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4554A - 원추형 연마부재를 구비한 핸드피스 및 그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원추형 연마부재를 구비한 핸드피스 및 그의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4554A
KR20230154554A KR1020220054099A KR20220054099A KR20230154554A KR 20230154554 A KR20230154554 A KR 20230154554A KR 1020220054099 A KR1020220054099 A KR 1020220054099A KR 20220054099 A KR20220054099 A KR 20220054099A KR 20230154554 A KR20230154554 A KR 20230154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piece
sandpaper
conical
abrasive memb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4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춘석
Original Assignee
박춘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춘석 filed Critical 박춘석
Priority to KR1020220054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4554A/ko
Publication of KR20230154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455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3/00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2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with rotating grinding tool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9/00Wheels or drums supporting in exchangeable arrangement a layer of flexible abrasive material, e.g. sandpaper
    • B24D9/006Tools consisting of a rolled strip of flexibl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추형의 연마부재를 핸드피스에 장착하고 이를 회전시켜 연마 대상을 연마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이와 같은 원추형의 연마부재는 핸드피스 바와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회전샤프트; 상기 회전샤프트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부; 원추 형상으로 권취되고, 상기 원추 형상의 내측이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는 샌드페이퍼; 및 상기 샌드페이퍼의 내측 종단부에 삽입된 형태로 결합되는 열경화성 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추형 연마부재를 구비한 핸드피스 및 그의 제작방법{HANDPIECE HAVING CONICAL-TYPE ABRASIVE ELEMENT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원추형 연마부재를 구비한 핸드피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핸드피스와 결합된 형태로 사용되는 원추 형상의 연마부재에 있어서, 샌드페이퍼가 원추 형상으로 권취되어 틈새 부위나 구석진 부위 등을 자유롭고 정교하게 연마할 수 있도록 한 원추형 연마부재를 구비한 핸드피스 및 그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샌드페이퍼 연마기는 대표적인 연마부재로써 각종 기구나 장치를 비롯하여 부품 또는 소자 등을 연마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의한 샌드페이퍼 연마기는 평판 형상으로 제작되어 평면을 연마하거나, 원통 형상으로 제작되어 연마면과 직교되는 상태로 링이나 원통 또는 각종 형상의 굴곡진 면을 연마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틈새 부위나 구석진 부위 등을 연마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연마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과제는 핸드피스와 결합되되, 원추 형상으로 권취된 샌드페이퍼를 구비하여 틈새 부위나 구석진 부위 등의 연마면을 연마할 수 있도록 한 원추형 연마부재를 구비한 핸드피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핸드피스와 결합되되, 원추 형상으로 권취된 샌드페이퍼로 구비하여 틈새 부위나 구석진 부위 등의 연마면을 연마할 수 있도록 한 원추형 연마부재를 구비한 핸드피스의 제작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원추형 연마부재를 구비한 핸드피스는, 핸드피스 몸체; 및 상기 핸드피스 몸체의 핸드피스 바(handpiece bar)에 결합되어 회전되면서 연마 대상면을 연마하는 원추형 연마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원추형 연마부재는 상기 핸드피스 바와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회전샤프트; 상기 회전샤프트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부; 원추 형상으로 권취되고, 상기 원추 형상의 내측이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는 샌드페이퍼; 및 상기 샌드페이퍼의 내측 종단부에 삽입된 형태로 결합되는 열경화성 밴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원추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측의 전면에 돌기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기들은 원형띠 또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되고, 소정치의 탄성력을 갖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핸드피스는 상기 샌드페이퍼를 원추형으로 권취하는 제작용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작용구는 원통형의 샤프트; 및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종단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중심부를 관통하는 절개홈이 형성된 권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샌드페이퍼는 삼각형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원추형 연마부재를 구비한 핸드피스의 제작 방법은, 상기 원추형 샌드페이퍼제작 용구의 홈에 샌드페이퍼의 일측 변이 고정되는 단계; 샌드페이퍼제작 용구에 샌드페이퍼가 권취되는 단계; 원추형으로 권취된 상기 샌드페이퍼의 내측 종단부에 열경화성 밴드가 결합되는 단계; 및 핸드피스 몸체의 핸드피스 바(handpiece bar)에 결합되는 연마부재의 회전샤프트에 상기 원추형으로 권취된 샌드페이퍼가 결합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원추형 연마부재를 구비한 핸드피스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원단의 샌드페이퍼를 절단하여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난 후 버려지는 조각들을 이용하여 원추형의 연마부재를 제작할 수 있으므로 원가절감의 효과가 있다.
