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3687A - 조립식다용도상자프레임 - Google Patents

조립식다용도상자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3687A
KR20190143687A KR1020180071512A KR20180071512A KR20190143687A KR 20190143687 A KR20190143687 A KR 20190143687A KR 1020180071512 A KR1020180071512 A KR 1020180071512A KR 20180071512 A KR20180071512 A KR 20180071512A KR 20190143687 A KR20190143687 A KR 20190143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hape
length
fixing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1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용
Original Assignee
최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용 filed Critical 최재용
Priority to KR1020180071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43687A/ko
Publication of KR20190143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36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4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of skeleton or apertured construction, e.g. baskets or carriers made up of interconnected spaced bands, rods, or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조립식 다용도 상자 프레임에 있어서
프레임바부(10), 연결구부(20), 고정부(30) 중에서 적어도 한 부분이 포함되도록 구성하여
지름이 다른 외부 프레임고 내부 프레임을 서로 끼우고 빼는 방식으로 연결하여 프레임바의 길이를 조절하고
종래의 다양한 연결구를 이용하여 연결하거나, 프레임바의 일측면에 적절한 프레임연결홈(22)을 파서 프레임바끼리 끼우는 방식으로 프레임바를 연결하여 프레임의 모양을 조절하고
프레임바(10)와 연결구의 일측면(주로 끝부분)에 필요한 수만큼의 고정나사홈(31)을 내고 고정나사(32)로 내부 프레임바를 조이는 방식으로 모양과 길이를 고정하거나 고정홈끼리 연결하고 볼트(33)와 너트(34)로 조여서 모양과 길이를 고정하는 방식으로 모양과 크기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다용도 상자 프레임

Description

조립식 다용도 상자 프레임{The multy using box frame of the assembling type}
본 발명은 조립식 다용도 상자 프레임과 관련된 기술이다.
더 상세히는 간단한 조립이나 작동만으로 원하는 용도에 맞는 크기와 모양의상자를 만들 수 있는 조립식 다용도 상자 프레임을 만들 수 있는 기술이다.
종래의 상자는 주로 용도를 정해 놓고 용도에 맞는 규격의 상자가 각기 다르게 만들어져 사용되었다. 따라서 상자의 종류도 다양하고. 크기나 모양도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종류의 상자가 있었다.
앞으로도 이런 식으로 용도에 따라 각각 다른 모양, 다른 크기의 별도의 상자를 만든다고 하면 상자의 종류가 계속해서 늘어날 수 밖에 없다.
또한 이러한 상자는 프레임 없이 종이, 플라스틱, 나무, 피브이씨 등을 재료로 하여 만들어져서 1회 또는 한두번 사용하고 버려지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다 보니 용도에 따라 끊임없이 새로운 상자를 만들어야 하고 재활용이 어려워 낭비가 심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크기조절, 모양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립식상자 프레임을 만들어 필요에 따라 조립 하여 사용하고, 필요가 없는 경우 해체하여 두었다가 재활용을 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 절실하게 요청된다.
또한 이런 조립식상자 프레임을 가지고 캠핑을 위한 각종 도구, 가구용, 사무용, 교육용, 완구용, 산업용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발명품을 발명해내는 것은 대단히 유용한 발명이 될 것이다.
하지만 이런 분야의 선행 발명이 이루어진 적이 없고 제한 적으로 가구용. 캠핑용도로 조립식 프레임이 일부 사용되는 정도이다.
선행연구 조사에서도 완구용이나 산업용에 일부 유사한 발명은 있었으나 이런 식으로 크기와 모양을 조절해가면서 캠핑용, 가구용, 완구용, 학습용 등의 다용도로 사용하면서도 해체와 조립을 하면서 계속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용도 조립식상자 프레임과 유사한 발명품은 찾을 수 없었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지금까지의 상자프레임과는 완전히 다른 새로운 개념의 조립식 다용도 상자프레임을 발명하고자 한다.
