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1790A - 수직고경 측정용 바이트가이드 - Google Patents

수직고경 측정용 바이트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1790A
KR20230151790A KR1020220051563A KR20220051563A KR20230151790A KR 20230151790 A KR20230151790 A KR 20230151790A KR 1020220051563 A KR1020220051563 A KR 1020220051563A KR 20220051563 A KR20220051563 A KR 20220051563A KR 20230151790 A KR20230151790 A KR 20230151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ignment
arch
bite
occlusal
target ar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1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철
김진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to KR1020220051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1790A/ko
Publication of KR20230151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17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5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determining occl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A61B5/4547Evaluating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05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trac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사용편의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대상악궁의 구치측 치아가 상실된 부분무치악 환자의 수직고경을 측정하기 위한 수직고경 측정용 바이트가이드에 있어서, 기설정된 구치측 표준치열라인에 대응하여 연장되되, 외면에 교합 압력에 의해 상기 대상악궁과 교합되는 대합악궁의 구치측 교합대상체의 외측단에 대응하여 가압 변형되어 교합흔이 형성되도록 구비된 경화성 수지가 충진되도록 형합면이 형성되며, 내면에 상기 대상악궁의 구치측 잇몸 리지를 감싸도록 오목하게 함몰되는 안착면이 형성되고, 중앙부에 표준치열라인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정렬관통홀이 관통 형성되는 베이스바이트부; 및 상기 정렬관통홀에 관통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양단부가 상기 대상악궁의 구치측 및 상기 대상악궁과 교합되는 대합악궁의 구치측 교합대상체 사이에 정렬 배치되고, 상기 대상악궁의 전치측 잔존치아의 설측면을 따라 정렬 배치되도록 중앙부가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정렬연장부를 포함하는 수직고경 측정용 바이트가이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직고경 측정용 바이트가이드{bite guide for measuring occlusal vertical dimension}
본 발명은 수직고경 측정용 바이트가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편의성이 개선되는 수직고경 측정용 바이트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수복물(dental restoration)은 결손된 치아를 대체하여 외형과 기능을 인공적으로 회복시켜주는 구강 내 인공치주조직을 의미한다.
상세히, 자연치아가 상실된 상태로 방치될 경우 결손된 치아의 인접치아 및 대합치아에 치열의 뒤틀림이 발생되어 안면형상의 변형이 초래되며, 저작기능이 저하되어 일상에 불편함이 가중된다. 더욱이, 자연치아의 상실상태가 장기간 지소고디는 경우 상실된 치아를 둘러싸고 있던 치조골이 체내로 흡수되어 인공치주조직의 설치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때, 상기 치아수복물은 구강에 설치되어 저작기능을 회복시키고 대합치 또는 치아수복물이 필요한 대상악궁측 잔존치아의 변형 또는 손상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치아수복물은 상실된 치아에 개별 매칭되는 인공치관(crown)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대상악궁측의 복수개 또는 전체적인 결손치아를 대체하는 보철(dental prosthesis)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치아수복물은 상실한 치근을 대신하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 등으로 제조되어 치조골에 식립되는 식립물(픽스츄어)를 통해 구강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치아수복물을 환자 개개인에게 적합하게 설계하고, 이를 정확한 위치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정확하고 정밀한 구강 정보를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 구강의 표면정보 및 치조골 형상/골밀도 등과 같은 내부조직정보가 함께 요구된다. 따라서, 환자의 상하악에 대응하는 스캔이미지 및 CT이미지를 획득하고 이를 수직고경에 대응하여 정렬 및 형합하는 영상정합과정을 필요로 한다.
