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6919A - 장애인을 위한 보조적 움직임 훈련 장치 - Google Patents
장애인을 위한 보조적 움직임 훈련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56919A KR20230156919A KR1020237032404A KR20237032404A KR20230156919A KR 20230156919 A KR20230156919 A KR 20230156919A KR 1020237032404 A KR1020237032404 A KR 1020237032404A KR 20237032404 A KR20237032404 A KR 20237032404A KR 20230156919 A KR20230156919 A KR 2023015691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bject
- leg
- latch
- support
- movement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9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04
- 210000002683 foot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10000003423 ankl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6
- 210000000629 knee joint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6
- 208000012902 Nervous system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08000025966 Neurological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01000010829 Spina bifida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08000006097 Spinal Dysraphism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10000004556 brain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4
- 208000029028 brain injury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06010008129 cerebral palsy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01000006417 multiple scleros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6735 defici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08000020339 Spinal injury Diseases 0.000 claims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1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8000020431 spinal cor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8000016285 Movement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0428 Muscle Weak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28372 Muscular weak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303 tibia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08000024172 Cardiovascular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374 Depressed mood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238 Muscle Spastic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8289 Muscle atroph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237 body shap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118 bone streng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87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087 diges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71 impai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77 initi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630 mental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07 modif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0763 muscle atroph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0585 muscular atroph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54 physical 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50 progres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8198 spastic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23 tempo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09—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handicapped pers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4—Standing-up or sitting-down ai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38—Manual lifting aids, e.g. frames or rack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Devices carried or supported by
- A61G7/1046—Mobile bases, e.g. having whee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55—Both knee and hip of a patient, e.g. in supine or sitting position, the feet being moved together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 plane
- A61H1/0262—Walking movement; Appliances for aiding disabled persons to walk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08—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using suspension devices for supporting the body in an upright walking or standing position, e.g. harness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17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for active exercising, the apparatus being also usable for passive exercising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181—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comprising additional means assisting the user to overcome part of the resisting force, i.e. assisted-active exercising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8—User-manipulated weights using user's body weight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 A63B22/20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for moving a support element in reciprocating translation, i.e. for sliding back and forth on a guide track
- A63B22/208—On a track which is itself moving during exercise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63B23/0417—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with guided foot supports moving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plane by transl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57—Means for physically limiting movements of body parts
- A63B69/0062—Leg restrain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64—Attachments on the trainee preventing fall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8—Pelvis
- A61H2201/1633—Sea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 A61H2205/106—Leg for the lower leg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022/009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for active rehabilitation, e.g. slow motion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0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posture
- A63B2208/0204—Standing on the feet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0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posture
- A63B2208/0228—Sitting on the buttocks
- A63B2208/0233—Sitting on the buttocks in 90/90 position, like on a chair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장애인을 위한 보조적 움직임 훈련 장치
본 발명은 의료 기기들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환자나 장애인들의 움직임을 보조하여 신체의 근육들을 단련시키고 강화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의료 기기들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환자나 장애인들의 움직임을 보조하여 신체의 근육들을 단련시키고 강화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료 기기들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환자나 장애인들의 움직임을 보조하여 신체의 근육들을 단련시키고 강화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체 제어가 제한되어 있는 경증 내지 중증 장애인은 몸을 똑바로 세우고 걷거나 움직이기 시작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이러한 사람들은 뇌성마비, 후천성 뇌 및/또는 척추 손상, 신경학적 질환, 다발성 경화증, 척추 이분증 등 다양한 질환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그 결과, 그들은 신체 운동이 거의 또는 전혀 없는 생활 방식에 국한되는 경우가 많다.
장기간의 신체 활동 부족과 다리 근육들의 스트레칭 부족은 근육 위축을 유발한다. 따라서 신체 훈련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면, 이러한 사람들은 점진적으로 근육이 약화될 뿐만 아니라, 혈액 순환 불량, 심혈관 질환, 뼈 강도 감소, 소화 불량, 수면 방해, 고통스러운 경직, 낮은 기분과 정신 건강 등의 대상이 될 것이다. 기술은 부동성 방지, 근력 증가, 혈액 순환 개선, 경직 감소 등을 통해 장애인의 활동성을 유지하고 근육 약화를 방지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물리 치료를 권장한다.
