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5882A - 화물 자동차 적재함의 적재상태 정보 제공시스템 - Google Patents

화물 자동차 적재함의 적재상태 정보 제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5882A
KR20230155882A KR1020220055685A KR20220055685A KR20230155882A KR 20230155882 A KR20230155882 A KR 20230155882A KR 1020220055685 A KR1020220055685 A KR 1020220055685A KR 20220055685 A KR20220055685 A KR 20220055685A KR 20230155882 A KR20230155882 A KR 20230155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information
status
spac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5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7714B1 (ko
Inventor
노경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코애드윈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코애드윈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코애드윈드
Priority to KR1020220055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7714B1/ko
Publication of KR20230155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5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7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7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8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comprising adjustabl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parallel up-and-down movement of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0Refrigerated goods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7/00Methods or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capacity of containers or cavities, or the volume of solid bod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using reflection of acoustic waves
    • G01S15/06Systems determining the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5/08Systems for measuring distance on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17/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7/08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for measuring distance on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ublic Health (AREA)
  • Geometr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Fluid Mecha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 Packaging For Recording Disk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 자동차 적재함의 적재상태 정보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화물 자동차에 설치되어 내부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게 적재공간이 마련된 적재함의 적재 공간 내에 적재된 적재물의 점유 체적에 대한 점유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마련된 점유공간 센싱부와, 점유공간 센싱부에서 센싱된 정보로부터 적재 공간에 적재된 적재물의 적재 체적에 대응한 점유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점유정보를 포함한 적재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적재 단말 제어유니트를 구비한다. 이러한 화물 자동차 적재함의 적재상태 정보 제공시스템에 의하면, 적재함에 적재된 화물의 점유 체적과 관련된 점유 상태를 측정하여 제공함으로써 운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적재함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경우 적재상태에 의해 높이 조절가능 여부도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화물 자동차 적재함의 적재상태 정보 제공시스템{loading ststus information supply system for loading box of truck}
본 발명은 화물 자동차 적재함의 적재상태 정보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적재함의 잔여 공간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화물 자동차 적재함의 적재상태 정보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을 적재 및 운송하며 적재함이 폐쇄된 구조를 갖는 화물차로서 탑차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탑차는 후방의 양문 개폐형 도어 또는 측면의 싱글 개폐형 도어 부분을 제외하고는 루프 패널 또는 사이드 커버 패널에 의하여 적재공간을 차폐하고, 택배 화물 또는 소품 등의 화물을 운송하기 위한 다용도 탑차와, 적재공간을 냉동 공조하는 냉동 탑차, 이삿짐이나 비교적 대형 화물을 운송하기 위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윙커버를 구비한 윙 탑차 등이 있다.
탑차는 화물의 적재공간이 외부와 차폐됨으로써 화물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장점을 가지나, 화물의 탑재 경로 및 하적 경로가 상술한 도어로 한정되어 있는 한편, 적재공간의 바닥면과 루프 패널의 천정면 사이의 높이가 고정되어 있어, 상하로 큰 높이를 가진 화물의 적재에 제한이 있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탑차는 적재함의 높이보다 높이가 낮은 지하 주차장의 경우 진입이 불가능하다.
한편, 적재함의 높이를 가변하여 높이가 낮은 지하 주차장의 진입이 가능한 적재함 구조를 적용하고자 하는 경우 적재공간 내에 적재된 화물의 적재 상태가 높이 가변이 가능한지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하는 점을 고려할 때 적재공간 내의 화물 점유 체적과 관련된 점유 상태를 측정하여 제공하는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적재함의 적재공간 내에 적재된 화물의 점유 체적과 관련된 점유 상태를 측정하여 제공할 수 있는 화물 자동차 적재함의 적재상태 정보 제공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자동차 적재함의 적재상태 정보 제공시스템은 화물 자동차에 설치되어 내부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게 적재공간이 마련된 적재함의 상기 적재 공간 내에 적재된 적재물의 점유 체적에 대한 점유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마련된 점유공간 센싱부와; 상기 점유공간 센싱부에서 센싱된 정보로부터 상기 적재 공간에 적재된 적재물의 적재 체적에 대응한 점유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점유정보를 포함한 적재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적재 단말 제어유니트;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재함은 상기 적재공간의 수직상의 높이를 상기 적재 단말 제어 유니트에 제어되어 조절할 수 있도록 된 높이 조절부에 의해 상기 적재공간을 확장 또는 축소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점유공간 센싱부는 상기 적재함의 일측에서 타측을 향해 광 또는 초음파를 송출하고, 반사된 광 또는 초음파를 수신하여 거리를 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거리센서와, 상기 적재함의 내부를 촬상하여 적재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와, 상기 적재함 내에 설치되어 광을 주사하고 반사된 광을 수신하여 거리를 산출하는 라이다 스캐너 중 적어도 하나가 적용된다.
