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0665A -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0665A
KR20230150665A KR1020220050387A KR20220050387A KR20230150665A KR 20230150665 A KR20230150665 A KR 20230150665A KR 1020220050387 A KR1020220050387 A KR 1020220050387A KR 20220050387 A KR20220050387 A KR 20220050387A KR 20230150665 A KR20230150665 A KR 20230150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art
support device
cover
root support
plant r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0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광용
Original Assignee
유광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광용 filed Critical 유광용
Priority to KR1020220050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0665A/ko
Publication of KR20230150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066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01G9/122Stakes
    • A01G9/124Means for holding stakes upright in, on, or beside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01G9/128Fixing of plants to supports, e.g. by means of cli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Supports For Plant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는, 제2커버부와 함께 결합되어 하나의 중공형 원기둥 구조를 형성하는 종절단된 파이프 구조이고, 외주면에 다수의 통풍구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며, 제2커버부와 힌지구조에 의해 결속되는 제1커버부; 상기 제1커버부와 함께 결합되어 하나의 중공형 원기둥 구조를 형성하는 종절단된 파이프 구조이고, 외주면에 다수의 통풍구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며, 제1커버부와 힌지구조에 의해 결속되는 제2커버부; 상기 제1커버부와 제2커버부가 서로 맞닿아 연결되는 부분에 각각 장착되고, 서로 맞물려 고정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구조의 커버체결부; 및 상기 제1커버부와 제2커버부가 서로 맞닿아 연결되는 부분에 각각 형성되고, 원형구조로 탈거되어 덩굴성식물의 공중뿌리가 진입할 수 있는 진입통로를 형성하는 공중뿌리진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덩굴성식물의 공중뿌리의 생장을 안정적으로 유도할 수 있고 덩굴성식물의 공중뿌리 성장 뒤 안전하게 탈거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Creeper Root Support Device}
본 발명은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덩굴성식물의 공중뿌리의 생장을 안정적으로 유도할 수 있고 덩굴성식물의 공중뿌리 성장 뒤 안전하게 탈거하여 식재할 수 있으며 화분에 확대 적용 가능한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덩굴성 식물의 경우 줄기뿌리를 성장시켜 별도 마련된 화분에 분리하여 분할재배 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메쉬 구조물을 덩굴성 식물과 인접하여 설치한 후, 덩굴성 식물로부터 생장하여 돌출되는 공중 뿌리를 감싸는 형태로 삽입시켜 공중 뿌리를 안정적으로 생장시키고 있다.
구체적으로, 덩굴성 식물의 경우, 잎과 줄기 사이에 공중 뿌리라고 불리는 뿌리가 나오게 되는데, 이 뿌리를 흙이나 수태 등에 삽입하고 일정수분과 영양분을 공급하면, 뿌리가 성장을 진행하며, 차후에 줄기를 잘라 땅에 심으면, 별도의 개체로 생장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메쉬 구조물의 경우, 지지대 내부에 줄기뿌리를 삽입하여 안정적으로 성장시킬 수는 있으나, 뿌리가 성장한 뒤 삽목을 위해 지지대에서 분리하는 경우 지지대 내부에서 뿌리가 빠지지 않기에 지지대 자체를 가위 등으로 잘라내야만 분리할 수 있다. 이때, 분리하는 과정에서 실 뿌리의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894143호 (등록일자: 2009년04월13일)
본 발명의 목적은, 덩굴성식물의 공중뿌리의 생장을 안정적으로 유도할 수 있고 덩굴성식물의 공중뿌리 성장 뒤 안전하게 탈거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는, 제2커버부와 함께 결합되어 하나의 중공형 원기둥 구조를 형성하는 종절단된 파이프 구조이고, 외주면에 다수의 통풍구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며, 제2커버부와 힌지구조에 의해 결속되는 제1커버부; 상기 제1커버부와 함께 결합되어 하나의 중공형 원기둥 구조를 형성하는 종절단된 파이프 구조이고, 외주면에 다수의 통풍구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며, 제1커버부와 힌지구조에 의해 결속되는 제2커버부; 상기 제1커버부와 제2커버부가 서로 맞닿아 연결되는 부분에 각각 장착되고, 서로 맞물려 고정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구조의 커버체결부; 및 상기 제1커버부와 제2커버부가 서로 맞닿아 연결되는 부분에 각각 형성되고, 원형구조로 탈거되어 덩굴성식물의 공중뿌리가 진입할 수 있는 진입통로를 형성하는 공중뿌리진입구;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는, 상기 제1커버부의 일단부로부터 일체형 구조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고, 제2연장부와 함께 결합되어 하나의 중공형 원기둥 구조를 형성하는 종절단된 파이프 구조이고, 제1커버부의 외경 대지 50 내지 90 %의 외경을 가지는 구조의 제1연장부; 및 상기 