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1731A - 드립커피용 용기 및 드립커피용 용기에 분쇄 커피가 담긴 드립커피 - Google Patents

드립커피용 용기 및 드립커피용 용기에 분쇄 커피가 담긴 드립커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1731A
KR20230151731A KR1020220051440A KR20220051440A KR20230151731A KR 20230151731 A KR20230151731 A KR 20230151731A KR 1020220051440 A KR1020220051440 A KR 1020220051440A KR 20220051440 A KR20220051440 A KR 20220051440A KR 20230151731 A KR20230151731 A KR 20230151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drip
container
shaped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1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형
Original Assignee
김진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형 filed Critical 김진형
Priority to KR1020220051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1731A/ko
Publication of KR20230151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173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2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for securing the filter holder to the beverag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Abstract

음료 추출용 드립 용기 및 상기 음료 추출용 드립 용기에 음료 추출용 재료가담긴 드립 음료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제안된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용기 형상의 지지 시트부의 측면이 비통수성의 폐쇄면으로 형성되며, 여과 시트부의 측면부가 전체적으로 지지 시트부의 내측면에 부착되며 여과 시트부의 주머니 형상의 여과부는 상기 측면부의 하부에 형성된다.

Description

드립커피용 용기 및 드립커피용 용기에 분쇄 커피가 담긴 드립커피{container for drip coffee and drip coffee with milled coffee filled in the container for drip coffee}
음료 추출용 드립 용기 및 상기 음료 추출용 드립 용기에 음료 추출용 재료가담긴 드립 음료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등록특허공보 제2368514호에는 음료(예:커피, 홍차, 엽차, 우롱차 등) 추출용 드립 백이 개시된다. 이 드립 백은, 통수성 및 여과성 시트로 형성되고 상단부가 개구된 추출용 백 및 상기 추출용 백의 대향하는 양면의 외표면에 적어도 일부가 부착되는 형태로 배치되는 박판상 재료로 이루어진 한 쌍의 지지 시트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
여과성 시트는 판매시 주머니 형상으로 내부에 음료 추출용 재료가 담겨져 있어서, 사용시에는 여과성 시트의 상부를 찢어 개봉하고 컵에 지지 시트를 거치한 후 개봉된 여과성 시트 상부에서 온수를 주입하여 음료 추출용 재료를 통과시켜 드립(drip) 방식으로 음료를 추출하게 된다.
그런데 물을 부으면 음료 추출용 재료 예를 들어 분쇄 커피는, 여과성 시트의 바닥에 가라 앉게 된다. 이로 인해 분쇄 커피가 없는 여과성 시트의 측면을 통해 분쇄 커피를 거치지 않은 온수가 컵으로 유입되게 된다. 이에 따라서 커피의 농도가 옅어지고 풍미가 약해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나아가, 온수가 분쇄 커피를 통과하는 동안 유속이 느려지기 때문에 커피를 추출하여 컵에 도달하는 온수의 양보다 통수성의 여과성 시트의 측면을 직접 통과한 물의 양이 훨씬 더 많아지게 된다. 이러한 점이 드립 커피의 품질을 제한하며, 더 많은 분쇄 커피가 드립 백에 담겨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제안된 발명은 작은 양의 음료 추출용 재료를 사용하면서 짙은 농도의 음료를 추출할 수 있는 음료 추출용 드립 용기 및 상기 음료 추출용 드립 용기에 음료 추출용 재료가 담긴 드립 음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제안된 발명은 작은 양의 분쇄 커피를 사용하면서 짙은 농도의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드립커피용 용기 및 상기 드립커피용 용기에 분쇄커피가 담긴 드립커피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제안된 발명은 단일의 전개도를 사용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 가능한 음료 추출용 드립 용기 및 상기 음료 추출용 드립 용기에 음료 추출용 재료가 담긴 드립 음료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제안된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지지 시트부에 포함되는 용기 형상의 드립컵부의 측면이 비통수성의 폐쇄면으로 형성되며, 여과 시트부의 측면부가 전체적으로 드립컵부의 내측면에 부착되며 여과 시트부의 주머니 형상의 여과부는 상기 측면부의 하부에 형성된다.
제안된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지지 시트부의 거치부는 드립컵부의 측면을하측으로 연장하고 그 연장된 면의 양측을 그 측면으로부터 절단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한 쌍의 거치면을 포함한다.