이때, 환자의 구강에 적합한 식립물을 준비하고 상기 치아수복물의 높이를 설정하기 위하여, CT이미지는 환자의 수직고경에 대하여 상하악이 교합된 상태에서 CT촬영하여 획득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전치측만 부분적으로 잔존하는 경우, 해부학적 치열구조에 따라 상하악의 전치가 과도하게 맞물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환자의 정확한 수직고경이 산출되지 못하며, 최종 제조되는 치아수복물의 높이가 환자에게 적합한 수직고경보다 낮게 설정되면서 정확하게 교합되지 못하고 턱관절에 무리를 주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환자의 수직고경을 산출하기 위한 바이트수단이 일부 개시되고 있다. 이러한 바이트수단은 인상채득을 위한 트레이, 대상악궁의 치열궁을 따라 전체적으로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왁스림 또는 환자에 따라 개별 설계 및 제조되는 커스텀 스플린트 등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바이트수단은 실질적으로 전체적인 치열궁형상에 대응하는 원호형으로 구비되며, 따라서 전체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실질적으로 무치악 환자의 수직고경 산출시에는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으나 부분무치악의 경우 잔존치아와 대합치 사이에 바이트수단의 두께로 인한 간섭이 발생한다. 따라서, 부분무치악인 경우 종래의 바이트수단을 절단 또는 분할하여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때, 상기 바이트수단을 절단 또는 분할하여 구강에 부분적으로 교합하는 경우, 이러한 바이트수단이 구강에 고정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환자가 상기 바이트수단을 입에 문 상태에서 입을 벌리거나 움직이는 경우 상기 바이트수단의 위치가 유동/이탈되면서 정확한 수직고경을 산출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커스텀 스플린트의 경우 환자에 따라 개별 설계됨으로 인하여 설계공정 및 비용이 증가하며, 치아수복의 전체적인 비용 및 기간이 증가에 의한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2158362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편의성이 개선되는 수직고경 측정용 바이트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대상악궁의 구치측 치아가 상실된 부분무치악 환자의 수직고경을 측정하기 위한 수직고경 측정용 바이트가이드에 있어서, 기설정된 구치측 표준치열라인에 대응하여 연장되되, 외면에 교합 압력에 의해 상기 대상악궁과 교합되는 대합악궁의 구치측 교합대상체의 외측단에 대응하여 가압 변형되어 교합흔이 형성되도록 구비된 경화성 수지가 충진되도록 형합면이 형성되며, 내면에 상기 대상악궁의 구치측 잇몸 리지를 감싸도록 오목하게 함몰되는 안착면이 형성되고, 중앙부에 표준치열라인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정렬관통홀이 관통 형성되는 베이스바이트부; 및 상기 정렬관통홀에 관통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양단부가 상기 대상악궁의 구치측 및 상기 대상악궁과 교합되는 대합악궁의 구치측 교합대상체 사이에 정렬 배치되고, 상기 대상악궁의 전치측 잔존치아의 설측면을 따라 정렬 배치되도록 중앙부가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정렬연장부를 포함하는 수직고경 측정용 바이트가이드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정렬관통홀은 장공형 단면으로 관통되어 표준치열라인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정렬연장부의 단면은 상기 정렬관통홀에 대응되는 단면 윤곽으로 설정되고, 상기 정렬연장부는 상기 표준치열라인에 대응되어 가압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소성 변형되도록 가소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바이트부는 강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재질로 구비되되, 상기 경화성 수지가 충진되어 릴라이닝됨에 따라 상하악 사이에 보정간격이 확보되도록 기설정된 평균구치높이로 설정되고, 상기 형합면 및 상기 안착면의 각 표면에는 요철돌기 및 요철홈이 폭방향을 따라 상호 교번되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정렬연장부에는 양단부에 라운드진 표면 윤곽을 갖는 라운드모서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형합면 및 상기 안착면의 각 양측에는 라운드진 표면 윤곽으로 라운드테두리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면은 상기 경화성 수지가 충진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안착면의 표면에 형성된 안착면측 요철돌기의 표면은 상기 대상악궁의 구치측 잇몸 리지 표면에 형합 대응되는 윤곽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형합면은 상기 경화성 수지가 충진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고, 교합흔이 형성되도록 상기 형합면에 충진되어 경화된 상기 경화성 수지로서 구비된 제1릴라이닝층과, 상기 안착면에 충진되어 경화된 상기 경화성 수지로서 구비된 제2릴라이닝층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정렬연장부의 양단부가 관통 삽입된 베이스바이트가 대상악궁의 구치측 및 대합악궁의 구치측 교합대상체 사이에 정렬되도록 소성 변형 가능한 정렬연장부의 중앙부가 대상악궁의 전치측 잔존치아의 설측면을 따라 라운드지게 연장 변형되므로 다양한 구강에 호환 적용 가능하며 범용성이 개선될 수 있다.
