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2304A - 프레임 연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구조물 - Google Patents

프레임 연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2304A
KR20230152304A KR1020220051870A KR20220051870A KR20230152304A KR 20230152304 A KR20230152304 A KR 20230152304A KR 1020220051870 A KR1020220051870 A KR 1020220051870A KR 20220051870 A KR20220051870 A KR 20220051870A KR 20230152304 A KR20230152304 A KR 20230152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ifting
connection module
elastic
lift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1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상인
양윤식
차승민
고동현
전의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이앤티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이앤티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이앤티코리아
Priority to KR1020220051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2304A/ko
Publication of KR20230152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23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0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 F16B7/0413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for tubes using the innerside thereof
    • F16B7/042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for tubes using the innerside thereof with a locking element, e.g. pin, ball or pushbutton, engaging in a hole in the wall of at least one tub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임 연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인접한 한 쌍의 프레임 사이로 삽입될 수 있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프레임이 걸릴 수 있는 고정부 및 상기 본체부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부가 상기 한 쌍의 프레임에 걸리도록 압력을 가하는 탄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한 상의 프레임에 동시에 걸려 고정되며, 상기 고정부는 외력이 가해지는 위치에 따라 일단을 기준으로 시소 형태로 기울어질 수 있고 전체적으로 평행하게 하강할 수 있다.

Description

프레임 연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구조물{Frame connection module and structur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프레임 연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테이블, 선반, 전시부스 등의 조립식 구조물은 기본적으로 가로 프레임, 세로 프레임 및 지주 프레임을 포함한다. 그리고 가로 프레임, 세로 프레임 및 지주 프레임이 서로 접하는 부분은 연결부재를 통해 결합되어 있다.
프레임(가로 프레임, 세로 프레임 및 지주 프레임)은 보관, 휴대성을 감안하여 절첩구조 또는 기설정된 길이를 갖는 단위체로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 단위체들은 서로 연결을 위해 일단에는 홈 형태의 암 결합구조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에는 돌기 형태의 수 결합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양단부에 볼트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구조물 조립을 위해 현장에서 프레임 단위체들을 암수 결합구조를 통해 서로 결합하고 연결부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볼트구멍에 볼트를 체결하여 구조물 설계에 맞게 프레임의 길이를 설정한다.
프레임 단위체들 연결 부위에서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볼트를 사용하므로 불편함이 있고 구조물 조립 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구조물 해체 시 볼트를 풀어야 하므로 해체 시간 또한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143687호 (2019.12.3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97932호 (2016.02.19.)
본 발명은 프레임 단위체들의 결합력을 높이고 조립 및 분해가 간편한 프레임 연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연결 모듈은 인접한 한 쌍의 프레임 사이로 삽입될 수 있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프레임이 걸릴 수 있는 고정부 및 상기 본체부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부가 상기 한 쌍의 프레임에 걸리도록 압력을 가하는 탄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한 상의 프레임에 동시에 걸려 고정되며, 상기 고정부는 외력이 가해지는 위치에 따라 일단을 기준으로 시소 형태로 기울어질 수 있고 전체적으로 평행하게 하강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단에서 상기 몸체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으로 돌출되어 제1 프레임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제1 삽입부 및 상기 몸체의 타단에서 상기 몸체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으로 돌출되어 제2 프레임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제2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상기 제1 삽입부와 제2 삽입부의 내부로 연장된 승강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승강공간에 위치하여 일단과 타단이 상기 제1 삽입부와 제2 삽입부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에 걸릴 수 있다.
상기 몸체에는 상기 승강공간과 연결된 누름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삽입부에는 상기 승강공간과 연결된 제1 인출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삽입부에는 상기 승강공간과 연결된 제2 인출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승강공간에 상기 탄성부에 지지되어 있는 승강몸체, 상기 승강몸체의 중앙에서 상기 누름홀을 통해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노출된 누름돌기, 상기 승강몸체의 일단에서 상기 제1 인출홀을 통해 상기 제1 삽입부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제1 프레임과 걸리는 제1 걸림돌기 및 상기 승강몸체의 타단에서 상기 제2 인출홀을 통해 상기 제2 삽입부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제1 프레임과 걸리는 제1 걸림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몸체는 상기 승강공간의 바닥과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인출홀과 상기 제2 인출홀은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의 길이 방향 일단 및 타단과 마주하는 상기 승강공간의 일면과 타면은 상기 제1 인출홀 및 제2 인출홀과 연결되어 있고 함몰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삽입부가 상기 제1 프레임으로 삽입될 때 상기 제1 프레임의 단부와 접하는 제1 걸림돌기의 외측면 상부측과 상기 제2 삽입부가 상기 제2 프레임으로 삽입될 때 상기 제2 프레임의 단부와 접하는 제2 걸림돌기의 외측면 상부측은 각각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탄성부는 양단 하면이 상기 승강공간의 바닥과 접하고 중앙은 상기 승강공간의 바닥과 떨어져 중앙 상면이 상기 승강몸체의 하면 중앙과 접할 수 있다.
