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7762A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7762A
KR20230157762A KR1020220057358A KR20220057358A KR20230157762A KR 20230157762 A KR20230157762 A KR 20230157762A KR 1020220057358 A KR1020220057358 A KR 1020220057358A KR 20220057358 A KR20220057358 A KR 20220057358A KR 20230157762 A KR20230157762 A KR 202301577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able
flange
water purifier
fauc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7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시준
송민수
문현석
염창섭
정한영
금강산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57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7762A/ko
Publication of KR20230157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77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67D1/0085Dispensing valves electro-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1Filters for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Landscapes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원수를 정수로 여과하는 필터; 상기 필터를 수용하는 본체; 상기 정수를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파우셋; 상기 본체와 상기 파우셋에 연결되어 전원 및 전기적 신호를 상기 파우셋으로 전달하는 케이블; 및 상기 본체 내부로 정전기가 전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본체의 외면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블의 단부를 둘러싸는 케이블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커버는, 상기 본체의 외면에 결합되는 플랜지; 및 상기 플랜지로부터 돌출되어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케이블의 단부를 둘러싸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의 내주면과 상기 케이블 사이에는 소정의 갭이 형성된,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정수기{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에 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수도 등의 원수 공급원으로부터 원수를 공급받아 내부에 구비된 필터를 통해 정수로 여과시킨 후 정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장치이다. 또한, 정수기는 싱크대 하측에 배치되는 언더싱크 정수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언더싱크 정수기는 싱크대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본체, 본체 내부에 수용되어 원수를 정수로 여과하는 필터 및 상크대에 배치되는 파우셋을 포함할 수 있다. 최근의 언더싱크 정수기에서의 파우셋은,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하여, 터치 모듈, 디스플레이 모듈, 전자식 밸브, 및 센서 등의 전자 부품들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전자 부품들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언더싱크 정수기는 파우셋과 본체에 연결되는 복수의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케이블은 파우셋이 동작하도록 전원 및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언더싱크 정수기는 복수의 케이블들을 본체 내부에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와 커넥터를 커버하는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언더싱크 정수기는 케이스를 분해하지 않는 한 정전기에 대한 영향이 적으나, 정수기 자체의 설치, 해체, 이전할 경우, 케이스를 개방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언더싱크 정수기의 복수의 케이블들이 외부로 복잡하게 노출되어 있으며, 복수의 케이블들을 케이스를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커넥터에 결합할 경우, 정전기가 발생되어 정전기가 본체 내부로 전달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언더싱크 정수기의 본체와 케이블에는 복수의 케이블이 연결되므로, 언더싱크 정수기를 설치할 때,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엘지전자 주식회사의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21-0124117 "워터 디스펜싱 장치"(특허문헌 1)에는 싱크대에 설치되는 본체부, 본체부 내부에 배치되어 필터, 싱크대의 상측에 배치되어 필터에서 여과된 정수를 배출하는 파우셋 및 본체부와 피우셋에 연결되어 전원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복수의 전선을 포함하는 언더싱크 정수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언더싱크 정수기에는 다수의 전원선 및 배선들을 구비함이 개시되면서도, 이들을 어떻게 본체부에 결합하는지에 대하여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다. 나아가, 전원선 및 배선과 본체부가 결합된 부분에 발생 가능한 정전기에 대한 해결 과제를 개시하고 있지 않다. 또한, 특허문헌 1의 언더싱크 정수기의 파우셋과 본체부에는 복수의 전선이 연결되므로, 언더싱크 정수기를 설치할 때,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21-0124117(2021.10.14. 공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케이블과 소정의 갭을 형성하여 케이블을 둘러싸는 케이블커버에 의해 외부에서 발생된 정전기가 본체 내부로 전달되지 않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원수를 정수로 여과하는 필터; 상기 필터를 수용하는 본체; 상기 정수를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파우셋; 상기 본체와 상기 파우셋에 연결되어 전원 및 전기적 신호를 상기 파우셋으로 전달하는 케이블; 및 상기 본체 내부로 정전기가 전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본체의 외면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블의 단부를 둘러싸는 케이블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커버는, 상기 본체의 외면에 결합되는 플랜지; 및 상기 플랜지로부터 돌출되어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케이블의 단부를 둘러싸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의 내주면과 상기 케이블 사이에는 소정의 갭이 형성된,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는, 상기 커버부에 연결되는 