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7164A - 스플라이스 조인트 커넥터 - Google Patents

스플라이스 조인트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7164A
KR20230157164A KR1020220056820A KR20220056820A KR20230157164A KR 20230157164 A KR20230157164 A KR 20230157164A KR 1020220056820 A KR1020220056820 A KR 1020220056820A KR 20220056820 A KR20220056820 A KR 20220056820A KR 20230157164 A KR20230157164 A KR 20230157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main
inner housing
clamp ring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6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4975B1 (ko
Inventor
김신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220056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4975B1/ko
Publication of KR20230157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7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4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4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1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스플라이스 조인트 커넥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스플라이스 조인트 커넥터는: 메인외피의 일단부에 메인도체를 노출한 메인전선의 메인쉴드층 일부를 메인외피의 둘레면에 접하도록 절곡 후 압착 고정하는 메인클램프링, 복수의 가닥으로 구비된 채 메인도체에 연결되는 분기도체 각각을 대응되는 분기외피의 외부로 노출한 분기전선 각각의 분기쉴드층 일부를 대응되는 분기외피의 둘레면에 접하도록 절곡 후 압착 고정하는 분기클램프링, 및 메인전선과 복수 가닥의 분기전선을 한꺼번에 감싼 채 대응되는 메인클램프링과 복수 개의 분기클램프링을 동시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플라이스 조인트 커넥터{SPLICE JOINT CONNECTOR}
본 발명은 스플라이스 조인트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개별 차폐전선의 도체끼리를 조인트한 후 쉴드클램프와 클램프링을 통해 각 차폐전선에 클램핑한 상태로 실드쉘이 조립된 이너하우징으로써 도체부위와 복수 개의 쉴드클램프을 감싸도록 조립한 후 실드쉘이 쉴드클램프와 접촉하도록 함에 따라 용이하게 차폐(shield)기능을 유도하고, 조립된 쉴드쉘과 이너하우징을 케이싱으로써 커버링하여 내부 부품을 보호하며 패킹처리함으로써 밀봉력을 증대함에 따라, 와이어 하네스 부품에 공정 및 작업성을 개선하고 리워크가 가능하게 하여 품질 이슈 대응과 제품의 신뢰성을 높이고자 하는 스플라이스 조인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탄소 에너지가 점차 고갈되고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미국, 유럽, 일본, 한국을 비롯하여 전세계적으로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전기 자동차에 세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전기 자동차의 경우에는 일반차량에 비해 고전압/고전류를 사용하게 되므로, 차량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차량 내부의 부품에 안정적으로 공급 및 분배하기 위한 전기장치를 필요로 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차량의 전자제어를 위하여 많은 부품들이 모듈 형태로 제작되고 있으며, 사용전류나 전기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커넥터가 연결된 전선이나 통신선들의 사용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이러한, 커넥터(CONNECTOR)는 자동차의 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자동차의 부품에 장착되었을 때 전기적인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여러 가지 안전검사를 거치게 된다.
