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2516A - 골프 공에 관한 구질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골프 공에 관한 구질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2516A
KR20230152516A KR1020220052419A KR20220052419A KR20230152516A KR 20230152516 A KR20230152516 A KR 20230152516A KR 1020220052419 A KR1020220052419 A KR 1020220052419A KR 20220052419 A KR20220052419 A KR 20220052419A KR 20230152516 A KR20230152516 A KR 20230152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ball
area
hitting
s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2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현
양준석
박수진
백성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리에이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리에이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리에이츠
Priority to KR1020220052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2516A/ko
Priority to PCT/KR2023/005151 priority patent/WO2023211034A1/ko
Publication of KR20230152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25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4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small-room or indoor sport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63B2024/0028Tracking the path of an object, e.g. a ball inside a soccer pitch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47Visualisation of executed mov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5Visualisation of specific exercise para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6Video camera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골프 공에 관한 구질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스윙으로부터 측정 또는 추정되는 공의 물리량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공의 타격 정보 및 방향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공의 타격 정보 및 방향 정보를 시각화하여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 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골프 공에 관한 구질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SHOT INFORMATION OF GOLF BALLS}
본 발명은 골프 공에 관한 구질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현대인의 일상에 여가 시간이 증가하면서 취미 및 스포츠 활동으로 골프를 선택하는 인구가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외 골프 산업이 꾸준히 성장하고 있으며, 그 중심에는 골퍼들이 도심 등에서 적은 비용으로 가상적으로 골프를 즐기거나 골프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이 있다. 이와 같은 스크린 골프 시스템은, 골퍼가 골프 공을 치면 그 골프 공을 촬영한 이미지를 다수 획득하고, 그 궤적, 간격, 크기 등에 기초하여 골프 공에 관한 물리량을 측정하며, 이를 바탕으로 시뮬레이션을 행함으로써 골프 샷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스크린 상에 표시하여 주는 것을 그 기본 컨셉으로 할 수 있다.
한편, 골프 산업의 시장 규모가 점차 확대됨에 따라 국내외 다수의 기업들이 골프 산업 시장에 참여하면서 경쟁 구도가 형성되고 있다. 이에 따라 스크린 골프 시스템의 이용자들의 니즈에도 변화가 생겨, 단순히 골프를 실내에서 즐길 수 있다는 점을 넘어 보다 정확하고 정교한 센서, 실외 골프장과 같은 현장감 및 실재감에 대한 니즈가 확대되고 있다. 즉, 스크린 골프에 대한 사용자의 몰입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사용자 경험 요소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스크린 골프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몰입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자와의 감각적인 인터랙션을 개선하기 위한 많은 연구 또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과 관련하여 소개된 기술에 의하면, 다양한 영상 연출 방식을 이용하여 공의 궤적을 현실감 있게 표현하고, 고도화된 센서 또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공에 관한 물리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되기는 했지만, 공이 타격된 지점과 골프 클럽의 방향, 각도 또는 속도에 따라 타격된 공의 속도 및 진행 방향 등 구체적인 샷 데이터(shot data)를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제공하기에는 부족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시뮬레이션 시스템상 공의 궤적이 표현될 때, 공이 비행하는 포물선에 초점을 두었을 뿐, 1차적으로 공이 상승하는 구간(예를 들어, 공의 상승 구간(Rising Zone))에서 공의 발사각과 방향각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없었다는 한계가 존재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는, 적어도 하나의 스윙으로부터 측정 또는 추정되는 공의 물리량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생성되는 공의 타격 정보 및 방향 정보를 시각화하여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 내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타격한 공이 공의 상승 구간(Rising Zone)에 포함되었는지 즉각적으로 확인하고, 정상 궤적과 오류 궤적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몰입도 및 골프 실력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제안하는 바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235460호 (2021.04.02)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타격된 공이 궤적을 형성하기 전에 생성된 정보들의 상관성을 직관적으로 시각화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사용자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골프 샷 구질의 정상 궤적과 오류 궤적을 인식하게 하여 사용자의 몰입도 및 골프 실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스윙으로부터 생성된 복수의 그래픽 객체를 하나의 프레임 내에 시계열적 또는 누적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골프 샷에 관한 누적 