둘째, 베이스바이트부의 중앙부에 장공형 단면을 갖는 정렬관통홀이 표준치열라인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관통되고, 정렬관통홀에 관통 삽입되는 정렬연장부의 단면이 그에 대응되는 단면 윤곽으로 설정되므로 베이스바이트부가 구치측에 대칭으로 정렬 배치시 회전이 방지됨에 따라 사용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셋째, 형합면 및 안착면의 표면에 요철돌기 및 요철홈이 교번 형성되어 접촉면적이 증가됨에 따라 경화성 수지와의 결합력이 개선되며, 형합면 및 안착면의 양측에 라운드진 표면 윤곽으로 라운드테두리부가 형성되어 연조직 압박으로 인한 통증 및 불편감이 최소화되며 상처 발생이 예방되어 사용안전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고경 측정용 바이트가이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고경 측정용 바이트가이드에서 베이스바이트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고경 측정용 바이트가이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고경 측정용 바이트가이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상면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고경 측정용 바이트가이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고경 측정용 바이트가이드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직고경 측정용 바이트가이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고경 측정용 바이트가이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고경 측정용 바이트가이드에서 베이스바이트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고경 측정용 바이트가이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고경 측정용 바이트가이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상면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고경 측정용 바이트가이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고경 측정용 바이트가이드(100)는 베이스바이트부(10) 및 정렬연장부(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직고경 측정용 바이트가이드(100)는 대상악궁(2)의 구치측 치아가 상실된 부분무치악 환자의 수직고경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대상악궁(2)의 전치측 치아(t)가 잔존하는 경우를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하며, 대합악궁(3)의 전치측 및 구치측 치아가 잔존하는 경우를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물론, 경우에 따라 대상악궁의 전치측 치아가 잔존하지 않거나, 대합악궁의 치아가 잔존하지 않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수직고경 측정용 바이트가이드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바이트부(10)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바이트부(10)는 한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대상악궁(2)의 구치측 및 상기 대상악궁(2)과 교합되는 대합악궁(3)의 구치측 교합대상체(3a) 사이에 정렬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구치측 교합대상체(3a)는 구치측 치아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바이트부(10)는 범용으로 사용가능하도록 육면체 형상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기설정된 구치측 표준치열라인에 대응하여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준치열라인이라 함은 해부학적 평균값에 대응하는 치열궁모델 또는 가상모델에서 소구치 및 대구치의 표준치열을 연결한 임의의 선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바이트부(10)는 강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재질로 구비되되, 기설정된 평균구치높이에 대응되어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평균구치높이라 함은 해부학적 평균값에 대응하는 구치측 치아의 높이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베이스바이트부(10)에 후술되는 경화성 수지가 충진되어 릴라이닝됨에 따라 상하악 사이에 보정간격이 확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하악 