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7784A -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7784A
KR20230157784A KR1020220057415A KR20220057415A KR20230157784A KR 20230157784 A KR20230157784 A KR 20230157784A KR 1020220057415 A KR1020220057415 A KR 1020220057415A KR 20220057415 A KR20220057415 A KR 20220057415A KR 20230157784 A KR20230157784 A KR 20230157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wireless device
video
display uni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7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상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57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7784A/ko
Publication of KR20230157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77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40Refriger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electrical wi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도어 바디와, 상기 도어 바디 전면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패널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패널 어셈블리는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고, 상기 캐비닛 일측에는, 영상 정보를 전달하는 영상 컨트롤러와, 상기 영상 컨트롤러와 연결되어 상기 영상 정보를 송신하는 메인 무선 장치를 포함하는 컨트롤부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에는 상기 메인 무선 장치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도어부 무선 장치와, 상기 도어부 무선 장치로부터 영상 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제어하는 영상처리 피시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최근의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일례로, 최근의 냉장고는 사용자의 편의 및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도어 중 어느 하나에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한편, 냉장고 도어에 다양한 전장부품들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들 전장부품들의 전원공급 및 통신을 위한 케이블이 도어로부터 본체로 안내되는 구조가 필요하다.
특히, 냉장고 도어에 별도의 영상이 출력되는 장치를 부착할 경우에는 전원선과 이를 제어하는 신호선을 연결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하지만 최근에는 도어의 두께가 얇아지고, 주변 가구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즉 빌트인화 되면서 힌지 공간이 줄어들게 됨에 따라, 힌지축을 통해 안내될 수 있는 전선의 수 또는 전선의 직경이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힌지 공간의 제한으로, 도어에 배치될 수 있는 영상출력장치의 개수 또한 제한되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복수개의 도어 각각에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도어에 구비된 복수개의 디스플레이부가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영상을 정확하게 구현 가능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부에 전원 또는 영상신호를 유선으로 공급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영상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근거리 무선장치로 송수신하되, 영상제어신호와 함께 영상출력시간을 함께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도어 바디와, 상기 도어 바디 전면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패널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패널 어셈블리는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고, 상기 캐비닛 일측에는, 영상 정보를 전달하는 영상 컨트롤러와, 상기 영상 컨트롤러와 연결되어 상기 영상 정보를 송신하는 메인 무선 장치를 포함하는 컨트롤부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에는 상기 메인 무선 장치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도어부 무선 장치와, 상기 도어부 무선 장치로부터 영상 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제어하는 영상처리 피시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장 공간은 복수개로 구획되어 형성되고, 상기 도어는, 상기 구획된 저장 공간을 각각 개폐할 수 있도록 복수개로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도어들 중에서 적어도 2이상의 도어 각각에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영상 정보가 출력되는 영상 재생시간을 상기 도어부 무선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영상처리 피시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도어부 무선장치로부터 전달받은 영상 재생시간에 상기 영상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영상 재생시간은 상기 영상처리 피시비가 영상 정보를 전달받은 현재 시간 보다 이후의 시간인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저장 공간은 제1 저장 공간과, 제2 저장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제1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제1 도어와, 상기 제2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제2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어 전면에는 제1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도어 전면에는 제2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 도어에는, 상기 메인 무선 장치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제1 도어부 무선장치와, 상기 제1 도어부 무선 장치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영상을 제어하는 제1 영상처리 피시비가 구비되며, 상기 제2 도어에는, 상기 메인 무선 장치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제2 도어부 무선장치와, 상기 제2 도어부 무선 장치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영상을 제어하는 제2 영상처리 피시비가 구비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제1 영상 정보와, 상기 제1 영상 정보가 출력되는 제1 영상 재생시간을 상기 제1 도어부 무선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제2 영상 정보와, 상기 제2 영상정보가 출력되는 제2 영상 재생시간을 상기 제2 도어부 무선 장치에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 영상처리 피시비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1 영상정보를 상기 제1 영상재생시간에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영상처리 피시비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2 영상정보를 상기 제2 영상재생시간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 영상재생시간과 상기 제2 영상재생시간은 상기 제1 영상처리 피시비와 상기 제2 영상처리 피시비가 각각 제1 영상정보와 제2 영상정보를 전달받은 현재 시간 보다 이후인 것이 가능하다.
