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5426A - 작업 기계용의 조작 장치, 및 작업 기계 - Google Patents
작업 기계용의 조작 장치, 및 작업 기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55426A KR20230155426A KR1020237027234A KR20237027234A KR20230155426A KR 20230155426 A KR20230155426 A KR 20230155426A KR 1020237027234 A KR1020237027234 A KR 1020237027234A KR 20237027234 A KR20237027234 A KR 20237027234A KR 20230155426 A KR20230155426 A KR 2023015542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erating
- working machine
- operating device
- user
- operato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6
- 235000013339 cer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3
- 210000003811 finger Anatomy 0.000 description 17
- 210000003813 thumb Anatomy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41000209140 Trit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21307 Trit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41000251169 Alopias vulpinu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899 nucle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8620 Fagopyrum esculent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419 Fagopyrum esculen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68988 Glycine max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5979 Hordeum vulgar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340 Hordeum vulgar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28 fuel tan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932 little fing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420 orchar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08 shea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9/00—Steering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on a desired track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2—Harves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oi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작업 기계용의 조작 장치(1)는 작업 기계의 기체에 탑재되어, 유저(U1)에 의한 조작을 접수하는 조작 장치로서, 보디(10)와 조작 대상(11)을 구비한다. 보디(10)는 표면의 일부에 조작면(101)을 포함한다. 조작 대상(11)은 조작면(101)에 배치되어 있다. 조작 장치(1)는 조작 대상(11)에 대한 조작을 포함하는 제 1 조작과, 보디(10)의 이동을 수반하는 제 2 조작을 접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조작 장치(1)는 조작면(101)으로부터 돌출되는 오조작 방지부(12)를 추가로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작업 기계용의 조작 장치, 및 작업 기계에 관한 것이다.
관련 기술로서, 캐빈 내에 주변속 레버 등의 조작 장치를 구비하는 작업 기계(콤바인)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관련 기술에 의한 작업 기계에 있어서는, 주변속 레버는 유저(작업자)가 왼손으로 쥐는 보디(그립)를 갖고, 예를 들면, 전진 증속 시에 운전석에 대해서 좌경사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보디가 조작된다. 또한, 관련 기술에 있어서는, 주변속 레버는 보디의 조작면(상면)에 예취 변속 스위치 및 부변속 스위치 등의 각종 스위치를 갖고 있고, 조작면을 운전석의 유저측으로 기울이도록 배치되어 있다. 유저는 주변속 레버의 각종 스위치를 주로 왼손의 엄지 손가락으로 조작한다.
상기 관련 기술의 구성에서는, 보디의 쥐는 방법에 따라서는, 예를 들면, 전진 증속 시 등의 보디 자체를 이동시키는 조작 시에, 유저의 손바닥 등이 각종 스위치에 닿거나 해서, 유저가 의도하지 않고 각종 스위치가 조작되는 오조작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오조작을 방지하기 쉬운 작업 기계용의 조작 장치, 및 작업 기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양태에 의한 작업 기계용의 조작 장치는 작업 기계의 기체에 탑재되어, 유저에 의한 조작을 접수하는 조작 장치로서, 보디와, 조작 대상을 구비한다. 상기 보디는 표면의 일부에 조작면을 포함한다. 상기 조작 대상은 상기 조작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조작 장치는 상기 조작 대상에 대한 조작을 포함하는 제 1 조작과, 상기 보디의 이동을 수반하는 제 2 조작을 접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조작 장치는 상기 조작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오조작 방지부를 추가로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양태에 의한 작업 기계는 상기 작업 기계용의 조작 장치와, 상기 조작 장치가 탑재되는 기체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오조작을 방지하기 쉬운 작업 기계용의 조작 장치, 및 작업 기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 1에 의한 작업 기계용의 조작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에 의한 작업 기계의 개략 좌측면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 1에 의한 작업 기계의 운전부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및 그 일부 확대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 1에 의한 작업 기계의 운전부에 유저가 탑승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 1에 의한 작업 기계의 운전부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 1에 의한 작업 기계용의 조작 장치를 조작면측으로부터 본 개략 평면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 1에 의한 작업 기계용의 조작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우측면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 1에 의한 작업 기계용의 조작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상면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 1에 의한 작업 기계용의 조작 장치를 이면측으로부터 본 개략 평면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 1에 의한 작업 기계용의 다른 양태의 조작 장치를 이면측으로부터 본 개략 평면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에 의한 작업 기계의 개략 좌측면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 1에 의한 작업 기계의 운전부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및 그 일부 확대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 1에 의한 작업 기계의 운전부에 유저가 탑승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 1에 의한 작업 기계의 운전부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 1에 의한 작업 기계용의 조작 장치를 조작면측으로부터 본 개략 평면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 1에 의한 작업 기계용의 조작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우측면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 1에 의한 작업 기계용의 조작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상면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 1에 의한 작업 기계용의 조작 장치를 이면측으로부터 본 개략 평면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 1에 의한 작업 기계용의 다른 양태의 조작 장치를 이면측으로부터 본 개략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구체화한 일례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실시형태 1)
[1] 전체구성
우선,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작업 기계(4)의 전체 구성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작업 기계(4)는 주행 장치(41) 등을 포함하는 기체(40)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작업 기계용의 조작 장치(1)(도 1 참조)는 이러한 작업 기계(4)의 기체(40)에 탑재된다.
본 개시에서 말하는 「작업 기계」는 예를 들면 포장(F1) 등의 작업 영역에 있어서 각종의 작업을 행하는 기계를 의미하고, 일례로서, 수확 기계(콤바인을 포함한다), 트랙터, 전식기, 산포기, 분무기, 파종기 및 이식기 등의 작업 차량이다. 즉, 작업 기계(4)는 작업 차량을 포함한다. 작업 기계(4)는 「차량」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작업용 비상체 또는 작업용 선박 등이어도 좋다. 또한, 작업 기계(4)는 농업 기계(농기)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건설 기계(건기) 등이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작업 기계(4)가 승용 타입의 수확 기계일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본 개시에서 말하는 「수확 기계」는 포장(F1)에서 작물의 수확 작업을 행하는 기계로서, 일례로서, 수확 작업에 더해서 탈곡 및 선별을 행하는 콤바인(콤바인 하베스터) 등을 포함한다. 작업 기계(4)로서의 콤바인은 주로 곡물의 수확 작업에 사용되고, 포장(F1) 내를 이동(주행)하면서, 작물의 예취를 행하고, 예취한 작물을 수확한다. 특히, 콤바인에는, 예취한 작물 전체를 탈곡기(탈곡 장치(43))로 보내주는 보통형(범용) 콤바인과, 예취한 작물의 이삭끝만을 탈곡기로 보내주는 자탈형 콤바인이 있는 바, 본 실시형태에서는, 자탈형 콤바인을 작업 기계(4)의 예로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작업 기계(4)는 사람(오퍼레이터)의 조작(원격 조작을 포함한다)에 의해 동작하는 것으로 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작업 기계(4)는 자동 운전에 의해 동작하는 무인기여도 좋다.
