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300Y1 - 샌더기 - Google Patents

샌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300Y1
KR200480300Y1 KR2020140004228U KR20140004228U KR200480300Y1 KR 200480300 Y1 KR200480300 Y1 KR 200480300Y1 KR 2020140004228 U KR2020140004228 U KR 2020140004228U KR 20140004228 U KR20140004228 U KR 20140004228U KR 200480300 Y1 KR200480300 Y1 KR 2004803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unit
dust collecting
contact
r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2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4452U (ko
Inventor
변기섭
Original Assignee
변기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기섭 filed Critical 변기섭
Priority to KR20201400042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300Y1/ko
Publication of KR201500044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4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3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3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7/00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 B24B27/033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for grinding a surface for cleaning purposes, e.g. for descaling or for grinding off flaws in th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06Dust extraction equipment on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nding-Machine Dressing And Accessory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샌더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기체 및 이물질을 집진하는 집진부와, 상기 바디부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집진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회전부와, 상기 집진부와 상기 바디부를 연결하며, 상기 집진부로부터 집진된 상기 기체 및 이물질 중 적어도 하나가 통과하는 메인튜브와, 상기 집진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 시 동시에 회전하는 연마부와,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마부는,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샌더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샌더기{Grinder}
본 고안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샌더기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외관에 페인트 칠을 하거나 건축물의 외관에 별도의 물체를 부착하는 경우 고르지 못한 건축물 외관에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건축물 외관을 평평하게 만들어야 한다.
이때, 사포 등과 같은 물건을 통하여 건축물 외관을 고르게 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사포 등과 같은 물건은 회전하는 장치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 상당한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신속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우 분진이 많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분진이 주위에 퍼짐으로써 작업 환경이 오염되거나 주변이 오염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이 동원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샌더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기체 및 이물질을 집진하는 집진부와, 상기 바디부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집진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회전부와, 상기 집진부와 상기 바디부를 연결하며, 상기 집진부로부터 집진된 상기 기체 및 이물질 중 적어도 하나가 통과하는 메인튜브와, 상기 집진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 시 동시에 회전하는 연마부와,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마부는,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샌더부를 구비하는 샌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샌더부가 부착되는 상기 제2 하우징의 면 및 상기 샌더부는 격자 형태 또는 벨크로 형태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은 경도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경도는 상기 제2 하우징의 경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마부는,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내부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부와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인서트(insert) 사출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로부터 분지되어 상기 집진부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분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지부는 상기 바디부의 내부 공간 및 외부와 연통하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도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지부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필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회전자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구가 형성되는 내부케이스와, 상기 내부케이스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자에 전류를 공급하는 브러쉬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부는, 상기 내부케이스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접촉부하우징과, 상기 접촉부하우징에 설치되며,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회전자에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접촉부를 상기 회전자측으로 가력하는 탄성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하우징은, 상기 내부케이스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제1 접촉부하우징과, 상기 제1 접촉부하우징 내부에 삽입되며,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제2 접촉부하우징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하우징은,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내부케이스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외부 전원의 단자가 슬라이딩 결합하도록 양끝단이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간편하게 벽면을 그라이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장이나 교체 시 조작이 간편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샌더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연마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연마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구동부의 일부를 보여주는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접촉부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샌더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연마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연마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구동부의 일부를 보여주는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접촉부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샌더기(100)는 바디부(110), 집진부(120), 회전부(130), 메인튜브(140), 연마부(150), 구동부(160), 분지부(170) 및 필터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바디부(11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이물질 및 기체 등이 유동할 수 있으며, 회전부(130)가 삽입될 수 있다. 특히 바디부(110) 내부의 공간은 이물질 및 기체가 이동하는 공간과 회전부(130)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한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집진부(120)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집진부(120)는 제1 집진하우징(121)과 제1 집진하우징(121) 내부에 배치되는 제2 집진부하우징(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집진부(120)는 제1 집진하우징(121)과 상기 제2 집진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브러쉬(12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집진하우징(121)과 상기 제2 집진하우징 사이에는 이물질 및 기체 중 적어도 하나가 이동하도록 이동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 집진하우징(121)은 메인튜브(140)와 연결되도록 홀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부(130)는 바디부(1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회전부(13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전부(130)는 절곡 가능한 형태의 샤프트일 수 있으며, 복수개의 철심이 서로 엮여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회전부(130)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절곡 가능한 형태에서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든 장치 및 모든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메인튜브(140)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어 자바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메인튜브(140)는 플랙서블한 재질 및 플랙서블한 구조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튜브(140)는 집진부(120)의 운동에 따라서 집진부(120)와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메인튜브(14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메인튜브(140)는 바디부(110)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도록 바디부(110)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연마부(150)는 집진부(120)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연마부(150)는 회전부(130)에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다.