EP2134308은 다양한 유형의 걷기 움직임들을 시뮬레이션하여 장애인들을 훈련시키는 장치를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의료 전문가 등 근처의 도움 없이는 장애인이 스스로 진입하고 보호하기가 어다. 더욱이, 장치의 구성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신체, 성별, 장애 정도에 따라 장애인의 개별 요구에 맞게 훈련을 조정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 수도 있다. 그 결과, 장치 설정을 시작 및/또는 조정하는 것은 사용자와 보조자에게 피곤할 수 있다. 따라서, 당해 기술 분야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선된 움직임을 보조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피험자의 훈련을 위한 움직임 보조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전술한 당업계의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움직임 보조 장치는 피험자가 장치를 사용하고 제한된 지원으로 훈련 프로그램을 조정할 수 있도록 사용자 친화성과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장치는 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대상자의 고수(adherence)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개선된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로써 더 나은 건강 개선을 가져올 수 있다. 본 장치의 실시예에 의해 발생되는 추가 이점은 본 개시 전체에 걸쳐 논의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의 초기 개요가 아래에 제공되며, 특정 실시예가 더 자세히 설명된다. 이 초기 개요는 독자가 기술 개념을 더 빨리 이해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것이지만, 핵심 또는 필수 기능을 식별하려는 의도는 없으며 현재 주제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도도 없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훈련 세션 동안 피험자의 움직임을 보조하기 위한 장치(10)에 관한 것으로서, 긴 베이스와 장치의 전면에 위치되는 직립 지지대 부재(31)를 갖는 프레임; 바닥 지지대(21), 등 지지대(22), 상부 몸체 고정 기기(24) 및 적어도 두 가지 상태들, 즉 바닥 지지대(21)는 등 지지대(22)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앉은 상태, 및 바닥 지지대(21)가 등 지지대(22)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바람직하게는 정렬되는 기립 상태, 그리고 그 역도 마찬가지임, 사이에서 바닥(21) 및 등(22) 지지대들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된 전환 메커니즘(23)을 포함하는 지지대 유닛(2); 각 피험자의 다리에 대해 발 패스너(33), 다리 고정 기기(34), 및 서로 힌지 연결된 긴 막대들의 조립체로 이루어진 움직임 메커니즘(32)을 포함하는 움직임 보조 유닛 - 직립 지지대 부재(31)에 피봇식으로 결합되고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식으로 그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 막대(321), 및 장치의 대향 단부에 피봇식으로 결합되고 실질적으로 수평한 방식으로 긴 베이스를 따라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 막대(322)를 포함함, 타원형 다리 움직임 경로는 조립체(321, 322)로 구현됨 - ; 발 패스너(33) 및 다리 고정 기기(34)는 수평 막대(322) 상에 배치되고; 그리고, 다리 고정 기기(34)는 걸쇠(341)와, 걸쇠(341)의 높이를 피험자의 무릎 관절에 인접한 위치, 바람직하게는 아래 위치로 조정하도록 구성된 높이 조절 메커니즘(342)을 포함하고; 전환 메커니즘(23)이 앉은 상태와 기립 상태 사이를 전환할 때 걸쇠(341)가 피험자의 다리를 무릎의 피봇 지점에 고정하고; 그리고, 움직임 보조 유닛은 각 걸쇠(341)에 연결되고 다른 걸쇠(341)가 앞으로 움직일때 하나의 걸쇠(341)를 뒤로 당기도록 구성되어 대안적인 다리 움직임을 제공하는 당김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훈련 기간 동안 피험자의 움직임을 보조하기 위한 장치(10)에 관한 것으로서, 긴 베이스와 장치의 전면에 위치하는 직립 지지대 부재(31)를 갖는 프레임; 바닥 지지대(21), 등 지지대(22), 상부 몸체 고정 기기를 포함하는 지지대 유닛(2); 지지대 유닛(2)은 장치의 수직 주위로 지지대 유닛(2)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회전가능한 베이스(26)에 장착되어 적어도 바닥 지지대(21) 및 등 지지대(22)가 피험자의 진입을 위해 [피험자가 기기로 진입하도록 허용하도록] 옆으로(sideway) 향할 수 있도록 하고; 그리고 바닥(21)과 등(22) 지지대들의 위치를 적어도 두 가지 상태들, 즉 바닥 지지대(21)가 등 지지대(22)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앉은 상태 및 바닥 지지대(21)가 등 지지대(22)와 실질적으로 평행한 기립 상태, 그 역도 마찬가지임,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된 전환 메커니즘(23); 각 피험자의 다리에 대해 발 패스너(33), 다리 고정 기기(34), 및 서로 힌지 연결된 긴 막대들의 조립체로 이루어진 움직임 메커니즘(32)을 포함하는 움직임 보조 유닛 - 직립 지지대 부재(31)에 피봇식으로 연결되고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식으로 그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 막대(321), 및 장치의 대향 단부에 피봇식으로 연결되고 실질적으로 수평한 방식으로 긴 베이스를 따라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 막대(322)를 포함함, 타원형 다리 움직임 경로는 조립체로 구현됨 - ; 발 패스너(33) 및 다리 고정 기기(34)는 수평 막대(322) 상에 배열되고; 다리 고정 기기(34)는 걸쇠(341)와, 걸쇠(341)의 높이를 피험자의 무릎 관절에 인접한 위치, 바람직하게는 아래 위치로 조정하도록 구성된 높이 조절 메커니즘(342)을 포함하고; 전환 메커니즘(23)이 앉은 상태와 기립 상태 사이를 전환할 때 걸쇠(341)가 피험자의 다리를 무릎의 피봇 지점에 고정하고; 움직임 보조 유닛은 각 걸쇠(341)에 연결되고 다른 걸쇠(341)가 앞으로 움직일때 하나의 걸쇠(341)를 뒤로 당기도록 구성되어 대안적인 다리 움직임을 제공하는 당김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다리 고정 기기(34)는 높이 조절 메커니즘(342)의 종 축 주위로 걸쇠(341)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피봇팅 메커니즘(343)을 포함하고; 걸쇠(341)는 적어도 두 위치, 즉 피험자의 다리를 고정하기 위한 안쪽 위치와 피험자의 다리를 풀기 위한 바깥쪽 위치 사이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하고; 바람직하게는 피봇팅 메커니즘(343)은 적어도 2개의 위치들 중 하나에 걸쇠(341)를 잠그도록 구성된 잠금 부재(345)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다리 고정 기기(34)는 피험자의 발목 높이에서 발 패스너(3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틸팅 메커니즘(344)을 포함하고; 발목의 회전축(341) 주위로 걸쇠를 기울이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예에서 다리 고정 기기(34)는 피험자의 무릎이 과도하게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걸쇠(341)의 적어도 후방 경사를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정지 부재(346)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정지 부재(346)는 틸팅 메커니즘(344) 아래에 위치되고 틸팅 메커니즘(344) 아래로 연장되는 다리 고정 기기(34)의 일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예에서 틸팅 메커니즘(344)은 걸쇠(341)를 적어도 두 위치, 즉 피험자의 다리에 들어가기 위한 아래쪽 위치와 피험자의 다리를 고정하기 위한 위쪽 위치 사이에서 앞으로 기울이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걸쇠(341)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단단한 외부 부분과 피험자의 다리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이기 위해 외부 부분을 향해 움직이도록 구성된 유연한 내부 부분으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환 메커니즘(23)은 적어도 2개의 인접한 로드, 즉 상부 로드(231) 및 하부 로드(232)의 조립체를 포함하며, 이는 대향 단부들에서 바닥(21) 및 등(22) 지지대에 회전가능하게 비스듬한 각도로 연결되고 수직 평행사변형을 형성하고; 이에 의해 조립체(231, 232)의 회전은 동시에 바닥 지지대(21)를 기울이고 등 지지대(22)를 들어올려 기립 상태에서 정렬되고 앉은 상태에서 교차하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환 메커니즘은 회전가능한 베이스(26)의 회전을 잠그도록 구성된 움직임가능하게 배열된 잠금 부재(261)를 포함하고; 잠금 부재(261)는 조립체(231, 232)를 향해 편향되고, 전환 메커니즘(23)이 안착된 상태에 있을 때 잠금 해제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체 고정 기기는 등 지지대(22)의 양쪽에 배열되고 바람직하게는 동시에 팔 아래에 있는 피험자의 상체에 측방향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두 개의 측면 결합 부재(24)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당김 메커니즘은 장치의 후방에 배열된 선회 몸체(323)를 포함하고; 선회 몸체(323)는 반대쪽 단부에 배열된 두 개의 와이어 부착부(324)를 갖고; 그리고 각각의 걸쇠(341)는 각 걸쇠의 움직임이 선회 몸체(323)의 회전에 결합되도록 연결 와이어에 의해 별도의 와이어 부착부(324)에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당김 메커니즘은 피험자의 다리에 장력을 설정하기 위해 긴 베이스의 세로 축을 따라 선회 몸체(323)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구성된 장력 메커니즘(325)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접이식 바퀴(5) 및 바퀴(5)를 가역적으로 연장 및 접히도록 구성된 접기 메커니즘(51)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접기 메커니즘(51)은 선회 몸체(323) 상에 배치된 잠금 부재(52)에 연결되고 선회 몸체(323)의 위치가 장력 메커니즘(325)에 의해 조정될 때 접기 메커니즘(51)을 잠그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대상은 장애가 있거나 운동 장애가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뇌성마비, 후천성 뇌 및/또는 척추 손상, 신경학적 질환, 다발성 경화증, 척추 이분증 또는 운동 장애 질환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의 도면에 대한 다음 설명은 본질적으로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교시, 그 적용 또는 용도를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도면 전반에 걸쳐, 대응 참조 번호는 다음의 부품 및 특징을 나타낸다: 장치(10); 지지대 유닛(2); 바닥 지지대(21); 등 지지대(22); 전환 메커니즘(23); 상부 로드(231); 하부 로드(232); 측면 결합 부재(24); 머리 지지대(25); 회전가능한 베이스(26); 잠금 부재(261); 잠금 부재(262); 높이 조절가능한 베이스(27); 직립 지지대 부재(31); 움직임 메커니즘(32); 수직 막대(321); 수평 막대(322); 선회 몸체(323); 와이어 부착부(324); 장력 메커니즘(325); 리프팅 메커니즘(326); 발 패스너(33); 다리 고정 기기(34); 걸쇠(341); 높이 조절 메커니즘(342); 피봇팅 메커니즘(343); 틸팅 메커니즘(344); 잠금 부재(345); 정지 부재(346); 핸드 홀더(35); 접이식 바퀴(5); 접기 메커니즘(51); 잠금 부재(52).
