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2750A - 고층 입체 창고용 입출고 장치 - Google Patents

고층 입체 창고용 입출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2750A
KR20230152750A KR1020237034063A KR20237034063A KR20230152750A KR 20230152750 A KR20230152750 A KR 20230152750A KR 1020237034063 A KR1020237034063 A KR 1020237034063A KR 20237034063 A KR20237034063 A KR 20237034063A KR 20230152750 A KR20230152750 A KR 20230152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means
loading
frame
unloading device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4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베른트 클라인
베른트 뷔덴벤더
Original Assignee
아모바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모바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아모바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30152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275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07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 B65G1/0435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with pulling or pushing means on either stacking crane or stacking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71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ccess from bene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85Check-in, check-ou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B65G63/002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 B65G63/004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B65G63/04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with essentially-horizontal transit by bridges equipped with conveyors
    • B65G63/042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with essentially-horizontal transit by bridges equipped with conveyors for articles
    • B65G63/045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with essentially-horizontal transit by bridges equipped with conveyors for article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층 입체 창고(2)를 위한 입출고 장치(1)에 관한 것이다. 화물 수용 수단(14)의 가이드(13)의 바깥쪽에서 입출고 장치(1)의 프레임(11)에 대한 화물 수용 수단(14)의 회전성 및 수직 이동성을 통해, 환적 과정에서의 보관 물품(3)의 위치 편차가 보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고층 입체 창고용 입출고 장치
본 발명은 고층 입체 창고(high-bay warehouse)를 위한 입출고 장치(storage-and-retrieval unit)에 관한 것이다.
고층 입체 창고는 통상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임의의 다수의 랙(rack)으로 구성되고, 단일의 랙은 자체 종방향으로, 그리고 수직으로 서로 나란하게 위치하는 복수의 랙 칸막이(rack compartment)를 포함한다. 랙 칸막이 내로 보관 물품을 입고하거나 그로부터 출고하고 고층 입체 창고 내에서 보관 물품을 이송하기 위해, 입출고 장치들, 특히 자동화된 입출고 장치들은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입출고 장치들은, 정해진 인도 지점들에서, 외부 운송수단들과 보관 물품들을 교환한다. 본원에서 외부 운송수단들은 예컨대 화물 자동차, 자율 주행 운송수단 또는 레일 운송수단이다.
보관 물품을 적재한 외부 운송수단은 교환을 위해 사전에 정해진 위치를 향해 이동한다. 입출고 장치는 고층 입체 창고의 안쪽에서, 특히 창고 통로에서 상기 교환을 위해 적합한 위치를 취하고, 보관 물품과의 연결을 형성한다. 이는, 전형적으로, 화물 수용 수단의 3개 이상의 고정 지점에서, 보관 물품의 상보적인 고정 지점들에 의해 수행된다. 그에 뒤이어, 보관 물품은 상위 랙(high rack) 내의 자체 위치로 이동되어 그곳에 입고된다.
