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4246A - Method of knitting tubular knitted fabric - Google Patents

Method of knitting tubular knitted fabric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4246A
KR20230154246A KR1020237033975A KR20237033975A KR20230154246A KR 20230154246 A KR20230154246 A KR 20230154246A KR 1020237033975 A KR1020237033975 A KR 1020237033975A KR 20237033975 A KR20237033975 A KR 20237033975A KR 20230154246 A KR20230154246 A KR 20230154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stitch
yarn
knitted fabric
kn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39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사토시 다구치
마나부 유이
요시노리 시마사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30154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424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3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7/32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tubular goo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D04B1/126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with colour pattern, e.g. intarsia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10Needle be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48Thread-feeding devices
    • D04B15/52Thread-feeding devices for straight-bar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24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 D04B7/28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with stitch patte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제1급사구를 움직여, 제1편성포부의 편성폭 내에 인타샤부를 편성한 후에, 상기 제1급사구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급사구를 가로지르도록 제2급사구를 움직여 제2편성포부를 편성하는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타샤부의 종단 스티치를 편성한 후에, 상기 제1급사구를 제1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2편성포부의 스티치가 결합되는 편침에 턱스티치를 형성하는 공정A와, 상기 턱스티치보다도 제2방향측으로 상기 제1급사구를 배치시켜, 상기 편침이 니들베드갭으로 진출함에 따라 상기 턱스티치가 빠지도록 하는 공정B를 실시한다. 상기 제1방향은 상기 인타샤부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이고, 상기 제2방향은 상기 인타샤부에 있어서 내측을 향하는 방향이다.After moving the first yarn feed port and knitting the intasha part within the knitting width of the first knitted fabric portion, with the first yarn feed port stopped, the second yarn feed port is moved to cross the first yarn feed port to form a second yarn feed port. In the method of knitting a tubular knitted fabric for knitting a knitted fabric portion, after knitting the longitudinal stitches of the intasha portion, the first yarn feeder is moved in a first direction, and the knitting needle to which the stitches of the second knitted fabric portion are joined. A process A of forming a tuck stitch is performed, and a process B of arranging the first yarn feeding port in the second direction rather than the tuck stitch so that the tuck stitch falls out as the knitting needle advances into the needle bed gap is performed. The first direction is a direction toward the outside of the intasha por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is a direction toward the inside of the intasha portion.

Description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Method of knitting tubular knitted fabric

본 발명은, 횡편기를 사용한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knitting a tubular knitted fabric using a flat knitting machine.

횡편기는, 복수의 니들베드와 복수의 급사구(給絲口)를 구비한다. 각 급사구는, 각 니들베드에 구비되는 복수의 편침(編針)에 편사(編絲)를 공급한다. 횡편기를 사용하여 편성을 실시하는 경우에, 어떤 급사구(X)를 사용하여 편성포부를 편성할 때에, 그 급사구(X)가 정지하고 있는 다른 급사구(Y)를 가로지르는 경우가 있다. 이때에, 급사구(Y)로부터 연장되는 편사가 상기 편성포부에 편입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기술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 개시되어 있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들 수 있다.A flat knitting machine is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needle beds and a plurality of yarn feeding ports. Each yarn feeding port supplies knitting yarn to a plurality of knitting needles provided in each needle bed. When knitting using a flat knitting machine, when knitting a knit fabric using a certain yarn feed port (X), there are cases where the yarn feed port (X) crosses another stationary yarn feed port (Y). . At this time, there are cases where the knitting yarn extending from the yarn feeding port Y is incorporated into the knitted fabric portion. As a technique for solving this problem, for example, there is a method of knitting a knitted fabric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특허문헌1에는, 인타샤 편성(intarsia knitting)에 있어서 발생하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1의 도2에는, 공정1에 있어서 제1급사구(부호11)를 사용하여 제1편성포부를 편성한 후에, 공정2∼4에 있어서 제2급사구(부호13)를 사용하여 제2편성포부를 편성하는 것이 나타나 있다. 제1편성포부의 적어도 일부가, 니들베드상에서 제2편성포부의 편성폭 방향으로 중복되어 있다. 공정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급사구가 제1급사구를 가로지를 때에 제2급사구와 제1급사구가 같이 되돌려져 있다. 되돌림은, 어느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던 급사구가 일시적으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양 급사구가 되돌려짐으로써, 제1급사구로부터 제1편성포부로 연장되는 편사가 제2편성포부에 편입되는 것이 방지된다.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technique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intarsia knitting. In Figure 2 of Patent Document 1, in Step 1, a first knitted fabric portion is knitted using a first yarn feed port (symbol 11), and then, in steps 2 to 4, a second yarn feed port (symbol 13) is used to knit the first knitted fabric portion. It is shown that the 2nd organization aspiration is organized.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knitted fabric portion overlaps in the knitting width direction of the second knitted fabric portion on the needle bed. As shown in step 3, when the second rapid sand mound crosses the first rapid sand mound, the second rapid sand mound and the first rapid sand mound are returned together. Reversion means that a rapid sand dune that was moving in a certain direction temporarily moves in the opposite direction. By returning both yarn feed openings, the knitting yarn extending from the first yarn feed opening to the first knitting fabric part is prevented from being incorporated into the second knitting fabric part.

특허문헌1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평10-1852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0-1852

특허문헌1의 기술에서는, 제2편성포부가 편성될 때에 제2급사구가 되돌려진다. 그때에 제2급사구가 일단 정지하고, 제2급사구로부터 연장되는 편사의 텐션이 변화된다. 그 결과, 제2급사구의 되돌림 전후에 스티치의 크기가 변화되는 경우가 있다. 편사의 재질에 따라서는, 제2편성포부에 있어서의 스티치의 크기의 차가 눈에 띄는 경우가 있다.In the technology of Patent Document 1, the second yarn feed is returned when the second knit fabric is knitted. At that time, the second feed yarn section temporarily stops, and the tension of the knitting yarn extending from the second feed yarn section changes. As a result, there are cases where the size of the stitch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return of the second yarn yarn. Depending on the material of the knitting yarn, there may be a noticeable difference in the size of the stitches in the second knitted fabric portion.

본 발명의 목적 중의 하나는, 정지한 상태에 있는 제1급사구를 가로지르도록 제2급사구를 이동시켜 편성할 때에, 제2급사구를 되돌릴 필요가 없는 편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One of 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nitting method that does not require the second yarn feeder to be returned when knitting by moving the second yarn feeder to cross the first yarn feeder in a stationary state.

<1> 본 발명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은,<1> The method of knitting the tubular knitted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is,

제1급사구와 제2급사구를 구비하는 횡편기를 사용하여, 제1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제1편성포부와, 상기 제1니들베드와 대향하는 제2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제2편성포부를 구비하는 통모양 편성포를 편성하는 과정에서,Using a flat knitting machine having a first yarn feed port and a second yarn feed port, a first knit fabric part coupled to a first needle bed, and a second knit fabric part coupled to a second needle bed opposite the first needle bed. In the process of knitting a tubular knitted fabric having,

상기 제1급사구를 움직여, 상기 제1편성포부의 편성폭 내에 인타샤부를 편성한 후에, 상기 제1급사구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급사구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제2급사구를 움직여 상기 제2편성포부를 편성하는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있어서,After moving the first yarn feed port and knitting the intasha part within the knitting width of the first knitted fabric portion, with the first yarn feed port stopped, the second yarn feed port is stretched across the first yarn feed port. In the method of knitting a tubular knitted fabric in which the second knitted fabric portion is knitted by moving,

상기 인타샤부의 종단 스티치를 편성한 후에, 상기 제1급사구를 제1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2편성포부의 스티치가 결합되는 편침에 턱스티치를 형성하는 공정A와,A process A of moving the first yarn feeder in a first direction to form a tuck stitch on a knitting needle to which the stitches of the second knitted fabric part are joined, after knitting the longitudinal stitch of the intasha part;

상기 공정A의 다음에, 상기 턱스티치보다도 제2방향측으로 상기 제1급사구를 배치시킴으로써, 상기 제2편성포부를 편성할 때에, 상기 편침이 니들베드갭으로 진출함에 따라 상기 턱스티치가 빠지도록 하는 공정B를After the step A, the first yarn feeder is disposed in the second direction rather than the tuck stitch, so that when the second knitted fabric portion is knitted, the tuck stitch falls out as the knitting needle advances into the needle bed gap. Process B that does

실시한다.Conduct.

