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5857A -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5857A
KR20230155857A KR1020220055612A KR20220055612A KR20230155857A KR 20230155857 A KR20230155857 A KR 20230155857A KR 1020220055612 A KR1020220055612 A KR 1020220055612A KR 20220055612 A KR20220055612 A KR 20220055612A KR 20230155857 A KR20230155857 A KR 20230155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inol
camphor
composition
improving skin
skin wrink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5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혜진
김미나
전승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220055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5857A/ko
Priority to CN202310458632.1A priority patent/CN116999347A/zh
Priority to JP2023076308A priority patent/JP2023165671A/ja
Publication of KR20230155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585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1Vitamin A; Derivatives thereof, e.g. ester of vitamin A acid, ester of retinol, retinol, reti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7Retinol compounds, e.g. vitamin 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61K31/122Ketones having the oxygen directly attached to a ring, e.g. quinones, vitamin K1, anthralin
    • A61K31/125Camphor; Nuclear substitu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61K8/355Quin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8Antioxidants, e.g. antiradic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1Mixtures of compound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codes A61K2800/592 - A61K2800/59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은 레티놀 효능 부스터로 캠포를 유효성분으로 조합하여 포함함으로써 피부 주름 개선에 현저한 시너지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개시의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은 캠포를 조합함으로써 레티놀을 저농도로 사용할 수 있어, 레티노이드 반응에 의해 일어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유래 피부 자극 및 염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anti-wrinkle}
본 개시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고령 인구 증가 및 기대 수명 상승에 따라 피부 주름 개선을 중요시하는 피부 노화 방지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피부는 인체 부피의 약 16%를 차지하는 기관으로, 신체의 가장 바깥에 존재하여 외부 환경 및 자극으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한다. 이러한 피부는 신체 내 기관들에 비해 외부 자극에 항상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쉽게 공격을 받을 수 있고, 특히 얼굴 피부의 경우에는 자외선 및 공해 물질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다른 신체 피부에 비해 노화가 발생하기 쉬운 기관이다.
피부 노화는 자연히 발생하는 내인성 노화와 외부 요인에 의해 일어나는 외인성 노화로 구분된다. 내인성 노화의 주된 요인으로 유전적인 요인이 언급되며, 이는 피부 세포 및 조직의 구조와 변화를 결정한다. 한편 외인성 노화의 요인은 외부에서 유래된 것으로, 영양 부족, 자외선, 환경오염에 의한 영향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유전적인 요인과 달리 얼마든지 예방 가능하고 피할 수 있는 요인이다.
이러한 요인으로 인해 피부 노화가 진행됨으로써, 피부가 건조해지고 거칠어지며 주름 생성, 탄력 저하, 색소 침착 등의 증상이 일어나게 된다. 특히, 대표적인 피부노화 증상으로 언급되는 주름 및 탄력 저하의 경우, 진피 내 주 단백질인 콜라겐 및 엘라스틴의 감소 및 변형이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피부 주름의 시작은 진피의 노화에서부터 진행되는 것으로, 탄력 섬유인 엘라스틴의 구조가 변화되어 피부는 늘어지면서 주름이 생기게 되며, 진피의 콜라겐을 비롯한 결합조직 성분을 분해시키는 MMPs(matrix metalloproteinase) 활성 증가로 인해 콜라겐 합성이 저해되어 주름이 증가한다는 연구가 많이 보고되어 있다.
레티놀은 주름 개선 효능이 입증된 성분으로, 피부 내 활성형인 레티노익산에 비해 자극이 적어 화장료 조성물 등에 비교적 안전하게 사용된다. 레티놀 외에도 레티노이드 계열의 여러 물질들은 서로 유사한 효능을 가진다. 레티놀은 레티날, 레티노익산으로의 대사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레티노익산의 형태로 핵 안으로 들어가 레티노이드 수용체에 결합하여 하위 유전자 발현을 조절한다. 그러나 레티놀은 피부에 적용되면 약 70%가 레티닐 팔미테이트의 형태로 저장되고, 레티날 및 레티노익산으로의 전환이 쉽지 않아 레티노익산 자체에 비해 효능이 떨어진다.