상기 승강몸체의 하면 중앙에는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는 곡선 형태로 형성되어 탄성력을 발휘하며 양단이 상기 승강공간의 바닥과 접하고 중앙 부분이 상기 승강몸체와 접하는 탄성몸체, 그리고 상기 탄성몸체의 중앙에서 돌출되어 상기 고정홈에 삽입된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은 상기와 같이 기재된 프레임 연결 모듈, 그리고 상기 프레임 연결 모듈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프레임 단위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은 프레임 연결 모듈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며 제1 걸림돌기과 제2 걸림돌기가 프레임의 홀에 걸리므로 프레임 단위체는 볼트 따위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결합력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2 삽입부를 제1, 2 프레임에 삽입하면 고정부의 일단과 타단에 형성된 제1, 2 걸림돌기가 제1, 2 프레임의 홀에 각각 걸려 프레임 단위체가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조립되므로 프레임 단위체의 조립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 단위체를 분리할 경우 고정부의 누름돌기를 가압하면 고정부는 승강공간에서 하강하며 제1 걸림돌기와 제2 걸림돌기는 제1, 2 프레임의 홀에서 각각 벗어나 제1 인출홀과 제2 인출홀로 인입된다. 프레임이 걸림돌기에 걸리지 않아 프레임 단위체를 프레임 연결 모듈에서 분리되어 프레임 단위체의 분해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부의 승강몸체의 일단 및 타단과 마주하는 승강공간의 일면과 타면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함몰되어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가 중앙을 기준으로 시소 형태로 작동할 때 승강몸체의 일단 및 타단이 일면 및 타면과 간섭되지 않아 마모가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고, 이와 더불어 고정부의 시소 작동이 하우징과 간섭되지 않고 원활하게 작동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의 단부와 접하는 걸림돌기의 상부측 외측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프레임 단부가 경사면을 가압하면 걸림돌기는 승강공간으로 하강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걸림돌기를 누르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의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부의 결합돌기가 승강몸체의 고정홈에 삽입 고정되면서 탄성부는 고정부에 고정 결합된다. 이에 고정부가 시소 형태로 움직일 때 고정부가 원 위치를 벗어나지 않고 고정된 상태에서 펼쳐지면서 탄성력을 발휘하므로 탄성부의 작동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프레임 단위체들이 프레임 고정 모듈을 통해 견고히 연결된 상태에서 구조물의 가로 프레임, 세로 프레임, 지주 프레임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구조물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게 프레임 단위체의 연결 부위 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연결 모듈에 의해 한 쌍의 프레임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도 1의 프레임 연결 모듈을 나타낸 확대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를 Ⅳ-Ⅳ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 부분 확대도.
도 6은 도 1의 프레임 연결 모듈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연결 모듈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연결 모듈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6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연결 모듈에 의해 한 쌍의 프레임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프레임 연결 모듈을 나타낸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를 Ⅳ-Ⅳ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A 부분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1의 프레임 연결 모듈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연결 모듈(100)은 본체부(10), 고정부(20) 및 탄성부(30a)를 포함하며 구조물 조립을 위해 제1 프레임(1)과 제2 프레임(2)을 연결할 때 결합력을 높이고 조립 및 분해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구조물은 전시부스, 테이블, 선반, 텐트, 낚시대 등일 수 있다. 제1 프레임(1)과 제2 프레임(2)을 프레임 연결 모듈(100)로 연결하여 폴대 따위를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제1 프레임(1)은 사용자가 파지 할 수 있는 폴대이고, 제2 프레임(2)은 톱, 낫, 주머니, 가지꺽기 등의 도구일 수도 있다.