다만 상기 제1방향은, 상기 인타샤부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이고,However, the first direction is a direction toward the outside of the intasha portion,

상기 제2방향은, 상기 인타샤부에 있어서 내측을 향하는 방향이다.The second direction is a direction toward the inside of the intasha portion.

<2> 본 발명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1형태로서,<2> As one form of the knitting method of the tubular knitted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공정A에 있어서 상기 턱스티치가 형성되는 위치는, 상기 종단 스티치로부터 볼 때에 편성폭 방향으로 3스티치 이내의 위치이고,In the step A, the position at which the tuck stitch is formed is a position within 3 stitches in the knitting width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longitudinal stitch,

상기 공정B에 있어서 상기 제1급사구가 배치되는 위치는, 상기 턱스티치로부터 볼 때에 편성폭 방향으로 2스티치 이내의 위치인 형태를 들 수 있다.In step B,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yarn feeder is disposed may be within 2 stitches in the knitting width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tuck stitch.

<3> 본 발명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1형태로서,<3> As one form of the knitting method of the tubular knitted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종단 스티치를 편성한 후 및 상기 공정A를 하기 전에, 공정X, 공정Y 및 공정Z를 실시하고,After knitting the longitudinal stitch and before performing Process A, Process X, Process Y, and Process Z are performed,

상기 공정X에서는, 상기 제1급사구를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편성포부 및 상기 제2편성포부가 결합되어 있지 않은 편침에 제1스티치를 편성하고,In the step

상기 공정Y에서는, 상기 제1스티치보다도 상기 제2방향측으로 상기 제1급사구를 배치시킴으로써, 상기 제1급사구로부터 상기 제1스티치로 연장되는 편사를 상기 종단 스티치와 상기 제1스티치를 연결하는 교차사와 교차시키고,In the step Y, the knitting yarn extending from the first yarn feed port to the first stitch is connected to the longitudinal stitch and the first stitch by arranging the first yarn feed port in the second direction rather than the first stitch. Intersect with the intersecting company,

상기 공정Z에서는, 상기 제1스티치를 상기 제1편성포부가 결합되는 니들베드로 이동시키는 형태를 들 수 있다.In the process Z, the first stitch may be moved to a needle bed to which the first knitted fabric is joined.

<4> 본 발명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1형태로서,<4> As one form of the knitting method of the tubular knitted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1편성포부와 상기 제2편성포부가 총침상태에서 편성되는 형태를 들 수 있다.One example is a form in which the first knitted fabric portion and the second knitted fabric portion are knitted in a total needle state.

본 발명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후술하는 실시형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인타샤부의 편성폭 방향으로 중복되는 제2편성포부를 편성할 때에, 제2급사구를 되돌릴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제2편성포부를 편성할 때에, 제2급사구를 정지시킬 필요가 없다. 제2급사구를 정지시키지 않고 제2편성포부를 편성함으로써, 제2편성포부의 편성폭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스티치의 크기에 편차가 생기기 어렵다.According to the knit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need to turn back the second yarn feed section when knitting the second knit fabric portion overlapping in the knitting width direction of the intasha portion, as will be explained in detail in the embodiment described later. Therefore, when knitting the second knitting section, there is no need to stop the second knitting yarn section. By knitting the second knitted fabric portion without stopping the second yarn feed section, it is difficult for variation in the size of the plurality of stitches arranged in the knitting width direction of the second knitted fabric portion to occur.

여기에서 본 발명의 편성방법의 공정A에서는, 제1급사구로부터 급사되는 편사를 사용하여 제2편성포부의 스티치에 턱스티치를 형성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제2편성포부를 편성할 때에 제1편성포부와 제2편성포부가 철해질 수 있다. 그러나 후술하는 실시형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공정A의 턱스티치는 제2편성포부를 편성할 때에 편침에서 빠져 버리기 때문에, 제1편성포부와 제2편성포부가 철해지지 않는다.Here, in step A of the knit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 tuck stitch is formed on the stitches of the second knitted fabric portion using the knitting yarn fed from the first yarn feed port. Therefore, when knitting the second knit fabric, the first knit fabric portion and the second knit fabric portion can be bound. However, as will be explained in detail in the embodiment described later, the tuck stitch in process A is dislodged from the knitting needle when knitting the second knitted fabric portion, so the first knitted fabric portion and the second knitted fabric portion are not stitched together.

루프 프레서나 스티치 프레서 등의 편성보조부재를 구비하는 횡편기에 의하여 통모양 편성포를 편성하는 경우에, 제1급사구로부터 연장되는 편사가 그 편성보조부재에 걸릴 우려가 있다. 그 경우에, 제1편성포부와 제2편성포부가 철해질 가능성이 있다. 상기 형태<2> 및 <3>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후술하는 실시형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1급사구로부터 연장되는 편사가 편성보조부재에 걸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When knitting a tubular knit fabric using a flat knitting machine equipped with a knitting auxiliary member such as a loop presser or a stitch presser, there is a risk that the knitting yarn extending from the first yarn feed opening becomes caught in the knitting auxiliary member. In that cas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first knitting fabric and the second knitting fabric are stitched. According to the knitting methods of the above embodiments <2> and <3>,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knitting yarn extending from the first yarn feeder from being caught on the knitting auxiliary member, as will be explained in detail in the embodiments described later.

상기 형태<4>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촘촘한 스티치를 구비하는 견고한 통모양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knitting method of the above form <4>, a sturdy tubular knitted fabric with dense stitches can be knitted.

도1은, 실시형태1에 관한 통모양 편성포인 니트웨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실시형태1에 관한 편성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이미지도이다.
도3은, 실시형태1에 관한 편성방법의 편성공정의 일부를 나타내는 편성공정도이다.
도4는, 실시형태1에 관한 편성방법의 편성공정의 일부를 설명하는 니들베드의 모식도이다.
Fig.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knitwear that is a tubular knit fabric according to Embodiment 1.
Figure 2 is an image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knitting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 1.
Figure 3 is a knitting process diagram showing a part of the knitting process of the knitting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 1.
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of a needle bed illustrating a part of the knitting process of the knitting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 1.

<실시형태1><Embodiment 1>

본 실시형태1에서는, 본 발명의 편성방법을 사용하여 인타샤 조직을 구비하는 니트웨어를 편성하는 예를 도1∼도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물론 본 예의 편성방법에 의하여 편성되는 편성포는, 니트웨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시트커버 등의 산업자재여도 좋다.In this Embodiment 1, an example of knitting knitwear with an intasha structure using the knit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FIGS. 1 to 4. Of course, the knitted fabric knitted by the knitting method of this example is not limited to knitwear, and may be, for example, industrial materials such as seat covers.