상기 메인 무선 장치와 상기 도어부 무선 장치는 와이파이(WiFi) 모듈인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는,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가 회전되도록 상기 도어와 상기 캐비닛 상면을 연결하며, 상기 도어에 삽입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축이 되는 힌지핀을 포함하는 힌지;를 포함하며, 상기 캐비닛 일측에는, 메인 피시비와 영상 정보를 전달하는 영상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컨트롤부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는, 도어 바디와, 상기 도어 바디 상단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힌지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힌지 장착부; 상기 힌지 상방에서 상기 힌지를 차폐하고, 힌지 커버홀이 형성된 힌지 커버; 상기 도어 바디 전면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 전면 외관을 형성하고,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패널 어셈블리;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상 출력을 제어하는 영상처리 피시비;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장착부는 상면에는 일부가 개구되어 전선이 통과하는 상면 개구가 형성되고, 하면에는 상기 힌지 핀이 삽입되는 힌지 홀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 내부의 전장부품과 연결된 전선들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상면 개구를 통과하여 상기 컨트롤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면 개구와, 상기 힌지 홀은 동일 연장선 상에 위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힌지 커버는, 상기 컨트롤부를 향하여 일면이 개구되고, 상기 상면 개구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전선이 통과하는 힌지커버 홀을 포함하며, 상기 상면 개구를 통과한 전선은 상기 힌지커버 홀을 통과하여 상기 힌지 커버의 개구된 일면으로 안내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 바디 상면을 형성하는 어퍼 캡데코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 캡데코는, 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영상처리 피시비가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영상처리 피시비와 연결된 전선이 안내되는 전선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전선 안내부를 통과한 전선은 상기 상면 개구를 통과하여 상기 컨트롤부와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제어방법은,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며, 상기 캐비닛 일측에는 영상 정보를 전달하는 영상 컨트롤러와, 상기 영상 정보를 송신하는 메인 무선 장치를 포함하는 컨트롤부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에는 상기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도어부 무선 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상출력을 제어하는 영상처리 피시비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정보와 영상 재생시간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정보와 영상 재생시간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재생 시간에 상기 영상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영상 정보와 영상 재생시간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컨트롤러가 상기 영상 정보와 영상 재생시간을 상기 메인 무선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무선장치가 수신된 영상 정보와 영상 재생시간을 상기 도어부 무선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영상 정보와 영상 재생시간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도어부 무선 장치가 수신된 영상 정보와 영상 재생시간을 상기 영상처리 피시비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영상 재생시간에 상기 영상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는, 현재 시간이 상기 영상 재생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대기하는 단계 및 현재 시간이 상기 영상 재생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영상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현재 시간은 상기 메인 무선 장치 또는 상기 도어부 무선 장치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따른 가전기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는 복수개의 도어 각각에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신호를 무선으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부와 도어 내부의 전장부품 간 연결에 필요한 전선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영상 컨트롤러는 영상 정보와 영상이 재생되는 시간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디스플레이부는 영상 재생 시간에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디스플레이부는 동시간에 수신한 영상 정보를 재생하여, 각각의 디스플레이부간 재생 시차 발생 없이 동시에 영상을 출력하거나, 설정된 시나리오를 가지는 영상을 출력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는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선을 힌지홀을 우회하여 컨트롤부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추가적인 부품을 최소화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4은 상기 냉장고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 도어의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신호의 송수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영상 출력을 위한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도 8은 상기 캐비닛 상부의 탑 커버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도어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전선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어 단면을 보인 절개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기 컨트롤부와 도어 내부의 전장부품과의 전선 연결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상기 컨트롤부와 도어 내부의 전장부품과의 전선 연결을 설명하기 위해 상기 캐비닛을 상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설명에 앞서 방향을 정의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 1에서 보이는 캐비닛을 기준으로 도어를 향하는 방향을 전방, 도어를 기준으로 캐비닛을 향하는 방향을 후방 그리고, 냉장고가 설치되는 바닥면을 향하는 방향을 하방, 그리고 바닥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상방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 1을 기준으로 냉장고를 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기준으로 좌측 방향과, 우측 방향을 정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이 구비된 캐비닛(10)과,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공간은, 복수개로 구획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공간은 베리어에 의해 상하 또는 좌우로 구획될 수 있으며, 복수의 저장공간 각각에는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20)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캐비닛(10)은 제1 저장공간과, 제2 저장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저장공간은 냉장실이 형성되고, 제2 저장공간은 냉동실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저장공간 각각은 제1 도어와 제2 도어에 의해 독립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캐비닛(10)의 내부는 베리어에 의해 상하로 구획될 수 있다. 