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1711A - 암모니아 연료 연소를 위한 버너 - Google Patents

암모니아 연료 연소를 위한 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1711A
KR20230151711A KR1020220051397A KR20220051397A KR20230151711A KR 20230151711 A KR20230151711 A KR 20230151711A KR 1020220051397 A KR1020220051397 A KR 1020220051397A KR 20220051397 A KR20220051397 A KR 20220051397A KR 20230151711 A KR20230151711 A KR 20230151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ammonia
burner
ai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1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한창
김태영
안형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20051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1711A/ko
Publication of KR20230151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17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20Non-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on arrival at the combustion zone
    • F23D14/22Non-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on arrival at the combustion zone with separate air and gas feed ducts, e.g. with ducts running parallel or crossing each other
    • F23D14/24Non-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on arrival at the combustion zone with separate air and gas feed ducts, e.g. with ducts running parallel or crossing each other at least one of the fluids being submitted to a swirling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68Treating the combustion air or gas, e.g. by filtering, or moi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7/00Ignition devices associated with bur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8/00Control devices associated with bur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소로의 버너에 있어서, 암모니아 연료를 안정적으로 연소시키고, 질소산화물(NOx) 생성을 억제할 수 있는 버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앙에 배치되고, 제1연료가 공급되는 제1공급부와, 상기 제1공급부의 외측에 형성되고, 제2연료가 공급되는 제2공급부 및 상기 제2공급부와 연결되어 있고, 중앙에 관통된 제1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홀을 중심으로 복수개의 관통 형성된 제2홀이 배치되는 선단부로 구성된 연료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제1연료는 암모니아를 포함하고, 상기 제1홀의 지름은 상기 제2홀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1공급부를 통해 공급된 암모니아보다 상기 제2공급부를 통하여 공급된 암모니아가 먼저 공기와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암모니아 연료 연소를 위한 버너{Burners for burning ammonia fuels}
본 발명은 연소로의 버너에 있어서, 농도가 다른 암모니아 연료를 안정적으로 연소시키고, 질소산화물(NOx) 생성을 억제할 수 있는 버너에 관한 것이다.
심화된 지구온난화에 의해 전세계 국가 및 주요 기업들이 ESG(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상황에서 탈탄소 정책이 집중적으로 연구되고 실용화가 예상된다. 신재생에너지원이 부족한 국내 사정으로는 그린 수소를 대량으로 확보하기 어려운 상황이며, 이에 해외에서 신재생에너지를 바탕으로 생산된 그린 수소를 국내 도입하여 이용하는 것이 큰 에너지 정책 방향이 될 수 있다. 그런데 수소는 밀도가 낮고 액화온도가 낮아 많은 양을 장거리 수송하기에는 불리한 유체이며, 이에 따라 생산된 수소를 타 화합물로 변형하여 이동하는 방안을 도출하고 실증하고 있다. 특히 암모니아는 수소를 많이 함유하고 액화온도가 높아 장거리 이송에 유리하여 암모니아 형태로 국내로 도입될 확률이 높다. 국내 도입된 암모니아는 수소로 개질, 분리하여 연료전지 발전, 자동차용 연료로 사용이 가능하며, 특히 석탄 발전과 가스터빈 발전과 같은 대용량 발전에는 수소로 개질, 분리 비용이 높기 때문에 암모니아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암모니아를 부분 개질한 합성가스가 많이 이용될 수 있는데, 개질률과 분리정제율에 따라 수소, 질소, 그리고 암모니아 성분비가 다른 합성가스를 이용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합성가스를 여러가지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는 여지가 많이 있다.
암모니아는 높은 잠열과 낮은 화염전파속도에 의해 연소성이 매우 낮다. 예를 들어 LNG대비 1/5의 화염전파속도를 갖고 있어 안정적으로 LNG를 사용하는 버너에 암모니아를 투입하면 화염 자체가 붙지 않거나 화염 날림이 발생하는 등 안정적인 연소가 불가능할 수 있다. 즉 안정적으로 운용하던 설비의 버너에 암모니아를 혼합하거나 완전 전환하여 사용하고자 하면, 화염 안정화 및 완전 연소를 위한 버너 개조가 필요할 수 있다.
초미세먼지의 생성에 관여하는 반응물질인 질소산화물(NOx)는 환경규제물질로 강력한 규제를 받고 있다. 질소산화물의 생성기구(mechanism)는 크게 열적(thermal) NOx, prompt NOx, 연료(fuel) NOx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질소산화물 생성을 위해서는 일단 질소와 산소가 있어야 하고 고온 지역에서 생성되는 열적(thermal) NOx, 극렬한 연소반응 중 발생하는 prompt NOx, 그리고 연료내 질소성분이 질소산화물의 전조물질인 암모니아(NH3), HCN 등으로 변화되어 대량의 NOx를 발생시키는 연료(fuel) NOx로 정의된다.
