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5551A - 차량 도어용 도어 핸들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도어용 도어 핸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5551A
KR20230155551A KR1020237034584A KR20237034584A KR20230155551A KR 20230155551 A KR20230155551 A KR 20230155551A KR 1020237034584 A KR1020237034584 A KR 1020237034584A KR 20237034584 A KR20237034584 A KR 20237034584A KR 20230155551 A KR20230155551 A KR 20230155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door handle
space
door
ra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4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스미르 살릭
Original Assignee
메르세데스-벤츠 그룹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르세데스-벤츠 그룹 아게 filed Critical 메르세데스-벤츠 그룹 아게
Publication of KR20230155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5551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69Sanitary doorknobs or handles, e.g. comprising a disinfecta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03Handles creating a completely closed wing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07Pop-out handles, e.g. sliding outwardly before rot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들부(4)와 UV-C 광선(6)을 방출하는 클리닝 장치(5)를 구비한 자동차(3)의 차량 도어(2)용 도어 핸들 장치(1)에 관한 것이다. 특히 위생적인 방식으로 자동차(3)를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동시에 디자인적으로 높은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핸들부(4)는 적어도 삽입된 비사용 위치와 돌출된 사용 위치 사이에서 조정될 수 있는 것으로 제시되며, 이때 클리닝 장치(5)가 핸들부의 비사용 위치에서 핸들부(4)에 UV-C 광선(6)을 조사하여 청소하도록 설계된다.

Description

차량 도어용 도어 핸들 장치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자동차의 차량 도어용 도어 핸들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차량 도어와 이러한 도어 핸들 장치를 갖춘 자동차 및 이러한 도어 핸들 장치의 핸들부를 클리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신 자동차의 경우 디자인 및 공기역학적으로 최고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비사용 상태에서는 은폐된 형태로 눈에 띄지 않게 배치된 팝업식 도어 핸들이 제공되는 경우가 많다. 사용자가 접근했을 때 핸들부가 사용 위치로 돌출되어 차량 도어를 열 수 있게 된다.
그러나, 팝업식 핸들부가 있는 도어 핸들 장치의 경우 도어 핸들 장치 및 적어도 핸들부를 클리닝하는 것은 어려우며 비사용 위치에서는 불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자동차가 닫혀 있는 세차장에서도 핸들부는 삽입된 비사용 위치에 있으므로 거기에서도 청소가 되지 않는다. 또한 자동차를 여러 사용자가 함께 사용하는 경우 핸들부를 청소하거나 소독까지 하는 것은 특히 감염병의 전염을 예방하는 데 큰 이점이 될 수 있다.
CN 108104622 A에서는 핸들부와 UV-C 광선을 방출하는 클리닝 장치를 갖추고 있는 자동차의 차량 도어를 위한 일반적인 도어 핸들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공지된 도어 핸들 장치에서는 핸들부를 소독하기 위해 이 핸들부와 손잡이 함몰부에 UV-C 광선을 조사한다. 또한 UV-C 광선이 공기 중의 산소와 만나면 오존이 형성되어 소독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히 향상된 위생과 개선된 외관 및 개선된 디자인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적인 유형의 도어 핸들 장치에 대한 향상된 또는 적어도 대안적인 실시예를 제시하는 문제를 다룬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문제는 독립항 제1항의 대상에 의해 해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항의 대상이다.