데이터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기초하여 골프 샷의 목표를 설정하고 골프 샷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사용자 경험을 개선함으로써 공이 타격된 지점과 골프 클럽의 방향, 각도 또는 속도에 따라 타격된 공의 속도 및 진행 방향을 구체적,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골프 공에 관한 구질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스윙으로부터 측정 또는 추정되는 공의 물리량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공의 타격 정보 및 방향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공의 타격 정보 및 방향 정보를 시각화하여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 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골프 공에 관한 구질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스윙으로부터 측정 또는 추정되는 공의 물리량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공의 타격 정보 및 방향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공의 타격 정보 및 방향 정보를 시각화하여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 내에 표시하는 정보 표시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타격된 공이 궤적을 형성하기 전에 생성된 정보들의 상관성을 직관적으로 시각화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사용자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골프 샷 구질의 정상 궤적과 오류 궤적을 인식하게 하여 사용자의 몰입도 및 골프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스윙으로부터 생성된 복수의 그래픽 객체를 하나의 프레임 내에 시계열적 또는 누적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골프 샷에 관한 누적 데이터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기초하여 골프 샷의 목표를 설정하고 골프 샷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오류 궤적이 스코어로 직결되지 않아 발생하는 심리적인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고, 정상 궤적과 오류 궤적에 대한 체감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사용자 경험을 개선함으로써 공이 타격된 지점과 골프 클럽의 방향, 각도 또는 속도에 따라 타격된 공의 속도 및 진행 방향을 구체적,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이 활용되는 상황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시스템(200)에 의하여 제공되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골프 공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사용자 경험이 제공되는 상황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은 시선 추적 카메라 모듈, 스윙 동작 카메라 모듈, 센싱 모듈, 메인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선 추적 카메라 모듈은 시선 추적(eye tracking)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머리의 방향(예를 들어, 상, 하, 좌, 우), 눈의 방향(예를 들어, 머리에 대한 안구의 방향 또는 안구 자체의 방향), 눈 크기 또는 눈 깜빡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한 정보를 메인 모듈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윙 동작 카메라 모듈은 신체 또는 머리의 방향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한 정보를 메인 모듈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모듈은 샷 데이터(예를 들어, 발사각, 측면각, 공 속도, 백 스핀, 사이드 스핀) 또는 임팩트 시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한 정보를 메인 모듈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모듈은 시선 추적 카메라 모듈, 스윙 동작 카메라 모듈 또는 센싱 모듈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조합하거나 분석한 정보(예를 들어, 공의 타격 정보 및 상기 방향 정보를 참조하여 생성된 그래픽 객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100)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정보 생성부(110), 정보 표시부(120), 통신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생성부(110), 정보 표시부(120), 통신부(130) 및 제어부(140)는 그 중 적어도 일부가 외부의 시스템(미도시됨)과 통신하는 프로그램 모듈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정보 제공 시스템(100)에 포함될 수 있고,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정보 제공 시스템(100)과 통신 가능한 원격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한편, 정보 제공 시스템(100)에 관하여 위와 같이 설명되었으나, 이러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이고, 정보 제공 시스템(100)의 구성요소 또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가 필요에 따라 공지의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 실현되거나 공지의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시스템 내에 포함될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정보 제공 시스템(100)의 모든 기능과 모든 구성요소가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시스템(200) 내에서 전부 실행되거나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시스템(200) 내에 전부 포함될 수도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생성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스윙으로부터 공의 물리량에 관한 정보를 측정 또는 추정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리량에 관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부터 획득되는 정보(예를 들어, 신체 또는 머리의 방향, 눈의 방향, 발사각, 측면각, 공의 타격과 연관된 지점(또는 임팩트 지점), 임팩트 시점, 백 스핀, 사이드 스핀, 공 속도, 클럽 속도, 클럽의 방향, 공의 회전, 충격량, 클럽 패스 등)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리량에 관한 정보는 위에서 열거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생성부(110)는 물리량 측정 또는 측정의 대상이 되는 공을 촬영한 복수의 이미지 각각에서 복수의 딤플을 검출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생성부(110)는 복수의 이미지 중 제1 이미지에서 검출되는 복수의 딤플의 속성 및 제2 이미지에서 검출되는 복수의 딤플의 속성 사이의 연관 관계를 참조하여 공의 회전에 관한 물리량을 측정 또는 추정할 수 있다.