둘째, 연마 대상이 평면이 아닌 형상으로 된 경우에도 쉽게 연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연마 대상면이 틈새 부위나 구석진 부위인 경우에도 쉽고 정교하게 연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샌드페이퍼가 원추형으로 권취된 구조를 가지므로 여러 층이 마모될 때 까지 장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원추형 연마부재의 수명이 종료된 경우 새로운 원추형 연마부재로 쉽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리함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추형 연마부재를 구비한 핸드피스의 개략도이다.
도 2는 회전샤프트와 원추형 샌드페이퍼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원추형 원추형 샌드페이퍼의 제작공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는 원추형 샌드페이퍼에 열경화성 밴드가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추형 연마부재를 구비한 핸드피스의 사용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원추형 연마부재를 구비한 핸드피스의 제작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당업자에게 자명하거나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추형 연마부재를 구비한 핸드피스의 개략도이고, 도 2는 회전샤프트와 샌드페이퍼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고, 도 3은 원추형 샌드페이퍼의 제작공정을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 4는 원추형 샌드페이퍼에 열경화성 밴드가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추형 연마부재를 구비한 핸드피스의 사용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원추형 연마부재를 구비한 핸드피스(100)는 핸드피스 몸체(110) 및 원추형 연마부재(120)를 포함한다.
핸드피스 몸체(110)는 일측 단부에 연장 설치되어 원추형 연마부재(120)와 결합되는 핸드피스 바(handpiece bar)(111) 및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핸드피스 바(111)를 회전 구동하는 모터(도면에 미표시)를 포함한다.
원추형 연마부재(120)는 원추형으로 권취된 샌드페이퍼를 구비하여, 상기 핸드피스 바(111)의 단부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연마 대상면을 연마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원추형 연마부재(120)는 회전샤프트(121), 결합부(122), 샌드페이퍼(123) 및 열경화성 밴드(124)를 포함한다.
회전샤프트(121)는 핸드피스 바(111)와 결합되어 상기 핸드피스 바(111)의 회전력을 원추형 연마부재(12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전샤프트(121)의 형상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으며, 여기서는 원통형인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회전샤프트(121)의 외측 종단부에 샌드페이퍼(123)가 결합되는데, 도 2는 이들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즉, 샌드페이퍼(123)의 내측 공간에 회전샤프트(121)의 외측 종단부가 결합되는데, 상기 내측 공간은 외부 형상과 유사하게 원추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회전샤프트(121)의 일측 종단부에 원추 형상의 결합부(122)를 형성하고, 결합부(122)의 외측 전면에 돌기(122A)를 형성하였다. 여기서, 회전샤프트(121)의 외측 종단부는 양측 종단부 중에서 핸드피스 바(111)를 기준으로 먼 위치에 있는 종단부를 의미한다.
상기 돌기(122A)의 형상은 자유롭게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는 돌기(122A)들을 원형띠 형상으로 배열한 예를 나타내었다. 다른 예로써, 돌기(122A)들을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할 수 있다. 상기 돌기(122A)들의 재질은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플라스틱 소재로 구현한 예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결합부(122)를 원추 형상으로 제작하고 외측의 전면에 돌기들을 형성 함으로써, 결합부(122)에 샌드페이퍼(123)를 강한 결속력으로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제작용구(지그)를 이용하여 샌드페이퍼(123)를 원추 형상으로 권취하는 제작 공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작용구(130)는 원통형의 샤프트(131)와 원추형의 권취부(132)를 포함한다.