여기서 조립식이라 함은 간단한 부품을 조립하는 것만으로 용도에 맞는 상자를 원하는 크기와 모양으로 만들 수 있도록 한다는 뜻이다.
또한 해체와 조립이 간단하며 쓰지 않을 때에는 보관하였다가 필요한 경우 언제든지 용도에 맞게 재조립하여 만들 수 있는 다용도 상자 프레임을 발명하려고 하는 것이다.
여기서 용도 라고 하는 것은 캠핑용, 가구용, 사무용, 교육용, 완구용, 산업용등의 대표용도를 말하는 것이다.
캠핑용은 텐트나 천막처럼 야외에서 생활할 때 추위나 더위를 피하고 안락하게 생활을 하기 위해 만드는 용도로 캠핑하우스, 수면상자, 평상, 밥상, 각종 수납 상자 등을 만들 수 있는 캠핑용 상자 프레임을 제작한다는 의미이다..
가구용은 침대, 모기장, 보온텐트, 선반, 책상, 의자, 식탁, 수납용 상자 등의 가구용 상자로 쓰일수 있는 상자 프레임을 만들려는 것이다.
완구 및 학습용은 프레임의 지름을 빨대처럼 작게하여 쉽게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여 블럭처럼 조립하거나 쌓아서 놀이를 할 수 있는 완구나 미술이나 수학, 과학 등의 학습을 위한 학습 자료, 창의력 향상을 위한 학습자료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드는 다용도 상자 프레임을 제작하려고 한다.
또한 사무용 가구, 차량용, 선박용 가구 기타 창고형, 농막형, 이동식 주택형 등의 용도로도 쓰일 수 있는 다용도 상자 프레임을 만들려고 한다.
또한 프레임의 종류로는 크게 다각형 프레임 원형 프레임 등을 포함하는 평면도형 프레임이 있고 평면도형을 높이로 사용하는 기둥바와 연결구를 통해 연결하여 다각기둥, 언기둥 등의 입체 도형 프레임바도 만들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이 모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프레임의 재료와 크기, 두께, 연결구 등만 다르고 동일한 방식으로 조립을 하여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다용도 상자 프레임을 제작하면 된다.
여기서 동일한 방식이라 하는 것은 프레임바와 프레임 연결구, 고정나사만을 사용하여 같은 방식으로 조립하여 만들 수 있는 방식을 말한다.
조립식 다용도 상자 프레임에 있어서
프레임바부(10), 연결구부(20), 고정부(30) 중에서 적어도 한 부분이 포함되도록 구성하여
지름이 다른 외부 프레임과 내부 프레임을 서로 끼우고 빼는 방식으로 연결하여 프레임바의 길이를 조절하고
종래의 다양한 연결구를 이용하여 연결하거나, 프레임바의 일측면에 적절한 프레임연결홈(22)을 파서 프레임바끼리 끼우는 방식으로 프레임바를 연결하여 프레임의 모양을 조절하고
프레임바(10)와 연결구의 일측면(주로 끝부분)에 필요한 수만큼의 고정나사홈(31)을 내고 고정나사(32)로 내부 프레임바를 조이는 방식으로 모양과 길이를 고정하거나 고정홈끼리 연결하고 볼트(33)와 너트(34)로 조여서 모양과 길이를 고정하는 방식으로 모양과 크기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다용도 상자 프레임을 만든다.
또한 프레임바부(10)는 기본프레임바(11)와 고정나사홈(12)과 프레임연결홈(13)중 적어도 한부분이 포함하도록 구성하고, 지름이 다른 적어도 두개 이상의 프레임바를 서로 끼우고 빼는 방식으로 길이와 모양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다용도 상자프레임을 만든다.