WO 2017/158 034 A1호로부터는, 예컨대 고층 입체 창고용 입출고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입출고 장치는 고층 입체 창고의 안쪽에서 보관 물품을 운반하고 환적하기 위해 적합하다. 또한, 이러한 입출고 장치는 보관 물품들을 외부 운송수단들과 교환할 수 있다. 입출고 장치는 상위 랙의 창고 통로의 안쪽에서 이동될 수 있는 기본 프레임을 포함한다. 이러한 프레임에는, 랙 칸막이 내로 또는 그 외로 입고하거나 출고하기 위해 수평 평면에서 이동될 수 있는 화물 수용 수단이 연결된다. 또한, 외부 운송수단 상으로 보관 물품을 인도하기 위해, 화물 수용 수단은 수직 방향으로 하강될 수 있다. 이러한 두 이동은, 프레임과 화물 수용 수단 간의 연결을 형성하는 각각 하나의 신축형 구조(telescope-shaped structure)를 통해 가능해진다. 이 경우, 화물 수용 수단은 보관 물품과의 연결을 위한 고정 지점들을 포함하고, 이러한 고정 지점들은 펼쳐져 고정 평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입출고 장치에서의 단점은, 해당 입출고 장치가 화물 수용 수단의 고정 지점들과 보관 물품의 고정 지점들 사이에서 3개의 주축 중 하나를 중심으로 하는 고정 평면의 회전에서 기인하는 위치 편차들을 보상할 수 없다는 점에 있다. 이는, 예컨대 화물 자동차의 적재 공간이 고층 입체 창고의 보관 층위(storage level)에 대해 평행하지 않거나, 또는 화물 자동차가 고층 입체 창고들 간의 통로 내에서 비스듬하게 정지해 있을 때 발생할 수 있다. 이런 경우, 보관 물품과 화물 수용 수단의 연결은 공차(tolerance)를 초과할 경우 더 이상 가능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과제는, 특히 회전에서 기인하는, 고정 지점들의 위치 편차들을 보다 더 적합하게 보상할 수 있는 입출고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청구항 제1항의 특징들을 갖는 입출고 장치를 통해, 청구항 제15항의 특징들을 가지면서 입출고 장치 및 고층 입체 창고로 구성된 시스템을 통해, 청구항 제16항의 특징들을 가지면서 입출고 장치 및 보관 물품으로 구성된 시스템을 통해, 그리고 청구항 제17항의 특징들을 가지면서 보관 물품을 수용하거나 적재(deposit)하기 위한 방법을 통해 해결된다.
본원 입출고 장치는 프레임과, 적어도 3개의 고정 지점을 구비한 화물 수용 수단을 포함하고, 화물 수용 수단은 프레임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 화물 수용 수단의 이동은 프레임과 연결된 가이드를 통해 안내된다. 화물 수용 수단은 입출고 장치의 프레임에 대해 자신의 가이드의 바깥쪽에서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고, 특히 수평 평면에서 축들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렇게 하여, 입출고 장치는, 보관 층위의 안쪽에서 고정 지점들의 회전뿐만 아니라, 보관 층위의 안쪽에서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하는 고정 지점들의 회전도 보상할 수 있다. 그렇게 하여, 종래 기술에 비해 고정 지점들의 보다 더 큰 위치 편차들이 본원 입출고 장치를 통해 보상될 수 있다.
본원 입출고 장치의 바람직한 특징들은 종속 청구항 제2항 내지 제14항에 설명되어 있다. 본원 입출고 장치의 화물 수용 수단의 고정 지점들은 바람직하게는 화물로서의 컨테이너, 특히 해상 컨테이너와 화물 수용 수단을 연결하기에 적합하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컨테이너들은 고정 지점들의 정규화된 위치들을 갖는 표준화된 보관 물품들이다. 육상에서의 운반은, 대개, 인도 장소에 대하여 위치 편차들이 자주 발생하는 화물 자동차에 의해 수행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입출고 장치는 위치 편차들을 매우 적합하게 보상할 수 있다.
입출고 장치의 프레임과 연결된 가이드를 통해 안내되는, 화물 수용 수단의 수직 경로(vertical route)는, 바람직하게는 외부 운송수단과 화물을 교환할 때 화물 수용 수단의 최대 수직 경로보다 더 작다. 화물 수용 수단의 안내되는 경로가 더욱더 작아질수록, 더욱더 많은 위치 편차가 보상될 수 있다.
입출고 장치의 화물 수용 수단과 그 프레임 사이에서 연결 요소의 힘 전달 길이는 바람직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렇게 하여, 강성의 프레임 내에서 보관 물품의 이송이 개시될 수 있고, 프레임의 바깥쪽에는 위치 편차들의 보상을 위해 필요한 유연성이 존재한다.