샤프트(131)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부분으로써, 사용자가 가하는 회전력으로 권취부(132)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권취부(132)는 상기 샤프트(131)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으로 샌드페이퍼(123)를 회전시켜 원추형으로 권취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권취부(132)는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종단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중심부를 관통하는 절개홈(132A)이 형성된다.
샌드페이퍼(123)의 일측 변이 절개홈(132A)에 삽입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샤프트(131)를 중심으로 샌드페이퍼(123)가 권취된다. 이때, 샌드페이퍼(123)의 층간이 밀착된 상태로 권취된다. 이에 따라,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원통 형상으로 권취된 샌드페이퍼(123)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샌드페이퍼(123)의 권취 횟수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형상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작용구(130)를 이용하여 원추형으로 권취할 수 있는 모든 형상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서와 같이 삼각형의 형상을 갖는 샌드페이퍼(123)를 예로하였다.
도 4에서와 같이, 상기와 같이 원추 형상으로 권취된 샌드페이퍼(123)에 열경화성 밴드(124)가 결합되고, 여기에 열이 가해진다. 이후, 샌드페이퍼(123)로부터 열이 방출되면서 샌드페이퍼(123)가 수축된다. 따라서, 열경화성 밴드(124)를 이용하여 샌드페이퍼(123)를 원추 형상으로 권취된 형상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추형 연마부재를 구비한 핸드피스의 사용 예시도이다. 도 5에서와 같이 원추형 연마부재를 구비한 핸드피스(100)를 사용하여 연마 대상물(140)을 연마할 때 곡면 등을 연마할 수 있고, 이밖에 틈새 부위 또는 구석진 부위 등의 연마면을 보다 편리하고 정교하게 연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원추형 연마부재를 구비한 핸드피스의 제작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원추형 연마부재를 구비한 핸드피스의 제작방법은, 원추형 샌드페이퍼제작 용구의 홈에 샌드페이퍼의 일측 변이 고정되는 단계(S1); 샌드페이퍼제작 용구에 샌드페이퍼를 권취하는 단계(S2); 원추형으로 권취된 샌드페이퍼의 내측 종단부에 열경화성 밴드를 결합하는 단계(S3); 및 회전샤프트에 원추형으로 권취된 샌드페이퍼를 결합하는 단계(S4);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추형 연마부재를 구비한 핸드피스의 제작방법을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에서와 같이 샌드페이퍼 제작용구(130)의 일측에 원추형으로 형성된 권취부(132)의 절개홈(132A)에 삼각형의 형상으로 재단된 샌드페이퍼(123)의 일측 변을 고정시킨다.(S1)
이와 같은 상태에서, 원추형 샌드페이퍼제작 용구(130)의 권취부(132)를 중심으로 샌드페이퍼(123)를 밀착되게 권취하여 원추형으로 권취된 샌드페이퍼(123)가 형성된다.(S2)
이와 같은 공정을 통해 원추형으로 권취된 샌드페이퍼(123)의 내측 종단부에 열경화성 밴드(124)를 삽입하고, 상기 열경화성 밴드(124)에 열을 가한다. 따라서, 열경화성 밴드(124)에 의하여, 샌드페이퍼(123)가 원추 형상으로 권취된 형상으로 견고하게 유지된다. 여기서, 샌드페이퍼(123)의 내측 종단부는 양측 종단부 중에서 핸드피스 바(111)를 기준으로 가까운 위치에 있는 종단부를 의미한다.(S3)
이후, 회전샤프트(121)의 결합부(122)에 상기와 같이 원추 형상으로 권취된 샌드페이퍼(123)를 결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부(122)를 원추 형상으로 제작하고 외측의 전면에 돌기들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결합부(122)에 샌드페이퍼(123)를 강한 결속력으로 결합할 수 있게 된다.(S4)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함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핸드피스
110 : 핸드피스 몸체
111 : 핸드피스 바
120 : 연마부재
121 : 회전샤프트
122 : 결합부
123 : 샌드페이퍼
124 : 열경화성 밴드
130 : 제작용구
131 : 샤프트
132 : 권취부
140 : 연마 대상물

Claims (7)

  1. 핸드피스 몸체; 및
    상기 핸드피스 몸체의 핸드피스 바(handpiece bar)에 결합되어 회전되면서 연마 대상면을 연마하는 원추형 연마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원추형 연마부재는
    상기 핸드피스 바와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회전샤프트;
    상기 회전샤프트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부;
    원추 형상으로 권취되고, 상기 원추 형상의 내측이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는
    샌드페이퍼; 및
    상기 샌드페이퍼의 내측 종단부에 삽입된 형태로 결합되는 열경화성 밴드;
    를 포함하는 원추형 연마부재를 구비한 핸드피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원추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측의 전면에 돌기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추형 연마부재를 구비한 핸드피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들은 원형띠 또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되고, 소정치의 탄성력을 갖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추형 연마부재를 구비한 핸드피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피스는
    상기 샌드페이퍼를 원추형으로 권취하는 제작용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추형 연마부재를 구비한 핸드피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작용구는
    원통형의 샤프트; 및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종단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중심부를 관통하는 절개홈이 형성된 권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추형 연마부재를 구비한 핸드피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샌드페이퍼는 삼각형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추형 연마부재를 구비한 핸드피스.