도1에 나타내는 통모양 편성포(100)는, 몸통(50)과 우측 소매(60R)와 좌측 소매(60L)를 구비하는 스웨터이다. 몸통(50)은, 앞쪽 몸통(50F)과 뒤쪽 몸통(50B)을 구비한다. 스웨터의 좌우는 착용자의 좌우를 기준으로 하고, 스웨터의 전후는 착용자의 전후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앞쪽 몸통(50F)에는 인타샤부(3)가 형성되어 있다. 인타샤부(3)는 인타샤 편성(intarsia knitting)에 의하여 얻어진다. 따라서 인타샤부(3)를 구성하는 편사(編絲)와, 인타샤부(3) 이외의 부분을 구성하는 편사는 서로 다르다.The tubular knit fabric 100 shown in Fig. 1 is a sweater having a body 50, a right sleeve 60R, and a left sleeve 60L. The body 50 includes a front body 50F and a rear body 50B.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weater are ba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earer, and the front and back sides of the sweater are based on the front and back sides of the wearer. An intasha part (3) is formed on the front body (50F). The intarsia part (3) is obtained by intarsia knitting. Therefore, the knitting yarns that make up the inta-sha part (3) and the knitting yarns that make up parts other than the in-ta-sha part (3)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인타샤부(3)를 편성하는 순서를 도2의 이미지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예에서는, 4베드 횡편기를 사용하는 편성예를 설명한다. 이하에, 4베드 횡편기에 구비되는 하부 앞쪽 니들베드, 하부 뒤쪽 니들베드, 상부 앞쪽 니들베드 및 상부 뒤쪽 니들베드를 각각 FD, BD, FU 및 BU로 표기한다. 본 예에서는, FD 및 FU가 제1니들베드, BD 및 BU가 제2니들베드이다. FD, BD, FU, BU에 구비되는 편침(編針)은, 훅을 개폐하는 슬라이더를 구비하는 콤파운드 니들이어도 좋고, 훅을 개폐하는 래치를 구비하는 래치니들이어도 좋다. 4베드 횡편기는 복수의 급사구(給絲口)를 구비한다. 본 예에서는, 제1편사(8Y)를 급사하는 제1급사구(8)와, 제2편사(9Y)를 급사하는 제2급사구(9)를 사용하는 편성예를 나타낸다. 급사구(8, 9)는 캐리지와 연동하는 구성이어도 좋고, 캐리지와는 독립하여 이동이 가능한 구성이어도 좋다. 본 예의 급사구(8, 9)는, 캐리지와 독립하여 이동이 가능한 구성이다. 제1급사구(8)로부터 급사되는 제1편사(8Y)는, 인타샤부(3)의 편성에 이용된다. 제2급사구(9)로부터 급사되는 제2편사(9Y)는, 인타샤부(3) 이외의 편성에 이용된다. 물론 편성에 사용되는 급사구는 3개 이상이어도 좋다.The procedure for knitting the intasha part 3 will be explained based on the image diagram in FIG. 2. In this example, a knitting example using a four-bed flat knitting machine will be described. Below, the lower front needle bed, lower back needle bed, upper front needle bed, and upper back needle bed provided in the four-bed flat knitting machine are denoted as FD, BD, FU, and BU, respectively. In this example, FD and FU are the first needle beds, and BD and BU are the second needle beds. The knitting needles provided in FD, BD, FU, and BU may be compound needles provided with a slid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hook, or may be latch needles provided with a latch for opening and closing the hook. A four-bed flat knitting machine is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yarn feed ports. In this example, a knitting example using a first yarn feed port 8 for feeding the first knitting yarn 8Y and a second yarn feed port 9 for feeding the second knitting yarn 9Y is shown. The yarn feeding ports 8 and 9 may be configured to be interlocked with the carriage or may be configured to be movable independently from the carriage. The yarn feeding ports 8 and 9 in this example are configured to be movable independently of the carriage. The first knitting yarn 8Y fed from the first yarn feeding port 8 is used for knitting the in-tasha portion 3. The second knitting yarn 9Y fed from the second yarn feeding port 9 is used for knitting other than the intasha part 3. Of course, there may be three or more feed yarns used in formation.

도2에서는, 급사구(8, 9)는 역삼각 마크로 나타낸다. FD로부터 볼 때에 제1급사구(8)는 제2급사구(9)보다도 앞쪽에 배치되어 있다. 환언하면, BD로부터 볼 때에 제2급사구(9)는 제1급사구(8)보다도 앞쪽에 배치되어 있다. 몸통(50)의 양단(兩端)에 나타내는 가로막대는, 앞쪽 몸통(50F)과 뒤쪽 몸통(50B)의 경계이다. 도2에 있어서의 「T+숫자」는 편성의 순서를 나타낸다. 굵은 선 화살표는 급사구(8, 9)의 이동을 나타낸다.In Fig. 2, the yarn feeding holes 8 and 9 are indicated by inverted triangle marks. When viewed from FD, the first rapid sand opening 8 is located ahead of the second rapid sand opening 9. In other words, when viewed from BD, the second rapid sand opening 9 is located ahead of the first rapid sand opening 8. The horizontal bars shown at both ends of the body 50 are the boundary between the front body 50F and the rear body 50B. “T+number” in Fig. 2 indicates the order of knitting. The thick line arrows indicate the movement of the rapid sand dunes (8, 9).

T0에는, 인타샤부(3)의 직전까지 편성된 몸통(50)이 나타나 있다. 본 예의 몸통(50)은, 제2급사구(9)를 사용한 통모양 편성(tubular knitting)에 의하여 편성된다. 이 상태에서, 인타샤부(3)를 구비하는 앞쪽 몸통(50F)과, 이 앞쪽 몸통(50F)과 대향(對向)하는 뒤쪽 몸통(50B)을 편성한다. T1 이후에, 인타샤부(3)를 구비하는 앞쪽 몸통(50F)을 제1편성포부(1)라고 하고, 뒤쪽 몸통(50B)을 제2편성포부(2)라고 한다.At T0, the body 50 knitted up to just before the intasha portion 3 is shown. The body 50 of this example is knitted by tubular knitting using the second yarn feeder 9. In this state, a front body 50F provided with an intasha portion 3 and a rear body 50B facing the front body 50F are knitted. After T1, the front body 50F including the intasha portion 3 is referred to as the first knitted fabric portion 1, and the rear body 50B is referred to as the second knitted fabric portion 2.

T1에서는, 몸통(50)(T0)의 편성폭 외로부터 제1급사구(8)를 실 넣기하고, 제1급사구(8)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킨 후에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왕복편성(reciprocating knitting)을 실시한다. 이 왕복편성에 의하여, FD에 있어서 인타샤부(3)가 웨일방향으로 2단(段) 편성된다. 인타샤부(3)의 편성 후에, 후술하는 도3, 4의 편성공정도에 나타내는 편성을 실시한다.In T1, the first yarn feeding port 8 is threaded from outside the knitting width of the body 50 (T0), and the first yarn feeding port 8 is moved to the right and then to the left. knitting) is performed. By this reciprocating knitting, in the FD, the intasha portion 3 is knitted in two stages in the wale direction. After knitting the intasha portion 3, knitting is performed as shown in the knitting process diagrams of Figures 3 and 4 described later.

T2에서는, 제2급사구(9)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킨 후에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왕복편성을 실시한다. 이 왕복편성에 의하여, FD에 있어서 우측부(1R)가 웨일방향으로 2단 편성된다. 우측부(1R)는, 제1편성포부(1)의 일부이다. 우측부(1R)는, 인타샤부(3)의 편성폭 방향의 우측(도면상에서는 좌측)에 인접하고, 턱(tuck) 등의 편성에 의하여 인타샤부(3)와 접합된다.In T2, reciprocating knitting is performed in which the second yarn feeding port 9 is moved to the right and then to the left. By this reciprocating knitting, the right portion 1R in the FD is knitted in two stages in the wale direction. The right portion 1R is a part of the first knitted fabric portion 1. The right portion 1R is adjacent to the right side (left in the drawing) in the knitting width direction of the intasha portion 3, and is joined to the intasha portion 3 by knitting such as a tuck.

T3에서는, 제2급사구(9)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 BD에 있어서 제2편성포부(2)를 편성한다. 본 예에서는, 제2편성포부(2)의 편성범위 내에 있어서 인타샤부(3)의 편성범위가 중복되어 있다. 따라서 제2편성포부(2)를 편성할 때에, 제2급사구(9)는 제1급사구(8)를 가로지른다. 본 예에서는, T1의 다음에 도3, 4의 편성을 실시함으로써, 제2급사구(9)를 정지시키지 않고 제2편성포부(2)를 편성할 수 있다. T3의 편성 후에, 다시 도3, 4의 편성을 실시한다.At T3, the second yarn feeding port 9 is moved to the right, and the second knit fabric portion 2 is knitted in BD. In this example, the knitting range of the intasha part 3 overlaps within the knitting range of the second knitted fabric part 2. Therefore, when knitting the second knit fabric section 2, the second yarn feed section 9 crosses the first yarn feed section 8. In this example, by carrying out the knitting of Figures 3 and 4 after T1, the second knit fabric portion 2 can be knitted without stopping the second yarn feeding port 9. After knitting T3, knitting in Figures 3 and 4 is performed again.