입출고 장치의 화물 수용 수단 및/또는 그 프레임은 바람직하게는 수평 평면에서 화물 수용 수단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모듈을 포함한다. 그렇게 하여, 연결 요소로부터 독립적으로 고정 지점들의 위치 편차의 보상이 가능해진다.
입출고 장치의 프레임은 바람직하게는 연결 요소로서의 하나의 케이블, 체인 및/또는 이붙이 벨트(toothed belt)를 통해, 바람직하게는 2개보다 많은 케이블, 체인 및/또는 이붙이 벨트를 통해 화물 수용 수단과 연결된다. 케이블, 체인 및/또는 이붙이 벨트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릴(reel)을 통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유형의 연결 요소들은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고, 상응하는 모터들, 기어장치들, 제어 장치 및 릴들의 구성은 다른 적용 사례들에서 유도될 수 있다.
2개 이상의 케이블, 체인 및/또는 이붙이 벨트는 바람직하게는 입출고 장치의 프레임과 화물 수용 수단을 연결하고,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체인 및/또는 이붙이 벨트의 길이는 제2 케이블, 체인 및/또는 이붙이 벨트의 길이로부터 독립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상이한 길이 제어를 통해, 2개의 연결 요소의 경우,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이 용이하게 실현될 수 있다. 3개 이상의 연결 요소가 서로 독립적으로 조정될 수 있는 점에 한해, 하나보다 많은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도 실현될 수 있다.
입출고 장치의 프레임은 바람직하게는 케이블, 체인 및/또는 이붙이 벨트의 길이를 조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릴을 포함한다. 프레임 상에 릴을 장착하게 되어 발생하는 힘은 보다 더 적합하게 프레임 상으로 전달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실린더로서, 바람직하게는 유압 실린더로서 형성된다. 실린더, 특히 유압 실린더는 대형 화물들을 이송할 수 있고 매우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다. 그렇게 하여, 위치 오프셋은 매우 정확하게 보상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개보다 많은 실린더가 화물 수용 수단과 프레임을 연결한다. 2개의 실린더의 사용은 고장이 있는 경우 안전성을 증가시킨다.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린더의 길이와 독립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는 2개의 실린더는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하는 고정 지점들의 평면의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3개 이상의 실린더가 사용된다면, 하나보다 많은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화물 수용 수단은 프레임을 포함하고, 화물 수용 수단의 프레임은 보관 물품, 바람직하게는 컨테이너를 위한 3개보다 많은 고정 지점을 포함한다. 고정 지점들은 바람직하게는 화물 수용 수단의 프레임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프레임은 화물 수용 수단에 강도를 부여하며, 그렇게 하여 보관 물품에 상대적인 포지셔닝을 용이하게 한다. 더 나아가, 고정 지점들의 이동성을 통해, 여전히 고정 평면의 안쪽에서 고정 지점들 간의 상이한 이격 간격들에 대한 매칭, 또는 보관 물품의 고정 지점들에 대한 필요한 정렬에 대한 매칭이 가능해진다.
화물 수용 수단의 프레임은 바람직하게는 입출고 장치의 프레임과 형상 결합 방식으로, 또는 강제 끼워 맞춤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렇게 하여, 고층 입체 창고의 안쪽에서 이송 시 보관 물품은 보다 더 용이하게 입출고 장치를 통해 이송된다.
입출고 장치의 프레임은, 두 프레임 간의 형상 결합을 형성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화물 수용 수단의 프레임에 상보적인 수용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가동 볼트들(movable bolts)을 포함하는 잠금 메커니즘(locking mechanism)은 두 프레임 간의 형상 결합의 풀림을 어렵게 하며, 바람직하게는 방지한다. 또한, 이러한 구조 형상은 고층 입체 창고 내에서 보관 물품의 이송 시 안전성을 높여준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청구항 제15항의 특징들을 가지면서 입출고 장치 및 고층 입체 창고로 구성되는 시스템을 통해 해결된다. 이 경우, 입출고 장치는 청구항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청구항 제16항의 특징들을 갖는 시스템을 통해 해결된다. 보관 물품은 입출고 장치의 화물 수용 수단 상의 고정 지점들에 상보적인 고정 지점들을 포함하고, 보관 물품은 상보적인 고정 지점들에 의해 강제 끼워 맞춤 방식으로 화물 수용 수단과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이한 보관 물품들은, 서로 짝을 이루는 각각의 고정 지점들의 위치 편차가 있을 때에도 신속하게 환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청구항 제17항의 특징들을 갖는 방법을 통해 해결된다. 이 경우, 하기 작업 단계들이 실행된다.