사이라 함은 대상악궁(2)의 구치측 및 대합악궁(3)의 구치측 교합대상체(3a) 사이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바이트부(10)는 외력에 의해 과도하게 변형되지 않도록 소정의 강성을 가질 수 있는 소재로 제조됨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상기 베이스바이트부(10)는 올리고머 아크릴 수지 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바이트부(10)는 외면에 경화성 수지가 충진되도록 형합면(1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베이스바이트부(10)의 외면이라 함은 상기 대합악궁(3)의 구치측 교합대상체(3a)와의 대향면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경화성 수지는 치과에서 인상채득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실리콘인상재, 퍼티, 알지네이트 및 레진을 포함하는 경화성 소재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경화성 수지는 교합 압력에 의해 상기 대상악궁(2)과 교합되는 상기 대합악궁(3)의 구치측 교합대상체(3a)의 외측단에 대응하여 가압 변형될 수 있으며, 상기 경화성 수지에 가압 변형에 의해 교합흔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대합악궁(3)에 자연치아 또는 인공치아 등의 잔존치아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교합대상체(3a)는 상기 잔존치아이며 상기 교합흔은 상기 잔존치아의 저작흔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대합악궁도 무치악인 경우, 상기 교합대상체는 상기 대합악궁에 배치되는 본 발명의 베이스바이트부(10)와 동일한 형상 및 재질을 갖는 별도의 베이스바이트부로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교합흔은 상기 대합악궁에 배치되는 별도의 베이스바이트부 외면에 대응하는 자국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바이트부(10)는 내면에 상기 대상악궁(2)의 구치측 잇몸 리지(Ridge)를 감싸도록 상기 베이스바이트(10)의 외면을 향하여 오목하게 함몰되는 안착면(12)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베이스바이트부(10)의 내면이라 함은 상기 대상악궁(2)의 구치측과의 대향면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잇몸 리지라 함은 상악골 및 하악골에서 치아가 박혀있는 돌출구조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잇몸 리지는 치열궁에 대응하여 원호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치조골의 표면에 연조직인 잇몸이 감싸진 해부학적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베이스바이트부(10)의 내면에 상기 경화성 수지가 충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형합면(11) 및 오목하게 형성된 상기 안착면(12)의 각 표면에는 요철돌기(11a,12a) 및 요철홈(11b,12b)이 상기 베이스바이트부(10)의 폭방향을 따라 상호 교번되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폭방향이라 함은 기설정된 구치측 표준치열라인에 대응하여 연장되는 상기 베이스바이트부(10)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각 상기 요철돌기(11a,12a) 및 각 상기 요철홈(11b,12b)은 상기 베이스바이트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형합면(11)의 표면에는 형합면측 요철돌기(11a) 및 형합면측 요철홈(11b)이 상기 베이스바이트부(10)의 폭방향을 따라 상호 교번되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착면(12)의 표면에는 안착면측 요철돌기(12a) 및 안착면측 요철홈(12b)이 상기 베이스바이트부(10)의 폭방향을 따라 상호 교번되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형합면측 요철홈(11b) 및 안착면측 요철홈(12b)을 포함하는 상기 요철홈(11b,12b)은 라운드진 형태로 각각 오목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베이스바이트부(10)의 외면 및 내면에 충진되는 상기 경화성 수지가 가압 변형되며 상기 요철홈(11b,12b)으로 유동된 후 경화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경화성 수지가 상기 요철홈(11b,12b)으로 유동된 상태에서 경화되므로 상기 베이스바이트부(10)와 상기 경화성 수지가 경화되어 형성되는 제1릴라이닝층(30) 및 제2릴라이닝층(40) 사이의 결합력이 개선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된다.