한편, 물리량 측정 또는 추정을 위한 더 자세한 내용에 관하여는 본 출원인에 의하여 출원된 한국특허출원 제10-2020-0133813호에 최초로 첨부된 특허출원명세서의 기재를 참조할 수 있으며, 한국특허출원 제10-2020-0133813호의 특허출원명세서에 기재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병합된 것으로 보아야 함을 밝혀 둔다.
다음으로, 정보 생성부(110)는 위의 물리량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공의 타격 정보 및 방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의 타격 정보는 사용자의 스윙으로부터 측정 또는 추정될 수 있는 공의 타격에 관한 정보로서, 공의 타격과 연관된 지점 또는 클럽의 페이스 앵글(face angle)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럽의 페이스 앵글(face angle)은 타겟 라인과 직각인 가상의 선과 클럽 페이스 사이에 생기는 각도로서, 임팩트된 후 공의 방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의 방향 정보는 사용자의 스윙으로부터 측정 또는 추정될 수 있는 공의 방향에 관한 정보로서, 공의 도달 거리와 연관된 발사각(launch angle) 및 공의 진행 방향과 연관된 측면각(side angle)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표시부(120)는 생성된 공의 타격 정보 및 방향 정보를 시각화하여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 내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영역은 공이 타격된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 공이 통과할 것으로 예상되는 프레임(frame) 또는 존(zone)을 의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위의 소정의 시간은 공이 타격된 이후 공의 궤적(또는 구질)을 형성하기 전까지 걸리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영역은 공의 도달 거리와 연관된 발사각 및 공의 진행 방향과 연관된 측면각에 기초하여 4분할된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영역의 가로축은 측면각에 관한 것으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10°에서 10°의 범위를 나타내도록 형성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영역의 세로축은 발사각에 관한 것으로,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10°에서 20°의 범위를 나타내도록 형성될 수 있어, 제1 영역은 가로축과 세로축의 중점을 기준으로 4분할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역을 나타내는 가로축 또는 세로축의 범위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선택에 기초하여 동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영역은 생성된 공의 타격 정보 및 방향 정보 중 속도와 연관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는 영역의 집합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영역은 사용자의 스윙으로부터 측정 또는 추정되는 공의 속도 또는 클럽 헤드의 속도를 나타내는 스펙트럼(예를 들어, 왼쪽의 빨간색부터 오른쪽의 초록색까지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색을 나타내는 선분의 집합)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영역은 사용자의 스윙으로부터 측정 또는 추정되는 공의 속도 또는 클럽 헤드의 속도가 적어도 하나의 기준 속도 구간과 함께 표시될 수 있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 속도 구간은 사용자의 스윙으로부터 측정 또는 추정되는 공의 속도 또는 클럽 헤드의 속도가 적절한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구간을 의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영역은 빨간색부터 초록색까지 이어지는 스펙트럼으로서, 사용자의 스윙으로부터 측정 또는 추정되는 공의 속도 또는 클럽 헤드의 속도는 후술할 제2 그래픽 객체(예를 들어, 막대 또는 선분)의 형태로 스펙트럼 내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준 속도 구간은 초록색 영역에 포함되어 있고, 제2 그래픽 객체가 기준 속도 구간 내에 있는 경우, 사용자는 적절한 스윙(예를 들어, 적절한 클럽 헤드의 속도로 스윙하거나 공의 속도가 적절하도록 스윙함)을 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고, 제2 그래픽 객체가 기준 속도 구간 밖의 빨간색 영역에 있는 경우, 사용자는 적절하지 않은 스윙(예를 들어, 적절하지 않은 클럽 헤드의 속도로 스윙하거나 공의 속도가 적절하지 않도록 스윙함)을 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표시부(120)는 공의 타격 정보 및 방향 정보를 참조하여 그래픽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객체는 공의 타격 정보 및 방향 정보에 대하여 점, 선 또는 면으로 표시할 수 있는 기하학적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객체는 공의 형상, 공의 타격과 연관된 지점 및 페이스 앵글(face angle)이 점, 선 또는 면의 형태로 표현되어 제1 영역에서 표시되는 제1 그래픽 객체 및 사용자의 스윙으로부터 측정 또는 추정되는 공의 속도 또는 클럽 헤드의 속도가 막대 또는 선분의 형태로 표현되어 제2 영역에서 표시되는 제2 그래픽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제1 그래픽 객체는 제1 영역에서 발사각 및 측면각을 고려한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그래픽 객체는 공의 형상, 공의 타격과 연관된 지점 및 페이스 앵글(face angle)이 점, 선 또는 면의 형태로 표현된 객체로서, 공이 타격된 이후 공의 궤적(또는 구질)을 형성하기 전에 제1 영역에서 공의 타격과 연관된 지점, 페이스 앵글(face angle), 공의 속도 또는 클럽 헤드의 속도의 관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발사각 및 측면각을 고려한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복수의 스윙으로부터 생성된 복수의 제1 그래픽 객체가 제1 영역에서 누적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복수의 제1 그래픽 객체는 시계열적으로 구분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그래픽 객체는 생성된 순서에 따라 그래픽 객체의 색 또는 모양이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골프 