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1149A - 무전력 자동급수를 활용한 재배상자 - Google Patents

무전력 자동급수를 활용한 재배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1149A
KR20230151149A KR1020220050390A KR20220050390A KR20230151149A KR 20230151149 A KR20230151149 A KR 20230151149A KR 1020220050390 A KR1020220050390 A KR 1020220050390A KR 20220050390 A KR20220050390 A KR 20220050390A KR 20230151149 A KR20230151149 A KR 20230151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ultivation
irrigation
watering
cultivation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0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태
김남진
박광현
이정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원
Priority to KR1020220050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1149A/ko
Publication of KR20230151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11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20Arrangements of several outlets along elongated bodies, e.g. perforated pipes or troughs, e.g. spray booms; Outlet el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1/3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in which a valve member forms part of the outlet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적관수 및 저면관수의 선택적 활용이 가능하고, 점적관수 시 관수량이 조절 가능한 무전력 자동급수를 활용한 재배상자에 대한 것으로, 내부가 칸막이벽을 기준으로 식물이 재배되는 재배부와 물을 저장하는 저수부가 구획되며, 상기 재배부의 하부면에 물이 배수되는 배수홈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의 외부와 상기 재배부가 연통되는 포트홀을 포함하는 상부덮개, 상기 재배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면이 개방되어 상기 배수홈을 통과하는 물을 수용하는 물받이, 상기 저수부에 안착되며, 물을 저장하는 저수조 및 상기 저수조에 연결되고, 상기 상부덮개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재배부 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일면에 관수홈이 이격되어 형성된 관수호스를 포함하는 무전력 자동급수를 활용한 재배상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전력 자동급수를 활용한 재배상자{Cultivation Box Using No-Power Automatic Watering}
본 발명은 점적관수 및 저면관수의 선택적 활용이 가능하고, 점적관수 시 관수량이 조절 가능한 무전력 자동급수를 활용한 재배상자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관수 방법으로는 두상관수, 저면관수, 심지관수가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두상관수를 이용할 경우, 사용자가 계속해서 물을 직접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장기간 부재 시 관수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저면관수 및 심지관수를 이용한 재배상자들이 개발되었으나, 정체된 물의 부패가 문제되거나 배수가 안 되는 특성상 염분이 축적되어 뿌리가 제대로 영양분을 흡수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에는 자동 관수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자동 관수 장치는 저면관수를 활용한 저수조 일체형 화분에 관한 발명으로, 수동으로 또는 자동으로 저수부에 물을 공급하여 저면 관수를 이용하여 식물에 물을 공급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다만,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자동 관수 장치에 따르면, 저면관수에 따라 물이 부패되거나 토양으로 흡수되는 물의 양이 균일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으며, 아울러 전력을 이용할 경우 설치공간의 제약이 있거나 높은 가격으로 인해 사용자들에게 부담을 가져올 수 있다.
(특허문헌 1) KR 10-2304944 B1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점적관수 및 저면관수의 선택적 활용이 가능하고, 점적관수 시 관수량이 조절 가능한 무전력 자동급수를 활용한 재배상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무전력 자동급수를 활용한 재배상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일실시예에서, 내부가 칸막이벽을 기준으로 식물이 재배되는 재배부와 물을 저장하는 저수부가 구획되며, 상기 재배부의 하부면에 물이 배수되는 배수홈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의 외부와 상기 재배부가 연통되는 포트홀을 포함하는 상부덮개, 상기 재배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면이 개방되어 상기 배수홈을 통과하는 물을 수용하는 물받이, 상기 저수부에 안착되며, 물을 저장하는 저수조 및 상기 저수조에 연결되고, 상기 상부덮개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재배부 측으로 연장형성되며, 복수의 관수홈이 이격되어 형성된 관수호스를 포함하는 무전력 자동급수를 활용한 재배상자를 제공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물받이는 상기 본체와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저수조는 상기 상부덮개의 하부에 구비되되, 일면을 관통하고 상기 관수호스가 연결되며 단차지게 형성된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일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홀의 하단부가 물이 저장되는 상기 저수조의 내측 하부면과 맞닿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저수조는 하부면이 상기 연결부재 측에서 마주보는 반대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저수부는 일면에 구비되되, 상기 상부덮개 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유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칸막이벽은 상단부에 상기 재배부와 상기 저수부가 연통되는 연결홀이 형성되고, 측단면상에서 보았을 때, 상기 관수호스 및 연결부재는 상기 연결홀과 나란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관수호스는 상기 관수홈에 결합되는 피펫, 상기 피펫의 타측면에 설치된 미세조절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미세조절밸브에 의해 관수량이 조절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본체는 상기 관수호스가 연장형성된 측 일면에 구비되며, 상기 관수호스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배수홈은 상기 재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물받이는 삽입홈 및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며, 상기 배수홈과 맞닿아 배수를 차단하는 차단부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재배부에 구비되되, 내부에 펄라이트를 포함하는 자루 형태의 자루배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본체는 일단에 구비되되, 외측으로 연장형성된 거치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저수부 하부에 배치되며, 개폐가능한 개폐도어가 설치된 수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재배상자 구조를 통하여, 점적관수 및 저면관수의 선택적 활용이 가능하고, 점적관수 시 관수량이 조절 가능한 무전력 자동급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전력 자동급수를 활용한 재배상자의 개략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분해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상부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1 의 측단면도이다.
