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2392A - 철도교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철도교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2392A
KR20230152392A KR1020220052086A KR20220052086A KR20230152392A KR 20230152392 A KR20230152392 A KR 20230152392A KR 1020220052086 A KR1020220052086 A KR 1020220052086A KR 20220052086 A KR20220052086 A KR 20220052086A KR 20230152392 A KR20230152392 A KR 20230152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ion member
shear key
concrete layer
separatio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2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2640B1 (ko
Inventor
나일호
정원우
백인혁
박지용
이인세
김재학
설용환
Original Assignee
한국석유공업 주식회사
주식회사 케이알티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석유공업 주식회사, 주식회사 케이알티씨 filed Critical 한국석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52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2640B1/ko
Publication of KR20230152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2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2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2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8/00Brid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or func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aqueducts, bridges for supporting pipe-l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00Compositions of natural rubb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9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bituminous materials, e.g. asphalt, tar, pitch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3Waterproofing of bridge decks; Other insulations for bridges, e.g. thermal ; Bridge deck surfac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스팔트 혼합물에 의해 형성된 방수부(111)와, 토목섬유 재질에 의해 형성된 직물부(112)가 적층구조로 형성된 분리부재(110)를 준비하는 분리부재 준비단계; 교량 상판(1)의 상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보호콘크리트층(PCL)(10)을 형성하되, 상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전단키(11)가 길이방향을 따라 열지어 형성되도록 하는 보호콘크리트 타설단계; 상기 보호콘크리트층(10)의 상부에 상기 분리부재(110)의 방수부(111)를 접착하여 분리층(100)을 형성하는 분리부재 설치단계; 상기 분리부재(110)의 직물부(112)의 상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도상콘크리트층(TCL)(20)을 형성하는 도상콘크리트 타설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교의 시공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시공 중 분리부재의 변형이나 손상이 쉽게 발생하지 않고, 분리부재의 접힘가공이 용이하여 전단키를 완전히 폐쇄하도록 설치할 수 있으며, 분리부재의 중량이 작아 우수한 시공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철도교의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FOR RAILWAY BRIDGE}
본 발명은 건설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철도교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철도교의 단면도이다.
교량 상판(1)의 상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보호콘크리트층(Protection Concrete Layer : PCL)(10)을 형성하되, 상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전단키(11)가 길이방향을 따라 열지어 형성되도록 한다.(도 2,3)
보호콘크리트층(PCL)의 상부에 분리층(30)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다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도상콘크리트층(Track Concrete Layer : TCL)(20)을 형성한다.
분리층(30)을 형성하는 분리부재(탄성분리재)는 철도의 교량구간(철도교)에서 보호콘크리트층(PCL)과, 도상콘크리트층(TCL)을 구조적으로 분리하기 위하여 경계면에 설치되는 재료를 말한다.
보호콘크리트층(PCL)과 도상콘크리트층(TCL)은, 슬래브구조의 온도 기울기로 인한 PCL과 TCL의 신장률 차이, TCL의 설치 직후에 발생하는 콘크리트의 크리프 및 수축, 열차 통과에 의한 교량의 거동 등의 이유로, 상대변위가 발생한다.
위 분리층(30)은 TCL과 PCL을 분리하여 두 콘크리트층 간에 이러한 상대변위의 발생이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분리층(30)을 형성하는 분리부재(탄성분리재)는, 높은 내마모성 및 충분한 마찰계수, 단일거동에 대한 충분한 일방향 변위량, 연속거동에 대한 충분한 양방향 변위량, 수직하중에 대한 충분한 강성, 환경영향에 대한 저항력 등의 물성이 요구된다.
종래에는 위 분리부재(탄성분리재)로서 고무 재질(EPDM-Rubber)을 주로 사용하여 왔는데, 이는 탄성회복력이 좋고, 반복하중에 따른 변형이 작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첫째, 고무 재질의 분리부재는 고가이므로, 공사비의 절감을 위해 얇은 두께로 시공하는데, 이로 인하여 시공 중 변형이나 손상이 쉽게 발생하여 시공이 어렵다.
둘째, 접힘가공이 어려워 전단키를 완전히 폐쇄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어렵다.