일반적으로 가스연료의 경우는 열적(thermal) NOx가 주 발생 기구이나, 석탄, 바이오매스 등과 같은 고체 연료의 경우에 탈 휘발과정에서 발생하는 NH3, HCN 등에 의해 연료(fuel) NOx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즉, 암모니아는 환경규제물질인 질소산화물(NOx), 특히 연료(fuel) NOx 생성에 영향을 주는 전조물질이다. 석탄, 바이오매스 등의 고체물질을 태우기 위한 초기 과정인 탈휘발과정에서 나오는 소량의 HCN, NH3 등에 의해 대량으로 발생하는 연료(fuel) NOx를 유발하는 것이다. 석탄을 사용하는 개소에서는 암모니아를 추가 공급하여도 NOx가 크게 증가되지 않겠지만, LNG와 같은 가스연료를 사용하는 개소에서는 암모니아의 일부 사용에 의해 기존대비 2~5배까지 NOx가 증가할 수 있다. 암모니아를 연료로 사용하기 위한 전제조건은 버너가 높은 화염 안정성을 갖고 있어야 하고 NOx 생성 억제에도 유리한 버너 구조를 갖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암모니아용 버너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36837호 (2011.05.25 공고)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친환경 연료인 암모니아를 연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연소의 안정도를 높이고, 질소산화물의 발생을 낮추어 연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버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형성된 암모니아 연료용 버너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앙에 배치되고, 제1연료가 공급되는 제1공급부와, 상기 제1공급부의 외측에 형성되고, 제2연료가 공급되는 제2공급부 및 상기 제2공급부와 연결되어 있고, 중앙에 관통된 제1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홀을 중심으로 복수개의 관통 형성된 제2홀이 배치되는 선단부로 구성된 연료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제1연료는 암모니아를 포함하고, 상기 제1홀의 지름은 상기 제2홀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연료는 암모니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료보다 암모니아의 농도가 낮게 공급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단부는 테이퍼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홀은 상기 테이퍼면에 위치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버너의 구조를 통하여, 농도가 다른 암모니아 연료를 안정적으로 연소시키고, 질소산화물(NOx)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버너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버너에 화염이 형성된 경우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선단부가 달리 형성된 버너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 선단부가 달리 형성된 버너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라 연료노즐이 다르게 형성된 버너의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 함은 이들 구성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버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암모니아 연료용 버너는, 버너의 중앙에 배치되고, 제1연료가 공급되는 제1공급부(110)와, 상기 제1공급부(110)의 외측에 형성되고, 제2연료가 공급되는 제2공급부(120) 및 상기 제2공급부(120)와 연결되어 있고, 중앙에 관통된 제1홀(131)이 형성되며, 상기 제1홀(131)을 중심으로 복수개의 관통 형성된 제2홀(132)이 배치되는 선단부(130)로 구성된 연료노즐(100)을 포함하며, 상기 제1연료는 암모니아를 포함하며, 상기 제1홀(131)의 지름은 상기 제2홀(132)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1홀(131)은 중심에 위치한 하나의 관통홀로 형성되지만, 설계상에 따라 여러 개의 관통홀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공급부(110)는 일단에는 제1연료가 공급되도록 제1연료인입구(111)가 형성되고, 타단은 선단부(130)와 연결되어 있거나, 일정 간격을 두고 개방된 중공의 형상으로 구성된다. 즉, 파이프 형상일 수 있다.
제2공급부(120)는 제1공급부(110)의 외측에서 단면이 동심원인 형태로 중공의 파이프가 배치된다. 일단에는 제2연료가 공급되도록 제2연료인입구(121)가 형성되고, 타단은 선단부(130)와 연결되어 있다.
선단부(130)는 중앙에 제1홀(131)이, 제1홀(131)을 동심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제2홀(132)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제1홀(131)의 지름은 제2홀(132)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어, 제1홀(131)을 통하여 버너 내부로 대부분 공급되는 제1연료는 제1공급부(110)의 직선방향으로 분사된다. 그리고 제2홀(132)을 통하여 공급되는 제2연료는 분사된 제1연료를 둘러싸고 분사된다. 제1연료는 제1홀(131)이 크기 때문에, 제2연료보다 더 멀리 분사되고, 제2연료는 제1연료보다 가까운데 곳에 분사된다.