a) 목표 위치로 입출고 장치를 이동시키는 이동 단계;
b) 제1 적재 또는 수용 높이로 화물 수용 수단을 하강시키는 하강 단계;
c) 적어도 하나의 고정 지점이 수직 힘을 전달하지 않는 상태에서 제2 적재 또는 수용 높이로 화물 수용 수단을 하강 및/또는 회전시키는 하강 및/또는 회전 단계;
d) 추가 고정 지점들이 수직 힘을 전달하지 않는 상태에서 화물 수용 수단의 제3 적재 또는 수용 높이로 화물 수용 수단을 하강 및/또는 회전시키는 하강 및/또는 회전 단계; 및
e) 보관 물품으로부터, 또는 그와 고정 지점들을 분리하거나 연결하는 분리 또는 연결 단계.
바람직하게는, 작업 단계들은 a) ~ e)의 순서로 실행되고, 바람직하게는 작업 단계 a)와 b) 및/또는 c)와 d)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시에도 진행될 수 있다.
본원 명세서에는 하기의 5개의 도면이 첨부되어 있다.
도 1은 입출고 장치 및 외부 운송수단과 함께 고층 입체 창고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위치 편차가 있는 상태에서 보관 물품 및 화물 수용 수단의 고정 지점들의 평면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수직 변위 상태에서 화물 수용 수단을 포함한 입출고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잠금장치가 잠겨 있는 이송 상태에서 입출고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c는 운송수단 상으로 보관 물품을 인도할 때 입출고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이동 가능한 고정 지점을 포함한 화물 수용 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하기에서 언급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의 형태로 상세하게설명된다.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술적 요소들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들이 부여되어 있다.
도 1에는, 입출고 장치(1)를 포함하는 고층 입체 창고(2)가 개략도로 도시되어 있다. 입출고 장치(1)는 2개의 상위 랙(21) 사이의 통로(5) 안쪽에서 이동될 수 있다. 외부 운송수단(4), 예컨대 화물 자동차는 두 상위 랙(21) 사이에서 통로(5)의 아래쪽에 정지해 있다. 입출고 장치(1)는 최대로 가능한 한 수평인 이동을 통해 보관 장소(6)에서 해상 컨테이너를 인출하여 최대로 가능한 한 수직인 이동을 통해 상기 해상 컨테이너를 운송수단(4), 여기서는 화물 자동차 상에 내려놓을 수 있다. 이러한 전체 과정에서, 해상 컨테이너는 4개의 고정 지점(15)에서 입출고 장치(1)의 화물 수용 수단(14)과 연결된다.
도 2에는, 화물 수용 수단(14)의 고정 지점(15)들과 보관 물품(3)의 고정 지점(31)들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지점들은 펼쳐져서 각각의 평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두 평면은, 고정 지점(15, 31)들의 연결을 위한 화살표들로 예시된 회전을 통해, 상호 간에 평행하게, 그리고 서로 합동이 되도록 정렬되어야 한다. 이 경우, 화물 수용 수단(14)의 고정 지점(15)들의 이격 간격은 보관 물품(3)의 고정 지점(31)들의 이격 간격에 상응하게 매칭될 수 있다. 또한, 화물 수용 수단의 고정 지점(15)들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그럼으로써 상기 고정 지점들은 각도 오프셋을 보상할 수 있게 된다.