캐비닛(10)의 상부에는 냉장실(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의 상면에는 상기 냉장고(1)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부(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부(14)는 상기 냉장고(10)의 냉각 운전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부(14)는 도어(20)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부(31)의 화면 출력을 위한 전장부품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부 도어(20)와 하부 도어(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도어(20)는 상기 냉장실(12)의 개구된 전면을 회동에 의해 개폐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 도어(22)는 상기 냉동실(13)의 개구된 전면을 회동에 의해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도어(20)는 좌우 한쌍이 구비되어 한쌍의 도어에 의해 상기 냉장실(12)이 차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도어(21)는 좌측 상부 도어(21a)와 우측 상부 도어(21b)가 나란히 한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좌측 상부 도어(21a)와 우측 상부 도어(21b)는 독립적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냉장실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도어(22)는 좌우 한쌍이 구비되어 한쌍의 도어에 의해 상기 냉동실(13)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도어(22) 또한, 좌측 하부 도어(22a)와 우측 하부 도어(22b)가 나란하게 한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좌측 하부 도어(22a)와 우측 하부 도어(22b)는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되어 냉동실(13)을 개폐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냉동실 도어(30)는 필요에 따라서 서랍식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하단과 상기 냉동실 도어(30)의 상단에는 함몰된 손잡이 홈(201,30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홈(201,301)에 사용자가 손을 넣어서 상기 냉장실 도어(20) 또는 냉동실 도어(30)를 개폐 조작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냉장실이 상방에 배치되고 냉동실이 하방에 배치되는 구조의 냉장고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냉장고의 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도어가 구비되는 모든 타입의 냉장고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도어(20)는 닫힌 상태에서 상기 냉장고(1)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도어(20) 각각에는 디스플레이부(31)가 구비되어, 설정된 화면을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각각의 디스플레이부(31)는 동일한 영상을 동시에 재생할 수 있으며, 또는 각각의 디스플레이부(31)는 서로 다른 영상을 동시에 각각 재생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31) 각각이 영상의 일부분만을 표시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부(31)가 일정한 영상 전체를 재생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31)는 냉장고의 동작 상태를 외부로 표시하거나, 저장실 내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 도어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은 상기 냉장고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20)는 도어의 전면에는 패널 어셈블리(3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도어(20)의 전체적인 형태를 형성하는 도어 바디(40)와, 도어(20)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패널 어셈블리(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도어 바디(40) 전면에 패널 어셈블리(30)가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어 바디(40)는 패널 어셈블리(30)가 장착되는 바디 플레이트(41)와, 도어(20)의 후면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4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바디(40)는 좌우 양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데코(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데코(44)는 바디 플레이트(41)와 도어 라이너(42)의 좌우 양 측단을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도어 바디(40)는 도어 바디(40)의 상면과 하면을 각각 형성하는 어퍼 캡데코(43)와 로어 캡데코(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바디(40)는 상기 바디 플레이트(41)와, 도어 라이너(42), 사이드 데코(44), 어퍼 캡데코(43) 및 로어 캡데코(45)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 플레이트(41)와, 도어 라이너(2), 사이드 데코(44), 어퍼 캡데코(43) 및 로어 캡데코(45)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도어 바디(40) 내부의 공간에는 단열재(400)가 채워질 수 있으며, 상기 도어(20)를 통해서 열전달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단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도어 바디(40) 전면에는 전방으로 개구되어 패널 어셈블리(30)가 수용되는 공간(4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사이드 데코(44)와 어퍼 캡데코(43) 및 로어 캡데코(45)의 전단은 상기 바디 플레이트(41)의 전면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되어, 패널 수용 공간(41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패널 수용 공간(410)은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의 크기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패널 어셈블리(30)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의 둘레는 상기 패널 수용 공간(410)의 둘레면, 즉, 상기 사이드 데코(44)와 어퍼 캡데코(43) 및 로어 캡데코(45)의 돌출된 부분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3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도어 바디(40)의 전면과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패널 어셈블리(30)가 상기 도어 바디(40)의 전면에 장착되면, 상기 패널 어셈블리(30)는 상기 도어 바디(40)의 전면을 차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패널 어셈블리(30)는 상기 도어(2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30)는 상기 상부 도어(21) 및 하부 도어(22) 각각에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패널 어셈블리(30)는 일례로, 상기 좌측 상부 도어(21a), 우측 상부 도어(21b), 좌측 하부 도어(22a) 및 우측 하부 도어(22b) 전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패널 어셈블리(30)들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는 영상이 출력되거나, 냉장고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작적으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31)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1)는 상기 복수개의 도어(20)들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바람직하게는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디스플레이부(31)로 구성된 패널 어셈블리(30)는, 상기 좌측 상부 도어(21a)와 우측 상부 도어(21b) 각각에 장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1)로 구성된 패널 어셈블리(30)는 상기 좌측 하부 도어(22a)와 우측 하부 도어(22b) 각각에 패널 어셈블리(30)가 장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1)로 구성된 패널 어셈블리(30)는 상기 좌측 상부 도어(21a)와 좌측 하부 도어(22a) 각각에 장착되거나, 상기 우측 상부 도어(21b)와 우측 하부 도어(22b) 각각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필요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31)로 구성된 패널 어셈블리(30)가 단일의 도어(20)에 장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영상이 출력되는 패널 어셈블리(30)는 상기 복수개의 도어(20)들 중에서 적어도 2개 이상의 도어(20)에 장착되어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좌측 상부 도어(21a)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를 제1 디스플레이부(31a)라 부를 수 있다.
상기 우측 상부 도어(21b)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를 제2 디스플레이부(31b)라 부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좌측 하부 도어(22a)와 우측 하부 도어(22b)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를 각각 제3 디스플레이부(31c), 제4 디스플레이부(31d)라 부를 수 있다.
