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0018A - 가전 기기 - Google Patents

가전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0018A
KR20230110018A KR1020220006021A KR20220006021A KR20230110018A KR 20230110018 A KR20230110018 A KR 20230110018A KR 1020220006021 A KR1020220006021 A KR 1020220006021A KR 20220006021 A KR20220006021 A KR 20220006021A KR 20230110018 A KR20230110018 A KR 20230110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speaker device
sound output
disposed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6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현
전상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6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0018A/ko
Priority to US18/094,685 priority patent/US20230228482A1/en
Priority to EP23151266.6A priority patent/EP4212806A1/en
Publication of KR20230110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00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8Aesthetic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전기기에 관한 것으로, 전면이 개구된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가전 기기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상면에는, 외부 기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출력부를 포함하는 스피커 장치가 배치되고, 상기 음향출력부는, 상기 캐비닛 상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전 기기{HOME APPLIANCE}
본 발명은 가전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출시되는 실내에 배치되는 가전 기기는, 본래 가전 기기가 수행하는 기능 외에 다양한 추가적인 기능이 추가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있다.
대표적으로 냉장고는 식품을 보관하는 저장실과,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장치를 구비하여,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는 가전기기이다.
종래의 냉장고의 경우, 단순히 식품을 저온의 상태로 보관하기 위한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었다. 그러나 근래에 들어서는 식품 보관 기능 외에 추가적인 기능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일례로, 도어 일측에 각종 멀티미디어기기가 장착되어,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원하는 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을 재생시킬 수 있는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245886호는 "냉장고의 스피커 장착구조"에 관한 발명으로 냉장고 도어 상부의 외형을 형성하는 도어 캡데코의 일측에 구비되어 외부로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스피커의 위치에 대응하여 개구되는 스피커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장고를 개시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종래기술은 가구장에 매립되는 냉장고와 같이, 냉장고가 가구들과 인접하게 배치된 경우, 음향이 외부로 충분하게 전달되지 못하여, 사용자에게 만족할 만한 음향의 품질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도어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받는 충격으로 인해 장착된 스피커가 이탈되거나 손상되어 스피커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스피커가 냉장고의 디자인적 심미도를 떨어뜨릴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는 과정에서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원이 다른 구조물에 의해 간섭되어 스피커의 성능 저하를 일으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소리가 냉장고를 이루는 다른 구성에 의해 가로막히는 현상을 개선하여, 사용자에게 향상된 음원 품질을 제공할 수 있는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스피커를 아웃 케이스의 상면에 고정하여, 외관상 가전 기기의 미감을 해치지 않고, 일체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냉장고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 또는 가전기기의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 발생되는 진동 등에 의해 스피커가 영향을 받는 것을 최소화하여 스피커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전 기기는 전면이 개구된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가전 기기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상면에는, 외부 기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출력부를 포함하는 스피커 장치가 배치되고, 상기 음향출력부는, 상기 캐비닛 상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피커 장치는 상기 음향출력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음향출력부가 설치된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된 음향출력홀을 포함하고, 상기 음향출력홀은 상기 케이스 전면에서 후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음향출력부는,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상기 케이스 전면과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음향출력홀은,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상기 케이스 전면과 멀어지게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캐비닛 상면 양측에는, 상기 도어가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된 힌지 장치가 각각 배치되고, 상기 힌지 장치 사이 공간에는, 상기 스피커 장치가 상기 힌지 장치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스피커 장치와, 힌지 장치가 이격된 공간에는 위치 고정부가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위치 고정부는, 상기 스피커 장치와 마주보는 면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스피커 장치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며, 상기 위치 고정부 일면은 상기 힌지 장치의 일면과 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위치 고정부는 내부에 상기 스피커 장치의 적어도 일부가 안착되도록, 전면부와 후면부를 연결하여 형성된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안착부는, 상기 개구부를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으로 구획하고, 상기 상부 공간에 상기 스피커 장치의 적어도 일부가 