도 3a) ~ 도 3c)에는, 입출고 장치(1)의 프레임(11)에 대하여 화물 수용 수단(14)의 예시의 상이한 위치들이 도시되어 있다. 화물 수용 수단(14)은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는 4개의 케이블에 의해 입출고 장치(1)의 프레임(11)과 연결된다. 케이블들의 길이는 모터(111) 또는 기어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케이블 릴(112)들을 통해 변경될 수 있다. 도 3a)에는, 상위 랙(21) 내의 보관 장소(6) 내로, 또는 그로부터 보관 물품(3)을 입고하거나 출고할 때의 수평 변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b)에는, 보관 물품(3)이 화물 수용 수단(14)과 함께 이송 위치에서 도시되어 있다. 4개의 잠금 볼트(locking bolt)는 입출고 장치(1)의 프레임(11)으로부터 풀리지 않도록 화물 수용 수단(14)을 고정한다. 잠금 볼트들은 각각의 액추에이터, 예컨대 유압 실린더를 통해 이동될 수 있다.
도 3c)에는, 입출고 장치(1)가 운송수단(4) 상으로 내려놓기 직전의 보관 물품(3)과 함께 도시되어 있다. 위치 편차의 보상을 위해, 화물 수용 수단(14)은 자신과 연결된 보관 물품(3)과 함께 2개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 경우, 화물 자동차(4)의 적재면은 수평선에 비해 경사져 있고, 적재면에 대해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도 4에는, 4개의 이동 가능한 고정 지점(15)과 회전 가능성을 갖는 화물 수용 수단(14)이 도시되어 있다. 고정 지점(15)들은 각각 2개의 축에서 회전 가능하게 제1 프레임(191) 상에 부착되며, 다시 말해 각각의 개별 고정 지점은, 다른 고정 지점들과 독립적으로, 제1 프레임에 대해 수직 위치에서 외로 이동될 수 있다. 제1 프레임(191)은,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그 위에 위치하는 제2 프레임(192)과 연결된다. 두 프레임(191, 192)의 서로에 대한 회전은 예컨대 기어 휠(193)을 포함한 구동장치, 또는 기어장치를 통해 수행된다. 그런 다음, 제2 프레임(192)은 연결 요소(16)들, 여기서는 3개의 유압 실린더에 의해 입출고 장치(1)의 프레임(11)과 연결된다.
1: 입출고 장치
11: 프레임
111: 모터
112: 릴
14: 화물 수용 수단
15: 고정 지점
16: 연결 요소
17: 회전축
171: 수평축
172: 수평축
191: 프레임
192: 프레임
193: 기어 휠
2: 고층 입체 창고
21: 상위 랙
3: 보관 물품
31: 보관 물품 상의 고정 지점
4: 운송수단
5: 통로
6: 보관 장소

Claims (18)

  1. 상위 랙(21)을 따라 입출고 장치(1)를 이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동장치를 구비한 프레임(11); 화물 수용 수단(14)을 위해 제공되어 입출고 장치(1)의 프레임(11)과 연결된 수직 가이드(13)로서, 바람직하게는 프레임(11)의 하부 반부(lower half)에서, 그리고/또는 입출고 장치(1)의 프레임(11)의 아래쪽에서 화물 수용 수단(14)을 안내하는 상기 수직 가이드(13); 화물 수용 수단(14)에 보관 물품(3)을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서로 연결된 적어도 3개의 고정 지점(15)을 구비한 화물 수용 수단(14); 및 보관 물품(3)에서부터 화물 수용 수단(14)을 경유하여 입출고 장치(1)의 프레임(11)으로 힘을 전달하기 위해 화물 수용 수단(14)과 입출고 장치(1)의 프레임(11)을 연결하는 연결 요소(16)를 포함하는 고층 입체 창고(2)용 입출고 장치(1)로서,
    보관 물품(3)은, 입출고 장치(1)를 통한 보관 물품(3)의 실질적으로 수평인 이동을 통해, 상위 랙(21) 내의 보관 장소(6)와 교환될 수 있고, 보관 물품(3)은, 실질적으로 수직인 이동을 통해, 운송수단(4)과 교환될 수 있고, 화물 수용 수단(14)은 가이드(13)의 안쪽에서 입출고 장치(1)의 프레임(11)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는, 상기 고층 입체 창고용 입출고 장치에 있어서,