제안된 발명에 따라, 지지 시트부에 포함되는 드립컵부의 측면이 비통수성의 폐쇄면으로 형성되므로, 여과 시트부의 측면부를 통해서 물이 통과되지 않고 모두 측면부 하부에 형성되는 주머니 형상의 여과부를 통과하게 되므로, 커피의 농도가 옅어지고 풍미가 약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가 있으며,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음료 추출용 재료를 사용하여 짙은 농도의 음료를 추출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제안된 발명에 따라, 단일의 전개도를 절곡, 접합 및 절단하여서 저렴한 비용으로, 용기 형상의 드립컵부의 측면과 그 측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거치면을 포함하는 지지 시트부를 제작할 수가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 시트부의 사시도.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여과 시트부의 사시도.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드립커피용 용기의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시트부 제작을 위한 전개도.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들을 통해 구체화된다. 각 실시예들의 구성 요소들은 다른 언급이나 상호간에 모순이 없는 한 실시예 내에서 또는 타 실시예의 구성 요소들과 다양한 조합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된다.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기재 내용 혹은 제안된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청구항 1 발명의 설명>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 시트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여과 시트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드립커피용 용기의 사시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양상들이 적용된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커피용 용기는 지지 시트부(10)와, 여과 시트부(20)를 포함한다. 지지 시트부(10)는 드립컵부(110)와 거치부(120)를 포함한다. 드립컵부(110)는 적어도 측면(110-1 내지 110-6)이 비통수성의 폐쇄면으로 형성되는 용기 형상을 가진다. 거치부(120)는 음료수컵(도시하지 않음)에 거치된다.
또한, 여과 시트부(10)는 띠 형상의 측면부(210)와 주머니 형상의 여과부(220)를 포함한다. 띠 형상의 측면부(210)는 전체적으로 드립컵부(110)의 내측면에 부착된다. 그리고 주머니 형상의 여과부(220)는 측면부(210)의 하부로 이어지고 분쇄 커피가 담긴다.
드립컵부(110)는 적어도 측면(110-1 내지 110-6)이 비통수성의 폐쇄면으로 형성되는 용기 형상이다. 드립컵부(110)의 측면(110-1 내지 110-6)은 비통수성의 재질로서, 실시예에서 종이 시트 또는 플라스틱 시트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양상에 따라, 드립컵부(110)의 측면(110-1 내지 110-6)은 폐쇄면으로 형성된다. 측면(110-1 내지 110-6)이 예를 들어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의 옆면과 같이 시작면과 끝면이 연결되는 폐쇄된 면이고 또한 비통수성의 재질이므로, 유입되는 물은 측면(110-1 내지 110-6)을 통과할 수가 없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드립컵부(110)의 측면(110-1 내지 110-6)은 용기 형상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용기 형상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서 물이 유입되게 되므로, 일시에 많은 양의 물이 유입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한 양상에 따라, 지지 시트부(10)는 음료수컵(도시하지 않음)에 거치되는 거치부(120)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거치부(120)는 음료수컵의 상부 가장자리에 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거치부(120)는 박판 재료로서, 용기 형상의 드립컵부(110)의 대향하는 양 측면(제 2 측면(110-2), 제 5 측면(110-5))의 외표면에 적어도 일부가 부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가 있다. 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120)는 용기 형상의 드립컵부(110)의 마주보는 두 측면(제 2 측면(110-2), 제 2 측면(110-5))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거치부(120)는 음료수컵(도시하지 않음)의 상부 테두리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거치되도록 상측으로 함몰된 제 1 하부홈(1231-1) 및 제 2 하부홈(1231-2)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 1 하부홈(1231-1) 및 제 2 하부홈(1231-2)은 설정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설정된 길이에 따라서, 거치부(120)는 다양한 크기의 음료수컵에 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양상에 따라서, 여과 시트부(20)의 띠 형상의 측면부(210)는 전체적으로 지지 시트부(10)에 포함되는 용기 형상의 드립컵부(110)의 내측면(110-1 내지 110-6)에 부착된다. 여과 시트부(20)의 측면부(210) 전체가 용기 형상의 드립컵부(110)의 비통수성의 폐쇄면으로 형성되는 측면(110-1 내지 110-6)의 내면에 부착되므로, 용기(11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서 유입되는 물이 여과 시트부(20)의 측면부(210)를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실시예에서, 여과 시트부(20)의 띠 형상의 측면부(210)는 드립컵부(110)의 측면(110-1 내지 110-6)의 내면 전체 면적에 걸쳐서 부착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띠 형상의 측면부(2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립컵부(110)의 측면(110-1 내지 110-6)의 일부분에만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띠 형상의 측면부(210)는 지지 시트부(10)에 포함되는 드립컵부(110)의 측면(110-1 내지 110-6)처럼 용기 형상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여과 시트부(20)의 띠 형상의 측면부(210)는 각기둥 또는 원기둥의 형상이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양상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여과 시트부(20)의 측면부(210)가 띠 형상이다. 이에 따라, 띠 형상의 측면부(21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서 물이 유입되므로, 일시에 많은 양의 물이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유입되는 물은 여과 시트부(20)의 측면부(210)를 통과하지 못하므로 물의 전량이 측면부(210)의 하부로 유입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한 양상에 따라서, 여과 시트부(20)는 띠 형상의 측면부(210)가 이미 개방된 형태이므로 종래와 같이 사용자가 여과 시트부를 개방하지 않아도 되어, 사용의 편리성이 좋아진다.