안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스피커 장치는, 상기 위치 고정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캐비닛 상면과 상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제1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케이스 하방에 위치하여, 상기 케이스 하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제2 케이스가 결합되어 형성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 케이스 전면에 상기 음향 출력홀이 형성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 케이스는, 바닥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음향출력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 케이스는 상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음향출력부를 고정하는 제1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케이스는 하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음향출력부를 고정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캐비닛 상면에는, 힌지 커버가 배치되고, 상기 힌지 커버의 바닥면 양측에는 각각 상기 힌지 장치가 배치되고, 상기 힌지 장치 사이에는 상기 스피커 장치가 배치되며, 상기 힌지 장치와 상기 스피커 장치 사이에는 위치 고정부가 배치되며, 상기 위치 고정부는, 상기 힌지 장치의 일면과, 상기 스피커 장치의 일면과 접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힌지 커버 전면부는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부는, 상기 스피커 장치의 전면과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음향출력홀과 상기 힌지 커버의 전면부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따른 가전기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음원이 출력되는 음향출력유닛을 상방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한다. 따라서, 스피커 장치에서 출력되는 소리가 상방을 향함으로써, 도어 또는 인접한 가구들 등에 의해 가로막히는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냉장고 상면에 스피커 장치를 배치하고, 상기 스피커 장치와 힌지 장치 사이 공간에는 위치 고정부를 배치한다. 따라서, 도어의 개폐 등 외부 충격에 의해서 스피커 장치가 장착된 위치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위치 고정부는, 상기 스피커 장치를 상기 냉장고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스피커 장치가 냉동 사이클 장치 등에 의한 진동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스피커 장치가 진동 등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스피커 장치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스피커 장치에는 외부 기기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피커 장치를 직접 조작하지 않더라도, 스피커 장치를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를 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스피커 장치를 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스피커 장치를 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스피커 장치를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스피커가 고정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외부기기가 냉장고에 구비된 스피커의 무선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무선 연결된 외부기기를 이용하여 냉장고에 구비된 스피커로부터 음향을 출력시키는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설명에 앞서 방향을 정의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 1에서 보이는 캐비닛을 기준으로 도어를 향하는 방향을 전방, 도어를 기준으로 캐비닛을 향하는 방향을 후방 그리고, 냉장고가 설치되는 바닥면을 향하는 방향을 하방, 그리고 바닥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상방으로 정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를 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의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2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은 냉장고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케이스(101)를 포함한다.
상기 아웃 케이스(101)는 냉장고(1)의 전면을 제외한 상면, 좌우측면, 후면 및 저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들 중 일부만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아웃 케이스(101) 내측에는 이너 케이스(102)가 배치되어, 상기 저장 공간(11, 12)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 케이스(101)와 이너 케이스(102) 사이 공간에는 단열재가 충전된다.
상기 캐비닛(10)은 상하로 구획된 저장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저장 공간은 상부 저장공간(11)과, 하부 저장공간(12)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상부 저장공간(11)에는 냉장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저장공간(12)에는 냉동실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12)은 좌우 양측으로 구획되어 각각 좌측 냉동실(12a)과 우측 냉동실(12b)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좌측 냉동실(12a)은 좌측 하부 저장 공간, 상기 우측 냉동실(12b)은 우측 하부 저장 공간이라 부를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상기 상부 저장공간(11)과 하부 저장공간(12)을 각각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도어(20)는 상기 캐비닛(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회전에 의해 상기 상부 저장공간(11) 및 하부 저장공간(12)을 각각 개폐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도어(20)는 인출입에 의해 개폐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도어(20)는 상기 냉장실(11)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201)와, 상기 냉동실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2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01)는 상부 도어 그리고 냉동실 도어(202)는 하부 도어라 부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201)는 좌측 냉장실 도어(201a)와 우측 냉장실 도어(201b) 가 나란히 한쌍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좌측 냉장실 도어(201a)와 우측 냉장실 도어(201b)는 서로 인접 배치될 수 있으며,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좌측 냉장실 도어(201a)와 우측 냉장실 도어(201b)는 