본체부(10)는 일단과 타단이 제1 프레임(1)과 제2 프레임(2)의 내부로 삽입되어 제1 프레임(1)과 제2 프레임(2)을 연결한다. 본체부(10)는 하우징(11)과 덮개(12)를 포함한다. 하우징(11)과 덮개(12)는 길이 방향(X)을 따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하우징(11)과 덮개(12)가 접하는 부분에는 체결홈(11a)과 체결돌기(12a)가 형성되어 있다. 체결홈(11a)에 체결돌기(12a)가 억지끼움 형태로 결합되면서 하우징(11)과 덮개(12)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하우징(11)과 덮개(12)의 결합 구조를 체결홈(11a)과 체결돌기(12a)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11)과 덮개(12)는 볼트, 클램프 따위의 체결수단을 통해 결합될 수도 있다. 본체부(10)가 고정부(20)와 탄성부(30a)를 수용하는 하우징(11)과 고정부(20)와 탄성부(30a)를 단속하는 덮개(12)로 이루어져 있어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하우징(11)에 수용된 고정부(20)와 탄성부(30a)를 점검 및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체부(10)는 하우징(11)과 덮개(12)가 결합된 상태에서 몸체(13), 제1 삽입부(14) 및 제2 삽입부(15)를 포함한다. 도면 도 1 및 도 2에서 제1 프레임(1), 제2 프레임(2) 및 본체부(10)를 원형으로 도시하였으나, 구조물의 디자인에 따라 삼각, 사각, 오각 등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몸체(13)를 기준으로 일측으로 제1 삽입부(14)가 돌출되어 있고 타측으로 제2 삽입부(15)가 돌출되어 있다. 몸체(13), 제1 삽입부(14) 및 제2 삽입부(15)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삽입부(14)와 제2 삽입부(15)의 외부 둘레 지름은 몸체(13)의 외부 둘레 지름보다 작다. 이에 몸체(13)와 제1 삽입부(14), 제2 삽입부(15)의 외부 둘레에 단차(16)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삽입부(14)와 제2 삽입부(15)가 제1 프레임(1)과 제2 프레임(2)의 내부로 삽입되면 제1 프레임(1)과 제2 프레임(2)의 단부는 단차(16)와 접한다.
제1 삽입부(14)와 제2 삽입부(15)의 둘레 지름은 제1 프레임(1)과 제2 프레임(2)의 내부 둘레 지름과 같고 몸체(13)의 둘레 지름은 제1 프레임(1)과 제2 프레임(2)의 외부 둘레 지름과 같다. 이에 제1 프레임(1)과 제2 프레임(2)의 외부 둘레와 몸체(13)의 둘레에 단차가 형성되지 않고 하나의 프레임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13)의 내부에는 제1 삽입부(14)와 제2 삽입부(15)의 방향으로 연장된 승강공간(111)이 형성되어 있다. 승강공간(111)은 하우징(11)에 형성되어 있다.
몸체(13)의 중앙에는 승강공간(111)과 연결된 누름홀(112)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삽입부(14)에는 승강공간(111)과 연결된 제1 인출홀(113)이 형성되어 있고, 제2 삽입부(15)에는 승강공간(111)과 연결된 제2 인출홀(114)이 형성되어 있다. 누름홀(112), 제1 인출홀(113) 및 제2 인출홀(114)은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누름홀(112), 제1 인출홀(113) 및 제2 인출홀(114)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하우징(11)의 내부에서 승강공간(111)의 일단을 이루는 일면(111a)은 제1 인출홀(113)과 연결되어 있고, 타단을 이루는 타면(111b)은 제2 인출홀(114)과 연결되어 있다. 일면(111a)과 타면(111b)은 각각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함몰되어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승강공간(111)의 일면(111a)과 타면(111b)의 곡면은 제1 인출홀(113)과 제2 인출홀(114)의 둘레로 연장되어 제1 인출홀(113)과 제2 인출홀(114)의 외측면(113b, 114b) 또한 곡면을 이루고 있다.
한편, 제1 인출홀(113)과 제2 인출홀(114)의 내측면(113a, 114a)은 중앙을 기준으로 하우징(11)의 외부 둘레와 연결된 상부측은 외부 둘레와 수직면을 이루며, 하부측은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제1 인출홀(113)과 제2 인출홀(114)의 내측면(113a, 114a)과 외측면(113b, 114b) 하부측은 점진적으로 벌어지는 형상을 갖는다. 아울러 누름홀(112) 또한 중앙을 기준으로 하부측은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20)는 승강몸체(21), 누름돌기(22), 제1 걸림돌기(23) 및 제2 걸림돌기(24)를 포함하며 본체부(10)의 내부에 승강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으며 제1 프레임(1)과 제2 프레임(2)이 본체부(1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승강몸체(21), 누름돌기(22), 제1 걸림돌기(23) 및 제2 걸림돌기(24)는 일체로 형성되어 승강공간(111)에 위치하고 있다.