제1 플랜지부; 및 상기 제1 플랜지부에 연결되는 제2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랜지부는 상기 제2 플랜지부에 대하여 단차를 형성하도록 상기 본체를 향해 인입 형성된,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외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인입된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랜지부는 상기 홈부에 접촉되고, 상기 제2 플랜지부는 상기 홈부의 외측에서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접촉되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부는 소정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소정 방향으로의 상기 제1 플랜지부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커버부의 외면까지의 최단거리는 10mm 이상 15mm 이하로 형성되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부는 소정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소정 방향으로의 상기 제1 플랜지부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케이블의 중심부까지의 거리는 20mm 이상 25mm 이하로 형성되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인입된 홈부; 및 상기 전원을 상기 케이블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홈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케이블이 연결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버부 내에 배치되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가 상기 플랜지로부터 돌출되는 길이는 40mm 이상 45mm 이하로 형성되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갭은 상기 케이블의 굵기보다 작게 형성된,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와 상기 본체의 외면을 관통하여 상기 플랜지를 상기 본체에 결합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케이블과 소정의 갭을 형성하며 케이블을 둘러싸는 케이블커버에 의해 외부에서 발생되는 정전기가 본체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수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정수기의 상면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정수기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접촉', '연결, '지지'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접촉, 연결, 지지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는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여과함으로써 깨끗한 물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수기(1)는 언더싱크 정수기일 수 있으며, 수도 등과 같은 원수를 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공급받아 정수로 여과할 수 있다. 이러한 정수기(1)는 본체(100), 필터(200), 케이블(300), 케이블커버(400), 파우셋(500) 및 체결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는 필터(200)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0)는 공급원으로부터 원수를 공급받아 필터(200)로 유동하고, 정수를 파우셋(500)으로 유동하기 위한 유로(700)를 수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체(100)에는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00a)와 정수를 파우셋(500)으로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100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100)는 파우셋(500)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00)는 싱크대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0)는 정수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전원 및 신호를 파우셋(500)으로 전달하거나 파우셋(500)으로부터 수신받을 수 있다. 이러한 본체(100)는 하우징(110), 홈부(120) 및 커넥터(13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본체(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은 내부에 필터(200) 및 원수와 정수가 유동되는 유로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홈부(120)는 하우징(110)의 외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인입될 수 있다. 이러한 홈부(120)는 소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부(120)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홈부(120)에는 유입구(100a)와 토출구(100b)가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130)는 케이블(300)에 연결되도록 홈부(120)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130)는 케이블커버(400)의 후술할 커버부(420)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커넥터(130)는 커버부(420)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130)는 본체(100)의 전원 및 전기적 신호를 케이블(300)로 전달하거나 케이블(300)로부터 전달되는 전원 및 전기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130)는 유입구(100a)와 토출구(10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200)는 본체(100)에 수용되어 본체(100)의 내부로 유입된 원수를 정수로 여과할 수 있다. 이러한 필터(200)에서 여과된 정수는 유로를 통해 파우셋(500)으로 유동될 수 있다. 필터(200)는 하나 이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본체(100)에 교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케이블(300)은 본체(100)와 파우셋(500)에 연결되어 전원 및 전기적 신호를 파우셋(500) 및 본체(100)에 전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케이블(300)은 본체(100)로부터 송신된 신호 및 전원을 파우셋(500)으로 전달하거나, 파우셋(500)으로부터 송신된 신호 및 전원을 본체(1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케이블(300)의 일측은 본체(100)의 커넥터(130)에 연결되고, 일측의 반대편인 타측은 파우셋(50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300)은 한 개만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신호와 전원은 하나의 케이블(300)을 통해 본체(100) 및 파우셋(500)으로 전송될 수 있다.
