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5423A - Adhesive film and its evaluation method,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nd dicing/die bonding integrated film - Google Patents

Adhesive film and its evaluation method,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nd dicing/die bonding integrated fil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5423A
KR20230155423A KR1020237025424A KR20237025424A KR20230155423A KR 20230155423 A KR20230155423 A KR 20230155423A KR 1020237025424 A KR1020237025424 A KR 1020237025424A KR 20237025424 A KR20237025424 A KR 20237025424A KR 20230155423 A KR20230155423 A KR 202301554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adhesive
adhesive film
component
m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54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츠요시 다자와
가즈히로 야마모토
가나미 나카무라
고헤이 다니구치
아야코 다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레조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레조낙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레조낙
Publication of KR20230155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542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9/00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 G01N19/04Measuring adhesive force between materials, e.g. of sealing tape, of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3/00Adhesives based on epoxy resin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0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50Assembly of semiconductor devic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H01L21/06 - H01L21/326, e.g. sealing of a cap to a base of a container
    • H01L21/52Mounting semiconductor bodies in con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35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temporarily an auxiliary support
    • H01L21/6836Wafer tapes, e.g. grinding or dicing support tap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26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bonding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wafers, chips or semicondu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2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 C09J2301/2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the adhesive layer being constituted by at least two or more adjacent or superposed adhesive layers, e.g. multilayer adhes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Die Bonding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반도체 장치의 제조 프로세스에 있어서 사용되는 접착 필름의 평가 방법으로서, 가열된 프로브로 택 시험을 행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평가 대상의 접착 필름의 두께가 20μm 이하인, 접착 필름의 평가 방법. 이 택 시험은, 예를 들면, 접착 필름의 시료를 지지하는 스테이지와, 스테이지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또한 온도 설정이 가능한 프로브를 구비하는 장치를 사용하고, 스테이지와 시료의 사이에 폴리이미드 필름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행해진다.An evaluation method for an adhesive film used in a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process, comprising the step of performing a tack test with a heated probe,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film to be evaluated is 20 μm or less. This tack test, for example, uses an apparatus including a stage that supports a sample of an adhesive film and a probe that can mov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stage and can set a temperature, and a polyimide layer is placed between the stage and the sample. It is performed with a film interposed.

Description

접착 필름 및 그 평가 방법,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및 다이싱·다이본딩 일체형 필름Adhesive film and its evaluation method,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nd dicing/die bonding integrated film

본 개시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프로세스에 있어서 사용되는 접착 필름 및 그 평가 방법,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및 다이싱·다이본딩 일체형 필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n adhesive film used in a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process and an evaluation method thereof, a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nd an integrated dicing/die bonding film.

종래, 반도체 장치는 이하의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먼저, 다이싱용 점착 시트에 반도체 웨이퍼를 첩부하고, 그 상태에서 반도체 웨이퍼를 반도체 칩으로 개편화(個片化)한다(다이싱 공정). 그 후, 픽업 공정, 압착 공정 및 다이본딩 공정 등이 실시된다.Conventionally, semiconductor devices are manufactured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es. First, a semiconductor wafer is attached to an adhesive sheet for dicing, and in that state, the semiconductor wafer is divided into semiconductor chips (dicing process). After that, a pickup process, pressing process, die bonding process, etc. are performed.

특허문헌 1은, 다이싱 공정에 있어서 반도체 웨이퍼를 고정하는 기능과, 다이본딩 공정에 있어서 반도체 칩을 기판과 접착시키는 기능을 겸비하는 다이싱 다이본드 필름을 개시하고 있다. 다이싱 공정에 있어서, 반도체 웨이퍼 및 접착제층을 개편화함으로써, 접착제편 부착 칩이 얻어진다.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dicing die-bond film that has both the function of fixing a semiconductor wafer in a dicing process and the function of bonding a semiconductor chip to a substrate in a die-bonding process. In the dicing process, a chip with adhesive pieces is obtained by separating the semiconductor wafer and the adhesive layer into pieces.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7-216273호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17-216273

종래,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적 얇은 칩(C1~C4)을 기판(30) 상에 접착제층(A)을 개재하여 다단으로 배치한 경우, 칩(C1~C4)의 휨 응력에 기인하여 1단째의 칩(C1)과, 2단째의 칩(C2)의 사이에서 박리가 발생되기 쉽다. 특허문헌 1은, 다이본드 필름의 열경화 전의 150℃에서의 인장 저장 탄성률을 소정의 범위로 함으로써 칩의 휨에 기인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되어 있다.Conventionally, as shown in FIG. 8, when relatively thin chips C1 to C4 are arranged in multiple stages with an adhesive layer A interposed on the substrate 30, due to the bending stress of the chips C1 to C4, Peeling is likely to occur between the first-stage chip C1 and the second-stage chip C2. Patent Document 1 states that problems caused by chip bending can be solved by setting the tensile storage modulus of the die-bond film at 150°C before heat curing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그러나, 접착 필름(다이본드 필름)의 박막화의 진전에 따라, 반도체 제조 프로세스에 있어서의 다양한 과제에 종래의 지표로는 대응할 수 없는 것이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하면, 접착 필름의 인장 저장 탄성률, 전단 점도, 다이 시어 등의 물성은, 반드시 프로세스 평가 결과의 상관관계가 보여지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칩의 휨에 기인하는 반도체 패키지 내에 있어서의 박리의 발생을 억제하는데 유용한 접착 필름의 평가 방법을 새롭게 개발하기로 했다.However, with the advancement of thinner adhesive films (die-bond films), the number of problems in th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 that cannot be addressed with conventional indicators is increa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ors' examination, physical properties such as tensile storage modulus, shear viscosity, and die shear of the adhesive film do not necessarily show a correlation with the process evaluation results. Therefore, the present inventors decided to develop a new evaluation method for an adhesive film that is useful for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peeling in a semiconductor package due to chip bending.

본 개시는, 두께 20μm 이하의 접착 필름을 평가 대상으로 할 수 있고 또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 프로세스에 있어서 칩의 휨에 기인하는 박리의 문제에 대처하는데 유용한 접착 필름의 평가 방법을 제공한다. 또, 본 개시는, 상기 박리의 발생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는 접착 필름 및 이것을 이용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접착 필름을 포함하는 다이싱·다이본딩 일체형 필름을 제공한다.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n evaluation method for an adhesive film that can be used as an evaluation object for an adhesive film with a thickness of 20 μm or less and is useful for dealing with the problem of peeling due to chip bending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a semiconductor device. Additionally,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n adhesive film capable of sufficiently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the peel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same, and an integrated dicing/die bonding film containing the adhesive film.

본 개시의 일 측면은, 반도체 장치의 제조 프로세스에 있어서 사용되는 접착 필름의 평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평가 방법은, 가열된 프로브로 택 시험을 행하는 공정을 포함하며, 평가 대상의 접착 필름의 두께가 20μm 이하이다.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method for evaluating an adhesive film used in a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process. This evaluation method includes the step of performing a tack test with a heated probe, and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film to be evaluated is 20 μm or less.

본 발명자들은, 반도체 패키지의 단면을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반도체 패키지 내에 있어서 발생하는 박리의 모드는, 주로, 접착 필름의 응집 파괴가 아니라, 접착 필름과 칩의 계면에 있어서의 박리인 것을 발견했다. 이 점으로부터, 본 발명자들은, 칩을 압착하고 나서 단시간 내에 박리가 발생되고 있다고 추측하여, 접착 필름의 순간적인 점착력(태키니스)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는 인식에 이르렀다. 이 인식에 근거하여, 택 시험에 의하여 접착 필름을 평가하는 것에 상도(想到)했다. 또한, 프로브를 이용한 택 시험은 ASTM D-2979(Standard Test Method for Pressure-Sensitive Tack of Adhesives Using an Inverted Probe Machine)에 기재된 방법에 준거하여 실시할 수 있다.As a result of observing the cross section of the semiconductor package with an electron microscope, the present inventors found that the mode of peeling that occurs within the semiconductor package is mainly peeling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adhesive film and the chip, not cohesive failure of the adhesive film. did. From this point, the present inventors assumed that peeling occurred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after the chip was pressed, and came to the realization that it was necessary to determine the instantaneous adhesive force (tackiness) of the adhesive film. Based on this recognition, the idea was to evaluate the adhesive film by a tack test. Additionally, the tack test using a probe can be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method described in ASTM D-2979 (Standard Test Method for Pressure-Sensitive Tack of Adhesives Using an Inverted Probe Machine).

상기 택 시험은, 접착 필름의 시료를 지지하는 스테이지와, 스테이지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또한 온도 설정이 가능한 프로브를 구비하는 장치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불균일이 적은 데이터를 취득하는 관점에서, 스테이지와 시료의 사이에 수지 필름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택 시험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얇은 접착 필름이 평가 대상이기 때문에, 스테이지와 프로브의 면이 엄밀하게 수평이 아니면, 프로브의 면이 시료를 편압(片押)하는 상태가 되기 쉽고, 이것으로는 불균일이 적은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취득하는 것이 어렵다. 수지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프로브의 면이 시료를 편압하는 상태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수지 필름의 예로서, 폴리이미드 필름을 들 수 있다. 폴리이미드 필름은, 적절한 탄성을 가짐과 함께 내열성을 갖는다.The tack test can be performed using an apparatus including a stage that supports a sample of the adhesive film and a probe that can mov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stage and can set a temperature. From the viewpoint of acquiring data with less unevenness, it is preferable to perform the tack test with a resin film interposed between the stage and the sample. Since a thin adhesive film is the object of evaluation, if the surfaces of the stage and probe are not strictly horizontal, the surface of the probe tends to bias the sample, which makes it possible to efficiently acquire data with less unevenness. It's difficult. By using a resin film, it is possible to avoid a state in which the surface of the probe biases the sample. Additionally, examples of resin films include polyimide films. Polyimide film has appropriate elasticity and heat resistance.

상기 평가 방법의 결과와, 실제로 제작한 반도체 패키지에 있어서의 박리의 유무의 상관관계로부터, 접착 필름이 이하의 조건 1, 2의 양방을 충족시킬 때, 당해 접착 필름을 양호로 판정할 수 있다.From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ults of the above evaluation method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peeling in the actually produced semiconductor package, when the adhesive film satisfies both conditions 1 and 2 below, the adhesive film can be judged to be good.

(조건 1) 프로브 온도를 100℃로 설정한 택 시험에 있어서, 택이 2.5N/5mmφ 이상인 것.(Condition 1) In a tack test with the probe temperature set to 100°C, the tack is 2.5N/5mmϕ or more.

(조건 2) 프로브 온도를 120℃로 설정한 택 시험에 있어서, 택이 2.5N/5mmφ 이상인 것.(Condition 2) In a tack test with the probe temperature set to 120°C, the tack is 2.5N/5mmϕ or more.

본 개시의 일 측면은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제조 방법은, 두께 20μm 이하의 접착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 필름을 준비하는 공정과, 웨이퍼의 표면에 접착 필름이 접하도록, 웨이퍼에 적층 필름을 첩부하는 공정과, 웨이퍼 및 접착 필름을 개편화함으로써 접착제편 부착 칩을 제작하는 공정과, 기판 또는 다른 칩의 표면 상에 접착제편 부착 칩을 접착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접착 필름이, 상기 평가 방법에 있어서 양호로 판정되는 접착 필름이다. 이 방법에 의하면, 내부에 있어서 박리가 발생하기 어렵고, 신뢰성의 높은 반도체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This manufacturing method includes a process of preparing a laminated film containing an adhesive film with a thickness of 20 μm or less, a process of attaching the laminated film to the wafer so that the adhesive film i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wafer, and separating the wafer and the adhesive film into individual pieces. The adhesive film includes a step of producing a chip with adhesive pieces and a step of bonding the chip with adhesive pieces on the surface of a substrate or another chip, and the adhesive film is an adhesive film judged to be good in the above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this method, internal peeling is unlikely to occur and a highly reliable semiconductor device can be manufactured.

본 개시의 일 측면은 반도체 장치의 제조 프로세스에 있어서 사용되는 접착 필름에 관한 것이다. 이 접착 필름은, 두께가 20μm 이하이며, 상기 평가 방법에 있어서 양호로 판정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다이싱·다이본딩 일체형 필름에 관한 것이다. 이 필름은, 기재 필름과, 두께 20μm 이하의 접착제층과, 점착제층을 이 순서로 구비하고, 접착제층이 상기 평가 방법에 있어서 양호로 판정되는 접착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다.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n adhesive film used in a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process. This adhesive film has a thickness of 20 μm or less and is judged to be good in the above evaluation method.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dicing/die bonding integrated film. This film is composed of an adhesive film that includes a base film, an adhesive layer with a thickness of 20 μm or less, and an adhesive layer in this order, and the adhesive layer is judged to be good in the above evaluation method.