관련 기술로는 국내 등록실용 제20-0264075호(등록일:2002년01월30일, 명칭: 자동차용 커넥터 조립구조)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의 조인트 커넥터는 공간이 협소하여 쉴드쉘의 클램프링의 압착부위를 압착하기 위해 기존 와이어 압착기를 사용할 수 없음에 따라 해당 형상에 맞는 별도의 공정 압착기를 제작하여야 함으로써 작업 공정성이 저하되고, 조립에 따른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쉴드쉘 압착 후 리워크가 불가능하여 내부 전선 및 부품에 품질 이슈가 발생할 경우 와이어 하네스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복수 개의 개별 차폐전선의 도체끼리를 조인트한 후 쉴드클램프와 클램프링을 통해 각 차폐전선에 클램핑한 상태로 실드쉘이 조립된 이너하우징으로써 도체부위와 복수 개의 쉴드클램프을 감싸도록 조립한 후 실드쉘이 쉴드클램프와 접촉하도록 함에 따라 용이하게 차폐(shield)기능을 유도하고, 조립된 쉴드쉘과 이너하우징을 케이싱으로써 커버링하여 내부 부품을 보호하며 패킹처리함으로써 밀봉력을 증대함에 따라, 와이어 하네스 부품에 공정 및 작업성을 개선하고 리워크가 가능하게 하여 품질 이슈 대응과 제품의 신뢰성을 높이고자 하는 스플라이스 조인트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플라이스 조인트 커넥터는: 메인외피의 일단부에 메인도체를 노출한 메인전선의 메인쉴드층 일부를 상기 메인외피의 둘레면에 접하도록 절곡 후, 압착 고정하는 메인클램프링; 복수의 가닥으로 구비되어, 상기 메인도체에 연결되는 분기도체 각각을 대응되는 분기외피의 외부로 노출한 분기전선 각각의 분기쉴드층 일부를 대응되는 상기 분기외피의 둘레면에 접하도록 절곡 후, 압착 고정하는 분기클램프링; 및 상기 메인전선과 복수 가닥의 상기 분기전선을 한꺼번에 감싼 채, 대응되는 상기 메인클램프링과 복수 개의 상기 분기클램프링을 동시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안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접속안내부는, 상기 메인전선과, 상기 메인전선에 연결되는 복수 가닥의 상기 분기전선을 한꺼번에 감싸고, 절연 재질로 이루어진 이너하우징; 상기 이너하우징의 내측면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메인클램프링을 수용함으로써 위치 고정하는 메인안착홈부; 상기 이너하우징의 내측면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분기클램프링을 일대일 수용함으로써 위치 고정하는 분기안착홈부; 및 상기 이너하우징를 감싸고, 통전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쉴드층과 대응되는 복수 개의 상기 분기쉴드층을 접촉하여 쉴드 안내하는 쉴드쉘을 포함한다.
상기 이너하우징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메인도체와 복수 가닥의 상기 분기도체를 수용하기 위해 도체안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메인안착홈부와 상기 도체안착홈을 연결하는 메인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분기안착홈부와 상기 도체안착홈을 연결하는 분기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너하우징은 이너통과홀을 형성하고; 상기 쉴드쉘은 상기 이너통과홀에 삽입 후 대응되는 상기 메인클램프링과 상기 분기클램프링에 접하거나, 또는 대응되는 상기 메인쉴드층과 상기 분기쉴드층에 접하는 연결부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쉴드쉘은 케이싱에 의해 감싸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플라이스 조인트 커넥터는 복수 개의 개별 차폐전선의 도체끼리를 조인트한 후 쉴드클램프와 클램프링을 통해 각 차폐전선에 클램핑한 상태로 실드쉘이 조립된 이너하우징으로써 도체부위와 복수 개의 쉴드클램프을 감싸도록 조립한 후 실드쉘이 쉴드클램프와 접촉하도록 함에 따라 용이하게 차폐(shield)기능을 유도하고, 조립된 쉴드쉘과 이너하우징을 케이싱으로써 커버링하여 내부 부품을 보호하며 패킹처리함으로써 밀봉력을 증대함에 따라, 와이어 하네스 부품에 공정 및 작업성을 개선하고 리워크가 가능하게 하여 품질 이슈 대응과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플라이스 조인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플라이스 조인트 커넥터에서 케이싱을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플라이스 조인트 커넥터의 내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플라이스 조인트 커넥터의 접속안내부를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안내부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안내부의 이너하우징과 쉴드쉘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플라이스 조인트 커넥터의 평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플라이스 조인트 커넥터의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플라이스 조인트 커넥터의 확대 종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플라이스 조인트 커넥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플라이스 조인트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플라이스 조인트 커넥터에서 케이싱을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플라이스 조인트 커넥터의 내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플라이스 조인트 커넥터의 접속안내부를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안내부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안내부의 이너하우징과 쉴드쉘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플라이스 조인트 커넥터의 평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플라이스 조인트 커넥터의 종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플라이스 조인트 커넥터의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플라이스 조인트 커넥터(100)는 메인클램프링(110), 분기클램프링(122,124) 및 접속안내부(200)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스플라이스 조인트 커넥터(100)는 한 가닥 또는 복수 가닥의 메인전선(10)과, 복수 가닥의 분기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스플라이스 조인트 커넥터(100)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인전선(10)과 분기전선을 에워싸서 보호하고, 쉴드(shield)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메인전선(10)과 분기전선은 차폐전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전선(10)은 중심에서 외부 방향으로 층을 이루는 메인도체(12), 메인쉴드층(14) 및 메인외피(16)를 포함한다.
