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3912A -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3912A
KR20230153912A KR1020227021470A KR20227021470A KR20230153912A KR 20230153912 A KR20230153912 A KR 20230153912A KR 1020227021470 A KR1020227021470 A KR 1020227021470A KR 20227021470 A KR20227021470 A KR 20227021470A KR 20230153912 A KR20230153912 A KR 20230153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ential
control signal
unit
vertical blank
blank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1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7120B1 (ko
Inventor
보 샤오
Original Assignee
선전 차이나 스타 옵토일렉트로닉스 세미컨덕터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전 차이나 스타 옵토일렉트로닉스 세미컨덕터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선전 차이나 스타 옵토일렉트로닉스 세미컨덕터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53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3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1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3/209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specific for a flat pane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74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43Details of the generation of driving sign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67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other than drivers for liquid crystal, plasma or OLED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89Details of voltage level shifters arranged for use in a driving circu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09G2340/0435Change or adaptation of the frame rate of the video stream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17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 H03K19/017509Interfac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하며, 이 디스플레이 패널은 타이밍 컨트롤러 및 레벨 변환 모듈을 포함하고,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된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를 통해 수직 블랭크 구간에서 제 1 제어 신호의 전위와 제 2 제어 신호의 전위를 전환하도록 레벨 변환 모듈을 제어하며, 이들 두 제어 신호의 전위 스위칭 간격은 리프레시 레이트의 변화에 따라 변하지 않으므로 이들 두 제어 신호의 전위 스위칭 간격이 너무 짧은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본 출원은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현재 고급 시나리오에서 점점 더 많은 디스플레이 제품이 사용되며 리프레시 레이트에 대한 요구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디스플레이의 응답 시간과 유창함도 따라서 향상된다. 그러나, 리프레시 레이트가 향상되면 각 프레임의 표시 시간이 줄어든다.
전술한 디스플레이 제품은 일반적으로 타이밍 컨트롤러(TCON)와 레벨 변환 모듈(Level Shift)을 포함하며, 레벨 변환 모듈은 타이밍 컨트롤러의 제어 하에 위상이 반대인 두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위상이 반대인 이 두 제어 신호의 전위 스위칭 시간은 타이밍 컨트롤러의 타이밍에 의해 제어되며, 리프레시 레이트가 작아지면 위상이 반대인 이 두 제어 신호의 전위 스위칭 간격도 작아진다.
그러나, 위상이 반대인 이 두 제어 신호는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대응하는 스위칭 소자를 구동하는 데 사용되고, 위상이 반대인 이 두 제어 신호의 전위 스위칭 간격이 너무 작으면 스위칭 소자의 작업 부하가 증가하여 스위칭 소자의 사용 수명이 감소된다.
본 출원은 위상이 반대인 두 제어 신호의 전위 스위칭 간격이 너무 작다는 기술적 문제를 완화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제 1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은 타이밍 컨트롤러 및 레벨 변환 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며, 타이밍 컨트롤러는 액세스된 비디오 데이터에 따라 대응하는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데 사용되고, 레벨 변환 모듈은 타이밍 컨트롤러와 연결되어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수직 블랭크 구간에서 제 1 제어 신호의 전위와 제 2 제어 신호의 전위를 전환하는 데 사용되며, 제 1 제어 신호의 위상은 제 2 제어 신호의 위상과 반대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레벨 변환 모듈은 수직 블랭크 구간 식별 유닛, 지연 유닛 및 레벨 스위칭 유닛을 포함하며, 수직 블랭크 구간 식별 유닛은 타이밍 컨트롤러와 