독립적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냉장실(11)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01a)와 냉동실 도어(201b)는 각각 상단과 하단이 힌지 장치(204,205)에 의해 캐비닛(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힌지 장치(204)는 상부 힌지(204)와 하부 힌지(205)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냉장실 도어(201a)와 냉동실 도어(201b)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도어(202) 또한, 좌측 냉동실 도어(202a)와 우측 냉동실 도어(202b)가 나란히 한쌍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좌측 냉동실 도어(202a)와 우측 냉동실 도어(202b)는 독립적으로 회전되어 상기 냉동실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좌측 냉동실 도어(202a)와 우측 냉동실 도어(202b)는 서로 인접 배치될 수 있으며,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 예에서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냉장실(11)이 상방에 배치되고 냉동실(12)이 하방에 배치되는 구조의 냉장고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냉장고의 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도어가 구비되는 모든 타입의 냉장고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도어(20)는 닫힌 상태에서 상기 냉장고(1)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냉장고(1)가 설치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보이는 상기 냉장고(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우측 냉장실 도어는 고내 공간을 투시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도어(20)는 상기 도어(20)의 전체적인 형태를 형성하는 도어 바디(2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바디(21)에는 상기 도어(20) 후방의 공간을 투시할 수 있는 투시 어셈블리(2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바디(21)의 전면은 상기 투시 어셈블리(25)가 보일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투시 도어가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다수의 투시 도어가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투시 도어는 상기 우측 냉장실 도어가 아닌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하부 도어(202)에는 상부에 내측으로 함몰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203)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냉장고(1)에서 음향이 출력된다. 음향은 냉장고(1)의 상면에 장착된 스피커 장치(50)로부터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스피커 장치(50)는 냉장고의 상면에 설치된다. 상세히, 상기 스피커 장치(50)는 상기 힌지 장치(204)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 장치(50)는 상기 상부 도어(201)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이 경우, 정면에서 사용자에게 상기 스피커 장치(50)가 시각적으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스피커 장치(50)는 외부 기기(70)와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외부 기기(70)는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한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등의 이동 단말기 등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상기 외부 기기(70)를 이용하여 상기 스피커 장치(5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부에 냉장실이 마련되고, 하부에 냉동실이 마련되는 바텀 프리저 타입(bottom freezer type)의 냉장고(100)를 보이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를테면 본 발명은 냉동실이 냉장실 위에 배치되는 탑 마운트 타입(top mount type)의 냉장고, 냉장실과 냉동실이 좌우로 배치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side by side type)의 냉장고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스피커 장치를 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스피커 장치를 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상기 스피커 장치를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아웃 케이스(101) 상면에는 상기 상부 도어(20)가 회전에 의해 상부 저장 공간(11)을 개폐할 수 있도록 마련된 힌지 장치(204)가 구비된다. 이러한 힌지 장치(204)는 상기 아웃 케이스 상면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어 상기 상부 도어(20)와 결합한다. 일례로, 상기 힌지 장치(204)는 상기 좌측 도어(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힌지 장치(204a)와, 상기 우측 도어(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힌지 장치(204b)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힌지 장치(204a)와 상기 제2 힌지 장치(204b)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힌지 장치(204b) 사이 공간에는 상기 스피커 장치(50)가 구비된다.
이러한 스피커 장치(50)가 제한된 공간에 설치되기 위해서는 상기 스피커 장치(50) 좌우 방향의 길이가, 상기 제1 힌지 장치(204a)와 제2 힌지 장치(204b) 사이의 길이보다 작거나 같은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피커 장치(50)의 전후 방향의 길이는, 상기 제1 및 제2 힌지 장치(204b)의 전후 방향의 길이와 대응하거나, 보다 작은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피커 장치(50)의 높이가 상기 힌지 장치(204)보다 높거나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50)는, 음향출력부(54) 등 음향출력을 위한 구성들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51)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51)는 제1 케이스(52)와 제2 케이스(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스(52)와 상기 제2 케이스(53)는 서로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스(52)와 제2 케이스(53) 결합에 의해 스피커 장치(50)의 부품들이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스(52)는 상기 케이스(51)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스(52)는 하면이 개구될 수 있다. 상기 개구된 하면은 상기 제2 케이스(53)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제2 케이스(53)는 상기 제1 케이스(52) 하방에 위치하여, 상기 케이스(51) 하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스(52) 전면에는 상기 음향출력부(54)에서 출력되는 음원이 상기 케이스(51) 외부로 전달될 수 있도록 개구되어 형성된 음향출력홀(521)이 구비된다.