    - 상기 화물 수용 수단(14)은, 상기 입출고 장치(1)의 프레임(11)에 대해, 상기 가이드(13)의 바깥쪽에서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고, 특히 수평 평면(18) 내에서 축(171, 172)들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입체 창고용 입출고 장치(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지점(15)들은, 보관 물품(3)으로서의 컨테이너, 특히 해상 컨테이너와 상기 화물 수용 수단(14)을 연결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입체 창고용 입출고 장치(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고 장치(1)의 프레임(11)과 연결된 가이드(13)를 통해 안내되는, 상기 화물 수용 수단(14)의 수직 경로(19)는, 상기 운송수단(4)과 보관 물품(3)을 교환할 때 상기 화물 수용 수단의 최대 수직 경로보다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입체 창고용 입출고 장치(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고 장치(1)의 화물 수용 수단(14)과 그 프레임(11) 사이에서 상기 연결 요소(16)의 힘 전달 길이는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입체 창고용 입출고 장치(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고 장치(1)의 화물 수용 수단(14) 및/또는 그 프레임(11)은, 수평 평면에서 상기 화물 수용 수단(14)을 회전시킬 수 있는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입체 창고용 입출고 장치(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입출고 장치(1)의 프레임(11)은, 연결 요소(16)로서의 하나의 케이블, 체인 및/또는 이붙이 벨트, 바람직하게는 2개보다 많은 케이블, 체인 및/또는 이붙이 벨트를 통해 상기 화물 수용 수단(14)과 연결되고;
    - 상기 케이블, 체인 및/또는 이붙이 벨트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모터(111)에 의해 구동되는 릴(112)을 통해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입체 창고용 입출고 장치(1).
  7. 제5항에 있어서,
    - 2개 이상의 케이블, 체인 및/또는 이붙이 벨트는 상기 입출고 장치(1)의 프레임(11)과 상기 화물 수용 수단(14)을 연결하고,
    - 일측 케이블, 체인 및/또는 이붙이 벨트의 길이는 타측 케이블, 체인 및/또는 이붙이 벨트의 길이와 독립적으로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입체 창고용 입출고 장치(1).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고 장치(1)의 프레임(11)은 상기 케이블, 체인 및/또는 이붙이 벨트의 길이를 조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릴(1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입체 창고용 입출고 장치(1).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16)는 실린더로서, 바람직하게는 유압 실린더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입체 창고용 입출고 장치(1).
  10. 제8항에 있어서, 2개보다 많은 실린더는 상기 화물 수용 수단(14)과 상기 프레임(11)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입체 창고용 입출고 장치(1).
  11. 제9항에 있어서, 일측 실린더의 길이는 타측 실린더의 길이와 독립적으로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입체 창고용 입출고 장치(1).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화물 수용 수단(14)은 프레임(19)을 포함하고;
    - 상기 화물 수용 수단의 프레임(19)은 보관 물품, 바람직하게는 컨테이너를 위한 3개보다 많은 고정 지점(15)을 포함하고;
    - 상기 고정 지점(15)들은 상기 화물 수용 수단(14)의 프레임(19)에 대해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입체 창고용 입출고 장치(1).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 수용 수단(14)의 프레임(19)은 상기 입출고 장치(1)의 프레임(11)과 형상 결합 방식으로, 또는 강제 끼워 맞춤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입체 창고용 입출고 장치(1).