도 5 는 도 4 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전력 자동급수를 활용한 재배상자의 절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수호스를 나타내고 있다.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전력 자동급수를 활용한 재배상자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 함은 이들 구성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전력 자동급수를 활용한 재배상자(1)를 도시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전력 자동급수를 활용한 재배상자(1)의 개략사시도이며, 도 2 는 도 1 의 분해도이며, 도 3 은 도 1 의 상부단면도이며, 도 4 는 도 1 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전력 자동급수를 활용한 재배상자(1)는 본체(100), 상부덮개(200), 물받이(300), 저수조(400) 및 관수호스(50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체(100)는 재배부(110), 배수부(120), 저수부(130) 및 수납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쳬(100)는 칸막이벽(15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칸막이벽(150)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상기 재배부(110) 및 배수부(120)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저수부(130) 및 수납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재배부(110)는 상기 배수부(120)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저수부(130)는 상기 수납부(14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본체(100)는 거치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대(160)는 일단에 구비되되, 상기 본체(100)의 외측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LED를 거치할 수 있다. 더하여, 사용자는 상기 재배상자(1)에 필요한 물건 등을 상기 거치대(160)에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 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재배부(110)는 내부에 토양이 구비되며 식물이 재배된다. 상기 재배부(110)는 상기 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형상 및 크기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재배부(110)의 하부면에 배수홈(111)이 형성된다. 상기 배수홈(111)은 상기 재배부(110)의 외측과 연통되므로 상기 재배부(110)에 유입되는 물을 외측으로 배수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배수홈(111)은 상기 재배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폭이 좁고 기다란 홈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 개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재배부(110)의 하부면은 각 단부로부터 중앙부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즉, 상기 중앙부가 지면과 가장 가깝게 형성된 다이아몬드식 구조를 갖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중앙부 측으로 물이 용이하게 모일 수 있고, 상기 배수홈(111)을 통해 상기 배수부(120)를 향하여 물을 배수할 수 있다.
또한, 도 3 내지 도 4 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본체(100)는 립(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립(112)은 상기 재배부(110)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재배부(110)를 구획할 수 있고, 상기 재배부(110)의 측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립(112)은 상기 본체(100)의 뒤틀림 또는 휨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재배부(110)의 측면까지 연장되어 후술할 상부덮개(200)와의 단차를 줄일 수 있다. 상기 립(112)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은 상기 본체(100)에 안착되는 식물의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식물은 상기 구획되는 공간에 안착되어 복수개가 동시에 재배될 수 있다.
상기 배수부(120)는 상기 물받이(3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물받이(300)에 대응되는 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재배부(110) 및 배수부(120) 사이에 상기 배수홈(111)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재배부(110)로부터 유입되는 물은 상기 배수홈(110)을 통해 상기 배수부(120)를 향한다. 상기 저수부(130)는 상기 재배부(110)의 상부 측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수납부(140)는 상기 저수부(130)의 하부에 배치되며, 개폐 가능한 개폐도어(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개폐도어(미도시)를 통해 재배 시 사용되는 도구나 영양액 등을 상기 수납부(140)에 넣어 보관할 수 있다.