본 발명의 양상에 따르면, 여과 시트부(20)는, 띠 형상의 측면부(210)의 하부로 이어지고 분쇄 커피가 담기는 주머니 형상의 여과부(220)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여과부(220)의 재질은 통상의 일회용 드립백의 통수성 여과성 시트 재질이 될 수 있다.
지지 시트부(10)에 포함되는 용기 형상의 드립컵부(110)의 측면(110-1 내지 110-6) 내면에 부착된 여과 시트부(20)의 띠 형상의 측면부(210)의 내부를 통해 유입되는 물의 전량은, 드립컵부(110)의 측면이(110-1 내지 110-6)이 비통수성의 폐쇄면이므로, 띠 형상의 측면부(210) 하부로 이어지며 분쇄 커피가 담기는 주머니 형상의 여과부(220)로 유입되게 된다. 일 양상에 따라 여과부(220)는 여과시트부(20)의 하부에 전체를 점유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여과시트부(20)의 하측은 전체적으로 주머니 형상을 가지고 내부에 분쇄커피가 전체적으로 담겨진다. 따라서, 용기 형상의 드립컵부(110)에 담겨진 물들은 폐쇄된 측면으로 유출되지 못하고, 전량이 커피가 전체적으로 분포된 여과부(220)를 통과하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의 드립백에서 커피의 농도가 옅어지고 풍미가 약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가 있으며,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음료 추출용 재료를 사용하여 짙은 농도의 음료를 추출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유입되는 물의 전량이 분쇄 커피를 통과하게 되므로, 종래 방식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유속이 느려질 수가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 시트부(10)에 포함되는 용기 형상의 드립컵부(110)의 측면(110-1 내지 110-6) 내면에 부착된 여과 시트부(20)의 띠 형상의 측면부(210)의 내부를 통해 일시에 많은 양의 물이 유입될 수 있으므로, 커피가 추출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가 있게 된다.
<청구항 4 발명의 설명>
도 4a 및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시트부(10)를 제작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이하 상기 도 1, 도 4a,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거치부(120)는 드립컵부(110)의 측면(110-1 내지 110-3)을 하측으로 연장하고 그 연장된 면(제 1 측 거치면(123-1), 중심 거치면(121), 제 2 측 거치면(123-2))의 양측면(제 1 측 거치면(123-1), 제 2 측 거치면(123-2))을 연장된 측면(제 1 측면(110-1), 제 3 측면(110-3))으로부터 절단하여 전개도 방식으로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양상에 따라, 일시시예에 따른 드립커피용 용기의 거치부(120)는 적어도 한 쌍의 거치면(제 1 측 거치면(123-1) 및 제 2 측 거치면(123-2))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지지 시트부(10)의 거치부(120)는 거치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 1,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거치면(121), 제 1 측 거치면(123-1) 및 제 2 측 거치면(123-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거치면(121)은 제 2 측면(110-2)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제 1 측 거치면(123-1)은 제 1 측면(110-1)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제 2 측 거치면(123-2)는 제 3 측면(110-3)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측면(110-2)으로부터 연장된 중심 거치면(121)의 양측인 제 1 측 거치면(123-1) 및 제 2 측 거치면(123-2)은 각각, 제 1 측면(110-1) 및 제 3 측면(110-3)으로부터 절단하여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측 거치면(123-1) 및 제 2 측 거치면(123-2)에는 각각, 음료수컵 상단 가장자리에 거치되는 제 1 하부홈(1231-1) 및 제 2 하부홈(1231-2)이 형성된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지지 시트부(10)를 제작하기 위해, 단위 전개도를 활용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어느 한 단위 전개도 우측 단부에 형성되는 접합부(113)와 다른 한 단위 전개도의 좌측 단부의 제 1 측면(110-1)을 접합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도 4b는 두 개의 단위 전개도가 결합된 상태일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도 4a와 같이 단위 전개도를 결합시키지 않고, 도 4b와 같이 단일의 전개도를 사용하여 지지 시트부(10)를 제작할 수 있다.