승강몸체(21)는 승강공간(111)에 배치되어 있다. 승강몸체(21)의 둘레는 승강공간(111)의 둘레와 떨어져 있다. 승강몸체(21)의 하면은 승강공간(111)의 바닥과 떨어져 있다. 승강몸체(21)의 일단은 제1 삽입부(14)에 위치하여 일면(111a)과 간격을 두고 마주하고 있으며 타단은 제2 삽입부(15)에 위치하여 타면(111b)과 간격을 두고 마주하고 있다.
누름돌기(22)는 승강몸체(21)의 중앙에서 돌출되어 누름홀(112)을 통해 본체부(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누름돌기(22)를 누르면 승강몸체(21)는 승강공간(111)에서 바닥 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제1 걸림돌기(23)는 승강몸체(21)의 일단에서 수직하게 돌출되어 제1 인출홀(113)을 통해 본체부(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제2 걸림돌기(24)는 승강몸체(21)의 타단에서 수직하게 돌출되어 제2 인출홀(114)을 통해 본체부(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누름홀(112), 제1 인출홀(113) 및 제2 인출홀(114)의 하부측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어 경사면은 승강공간(111)에서 유입되는 누름돌기(22), 제1 걸림돌기(23) 및 제2 걸림돌기(24)를 가이드 한다. 누름돌기(22), 제1 걸림돌기(23) 및 제2 걸림돌기(24)는 누름홀(112), 제1 인출홀(113) 및 제2 인출홀(114)으로 용이하게 통과하여 노출될 수 있다.
제1 걸림돌기(23)는 제1 삽입부(14)가 삽입된 제1 프레임(1)을 관통할 수 있으며, 제2 걸림돌기(24)는 제2 삽입부(15)가 삽입된 제2 프레임(2)을 관통할 수 있다. 이에 제1 프레임(1)과 제2 프레임(2)에는 제1 걸림돌기(23)와 제2 걸림돌기(24)가 관통하는 홀(1a, 2a)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걸림돌기(23)와 제2 걸림돌기(24)가 홀(1a, 2a)에 걸리면서 제1 프레임(1)은 제1 삽입부(14)에서, 제2 프레임(2)은 제2 삽입부(15)에서 분리되지 않는다.
한편, 제1 걸림돌기(23)가 노출된 제1 삽입부(14)를 제1 프레임(1)으로 삽입할 때 제1 프레임(1)의 단부가 제1 걸림돌기(23)를 가압하여 제1 걸림돌기(23)가 하강 될 수 있도록 제1 프레임(1)의 단부와 접하는 제1 걸림돌기(23)의 외측면(23a) 상부측은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걸림돌기(24)의 외측면(24a) 또한 제1 걸림돌기(23)의 외측면과 동일하게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제2 삽입부(15)를 제2 프레임(2)의 내부로 삽입할 때 제2 걸림돌기(24)는 제2 프레임(2)의 가압으로 하강할 수 있다. 이에 제1 걸림돌기(23) 및 제2 걸림돌기(24) 하강으로 제1 삽입부(14)와 제2 삽입부(15)는 제1 프레임(1)과 제2 프레임(2)의 단부에 걸리지 않고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탄성부(30a)는 판 스프링 구조를 포함한다. 탄성부(30a)는 활 형태로 곡률을 가지고 휘어져 있으며 단부는 활 곡률과 반대 방향으로 휘어져 있다. 탄성부(30a)는 승강몸체(21)와 승강공간(111)의 바닥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탄성부(30a)의 양단 하면은 승강공간(111)의 바닥과 접하고 있으며 중앙 상면은 승강몸체(21)의 하면 중앙과 접하고 있다. 탄성부(30a)의 중앙 상면은 평면으로 형성되어 승강몸체(21)의 하면과 면 접촉하고 있으며, 탄성부(30a)의 양단 하면은 휘어진 곡률에 의해 승강공간(111)의 바닥과 선 접촉하고 있다.