도 3을 더 참조하면, 케이블커버(400)는 본체(100)의 외면에 결합되어 케이블(300)의 단부를 둘러쌀 수 있다. 다시 말해, 케이블커버(400) 내측에 케이블(300)의 일측이 구비될 수 있다. 케이블커버(400)는 케이블(300)과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블커버(400)는 외부에서 발생된 정전기가 커넥터(130)를 통해 본체(100)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커버(400)는 플랜지(410) 및 커버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더 참조하면, 플랜지(410)는 본체(100)의 외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커버부(42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플랜지(410)는 외부에서 발생한 정전기가 커넥터(13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부분이 굴곡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플랜지(410)는 유입구(100a), 토출구(100b)로부터 발생된 누수가 커넥터(13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플랜지(410)는 토출구(100b) 및 유입구(110a)의 누수로부터 커넥터(130)를 보호할 수 있다. 이러한 플랜지(410)는 제1 플랜지부(411) 및 제2 플랜지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랜지부(411)는 커버부(42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플랜지부(411)는 제2 플랜지부(412)에 대하여 단차를 형성하도록 본체(100)를 향해 인입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플랜지부(411)는 홈부(120)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홈부(120)의 연장 방향을 기준으로, 제1 플랜지부(411)의 끝단으로부터 커버부(420)의 외면까지의 최단거리(d1)는 10mm 이상 15mm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홈부(120)의 연장 방향을 기준으로, 제1 플랜지부(411)의 끝단으로부터 케이블(300)의 중심부까지의 거리(d2)는 20mm 이상 25mm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플랜지부(412)는 제1 플랜지부(411)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플랜지부(412)는 복수 개로 형성되어 제1 플랜지부(411)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플랜지부(412)는 홈부(120)의 외측에서 하우징(110)의 외면에 접촉될 수 있다.
커버부(420)는 플랜지(410)로부터 일 방향으로 돌출되어 케이블(300)의 단부를 둘러쌀 수 있다. 일 방향은 홈부(120)가 연장되는 방향에 수직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420)가 플랜지(410)로부터 돌출되는 길이(l)는 커넥터(130) 의 끝단으로부터 40mm 이상 45mm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420)의 내주면과 케이블(300) 사이에는 소정의 갭(g)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갭(g)은 케이블(300)의 굵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파우셋(500)은 필터(200)에서 여과된 정수를 전달받아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또한, 파우셋(500)은 케이블(300)을 통하여 본체(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파우셋(500)은 케이블(300)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고, 본체(100)와 전기적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이러한 파우셋(500)은 싱크대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파우셋(500)에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모듈(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모듈은 터치패드, 버튼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조작모듈이 조작되면, 파우셋(500)은 본체(100)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우셋(500)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는 정수를 배출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또한, 파우셋(500)에는 디스플레이(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는 본체(10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0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는 필터(200) 상태 정보, 정수 온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600)는 플랜지(410)와 본체(100)를 관통하여 플랜지(410)를 본체(1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부(600)는 제1 플랜지부(411)와 홈부(120)를 관통할 수 있다. 또한, 체결부(600)는 정전기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한 개만 구비될 수 있다.
유로(700)는 공급원으로부터 원수를 공급받아 필터(200)로 유동하고, 정수를 파우셋(500)으로 유동하거나, 파우셋(500)으로부터 전달된 물을 본체(100) 내부로 전달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유로(700)는 복수 개로 형성되어 본체(100)의 유입구(100a)와 파우셋(500)을 연결하고, 토출구(100b)와 파우셋(500)을 연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의 케이블커버(400)가 케이블(300)과 본체(100)가 연결되는 부분에서 케이블(300)의 단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으므로, 케이블(300)과 본체(100)가 연결되는 부분에서 정전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케이블커버(400)는 정전기가 커넥터(130)를 통하여 본체(100) 내의 전기적 회로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부(420)의 돌출 길이(l)는 40mm 이상 45mm 이하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커넥터(130)에 정전기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길이(l)가 40mm 미만이면, 외부에서 발생된 정전기가 커넥터(130)를 통해 본체(100) 내부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제1 플랜지부(411)의 끝단으로부터 케이블(300)의 중심부까지의 거리(d2)는 20mm 이상 25mm 이하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외부에서 발생된 정전기가 커넥터(13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거리(d2)가 20mm 이상이면, 커넥터(130)로 전달되는 정전기 투과율은 0%이고, 19mm이면 10%이고, 18mm이면 30%이다.