연결되어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수직 블랭크 구간을 식별하는 데 사용되고, 지연 유닛은 수직 블랭크 구간 식별 유닛과 연결되어 설정 시간을 지연시킨 후 스위칭 명령을 출력하는 데 사용되며, 레벨 스위칭 유닛은 지연 유닛과 연결되어 스위칭 명령에 따라 제 1 제어 신호의 전위와 제 2 제어 신호의 전위를 전환하는 데 사용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수직 블랭크 구간 식별 유닛은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의 저전위 지속 시간과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의 고전위 지속 시간의 비교 결과에 따라 수직 블랭크 구간을 식별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수직 블랭크 구간 식별 유닛은 2 개의 고전위 지속 시간 이상인 하나의 연속적인 저전위 지속 시간에 따라 수직 블랭크 구간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지연 유닛은 다음 수직 블랭크 구간에서 스위칭 명령을 출력하는 데 사용되며, 제 1 제어 신호의 전위 스위칭 시간과 제 2 제어 신호의 전위 스위칭 시간은 모두 다음 수직 블랭크 구간에 위치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제 1 제어 신호의 전위 스위칭 시간은 제 2 제어 신호의 전위 스위칭 시간과 동일하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지연 유닛은 레지스터를 포함하며, 레지스터는 설정 시간을 저장하는 데 사용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레벨 스위칭 유닛은 스위칭 명령에 따라 전위 스위칭을 동기적으로 수행하도록 제 1 제어 신호 및 제 2 제어 신호를 제어하며, 여기서, 제 1 제어 신호의 전위가 저전위에서 고전위로 전환될 때, 제 2 제어 신호의 전위가 고전위에서 저전위로 전환되고, 제 1 제어 신호의 전위가 고전위에서 저전위로 점프할 때, 제 2 제어 신호의 전위가 저전위에서 고전위로 점프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은 게이트 구동 회로를 더 포함하고, 게이트 구동 회로는 복수의 캐스케이드 게이트 구동 유닛을 포함하며, 각 게이트 구동 유닛은 대응하는 스캔 신호를 출력하는 데 사용되고,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구동 유닛은 레벨 변환 모듈과 연결되어 제 1 제어 신호 및 제 2 제어 신호를 액세스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게이트 구동 유닛은 제 1 풀다운 유닛 및 제 2 풀다운 유닛을 포함하며, 제 1 풀다운 유닛은 레벨 변환 모듈과 연결되어 제 1 제어 신호에 따라 스캔 신호를 저전위로 제어하고, 제 2 풀다운 유닛은 레벨 변환 모듈과 연결되어 제 2 제어 신호에 따라 스캔 신호를 저전위로 제어하며, 여기서, 제 1 풀다운 유닛의 듀티 사이클과 제 2 풀다운 유닛의 듀티 사이클은 교번한다.
제 2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며, 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술한 실시형태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고, 여기서,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는 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에 따라 획득된다.
본 출원에 제공된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는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된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를 통해 수직 블랭크 구간에서 제 1 제어 신호의 전위와 제 2 제어 신호의 전위를 전환하도록 레벨 변환 모듈을 제어하며, 이들 두 제어 신호의 전위 스위칭 간격은 리프레시 레이트의 변화에 따라 변하지 않으며 전위 스위칭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이들 두 제어 신호의 전위 스위칭 간격이 너무 짧은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대응하는 스위칭 소자의 사용 수명이 향상된다.
도 1은 관련 기술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제공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1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제공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2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제공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3 구조의 개략도이다.
본 출원의 목적, 기술 방안 및 효과를 보다 분명하고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본 출원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정 실시예는 본 출원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일 뿐, 본 출원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앞서 언급한 위상이 반대인 두 제어 신호의 전위 스위칭 간격이 너무 작은 이유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참조할 수 있고, 이 디스플레이 패널은 타이밍 컨트롤러(100), 레벨 변환 모듈(200) 및 게이트 구동 회로(300)를 포함하며, 타이밍 컨트롤러(100)의 출력 단자는 레벨 변환 모듈(200)의 입력 단자에 연결되고, 레벨 변환 모듈(200)의 출력 단자는 게이트 구동 회로의 입력 단자에 연결되며, 레벨 변환 모듈(200)은 제어 신호(LC_T)에 따라 고-저전위 스위칭을 수행하도록 제 1 제어 신호(LC1) 및 제 2 제어 신호(LC2)를 제어하는 데 사용되지만, 이 고-저전위 스위칭 시간은 리프레시 레이트의 변화에 따라 변하여 고정될 수 없어, 인접한 두 고-저전위 스위칭 간격이 너무 작아지기 쉬워 게이트 구동 회로(300)의 신뢰성을 저하시킨다.