더욱이, 오목하게 함몰되는 상기 안착면(12)에 상기 안착면측 요철홈(12b)이 함몰되는 이중의 함몰 형태에 의해 교합 압력 발생시 상기 베이스바이트부(10) 외측으로의 상기 경화성 수지 유동에 의한 이탈이 최소화되도록 안내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안착면(12) 및 상기 안착면측 요철홈(12b)의 접촉면적이 증가되어 상기 경화성 수지와의 결합력이 개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착면(12)의 표면에 형성된 각 상기 안착면측 요철돌기(12a)의 표면은 상기 대상악궁(2)의 구치측 잇몸 리지 표면에 형합 대응되는 윤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안착면(12)이 상기 대상악궁(2)의 구치측 잇몸 리지(Ridge)를 감싸도록 오목하게 함몰되면서 각 상기 안착면측 요철돌기(12a)의 표면이 상기 대상악궁(2)의 구치측 잇몸 리지 표면에 안전하게 형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 상기 안착면측 요철돌기(12a)의 표면이 상기 대상악궁(2)의 구치측 잇몸 리지 표면에 상처 발생없이 안전하게 형합될 수 있으며, 연조직 압박으로 인한 통증 및 불편감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형합면(11) 및 상기 안착면(12)의 각 양측에는 라운드진 표면 윤곽으로 라운드테두리부(11c,12c)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상기 라운드테두리부(11c,12c)는 상기 베이스바이트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형합면(11)의 양측에는 라운드진 표면 윤곽으로 형합면측 라운드테두리부(11c)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착면(12)의 양측에는 라운드진 표면 윤곽으로 안착면측 라운드테두리부(12c)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상기 라운드테두리부(11c,12c)는 상기 베이스바이트부(10)의 폭방향을 따라 상호 교번 형성된 각 상기 요철돌기(11a,12a) 및 각 상기 요철홈(11b,12b)의 폭방향 양측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형합면측 라운드테두리부(11c)는 상기 형합면측 요철돌기(11a) 및 상기 형합면측 요철홈(11b)의 폭방향 양측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착면측 라운드테두리부(12c)는 상기 안착면측 요철돌기(12a) 및 상기 안착면측 요철홈(12b)의 폭방향 양측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베이스바이트부(10)가 상기 대상악궁(2)의 구치측 및 상기 대합악궁(3)의 구치측 사이에 정렬 배치시 라운드진 표면 윤곽을 갖는 각 상기 라운드테두리부(11c,12c)에 의해 상처 발생없이 안전하게 정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연조직 압박으로 인한 통증 및 불편감이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바이트부(10)에는 중앙부에 상기 표준치열라인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정렬관통홀(13)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정렬관통홀(13)은 관통 형상이 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사각 형태의 장공형 단면을 갖도록 관통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정렬관통홀(13)의 관통 형상이 상기 대상악궁(2) 및 상기 대합악궁(3)을 각각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를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정렬연장부(20)는 상기 정렬관통홀(13)에 관통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상기 정렬연장부(20)의 단면은 상기 정렬관통홀(13)에 대응되는 단면 윤곽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정렬연장부(20)의 단면은 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사각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정렬연장부(20)의 단면이 상기 대상악궁(2) 및 상기 대합악궁(3)을 각각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를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정렬연장부(20)가 상기 정렬관통홀(13)에 관통 삽입되면 상기 정렬연장부(20)가 상기 정렬관통홀(13)에 형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렬연장부(20)가 상기 정렬관통홀(13)에 형합됨에 따라 상기 베이스바이트부(10)가 상기 정렬연장부(20)를 기준으로 헛도는 상태가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정렬연장부(20)에 형합된 상기 베이스바이트부(10)를 구강 내부로 정렬시 상기 베이스바이트부(10)의 회전이 방지됨에 따라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베이스바이트부(10)의 중앙부에 장공형 단면을 갖는 상기 정렬관통홀(13)이 상기 표준치열라인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관통된다. 