상기 음향출력홀(521)은, 상기 음향출력부(54)가 설치되는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음향출력부(54)는 상기 스피커 장치(50) 전면 좌우 양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향출력홀(521)은 상기 제1 케이스(52) 전면 좌우 양측에 상기 음향출력부(54)와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음향출력홀(521)은 상기 제1 케이스(52) 전면에서 후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할 커버(55)의 전면부와, 상기 음향출력홀(521) 사이에 공간이 마련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커버(55)와 음향출력홀(521) 사이에 간격이 있는 것이, 음원 품질이 더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음향출력홀(521)은, 상기 제1 케이스(52) 바닥면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상기 전면부(52a)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달리 설명하면, 상기 음향출력홀(521)은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경사부(521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향출력홀(521)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음향출력부(54)의 음원이 냉장고의 전방으로 출력될 수 있다. 즉, 상기 음향출력부(54)의 음원이 상기 케이스(51) 또는 힌지 커버(60) 등에 간섭되지 않고, 상기 도어(20)의 전방으로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개선된 음질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음향출력홀(521) 후면에는 상기 음향출력부(54)에 형성된 결합부(541)가 삽입되는 삽입부(5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522)는 상기 음향출력홀(521) 좌우 양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522)의 일부는 개구되어, 상기 음향출력부(54)의 결합부(541)가 상기 삽입부(522) 내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스(52) 전면에는 일부가 개구되어 입출력부(56)를 노출시키기 위해 마련된 노출부(5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출부(523)는 상기 제1 케이스(52) 전면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노출부(523)는 상기 음향출력홀(52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스(52) 후면에는 공기가 출입될 수 있는 공기출입홀(52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출입홀(524)은 상기 울림챔버(53a)와 스피커 장치(50)의 외부를 잇는 공기 유동 통로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케이스(53)는 상기 스피커 장치(50)의 하면을 형성한다. 상기 제2 케이스(53)는 상기 음향출력부(54)가 설치되는 영역(531)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 영역(531)은 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설치 영역(531)은 상기 제2 케이스(53) 바닥면에서 상기 설치 영역(531)을 제외한 다른 부분보다 더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음향출력부(54)는 고음역의 음향출력부(tweeter), 중음역의 음향출력부(midrange), 저음역의 음향출력부(woofer)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다. 일례로, 상기 음향출력부(54)는 저음역의 음향출력부(542)와, 고음역의 음향출력부(5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향출력부(54)는 설치 영역(531)에 기울여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음향출력부(54)는 일례로, 바닥면에서 15도 각도로 기울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스피커 장치가 냉장고 상면에 위치되더라도, 음향출력부(54)의 음원이 상방으로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냉장고와 인접한 가구장 또는 도어에 의한 간섭 없이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어, 풍부한 음향을 전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각각의 음향출력부(54)는 상기 삽입부(522)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결합부(5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541)는 상기 삽입부(522)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음향출력부(54)가 상기 제1 케이스(52) 전면에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설치 영역(531) 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결합부(533)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보조 결합부(533)는, 스크류 등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제1 케이스(52)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보조 결합부(533)에 의해서,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53)가 보다 더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케이스(53)는 바닥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음향출력부(54)를 감싸도록 형성된 돌출부(5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534)는 상기 음향출력부(54)에서 출력된 음원에 적절한 울림이 있도록 울림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534)에 의해서 마련되는 공간을 울림챔버(53a)라고도 할 수 있다.
