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2723Y1 - 단자함 - Google Patents

단자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2723Y1
KR200392723Y1 KR20-2005-0014951U KR20050014951U KR200392723Y1 KR 200392723 Y1 KR200392723 Y1 KR 200392723Y1 KR 20050014951 U KR20050014951 U KR 20050014951U KR 200392723 Y1 KR200392723 Y1 KR 2003927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ox
outlet
box
various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49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학수
Original Assignee
임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학수 filed Critical 임학수
Priority to KR20-2005-00149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27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27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27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02G3/083Inlets
    • H02G3/085Inlets including knock-out or tear-out s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02G3/121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plain wa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6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콘센트를 단자함 벽면에 설치하여, 일차적으로는 단자함내에 구비된 각종 통신기기와 콘센트간 거리를 확보하여 콘센트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가 통신기기에 장애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고, 이차적으로는 콘센트가 단자함 내부공간을 점유하지 않기 때문에 단자함 내부공간에 여유공간이 확보되어 통신기기의 배치가 자유로운 단자함이 개시된다. 개시된 단자함은 상면은 개방되며 측면에는 각종 전선이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는 인입/인출부가 록아웃 구조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각종 통신기기가 장착된 단자함에 있어서, 상기 단자함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는 콘센트 설치부가 록아웃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콘센트 설치부가 록아웃되어 이탈된 콘센트 설치공에는 상기 각종 통신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콘센트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자함{TERMINAL CASE}
본 고안은 단자함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콘센트를 단자함 벽면에 설치하여, 일차적으로는 단자함내에 구비된 각종 통신기기와 콘센트간 거리를 확보하여 콘센트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가 통신기기에 장애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고, 이차적으로는 콘센트가 단자함 내부공간을 점유하지 않기 때문에 단자함 내부공간에 여유공간이 확보되어 통신기기의 배치가 자유로운 단자함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단자함의 구성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종래의 단자함(10)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상면은 개방되며 측면에는 각종 전선이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는 인입/인출부(11)가 록아웃 구조로 이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단자함(10) 내부공간에는 TV 분배기, 통신분배기, TV 증폭기, 데이타 허브와 같은 각종 통신기기(12) 및 이 통신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콘센트(C)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단자함(10) 외부에는 상기 단자함을 거푸집(20, 21)내의 철근(W)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편(14)과, 상기 단자함의 개방면이 건물내벽거푸집(20)에 연접하도록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간격편(G)이 끼워지는 간격편 홀더(15)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단자함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편(14)에 철근(W)이 삽입되어 거푸집(20, 21) 내에 고정되며, 간격편(G)이 간격편 홀더(15)에 끼워져 건물외벽거푸집(21)과의 간격을 유지시켜 단자함의 개방면이 건물내벽거푸집(20)에 연접되며, 콘트리트 타설시 건물벽면에 매립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단자함(10)은 각종 통신기기(12)에 전원을 공급하는 콘센트(C)가 단자함 내부공간에 장착되기 때문에 콘센트(C)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가 각종 통신기기(12)의 신호와 간섭을 일으켜 통신기기에 장애를 일으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관련 법령에는 이러한 신호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콘센트가 각종 통신기기와 소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될 것을 요구하고 있는 데, 종래의 단자함의 경우에는 상기 콘센트의 차지공간으로 인해 단자함 내부공간이 협소하게 되어 요구충족을 위한 통신기기의 배치에 적지 않은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전자통신의 기하학적 발달로 단자함에 보다 다양한 기능의 분배기 내지 증폭기가 설치되어야 하는 현실을 고려하면, 상기 컨센트의 차지공간에 따른 문제점은 시급히 해결되어야 할 급선 과제라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단자함내에 구비된 각종 통신기기와 콘센트간 거리를 확보할 수 있어 콘센트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가 통신기기에 장애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단자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콘센트가 단자함 