더불어, 상기 정렬관통홀(13)에 관통 삽입되는 상기 정렬연장부(20)의 단면이 그에 대응되는 단면 윤곽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한쌍의 상기 베이스바이트부(10)가 구치측에 대칭으로 정렬 배치시 회전이 방지됨에 따라 사용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처럼, 소성 변형 가능한 상기 정렬연장부(20)의 중앙부(22)가 상기 대상악궁(2)의 전치측 잔존치아(t)의 설측면을 따라 라운드지게 연장 변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정렬연장부(20)의 양단부(21)가 관통 삽입된 상기 베이스바이트(10)가 상기 대상악궁(2)의 구치측 및 상기 대합악궁(3)의 구치측 교합대상체(3a) 사이에 정렬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상기 수직고경 측정용 바이트가이드(100)가 다양한 구강에 호환 적용 가능하며 범용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때,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정렬연장부(20)는 양단부(21)가 상기 대상악궁(2)의 구치측 및 상기 대상악궁(2)과 교합되는 상기 대합악궁(3)의 구치측 교합대상체(3a) 사이에 정렬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정렬연장부(20)는 양단부(21)에 한쌍의 상기 베이스바이트부(10)가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렬연장부(20)의 양단부(21)에는 라운드진 표면 윤곽을 갖는 라운드모서리부(21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정렬연장부(20)가 상기 대상악궁(2)의 구치측 및 상기 대합악궁(3)의 구치측 사이에 정렬 배치시 라운드진 표면 윤곽을 갖는 상기 라운드모서리부(21a)에 의해 상처 발생없이 안전하게 정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연조직 압박으로 인한 통증 및 불편감이 최소화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정렬연장부(20)는 중앙부(22)가 상기 대상악궁(2)의 전치측 잔존치아(t)의 설측면을 따라 정렬 배치되도록 라운드지게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정렬연장부(20)는 상기 표준치열라인에 대응되어 가압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소성 변형되도록 가소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정렬연장부(20)는 중앙부(22)가 상기 대상악궁(2)의 전치측 잔존치아(t)의 설측면을 따라 상기 표준치열라인에 대응되어 라운드지게 소성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표준치열라인을 갖는 환자들에 범용으로 적용 가능하여 호환성 및 사용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수직고경 측정용 바이트가이드(100)는 상기 형합면(11)에 충진되어 경화된 상기 경화성 수지로서 구비된 상기 제1릴라이닝층(30)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형합면(11)에 충진된 상기 경화성 수지가 교합 압력에 의해 상기 대상악궁(2)과 교합되는 상기 대합악궁(3)의 구치측 교합대상체(3a)의 외측단에 대응하여 가압 변형되어 교합흔이 형성된 상태에서 경화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교합흔이 형성된 상기 경화성 수지가 경화됨에 따라 상기 제1릴라이닝층(30)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고경 측정용 바이트가이드(100)는 상기 안착면(12)에 충진되어 경화된 상기 경화성 수지로서 구비된 제2릴라이닝층(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안착면(12)에 충진된 상기 경화성 수지가 교합 압력에 대응하여 상기 대상악궁(2)의 구치측 잇몸 리지 표면과 형합되며 가압 보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대상악궁(2)의 구치측 잇몸 리지 표면과 형합되며 가압 보정된 상기 경화성 수지가 경화됨에 따라 상기 제2릴라이닝층(40)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바이트부(10)가 범용으로 기제조되어 구비되더라도 상기 형합면(11) 및 상기 안착면(12)이 상기 경화성 수지를 통해 실질적으로 구강에 형합되도록 가압 보정될 수 있다. 따라서, 구강에 대응하여 보정된 상기 제1릴라이닝층(30)과 상기 제2릴라이닝층(40)이 경화 후 구강에 실질적으로 형합되도록 보정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릴라이닝층(30)과 상기 제2릴라이닝층(40)이 구강에 형합됨에 따라, 상기 제1릴라이닝층(30)과 상기 제2릴라이닝층(40)이 경화된 상기 베이스바이트부(10)를 구강으로부터 분리 후 재장착하더라도 상기 교합대상체(3a)와 항상 대면되도록 정밀하게 정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부분 베이스바이트부(10)가 기성품으로 구비되면서도 각 환자에 개별 형합되도록 보정되므로 수직고경 측정시 정밀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베이스바이트부(10)가 3차원 프린팅 및 경화되어 강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하악 사이에서 교합 압력에 의해 임의로 변형되지 않도록 지지력을 제공하므로 수직고경이 정밀하게 측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바이트부(10)가가 양 구치측에 장착된 위치가 상기 정렬연장부(20)를 통해 견고하게 유지되므로 측정된 수직고경의 정확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바이트부(10)가 기설정된 평균구치높이로 설정됨에 따라 상기 제1릴라이닝층(30)과 상기 제2릴라이닝층(40) 형성을 위한 경화성 수지의 사용량이 감소되므로 경제성이 개선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베이스바이트부(10)가 치아가 상실된 환자의 구치측 이격간격을 지지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전치측 잔존치아의 과도한 교합을 방지하여 정확한 수직고경이 측정 가능하므로 치아수복의 전반적인 계획이 정확하게 수립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고경 측정용 바이트가이드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변형예에서 베이스바이트부(110)의 형합면(111)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번호로 도시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상기 베이스바이트부(110)에는 외면에 경화성 수지가 충진되도록 형합면(111)이 상기 