시뮬레이션(예를 들어, 사용자가 t시점에 스크린 골프 라운딩을 수행함)을 통해 제1 영역에 표시된 복수의 제1 그래픽 객체는 사용자가 제2 골프 시뮬레이션(예를 들어, 사용자가 t+1시점에 스크린 골프 라운딩을 수행함)을 할 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선택에 기초하여 제1 영역에 표시되거나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만의 제1 영역을 업데이트하면서 타격의 정확성 개선을 통한 골프 실력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30)는 정보 생성부(110) 및 정보 표시부(120)로부터의/로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정보 생성부(110), 정보 표시부(120) 및 통신부(130)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정보 제공 시스템(100)의 외부로부터의/로의 데이터 흐름 또는 정보 제공 시스템(100)의 각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정보 생성부(110), 정보 표시부(120) 및 통신부(130)에서 각각 고유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시스템(200)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100)이 활용되는 상황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시스템(200)은 타격부(10), 조명 장치(20), 촬영 장치(210), 시뮬레이터(220) 및 표시 장치(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터(220)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100)이 포함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격부(10)는 골퍼가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시스템(200)을 이용할 때에 발을 딛고 올라서서 골프 공을 놓고 치는 부분일 수 있다. 이러한 타격부(10)는 그 경사각이 조절될 수 있는 공지의 스윙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이 다른 종류의 가상 스포츠 시뮬레이터 시스템에 적용되는 경우에, 당업자는 타격부(10)의 구성을, 필요한 경우 그와 함께 연동하는 다른 구성요소의 구성과 함께, 해당 스포츠의 특성에 맞도록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20)는 골퍼가 실내나 실외에서 가상 골프를 즐기는 경우에 인위적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조명 장치(20)는 필요에 따라 켜지고 꺼지거나 그 밝기가 조절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명 장치(20)는 빛의 떨림 현상으로 인한 복수의 이미지의 자연적인 열화를 막기 위한 적외선 조명(예를 들어, LED 조명)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210)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예를 들어, 시선 추적 카메라 모듈, 스윙 동작 카메라 모듈, 센싱 모듈 등)(미도시됨)를 포함하여 공의 타격 정보 및 방향 정보에 관한 복수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촬영 장치(210)는 움직이는 골프 클럽 헤드를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보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지만, 기타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210)는 촬영 속도가 상이한 적어도 두 개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복수의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획득함으로써 고속 카메라와 유사한 성능을 구현하거나, 두 개의 2차원 카메라를 이용하여 복수의 이미지를 동시에 획득함으로써 3차원 카메라와 유사한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터(220)는 메인 모듈을 포함하여 시선 추적 카메라 모듈, 스윙 동작 카메라 모듈 또는 센싱 모듈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조합하거나 분석한 정보(예를 들어, 공의 타격 정보 및 상기 방향 정보를 참조하여 생성된 그래픽 객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터(220)는 촬영 장치(210) 및 표시 장치(230)와 통신할 수 있고,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시스템(200)을 위한 전용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용 프로세서는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수치 연산 능력과 그래픽 처리 능력을 갖춘 것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30)는 시뮬레이터(220)의 분석에 따른 정보를 시각화하여 표시하여 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 장치(230)는 소정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하여 소정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타격된 골프 공의 충격을 흡수하는 한편 직접 발광하지는 않는 스크린과, 이러한 스크린에 영상을 출력하는 프로젝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시스템(200)에 의하여 제공되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영역(301)은 발사각에 관한 세로축 및 측면각에 관한 가로축으로 구성된 프레임으로서, 중심을 기준으로 4분할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영역(302)은 공의 속도 또는 클럽 헤드의 속도를 나타내는 스펙트럼을 의미할 수 있고, 공의 속도 또는 클럽 헤드의 속도가 적절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 속도 구간(303)과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골프 공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사용자 경험이 제공되는 상황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4에 의하면, 사용자의 제1 스윙에 기초하여 측정 또는 추정되는 공의 물리량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공의 타격 정보 및 방향 정보가 생성되고, 공의 타격 정보 및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그래픽 객체(403) 및 제2 그래픽 객체(404)가 생성될 수 있다.