상기 제1공급부(110)의 길이방향으로 가상의 중심선(미도시)은 상기 제1홀(131)의 중심과 일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공급부(110)의 단면의 중심과 제1홀(131)의 중심이 일치하게 배치되는 경우, 제1공급부(100)에 구비된 제1연료인입구(111)을 통해 주입된 제1연료가 마찰 등의 손실이 적어지게 되어 더 멀리 분사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설계에 따라 중심선과 위치가 다르게 비대칭으로 위치할 수도 있다.
제1공급부(110)와 제2공급부(120)는 각각 연료가 공급된다. 제1공급부(110)에는 제1연료가 공급되는데, 제1연료는 기체상태의 암모니아를 포함한다. 제2공급부(120)에 공급되는 연료는 암모니아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제2연료가 암모니아를 포함하고 있는 기체연료인 경우에는, 제1공급부(110)에 공급되는 제1연료보다 암모니아의 농도가 낮은 제2연료가 제2공급부(120)에 공급된다.
그리고, 제1연료와 제2연료가 사전에 섞이지 않고 공급되도록, 제1공급부(110)의 일단에 형성된 제1연료인입구(111)와 제2공급부(120)의 일단에 형성된 제2연료인입구(121)를 통해서 공급된다.
제1공급부(110)와 제2공급부(120)는 암모니아 연료에 적합한 동일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2연료가 암모니아를 포함하지 않거나, 암모니아 농도가 다른 연료이므로, 다른 재료로 형성되는 파이프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공급부(120)의 외측에 위치하고, 공기가 인입되는 공기인입구(210)와, 상기 공기인입구(210)로 인입된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공기량조절부(200)가 형성된 공기공급부(2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연료보다 제2연료가 먼저 공기와 접촉한다.
상기 공기량조절부(200)는 상기 제1연료가 분출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공기가 공급되는 1차 공기(231)를 1차통로(230)을 통하여 공급한다. 또한, 1차통로(230)의 외곽에 형성된 2차통로(240)를 통하여 공급되는 2차 공기(241)로 나누어 공기를 공급한다. 또한, 공기량조절부(200)는 댐퍼(221)를 포함하여 공기량을 조절한다.
공기공급부(200)는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본 발명의 경우 공기공급부(200)에 의하여 다단연소를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단연소를 통하여 연소의 효율을 높이고, 완전연소에 가깝도록 연소할 수 있다.
다단연소를 위하여, 공기인입구(210)를 통하여 인입된 공기가 이동되는 통로가 나뉘어 구성된다. 즉, 1차통로(230)와 2차통로(240)가 형성되고, 1차통로(230)와 2차통로(240)의 사이에는 통로벽(222)이 형성된다. 공기량조절부(200)는 인입된 공기의 양을 댐퍼(221)의 각도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댐퍼(221)의 각도에 따라 1차 공기(231)와 2차 공기(241)의 양도 조절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너에 화염이 형성되는 경우 상태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공기공급부(200)가 다단 연소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제2연료는 1차통로(230)를 통하여 공급된 1차 공기(231)와 먼저 접촉하게 된다. 제2연료가 연소되어 먼저 제1화염(S1)을 형성한다. 제1연료는 공기와 섞이지 않은 상태로 더 멀리 분사되어 제1연료 분사영역(F)이 형성되고, 제2연료가 형성한 제1화염(S1)보다 선단부(130)를 기준으로 먼 곳에서 2차 공기(241)와 접촉하여 연소되는 제2화염(S2)이 형성된다.
암모니아는 연료(fuel) NOx의 전조물질이고, 그대로 연료로 이용되기 때문에 대량의 연료(fuel) NOx가 배출될 수 있다. 암모니아를 이용할 때 NOx 생성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공기가 희박한 곳에 암모니아를 공급하는 등 최대한 공기와 혼합을 억제하면서 서서히 연소시켜야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과 같은 구조를 가지고 다단 연소되도록 형성됨으로 인하여, 제2연료가 1차 공기(231)와 혼합, 우선적으로 연소되어 제1화염(S1)이 형성되고, 제1연료는 제2연료 내에 위치하다가 제2연료의 연소 종료 시점에 산소를 많이 소모한 공기인 2차 공기(241)와 만나 연소시키는 제2화염(S2)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2연료와 비교하여 제1연료를 상대적으로 낮은 산소 농도에서 연소시킴으로써, 연료(fuel) NOx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버너를 통하여, 연료 분사설계 조건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나, 일반적인 환경에서 암모니아 연료를 연소시킬 때와 비교하면, 최소 30% 수준의 NOx 저감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료를 버너 내부로 분사하는 선단부(130)는 제2공급부(120)와 연결되어 있으나, 제1공급부(110)는 선단부(130)와 직접적으로 맞닿지 않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제1공급부(110)의 일단은 상기 선단부(130)에서 어느 정도 이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공급부(110)과 제2공급부(120)는 일단에서 연통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제1연료와 제2연료가 분출되기 이전에 서로 만나는 표면에서 일부 섞이는 현상이 있을 수도 있다.