본 개시에서 말하는 「포장」은 작업 기계(4)가 수확 작업을 행하는 영역으로서, 예를 들면, 벼, 보리, 대두 또는 메밀 등의 수확 대상이 되는 작물(농산물)을 생육하는 논, 밭, 과수원 및 목초지 등을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작업 기계(4)에 의한 수확 대상이 「밀」로서, 포장(F1)이 밀을 생육하는 옥외의 밭일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작업 기계(4)가 사용 가능한 상태에서의 연직 방향을 상하 방향(D1)으로 정의한다. 또한, 작업 기계(4)(의 운전부(47))에 타고 있는 사람(오퍼레이터)으로부터 본 방향을 기준으로 해서, 전후 방향(D2) 및 좌우 방향(D3)을 정의한다. 바꾸어 말하면,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각 방향은 모두 작업 기계(4)의 기체(40)를 기준으로 해서 규정되는 방향으로서, 작업 기계(4)의 전진 시에 기체(40)가 이동하는 방향이 「전방」, 작업 기계(4)의 후퇴 시에 기체(40)가 이동하는 방향이 「후방」이 된다. 마찬가지로, 작업 기계(4)의 우선회 시에 기체(40)의 전단부가 이동하는 방향이 「우방」, 작업 기계(4)의 좌선회 시에 기체(40)의 전단부가 이동하는 방향이 「좌방」이 된다. 단, 이것들의 방향은 작업 기계(4)의 사용 방향(사용 시의 방향)을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작업 기계(4)는 주행 장치(41)에 더해서, 예취 장치(42), 탈곡 장치(43), 선별 장치(44), 저류 장치(45), 동력 장치(46) 및 운전부(47) 등을 기체(40)에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작업 기계(4)는 제어 장치, 통신 단말, 연료 탱크 및 배터리 등을 기체(40)에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작업 기계(4)는 작업 기계용의 조작 장치(1)(이하에서는 간단히 「조작 장치」라고도 한다)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즉, 작업 기계(4)의 본체인 기체(40)는 주행 장치(41), 예취 장치(42) 및 탈곡 장치(43) 등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의한 조작 장치(1)는 기체(40)와 아울러, 수확 기계로서의 작업 기계(4)를 구성한다. 바꾸어 말하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수확 기계(작업 기계(4))는 작업 기계용의 조작 장치(1)와, 기체(40)를 구비하고 있다.
주행 장치(41)는 크롤러부를 포함하고, 작업 기계(4)를 전후 방향(D2) 및 좌우 방향(D3)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작업 기계(4)는 포장(F1) 내를 이동하면서 수확 작업을 실시한다. 일례로서, 작업 기계(4)는 포장(F1) 내를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서 좌측으로 선회하면서 이동해도 좋고, 이 경우, 작업 기계(4)의 이동 궤적은 평면에서 보았을 시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의 소용돌이 형상의 경로가 된다.
예취 장치(42)는 포장(F1)의 작물(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밀)을 예취한다. 예취 장치(42)는 작업 기계(4)의 기체(40)(도 2 참조)의 전방에 배치되고, 기체(40)에 결합되어 있다. 예취 장치(42)가 기체(40)에 구비된 상태에서는, 예취 장치(42)는 작업 기계(4)의 구성 요소의 일부를 이룬다.
예취 장치(42)는 복수(일례로서 7개)의 분초판(421)과, 일으켜 세움 장치(422)와, 예취날(커터)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일례로서, 예취 장치(42)는 6조분의 곡간을 동시에 예취하는 것이 가능한 「6조 예취」의 예취 장치이다.
복수의 분초판(421)은 예취 장치(42)의 전면측의 하단부에, 좌우 방향(D3)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분초판(421)은 작물(곡간)과 작물(곡간)의 사이에 집어넣어짐으로써, 작물을 예취해야 할 폭을 규정한다. 또한, 분초판(421)은 분초판(421)에 의해 나눠진 작물을 일으켜 세움 장치(422)로 안내하는 기능을 갖는다.
일으켜 세움 장치(422)는 작물을 정류하기 위한 일으켜 세움 타인을 갖고 있고, 도복된 작물을 들어 올리거나, 작물의 선단(이삭끝)을 일정한 폭으로 수속시키거나 하는 「일으켜 세움 작업」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일으켜 세움 장치(422)는 일으켜 세움 타인이 설치된 체인을 회전시킴으로써, 일으켜 세움 타인을 구동해서 일으켜 세움 작업을 실시한다. 분초판(421)에 의해 안내된 작물은 일으켜 세움 장치(422)에 의해 일으켜 세워지고, 예취날에 의해 근본부 부근이 절단되어서 예취된다. 이것에 의해, 작물은 곡간의 도중에서 절단되게 되고, 적어도 이삭끝을 포함하는 곡간이 작업 기계(4)에 의해 예취되게 된다. 예취 장치(42)로 수확된 작물의 곡간은 탈곡 장치(43)로 반송된다.
탈곡 장치(43)는 예취 장치(42)에 의해 예취된 작물(곡간)에 대한 탈곡 처리를 실행한다. 탈곡 처리에서는, 곡간으로부터 곡립을 포함하는 탈곡물을 분리한다. 탈곡물은 탈곡 장치(43)로부터 하방의 선별 장치(44)로 낙하한다.
선별 장치(44)는 탈곡 장치(43)로부터 낙하하는 탈곡물로부터, 곡립을 선별하는 선별 처리를 실행한다. 선별 장치(44)는 예를 들면, 탈곡물에 대해서 비스듬히 하방으로부터 바람을 맞게 하면서 탈곡물을 체로 거름으로써, 탈곡물로부터 곡립을 선별한다.
저류 장치(45)는 그레인 탱크(451) 및 배출 오거(452) 등을 갖는다. 그레인 탱크(451)는 반송 컨베이어에 의해 선별 장치(44)로부터 반송되는 곡립을 저류한다. 즉, 선별 장치(44)로 선별된 곡립은 반송 컨베이어로 그레인 탱크(451)까지 반송되어, 그레인 탱크(451)에 저류된다. 배출 오거(452)는 그레인 탱크(451) 내의 곡립을 작업 기계(4)의 주위의 임의의 장소로 배출한다.
동력 장치(46)는 주행 장치(41), 예취 장치(42), 탈곡 장치(43), 선별 장치(44) 및 저류 장치(45) 등의 구동원이다. 동력 장치(46)는 동력원으로서, 예를 들면 디젤 엔진 등의 엔진을 갖는다. 또한, 동력 장치(46)는 동력원으로서 모터(전동기)를 갖고 있어도 좋고, 엔진과 모터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식의 동력원을 갖고 있어도 좋다.
운전부(47)에는, 유저(U1)(도 4 참조)가 착석하는 운전 좌석(31)(도 3 참조), 및, 유저(U1)에 의해 조작되는 핸들(32)(도 3 참조), 각종의 조작 레버 및 각종의 조작 스위치 등의 조작계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조작 장치(1)는 운전부(47)에 형성되는 조작계에 포함되어 있다. 즉, 조작 장치(1)는 운전부(47)에 설치되어 있고, 운전부(47)에 탑승한 유저(오퍼레이터)(U1)에 의해 조작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운전부(47)는 캐빈(471)을 구비하는 캐빈 타입으로서, 캐빈(471)의 내부의 캐빈 공간에 유저(U1)가 탑승한다. 그 때문에, 조작 장치(1)에 대해서도, 캐빈(471)의 내부의 캐빈 공간에 배치된다. 운전부(47)에 대해서 자세하게는 「[2] 운전부의 구성」의 란에서 설명하고, 조작 장치(1)에 대해서 자세하게는 「[3] 조작 장치의 구성」의 란에서 설명한다.
제어 장치는 조작 장치(1)를 포함하는 조작계가 접수하는 조작에 따라서, 주행 장치(41), 예취 장치(42), 탈곡 장치(43), 선별 장치(44), 저류 장치(45) 및 동력 장치(46) 등을 제어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조작 장치(1)가 접수하는 조작에는 기체(40)를 이동(전진 또는 후퇴)시키기 위한 조작이 포함되어 있고, 제어 장치는 조작 장치(1)가 전진을 위한 조작을 접수했을 경우에 주행 장치(41)를 제어해서 기체(40)를 전진(전방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조작 장치(1)가 후퇴를 위한 조작을 접수했을 경우에는, 제어 장치는 주행 장치(41)를 제어해서 기체(40)를 후퇴(후방으로 이동)시킨다.
통신 단말은 작업 기계(4)의 외부의 서버 등과 통신을 행한다. 여기에서는, 통신 단말은 작업 기계(4)의 가동 상황, 작업 기계(4)의 현재 위치, 작물의 수확량(수량), 작물의 식미(단백질 함유량 또는 수분 함유량 등을 포함한다), 작업 시간 또는 작업 효율 등에 관한 정보를 서버 등에 적절히 송신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신 단말은 예를 들면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등의 위성 측위 시스템을 사용해서, 작업 기계(4)의 현재 위치를 검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통신 단말은 작업 기계(4)의 운전 지원 또는 자동 운전 등에 의한 제어 정보를 서버 등으로부터 수신해도 좋다. 일례로서, 수확량에 관한 정보(수량 데이터)는 작업 기계(4)에 구비되어 있는 센서(곡립 센서)에 의해, 수확된 곡립량을 검출함으로써 취득 가능하다. 이 종류의 센서는 일례로서, 그레인 탱크(451)의 상면에 부착되는 변형 게이지 또는 압전 소자 등의 충격 검출부를 포함하고, 그레인 탱크(451)를 향해서 반송된 곡립이 충격 검출부에 충돌했을 시의 충격력을 검출한다. 물론, 작업 기계(4)의 수확량의 취득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작업 기계(4)는 포장(F1) 내를 주행하면서 예취 작업을 행함으로써, 포장(F1)에 생육되어 있는 작물을 예취하고, 탈곡해서 곡립을 꺼낼 수 있다.