도 1a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앉은 상태의 개시된 장치(10)의 옆으로 본 도면이다.
도 2a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앉은 상태와 기립 상태 사이의 전환 상태인 개시된 장치(10)의 옆으로 본 도면이다.
도 3a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기립 상태의 개시된 장치(10)의 옆으로 본 도면이다.
도 4a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피험자 진입을 위한 본 장치(10)의 평면도이다.
도 5a는 본 장치(10)의 전환 메커니즘(23)과 회전가능한 베이스(26)를 포커싱한 도면이다.
도 5b는 본 장치(10)의 전환 메커니즘(23) 및 회전가능한 베이스(26)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c는 본 장치(10)의 전환 메커니즘(23) 및 회전가능한 베이스(26)의 단면도 이다 .
도 6은 하강된 위치의 지지대 유닛(2)을 갖는 본 장치(10)의 옆으로 본 도면이다.
도 7a는 닫힌 위치의 본 다리 고정 메커니즘(34)의 사시도이다.
도 7b는 부분적으로 개방된 위치의 본 다리 고정 메커니즘(34)의 사시도이다.
도 7c는 완전히 개방된 위치의 본 다리 고정 메커니즘(34)의 사시도이다.
도 8은 피험자의 진입을 위해 틸팅된 위치의 본 다리 고정 메커니즘(34)의 사시도이다.
도 9는 확장된 핸드 홀더(35)를 갖는 본 장치(10)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확장된 리프팅 메커니즘(326)을 갖는 본 장치(10)의 사시도이다.
도 11a는 연장된 바퀴(5)를 갖는 본 장치(10)의 단면도이다 .
도 11b는 접혀진 바퀴(5)를 갖는 본 장치(10)의 단면도이다 .
도면 전반에 걸쳐, 대응 참조 번호는 다음의 부품 및 특징을 나타낸다: 장치(10); 지지대 유닛(2); 바닥 지지대(21); 등 지지대(22); 전환 메커니즘(23); 상부 로드(231); 하부 로드(232); 측면 결합 부재(24); 머리 지지대(25); 회전가능한 베이스(26); 잠금 부재(261); 잠금 부재(262); 높이 조절가능한 베이스(27); 직립 지지대 부재(31); 움직임 메커니즘(32); 수직 막대(321); 수평 막대(322); 선회 몸체(323); 와이어 부착부(324); 장력 메커니즘(325); 리프팅 메커니즘(326); 발 패스너(33); 다리 고정 기기(34); 걸쇠(341); 높이 조절 메커니즘(342); 피봇팅 메커니즘(343); 틸팅 메커니즘(344); 잠금 부재(345); 정지 부재(346); 핸드 홀더(35); 접이식 바퀴(5); 접기 메커니즘(51); 잠금 부재(52).
도 1a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앉은 상태의 개시된 장치(10)의 옆으로 본 도면이다.
도 2a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앉은 상태와 기립 상태 사이의 전환 상태인 개시된 장치(10)의 옆으로 본 도면이다.
도 3a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기립 상태의 개시된 장치(10)의 옆으로 본 도면이다.
도 4a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피험자 진입을 위한 본 장치(10)의 평면도이다.
도 5a는 본 장치(10)의 전환 메커니즘(23)과 회전가능한 베이스(26)를 포커싱한 도면이다.
도 5b는 본 장치(10)의 전환 메커니즘(23) 및 회전가능한 베이스(26)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c는 본 장치(10)의 전환 메커니즘(23) 및 회전가능한 베이스(26)의 단면도 이다 .
도 6은 하강된 위치의 지지대 유닛(2)을 갖는 본 장치(10)의 옆으로 본 도면이다.
도 7a는 닫힌 위치의 본 다리 고정 메커니즘(34)의 사시도이다.
도 7b는 부분적으로 개방된 위치의 본 다리 고정 메커니즘(34)의 사시도이다.
도 7c는 완전히 개방된 위치의 본 다리 고정 메커니즘(34)의 사시도이다.
도 8은 피험자의 진입을 위해 틸팅된 위치의 본 다리 고정 메커니즘(34)의 사시도이다.
도 9는 확장된 핸드 홀더(35)를 갖는 본 장치(10)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확장된 리프팅 메커니즘(326)을 갖는 본 장치(10)의 사시도이다.
도 11a는 연장된 바퀴(5)를 갖는 본 장치(10)의 단면도이다 .
도 11b는 접혀진 바퀴(5)를 갖는 본 장치(10)의 단면도이다 .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될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청구항의 모든 참조 기호는 그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단수 형태 "하나", "한개" 및 "그"는 문맥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지시 대상을 모두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포함하는", "포함한" 및 "포함된"이라는 용어는 "내포하는", "내포한" 또는 "함유하는", "함유한"과 동의어이며, 포괄적이거나 개방적이며 추가적인, 인용되지않은 부재들, 요소들 또는 방법 단계들을 배제하지 않는다. "포함하는", "포함한" 및 "포함된"이라는 용어는 인용된 부재들, 요소들 또는 방법 단계들을 참조할 때, 또한 "내포하는" 상기 인용된 부재들, 요소들 또는 방법 단계들을 포함하는 실시예들을 포함한다.
게다가,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등의 용어는 유사한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며, 특별히 명시하지 않는 한 반드시 순차적이거나 연대순으로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이렇게 사용된 용어는 적절한 상황 하에서 상호 교환 가능하며, 본 명세서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기술되거나 예시된 것과 다른 순서로 동작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 과학적 용어를 포함하여 본 발명을 개시하는데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추가 안내를 통해, 본 발명의 교시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설명에 사용된 용어에 대한 정의가 포함되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또는 정의는 단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 인용된 모든 문헌들은 그 전체가 참조로 포함된다.
끝점들에 의한 수치 범위의 기술에는 언급된 끝점들뿐만 아니라 각 범위들 내에 포함된 모든 숫자들과 분수들이 포함된다.