이에 따라 레티놀과 혼합하여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성분 및 기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865421호에는 '레티노이드 및 레티노이드 부스터 시스템을 포함하는 안정한 피부 관리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레티노이드 대사과정에서 레티놀을 레티날로 전환시키는 효소인 알코올 디하이드로게나제(ADH), 레티놀 디하이드로게나제(RDH), 및 레티날을 레티노익산으로 전환시키는 효소인 레티날알데하이드 디하이드로게나제(RALDH)를 조절하여 최종 산물인 레티노익산의 비율을 높여 효능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캠포(camphor)는 녹나무를 수증기로 증류하여 추출한 유액을 굳혀 만든 성분이다. 이는 특유의 방향성이 있으며, 곰팡이 또는 세균에 대한 살균 작용, 진통, 방부 효과가 있어, 종기, 피부궤양, 가려움증 등의 피부 질환에 대한 외용 약재로 사용되어 왔다. 또한, 캠포는 소염 진통 효과를 나타내어 파스, 물파스 등에도 함유되어 있으며, 화장용 에센셜 오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 천연물이다. 캠포의 UVB에 의한 주름 생성 억제 효능은 보고되어 있으나(Phytother Res. 2015 Dec:29(12):1917-25.), 레티놀과 함께 사용시 레티놀의 대사적 전환을 돕는지 여부는 전혀 알려져 있지 않다.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과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하였을 때 레티놀이 전환된 레티노익산의 피부 개선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새로운 유효성분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65421호 (2008.10.24.공고)
Thao Anh Tran, Manh Tin Ho, Yeon Woo Song, Moonjae Cho, Somi Kim Cho, Phytother Res. 2015 Dec:29(12):1917-25.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하였을 때, 세포핵 안에서 레티놀이 전환된 레티노익산과 결합하여 하위 유전자 발현을 촉진하는 레티노익산 수용체(RAR)의 활성을 높일 수 있는 레티놀 효능 부스터를 함께 처방하여, 레티놀의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증진시키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개시는 레티놀 및 캠포(camphor)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레티놀의 주름 개선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신규 레티놀 효능 부스터를 발굴하기 위해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캠포가 레티노익산 수용체(RAR)의 활성을 증진시킴을 발견하였다.
구체적으로, 레티놀은 세포핵 안에서 레티노익산으로 전환되고, 레티노익산이 이의 수용체에 결합함으로써 주름 개선과 관련된 효능을 발생시킨다. 상기 캠포는 레티노익산 수용체 유전자인 RARA, RARB, RARR의 발현을 촉진시켜 레티노익산 수용체의 활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캠포가 레티노익산 수용체의 활성을 높임으로써 이의 하위 유전자를 보다 활성화(turn on)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레티놀의 주름 개선 효능을 현저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들은 레티놀 및 캠포를 조합하여 눈가주름, 눈밑주름, 또는 팔자주름 등에 처리하였을 때, 레티놀 단독 처리에 비해 피부 주름 개선에 현저한 시너지 효과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개시의 한 측면에서, 상기 레티놀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1 중량%, 바람직하게 0.03 내지 0.8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 0.05 내지 0.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 0.075 내지 0.3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레티놀은 피부에 도포시 피부 자극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의 적용량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본 개시에서는 레티놀과 함께 캠포를 조합하여 레티놀을 과량으로 포함하지 않음으로 인해, 피부 자극이 없이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현저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레티놀이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중량%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피부 자극을 일으킬 염려가 있으며, 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을 수 있다.
본 개시의 한 측면에서, 상기 캠포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1 내지 1 중량%, 바람직하게 0.005 내지 0.1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 0.01 내지 0.0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캠포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레티놀 효능 부스터 효과를 충분히 발휘하지 못할 수 있으며, 1 중량% 초과로 포함되는 경우 피부 자극을 일으킬 수 있다.