또 다르게는 상기 적재함의 바닥면에는 노출된 전력공급단자를 통해 공급된 전원에 의해 수용실을 설정된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된 항온함체의 상기 전력공급단자와의 전기적 접속을 지원하는 복수개의 단위 지지편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위 지지편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를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적재 단말 제어유니트는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단말통신부와; 상기 점유공간 센싱부에서 센싱된 정보로부터 상기 적재 공간에 적재된 적재물의 적재 체적에 대응한 점유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점유정보를 포함한 적재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 통신부와 통신 접속된 고지단말기에 제공되게 처리하는 적재단말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자동차 적재함의 적재상태 정보 제공시스템에 의하면, 적재함에 적재된 화물의 점유 체적과 관련된 점유 상태를 측정하여 제공함으로써 운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적재함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경우 적재상태에 의해 높이 조절가능 여부도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적재상태 정보 제공시스템이 적용된 화물차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적재함 바닥면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단위 지지편에 안착되는 항온 함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적재상태 정보 제공시스템의 제어계통을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이 적용된 화물차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화물차의 적재함을 절단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적재상태 정보 제공시스템의 제어계통을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고,
도 8은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되는 적재상태 정보의 예를 나타내 보인 화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이 적용된 화물차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물 자동차 적재함의 적재상태 정보 제공시스템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적재상태 정보 제공시스템이 적용된 화물차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적재함 바닥판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단위 지지편에 안착되는 항온 함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적재상태 정보 제공시스템의 제어계통을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적재정보 제공시스템(100)은 점유공간 센싱부(120), 적재단말 제어 유니트(130)를 구비한다.
적재함(20)은 화물 자동차(10)에 설치되어 내부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게 적재공간(22)이 마련되어 있다.
적재함(20)의 적재공간(22)을 형성하는 바닥면(24)에는 전기적 접속을 지원하는 복수개의 단위 지지편(32)이 형성되어 있다. 단위 지지편(32)들은 직류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축된 경우 장착되는 항온함체(40)의 전력공급단자(43)에 대응되게 양전위 또는 음전위를 공급받도록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항온함체(40)는 본체(41)의 저면에 노출된 전력공급단자(43)를 통해 공급된 전원에 의해 내부 수용실을 설정된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항온함체(40)는 냉장 또는 냉동 보관 의약품을 보관 및 운송하기 위한 의약품 운송 함체가 적용될 수 있다. 도시된 항온함체(40)는 상부에 전력공급단자(43)와 대응되는 위치에 하방으로 인입되어 상방에 적재되는 타 항온함체(4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중계단자가 마련되어 있다.
단위 지지편(32)은 적재함(20)의 바닥면(24)에 대해 돌출되되 일반 화물을 적재할 경우 적재물의 가압에 의해 바닥면(24)의 하부로 인입될 수 있게 탄성적으로 돌출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단위 지지편(32)은 회전에 의해 지지위치를 조정하여 크기가 다른 항온함체(40)의 안착 및 전력공급도 지원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전력공급부(137)는 후술되는 적재단말제어부(135)에 제어되어 단위 지지편(32)으로의 전력을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도록 구축되어 있다. 도시된 예와 다르게 적재단말 제어 유니트(130)와 분리된 별도의 조작기(미도시)를 통해 단위 지지편(32)의 전력 공급 또는 차단을 조작할 수 있도록 전력공급부(137)가 구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점유공간 센싱부(120)는 화물 자동차(10)에 설치되어 내부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게 적재공간(22)이 마련된 적재함(20)의 적재 공간(22) 내에 적재된 적재물의 점유 체적에 대한 점유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122)를 구비한다.
점유공간 센싱부(120)에 적용되는 센서(122)는 적재함(20)의 바닥면(24)에 대해 수직으로 상방으로 연장된 측면(26) 및 측면(26) 상부에서 천정을 형성하는 천정면(28)에 각각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적재함(20) 적재공간(22)의 일측에서 타측을 향해 광 또는 초음파를 송출하고, 반사된 광 또는 초음파를 수신하여 거리를 산출하도록 지원하는 복수개의 거리센서가 적용되어 있다.