탄성부(30a)의 탄성력에 의해 승강몸체(21)는 승강공간(111)의 바닥과 떨어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며 누름돌기(22), 제1 걸림돌기(23) 및 제2 걸림돌기(24)는 본체부(10)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누름돌기(22)를 누르게 되면 승강몸체(21)는 전체적으로 반듯하게 하강하게 되면 탄성부(30a)는 가압 되어 휘어진 부분이 펼쳐지면서 탄성력을 발휘한다. 이때 탄성부(30a)의 양단은 승강공간(111)의 바닥면과 선 접촉하면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승강몸체(21)의 하강으로 제1 걸림돌기(23)와 제2 걸림돌기(24)는 본체부(1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한편, 누름돌기(22)를 누르지 않고 제1 걸림돌기(23)를 누르게 되면 승강몸체(21)는 중앙을 기준으로 일단이 하강하게 되면서 시소 형태로 움직여 제1 걸림돌기(23)는 본체부(10)의 내부로 인입되며 제2 걸림돌기(24)는 본체부(10)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다음으로 도 6을 참고하여 프레임 연결 모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제1 프레임(1)과 제2 프레임(2)의 사이에 프레임 연결 모듈(100)을 위치시킨다. 이때 프레임 연결 모듈(100)의 제1 걸림돌기(23)와 제2 걸림돌기(24)는 승강몸체(21)를 지지하는 탄성부(30a)의 탄성력에 의해 본체부(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제1 삽입부(14)를 제1 프레임(1)의 내부로 삽입하면 제1 걸림돌기(23)의 외측면(23a)은 제1 프레임(1)의 단부(1e)와 접하게 된다. 제1 삽입부(14)를 제1 프레임(1)의 내부로 계속 삽입하면 제1 프레임(1)의 단부(1e)는 외측면(23a)의 경사면을 가압한다(도면 도 6 (a) 참조).
제1 프레임(1)의 가압력으로 제1 걸림돌기(23)와 승강몸체(21)의 일단은 승강공간(111)으로 하강하게 되며 승강몸체(21)는 중앙을 기준으로 시소 형태로 기울어지면서 일단이 하강한다. 그리고 승강몸체(21)의 타단은 상승한다. 사용자가 제1 걸림돌기(23)를 누르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의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승강공간(111)의 일면(111a)과 타면(111b)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어 하강하는 승강몸체(21)의 일단과 일면(111a), 타단과 타면(111b)은 서로 간섭되지 않는다. 이에 시소 형태로 동작하는 고정부(20)의 시소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프레임(1)이 제1 걸림돌기(23)에 걸리지 않아 제1 삽입부(14)는 제1 프레임(1)의 내부로 삽입되며 제1 걸림돌기(23)의 상면은 탄성부(30a)의 탄성력에 의해 제1 프레임(1)의 내부면과 접한 상태를 유지한다(도면 도 6 (b) 참조).
제1 삽입부(14)를 계속 제1 프레임(1)의 내부로 계속 삽입하면 제1 프레임(1)의 단부(1e)는 단차(16)와 접한다. 이때 제1 프레임(1)의 홀(1a)이 제1 인출홀(113)과 일치한다. 그리고 제1 걸림돌기(23) 또한 홀(1a)과 일치하게 된다. 탄성부(30a)의 탄성력에 의해 하강 된 승강몸체(21)는 상승하게 되며 제1 걸림돌기(23)는 홀(1a)에 삽입되어 걸리게 된다(도면 도 4, 도 5 참조).
이에 제1 프레임(1)과 제2 프레임(2)은 프레임 연결 모듈(100)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며 제1 걸림돌기(23)와 제2 걸림돌기(24)가 프레임의 홀(1a, 2a)에 걸리므로 프레임 단위체는 볼트 따위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결합력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이에 구조물의 강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삽입부를 프레임에 삽입하면 걸림돌기가 프레임의 홀에 걸려 프레임 단위체가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조립되므로 프레임 단위체의 조립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프레임 단위체를 분리할 경우 누름돌기(22)를 가압하면 고정부(20)는 승강공간(111)에서 하강하며 제1 걸림돌기(23)와 제2 걸림돌기(24)는 프레임의 홀(1a, 2a)에서 벗어나 제1 인출홀(113)과 제2 인출홀(114)로 인입된다(도면 도 6 (c) 참조). 이에 프레임이 걸림돌기에 걸리지 않아 프레임 연결 모듈(100)을 통해 서로 연결된 제1 프레임(1)과 제2 프레임(2)을 제1 삽입부(14)와 제2 삽입부(15)에서 분리할 수 있다. 이에 누름돌기(22)의 누름으로 걸림돌기가 프레임에서 벗어나므로 프레임 단위체(제1, 2 프레임)의 분해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면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대부분 가진다. 다만 본 실시예는 탄성부(30b)가 다른 구조를 갖는다. 아울러 승강몸체(21)의 하면 중앙에는 결합홈(21a)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30b)는 탄성몸체(31) 그리고 결합돌기(32)를 포함한다.