앞서 언급한 위상이 반대인 두 제어 신호의 전위 스위칭 간격이 너무 작다는 기술적 문제를 고려하여, 본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며,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디스플레이 패널은 타이밍 컨트롤러(100) 및 레벨 변환 모듈(200)을 포함하며, 타이밍 컨트롤러(100)는 액세스된 비디오 데이터(DI)에 따라 대응하는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를 출력하는 데 사용되고, 레벨 변환 모듈(200)은 타이밍 컨트롤러(100)와 연결되어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에 따라 수직 블랭크 구간(V-Blank)에서 제 1 제어 신호(LC1)의 전위와 제 2 제어 신호(LC2)의 전위를 전환하는 데 사용되며, 제 1 제어 신호(LC1)의 위상은 제 2 제어 신호(LC2)의 위상과 반대이다.
본 실시예에 제공된 디스플레이 패널은 타이밍 컨트롤러(10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를 통해 수직 블랭크 구간에서 제 1 제어 신호(LC1)의 전위와 제 2 제어 신호(LC2)의 전위를 전환하도록 레벨 변환 모듈(200)을 제어하며, 이들 두 제어 신호의 전위 스위칭 간격은 리프레시 레이트의 변화에 따라 변하지 않으며 전위 스위칭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이들 두 제어 신호의 전위 스위칭 간격이 너무 작은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대응하는 스위칭 소자의 사용 수명이 향상됨을 이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위 스위칭 간격은 일반적으로 1.5초 이상이다.
또한, 하나의 수직 블랭크 구간에서 제 1 제어 신호(LC1)의 전위와 제 2 제어 신호(LC2)의 전위가 한 번만 전환되며, 인접한 두 수직 블랭크 구간 사이에는 유효 디스플레이 영역이 존재하므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제 1 제어 신호(LC1) 및 제 2 제어 신호(LC2)의 전위 스위칭 간격을 제어하여 상대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동시에, 전술한 디스플레이 패널은 제 1 제어 신호(LC1) 및 제 2 제어 신호(LC2)의 전위 스위칭 간격이 너무 작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대응하는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주파수가 감소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력 소모를 줄이는 데 유리하다.
여기서, 본 실시예는 새로운 방식으로,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를 이용하여 수직 블랭크 구간에서 제 1 제어 신호(LC1)의 전위와 제 2 제어 신호(LC2)의 전위를 전환하고 전위 스위칭된 제 1 제어 신호(LC1) 및 제 2 제어 신호(LC2)를 출력하도록 새로운 역할로 구성된 레벨 변환 모듈(200)을 제어함으로써, 전술한 두 제어 신호의 전위 스위칭 간격이 너무 짧은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타이밍 컨트롤러(100)는 대응하는 칩으로 제조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용될 수도 있으며, 이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점유 공간을 줄일 수 있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내로우 베젤을 실현하는 데 유리하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은 플래시 메모리를 더 포함하며, 이 플래시 메모리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00)에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벨 변환 모듈(200)은 수직 블랭크 구간 식별 유닛(210), 지연 유닛(220) 및 레벨 스위칭 유닛(230)을 포함하며, 수직 블랭크 구간 식별 유닛(210)은 타이밍 컨트롤러(100)와 연결되어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에 따라 수직 블랭크 구간을 식별하는 데 사용되고, 지연 유닛(220)은 수직 블랭크 구간 식별 유닛(210)과 연결되어 설정 시간을 지연시킨 후 스위칭 명령을 출력하는 데 사용되며, 레벨 스위칭 유닛(230)은 지연 유닛(220)과 연결되어 스위칭 명령에 따라 제 1 제어 신호(LC1)의 전위와 제 2 제어 신호(LC2)의 전위를 전환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전술한 레벨 변환 모듈(200)은 대응하는 칩으로 제조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는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상기 레벨 변환 모듈(200)이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내로우 베젤을 실현하는 데 유리하다.