"약"이라는 용어는 주어진 값이 끝점의 "약간 위" 또는 "약간 아래"일 수 있음을 제공하여 수치 범위 끝점에 유연성을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특정 수치 또는 수치 범위에 따른 용어 "약"의 사용은 용어 "약" 없이 그러한 수치 용어 또는 범위에 대한 지지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편의상, 간결함을 위해, 매개변수, 양, 시간적 지속시간 등 측정 가능한 값을 언급할 때, 이는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의 변화량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고, 이러한 변형이 본 개시에서 수행하기에 적절한 한, 바람직하게는 +/-1%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1% 이하이다. 수식어 "약"이 지칭하는 값은 그 자체도 구체적으로, 바람직하게는 개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질적으로"라는 용어는 동작, 특성, 속성, 상태, 구조, 항목 또는 결과의 완전하거나 거의 완전한 범위 또는 정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둘러싸인 객체는 객체가 완전히 둘러싸여 있거나 거의 완전히 둘러싸여 있음을 의미한다. 절대 완전성에서 허용되는 정확한 편차 정도는 경우에 따라 특정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완성이 가까웠다는 것은 마치 완전하고 완전한 완성을 얻은 것과 같은 전체적인 결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실질적으로"라는 표현은 행동, 특성, 속성, 상태, 구조, 항목 또는 결과가 완전히 또는 거의 완전히 부족함을 나타내기 위해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될 때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예를 들어, 입자가 "실질적으로 없는" 조성물은 입자가 완전히 결여되거나 입자가 거의 완전히 결여되어 효과가 입자가 완전히 결여된 것과 동일할 것이다. 즉, 성분이나 요소가 "실질적으로 없는" 조성물은 측정 가능한 효과가 없는 한 실제로 그러한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일 실시예" 또는 "실시예"에 대한 참조는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정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본 개시 내용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다양한 위치에서 "일 실시예에서" 또는 "일 실시예에서"라는 문구가 나타나는 것은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예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일 실시예에서" 또는 "일 측면에서"라는 문구의 발생은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예 또는 측면을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특정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본 개시 내용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할 수 있듯이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 설명된 일부 실시예들은 다른 실시예들에 포함된 일부 특징들을 포함하지만 다른 실시예들에 포함된 다른 특징들은 포함하지 않지만, 다른 실시예들의 특징들의 조합들은 본 개시의 범위 내에 속하고 그 기술에 의하여 이해될수 있는 대로, 다른 실시예들을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다음의 청구범위 및 설명에서, 청구되거나 설명된 실시예 중 임의의 것이 임의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개시에 따른 피험자의 훈련을 위한 움직임 보조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전술한 당업계의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피험자는 건강한 인간 또는 비정상적인 건강 상태를 앓고 있는 환자와 같은 인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피험자는 그/그녀의 하부 몸체의 제한된 제어로 움직임이 손상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피험자는 경증 내지 중증 장애를 가질 수 있다. 피험자는, 예를 들어, 뇌성마비, 후천성 뇌 및/또는 척추 손상, 신경학적 질환, 다발성 경화증, 척추 이분증 또는 기타 운동 장애 질환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설명된 움직임 보조 장치는 피험자가 장치를 사용하고 제한된 지원으로 훈련 프로그램을 조절할 수 있도록 사용자 친화성과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장치는 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대상자의 준수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개선된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로써 더 나은 건강 개선을 가져올 수 있다. 본 장치의 실시예에 의해 발생되는 추가 이점은 본 개시 전체에 걸쳐 논의된다.
장치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초기 개요가 아래에 제공되며 특정 실시예들이 더 자세히 설명된다. 이 초기 개요는 독자가 기술 개념을 더 빨리 이해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것이지만, 핵심 또는 필수 기능을 식별하려는 의도는 없으며 현재 주제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도도 없다.
또한, 당업자는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양한 측면이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고, 이러한 상세한 설명의 판독에 기초하여 인식할 것이다. 따라서, 특정 측면의 임의의 특정 실시예는 이에 대한 명시적인 논의 없이도 다른 측면의 특정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의 구성에 대한 실시예는 또한 장치의 제조를 위한 실시예, 장치의 사용을 위한 실시예 등을 형성한다.
훈련 세션 동안 피험자의 움직임을 보조하기 위한 장치(10)에 관한 것으로서,
- 긴 베이스와 장치의 전면에 위치되는 직립 지지대 부재(31)를 갖는 프레임;
- 바닥 지지대(21), 등 지지대(22), 상부 몸체 고정 기기(24); 및 적어도 두 가지 상태들, 즉 바닥 지지대(21)가 등 지지대(22)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앉은 상태, 및 바닥 지지대(21)가 등 지지대(22)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바람직하게는 정렬되는 기립 상태, 그리고 그 역도 마찬가지임, 사이에서 바닥(21) 및 등(22) 지지대들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된 전환 메커니즘(23)을 포함하는 지지대 유닛(2);
- 각 피험자의 다리에 대해, 발 패스너(33), 다리 고정 기기(34), 및 서로 힌지 연결된 긴 막대들의 조립체로 이루어진 움직임 메커니즘(32)을 포함하는 움직임 보조 유닛 - 직립 지지대 부재(31)에 피봇식으로 결합되고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식으로 그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 막대(321), 및 장치의 대향 단부에 피봇식으로 결합되고 실질적으로 수평한 방식으로 긴 베이스를 따라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 막대(322)를 포함함, 타원형 다리 움직임 경로는 조립체로 구현됨 - ; 발 패스너(33) 및 다리 고정 기기(34)는 수평 막대(322) 상에 배치되고;
- 상기 움직임 보조 유닛은 각 다리 고정 기기(34)에 연결되고 다른 다리 고정 기기(34)가 앞으로 움직일때, 하나의 다리 고정 기기(34)를 뒤로 당기도록 구성되어 대안적인 다리 움직임을 제공하는 당김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장치(10)를 포함한다.
지지대 유닛(2)의 구성요소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논의될 것이다. 도 1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 지지대 유닛(2)은 피험자의 하단(bottom)을 지지하는 바닥 지지대(21)와 피험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 지지대(2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바닥 지지대(21)는 좌석, 바람직하게는 편평한 좌석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바닥 지지대(21)는 앉았을 때 피험자의 다리 중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기 위해 앞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등 지지대(22)는 등받이, 바람직하게는 편평한 등받이일 수 있다.
바닥 지지대(21) 및 등 지지대(22)에는 적어도 두 가지 상태들, 즉 바닥 지지대(21)가 실질적으로 등 지지대(22)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되고, 본질적으로 피험자가 앉기 위한 좌석 배열을 형성하는 제1 앉은 상태(도 1a 참조) 및 바닥 지지대(21)가 등 지지대(22)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기립 상태(도 3a 참조), 그 역도 마찬가지임, 사이에서 바닥(21)과 등(22) 지지대들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된 전환 메커니즘(23)이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환 메커니즘(23)은 바닥(21) 및 등(22) 지지대들의 위치를 전술한 앉은 그리고 기립 상태들 사이의 어떤 상태로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환 메커니즘(23)은 중간 상태와 같은, 적어도 세 가지 상태들 사이에서 바닥(21) 및 등(22) 지지대들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a는 도 1a 의 앉은 상태와 도 3a의 기립 상태 사이의 중간 상태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환 메커니즘(23)은 적어도 2개의 인접하게 배열된 로드, 즉 상부 로드(231) 및 하부 로드(232),의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모서리들에 힌지 연결되고 바닥(21) 및 등(22) 지지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로드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이지만, 모서리들(corners)은 수직 평행사변형을 형성하도록 서로에 대해 변위된 위치에서 바닥(21) 및 등(22) 지지대에 연결된다. 유리하게는, 바닥 지지대로부터 장치 지지 프레임을 향해 비스듬한 각도로 연장되는 연결 구성요소가 제공될 수 있고, 상부(321) 및 하부 로드들(322)의 가장자리들(edges)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 예시적인 배열이 도 1b 에 도시되어 있다.