본 개시에 의하면, 두께 20μm 이하의 접착 필름을 평가 대상으로 할 수 있고 또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 프로세스에 있어서 반도체 칩의 휨에 기인하는 박리의 문제에 대처하는데 유용한 접착 필름의 평가 방법이 제공된다. 또, 본 개시에 의하면, 상기 박리의 발생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는 접착 필름 및 이것을 이용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접착 필름을 포함하는 다이싱·다이본딩 일체형 필름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an evaluation method for an adhesive film that can be evaluated using an adhesive film with a thickness of 20 μm or less and that is useful for dealing with the problem of peeling due to bending of a semiconductor chip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a semiconductor device is provided. Additionally,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an adhesive film capable of sufficiently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the peel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same, and an integrated dicing/die bonding film containing the adhesive film are provided.

도 1은 택 시험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의 (a)는, 본 개시에 관한 다이싱·다이본딩 일체형 필름의 일 실시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의 (b)는, 도 2의 (a)의 B-B선을 따른 모식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에 관한 반도체 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접착제편 부착 칩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의 (a) 및 도 5의 (b)는, 도 4에 나타내는 접착제편 부착 칩을 제작하는 과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의 (a)~도 6의 (c)는, 도 4에 나타내는 접착제편 부착 칩을 제작하는 과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의 (a) 및 도 7의 (b)는 도 3에 나타내는 반도체 장치를 제조하는 과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1단째의 칩과 2단째의 칩의 사이에 박리가 발생하고 있는 구조체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프로세스에 있어서의 박리를 재현하기 위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제작한 구조체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device for performing a tack test.
FIG. 2(a)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one embodiment of the dicing/die bonding integrated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and FIG. 2(b) is a plan view along line BB in FIG. 2(a). This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one embodiment of a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chip with an adhesive piece attached.
FIG. 5(a) and FIG. 5(b) ar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chip with the adhesive piece shown in FIG. 4.
6(a) to 6(c) ar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chip with the adhesive piece shown in FIG. 4.
FIG. 7(a) and FIG. 7(b) ar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semiconductor device shown in FIG. 3.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peeling has occurred between a first-tier chip and a second-tier chip.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structures manufactur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in order to reproduce peeling in the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process.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 상하좌우 등의 위치 관계는,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한, 도면에 나타내는 위치 관계에 근거하는 것으로 한다. 도면의 치수 비율은 도시된 비율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그에 대응하는 메타크릴레이트를 의미한다. (메트)아크릴로일기,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등의 다른 유사 표현에 대해서도 동일하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dentical or significant par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are omitted. In addition, positional relationships such as up, down, left, right, etc. are assumed to be based on the positional relationships shown in the drawings, unless specifically explained. The dimensional ratios in the drawings are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ratios. In this specification, (meth)acrylate means acrylate or methacrylate corresponding thereto. The same applies to other similar expressions such as (meth)acryloyl group and (meth)acrylic copolymer.

본 명세서의 기재 및 청구항에 있어서 "좌", "우", "정면", "이면(裏面)", "상", "하", "상방", "하방" 등의 용어가 이용되고 있는 경우, 이들은, 설명을 의도한 것이며, 반드시 영구히 이 상대 위치이다라는 의미는 아니다. 또, "층"이라는 용어는, 평면도로서 관찰했을 때에, 전체면에 형성되어 있는 형상의 구조에 더하여, 일부에 형성되어 있는 형상의 구조도 포함된다. "A 또는 B"란, A와 B 중 어느 일방을 포함하고 있으면 되고, 양방 모두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When terms such as “left”, “right”, “front”, “back”, “top”, “bottom”, “top”, “bottom”, etc. are used in the description and claims of this specification. , these are intended to be illustrative and do not necessarily mean that this relative position is permanent. Additionally, the term "layer" includes structures formed on a part of the surface in addition to structures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when observed in a plan view. “A or B” may include either A or B, or may include both.

본 명세서에 있어서, "공정"이라는 용어는, 독립적인 공정뿐만 아니라, 다른 공정과 명확하게 구별할 수 없는 경우이더라도 그 공정의 소기의 작용이 달성되면, 본 용어에 포함된다. 또, "~"를 이용하여 나타난 수치 범위는, "~"의 전후에 기재되는 수치를 각각 최솟값 및 최댓값으로서 포함하는 범위를 나타낸다.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process" is included in this term not only as an independent process, but also in cases where the desired effect of the process is achieved even if it cannot be clearly distinguished from other processes. In addition, the numerical range indicated using “~” indicates a range that includes the numerical values written before and after “~” as the minimum and maximum values, respectively.

본 명세서에 있어서 조성물 중의 각 성분의 함유량은, 조성물 중에 각 성분에 해당하는 물질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한, 조성물 중에 존재하는 당해 복수의 물질의 합계량을 의미한다. 또, 예시 재료는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한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또, 본 명세서 중에 단계적으로 기재되어 있는 수치 범위에 있어서, 소정 단계의 수치 범위의 상한값 또는 하한값은, 다른 단계의 수치 범위의 상한값 또는 하한값으로 치환해도 된다. 또, 본 명세서 중에 기재되어 있는 수치 범위에 있어서, 그 수치 범위의 상한값 또는 하한값은, 실시예에 나타나 있는 값으로 치환해도 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content of each component in the composition means the total amount of the plurality of substances present in the composition, unless otherwise specified, when multiple substances corresponding to each component exist in the composition. In addition, unless otherwise specified, the exemplified materials may be used individually or two or more types may be used in combination. In addition, in the numerical range described in stages in this specification, the upper or lower limit of the numerical range at a certain level may be replaced with the upper or lower limit of the numerical range at another level. In addition, in the numerical range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the upper or lower limit of the numerical range may be replaced with the value shown in the examples.

<접착 필름의 평가 방법><Evaluation method of adhesive film>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접착 필름의 평가 방법은, 가열된 프로브로 택 시험을 행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평가 대상의 접착 필름은, 반도체 장치의 제조 프로세스에 있어서 사용되는 것이다. 접착 필름의 두께는 20μm 이하이고, 18μm 이하, 15μm 이하, 12μm 이하, 또는 10μm 이하여도 된다. 접착 필름의 두께의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1μm 또는 5μm여도 된다. 접착 필름의 두께가 20μm 이하임으로써 반도체 장치의 박화형을 실현할 수 있으며, 한편, 1μm 이상임으로써 충분한 접착 강도를 확보하기 쉽다.The evaluation method of the adhesive film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the step of performing a tack test with a heated probe. The adhesive film to be evaluated is us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a semiconductor device.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film is 20 μm or less, and may be 18 μm or less, 15 μm or less, 12 μm or less, or 10 μm or less. The lower limit of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fil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for example, 1 μm or 5 μm. When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film is 20 μm or less, a thin semiconductor device can be realized, while when it is 1 μm or more, it is easy to ensure sufficient adhesive strength.

도 1은 택 시험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장치(10)는, 스테이지(1)와, 프로브(2)와, 누름 지그(3)를 구비한다. 스테이지(1) 상의 시료(S)(접착 필름)에 프로브(2)를 압압하고, 떼어 놓는 과정에서의 점착력을 측정한다. 프로브(2)는, 스테이지(1)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또한 온도 설정이 가능하다. 프로브(2)의 선단부는 스테인리스강제이며, 원기둥상의 형상을 갖는다. 프로브(2)의 선단면은 충분히 평탄하며 또한 평활하다. 누름 지그(3)는, 스테이지 상의 시료(S)가 프로브(2)에 첩부되어 상방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시료(S)를 누르기 위한 것이다. 프로브(2)에 가해지는 하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시료의 점착력의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택 시험은, 시판 중인 장치(예를 들면, 태킹 시험기 TAC1000(상품명), 주식회사 레스카제)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device for performing a tack test. The device 10 shown in this figure includes a stage 1, a probe 2, and a pressing jig 3. The probe 2 is pressed against the sample S (adhesive film) on the stage 1, and the adhesive force during separation is measured. The probe 2 can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tage 1 and can also set the temperature. The tip of the probe 2 is made of stainless steel and has a cylindrical shape. The tip surface of the probe 2 is sufficiently flat and smooth. The pressing jig 3 is for pressing the sample S on the stage so that the sample S is attached to the probe 2 and does not move upward. By converting the load applied to the probe 2 into an electric signal, data on the adhesive force of the sample can be obtained. The tack test can be performed using a commercially available device (e.g., Tacking Tester TAC1000 (brand name), Reska Co., Ltd.).

택 시험의 조건은 이하의 범위로 하면 된다.The conditions for the tack test should be within the following range.

·스테이지(1)의 온도: 20~25℃(실온)·Temperature of stage (1): 20~25℃ (room temperature)

·프로브(2)의 온도: 80~140℃Temperature of probe (2): 80~140℃

·프로브(2)의 진입 속도: 0.5~2.0mm/초· Entry speed of probe (2): 0.5 to 2.0 mm/sec

·가압력: 0.05~0.2MPa· Pressure force: 0.05~0.2MPa

·가압 시간: 0.5~5초· Pressurization time: 0.5 to 5 seconds

·프로브(2)의 분리 속도: 0.5~5.0mm/초Separation speed of probe (2): 0.5 to 5.0 mm/sec

불균일이 적은 데이터를 취득하는 관점에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테이지(1)와 시료(S)의 사이에 폴리이미드 필름(5)(수지 필름)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택 시험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이미드 필름(5)의 두께는, 예를 들면, 50~200μm 또는 100~150μm여도 된다. 폴리이미드 필름(5)의 인장 탄성률은, 예를 들면, 2.5~4.5GPa이다. 이 인장 탄성률은 ASTM D-882에 기재된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값을 의미한다. 폴리이미드 필름(5)의 내열 온도는, 예를 들면, 250~320℃이다. 또한, 여기에서는 폴리이미드 필름(5)을 사용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다른 수지 필름을 사용해도 된다. 수지 필름은 폴리이미드 필름과 동일한 정도의 탄성과, 프로브 설정 온도 이상의 내열성을 갖는 것이면 되고, 그 구체예로서, 아라마이드 필름,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필름,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등을 들 수 있다.From the viewpoint of acquiring data with less unevenness, it is preferable to perform the tack test with the polyimide film 5 (resin film) interposed between the stage 1 and the sample S, as shown in FIG. 1. do. The thickness of the polyimide film 5 may be, for example, 50 to 200 μm or 100 to 150 μm. The tensile elastic modulus of the polyimide film 5 is, for example, 2.5 to 4.5 GPa. This tensile modulus means a value measured based on the method described in ASTM D-882. The heat-resistant temperature of the polyimide film 5 is, for example, 250 to 320°C. In addition, although the case of using the polyimide film 5 is illustrated here, other resin films may be used. The resin film may have the same level of elasticity as the polyimide film and heat resistance higher than the probe setting temperature. Specific examples include aramide film, polyphenylene sulfide film, polyethylene naphthalate film, and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You can.

택 시험에 의한 평가 방법의 결과와, 실제로 제작한 반도체 패키지에 있어서의 박리의 유무의 상관관계로부터, 접착 필름이 이하의 조건 1, 2의 양방을 충족시킬 때, 당해 접착 필름을 양호로 판정할 수 있다.From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method by the tack test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peeling in the actually produced semiconductor package, when the adhesive film satisfies both conditions 1 and 2 below, the adhesive film is judged to be good. You can.

(조건 1) 프로브 온도를 100℃로 설정한 택 시험에 있어서, 택이 2.5N/5mmφ 이상인 것.(Condition 1) In a tack test with the probe temperature set to 100°C, the tack is 2.5N/5mmϕ or more.

(조건 2) 프로브 온도를 120℃로 설정한 택 시험에 있어서, 택이 2.5N/5mmφ 이상인 것.(Condition 2) In a tack test with the probe temperature set to 120°C, the tack is 2.5N/5mmϕ or more.

접착 필름이 조건 1, 2를 충족시키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경우, 택 시험은 이하의 조건에서 실시된다.When determining whether the adhesive film satisfies conditions 1 and 2, the tack test is conducted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스테이지(1)의 온도: 25℃Temperature of stage (1): 25℃

·프로브(2)의 온도: 100℃ 또는 120℃Temperature of probe (2): 100℃ or 120℃

·프로브(2)의 진입 속도: 1.0mm/초· Entry speed of probe (2): 1.0 mm/sec

·가압력: 0.1MPa· Pressure force: 0.1MPa

·가압 시간: 1.0초· Pressurization time: 1.0 seconds

·프로브(2)의 분리 속도: 1.0mm/초Separation speed of probe (2): 1.0 mm/sec

·프로브(2)의 선단면: 직경 5mm의 원형·Top section of probe (2): circular with a diameter of 5 mm

프로브 온도를 100℃로 설정한 택 시험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택은 2.5N/5mmφ 이상(조건 1)이지만, 이 값은 3.0N/5mmφ 이상이어도 된다. 이 값의 상한값은, 예를 들면, 6.0N/5mmφ이다. 프로브 온도를 120℃로 설정한 택 시험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택은 2.5N/5mmφ 이상(조건 2)이지만, 이 값은 3.0N/5mmφ 이상이어도 된다. 이 값의 상한값은, 예를 들면, 6.0N/5mmφ이다.In the tack test in which the probe temperature is set to 100°C, as above, the tack is 2.5 N/5 mmϕ or more (condition 1), but this value may be 3.0 N/5 mmϕ or more. The upper limit of this value is, for example, 6.0N/5mmphi. In the tack test in which the probe temperature is set to 120°C, as above, the tack is 2.5 N/5 mmϕ or more (condition 2), but this value may be 3.0 N/5 mmϕ or more. The upper limit of this value is, for example, 6.0N/5mmphi.