베이스바이트(10)의 내면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오목하게 형성된 상기 형합면(111)의 표면에는 형합면측 요철돌기(111a) 및 형합면측 요철홈(111b)이 상기 베이스바이트부(110)의 폭방향을 따라 상호 교번되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오목하게 형성된 상기 형합면(111)의 양측에는 라운드진 표면 윤곽으로 형합면측 라운드테두리부(111c)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형합면측 요철돌기(111a), 상기 형합면측 요철홈(111b) 및 상기 형합면측 라운드테두리부(111c)는 상기 베이스바이트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형합면측 라운드테두리부(111c)는 상기 형합면측 요철돌기(111a) 및 상기 형합면측 요철홈(111b)의 폭방향 양측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경화성 수지가 오목하게 형성된 상기 형합면(111)으로 유동된 상태에서 경화되므로 상기 베이스바이트부(110)와 상기 경화성 수지가 경화되어 형성되는 제1릴라이닝층(도 5의 30)과의 결합력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바이트부(110)가 상기 대상악궁(도 5의 2) 및 상기 대합악궁(도 5의 3)의 각 구치측 사이에 정렬시 라운드진 표면 윤곽을 갖는 상기 형합면측 라운드테두리부(111c)에 의해 상처 발생없이 안전하게 정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연조직 압박으로 인한 통증 및 불편감이 최소화될 수 있다.
그리고, 오목하게 함몰되는 상기 형합면(111)에 상기 형합면측 요철홈(111b)이 함몰되는 이중의 함몰 형태에 의해 교합 압력 발생시 상기 베이스바이트부(110) 외측으로의 상기 경화성 수지 유동에 의한 이탈이 최소화되도록 안내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형합면(111) 및 상기 형합면측 요철홈(111b)의 접촉면적이 증가되어 상기 경화성 수지와의 결합력이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경우에 따라 대상악궁의 구치측 치아 및 대합악궁의 구치측 치아가 동시에 상실된 경우에는, 상기 베이스바이트부(110)의 높이가 기설정된 평균구치높이의 두 배에 대응되는 높이로 설정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평균구치높이라 함은 해부학적 평균값에 대응하는 구치측 치아의 높이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200: 수직고경 측정용 바이트가이드 10,110: 베이스바이트부
11,111: 형합면 12: 안착면
13: 정렬관통홀 20: 정렬연장부

Claims (5)

  1. 대상악궁의 구치측 치아가 상실된 부분무치악 환자의 수직고경을 측정하기 위한 수직고경 측정용 바이트가이드에 있어서,
    기설정된 구치측 표준치열라인에 대응하여 연장되되, 외면에 교합 압력에 의해 상기 대상악궁과 교합되는 대합악궁의 구치측 교합대상체의 외측단에 대응하여 가압 변형되어 교합흔이 형성되도록 구비된 경화성 수지가 충진되도록 형합면이 형성되며, 내면에 상기 대상악궁의 구치측 잇몸 리지를 감싸도록 오목하게 함몰되는 안착면이 형성되고, 중앙부에 표준치열라인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정렬관통홀이 관통 형성되는 베이스바이트부; 및
    상기 정렬관통홀에 관통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양단부가 상기 대상악궁의 구치측 및 상기 대상악궁과 교합되는 대합악궁의 구치측 교합대상체 사이에 정렬 배치되고, 상기 대상악궁의 전치측 잔존치아의 설측면을 따라 정렬 배치되도록 중앙부가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정렬연장부를 포함하는 수직고경 측정용 바이트가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관통홀은 장공형 단면으로 관통되어 표준치열라인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정렬연장부의 단면은 상기 정렬관통홀에 대응되는 단면 윤곽으로 설정되고,
    상기 정렬연장부는 상기 표준치열라인에 대응되어 가압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소성 변형되도록 가소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고경 측정용 바이트가이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바이트부는 강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재질로 구비되되, 상기 경화성 수지가 충진되어 릴라이닝됨에 따라 상하악 사이에 보정간격이 확보되도록 기설정된 평균구치높이로 설정되고,
    상기 형합면 및 상기 안착면의 각 표면에는 요철돌기 및 요철홈이 폭방향을 따라 상호 교번되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고경 측정용 바이트가이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연장부에는 양단부에 라운드진 표면 윤곽을 갖는 라운드모서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형합면 및 상기 안착면의 각 양측에는 라운드진 표면 윤곽으로 라운드테두리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면은 상기 경화성 수지가 충진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안착면의 표면에 형성된 안착면측 요철돌기의 표면은 상기 대상악궁의 구치측 잇몸 리지 표면에 형합 대응되는 윤곽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고경 측정용 바이트가이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형합면은 상기 경화성 수지가 충진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고,
    교합흔이 형성되도록 상기 형합면에 충진되어 경화된 상기 경화성 수지로서 구비된 제1릴라이닝층과,
    상기 안착면에 충진되어 경화된 상기 경화성 수지로서 구비된 제2릴라이닝층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고경 측정용 바이트가이드.