또한, 종래 기술의 레벨 변환 모듈(200)은 일반적으로 레벨 변환 기능만 가지고 있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레벨 변환 모듈(200)의 구조를 재구성하여 새로운 기능 또는 역할을 부여함으로써, 전술한 두 제어 신호의 전위 스위칭 간격이 너무 짧은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직 블랭크 구간 식별 유닛(210)은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의 저전위 지속 시간과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의 고전위 지속 시간의 비교 결과에 따라 수직 블랭크 구간을 식별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수직 블랭크 구간 식별 유닛(210)은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에서 저전위의 수 및 지속 시간과 고전위의 수 및 지속 시간을 각각 독립적으로 카운팅 및 비교하여 전술한 비교 결과를 획득함으로써 수직 블랭크 구간이 있는 기간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직 블랭크 구간 식별 유닛(210)은 하나의 연속적인 저전위 지속 시간이 2 개의 고전위 지속 시간 이상인 것에 의해 수직 블랭크 구간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수직 블랭크 구간 식별 유닛(210)은 2 개의 고전위 지속 시간 이상인 하나의 연속적인 저전위 지속 시간이 검출되면, 이 하나의 연속적인 저전위 지속 시간을 수직 블랭크 구간에 해당하는 기간으로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지연 유닛(220)은 다음 수직 블랭크 구간에서 스위칭 명령을 출력하는 데 사용되며, 제 1 제어 신호(LC1)의 전위 스위칭 시간과 제 2 제어 신호(LC2)의 전위 스위칭 시간은 모두 다음 수직 블랭크 구간에 위치한다.
또한, 수직 블랭크 구간 식별 유닛(210)이 현재 수직 블랭크 구간을 식별했을 때, 현재 수직 블랭크 구간은 이미 일정 시간 경과되었을 수 있으며, 이때 또 다시 전술한 설정 시간을 경과하여 제 1 제어 신호(LC1)의 전위 스위칭 및 제 2 제어 신호(LC2)의 전위 스위칭이 수행되면, 상기 제 1 제어 신호(LC1)의 전위 스위칭 시간 및 제 2 제어 신호(LC2)의 전위 스위칭 시간이 유효 디스플레이 영역에 놓여질 수 있으며, 이는 본 출원의 기술 방안에 의해 회피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제어 신호(LC1)의 전위 스위칭 시간은 제 2 제어 신호(LC2)의 전위 스위칭 시간과 동일하다.
일 실시예에서, 지연 유닛(220)은 레지스터를 포함하며, 레지스터는 설정 시간을 저장하는 데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서, 레벨 스위칭 유닛(230)은 스위칭 명령에 따라 전위 스위칭을 동기적으로 수행하도록 제 1 제어 신호(LC1) 및 제 2 제어 신호(LC2)를 제어하며, 여기서, 제 1 제어 신호(LC1)의 전위가 저전위에서 고전위로 전환될 때, 제 2 제어 신호(LC2)의 전위는 고전위에서 저전위로 전환되고, 제 1 제어 신호(LC1)의 전위가 고전위에서 저전위로 점프할 때, 제 2 제어 신호(LC2)의 전위는 저전위에서 고전위로 점프한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은 게이트 구동 회로(300)를 더 포함하고, 게이트 구동 회로(300)는 복수의 캐스케이드 게이트 구동 유닛(310)을 포함하며, 각 게이트 구동 유닛(310)은 대응하는 스캔 신호(G(n))를 출력하는 데 사용되고,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구동 유닛(310)은 레벨 변환 모듈(200)과 연결되어 제 1 제어 신호(LC1) 및 제 2 제어 신호(LC2)를 액세스한다.
또한, 상기 설정 시간은 제 1 제어 신호(LC1)에 대한 게이트 구동 회로(300)의 스위칭 시간 및 제 2 제어 신호(LC2)에 대한 게이트 구동 회로(300)의 스위칭 시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제어 신호(LC1) 및 제 2 제어 신호(LC2)의 전위 스위칭 간격은 리프레시 레이트의 변화에 따라 변하지 않으며 전위 스위칭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이들 두 제어 신호의 전위 스위칭 간격이 너무 짧은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대응하는 스위칭 소자의 사용 수명이 향상되어 게이트 구동 회로(300)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일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구동 유닛(310)은 제 1 풀다운 유닛(311) 및 제 2 풀다운 유닛(312)을 포함하며, 제 1 풀다운 유닛(311)은 레벨 변환 모듈(200)과 연결되어 제 1 제어 신호(LC1)에 따라 스캔 신호(G(n))를 저전위로 제어하고, 제 2 풀다운 유닛(312)은 레벨 변환 모듈(200)과 연결되어 제 2 제어 신호(LC2)에 따라 스캔 신호(G(n))를 저전위로 제어하며, 여기서, 제 1 풀다운 유닛(311)의 듀티 사이클과 제 2 풀다운 유닛(312)의 듀티 사이클은 교번한다.