연마부(150)는 제1 하우징(151), 제2 하우징(152)과 일체로 형성되는 제2 하우징(152) 및 제2 하우징(152)과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샌더부(153)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연마부(150)는 제1 하우징(151) 및 제2 하우징(152)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설치되는 결합부재(154)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 하우징(151)과 제2 하우징(152)은 서로 상이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하우징(151)과 제2 하우징(152)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하우징(151)을 성형한 후 제1 하우징(151) 상에 제2 하우징(152)를 성형하여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하우징(151)과 제2 하우징(152)을 동시에 성형되어 성형 시 부착됨으로써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하우징(151)과 제2 하우징(152)는 별도로 제조되어 접착제 등과 같은 접착부재로 서로 접착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하우징(151)과 제2 하우징(152)가 서로 동시에 성형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제1 하우징(151)과 제2 하우징(152)은 서로 경도가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하우징(151)의 경도는 제2 하우징(152)의 경도보다 높을 수 있다. 이때, 제1 하우징(151)은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강화플라스틱, 경화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하우징(152)은 스티로폼, 스펀지 등과 같은 연성플라스틱이나 연성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51)과 제2 하우징(152)은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하우징(151)은 금속재질 등과 같은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하우징(152)은 탄성재질 등과 같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하우징(151)은 폴리프로필렌으로 형성되고, 제2 하우징(152)은 스트로폼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샌더부(153)와 제2 하우징(152)은 서로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샌더부(153)의 결합하는 면 및 제2 하우징(152)의 결합하는 면은 각각 격자 형태 또는 벨크로(velcro) 형태로 형성되어 서로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샌더부(153)와 제2 하우징(152)의 결합하는 부위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모든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의 경우 이외에도 단추 형태, 버튼 형태, 별도의 구조물을 돌기와 홈을 통하여 결합하는 형태 등으로 형성되어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샌더부(153)의 결합하는 면 및 제2 하우징(152)의 결합하는 면은 각각 벨크로 형태로 형성되어 결합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결합부재(154)는 제1 하우징(151) 및 제2 하우징(152)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된 상태일 수 있다. 특히 결합부재(154)는 제1 하우징(151) 및 제2 하우징(152) 중 적어도 하나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부재(154)는 제1 하우징(151) 및 제2 하우징(152)을 제조하는 공정에서 인서트(insert) 사출 형태로 제1 하우징(151) 및 제2 하우징(152) 중 적어도 하나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재(154)는 인서트 사출되면서 제1 하우징(151) 및 제2 하우징(152) 중 적어도 하나와 견고하게 결합함으로써 연마부(150)의 강도를 보강시킬 수 있다.