그리고, 분기전선은 복수 가닥으로 이루어지는데, 편의상 2가닥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이때, 분기전선은 메인전선(10)과 동일하거나, 상이한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제 1분기전선(20)은 중심에서 외부 방향으로 층을 이루는 제 1분기도체(22), 제 1분기쉴드층(24) 및 제 1분기외피(26)를 포함한다.
아울러, 제 2분기전선(30)은 중심에서 외부 방향으로 층을 이루는 제 2분기도체(32), 제 2분기쉴드층(34) 및 제 2분기외피(36)를 포함한다.
한편, 메인클램프링(110)은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도전성을 갖는 재질이며, 메인전선(10)의 둘레면에 압착되어 고정된다.
특히, 메인클램프링(110)은 메인외피(16)의 일단부에 구비되고, 메인전선(10)의 메인쉴드층(14) 일부를 메인외피(16)의 둘레면에 접하도록 절곡 후 압착 고정한다. 이때, 메인도체(12)는 축 방향을 따라 메인전선(10)의 일측으로 노출된다. 메인클램프링(110)은 통전 가능한 재질이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제 1분기전선(20)은 제 1분기클램프링(122)을 압착 고정한다.
즉, 제 1분기클램프링(122)은 메인도체(12)에 연결되는 제 1분기도체(22) 각각을 제 1분기외피(26)의 외부로 노출한 제 1분기전선(20)의 제 1분기쉴드층(24) 일부를 제 1분기외피(26)의 둘레면에 접하도록 절곡 후, 압착 고정된다.
다시 말해서, 제 1분기클램프링(122)은 제 1분기외피(26)의 일단부에 구비되고, 제 1분기전선(20)의 제 1분기쉴드층(24) 일부를 제 1분기외피(26)의 둘레면에 접하도록 절곡 후 압착 고정한다. 이때, 제 1분기도체(22)는 축 방향을 따라 제 1분기전선(20)의 일측으로 노출된다. 제 1분기클램프링(122)은 통전 가능한 재질이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제 2분기클램프링(124)은 제 2분기외피(36)의 일단부에 구비되고, 제 2분기전선(30)의 제 2분기쉴드층(34) 일부를 제 2분기외피(36)의 둘레면에 접하도록 절곡 후 압착 고정한다. 이때, 제 2분기도체(32)는 축 방향을 따라 제 2분기전선(30)의 일측으로 노출된다. 제 2분기클램프링(124)은 통전 가능한 재질이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이때, 메인클램프링(110), 제 1분기클램프링(122) 및 제 2분기클램프링(124)은 대응되는 메인외피(16), 제 1분기외피(26) 및 제 2분기외피(36)의 상측면에 각각 접하도록 젖혀진 메인쉴드층(14), 제 1분기쉴드층(24) 및 제 2분기쉴드층(34)을 고정하도록 각각 하나 이상 구비된다.
한편, 접속안내부(200)는 메인전선(10)의 일부와 제 1분기전선(20)의 일부 및 제 2분기전선(30)의 일부를 한꺼번에 감싼 채, 대응되는 메인클램프링(110)과 제 1분기클램프링(122) 및 제 2분기클램프링(124)을 동시에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세히, 접속안내부(200)는 이너하우징(210), 메인안착홈부(220), 제 1분기안착홈부(232), 제 2분기안착홈부(234) 및 쉴드쉘(240)을 포함한다.