  14. 제12항에 있어서,
    - 상기 입출고 장치(1)의 프레임(11)은, 상기 두 프레임(11, 19) 간의 형상 결합을 형성하기 위한, 상기 화물 수용 수단(14)의 프레임(19)에 상보적인 수용부를 포함하고,
    - 바람직하게는 가동 볼트들을 구비한 잠금 메커니즘은 상기 두 프레임(11, 19) 간의 형상 결합의 풀림을 어렵게 하는, 바람직하게는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입체 창고용 입출고 장치(1).
  15. 입출고 장치(1) 및 고층 입체 창고(2)로 구성되는 시스템으로서, 입출고 장치(1)에 의해, 보관 물품(3)들, 특히 컨테이너는 상위 랙(21) 내의 보관 장소(6)와 운송수단(4) 또는 상기 상위 랙(21) 내의 다른 보관 장소(6) 간에 환적될 수 있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입출고 장치(1)는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6.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입출고 장치(1)와, 보관 물품(3), 특히 컨테이너, 바람직하게는 해상 컨테이너로 구성되는 시스템에 있어서,
    - 상기 보관 물품(3)은 화물 수용 수단(14) 상의 고정 지점(15)들에 상보적인 고정 지점들을 포함하고,
    - 상기 보관 물품(3)은 상기 상보적인 고정 지점들에 의해 상기 화물 수용 수단(14)과 강제 끼워 맞춤 방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7. 보관 물품(3), 특히 컨테이너를 수용하거나 적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보관 물품(3)은 운송수단(4)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형성되는 입출고 장치(1)에 의해 수용되거나 적재되고, 보관 물품(3)의 적어도 하나의 고정 지점은 수평 및/또는 수직 설정 위치와 다른, 상기 방법에 있어서, 하기 작업 단계들, 즉
    a) 목표 위치로 상기 입출고 장치(1)를 이동시키는 이동 단계;
    b) 제1 적재 또는 수용 높이로 상기 화물 수용 수단(14)을 하강시키는 하강 단계;
    c) 적어도 하나의 고정 지점(15)이 수직 힘을 전달하지 않는 상태에서 제2 적재 또는 수용 높이로 상기 화물 수용 수단(14)을 하강 및/또는 회전시키는 하강 및/또는 회전 단계;
    d) 추가 고정 지점(15)들이 수직 힘을 전달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화물 수용 수단(14)의 제3 적재 또는 수용 높이로 상기 화물 수용 수단(14)을 하강 및/또는 회전시키는 하강 및/또는 회전 단계; 및
    e) 상기 보관 물품(3)으로부터, 또는 그와 상기 고정 지점(15)들을 분리하거나 연결하는 분리 또는 연결 단계;
    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단계들은 a) ~ e)의 순서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237034063A 2021-07-12 2022-07-05 고층 입체 창고용 입출고 장치 KR202301527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1117938.6 2021-07-12
DE102021117938.6A DE102021117938A1 (de) 2021-07-12 2021-07-12 Regalbediengerät für ein Hochregallager
PCT/EP2022/068501 WO2023285197A1 (de) 2021-07-12 2022-07-05 Regalbediengerät für ein hochregallag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2750A true KR20230152750A (ko) 2023-11-03

Family

ID=82403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4063A KR20230152750A (ko) 2021-07-12 2022-07-05 고층 입체 창고용 입출고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4370448A1 (ko)
KR (1) KR20230152750A (ko)
CN (1) CN117642346A (ko)
AU (1) AU2022312095A1 (ko)
BR (1) BR112023020112A2 (ko)
CA (1) CA3221068A1 (ko)
DE (1) DE102021117938A1 (ko)
IL (1) IL310100A (ko)
TW (1) TWI825671B (ko)
WO (1) WO2023285197A1 (ko)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9812A (ja) * 1997-08-26 1999-03-02 Kawaden Co Ltd 立体格納庫
KR200212814Y1 (ko) * 2000-09-01 2001-02-15 박대규 컨테이너의 적재 및 반출장치
DE10245868B4 (de) 2002-09-30 2019-10-10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Positionierung einer Last