일 실시예에서, 게이트 구동 유닛(310)은 제 1 풀다운 유닛(311) 및 제 2 풀다운 유닛(312)을 포함하며, 제 1 풀다운 유닛(311)은 레벨 변환 모듈(200)과 연결되어 제 2 제어 신호(LC2)에 따라 스캔 신호(G(n))를 저전위로 제어하고, 제 2 풀다운 유닛(312)은 레벨 변환 모듈(200)과 연결되어 제 1 제어 신호(LC1)에 따라 스캔 신호(G(n))를 저전위로 제어하며, 여기서, 제 1 풀다운 유닛(311)의 듀티 사이클과 제 2 풀다운 유닛(312)의 듀티 사이클은 교번한다.
또한, 제 1 풀다운 유닛(311)의 듀티 사이클 동안 제 1 풀다운 유닛(311)은 스캔 신호(G(n))를 저전위로 제어하고, 제 2 풀다운 유닛(312)의 듀티 사이클 동안 제 2 풀다운 유닛(312)은 스캔 신호(G(n))를 저전위로 제어한다. 제 1 풀다운 유닛(311)의 듀티 사이클과 제 2 풀다운 유닛(312)의 듀티 사이클이 중첩되는 기간이 존재할 수도 있으며, 즉, 제 1 풀다운 유닛(311)과 제 2 풀다운 유닛(312)은 동시에 스캔 신호(G(n))를 저전위로 제어하는 기간이 존재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 1 풀다운 유닛(311)은 스위칭 소자로서 제 1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 1 트랜지스터의 소스/드레인 중 하나는 저전위 라인에 연결되고, 제 1 트랜지스터의 소스/드레인 중 다른 하나는 스캔 라인에 연결되며,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제 1 제어 라인에 연결된다.
제 2 풀다운 유닛(312)은 스위칭 소자로서 제 2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 2 트랜지스터의 소스/드레인 중 하나는 저전위 라인에 연결되고, 제 2 트랜지스터의 소스/드레인 중 다른 하나는 스캔 라인에 연결되며, 제 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제 2 제어 라인에 연결된다.
여기서, 저전위 라인은 저전위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스캔 라인은 전술한 스캔 신호(G(n))를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제 1 제어 라인은 제 1 제어 신호(LC1)를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제 2 제어 라인은 제 2 제어 신호(LC2)를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제 1 제어 신호(LC1)의 주파수는 제 2 제어 신호(LC2)의 주파수와 동일할 수 있다. 제 1 제어 신호(LC1) 및 제 2 제어 신호(LC2)는 모두 펄스 신호이며, 제 1 제어 신호(LC1)의 펄스 및 제 2 제어 신호(LC2)의 펄스는 고전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저전위일 수도 있고, 이는 제 1 트랜지스터 및 제 2 트랜지스터의 채널 타입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트랜지스터 및 제 2 트랜지스터가 N-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인 경우, 제 1 제어 신호(LC1)의 펄스 및 제 2 제어 신호(LC2)의 펄스는 고전위이고, 제 1 트랜지스터 및 제 2 트랜지스터가 P-채널 박막 트랜지스터인 경우, 제 1 제어 신호(LC1)의 펄스 및 제 2 제어 신호(LC2)의 펄스는 저전위이다.