상기 상부덮개(200)는 상기 재배부(110)의 상부에 결합되며, 식물이 안착되는 포트홀(210)을 포함한다. 상기 포트홀(210)은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도 1 내지 도 2 에 도시되어 있듯이, 6 개의 포트홀(210)이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포트홀(210)은 정사각형의 형상을 갖을 수 있으나, 상기 본체(100)의 크기에 따라 형상 및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상부덮개(200)는 상기 재배부(110)의 상부를 덮으며, 외부로부터 상기 재배부(110)의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상기 재배부(110)와 상기 저수부(130)가 연통되는 부분을 일체로서 덮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저수부(130)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수분 증발을 막고 녹조와 토양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수부(130)는 유격부재(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 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유격부재(132)는 상기 저수부(130)의 일면에 구비되되, 상기 상부덮개(200) 측으로 단차지게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상기 유격부재(132)는 상기 상부덮개(200)와의 이격 발생을 완화할 수 있다.
상기 물받이(300)는 상기 재배부(110)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면이 개방되어 상기 배수홈(111)을 통과하여 배수되는 물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물받이(300)는 상기 본체(100)와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물받이(300)는 상기 배수부(120)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도 1 내지 도 2 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물받이(300)는 손잡이홀(3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홀(310)은 사각형상을 갖을 수 있으며, 상기 물받이(300)를 탈거할 수 있다면,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저수조(400)는 상기 저수부(130)에 안착되며, 물을 저장한다. 상기 저수부(130)는 상기 저수조(400)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131)을 포함하고, 상기 저수조(400)는 상기 안착홈(131)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수조(400)는 상부면에 개폐가능한 저수캡(410)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용이하게 상기 저수캡(410)을 열어 물을 저장할 수 있으며, 수분 증발을 막고 녹조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관수호스(500)는 상기 저수조(400)에 연결되고, 상기 상부덮개(2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재배부(110) 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일면에 관수홈(510)이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수호스(500)는 상기 상부덮개(200)의 저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관수호스(500)는 실리콘 호스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수홈(510)은 상기 포트홀(210)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도 2 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포트홀(210)이 배치된 방향을 따라 상기 관수호스(500)가 이격되어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전력 자동급수를 활용한 재배상자(1)는 식물이 재배되는 재배부(110)와 물을 저장하는 저수부(130)가 구획되며, 상기 저수부(130)가 상기 재배부(110)의 상부 측에 배치되므로, 중력을 이용하여 상기 관수호스(500)를 통해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상기 관수호스(500)는 상기 저수조(400)의 물을 상기 재배부(110)에 구비된 토양에 점적관수의 방법을 활용하여 공급할 수 있으며, 각각의 상기 관수홈(510)이 상기 포트홀(21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개체 하나당 1 대 1 로 관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수호스(500)는 상기 관수홈(510)의 크기를 조절하여 관수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장시간에 걸쳐 관수를 꾸준히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홈(111)은 상기 재배부(110)에 유입되는 물을 상기 물받이(300)로 균일하게 배수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물받이(300)를 서랍형식으로 빼내어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또한, 평상시에는 상기 배수홈(111)을 열어 둔 상태에서 점적관수를 활용하여 작물을 재배할 수 있고, 장기간 부재 시 상기 배수홈(111)을 막아 저면관수를 활용하여 지속적인 양분 공급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점적관수 및 저면관수의 방법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별도의 전력 없이 자동으로 관수가 가능하며, 소음발생이 없고, 차지하는 공간이 적으므로 설치 및 관리의 용이성을 갖는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전력 자동급수를 활용한 재배상자(1)는 상기 재배부(111)에 구비된 자루 형태의 자루배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루배지(미도시)는 내부에 펄라이트를 포함할 수 있고, 수경재배가 가능하다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펄라이트는 작은 입도의 펄라이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우수한 배수성, 통기성 및 보습성을 갖고, 무균, 무충의 배지조성이 가능하다.