제1공급부(110)는 선단부(130)에서 맞닿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는 경우, 연료노즐(100)의 제작상 편의가 향상된다. 즉, 제작상 어려움이 있을 수 있어 제1공급부(110)와 선단부(130)는 어느정도 거리를 두고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제1공급부(110)도 선단부(130)에서 맞닿아 형성되는 경우, 제1연료와 제2연료가 분리되어 화염 형성에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암모니아 연료용 버너의 상기 공기공급부(200)는, 상기 1차 공기(231)의 유동을 형성하는 선회기(250)와, 상기 1차 공기(231)가 공급되는 통로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분사목(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1차 공기(231)는 공기인입부(210)를 통하여 인입되고, 댐퍼(221)를 통하여 1차통로(230)로 이동된다. 이때, 선회기(250)를 통하여 선단부(130) 방향으로 이동되는 공기 흐름을 형성한다. 연료가 빠르게 분사되면서, 공기와 함께 1차 공기(231)의 공급 통로의 내측면에 설치되고, 설계에 따른 일정 길이를 갖으며, 선단부(130)에서 멀어질수록 좁은 단면을 형성하는 분사목(400)을 통과할 때 1차 공기(231)는 선회기(250)를 통하여 공기흐름을 형성하여 외측에서 분사되는 제2연료와 혼합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암모니아 연료용 버너는 파이롯 버너(3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파이롯 버너(300)는 상기 분사목(400)을 통과한 연료와 공기의 초기 착화를 위한 구성이다. 파이롯 버너(300)는 분사목(400)을 통과한 유체에 초기 착화를 위한 것이므로, 그 위치는 분사목(400)보다 선단부(130)에서 멀리 설치되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버너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다.
제2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실시예와 선단부(130)에서 다르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선단부(130)의 테이퍼면(135)를 제외한 다른 구성 및 효과의 설명은 동일하다.
제2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실시예의 선단부(130)의 구성에 더하여, 연료 분출에 유리하도록 테이퍼면(135)이 더 포함된다. 이 경우, 제2홀(132)은 상기 테이퍼면(135)상에 위치하게 된다. 테이퍼면(135)에 형성된 제2홀(132)을 통하여 분사된 제2연료가 1차 공기(231)와 더 빠르게 혼합되어 연소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연소성이 향상되는 경우, 암모니아 연료의 문제점인 화염안정화에 유리한 효과도 제공한다. 테이퍼면(135)이 이루는 각도는 설계에 따라 달리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버너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다.
제3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실시예의 선단부(130)를 제외한 다른 구성 및 효과의 설명은 동일하다.
제3실시예의 선단부(130)의 경우, 선단부(130)의 측면, 즉, 선단부(130)가 제2공급부(120)와 만나는 면에 제3홀(133)이 더 포함되어 있다. 제3홀(133)은 제1홀(131)이 분출하는 연료의 방향과 대략 90도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2연료가 제2홀(132)에 더하여 제3홀(133)에 의하여 분사됨으로써, 넓은 면적을 통하여 분출되고 각도도 다양하게 분사되도록 형성되어 있게 된다. 그러므로 분사시 연료의 유동 형성에 도움을 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즉, 제2연료가 제3홀(133)을 통하여도 분사되어 1차 공기(231)와 선혼합되고, 제2실시예의 테이퍼면(135)이 형성되는 것의 효과와 마찬가지로, 연소성 향상 및 화염안정화에 유리한 효과가 발생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버너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다.
제4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실시예의 선단부(130)를 제외한 다른 구성 및 효과의 설명은 동일하다.