그리고, 제1 디스플레이부(31a), 제2 디스플레이부(31b), 제3 디스플레이부(31c) 및 제4 디스플레이부(31d) 각각은 동일한 영상을 동시에 출력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는, 제1 디스플레이부(31a), 제2 디스플레이부(31b), 제3 디스플레이부(31c) 및 제4 디스플레이부(31d) 각각은 서로 다른 영상을 동시에 출력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즉, 제1 디스플레이부(31a), 제2 디스플레이부(31b), 제3 디스플레이부(31c) 및 제4 디스플레이부(31d)에서 출력되는 화면은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패널 어셈블리(30)는 영상이 출력되는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3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RT(Cathode Ray Tube)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복수개의 냉장고 도어 각각에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31)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디스플레이부(31)는 각각 동일한 영상을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출력되거나, 서로 다른 영상을 동시 또는 이시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30)가 상기 도어 바디(40)에 장착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례로, 상기 패널 어셈블리(30)는 필요에 따라 도어 전면에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도어 바디(40)는 상기 도어(20)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된 전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 어셈블리(30)가 상기 도어 바디(40)의 전면부에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부(31)에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 및 수신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 도어의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신호의 송수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1)는 냉장고(1)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부(14)를 포함한다. 상기 컨트롤부(14)는 제어부라고도 부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는 냉장고(1)의 냉각 운전은 물론, 디스플레이부의 영상 또는 화면 출력을 위한 전장부품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4)는 상기 캐비닛(10)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는 냉동 사이클을 비롯한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피시비(14a)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메인 피시비(14a)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1)의 영상 정보를 송신하는 영상 컨트롤러(16)와 연결되어, 상기 영상 컨트롤러(16)의 영상 정보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피시비(14a)는 상기 영상처리 피시비(17)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 피시비(17)는 상기 메인 피시비(14a)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메인 피시비(14a)는 상기 도어부 무선장치(18)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도어부 무선장치(18)는 상기 메인 피시비(14a)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메인 피시비(14a)에는 음성의 출력을 위한 스피커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피시비(14a)에는 외부 기기 및 서버와 통신을 위한 별도의 통신 모듈과도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은 메인 피시비(14a)와 영상처리 피시비(17), 스피커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정보 전달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는 메인 피시비(14a)와 연결되어, 영상 정보를 제어하는 영상 컨트롤러(16)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0) 상면에는 영상 컨트롤러(1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영상 컨트롤러(16)는 상기 메인 피시비(14a)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영상 컨트롤러(16)는 상기 메인 무선장치(15)와 연결되어, 메인 무선장치(15)로 영상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는 영상 정보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메인 무선장치(15)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무선장치(15)는 상기 캐비닛(10)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영상 컨트롤러(16)와, 상기 메인 무선장치(15)는 상기 메인 피시비(14a)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 피시비(14a)와 상기 영상 컨트롤러(16)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71)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피시비(14a)와 상기 영상 컨트롤러(16)는 영상정보를 송수신 하는 신호선(73)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영상 컨트롤러(16)는 영상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영상 신호를 메인 무선장치(15)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영상 컨트롤러(16)와 메인 무선장치(15)는 유선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달리 설명하면, 상기 영상 컨트롤러와 상기 메인 무선장치(15)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76)과, 영상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선(77)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무선장치(15)와 도어부 무선장치(18)는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로, 상기 영상 신호를 무선을 전달할 수 있는 장치이면 제한되지 않는다. 일례로, 상기 메인 무선장치 및 도어부 무선장치는 WiFi((wireless fidelity), 또는 BT(BlueTooth)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영상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 용량을 고려하였을 때, 무선장치로 WiFi 모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 또는 대체적으로, 상기 메인 무선장치 및 도어부 무선장치는 네트워크(예: 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AN(Wire Area Network), Telecommunication Network, Cellular Network, Satellite Network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와 연결시키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예: LAN card) 또는 모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무선장치(15)는 상기 영상 컨트롤러(16)에서 수신한 영상 신호를 상기 도어부 무선장치(18)로 전송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메인 무선장치(15)와 상기 도어부 무선장치(18)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무선장치(15)와 상기 도어부 무선장치(18)의 연결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통해 상기 도어부 무선장치(18)에 대한 정보((MAC 주소 등의 기기 정보) 등을 확인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를 통해 디스플레이부(31)에 표기되는 QR 코드 또는 BAR 코드 등을 촬영하면, 상기 메인 무선장치(15)와 상기 도어부 무선장치(18) 간의 MAC 주소(Mac-Address가 확인되면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무선장치(15)는 무선 통신(75)을 통해 상기 영상 신호를 상기 도어부 무선장치(18)로 실시간 송출할 수 있다.
상기 도어부 무선장치(18)는 상기 도어(2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부 무선장치(18)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1)가 구비된 도어(20)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 무선장치(15)에서 송신된 영상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부 무선장치(18)는 수신된 영상정보를 상기 영상처리 피시비(17)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도어부 무선장치(18)는 상기 메인 피시비(14a)와 전원 케이블(62)에 의해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도어부 무선장치(18)는 상기 영상처리 피시비(17)와 영상정보를 송수신하는 신호선(74)으로 연결되어, 수신된 영상정보를 상기 영상처리 피시비(17)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 피시비(17)와 상기 도어부 무선장치(18)는 상기 도어(20)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 피시비(17)와 상기 도어부 무선장치(18)는 상기 도어(20) 내측에 구비되어 디스플레이부(31)를 제어한다는 점에서 도어 디스플레이 제어부라고도 할 수 있다. 