탄성몸체(31)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고 곡선 형태로 휘어져 있으며 탄성력을 발휘한다. 탄성몸체(31)의 양단 하면은 승강공간(111)의 바닥면과 접하고 중앙 상면 은 승강몸체(21)의 하면과 접하고 있다.
결합돌기(32)는 탄성몸체(31)의 중앙 상면에서 돌출되어 결합홈(21a)에 삽입되어 있다. 결합돌기(32)는 결합홈(21a)에 억지끼움 형태로 결합되어 있다. 고정부(20)가 시소 형태로 움직일 때 고정부(20)는 원 위치를 벗어나지 않고 고정된 상태에서 펼쳐지면서 탄성력을 발휘하므로 탄성부의 작동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결합돌기(32)가 결합홈(21a)에 삽입되면서 탄성부(30b)는 고정부(20)와 결합되며 탄성부(30b)는 승강공간(111)에서 유격이 발생하여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탄성부(30b)의 고정으로 고정부(20)는 승강에 따른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대부분 가진다. 다만 본 실시예는 제1 삽입부와 제1 프레임의 사이, 제2 삽입부와 제2 프레임의 사이에는 가이드홈(도시하지 않음)과 가이드레일(도시하지 않음)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홈과 가이드레일의 가이드로 삽입부(제1, 2 삽입부)가 프레임(제1, 2 프레임)의 내부로 삽입되어 단부가 단차와 접하면 인출홀(제1, 2 인출홀)과 프레임의 홀이 일치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인출홀과 프레임의 홀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7의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제1 프레임 2: 제2 프레임
1a. 2a: 홀
100: 프레임 연결 모듈 10: 본체부
11: 하우징 111: 승강공간
111a: 일면 111b: 타면
112: 누름홀 113: 제1 인출홀
114: 제2 인출홀 113a, 114a: 내측면
113b, 114b: 외측면 12: 덮개
11a: 체결홈 12a: 체결돌기
13: 몸체 14: 제1 삽입부
15: 제2 삽입부 16: 단차
20: 고정부 21: 승강몸체
21a: 결합홈 22: 누름돌기
23: 제1 걸림돌기 24: 제2 걸림돌기
23a, 24a: 외측면 30a, 30b: 탄성부
31: 탄성몸체 32: 결합돌기

Claims (9)

  1. 인접한 한 쌍의 프레임 사이로 삽입될 수 있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프레임이 걸릴 수 있는 고정부 및
    상기 본체부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부가 상기 한 쌍의 프레임에 걸리도록 압력을 가하는 탄성부
    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한 상의 프레임에 동시에 걸려 고정되며, 상기 고정부는 외력이 가해지는 위치에 따라 일단을 기준으로 시소 형태로 기울어질 수 있고 전체적으로 평행하게 하강할 수 있는
    프레임 연결 모듈.
  2. 제1항에서,
    상기 본체부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단에서 상기 몸체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으로 돌출되어 제1 프레임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제1 삽입부 및
    상기 몸체의 타단에서 상기 몸체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으로 돌출되어 제2 프레임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제2 삽입부
    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상기 제1 삽입부와 제2 삽입부의 내부로 연장된 승강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승강공간에 위치하여 일단과 타단이 상기 제1 삽입부와 제2 삽입부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에 걸리는
    프레임 연결 모듈.
  3. 제2항에서,
    상기 몸체에는 상기 승강공간과 연결된 누름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삽입부에는 상기 승강공간과 연결된 제1 인출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삽입부에는 상기 승강공간과 연결된 제2 인출홀이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 연결 모듈.