전환 메커니즘(23)의 로드들의 조립체의 회전은 바닥 지지대(21)를 실질적으로 90도 각도로 회전시키고 동시에 등 지지대(22)의 위치를 상승시켜 바닥 및 등 지지대들이 서로 정렬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피험자의 척추를 더욱 잘 지지할 수 있는 직선을 형성할 수 있다. 그 예시적인 배열이 도 3b 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2b는 도 1b의 앉은 상태에서 도 3b 의 기립 상태로의 전환을 도시한다. 실시예에서, 전술한 조립체의 상부 로드(231) 및 하부 로드(232)는 더 깊은 앉은 위치를 위해 길이가 연장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키가 큰 피험자들의 편안함이 향상되고 피험자의 무릎 관절 주위로 회전이 유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상부(231) 및 하부 로드들(232)은 서로 슬라이드식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된 2개 이상의 상보적인 로드들로 구성되어 신축식으로 연장 가능한다. 선택적으로 상부(231) 및 하부(232)에는 각 로드를 최적의 길이로 고정하기 위한 개구부가 제공될 수 있다. 그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 5a에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대 유닛(2)은 피험자의 상부 몸체를 고정하기 위한 상부 몸체 고정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 몸체 고정 기기는 피험자의 상부 몸체에 접촉하여 바닥(21) 및 등(22) 지지대들에 대해 제자리에 고정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하게 배열된 잠금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몸체 고정 기기는 스트랩, 벨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 몸체 고정 장치는 장치의 반대측면, 바람직하게는 등 지지대(22)에 배열되고 바람직하게는 동시에 피험자의 상부 몸체 부분과 접촉하도록, 바람직하게는 팔 아래에 있는 피험자의 측면, 구성되는 두 개 이상의 측면 결합 부재(24)를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닥(21) 및 등(22) 지지대와 결합하여 이는 앉은 상태에서 기립 상태로 전환하는 동안 및/또는 훈련 세션 동안 피험자의 상부 몸체를 완전히 지지할 수 있는 다중점 접촉 배열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측면 결합 부재(24)는 결합 시 피험자의 엉덩이를 고정하기 위해 환자의 엉덩이 영역의 높이에 위치된다. 유리하게는 측면 결합 부재(24)는 자연스러운 신체 형태를 수용하도록 만곡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측면 결합 부재(24)는 피험자를 고정하기 위해 안쪽으로 회전하고(도 1a 참조) 피험자를 풀기 위해 바깥쪽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도 4a 참조). 이러한 배열은 피험자가 장치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개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대 유닛(2)은 피험자의 머리를 지지하기 위한 머리 지지대(25)를 포함할 수 있다. ab 실시예에서 머리 지지대(25)는 머리 받침, 바람직하게는 곡선형 머리받침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머리 지지대(25)는 앉은 상태에서 기립 상태로 전환될 때 등 지지대(22)를 따라 이동하도록 등 지지대(22)의 상부 위치에 배열될 수 있다. 유리하게도 머리 지지대(25)의 위치 및/또는 각도는 피험자의 키에 맞춰 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대 유닛(2)은 장치의 수직 축 주위로 지지대 유닛(2)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회전가능한 베이스(26)에 장착될 수 있어서 적어도 바닥 지지대(21), 등 지지대(22)가 피험자 진입을 위해 옆으로 배향될 수 있다(즉, 피험자가 장치에 들어가거나 나올 수 있도록 한다. 유리하게는, 지지대 유닛(2)의 모든 구성 요소들이 옆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여기에는 상부 몸체 고정 장치 및/또는 머리 지지대(25)도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장치의 측면에서 장치로 빠져나가는 것은 휠체어에 묶인 피험자에게 특히 유익할 수 있다. 예시적인 배열이 도 4a 및 도 4b 에 도시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회전가능한 베이스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 회전식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기어, 링, 벨트, 베어링 등과 같은 회전가능한 베이스와 그 구성 요소를 자동으로 회전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회전가능한 베이스(26)는 회전가능한 베이스(26)의 회전을 잠그도록 구성된 잠금 부재(261)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잠금 부재(261)는 회전가능한 베이스(26)를 적어도 2개의 미리 정의된 방향들, 즉 피험자 훈련을 위한 전방 방향 및 피험자 진입을 위한 옆방향으로 잠글 수 있다. 또한, 잠금 부재는 회전가능한 베이스(26)를 사이의 임의의 방향으로 잠글 수도 있다. 유리하게는 잠금 부재(261)는 풀릴 때 자체 잠금되도록 회전가능한 베이스(26)를 향해 편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잠금 부재(261)는 스프링식일 수 있다. 그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되어 있다.
이는 예를 들어 피험자가 진입하는 동안 회전가능한 베이스(26)가 우발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정적인 잠금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회전가능한 베이스(26)는 상술한 전환 메커니즘(23), 바람직하게는 상부 로드(231)와 하부 로드(232)의 조립체을 향하여 편향되는 움직임가능하게 배열된 잠금 부재(262)를 포함할 수 있고 전환 메커니즘(23)이 앉은 상태일 때 회전가능한 베이스(26)를 자체 잠금 해제한다. 바람직하게는, 전환 메커니즘(23)은 회전가능한 베이스(26)가 잠금 해제되도록 앉은 상태에 있을 때 하부 로드(232) 및/또는 이로부터 연장되는 연결 부재가 움직임 가능하게 배열된 잠금 부재(261)를 밀어낼 수 있도록 배열될 수 있다. 그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 5a 및 5c에 도시되어 있다. 이는 훈련 세션 동안 회전가능한 베이스(26)의 우발적인 회전을 방지하는 신뢰할 수 있는 안전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대 유닛(2)은 장치 프레임, 바람직하게는 그 아래에 배치된 움직임 유닛(movement unit)에 대해 지지대 유닛(2)의 높이를 높이거나 낮추도록 구성된 높이 조절가능한 베이스(27)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이는 피험자들의 키에 맞게 장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하며, 이는 특히 어린 피험자들에게 유익할 수 있다. 그 예시적인 배열이 도 5 및 도 6 에 도시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높이 조절가능한 베이스(27)는 기어, 링, 벨트, 베어링 등과 같은 높이 조절가능한 베이스와 그 임의의 구성요소를 상승 및 하강시키도록 구성된 선형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움직임 보조 장치의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움직임 보조 장치는 긴 베이스와 직립 지지대 부재(31)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긴 베이스의 전방 단부에 배치된다. 장치는 훈련 중에 장치를 안정화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긴 베이스의 각 모서리에 배열되는 다수의 받침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연스럽고 반복적인 움직임 주기를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피험자의 교번되는 다리 움직임을 지원하고 조정하도록 구성된 움직임 메커니즘이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움직임 메커니즘은 피험자의 발이 이동 주기 동안 앞뒤로 움직일 뿐만 아니라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타원형 경로를 따라 보조 다리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매달린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보다 자연스러운 걷기 동작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움직임 메커니즘은 서로에 대해 회전 이동하도록 모서리에 힌지 연결되는 긴 막대들의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로드(321)는 자유 단부에서 직립 지지대 부재(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움직임 메커니즘(32)의 수직 구성요소를 형성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수직 방식으로 직립 지지대 부재(31) 로부터 하향 연장될 수 있고; 제2 로드(322)는 장치의 반대쪽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움직임 메커니즘(32)의 수평 구성요소를 형성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수평 방식으로 긴 베이스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당업자는 두 개의 이러한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그 예시적인 배열이 도 1b 에 도시되어 있다. 