내부공간을 점유하지 않기 때문에 단자함 내부공간에 여유공간이 확보되어 통신기기의 배치 등이 자유로운 단자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상면은 개방되며 측면에는 각종 전선이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는 인입/인출부가 록아웃 구조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각종 통신기기가 장착된 단자함에 있어서, 상기 단자함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는 콘센트 설치부가 록아웃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콘센트 설치부가 록아웃되어 이탈된 콘센트 설치공에는 상기 각종 통신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콘센트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콘센트는 콘센트본체가 단자함 내측에서 삽입되고 콘센트함이 단자함 외측에서 상기 콘센트본체와 체결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단자함 외벽에는 상기 콘센트함이 삽입 고정될 수 있는 지지테두리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단자함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단자함의 결합사시도이다.
상기 도3 및 도4를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단자함(100)은 종래의 단자함과 동일하게 상면은 개방되며, 측면에는 측면에는 각종 전선이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는 인입/인출부(110)가 록아웃 구조로 형성된다. 따라서, 필요한 인입/인출부(110)를 타격하여 인입/인출편(111)을 이탈시키면 인입/인출공(112)이 개구된다.
그리고, 단자함의 내부공간에는 각종 통신기기(120)들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통신기기는 단자함의 기능에 따라 다양한 기기들로 분류될 수 있으며, 일례로 세대단자함인 경우에는 TV 분배기, 통신분배기, TV 증폭기, 데이타 허브와 같은 통신기기를 예로 들 수 있다.
한편, 상기 단자함의 측면에는 콘센트 설치편(131)이 이탈가능하게 장착된, 즉 녹아웃 구조로 콘센트 설치부(130)가 마련된다. 따라서, 상기 콘센트 설치편(131)이 타격에 의해 이탈되면 콘센트 설치공(132)이 개구되며 이 콘센트 설치공(132)에 단자함의 내부공간에 구비된 각종 통신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콘센트(C)가 장착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콘센트 설치부(C)는 단자함의 일 측면에만 형성되어도 무방하나, 바람직하게는 4 측면에 모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한 데, 이는 필요에 따라 어느 하나의 콘센트 설치부의 설치편을 이탈시켜 콘센트를 장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인입/인출부(110) 대신 콘센트 설치부(130)를 형성하면 될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콘센트(C)는 벽 매립형 콘센트로서, 전단에는 플러그 삽입부가 형성되며 후단에는 콘센트를 작동시키기 위한 각종부품내설부가 형성된 콘센트본체(C1)와, 상기 콘센트본체와 체결되어 상기 콘센트 본체를 보호하는 콘센트함(C2)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콘센트본체(C1)가 단자함 내측에서 외측에서 콘센트 설치공(132)에 관통 설치되면, 콘센트본체(C1)의 각종부품내설부는 콘센트 설치공(132)을 통해 외부로 빠져 나가고 플러그 삽입부의 후면이 단자함의 내면에 당접하게 된다. 그 후, 단자함 외측에서는 콘센트함(C2)이 상기 콘센트 본체(C1)와 나사 체결되어 콘센트(C)가 단자함의 외벽에 장착되게 된다.
이와 같이, 콘센트가 단자함의 벽면에 장착된 본 고안에 따른 단자함은 콘센트가 실질적으로 단자함의 내부공간을 전혀 점유하지 않는다. 따라서, 단자함의 내부공간에 각종 통신기기들을 콘센트에서 발생되는 전자기파에 간섭되지 않도록 충분히 이격되게 장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자함 내부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통신기기들을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이러한 본 고안의 특징이나 장점들은 전자통신의 기하학적 발달로 단자함에 보다 다양한 기능의 분배기 내지 증폭기가 설치되어야 하는 현실을 고려하면 그 활용도가 매우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단자함은 시공시 거푸집 사이에 고정된 후 콘트리트로 타설되어 건물벽면에 매립되기 때문에, 단자함 외부로 노출된 콘센트함(C2)이 보다 견고하게 지지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바람직하게 상기 단자함 외벽에는 상기 콘센트함(C2)이 삽입지지될 수 있는 지지 테두리부(133)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콘센트함(C2)은 상기 지지 테두리부(133)내로 삽입되어 지지된 후 콘센트 몸체(C2)와 나사 체결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더라도 견고하게 단자함에 고정되어 있게 된다.
한편,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단자함이 거푸집 사이에 고정된 측면도로서, 이를 참고하면, 단자함의 개방면이 건물내벽거푸집(20)에 연접하게 하는 간격편(G)을 끼울 수 있는 간격편 홀더(150)가 상기 지지테두리부의 하단부에서 단자함 저면측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 비해 상기 단자함 벽면에 장착된 컨센트함의 폭만큼 간격편의 길이가 단축되므로 간격편(G)에 대한 재료절감 및 단가절감을 가져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단자함은 콘센트를 단자함 벽면에 설치하기 때문에 일차적으로 단자함내에 구비된 각종 통신기기와 콘센트간 거리를 확보하여 콘센트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가 통신기기에 장애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차적으로 콘센트가 단자함 내부공간을 점유하지 않기 때문에 단자함 내부공간에 여유공간이 확보되어 통신기기의 배치가 자유롭다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단자함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2는 종래의 단자함이 거푸집 사이에 고정된 측면도이며,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단자함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단자함의 결합사시도이며,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단자함이 거푸집 사이에 고정된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인입/인출부 120: 통신기기
130: 콘센트 설치부 140: 고정편
150: 간격편 홀더 C: 콘센트