이너하우징(210)은 메인전선(10)과, 이 메인전선(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분기전선(20) 및 제 2분기전선(30)을 한꺼번에 감싸고, 절연 재질로 이루어진다.
특히, 공간이 확보된 넓은 영역에서, 작업자가 메인클램프링(110)을 메인전선(10)에 클램핑하고, 제 1분기클램프링(122)을 제 1분기전선(20)에 클램핑하며, 제 1분기클램프링(122)을 제 2분기전선(30)에 클램핑한 후, 메인도체(12)와 제 1분기도체(22) 및 제 2분기도체(32)가 조인트된 상태로, 비교적 협소한 공간에서도 조립된 이너하우징(210)과 쉴드쉘(240)이 메인전선(10)과 제 1분기전선(20) 및 제 2분기전선(30)에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다.
그래서, 이너하우징(210)은 일측이너하우징(211), 타측이너하우징(212) 및 이너결속부(213)를 포함한다.
일측이너하우징(211)은 메인전선(10)의 하측 둘레면, 제 1분기전선(20)의 하측 둘레면, 제 2분기전선(30)의 하측 둘레면, 메인클램프링(110)의 하측 둘레면, 제 1분기클램프링(122)의 하측 둘레면 및 제 2분기클램프링(124)의 하측 둘레면을 감싼다.
그리고, 타측이너하우징(212)은 메인전선(10)의 상측 둘레면, 제 1분기전선(20)의 상측 둘레면, 제 2분기전선(30)의 상측 둘레면, 메인클램프링(110)의 상측 둘레면, 제 1분기클램프링(122)의 상측 둘레면 및 제 2분기클램프링(124)의 상측 둘레면을 감싼다.
그래서, 축 방향으로 메인전선(10)의 일부, 축 방향으로 제 1분기전선(20)의 일부, 축 방향으로 제 2분기전선(30)의 일부, 메인클램프링(110), 제 1분기클램프링(122) 및 제 2분기클램프링(124)은 일측이너하우징(211)과 타측이너하우징(212)에 감싸여진다.
아울러, 일측이너하우징(211)과 타측이너하우징(212)은 이너결속부(213)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로써, 일측이너하우징(211)과 타측이너하우징(212)은 차량 등의 협소한 공간에서 용이하게 조립되며, 대응되는 메인클램프링(110), 제 1분기클램프링(122) 및 제 2분기클램프링(124)에 동시에 접촉하여 절연체로 이루어진다.
특히, 메인클램프링(110)은 쉴드클램프와 클램프링을 쌍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하여 클램프링이 메인쉴드층(14)을 외측 둘레면에 접한 상태로, 쉴드클램프가 대응되는 클램프링의 외측 둘레면에 포개지며 메인쉴드층(14)을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분기클램프링(122)은 쉴드클램프와 클램프링을 쌍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하여 클램프링이 제 1분기쉴드층(24)을 외측 둘레면에 접한 상태로, 쉴드클램프가 대응되는 클램프링의 외측 둘레면에 포개지며 제 1분기쉴드층(24)을 고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분기클램프링(124)은 쉴드클램프와 클램프링을 쌍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하여 클램프링이 제 2분기쉴드층(34)을 외측 둘레면에 접한 상태로, 쉴드클램프가 대응되는 클램프링의 외측 둘레면에 포개지며 제 2분기쉴드층(34)을 고정할 수 있다. 즉, 메인클램프링(110), 제 1분기클램프링(122) 및 제 2분기클램프링(124)은 각각 클램프링과 쉴드클램프를 쌍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이너결속부(213)는 후크 결합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또한, 메인안착홈부(220)는 이너하우징(210) 특히, 일측이너하우징(211)과 타측이너하우징(2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측면에 함몰 형성되어, 대응되는 메인클램프링(110)을 수용한다. 이에 따라, 메인클램프링(110)은 이너하우징(210)의 메인안착홈부(220)에 안착되어 위치 고정된다.