[2] 운전부의 구성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작업 기계(4)의 운전부(47)의 구성에 대해서, 도 2∼도 5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3∼도 5에서는, 운전부(47)에 있어서의 캐빈(471)(도 2 참조)의 내부의 캐빈 공간에 배치되는 주요부만을 도시하고, 그 이외의 도시를 적절히 생략한다. 또한, 도 3∼도 5에서는, 캐빈 공간을 둘러싸고 있는 캐빈(471)의 도시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운전부(47)는 작업 기계(4)의 기체의 우측 부분에 있어서의 그레인 탱크(451)의 전방(도 2 참조)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운전부(47)는 예취 장치(42)의 후방이고, 또한 동력 장치(46)의 상방(도 2 참조)에 위치한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유저(U1)는 운전부(47)의 우측으로부터, 운전부(47)에 대해서 승강하게 된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저(U1)가 지나는 승강구는 운전부(47)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D3) 중 한쪽인 우방(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유저(U1)는 운전부(47)의 우측으로 개구한 승강구를 지나서, 운전부(47)에 탑승하고, 또한, 운전부(47)로부터 내리게 된다.
캐빈(471)은 캐빈 프레임, 캐빈 루프 및 문체(캐빈 도어) 등을 갖고 있다. 캐빈 프레임은 캐빈(471)의 골격으로서의 구조체로서, 캐빈 공간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캐빈 루프는 캐빈 프레임의 상방에 배치되고, 캐빈 프레임에 의해 지지된다. 문체는 승강구에 설치되어 있고, 승강구를 덮는 「폐쇄 위치」와, 유저(U1)가 통과 가능한 상태로 승강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다. 문체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로 캐빈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승강구가 운전부(47)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문체에 대해서도 운전부(47)의 우측에 배치된다. 문체는 전후 방향(D2)의 전측이 열리는 「전측 개방 타입」과, 후측이 열리는 「후측 개방 타입」 중 어느 것이어도 좋다.
또한, 캐빈(471)은 프론트 글래스로서의 유리 패널을 포함하는 각종의 패널재를 추가로 갖고 있다. 이것들 각종의 패널재는 캐빈 프레임의 전후 방향(D2)의 양측 및 좌우 방향(D3)의 양측에 적절히 부착되어 있고, 문체와 아울러 캐빈 공간을 사방으로부터 둘러싸고 있다. 또한, 캐빈 루프(또는 캐빈 프레임)에는, 미러 등의 외장품이 적절히 장착된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캐빈(471)을 구비하는 캐빈 타입의 운전부(47)에 있어서는, 적어도 캐빈 프레임이 캐빈(471)의 골격으로서의 기능을 갖고, 캐빈 루프 및 문체 등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강도(강성)를 갖고 있다. 또한, 캐빈(471)은 작업 기계(4)의 기체로부터 탈착 가능해도 좋다.
운전부(47)는 운전 좌석(31), 및 핸들(32)을 포함하는 각종의 조작계에 더해서, 디스플레이(모니터) 및 계량기류 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것들 운전 좌석(31), 각종의 조작계, 디스플레이 및 계량기류 등은 모두 캐빈(471) 내의 캐빈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운전 좌석(31)은 평면에서 보았을 시(상면에서 보았을 시)에 있어서 캐빈 공간의 대략 중앙부에, 전방을 향해서 배치되어 있다. 운전 좌석(31)은 좌면의 상하 방향(D1)의 위치(높이) 및 전후 방향(D2)의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운전 좌석(31)은 좌우 방향(D3)의 양측에, 접기 가능하게 구성된 암레스트를 갖고 있다. 핸들(32)은 운전 좌석(31)의 전방에 설치된 스티어링 컬럼(33) 상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유저(U1)가 운전 좌석(31)에 착좌한 상태에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저(U1)의 정면에 핸들(32)이 위치한다. 핸들(32)은 스티어링 컬럼(33)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며, 핸들(32)의 회전 각도에 따라서 제어 장치는 작업 기계(4)를 선회시킨다. 또한, 핸들(32)의 중앙부에는, 작업 기계(4)의 동작 상태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32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핸들(32)에는 스티어링 스위치(322)가 설치되어 있다.
캐빈 공간 중, 운전 좌석(31)에 대해서 좌우 방향(D3)의 승강구와는 반대측(좌측)에는, 사이드 컬럼(34)이 설치되어 있다. 사이드 컬럼(34)의 상면에는, 주변속 레버로서의 조작 장치(1), 작업 클러치 레버(35), 각종 스위치 및 조작 다이얼 등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조작 장치(1)는 운전 좌석(31)에 착좌한 유저(U1)의 시야에 들어가기 쉽도록, 사이드 컬럼(34)의 전단부 근처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작업 클러치 레버(35)는 조작 장치(1)(주변속 레버)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조작 장치(1) 및 작업 클러치 레버(35)는 모두 그립을 갖고, 유저(U1)가 그립을 쥐고서 조작 장치(1) 또는 작업 클러치 레버(35) 전체를 이동(회전 및 경도를 포함한다)시키도록 조작하는 레버 타입의 조작구이다. 예를 들면, 조작 장치(1)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샤프트(100)와, 샤프트(100)의 선단부(상단부)에 지지되어 있는 보디(10)를 갖고, 보디(10)가 「그립」으로서 기능한다. 즉, 유저(U1)는 보디(10)를 쥔(잡은) 상태로, 보디(10)를 전후 방향(D2)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샤프트(100)를 포함시킨 조작 장치(1) 전체를 이동시켜서, 조작 장치(1)를 조작한다. 또한, 보디(10)의 표면의 일부는 조작면(101)을 구성하고, 조작면(101)에는 복수의 조작자(操作子)(SW1, SW2, SW3…)를 포함하는 조작 대상(11)이 배치되어 있다. 조작 대상(11)에 대해서 자세하게는 「[3] 조작 장치의 구성」의 란에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이드 컬럼(34)에는, 제 1 슬릿(341) 및 제 2 슬릿(342)이 형성되어 있다. 조작 장치(1)는 샤프트(100)가 제 1 슬릿(341)을 통해서 사이드 컬럼(34)을 상하 방향(D1)으로 관통하고, 제 1 슬릿(34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작업 클러치 레버(35)는 제 2 슬릿(342)을 통해서 사이드 컬럼(34)을 상하 방향(D1)으로 관통하고, 제 2 슬릿(34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주변속 레버로서의 조작 장치(1)는 주행 장치(41) 등의 조작에 사용되고, 일례로서, 「전진 위치」와 「후진 위치」와 「중립 위치」의 사이를 이동(즉 스위칭)하도록, 유저(U1)에 의해 조작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 장치(1)는 전후 방향(D2)으로 이동 가능하며, 이동 범위의 전단 위치가 「전진 위치」, 이동 범위의 후단 위치가 「후진 위치」, 이동 범위의 중간 위치가 「중립 위치」이다. 제어 장치는 조작 장치(1)가 「중립 위치」에 있으면 기체(40)를 정지시키고, 「중립 위치」로부터 「전진 위치」측(즉 전방)으로 조작 장치(1)가 이동하면 기체(40)를 전진시키고, 「중립 위치」로부터 「후진 위치」측(즉 후방)으로 조작 장치(1)가 이동하면 기체(40)를 후퇴(후진)시킨다. 또한, 제어 장치는 조작 장치(1)의 조작량, 즉 「중립 위치」로부터의 이동량에 따라서, 주행 속도를 무단계로 조절한다. 예를 들면, 「중립 위치」로부터 전방으로의 조작 장치(1)의 이동량이 커질수록, 기체(40)가 고속으로 전진한다.