T4에서는, 제2급사구(9)를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킨 후에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왕복편성을 실시한다. 이 왕복편성에 의하여, FD에 있어서 좌측부(1L)가 웨일방향으로 2단 편성된다. 좌측부(1L)는, 제1편성포부(1)의 일부이다. 좌측부(1L)는, 인타샤부(3)의 편성폭 방향의 좌측(도면상에서는 우측)에 인접하고, 턱 등의 편성에 의하여 인타샤부(3)와 접합된다.In T4, reciprocating knitting is performed in which the second yarn feeding port 9 is moved to the left and then to the right. By this reciprocating knitting, the left portion 1L of the FD is knitted in two stages in the wale direction. The left portion 1L is a part of the first knitted fabric portion 1. The left portion 1L is adjacent to the left side (right side in the drawing) in the knitting width direction of the intasha portion 3, and is joined to the intasha portion 3 by knitting a tuck or the like.

T5에서는, 제2급사구(9)를 좌측방향으로 이동시켜, 뒤쪽 니들베드(BD)에 있어서 제2편성포부(2)를 편성한다. 이 T5에 있어서도, 제2급사구(9)는 제1급사구(8)를 가로지른다. T3의 다음에 도3, 4의 편성을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제2급사구(9)를 정지시키지 않고 제2편성포부(2)를 편성할 수 있다. T5가 종료된 시점에 있어서의 급사구(8, 9)의 배치는 T1과 동일하다. 따라서 T5 이후에는 T1∼T5의 편성을 반복함으로써, 도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몸통(50)에 인타샤부(3)가 편성된다.At T5, the second yarn feeding port 9 is moved to the left, and the second knitted fabric portion 2 is knitted on the back needle bed BD. Also in this T5, the second rapid sand dune 9 crosses the first rapid dune dune 8. Since the knitting of FIGS. 3 and 4 is performed after T3, the second knitted fabric portion 2 can be knitted without stopping the second yarn feeding port 9. The arrangement of the yarn feeding ports 8 and 9 at the end of T5 is the same as that of T1. Therefore, by repeating the knitting of T1 to T5 after T5, the intasha portion 3 is knitted to the body 50 as shown in FIG. 1.

다음에, 인타샤부(3)를 구비하는 부분의 구체적인 편성공정을 도3, 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3에 있어서의 「S+숫자」는 편성공정의 번호를 나타낸다. 도3의 우측 칸에는 FD, BD 및 BU에 있어서의 스티치의 결합상태가 나타나 있다. 도3에서는, FU를 도면에 나타내는 것은 생략하고 있다. 우측 칸에 있어서, 검은색 점은 편침을, 동그라미 마크는 스티치를, V자 마크는 픽업 스티치(pick up stitch) 또는 턱스티치(tuck stitch)를, 역삼각 마크는 급사구(8, 9)를 나타내고 있다. 칸 밖의 알파벳 대문자는, 편침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각 공정에 있어서 실제로 편성된 부분은 굵은 선으로, 새로 편성된 스티치는 이를 전부 색칠하여 나타낸다.Next, the specific knitting process of the part provided with the intasha portion 3 will be explained based on FIGS. 3 and 4. “S+Number” in Fig. 3 indicates the number of the knitting process. The right column of Figure 3 shows the combined state of stitches in FD, BD, and BU. In Figure 3, FU is omitted from the drawing. In the right compartment, black dots indicate knitting needles, circle marks indicate stitches, V-shaped marks indicate pick up stitches or tuck stitches, and inverted triangle marks indicate yarn feeders (8, 9). It is showing. The capital letters outside the box indicate the position of the knitting needle. In each process, the actually knitted parts are indicated by thick lines, and the newly knitted stitches are all colored.

도3의 S0에는, 도2의 T0의 좌측 반 정도에 상당하는 스티치가 나타나 있다. 본 예에서는, 제1편성포부(1)와 제2편성포부(2)는 인접하는 스티치의 사이에 공침(空針)이 없는 총침상태(full-gauge state)에서 편성되고 있다.In S0 in Fig. 3, a stitch corresponding to about the left half of T0 in Fig. 2 is shown. In this example, the first knitted fabric portion 1 and the second knitted fabric portion 2 are knitted in a full-gauge state with no voids between adjacent stitches.

S1에서는, 제1급사구(8)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 공침인 BU의 편침(K)에 픽업 스티치(10)를 형성한 후에, FD의 편침(L)에서 편침(T)에 결합되는 인타샤부(3)를 편성한다. 픽업 스티치(10)의 편성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S1의 편성은, 도2의 T1의 왕로편성(往路編成)에 상당한다.In S1, the first yarn feeding port 8 is moved to the right to form a pick-up stitch 10 on the knitting needle K of BU, which is a co-needle, and then the knitting needle L of FD is joined to the knitting needle T Organize Intashabu (3). Knitting of the pick-up stitch 10 is not essential. The organization of S1 corresponds to the outbound organization of T1 in Figure 2.

S2에서는, 제1급사구(8)를 좌측방향으로 이동시켜, FD의 편침(T)에서 편침(L)에 결합되는 인타샤부(3)를 편성한다. S2의 편성은, 도2의 T1의 귀로편성(歸路編成)에 상당한다. 또한 이 S2에서는, 인타샤부(3)의 편성종료 후에, 제1급사구(8)를 좌측방향으로 이동시켜, 픽업 스티치(10)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는 제1스티치(11)를 편성한다(공정X). 본 예에서는, 인타샤부(3)로부터 멀어지는 도3의 좌측방향을 제1방향(D1)이라고 하고, 인타샤부(3)에 가까워지는 우측방향을 제2방향(D2)이라고 한다. 제1방향(D1)과 제2방향(D2)은, 칸 밖의 알파벳 대문자의 옆에 나타낸다. 여기에서 S1에 있어서 픽업 스티치(10)를 형성하지 않은 경우에, S2의 제1스티치(11)는 픽업 스티치가 된다. 제1스티치(11)는, 다음의 S3이 실시되는 시점에 제1편성포부(1)와 대향하는 니들베드에 존재할 필요가 있다.In S2, the first yarn feeding port 8 is moved to the left to knit the intasha portion 3 coupled to the knitting needles (L) from the knitting needles (T) of the FD. The formation of S2 corresponds to the return formation of T1 in Fig. 2. Also, in this S2, after knitting of the intasha portion 3 is completed, the first yarn feeding port 8 is moved to the left, and the first stitch 11 that continues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pickup stitch 10 is knitted. (Process X). In this example, the left direction in FIG. 3 away from the intasha portion 3 is referred to as the first direction D1, and the right direction toward the intasha portion 3 is referred to as the second direction D2. The first direction (D1) and the second direction (D2) are shown next to the capital letters of the alphabet outside the box. Here, when the pickup stitch 10 is not formed in S1, the first stitch 11 in S2 becomes a pickup stitch. The first stitch 11 needs to be present on the needle bed opposite the first knitted fabric portion 1 when the next S3 is performed.