본 개시의 한 측면에서, 상기 레티놀 및 캠포는 1:1 내지 20:1, 바람직하게 1.5:1 내지 15:1, 더욱 바람직하게 2:1 내지 10:1의 중량비(레티놀:캠포)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레티놀 및 캠포를 상기 중량비로 포함함으로써, 저함량의 레티놀을 포함하더라도 캠포와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현저하게 상승시킬 수 있고 피부 자극이 감소된다.
본 개시의 한 측면에서, 상기 레티놀은 레티놀의 이성질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모든-트랜스-레티놀, 13-시스-레티놀, 11-시스-레티놀, 9-시스-레티놀, 3,4-디데히드로-레티놀, 3,4-디데히드로-13-시스-레티놀, 3,4-디데히드로-11-시스-레티놀, 또는 3,4-디데히드로-9-시스-레티놀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한 측면에서, 상기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외용연고, 크림, 폼, 영양화장수, 유연화장수, 팩, 유연수, 유액, 메이크업베이스, 에센스,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선 스크린크림, 선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패취, 및 스프레이 등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한 측면에서, 상기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및 향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물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개시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가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한 측면에서, 상기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동물성 오일, 식물성 오일,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한 측면에서, 상기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한 측면에서, 상기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사용되며, 예를 들어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콜,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1,3-부틸글리콜 오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담체 성분으로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한 측면에서, 상기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한 측면에서, 상기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캡슐인 경우에는, 알지네이트(alginate) 캡슐, 아가(agar) 캡슐, 젤라틴(gelatin) 캡슐, 왁스(wax)류 캡슐, 또는 이중 캡슐 등의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한 측면에서, 상기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레티놀 및 캠포 이외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보조제, 예컨대 친수성 또는 친지성 겔화제, 친수성 또는 친지성 활성제, 보존제, 항산화제, 용매, 방향제, 충전제, 차단제, 안료, 흡취제, 또는 염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레티놀 및 캠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 외에 필요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는 본 발명의 효과를 해하지 않는한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윤활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은 소독 청결제, 샤워폼, 연고액, 물티슈, 코팅제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의약외품의 제제화 방법, 용량, 이용방법, 구성성분 등은 기술분야에 공지된 통상의 기술로부터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레티놀 및 캠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본 개시의 조성물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조성물이 피부 주름 개선에 효과가 있는 특성상, 상기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피부에 도포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한 측면에서, 상기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은 매일 투여 또는 간헐적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1일당 투여 횟수는 1회 또는 2~3회로 나누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조성물은 피부 주름 개선을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다른 약물 치료와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투여량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개체"는 주름 또는 피부 주름이 발생하였거나 발생할 수 있는 인간을 포함한 쥐, 생쥐, 가축 등의 모든 동물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인간을 포함한 포유동물일 수 있다.
본 개시에 기재된 모든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한국, 중국, 미국, 유럽, 일본 등의 관련 법규 또는 규범(예를 들어, 화장품 안전 기준 등에 관한 규정(한국), 화장품 안전 기술 규범(중국)) 등에서 규정한 최대사용치를 초과하지 않는다. 즉, 바람직하게, 본 개시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또는 의약외품 조성물은 각국의 관련 법규 또는 규범에서 허용되는 함량 한도로 본 개시에 따른 성분들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은 레티놀 효능 부스터로 캠포를 유효성분으로 조합하여 포함함으로써 피부 주름 개선에 현저한 시너지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개시의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은 캠포를 조합함으로써 레티놀을 저농도로 사용할 수 있어, 레티노이드 반응에 의해 일어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유래 피부 자극 및 염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험예 1에서 캠포의 농도(ppm)에 따른 세포 생존율 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실험예 6에서 인공 피부에 레티놀 및/또는 캠포를 처리하였을 때 콜라겐 합성 효과를 실험한 결과이다.