또한 프레임바부(10)는 직선형 프레임 바, 곡선형프레임바, 포물선 프레임바, 지그재그식프레임바 등 어떤 모양이라고 하더라도 연결부의 지름만을 달리한 외부 프레임과 내부프레임끼리 끼우고 뺄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길이와 모양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다용도 상자프레임을 만든다.
또한 연결구부(20)는 종래의 수평연결구, 수직연결구, 3방향 연결구, 다방향 연결구와 같은 연결구를 이용하여 연결하거나 프레임바의 일측면(주로 끝부분에) 적절한 수의 모양과 크기의 프레임연결홈(21)을 내는 방식으로 길이와 모양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다용도 상자프레임을 만든다.
또한 고정부(30)는 고정나사홈(31)과 고정나사(32) 볼트(33), 너트(34) 중 적어도 한부분이 포함되도록 구성하여 고정나사 홈(31)에 고정나사를 끼워 연결부를 조이고 푸는 방식으로 고정을 하여 크기와 모양을 조절하고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다용도 프레임을 만든다.
또한 프레임바부(10)의 프레임은 재료가 플라스틱이나 비닐 등과 같은 합성수지이고 지름이나 길이가 빨대처럼 작게 만들어서 외부프레임에 내부프레임을 끼워 길이를 조절하고 종래의 연결구 중 적절한 것을 선택하여 꼭지점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연결하여 학습용이나 완구용으로 사용하면서 크기와 모양을 조절하고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다용도 프레임을 만든다.
본 발명품이 일반화 된다면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해결되어
누구나 조립식 다용도 상자프레임를 가지고 간단한 조립의 과정만 거치면 원하는 모양과 크기의 용도에 맞는 상자를 사용할 수 있고 오래 보관하면서 재활용을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 용도별 사용의 예를 들어 발명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캠핑용으로 사용하는 예
본 조립식 다용도 프레임을 이용하여 캠핑용하우스, 수면상자, 수납상자, 침대, 책상의자, 받침대, 평상, 씽크대 등 필요에 따라 규격이나 재료를 달리하여 얼마든지 필요한 캠핑용도구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2. 가구용으로 사용하는 예
실내에서 가구로 쓰이는 상자로는 침대, 책상, 걸상, 수납상자, 수면상자, 선반 책꽂이, 액자, 모기장 보온텐트 등 등 필요에 따라 규격이나 재료를 달리하여 얼마든지 필요한 가구용도구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3. 완구용으로 사용하는 예
빨대 처럼 비닐이나 플라스틱 등으로 만들어진 프레임바을 이용하고 연결구를 사용하면 얼마든지 조립식 완구가 될 수 있고 블럭처럼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집을 짓고, 꾸미고 할 수 있는 창의력학습도구, 미술 할습도구로도 가치있게 사용 될 수 있을 것이다.
4. 기타 용도
농막, 창고, 이동주택을 짓는데도 본 프레임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프레임의 한 예로서 사각기둥의 기본프레임바 사시도
도 2는 기본프레임바를 직선형으로 조립한 프레임바의 정면도
도 3은 평면도형 프레임의 단면도
도 4는 입체도형 프레임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대표도(도 4)와 기타 도면은 설명이나 이해의 편의를 위해 같은 부호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은 '대표도(도 4)'에서 보는 것처럼 크게 프레임바부(10), 연결구부(20), 고정부(30)중 적어도 한 부분이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프레임바의 재료는 스틸, 알루미늄, 피브이씨, 비닐, 플라스틱 등의 각종 합성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프레임바의 규격은 박스의 크기나 용도에 따라 얼마든지 크게 만들수도 있고
작게 만들 수도 있다.
산업용 이동식 주택이나 창고를 위한 프레임의 경우는 지름을 아주 크게 하는 것이 필요하겠고 학습용, 완구용으로 쓰이는 경우는 지름이 빨대처럼 작아야 할 것이다.