작업 클러치 레버(35)는 예취 장치(42) 및 탈곡 장치(43) 등의 조작에 사용되고, 일례로서, 「예취 위치」와 「탈곡 위치」와 「OFF 위치」의 사이를 이동(즉 스위칭)하도록, 유저(U1)에 의해 조작된다. 제어 장치는 작업 클러치 레버(35)가 「예취 위치」에 있으면 예취 장치(42) 및 탈곡 장치(43) 양쪽을 작동시키고, 「탈곡 위치」에 있으면 예취 장치(42)를 정지시키고 탈곡 장치(43)를 작동시키며, 「OFF 위치」에 있으면 예취 장치(42) 및 탈곡 장치(43) 양쪽을 정지시킨다.
또한, 운전 좌석(31)과 사이드 컬럼(34)의 사이, 즉 운전 좌석(31)의 좌측에는, 부변속 레버(36)가 배치되어 있다. 부변속 레버(36)는 기체(40)의 주행 속도의 스위칭에 사용되는 레버 타입의 조작구로서, 일례로서, 「두렁 넘기 위치」와 「작업 위치」와 「중립 위치」의 사이를 이동(즉 스위칭)하도록, 유저(U1)에 의해 조작된다. 제어 장치는 부변속 레버(36)가 「두렁 넘기 위치」에 있으면 두렁 넘기 또는 트럭으로의 작업 기계(4)의 싣고 내림에 적합한 주행 속도로 설정하고, 「작업 위치」에 있으면 예취 작업 및 작업 기계(4)의 이동 주행에 적합한 주행 속도로 설정한다.
주변속 레버로서의 조작 장치(1), 작업 클러치 레버(35) 및 부변속 레버(36)는 모두 운전 좌석(31)에 대해서 좌우 방향(D3)의 일방측(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측)에 있다. 그 때문에, 운전 좌석(31)에 착좌한 유저(U1)는 통상, 왼손으로 조작 장치(1), 작업 클러치 레버(35) 및 부변속 레버(36)를 조작하게 된다.
[3] 조작 장치의 구성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작업 기계(4)의 조작 장치(1)의 구성에 대해서, 도 1, 도 6∼도 9를 참조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도 6∼도 9에서는, 조작 장치(1)만을 도시하고, 그 밖의 구성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 장치(1)는 레버 타입의 조작구이므로, 보디(10)의 이동을 수반하는 조작(제 2 조작)에 의해, 조작 장치(1)의 자세(방향 등)가 적절히 변화된다. 따라서, 작업 기계(4)의 기체(40)를 기준으로 해서 규정되는 상하 방향(D1), 전후 방향(D2) 및 좌우 방향(D3)에 대해서는, 조작 장치(1)의 자세는 적절히 변화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장치(1)의 자세가 보디(10)의 길이 방향이 상하 방향(D1)에 일치하고, 또한 보디(10)의 조작면(101)이 후방을 향한 상태에 있다고 가정하고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조작 장치(1)는 작업 기계(4)의 기체(40)에 탑재되고, 유저(U1)에 의한 조작을 접수하는 조작 장치이다. 조작 장치(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디(10)와, 조작 대상(11)을 구비하고 있다. 보디(10)는 표면의 일부에 조작면(101)을 포함한다. 조작 대상(11)은 조작면(101)에 배치되어 있다. 조작 장치(1)는 조작 대상(11)에 대한 조작을 포함하는 제 1 조작과, 보디(10)의 이동을 수반하는 제 2 조작을 접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요컨대, 조작 장치(1)는 유저(U1)로부터, 적어도 「제 1 조작」과 「제 2 조작」 2종류의 조작을 접수 가능하다. 그 때문에, 유저(U1)는 1개의 조작 장치(1)를 사용해서, 적어도 「제 1 조작」과 「제 2 조작」 2종류의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조작면(101)은 보디(10)의 표면 중, 운전 좌석(31)에 착좌한 유저(U1)측, 즉 후방을 향한 부위(배면)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조작면(101)은 평탄한 평면이지만, 조작면(101)은 평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만곡면 또는 단차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여기에서, 조작 대상(11)은 복수의 조작자(SW1∼SW9)를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조작 대상(11)은 푸시버튼 스위치, 조이 스틱 및 시소 스위치 등의 여러가지 종류의 메커니컬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9개의 조작자(SW1∼SW9)를 포함하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 대상(11)은 복수 종류의 조작자(SW1∼SW9)를 포함하고 있다. 조작 대상(11)에 있어서는, 이것들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9개)의 조작자(SW1∼SW9)는 개별로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조작 대상(11)에 대한 조작을 포함하는 「제 1 조작」에는, 조작자(SW1)에 대한 조작, 및 조작자(SW2)에 대한 조작 등, 각각의 조작자(SW1∼SW9)에 대한 복수 종류의 조작이 포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 장치(1)는 보디(10)의 내부에 회로 기판을 갖고 있어, 유저(U1)로부터 조작 대상(11)에 대한 제 1 조작(즉 복수의 조작자(SW1∼SW9)에 대한 조작)을 접수하면, 제 1 조작에 따른 전기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유저(U1)가 푸시버튼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조작자(SW4)를 압조작하면, 조작 장치(1)는 조작자(SW4)가 조작된 것을 나타내는 전기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보디(10)의 이동을 수반하는 「제 2 조작」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주행 장치(41)의 전진, 후퇴 및 주행 속도의 조절을 위한 조작이 포함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 장치(1)는 주변속 레버로서 사용되는 레버 타입의 조작구이므로, 보디(10)를 「전진 위치」와 「후진 위치」와 「중립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조작을 「제 2 조작」으로서 접수 가능하다. 그 때문에, 조작 장치(1)는 예를 들면, 유저(U1)에게서 「중립 위치」로부터 「전진 위치」측(즉 전방)으로의 보디(10)의 이동을 수반하는 제 2 조작을 접수하면, 제 2 조작의 조작량에 따른 주행 속도로 기체(40)를 전진시키도록, 제어 장치에 주행 장치(41)를 제어시킨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조작 장치(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통상, 운전 좌석(31)에 착좌한 유저(U1)의 왼손으로 조작된다. 일반적으로는, 유저(U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엄지 손가락(제 1 손가락)을 보디(10)의 자신과 가까운 측, 즉 조작면(101)측으로 해서, 왼손으로 보디(10)를 쥔 상태로 조작 장치(1)의 조작(제 1 조작 및 제 2 조작을 포함한다)을 행한다. 이 때, 유저(U1)의 왼손의 엄지 손가락 이외의 손가락, 즉 검지(제 2 손가락), 중지(제 3 손가락), 약지(제 4 손가락) 및 소지(제 5 손가락)는 보디(10)에 있어서의 조작면(101)과는 반대측인 이면(102)(도 7 참조)측에 위치한다. 이 상태로, 「제 1 조작」을 행할 시에는, 유저(U1)는 왼손의 엄지 손가락으로 각각의 조작자(SW1∼SW9)를 조작한다. 「제 2 조작」을 행할 시에는, 유저(U1)는 왼손으로 쥔 보디(10)를 전후 방향(D2)으로 이동시킨다.