이러한 울림챔버(53a)는 상기 제2 케이스(53) 바닥면 좌우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케이스(53) 바닥면은 상기 돌출부(534)에 의해서, 울림챔버로 형성되는 영역과, 울림챔버가 아닌 다른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534)에서 상기 스피커 장치(50)의 후면을 향하는 부분에는 일부가 절개되어 공기가 출입될 수 있는 출입부(534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출입부(534a)는 상기 돌출부(534)의 높이가 다른 부분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출입부(534a)는, 상기 울림챔버(53a)와 상기 스피커 장치(50)의 외부를 잇는 공기의 유동 통로에 해당한다.
상기 울림챔버(53a) 영역 내의 바닥면에는, 보강부(53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535)는 상기 제2 케이스(53)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제1 케이스(52)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보강부(535)는 격자무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 장치(50)가 설치되는 냉장고 상면은, 상기 상부 도어(20)의 개폐에 의한 충격 또는 진동이 전달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냉장고 상면은 냉동 사이클 장치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535)는 이러한 충격이나 진동을 견딜 수 있는 강도로 형성되어, 상기 스피커 장치(50)가 손상되어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케이스(53) 하방에는 장착부(58)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58)는, 상기 제2 케이스(53) 하면 좌우 양측에 한쌍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58)는, 상기 힌지 커버(60)와 상기 스피커 장치(5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장착부(58)는 상기 제2 케이스(53)가 결합될 수 있도록, 스크류가 관통되는 관통홀(58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581)을 통과하는 스크류에 의해, 상기 제2 케이스(53)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58)는 상기 제2 케이스(53)의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58)는 상기 음향출력부(54)가 장착되는 설치공간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51) 내부의, 상기 좌우 울림챔버(53a) 사이 공간에는 전자 부품들을 수용하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입출력부(56)외에도, 스피커 장치(50)의 작동을 위한 인쇄회로 기판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제어부 라고도 부를 수 있다.
무선통신모듈 또한, 케이스(51)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외부 기기(70)와 스피커 장치(50)의 무선 연결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스피커 장치(50)는, 커버(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55)는 상기 제1 케이스(52) 상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스(52) 상면에는 상기 커버(55)가 장착될 수 있는 영역(526a)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커버(55)가 장착되는 영역(526a)은 일례로, 상기 상면(527)의 다른 영역과 단차(526)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차(526)에 의해서, 상기 커버(55)가 상기 제1 케이스(52) 상면에 장착되더라도, 상기 스피커 장치(50)의 전체적인 높이는 평행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커버(55)는 상기 제1 케이스(52) 상면과 접하도록 장착되는 커버 상면부(551)와, 상기 커버 상면부(551)에서 하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 케이스(52) 전면과 적어도 일부가 접하도록 마련된 커버 전면부(5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전면부(552)는 상기 음향출력홀(521)과 대응하는 위치에 그릴부(55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릴부(553)는 상기 음향출력홀(521)을 전방에서 덮혀지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냉장고의 디자인적 일체감을 보다 개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피커 장치(50)는, 상기 케이스(51)가 상기 힌지 커버(6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51)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위치 고정부(57)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 고정부(57)는 상기 케이스(51) 양 측방에 한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위치 고정부(57)는 상기 케이스(51) 일측단에 구비되는 제1 위치 고정부(57a)와, 상기 케이스(51) 타측단에 구비되는 제2 위치 고정부(57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 고정부(57)는 일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 고정부(57)는 상기 스피커 장치(50)의 전면 일부분을 형성하는 전면부(57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부(571)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케이스(52)와 마주보는 면에 개구부(572)가 형성된다.