프레임바의 종류도 원형파이프프레임, 사각파이프, 다각 파이프, 디귿자형잔넬파이프 등 어떤 모양의 파이프도 모두 프레임바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프레임바의 모양도 직선형, 곡선형, 지그제그형, 포물선형 등 어떤 모양도 기본 프레임바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프레임바부(10)는 기본프레임바(11),고정나사 홈(12), 프레임바 연결홈(1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기본 프레임바(11)는 서로 지름을 달리하여 외부프레임바와 내부 프레임바로 구분하여 제작하며 내부프레임을 외부프레임에 끼워서 길이를 늘이고 줄이고 하는 방식으로 사용한다.
또한 프레임바의 길이 고정을 위해서는 주로 외부 프레임바의 일측면에 고정나사흠(11)을 만들고 고정나사(32)를 조여 고정을 한다.
외부, 내부의 두개의 프레임바가 연결되고 고정나사로 조이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프레임바가 완성된다.
또한 다른 방식의 사용 예로 직선형 연결구를 암나사프레임바로 사용하여 여러개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프레임바는 모든 프레임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방식이되고
조립의 기본 단위가 된다.
프레임바의 모양은 원기둥형파이프, 사각기둥형파이프. 디귿자형잔넬 등이 있고 완구용이나 학습자료용으로 만드는 경우는 지름을 작게하여 빨대형으로 만들 수도 있다.
물론 내부 프레임바는 안이 뚫어지지 않고 막대 모양으로 제작하는 것도 또 다른 사용 예가 될 것이다.
연결구부(20)는 종래의 여러가지 프레임 연결구 들이 이미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직선형 연결구, 직각형 연결구, 삼방향 연결구. 다방향연결구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연결구는 종래 기술로 나와 있는 상품이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연결구 중 적어도 한개 이상의 연결구를 포함하도록 구성하거나 기본 프레임바의 양끝에 필요에 따라 적어도 한개 이상의 프레임 연결홈(21)을 파서 프레임 끼리 끼우고 고정나사홈(31)에 고정나사(32)를 끼우는 방식으로 조이고 풀면서 조립식으로 사용한다.
이런 식으로 프레임바에 필요한 연결구를 끼워서 다양한 평면도형의 프레임을 만들 수 있다.
입체도형을 만들기 위해서는 삼방향연결구를 끼우고 높이로 사용되는 프레임바를 연결하여 입체도형의 프레임바도 만들 수 있다.
물론 튼튼하고 견고하게 만들기 위해서 종래의 기술에 의하여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여러가지 관통형 연결구나 기타 다른 연결구를 이용하여 중간 중간 보조프레임을 만들어 넣을 수 있음은 당연한 일이다.
완구용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빨대처럼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지름을 매우 작은 빨대형 프레임바라는 점만 다르고 나머지 조립 방식은 모두 같다.
고정부(30)는 고정나사 홈(31)과 고정나사(32) 볼트(33), 넛트(34) 등으로 구성된다.
대게 프레임 바의 일측면 끝에 고정나사홈을 만들어 나사를 끼워 조이는 방식으로 고정을 하도록 한다.
고정을 위한 볼트는 구멍이 없이 바로 고정나사를 조이는 것만으로 고정이 되게 사용할 수도 있고, 내부프레임바에도 고정나사 홈을 뚫어 볼트(33)와 넛트(34)로 끼워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한 가지 사용 예이고 일반적으로도 많이 사용되는 방법이다.
다양한 연결구에도 같은 방식으로 고정홈으로 만들어 고정나사로 조일 수 있다. 이 경우에도 그냥 볼트를 조여서 고정하는 방식과 연결구와 프레임바에 모두 구멍을 뚫어 볼트와 넛트로 조일 수도 있다. 이 것은 사용예의 차이 일 뿐이다.
이런 식으로 조립을 하면 용도에 따라 다양한 조립식 프레임을 만들 수 있다.
1. 캠핑용으로 사용하는 예
스틸이나 알루미늄, 피브이씨 등을 재료로 하여 견고하게 제작하여 조립하여 사용한다.