KR1020220051563A 2022-04-26 2022-04-26 수직고경 측정용 바이트가이드 KR202301517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1563A KR20230151790A (ko) 2022-04-26 2022-04-26 수직고경 측정용 바이트가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1563A KR20230151790A (ko) 2022-04-26 2022-04-26 수직고경 측정용 바이트가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1790A true KR20230151790A (ko) 2023-11-02

Family

ID=88747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1563A KR20230151790A (ko) 2022-04-26 2022-04-26 수직고경 측정용 바이트가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179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064313B2 (en) * 2021-02-16 2024-08-20 Ormco Corporation Orthodontic appliance with bite structur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8362B1 (ko) 2019-02-21 2020-09-21 주식회사 디오 스캔용 왁스바이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8362B1 (ko) 2019-02-21 2020-09-21 주식회사 디오 스캔용 왁스바이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064313B2 (en) * 2021-02-16 2024-08-20 Ormco Corporation Orthodontic appliance with bite structur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064312B2 (en) Filling undercut areas of teeth relative to axes of appliance placement
KR101862815B1 (ko) 치아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 및 식립물 제조방법
KR101857951B1 (ko) 틀니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US20220087791A1 (en) Wax bite for scanning, and dental restoration manufacturing method using same
KR102226949B1 (ko) 인상용 트레이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의치 제작 방법
KR20230151790A (ko) 수직고경 측정용 바이트가이드
US4580975A (en) Set of premanufactured positioners for the final treatment in the orthodontic and jaw orthopedic tooth alignment
EP3348225B1 (en) Orthodontic apparatus
KR102193852B1 (ko) 수직고경 측정장치
KR102158362B1 (ko) 스캔용 왁스바이트
CN114010347A (zh) 一种自固定式个体化下颌保持器及其构建方法
US12048603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closing a space between teeth
KR101867040B1 (ko) 조립식 틀니장치
CN214049142U (zh) 一种自固定式个体化下颌保持器
KR101862820B1 (ko) 틀니 제조방법
KR102500317B1 (ko) 수직고경 측정 범용 부분 바이트가이드
KR102226745B1 (ko) 스캔용 왁스바이트 및 이를 이용한 치아 수복물 제조를 위한 모션스캔 방법
KR102255021B1 (ko) 수직고경 측정장치를 이용한 치아 수복물 제조방법
KR102093593B1 (ko) 저작을 통해 tmj를 교정하는 치과 스플린트
EP3927279B1 (en) Prosthetic tooth,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and use of the same
Sussman Procedures in complete denture prosthesis
KR102021104B1 (ko) 디지털보철용 메탈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보철 제조방법
Uesugi et al. Application of digital technology to denture fracture and decrease in occlusal vertical dimension
JP2015066410A (ja) 顎骨発育促進装置
Chatterjee et al. Demystifying resorbed ridges-The neutral w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