<다이싱·다이본딩 일체형 필름><Dicing/die bonding integrated film>

조건 1, 2의 양방을 충족시키는 접착제 필름은, 다이싱·다이본딩 일체형 필름의 접착제층에 적용할 수 있다. 도 2의 (a)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다이싱·다이본딩 일체형 필름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의 (b)는, 도 2의 (a)의 B-B선을 따른 모식 단면도이다. 다이싱·다이본딩 일체형 필름(20)(이하, 경우에 따라, 간단히 "필름(20)"이라고 한다.)은, 기재 필름(11)과, 점착제층(13)과, 접착제층(15)을 이 순서로 구비한다. 접착제층(15)이 상기 조건 1, 2의 양방을 충족시키는 접착제 필름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정사각형의 기재 필름(11) 상에, 점착제층(13) 및 접착제층(15)의 적층체가 하나 형성된 양태를 예시했지만, 기재 필름(11)이 소정의 길이(예를 들면, 100m 이상)를 갖고, 그 길이 방향으로 나열되도록, 점착제층(13) 및 접착제층(15)의 적층체가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 양태여도 된다.An adhesive film that satisfies both conditions 1 and 2 can be applied to the adhesive layer of an integrated dicing/die bonding film. Figure 2(a)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grated dicing/die bonding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Figure 2(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in Figure 2(a). . The dicing/die bonding integrated film 20 (hereinafter, in some cases, simply referred to as “film 20”) includes a base film 11, an adhesive layer 13, and an adhesive layer 15. Prepare in this order. The adhesive layer 15 is made of an adhesive film that satisfies both conditions 1 and 2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an embodiment in which a laminate of the adhesive layer 13 and the adhesive layer 15 is formed on the square base film 11 is illustrated, but the base film 11 has a predetermined length (e.g. , 100 m or more), and the laminates of the adhesive layer 13 and the adhesive layer 15 may b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so as to be alig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기재 필름(11)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메틸펜텐 필름, 폴리이미드 필름 등의 플라스틱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기재 필름(11)은, 필요에 따라, 프라이머 도포, UV 처리, 코로나 방전 처리, 연마 처리, 에칭 처리 등의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Examples of the base film 11 include plastic films such as polytetrafluoroethylene film,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polyethylene film, polypropylene film, polymethylpentene film, and polyimide film. The base film 11 may be subjected to surface treatment such as primer application, UV treatment, corona discharge treatment, polishing treatment, or etching treatment as needed.

점착제층(13)은, 기재 필름(11)과 대면하는 제1 면(F1) 및 그 반대 측의 제2 면(F2)을 갖는다. 점착제층(13)은, 예를 들면, 적절한 점착력을 갖는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도액을 상기 플라스틱 필름의 표면에 도공하는 공정을 거쳐 형성된다. 점착제층(13)은, 예를 들면, 자외선이 조사됨으로써 점착력이 저하되는 성질을 갖는 것이어도 된다.The adhesive layer 13 has a first surface F1 facing the base film 11 and a second surface F2 on the opposite side. The adhesive layer 13 is formed, for example, through a process of applying a coating liquid containing a resin composition having appropriate adhesive strength to the surface of the plastic film. The adhesive layer 13 may have a property in which the adhesive strength is reduced by, for example,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rays.

접착제층(15)은, 점착제층(13)의 제2 면(F2)의 중앙부를 덮도록 마련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접착제층(15)은, 조건 1, 2의 양방을 충족시키는 접착제 필름(필름상 접착제)으로 이루어진다. 접착제층(15)은,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며 또한 우수한 점착력(태키네스)을 갖는다. 접착제층(15)을 사용하여 반도체 장치를 제작함으로써, 반도체 장치 내에 있어서, 칩의 휨에 기인하는 박리를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The adhesive layer 15 is provided to cover the central portion of the second surface F2 of the adhesive layer 13. As described above, the adhesive layer 15 is made of an adhesive film (film-like adhesive) that satisfies both conditions 1 and 2. The adhesive layer 15 is made of a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and has excellent adhesive strength (tackiness). By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adhesive layer 15, peeling due to chip bending within the semiconductor device can be sufficiently suppressed.

접착제층(15)은, 예를 들면, 열경화성 수지(이하, "(A) 성분"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와, 경화제(이하, "(B) 성분"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와, 엘라스토머(이하, "(C) 성분"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를 함유한다. 접착제층(15)은, (A) 성분, (B) 성분, 및 (C) 성분에 더하여, 무기 필러(이하, "(D) 성분"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커플링제(이하, "(E) 성분"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경화 촉진제(이하, "(F) 성분"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그 외의 성분 등을 더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접착제층(15)은, 반경화(B 스테이지) 상태를 거쳐, 경화 처리 후에 완전 경화(C 스테이지) 상태가 될 수 있는 것이어도 된다.The adhesive layer 15 includes, for example, a thermosetting resin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as "(A) component"), a curing agent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as "(B) component"), Contains an elastomer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as “(C) component”). The adhesive layer 15 contains, in addition to component (A), component (B), and component (C), an inorganic filler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as "component (D)"), and a coupling agent (hereinafter, "component (D)"). It may further contain (sometimes referred to as "(E) component"), a hardening accelerator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as "(F) component"), other components, etc. The adhesive layer 15 may be in a semi-cured (B stage) state and then in a fully cured (C stage) state after curing treatment.

(A) 성분: 열경화성 수지(A) Ingredient: Thermosetting resin

(A) 성분은, 접착성의 관점에서,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1종 또는 2종 이상의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접착제층(15)은, (A) 성분으로서, 예를 들면, 플루오렌 골격을 갖는 에폭시 수지(이하, "(A1) 성분"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를 포함한다.Component (A) may contain an epoxy resin from the viewpoint of adhesiveness, or may consist of one type or two or more types of epoxy resin. The adhesive layer 15 contains, as the (A) component, for example, an epoxy resin having a fluorene skeleton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as “component (A1)”).

(A1) 성분은, 예를 들면, 분자 내에 플루오렌 골격을 갖고 또한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이다. (A1) 성분은, 이와 같은 조건을 충족시키는 화합물이면, 특별히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다. 열경화성 수지로서 (A1) 성분을 포함함으로써, 접착제층(15)은, 냉각 익스팬드에 의한 분단성이 우수함과 함께, 웨이퍼와의 접착성도 우수한 것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이유를 본 개시의 발명자들은, 이하와 같이 생각하고 있다. 플루오렌 골격은, 강직하며, 또한 입체적으로 벌키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구조의 간극에 다른 재료의 분자가 들어가는 것이 가능하다고 추측된다. 그 때문에, (A1) 성분은, 엘라스토머(예를 들면, 아크릴 고무)와 혼화되기 쉽고, 당해 엘라스토머의 성질을 유연하며 절단되기 어려운 것으로부터 단단하고 절단되기 쉬운 것으로 개질된다고 생각된다. 이에 따라, 탄성률이 향상됨으로써 웨이퍼와의 접착성도 향상된다고 생각된다.The component (A1) is, for example, a compound that has a fluorene skeleton and an epoxy group in the molecule. Component (A1) can be used without particular restrictions as long as it is a compound that satisfies these conditions. By containing the component (A1) as a thermosetting resin, the adhesive layer 15 can be excellent in dividing properties by cooling expand and also excellent in adhesion to the wafer.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disclosure consider the reason for such an effect as follows. Since the fluorene skeleton is rigid and has a three-dimensional bulky structure, it is presumed that it is possible for molecules of other materials to enter the gaps in the structure.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component (A1) is easily miscible with an elastomer (for example, acrylic rubber) and changes the properties of the elastomer from being flexible and difficult to cut to hard and easy to break. Accordingly, it is thought that as the elastic modulus improves, the adhesion to the wafer also improves.

(A1) 성분은, 예를 들면, 하기 일반식 (X)로 나타나는 에폭시 수지여도 된다.The (A1) component may be, for example, an epoxy resin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general formula (X).

[화학식 1][Formula 1]

식 (X) 중, Z1 및 Z2는, 각각 독립적으로, 2가의 방향족 탄화 수소기를 나타낸다. Z1 및 Z2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되지만, 동일해도 된다. 2가의 방향족 탄화 수소기는, 단환식의 방향족 탄화 수소(예를 들면, 벤젠을 들 수 있다.), 또는, 다환식의 방향족 탄화 수소(예를 들면, 나프탈렌, 인덴 등의 2환식의 방향족 탄화 수소; 안트라센, 페난트렌, 다이하이드로페난트렌, 플루오렌 등의 3환식의 방향족 탄화 수소; 벤조안트라센, 벤조페난트렌, 벤조플루오렌, 피렌, 플루오란텐 등의 4환식의 방향족 탄화 수소 등을 들 수 있다.)로부터, 환을 구성하는 탄소 원자에 직접 결합하는 수소 원자 2개를 제거한 기를 들 수 있다. 2가의 방향족 탄화 수소기는, 이들 방향족 탄화 수소가 복수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방향족 탄화 수소로부터, 환을 구성하는 탄소 원자에 직접 결합하는 수소 원자 2개를 제거한 기(예를 들면, 바이페닐다이일기, 터페닐다이일기 등)가 포함된다. 2가의 방향족 탄화 수소기는, 벤젠다이일기(페닐렌기) 또는 나프탈렌다이일(나프탈렌기)이어도 된다.In formula (X), Z 1 and Z 2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 divalent aromatic hydrocarbon group. Z 1 and Z 2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but may also be the same. The divalent aromatic hydrocarbon group is a monocyclic aromatic hydrocarbon (for example, benzene), or a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 (for example, a bicyclic aromatic hydrocarbon such as naphthalene or indene). ; tricyclic aromatic hydrocarbons such as anthracene, phenanthrene, dihydrophenanthrene, and fluorene; tetracyclic aromatic hydrocarbons such as benzoanthracene, benzophenanthrene, benzofluorene, pyrene, and fluoranthene, etc. ), a group in which two hydrogen atoms directly bonded to the carbon atom constituting the ring have been removed can be mentioned. A divalent aromatic hydrocarbon group is a group obtained by removing two hydrogen atoms directly bonded to the carbon atom constituting the ring from an aromatic hydrocarbon formed by linking multiple aromatic hydrocarbons (for example, biphenyldiyl group, terphenyl group) diary, etc.) are included. The divalent aromatic hydrocarbon group may be a benzenediyl group (phenylene group) or naphthalenediyl (naphthalene group).

식 (X)로 나타나는 에폭시 수지에 있어서의 플루오렌 골격, 및 Z1 및 Z2로 나타나는 2가의 방향족 탄화 수소기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된다. 치환기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등의 알킬기; 사이클로펜틸기, 사이클로헥실기 등의 사이클로알킬기; 페닐기, 나프틸기 등의 아릴기; 벤질기 등의 아랄킬기; 아세틸기, 프로피온일기, 벤조일기 등의 아실기; 메톡시기, 에톡시기, 프로필옥시기, 아이소프로필옥시기 등의 알콕시기; 메톡시카보닐기, 에톡시카보닐기 등의 알콕시카보닐기; 사이아노기; 카복실기; 나이트로기; 아미노기; 치환 아미노기(예를 들면, 모노 또는 다이알킬아미노기 등);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등의 할로젠 원자 등을 들 수 있다.The fluorene skeleton in the epoxy resin represented by formula (X) and the divalent aromatic hydrocarbon group represented by Z 1 and Z 2 may have a substituent. Examples of the substituent include alkyl groups such as methyl, ethyl, and propyl groups; Cycloalkyl groups such as cyclopentyl group and cyclohexyl group; Aryl groups such as phenyl group and naphthyl group; Aralkyl groups such as benzyl groups; Acyl groups such as acetyl group, propionyl group, and benzoyl group; Alkoxy groups such as methoxy group, ethoxy group, propyloxy group, and isopropyloxy group; Alkoxycarbonyl groups such as methoxycarbonyl group and ethoxycarbonyl group; Cyano group; Carboxyl group; nitrogyne; amino group; Substituted amino groups (for example, mono or dialkylamino groups, etc.); Halogen atoms such as fluorine atoms and chlorine atoms can be mentioned.

식 (X) 중, R1A 및 R2A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 원자수 1~10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R1A 및 R2A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되지만, 동일해도 된다. 알킬렌기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렌기,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트라이메틸렌기, 테트라메틸렌기, 헥사메틸렌기 등의 탄소수 1~10의 직쇄 또는 분기쇄상의 알킬렌기 등을 들 수 있다. 알킬렌기는, 탄소 원자수 2~6의 알킬렌기여도 되고, 탄소 원자수 2 또는 3의 알킬렌기여도 된다.In formula (X), R 1A and R 2A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n alkylene group having 1 to 10 carbon atoms. R 1A and R 2A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but may also be the same. Examples of the alkylene group include linear or branched alkylene groups having 1 to 10 carbon atoms, such as methylene group, ethylene group, propylene group, trimethylene group, tetramethylene group, and hexamethylene group. The alkylene group may be an alkylene group with 2 to 6 carbon atoms, or an alkylene group with 2 or 3 carbon atoms.