상기 위치 고정부(57)는 상기 스피커 장치(50)의 일측면을 형성하는 측면부(57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부(573)는, 상기 힌지 장치(204)의 일면과 접할 수 있다. 상기 측면부(573)의 크기는 상기 힌지 장치(204) 일면과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 고정부(57)는 상기 측면부(573)와 상기 개구부(572)를 연결하여, 상기 스피커 장치(50)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상면부(57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면부(574)는 상기 커버(55)와 동일 평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면부(574)는 상기 힌지 장치(204)의 상면보다 더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위치 고정부(57)는 개구부(572)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572)는 상기 케이스(51)를 바라보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572)는 상기 케이스(51) 측면의 전후 방향의 길이와 대응하거나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572)는 상기 힌지 커버(60) 전후 방향의 길이와 대응하거나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51)의 적어도 일부분이 개구부(572)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51)가 상기 개구부(572)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스피커 장치(50)는 상기 힌지 커버(6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위치 고정부(57)는 내부에 상기 스피커 장치(5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부(575)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575)는 상기 위치 고정부(57)의 전면부(571)에서 후면부(576)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575)는 상기 전면부(571)와 후면부(576)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575)는 상기 힌지 커버(60)의 바닥면에서 상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위치 고정부(57)의 내부 공간은 상기 안착부(575)에 의해서 상부 공간(577) 과 하부 공간(578)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공간(577) 에는 상기 스피커 장치(50) 즉, 음향출력부(54) 등이 장착된 케이스(51)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안착부(575) 상면에는, 상기 스피커 장치(50)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공간(577)에 스피커 장치(5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 커버(6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공간(577)의 상하 방향의 길이는, 상기 케이스(51)의 상하 방향의 길이 보다 길거나 대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케이스(51)가 상기 상부 공간(577)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51)가 상하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공간(577)에 상기 케이스(51)가 삽입되는 길이는 상기 케이스(51) 측단에서 상기 음향출력홀(521)까지의 길이보다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음향출력홀(521)이 상기 상부 공간(577)에 삽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음원 품질 개선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위치 고정부(57)의 좌우 양측방의 길이는, 상기 케이스(51)가 최대로 삽입되는 길이, 즉, 상기 케이스(51) 일 측단에서 상기 음향출력홀(521)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케이스(51)의 좌우 방향의 길이가 달라지더라도, 상기 위치 고정부(57)에 고정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상부 공간(577)에 상기 스피커 장치(50)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어, 상기 스피커 장치(50)는 상기 힌지 커버(60)의 바닥면과 설정된 간격으로 상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피커 장치(50)가 상기 힌지 커버(60)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스피커 장치(50)의 양 측단은 상기 힌지 커버(60)와 이격된 상태로 놓여 질 수 있다.
상기 하부 공간(578)은, 상기 힌지 커버(60)와 스피커 장치(50)가 상방으로 이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스피커 장치(50)가 상기 위치 고정부(57)의 상부 공간(577)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스피커 장치(50)의 상부가 상기 도어(20)의 상단보다 더 상방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조로, 상기 음향출력홀(521)을 통과하는 음원이 상기 도어(20) 간섭으로 인해 음원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공간(578)의 높이는 상기 상부 공간(577)의 높이와 대응하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위치 고정부(57)의 전면부(571)는 위치 단차부(57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 단차부(579)는 상기 안착부(575)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위치 단차부(579)는 상기 스피커 장치(50)가 삽입되는 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피커 장치(50)가 상기 힌지 커버(6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스피커 장치(50)가 배치된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단차부(579)는 필요에 따라 상기 위치 고정부(57)의 후면부(576)에도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공간(578)은 상기 전면부(571), 후면부(576)와 상기 안착부(575)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공간(578)에 의해 상기 스피커 장치(50)가 상기 냉장고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동 사이클 장치 등으로 인한 진동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도어 개폐에 의해 냉장고에 가해지는 충격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위치 고정부(57)는 상기 힌지 커버(60)와 스피커 장치(50) 사이의 공간에 안착된다. 