그리고, 제 1분기안착홈부(232)는 이너하우징(210) 특히, 일측이너하우징(211)과 타측이너하우징(2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측면에 함몰 형성되어, 대응되는 제 1분기클램프링(122)을 수용한다. 그래서, 제 1분기클램프링(122)은 이너하우징(210)의 제 1분기안착홈부(232)에 안착되어 위치 고정된다.
마찬가지로, 제 2분기안착홈부(234)는 이너하우징(210) 특히, 일측이너하우징(211)과 타측이너하우징(2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측면에 함몰 형성되어, 대응되는 제 2분기클램프링(124)을 수용한다. 그래서, 제 2분기클램프링(124)은 이너하우징(210)의 제 2분기안착홈부(234)에 안착되어 위치 고정된다.
편의상, 메인안착홈부(220), 제 1분기안착홈부(232) 및 제 2분기안착홈부(234)는, 일측이너하우징(211)과 타측이너하우징(212)에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또한, 쉴드쉘(240)은 이너하우징(210)을 감싸고, 통전 재질로 이루어져 쉴드(차폐) 유도하며, 메인쉴드층(14)과 제 1분기쉴드층(24) 및 제 2분기쉴드층(34)을 접촉하여 쉴드 안내한다.
특히, 쉴드쉘(240)은 일측이너하우징(211)을 감싸는 일측쉴드쉘(241), 타측이너하우징(212)을 감싸는 타측쉴드쉘(242), 및 일측쉴드쉘(241)과 타측쉴드쉘(242)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쉘결속부(243)를 포함한다.
이때, 일측쉴드쉘(241)은 일측이너하우징(211)을 단순히 커버링한 채 타측쉴드쉘(242)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또는, 일측이너하우징(211)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후 타측쉴드쉘(242)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타측쉴드쉘(242)은 타측이너하우징(212)을 단순히 커버링한 채 일측쉴드쉘(241)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또는, 타측이너하우징(212)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후 일측쉴드쉘(241)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쉴드쉘(24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쉘결속부(243)는 후크 결합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일측이너하우징(211)과 타측이너하우징(2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인도체(12)와 제 1분기도체(22) 및 제 2분기도체(32)를 수용하기 위해 도체안착홈(214)을 형성한다. 그래서, 도체안착홈(214)은 서로 연결된 메인도체(12)와 제 1분기도체(22) 및 제 2분기도체(32)를 수용하여 흔들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일측이너하우징(211)과 타측이너하우징(212)은 설정위치에 메인클램프링(110)과 제 1분기클램프링(122) 및 제 2분기클램프링(124)의 일부씩 수용된 채, 메인안착홈부(220)와 도체안착홈(214)을 연결하는 메인통로(215)를 형성한다.
또한, 일측이너하우징(211)과 타측이너하우징(212)은 설정위치에 메인클램프링(110)과 제 1분기클램프링(122) 및 제 2분기클램프링(124)의 일부씩 수용된 채, 제 1분기안착홈부(232)와 도체안착홈(214), 및 제 2분기안착홈부(234)와 도체안착홈(214)을 각각 연결하는 분기통로(216)를 형성한다.
이로써, 메인전선(10), 제 1분기전선(20) 및 제 2분기전선(30)은 대응되는 메인통로(215)와 분기통로(216)에 수용됨에 따라, 위치 고정되고 흔들림이 방지되며 외측으로 당겨지는 외력이 저감된다.
또한, 메인클램프링(110)과 접한 메인쉴드층(14)이 쉴드(차폐) 안내를 위해 쉴드쉘(240)에 연결되어야 하고, 제 1분기클램프링(122)과 접한 제 1분기쉴드층(24)이 쉴드 안내를 위해 쉴드쉘(240)에 연결되어야 하며, 제 2분기클램프링(124)과 접한 제 2분기쉴드층(34)이 쉴드 안내를 위해 쉴드쉘(240)에 연결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일측이너하우징(211)과 타측이너하우징(2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대응되는 이너통과홀(217)을 형성한다.