또한, 제 1 제어 신호(LC1) 및 제 2 제어 신호(LC2)는 제 1 트랜지스터 및 제 2 트랜지스터의 스위칭 주파수를 감소시키므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게이트 구동 회로(300)의 사용 수명도 늘릴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은 유리 기판을 더 포함하고, 전술한 게이트 구동 회로(300)는 상기 유리 기판 상에 제조되며, 본 출원은 제 1 제어 신호(LC1) 및 제 2 제어 신호(LC2)를 통해 게이트 구동 회로(300) 내의 제 1 트랜지스터, 제 2 트랜지스터 또는 이에 연결된 회로에 큰 전류가 발생하여 상기 유리 기판이 녹으면서 넓은 면적이 소손되어 유지 보수 가치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화재와 같은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게이트 구동 회로(300)는 GOA(Gate Driver ON Array, 어레이 기판 행 구동) 회로일 수도 있으며, 이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원래 제조 공정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영역 주변의 기판 상에 수평 스캔 라인의 구동 회로를 제조할 수 있으므로 외부 IC(Integrated Circuit, 집적 회로/칩)를 대체하여 수평 스캔 라인의 구동을 완료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며, 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고, 여기서,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는 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DI)에 따라 획득된다.
본 실시예에 제공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타이밍 컨트롤러(10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를 통해 수직 블랭크 구간에서 제 1 제어 신호(LC1)의 전위와 제 2 제어 신호(LC2)의 전위를 전환하도록 레벨 변환 모듈(200)을 제어하며, 이들 두 제어 신호의 전위 스위칭 간격은 리프레시 레이트의 변화에 따라 변하지 않으며 전위 스위칭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이들 두 제어 신호의 전위 스위칭 간격이 너무 짧은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대응하는 스위칭 소자의 사용 수명이 향상됨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디스플레이 패널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자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예를 들어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패널, Micro-LED(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패널, Mini-LED(미니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QLED(양자점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패널 등일 수도 있다.
전술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텔레비전, 데스크톱 컴퓨터, 모니터, 광고판과 같은 고정 단말기 뿐만 아니라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기, 전자 메모장, 전자책,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네비게이터,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이동 단말기, 스마트 시계, 스마트 안경, 가상 현실 장치, 증강 현실 장치와 같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출원의 기술 방안 및 그 발명의 구상에 따라 동등한 대체 또는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모든 변경 또는 대체는 본 출원의 첨부된 청구범위의 보호 범위에 속해야 함을 이해할 수 있다.

Claims (20)

  1. 액세스된 비디오 데이터에 따라 대응하는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타이밍 컨트롤러와,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와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수직 블랭크 구간에서 제 1 제어 신호의 전위와 제 2 제어 신호의 전위를 전환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제 1 제어 신호의 위상은 상기 제 2 제어 신호의 위상과 반대인 레벨 변환 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변환 모듈은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와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을 식별하기 위한 수직 블랭크 구간 식별 유닛과,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 식별 유닛과 연결되어 설정 시간을 지연시킨 후 스위칭 명령을 출력하기 위한 지연 유닛과,
    상기 지연 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스위칭 명령에 따라 상기 제 1 제어 신호의 전위와 상기 제 2 제어 신호의 전위를 전환하기 위한 레벨 스위칭 유닛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 식별 유닛은 상기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의 저전위 지속 시간과 상기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의 고전위 지속 시간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을 식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 식별 유닛은 하나의 연속적인 상기 저전위 지속 시간이 2 개의 상기 고전위 지속 시간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유닛은 다음 수직 블랭크 구간에서 상기 스위칭 명령을 출력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제 1 제어 신호의 전위 스위칭 시간과 상기 제 2 제어 신호의 전위 스위칭 시간은 모두 상기 다음 수직 블랭크 구간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 신호의 전위 스위칭 시간은 상기 제 2 제어 신호의 전위 스위칭 시간과 동일한 디스플레이 패널.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유닛은 레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레지스터는 상기 설정 시간을 저장하는 데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스위칭 유닛은 상기 스위칭 명령에 따라 전위 스위칭을 동기적으로 수행하도록 상기 제 1 제어 신호 및 상기 제 2 제어 신호를 제어하며,
    여기서, 상기 제 1 제어 신호의 전위가 저전위에서 고전위로 전환될 때, 상기 제 2 제어 신호의 전위는 고전위에서 저전위로 전환되고, 상기 제 1 제어 신호의 전위가 고전위에서 저전위로 점프할 때, 상기 제 2 제어 신호의 전위는 저전위에서 고전위로 점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9. 제1항에 있어서,
