구조(53)는 삽입부(39)에 제공되어 있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오목 구조(53)는 삽입부(39) 내의 개구부이다. 대안적으로, 오목 구조(53)는, 예를 들어 삽입부(39)의 외부 표면(47)에 압입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제1 하우징 부분(19)과 제2 하우징 부분(21)을 조합할 때, 돌출 구조(51)는 오목 구조(5) 내로 스냅되어, 제1 하우징 부분(19)과 제2 하우징 부분(21) 사이에 스냅-끼워 맞춤 연결을 확립할 수 있다. 돌출 구조(51)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할 수 있다. 돌출 구조는 후크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돌출 구조(51)는 삽입부(39)의 외부 표면(47)에 제공될 수 있고, 오목 구조(53)는 수용부(41)에, 특히 수용부(41)의 내부 표면(49)에 제공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 부분(21)은 버튼 개구부(55) 및 광 개구부(57)를 포함한다. 도 1은 버튼 개구부(55)를 통해 접근 가능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3)의 버튼(59)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도 1은 광 개구부(57)를 통해 볼 수 있는 조명 어셈블리(61)를 보여주고 있다. 제2 하우징 부분(21)은 버튼 개구부(55) 주위로 그리고 광 개구부(57) 주위로 연장되어 있다. 버튼 개구부(55) 및 광 개구부(57)는 각각 축 방향(20)에 수직인 방향으로 제2 하우징 부분(21)을 통해 연장되어 있다.
도 6은 제거된 제2 하우징 부분(21)을 갖는 근위 말단(15)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3)의 일부를 보여주고 있다. 도 6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3)의 몸체(65)와 제2 하우징 부분(21) 사이에 제공되어 있는 내부 부분(63)을 보여주고 있다. 내부 부분(63)은 버튼(59)과 조명 어셈블리(61)를 원주방향으로 둘러싼다.
도 7은 도 1의 II-II에서 표시된 단면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 7은 내부 부분(63)이 버튼(59) 및 조명 어셈블리(61) 주위에서 몸체(65)의 외부 표면과 접촉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내부 부분(63)은 몸체(65)의 외부 표면과 밀봉 접촉할 수 있다. 내부 부분(63)은 플라스틱 부분일 수 있다. 내부 부분(63)은 물에 대해 비투과성일 수 있다. 내부 부분(63)은 제2 하우징 부분(21)을 향해 외측으로 그리고 몸체(65)로부터 멀리 향하는 표면(67)(제1 표면)을 포함한다. 내부 부분(63)의 외부 표면(67)(제1 표면)은 제2 하우징 부분(21)의 내부 표면(69)(제2 표면)에 평행할 수 있다. 내부 부분(63)의 외부 표면(67)(제1 표면)은 제2 하우징 부분(21)의 내부 표면(69)(제2 표면)에 본질적으로 평행하다. 양면 접착 테이프(71)가 내부 부분(63)과 제2 하우징 부분(21) 사이에 제공되어 있다. 양면 접착 테이프(71)의 제1 접착면(73)은 내부 부분(63)의 외부 표면(67)(제1 표면)에 접착되어 있다. 양면 접착 테이프(71)의 대향하는 제2 접착 표면(75)은 제2 하우징 부분(21)의 내부 표면(69)(제2 표면)에 접착되어 있다. 따라서, 양면 접착 테이프(71)는 내부 부분(63) 및 제2 하우징 부분(21) 둘 모두에 접착되거나 접합되어 있다.
양면 접착 테이프(71)는 버튼 개구부(55) 주위로 그리고 광 개구부(57) 주위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양면 접착 테이프(71)는 내부 부분(63)과 제2 하우징 부분(21) 사이에 밀봉부를 형성한다. 버튼 개구부(55)를 통해 진입하는 유체 또는 광 개구부(57)를 통해 진입하는 유체는 양면 접착 테이프(71)에 의해 에어로졸 발생 장치(3)의 내부 구획부 내로 흐르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7의 구현예에서, 조명 어셈블리(61)는 도광체(77) 및 광원(79)을 포함한다. 도광체(77)는 광원(79)에 의해 발생된 광을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광원(79)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LED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도광체(77) 및 광원(79) 둘 모두는 광 개구부(57)를 통해 외부로부터 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조명 어셈블리(61)는 광 개구부(57)를 통해 직접적으로 보이지 않을 수 있지만, 광 개구부(57)를 통해 인공 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접착 테이프(71)의 형상은 내부 부분(63)의 외부 표면(67)의 형상에 대응한다. 이는 내부 부분(63)과 제2 하우징 부분(21) 사이의 접착 강도를 개선할 수 있다. 그러나, 양면 접착 테이프(71)는 또한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양면 접착 테이프(71)는 버튼 개구부(55)를 원주방향으로 둘러싸는 제1 링 형상부, 및 광 개구부(57)를 원주방향으로 둘러싸는 제2 링 형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링 형상부 및 제2 링 형상부는 일체형 또는 개별 부분일 수 있다.