이 조립체는 위에서 설명한 타원형 다리 이동 경로를 구현하는 특히 효율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움직임 보조 유닛은 피험자의 발을 이동 메커니즘에 고정하도록 구성된 발 패스너(33)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발 패스너(33)는 전술한 조립체의 수평 막대(322)의 상부 표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평 막대(322)에는 발 패스너 또는 그 구성 요소가 연결될 수 있는 중공 홈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발 패스너(33)는 스트랩 또는 버팀대와 같은 패스너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발 패스너는 신발 밑창에 제공된 클립과 같이 피험자의 신발과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 친화성과 편안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움직임 보조 장치는 피험자의 다리를 고정하기 위한 다리 고정 기기(34)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다리 고정 장치는 피험자의 다리 중 하나와 접촉하여 이동 메커니즘에 대해 제자리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하게 배열된 잠금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몸체 고정 기기 스트랩, 벨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리 고정 기기는 전술한 조립체의 수평 막대(322)에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다리 고정 기기는 수평 막대(322)의 상부 표면에 수직으로 배열된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발 패스너(33)의 위치 근처에 있는 수평 막대(322)의 측면에 연결되는 연결 막대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다리 고정 기기(34)는 대상의 다리, 바람직하게는 정강이뼈, 더 바람직하게는 정강이뼈의 상부 섹션과 접촉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구성된 다리 걸쇠(341)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걸쇠(341)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피험자의 다리가 들어갈 수 있는 개방된 등을 갖추고 있다. 다리 고정 기기(34)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 7a에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걸쇠(341)은 단단한 외부 부분과 유연한 내부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외부 부분을 향해 이동하여 피험자의 다리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이고, 아래에 자세히 설명된 당김 메커니즘에 의해 뒤로 당겨질 때 바람직하게는 다음과 같은 경우 피험자의 다리에 가해지는 압력의 일부를 흡수한다. 외부 부분과 내부 부분은 편안함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리를 움직이는 동안 피험자의 정강이에 가해지는 압력을 부분적으로 저항하는 편향 부재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다리 고정 기기(34)는 발 패스너(33)에 대해 다리 고정 기기(34), 바람직하게는 걸쇠(341)의 높이를 조정하도록 구성된 높이 조절 메커니즘(34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높이 조절 메커니즘(342)은 제1 중공 프로파일과 중공 프로파일에 끼워지고 그에 대해 종방향으로 미끄러지도록 구성된 제2 프로파일의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제1 프로파일은 움직임 메커니즘에 연결되고 제2 프로파일은 걸쇠(341)에 연결된다. 유리하게는 다리 고정 기기(34), 바람직하게는 걸쇠(341)가 대상자의 무릎 관절 바로 아래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고정 기기에 의해 제공되는 지지 수준을 증가시켜 피험자의 편안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다리 고정 기기는 움직임 메커니즘의 수평 막대(322)의 상부 표면에 수직인 축 주위로 다리 고정 기기(34), 바람직하게는 걸쇠(341)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피봇팅 메커니즘(343)을 포함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피봇팅 메커니즘(343)은 위에서 설명한 높이 조절 메커니즘(342)의 종축 주위로 다리 고정 기기(34), 바람직하게는 걸쇠(341)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은 걸쇠(341)의 회전이 여러 위치들, 예를 들어, 걸쇠(341)가 피험자의 다리를 고정할 수 있는 안쪽 위치(도 7a 참조), 그리고 걸쇠(341)가 피험자의 다리를 풀 수 있는 부분적(도 7ba 참조) 또는 완전히 바깥쪽(도 7ba 참조) 위치로,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은 피험자가 장치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개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피봇팅 메커니즘(343)은 내부 위치 및 외부 위치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위치 중 하나에서 걸쇠(341)를 잠그도록 구성된 잠금 부재(345)를 포함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잠금 부재는 해제될 때 자체 잠금되도록 피봇팅 메커니즘(343)을 향해 편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잠금 부재에는 스프링이 장착될 수 있다. 잠금부재는 적어도 두 개의 위치를 포함하여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만 걸쇠(341)를 잠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훈련 사이클 동안 다리 고정 기기(34), 바람직하게는 걸쇠(341)의 우발적인 회전을 방지하는 안전 특징을 제공한다.
실시예에서 다리 고정 기기(34)는 피험자의 발목 높이에서 발 패스너(3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틸팅 메커니즘(344)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발목의 회전축(341) 주위로 걸쇠를 기울이도록 구성된다. 이는 훈련 주기 동안 보다 자연스러운 걷기 동작을 시뮬레이션함으로써 피험자의 편안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틸팅 메커니즘(344)은 걸쇠(341)를 적어도 두 위치, 즉 대상의 다리에 들어가기 위한 아래쪽 위치와 대상의 다리를 고정하기 위한 위쪽 위치 사이에서 앞으로 기울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틸팅 메커니즘(344)은 이동 메커니즘의 수평 막대(322)의 상부 표면에 배열된 발 패스너(33)를 향해 다리 고정 기기(34), 바람직하게는 걸쇠(341)를 기울일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은 피험자의 다리를 움직임 메커니즘 위로, 예를 들어 발 패스너(33) 내로 통과시키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걸쇠가 아래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배열은 피험자가 장치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개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다리 고정 기기(34)는 적어도 걸쇠(341)의 후방 경사를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정지 부재(34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훈련 중에 피험자의 무릎이 과도하게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 특징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정지 부재(346)는 틸팅 메커니즘(344) 아래에 위치되고 틸팅 메커니즘(344) 아래로 연장되는 다리 고정 기기(34)의 일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다리 고정 기기(34)의 복잡성을 감소시키는 신뢰성 있는 정지 부재(346)를 제공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틸팅 메커니즘(344)은 걸쇠(341)가 피험자의 다리를 향해 안쪽으로 회전할 때 걸쇠(341)가 기울어지는 것을 차단하는 안전 잠금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걸쇠(341)는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외측으로 회전될 때만 기울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 잠금 장치는 전술한 피봇팅 메커니즘(343)에 연결되어 걸쇠가 외측으로 회전되면 틸팅 메커니즘(344)을 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훈련 중에 실수로 다리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단 요소는 피봇팅 메커니즘에 연결될 수 있고 걸쇠가 바깥쪽으로 회전되었을 때 틸팅 메커니즘(344)을 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움직임 메커니즘(32)은 다른 다리가 앞으로 움직일 때 한쪽 다리를 뒤로 이동시킴으로써 정지된 장치에서 보다 자연스러운 보행 동작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훈련 중에 대상의 다리의 움직임을 교대로 수행하도록 구성된 당김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각 피험자의 다리에 대해 위에서 설명한 움직임 메커니즘의 움직임을 결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당김 메커니즘은 피험자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고 장치에 쉽게 진입할 수 있도록 장치의 후방 단부에 제공된다.