도 3은 실험예 7에서 레티놀, 또는 레티놀 및 캠포의 조합 사용시 주름 개선 부스팅 효과를 비교 실험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 내지 6은 실험예 7에서 레티놀, 또는 레티놀 및 캠포의 조합 사용시 주름 개선 부스팅 효과를 비교하여, 각 부위별로 대표적인 주름 개선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험예 1: 세포 생존율(cell viability) 평가
(1) 세포 배양
인간 피부섬유아세포(primary dermal fibroblast, normal, human, neonatal, ATCC No. PCS-201-010)는 ATCC로부터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구입한 세포는 DMEM (Dulbecco Modified Eagle Medium - Thermo Fisher Scientific)에 10% FBS(Fetal Bovine Serum) 및 1% 항생제(Penicillin streptomycin)을 섞어 만든 배지를 이용하여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2) 세포 생존율 측정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인간 피부섬유아세포를 96 웰 플레이트에 104 cells/well씩 분주하여 하룻밤 동안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캠포를 농도별로 배양액에 첨가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 생존율 측정은 Cell Counting Kit-8(CCK-8, Dojindo, Japan)을 이용하여 프로토콜에 따라 진행하였다. CCK-8 용액을 각 웰에 첨가한 후, 1시간 반 동안 배양한 다음, 450 nm에서 광학 밀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도 1에 나타낸 세포 생존율 측정 결과를 볼 때, 캠포는 1000 ppm까지 처리하더라도 세포 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본 개시의 실험예에서는 캠포를 레티놀과 함께 처방하기 위해, 세포 생존율에 변화가 없는 수준(변화 10% 이내)에서 캠포를 100 ppm 이하로 처리하여 실험하였다.
실험예 2: 레티놀의 대사와 관련된 유전자 발현 측정
세포 핵 내 레티노익산 수용체 유전자인 RARA, RARB, RARR의 유전자 발현양을 측정하기 위해, 피부 섬유아세포를 6 웰 플레이트에 5*105 cells/well씩 분주하여 하룻밤 동안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캠포를 농도별로 배양액에 첨가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RNA-spin Total RNA Extraction Kit (인트론바이오테크놀로지, Korea)를 이용하여 프로토콜에 따라 RNA를 추출하였으며, Taqman probe를 이용하여 Real-time qPCR을 수행하여 유전자 발현양을 비교 분석한 후, 하기 표 1에 측정 결과를 나타내었다.
물질명 상대적 유전자 발현양
RARA RARB RARR
- 1.00 1.00 1.00
캠포 10 ppm 0.82 1.70 0.96
캠포 50 ppm 1.55 1.97 1.85
캠포 100 ppm 1.78 1.80 2.16
상기 표 1의 측정 결과를 볼 때, 캠포를 10 ppm으로 처리할 경우 RARB의 발현을 현저하게 증가시키며, 50 ppm 이상으로 처리할 경우 RARA, RARB, RARR의 발현을 모두 현저하게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레티놀 및 캠포 조합시 레티노익산 수용체 활성 측정
레티놀로부터 전환된 레티노익산이 세포 핵 내로 들어가 레티노익산 수용체(RAR)와 결합하여 일으키는 RAR 활성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RARγ Reporter (Luc)-HEK293 cell line (BPS bioscience, USA)를 구매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세포를 96 웰 플레이트에 104 cells/well씩 분주하여 하룻밤 동안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캠포를 농도별로 배양액에 첨가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종류 후 Steady-Glo(R) Luciferase Assay System (Promega, USA)를 이용하여 루시퍼라제 분석을 이용하여 레티노익산 수용체의 활성 정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RARγ 활성 증가율 (%)