S3에서는, 제1스티치(11)보다도 제2방향(D2) 측으로 제1급사구(8)를 배치시킴으로써, 제1급사구(8)로부터 제1스티치(11)로 연장되는 제1편사(8Y)를 교차사(12)와 교차시킨다(공정Y). 본 예에서는, 제1급사구(8)를 제2방향(D2)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편사(8Y)를 교차사(12)와 교차시키고 있다. 교차사(12)는, FD에 결합되는 종단 스티치(終端 stitch)(3E)와, BU에 결합되는 제1스티치(11)를 연결한다. 종단 스티치(3E)는, S2에 있어서 편성되는 인타샤부(3)의 복수의 스티치 중에서 최후에 편성되는 스티치이다. 즉 교차사(12)는, 전후의 니들베드에 걸쳐 있다. 본 예와는 다르게, BD 및 BU를 제1방향(D1)으로 래킹(racking)시킴으로써, 제1편사(8Y)를 교차사(12)와 교차시켜도 좋다.In S3, the first knitting yarn 8Y extends from the first yarn feeding opening 8 to the first stitch 11 by arranging the first yarn feeding opening 8 in the second direction D2 rather than the first stitch 11. ) is crossed with the cross yarn 12 (process Y). In this example, the first knitting yarn 8Y is crossed with the intersecting yarn 12 by moving the first yarn feeding port 8 in the second direction D2. The cross yarn 12 connects the longitudinal stitch 3E coupled to the FD and the first stitch 11 coupled to the BU. The longitudinal stitch 3E is a stitch knitted last among the plurality of stitches of the intasha portion 3 knitted in S2. That is, the cross yarn 12 spans the front and rear needle beds. Different from this example, the first knitting yarn 8Y may be crossed with the cross yarn 12 by racking BD and BU in the first direction D1.

S4에서는, 제1편성포부(1)가 결합되는 니들베드로 제1스티치(11)를 이동시킨다(공정Z). 구체적으로는, 제1스티치(11)를 FD의 편침(K)으로 이동시키고 있다. 이때에, 교차사(12)와 교차하는 제1편사(8Y)가 교차사(12)에 걸려 FD측으로 보내진다. 또한 S4의 제1스티치(11)의 이동에 의하여, 제1스티치(11)가 스티치(19)(S3 참조)에 포개진다. 스티치(19)는, 제1편성포부(1)에 있어서의 인타샤부(3) 이외의 부분의 스티치이다. 스티치(19)와 제1스티치(11)가 포개짐으로써, 도2의 T2에 있어서 우측부(1R)를 형성하였을 때에 인타샤부(3)와 우측부(1R)가 더욱 강고(强固)하게 접합된다.In S4, the first stitch 11 is moved to the needle bed where the first knitted fabric portion 1 is joined (process Z). Specifically, the first stitch 11 is moved to the knitting needle K of the FD. At this time, the first knitting yarn 8Y that intersects the cross yarn 12 is caught on the cross yarn 12 and is sent to the FD side. Additionally, due to the movement of the first stitch 11 in S4, the first stitch 11 is overlapped with the stitch 19 (see S3). The stitch 19 is a stitch in a portion of the first knitted fabric portion 1 other than the intasha portion 3. By overlapping the stitch 19 and the first stitch 11, when forming the right portion 1R at T2 in Fig. 2, the intasha portion 3 and the right portion 1R become more strong. It is joined.

S4에 계속되는 편성순서를 도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4에는, FD 및 BD의 편침에 대한 스티치의 결합상태가 모식적으로 나타나 있다. 도4에 있어서의 칸 밖의 알파벳 대문자는, 편침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4의 알파벳 대문자는, 도3의 알파벳 대문자에 대응하고 있다. 도4에서는, 인타샤부(3)의 스티치 이외의 스티치를 생략하고 있다. 실제로는, FD의 편침(J, K)에는 제1편성포부(1)의 스티치가, BD의 편침(J, K, L, M)에는 제2편성포부(2)의 스티치가 결합되어 있다. 인접하는 편침의 사이에는 싱커(sinker)(6)와 루프 프레서(5)가 배치되어 있다. 싱커(6)는, 편성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스티치의 사이를 연결하는 싱커루프의 형상을 조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루프 프레서(5)는, 스티치나 편사를 니들베드갭(7)의 하방으로 가압하기 위한 구성이다(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3-64205호 공보 등을 참조). 루프 프레서(5)는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다. 여기에서 S5, S6에서는, FD에 설치되는 싱커(6)와 루프 프레서(5)를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하고 있다.The organizing sequence following S4 will be explained based on FIG. 4. Figure 4 schematically shows the combined state of stitches on FD and BD knitting needles. The capital letters outside the cells in Figure 4 indicate the positions of the knitting needles. The capital letters of the alphabet in Figure 4 correspond to the capital letters of the alphabet in Figure 3. In Figure 4, stitches other than those of the intasha portion 3 are omitted. In reality, the stitches of the first knitted fabric portion (1) are coupled to the knitting needles (J, K) of the FD, and the stitches of the second knitted fabric portion (2) are coupled to the knitting needles (J, K, L, M) of the BD. A sinker (6) and a loop presser (5) are disposed between adjacent knitting needles. The sinker 6 is configured to adjust the shape of the sinker loop connecting two adjacent stitches in the knitting width direction. The loop presser 5 is configured to press stitches or knitting yarns downwards of the needle bed gap 7 (for example, refer to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3-64205, etc.). The roof presser (5) is not an essential component. Here, in S5 and S6, the sinker 6 and loop presser 5 installed in the FD are omitted from showing in the drawings.

도4의 S4에는, 도3의 S4가 종료된 때의 스티치의 결합상태가 나타나 있다. S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스티치(11)로부터 제1급사구(8)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1편사(8Y)는, 교차사(12)에 걸려 FD측으로 보내지고 있다. 그 때문에, BD의 편침을 움직여도 제1편사(8Y)가 BD의 편침에 걸리기 어려워진다. 예를 들면 스티치 프레서(일본국 공개특허 특개평3-8841호 공보)를 구비하는 횡편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스티치 프레서에 제1편사(8Y)가 걸리기 어렵다. 스티치 프레서는, 새로운 스티치를 편성할 때에 니들베드에 결합되어 있는 기존의 스티치를 니들베드갭(7)의 하방으로 가압하는 부재이다. 니들베드갭(7)은, FD와 BD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이다. 니들베드갭(7)의 하방은, 지면의 수직방향에 있어서의 안쪽이다. 스티치 프레서는, 캐리지에 탑재되어 캐리지와 함께 이동한다.S4 in FIG. 4 shows the combined state of the stitches when S4 in FIG. 3 is completed. As shown in S4, the first knitting yarn 8Y extending from the first stitch 11 toward the first yarn feeding port 8 is caught on the cross yarn 12 and is sent to the FD side. Therefore, even if the knitting needle of BD is moved, it becomes difficult for the first knitting yarn 8Y to get caught on the knitting needle of BD. For example, even when using a flat knitting machine equipped with a stitch presser (Japanese Patent Laid-Open No. 3-8841), it is difficult for the first knitting yarn 8Y to get caught in the stitch presser. The stitch presser is a member that presses an existing stitch coupled to the needle bed downward of the needle bed gap 7 when knitting a new stitch. The needle bed gap 7 is a gap formed between FD and BD. The lower part of the needle bed gap 7 is in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ground. The stitch presser is mounted on the carriage and moves with the carriage.

S5에서는, 제1급사구(8)를 제1방향(D1)으로 이동시켜, 제2편성포부(2)(도3 참조)의 스티치에 턱스티치(15)를 형성한다(공정A). 구체적으로는, BD의 편침(J)의 훅(4)에 턱스티치(15)를 형성한다. 턱스티치(15)의 형성위치는, 종단 스티치(3E)로부터 볼 때에 편성폭 방향으로 3스티치 이내의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예에서는, 턱스티치(15)의 형성위치는 종단 스티치(3E)로부터 볼 때에 편성폭 방향으로 2스티치 떨어진 위치이다.In S5, the first yarn feeding port 8 is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D1 to form a tuck stitch 15 on the stitch of the second knitted fabric portion 2 (see Fig. 3) (process A). Specifically, a tuck stitch 15 is formed on the hook 4 of the knitting needle J of BD.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tuck stitch 15 is preferably within 3 stitches in the knitting width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longitudinal stitch 3E. In this example,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tuck stitch 15 is a position 2 stitches away in the knitting width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longitudinal stitch 3E.