실시예에서 당김 메커니즘은 바람직하게는 장치의 후방에 배열된 선회 몸체(323)를 포함할 수 있다. 선회 몸체(323)는 그 대향 단부에 배열된 적어도 2개의 와이어 부착부들(324)을 가질 수 있다. 이는 각각의 걸쇠(341)가 연결 와이어에 의해 별도의 와이어 부착부(324)에 연결되어 각 걸쇠의 움직임이 선회 몸체(323)의 회전에 결합되도록 허용한다. 연결 와이어는 강성 와이어 또는 탄성 밴드와 같은 유연한 와이어일 수 있다. 와이어의 재질은 훈련 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 예시적인 배열이 도 4b 에 도시되어 있다. 이 조립체는 다른 쪽 다리의 전방 이동으로 인해 선회 몸체(323)가 회전할 때 한쪽 다리를 뒤쪽으로 능동적으로 당겨 다리 움직임을 번갈아 하는 특히 효율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피험자의 다리가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고 다리 근육의 자연스러운 스트레칭을 보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당김 메커니즘은 피험자의 다리에 장력을 설정하기 위해 긴 베이스의 세로 축을 따라 선회 몸체(323)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장력 메커니즘(325)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선회 몸체(323)의 회전축은 피험자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력 메커니즘(325)은 크랭크를 회전시킴으로써 선회 몸체를 선형으로 이동시키는 와이어 샤프트에 연결된 크랭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양쪽 다리 고정 기기(34), 바람직하게는 양쪽 걸쇠(341)에 동시에 장력을 가하게 된다. 인가된 장력을 적절히 조정하면 피험자의 편안함을 향상시킬 수 있고 훈련 중에 무릎 관절이 과도하게 늘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움직임 메커니즘(32)은 훈련 중에 피험자의 손과 접촉하도록, 바람직하게는 쥐기 위해 구성된 핸드 홀더(35)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드 홀더(35)는 움직임 메커니즘(32)을 따라 파지 막대들을 배치하기 위한 고정물(fixture)를 포함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핸드 홀더(35)는 움직임 메커니즘의 수직 막대(321)로부터 연장되고/되거나 수직 막대에 연결되는 파지 막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핸드 홀더(35)의 이동은 수직 막대(321)에 제공된 다리 고정 기기(34)의 이동과 동기화될 수 있다. 그 예시적인 배열이 도 9 에 도시되어 있다. 이 조립체는 훈련 주기 동안 팔을 운동하는 특히 효율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장치는 지면에 대해 장치의 일부를 들어올리도록 구성된 리프팅 메커니즘(326)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리프팅 메커니즘(326)은 움직임 보조 유닛이 피험자의 상향 이동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도록 장치의 전방 단부에 배열된다. 리프팅 메커니즘은 직립 지지대 부재(31) 내부 또는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그 예시적인 배열이 도 10 에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접이식 바퀴(5)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장치는 복수의 접이식 바퀴들, 예를 들어 장치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2개의 바퀴들을 포함한다. 또한, 장치는 접을 수 없지만 훈련 중에 장치가 우발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잠길 수 있는 일반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접이식 바퀴는 접이식 바퀴(5)를 가역적으로 연장하고 접도록 구성된 접기 메커니즘(51)에 연결될 수 있다. 접기 메커니즘(51)은 예를 들어 활성화될 때 장치의 바닥으로부터 지면을 향해 바퀴를 연장시키는 크랭크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바퀴가 확장되면(도 11a 참조) 장치는 새로운 위치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반면, 바퀴가 접혀지면(도 11b 참조) 장치는 예를 들어 상술한 받침대를을 통해 바닥에 단단히 연결되어 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접기 메커니즘(51)은 선회 몸체(323)의 위치가 장력 메커니즘(325)에 의해 조정될 때 접기 메커니즘(51)을 잠그도록 구성된 잠금 부재(52)에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잠금 부재(52)는 선회 몸체(32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선회 몸체(323)의 포지션에 따라 걸쇠(343) 상에 장력을 제공하도록 장력 메커니즘(325)에 의해 조정되고 접기 메커니즘(51)과 잠금 부재(52) 사이의 연결은 접기 메커니즘(51)이 접이식 바퀴(5)를 연장하는 것을 방지할 것이다. 훈련 세션 중에 접이식 바퀴(5)가 우발적으로 확장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 기능이다.
Claims (16)
- 훈련 세션 동안 피험자의 움직임을 보조하기 위한 장치(10)에 있어서,
- 긴 베이스와 상기 장치의 전면에 위치되는 직립 지지대 부재(31)를 갖는 프레임;
- 바닥 지지대(21), 등 지지대(22), 상부 몸체 고정 기기(24) 및 적어도 두 가지 상태들, 즉 상기 바닥 지지대(21)가 상기 등 지지대(22)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앉은 상태, 및 상기 바닥 지지대(21)가 상기 등 지지대(22)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바람직하게는 정렬되는 기립 상태, 그리고 그 역도 마찬가지임, 사이에서 상기 바닥(21) 및 상기 등(22) 지지대들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된 전환 메커니즘(23)을 포함하는 지지대 유닛(2);
각 피험자의 다리에 대해, 발 패스너(33), 다리 고정 기기(34), 및 서로 힌지 연결된 긴 막대들의 조립체로 이루어진 움직임 메커니즘(32)을 포함하는 움직임 보조 유닛 - 상기 직립 지지대 부재(31)에 피봇식으로 결합되고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식으로 그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 막대(321), 및 상기 장치의 대향 단부에 피봇식으로 결합되고 실질적으로 수평한 방식으로 상기 긴 베이스를 따라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 막대(322)를 포함함, 타원형 다리 움직임 경로는 상기 조립체(321, 322)로 구현됨 - ; 상기 발 패스너(33) 및 다리 고정 기기(34)는 상기 수평 막대(322) 상에 배치됨;을 포함하고,
상기 다리 고정 기기(34)는 걸쇠(341)와, 상기 걸쇠(341)의 높이를 상기 피험자의 무릎 관절에 인접한 위치, 바람직하게는 아래 위치로 조정하도록 구성된 높이 조절 메커니즘(342)을 포함하고; 상기 전환 메커니즘(23)이 상기 앉은 상태와 기립 상태 사이를 전환할 때 상기 걸쇠(341)가 상기 피험자의 다리를 무릎의 피봇 지점에 고정하고; 그리고, 상기 움직임 보조 유닛은 각 걸쇠(341)에 연결되고 다른 걸쇠(341)가 앞으로 움직일때, 하나의 걸쇠(341)를 뒤로 당기도록 구성되어 대안적인 다리 움직임을 제공하는 당김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장치(10).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 유닛(2)은 적어도 상기 바닥 지지대(21) 및 상기 등 지지대(22)가 피험자의 진입을 위해 옆으로(sideways) 향하도록 상기 지지대 유닛(2)이 상기 장치의 수직 축 주위를 회전하도록 구성된 회전가능한 베이스(26)에 장착되는 장치(10).
- 제1 항 내지 제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 고정 기기(34)는 상기 걸쇠(341)를 상기 높이 조절 메커니즘(342)의 종축 주위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피봇팅 메커니즘(343)을 포함하고; 상기 걸쇠(341)는 적어도 두개의 위치, 즉 상기 피험자의 다리를 고정시키는 안쪽 위치 및 상기 피험자의 다리를 놓아주는 바깥쪽 위치, 사이에서 회전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봇팅 메커니즘(343)은 상기 적어도 두개의 위치 중 하나에서 상기 걸쇠(341)를 잠그도록 구성된 잠금 부재(345)를 포함하는 장치(10).
-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 고정 기기(34)는 상기 피험자의 발목의 높이에서 상기 발 패스너(33)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틸팅 메커니즘(344)을 포함하고; 회전의 상기 발목의 축 주위로 걸쇠(341)가 틸트하도록 구성되는 장치(10).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 고정 기기(34)는 상기 피험자의 무릎이 과도하게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적어도 상기 걸쇠(341)의 후방 틸트를 막도록 구성되는 정지 부재(346)를 포함하고; 상기 정지 부재(346)는 상기 틸팅 메커니즘(344) 아래에 위치되고 상기 틸팅 메커니즘(344) 아래로 연장하는 상기 다리 고정 기기(34)의 일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장치(10).
-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 메커니즘(344)은 적어도 두개의 위치들, 즉 상기 피험자의 다리가 진입하도록 하는 하방 위치 및 상기 피험자의 다리를 고정하도록 하는 상방 위치, 사이에서 전방으로 상기 걸쇠(341)를 틸트하도록 구성되는 장치(10).
-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쇠(341)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정이 가능하고(open-ended) 단단한 외부 피스 및 상기 피험자의 다리 상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이기 위해 상기 외부 피스를 향해 움직이도록 구성되는 유연한 내부 피스로 구성되는 장치(10).