달리 설명하면, 상기 도어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영상처리 피시비(17)와 상기 도어부 무선장치(18)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도어(20)에는 상기 도어(20) 내부의 전장 부품 전체를 컨트롤하기 위한 도어 피시비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 피시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1) 화면을 제어하는 영상처리 피시비(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 피시비(17)는 상기 도어부 무선장치(18)에서 수신된 영상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31)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영상처리 피시비(17)는 상기 도어부 무선장치(18)로부터 수신된 영상정보를 소스보드(19)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소스보드(19)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1)의 화면 출력을 위한 것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31)와 연결되어 어셈블리 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스보드(19) 일부가 플렉시블한 필름 형태의 케이블 구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소스보드(19)는 디스플레이 케이블(72)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영상처리 피시비(17)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1)와 영상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신호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영상처리 피시비(17)는 상기 소스보드(19)와 신호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스보드(19)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1)와 FCC 케이블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캐비닛(10) 상면에 구비된 메인 무선장치(15)와, 상기 도어(20) 내부에 구비된 도어부 무선장치(18)에 의해, 상기 영상 컨트롤러(16)에서 송신된 영상 정보를 상기 영상처리 피시비(17)가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 피시비(17)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1)를 제어하여 상기 수신된 영상정보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캐비닛(10) 상면에서 도어(20) 내부로 연결하는 물리적인 신호선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달리 설명하면, 디스플레이부(31)가 구비된 각각 도어(20)의 힌지 공간에는 도어(20) 내부에 구비되는 전장부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 내부로 신호선이 통과하기 위한 힌지 공간을 추가적으로 확보할 필요가 없게 됨에 따라, 복수개의 도어(20) 각각에 디스플레이부(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 피시비(17)와 상기 도어부 무선장치(18)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1)가 구비된 도어(20)의 내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도어(20)에는 영상 출력을 위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31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31a)가 구비된 도어(20) 내측에는 제1 영상처리 피시비(17)와, 제1 도어부 무선장치(18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도어부 무선장치(18a)는 상기 메인 무선장치(15)로부터 수신된 영상 정보 및 영상 재생 시간을 상기 제1 영상처리 피시비(17)에게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영상처리 피시비(17)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31a)에 수신된 영상 정보가 영상 재생 시간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20)에는 영상 출력을 위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31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31b)가 구비된 도어(20) 내측에는 제2 영상처리 피시비(17b)와, 제2 도어부 무선장치(18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도어부 무선장치(18b)는 상기 메인 무선장치(15)로부터 수신된 영상 정보 및 영상 재생 시간을 상기 제2 영상처리 피시비(17b)에게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영상처리 피시비(17b)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31b)에 수신된 영상 정보가 영상 재생 시간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20)에는 영상 출력을 위한 상기 제3 디스플레이부(31c)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 디스플레이부(31c)가 구비된 도어(20) 내측에는 제3 영상처리 피시비(17)와, 제3 도어부 무선장치(18c)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 도어부 무선장치(18c)는 상기 메인 무선장치(15)로부터 수신된 영상 정보 및 영상 재생 시간을 상기 제3 영상처리 피시비(17)에게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영상처리 피시비(17)는 상기 제3 디스플레이부(31c)에 수신된 영상 정보가 영상 재생 시간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20)에는 영상 출력을 위한 상기 제4 디스플레이부(31d)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4 디스플레이부(31d)가 구비된 도어(20) 내측에는 제4 영상처리 피시비(17)와, 제4 도어부 무선장치(18d)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4 도어부 무선장치(18d)는 상기 메인 무선장치(15)로부터 수신된 영상 정보 및 영상 재생 시간을 상기 제4 영상처리 피시비(17)에게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4 영상처리 피시비(17)는 상기 제4 디스플레이부(31d)에 수신된 영상 정보가 영상 재생 시간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만, 복수개의 도어(20)에 각각의 디스플레이부(31)가 구비될 수 있고, 복수개의 도어(20)들 중에서 적어도 2개 이상의 도어에 디스플레이부(31)가 구비될 수 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부(31) 각각에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제어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영상 출력을 위한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상기 메인 무선장치(15)와 상기 도어부 무선장치(18)는 무선으로 영상 정보를 송수신하게 된다. 복수개의 도어부 무선장치(18) 마다 영상 정보를 모두 수신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달라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영상처리 피시비(17) 마다 영상 정보가 전달되는 시간에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 만일 복수개의 영상처리 피시비(17)가 영상 정보를 수신완료한 상태에서 바로 디스플레이부(31)에 영상을 재생시키게 되면, 복수의 디스플레이부(31) 간에 영상 재생에 편차가 발생하게 된다. 일례로, 복수개의 디스플레이부(31)에 동일한 영상을 재생시키더라도, 각각의 디스플레이부(31)에서 동일한 시간에 재생되는 영상이 달라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영상 컨트롤러(16)는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영상 정보와 함께, 영상이 재생되는 영상 재생시간을 전송하고, 복수의 디스플레이부(31) 각각은 영상 재생시간에 영상을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디스플레이부(31) 간에 재생되는 영상에 시간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컨트롤러(16)는 영상 재생시간(T1)과 함께 현재 시간(T2)을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현재 시간(T2)에 대한 정보는 상기 메인 무선장치(15)로부터 확인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영상 재생시간(T1)은 현재 시간(T2)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t) 이후의 시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때, 미리 설정된 시간(t)은 상기 영상 컨트롤러(16)로부터 각각의 도어(20)에 구비된 영상처리 피시비(17) 모두가 영상 정보를 수신하고, 출력 제어를 위해 대기하는데 필요한 시간일 수 있다.
상기 영상 컨트롤러(16)로부터 전송된 영상 정보와 영상 재생시간(T1)은, 상기 메인 무선장치(15)와 상기 도어부 무선장치(18)에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부 무선장치(18)는 상기 영상처리 피시비(17)에 상기 영상 정보와 영상 재생시간(T1)을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 피시비(17)는 디스플레이부(31)에 수신된 영상 재생시간(T1)에 수신된 영상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달리 설명하면, 상기 영상처리 피시비(17)는 영상 정보를 수신함과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부(31)로 하여금 영상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지 않고, 수신된 영상 재생시간(T1)에 영상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영상 컨트롤러(16)에서 전송된 영상 정보는 상기 메인 무선장치(15) 및 도어부 무선장치(18) 의해 무선으로 상기 영상처리 피시비(17)에 수신되게 된다.
이때, 복수개의 디스플레이부(31) 각각에 영상 정보를 무선신호로 전달할 경우, 각각의 영상처리 피시비(17)에서 영상 정보를 수신하고, 각 디스플레이부(31)에 영상을 출력하는데 지연(delay)가 각각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영상처리 피시비(17) 간에 영상 정보 수신 및 출력 시간에 시간차는 결국 각각의 디스플레이부(31)가 동일한 화면을 출력하거나, 연결된 화면을 출력하는데 시간차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영상 컨트롤러(16)는 영상 정보와 함께 영상 재생시간(T1)을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영상처리 피시비(17)는 각각의 디스플레이부(31)에 수신된 영상 정보를 영상 재생시간(T1)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각각의 디스플레이부(31)는 동일한 영상 재생시간(T1)에 각각 수신된 영상 정보를 출력하게 되어, 디스플레이부(31)간 영상재생 시간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영상 컨트롤러(16)는, 현재 시간(T2)을 확인하고, 설정된 시간만큼 지연된 영상 재생시간(T1)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영상 컨트롤러(16)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1)에 출력하고자 하는 영상 정보와, 영상 재생시간(T1)을 상기 메인 무선장치(15)에 송신할 수 있다(S10).
상기 메인 무선장치(15)는 수신된 영상 정보와, 영상 재생시간(T1)을 상기 도어부 무선장치(18)에 송신할 수 있다(S20).