또한 S5에서는, 턱스티치(15)보다도 제2방향(D2) 측으로 제1급사구(8)를 배치시킨다(공정B). 본 예에서는, 제1급사구(8)를 제2방향(D2)으로 이동시켜, 턱스티치(15)를 넘는 위치에 제1급사구(8)를 정지시키고 있다. 제1급사구(8)의 정지위치는, 턱스티치(15)로부터 볼 때에 편성폭 방향으로 2스티치 이내의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예에서는, 제1급사구(8)의 정지위치는 편침(J)과 편침(K)의 사이이다. 이 정지위치는, 턱스티치(15)로부터 볼 때에 편성폭 방향으로 0.5스티치 떨어진 위치이다. S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턱스티치(15)를 형성한 후에 제1급사구(8)를 제2방향(D2)으로 이동시킨다. 그 결과, 제1편사(8Y) 중에서, 제1급사구(8)로부터 턱스티치(15)로 연장되는 부분과, 턱스티치(15)로부터 제1스티치(11)로 연장되는 부분이 늘어짐 없이 팽팽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턱스티치(15)는, 훅(4)의 선단(先端)에 걸린 것과 같은 상태가 된다. 본 예와는 다르게, BD를 제1방향(D1)으로 래킹시킴으로써, 턱스티치(15)보다도 제2방향(D2) 측으로 제1급사구(8)를 배치시켜도 좋다.Additionally, in S5, the first yarn feeding port 8 is arranged toward the second direction D2 rather than the tuck stitch 15 (process B). In this example, the first yarn feeding port 8 is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D2 and the first yarn feeding port 8 is stopped at a position beyond the tuck stitch 15. The stopping position of the first yarn feeding port 8 is preferably within 2 stitches in the knitting width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tuck stitch 15. In this example, the stopping position of the first yarn feeding port 8 is between the knitting needle J and the knitting needle K. This stop position is a position 0.5 stitches away in the knitting width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tuck stitch 15. As shown in S5, after forming the tuck stitch 15, the first yarn feeding port 8 is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D2. As a result, of the first knitting yarn 8Y, the part extending from the first yarn feed opening 8 to the tuck stitch 15 and the part extending from the tuck stitch 15 to the first stitch 11 are taut without sagging. It becomes a state. Accordingly, the tuck stitch 15 is in the same state as being caught on the tip of the hook 4. Different from the present example, the first yarn feeding port 8 may be arranged closer to the second direction D2 than the tuck stitch 15 by racking the BD in the first direction D1.

S5가 실시된 후에, 도2의 T2, T3가 실시된다. S5의 시점에, 종단 스티치(3E)로부터 제1급사구(8)로 연장되는 제1편사(8Y)가 훅(4)에 의하여 반환되어, 늘어짐 없이 팽팽한 상태로 되어 있다. 제1편사(8Y)가 늘어짐 없이 팽팽한 상태에 놓임으로써, 턱스티치(15)는 편침(J)의 훅(4)의 선단에 걸린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S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편성포부(2)를 편성하기 위하여 BD의 편침(J, K)이 니들베드갭(7)으로 진출하면, 턱스티치(15)(S5)는 훅(4)에서 빠진다. 여기에서 제2편성포부(2)(도2)의 스티치는 편침(J)의 훅(4)의 안쪽에 배치되어, 기존의 제2편성포부(2)에 의하여 니들베드갭(7)의 하방으로 당겨지고 있기 때문에, 편침(J)에서는 빠지지 않는다.After S5 is implemented, T2 and T3 in Figure 2 are implemented. At the time of S5, the first knitting yarn 8Y extending from the longitudinal stitch 3E to the first yarn feed opening 8 is returned by the hook 4 and is in a taut state without sagging. By placing the first knitting yarn 8Y in a taut state without sagging, the tuck stitch 15 is caught on the tip of the hook 4 of the knitting needle J. Therefore, as shown in S6, when the knitting needles (J, K) of BD advance into the needle bed gap (7) to knit the second knitted fabric portion (2), the tuck stitch (15) (S5) is connected to the hook (4). falls out of Here, the stitch of the second knitted fabric portion 2 (Figure 2) is disposed inside the hook 4 of the knitting needle J, and is located below the needle bed gap 7 by the existing second knitted fabric portion 2. Because it is being pulled, it does not fall out of the knitting needle (J).

S6에 있어서, 제1급사구(8)로부터 제1스티치(11)로 연장되는 편사(제1편사(8Y)의 일부)는, 편성 시에는 편침(K)의 하방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태가 되는 것은, S5에 있어서 턱스티치(15)로부터 제1스티치(11)로 연장되는 부분이 늘어짐 없이 팽팽한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제1급사구(8)로부터 제1스티치(11)로 연장되는 편사가, 편침(K)의 훅(4)에 걸리지 않고, 스티치 프레서에 걸리는 일도 없다. 따라서 S5에 나타내는 편성을 실시함으로써, 제2편성포부(2)(도2의 T3)를 편성하기 위하여 BD의 편침을 움직이더라도 제1편사(8Y)가 제2편성포부(2)에 편입되지 않는다. 게다가 제2편성포부(2)를 편성할 때에, 제2급사구(9)를 정지시킬 필요가 없다.In S6, the knitting yarn (part of the first knitting yarn 8Y) extending from the first yarn feeding port 8 to the first stitch 11 is disposed below the knitting needle K during knitting. This state is because the part extending from the tuck stitch 15 to the first stitch 11 in S5 is in a taut state without sagging. The knitting yarn extending from the first yarn feeding port 8 to the first stitch 11 does not get caught on the hook 4 of the knitting needle K, nor does it get caught on the stitch presser. Therefore, by performing the knitting shown in S5, even if the knitting needles of BD are moved to knit the second knitted fabric portion 2 (T3 in Fig. 2), the first knitting yarn 8Y is not incorporated into the second knitted fabric portion 2. . Moreover, when knitting the second knitting fabric section 2, there is no need to stop the second yarn feeding port 9.

S6에서는, 루프 프레서(5)가 니들베드갭(7)을 향하여 진출하고 있다. 본 예에서는, 루프 프레서(5)가 니들베드갭(7)을 향하여 진출하더라도 제1편사(8Y)가 제2편성포부(2)에 편입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S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급사구(8)가 편침(J)과 편침(K)의 사이에 배치되어, 제1급사구(8)로부터 턱스티치(15)로 연장되는 부분이 루프 프레서(5)의 동작역(動作域)보다도 하방에 배치되기 때문이다. 루프 프레서(5)를 구비하지 않는 횡편기를 사용하여 편성을 실시하는 경우에, 제1급사구(8)의 정지위치는 S5의 위치보다도 제2방향(D2) 측이어도 좋다.At S6, the loop presser 5 is advancing toward the needle bed gap 7. In this example, even if the loop presser 5 advances toward the needle bed gap 7, the first knitting yarn 8Y is not incorporated into the second knit fabric portion 2. This is because, as shown in S5, the first yarn feeding port 8 is disposed between the knitting needle J and the knitting needle K, and the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yarn feeding port 8 to the tuck stitch 15 is the loop press. This is because it is placed lower than the Dongjak station in (5). When knitting is performed using a flat knitting machine without the loop presser 5, the stopping position of the first yarn feeding port 8 may be closer to the second direction D2 than the position S5.