식 (X) 중, p1 및 p2는, 각각 독립적으로, 0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p1 및 p2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되지만, 동일해도 된다. p1 및 p2는, 0~4의 정수여도 되고, 1~4의 정수여도 된다.In formula (X), p1 and p2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n integer of 0 or more. p1 and p2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but may also be the same. p1 and p2 may be integers of 0 to 4, or may be integers of 1 to 4.

식 (X) 중, R1B, R1C, R1D, R1E, R1F, R2B, R2C, R2D, R2E, 및 R2F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6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R1B, R1C, R1D, R1E, R1F, R2B, R2C, R2D, R2E, 및 R2F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탄소 원자수 1~6의 알킬기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아이소프로필기, 뷰틸기, 아이소뷰틸기, s-뷰틸기, t-뷰틸기, 펜틸기, 헥실기 등을 들 수 있다. R1B, R1C, R1D, R1E, R1F, R2B, R2C, R2D, R2E, 및 R2F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3의 알킬기여도 되고, 수소 원자여도 된다.In formula (X), R 1B , R 1C , R 1D , R 1E , R 1F , R 2B , R 2C , R 2D , R 2E , and R 2F are each independently a hydrogen atom or a carbon atom of 1 to 1. Represents an alkyl group of 6. R 1B , R 1C , R 1D , R 1E , R 1F , R 2B , R 2C , R 2D , R 2E , and R 2F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Examples of alkyl groups having 1 to 6 carbon atoms include methyl, ethyl, propyl, isopropyl, butyl, isobutyl, s-butyl, t-butyl, pentyl, and hexyl groups. You can. R 1B , R 1C , R 1D , R 1E , R 1F , R 2B , R 2C , R 2D , R 2E , and R 2F may be a hydrogen atom or an alkyl group having 1 to 3 carbon atoms, or may be a hydrogen atom. .

일반식 (X)로 나타나는 에폭시 수지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PG-100, EG-200, CG-500(상품명, 모두 오사카 가스 케미컬 주식회사제) 등을 들 수 있다.Commercially available epoxy resins represented by general formula (X) include, for example, PG-100, EG-200, and CG-500 (brand names, all manufactured by Osaka Gas Chemical Co., Ltd.).

(A1) 성분의 에폭시 당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80~600g/eq, 100~500g/eq, 또는 200~400g/eq여도 된다. (A1) 성분의 에폭시 당량이 이와 같은 범위에 있으면, 보다 양호한 반응성 및 유동성이 얻어지는 경향이 있다.The epoxy equivalent of component (A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80 to 600 g/eq, 100 to 500 g/eq, or 200 to 400 g/eq. When the epoxy equivalent of component (A1) is within this range, better reactivity and fluidity tend to be obtained.

(A1) 성분의 함유량은, (A) 성분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40~100질량%여도 된다. (A1) 성분의 함유량이 이와 같은 범위에 있으면, 본 개시의 효과가 보다 현저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A1) 성분의 함유량은, (A) 성분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50질량% 이상, 60질량% 이상, 70질량% 이상, 또는 80질량% 이상이어도 된다.The content of component (A1) may be 40 to 100 mass% based on the total mass of component (A). When the content of component (A1) is within this range, the effec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end to appear more significantly. The content of component (A1) may be 50% by mass or more, 60% by mass or more, 70% by mass or more, or 80% by mass or more, based on the total mass of component (A).

(A1) 성분의 함유량은, 접착제층(15)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1질량% 이상, 3질량% 이상, 또는 5질량% 이상이어도 되고, 30질량% 이하, 20질량% 이하, 또는 15질량% 이하여도 된다. (A1) 성분의 함유량이, 접착제층(15)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1질량% 이상이면, 경화 후의 탄성률이 보다 우수한 경향이 있다. (A1) 성분의 함유량이, 접착제층(15)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30질량% 이하이면, 경화 전의 유연성이 보다 우수한 경향이 있다.The content of component (A1) may be 1 mass% or more, 3 mass% or more, or 5 mass% or more, and may be 30 mass% or less, 20 mass% or less, or It may be 15% by mass or less. If the content of component (A1) is 1% by mass or more based on the total mass of the adhesive layer 15, the elastic modulus after curing tends to be more excellent. If the content of component (A1) is 30% by mass or less based on the total mass of the adhesive layer 15, the flexibility before curing tends to be more excellent.

(A) 성분은, (A1) 성분에 더하여, 분자 내에 플루오렌 골격을 갖지 않는 에폭시 수지(이하, "(A2) 성분"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를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A2)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예를 들면,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S형 에폭시 수지; 페놀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크레졸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A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F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스틸벤형 에폭시 수지; 트라이아진 골격 함유 에폭시 수지; 트라이페놀메테인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 자일릴렌형 에폭시 수지; 바이페닐아랄킬형 에폭시 수지; 나프탈렌형 에폭시 수지; 다관능 페놀류, 안트라센 등의 다환 방향족류의 다이글리시딜에터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A2) 성분은, 크레졸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In addition to component (A1), component (A) may further contain an epoxy resin that does not have a fluorene skeleton in the molecule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as "component (A2)"). (A2) Examples of the component include bisphenol A type epoxy resin; Bisphenol F-type epoxy resin; Bisphenol S-type epoxy resin; Phenol novolac type epoxy resin; Cresol novolac type epoxy resin; Bisphenol A novolac type epoxy resin; Bisphenol F novolac type epoxy resin; Stilbene type epoxy resin; Epoxy resin containing a triazine skeleton; Triphenol methane type epoxy resin; Bisphenol type epoxy resin; Xylylene type epoxy resin; Biphenyl aralkyl type epoxy resin; Naphthalene type epoxy resin; Diglycidyl ether compounds of polycyclic aromatics such as polyfunctional phenols and anthracene can be mentioned. Among these, component (A2) may contain a cresol novolac type epoxy resin.

(A2) 성분의 에폭시 당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80~600g/eq, 100~500g/eq, 또는 200~400g/eq여도 된다. (A1) 성분의 에폭시 당량이 이와 같은 범위에 있으면, 보다 양호한 반응성 및 유동성이 얻어지는 경향이 있다.The epoxy equivalent of component (A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80 to 600 g/eq, 100 to 500 g/eq, or 200 to 400 g/eq. When the epoxy equivalent of component (A1) is within this range, better reactivity and fluidity tend to be obtained.

(A2) 성분의 함유량은, (A) 성분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0~60질량%여도 된다. (A2) 성분의 함유량은, (A) 성분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50질량% 이하, 40질량% 이하, 30질량% 이하, 또는 20질량% 이하여도 된다.The content of component (A2) may be 0 to 60% by mass based on the total mass of component (A). The content of component (A2) may be 50 mass% or less, 40 mass% or less, 30 mass% or less, or 20 mass% or less based on the total mass of component (A).

(A) 성분의 함유량은, 접착제층(15)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1질량% 이상, 3질량% 이상, 또는 5질량% 이상이어도 되고, 30질량% 이하, 20질량% 이하, 또는 15질량% 이하여도 된다. (A) 성분의 함유량이, 접착제층(15)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1질량% 이상이면, 경화 후의 탄성률이 보다 우수한 경향이 있다. (A) 성분의 함유량이, 접착제층(15)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30질량% 이하이면, 경화 전의 유연성이 보다 우수한 경향이 있다.The content of component (A) may be 1 mass% or more, 3 mass% or more, or 5 mass% or more, and may be 30 mass% or less, 20 mass% or less, or It may be 15% by mass or less. If the content of component (A) is 1% by mass or more based on the total mass of the adhesive layer 15, the elastic modulus after curing tends to be more excellent. If the content of component (A) is 30% by mass or less based on the total mass of the adhesive layer 15, the flexibility before curing tends to be more excellent.

(B) 성분: 경화제(B) Ingredient: Hardener

(A) 성분의 경화제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A) 성분이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1종 또는 2종 이상의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지는) 경우, (B)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페놀 수지, 에스터 화합물, 방향족 아민, 지방족 아민, 산무수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반응성 및 경시 안정성의 관점에서, (B) 성분은 페놀 수지여도 된다.As a curing agent for component (A), a commonly used curing agent can be used. When component (A) contains an epoxy resin (consisting of one or two or more types of epoxy resins), examples of component (B) include phenol resin, ester compound, aromatic amine, aliphatic amine, acid anhydride, etc. I can hear it. Among these, from the viewpoint of reactivity and stability over time, component (B) may be a phenol resin.

페놀 수지는, 분자 내에 페놀성 수산기를 갖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다. 페놀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페놀, 크레졸, 레조신, 카테콜, 비스페놀 A, 비스페놀 F, 페닐페놀, 아미노페놀 등의 페놀류 및/또는 α-나프톨, β-나프톨, 다이하이드록시나프탈렌 등의 나프톨류와 폼알데하이드 등의 알데하이드기를 갖는 화합물을 산성 촉매하에서 축합 또는 공축합시켜 얻어지는 노볼락형 페놀 수지, 알릴화 비스페놀 A, 알릴화 비스페놀 F, 알릴화 나프탈렌다이올, 페놀 노볼락, 페놀 등의 페놀류 및/또는 나프톨류와 다이메톡시파라자일렌 또는 비스(메톡시메틸)바이페닐로부터 합성되는 페놀아랄킬 수지, 나프톨아랄킬 수지, 바이페닐아랄킬형 페놀 수지, 페닐아랄킬형 페놀 수지 등을 들 수 있다.Phenol resins can be used without particular restrictions as long as they have a phenolic hydroxyl group in the molecule. Phenol resins include, for example, phenols such as phenol, cresol, resocin, catechol, bisphenol A, bisphenol F, phenylphenol, and aminophenol, and/or naphthols such as α-naphthol, β-naphthol, and dihydroxynaphthalene. Phenols such as allylated bisphenol A, allylated bisphenol F, allylated naphthalenediol, phenol novolac, phenol, etc., obtained by condensing or co-condensing compounds having an aldehyde group such as formaldehyde and formaldehyde under an acidic catalyst. /Or phenol aralkyl resin, naphthol aralkyl resin, biphenyl aralkyl type phenol resin, phenyl aralkyl type phenol resin, etc. synthesized from naphthols and dimethoxyparaxylene or bis(methoxymethyl)biphenyl. .

페놀 수지의 수산기 당량은, 70g/eq 이상 또는 70~300g/eq여도 된다. 페놀 수지의 수산기 당량이 70g/eq 이상이면, 저장 탄성률이 보다 향상되는 경향이 있고, 300g/eq 이하이면, 발포, 아웃 가스 등의 발생에 의한 트러블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e hydroxyl equivalent of the phenol resin may be 70 g/eq or more or 70 to 300 g/eq. If the hydroxyl equivalent of the phenol resin is 70 g/eq or more, the storage modulus tends to improve further, and if it is 300 g/eq or less, it becomes possible to prevent problems due to foaming and outgassing.

페놀 수지의 연화점은, 90℃ 이상이어도 되고, 95℃ 이상, 100℃ 이상, 105℃ 이상, 110℃ 이상, 또는 115℃ 이상이어도 된다. 페놀 수지의 연화점의 상한은, 예를 들면, 200℃ 이하여도 된다. 또한, 연화점이란, JIS K7234에 준거하며, 환구법에 의하여 측정되는 값을 의미한다.The softening point of the phenolic resin may be 90°C or higher, 95°C or higher, 100°C or higher, 105°C or higher, 110°C or higher, or 115°C or higher. The upper limit of the softening point of the phenol resin may be, for example, 200°C or lower. In addition, the softening point is based on JIS K7234 and means a value measured by the ring and ball method.

(B) 성분의 함유량은, 접착제층(15)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1질량% 이상, 2질량% 이상, 또는 3질량% 이상이어도 되고, 20질량% 이하, 15질량% 이하, 또는 10질량% 이하여도 된다.The content of component (B) may be 1 mass% or more, 2 mass% or more, or 3 mass% or more, and may be 20 mass% or less, 15 mass% or less, or It may be 10% by mass or less.

(A) 성분이 에폭시 수지이고, (B) 성분이 페놀 수지인 경우,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 당량과 페놀 수지의 수산기 당량의 비(에폭시 수지의 에폭시 당량/페놀 수지의 수산기 당량)는, 경화성의 관점에서, 0.30/0.70~0.70/0.30, 0.35/0.65~0.65/0.35, 0.40/0.60~0.60/0.40, 또는 0.45/0.55~0.55/0.45여도 된다. 당해 당량비가 0.30/0.70 이상이(에폭시 수지의 에폭시 당량이 0.30 이상이)면, 보다 충분한 경화성이 얻어지는 경향이 있다. 당해 당량비가 0.70/0.30 이하이(에폭시 수지의 에폭시 당량이 0.70 이하이)면, 점도가 과도하게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보다 충분한 유동성을 얻을 수 있다.When the component (A) is an epoxy resin and the component (B) is a phenol resin, the ratio of the epoxy equivalent of the epoxy resin and the hydroxyl equivalent of the phenol resin (epoxy equivalent of the epoxy resin/hydroxyl equivalent of the phenol resin) is from the viewpoint of curability. It may be 0.30/0.70~0.70/0.30, 0.35/0.65~0.65/0.35, 0.40/0.60~0.60/0.40, or 0.45/0.55~0.55/0.45. If the equivalence ratio is 0.30/0.70 or more (the epoxy equivalent of the epoxy resin is 0.30 or more), more sufficient curability tends to be obtained. If the equivalence ratio is 0.70/0.30 or less (the epoxy equivalent of the epoxy resin is 0.70 or less), excessive increase in viscosity can be prevented and more sufficient fluidity can be obtained.