-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메커니즘(23)은 적어도 두 개의 인접한 로드들의 조립체, 즉 상부 로드(231) 및 하부 로드(232), - 수직 평행사변형을 형성하기 위해 비스듬한 각도로 상기 바닥(21) 및 등(22) 지지대들에 대한 대향 단부들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됨 - 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체(231, 232)의 회전은 바닥 지지대(21)를 틸트하고 동시에 상기 등 지지대(22)를 들어올려 기립 상태에서는 정렬되고 상기 앉은 상태에서는 교차하게되는 장치(10).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메커니즘은 상기 회전가능한 베이스(26)의 회전을 잠그도록 구성된 움직임이 가능하게 배치된 잠금 부재(261)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 부재(261)는 상기 조립체(231, 232)를 향하여 편향되고 상기 전환 메커니즘(23)이 앉은 상태일때, 잠금을 해제하도록 구성되는 장치(10).
- 제1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몸체 고정 기기는 상기 등 지지대(22)의 양 측에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동시에, 팔 들의 아래에서 상기 피험자의 상부 몸체의 측면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두개의 측면 결합 부재들(24)을 포함하는 장치(10).
- 제1 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 메커니즘은 상기 장치의 후방에 배치되는 선회 몸체(323)를 포함하고; 상기 선회 몸체(323)는 대향하는 단부들에 배치되는 적어도 두개의 와이어 부착부들(324)을 갖고; 및 각 걸쇠(341)는 각 걸쇠의 움직임이 상기 선회 몸체(323)의 회전에 결합되도록 연결 와이어에 의하여 별개의 와이어 부착부(324)에 연결되는 장치(10).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 메커니즘은 상기 피험자의 다리 상에 장력을 설정하도록 상기 긴 베이스의 종 축을 따라서 상기 선회 몸체(323)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장력 메커니즘(325)을 포함하는 장치(10).
- 제1 항 내지 제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접이식 바퀴(5) 및 상기 접이식 바퀴(5)를 가역적으로 연장하고 접도록 구성되는 접기 메커니즘(retracting mechanism)(51)을 포함하는 장치(10).
- 제12 항 및 제13 항의 조합에 있어서,
상기 접기 메커니즘(51)은 상기 선회 몸체(323) 상에 배열되고 상기 선회 몸체(323)의 위치가 상기 장력 메커니즘(325)에 의해 조정될 때 상기 접기 메커니즘(51)을 잠그도록 구성되는 잠금 부재(52)에 연결되는 장치(10).
- 제1 항 내지 제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훈련 세션 동안 상기 피험자의 움직임을 보조하기 위한 상기 장치(10)의 용도.
-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피험자는 장애가 있거나 운동 손상이 있고; 바람직하게는 뇌성마비, 후천성 뇌 및/또는 척추 부상, 신경학적 질환들, 다발성 경화증, 척추 이분증 또는 운동 손상 질환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상기 장치(10)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21163978.6 | 2021-03-22 | ||
EP21163978 | 2021-03-22 | ||
PCT/EP2022/057394 WO2022200296A1 (en) | 2021-03-22 | 2022-03-22 | Assistive movement training apparatus for the disable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56919A true KR20230156919A (ko) | 2023-11-15 |
Family
ID=75143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7032404A KR20230156919A (ko) | 2021-03-22 | 2022-03-22 | 장애인을 위한 보조적 움직임 훈련 장치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20240149127A1 (ko) |
EP (1) | EP4313329A1 (ko) |
JP (1) | JP2024515463A (ko) |
KR (1) | KR20230156919A (ko) |
CN (1) | CN117177795A (ko) |
AU (1) | AU2022242666A1 (ko) |
CA (1) | CA3212214A1 (ko) |
WO (1) | WO202220029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6158947B (zh) * | 2022-12-12 | 2024-05-14 | 湖南中聚内窥镜有限公司 | 一种肢体康复用医疗辅助机器人 |
US20240216195A1 (en) * | 2022-12-28 | 2024-07-04 | Roger Joseph Voorhis, Jr. | Personal Lift Chair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1139967A4 (en) * | 1998-11-17 | 2003-08-06 | Altimate Medical Inc | LIFTING SYSTEM FOR THE DISABLED |
NO326332B1 (no) | 2007-02-19 | 2008-11-10 | Inspiro As | Treningsapparatur for bevgelseshemmede |
WO2012101574A2 (en) * | 2011-01-24 | 2012-08-02 | Walk-Care Ltd | Mobilization and exercise device |
WO2013043058A2 (en) * | 2011-09-21 | 2013-03-28 | Made For Movement | Training apparatus for the disabled |
US10758774B2 (en) * | 2017-10-06 | 2020-09-01 | ALT Innovations LLC | Walk therapy station |
-
2022
- 2022-03-22 EP EP22712435.1A patent/EP4313329A1/en active Pending
- 2022-03-22 WO PCT/EP2022/057394 patent/WO2022200296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2-03-22 US US18/283,354 patent/US20240149127A1/en active Pending
- 2022-03-22 CA CA3212214A patent/CA3212214A1/en active Pending
- 2022-03-22 JP JP2023558420A patent/JP2024515463A/ja active Pending
- 2022-03-22 AU AU2022242666A patent/AU2022242666A1/en active Pending
- 2022-03-22 CN CN202280023042.XA patent/CN117177795A/zh active Pending
- 2022-03-22 KR KR1020237032404A patent/KR20230156919A/ko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A3212214A1 (en) | 2022-09-29 |
CN117177795A (zh) | 2023-12-05 |
EP4313329A1 (en) | 2024-02-07 |
JP2024515463A (ja) | 2024-04-10 |
WO2022200296A1 (en) | 2022-09-29 |
US20240149127A1 (en) | 2024-05-09 |
AU2022242666A1 (en) | 2023-10-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413499B2 (en) | Device to produce assisted, active and resisted motion of a joint or extremity | |
JP5259629B2 (ja) | 身体障害者用の訓練器具 | |
KR100621349B1 (ko) | 분할된 등받이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환자용 침대 | |
KR20230156919A (ko) | 장애인을 위한 보조적 움직임 훈련 장치 | |
JP3180637U (ja) | ストレッチャー | |
WO2006010160A2 (en) | Moveable rail system for bed assemblies | |
CN105795755A (zh) | 纹身期间用于支承的设备 | |
KR101556851B1 (ko) | 하지 운동장치 | |
KR102058242B1 (ko) | 스트레칭 안마의자 | |
KR100621350B1 (ko) | 하지 관절 운동이 가능한 작동구조를 갖는 환자용 침대 | |
JP3420546B2 (ja) | 下肢運動装置 | |
JP2012005523A (ja) | 上肢回転運動用のリハビリ機器 | |
CN214968409U (zh) | 肩关节手术专用沙滩椅位手术床 | |
KR102054767B1 (ko) | 운동 보조 기구를 구비하는 건강침대 시스템 | |
CN113616994A (zh) | 老年衰弱患者综合功能康复训练装置 | |
CN209474998U (zh) | 一种轮椅 | |
CN115969640A (zh) | 一种老年护理辅助装置 | |
EA047709B1 (ru) | Аппарат для содействия двигательным тренировкам для инвалидов | |
CN111449884B (zh) | 多功能肛肠手术床 | |
CN112932909A (zh) | 一种icu体位治疗综合复健椅 | |
CN113350068A (zh) | 一种多功能坐立转换辅助装置 | |
CN108938226B (zh) | 一种方便骨科病患坐躺的医疗器械 | |
KR101033857B1 (ko) | 사용자 체형에 따라 회전축을 가변시킬 수 있는 전동침대용 플랫폼 | |
CN214713081U (zh) | 一种结合拐杖的坐躺式两用轮椅 | |
CN214968653U (zh) | 一种icu体位治疗综合复健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