도 8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3)의 원위 말단(13)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보여주고 있다. 원위 말단(13)에서, 연결 포트(81)가 제공되어 있다. 연결 포트(81)는 연결 포트(81)와 외부 커넥터 사이에서 데이터 또는 전력 또는 둘 다를 전송하도록 외부 커넥터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장치(3)의 배터리는 연결 포트(81)를 통해 충전될 수 있다. 연결 포트(81)는 USB 연결 포트일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포트(81)는 제1 코스메틱 커버 플레이트(83) 내의 개구부를 통해 접근 가능하다. 제1 코스메틱 커버 플레이트(83)는 선택적인 부분이며, 점착 또는 다른 방법에 의해 제1 하우징 부분(19)에 부착될 수 있다.
도 9는 제거된 제1 코스메틱 커버 플레이트(83)를 갖는 도 8의 도면을 보여주고 있다. 제1 코스메틱 커버 플레이트(83) 아래에는, 제2 선택적인 코스메틱 커버 플레이트(85)가 있다. 제2 코스메틱 커버 플레이트(85)는 점착 또는 다른 방법에 의해 제1 하우징 부분(19)에 부착될 수 있다.
도 10은 제거된 제2 코스메틱 커버 플레이트(85)를 갖는 도 9의 도면을 보여주고 있다. 제2 코스메틱 커버 플레이트(85) 아래에서, 제1 하우징 부분(19)의 말단 표면(87)이 보이게 된다.
도 11은 도 10에서 III-III로 표시된 섹션을 갖는 단면도이다. 용이한 예시를 위해, 제1 하우징 부분(19), 연결 포트(81) 및 2개의 고정 요소(89)만이 도 11에 도시되어 있고, 임의의 다른 부분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특히, 에어로졸 발생 장치(3)의 다양한 내부 부분은 도 11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 형태의 2개의 고정 요소(89)는 제1 하우징 부분(19) 내의 각각의 부착 개구부(91)를 통해 연장되어 있다. 특히, 부착 개구부(91)는 제1 하우징 부분(19)의 말단 표면(87)에 제공되어 있다. 고정 요소(89)는 제1 하우징 부분(19)을 에어로졸 발생 장치(3)의 몸체(65)에 고정한다. 몸체(65)는 도 11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몸체(65)는 고정 요소(89)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스레드를 갖는 나사 개구부를 포함한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연결 포트(81)의 각 측면 상에 하나씩 2개의 고정 요소(89)가 있다. 연결 포트(81)는 제1 하우징 부분(19)의 말단 표면(87) 내의 커넥터 개구부(93)를 통해 접근 가능하다. 도 11에서 가장 잘 보이는 바와 같이, 연결 포트(81)는 제1 하우징 부분(19)의 커넥터 개구부(93) 내로 연장되어 있다. 연결 포트(81)는 제1 하우징 부분(19)의 제1 커넥터 개구부(93)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연결 포트(81) 상에 오버몰딩된 밀봉 부재(95) 형태의 탄성중합체 밀봉부는 제1 하우징 부분(19)의 밀봉 표면(97)과 접촉한다. 밀봉 표면(97)은 커넥터 개구부(93)를 정의하고 둘러싼다. 밀봉 부재(95)는 제1 하우징 부분(19)의 커넥터 개구부(93) 내로 연장되어 있는 연결 포트(81)의 일부의 완전한 원주에 걸쳐 연결 포트(81) 상에서 오버몰딩된다. 밀봉 부재(95)는 커넥터 개구부(93)의 전체 원주에 걸쳐, 제1 하우징 부분(19)의 밀봉 표면(97)과 접촉한다. 밀봉 부재(95)는 액체가 연결 포트(81)와 제1 하우징 부분(19) 사이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밀봉부를 제공한다. 밀봉 부재(95)는 제1 하우징 부분(19)과 연결 포트(81) 사이에서 압축된다. 밀봉 부재(95)는 축 방향(20)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제1 하우징 부분(19)과 연결 포트(81)의 밀봉 표면(97) 사이에서 압축된다.
도 12는 제거된 제1 하우징 부분(19)을 갖는 도 10의 도면에 대응한다. 스페이서(99)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3)의 몸체(65)와 제1 하우징 부분(19) 사이에 제공되어 있다. 특히, 스페이서(99)는 몸체(65)와 제1 하우징 부분(19)의 말단 표면(87) 사이에 제공되어 있다. 2개의 고정 요소(89)는 스페이서(99) 내의 개구부를 통해 연장되어 있다. 스페이서(99) 내의 개구부는 제1 하우징 부분(19) 내의 부착 개구부(91)와 동축이다.