본 발명은 도어 핸들 장치에 팝업식 핸들부를 장착하고, 핸들부가 손잡이 함몰부, 즉 내부 공간에 삽입된 경우 이러한 핸들부에 UV-C 광선을 조사하여 소독한다는 일반적인 개념에 기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차량 도어용 도어 핸들 장치는 전술한 핸들부와 UV-C 광선을 방출하도록 설계된 클리닝 장치를 갖는다. 이러한 UV-C 광선은 일반적으로 < 265nm의 파장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제 핸들부는 적어도 삽입된 비사용 위치와 돌출된 사용 위치 사이에서 조정될 수 있으며, 이때 클리닝 장치는 UV-C 광선을 비사용 위치에서 핸들부에 조사하여 청소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핸들 장치는 삽입된 상태에서 팝업식 핸들부를 청소할 수 있는 가능성을 최초로 제공하여 전반적인 위생을 향상시킨다. 핸들부를 삽입할 수 있는 가능성으로 인해 공기역학적, 디자인적, 시각적 이점도 얻을 수 있다. 이때 비사용 위치에서 핸들부는 자동차 도어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고 바람직하게는 닫힌 상태에서 UV-C 광선이 조사될 수 있다. UV-C 광선은 박테리아, 바이러스, 세균을 죽일 수 있는 동시에 내부 공간에 있는 산소가 UV-C 광선과 만나면 오존으로 변환되고 이로 인해 소독이나 위생 향상에 도움이 된다. 이때 UV-C 광선은 바이러스 제거 작용을 하는데, 즉, 바이러스를 비활성화하거나 죽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핸들 장치를 사용하면 공기역학적 및 디자인적으로 최고의 요구 사항을 충족할 수 있는 팝업식 핸들부를 비사용 상태에서 소독할 수 있어 특히 차량 사용자가 바뀔 때 질병의 감염을 방지하거나 적어도 이러한 감염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 양태에 따르면, 클리닝 장치는 UV-C 광선을 방출하고 핸들부(4)의 기본 부분 또는 주변 조사를 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광원을 갖는 것을 제시한다. 핸들부의 기본 부분은 핸들부의 조작 시 사람이 접촉하는 부분을 말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광원(11)은 핸들부(4) 주위에 링 형태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이를 통해 핸들부 및/또는 그 기본 부분에 주변 조사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제시된다. 광원은 차량 도어, 특히 비사용 위치에서 핸들부가 놓이게 되는 손잡이 함몰부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서, 핸들부가 비사용 위치에서 적어도 일부 삽입된 도어 핸들 하우징이 제시된다. 이때 핸들부는 삽입된 비사용 위치에서 도어 핸들 하우징에 기밀하게 결합되어 핸들부가 배치된 내부 공간을 외부로 기밀하게 폐쇄한다. 이로써 핸들부를 비사용 위치에서 외부로 주변에 밀폐되어 보호된 공간에 배치함과 동시에 거기에서 소독도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비사용 상태에서는 핸들부가 외부 오염으로부터 보호되고 소독이 가능하며 또한 이러한 비사용 위치에서 외부 환경 영향으로부터 보호된 상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핸들 장치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핸들부가 비사용 위치에 있는 내부 공간으로 산소를 방출할 수 있는 산소가 담긴 용기가 제공된다. 이로써 이미 바이러스 제거 효과가 있는 UV-C 광선에 추가로 산소와 UV-C광선이 만나 오존을 발생시켜 박테리아, 바이러스, 세균까지 사멸시키며 살균 효과까지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특히 위생적인 핸들부를 얻을 수 있으며, 그 결과 적어도 이 핸들부에서 질병 감염 위험이 줄어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서는, 유입구 측이 내부 공간과 연결되고 유출구 측이 용기와 연결되는 역류 공간이 제시되며, 이 공간을 통해 산소 및 오존이 내부 공간으로부터 역류 공간을 지나 용기로 역류가 이루어진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러한 역류 공간을 사용하여, 용기, 내부 공간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역류 공간 간에 폐쇄 시스템이 생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산소 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특히 긴 사용 수명을 얻을 수 있다. 