또한, 종래의 펄라이트는 스티로폼 베드에 충진하여 사용되었는데, 이는 베드 내 온도, 공기조성의 조절이 어려우며, 배지 표면으로부터 수분 증발이 많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배상자(1)는 자루 형태의 배지를 통해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고, 교체가 용이하며, 햇빛에 노출되어 있는 토양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수분 증발을 막고, 녹조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5 는 도 4 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5 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전력 자동급수를 활용한 재배상자(1)는 상기 저수조(400)의 일면에 중공의 연결부재(4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420)는 상기 상부덮개(200)의 하부에 구비되되, 상기 저수조(400)의 일면을 관통한다. 상기 연결부재(420)는 상기 관수호스(500)가 연결되며,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관수호스(500)는 상기 연결부재(420)에 탈착이 가능하나, 상기 연결부재(420)의 단차지게 형성된 부분에 걸려 일정한 힘을 가하지 않으면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나아가, 도 5 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저수조(400)는 하부면이 상기 연결부재(420) 측에서 마주보는 반대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경사진 각도는 제한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저수조(400)에 저장된 물이 상기 연결부재(420) 측으로 가이드 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연결부재(420)는 상기 일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홀의 하단부가 물이 저장되는 상기 저수조(400)의 내측 하부면과 맞닿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420)는 상기 저수조(400)의 하부면과 같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저수조(400) 내부의 물은 소모되어 점차 상기 내측 하부면에 가까워지더라도 상기 연결부재(420)에 곧바로 유입될 수 있으며, 물 혹은 배양액이 남아있지 않게 하고 관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칸막이벽(150)은 상단부에 상기 재배부(110)와 상기 저수부(130)가 연통되는 연결홀(151)이 형성되고, 측단면상에서 보았을 때, 상기 관수호스(500) 및 연결부재(420)는 상기 연결홀(151)과 나란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관수호스(500) 및 연결부재(420)는 상기 상부덮개(200)와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관수호스(500)가 상기 재배부(110)에 구비된 토양의 상부에서 관수할 수 있도록 위치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유격부재(132)는 상기 상부덮개(200) 측으로 단차지게 구비되며, 이에 의하여 상기 상부덮개(200)와의 이격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 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전력 자동급수를 활용한 재배상자(1)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수호스(500)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170)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받이(300)를 나타내고 있다.
도 6 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수호스(500)는 상기 관수홈(510)에 결합되는 피펫(520) 및 상기 피펫(520)의 타측면에 설치된 미세조절밸브(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관수호스(500)는 상기 미세조절밸브(530)에 의해 관수량이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피펫(520)을 통해 물을 소량씩 장시간 꾸준히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피펫(520)의 크기 및 형상은 제한되지 않으며, 실리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피펫(520)은 복수 개의 상기 관수홈(510)에 대응하여 결합될 수 있고, 상기 미세조절밸브(530)는 복수 개의 상기 피펫(520)에 대응하여 독립적으로 각각의 관수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재배부(110)에 구비된 토양 또는 펄라이트의 과습을 방지할 수 있고, 염분 축적에 대한 위험율이 적으며, 상기 미세조절밸브(530)는 독립적으로 관수량이 조절될 수 있으므로 작물 특징에 맞게 관수량을 조절하여 토양 속 습도환경을 조절할 수 있다.
도 7 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체(100)는 상기 관수호스(500)를 고정하는 고정부재(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70)는 상기 관수호스(500)가 연장형성된 측 일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관수호스(500)의 높이나 위치를 고정하여, 상기 관수호스(500)를 통과하는 물이 상기 관수호스(500)의 일단부에 정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 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받이(300)는 삽입홈(320) 및 상기 배수홈(111)과 맞닿아 배수를 차단하는 차단부재(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홈(320)은 상기 물받이(300)의 양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삽입홈(320)에 상기 차단부재(330)를 삽입하여 상기 배수홈(111)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사용자는 장기간 부재 시, 상기 재배부(110)에 물을 가둬두고 지속적인 양분 공급이 가능한 저면관수를 활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상기 저수조(400)에 저장된 물을 기준으로 설명했으나, 상기 저수조(400) 내부에는 물 또는 배양액 등 식물의 재배에 필요한 액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변화 없이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무전력 자동급수를 활용한 재배상자 100: 본체
110: 재배부 111: 배수홈
112: 립 120: 배수부
130: 저수부 131: 안착홈
132: 유격부재 140: 수납부