도시된 예와 다르게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적용되는 센서(122)들은 천정면(28)에만 상호 이격되게 장착되고 측면(26)에는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는 다르게 점유공간 센싱부(120)는 적재함(20)의 내부를 촬상하여 적재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미도시) 또는 적재함(20) 내에 설치되어 광을 적재함(20) 내부에 주사하고 반사된 광을 수신하여 거리를 산출하는 라이다 스캐너(미도시)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적재 단말 제어 유니트(130)는 점유공간 센싱부(120)에서 센싱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센싱정보로부터 적재 공간(22)에 적재된 적재물의 적재 체적에 대응한 점유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점유정보를 포함한 적재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한다.
적재 단말 제어유니트(130)는 조작부(131), 표시부(133), 단말통신부(134), 적재단말제어부(135) 및 전력 공급부(137)를 구비한다.
조작부(131)는 지원되는 기능을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표시부(133)는 적재단말 제어부(135)에 제어되어 표시정보를 표시한다.
적재단말 제어부(135)가 사용자 단말기(200)로만 표시정보를 제공하고, 지원되는 기능을 사용자 단말기(200)로 통해 설정할 수 있도록 구축된 경우 조작부(131)와 표시부(133)는 생략될 수도 있다.
단말 통신부(134)는 사용자 단말기(200)와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단말 통신부(134)는 사용자 단말기(200)와 블루투스 통신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고, 통신망(50)을 통해 관리서버(300)와 통신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적재단말 제어부(135)는 조작부(131) 또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지시신호와 점유공간 센싱부(120)에서 센싱된 정보를 처리하고, 표시대상 정보를 표시부(133)를 통해 표시되게 처리한다.
적재단말 제어부(135)는 점유공간 센싱부(120)에서 센싱된 정보로부터 적재 공간(122)에 적재된 적재물의 적재 체적에 대응한 점유 정보를 산출한다. 도 1에 도시된 센서(122)들이 적용된 경우 적재단말 제어부(135)는 각 센서(122)에서 측정된 거리정보로부터 각 센서(122)가 담당하는 분할구역에 대한 분할 점유 공간에 대한 점유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분할 점유공간을 합산하여 적재물의 전체 적재 체적을 도출하며, 분할 점유공간에 대한 점유 위치별 현황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점유정보를 포함한 적재 상태 정보를 산출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적재 단말 제어부(135)는 산출된 점유정보를 포함한 적재상태정보를 생성하여 단말 통신부(134)와 통신 접속된 고지단말기에 제공되게 처리한다. 여기서 고지단말기는 사용자 단말기(200)와 관리서버(300)가 적용되어 있다.
적재단말 제어부(135)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200)로 적재상태 정보를 설정된 고지주기마다 송출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적재단말 제어부(135)는 통신망(5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200)로 적재상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적재단말 제어부(135)는 관리서버(300)로부터 적재상태 정보 요청시 또는 설정된 고지 주기마다 송출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한편, 적재함(20)은 적재공간(22)의 수직상의 높이를 적재 단말 제어 유니트(130)에 제어되어 조절할 수 있도록 된 높이 조절부를 갖는 구조로 구축될 수 있고, 그 예를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적재함(20)은 내부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게 적재공간(22)이 마련되며 상부가 개방된 하부함체(20a)와, 하부함체(20a)의 상부를 폐쇄하도록 하부함체(20a)에 결합되고 적재공간(22)을 확장시키거나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하부함체(20a)에 대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함체(20b)로 되어 있다.
상부함체(20b)는 하부함체(20a)에 씌울 수 있도록 하부함체(20a)보다 약간 크게 형성된다.
셔터(23)는 상부함체(20b)와 하부함체(20a) 각각의 개방된 후면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부함체(20b)의 후면부와 인접하는 상면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부함체(20b)의 후면부 측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셔터(23)는 적재공간의 높이 또는 적재함(20)의 높이 변화에 대응하여 적재함(20)의 개방된 후면부를 개폐시킬 수 있는 길이를 갖는 것이 적용 되어 있다.
높이조절부(140)는 적재함(20)은 적재공간(22)의 수직상의 높이를 조절하여 적재공간(22)을 확장 또는 축소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높이 조절부는 하부함체(20a)에 대해 상부함체(20b)를 상하로 이동시켜 적재함(2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적재함(20) 내부의 서로 다른 네 모서리 부분에 각각 배치되는 제1리프팅유닛(141) 내지 제4리프팅유닛(144)로 구축되어 있다.