그 다음에, 제1 그래픽 객체(403)는 제1 영역(401)에서 발사각과 측면각을 고려한 위치에 표시될 수 있고, 제2 그래픽 객체(404)는 공의 속도 또는 클럽 헤드의 속도를 고려하여 제2 영역(402)에 표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에 의하면, 사용자의 제2 스윙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1 그래픽 객체(502)가 제1 영역에서 사용자의 제1 스윙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1 그래픽 객체(501)와 함께 제1 영역에서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제1 그래픽 객체(501, 502)는 시계열적으로 구분되도록 표시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생성된 순서에 따라 색 또는 모양이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복수의 스윙에 기초하여 생성된 복수의 제1 그래픽 객체들은 사용자의 스윙으로부터 측정되는 공의 물리량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공의 타격과 연관된 지점(또는 임팩트 지점), 페이스 앵글(face angle), 클럽 패스 등)에 따라 발사각 및 측면각이 달라져서, 제1 영역의 다른 위치에 표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그래픽 객체(602)는 제1 영역에서 임팩트 지점 및 페이스 앵글과 함께 시각화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골프 시뮬레이션(601)을 통해 제1 영역에 표시된 복수의 제1 그래픽 객체들은 사용자가 제2 골프 시뮬레이션을 할 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선택에 기초하여 제1 영역에 표시되거나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꾀할 수 있다.
10: 타격부
20: 조명장치
100: 정보 제공 시스템
110: 정보 생성부
120: 정보 표시부
130: 통신부
140: 제어부
200: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시스템
210: 촬영 장치
220: 시뮬레이터
230: 표시 장치

Claims (15)

  1. 골프 공에 관한 구질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스윙으로부터 측정 또는 추정되는 공의 물리량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공의 타격 정보 및 방향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공의 타격 정보 및 방향 정보를 시각화하여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 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 정보는 상기 스윙으로부터 측정 또는 추정되는 상기 공의 타격과 연관된 지점 또는 클럽의 페이스 앵글(face angle)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 정보는 상기 스윙으로부터 측정 또는 추정되는 상기 공에 관한 발사각 또는 측면각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에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공의 도달 거리와 연관된 발사각 및 상기 공의 진행 방향과 연관된 측면각에 기초하여 4분할된 영역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에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스윙으로부터 측정 또는 추정되는 상기 공의 속도 또는 클럽 헤드의 속도가 적어도 하나의 기준 속도 구간과 함께 표시될 수 있는 영역을 포함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에서, 상기 타격 정보 및 상기 방향 정보를 참조하여 생성된 그래픽 객체는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발사각 및 측면각을 고려한 위치에 표시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에서, 복수의 스윙으로부터 생성된 복수의 그래픽 객체는 누적적으로 표시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그래픽 객체는 시계열적으로 구분되도록 표시되는
    방법.