셋째, 얇은 두께임에 불구하고 고중량이므로, 시공이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시공 중 분리부재의 변형이나 손상이 쉽게 발생하지 않고, 분리부재의 접힘가공이 용이하여 전단키를 완전히 폐쇄하도록 설치할 수 있으며, 분리부재의 중량이 작아 시공성이 우수한 철도교의 시공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아스팔트 혼합물에 의해 형성된 방수부(111)와, 토목섬유 재질에 의해 형성된 직물부(112)가 적층구조로 형성된 분리부재(110)를 준비하는 분리부재 준비단계; 교량 상판(1)의 상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보호콘크리트층(PCL)(10)을 형성하되, 상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전단키(11)가 길이방향을 따라 열지어 형성되도록 하는 보호콘크리트 타설단계; 상기 보호콘크리트층(10)의 상부에 상기 분리부재(110)를 설치하되, 상기 직물부(112)가 상기 보호콘크리트층(10)의 상면과 접촉하고, 상기 방수부(111)가 상부를 향하는 분리층(100)을 형성하는 분리부재 설치단계; 상기 분리부재(110)의 방수부(111)의 상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도상콘크리트층(TCL)(20)을 형성하는 도상콘크리트 타설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교의 시공방법을 제시한다.
상기 분리부재 설치단계는, 상기 분리부재(110)를 절개 및 절곡한 후, 상기 전단키(11)의 상면 및 측면을 둘러싸도록 상기 분리부재(110)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리부재 설치단계는, 상기 전단키(11)가 관통하도록, 상기 분리부재(110)의 심부에 관통공(101)을 형성한 전단키 관통 분리부재(110a)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전단키(11)의 상면에 접촉하는 상면 접촉부(113)와, 상기 전단키(11)의 측면에 접촉하는 측면 접촉부(114)를 구비한 전단키 접촉 분리부재(110b)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관통공(101)을 통해 상기 전단키(11)가 관통하도록, 상기 보호콘크리트층(10)의 상부에 상기 전단키 관통 분리부재(110a)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전단키(11)의 상면 및 측면을 둘러싸도록, 상기 전단키 접촉 분리부재(110b)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물부(112)의 두께는, 상기 보호콘크리트층(10)의 상면의 요철구조에 불구하고, 상기 직물부(112)의 상면이 편평하게 될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물부(112)의 두께는 2 ~ 2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수부(111)를 형성하는 아스팔트 혼합물은, 아스팔트 80~93 중량%; 천연고무 1~5 중량%; 합성고무 2~10 중량%; 보강충전재 3~16 중량%; 황 0.05~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스팔트 혼합물은, 노화방지제 0.1~1.0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시공 중 분리부재의 변형이나 손상이 쉽게 발생하지 않고, 분리부재의 접힘가공이 용이하여 전단키를 완전히 폐쇄하도록 설치할 수 있으며, 분리부재의 중량이 작아 시공성이 우수한 철도교의 시공방법을 제시한다.
도 1은 종래의 철도교의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철도교의 보호콘크리트층(PCL)의 사진.
도 3은 종래의 철도교의 분리층의 사진.
도 4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4는 분리부재의 사시도.
도 5는 철도교의 단면도.
도 6 내지 8은 전단키와 분리부재의 결합에 관한 공정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철도교의 시공방법은 다음 공정에 의해 이루어진다.
아스팔트 혼합물에 의해 형성된 방수부(111)와, 토목섬유 재질에 의해 형성된 직물부(112)가 적층구조로 형성된 분리부재(110)를 준비한다.(도 4)
교량 상판(1)의 상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보호콘크리트층(PCL)(10)을 형성하되, 상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전단키(11)가 길이방향을 따라 열지어 형성되도록 한다.(보호콘크리트 타설단계)
보호콘크리트층(10)의 상부에 분리부재(110)를 설치하되, 직물부(112)가 보호콘크리트층(10)의 상면과 접촉하고, 방수부(111)가 상부를 향하는 분리층(100)을 형성한다.(분리부재 설치단계)
분리부재(110)의 방수부(111)의 상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도상콘크리트층(TCL)(20)을 형성한다.(도상콘크리트 타설단계)
분리부재(110)의 직물부(112)는 보호콘크리트층(PCL)(10)과 도상콘크리트층(TCL)(20)을 구조적으로 분리하는 역할을 하고, 이를 위해서는 시공 후 본래의 탄성을 유지할 것이 요구된다.