제2커버부의 일단부로부터 일체형 구조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고, 제1연장부와 함께 결합되어 하나의 중공형 원기둥 구조를 형성하는 종절단된 파이프 구조이고, 제2커버부의 외경 대지 50 내지 90 %의 외경을 가지는 구조의 제2연장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는, 상기 제1연장부의 하부외주면을 따라 소정 폭을 가지는 밴드 구조로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제2지면고정부와 함께 연속되는 밴드 구조를 형성하며, 하방으로 폭이 좁아지고 상부가 개방된 경사면 구조이며, 덩굴성식물이 식재된 지면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지면고정부; 및 상기 제2연장부의 하부외주면을 따라 소정 폭을 가지는 밴드 구조로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제1지면고정부와 함께 연속되는 밴드 구조를 형성하며, 하방으로 폭이 좁아지고 상부가 개방된 경사면 구조이며, 덩굴성식물이 식재된 지면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지면고정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는, 상기 제1커버부와 제2커버부의 상부 내측에 형성되고, 제1지면고정부와 제2지면고정부를 수용하여 고정할 수 있는 구조이며, 또 다른 제1커법부와 제2커버부과 결속될 수 있는 삽입고정홈;을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는, 상기 제1커버부의 외주면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제1커버부의 연장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위치변경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외주면에 통풍구와 대응되는 위치와 크기의 관통구가 형성되며, 슬라이딩 위치변경에 따라 제1커버부의 통풍구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제1추가커버부; 및 상기 제2커버부의 외주면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제2커버부의 연장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위치변경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외주면에 통풍구와 대응되는 위치와 크기의 관통구가 형성되며, 슬라이딩 위치변경에 따라 제2커버부의 통풍구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제2추가커버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결부는, 상기 제1커버부의 일측 단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고, 측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돌출된 구조이며, 체결고리에 맞물려 결속되는 구조의 체결돌기; 및 상기 제2커버부의 일측 단부에 일전 간격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고, 측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된 고리 구조이며, 체결돌기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는 구조의 체결고리;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는, 상기 제1커버부와 제2커버부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중공형 원기둥 구조의 내부 일측에 장착되고, 중공형 원기둥 구조의 정중앙을 종절단한 반원기둥 구조이며, 중공형 원기둥 구조의 내부 방향을 향하는 측면에 다수의 분사노즐이 상하 높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장착되며, 내부에 양액을 저장하고,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분사노즐을 통해 내부 저장된 양액을 분사하는 양액공급부; 상기 양액공급부의 일측면에 장착되고, 중공형 원기둥 구조의 내부 온도 및 습도를 실시간 측정하여 제어부에 전달하는 검출부; 및 상기 양액공급부의 상단에 장착되고,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와 무선연동하여 사용자로부터 제어값을 입력받으며, 입력된 제어값과 검출부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양액공급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제1커버부, 제2커버부, 커버체결부 및 공중뿌리진입구를 구비함으로써, 덩굴성식물의 공중뿌리의 생장을 안정적으로 유도할 수 있고 덩굴성식물의 공중뿌리 성장 뒤 안전하게 탈거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제1연장부, 제2연장부, 제1지면고정부 및 제2지면고정부를 구비함으로써, 제1커버부와 제2커버부를 결합시켜 하나의 중공형 원기둥 구조를 형성한 후, 제1지면고정부와 제2지면고정부를 이용하여 덩굴성식물이 식재된 토양에 안정적으로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어, 덩굴성식물로부터 생장되는 공중뿌리를 안정적으로 수용하여 보호할 수 있는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제1지면고정부, 제2지면고정부 및 삽입고정홈을 구비함으로써, 제1커버부와 제2커버부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중공형 원기둥 구조를 다수 연결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의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를 구현하 수 있고, 더 나아가 다양한 내경을 가지는 중공형 원기둥 구조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다양한 사이즈의 덩굴성식물에 맞춤적용 할 수 있는 범용 구조를 포함하는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제1추가커버부 및 제2추가커버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제1커버부와 제2커버부에 형성된 통풍구의 개방 수량 및 개방 정도를 변경할 수 있어, 덩굴성식물로부터 생성된 공중뿌리의 생육 조건을 