제1리프팅유닛(141) 내지 제4리프팅유닛(144)은 모터의 회전 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왕복 운동 가능한 전동실린더, 전동액추에이터, 리니어액추에이터 등을 적용할 수도 있고, 잭스크류와 구동모터 또는 볼스크류와 구동모터를 적용할 수 있다.
제1리프팅유닛(141) 내지 제4리프팅유닛(144) 각각은 구동모터와, 케이싱과, 볼스크류와, 볼스크류너트와, 롯드를 포함하는 통상의 전동액추에이터 구조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제1리프팅유닛(141) 내지 제4리프팅유닛(144) 각각은 구동모터가 설치된 하단 측이 하부함체(20a)의 바닥면(24)에 고정되고, 롯드가 설치된 상단 측이 상부함체(20b)의 상면부 저면에 고정되어 있다.
제1리프팅유닛(141) 내지 제4리프팅유닛(144) 각각은 적재함(20)의 네 모서리 부분에 대응되는 상부함체부(20b)의 모서리 부분을 상방으로 들어올리거나 하방으로 끌어내려 적재함(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1리프팅유닛(141) 내지 제4리프팅유닛(144) 주변에는 제1리프팅유닛(141) 내지 제4리프팅유닛(144)이 화물과 간섭되는 차단할 수 있도록 제1리프팅유닛(141) 내지 제4리프팅유닛(144) 주변을 감싸는 커버부가 설치될 수 있다.
커버부는 제1리프팅유닛(141) 내지 제4리프팅유닛(144)을 각각 내부에 삽입할 수 있게 내부에 중공부를 갖고 상하로 일정 길이 연장된 원형 또는 사각 파이프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부는 하단이 하부함체부(20a)에 고정되는 고정부분과, 일 단이 고정부분 내부에 삽입되고 제1리프팅유닛(141) 내지 제4리프팅유닛(144)의 길이 변화에 대응하여 길이가 변경될 수 있도록 고정부분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 단이 상부함체부(220)에 고정되는 가동부분으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예와 다르게 높이조절이 가능한 적재함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 대신 도어(24)가 하부함체(20a)에 장착되고, 상부함체(20b)가 도어(24) 상부에서 승하강 되는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바닥면을 에워싸면서 바닥면보다 큰 상부 함체가 승하강되는 구조에 의해 적재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는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적재 단말 제어유니트(130)와 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즉, 스마트폰이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적재 단말 제어유니트(130)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적재 상태정보를 제공받고, 적재함의 높이 조정에 대한 조작을 지원할 수 있는 응용프로그램인 적재함 상태링크모듈(210)이 탑재되어 있다.
적재함 상태 링크모듈(210)은 활성화된 상태에서 적재 단말 제어유니트(130)와 접속하여 적재 단말 제어유니트(130)에서 제공되는 적재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화면을 통해 제공하고, 적재함(20)의 높이에 대한 조작제어도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그 예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200)의 화면(202)에 적재함의 현재 사용공간과 빈공간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표시하여 제공하고, 적재함의 전체 체적정보 및 적재물이 점유하고 있는 현재 체적정보를 제공하며 높낮이를 조작할 수 있는 업다운 키(231)(232)를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적재함에 대해 높이를 높이고자 할 때 업키(231)를 조작하면되고, 높이를 낮추고자 할 때 다운키(232)를 조작하면 된다.
관리서버(300)는 적재 단말 제어유니트(130)에서 주기적으로 송출되는 적재상태정보를 수신받아 화물 자동차(10)의 화물 처리 현황 정보로 이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화물 자동차 적재함의 적재상태 정보 제공시스템에 의하면, 적재함에 적재된 화물의 점유 체적과 관련된 점유 상태를 측정하여 제공함으로써 운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적재함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경우 적재상태에 의해 높이 조절가능 여부도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120: 점유공간 센싱부
130: 적재단말 제어 유니트
200: 사용자 단말기

Claims (5)

  1. 화물 자동차에 설치되어 내부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게 적재공간이 마련된 적재함의 상기 적재 공간 내에 적재된 적재물의 점유 체적에 대한 점유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마련된 점유공간 센싱부와;
    상기 점유공간 센싱부에서 센싱된 정보로부터 상기 적재 공간에 적재된 적재물의 적재 체적에 대응한 점유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점유정보를 포함한 적재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적재 단말 제어유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자동차 적재함의 적재상태 정보 제공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은
    상기 적재공간의 수직상의 높이를 상기 적재 단말 제어 유니트에 제어되어 조절할 수 있도록 된 높이 조절부에 의해 상기 적재공간을 확장 또는 축소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자동차 적재함의 적재상태 정보 제공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유공간 센싱부는
    상기 적재함의 일측에서 타측을 향해 광 또는 초음파를 송출하고, 반사된 광 또는 초음파를 수신하여 거리를 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거리센서와, 상기 적재함의 내부를 촬상하여 적재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와, 상기 적재함 내에 설치되어 광을 주사하고 반사된 광을 수신하여 거리를 산출하는 라이다 스캐너 중 적어도 하나가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자동차 적재함의 적재상태 정보 제공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의 바닥면에는
    노출된 전력공급단자를 통해 공급된 전원에 의해 수용실을 설정된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된 항온함체의 상기 전력공급단자와의 전기적 접속을 지원하는 복수개의 단위 지지편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위 지지편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자동차 적재함의 적재상태 정보 제공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 단말 제어유니트는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단말통신부와;
    상기 점유공간 센싱부에서 센싱된 정보로부터 상기 적재 공간에 적재된 적재물의 적재 체적에 대응한 점유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점유정보를 포함한 적재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 통신부와 통신 접속된 고지단말기에 제공되게 처리하는 적재단말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자동차 적재함의 적재 상태 정보 제공시스템.