도 13은 제거된 스페이서(99)를 갖는 도 12의 도면에 대응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3)의 몸체(65)와 스페이서(99) 사이에는, 탄성중합체 밀봉층(101)이 있다. 고정 요소(89)는 탄성중합체 밀봉 부재(101) 내의 개구부를 통해 연장되어 있다. 탄성중합체 밀봉 부재(101) 내의 개구부는 스페이서(99) 내의 개구부 및 제1 하우징 부분(19) 내의 부착 개구부(91)와 동축이다. 고정 요소(89)가 조여질 때, 제1 하우징 부분(19)은 스페이서(99)의 외부 표면에 대해 가압된다. 스페이서(99)는 차례로 몸체(65)에 대해 탄성중합체 밀봉 층(101)을 가압함으로써, 몸체(65)와 제1 하우징 부분(19) 사이에서 탄성중합체 밀봉 층(101)을 압축한다. 탄성중합체 밀봉 층(101)은 몸체(65)와 스페이서(99) 사이에 밀봉부를 형성할 수 있다. 밀봉부는 부착 개구부(91)를 통해 진입하는 액체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3)의 내부 구획부 내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페이서(99)는 탄성중합체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요소(89)가 조여질 때, 스페이서(99)는 제1 하우징 부분(19)에 대해 가압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적어도 고정 요소(89) 주위에서 제1 하우징 부분(19)과 스페이서(99) 사이에 밀봉부를 확립한다.
스페이서(99) 및 탄성중합체 밀봉 부재(101)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스페이서(99) 및 탄성중합체 밀봉 부재(101) 중 하나는 생략될 수 있고, 스페이서(99) 및 탄성중합체 밀봉 부재(101) 중 다른 하나는, 예를 들어 몸체(65)와 제1 하우징 부분(19) 사이에서 직접 압축될 수 있다.
본 설명 및 첨부된 청구범위의 목적을 위해, 달리 표시된 경우를 제외하고, 양, 수량, 백분율 등을 표현하는 모든 숫자는 모든 경우에 용어 "약"에 의해 수식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모든 범위는 개시된 최대 및 최소 지점을 포함하고, 본원에서 구체적으로 열거될 수 있거나 열거되지 않을 수 있는 임의의 중간 범위를 그 안에 포함한다. 따라서, 이러한 맥락에서, 숫자 A는 A ± A의 {10%}로서 이해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숫자 A는 숫자 A가 수정하는 특성의 측정을 위한 일반적인 표준 에러 내에 있는 수치 값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첨부된 청구범위에 사용된 일부 경우에, A가 벗어나는 양이 청구된 발명의 기본 및 신규한 특징(들)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면, 숫자 A는 위에서 열거된 백분율만큼 벗어날 수 있다. 또한, 모든 범위는 개시된 최대 및 최소 지점을 포함하고, 본원에서 구체적으로 열거될 수 있거나 열거되지 않을 수 있는 임의의 중간 범위를 그 안에 포함한다.

Claims (15)

  1.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외부 표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상기 외부 표면의 제1 부분을 정의하는 제1 하우징 부분 및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상기 외부 표면의 제2 부분을 정의하는 제2 하우징 부분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하우징 부분은 제1 기계적 체결 특징부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2 하우징 부분은 제2 기계적 체결 특징부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기계적 체결 특징부 및 상기 제2 기계적 체결 특징부는 함께 작동해서 상기 제1 하우징 부분 및 상기 제2 하우징 부분을 서로에 대해 제자리에 유지시키고; 그리고
    여기서 상기 제1 하우징 부분 및 상기 제2 하우징 부분은 접착제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계적 체결 특징부 및 상기 제2 기계적 체결 특징부는 스냅-끼워 맞춤 연결을 함께 형성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계적 체결 특징부 및 상기 제2 기계적 체결 특징부 중 하나는 돌출 구조이고, 상기 제1 기계적 체결 특징부 및 상기 제2 기계적 체결 특징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돌출 구조를 수용하는 오목 구조인, 에어로졸 발생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구조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구조는 후크 형상인, 에어로졸 발생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상기 제1 기계적 체결 특징부 및 상기 제2 기계적 체결 특징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부분은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 부분은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삽입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상기 삽입부와 상기 수용부 사이에 제공되어 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상기 삽입부 및 상기 수용부와 접촉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계적 체결 특징부는 상기 삽입부에 제공되어 있고, 상기 제2 기계적 체결 특징부는 상기 수용부에 제공되어 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상기 제1 하우징 부분과 상기 제2 하우징 부분 사이에 밀봉부를 제공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12.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1 하우징 부분의 삽입부를 제2 하우징 부분의 수용부 내로 슬라이딩시켜 상기 제1 하우징 부분과 상기 제2 하우징 부분을 조합하여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하우징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단계 동안, 상기 제1 하우징 부분 및 상기 제2 하우징 부분은 스냅-끼워 맞춤 연결을 통해 서로 맞물리고;
    여기서 상기 제1 하우징 부분의 삽입부 및 상기 제2 하우징 부분의 수용부 중 하나는 접착제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여 있고;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단계 동안, 상기 접착제는 상기 제1 하우징 부분의 삽입부 및 상기 제2 하우징 부분의 수용부 중 다른 하나와 체결해서, 상기 제1 하우징 부분과 상기 제2 하우징 부분 사이에 접착제 연결을 확립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단계는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하우징 부분의 삽입부를 상기 제2 하우징 부분의 수용부 내로 슬라이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냅-끼워 맞춤 연결은 상기 삽입부 및 상기 수용부 중 하나에서의 돌출 구조가 상기 삽입부와 상기 수용부 중 다른 하나에서의 오목 구조 내로 탄성적으로 스냅핑됨으로써 확립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구조의 스냅 동작은 상기 축 방향에 수직인 주요 구성요소를 갖는, 방법.