도 4b의 단일 전개도에서, 절곡선(115)들을 따라 절곡하고, 우측 단부의 접합부(113)와 좌측 단부의 제 1 측면(110-1)을 결합하면, 도 1과 같이 대체로 6각 기둥 용기 형상의 지지 시트부(10)가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제 2 측면(110-2)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중심 거치면(121)에는 중심통공(1211)이 형성될 수 있다. 중심통공(1211)을 통해서 여과 시트부(20)의 여과부(220)가 노출되게 되어, 사용자는 분쇄커피 내용물을 눈으로 식별할 수 있게 되며, 커피 음료가 추출되는 상황을 확인할 수가 있다.
<청구항 2 발명의 설명>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여과 시트부(20)의 여과부(220)는, 하면(223) 또는 상면(221) 중 어느 한 면을 개구하여 형성되어, 분쇄 커피가 투입된 후 밀봉되는 커피 투입구(22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상에 따르면, 여과 시트부(20)의 주머니 형상의 여과부(220)에는 분쇄 커피가 담기게 된다. 도 2에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여과부(220)의 하면(223)의 개구된(예를 들어 절개된) 커피 투입구(2231)를 통해 분쇄 커피가 투입될 수 있다. 분쇄 커피가 투입된 후에는 상기 하면(223)에 개구된 커피 투입구(2231)는 밀봉될 수가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여과 시트부(20)의 주머니 형상의 여과부(220)는 상면(22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과부(220)의 상면(221)은 통수성의 면일 수 있다. 또한, 여과부(220)의 상면(221)은 여과 시트부(20) 측면부(210)와 여과부(220)의 경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의 드립커피용 용기를 뒤집어서 여과부(220)의 하면(223)에 형성되는 개구된 커피 투입구(2231)를 통해 분쇄 커피를 투입하게 되면, 투입되는 분쇄 커피는 여과부(220)의 상면(221)의 바닥에 가라 앉게 되어, 여과부(220) 내에 투입이 될 수 있다. 분쇄 커피가 투입된 후에는 상기 개구된 커피 투입구(2231)는 밀봉될 수가 있다.
또는, 커피 투입구(2231)는 여과부(220)의 상면(221)을 개구(예:절개)하여 형성되며 개구된 커피 투입구(도 2에 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분쇄 커피가 투입될 수도 있다. 분쇄 커피가 투입된 후에는 상면(221)에 개구된 커피 투입구(도 2에 도시하지 않음)는 밀봉될 수가 있다.
실시예에서, 개구된 커피 투입구(2231)에 대한 밀봉은 다양한 공지 기술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밀봉은 바느질이나 식용 접착제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열융착에 의해 접착될 수도 있다.
<청구항 3 발명의 설명>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커피 투입구(2231)가 형성되는 면은 초음파 융착되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커피 투입구(2231)가 형성되는 여과부(220)의 면은 하면(223) 또는 상면(221) 일 수가 있다. 또한, 초음파 융착되는 재질로는 예를 들어, 침엽수 펄프, 폴리올레핀 수지 펄프, 부직포 등이 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는 실시예들을 통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들로부터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도출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예들을 포괄하도록 해석되어야 한다. 특허청구범위는 이러한 변형예들을 포괄하도록 의도되었다.