  4. 제3항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승강공간에 상기 탄성부에 지지되어 있는 승강몸체,
    상기 승강몸체의 중앙에서 상기 누름홀을 통해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노출된 누름돌기,
    상기 승강몸체의 일단에서 상기 제1 인출홀을 통해 상기 제1 삽입부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제1 프레임과 걸리는 제1 걸림돌기 및
    상기 승강몸체의 타단에서 상기 제2 인출홀을 통해 상기 제2 삽입부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제1 프레임과 걸리는 제1 걸림돌기
    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몸체는 상기 승강공간의 바닥과 떨어져 있는
    프레임 연결 모듈.
  5. 제4항에서,
    상기 제1 인출홀과 상기 제2 인출홀은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의 길이 방향 일단 및 타단과 마주하는 상기 승강공간의 일면과 타면은 상기 제1 인출홀 및 제2 인출홀과 연결되어 있고 함몰된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 연결 모듈.
  6. 제4항에서,
    상기 제1 삽입부가 상기 제1 프레임으로 삽입될 때 상기 제1 프레임의 단부와 접하는 제1 걸림돌기의 외측면 상부측과 상기 제2 삽입부가 상기 제2 프레임으로 삽입될 때 상기 제2 프레임의 단부와 접하는 제2 걸림돌기의 외측면 상부측은 각각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프레임 연결 모듈.
  7. 제4항에서,
    상기 탄성부는 양단 하면이 상기 승강공간의 바닥과 접하고 중앙은 상기 승강공간의 바닥과 떨어져 중앙 상면이 상기 승강몸체의 하면 중앙과 접하는 판 스프링인
    프레임 연결 모듈.
  8. 제7항에서,
    상기 승강몸체의 하면 중앙에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부는
    곡선 형태로 형성되어 탄성력을 발휘하며 양단이 상기 승강공간의 바닥과 접하고 중앙 부분이 상기 승강몸체와 접하는 탄성몸체, 그리고
    상기 탄성몸체의 중앙에서 돌출되어 상기 고정홈에 삽입된 결합돌기
    를 포함하는
    프레임 연결 모듈.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되어 있는 프레임 연결 모듈, 그리고
    상기 프레임 연결 모듈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프레임 단위체
    를 포함하는 구조물.
KR1020220051870A 2022-04-27 2022-04-27 프레임 연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구조물 KR202301523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1870A KR20230152304A (ko) 2022-04-27 2022-04-27 프레임 연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1870A KR20230152304A (ko) 2022-04-27 2022-04-27 프레임 연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2304A true KR20230152304A (ko) 2023-11-03

Family

ID=88745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1870A KR20230152304A (ko) 2022-04-27 2022-04-27 프레임 연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230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932B1 (ko) 2015-01-19 2016-02-26 김태호 확장성을 구비한 조립식 테이블 프레임
KR20190143687A (ko) 2018-06-21 2019-12-31 최재용 조립식다용도상자프레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932B1 (ko) 2015-01-19 2016-02-26 김태호 확장성을 구비한 조립식 테이블 프레임
KR20190143687A (ko) 2018-06-21 2019-12-31 최재용 조립식다용도상자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4252B2 (en) Chair supported by a plurality of legs
US9788645B2 (en) Telescopic leg for a table
EP3778135B1 (en) Convertible sawhorse and work table
US6719259B2 (en) Adjustable board support for easel
KR20230152304A (ko) 프레임 연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구조물
KR102246019B1 (ko) 가구의 높이조절장치
EP1815085A1 (en) Support structure for elevated floor assembly
US20080052852A1 (en) Holding assembly for sweeping and wringing apparatus
JP2023168220A (ja) 組立式家具
KR100633186B1 (ko) 의료장비의 고정장치
KR102220557B1 (ko) 지지다리 조립용 연결구
KR200382182Y1 (ko) 렌지후드 필터용 손잡이
KR200253757Y1 (ko) 조립식 칸막이의 연결 구조
KR102350755B1 (ko) 책상용 프레임
KR200473975Y1 (ko) 가구용 받침다리
CN215876108U (zh) 可拆卸呼啦圈的连接结构
KR200252093Y1 (ko) 가구용 지지대의 연결장치
KR101329803B1 (ko) 의자용 다리 프레임 체결구
KR20190108803A (ko) 조립식 테이블
KR102043676B1 (ko) 선반조립체
KR200273987Y1 (ko) 사무용 가구의 높이조절장치
KR200258384Y1 (ko) 책상용 다리
KR200242860Y1 (ko) 침대용 우드플렉스 조립체
KR200252194Y1 (ko) 침대 다리 조립구조
KR200397623Y1 (ko) 의료장비의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