  7. 원추형 샌드페이퍼제작 용구의 홈에 샌드페이퍼의 일측 변이 고정되는 단계;
    상기 샌드페이퍼제작 용구에 샌드페이퍼가 권취되는 단계;
    원추형으로 권취된 상기 샌드페이퍼의 내측 종단부에 열경화성 밴드가 결합되는 단계; 및
    핸드피스 몸체의 핸드피스 바(handpiece bar)에 결합되는 연마부재의 회전샤프트에 상기 원추형으로 권취된 샌드페이퍼가 결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추형 연마부재를 구비한 핸드피스의 제작 방법.
KR1020220054099A 2022-05-02 2022-05-02 원추형 연마부재를 구비한 핸드피스 및 그의 제작방법 KR202301545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4099A KR20230154554A (ko) 2022-05-02 2022-05-02 원추형 연마부재를 구비한 핸드피스 및 그의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4099A KR20230154554A (ko) 2022-05-02 2022-05-02 원추형 연마부재를 구비한 핸드피스 및 그의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4554A true KR20230154554A (ko) 2023-11-09

Family

ID=88748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4099A KR20230154554A (ko) 2022-05-02 2022-05-02 원추형 연마부재를 구비한 핸드피스 및 그의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455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1911B1 (ko) 브러시형 숫돌의 제조 방법, 브러시형 숫돌, 및 연마기용 브러시
US7169025B2 (en) Grinding tool for a grinder with rotary oscillating drive
JP4223404B2 (ja) 光学的表面の表面処理用工具
US2888697A (en) Rotary dental brush
KR20230154554A (ko) 원추형 연마부재를 구비한 핸드피스 및 그의 제작방법
JP3975073B2 (ja) 研磨機用ブラシ
KR101949158B1 (ko) 전동공구의 회전력 전달장치
US6379238B1 (en) Finishing and abrasive tool
KR20230154553A (ko) 권취식 연마부재를 구비한 핸드피스 및 그의 제작방법
KR102350829B1 (ko) 다이아몬드 연마부재를 구비한 핸드피스 및 그의 제작 방법
CN1115231C (zh) 手工摇摆磨光机
KR102027063B1 (ko) 그라인딩기기의 조우와 연마패드 체결방법
JP2950791B2 (ja) 研磨工具
JP2007075954A (ja) ブラシ状砥石
KR101681497B1 (ko) 연마용 숫돌
JP2004050355A (ja) 積層型回転研磨具及びその使用方法
KR900008547Y1 (ko) 가구용 목재 연마기
JPH04223880A (ja) 回転ブラシ工具
KR200480300Y1 (ko) 샌더기
US20080078047A1 (en) Rotary buffer
US3263665A (en) Power driven abrading tool
KR101440817B1 (ko) 회전 강성이 강화된 앵귤러 헤드
JP4346155B2 (ja) 研磨工具
KR200259372Y1 (ko) 휴대용 전기연마기의 회전구 체결구조
JP5307679B2 (ja) 回転砥石及びそ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