여기에서 S5에 있어서, 제1스티치(11)로부터 턱스티치(15)로 연장되는 편사(제1편사(8Y)의 일부)와 니들베드의 길이방향 사이의 각도(θ)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각도(θ)가 작아질수록, S6에 있어서 제1급사구(8)로부터 연장되는 편사가 편침(K)의 하측에 배치되기 쉬워진다. 또한 상기 편사가 스티치 프레서(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걸리기 어려워진다. 본 예에서는, 도3의 편성을 실시함으로써, 제1스티치(11)로부터 턱스티치(15)를 향하는 편사가 편침(K)의 제2방향(D2) 측으로부터 인출되고 있다. 그 때문에, 본 예에 있어서의 각도(θ)는, 제1스티치(11)로부터 턱스티치(15)를 향하는 편사가 편침(K)의 제1방향(D1) 측으로부터 인출되고 있는 경우에 비하여 작다. 각도(θ)를 작게 하는 수단으로서, 턱스티치(15)를 형성하는 편침을 편침(J)보다도 제1방향(D1) 측에 있는 편침으로 하는 것을 들 수 있다.Here, in S5, it is preferable that the angle θ betwee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eedle bed and the knitting yarn (part of the first knitting yarn 8Y) extending from the first stitch 11 to the tuck stitch 15 is small. As the angle θ becomes smaller, the knitting yarn extending from the first yarn feeding port 8 becomes easier to be disposed below the knitting needle K in S6. Additionally, it becomes difficult for the knitting yarn to get caught in the stitch presser (not shown in the drawing). In this example, by carrying out the knitting of Figure 3, the knitting yarn from the first stitch 11 toward the tuck stitch 15 is pulled out from the second direction D2 side of the knitting needle K. Therefore, the angle θ in this example is smaller than that in the case where the knitting yarn heading from the first stitch 11 to the tuck stitch 15 is pulled out from the first direction D1 side of the knitting needle K. . As a means of reducing the angle θ, the knitting needle forming the tuck stitch 15 may be used as a knitting needle located in the first direction D1 rather than the knitting needle J.

상기한 바와 같이 도3, 4의 편성을 실시함으로써, 도2의 T3 및 T5에 있어서, 제2급사구(9)를 되돌리지 않고 제2편성포부(2)를 편성하더라도 제1편성포부(1)와 제2편성포부(2)가 철해지지 않는다. 따라서 제2편성포부(2)를 편성할 때에, 제2급사구(9)를 정지시킬 필요가 없다. 제2급사구(9)를 정지시키지 않고 제2편성포부(2)를 편성함으로써, 제2급사구(9)로부터 연장되는 제2편사(9Y)의 텐션을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제2편성포부(2)를 편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제2편성포부(2)를 구성하는 복수의 스티치의 크기에 편차가 생기기 어려워, 외관이 좋은 통모양 편성포(100)가 편성된다.By carrying out the knitting of FIGS. 3 and 4 as described above, in T3 and T5 of FIG. 2, even if the second knitted fabric portion 2 is knitted without returning the second yarn feed port 9, the first knitted fabric portion 1 ) and the second organization aspiration (2) are not organized. Therefore, when knitting the second knit fabric section 2, there is no need to stop the second yarn feeding port 9. By knitting the second knitting fabric portion 2 without stopping the second yarn feed port 9, the second knitting is performed while maintaining the tension of the second knitting yarn 9Y extending from the second yarn feed port 9 constant. Aspirations (2) can be organized. As a result, the size of the plurality of stitches constituting the second knitted fabric portion 2 is less likely to vary in size, and a tubular knitted fabric 100 with a good appearance is knitted.

<기타><Other>

도3에 나타내는 편성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2의 T1에 나타내는 왕복편성에 의하여 인타샤부(3)를 편성한 후에, 도3에 나타내는 편성을 실시하지 않고, 도4의 S5에 나타내는 편성을 실시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 종단 스티치(3E)와 턱스티치(15)가 직접 연결된다. 도3의 편성을 실시하지 않는 경우에, 인타샤부(3)의 종단 스티치(3E)는 제1급사구(8)를 제2방향(D2)으로 이동시켜 편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종단 스티치(3E)는 비틀림 스티치(twisted stitch)가 된다. 종단 스티치(3E)로부터 턱스티치(15)로 연장되는 편사가, 편침(L)의 제2방향(D2) 측으로부터 인출된다. 그 결과, 종단 스티치(3E)로부터 턱스티치(15)로 연장되는 편사와 니들베드의 길이방향 사이의 각도가 작아진다.The organization shown in Figure 3 is not essential. For example, after knitting the intasha portion 3 by the reciprocating knitting shown in T1 in Fig. 2, the knitting shown in Fig. 3 may not be performed, but the knitting shown in S5 in Fig. 4 may be performed. In this case, the longitudinal stitch 3E and the tuck stitch 15 are directly connected. When the knitting shown in Fig. 3 is not performed, the longitudinal stitch 3E of the intasha portion 3 is preferably knitted by moving the first yarn feeding port 8 in the second direction D2. By doing so, the longitudinal stitch 3E becomes a twisted stitch. The knitting yarn extending from the longitudinal stitch 3E to the tuck stitch 15 is pulled out from the knitting needle L in the second direction D2. As a result, the angle betwee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eedle bed and the knitting yarn extending from the longitudinal stitch 3E to the tuck stitch 15 becomes smaller.

제1편성포부(1)와 제2편성포부(2)는, 인접하는 스티치의 사이에 공침이 배치되는 하프 게이지 상태(half-gauge state)에서 편성되어도 좋다. 제1편성포부(1)와 제2편성포부(2)를 하프 게이지 상태에서 편성하는 것이면, 본 발명의 편성방법에 사용하는 횡편기는 2베드 횡편기여도 좋다.The first knitted fabric portion 1 and the second knitted fabric portion 2 may be knitted in a half-gauge state in which co-needle is disposed between adjacent stitches. As long as the first knitted fabric portion 1 and the second knitted fabric portion 2 are knitted in a half gauge state, the flat knitting machine used in the knit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two-bed flat knitting machine.

앞쪽 몸통(50F)은 복수의 인타샤부(3)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앞쪽 몸통(50F)에 더하여, 뒤쪽 몸통(50B)도 적어도 하나의 인타샤부(3)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앞쪽 몸통(50F)과 뒤쪽 몸통(50B)의 각각에 인타샤부(3)가 있는 경우에, 4개 이상의 급사구를 사용하여 편성을 실시한다. 이 경우에, 앞쪽 몸통(50F)의 인타샤부(3)를 편성할 때에는, 앞쪽 몸통(50F)을 제1편성포부(1), 뒤쪽 몸통(50B)을 제2편성포부(2)로 간주하여, 본 발명의 편성방법을 실시한다. 뒤쪽 몸통(50B)의 인타샤부(3)를 편성할 때에는, 뒤쪽 몸통(50B)을 제1편성포부(1), 앞쪽 몸통(50F)을 제2편성포부(2)로 간주하여, 본 발명의 편성방법을 실시한다.The front body 50F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tasha parts 3. In addition to the front body 50F, the rear body 50B may also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intasha portion 3. When each of the front body 50F and the back body 50B has an intasha portion 3, knitting is performed using four or more yarn feeders. In this case, when knitting the instasha portion 3 of the front body 50F, the front body 50F is regarded as the first knitted fabric portion 1 and the rear body 50B is regarded as the second knitted fabric portion 2. Thus, the knit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When knitting the intasha portion 3 of the rear body 50B, the rear body 50B is regarded as the first knitted fabric portion 1 and the front body 50F is regarded as the second knitted fabric portion 2, and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 the organizing method.