이렇게, 유저(U1)는 보디(10)를 한쪽 손(본 실시형태에서는 왼손)으로 쥔 상태로 조작 장치(1)를 조작하므로, 보디(10)는 사람이 한쪽 손으로 쥘 수 있는 사이즈로서, 또한 상하 방향(D1)으로 길이를 갖는 그립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보디(10)는 좌우 방향(D3)의 치수가 균일하지 않고, 상하 방향(D1)에 있어서 샤프트(100)측이 되는 하부일수록, 좌우 방향(D3)의 치수가 작게(가늘게) 구성되어 있다. 즉, 보디(10)의 상부는 좌우 방향(D3)에 있어서 비교적 폭이 넓게 구성되어 있어, 조작면(101)의 폭 방향(좌우 방향(D3))의 치수가 확보된다. 또한, 조작 장치(1)는 보디(10)의 하부로부터 좌방으로 돌출되는 핸드 레스트(13)를 구비하고 있다. 핸드 레스트(13)는 유저(U1)의 왼손의 중량을 받음으로써, 보디(10)를 쥔 상태의 유저(U1)의 피로를 경감시킨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조작 대상(11)에 포함되는 복수의 조작자(SW1∼SW9)에는, 각각 이하의 조작이 할당되어 있다. 조이 스틱으로 이루어지는 조작자(스틱 조작자)(SW1)는 기체(40)를 좌우 수평으로 유지하는 자동 수평 제어(UFO) 조작용의 조작자이다. 시소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조작자(SW2)는 탈곡 깊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작자로서, 일례로서, 조작자(SW2)의 우단부가 압조작됨으로써 탈곡 깊이를 깊게 하고, 조작자(SW2)의 좌단부가 압조작됨으로써 탈곡 깊이를 얕게 한다. 시소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조작자(SW3)는 예취 장치(42)를 수동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조작자로서, 일례로서, 조작자(SW3)의 상단부가 압조작됨으로써 예취 장치(42)를 하강시키고, 조작자(SW3)의 하단부가 압조작됨으로써 예취 장치(42)를 상승시킨다. 푸시버튼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조작자(SW4)는 예취 장치(42)의 변속을 위한 조작자이다. 푸시버튼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조작자(SW5)는 강제적으로 피드 체인을 작동시키기 위한 조작자이다. 푸시버튼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조작자(SW6)는 예취 장치(42)를 설정 위치까지 상승시키기 위한 오토 리프트 스위치이다. 푸시버튼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조작자(SW7)는 예취 장치(42)를 오토 세트 높이까지 하강시키기 위한 오토 세트 스위치이다. 푸시버튼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조작자(SW8)는 부변속을 변속하기 위한 조작자이다. 푸시버튼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조작자(SW9)는 예비 버튼이다.
이것들 복수의 조작자(SW1∼SW9)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면(101)에 있어서, 상하 방향(D1) 및 좌우 방향(D3)으로 분산되어서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조작자(SW1)가 조작면(101)의 좌측 상방 코너에 배치되고, 조작자(SW1)의 하방에 조작자(SW2)가 배치되고, 조작자(SW2)의 하방에 조작자(SW3)가 배치되어 있다. 조작면(101)의 우단부에는, 4개의 조작자(SW4∼SW7)가 상방으로부터 조작자 SW4, SW5, SW6, SW7의 순서로 상하 방향(D1)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조작자(SW8)는 조작면(101) 중, 조작자(SW3) 및 조작자(SW7)의 하방이며, 좌우 방향(D3)에 있어서의 조작자(SW3) 및 조작자(SW7)의 사이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조작자(SW9)는 조작면(101) 중, 조작자(SW2) 및 조작자(SW3)로 둘러싸여진 위치, 즉 조작자(SW2)의 하방이며 조작자(SW3)의 좌방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작업 기계(4)에 있어서는, 복수의 조작자(SW1∼SW9) 중 시소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조작자(SW2, SW3)의 조작 빈도가 특히 높기 때문에, 이것들 조작자(SW2, SW3)에 대해서는 조작면(101) 중에서도 비교적 조작하기 쉬운 위치에 배치된다. 즉, 이것들 조작자(SW2, SW3)는 조작자(SW2, SW3)를 조작하는 유저(U1)의 왼손의 엄지 손가락이 닿기 쉽도록, 좌우 방향(D3)에 있어서의 조작면(101)의 중심으로부터 좌단부에 치우쳐서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적어도 조작자(SW2, SW3)보다 우측에 위치하는 조작자(SW4∼SW7)와 비교하면, 조작자(SW2, SW3)가 조작하기 쉬워진다.
또한, 시소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조작자(SW2, SW3)는 그 방향에 대해서도, 유저(U1)의 조작성을 고려한 방향을 채용하고 있다. 즉,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조작자(SW2)는 그 조작 방향(길이 방향)이 좌우 방향(D3)을 따르는 것 같은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하는 조작자(SW3)는 그 조작 방향(길이 방향)이 상하 방향(D1)을 따르는 것 같은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조작자(SW2)의 우단부가 조작자(SW3)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특히 조작자(SW2)가 좌방 근처에 배치되어 있다. 거기에다가, 조작자(SW2)는 우단부가 좌단부에 비해서 다소 하방에 위치하도록, 좌우 방향(D3)에 대해서 경사져서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조작자(SW2, SW3)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상 점(P1)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 원(C1)(도 6에서는 원주의 일부만을 도시)을 따라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유저(U1)에게 있어서는, 왼손의 엄지 손가락의 뿌리를 가상 점(P1) 근방에 위치시키고, 뿌리를 지지점으로 엄지 손가락을 회전시키도록 움직임으로써, 엄지 손가락의 선단부의 궤도(가상 원(C1))를 따라 배치되어 있는 조작자(SW2, SW3)를 엄지 손가락의 선단부로 조작 가능해진다. 즉, 유저(U1)는 가상 원(C1)을 따라 엄지 손가락의 선단부를 움직임으로써, 엄지 손가락의 선단부를 조작 장치(1)에 닿게 한 채 조작자(SW2, SW3) 상을 미끄러지는 것처럼 이동시켜서, 조작자(SW2, SW3)를 조작할 수 있다. 그 결과, 유저(U1)는 조작 장치(1)를 눈으로 보지 않더라도 조작자(SW2, SW3)를 조작하기 쉬워져,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자(SW2, SW3)의 조작 시에, 다른 조작자(SW4∼SW9)의 오조작이 생기기 어렵도록, 일부의 조작자(SW5, SW8, SW9)의 조작면(101)으로부터의 돌출량이 작게 설정되어 있다. 즉,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면(101)으로부터의 조작자(SW8) 등의 돌출량(H1)은 조작면(101)으로부터의 조작자(SW7) 등의 돌출량(H2), 조작면(101)으로부터의 조작자(SW3) 등의 돌출량(H3) 등보다 작다(H1<H2<H3). 조작자(SW5, SW8, SW9)의 조작면(101)으로부터의 돌출량은 동일하며, 복수의 조작자(SW1∼SW9) 중에서 최소이다. 이것들의 돌출량이 작게 설정된 조작자(SW5, SW8, SW9)는 조작자(SW2, SW3)의 조작 시의 엄지 손가락의 궤도 상에 위치한다. 즉, 조작자(SW5)는 조작자(SW2)의 조작 방향(좌우 방향(D3))의 연장선 상인 우방에 위치하고, 조작자(SW8)는 조작자(SW3)의 조작 방향(상하 방향(D1))의 연장선 상인 하방에 위치한다. 조작자(SW9)는 엄지 손가락의 뿌리측에 위치한다. 이것들 엄지 손가락의 궤도 상의 조작자(SW5, SW8, SW9)의 돌출량, 즉 조작면(101)을 기준으로 했을 시의 높이가 다른 것보다 낮게 억제됨으로써, 조작자(SW2, SW3)의 조작 시에 조작자(SW5, SW8, SW9)의 오조작이 생기기 어렵다.
그런데, 조작 장치(1)는 보디(10)의 쥐는 방법에 따라서는, 예를 들면, 전진 조작 등의 보디(11) 자체를 이동시키는 조작(제 2 조작) 시에 있어서, 유저(U1)의 손바닥 등이 조작면(101)과 대향하는 경우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저(U1)가 제 2 조작 시에, 왼손의 손바닥을 하방을 향한 상태로 보디(10)를 상방으로부터 움켜쥐도록 쥐면(잡으면), 왼손의 손바닥이 조작면(101)에 대향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조작 장치(1)는 이 상태로 유저(U1)가 보디(10)를 조작해도, 조작면(101)에 배치된 조작 대상(11)의 오조작이 생기기 어렵도록, 하기의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의한 조작 장치(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면(101)으로부터 돌출되는 오조작 방지부(12)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오조작 방지부(12)는 유저(U1)측(후방)을 향한 조작면(101)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보디(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오조작 방지부(12)는 보디(10)와 심리스로 연속되도록 일체화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보디(10), 조작 대상(11), 오조작 방지부(12) 및 핸드 레스트(13) 등은 모두 수지제인 것으로 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일부가 금속제 등이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조작 장치(1)는 가령 유저(U1)의 손바닥 등이 조작면(101)과 대향하도록 보디(10)를 쥐었다고 해도, 오조작 방지부(12)에 의해 조작 대상(11)의 오조작이 생기기 어렵다. 요컨대, 오조작 방지부(12)가 조작면(101)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음으로써, 유저(U1)의 손바닥 등이 조작면(101)과 대향한 상태로 유저(U1)가 보디(10)를 조작해도, 유저(U1)의 손바닥 등과 조작면(101)의 사이에는, 오조작 방지부(12)로 간극이 확보된다. 따라서, 조작면(101)에 배치되어 있는 조작 대상(11)에는, 유저(U1)의 손바닥 등이 닿기 어려워져, 유저(U1)가 의도하지 않고 조작 대상(11)이 조작되는 오조작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조작 장치(1)에 의하면, 오조작을 방지하기 쉬운 작업 기계용의 조작 장치, 및 작업 기계(4)를 실현 가능하다.