그런데, 직물부(112)의 상부에 곧바로 도상콘크리트층(TCL)(20)의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 현장타설 콘크리트의 수분이 직물부(112)에 침입하여 본래의 탄성이 상실되도록 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분리부재(110)는 직물부(112)의 상부에 아스팔트 혼합물에 의한 방수부(111)를 적층구조로 형성하고, 그 방수부(111)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도록 하므로, 콘크리트의 수분이 직물부(112)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본래의 탄성이 유지되도록 한다.
즉, 종래에는 분리층(100)의 형성을 위하여 고무 재질(EPDM-Rubber)을 사용하였음에 비해, 본 발명에 의한 공법에서는 아스팔트 혼합물에 의해 형성된 방수부(111)와, 토목섬유 재질에 의해 형성된 직물부(112)가 적층구조로 형성된 분리부재(110)를 사용한다는 특징이 있다.
이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방수부(111)와 직물부(112)로 구성되는 분리부재(110)가 종래의 고무 재질의 분리부재에 비해 저가이므로, 충분히 두꺼운 두께로 시공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시공 중 변형이나 손상이 쉽게 발생하지 않아 시공이 용이하다.
둘째, 분리부재(110)의 접힘가공이 용이하므로, 보호콘크리트층(PCL) 상면의 돌출구조인 전단키의 상면 및 측면에 분리부재(110)를 절개 및 절곡하여 접착할 수 있으므로, 전단키의 완전한 폐쇄가 가능하다.
셋째, 두꺼운 분리부재(110)를 사용하더라도 저중량이므로, 시공이 용이하다.
넷째, 분리부재(110)의 방수부(111)는 시공 중 직물부(112)에 대한 콘크리트의 수분 침입을 방지하여 본래의 탄성이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과, 시공 후 보호콘크리트층(PCL)에 대한 수분 침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므로, 우수한 방수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보호콘크리트층(PCL)의 내구성을 증대할 수 있다.
전단키의 완전한 폐쇄를 위하여, 분리부재(110)를 절개 및 절곡한 후, 전단키(11)의 상면 및 측면을 둘러싸도록 분리부재(110)를 설치한다.(도 5 내지 8)
이를 위한 구체적인 공정은 다음과 같다.
전단키(11)가 관통하도록, 분리부재(110)의 심부에 관통공(101)을 형성한 전단키 관통 분리부재(110a)를 준비한다.(도 6)
전단키(11)의 상면에 접촉하는 상면 접촉부(113)와, 전단키(11)의 측면에 접촉하는 측면 접촉부(114)를 구비한 전단키 접촉 분리부재(110b)를 준비한다.(도 7)
관통공(101)을 통해 전단키(11)가 관통하도록, 보호콘크리트층(10)의 상부에 전단키 관통 분리부재(110a)를 설치한다.(도 8)
전단키(11)의 상면 및 측면을 둘러싸도록, 전단키 접촉 분리부재(110b)를 설치한다.(도 8)
본 발명에 의한 공법에 의해 형성되는 철도교에서, 분리층(100)과 보호콘크리트층(10)이 분리되고, 분리층(100)과 도상콘크리트층(20)이 결합하는 구조를 취하는데, 이에 불구하고 보호콘크리트층(PCL)(10)과 도상콘크리트층(TCL)(20)의 구조적 분리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분리부재(110)의 직물부(112)가 충분한 두께를 가짐에 따라 탄성 및 탄성회복성이 충분히 확보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직물부(112)의 두께는, 보호콘크리트층(10)의 상면의 요철구조에 불구하고, 직물부(112)의 상면이 편평하게 될 정도(2 ~ 20mm)로 한다.
이하, 분리부재(110)를 구성하는 방수부(111)와 직물부(112)의 구체적 재질에 관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방수부(111)를 형성하는 아스팔트 혼합물은, 아스팔트 80~93 중량%; 천연고무 1~5 중량%; 합성고무 2~10 중량%; 보강충전재 3~16 중량%; 황 0.05~1.0 중량%; 노화방지제 0.1~1.0 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1) 아스팔트
본 발명에서 아스팔트는 AP-3, AP-5, VB1 등 석유 정제과정에서 발생되는 감압 잔사분을 사용할 수 있다.