    게이트 구동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 구동 회로는 복수의 캐스케이드 게이트 구동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각 게이트 구동 유닛은 대응하는 스캔 신호를 출력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구동 유닛은 상기 레벨 변환 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제 1 제어 신호 및 상기 제 2 제어 신호를 액세스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구동 유닛은 제 1 풀다운 유닛 및 제 2 풀다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풀다운 유닛은 상기 레벨 변환 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제 1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스캔 신호를 저전위로 제어하고, 상기 제 2 풀다운 유닛은 상기 레벨 변환 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제 2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스캔 신호를 저전위로 제어하며, 여기서, 상기 제 1 풀다운 유닛의 듀티 사이클과 상기 제 2 풀다운 유닛의 듀티 사이클은 교번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11. 제1항에 기재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는 디코딩된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따라 획득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변환 모듈은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와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을 식별하기 위한 수직 블랭크 구간 식별 유닛과,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 식별 유닛과 연결되어 설정 시간을 지연시킨 후 스위칭 명령을 출력하기 위한 지연 유닛과,
    상기 지연 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스위칭 명령에 따라 상기 제 1 제어 신호의 전위와 상기 제 2 제어 신호의 전위를 전환하기 위한 레벨 스위칭 유닛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 식별 유닛은 상기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의 저전위 지속 시간과 상기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의 고전위 지속 시간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을 식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 식별 유닛은 하나의 연속적인 상기 저전위 지속 시간이 2 개의 상기 고전위 지속 시간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유닛은 다음 수직 블랭크 구간에서 상기 스위칭 명령을 출력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제 1 제어 신호의 전위 스위칭 시간과 상기 제 2 제어 신호의 전위 스위칭 시간은 모두 상기 다음 수직 블랭크 구간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 신호의 전위 스위칭 시간은 상기 제 2 제어 신호의 전위 스위칭 시간과 동일한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유닛은 레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레지스터는 상기 설정 시간을 저장하는 데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스위칭 유닛은 상기 스위칭 명령에 따라 전위 스위칭을 동기적으로 수행하도록 상기 제 1 제어 신호 및 상기 제 2 제어 신호를 제어하며,
    여기서, 상기 제 1 제어 신호의 전위가 저전위에서 고전위로 전환될 때, 상기 제 2 제어 신호의 전위는 고전위에서 저전위로 전환되고, 상기 제 1 제어 신호의 전위가 고전위에서 저전위로 점프할 때, 상기 제 2 제어 신호의 전위는 저전위에서 고전위로 점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게이트 구동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 구동 회로는 복수의 캐스케이드 게이트 구동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각 게이트 구동 유닛은 대응하는 스캔 신호를 출력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구동 유닛은 상기 레벨 변환 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제 1 제어 신호 및 상기 제 2 제어 신호를 액세스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구동 유닛은 제 1 풀다운 유닛 및 제 2 풀다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풀다운 유닛은 상기 레벨 변환 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제 1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스캔 신호를 저전위로 제어하고, 상기 제 2 풀다운 유닛은 상기 레벨 변환 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제 2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스캔 신호를 저전위로 제어하며, 여기서, 상기 제 1 풀다운 유닛의 듀티 사이클과 상기 제 2 풀다운 유닛의 듀티 사이클은 교번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27021470A 2022-04-26 2022-05-16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271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210450792.7A CN114842787A (zh) 2022-04-26 2022-04-26 显示面板
CN202210450792.7 2022-04-26
PCT/CN2022/092913 WO2023206630A1 (zh) 2022-04-26 2022-05-16 显示面板及显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3912A true KR20230153912A (ko) 2023-11-07
KR102627120B1 KR102627120B1 (ko) 2024-01-23

Family

ID=82567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1470A KR102627120B1 (ko) 2022-04-26 2022-05-16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40161679A1 (ko)
KR (1) KR102627120B1 (ko)
CN (1) CN114842787A (ko)
WO (1) WO20232066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97430B (zh) * 2022-10-19 2023-11-24 北京京东方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的控制电路、控制方法及显示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9351A (ko) * 2010-11-30 2012-06-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60077254A (ko) * 2014-12-22 2016-07-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70080232A (ko) * 2015-12-31 2017-07-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타이밍 컨트롤러 및 그 구동 방법과, 그를 이용한 표시 장치