(A) 성분 및 (B) 성분의 합계의 함유량은, 접착제층(15)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1질량% 이상, 5질량% 이상, 또는 10질량% 이상이어도 된다. (A) 성분 및 (B) 성분의 합계의 함유량이 이와 같은 범위에 있으면, 접착성이 보다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A) 성분 및 (B) 성분의 합계의 함유량은, 취급성의 관점에서, 접착제층(15)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40질량% 이하, 30질량% 이하, 또는 20질량% 이하여도 된다.The total content of component (A) and component (B) may be 1% by mass or more, 5% by mass or more, or 10% by mass or more based on the total mass of the adhesive layer 15. When the total content of component (A) and component (B) is within this range, adhesiveness tends to improve further. The total content of component (A) and component (B) may be 40% by mass or less, 30% by mass or less, or 20% by mass or less based on the total mass of the adhesive layer 15 from the viewpoint of handleability. .

(C) 성분: 엘라스토머(C) Ingredient: Elastomer

(C)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 폴리에스터 수지, 폴리아마이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실리콘 수지, 뷰타다이엔 수지; 이들 수지의 변성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C) 성분은, 이온성 불순물이 적고 내열성이 보다 우수한 점, 반도체 장치의 접속 신뢰성을 보다 확보하기 쉬운 점, 유동성이 보다 우수한 점에서, (메트)아크릴산 에스터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주성분으로서 갖는 아크릴 수지(아크릴 고무)여도 된다. (C) 성분에 있어서의 (메트)아크릴산 에스터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함유량은, 구성 단위 전량을 기준으로 하여, 예를 들면, 70질량% 이상, 80질량% 이상, 또는 90질량% 이상이어도 된다. 아크릴 수지(아크릴 고무)는, 에폭시기, 알코올성 또는 페놀성 수산기, 카복실기 등의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터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C) As a component, for example, acrylic resin, polyester resin, polyamide resin, polyimide resin, silicone resin, butadiene resin; Modified forms of these resins, etc. can be mentioned. These may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Among these, component (C) contains structural units derived from (meth)acrylic acid ester because it contains fewer ionic impurities, has better heat resistance, is easier to ensure connection reliability of semiconductor devices, and has better fluidity. An acrylic resin (acrylic rubber) may be used as the main component. The content of the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meth)acrylic acid ester in component (C) may be, for example, 70% by mass or more, 80% by mass or more, or 90% by mass or more,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structural units. . The acrylic resin (acrylic rubber) may contain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meth)acrylic acid ester having a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such as an epoxy group, alcoholic or phenolic hydroxyl group, or carboxyl group.

(C) 성분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5℃ 이상이어도 되고, 10℃ 이상이어도 된다. (C) 성분의 Tg가 5℃ 이상이면, 접착제층(15)의 접착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나아가서는, 접착제층(15)의 유연성이 과도하게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이로써, 웨이퍼 다이싱 시에 접착제층(15)을 절단하기 쉬워지고, 버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 성분의 Tg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55℃ 이하, 50℃ 이하, 45℃ 이하, 40℃ 이하, 35℃ 이하, 30℃ 이하, 또는 25℃ 이하여도 된다. (C) 성분의 Tg가 55℃ 이하이면, 접착제층(15)의 유연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이로써, 접착제층(15)을 웨이퍼에 첩부할 때에, 보이드를 충분히 매립시키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 웨이퍼의 밀착성의 저하에 의한 다이싱 시의 치핑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유리 전이 온도(Tg)는, DSC(열시차 주사 열량계)(예를 들면, 주식회사 리가쿠제, Thermo Plus 2)를 이용하여 측정한 값을 의미한다. (C) 성분의 Tg는, (C) 성분을 구성하는 구성 단위((C) 성분이 아크릴 수지(아크릴 고무)인 경우, (메트)아크릴산 에스터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종류 및 함유량을 조정함으로써, 원하는 범위로 조정할 수 있다.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component (C) may be 5°C or higher and may be 10°C or higher. When the Tg of component (C) is 5°C or higher, it become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adhesiveness of the adhesive layer 15, and further tends to prevent the flexibility of the adhesive layer 15 from becoming excessively high. . This makes it easier to cut the adhesive layer 15 during wafer dicing and prevents the generation of burrs. The upper limit of Tg of component (C)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for example, 55°C or lower, 50°C or lower, 45°C or lower, 40°C or lower, 35°C or lower, 30°C or lower, or 25°C or lower. If the Tg of component (C) is 55°C or lower, there is a tendency to suppress a decrease in the flexibility of the adhesive layer 15. Accordingly, when attaching the adhesive layer 15 to the wafer, it tends to be easy to sufficiently fill voids. Additionally, it is possible to prevent chipping during dicing due to a decrease in adhesion to the wafer. Here,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means a value measured using a 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for example, Thermo Plus 2, manufactured by Rigaku Co., Ltd.). The Tg of component (C) is determined by adjusting the type and content of the structural units constituting component (C) (when component (C) is an acrylic resin (acrylic rubber), structural units derived from (meth)acrylic acid ester). , can be adjusted to the desired range.

(C) 성분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10만 이상, 30만 이상, 또는 50만 이상이어도 되고, 300만 이하, 200만 이하, 또는 100만 이하여도 된다. (C) 성분의 Mw가 이와 같은 범위에 있으면, 필름 형성성, 필름 강도, 가요성, 택성 등을 적절히 제어할 수 있음과 함께, 리플로성이 우수하여, 매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Mw는, 젤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GPC)로 측정하고, 표준 폴리스타이렌에 의한 검량선을 이용하여 환산한 값을 의미한다.(C)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component may be 100,000 or more, 300,000 or more, or 500,000 or more, and may be 3 million or less, 2 million or less, or 1 million or less. When the Mw of component (C) is in this range, film formation properties, film strength, flexibility, tackiness, etc. can be appropriately controlled, and reflow properties are excellent and embedding properties can be improved. Here, Mw means a value measured by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and converted using a calibration curve using standard polystyrene.

(C) 성분의 시판품으로서는, SG-P3, SG-80H(모두 나가세 켐텍스 주식회사제), KH-CT-865(히타치 가세이 주식회사제) 등을 들 수 있다.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of component (C) include SG-P3, SG-80H (all manufactured by Nagase Chemtex Corporation), and KH-CT-865 (manufactured by Hitachi Kasei Corporation).

(C) 성분의 함유량은, 접착제층(15)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30질량% 이상, 40질량% 이상, 또는 45질량% 이상이어도 된다. (C) 성분의 함유량이 이와 같은 범위에 있으면, 박막 도공성이 보다 우수한 경향이 있다. (C) 성분의 함유량은, 접착제층(15)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80질량% 이하, 70질량% 이하, 또는 65질량% 이하여도 된다. (C) 성분의 함유량이 이와 같은 범위에 있으면, (A) 성분 및 (B) 성분의 함유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다른 특성과의 양립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The content of component (C) may be 30% by mass or more, 40% by mass or more, or 45% by mass or more based on the total mass of the adhesive layer 15. When the content of component (C) is within this range, thin film coatability tends to be more excellent. The content of component (C) may be 80 mass% or less, 70 mass% or less, or 65 mass% or less based on the total mass of the adhesive layer 15. If the content of component (C) is within this range, the content of component (A) and (B) can be sufficiently secured, and there is a tendency for it to be compatible with other properties.

(D) 성분: 무기 필러(D) Ingredient: Inorganic filler

(D)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수산화 알루미늄, 수산화 마그네슘, 탄산 칼슘, 탄산 마그네슘, 규산 칼슘, 규산 마그네슘, 산화 칼슘, 산화 마그네슘, 산화 알루미늄, 질화 알루미늄, 붕산 알루미늄 위스커, 질화 붕소, 실리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D) 성분은, 용융 점도의 조정의 관점에서, 실리카여도 된다. (D) 성분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구상(球狀)이어도 된다.(D) Components include, for example, aluminum hydroxide, magnesium hydroxide, calcium carbonate, magnesium carbonate, calcium silicate, magnesium silicate, calcium oxide, magnesium oxide, aluminum oxide, aluminum nitride, aluminum borate whisker, boron nitride, silica, etc. I can hear it. These may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Among these, component (D) may be silica from the viewpoint of adjustment of melt viscosity. The shape of the component (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spherical.

(D) 성분의 평균 입경은, 유동성 및 저장 탄성률의 관점에서, 0.7μm 이하여도 되고, 0.6μm 이하, 또는 0.5μm 이하여도 된다. (D) 성분의 평균 입경은, 예를 들면, 0.01μm 이상이어도 된다. 여기에서, 평균 입경은, BET 비표면적으로부터 환산함으로써 구해지는 값을 의미한다.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component (D) may be 0.7 μm or less, 0.6 μm or less, or 0.5 μm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fluidity and storage modulus. (D)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component may be, for example, 0.01 μm or more. Here,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means a value obtained by converting from the BET specific surface area.

(D) 성분의 함유량은, 접착제층(15)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60질량% 이하, 50질량% 이하, 또는 45질량% 이하여도 된다. (D) 성분의 함유량이 이와 같은 범위에 있으면, 박막 도공성이 보다 우수한 경향이 있다. (D) 성분의 함유량은, 접착제층(15)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10질량% 이상, 15질량% 이상, 또는 20질량% 이상이어도 된다.The content of component (D) may be 60 mass% or less, 50 mass% or less, or 45 mass% or less based on the total mass of the adhesive layer 15. When the content of component (D) is within this range, thin film coatability tends to be more excellent. The content of component (D) may be 10 mass% or more, 15 mass% or more, or 20 mass% or more based on the total mass of the adhesive layer 15.

(E) 성분: 커플링제(E) Ingredient: Coupling agent

(E) 성분은, 실레인 커플링제여도 된다. 실레인 커플링제로서는, 예를 들면, γ-유레이도프로필트라이에톡시실레인, γ-머캅토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 3-페닐아미노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 3-(2-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 등을 들 수 있다.(E) The component may be a silane coupling agent. As silane coupling agents, for example, γ-ureidopropyltriethoxysilane, γ-mercaptopropyltrimethoxysilane, 3-phenylaminopropyltrimethoxysilane, 3-(2-aminoethyl) ) Aminopropyl trimethoxysilane, etc. can be mentioned.

(F) 성분: 경화 촉진제(F) Ingredient: Curing accelerator

(F)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이미다졸류 및 그 유도체, 유기 인계 화합물, 제2급 아민류, 제3급 아민류, 제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반응성의 관점에서 (F) 성분은 이미다졸류 및 그 유도체여도 된다.Examples of the component (F) include imidazoles and their derivatives, organophosphorus compounds, secondary amines, tertiary amines, and quaternary ammonium salts. These may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Among these, from the viewpoint of reactivity, the (F) component may be imidazoles or their derivatives.

이미다졸류로서는, 예를 들면, 2-메틸이미다졸, 1-벤질-2-메틸이미다졸, 1-사이아노에틸-2-페닐이미다졸, 1-사이아노에틸-2-메틸이미다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Examples of imidazole include 2-methylimidazole, 1-benzyl-2-methylimidazole, 1-cyanoethyl-2-phenylimidazole, and 1-cyanoethyl-2-methyl. Midazole, etc. can be mentioned. These may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접착제층(15)은, 그 외의 성분을 더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그 외의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안료, 이온 포착제, 산화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The adhesive layer 15 may further contain other components. Other components include, for example, pigments, ion trapping agents, antioxidants, etc.

(E) 성분, (F) 성분, 및 그 외의 성분의 합계의 함유량은, 접착제층(15)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0.1질량% 이상, 0.3질량% 이상, 또는 0.5질량% 이상이어도 되고, 20질량% 이하, 10질량% 이하, 또는 5질량% 이하여도 된다.The total content of component (E), component (F), and other components may be 0.1 mass% or more, 0.3 mass% or more, or 0.5 mass% or more, based on the total mass of the adhesive layer 15. , it may be 20 mass% or less, 10 mass% or less, or 5 mass% or less.

<반도체 장치><Semiconductor device>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반도체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반도체 장치(50)는, 기판(30)과, 기판(30)의 표면 상에 적층된 4개의 칩(C1, C2, C3, C4)과, 기판(30)의 표면 상의 전극(도시하지 않음)과 4개의 칩(C1, C2, C3, C4)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와이어(W1, W2, W3, W4)와, 이들을 밀봉하고 있는 밀봉층(35)을 구비한다.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semiconductor device 50 shown in this figure includes a substrate 30, four chips (C1, C2, C3, C4) stacked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30, and an electrode ( (not shown), wires (W1, W2, W3, W4) that electrically connect four chips (C1, C2, C3, C4), and a sealing layer (35) that seals them.