아스팔트는 원유 정제 공정에서 250~350℃로 가열시킨 원유를 상압증류를 통하여 비점(Boiling poing)별로 다양한 석유유분들을 분류시키면서 증류탑의 탑저(Bottom)에서 유출하는 상압 잔사분(Long residues)을 350~420℃로 가열시켜서 감압증류기로 투입시키는 방식으로 제조한다.
약 1.3~13kPa의 감압조건하의 감압 증류를 통하여 고비점의 석유유분들을 분류시키고 탑저에서 감압 잔사분으로서의 아스팔트를 얻을 수 있다.
여기에 분자량이 적은 천연고무 및 합성고무 등을 이용하여 탄성력 및 강성을 보강할 수 있고 온도 변화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분리부재(110)의 방수부(111)를 구성하는 아스팔트계 접착제는 기본원료로 연화점이 높고 침입도가 낮은 아스팔트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스팔트계 접착제의 점탄성적 유변성과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무기질 충진재, 고분자 합성수지 등을 혼합하여 화학-물리적 특성의 융합에 의한 재료보강이 가능하고, 특히 고온과 저온에서의 기계적 강도 보강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열차하중에 의한 콘크리트 침목의 변형 등에 저항할 수 있으며 온도변화에 따른 균열을 예방할 수 있다.
(2) 천연고무
본 발명에서 천연고무는 NR을 사용할 수 있다.
천연고무는 원료에 따라 고형성 고무, 액체성 고무로 분류되며, 1840년 미국에서 유황에 의한 고무가황법으로 발명된 후에, 영국에서 고무에 산화제를 가하여 혼합함으로써 좋은 고무 탄성제가 개발되었다.
고무나무 수피에서 받은 천연고무 액체는 순액이고, 공업화를 위해 응고 상태인 순액고무에 소량의 암모니아를 첨가한다.
탄성 및 신축성은 합성고무보다 우수하지만, 내유성은 약해서 저온에서는 결정이 된다.
천연고무는 고무 탄화 수소분 75~95%, 단백질 1~10%, 아세톤 가용분 1~8%, 당분 0.1~3%, 회분 0.5~4% 범위의 것을 적용한다.
(3) 합성고무
본 발명에서 합성고무는 SBR, EPDM, 부틸고무, 염소화부틸고무 등을 적용할 수 있다.
SBR은 스티렌과 부타디엔을 중합하여 생성되며, NBR은 니트릴과 부타디엔을 합성중합하여 내유고무로 생산한다.
EPDM은 에티렌과 비닐, 그리고 제3성분인 다윈에 촉매를 가하여 생성 되며, 세가지 물질을 합성시켜 중합한 합성고무를 3원 공중합 고무라한다.
이밖에도 아크릴 고무, 부틸고무, 염소화부틸고무, 우레탄고무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부틸고무는 Isobutylene과 Diene과의 이원공중합체이다. 이는 가류황화가 느리고, 타 합성고무를 혼합하여 가공하면 황화 속도가 느리며, 기포나 물리적 성질이 저하될 수 있다.
이는 내후성, 내열성, 노화성이 우수하고, 내오존성, 산화제 저항성이 우수하며, 내일광성, 내염도, 내굴곡성, 전기절연성, 내마모성, 내한성이 우수한 특징을 가진다.
단, 탄성이 다른 고무에 비해 적을 수 있다.
(4) 노화방지제
본 발명에서 노화방지제는 산화방지제, 오존방지제, 왁스 등을 사용한다.
방수부(111)의 노화방지에 의한 내구성 향상을 위해 사용된다.
노화의 원인으로는 산소, 오존, 열, 햇빛, 금속촉매, 방사선 등의 환경 및 기계적 피로 등의 외부 요인과, 가황 비율, 가황방법, 충진제의 종류와 순도 등의 내부 요인이 있을 수 있다.
(5) 보강충전제
가황고무의 물성 및 미가황고무의 가공성의 개선 또는 가격절감을 위한 체적증대를 목적으로 하여 여러 가지 재료를 사용한다.
충전제는 무기질 충전제와 유기질 충전제로 분류되며, 무기질 충전제에는 흑색 충전제인 카본블랙(Carbon black), 백색충전제인 규산, 규산염류, 탄산염류 등이 있고, 유기질 충전제에는 페놀수지, 재생고무, 가황분말 고무 등이 있다.