또 다른 큰 장점은 이러한 폐쇄 시스템으로 오존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일이 거의 없고 순환부에 남아 있어 핸들부를 소독하는데 반복해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핸들부의 소독, 예컨대 UV-C 광선 또는 산소 노출은 핸들부가 도어 하우징 안으로 들어갈 때만, 즉 함몰된 핸들부에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매우 경제적인 산소 소비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핸들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서, 내부 공간 방향으로 투과성 체크 밸브가 용기와 내부 공간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역류 공간 방향으로 투과성 체크 밸브가 내부 공간과 역류 공간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 추가로 역류 공간과 용기 사이에 용기 방향으로 투과성 체크 밸브도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되지 않는 역류를 우려할 필요 없이 용기에서 시작하여 내부 공간을 거쳐 거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역류 공간을 지나 다시 용기로 돌아가는 산소 및 오존의 순환 사이클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체크 밸브는 미리 정의된 압력차 이상에서만 열리는 예컨대 플랩 밸브 또는 스프링 장착 밸브로 비교적 간단하고 저렴하게 설계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산소를 용기에서 내부 공간으로 펌핑할 수 있는 펌프가 제공된다. 이 펌프는 용기 내 과압을 보장하여 용기와 내부 공간 사이에 위치한 체크 밸브 및 압력 릴리프 밸브를 열어 산소가 내부 공간으로 빠져나가도록 한다. 내부 공간에서는 산소가 UV-C 광선과 만나 오존으로 변환되어 핸들부를 소독한다. 산소를 내부 공간으로 펌핑하면 내부 공간의 압력도 높아지는데, 이 압력은 핸들부와 도어 하우징 사이의 기밀성으로 인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없게 되어 미리 정의된 과압 이상이 되면 내부 공간과 역류 공간 사이에 배치된 체크 밸브가 열려 산소 및 오존이 내부 공간에서 역류 공간으로 넘어가게 된다. 이를 통해 산소 및 오존이 용기로 다시 공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UV-C 광선은 파장이 100nm < < 280nm 사이이며, 이때 시험 결과 특히 < 242nm의 파장은 박테리아, 세균 또는 바이러스뿐만 아니라 냄새 분자에 대해서도 특히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은 또한 차량 도어와 이전 단락에서 설명한 도어 핸들 장치를 자동차에 장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핸들 장치와 관련하여 설명된 장점을 차량에 전가하는 일반적인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이는 특히 핸들부를 간단하고 저렴하게 소독하여 위생을 향상시키며, 동시에 예컨대 폐쇄형 산소-오존 회로를 통한 지속 가능한 작동 방식과 팝업식 핸들부 덕분에 매우 매력적인 도어 핸들 디자인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핸들부가 우선 삽입된 비사용 위치로 이동되는 자동차 도어 핸들 장치의 핸들부를 클리닝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일반적인 아이디어에 기초한다. 그러면 클리닝 장치는 UV-C 광선을 내부 공간에 조사하고 이때 동시에 용기 내부의 산소가 내부 공간으로 방출되면서 거기에서 UV-C 광선에 의해 오존으로 변환되어 핸들부를 소독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장점은 특히 핸들부가 비사용 위치에서 바이러스, 박테리아, 포자, 세균 및 냄새 분자가 확실하게 제거되어 특히 위생적인 취급이 가능하게 된다는 데 있다. 이는 특히 감염병이 많이 발생하는 시대에 중요한 장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물론 내부 공간 외에 역류 공간도 있을 수 있으므로 해당 펌프를 통해 산소 및 경우에 따라 오존도 주기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용기에서 핸들부가 삽입된 비사용 위치에 있는 내부 공간으로 흐르고 그리고 역류 공간을 통해 용기로 다시 흐를 수 있다. 그 결과, 핸들부가 비사용 위치에 있을 때만 핸들부의 일시적인 소독이 이루어질 수 있어 비용 효율적인 작동 방식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중요한 특징과 장점은 종속항, 도면, 도면을 기초로 한 해당 도면 설명에 나온다.