상기 도어부 무선장치(18)는 수신된 영상 정보와, 영상 재생시간(T1)을 상기 영상처리 피시비(17)에 전달할 수 있다(S30).
이때, 상기 도어부 무선장치(18)는 현재 시간(T2)을 상기 영상처리 피시비(17)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 피시비(17)는 상기 도어부 무선장치(18)로부터 영상 정보와 현재 시간 및 영상 재생시간(T1)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재 시간과 영상 재생시간을 비교할 수 있다(S40)
상기 영상처리 피시비(17)는 상기 현재 시간 (T2)이 영상 재생시간(T1)과 동일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31)에 영상정보를 재생할 수 있다(S50).
한편, 상기 영상처리 피시비(17)는 현재 시간(T2)이 영상 재생시간(T1)이 될 때까지 상기 디스플레이부(31)의 영상정보 재생을 대기할 수 있다(S60).
즉, 상기 영상처리 피시비(17)는 수신된 영상 정보를 현재 시간이 상기 영상 재생시간(T1)이 될 때까지 대기하고, 현재 시간이 상기 영상 재생시간(T1)에 도달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31)에 영상정보를 재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도어(20)에 구비된 복수의 영상처리 피시비(17)는 상기 각각의 디스플레이부(31)에 영상 재생시간(T1)에 수신된 영상 정보를 재생할 수 있게 된다.
달리 설명하면, 상기 영상 컨트롤러(16)는 상기 영상 정보와 함께 영상 재생시간(T1)을 메인 무선장치(15)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무선장치(15)는 수신한 영상 정보와 영상 재생시간(T1)을 상기 도어부 무선장치(18)에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도어부 무선장치(18)는 상기 영상 재생시간(T1)과 함께 현재 시간 정보를 상기 영상처리 피시비(17)에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부 무선장치(18)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1)가 구비된 도어 각각에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복수개의 도어 각각에는 제1 내지 제4 디스플레이부(31d)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도어(20) 내측에는 제1 내지 제4 도어부 무선장치(18d)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부 무선장치(18)는 수신한 영상 정보와 영상 재생시간을 영상처리 피시비(17)에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영상처리 피시비(17)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1)가 구비된 도어 각각에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내지 제4 디스플레이부(31d)가 구비된 도어 각각에는 상기 제1 내지 제4 영상처리 피시비(1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영상처리 피시비(17)는, 상기 제1 내지 제4 도어부 무선장치(18d) 각각으로부터 영상 정보 및 영상 재생시간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영상처리 피시비(17)는, 상기 메인 무선장치(15) 또는 도어부 무선장치(18)로부터 현재 시간 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4 영상처리 피시비(17)는 상기 제1 내지 제4 디스플레이부(31d) 각각에게 현재 시간이 영상 재생시간에 이르면, 수신한 영상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내지 제4 디스플레이부(31d)는 제공된 영상 정보를 동일한 영상 재생시간에 재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와 달리, 복수개의 디스플레이부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부에 전원과 영상 신호를 전달하는 전선을 물리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은 상기 캐비닛 상부의 탑 커버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9는 상기 도어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상기 전선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어 단면을 보인 절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상기 컨트롤부와 도어 내부의 전장부품과의 전선 연결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12는 상기 컨트롤부와 도어 내부의 전장부품과의 전선 연결을 설명하기 위해 상기 캐비닛을 상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도어(20)의 상단이 상기 캐비닛(10)의 상면보다 더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상기 캐비닛(10)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되어, 상기 냉장고가 배치된 주변 가구 또는 벽체의 공간을 채우는 외관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캐비닛(10) 상단에는 힌지(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힌지(50)는 상기 도어(20)의 측면과 후면에서 함몰되는 힌지 장착부(54)에 삽입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힌지 장착부(54)는 상기 도어(20)의 상단으로부터 떨어진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 장착부(54)는 상기 힌지(50)가 수용될 수 있는 함몰된 공간(54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탑 커버(60)는 상기 도어(2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탑 커버(60)는 상기 캐비닛(10)의 상면에서 상기 캐비닛(10)의 전단과 좌우 양측단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탑 커버(60)의 전면과 좌우 양측면이 형성하는 공간의 내측에 상기 컨트롤부(14)가 배치될 수 있다. 탑 커버(60)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탑 커버(60)의 전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70)에는 상기 냉장고(1)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거나, 냉장고(1)의 동작을 조절하기 위해 조작되는 조작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탑 커버(60) 전면에는 상기 힌지(50)가 배치되는 커버 홈(60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홈(601)은 상기 힌지(50)가 장착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50)는 일례로, 상기 캐비닛(10)과 도어(20)를 실질적으로 연결하는 힌지 플레이트(51)와, 상기 힌지 플레이트(51)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힌지(50)의 외관을 형성하는 힌지 커버(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 플레이트(51) 단부에는 상기 도어(20)에 삽입되어 상기 도어(20)의 회전축이 되는 힌지 핀(50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 핀(501)은 상기 도어 내측으로 안내되는 전선(L1)이 통과될 수 있도록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 핀(501)은 내부에 전선(L1)의 배치가 가능하고 도어(2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강도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힌지 커버(53)는 하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하방에서 상기 힌지 플레이트(51)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 커버(53)는 후면이 개구되어 상기 탑 커버(60)의 내측면과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탑 커버(60) 내측에서 도어(20) 내측으로 향하는 전선((L1, L2)은 상기 힌지 커버(53)의 개구된 후면을 통해서 상기 힌지 커버(53) 내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힌지 커버(53) 상면에는 힌지 커버 홀(531)이 형성되어, 상기 전선(L1, L2) 들 중 적어도 일부가 통과될 수 있다. 상기 힌지 커버 홀(531)은 상기 힌지 홀(52)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힌지 커버 홀(531)과 상기 힌지 홀(52)은 동일 연장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달리 설명하면, 상기 힌지 홀(52)과, 상기 힌지 커버 홀(531) 및 상면 개구(434)는 힌지 회전축(O) 상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 바디(40)는 전체적으로 사이드 데코(44), 어퍼 캡데코(43), 로어 캡데코(45), 도어 라이너(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퍼 캡데코(43)에는 상기 힌지(50)가 장착되는 힌지 장착부(5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 장착부(54)의 하면(54a)에는 힌지 핀(501)이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된 힌지 홀(5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 장착부(54)의 상면(54b)에는 개구되어 전선이 관통할 수 있는 상면 개구(43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 홀(52)은 상기 장착부 보스(521)의 개구된 상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 보스(521)는 상기 힌지 핀(501)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 보스(521)는 내부에 중공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 보스(521) 내측에는 힌지 부시(522)가 삽입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 핀(501)은 상기 힌지 부시(522)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 핀(501)을 통해서 상기 도어(20) 내부로 상기 전선(L1)이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전선(L1)은 도어 내부로 안내되는 전선(L1, L2) 중의 일부로 제 1 전선(L1)이라 부를 수 있다. 