이하, 오조작 방지부(12)의 구성에 대해서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오조작 방지부(12)는 조작면(101)의 외주를 따라 배치되는 벽부(121, 122, 123)를 포함한다. 즉, 오조작 방지부(12)는 조작면(101)의 외주를 따라 길이를 갖는 벽 형상(또는 리브 형상)의 부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조작 방지부(12)는 조작면(101)의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벽부(121)와, 조작면(101)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측)벽부(122)와, 조작면(101)의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벽부(123)를 포함하고 있다. 이것들 3개의 벽부(121, 122, 123)는 조작면(101)의 외주를 따라 심리스로 연속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벽부(121, 122, 123)는 소망의 강도를 실현할 만큼의 두께를 갖고 있다. 각 벽부(121, 122, 123)는 조작면(101)을 정면으로부터 보아서 조작면(101)측이 되는 내측면이 조작면(101)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대략 수직으로 일어서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벽부(121, 122, 123)는 조작면(101)을 정면으로부터 보아서 조작면(101)과 반대측이 되는 외측면이 보디(10)의 외측면과 같은 높이이다. 이러한 벽부(121, 122, 123)를 가짐으로써, 오조작 방지부(12)는 조작면(101)의 광범위에 걸쳐 유저(U1)의 손바닥 등과 조작면(101)의 사이의 간극을 확보하기 쉬워져, 조작 대상(11)의 오조작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벽부(121, 122, 123)는 조작면(101)의 외주부의 일부에만 배치되어 있다. 즉, 벽부(121, 122, 123)는 조작면(101)의 외주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의 전 주에 걸쳐 배치되는 것이 아니고, 벽부(121, 122, 123)의 조작면(101)의 외주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의 일부에 배치된다. 바꾸어 말하면, 조작면(101)의 외주에는, 벽부(121, 122, 123)가 배치되는 부위와, 벽부(121, 122, 123)가 배치되지 않는 부위가 생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측)벽부(121)가 조작면(101)의 좌변을 따라 배치되고, (상측)벽부(122)가 조작면(101)의 상변을 따라 배치되고, (우측)벽부(123)가 조작면(101)의 우변을 따라 배치된다. 따라서, 조작면(101)의 하변에는 벽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조작면(101)은 하방을 향해서 개방된 구성이 된다. 이것에 의해, 조작면(101)의 외주 전체 둘레가 벽부(121, 122, 123)로 둘러싸여질 경우에 비해서, 조작면(101)에 배치되어 있는 조작 대상(11)의 조작성이 좋아진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조작 방지부(12)는 적어도 조작면(101)의 폭 방향(좌우 방향(D3))의 양단에 배치되어 있다. 조작면(101)으로부터의 오조작 방지부(12)의 돌출량(H11, H12)은 조작면(101)의 폭 방향(좌우 방향(D3))에 있어서 유저(U1)로부터 보아서 먼 측에 위치하는 부위에서, 가까운 측에 위치하는 부위보다 크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오조작 방지부(12)는 (좌측)벽부(121), (상측)벽부(122) 및 (우측)벽부(123)를 포함하므로, 이 중 벽부(121) 및 벽부(123)는 조작면(101)의 폭 방향(좌우 방향(D3))의 양단에 위치한다. 그리고, 이것들의 벽부(121, 122, 123)의 조작면(101)으로부터의 돌출량(H11, H12), 즉 조작면(101)을 기준으로 했을 시의 높이는 일률적이지 않고, 부위에 따라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운전 좌석(31)에 착좌한 상태의 유저(U1)로부터 보아서 먼 측, 즉 좌우 방향(D3)의 좌측에 위치하는 벽부(121)는 유저(U1)로부터 보아서 가까운 측, 즉 좌우 방향(D3)의 우측에 위치하는 벽부(123)보다 높다. 즉, 도 7에 있어서, 조작자(SW1)에 대해서 지면 앞쪽측에 있는 (우측)벽부(123)의 돌출량(H12)은 조작자(SW1)에 대해서 지면 안쪽측에 있는 (좌측)벽부(121)의 돌출량(H11)보다 작다(H11>H12). 여기에서, 벽부(121) 또는 벽부(123)의 돌출량도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도 7에서는 조작자(SW1)의 좌우 방향(D3)의 양측에 있어서, 벽부(121) 및 벽부(123)의 돌출량(H11, H12)을 규정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유저(U1)로부터 보아서 조작면(101)의 앞쪽측에 있어서는, 오조작 방지부(12)의 돌출량(높이)이 억제되기 때문에, 오조작 방지부(12)에 의한 조작면(101)의 시인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조작 방지부(12)의 조작면(101)으로부터의 돌출량(H11)은 조작 대상(11)의 조작면(101)으로부터의 돌출량(H4)보다 크다(H11>H4). 여기에서, (상측)벽부(122)의 돌출량(H11)은 복수의 벽부(121, 122, 123) 중에서 최대이다. 그 때문에, 오조작 방지부(12)의 조작면(101)으로부터의 돌출량(H11)은 벽부(122)의 돌출량(H11)으로 규정된다. 마찬가지로, 조작자(SW1)의 돌출량(H4)은 복수의 조작자(SW1∼SW9) 중에서 최대이다(H4>H3). 그 때문에, 조작 대상(11)의 조작면(101)으로부터의 돌출량(H4)은 조작자(SW1)의 돌출량(H4)으로 규정된다. 즉, 오조작 방지부(12)의 조작면(101)으로부터의 돌출량(H11)은 복수의 조작자(SW1∼SW9) 중 어느 것보다 크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오조작 방지부(12)가 유저(U1)의 손바닥 등에 접촉함으로써, 조작 대상(11)(복수의 조작자(SW1∼SW9))과 유저(U1)의 손바닥 등의 사이의 간극을 확보하기 쉬워져, 조작 대상(11)의 오조작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 대상(11)은 조이 스틱 타입의 조작자(SW1)(스틱 조작자)를 포함하고 있다. 이 조작자(SW1)는 조작면(101)으로부터 돌출되는 스틱(14)(도 6 참조)을 갖고, 스틱(14)을 기울이는 것 같은 조작을 접수한다. 그리고, 조작자(SW1)는 조작면(101) 중 (좌측)벽부(121)와 (상측)벽부(122)로 둘러싸여진 좌측 상방 코너에 배치되어 있다. 요컨대, 조작 대상(11)은 조작면(101)으로부터 돌출되는 스틱(14)을 기울이도록 조작되는 스틱 조작자(조작자(SW1))를 포함한다. 오조작 방지부(12)는 스틱 조작자(조작자(SW1))의 주위에 스틱 조작자(조작자(SW1))를 적어도 2방향으로부터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오조작 방지부(12)는 조작자(SW1)를 좌방으로부터는 (좌측)벽부(121)로 둘러싸고, 조작자(SW1)를 상방으로부터는 (상측)벽부(122)로 둘러싸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유저(U1)가 의도하지 않고 유저(U1)의 손이 스틱(14)에 닿아서 스틱(14)이 기우는 것에 의한 조작자(SW1)의 오조작이 오조작 방지부(12)로 효율적으로 방지된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 의한 조작 장치(1)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디(10)에 걸이부(15)를 갖고 있다. 걸이부(15)는 보디(10) 중 조작면(101)과는 반대측을 향한 이면(102)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면(101)은 운전 좌석(31)에 착좌한 유저(U1)측, 즉 후방을 향하고 있으므로, 이면(102)은 운전 좌석(31)에 착좌한 유저(U1)와는 반대측, 즉 전방을 향한 면이다. 