상기 언급된 특징과 아래에서도 설명되는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각각의 경우에 제시된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조합으로도 사용 가능하며 고유한 특징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는 도면에 제시되어 있으며, 이어지는 설명에서 자세히 설명하는데, 이때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하거나 기능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이때 각 도면은 다음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핸들 장치를 갖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외관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핸들 장치의 특별한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따르면, 자동차(3)의 차량 도어(2)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핸들 장치(1)는 차량 도어(2) 안으로 삽입되어 있는 비사용 위치(도 2 참조)와 돌출된 사용 위치(도 2 참조) 사이에서 조정할 수 있는 핸들부(4)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차량 도어에 내장된 손잡이 함몰부에 배치되고 핸들부(4) 및 핸들부(4)의 내부에 있는 부분을 비사용 위치에서 UV-C 광선(6)을 조사하여 클리닝하도록 설계된 UV-C 광선(6)을 방출하는 클리닝 장치(5)가 제시된다. UV-C 광선(6)은 항균, 살균, 바이러스 제거 효과가 있으며 세균을 죽이고 냄새를 중화시킨다. 도 1에 도시된 상황과 달리, 클리닝 장치(5)는 핸들부(4)가 삽입된 비사용 위치에 있을 때, 바람직하게는 차량 도어(2)의 표면과 같은 높이에 있을 때에만 UV-C 광선(6)을 방출한다. 대안적으로, 핸들부가 차량 도어(2) 안으로 완전히 함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핸들 장치(1)는 또한 핸들부(4)가 비사용 위치에서 적어도 일부 삽입되어 있는 도어 핸들 하우징(7)(도 2 참조)을 갖는다. 비사용 위치에서, 핸들부(4)는 도어 핸들 하우징(7)과 기밀하게 닫혀서 핸들부(4)가 배치되어 있는 내부 공간(8)을 한정하고 외부로부터 이를 밀봉한다. 이를 위해, 핸들부(4)에 외부 밀봉부(9)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산소를 내부 공간(8)으로 배출할 수 있는 산소가 담긴 용기(10)(도 2 참조)가 차량 도어(2)에 제시될 수 있다. 오존 O3은 산소 O2가 내부 공간(8)으로 방출되는 동시에 산소가 UV-C 광선(6)에 노출되면서 형성되는데, 이는 또한 항균, 살균, 바이러스 제거 효과가 있으며 세균이나 냄새 분자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클리닝 장치(5)는 UV-C 광선(6)을 방출하고 적어도 내부 공간(8), 즉 핸들부(4)의 내부 부분에 주변 조사와 소독이 동일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복수의 광원(11)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핸들부(4)가 손잡이 함몰부에 완전히 들어가게 되면 핸들부(4)는 일부 부분뿐만 아니라 핸들부(4) 전체에 조사될 수 있다. 도 2를 보면, 광원(11)이 예컨대 핸들부(4) 주변으로 링 형태로 배치되고 서로 이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를 통해 핸들부(4)의 신뢰할 수 있는 조명 및 조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내부 공간(8)의 내부 공기를 산소 및 오존과 확실하게 혼합하여 매우 높은 소독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다른 역류 공간(12a)(도 2 참조)을 통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유입구 측이 내부 공간(8)과 연결되고 유출구 측이 용기(10)와 연결되는 역류 공간(12)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역류 공간(12)를 통해 또는 역류 공간(12, 12a)를 통해 내부 공간(8)로부터 산소 및 오존을 용기(10)로 다시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클리닝 장치(5)의 특히 경제적인 작동 방식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산소 및 오존의 예기치 않은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용기(10)와 내부 공간(8) 사이에 내부 공간(8) 방향으로 투과성 체크 밸브(13a)가 제공될 수 있고, 이때 내부 공간(8)과 역류 공간(12) 사이에서 역류 공간(12) 방향으로 투과성 체크 밸브(13b)가 배치될 수 있다. 추가 역류 공간(12a)가 제공되는 경우, 이 역류 공간과 역류 공간(12) 사이에도 체크 밸브(13c)가 제공될 수 있으며 역류 공간(12a)와 용기(10) 사이에 체크 밸브(13d)가 제공될 수 있다. 체크 밸브(13a, 13b, 13c, 13d)는 산소 및 오존의 순환 흐름을 유발하고 미리 정의된 압력차가 되면 열린다.
산소가 용기(2)에서 내부 공간(8)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산소를 용기(10)로부터 내부 공간(8)으로 펌핑하는 펌프(14)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추가 펌프(14a)가 역류 공간(12)에 배치될 수 있고 산소 및 오존이 내부 공간(8)에서 흡입되어 역류 공간(12a) 및 용기(10)로 계속 이송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핸들 장치(1)에 더하여, 차량 도어(2) 및 이러한 도어 핸들 장치(1)를 갖춘 자동차(3)에 대한 보호도 요구된다.