상기 제 1 전선(L1)은 상기 도어(20) 내부에 구비되는 전장 부품들과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전선(L1)은 영상처리 피시비(17) 및 디스플레이부(31)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어퍼 캡데코(43)에는 상면이 개구된 함몰 공간(4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 공간(431) 내측에는 상기 도어(20)에 구비되는 전장부품들을 제어하기 위한 피시비가 수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함몰 공간(431) 내측에는 영상처리 피시비(17)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함몰 공간(431)의 개구된 상면은 데코 커버(432)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코 커버(432) 일 측에는 상기 함몰 공간(431)에 놓인 전장부품들의 전선을 안내하는 전선 안내부(43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선 안내부(433)는 상기 함몰 공간(431) 내측의 전선들이 관통할 수 있도록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선 안내부(433)를 통과한 전선(L2)들은 상면 개구(434)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전선(L2)들은 폼 실링된 채로 상기 전선 안내부(433)를 통과할 수 있다. 즉, 상기 전선 안내부(433)에는 상기 전선들을 실링하기 위한 실링부(433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선 안내부(433)와 상기 상면 개구(434) 사이에는 상기 전선(L2)을 고정하기 위한 리브(43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435)는 상기 어퍼 캡데코(43) 상면에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435)는 상기 전선 안내부(433)를 통과한 전선(L2)이 상기 상면 개구(434)로 안내되는 사이 공간에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캡데코(43) 상면에는 상기 힌지 홀(52)을 통과하여 안내되는 전선(L1)을 제외한 나머지 전선(L2)이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 상면 개구(43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면 개구(434)은 상기 힌지 커버 홀(531)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면 개구(434)과 상기 힌지 커버 홀(531)은 동일 연장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면 개구(434), 힌지 커버 홀(531) 및 힌지 홀(52)은 동일 연장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상면 개구(434)을 통과한 상기 나머지 전선(L2)은 상기 힌지 커버 홀(531)을 통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 커버 홀(531)을 통과한 전선(L2)은 상기 힌지 커버(53)의 개구된 후면을 통해 안내되어 상기 컨트롤부(14)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선(L2)은 일례로, 상기 영상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신호선일 수 있다. 상기 영상 컨트롤러(16)와 상기 영상처리 피시비(17)는 상기 전선(L2)에 의해 영상 정보 및 영상 재생 시간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이러한 힌지 홀(52)을 통과하지 않고, 상기 캐비닛(10) 상면에 배치된 컨트롤부(14)와 연결된 전선(L2)을 제 2 전선(L2)이라 부를 수 있다. 이러한 제2 전선(L2)은 상기 영상 컨트롤러(16)와 연결되어, 영상 재생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홀(52)을 통과하여 도어 내부의 전장부품과 연결되는 전선들과 별도로, 상기 상면 개구(434)와 상기 힌지 커버 홀(531)을 관통하여 도어 내부 전장부품과 컨트롤부(14)가 연결되는 전선들을 더 배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영상 컨트롤러(16)와 영상처리 피시비(17)를 유선으로 연결할 수 있게 되어, 무선으로 연결하기 위한 부품들을 최소화하여 필요 부품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0)

  1.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도어 바디와,
    상기 도어 바디 전면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패널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패널 어셈블리는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고,
    상기 캐비닛 일측에는,
    영상 정보를 전달하는 영상 컨트롤러와, 상기 영상 컨트롤러와 연결되어 상기 영상 정보를 송신하는 메인 무선 장치를 포함하는 컨트롤부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에는
    상기 메인 무선 장치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도어부 무선 장치와,
    상기 도어부 무선 장치로부터 영상 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제어하는 영상처리 피시비가 구비된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공간은 복수개로 구획되어 형성되고,
    상기 도어는, 상기 구획된 저장 공간을 각각 개폐할 수 있도록 복수개로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도어들 중에서 적어도 2이상의 도어 각각에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영상 정보가 출력되는 영상 재생시간을 상기 도어부 무선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영상처리 피시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도어부 무선장치로부터 전달받은 영상 재생시간에 상기 영상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재생시간은 상기 영상처리 피시비가 영상 정보를 전달받은 현재 시간 보다 이후의 시간인 냉장고.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공간은 제1 저장 공간과, 제2 저장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제1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제1 도어와,
    상기 제2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제2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어 전면에는 제1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도어 전면에는 제2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냉장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에는,
    상기 메인 무선 장치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제1 도어부 무선장치와,
    상기 제1 도어부 무선 장치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영상을 제어하는 제1 영상처리 피시비가 구비되며,
    상기 제2 도어에는,
    상기 메인 무선 장치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제2 도어부 무선장치와, 상기 제2 도어부 무선 장치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영상을 제어하는 제2 영상처리 피시비가 구비된 냉장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제1 영상 정보와, 상기 제1 영상 정보가 출력되는 제1 영상 재생시간을 상기 제1 도어부 무선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제2 영상 정보와, 상기 제2 영상정보가 출력되는 제2 영상 재생시간을 상기 제2 도어부 무선 장치에 송신하는 냉장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처리 피시비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1 영상정보를 상기 제1 영상재생시간에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영상처리 피시비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2 영상정보를 상기 제2 영상재생시간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냉장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재생시간과 상기 제2 영상재생시간은 상기 제1 영상처리 피시비와 상기 제2 영상처리 피시비가 각각 제1 영상정보와 제2 영상정보를 전달받은 현재 시간 보다 이후인 냉장고.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무선 장치와 상기 도어부 무선 장치는 와이파이(WiFi) 모듈인 냉장고.