한편, 구동부(160)는 바디부(110)에 설치되는 외부케이스(161), 외부케이스(161)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케이스(162), 내부케이스(162)에 배치되어 회전하는 회전자(164), 내부케이스(162)의 외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브러쉬부(16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회전자(164)는 회전부(130)와 연결되어 회전부(1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내부케이스(162)는 일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회전자(164)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특히 내부케이스(162)는 회전자(164)의 코일부분을 외부로 노출시킴으로써 브러쉬부(163)와 접촉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브러쉬부(163)는 외부 전원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외부 전원은 단자 형태로 형성되어 브러쉬부(163)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브러쉬부(163)는 내부케이스(162)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접촉부하우징(163a)과, 접촉부하우징(163a)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커넥터(163b)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브러쉬부(163)는 커넥터(163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회전자(164)에 접촉하여 전류를 공급하는 접촉부(163d)와, 접촉부하우징(163a) 내부에 설치되어 접촉부(163d)를 회전자(164)측으로 가력하는 탄성부(163c)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접촉부하우징(163a)은 내부케이스(162)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제1 접촉부하우징(163a-1)과, 제1 접촉부하우징(163a-1) 내부에 삽입되며,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제2 접촉부하우징(163a-2)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 접촉부하우징(163a-1)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접촉부하우징(163a-1)은 내부케이스(162)에 삽입되어 브러쉬부(163)의 이탈을 방지하는 삽입돌기(163e)를 구비할 수 있다.
커넥터(163b)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커넥터(163b)는 외부 전원의 단자가 삽입되도록 일부가 절곡되되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외부 전원의 단자는 커넥터(163b)에 슬라이딩 결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제1 접촉부하우징(163a-1) 및 제2 접촉부하우징(163a-2)에는 외부 전원의 단자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커넥터(163b)가 접촉부하우징(163a)의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전원의 단자에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탄성부(163c)는 접촉부(163d)를 회전자(164) 측으로 가력할 수 있다. 이때, 탄성부(163c)는 압축스프링 또는 고무,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재질로 형성도리 수 있다.
한편, 분지부(170)는 바디부(110) 및 집진부(12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집진부(120)는 분지부(17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특히 분지부(17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바디부(110)와 연통될 수 있다. 이때, 분지부(170)의 끝단은 외기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분지부(170)의 다른 끝단은 바디부(110)의 이물질 및 기체가 이동하는 공간과 연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분지부(170)의 내부 공간에는 필터부(18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필터부(180)는 다공성으로 형성되어 필터부(180)에 설치될 수 있다. 특히 필터부(180)는 바디부(110)의 흡입 시 바디부(110) 내부의 공간의 압력을 조절하도록 분지부(170)에서 흡입하는 외기의 일부를 차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필터부(180)는 외부의 이물질 등이 분지부(170)를 통하여 바디부(110) 내부로 이동하는 것을 일부 차단함으로써 샌더기(100)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샌더기(100)의 작동을 살펴보면, 사용자는 샌더기(100)를 휴대하여 작업할 장소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샌더기(100)는 건물 벽면 등과 같이 페인트가 도포된 곳에서 페인트를 연마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디부(110)에는 외부의 흡입펌프(미도시)와 연결하고 구동부(160)는 외부 전원과 연결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집진부(120)와 연마부(150)를 건물 벽면 등에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흡입펌프와 구동부(16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집진부(120)와 회전부(130) 사이에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집진부(120)가 회전부(130) 측으로 이동하면서 연마부(15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특히 스프링은 회전부(130)를 집진부(120)에 고정시키는 브라켓에 설치되어 집진부(120)의 운동 시 집진부(120)에 복원력을 가할 수 있다.
구동부(160)를 작동시키는 경우 외부 전원의 단자를 통하여 커넥터(163b)로 전류가 인가되고, 커넥터(163b)와 제2 접촉부하우징(163a-2)을 통하여 접촉부(163d)로 인가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163c)는 접촉부(163d)를 회전자(164) 측으로 가력함으로써 접촉부(163d)는 회전자(164)와 접촉될 수 있다.