제4실시예는, 제1실시예의 선단부(130)에서 제3홀(133)과 테이퍼면(135)이 함께 더 포함된다. 즉, 상기 제2실시예와 제3실시예의 선단부(130)의 형상이 결합된 것과 같다. 제2홀(132)이 테이퍼면(135)상에 위치하게 되고, 테이퍼면(135)와 연결된 선단부(130)의 측면에 제3홀(133)이 형성된다. 따라서, 연소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암모니아의 농도에 따라 제2연료의 연소성을 증진시켜야 하는 경우, 제3홀(133)의 수를 조절하거나 테이퍼면(135)의 각도를 조절하여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변화 없이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연료노즐 110: 제1공급부
120: 제2공급부 130: 선단부
131: 제1홀 132: 제2홀
133: 제3홀 135: 테이퍼면
200: 공기공급부 210: 공기인입부
220: 공기량조절부 250: 선회기
300: 파이롯 버너 400: 분사목

Claims (10)

  1. 중앙에 배치되고, 제1연료가 공급되는 제1공급부;
    상기 제1공급부의 외측에 형성되고, 제2연료가 공급되는 제2공급부; 및
    상기 제2공급부와 연결되어 있고, 중앙에 관통된 제1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홀을 중심으로 복수개의 관통 형성된 제2홀이 배치되는 선단부;로 구성된 연료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제1연료는 암모니아를 포함하고,
    상기 제1홀의 지름은 상기 제2홀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는 암모니아 연료용 버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료는 암모니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료보다 암모니아의 농도가 낮게 공급되는 암모니아 연료용 버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급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공기가 인입되는 공기인입구와,
    상기 공기인입구로 인입된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공기량조절부가 형성된 공기공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연료보다 제2연료가 먼저 공기와 접촉하는 암모니아 연료용 버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급부와 제2공급부가 상기 선단부 내부에서 연통되도록 상기 제1공급부의 일단은 상기 선단부에서 소정 이격을 두고 형성되는 암모니아 연료용 버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는 테이퍼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홀은 상기 테이퍼면에 위치하는 암모니아 연료용 버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의 측면에 위치하는 제3홀을 더 포함하는 암모니아 연료용 버너.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량조절부는,
    상기 제1연료가 분출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공기가 공급되는 1차 공기와, 외곽의 통로를 통하여 공급되는 2차 공기로 나누어 공기를 공급하는 암모니아 연료용 버너.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량조절부는 댐퍼를 포함하여 공기량을 조절하는 암모니아 연료용 버너.
  9. 제1항에 있어서,
    파이롯 버너를 더 구비하는 암모니아 연료용 버너.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부는,
    상기 1차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는 선회기와,
    상기 1차 공기가 공급되는 통로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분사목을 더 포함하는 암모니아 연료용 버너.
KR1020220051397A 2022-04-26 2022-04-26 암모니아 연료 연소를 위한 버너 KR202301517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1397A KR20230151711A (ko) 2022-04-26 2022-04-26 암모니아 연료 연소를 위한 버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1397A KR20230151711A (ko) 2022-04-26 2022-04-26 암모니아 연료 연소를 위한 버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1711A true KR20230151711A (ko) 2023-11-02

Family

ID=88747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1397A KR20230151711A (ko) 2022-04-26 2022-04-26 암모니아 연료 연소를 위한 버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171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837B1 (ko) 2009-09-28 2011-05-25 한국기계연구원 합성가스버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837B1 (ko) 2009-09-28 2011-05-25 한국기계연구원 합성가스버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9469B2 (en) Combustion burner and boiler including the same
US8806848B2 (en) Gas turbine combustor
EP2171356B1 (en) Cool flame combustion
JP4660594B2 (ja) 気体燃料の含有物を改質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CN104114944A (zh) 将燃料以倾斜的燃料喷射方式喷入旋流器槽缝
CN114811581B (zh) 空气燃料双分级高比例掺氢超低氮燃烧器、方法、锅炉
US11747014B2 (en) Atmosphere-adjustable multi-staged swirl ammonia burner
JPS6131775B2 (ko)
JP6181997B2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およびガスタービン燃焼器の燃焼室へ燃料と燃焼用空気を供給する方法
US20060275724A1 (en) Dynamic burner reconfiguration and combustion system for process heaters and boilers
KR20230151711A (ko) 암모니아 연료 연소를 위한 버너
CN217763418U (zh) 一种催化分级氨燃烧器
KR101036837B1 (ko) 합성가스버너
JP2755603B2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
KR20240009596A (ko) 암모니아 혼합 연소 버너
JP2005226850A (ja) 燃焼装置
JP7262521B2 (ja) ガスバーナ、及び燃焼設備
Jourdainea et al. A comparison of the structure of N2 and CO2 diluted CH4/O2 premixed flames in a swirled combustor
JP7150102B1 (ja) 二段燃焼装置
JP7191160B1 (ja) ガスバーナ、及び燃焼設備
WO2023053605A1 (ja) ガスバーナ、及び燃焼設備
CN117267716A (zh) 氨燃烧器、燃烧系统和燃烧方法
CN117606022A (zh) 氨燃烧器、燃烧系统和燃烧方法
KR20010108672A (ko) 질소산화물 발생을 억제하는 버너
CN117823946A (zh) 富氢或纯氢灵活燃料燃烧稳焰喷头与燃烧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