걸이부(15)는 유저(U1)의 손가락을 거는 것이 가능한 형상 및 사이즈를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저(U1)는 왼손으로 보디(10)를 쥘 때(도 1 참조), 왼손의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 중 적어도 1개를 걸이부(15)에 걸도록 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디(10)는 조작면(101)과는 반대측의 이면(102)에, 유저(U1)의 손가락을 거는 것이 가능한 걸이부(15)를 갖는다. 이것에 의해, 유저(U1)가 보디(10)를 쥘 시에, 손가락의 걸림이 생기므로, 한쪽 손이어도 보디(10)를 쥐기 쉬워진다. 그리고, 제 1 조작 시에는, 유저(U1)는 걸이부(15)에 검지 등을 건 상태로, 엄지 손가락으로 조작 대상(11)을 조작할 수 있으므로, 엄지 손가락의 지지점이 되는 뿌리의 위치가 안정되고, 오조작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또한, 제 2 조작 시에는, 유저(U1)는 걸이부(15)에 검지 등을 건 상태로 보디(10)를 쥘 수 있으므로, 특히 보디(10)를 후방으로 이동시킬 시에도, 손으로부터 보디(10)가 빠지는 것 같은 일이 생기기 어려워, 오조작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또한, 걸이부(15)는 보디(10)의 길이 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보디(10)는 상하 방향(D1)으로 길이를 갖고 있다. 그 때문에, 걸이부(15)에 대해서도, 상하 방향(D1)으로 길이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보디(10)는 길이를 갖고 있다. 걸이부(15)는 보디(10)의 길이 방향(상하 방향(D1))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유저(U1)는 걸이부(15)에 검지 등을 건 상태로, 왼손을 움직일 시에 걸이부(15)를 가이드로서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저(U1)는 걸이부(15)에 건 검지 등을 걸이부(15)의 길이 방향으로 미끄러지도록 해서 이동시킴으로써, 왼손을 보디(10)의 길이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제 1 조작 시에, 유저(U1)가 엄지 손가락의 뿌리의 위치를 이동시킬 경우 등에 있어서, 왼손의 위치 및 자세가 안정되고, 오조작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걸이부(15)는 이면(102)으로부터 돌출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7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면(101)의 이면측에 위치하는 이면(102)의 중앙부가 높아지도록 이면(102)으로부터 돌출됨으로써, 걸이부(15)를 구성하고 있다. 도 7 및 도 9이면, 단차(151)에 의해 이면(102)으로부터 한층 높아져 있는 부분, 즉 단차(151)에 둘러싸여서 이면(102)으로부터 한층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이 걸이부(15)가 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걸이부(15)는 보디(10)와 심리스로 연속되도록 일체화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보디(10)의 내부 공간을 좁게 하는 일 없이 걸이부(15)를 형성할 수 있고, 보디(10) 내의 회로 기판 등의 수용 스페이스를 확보하기 쉽다.
그런데, 조작 장치(1)에 관해서, 조작 대상(11)(복수의 조작자(SW1∼SW9))의 배치 등에 의한 구성, 오조작 방지부(12)에 의한 구성, 및 걸이부(15)에 의한 구성은 각각 독립해서 채용 가능하다. 즉, 예를 들면, 조작 장치(1)는 걸이부(15)가 생략되고, 오조작 방지부(12)만을 채용해도 좋고, 반대로, 오조작 방지부(12)가 생략되고, 걸이부(15)만을 채용해도 좋다. 마찬가지로, 조작 장치(1)는 오조작 방지부(12) 및 걸이부(15)가 생략되고, 조작 대상(11)(복수의 조작자(SW1∼SW9))의 배치 등에 의한 구성만을 채용해도 좋다.
또한, 조작 장치(1)에 관해서, 보디(10)는 조작면(101)의 방향을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디(10)는 샤프트(100)의 중심축을 지지점으로 흔들기(회전) 가능하도록, 샤프트(100)의 선단부(상단부)가 보디(10)에 집어넣어진 상태로 샤프트(100)에 지지된다. 여기에서, 보디(10)는 1개 이상(도 10에서는 2개)의 고정 나사(103)로, 샤프트(100)에 대해서 고정된다. 샤프트(100)에는, 1개의 고정 나사(103)에 대해서, 보디(10)의 흔들기 방향(샤프트(100)의 둘레 방향)으로 위치가 어긋난 복수(도 10에서는 3개)의 고정 구멍(104a, 104b, 104c)이 형성되어 있다. 도 10에서는, 고정 나사(103)가 2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샤프트(100)에는 계 6개의 고정 구멍(104a, 104b, 104c)이 형성되어 있다. 각 고정 나사(103)는 이것들 복수의 고정 구멍(104a, 104b, 104c) 중 어느 1개에 대해서 고정된다. 그 때문에, 각 고정 나사(103)가 복수의 고정 구멍(104a, 104b, 104c) 중 어느 것에 고정되는지에 의해, 샤프트(100)에 대한 보디(10)의 부착 각도가 변화되고, 조작면(101)의 방향이 변경된다. 즉, 도 10의 예에서는, 1개의 고정 나사(103)에 대해서 고정 구멍(104a, 104b, 104c)이 3개 형성되어 있으므로, 조작면(101)의 방향은 3단계로 변경 가능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유저(U1)에 대한 조작면(101)의 방향(각도)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유저(U1)에게 있어서의 조작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단, 도 10의 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조작면(101)의 방향은 2단계, 또는 4단계 이상으로 변경 가능해도 좋고, 무단계로 변경 가능해도 좋다.
[4] 변형예
이하, 실시형태 1의 변형예를 열거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변형예는 적절히 조합시켜서 적용 가능하다.
작업 기계(4)는 자탈형 콤바인에 한정되지 않고, 보통형 콤바인이어도 좋고, 콤바인 이외의 수확 기계여도 좋다. 또한, 작업 기계(4)는 수확 기계 이외의 농업 기계, 또는 건설 기계 등이어도 좋다. 작업 기계(4)에 의한 수확 대상은 「밀」에 한정되지 않고, 또한 곡물에도 한정되지 않는다. 예취 장치(42)는 「6조 예취」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2조 예취, 3조 예취, 4조 예취, 5조 예취 또는 7조 예취 등이어도 좋다.
또한, 오조작 방지부(12)가 조작면(101)의 외주를 따라 배치되는 벽부(121, 122, 123)를 포함하는 것은 필수가 아니고, 오조작 방지부(12)는 예를 들면, 복수의 다보 형상의 돌기가 적소에 배치된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벽부(121, 122, 123)는 조작면(101)의 외주부의 일부에 한정되지 않고, 조작면(101)의 외주부의 전체(전 주)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조작면(101)으로부터의 오조작 방지부(12)의 돌출량(H11, H12)은 부위에 상관없이 균일해도 좋다. 또한, 오조작 방지부(12)의 조작면(101)으로부터의 돌출량(H11)은 조작 대상(11)의 조작면(101)으로부터의 돌출량(H4) 이하여도 좋다. 또한, 스틱 조작자(조작자(SW1))의 주위에 스틱 조작자(조작자(SW1))를 적어도 2방향으로부터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또한, 운전부(47)는 캐빈 타입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캐노피 타입 또는 플로어 타입 등이어도 좋다. 즉, 콤바인 등의 작업 기계(4)의 운전부(47)의 종류로서는, 캐빈 타입, 캐노피 타입 및 플로어 타입 등이 있다. 캐빈 타입의 운전부(47)는 상술한 바와 같이 캐빈(471)을 구비하고, 캐빈(471)의 내부의 캐빈 공간에 유저(U1)가 탑승하는 것에 비해, 캐노피 타입의 운전부(47)는 캐노피(지붕)를 구비하고, 캐노피의 하방의 공간에 유저(U1)가 탑승한다. 플로어 타입의 운전부(47)는 캐빈(471) 및 캐노피 등을 구비하고 있지 않고, 상방으로 개방된 공간에 유저(U1)가 탑승한다.