그리고, 일측쉴드쉘(241)과 타측쉴드쉘(242)은 대응되는 이너통과홀(217)에 삽입된 채, 대응되는 메인클램프링(110)과 제 1분기클램프링(122) 및 제 2분기클램프링(124)에 접하거나, 또는 대응되는 메인쉴드층(14)과 제 1분기쉴드층(24) 및 제 2분기쉴드층(34)에 접하는 연결부재(247)를 형성한다. 물론, 연결부재(247)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고,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이로써, 메인전선(10), 제 1분기전선(20) 및 제 2분기전선(30)은 연결부재(247)에 의해 차폐 안내된다.
또한, 일측쉴드쉘(241)과 타측쉴드쉘(242)은 절연 및 보호를 위해 케이싱(250)에 의해 감싸여질 수 있다. 케이싱(250)은 메인전선(10)의 축 방향으로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케이싱(250)은, 일측쉴드쉘(241)과 타측쉴드쉘(242)로 나뉘어지는 것과 마찬가지로, 쉴드쉘(240)을 용이하게 감싸서 보호할 수 있도록 적어도 2개로 나뉘어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케이싱(25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메인전선(10), 제 1분기전선(20) 및 제 2분기전선(30)이 외측으로 연장되는 케이싱(250)의 해당 부위는 씰링부재(252)에 의해 밀봉 처리된다. 씰링부재(252)는 재질, 개수 및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메인전선 20: 제 1분기전선
30: 제 2분기전선 100: 스플라이스 조인트 커넥터
110: 메인클램프링 122: 제 1분기클램프링
124: 제 2분기클램프링 200: 접속안내부
210: 이너하우징 211: 일측이너하우징
212: 타측이너하우징 213: 이너결속부
214: 도체안착홈 215: 메인통로
216: 분기통로 217: 이너통과홀
220: 메인안착홈부 232: 제 1분기안착홈부
234: 제 2분기안착홈부 240: 쉴드쉘
241: 일측쉴드쉘 242: 타측쉴드쉘
243: 쉘결속부 250: 케이싱
252: 씰링부재

Claims (6)

  1. 메인외피의 일단부에 메인도체를 노출한 메인전선의 메인쉴드층 일부를 상기 메인외피의 둘레면에 접하도록 절곡 후, 압착 고정하는 메인클램프링;
    복수의 가닥으로 구비되어, 상기 메인도체에 연결되는 분기도체 각각을 대응되는 분기외피의 외부로 노출한 분기전선 각각의 분기쉴드층 일부를 대응되는 상기 분기외피의 둘레면에 접하도록 절곡 후, 압착 고정하는 분기클램프링; 및
    상기 메인전선과 복수 가닥의 상기 분기전선을 한꺼번에 감싼 채, 대응되는 상기 메인클램프링과 복수 개의 상기 분기클램프링을 동시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이스 조인트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안내부는,
    상기 메인전선과, 상기 메인전선에 연결되는 복수 가닥의 상기 분기전선을 한꺼번에 감싸고, 절연재질로 이루어지는 이너하우징;
    상기 이너하우징의 내측면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메인클램프링을 수용함으로써 위치 고정하는 메인안착홈부;
    상기 이너하우징의 내측면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분기클램프링을 일대일 수용함으로써 위치 고정하는 분기안착홈부; 및
    상기 이너하우징를 감싸고, 통전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쉴드층과 대응되는 복수 개의 상기 분기쉴드층을 접촉하여 쉴드 안내하는 쉴드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이스 조인트 커넥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하우징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메인도체와 복수 가닥의 상기 분기도체를 수용하기 위해 도체안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메인안착홈부와 상기 도체안착홈을 연결하는 메인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분기안착홈부와 상기 도체안착홈을 연결하는 분기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이스 조인트 커넥터.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하우징은 이너통과홀을 형성하고,
    상기 쉴드쉘은 상기 이너통과홀에 삽입 후 대응되는 상기 메인클램프링과 상기 분기클램프링에 접하거나, 또는 대응되는 상기 메인쉴드층과 상기 분기쉴드층에 접하는 연결부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이스 조인트 커넥터.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하우징은 일측이너하우징과 타측이너하우징으로 나뉘어져 상기 메인전선과 상기 분기전선을 감싸고,
    상기 일측이너하우징과 상기 타측이너하우징은 이너결속부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이스 조인트 커넥터.