10 : 지지 시트부 110 : 드립컵부
110-1 : 제 1 측면 110-2 : 제 2 측면
110-3 : 제 3 측면 110-4 : 제 4 측면
110-5 : 제 5 측면 110-6 : 제 6 측면
113 : 접합부 115 : 절곡선
120 : 거치부 121 : 중심 거치면
1211 : 중심통공 123-1 : 제 1 측 거치면
123-2 : 제 2 측 거치면 1231-1 : 제 1 하부홈
1231-2 : 제 2 하부홈 20 : 여과 시트부
210 : 측면부 220 : 여과부
221 : 상면 223 : 하면
2231 : 커피 투입구

Claims (6)

  1. 적어도 측면이 비통수성의 폐쇄면으로 형성되는 용기 형상의 드립컵부와, 음료수컵에 거치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지지 시트부; 및
    전체적으로 드립컵부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띠 형상의 측면부와, 측면부의 하부로 이어지고 분쇄 커피가 담기는 주머니 형상의 여과부를 포함하는 여과 시트부;
    를 포함하는 드립커피용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여과 시트부의 여과부는 :
    하면 또는 상면 중 어느 한 면을 개구하여 형성되고, 분쇄 커피가 투입된 후 밀봉되는 커피 투입구를 포함하는 드립커피용 용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커피 투입구가 형성되는 면은 :
    초음파 융착되는 재질로 구성되는 드립커피용 용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지지 시트부의 거치부는 :
    드립컵부의 측면을 하측으로 연장하고 그 연장된 면의 양측을 연장된 측면으로부터 절단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한 쌍의 거치면을 포함하는 드립커피용 용기.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의 드립커피용 용기의 여과부에 분쇄 커피가 담긴 드립 커피.
  6.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의 드립커피용 용기의 여과부에 분쇄 커피가 담기고 커피 투입구가 밀봉된 드립 커피.
KR1020220051440A 2022-04-26 2022-04-26 드립커피용 용기 및 드립커피용 용기에 분쇄 커피가 담긴 드립커피 KR202301517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1440A KR20230151731A (ko) 2022-04-26 2022-04-26 드립커피용 용기 및 드립커피용 용기에 분쇄 커피가 담긴 드립커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1440A KR20230151731A (ko) 2022-04-26 2022-04-26 드립커피용 용기 및 드립커피용 용기에 분쇄 커피가 담긴 드립커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1731A true KR20230151731A (ko) 2023-11-02

Family

ID=88747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1440A KR20230151731A (ko) 2022-04-26 2022-04-26 드립커피용 용기 및 드립커피용 용기에 분쇄 커피가 담긴 드립커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173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26366B2 (ja) ドリップバッグ
EP1419720B1 (en) Drip bag
JP5152779B2 (ja) 嗜好性飲料抽出用バッグ
KR20120072383A (ko) 1회분 캡슐 및 1회분 캡슐의 제조 방법
CN104853996B (zh) 一次性冲泡装置及一次性冲泡装置的用途
JP2005152551A (ja) ワンウエーコーヒーメーカー
EP1923324A1 (en) Bag for extracting beverage
BR112016029025B1 (pt) Cápsula de porção individual para a produção de uma bebida e uso da referida cápsula
KR20230151731A (ko) 드립커피용 용기 및 드립커피용 용기에 분쇄 커피가 담긴 드립커피
JP4391441B2 (ja) ドリッパー
JP3549986B2 (ja) 上置式支持具付嗜好性飲料バッグ
JP6041496B2 (ja) 嗜好性飲料抽出バッグ
EP0020598A1 (en) DISPOSABLE FILTER BAG AND PROCESS FOR MAKING EXTRACTION BEVERAGES.
JP3595050B2 (ja) 支持具付嗜好性飲料バッグ
KR100826212B1 (ko) 농도 조절 기능을 갖는 드립퍼
JPH08182613A (ja) コーヒー濾過用の濾過容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濾過装置、ならびに当該濾過容器の使用方法
JPH0642581Y2 (ja) コーヒーフィルター
JP7241451B2 (ja) ドリップバッグ
JP7271949B2 (ja) ドリッパー
JP4652000B2 (ja) 支持具付嗜好性飲料抽出用バッグ
KR102259177B1 (ko) 일체형 여과필터가 구비된 종이컵
JP5019034B2 (ja) ドリップバッグ
JP2001258743A (ja) ホルダー付嗜好性飲料抽出用バッグ
JP2006282235A (ja) コーヒー及びその他嗜好性飲料抽出用バッグ
JPH08150079A (ja) 袋体フィル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