즉, 상기 스피커 장치(50)와 힌지 커버(60)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상기 위치 고정부(57)가 놓이게 됨으로써, 상기 스피커 장치(50)가 힌지 커버(6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힌지 커버(60)는, 양 측에 한 쌍의 힌지 장치(20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힌지 장치(204)는 각각 도어(20)와 연결되어, 상기 도어(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힌지 커버(60)는 상기 도어(20)와 적어도 일면이 접하는 전면부(61)와, 상기 전면부(61)에서 후방으로 절곡 연장되어,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부(63) 및 상기 힌지 장치(204)가 안착되고, 상기 아웃 케이스(101) 상면과 접하는 바닥부(64)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 커버(60)의 전면부(61)는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된 커버 개구부(6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개구부(65)와 상기 케이스(51) 사이에는 사용자에게 냉장고의 현재 상태 또는 스피커 장치(5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커버 개구부(65)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힌지 커버 전면부(61)는,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절곡부(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곡부(62)는 상기 힌지 장치(204)가 배치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곡부(62)는 상기 케이스(51) 전면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케이스(51)의 전면부와 상기 힌지 커버(60)의 전면부(51) 사이에 설정된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음향출력홀(521)과, 상기 힌지 커버의 전면부(61)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음향출력부(54)에서 출력된 음원이 음향출력홀(521)을 통과하여, 상기 힌지 커버(60)의 간섭을 받지 않고, 외부를 향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피커 장치(50)에서 출력되는 음원의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힌지 커버의 전면부(51) 후방에는 상기 스피커 장치(5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51)는 좌우 양 측방으로 상기 힌지 장치(204)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51)와 힌지 장치(204) 사이에는 상기 위치 고정부(57)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음향출력부(54)가 상기 케이스(51)에 장착된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스피커가 고정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스피커 장치(50)를 아웃 케이스(101) 상면에 설치하게 되면, 스피커 장치(50)의 전방에 도어(20)가 배치됨에 따라, 스피커 장치(50)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도어(20)에 의해 가로막혀 사용자에게 충분히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형상을 개선하기 위해 음향출력부(54)를 상기 케이스(51)에 기울여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음향출력부(54)는 아웃 케이스(101) 상면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달리 설명하면, 상기 음향출력부(54)는 상기 제2 케이스(53)의 바닥면에 대해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음향출력부(54)는 기울여 설치되면 음향이 도어(20)에 의해 가로막히는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스(52) 상면에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음향출력부(54)를 고정하기 위한 제1 결합부(525)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525)는 상기 음향출력부(54) 상면과 접하여 음향출력부(54)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케이스(53) 바닥면에는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음향출력부(54)를 고정하기 위한 제2 결합부(536)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부(536)는 상기 음향출력부(54)의 적어도 일면에 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음향출력부(54)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상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외부기기가 냉장고에 구비된 스피커의 무선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무선 연결된 외부기기를 이용하여 냉장고에 구비된 스피커로부터 음향을 출력시키는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스피커 장치(50)를 직접 조작하여, 음향출력부(54)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이 경우, 스피커 장치(50)가 냉장고 상면에 배치되기 때문에 접근성이 높지 않다. 따라서, 상기 외부기기(70)를 이용하여, 스피커 장치(50)를 제어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이다. 이때 외부기기(70)도 스피커 장치(50)의 무선통신모듈과 무선 연결 가능한 통신기기여야 함은 당연하다. 이러한 통신기기의 예로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등을 들 수 있다.
일례로, 도 7과 같이, 외부기기(70)와 상기 스피커 장치(50)를 무선 연결하여, 상기 외부 기기(70)에게 스피커 장치(50)를 제어할 수 잇는 권한을 부여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상기 외부 기기(70)에서 스피커 장치(50)와의 무선 연결을 설정하게 되면, 외부 기기(70)에 상기 스피커 장치(50)를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된다. 이 때, 상기 스피커 장치(50)와 외부 기기(70)의 무선 연결과정은 상기 입출력부(56)에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외부 기기(70)에 스피커 장치(50)를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되고 나면, 상기 외부 기기(70)를 이용하여 스피커 장치(50)를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도 8과 같이, 외부기기(70)를 이용하여 음향의 출력시키기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하면, 이 제어명령은 무선 통신을 통해 스피커 장치(50)로 전달되고 스피커 장치(50)에서는 음향이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실시예로, 스피커 장치(50)가 구비된 냉장고(1)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스피커 장치는 냉장고 외에 다른 가전 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가전 기기는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냉장고, 에어컨, 식기 세척기, 의류 관리기, 세탁기 또는 조리 기기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Claims (15)

  1. 전면이 개구된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가전 기기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상면에는,
    외부 기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출력부를 포함하는 스피커 장치가 배치되고,