무처리 0
레티놀 0.3 ppm 24 %
레티놀 3 ppm 91 %
캠포 10 ppm 48 %
레티놀 0.3 ppm + 캠포 10 ppm 118 %
레티놀 10 ppm + 캠포 10 ppm + RARγ 활성저해제 100 nM 12 %
상기 표 2에 나타난 결과를 볼 때, 레티놀 및 캠포를 조합 처리시 각각의 단독 처리에 비해 레티노익산 수용체의 활성이 현저하게 증가하여 시너지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레티놀 3 ppm 처리군(RARγ 활성 증가율 91%)에 비해 현저하게 적은 양으로 0.3 ppm의 레티놀만 사용하더라도, 이를 캠포 10 ppm과 함께 조합하는 경우 RARγ 활성 증가율이 118%로 현저하게 증가하여, 레티놀 및 캠포의 조합에 시너지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RARγ 활성저해제를 동시에 처리할 때 RARγ 활성 증가가 억제됨을 확인하였으며, 이로부터 레티놀 및 캠포의 조합이 RAR 활성을 증진시켜 주름 개선 효능을 향상시킴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레티놀 및 캠포의 콜라겐 합성 측정
피부세포의 콜라겐 합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콜라겐 유전자 COL1A1 의 발현양을 측정하였다. 먼저, 세포를 6 웰 플레이트에 5*105 cells/well씩 분주하여 하룻밤 동안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레티놀 및 캠포를 하기 표 3에 기재된 처리량으로 첨가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레티놀은 3 ppm(약 10 μM)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세포 독성으로 인해 실험이 불가능하므로, 최고 처리 농도를 3 ppm으로 설정하였다. RNA-spin Total RNA Extraction Kit (인트론바이오테크놀로지, Korea)를 이용하여 프로토콜에 따라 RNA를 추출하였으며, Taqman probe를 이용하여 Real-time qPCR을 수행하여 유전자 발현양을 비교 분석한 후, 하기 표 3에 측정 결과를 나타내었다.
물질처리 단위: ppm 레티놀 캠포 Type 1 콜라겐 유전자 발현양 
0 0 1.00
0.03 1.04
0.06 1.12
0.12 1.14
0.15 1.11
0.3 2.12
0.6 3.28
0.75 4.28
1.5 4.10
0.3 1.69
0.6 1.07
1.5 1.36
3 1.45
조성비 1
(2:1 비율)
0.3 0.15 1.10
0.6 0.3 3.95
1.5 0.75 2.38
3 1.5 1.11
조성비 2
(5:1 비율)
0.3 0.06 4.00
0.6 0.12 3.44
1.5 0.3 6.12
3 0.6 4.98
조성비 3
(10:1 비율)
0.3 0.03 5.09
0.6 0.06 2.43
1.5 0.15 3.15
3 0.3 3.71
상기 표 3의 실험 결과를 볼 때, 레티놀 및 캠포의 조합 처리시 Type 1 콜라겐 유전자의 발현량이 시너지적으로 증진됨을 확인하였다. 바람직하게, 레티놀 및 캠포가 2:1, 5:1, 또는 10:1의 중량비(레티놀:캠포)일 때 현저한 시너지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캠포에 의한 레티놀의 피부 자극 감소 효과
레티노이드성 접촉성 피부염은 레티노익산 적용시 유발되는 IL-1 또는 IL-8과 같은 사이토카인 분비에 기인하는 염증 반응이 원인으로 제시되고 있다(J Invest Dermatol. 2004 Dec;123(6):1078-85.). 따라서, 레티놀 적용시 분비되는 피부자극 지표인 IL-8을 분석하기 위해 인간 피부섬유아세포를 24 웰 플레이트에 2*104 cells/well씩 분주하여 하룻밤 동안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레티놀 및 캠포를 하기 표 4에 기재된 바에 따라 첨가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수득한 후, 배양액으로 분비된 IL-8의 양을 Human IL-8/CXCL8 DuoSet ELISA(DY208, R&D Systems,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레티놀(ppm) 캠포(ppm) IL-8 (pg/ml) % 레티놀:캠포 비율