이들 충전제는 가황물의 기계적 물성치를 증대시키는 보강기능이 있는 것과 단순히 체적 증대기능만 있고 보강기능은 거의 없는 것이 있다.
보강 또는 체적증대 외에 고무의 유동성, 수축 등의 개선을 목적으로 한 것도 사용한다.
충전제의 보강효과에는 입자의 크기, 입자의 형상, 입자표면의 화학적 성질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흑색 충전제는 고무의 보강에 가장 효과적이며, 특히 비결정성 폴리머에 대하여 보강효과가 크다.
카본블랙은 천연가스, 석유계 또는 석탄계 중질유 등을 불완전연소 또는 열분해시킴으로서 제조한다.
고무에 미치는 효과는 기본적 성질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즉, 입자의 크기는 입자의 표면적에 반비례하며 요오드 흡착량이 표면적의 척도가 된다.
구조는 입자의 응집상태이고, DBP 흡착량이 척도가 되며 보강효과보다 가공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입자표면의 흡착성, 표면에 존재하는 여러 가지 레디컬에 의하여 보강 및 가황 속도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또한, 보강효과를 요구하는 충전제는 입자의 크기, 형상, 표면의 성질 등이 중요하며, 투명제품의 경우 착색제를 효과적으로 고려한다.
본 발명에서 보강충전제는 입자경 11~500mm, DBP 흡착량 86~113㎤/100g, 비중 335~425kg/㎤ 범위의 것을 사용한다.
(6) 황
본 발명에서 황은 저유황 가황계, 무유황 가황계 등을 적용할 수 있다.
황은 8개의 황 원자로 된 환상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R-Sx-R 형태의 가교점을 만드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기서 R은 고분자 부분이고 X는 가교점에 있는 황 원자의 수를 말한다.
생성된 가교는 가황계에 따라 모노설파이드(Monosulfide)와 폴리설파이드(Polysulfide) 구조가 존재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가황제 및 가황촉진제에 있는 황이 가교를 형성하기 위해 고분자와 반응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매우 적은 양의 황 즉, 유리 황(Free sulphur)은 가황물 내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로 남게 된다.
연질 고무 제품을 만들기 위한 범용 황 가황계(Conventional sulfur vulcanizing system)는 1∼3phr 정도의 비교적 많은 양의 황과 적은 양의 가황촉진제로 구성된다.
저유황 가황계(Low sulfur vulcanizing system)는 0.2∼0.5phr 정도의 황이 첨가되고, 많은 양의 촉진제가 투입된다.
무유황 가황계(Nonelemental sulfur system)는 가황 중에 황 원자를 내 놓는 황 공여체로 이루어진다.
저유황과 무유황 가황계는 범용 가황계로 가황된 가황물보다 높은 온도에서 훨씬 효과적인 내열성을 갖는 가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유효 가황계는 많은 양의 공여체를 사용하기 때문에 범용 가황계보다 훨씬 비싸다.
그러므로 유효 가황계는 최대의 내열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만 사용된다.
포화된 고무는 고분자 주사슬에 이중결합이 없기 때문에 황 및 가황촉진제로 가교를 시킬 수 없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유기 과산화물 단독 또는 조제(Co-agents)나 촉진제(Promotors)로 알려진 배합제의 존재하에서 가교된다.
유기 과산화물은 가황온도에서 분해되어 자유 래디컬(Free radicals : R·)을 형성한다.
이들 자유 래디컬은 고분자 사슬(PH)에서 수소원자를 빼내어 PH를 만들고 고분자 라디칼( P·)을 형성한다.
인접하는 고분자 래디컬들이 서로 결합하여 고분자간의 탄소-탄소 가교 결합(P-P)을 형성하게 된다.
분리부재(110)의 직물부(112)는 토목섬유 재질에 의해 형성되는데, 구체적으로 지오텍스타일(Geotex-tiles)을 사용한다.
직포형 지오텍스타일은 필라멘트사, 또는 방적사를 이용하여 평직, 능직, 주자직으로 제조되며, 보통 1,000~3,000 데니어 정도의 실을 연사하여 사용한다.
직물밀도는 경,위사 방향으로 인치당 19~21개가 일반적이며, 주로 폴리에스테르와 폴리프로필렌 섬유가 사용된다.