  8. 제1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9. 골프 공에 관한 구질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스윙으로부터 측정 또는 추정되는 공의 물리량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공의 타격 정보 및 방향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공의 타격 정보 및 방향 정보를 시각화하여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 내에 표시하는 정보 표시부를 포함하는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 정보는 상기 스윙으로부터 측정 또는 추정되는 상기 공의 타격과 연관된 지점 또는 클럽의 페이스 앵글(face angle)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 정보는 상기 스윙으로부터 측정 또는 추정되는 상기 공에 관한 발사각 또는 측면각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공의 도달 거리와 연관된 발사각 및 상기 공의 진행 방향과 연관된 측면각에 기초하여 4분할된 영역인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스윙으로부터 측정 또는 추정되는 상기 공의 속도 또는 클럽 헤드의 속도가 적어도 하나의 기준 속도 구간과 함께 표시될 수 있는 영역을 포함하는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 정보 및 상기 방향 정보를 참조하여 생성된 그래픽 객체는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발사각 및 측면각을 고려한 위치에 표시되는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복수의 스윙으로부터 생성된 복수의 그래픽 객체는 누적적으로 표시되는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그래픽 객체는 시계열적으로 구분되도록 표시되는
    시스템.
KR1020220052419A 2022-04-27 2022-04-27 골프 공에 관한 구질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23015251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419A KR20230152516A (ko) 2022-04-27 2022-04-27 골프 공에 관한 구질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CT/KR2023/005151 WO2023211034A1 (ko) 2022-04-27 2023-04-17 골프 공에 관한 구질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419A KR20230152516A (ko) 2022-04-27 2022-04-27 골프 공에 관한 구질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2516A true KR20230152516A (ko) 2023-11-03

Family

ID=88519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2419A KR20230152516A (ko) 2022-04-27 2022-04-27 골프 공에 관한 구질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52516A (ko)
WO (1) WO2023211034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5460B1 (ko) 2019-07-15 2021-04-02 주식회사 골프존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크린 골프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9325B1 (ko) * 2011-02-11 2011-08-24 (주) 골프존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JP6582641B2 (ja) * 2015-07-07 2019-10-02 株式会社プロギア ゴルフクラブのスウィングの表示方法
KR101826837B1 (ko) * 2016-08-12 2018-02-08 주식회사 골프존 볼의 비행정보 연산장치, 볼의 비행정보 연산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팅장치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931592B1 (ko) * 2017-12-12 2019-03-13 주식회사 골프존 운동하는 볼에 대한 센싱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볼에 대한 운동 파라미터 산출방법
KR102335501B1 (ko) * 2020-06-29 2021-12-06 주식회사 골프존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5460B1 (ko) 2019-07-15 2021-04-02 주식회사 골프존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크린 골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11034A1 (ko) 2023-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3692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trajectories of basketball shots for display
US10715759B2 (en) Athletic activity heads up display systems and methods
US10409363B1 (en) Mixed-reality golf tracking and simulation
US20100311512A1 (en) Simulator with enhanced depth perception
US10987567B2 (en) Swing alert system and method
US8414408B2 (en) Apparatus for golf simulation
WO2007019441A2 (en) Swing position recognition and reinforcement
CN105999677B (zh) 一种可联网的便携式高尔夫模拟系统及模拟方法
US11850498B2 (en) Kinematic analysis of user form
AU2014284410A1 (en) Two-environment game play system
KR101790747B1 (ko) 스크린 배드민턴 게임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JP6898415B2 (ja) ボールの回転を測定するための方法、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00124899A (ko) 입체 영상을 이용한 스크린 골프 시스템
Yeo et al. Augmented learning for sports using wearable head-worn and wrist-worn devices
KR20190003925A (ko) 가상현실 운동 시스템
KR200274503Y1 (ko) 골프 연습장치
KR20230152516A (ko) 골프 공에 관한 구질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TWI728895B (zh) 互動式球場系統
RU2702822C1 (ru) Способ оценки двигательных действий спортсмена в бадминтоне
TW202408632A (zh) 提供高爾夫球的擊球資訊的方法、系統、及非暫時性電腦可讀取記錄媒介
CN112807649A (zh) 一种基于5g信息传递的虚拟高尔夫模拟方法及其装置
KR20230167668A (ko) 골프 스윙에 관한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483484B1 (ko) 골프 클럽과 연관되는 물리량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TW202412895A (zh) 用於提供關於高爾夫揮桿的回饋資訊的方法、系統以及非暫態電腦可讀取記錄媒介
KR20240018310A (ko) 골프 샷 또는 골프 스윙에 적용되는 타겟 방향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