    상기 음향출력부는, 상기 캐비닛 상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장치는 상기 음향출력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음향출력부가 설치된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된 음향출력홀을 포함하고,
    상기 음향출력홀은 상기 케이스 전면에서 후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가전 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출력부는,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상기 케이스 전면과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가전 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출력홀은,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상기 케이스 전면과 멀어지게 경사지도록 형성된 가전 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상면 양측에는, 상기 도어가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된 힌지 장치가 각각 배치되고,
    상기 힌지 장치 사이 공간에는, 상기 스피커 장치가 상기 힌지 장치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스피커 장치와, 힌지 장치가 이격된 공간에는 위치 고정부가 배치되는 가전 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고정부는,
    상기 스피커 장치와 마주보는 면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스피커 장치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며,
    상기 위치 고정부 일면은 상기 힌지 장치의 일면과 접하도록 배치되는 가전 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고정부는 내부에 상기 스피커 장치의 적어도 일부가 안착되도록, 전면부와 후면부를 연결하여 형성된 안착부를 포함하는 가전 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개구부를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으로 구획하고,
    상기 상부 공간에 상기 스피커 장치의 적어도 일부가 안착되는 가전 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장치는,
    상기 위치 고정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캐비닛 상면과 상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가전 기기.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제1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케이스 하방에 위치하여, 상기 케이스 하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제2 케이스가 결합되어 형성된 가전 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 전면에 상기 음향 출력홀이 형성된 가전 기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는,
    바닥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음향출력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가전 기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는 상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음향출력부를 고정하는 제1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케이스는 하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음향출력부를 고정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가전 기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상면에는,
    힌지 커버가 배치되고,
    상기 힌지 커버의 바닥면 양측에는 각각 상기 힌지 장치가 배치되고,
    상기 힌지 장치 사이에는 상기 스피커 장치가 배치되며,
    상기 힌지 장치와 상기 스피커 장치 사이에는 위치 고정부가 배치되며,
    상기 위치 고정부는, 상기 힌지 장치의 일면과, 상기 스피커 장치의 일면과 접하는 가전 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커버 전면부는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부는, 상기 스피커 장치의 전면과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음향출력홀과 상기 힌지 커버의 전면부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가전 기기.
KR1020220006021A 2022-01-14 2022-01-14 가전 기기 KR2023011001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6021A KR20230110018A (ko) 2022-01-14 2022-01-14 가전 기기
US18/094,685 US20230228482A1 (en) 2022-01-14 2023-01-09 Refrigerator and home appliance
EP23151266.6A EP4212806A1 (en) 2022-01-14 2023-01-12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6021A KR20230110018A (ko) 2022-01-14 2022-01-14 가전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0018A true KR20230110018A (ko) 2023-07-21

Family

ID=87430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6021A KR20230110018A (ko) 2022-01-14 2022-01-14 가전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001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51152B (zh) 冰箱
US20200256613A1 (en) Refrigerator
KR102519045B1 (ko) 냉장고
CN114370734B (zh) 冰箱
US10544983B2 (en) Refrigerator
US20230332831A1 (en) Refrigerator
KR102118156B1 (ko) 냉장고
KR101245886B1 (ko) 냉장고의 스피커 장착구조
KR101731448B1 (ko) 냉장고
US20220174396A1 (en) Acoustic transducer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slim speaker
KR20230110018A (ko) 가전 기기
US20230228482A1 (en) Refrigerator and home appliance
KR20230116591A (ko) 냉장고 및 가전 기기
US20220034577A1 (en) Multi-joint link hing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20210020764A (ko) 음향 트랜스듀서 및 슬림 스피커를 구비한 전자기기
JP7485640B2 (ja) 冷蔵庫
KR20230157784A (ko)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
JP7455657B2 (ja) 冷蔵庫
KR102381021B1 (ko) 냉장고
JP7481163B2 (ja) 冷蔵庫
JP7424793B2 (ja) 冷蔵庫
JP2020008190A (ja) 冷蔵庫
JP7481162B2 (ja) 冷蔵庫
KR102582023B1 (ko) 냉장고
CN113686076B (zh) 冰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