150: 칸막이벽 151: 연결홀
160: 거치대 170: 고정부재
200: 상부덮개 210: 포트홀
300: 물받이 310: 손잡이홀
320: 삽입홈 330: 차단부재
400: 저수조 410: 저수캡
420: 연결부재 500: 관수호스
510: 관수홈 520: 피펫
530: 미세조절밸브

Claims (14)

  1. 내부가 칸막이벽을 기준으로 식물이 재배되는 재배부와 물을 저장하는 저수부가 구획되며, 상기 재배부의 하부면에 물이 배수되는 배수홈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의 외부와 상기 재배부가 연통되는 포트홀을 포함하는 상부덮개;
    상기 재배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면이 개방되어 상기 배수홈을 통과하는 물을 수용하는 물받이;
    상기 저수부에 안착되며, 물을 저장하는 저수조; 및
    상기 저수조에 연결되고, 상기 상부덮개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재배부 측으로 연장형성되며, 복수의 관수홈이 형성된 관수호스;
    를 포함하는 무전력 자동급수를 활용한 재배상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는,
    상기 본체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력 자동급수를 활용한 재배상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는,
    상기 상부덮개의 하부에 구비되되, 일면을 관통하고 상기 관수호스가 연결되며 단차지게 형성된 연결부재;
    를 포함하는 무전력 자동급수를 활용한 재배상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일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홀의 하단부가 물이 저장되는 상기 저수조의 내측 하부면과 맞닿도록 배치되는 무전력 자동급수를 활용한 재배상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는,
    하부면이 상기 연결부재 측에서 마주보는 반대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력 자동급수를 활용한 재배상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부는,
    일면에 구비되되, 상기 상부덮개 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유격부재;
    를 더 포함하는 무전력 자동급수를 활용한 재배상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벽은,
    상단부에 상기 재배부와 상기 저수부가 연통되는 연결홀이 형성되고, 측단면상에서 보았을 때, 상기 관수호스 및 연결부재는 상기 연결홀과 나란한 위치에 배치되는 무전력 자동급수를 활용한 재배상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관수호스는,
    상기 관수홈에 결합되는 피펫;
    상기 피펫의 타측면에 설치된 미세조절밸브;
    를 포함하고,
    상기 미세조절밸브에 의해 관수량이 조절되는 무전력 자동급수를 활용한 재배상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관수호스가 연장형성된 측 일면에 구비되며, 상기 관수호스를 고정하는 고정부재;
    를 더 포함하는 무전력 자동급수를 활용한 재배상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홈은,
    상기 재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력 자동급수를 활용한 재배상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는,
    삽입홈; 및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며, 상기 배수홈과 맞닿아 배수를 차단하는 차단부재;
    을 더 포함하는 무전력 자동급수를 활용한 재배상자.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부에 구비되되, 내부에 펄라이트를 포함하는 자루 형태의 자루배지;
    를 더 포함하는 무전력 자동급수를 활용한 재배상자.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일단에 구비되되, 외측으로 연장형성된 거치대;
    를 더 포함하는 무전력 자동급수를 활용한 재배상자.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저수부 하부에 배치되며, 개폐가능한 개폐도어가 설치된 수납부;
    를 더 포함하는 무전력 자동급수를 활용한 재배상자.
KR1020220050390A 2022-04-22 2022-04-22 무전력 자동급수를 활용한 재배상자 KR202301511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0390A KR20230151149A (ko) 2022-04-22 2022-04-22 무전력 자동급수를 활용한 재배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0390A KR20230151149A (ko) 2022-04-22 2022-04-22 무전력 자동급수를 활용한 재배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1149A true KR20230151149A (ko) 2023-11-01

Family

ID=88746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0390A KR20230151149A (ko) 2022-04-22 2022-04-22 무전력 자동급수를 활용한 재배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114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3063B1 (ko) 수경식물 재배함
CN105899069B (zh) 多重盆栽植物自灌溉系统
KR101232644B1 (ko) 수경 재배용 베드
KR20140081651A (ko) 저면관수용 포트 받침
KR20220025256A (ko) 수경 재배 장치
US20220192107A1 (en) Plant cultivation apparatus
EP4018818A1 (en) Plant cultivation apparatus
KR20170035513A (ko) 화분용 급수통
KR101136612B1 (ko) 수분 자동 공급 기능성 식물 재배기
KR20230151149A (ko) 무전력 자동급수를 활용한 재배상자
WO2006077669A1 (ja) 植木鉢
KR101212764B1 (ko) 모세관을 이용해 물을 공급하는 자가수분공급 화분
KR101232189B1 (ko) 재배 베드 및 이를 구비한 수경재배 시스템
KR200367512Y1 (ko) 접시형의 하부 급수식 화분받침용 상자
KR200370417Y1 (ko) 가정용 식물 재배화분
JP2023054743A (ja) イチゴ苗の生育システム及び生育方法
JP4131820B2 (ja) 簡易式養液栽培容器
JP4003103B2 (ja) 自動灌水植物栽培容器
DK2529616T3 (en) Flowerpot Interior
JP4166869B2 (ja) 給水装置およびそれが装着された植木鉢
KR101786232B1 (ko) 식물 재배용 저면관수 화분
JP5631718B2 (ja) 栽培装置
JP7445217B2 (ja) 植物栽培用容器及び植物の栽培方法
KR200368043Y1 (ko) 하부 급수식 화분받침용 연결상자
JP4012077B2 (ja) 果実・果菜の栽培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