회전자(164)가 회전하는 경우 회전자(164)는 회전부(130)를 회전시키고, 회전부(130)는 연마부(15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연마부(150)는 집진부(120) 내부에서 배치되어 회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연마부(150)가 회전하면, 샌더부(153)는 벽면의 페인트를 연마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샌더부(153)는 표면이 거칠도록 미세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일반적인 사포 등과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연마부(150)가 작동하는 경우 연마된 페인트는 집진부(120)를 통하여 메인튜브(140)로 이동하고 바디부(110)를 지나 외부의 상기 흡입펌프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작업자는 바디부(110)를 가력하여 연마부(150)를 벽면에 더 밀찰시킬 수 있다. 이때, 제2 하우징(152)은 연마부(150)의 회전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며, 제1 하우징(151)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작업자의 힘을 효과적으로 샌더부(153)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작업자가 작업하는 경우 과도한 힘이나 외부 벽면의 형태에 따라서 제1 하우징(151)과 제2 하우징(152)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연마부(150)의 파손으로 인한 작업자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다.
특히 제1 하우징(151)과 제2 하우징(152)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교체 시 제1 하우징(151)과 제2 하우징(152)을 별도로 관리할 필요가 없으며,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교체가 가능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샌더기(100)를 사용하는 동안 구동부(160) 또는 연마부(150)가 파손되거나 고정날 수 있다. 특히 구동부(160)는 브러쉬부(163)가 소실되거나 교체하여야 할 경우가 발생하거나 연마부(150)가 파손되거나 수명을 다함으로써 교체할 필요가 발생할 수 있다.
우선 브러쉬부(163)의 교체를 살펴보면, 브러쉬부(163)는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이 일체로 형성되어 조립된 상태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접촉부하우징(163a)을 내부케이스(162)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이후 새로운 브러쉬부(163)를 내부케이스(162)에 삽입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경우 내부케이스(162)에 홈이 형성되어 브러쉬부(163)를 삽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으므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브러쉬부(163)의 교체가 가능하다.
연마부(150)의 교체의 경우 샌더부(153)가 파손되거나 수명을 다한 경우 샌더부(153)를 제2 하우징(152)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후 새로운 샌더부(153)를 제2 하우징(152)에 결합함으로써 다시 사용할 수 있다.
반면, 제1 하우징(151) 및 제2 하우징(152) 중 적어도 하나가 파손되는 경우 제1 하우징(151) 및 제2 하우징(152)을 전부 교체할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결합부재(154)를 회전부(130)로부터 분리하고, 일체로 형성된 제1 하우징(151), 제2 하우징(152) 및 결합부재(154)를 다시 회전부(130)에 결합함으로써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샌더기(10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마부(150)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샌더기(100)는 제1 하우징(151)과 제2 하우징(152)을 서로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서로 분리된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작업 상의 진동, 오작동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샌더기(100)는 브러쉬부(163)를 용이하게 교체가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샌더기(100)는 브러쉬부(163)를 내부케이스(162)의 외부에 배치함으로써 별도의 구동부(160)를 전부 해체하지 않고 브러쉬부(163)의 교체가 가능하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고안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 샌더기
110: 바디부
120: 집진부
130: 회전부
140: 메인튜브
150: 연마부
151: 제1 하우징
152: 제2 하우징
153: 샌더부
154: 결합부재
160: 구동부
170: 분지부
180: 필터부

Claims (14)

  1.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기체 및 이물질을 집진하는 집진부;
    상기 바디부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집진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회전부;
    상기 집진부와 상기 바디부를 연결하며, 상기 집진부로부터 집진된 상기 기체 및 이물질 중 적어도 하나가 통과하는 메인튜브;
    상기 집진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 시 동시에 회전하는 연마부;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바디부로부터 분지되어 상기 집진부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분지부; 및
    상기 분지부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마부는,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샌더부;를 구비하는 샌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샌더부가 부착되는 상기 제2 하우징의 면 및 상기 샌더부는 격자 형태 또는 벨크로 형태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하는 샌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은 경도가 상이하게 형성되는 샌더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경도는 상기 제2 하우징의 경도보다 크게 형성되는 샌더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부는,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내부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부와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재의 일부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중심로부터 상기 제1 하우징의 외주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샌더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인서트(insert) 사출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샌더기.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지부는 상기 바디부의 내부 공간 및 외부와 연통하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샌더기.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회전자;
    상기 회전자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회전자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구가 형성되는 내부케이스; 및
    상기 내부케이스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자에 전류를 공급하는 브러쉬부;를 구비하는 샌더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부는,
    상기 내부케이스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접촉부하우징;
    상기 접촉부하우징에 설치되며,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회전자에 접촉하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접촉부를 상기 회전자측으로 가력하는 탄성부;를 구비하는 샌더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하우징은,
    상기 내부케이스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제1 접촉부하우징; 및
    상기 제1 접촉부하우징 내부에 삽입되며,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제2 접촉부하우징;을 구비하는 샌더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하우징은,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내부케이스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를 구비하는 샌더기.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외부 전원의 단자가 슬라이딩 결합하도록 양끝단이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샌더기.