장섬유나 단섬유를 랜덤하게 배열하여 결합시킨 부직포 지오텍스타일은 단섬유의 경우 니들펀칭 공정에 의해 중량 400~3,000g/㎡ 정도로 제조된다.
장섬유의 경우 스펀본드 공정에 의해 중량 200~800g/㎡ 정도로 적층하여 니들펀칭 또는 열융착 등의 방법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사용되는 분리부재(110)를 구성하는 방수부(111)와 직물부(112)의 구체적 재질의 물성을 입증하기 위한 시험결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표 1은 방수부(111)를 구성하는 아스팔트 혼합물에 관한 실시예의 구체적 배합을 나타낸 것이다.
아스팔트는 AP-3, 천연고무는 NR, 합성고무는 SBR, 노화방지제는 산화방지제, 보강충전제는 카본블랙, 황은 저유황 가황계를 사용하였다.
표 2는 방수부(111)를 구성하는 아스팔트 혼합물의 물성 시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표 3은 분리부재(110)의 물성 시험결과를 나타낸 것으로서, 방수부(111)에는 위 실시예 1 내지 3을 적용하였고, 직물부(112)로는 부직포형 지오텍스타일을 사용하였다.
모든 시험항목(인장강도, 정적 꿰뚫림 강도, 수직투수계수, 유효구멍크기)에 대하여 품질기준을 충분히 상회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교량 상판 10 : 보호콘크리트층
11 : 전단키 20 : 도상콘크리트층(TCL)
100 : 분리층 110,110a,110b : 분리부재
111 : 방수부 112 : 직물부
113 : 상면 접촉부 114 : 측면 접촉부

Claims (7)

  1. 아스팔트 혼합물에 의해 형성된 방수부(111)와, 토목섬유 재질에 의해 형성된 직물부(112)가 적층구조로 형성된 분리부재(110)를 준비하는 분리부재 준비단계;
    교량 상판(1)의 상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보호콘크리트층(PCL)(10)을 형성하되, 상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전단키(11)가 길이방향을 따라 열지어 형성되도록 하는 보호콘크리트 타설단계;
    상기 보호콘크리트층(10)의 상부에 상기 분리부재(110)를 설치하되, 상기 직물부(112)가 상기 보호콘크리트층(10)의 상면과 접촉하고, 상기 방수부(111)가 상부를 향하는 분리층(100)을 형성하는 분리부재 설치단계;
    상기 분리부재(110)의 방수부(111)의 상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도상콘크리트층(TCL)(20)을 형성하는 도상콘크리트 타설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교의 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재 설치단계는,
    상기 분리부재(110)를 절개 및 절곡한 후, 상기 전단키(11)의 상면 및 측면을 둘러싸도록 상기 분리부재(110)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교의 시공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재 설치단계는,
    상기 전단키(11)가 관통하도록, 상기 분리부재(110)의 심부에 관통공(101)을 형성한 전단키 관통 분리부재(110a)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전단키(11)의 상면에 접촉하는 상면 접촉부(113)와, 상기 전단키(11)의 측면에 접촉하는 측면 접촉부(114)를 구비한 전단키 접촉 분리부재(110b)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관통공(101)을 통해 상기 전단키(11)가 관통하도록, 상기 보호콘크리트층(10)의 상부에 상기 전단키 관통 분리부재(110a)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전단키(11)의 상면 및 측면을 둘러싸도록, 상기 전단키 접촉 분리부재(110b)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교의 시공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부(112)의 두께는, 상기 보호콘크리트층(10)의 상면의 요철구조에 불구하고, 상기 직물부(112)의 상면이 편평하게 될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교의 시공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부(112)의 두께는 2 ~ 2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교의 시공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부(111)를 형성하는 아스팔트 혼합물은,
    아스팔트 80~93 중량%;
    천연고무 1~5 중량%;
    합성고무 2~10 중량%;
    보강충전재 3~16 중량%;
    황 0.05~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교의 시공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팔트 혼합물은,
    노화방지제 0.1~1.0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교의 시공방법.