물론 이 경우 필요에 따라 각종 판재나 천막 같은 것으로 프레임을 감싸고 출입문을 내고 하는 등의 부수적인 작업이 필요로 하지만 본 발명의 예를 벗어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단지 본 발명을 이런 것을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잇는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이런 식으로 캠핑하우스를 만들고 그 안에 들어갈 수납함, 수면 상자, 의자 책상 등도 재료와 규격만을 달리하고, 조립방식이나 설치 방법, 해체 방법은 동일하다.
캠핑하우스의 경우 적절히 판재를 부착하여 추위와 더위를 막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물론 이 경우에는 판재도 조립식으로 사용하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2. 가구용으로 사용하는 예
역시 재료를 알루미늄이나 스틸 피브이씨 등을 사용하고 규격만을 달리하면 얼마든지 프레임을 만들 수 있다. 이런 프레임을 상기 방식으로 조립하면 침대, 평상, 밥상, 모기장, 수납장, 책상, 의자, 액자, 보온 텐트, 수면상자 등 실로 용도가 다양하다..
3. 완구용으로 사용하는 예
빨대 처럼 비닐이나 플라스틱 등으로 만들어진 프레임바을 이용하고 연결구를 사용하면 얼마든지 조립식 완구가 될 수 있고 블럭처럼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집을 짓고, 꾸미고 할 수 있는 창의력학습도구, 미술 할습도구로도 가치있게 사용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에는 고정홈이나 나사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조립이 가능할 것이다. 이유는 비교적 견고성이 덜 요구되기 때문이다.
4. 기타 용도
농막, 창고, 이동주택을 짓는데도 본 프레임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무용 책상, 수납상자 등도 크기르 조절하며 사용하기 위한 용도로 재료와 규격을 적절히 선택하여 같은 방식으로조립하여 만들수 있다.
이 외에도 차량용, 선박용 등 용도는 얼마든지 찾아가면서 쓸 수 있을 것이다.
10 프레임바부
기본프레임바(11), 고정나사 홈(12), 프레임바 연결홈(13)
20. 연결구부
21. 프레임연결홈
30. 고정부
31 고정 나사홈 32 고정나사 33 볼트 34 넛트

Claims (6)

  1. 조립식 다용도 상자 프레임에 있어서
    프레임바부(10), 연결구부(20), 고정부(30) 중에서 적어도 한 부분이 포함되도록 구성하여
    지름이 다른 외부 프레임과 내부 프레임을 서로 끼우고 빼는 방식으로 연결하여 프레임바의 길이를 조절하고
    종래의 다양한 연결구를 이용하여 연결하거나, 프레임바의 일측면에 적절한 프레임연결홈(22)을 파서 프레임바끼리 끼우는 방식으로 프레임바를 연결하여 프레임의 모양을 조절하고
    프레임바(10)와 연결구의 일측면(주로 끝부분)에 필요한 수만큼의 고정나사홈(31)을 내고 고정나사(32)로 내부 프레임바를 조이는 방식으로 모양과 길이를 고정하거나 고정홈끼리 연결하고 볼트(33)와 너트(34)로 조여서 모양과 길이를 고정하는 방식으로 모양과 크기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다용도 상자 프레임
  2. 위 청구항 1에 있어서
    프레임바부(10)는 기본프레임바(11)와 고정나사홈(12)과 프레임연결홈(13)중 적어도 한부분이 포함하도록 구성하고, 지름이 다른 적어도 두개 이상의 프레임바를 서로 끼우고 빼는 방식으로 길이와 모양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다용도 상자프레임
  3. 위 청구항 1에 있어서
    프레임바부(10)는 직선형 프레임 바, 곡선형프레임바, 포물선 프레임바, 지그재그식프레임바 등 어떤 모양이라고 하더라도 연결부의 지름만을 달리한 외부 프레임과 내부프레임끼리 끼우고 뺄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길이와 모양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다용도 상자프레임
  4. 위 청구항 1에 있어서
    연결구부(20)는 종래의 수평연결구, 수직연결구, 3방향 연결구, 다방향 연결구와 같은 프레임연결구(21)를 이용하여 연결하거나 기본프레임바의 일측면(주로 끝부분에) 적절한 수의 모양과 크기의 프레임연결홈(22)을 내는 방식으로 별도의 연결부를 만들어 연결하는 방식으로 길이와 모양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다용도 상자프레임
  5. 위 청구항 1에 있어서
    고정부(30)는 고정나사홈(31)과 고정나사(32) 볼트(33), 너트(34) 중 적어도 한부분이 포함되도록 구성하여 고정나사 홈(31)에 고정나사를 끼워 연결부를 조이고 푸는 방식으로 고정을 하여 크기와 모양을 조절하고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다용도 프레임