KR20180027270A (ko) * 2016-09-06 2018-03-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데이터전압 출력기간 보정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0341B1 (ko) * 2010-04-01 2016-06-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쉬프트 레지스터
KR102050850B1 (ko) * 2013-04-02 2019-12-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표시 장치
CN104008739B (zh) * 2014-05-20 2017-04-12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扫描驱动电路和一种液晶显示装置
CN104008742B (zh) * 2014-05-20 2016-06-29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扫描驱动电路及一种液晶显示装置
CN104934007A (zh) * 2015-07-06 2015-09-23 合肥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数据线驱动方法及单元、源极驱动器、面板驱动装置和显示装置
CN106157916A (zh) * 2016-08-31 2016-11-23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栅极驱动单元及驱动电路
CN107068088B (zh) * 2017-04-14 2019-04-0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移位寄存器单元及其驱动方法、栅极驱动电路、显示装置
CN109841194B (zh) * 2017-11-27 2020-04-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移位寄存器及其驱动方法、栅极驱动电路和显示装置
CN207781163U (zh) * 2017-12-08 2018-08-28 昆山龙腾光电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
CN108154859B (zh) * 2018-01-16 2020-09-08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及显示装置
CN109036309A (zh) * 2018-08-01 2018-12-18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时序控制器及其时序检测方法、液晶显示器
CN110827735B (zh) * 2018-08-13 2021-12-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移位寄存器单元、驱动方法、栅极驱动电路和显示装置
CN109859670A (zh) * 2019-03-28 2019-06-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移位寄存器单元及其驱动方法、栅极驱动电路
CN111161664B (zh) * 2020-02-13 2023-04-07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和终端
CN114220405B (zh) * 2021-12-15 2023-01-20 惠州视维新技术有限公司 电平转换电路、电源集成电路、显示装置和电平转换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9351A (ko) * 2010-11-30 2012-06-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60077254A (ko) * 2014-12-22 2016-07-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70080232A (ko) * 2015-12-31 2017-07-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타이밍 컨트롤러 및 그 구동 방법과, 그를 이용한 표시 장치
KR20180027270A (ko) * 2016-09-06 2018-03-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데이터전압 출력기간 보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842787A (zh) 2022-08-02
US20240161679A1 (en) 2024-05-16
KR102627120B1 (ko) 2024-01-23
WO2023206630A1 (zh) 2023-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6045B1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타이밍 컨트롤러 및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US9466254B2 (en) Shift register unit, gate driving circuit and display apparatus
US20200020291A1 (en) Shift Register Circuit, Method for Driving the Same, Gate Drive Circuit, and Display Panel
CN113140173B (zh) 显示驱动器及控制方法、显示控制电路系统、电子设备
US9576524B2 (en) Shift register unit, shift register circuit, arr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KR102156769B1 (ko) 표시장치와 그의 게이트 쉬프트 레지스터 초기화방법
US20180261177A1 (en) Gate drive circuit, display panel, and driving method for the gate drive circuit
US11721277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having a driving circuit
EP3159879B1 (en) Pixel circuit and display device
KR102656430B1 (ko) 시프트 레지스터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US10796780B2 (en) Shift register unit and driving method thereof, gate driving circuit and display apparatus
JP2004103226A (ja) シフトレジスタ及び該シフトレジスタ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KR101977579B1 (ko) 디스플레이 패널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을 위한 구동 회로
US10235956B2 (en) Active-matrix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10867170B (zh) 显示面板的驱动方法、显示驱动装置和电子设备
KR20050021283A (ko) 어드레스 가능 디스플레이 엘리먼트를 갖는 매트릭스디스플레이 및 그 방법
US20170047032A1 (en) Active-matrix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037738B2 (en) Display gate driver circuits with dual pulldown transistors
KR102627120B1 (ko)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US20200394976A1 (en) Scanning signal line drive circuit and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same
US11587512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KR102023547B1 (ko)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10607521B2 (en) Emission controller, control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CN116631325A (zh) 一种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显示装置
KR102656478B1 (ko) 게이트드라이버, 그를 이용한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