KR100602135B1 (ko) * 2003-09-26 2006-07-19 박대규 컨테이너의 적재 및 반출장치
JP5459558B2 (ja) * 2010-12-24 2014-04-02 株式会社ダイフク スタッカークレーン
JP2015009937A (ja) * 2013-06-28 2015-01-19 Jfe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自動倉庫
EP2878566B1 (de) 2013-11-28 2016-02-17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Beeinflussung einer Bewegung einer an einem Kran aufgenommenen Last
JP6256420B2 (ja) * 2015-06-30 2018-01-10 村田機械株式会社 スタッカクレーン
TWI777945B (zh) 2016-03-15 2022-09-21 德商阿莫瓦有限公司 用於在高架倉庫中貯存和獲取或者重排貯存品的運輸和轉移系統
EP3475212B1 (de) * 2016-06-23 2020-04-29 AMOVA GmbH Hochregallager mit darin zum ein- und auslagern oder umlagern von lagergut vorgesehenen regalbediengeräten
AT520008B1 (de) 2017-05-29 2020-02-15 B & R Ind Automation Gmbh Verfahren zum Dämpfen von Drehschwingungen eines Lastaufnahmeelements einer Hebeeinrichtung
JP6380870B2 (ja) 2017-07-05 2018-08-29 株式会社三井E&Sマシナリー クレー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21117938A1 (de) 2023-01-12
EP4370448A1 (de) 2024-05-22
WO2023285197A1 (de) 2023-01-19
IL310100A (en) 2024-03-01
TW202302442A (zh) 2023-01-16
TWI825671B (zh) 2023-12-11
CN117642346A (zh) 2024-03-01
AU2022312095A1 (en) 2023-11-30
BR112023020112A2 (pt) 2024-01-23
CA3221068A1 (en) 2023-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46894B1 (en) Port storage and distribution system for international shipping containers
KR20190040086A (ko) 고층 입체 창고에서 컨테이너의 입고 및 출고 또는 이동 방법 및 그 장치
CN110482098B (zh) 一种基于搬运机器人、系统的取放货方法
US20190062135A1 (en) Telescopic drive, stacker crane comprising same and operating method and use therefor
US5407316A (en) Rapid, compact, high density storage of cargo containers
JP6926107B2 (ja) 高層ラック倉庫における貯蔵品の積入れおよび積出しまたは積替えのための搬送兼引渡しシステム、およびラック操作機
US20120321418A1 (en) Device for Coning and/or Deconing a Container and Methods Related Thereto
KR20220118568A (ko) 로봇 컨테이너 핸들링 디바이스 및 방법
CA2959038A1 (en) Overhead guide track systems for automated material handling
KR102549240B1 (ko) 고층 입체 창고 내에서 컨테이너 이동을 위한 신축식 홀더
WO2019181241A1 (ja) ストッカシステム
US20190337726A1 (en) Rail Module Having Rail Portions and Having a Linear Drive, Carriage for a Rail Module and Rail Transport System
US3883013A (en) Apparatus of applying skids of grating structure and removing the same
US11479408B2 (en) Storage system and associated platform feeder
CN103998356A (zh) 锁定组件
DE202011003546U1 (de) Behälterhandlings- und Transportsystem
KR20230152750A (ko) 고층 입체 창고용 입출고 장치
CN117699313A (zh) 货物存储调度系统
CN114074852A (zh) 一种笼车装笼装置及笼车装笼系统
US11932488B2 (en) Modular vertical lift system
US20240182244A1 (en) Modular vertical lift system
JP7459754B2 (ja) ピッキングシステム
KR102648706B1 (ko) 수직 컨베이어 기능이 구비된 특수승강기
JP4834127B2 (ja) 搬送システム
KR20230065338A (ko) 선박에 장비 모듈들을 적재하고 고정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