Claims (4)

  1. 상면은 개방되며 측면에는 각종 전선이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는 인입/인출부가 록아웃 구조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각종 통신기기가 장착된 단자함에 있어서,
    상기 단자함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는 콘센트 설치부가 록아웃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콘센트 설치부가 록아웃되어 이탈된 콘센트 설치공에는 상기 각종 통신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콘센트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는
    콘센트본체가 단자함 내측에서 콘센트 설치공에 삽입되며, 콘센트함이 단자함 외측에서 상기 콘센트 본체에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함 외벽에는 상기 콘센트함이 삽입지지되는 지지테두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
  4. 제3항에 있어서,
    간격편을 끼울 수 있는 간격편 홀더가 상기 지지테두리부의 하단에서 단자함 저면측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
KR20-2005-0014951U 2005-05-26 2005-05-26 단자함 KR2003927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4951U KR200392723Y1 (ko) 2005-05-26 2005-05-26 단자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4951U KR200392723Y1 (ko) 2005-05-26 2005-05-26 단자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2723Y1 true KR200392723Y1 (ko) 2005-08-17

Family

ID=43693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4951U KR200392723Y1 (ko) 2005-05-26 2005-05-26 단자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272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309B1 (ko) * 2008-06-10 2011-01-27 (주)금광이앤티 단자함
KR101020086B1 (ko) * 2008-12-01 2011-03-09 허석용 세대용 통신 단자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309B1 (ko) * 2008-06-10 2011-01-27 (주)금광이앤티 단자함
KR101020086B1 (ko) * 2008-12-01 2011-03-09 허석용 세대용 통신 단자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8766B1 (ko) 통합무선 ap장치
US6768055B1 (en) Cable entry box
KR200392723Y1 (ko) 단자함
JP2008164871A (ja) コネクタユニット及び基地局
US7241170B1 (en) Permanent terminations of network cables
US6951984B2 (en) Cable bushing through a shielding wall
KR101010309B1 (ko) 단자함
KR200362309Y1 (ko) 콘센트가 구비된 통합배선 단자함
KR20080002153U (ko) 단자함
JP2009278800A (ja) 車載用の電気接続箱
KR200274778Y1 (ko) 바닥배선용 전선박스
CN218005631U (zh) 配电箱
JP2009207213A (ja) 筺体の構造
JP7203336B2 (ja) 電気設備用キャビネット及び電気設備
JP2006340411A (ja) 分電盤
CN215453100U (zh) 成像装置外壳
CN218119999U (zh) 用于空调室外机的提手盖及包含该提手盖的空调室外机
KR200253886Y1 (ko) 배전함
JP2006050817A (ja) 電気接続箱
JP2007306690A (ja) 分電盤の電気機器取り付け構造
CA2964556C (en) Stubbed terminal housing for communications vault or pedestal
KR100493177B1 (ko) 전기배선박스 연설용 접속구
KR200446512Y1 (ko) 배선박스용 연결박스
US10663688B2 (en) Stubbed terminal housing for communications vault or pedestal
JP2007228647A (ja) 住宅用分電盤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