기판(30)은, 예를 들면, 유기 기판이며, 리드 프레임 등의 금속 기판이어도 된다. 반도체 장치(50)의 휨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기판(30)의 두께는, 예를 들면, 70~140μm이며, 80~100μm여도 된다.The substrate 30 is, for example, an organic substrate, or may be a metal substrate such as a lead frame. From the viewpoint of suppressing warping of the semiconductor device 50,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30 is, for example, 70 to 140 μm, and may be 80 to 100 μm.

4개의 칩(C1, C2, C3, C4)은, 접착제편(15p)의 경화물(15c)을 개재하여 적층되어 있다. 평면시(平面視)에 있어서의 칩(C1, C2, C3, C4)의 형상은, 예를 들면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이다. 평면시에 있어서의 칩(C1, C2, C3, C4)의 면적은 30~250mm2이며, 40~200mm2 또는 50~150mm2여도 된다. 평면시에 있어서의 칩(C1, C2, C3, C4)의 한 변의 길이는, 예를 들면, 6.0mm 이상이며, 7.0~18mm 또는 8.0~15mm여도 된다. 칩(C1, C2, C3, C4)의 두께는, 예를 들면, 10~150μm이며, 20~80μm여도 된다. 또한, 4개의 칩(C1, C2, C3, C4)의 한 변의 길이는 동일해도 되고, 서로 상이해도 되며, 두께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 4개의 칩(C1, C2, C3, C4)은 비교적 사이즈가 작은 것이어도 된다. 즉, 칩(C1, C2, C3, C4)의 면적은, 30mm2 미만이어도 되고, 예를 들면, 0.1~20mm2 또는 1~15mm2여도 된다.The four chips C1, C2, C3, and C4 are stacked with the cured product 15c of the adhesive piece 15p interposed therebetween. The shape of the chips C1, C2, C3, and C4 in plan view is, for example, a square or rectangle. The area of the chips (C1, C2, C3, C4) in plan view is 30 to 250 mm 2 , and may be 40 to 200 mm 2 or 50 to 150 mm 2 . The length of one side of the chips C1, C2, C3, and C4 in plan view is, for example, 6.0 mm or more, and may be 7.0 to 18 mm or 8.0 to 15 mm. The thickness of the chips C1, C2, C3, and C4 is, for example, 10 to 150 μm, and may be 20 to 80 μm. Additionally, the length of one side of the four chips (C1, C2, C3, C4)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thickness is also the same. Additionally, the four chips (C1, C2, C3, C4) may be relatively small in size. That is, the area of the chips C1, C2, C3, and C4 may be less than 30 mm 2 , for example, 0.1 to 20 mm 2 or 1 to 15 mm 2 .

<접착제편 부착 칩><Adhesive piece attachment chip>

도 4는 접착제편 부착 칩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접착제편 부착 칩(25)은, 접착제편(15p)과 칩(C)으로 이루어진다. 이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착제편(15p)과 칩(C1)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사이즈이다. 이것은, 접착제편(15p)과 칩(C2, C3, C4)에 대해서도 동일하다.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chip with an adhesive piece attached. The chip 25 with an adhesive piece shown in FIG. 4 consists of an adhesive piece 15p and a chip C. As shown in this figure, the adhesive piece 15p and the chip C1 are substantially the same size. This is the same for the adhesive piece 15p and the chips C2, C3, and C4.

접착제편 부착 칩(25)의 제작 방법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웨이퍼(W)의 회로면(Wa)에 보호 필름(BG 테이프라고도 칭해진다)을 첩부한다. 웨이퍼(W)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복수 개의 절단 예정 라인(L)을 형성한다(스텔스 다이싱). 그 후, 필요에 따라, 웨이퍼(W)에 대하여 백그라인딩 및 폴리싱의 처리를 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레이저에 의한 스텔스 다이싱을 예시했지만, 이것 대신에, 블레이드에 의하여 웨이퍼(W)를 하프 커팅해도 된다. 하프 컷은, 웨이퍼(W)를 절단하는 것이 아니라, 웨이퍼(W)의 절단 예정 라인(L)에 대응한 노치를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웨이퍼(W)는, 단결정 실리콘이어도 되고, 다결정 실리콘, 각종 세라믹, 갈륨 비소 등의 화합물 반도체여도 된다.An example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adhesive piece attachment chip 25 will be described. First, a protective film (also called BG tape) is attached to the circuit surface Wa of the wafer W. A laser is irradiated to the wafer W to form a plurality of cutting lines L (stealth dicing). Thereafter, if necessary, the wafer W is subjected to backgrinding and polishing. Additionally, although stealth dicing using a laser is exemplified here, the wafer W may be half cut using a blade instead of this. Half cut means not cutting the wafer W, but forming a notch corresponding to the cutting line L of the wafer W. The wafer W may be single crystal silicon, polycrystalline silicon, various ceramics, or a compound semiconductor such as gallium arsenide.

이어서,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웨이퍼(W)의 이면(Wb)에 접착제층(15)이 접하도록 필름(20)을 첩부한다. 또, 점착제층(13)의 둘레 가장자리부(13a)에 대하여 다이싱 링(DR)을 첩부한다. 그 후, 0~-15℃의 온도 조건하에서의 냉각 익스팬드에 의하여, 웨이퍼(W) 및 접착제층(15)을 개편화한다. 즉,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 필름(11)에 있어서의 다이싱 링(DR)의 내측 영역(11a)을 링(Ra)으로 밀어 올림으로써 기재 필름(11)에 장력을 부여한다. 이로써, 웨이퍼(W)가 절단 예정 라인(L)에 따라 분단됨과 함께, 이에 따라 접착제층(15)은 접착제편(15p)으로 분단된다. 점착제층(13)의 표면 상에 복수의 접착제편 부착 칩(25)이 얻어진다. 접착제편 부착 칩(25)은, 칩(C)과, 접착제편(15p)에 의하여 구성된다.Next, as shown in FIG. 5(a), the film 20 is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Wb of the wafer W so that the adhesive layer 15 is in contact with it. Additionally, a dicing ring DR is attached to the peripheral edge portion 13a of the adhesive layer 13. Thereafter, the wafer W and the adhesive layer 15 are separated into individual pieces by cooling expand under temperature conditions of 0 to -15°C. That is, as shown in FIG. 5(b), tension is applied to the base film 11 by pushing up the inner region 11a of the dicing ring DR in the base film 11 with the ring Ra. Grant. As a result, the wafer W is divided along the cutting line L, and the adhesive layer 15 is divided into adhesive pieces 15p. A plurality of adhesive piece attachment chips 25 are obtained on the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13. The chip 25 with the adhesive piece is comprised of the chip C and the adhesive piece 15p.

기재 필름(11)에 있어서의 다이싱 링(DR)의 내측 영역(11a)을 가열함으로써 내측 영역(11a)을 수축시킨다. 도 6의 (a)는, 히터(H)의 블로에 의하여 내측 영역(11a)을 가열하고 있는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내측 영역(11a)을 환 형상으로 수축시켜 기재 필름(11)에 장력을 부여함으로써, 인접하는 접착제편 부착 칩(25)의 간격을 넓힐 수 있다. 이로써, 픽업 에러의 발생을 보다 더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픽업 공정에 있어서의 접착제편 부착 칩(25)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By heating the inner region 11a of the dicing ring DR in the base film 11, the inner region 11a is contracted. FIG. 6(a)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ner region 11a being heated by the blow of the heater H. By shrinking the inner region 11a into an annular shape and applying tension to the base film 11, the gap between adjacent adhesive piece attachment chips 25 can be widened. As a result, the occurrence of pickup errors can be further suppressed, and the visibility of the chip 25 with adhesive pieces in the pickup process can be improved.

이어서,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활성화 에너지(예를 들면, 자외선 UV)의 조사에 의하여 점착제층(13)의 점착력을 저하시킨다. 점착제층(13)에 대한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량은, 예를 들면, 10~1000mJ/cm2이고, 100~700mJ/cm2 또는 200~500mJ/cm2여도 된다. 그 후, 도 6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밀어 올림 지그(42)로 접착제편 부착 칩(25)을 밀어 올림으로써 점착제층(13)으로부터 접착제편 부착 칩(25)을 박리시킴과 함께, 접착제편 부착 칩(25)을 흡인 콜릿(44)으로 흡인하여 픽업한다.Next, as shown in Figure 6(b),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adhesive layer 13 is reduced by irradiation of activation energy (for example, ultraviolet UV). The irradiation amount of active energy rays to the adhesive layer 13 is, for example, 10 to 1000 mJ/cm 2 , and may be 100 to 700 mJ/cm 2 or 200 to 500 mJ/cm 2 . Thereafter, as shown in (c) of FIG. 6, the chip 25 with the adhesive piece is pushed up with the pushing jig 42, thereby peeling the chip with the adhesive piece 25 from the adhesive layer 13. , the adhesive piece attachment chip 25 is picked up by suction with the suction collet 44.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s>

반도체 장치(50)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7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30)의 표면 상에 1단째의 칩(C1)을 압착한다. 즉, 접착제편 부착 칩(25)의 접착제편(15p)을 개재하여 칩(C1)을 기판(30)의 소정의 위치에 압착한다. 이 압착 처리는, 예를 들면, 80~180℃, 0.01~0.50MPa의 조건에서, 0.5~3.0초간에 걸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가열에 의하여 접착제편(15p)을 경화시킨다. 이 경화 처리는, 예를 들면, 60~175℃, 0.01~1.0MPa의 조건에서, 5분간 이상에 걸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접착제편(15p)이 경화되어 경화물(15c)이 된다. 접착제편(15p)의 경화 처리는, 보이드의 저감의 관점에서, 가압 분위기하에서 실시해도 된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emiconductor device 50 will be described. First, as shown in (a) of FIG. 7, the first stage chip C1 is pressed onto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30. That is, the chip C1 is press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substrate 30 via the adhesive piece 15p of the chip 25 with adhesive piece attached. This compression treatment is preferably performed for 0.5 to 3.0 seconds under conditions of, for example, 80 to 180°C and 0.01 to 0.50 MPa. Next, the adhesive piece 15p is hardened by heating. This curing treatment is preferably performed for 5 minutes or more under conditions of, for example, 60 to 175°C and 0.01 to 1.0 MPa. As a result, the adhesive piece 15p hardens to become the cured product 15c. The curing treatment of the adhesive piece 15p may be performed in a pressurized atmosphere from the viewpoint of reducing voids.

기판(30)에 대한 칩(C1)의 설치와 동일하게 하여, 칩(C1)의 표면 상에 2단째의 칩(C2)을 설치한다. 3단째 및 4단째의 칩(C3, C4)을 더 설치함으로써 도 7의 (b)에 나타내는 구조체(40)가 제작된다. 칩(C1, C2, C3, C4)과 기판(30)을 와이어(W1, W2, W3, W4)로 전기적으로 접속한 후, 밀봉층(35)에 의하여 칩 및 와이어를 밀봉함으로써 도 3에 나타내는 반도체 장치(50)가 완성된다.In the same manner as the installation of the chip C1 on the substrate 30, the second level chip C2 is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chip C1. The structure 40 shown in (b) of FIG. 7 is manufactured by further installing the third and fourth rows of chips C3 and C4. Afte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hips C1, C2, C3, C4 and the substrate 30 with wires W1, W2, W3, W4, the chips and wires are sealed with the sealing layer 35, as shown in FIG. The semiconductor device 50 is completed.

이상,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스텔스 다이싱에 의하여 웨이퍼(W)를 개편화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웨이퍼(W)를 개편화해도 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For example, in the above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wafer W is divided into pieces by stealth dicing is illustrated, but the wafer W may be divided into pieces using a blade.

실시예Example

이하, 본 개시에 대하여, 실시예에 근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특별히 설명이 없는 한, 약품은 모두 시약을 사용했다.Hereinafter,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Additionally, unless otherwise specified, all drugs were reagents.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Examples 1 and 2 a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접착제 바니시의 조제><Preparation of adhesive varnish>

표 1에 나타내는 성분 및 함유량(단위: 질량부)으로, (A) 성분, (B) 성분, 및 (D)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에 사이클로헥산온을 더하여, 교반 혼합했다. 이것에, 표 1에 나타내는 성분 및 함유량(단위: 질량부)으로, (C) 성분을 더하여 교반하고, (E) 성분 및 (F) 성분을 더 더하여, 각 성분이 균일하게 될 때까지 교반하여, 접착제 바니시를 조제했다. 또한, 표 1에 나타내는 각 성분은 하기의 것을 의미하고, 표 1에 나타내는 수치는 고형분의 질량부를 의미한다.Cyclohexanone was added to the mixture consisting of component (A), component (B), and component (D) with the components and contents (unit: mass part) shown in Table 1, and the mixture was stirred and mixed. To this, component (C) was added and stirred in the components and contents (unit: parts by mass) shown in Table 1, then component (E) and component (F) were further added, and stirred until each component became uniform. , prepared an adhesive varnish. In addition, each component shown in Table 1 means the following, and the numerical value shown in Table 1 means the mass part of solid content.