0 0 16.9 100.0
0.3 0 22.9 135.3
0.15 19.0 112.2 2:1
0.06 11.5 68.1 5:1
0.03 13.4 79.0 10:1
0.6 0 188.2 1113.8
0.3 14.8 87.5 2:1
0.12 51.2 303.3 5:1
0.06 29.8 176.3 10:1
1.5 0 278.5 1648.7
0.75 41.3 244.5 2:1
0.3 11.7 69.5 5:1
0.15 54.3 321.6 10:1
3 0 377.0 2231.5
1.5 317.8 1881.1 2:1
0.6 12.0 70.8 5:1
0.3 95.4 564.7 10:1
상기 표 4에 나타난 결과를 볼 때, 레티놀을 단독으로 0.3~3 ppm으로 처리할 때 농도 증가에 따라 IL-8이 증가하여 피부 자극이 증가함을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레티놀을 고용량으로 사용함에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레티놀과 함께 캠포를 조합하여 사용할 때, IL-8의 유도량이 감소되어 레티놀에 의한 피부 자극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바람직하게, 레티놀 및 캠포가 2:1, 5:1, 또는 10:1의 중량비(레티놀:캠포)일 때, 레티놀에 의한 피부 자극이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실험예 6: 레티놀 및 캠포의 콜라겐 합성 효과 측정
인비트로(in vitro)에서 인공 피부를 대상으로, 레티놀 및 캠포를 포함하는 조성물 처리시 주름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상기 레티놀 및 캠포의 농도는 실제 제형에 적용 가능한 농도 범위 수준으로 사용되었다. 레티놀은 주름 기능성과 관련하여 고시된 농도인 0.075 중량% 이상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약 0.1 중량% 포함될 수 있으며, 주름 개선능을 극대화하기 위해 0.3 중량%까지 포함될 수 있다. 캠포는 특이한 향취로 인한 소비자 선호도, 용해도, 제형 안정성 등을 고려하여 0.1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본 실험예에서는 레티놀은 0.1 중량%로 사용되었으며, 캠포는 0.01 중량%로 사용되었다. 하기 표 5 및 도 2에 콜라겐 합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Dermis Area (μm2) 콜라겐 합성량(%)
무처리 30192.92 100.0
레티놀 0.1 중량% 31430.79 104.1
캠포 0.01 중량% 37816.18 125.2
레티놀 0.1 중량% + 캠포 0.01 중량% 51569.38 170.8
상기 표 5에 나타난 결과를 볼 때, 레티놀 및 캠포를 조합 처리하면 각각을 단독 처리하는 경우에 비해 콜라겐 합성량이 현저하게 증가하여, 피부 주름 개선에 시너지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7: 레티놀 및 캠포의 주름 개선 부스팅 효능 평가
40~50대 여성 5명을 대상으로 주름 개선 효과를 평가하였으며, 대조군으로 레티놀 0.1 중량%(3300 IU)를 사용하였으며, 실험군으로 레티놀 0.1 중량%(3300 IU) 및 캠포 0.05 중량% 조합을 사용하였다. 각 피험자는 대조군 또는 실험군을 하루에 두 번(아침, 저녁) 얼굴 주름 부위(눈가, 눈밑, 팔자)에 6주간 도포하였다. 주름의 측정은 Antera 3D 기기를 사용하여 부위별로 측정하였으며, 6주 이후 주름 개선 효과를 하기 표 6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또한, 각각의 눈가주름 개선, 눈밑주름 개선, 팔자주름 개선에 대하여, 대표적인 주름 개선 이미지를 도 4 내지 6에 나타내었다.
6주 개선율(%) 개선율 향상
레티놀 단독 레티놀+캠포
눈가주름 길이 17.5 30.8 76%
눈밑주름 길이 7 12.8 82%
팔자주름 길이 3.7 8 118%
상기 표 6에 기재된 결과를 볼 때, 레티놀 및 캠포의 조합 처리시 레티놀 단독 처리에 비해 눈가주름, 눈밑주름, 및 팔자주름 개선 효과가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이를 통해 레티놀 및 캠포의 조합에 의해 피부 주름 개선에 시너지 효과가 발생함을 알 수 있다.