  11.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가 회전되도록 상기 도어와 상기 캐비닛 상면을 연결하며, 상기 도어에 삽입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축이 되는 힌지핀을 포함하는 힌지;를 포함하며,
    상기 캐비닛 일측에는,
    메인 피시비와 영상 정보를 전달하는 영상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컨트롤부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는,
    도어 바디와,
    상기 도어 바디 상단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힌지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힌지 장착부;
    상기 힌지 상방에서 상기 힌지를 차폐하고, 힌지 커버홀이 형성된 힌지 커버;
    상기 도어 바디 전면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 전면 외관을 형성하고,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패널 어셈블리;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상 출력을 제어하는 영상처리 피시비;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장착부는 상면에는 일부가 개구되어 전선이 통과하는 상면 개구가 형성되고, 하면에는 상기 힌지 핀이 삽입되는 힌지 홀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 내부의 전장부품과 연결된 전선들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상면 개구를 통과하여 상기 컨트롤부와 연결되는 냉장고.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 개구와, 상기 힌지 홀은 동일 연장선 상에 위치되는 냉장고.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커버는,
    상기 컨트롤부를 향하여 일면이 개구되고,
    상기 상면 개구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전선이 통과하는 힌지커버 홀을 포함하며,
    상기 상면 개구를 통과한 전선은 상기 힌지커버 홀을 통과하여 상기 힌지 커버의 개구된 일면으로 안내되는 냉장고.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 바디 상면을 형성하는 어퍼 캡데코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 캡데코는,
    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영상처리 피시비가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영상처리 피시비와 연결된 전선이 안내되는 전선 안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안내부를 통과한 전선은 상기 상면 개구를 통과하여 상기 컨트롤부와 연결되는 냉장고.
  16.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며,
    상기 캐비닛 일측에는 영상 정보를 전달하는 영상 컨트롤러와, 상기 영상 정보를 송신하는 메인 무선 장치를 포함하는 컨트롤부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에는 상기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도어부 무선 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상출력을 제어하는 영상처리 피시비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정보와 영상 재생시간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정보와 영상 재생시간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재생 시간에 상기 영상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정보와 영상 재생시간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컨트롤러가 상기 영상 정보와 영상 재생시간을 상기 메인 무선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무선장치가 수신된 영상 정보와 영상 재생시간을 상기 도어부 무선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정보와 영상 재생시간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도어부 무선 장치가 수신된 영상 정보와 영상 재생시간을 상기 영상처리 피시비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재생시간에 상기 영상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는,
    현재 시간이 상기 영상 재생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대기하는 단계 및
    현재 시간이 상기 영상 재생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영상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시간은 상기 메인 무선 장치 또는 상기 도어부 무선 장치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KR1020220057415A 2022-05-10 2022-05-10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301577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415A KR20230157784A (ko) 2022-05-10 2022-05-10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415A KR20230157784A (ko) 2022-05-10 2022-05-10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7784A true KR20230157784A (ko) 2023-11-17

Family

ID=88968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7415A KR20230157784A (ko) 2022-05-10 2022-05-10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778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68937B2 (en) Refrigerator
US11460243B2 (en) Refrigerator
US10704826B2 (en) Refrigerator
US8424321B2 (en) Refrigerator having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CN108351152B (zh) 冰箱
US10378815B2 (en) Refrigerator
KR101245886B1 (ko) 냉장고의 스피커 장착구조
KR102519045B1 (ko) 냉장고
CN114370734B (zh) 冰箱
CN101622884A (zh) 作为适配器或器具的一部分的声室
KR101170577B1 (ko) 다중 표시부를 지닌 냉장고
KR20230157784A (ko)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60100731A (ko) 냉장고
KR20180080092A (ko) 냉장고
US20230375256A1 (en) Refrigerator
WO2021024292A1 (ja) 冷蔵庫
CN110234947A (zh) 冰箱
US11624549B2 (en) Refrigerator
KR20230110018A (ko) 가전 기기
JP7301137B2 (ja) 冷蔵庫
EP4212806A1 (en) Refrigerator
JP2023023901A (ja) 冷蔵庫
JP2022164204A (ja) 冷蔵庫
JP2023117313A (ja) 冷蔵庫
JP2023008433A (ja) 冷蔵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