1 : 제1편성포부 1L : 좌측부 1R : 우측부
2 : 제2편성포부
3 : 인타샤부 3E : 종단 스티치
4 : 훅
5 : 루프 프레서
6 : 싱커
7 : 니들베드갭
8 : 제1급사구 8Y : 제1편사
9 : 제2급사구 9Y : 제2편사
10 : 픽업 스티치 11 : 제1스티치
12 : 교차사 15 : 턱스티치
50 : 몸통 50F : 앞쪽 몸통 50B : 뒤쪽 몸통
60L : 좌측 소매 60R : 우측 소매
100 : 통모양 편성포
D1 : 제1방향 D2 : 제2방향
1: First knitting aspiration part 1L: Left part 1R: Right part
2: Second organization aspiration
3: Intashabu 3E: End stitch
4: hook
5: Loop presser
6: Sinker
7: Needle bed gap
8: 1st knitting yarn 8Y: 1st knitting yarn
9: 2nd knitting yarn 9Y: 2nd knitting yarn
10: Pick-up stitch 11: 1st stitch
12: Cross yarn 15: Tuck stitch
50: Torso 50F: Front Torso 50B: Rear Torso
60L: Left sleeve 60R: Right sleeve
100: tubular knitted fabric
D1: 1st direction D2: 2nd direction

Claims (4)

제1급사구와 제2급사구를 구비하는 횡편기를 사용하여, 제1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제1편성포부와, 상기 제1니들베드와 대향(對向)하는 제2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제2편성포부를 구비하는 통모양 편성포를 편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급사구를 움직여, 상기 제1편성포부의 편성폭 내에 인타샤부(intarsia部)를 편성한 후에, 상기 제1급사구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급사구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제2급사구를 움직여 상기 제2편성포부를 편성하는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타샤부의 종단 스티치(終端 stitch)를 편성한 후에, 상기 제1급사구를 제1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2편성포부의 스티치가 결합되는 편침(編針)에 턱스티치(tuck stitch)를 형성하는 공정A와,
상기 공정A의 다음에, 상기 턱스티치보다도 제2방향측으로 상기 제1급사구를 배치시킴으로써, 상기 제2편성포부를 편성할 때에, 상기 편침이 니들베드갭으로 진출함에 따라 상기 턱스티치가 빠지도록 하는 공정B를
실시하는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다만 상기 제1방향은, 상기 인타샤부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이고,
상기 제2방향은, 상기 인타샤부에 있어서 내측을 향하는 방향이다.
Using a flat knitting machine having a first yarn feed port and a second yarn feed port, a first knitting fabric part coupled to a first needle bed, and a second needle bed facing the first needle bed. In the process of knitting a tubular knit fabric having a second knit fabric,
After moving the first yarn feed port and knitting an intarsia portion within the knitting width of the first knitted fabric portion, the first yarn feed port is stopped and the first yarn feed port is traversed. In the method of knitting a tubular knitted fabric in which the second knitted fabric portion is knitted by moving a second yarn feeding port,
After knitting the longitudinal stitch of the intasha part, the first yarn feeder is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to create a tuck stitch on the knitting needle to which the stitch of the second knitted fabric part is joined. Forming process A,
After the step A, the first yarn feeder is disposed in the second direction rather than the tuck stitch, so that when the second knitted fabric portion is knitted, the tuck stitch falls out as the knitting needle advances into the needle bed gap. Process B that does
Method of knitting a barrel-shaped knitted fabric.
However, the first direction is a direction toward the outside of the intasha portion,
The second direction is a direction toward the inside of the intasha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A에 있어서 상기 턱스티치가 형성되는 위치는, 상기 종단 스티치로부터 볼 때에 편성폭 방향으로 3스티치 이내의 위치이고,
상기 공정B에 있어서 상기 제1급사구가 배치되는 위치는, 상기 턱스티치로부터 볼 때에 편성폭 방향으로 2스티치 이내의 위치인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In the step A, the position at which the tuck stitch is formed is a position within 3 stitches in the knitting width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longitudinal stitch,
In the process B,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yarn feeder is disposed is a position within 2 stitches in the knitting width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tuck stitch.
Method of knitting a barrel-shaped knitted fabric.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종단 스티치를 편성한 후 및 상기 공정A를 하기 전에, 공정X, 공정Y 및 공정Z를 실시하고,
상기 공정X에서는, 상기 제1급사구를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편성포부 및 상기 제2편성포부가 결합되어 있지 않은 편침에 제1스티치를 편성하고,
상기 공정Y에서는, 상기 제1스티치보다도 상기 제2방향측으로 상기 제1급사구를 배치시킴으로써, 상기 제1급사구로부터 상기 제1스티치로 연장되는 편사를 상기 종단 스티치와 상기 제1스티치를 연결하는 교차사와 교차시키고,
상기 공정Z에서는, 상기 제1스티치를 상기 제1편성포부가 결합되는 니들베드로 이동시키는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According to claim 1 or 2,
After knitting the longitudinal stitch and before performing Process A, Process X, Process Y, and Process Z are performed,
In the step
In the step Y, the knitting yarn extending from the first yarn feed port to the first stitch is connected to the longitudinal stitch and the first stitch by arranging the first yarn feed port in the second direction rather than the first stitch. Intersect with the intersecting company,
In the process Z, the first stitch is moved to the needle bed to which the first knitted fabric is coupled.
Method of knitting a barrel-shaped knitted fabric.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편성포부와 상기 제2편성포부가 총침상태(full-gauge state)에서 편성되는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 method of knitting a tubular knit fabric in which the first knit fabric portion and the second knit fabric portion are knitted in a full-gauge state.
KR1020237033975A 2021-03-08 2022-03-03 Method of knitting tubular knitted fabric KR20230154246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36718 2021-03-08
JP2021036718 2021-03-08
PCT/JP2022/009260 WO2022191048A1 (en) 2021-03-08 2022-03-03 Method for knitting tubular knitted fabric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4246A true KR20230154246A (en) 2023-11-07

Family

ID=83227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3975A KR20230154246A (en) 2021-03-08 2022-03-03 Method of knitting tubular knitted fabric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306697A1 (en)
JP (1) JPWO2022191048A1 (en)
KR (1) KR20230154246A (en)
CN (1) CN116964262A (en)
WO (1) WO2022191048A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52A (en) 1996-06-12 1998-01-06 Shima Seiki Mfg Ltd Production of cylindrical knitted fabric having intersia portio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841A (en) 1989-06-02 1991-01-16 Shima Seiki Seisakusho:Kk Knit fabric presser in v-bed flat knitting machine
JP4163130B2 (en) * 2004-02-17 2008-10-0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Intarsia pattern knitting method and knitted fabric, knit design device, and knitting program
JP5702576B2 (en) * 2010-10-28 2015-04-15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Knitting method of knitted fabric and knitted fabric
JP2013064205A (en) 2011-09-16 2013-04-11 Shima Seiki Mfg Ltd Flat knitting machine including loop press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52A (en) 1996-06-12 1998-01-06 Shima Seiki Mfg Ltd Production of cylindrical knitted fabric having intersia por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06697A1 (en) 2024-01-17
JPWO2022191048A1 (en) 2022-09-15
CN116964262A (en) 2023-10-27
WO2022191048A1 (en) 2022-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6132B2 (en) Knitting method for wide rib texture by plating
JP4852093B2 (en) Method for knitting tubular knitted fabric and tubular knitted fabric
KR101523498B1 (en) Method for preventing unraveling of knitting yarn
EP2319969B1 (en) Knitting method of knitted fabric, and knitted fabric
KR20070087591A (en) Knitwear knitted by weft knitting machine and method of knitting the same
KR101347648B1 (en) Set-up method of knitted fabric
JP4852092B2 (en) Method for forming additional stitches and knitted fabric in which additional stitches ar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knitting width direction end of the knitted fabric
JP5702576B2 (en) Knitting method of knitted fabric and knitted fabric
KR101449913B1 (en) Knitting method of knitted fabric
JP2013064208A (en) Method for joining knitted fabrics, and knitted fabric
US6079232A (en) Widening method
KR20230154246A (en) Method of knitting tubular knitted fabric
EP2333139A1 (en) Method of knitting tubular knitted fabric, and tubular knitted fabric
JPWO2010076867A1 (en) Knitting method and knitted fabric of a knitwear with a hook having a V-neck tip
EP2397588B1 (en) Inner widening method
KR102602203B1 (en) Knitted fabric knitting method
JP3126272B2 (en) Method of knitting tubular knitted jacquard fabric
KR102679139B1 (en) Method for knitting knitted fabric
KR101384192B1 (en) Knit wear
EP2281933B1 (en) Method for knitting knitted fabric with overlapped stitches, and knitted fabric
KR102679138B1 (en) Method of knitting pile knitted fabric
KR20240052674A (en) Method of knitting tubular knitted fabric
KR20230139787A (en) Knitted fabric knitting method
KR20220148105A (en) Method of knitting pile knitted fabric
JP2022181310A (en) Knitted fabric forming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