Claims (7)

  1. 레티놀 및 캠포(camphor)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티놀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1 중량%인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포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1 내지 1 중량%인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티놀 및 캠포의 중량비는 1:1 내지 20:1 (레티놀:캠포)인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포는 레티노익산 수용체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포는 레티노익산 수용체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7. 레티놀 및 캠포(camphor)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
KR1020220055612A 2022-05-04 2022-05-04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23015585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5612A KR20230155857A (ko) 2022-05-04 2022-05-04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CN202310458632.1A CN116999347A (zh) 2022-05-04 2023-04-25 皮肤皱纹改善用组合物
JP2023076308A JP2023165671A (ja) 2022-05-04 2023-05-02 皮膚しわ改善用の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5612A KR20230155857A (ko) 2022-05-04 2022-05-04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5857A true KR20230155857A (ko) 2023-11-13

Family

ID=88569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5612A KR20230155857A (ko) 2022-05-04 2022-05-04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3165671A (ko)
KR (1) KR20230155857A (ko)
CN (1) CN11699934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421B1 (ko) 2000-12-28 2008-10-24 유니레버 엔.브이. 레티노이드 및 레티노이드 부스터 시스템을 포함하는안정한 피부 관리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421B1 (ko) 2000-12-28 2008-10-24 유니레버 엔.브이. 레티노이드 및 레티노이드 부스터 시스템을 포함하는안정한 피부 관리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Thao Anh Tran, Manh Tin Ho, Yeon Woo Song, Moonjae Cho, Somi Kim Cho, Phytother Res. 2015 Dec:29(12):1917-2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165671A (ja) 2023-11-16
CN116999347A (zh) 202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37235C2 (ru) Мягко действующие несмываемые композиции для ухода за кожей
JP4745608B2 (ja) 電子伝達剤のリン酸誘導体を用いた皮膚治療
DE19516705C2 (de) Gegen Bakterien, Mycota und Viren wirksame Substanzen
TWI287995B (en) Dermatological composition containing co-enzyme Q as active ingredient
AU2010100972A4 (en) Topical antimicrobial compositions
KR20130069512A (ko) 텐저레틴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EP1192939A2 (en) Methods for reduction of inflammation and erythema
US11918666B2 (en) Topical formulations comprising strontium and methylsulfonylmethane (MSM) and methods of treatment
JP2007332078A (ja) オゾン溶存グリセリン溶液を含む化粧料、医薬部外品、医薬(医薬品)等の外用剤
KR20230155857A (ko)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JP2009001575A (ja) オゾン溶存グリセリン溶液を含む化粧料、医薬部外品、医薬(医薬品)等の外用剤
FR3005408A1 (fr) Utilisation d'acide petroselinique pour lutter contre les desordres esthetiques de la silhouette lies aux modifications du tissu adipeux
KR102014102B1 (ko) 메스키트 꿀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JPH08301753A (ja) バクテリア、糸状菌及びウイルスに対して活性な物質
KR101322850B1 (ko) 박하잎 추출물, 밀싹 추출물 및 길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공 축소 또는 피지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RU2431462C1 (ru) Порошковая косметическая фитомаска для ухода за кожей лица и тела
JP5155543B2 (ja) エンドセリン−1産生抑制剤、ヘキソサミニダーゼ遊離抑制剤、抗炎症用/美白用皮膚外用剤、エンドセリン−1の産生抑制方法及びヘキソサミニダーゼの遊離抑制方法
KR20180108254A (ko) 파리신 a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84415B1 (ko) 에피피노레시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30512B1 (ko) 릴린 및/또는 vegf-c의 생산 및/또는 활성 촉진제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외용제
KR102124276B1 (ko) N-니코티노일-가바를 함유한 피부노화 방지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TW520286B (en) Skin whitening composition
KR20240021066A (ko) 천연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위생관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20082562A (ko) 향료를 이용한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230174914A (ko) 레티노이드 및 레티노이드 부스터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피부결 개선 또는 미백용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