이전 단락에서 설명한 도어 핸들 장치(1)의 핸들부(4)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클리닝이 이루어진다.
우선 핸들부(4)가 삽입된 비사용 위치로 이동되고, 그 후 클리닝 장치(5)가 UV-C 광선(6)을 내부 공간(8)에 조사한다. 이 UV-C 광선(6)은 소독 작용을 하며 특히 바이러스, 세균, 곰팡이 및 박테리아를 죽이고 냄새 분자를 중화시킬 수 있다. 또한, 산소가 용기(10)에서 내부 공간(8)으로 방출되고 그곳에서 클리닝 장치(5)에서 방사되는 UV-C 광선(6)으로 인해 오존으로 변환되어 핸들부(4)가 소독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핸들 장치(1) 및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3)를 사용하면, 시각적으로 매력적이고 공기역학적으로 유리하며 동시에 바람직하게는 핸들부(4)가 비사용 위치로 삽입될 때마다 핸들부(4)를 소독하는 매우 위생적인 도어 핸들 장치(1)가 최초로 만들어질 수 있다.

Claims (12)

  1. 핸들부(4)와 UV-C 광선(6)을 방출하는 클리닝 장치(5)를 갖춘 자동차(3)의 차량 도어(2)용 도어 핸들 장치(1)로서,
    - 핸들부(4)가 적어도 삽입된 비사용 위치와 돌출된 사용 위치 사이에서 조정될 수 있고,
    - 클리닝 장치(5)가 핸들부의 비사용 위치에서 핸들부(4)에 UV-C 광선(6)을 조사하여 청소하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클리닝 장치(5)가 UV-C 광선(6)을 방출하고 핸들부(4) 또는 전체 핸들부(4)의 접촉면의 주변 조사를 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광원(11)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광원(11)은 핸들부(4) 주위에 링 형태로 배치되고 서로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핸들부(4)가 비사용 위치에서 적어도 일부 삽입되어 있는 도어 핸들 하우징(7)이 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핸들부(4)가 삽입된 비사용 위치에서 도어 핸들 하우징(7)에 기밀하게 결합되어 핸들부(4)가 배치된 내부 공간(8)을 외부로 기밀하게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산소가 담긴 용기(10)가 제공되고, 이 용기를 통해 산소가 내부 공간(8)으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 장치.
  7. 상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입구 측이 내부 공간(8)과 연결되고 유출구 측이 용기(10)와 연결되는 역류 공간(12)가 제시되며, 이를 통해 산소 및 오존이 내부 공간(8)로부터 역류 공간(12)을 지나 용기(10)로 역류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 장치.
  8. 상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용기(10)와 내부 공간(8) 사이에 내부 공간(8) 방향으로 투과성 체크 밸브(13a)가 배치되고/되거나
    - 내부 공간(8)과 역류 공간(12) 사이에서 역류 공간(12) 방향으로 투과성 체크 밸브(13b)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 장치.
  9. 제6항, 제7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역류 공간(12)과 용기(10) 사이에 용기(10) 방향으로 투과성 체크 밸브(13c, 13d)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 장치.
  10. 상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산소를 용기(10)에서 내부 공간(8)으로 펌핑할 수 있는 펌프(14)가 제공되고 및/또는
    - 클리닝 장치(5)가 < 242nm 파장의 UV-C 광선(6)을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 장치.
  11. 상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도어 핸들 장치(1)가 있는 차량 도어(2)를 갖춘 자동차(3).