  6. 위 청구항 1에 있어서
    프레임바부(10)의 프레임은 재료가 플라스틱이나 비닐 등과 같은 합성수지이고 지름이나 길이가 빨대처럼 작게 만들어서 외부프레임에 내부프레임을 끼워 길이를 조절하고 종래의 연결구 중 적절한 것을 선택하여 꼭지점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연결하여 학습용이나 완구용으로 사용하면서 크기와 모양을 조절하고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다용도 프레임



KR1020180071512A 2018-06-21 2018-06-21 조립식다용도상자프레임 KR201901436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512A KR20190143687A (ko) 2018-06-21 2018-06-21 조립식다용도상자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512A KR20190143687A (ko) 2018-06-21 2018-06-21 조립식다용도상자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3687A true KR20190143687A (ko) 2019-12-31

Family

ID=69051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1512A KR20190143687A (ko) 2018-06-21 2018-06-21 조립식다용도상자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4368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6168B1 (ko) * 2021-01-12 2021-06-17 (주)주현개발 철근 콘크리트 골조 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230152304A (ko) 2022-04-27 2023-11-03 주식회사 엔이앤티코리아 프레임 연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구조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6168B1 (ko) * 2021-01-12 2021-06-17 (주)주현개발 철근 콘크리트 골조 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230152304A (ko) 2022-04-27 2023-11-03 주식회사 엔이앤티코리아 프레임 연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93995B2 (en) Modular exhibit panel and locking system
US5411153A (en) Storage rack assembly system
US20180335062A1 (en) Panel clamp apparatus and system
US7063481B2 (en) Connector block for modular construction and object fabricated therefrom
US4030846A (en) Furniture frame joint
US20120213961A1 (en) Modular building system
US5014861A (en) Modular system for setting up furniture, racks, frameworks and the like
US3986316A (en) Joint assembly
US2894643A (en) Shelving unit
KR20190143687A (ko) 조립식다용도상자프레임
JPH0191807A (ja) システム棚
ITNA20080024A1 (it) Sistema costruttivo composto da giunti sferici tridimensionali in plastica e aste in alluminio per la costruzione fai da te di elementi di arredo per interni ed esterni.
GB2528155A (en) Building system
KR20160133080A (ko) 조립식 테이블 프레임
CN102578804A (zh) 可拆卸桌子
KR102092858B1 (ko) 가구용 철재 프레임 연결구조
JP2021523809A (ja) モジュール式家具アセンブリおよび方法
KR200489569Y1 (ko) 가구 프레임용 파이프의 결합구조
GB2070721A (en) Joint member for rods or tubes
CN204169339U (zh) 模块化组合柜及其支撑结构
KR20200009209A (ko) 조립식 다용도 상자
CN206616736U (zh) 集成房通用十字柱
KR20150074536A (ko) 수납용 조립식 가구
JP7048133B1 (ja) ジョイント部材、組み立てフレーム、及び、組み立てキット
CN213215839U (zh) 一种快装组合式多能双人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