본체(100)와 파우셋(500)에 하나의 케이블이 구비되므로, 정수기(1)를 쉽게 설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정수기(1)를 설치할 때, 본체(100)에 하나의 케이블(300)과 하나의 케이블커버(400)를 연결하여 본체(100)와 파우셋(500)을 쉽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체결부(600)에 의해 플랜지(410)는 본체(100)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정수기(1)를 설치할 경우, 케이블커버(400)에 케이블(300)을 통과시킨 후, 케이블(300)을 커넥터(130)에 체결하고, 체결부(600)를 통해 본체(100)에 케이블커버(400)를 체결할 수 있다. 체결부(820)에 의해 본체(100)에 케이블커버(400)가 탈착될 수 있으므로, 정전기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정수기(1)를 설치할 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정수기 100: 본체
110: 하우징 120: 홈부
130: 커넥터 200: 필터
300: 케이블 400: 케이블커버
410: 플랜지 411: 제1 플랜지부
412: 제2 플랜지부 420: 커버부
500: 파우셋 600: 체결부

Claims (9)

  1. 원수를 정수로 여과하는 필터;
    상기 필터를 수용하는 본체;
    상기 정수를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파우셋;
    상기 본체와 상기 파우셋에 연결되어 전원 및 전기적 신호를 상기 파우셋으로 전달하는 케이블; 및
    상기 본체 내부로 정전기가 전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본체의 외면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블의 단부를 둘러싸는 케이블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커버는,
    상기 본체의 외면에 결합되는 플랜지; 및
    상기 플랜지로부터 돌출되어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케이블의 단부를 둘러싸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의 내주면과 상기 케이블 사이에는 소정의 갭이 형성된,
    정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커버부에 연결되는 제1 플랜지부; 및
    상기 제1 플랜지부에 연결되는 제2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랜지부는 상기 제2 플랜지부에 대하여 단차를 형성하도록 상기 본체를 향해 인입 형성된,
    정수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외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인입된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랜지부는 상기 홈부에 접촉되고,
    상기 제2 플랜지부는 상기 홈부의 외측에서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접촉되는,
    정수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소정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소정 방향으로의 상기 제1 플랜지부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커버부의 외면까지의 최단거리는 10mm 이상 15mm 이하로 형성되는,
    정수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소정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소정 방향으로의 상기 제1 플랜지부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케이블의 중심부까지의 거리는 20mm 이상 25mm 이하로 형성되는,
    정수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인입된 홈부; 및
    상기 전원을 상기 케이블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홈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케이블이 연결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버부 내에 배치되는,
    정수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가 상기 플랜지로부터 돌출되는 길이는 40mm 이상 45mm 이하로 형성되는,
    정수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갭은 상기 케이블의 굵기보다 작게 형성된,
    정수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와 상기 본체의 외면을 관통하여 상기 플랜지를 상기 본체에 결합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KR1020220057358A 2022-05-10 2022-05-10 정수기 KR202301577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358A KR20230157762A (ko) 2022-05-10 2022-05-10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358A KR20230157762A (ko) 2022-05-10 2022-05-10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7762A true KR20230157762A (ko) 2023-11-17

Family

ID=88968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7358A KR20230157762A (ko) 2022-05-10 2022-05-10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776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4117A (ko) 2020-11-17 2021-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워터 디스펜싱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4117A (ko) 2020-11-17 2021-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워터 디스펜싱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95232A (ko) 매니폴드 밸브
JP2008040990A (ja) 電子機器
GB2367599A (en) Water feed device for domestic appliance
KR20230157762A (ko) 정수기
US20090320949A1 (en) Separating electrical control water faucet
KR100396013B1 (ko) 전기제어회로에설치하기위한배선보호용박스커버
JP6582468B2 (ja) 回転電機構造
CN100334379C (zh) 基板安装型集合管阀
JP2006183515A (ja) 燃料供給装置
CN212878384U (zh) 一种方便维修的集成智能厨房电器
CN108031290B (zh) 一种净水机
CN107789083A (zh) 洗牙器组件及其辅助设备
JP4465716B2 (ja) 電気温水器
JP2023155811A (ja) 電子機器
KR102185456B1 (ko) 전력량계
JP4475287B2 (ja) 電解水生成装置
EP4311115A1 (en) Signal processing device
CN219981303U (zh) 防水电子装置
CN115066991A (zh) 变频器结构系列
CN214370980U (zh) 一种阻垢出水接头组件及热水器
JP3645639B2 (ja) ガスメータ
CN216281901U (zh) 净化装置及电源部件
KR200392723Y1 (ko) 단자함
WO2023199752A1 (ja) 電子機器
CN213277862U (zh) 一种便于装配的配电开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