또한, 운전부(47)의 승강구는 실시형태 1과 같이, 운전부(47)의 우방(우측)에 배치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승강구는 운전부(47)의 좌방(좌측), 또는, 좌우 방향(D3)의 양측에 배치되어도 좋다.
또한, 조작 대상(11)은 유저(U1)의 조작을 접수하는 구성이면 좋고, 푸시버튼 스위치, 조이 스틱 및 시소 스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로터리 스위치, 슬라이드 스위치 또는 토글 스위치 등의 메커니컬 스위치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조작 대상(11)은 예를 들면, 가동부를 포함하지 않는 터치 센서(터치 스위치) 등, 메커니컬 스위치 이외의 조작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조작 대상(11)은 스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가변 저항기 또는 인코더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복수의 조작자(SW1∼SW9)로의 조작의 할당은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조작 대상(11)이 조작자(SW1∼SW9)를 9개 포함하는 것도 필수가 아니고, 조작 대상(11)은 1개 이상 8개 이하의 조작자를 포함해도 좋고, 9개 이상의 조작자를 포함해도 좋다.
또한, 오조작 방지부(12)는 보디(10)와 일체화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보디(10)와는 별체의 오조작 방지부(12)가 나사 등의 고정구 또는 접착 등에 의해, 보디(10)에 부착되어도 좋다.
또한, 걸이부(15)는 보디(10)와 일체화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보디(10)와는 별체의 걸이부(15)가 나사 등의 고정구 또는 접착 등에 의해, 보디(10)에 부착되어도 좋다.
또한, 걸이부(15)는 보디(10)의 길이 방향(상하 방향(D1))을 따라 연장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걸이부(15)는 이면(102)으로부터 돌출되는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홈 등의 오목부 또는 구멍 등이어도 좋다.
Claims (11)
- 작업 기계의 기체에 탑재되어, 유저에 의한 조작을 접수하는 조작 장치로서,
표면의 일부에 조작면을 포함하는 보디와,
상기 조작면에 배치되어 있는 조작 대상을 구비하고,
상기 조작 대상에 대한 조작을 포함하는 제 1 조작과,
상기 보디의 이동을 수반하는 제 2 조작을 접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조작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오조작 방지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작업 기계용의 조작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조작 방지부는 상기 조작면의 외주를 따라 배치되는 벽부를 포함하는 작업 기계용의 조작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는 상기 조작면의 외주부의 일부에만 배치되어 있는 작업 기계용의 조작 장치.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조작 방지부의 상기 조작면으로부터의 돌출량은 상기 조작 대상의 상기 조작면으로부터의 돌출량보다 큰 작업 기계용의 조작 장치.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조작 방지부는 적어도 상기 조작면의 폭 방향의 양단에 배치되고,
상기 조작면으로부터의 상기 오조작 방지부의 돌출량은 상기 조작면의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유저로부터 보아서 먼 측에 위치하는 부위에서, 가까운 측에 위치하는 부위보다 큰 작업 기계용의 조작 장치.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디는 상기 조작면과는 반대측의 이면에 상기 유저의 손가락을 거는 것이 가능한 걸이부를 갖는 작업 기계용의 조작 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디는 길이를 갖고,
상기 걸이부는 상기 보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작업 기계용의 조작 장치. -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는 상기 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작업 기계용의 조작 장치. -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대상은 상기 조작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스틱을 기울이도록 조작되는 스틱 조작자를 포함하고,
상기 오조작 방지부는 상기 스틱 조작자의 주위에 상기 스틱 조작자를 적어도 2방향으로부터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는 작업 기계용의 조작 장치. -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디는 상기 조작면의 방향을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작업 기계용의 조작 장치. -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작업 기계용의 조작 장치와,
상기 조작 장치가 탑재되는 기체를 구비하는 작업 기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21040777A JP2022140116A (ja) | 2021-03-12 | 2021-03-12 | 作業機械用の操作装置、及び作業機械 |
JPJP-P-2021-040777 | 2021-03-12 | ||
PCT/JP2022/006837 WO2022190833A1 (ja) | 2021-03-12 | 2022-02-21 | 作業機械用の操作装置、及び作業機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55426A true KR20230155426A (ko) | 2023-11-10 |
Family
ID=83227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7027234A KR20230155426A (ko) | 2021-03-12 | 2022-02-21 | 작업 기계용의 조작 장치, 및 작업 기계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2022140116A (ko) |
KR (1) | KR20230155426A (ko) |
CN (1) | CN116963591A (ko) |
WO (1) | WO2022190833A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68698A (ja) | 2003-03-07 | 2004-09-30 |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 コンバイン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81625U (ja) * | 1981-11-27 | 1983-06-02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自動車用変速機のシフトレバ− |
JPS5954488U (ja) * | 1982-09-30 | 1984-04-10 | アンリツ株式会社 | 操作杆 |
JPH0471858U (ko) * | 1990-10-29 | 1992-06-25 | ||
JPH1066437A (ja) * | 1996-08-27 | 1998-03-10 |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 移動農機の操作装置 |
JP2006176083A (ja) * | 2004-12-24 | 2006-07-06 | Honda Motor Co Ltd | 車両用シフトレバー |
JP4390072B2 (ja) * | 2005-02-28 | 2009-12-24 | 井関農機株式会社 | コンバイン |
JP1380614S (en) * | 2009-04-17 | 2010-02-22 | Hosiden Corporation | The change speed lever knob for automobiles |
USD656073S1 (en) * | 2010-12-21 | 2012-03-20 | Deere & Company | Control lever |
JP5351923B2 (ja) * | 2011-03-31 | 2013-11-27 | 株式会社クボタ | コンバインの操作装置 |
WO2013136551A1 (ja) * | 2012-03-15 | 2013-09-19 | 株式会社小松製作所 | 建設機械の操作レバー |
JP2017079039A (ja) * | 2015-10-22 | 2017-04-27 | キャタピラー エス エー アール エル | 操作レバー及び建設機械 |
-
2021
- 2021-03-12 JP JP2021040777A patent/JP2022140116A/ja active Pending
-
2022
- 2022-02-21 WO PCT/JP2022/006837 patent/WO2022190833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2-02-21 KR KR1020237027234A patent/KR20230155426A/ko unknown
- 2022-02-21 CN CN202280020531.XA patent/CN116963591A/zh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68698A (ja) | 2003-03-07 | 2004-09-30 |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 コンバイン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2190833A1 (ja) | 2022-09-15 |
JP2022140116A (ja) | 2022-09-26 |
CN116963591A (zh) | 2023-10-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390072B2 (ja) | コンバイン | |
US6148593A (en) | Multifunctional handle for controlling an agricultural combine | |
CN108290612B (zh) | 作业车辆 | |
JP4371233B2 (ja) | コンバイン | |
KR20230155426A (ko) | 작업 기계용의 조작 장치, 및 작업 기계 | |
EP0841211B1 (en) | Operator seat sliding control console | |
JP4400678B2 (ja) | コンバイン | |
GB2491855A (en) | Control lever with interchangeable hand grip | |
JP4917405B2 (ja) | コンバイン | |
KR20230159820A (ko) | 자동 운전 방법, 작업 차량 및 자동 운전 시스템 | |
JP4400627B2 (ja) | コンバイン | |
JP2004089150A (ja) | 作業車両の操作スイッチ配置構造 | |
JP5829584B2 (ja) | コンバイン | |
CN110432006B (zh) | 转向机构 | |
KR20240143858A (ko) | 작업 차량 | |
CN216254002U (zh) | 联合收割机 | |
KR20230000425A (ko) | 작업 차량 | |
JP7501686B2 (ja) | コンバイン | |
JP2024089426A (ja) | 収穫機 | |
WO2022201902A1 (ja) | 自動運転方法、作業車両及び自動運転システム | |
CN209105686U (zh) | 收割机 | |
JP2018186718A (ja) | コンバイン | |
JP2023003613A (ja) | 作業車両 | |
JP2023003614A (ja) | 作業車両 | |
JP2022100101A (ja) | コンバイン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