(A) 성분: 에폭시 수지(A) Ingredient: Epoxy resin

(A1) 성분: 플루오렌 골격을 갖는 에폭시 수지(A1) Component: Epoxy resin having a fluorene skeleton

(A1-1) PG-100(상품명, 오사카 가스 케미컬 주식회사제, 플루오렌 골격을 갖는 에폭시 수지, 에폭시 당량: 260g/eq)(A1-1) PG-100 (brand name, manufactured by Osaka Gas Chemical Co., Ltd., epoxy resin with a fluorene skeleton, epoxy equivalent weight: 260 g/eq)

(A1-2) CG-500(상품명, 오사카 가스 케미컬 주식회사제, 플루오렌 골격을 갖는 에폭시 수지, 에폭시 당량: 310g/eq)(A1-2) CG-500 (brand name, manufactured by Osaka Gas Chemical Co., Ltd., epoxy resin with a fluorene skeleton, epoxy equivalent weight: 310 g/eq)

(A2) 성분: 플루오렌 골격을 갖지 않는 에폭시 수지(A2) Component: Epoxy resin without fluorene skeleton

(A2-1) N-500P-10(상품명, DIC 주식회사제, o-크레졸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에폭시 당량: 204g/eq)(A2-1) N-500P-10 (brand name, manufactured by DIC Corporation, o-cresol novolac type epoxy resin, epoxy equivalent weight: 204 g/eq)

(A2-2) EXA-830CRP(상품명, 신닛테츠 수미킨 가가쿠 주식회사제,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 에폭시 당량: 159g/eq)(A2-2) EXA-830CRP (brand name, Shin-Niptetsu Sumikin Chemical Co., Ltd., bisphenol F-type epoxy resin, epoxy equivalent weight: 159 g/eq)

(B) 성분: 경화제(B) Ingredient: Hardener

(B-1) PSM-4326(상품명, 군에이 가가쿠 고교 주식회사제, 페놀 노볼락형 페놀 수지, 수산기 당량: 105g/eq, 연화점: 118~122℃)(B-1) PSM-4326 (brand name, Gunei Kagaku Kogyo Co., Ltd., phenol novolac type phenolic resin, hydroxyl equivalent weight: 105 g/eq, softening point: 118 to 122°C)

(B-2) GPH-103(상품명, 닛폰 가야쿠 주식회사제, 페닐아랄킬형 페놀 수지, 수산기 당량: 220~240g/eq, 연화점: 99~106℃)(B-2) GPH-103 (brand name, manufactured by Nippon Kayaku Co., Ltd., phenylaralkyl type phenol resin, hydroxyl equivalent weight: 220 to 240 g/eq, softening point: 99 to 106°C)

(B-3) MEH-7800M(상품명, 메이와 가세이 주식회사제, 페놀 노볼락형 페놀 수지, 수산기 당량: 175g/eq, 연화점: 78℃)(B-3) MEH-7800M (brand name, Meiwa Kasei Co., Ltd., phenol novolak-type phenol resin, hydroxyl equivalent weight: 175 g/eq, softening point: 78°C)

(C) 성분: 엘라스토머(C) Ingredient: Elastomer

(C-1) 아크릴 고무의 메틸에틸케톤 용액(SG-P3(상품명, 나가세 켐텍스 주식회사제)의 아크릴 고무에 있어서, 당해 아크릴 고무의 구성 단위의 일부를 변경한 아크릴 고무, 중량 평균 분자량: 80만, Tg: 12℃)(C-1) Methyl ethyl ketone solution of acrylic rubber (SG-P3 (trade name, manufactured by Nagase Chemtex Co., Ltd.)), an acrylic rubber in which some of the structural units of the acrylic rubber have been changed,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80 Only, Tg: 12℃)

(D) 성분: 무기 필러(D) Ingredient: Inorganic filler

(D-1) R972(상품명, 닛폰 에어로질 주식회사제, 실리카 입자, 평균 입경: 0.016μm)(D-1) R972 (brand name, Nippon Aerosil Co., Ltd., silica particles, average particle size: 0.016 μm)

(D-2) SC2050-HLG(상품명, 아드마텍스 주식회사제, 실리카 필러 분산액, 평균 입경: 0.50μm)(D-2) SC2050-HLG (brand name, Admatex Co., Ltd., silica filler dispersion, average particle size: 0.50 μm)

(D-3) 시작품(試作品) 실리카 필러(시작품, 아드마텍스 주식회사제, 실리카 필러 분산액, 평균 입경: 0.2μm)(D-3) Prototype silica filler (prototype, manufactured by Admatex Co., Ltd., silica filler dispersion, average particle size: 0.2 μm)

(E) 성분: 커플링제(E) Ingredient: Coupling agent

(E-1) Y-9669(상품명, 모멘티브·퍼포먼스·머티리얼즈·재팬제, 3-페닐아미노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E-1) Y-9669 (brand name,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Japan product, 3-phenylaminopropyltrimethoxysilane)

(E-2) A-189(상품명, 닛폰 유니카 주식회사제, γ-머캅토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E-2) A-189 (brand name, Nippon Unica Co., Ltd., γ-mercaptopropyltrimethoxysilane)

(E-3) Z-6119(상품명, 도레이·다우코닝 주식회사제, 유레이도프로필트라이에톡시실레인)(E-3) Z-6119 (brand name, Toray Dow Corning Co., Ltd., Ureidopropyltriethoxysilane)

(F) 성분: 경화 촉진제(F) Ingredient: Curing accelerator

(F-1) 2PZ-CN(상품명, 시코쿠 가세이 고교 주식회사제, 1-사이아노에틸-2-페닐이미다졸)(F-1) 2PZ-CN (brand name, Shikoku Kasei Kogyo Co., Ltd., 1-cyanoethyl-2-phenylimidazole)

[표 1][Table 1]

<접착 필름의 제작><Production of adhesive film>

제작한 접착제 바니시를 100메시의 필터로 여과하고, 진공 탈포했다. 지지 필름으로서, 두께 38μm의 이형 처리를 실시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을 준비하고, 진공 탈포 후의 접착제 바니시를 PET 필름 상에 도포했다. 도포한 접착제 바니시를, 90℃에서 5분, 계속해서 130℃에서 5분의 2단계로 가열 건조하여, B 스테이지 상태에 있는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의 접착 필름(두께: 10μm)을 얻었다.The produced adhesive varnish was filtered through a 100 mesh filter and vacuum degassed. As a support film, a 38-μm-thick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ilm subjected to release treatment was prepared, and the adhesive varnish after vacuum defoaming was applied onto the PET film. The applied adhesive varnish was heated and dried in two stages: at 90°C for 5 minutes and then at 130°C for 5 minutes to form adhesive films of Examples 1 and 2 a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in the B stage (thickness: 10 μm). ) was obtained.

<다이싱 필름의 제작><Production of dicing film>

[아크릴 공중합체의 합성][Synthesis of acrylic copolymer]

이하의 성분을 원료로 하고, 용매에는 아세트산 에틸을 이용하여, 용액 라디칼 중합에 의하여 공중합체를 얻었다.A copolymer was obtained by solution radical polymerization using the following components as raw materials and ethyl acetate as the solvent.

·아크릴산 2-에틸헥실: 78질량부2-Ethylhexyl acrylic acid: 78 parts by mass

·아크릴산 2-하이드록시에틸: 20질량부· 2-Hydroxyethyl acrylic acid: 20 parts by mass

·메타크릴산: 2질량부·Methacrylic acid: 2 parts by mass

이 아크릴 공중합체에 대하여,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아이소사이아네이트를, 8질량부 반응시켜,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방사선 반응형 아크릴 공중합체를 합성했다. 상기의 반응에 있어서는, 중합 금지제로서 하이드로퀴논·모노메틸에터를 0.05질량부 이용했다. 합성한 아크릴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GPC에 의하여 측정한 결과, 80만이었다.With respect to this acrylic copolymer, 8 parts by mass of 2-methacryloyloxyethyl isocyanate was reacted to synthesize a radiation-reactive acrylic copolymer having a carbon-carbon double bond. In the above reaction, 0.05 parts by mass of hydroquinone monomethyl ether was used as a polymerization inhibitor.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synthesized acrylic copolymer was measured by GPC and was found to be 800,000.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아크릴 공중합체와, 경화제로서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닛폰 폴리유레테인사제, 상품명: 콜로네이트 L)을 고형분 환산으로 8.0질량부와, 광중합 개시제로서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 0.5질량부를 혼합하여,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 용액을 조제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 용액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 박리 필름(두께: 38μm) 상에, 건조 후의 두께가 10μm가 되도록 도포·건조했다. 그 후, 점착제층에, 편면에 코로나 방전 처리가 실시된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분자 간을 금속 이온으로 가교한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하이밀란 1855, 두께 90μm)을 첩합했다. 첩합한 시료를 40℃의 항온조에서 72시간 에이징을 행하여, 다이싱 필름을 제작했다.The acrylic copolymer obtained in this way, 8.0 parts by mass of a polyisocyanate compound (manufactured by Nippon Polyurethane, brand name: Colonate L) as a curing agent in terms of solid content, and 1-hydroxycyclohexylphenyl as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0.5 parts by mass of ketone was mixed to prepare a radiation-curing adhesive solution. Next, the radiation-curing adhesive solution obtained as described above was applied and dried on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lease film (thickness: 38 μm) so that the thickness after drying was 10 μm. After that, an ionomer resin film (Himilan 1855, 90 μm thick) obtained by crosslinking the intermolecular elements of an ethylene-methacrylic acid copolymer that had undergone corona discharge treatment on one side with metal ions was bonded to the adhesive layer. The bonded sample was aged in a constant temperature bath at 40°C for 72 hours to produce a dicing film.

<다이싱·다이본딩 일체형 필름의 제작><Production of integrated dicing/die bonding film>

상기와 같이 하여 얻은 다이싱 필름의 점착제층에, 실시예 및 비교예에 관한 접착 필름을 첩합함으로써, 실시예 및 비교예에 관한 다이싱·다이본딩 일체형 필름을 얻었다.By bonding the adhesive films according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to the adhesive layer of the dicing film obtained as described above, the integrated dicing and die-bonding films according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obtained.

[택 시험][Tick test]

택 시험을 실시하기 위한 시료를 이하의 수순으로 준비했다.A sample for performing a tack test was prepared in the following procedure.

(1) 다이싱·다이본딩 일체형 필름의 다이싱 필름 측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다이싱 필름의 점착력을 저하시켰다. 자외선의 조사 조건은 이하와 같이 했다.(1)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from the dicing film side of the dicing/die bonding integrated film, the adhesive force of the dicing film was reduced. The ultraviolet irradiation conditions were as follows.

·자외선의 강도: 100mW/cm2 ·Intensity of ultraviolet rays: 100mW/cm 2

·자외선의 조사량: 150mJ/cm2 ·Irradiation amount of ultraviolet rays: 150mJ/cm 2

(2) 폴리이미드 필름의 표면에 접착 필름이 접하도록, 폴리이미드 필름에 다이싱·다이본딩 일체형 필름을 래미네이팅했다. 폴리이미드 필름으로서 이하의 것을 사용했다. 래미네이트의 조건은 이하와 같이 했다.(2) An integrated dicing/die bonding film was laminated to the polyimide film so that the adhesive film wa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polyimide film. The following was used as the polyimide film. The conditions for laminating were as follows.

(폴리이미드 필름)(polyimide film)

·캡톤 500H(상품명, 도레이·듀폰 주식회사제)・Kapton 500H (Product name, Toray DuPont Co., Ltd.)

·두께: 125μm·Thickness: 125μm

·인장 탄성률: 3.35GPa·Tensile modulus: 3.35GPa

·내열 온도: 270℃·Heat resistance temperature: 270℃

(래미네이트 조건)(Laminate conditions)

·온도: 65℃Temperature: 65℃

·속도: 5mm/초·Speed: 5mm/sec

(3) 래미네이트 후, 폴리이미드 필름과 접착 필름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하여, 적층체를 하루 실온에서 방치했다.(3) After lamina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adhesion between the polyimide film and the adhesive film, the laminate was left at room temperature for one day.