  6.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쉘은 케이싱에 의해 감싸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이스 조인트 커넥터.
KR1020220056820A 2022-05-09 2022-05-09 스플라이스 조인트 커넥터 KR102634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820A KR102634975B1 (ko) 2022-05-09 2022-05-09 스플라이스 조인트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820A KR102634975B1 (ko) 2022-05-09 2022-05-09 스플라이스 조인트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7164A true KR20230157164A (ko) 2023-11-16
KR102634975B1 KR102634975B1 (ko) 2024-02-07

Family

ID=88964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6820A KR102634975B1 (ko) 2022-05-09 2022-05-09 스플라이스 조인트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497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81700A (ja) * 2015-03-24 2016-10-13 ヤザキ ノース アメリカ,インク 電磁干渉スプライスシールド
KR20190058921A (ko) * 2017-11-22 2019-05-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전압 케이블 조인트용 차폐커넥터
KR102003263B1 (ko) * 2018-06-20 2019-07-24 (주)티에이치엔 고전압 전선 조인트 클립
KR20220009299A (ko) * 2020-07-15 2022-01-24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고전압 코어 전선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81700A (ja) * 2015-03-24 2016-10-13 ヤザキ ノース アメリカ,インク 電磁干渉スプライスシールド
KR20190058921A (ko) * 2017-11-22 2019-05-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전압 케이블 조인트용 차폐커넥터
KR102003263B1 (ko) * 2018-06-20 2019-07-24 (주)티에이치엔 고전압 전선 조인트 클립
KR20220009299A (ko) * 2020-07-15 2022-01-24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고전압 코어 전선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4975B1 (ko) 2024-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59802B (zh) 连接器
CN103636080B (zh) 屏蔽电缆固定结构
CN102142641B (zh) 连接器
WO2015002180A1 (ja) 導電線及びその配索構造
JP2002324627A (ja) 電磁波シールド構造
US8851935B2 (en) Electrical wire harness connector
WO2014189054A1 (ja) 端子金具の接続構造
CN102576962A (zh) 屏蔽连接器
KR20200012958A (ko) 감소된 직경의 다중 도전체 케이블 및 이를 위한 접촉 장치
US8981241B2 (en) Cable holding structure
WO2011126924A1 (en) Welding control cable assembly with strain relief
KR102003263B1 (ko) 고전압 전선 조인트 클립
CN103392279A (zh) 保护器及其制造方法和屏蔽导体
WO2014181841A1 (ja) コネクタの防水構造
KR20100026385A (ko) 다중 요철 구조의 연결부를 구비한 커넥터 및, 커넥터와 일괄형 편조차폐선의 결합방법
US10886714B2 (en) Branching circuit body and branching method of electric wires
KR102634975B1 (ko) 스플라이스 조인트 커넥터
JP4864340B2 (ja) 同軸ケーブルの電気コネクタ
KR100803437B1 (ko) 실드 커넥터
CN110350368B (zh) 分支电路体和电线分支方法
KR102428491B1 (ko) 차량용 고전압 코어 전선 연결장치
CN112968417B (zh) 一种屏蔽连接组件、线缆组件和线缆组件的制备方法
US11362460B2 (en) Connector
KR20140107773A (ko) 차폐 케이블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커넥터 하우징 어셈블리
KR102655225B1 (ko) 차폐전선용 조인트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