  12. 자동차(3)에서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도어 핸들 장치(1)의 핸들부(4)를 청소 및 소독하는 방법으로,
    - 핸들부(4)가 삽입된 비사용 위치로 이동되고,
    - 클리닝 장치(5)는 UV-C 광선(6)을 내부 공간(8)에 조사하며
    - 산소가 용기(10)에서 내부 공간(8)으로 방출되고 그곳에서 UV-C 광선(6)으로 인해 오존으로 변환되어 핸들부(4)를 소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237034584A 2021-04-13 2022-03-31 차량 도어용 도어 핸들 장치 KR202301555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1001929.6 2021-04-13
DE102021001929.6A DE102021001929A1 (de) 2021-04-13 2021-04-13 Türgriffeinrichtung für eine Fahrzeugtür
PCT/EP2022/058562 WO2022218718A1 (de) 2021-04-13 2022-03-31 Türgriffeinrichtung für eine fahrzeugtü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5551A true KR20230155551A (ko) 2023-11-10

Family

ID=81580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4584A KR20230155551A (ko) 2021-04-13 2022-03-31 차량 도어용 도어 핸들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4323611A1 (ko)
JP (1) JP2024511875A (ko)
KR (1) KR20230155551A (ko)
CN (1) CN117120699A (ko)
DE (1) DE102021001929A1 (ko)
WO (1) WO2022218718A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33599B4 (de) 2003-07-24 2006-06-01 Daimlerchrysler Ag Fahrzeugkarosserie mit integriertem Flüssigkeitsbehälter
DE102012006972A1 (de) 2012-04-04 2013-10-10 SBF Spezialleuchten GmbH Reinigungs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Reinigen von Fahrzeuginnenräumen
DE102015014223A1 (de) 2015-11-04 2016-05-12 Daimler Ag Türgriffeinrichtung für eine Tür eines Kraftwagens
FR3067528B1 (fr) * 2017-06-13 2020-10-09 Continental Automotive France Dispositif de tele-alimentation, de capteur de position et de communication sans fil pour poignee deployante de porte
CN108104622B (zh) 2017-12-22 2019-11-05 丰业迪睦斯(芜湖)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门把手
EP3801646A4 (en) * 2018-06-08 2022-03-09 Stephen R. Wood DEVICE WITH A SELF-DISINFECTING SURFACE
KR20220026971A (ko) * 2020-08-26 2022-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도어핸들
DE202020003673U1 (de) 2020-08-30 2021-02-10 Schwaiger Gmbh Desinfektionsgerät mit einem Ozongenerator für die Desinfektion eines im Innenraum des Desinfektionsgerätegehäuses angeordneten Gu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23611A1 (de) 2024-02-21
CN117120699A (zh) 2023-11-24
DE102021001929A1 (de) 2022-10-13
JP2024511875A (ja) 2024-03-15
WO2022218718A1 (de) 2022-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95940B2 (en) Switch sanitizing device
JP4803142B2 (ja) 消臭殺菌照明装置
KR102427239B1 (ko) 인체무해 uv광원을 이용한 살균장치
US20080265179A1 (en) Sterilization apparatus
JP6893397B2 (ja) 殺菌処理装置
KR20170126349A (ko)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
WO2012084319A1 (en) Apparatus for sterilizing or disinfecting the hands of a person
JP2015528773A (ja) 流体ディスペンサーのヘッド
WO2019239986A1 (ja) 紫外線照射装置
KR20230155551A (ko) 차량 도어용 도어 핸들 장치
KR20150047026A (ko) 플라즈몬을 이용한 광촉매 살균장치
CN212777817U (zh) 一种空气杀菌机
KR101432071B1 (ko) 항균에어를 이용한 클린 살균기
KR20220072948A (ko) 패스스루형 살균소독장치
JP2013153897A (ja) 空気清浄機
JP2022081447A (ja) 一体化uv殺菌
JP3235419U (ja) 殺菌機能を有する送風機
JP2004159723A (ja) 靴殺菌脱臭具
KR102447990B1 (ko) 공간살균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01539A (ko) 의류 처리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060002349A (ko) 치과의료기기용 소독 및 살균장치
US20240189473A1 (en) Door handle device for a vehicle door
KR200173987Y1 (ko) 내벽에 주름진 반사경을 가지는 자외선 살균기
KR200297200Y1 (ko) 냉장고용 항균 도어 손잡이
JP3232206U (ja) 室内履き殺菌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