(4) 적층체를 세로 40mm×가로 40mm의 사이즈로 절단함과 함께, 다이싱 필름을 박리했다. 이로써,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하여, 각각 복수의 시료를 얻었다.(4) The laminated body was cut into a size of 40 mm long and 40 mm wide, and the dicing film was peeled off. As a result, a plurality of samples were obtained for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접착 필름을 상면으로 한 상태에서, 시료를 태킹 시험기(TAC1000(상품명), 주식회사 레스카제)의 스테이지에 세팅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관한 접착 필름에 대하여 이하의 조건에서 택 시험을 실시했다.With the adhesive film on the upper surface, the sample was set on the stage of a tacking tester (TAC1000 (brand name), made by Reska Co., Ltd.). A tack test was performed on the adhesive films according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스테이지의 온도: 25℃·Stage temperature: 25℃

·프로브의 온도: 100℃ 또는 120℃·Probe temperature: 100℃ or 120℃

·프로브의 진입 속도: 1.0mm/초Probe entry speed: 1.0 mm/sec

·가압력: 0.1MPa· Pressure force: 0.1MPa

·가압 시간: 1.0초· Pressurization time: 1.0 seconds

·프로브의 분리 속도: 1.0mm/초Probe separation speed: 1.0 mm/sec

·프로브의 선단면: 직경 5mm의 원형· Probe tip surface: circular with a diameter of 5 mm

·프로브의 재질: SUS304·Probe material: SUS304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하여, 각각 9회의 측정을 실시하고, 최댓값 및 최솟값을 제외한 7개의 측정값의 평균값을 택(N/5mmφ)으로 했다. 표 2에 결과를 나타낸다.For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9 measurements were performed each, and the average value of 7 measurements excluding the maximum and minimum values was taken as the average value (N/5 mm?). Table 2 shows the results.

[표 2][Table 2]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2에 관한 접착 필름은 모두, 조건 1, 2를 충족시키고 있어, 양호라고 판단된다. 비교예 1에 관한 접착 필름은 조건 1, 2의 양방을 충족시키지 않는다. 비교예 2에 관한 접착 필름은 조건 1을 충족시키고 있지만, 조건 2를 충족시키지 않는다.As shown in Table 2, the adhesive films of Examples 1 and 2 all satisfy conditions 1 and 2 and are judged to be good. The adhesive film of Comparative Example 1 does not satisfy both conditions 1 and 2. The adhesive film of Comparative Example 2 satisfies Condition 1, but does not satisfy Condition 2.

[반도체 장치의 제조 프로세스에 있어서의 박리의 재현][Reproduction of peeling in the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process]

반도체 장치의 제조 프로세스에 있어서의 박리를 재현하기 위하여, 실시예 1에 관한 다이싱·다이본딩 일체형 필름을 사용하여,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공정을 거쳐, 도 4에 나타내는 구성의 접착제편 부착 칩을 제작했다. 칩의 사이즈는 이하와 같이 했다.In order to reproduce peeling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a semiconductor device, the integrated dicing and die bonding film according to Example 1 was used, and an adhesive piece having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4 was attached through the processes shown in Figs. 5 and 6. Made the chip. The size of the chip was as follows.

·두께: 36μm·Thickness: 36μm

·세로: 6mm·Height: 6mm

·가로: 12mm·Width: 12mm

8개의 접착제편 부착 칩을 사용하여, 도 9에 나타내는 구성의 구조체를 제작했다. 도 9의 구조체(90)는, 기판(30)과, 실리콘 스페이서(32)와, 8단의 접착제편 부착 칩(S1~S8)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접착제편 부착 칩의 압착 조건은 이하의 두 가지로 하여, 2개의 구조체를 제작했다.A structure with the structure shown in FIG. 9 was produced using eight adhesive piece attachment chips. The structure 90 in FIG. 9 is comprised of a substrate 30, a silicon spacer 32, and eight layers of adhesive piece attachment chips S1 to S8. Two structures were produced under the following two conditions for pressing the adhesive piece-attached chip.

·120℃/15N/1초·120℃/15N/1sec

·120℃/7.5N/1초·120℃/7.5N/1sec

실시예 2 및 비교예 1, 2에 관한 다이싱·다이본딩 일체형 필름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2 및 비교예 1, 2에 관한 구조체를 제작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관한 구조체에 대하여, 실리콘 스페이서의 표면에 대한 1단째의 접착제편 부착 칩(S1)의 밀착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도 9에 나타내는 이간 거리(D)를 측정했다. 표 3에 결과를 나타낸다.The structures according to Example 2 a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were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above, except that the integrated dicing/die bonding film according to Example 2 a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was used. For the structures according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the separation distance (D) shown in FIG. 9 was measured to evaluate the adhesion of the first-stage adhesive piece attachment chip (S1) to the surface of the silicon spacer. Table 3 shows the results.

[표 3][Table 3]

실시예 1, 2에 관한 구조체는, 접착제층의 두께가 10μm임에 관계없이, 이간 거리(D)가 30μm 이하이며, 박리를 억제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하여, 비교예 1, 2에 관한 구조체는 이간 거리(D)가 30μm를 초과하고 있어, 두께 10μm의 접착제층에서는 박리를 충분히 억제할 수 없었다. 표 2에 나타내는 평가 결과는, 표 3에 나타내는 결과와 정합하고 있다.The structures according to Examples 1 and 2 had a separation distance (D) of 30 μm or less, regardless of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being 10 μm, and peeling could be suppressed. In contrast, the separation distance (D) of the structures of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exceeded 30 μm, and peeling could not be sufficiently suppressed in an adhesive layer with a thickness of 10 μm. The evaluation results shown in Table 2 are consistent with the results shown in Table 3.

1…스테이지
2…프로브
3…누름 지그
5…폴리이미드 필름(수지 필름)
10…택 시험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
11…기재 필름
13…점착제층
15…접착제층
15c…접착제편의 경화물
15p…접착제편
20…다이싱·다이본딩 일체형 필름
25…접착제편 부착 칩
30…기판
35…밀봉층
40…구조체
50…반도체 장치
C, C1, C2, C3, C4…칩
S…시료
W…웨이퍼
One… stage
2… probe
3… push jig
5… Polyimide film (resin film)
10… Device for conducting a tack test
11… base film
13… adhesive layer
15… adhesive layer
15c… Cured product of adhesive piece
15p… Adhesive piece
20… Dicing/die bonding integrated film
25… Adhesive piece attachment chip
30… Board
35… sealing layer
40… struct
50… semiconductor device
C, C1, C2, C3, C4… chip
S… sample
W… wafer

Claims (6)

반도체 장치의 제조 프로세스에 있어서 사용되는 접착 필름의 평가 방법으로서,
가열된 프로브로 택 시험을 행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평가 대상의 접착 필름의 두께가 20μm 이하인, 접착 필름의 평가 방법.
A method for evaluating an adhesive film us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Including the process of performing a tack test with a heated probe,
A method for evaluating an adhesive film,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film to be evaluated is 20 μm or les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착 필름의 시료를 지지하는 스테이지와, 상기 스테이지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또한 온도 설정이 가능한 프로브를 구비하는 장치를 사용하고,
상기 스테이지와 상기 시료의 사이에 수지 필름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상기 택 시험을 행하는, 접착 필름의 평가 방법.
In claim 1,
Using a device having a stage supporting a sample of the adhesive film and a probe capable of moving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stage and capable of setting a temperature,
An evaluation method for an adhesive film, wherein the tack test is performed with a resin film interposed between the stage and the sample.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접착 필름이 이하의 조건 1, 2의 양방을 충족시킬 때, 당해 접착 필름을 양호로 판정하는, 접착 필름의 평가 방법.
(조건 1) 프로브 온도를 100℃로 설정한 상기 택 시험에 있어서, 택이 2.5N/5mmφ 이상인 것.
(조건 2) 프로브 온도를 120℃로 설정한 상기 택 시험에 있어서, 택이 2.5N/5mmφ 이상인 것.
In claim 1 or claim 2,
An evaluation method for an adhesive film, wherein the adhesive film is judged to be good when it satisfies both the following conditions 1 and 2.
(Condition 1) In the above tack test with the probe temperature set to 100°C, the tack is 2.5N/5mmϕ or more.
(Condition 2) In the above tack test with the probe temperature set to 120°C, the tack is 2.5N/5mmϕ or more.
두께 20μm 이하의 접착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 필름을 준비하는 공정과,
웨이퍼의 표면에 상기 접착 필름이 접하도록, 상기 웨이퍼에 상기 적층 필름을 첩부하는 공정과,
상기 웨이퍼 및 상기 접착 필름을 개편화함으로써 접착제편 부착 칩을 제작하는 공정과,
기판 또는 다른 칩의 표면 상에 상기 접착제편 부착 칩을 접착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 필름이, 청구항 3에 기재된 평가 방법에 있어서 양호로 판정되는 접착 필름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A process of preparing a laminated film containing an adhesive film with a thickness of 20 μm or less,
A step of attaching the laminated film to the wafer so that the adhesive film i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wafer;
A process of manufacturing a chip with an adhesive piece attached by separating the wafer and the adhesive film into pieces;
A process of adhering the adhesive piece attachment chip onto the surface of a substrate or another chip,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wherein the adhesive film is an adhesive film judged to be good in the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claim 3.
반도체 장치의 제조 프로세스에 있어서 사용되는 접착 필름으로서,
두께가 20μm 이하이고,
청구항 3에 기재된 평가 방법에 있어서, 양호로 판정되는, 접착 필름.
An adhesive film us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a semiconductor device,
The thickness is less than 20μm,
An adhesive film that is judged to be good in the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claim 3.
기재 필름과,
두께 20μm 이하의 접착제층과,
점착제층을 이 순서로 구비하고,
상기 접착제층이, 청구항 3에 기재된 평가 방법에 있어서 양호로 판정되는 접착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는, 다이싱·다이본딩 일체형 필름.
A base film,
An adhesive layer with a thickness of 20 μm or less,
The adhesive layer is provided in this order,
A dicing/die bonding integrated film wherein the adhesive layer is comprised of an adhesive film judged to be good in the evaluation method set forth in claim 3.
KR1020237025424A 2021-03-05 2022-03-01 Adhesive film and its evaluation method,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nd dicing/die bonding integrated film KR20230155423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35469A JP2022135565A (en) 2021-03-05 2021-03-05 Adhesive film and its evaluation metho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and integrated dicing and die bonding film
JPJP-P-2021-035469 2021-03-05
PCT/JP2022/008695 WO2022186229A1 (en) 2021-03-05 2022-03-01 Bonding film, method for evaluating same, method for producing semiconductor device and integrated dicing/die bonding fil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5423A true KR20230155423A (en) 2023-11-10

Family

ID=83154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5424A KR20230155423A (en) 2021-03-05 2022-03-01 Adhesive film and its evaluation method,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nd dicing/die bonding integrated film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22135565A (en)
KR (1) KR20230155423A (en)
CN (1) CN116745892A (en)
TW (1) TW202248380A (en)
WO (1) WO2022186229A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216273A (en) 2016-05-30 2017-12-07 日東電工株式会社 Die-bonding film, dicing die-bonding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0125A (en) * 2006-03-08 2007-10-18 Hitachi Chem Co Ltd Adhesive sheet, integrated sheet,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emiconductor device
JP5223184B2 (en) * 2006-10-31 2013-06-26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Liquid resin composition, semiconductor wafer with adhesive layer, semiconductor element with adhesive layer, and semiconductor package
CN102015953B (en) * 2008-04-25 2015-01-14 Lg化学株式会社 Epoxy-based composition, adhesive film, dicing die-bonding film and semiconductor device
JP2012231022A (en) * 2011-04-26 2012-11-22 Hitachi Chem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wafer with adhesive layer, adhesive, and semiconductor device
JP5903779B2 (en) * 2011-06-06 2016-04-13 日立化成株式会社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216273A (en) 2016-05-30 2017-12-07 日東電工株式会社 Die-bonding film, dicing die-bonding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745892A (en) 2023-09-12
WO2022186229A1 (en) 2022-09-09
TW202248380A (en) 2022-12-16
JP2022135565A (en) 2022-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39574B2 (en) Thermosetting die bond film
US9212298B2 (en) Adhesive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KR101105470B1 (en) Semiconductor chip laminate and adhesive composition for semiconductor chip lamination
WO2009090817A1 (en) Dicing/die bonding film
JP2011174042A (en) Film for producing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semiconductor device
KR20100014180A (en) Dicing.die bonding film
KR20100015292A (en) Dicing.die bonding film
JP2004231932A (en)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film, and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is
CN110383438B (en) Adhesive sheet
JP6630956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omposite sheet for forming protective film and semiconductor chip with protective film
KR102470719B1 (en) Resin composition and resin sheet
CN114730706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dicing die-bonding integrated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90118553A (en) Adhesive sheet
KR20200108785A (en) Dicing tape with adhesive film
TW202040658A (en) Dicing tape with bonding film characterized by allowing the adhesive layer of the UV curable dicing tape to ensure the retention of the annular frame even after UV irradiation
KR20210114009A (en) Adhesive composition, film-like adhesive, adhesive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JP2019042976A (en) Resin sheet,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using resin sheet
KR102444486B1 (en) Adhesive composition, film adhesive, adhesive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a semiconductor device
KR20230155423A (en) Adhesive film and its evaluation method,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nd dicing/die bonding integrated film
JP5456712B2 (en) Thermosetting die bond film
KR20210144731A (en)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die-bonding film, and dicing and die-bonding integrated adhesive sheet
WO2022186285A1 (en) Film adhesive, integrated dicing/die bonding film,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semiconductor device
TWI793509B (en) Tape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JP7409030B2 (en) Dicing/die bonding integrated fil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KR20230129992A (en) Film-like adhesive, integrated dicing/die bonding film, an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