  15.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제1 하우징 부분과 제2 하우징 부분 간의 스냅-끼워 맞춤 연결을 방수로 만들기 위한 접착제의 용도.
KR1020237034919A 2021-03-19 2022-03-18 스냅-끼워 맞춤 연결 및 접착제에 의해 연결된 하우징 부분을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202301585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163594 2021-03-19
EP21163594.1 2021-03-19
PCT/EP2022/057134 WO2022195067A1 (en) 2021-03-19 2022-03-18 Aerosol-generating device with housing parts connected by snap-fit connection and adhesiv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8537A true KR20230158537A (ko) 2023-11-20

Family

ID=75111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4919A KR20230158537A (ko) 2021-03-19 2022-03-18 스냅-끼워 맞춤 연결 및 접착제에 의해 연결된 하우징 부분을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40099370A1 (ko)
EP (1) EP4307939A1 (ko)
JP (1) JP2024510473A (ko)
KR (1) KR20230158537A (ko)
CN (1) CN117119918A (ko)
BR (1) BR112023018615A2 (ko)
IL (1) IL305871A (ko)
WO (1) WO2022195067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75558B2 (en) * 2014-02-03 2020-03-03 Rai Strategic Holdings, Inc. Aerosol delivery device comprising multiple outer bodies and related assembly method
EP3487328A1 (en) * 2016-07-22 2019-05-29 Nicoventures Holdings Limited Storage case
CN208160037U (zh) * 2018-03-25 2018-11-30 深圳市红威国际实业有限公司 一种防水防漏油电子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95067A1 (en) 2022-09-22
BR112023018615A2 (pt) 2023-10-24
US20240099370A1 (en) 2024-03-28
JP2024510473A (ja) 2024-03-07
IL305871A (en) 2023-11-01
CN117119918A (zh) 2023-11-24
EP4307939A1 (en) 2024-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78283B1 (en) Tobacco heating device
KR102146440B1 (ko) 카트리지 및 이를 적용한 전자 담배
CN113163865A (zh) 具有改善的连接性、气流和气溶胶路径的气溶胶递送装置
CN109924546B (zh) 电池装置及带有该电池装置的电子烟
KR20170088987A (ko) 흡연 가능 재료용 장치용 디바이스
CN107772543B (zh) 一种电子烟用的自动点烟模块及应用该模块的电子烟
KR20230158537A (ko) 스냅-끼워 맞춤 연결 및 접착제에 의해 연결된 하우징 부분을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20230160293A (ko) 압축 탄성중합체 밀봉부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20230159469A (ko) 밀봉된 개구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EP3871525A1 (en) Suction device
CN110754698B (zh) 混吸型电子烟及其加热方法
CN109512034B (zh) 烟具及其安装方法
CN218898363U (zh) 电子烟具
CN215303046U (zh) 一种平衡式电子烟烟弹
EP4316203A1 (en) Heater assembly having a sealed airflow pathway
US20240148071A1 (en) Aerosol-generating device with venting means
EP3871533A1 (en) Heating assembly and flavor inhaler provided with same
CN111602863A (zh) 电子烟的供电组件及电子烟
CN220800043U (zh) 一种安装壳及其电子烟
CN210726696U (zh) 一种一次性烟嘴套
WO2023233123A2 (en) Delivery device
WO2023233122A1 (en) Delivery device
KR20230159520A (ko) 공동을 갖는 커버 요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20230165796A (ko) 패스너를 갖는 히터 조립체
CN117320578A (zh) 气溶胶生成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