KR1020220052086A 2022-04-27 2022-04-27 철도교의 시공방법 KR102642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086A KR102642640B1 (ko) 2022-04-27 2022-04-27 철도교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086A KR102642640B1 (ko) 2022-04-27 2022-04-27 철도교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2392A true KR20230152392A (ko) 2023-11-03
KR102642640B1 KR102642640B1 (ko) 2024-03-04

Family

ID=88745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2086A KR102642640B1 (ko) 2022-04-27 2022-04-27 철도교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264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1864A (ja) * 2004-11-05 2006-05-25 Renew System Co Ltd 廃タイヤ溶融液状ゴムを用いた粘着性・柔軟性のあるアスファルト防水材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60086157A (ko) * 2005-01-26 2006-07-31 (주)삼성건업 비가황계 자착식 부틸합성고무 시트 방수제, 및 이를이용한 방수공법
KR100672004B1 (ko) * 2004-09-17 2007-01-22 주식회사 삼송마그마 교면 방수공법
JP2011202459A (ja) * 2010-03-26 2011-10-13 Sumitomo Mitsui Construction Co Ltd Rc造底版の耐震補強構造および耐震補強方法
KR102072401B1 (ko) * 2019-07-04 2020-02-03 극동크리트 주식회사 금속사시트테이프를 이용한 방근방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근방수공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2004B1 (ko) * 2004-09-17 2007-01-22 주식회사 삼송마그마 교면 방수공법
JP2006131864A (ja) * 2004-11-05 2006-05-25 Renew System Co Ltd 廃タイヤ溶融液状ゴムを用いた粘着性・柔軟性のあるアスファルト防水材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60086157A (ko) * 2005-01-26 2006-07-31 (주)삼성건업 비가황계 자착식 부틸합성고무 시트 방수제, 및 이를이용한 방수공법
JP2011202459A (ja) * 2010-03-26 2011-10-13 Sumitomo Mitsui Construction Co Ltd Rc造底版の耐震補強構造および耐震補強方法
KR102072401B1 (ko) * 2019-07-04 2020-02-03 극동크리트 주식회사 금속사시트테이프를 이용한 방근방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근방수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2640B1 (ko) 2024-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3765B1 (ko) 매스틱 아스팔트 바인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427722B1 (ko) 기능성 개질 아스팔트 및 개질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방법
KR102642640B1 (ko) 철도교의 시공방법
CN105131355A (zh) 一种高阻尼悬挂系统橡胶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442156B1 (ko) 아스팔트 표면 보수제, 이의 제조방법 및 아스팔트 균열 보수방법
Rothon Particulate fillers in elastomers
KR102662938B1 (ko) 아스팔트 콘크리트 도상 철도구조물의 시공방법
CN102212215A (zh) 低生热轮胎胎面橡胶组合物及其制备方法
EP2289985A1 (en) Preparation of silica-containing epdm rubber composition and use thereof for articles of manufacture including tires and engineered products
KR101394637B1 (ko) 자동차용 허브 베어링 씰의 고무조성물
KR102015836B1 (ko) 응력흡수용 아스팔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응력흡수용 시트
KR102224814B1 (ko) 자동차 언더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70415B1 (ko)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타이어
CN105292921A (zh) 一种耐寒耐热的钢丝绳芯阻燃输送带
CN101348581A (zh) 沙漠用工程车辆轮胎胎面胶料
KR102641293B1 (ko) 교량의 에지부 우수 침투 방지구조를 갖는 교면용 열가소성 2중 복합 방수공법 및 에지부 우수침투 방지구조
KR102639436B1 (ko) 브리스터링 배출이 원활한 교면용 열가소성 2중 복합 방수공법 및 방수구조
KR102639442B1 (ko) 교면용 열가소성 도막 방수공법 및 도막 방수구조
CN102352073A (zh) 钢轨扣件用弹性垫板材料
KR101404387B1 (ko) 보강 충진제를 포함하는 내열재용 고무 조성물
KR0160597B1 (ko) 레일용 절연패드
Son et al. Crack and Cutting Resistance Properties of Natural Rubber (NR) Compounds with Silica/Carbon Black Dual Phase Filler
KR20150004454A (ko) 탄소 직물을 삽입한 고체 추진 기관 내열재용 고무 조성물
RU222544U1 (ru) Мат демпфирующий подбалластный
Tokuda et al. Triple excitonic mixing associated with recoupling of a Stark-localized state in coupled quantum wells confined by superlatt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