KR1020220055685A 2022-05-04 2022-05-04 화물 자동차 적재함의 적재상태 정보 제공시스템 KR102637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5685A KR102637714B1 (ko) 2022-05-04 2022-05-04 화물 자동차 적재함의 적재상태 정보 제공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5685A KR102637714B1 (ko) 2022-05-04 2022-05-04 화물 자동차 적재함의 적재상태 정보 제공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5882A true KR20230155882A (ko) 2023-11-13
KR102637714B1 KR102637714B1 (ko) 2024-02-19

Family

ID=88746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5685A KR102637714B1 (ko) 2022-05-04 2022-05-04 화물 자동차 적재함의 적재상태 정보 제공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771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4984B1 (ko) * 2021-05-31 2021-12-03 손인호 적재함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화물차
KR20210152615A (ko) * 2020-06-08 2021-12-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화물 적재 시스템 및 차량 화물 적재 방법
KR20220015701A (ko) * 2020-07-31 2022-02-08 장윤희 냉동·냉장설비용 열전냉각모듈 및 이를 적용한 냉동탑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2615A (ko) * 2020-06-08 2021-12-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화물 적재 시스템 및 차량 화물 적재 방법
KR20220015701A (ko) * 2020-07-31 2022-02-08 장윤희 냉동·냉장설비용 열전냉각모듈 및 이를 적용한 냉동탑차
KR102334984B1 (ko) * 2021-05-31 2021-12-03 손인호 적재함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화물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7714B1 (ko) 2024-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29835B2 (en) Self-service parcel terminal with optimized shelving arrangement
JP6789425B1 (ja) 荷物受け取り装置および荷物受け取り方法
US10621401B2 (en) Self-service parcel terminal with optimized shelving arrangement
US11834271B2 (en) Robotic order fulfilment shuttle
US20170286907A1 (en) Product movement and distribution systems and methods
WO2003031290A2 (en) System and apparatus for materials transport and storage
WO2020082991A1 (zh) 智能售货站的售货方法、智能售货站、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8620486B2 (en) Expandable data center
KR102637714B1 (ko) 화물 자동차 적재함의 적재상태 정보 제공시스템
KR102421354B1 (ko) 운송 수단으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는 물류 통합 관리 시스템
WO2017176811A1 (en) Vertically translating stowage compartment for aircraft passenger suite
JP6663083B1 (ja) 持ち上げロボットおよびロボットシステム
US11341346B2 (en) Self-service parcel terminal with optimized shelving arrangement
KR20230006635A (ko) 발송 시스템
KR102334984B1 (ko) 적재함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화물차
CN114394443A (zh) 控制装置、系统、储物柜、车辆以及配送方法
KR102565026B1 (ko) 적재함 높이 조절이 가능한 탑차
CN210464391U (zh) 货物测量装置及运力配置系统
CN210260442U (zh) 高度调节系统
EP3837567B1 (en) Enclosure with uwb sensor
WO2023133202A1 (en) Compact rugged rfid electronics system
US20220250528A1 (en) Rack and delivery vehicle including the same
KR102249033B1 (ko) 대기화학물질 탐지장비 설치형 탑재차량
CN114379675A (zh) 物流机器人及物流系统
JP2022115356A (ja) 開閉制御装置、開閉制御システム、タスクシステム、開閉制御方法及び開閉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