KR2020140004228U 2014-06-03 2014-06-03 샌더기 KR2004803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228U KR200480300Y1 (ko) 2014-06-03 2014-06-03 샌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228U KR200480300Y1 (ko) 2014-06-03 2014-06-03 샌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452U KR20150004452U (ko) 2015-12-11
KR200480300Y1 true KR200480300Y1 (ko) 2016-05-09

Family

ID=55028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228U KR200480300Y1 (ko) 2014-06-03 2014-06-03 샌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30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55830B (zh) * 2020-09-23 2021-09-14 燕山大学 一种气动刮漆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9950Y1 (ko) * 2001-02-01 2001-07-19 박종현 핸드 그라인더용 연마헤드
JP2006326781A (ja) * 2005-05-27 2006-12-07 Nitto Kohki Co Ltd 研磨工具
JP2007202275A (ja) * 2006-01-25 2007-08-09 Nidec Copal Corp モー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9950Y1 (ko) * 2001-02-01 2001-07-19 박종현 핸드 그라인더용 연마헤드
JP2006326781A (ja) * 2005-05-27 2006-12-07 Nitto Kohki Co Ltd 研磨工具
JP2007202275A (ja) * 2006-01-25 2007-08-09 Nidec Copal Corp モ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452U (ko) 2015-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48192B2 (ja) 電気機器及び電気装置
EP2479001A1 (en) Dust collection adapter and power tool including dust collection adapter
JP5962325B2 (ja) 電気機器及び電気装置
KR101641262B1 (ko) 로봇 청소기
DK2910333T3 (en) Motorized hand tools
KR200480300Y1 (ko) 샌더기
US20150328573A1 (en) Filter assembly attachment to an angle grinder
US20220087489A1 (en) Clean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brush drum of cleaner
CN106923751A (zh) 吸尘器的手柄以及提高了握感的设备
US7871313B2 (en) Hand-guided machine tool
KR101692011B1 (ko) 물걸레 청소기
CN112696557A (zh) 管线补漏装置
KR101786194B1 (ko) 소도구 날 연마장치
US3543449A (en) Dual motion surface-dressing machine
KR102104671B1 (ko) 집진 하우징의 교체가 가능한 연마기
KR102043506B1 (ko) 유리판 연마장치
KR101960003B1 (ko) 브레이크 스컷트를 갖는 편심 연마기
EP4209157A1 (en) Cleaning brushes, smart clean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leaning brushes
CN209919572U (zh) 新型抛光机
US20210291320A1 (en) Sanding Block for Manual Use, and System Comprising a Sanding Block and an Abrasive Article
WO2002072313A1 (en) Operating plate with a basically circular shape for portable tools
CN108601502B (zh) 便携式电动擦鞋机
CN209439934U (zh) 一体化的风机叶片打磨除尘装置
JP6621641B2 (ja) 電動工具
JP3181759U (ja) 研磨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