의도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는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체결돌기 및 체결고리를 포함하는 커버체결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의 내부를 손쉽게 개방할 수 있고, 원하는 특정 덩굴성식물에 인접하여 손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내부에 수용하여 생장시킨 공중뿌리를 안전하게 탈거할 수 있는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분사노즐, 양액공급부, 검출부, 제어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생육조건에 맞춤 적용하여 덩굴성식물로부터 생성된 공중뿌리의 생장 환경을 손쉽게 맞춤 구현할 수 있는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덩굴성 식물 지지대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의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의 제1커버부와 제커버부를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를 나타내는 종절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를 나타내는 종절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를 나타내는 종절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의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의 제1커버부와 제커버부를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100)는, 특정 구조의 제1커버부(110), 제2커버부(120), 커버체결부(130) 및 공중뿌리진입구(140)를 구비함으로써, 덩굴성식물의 공중뿌리의 생장을 안정적으로 유도할 수 있고 덩굴성식물의 공중뿌리 성장 뒤 안전하게 탈거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100)의 제1커버부(110)는, 제2커버부(120)와 함께 결합되어 하나의 중공형 원기둥 구조를 형성하는 종절단된 파이프 구조이고, 외주면에 다수의 통풍구(101)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며, 제2커버부(120)와 힌지구조(102)에 의해 결속되는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100)의 제2커버부(120)는, 제1커버부(110)와 함께 결합되어 하나의 중공형 원기둥 구조를 형성하는 종절단된 파이프 구조이고, 외주면에 다수의 통풍구(101)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며, 제1커버부(110)와 힌지구조(102)에 의해 결속되는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체결부(130)는, 제1커버부(110)와 제2커버부(120)가 서로 맞닿아 연결되는 부분에 각각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서로 맞물려 고정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체결부(130)는 특정 구조의 체결돌기(131) 및 체결고리(132)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커버체결부(130)의 체결돌기(131)는, 제1커버부(110)의 일측 단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측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돌출된 구조이며, 체결고리(132)에 맞물려 결속되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체결고리(132)는 제2커버부(120)의 일측 단부에 일전 간격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측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된 고리 구조이며, 체결돌기(131)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체결돌기(131) 및 체결고리(132)를 포함하는 커버체결부(130)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의 내부를 손쉽게 개방할 수 있고, 원하는 특정 덩굴성식물에 인접하여 손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내부에 수용하여 생장시킨 공중뿌리를 안전하게 탈거할 수 있는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중뿌리진입구(140)는, 제1커버부(110)와 제2커버부(120)가 서로 맞닿아 연결되는 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원형구조로 탈거되어 덩굴성식물의 공중뿌리가 진입할 수 있는 진입통로를 형성하는 구조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구조의 제1연장부(111) 및 제2연장부(121)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연장부(111)는 제1커버부(110)의 일단부로부터 일체형 구조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는 구성으로서, 제2연장부(121)와 함께 결합되어 하나의 중공형 원기둥 구조를 형성하는 종절단된 파이프 구조이고, 제1커버부(110)의 외경 대지 50 내지 90 %의 외경을 가지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제2연장부(121)는 제2커버부(120)의 일단부로부터 일체형 구조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는 구성으로서, 제1연장부(111)와 함께 결합되어 하나의 중공형 원기둥 구조를 형성하는 종절단된 파이프 구조이고, 제2커버부(120)의 외경 대지 50 내지 90 %의 외경을 가지는 구조일 수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를 나타내는 종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100)는 특정 구조의 제1지면고정부(112) 및 제2지면고정부(122)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지면고정부(112)는, 제1연장부(111)의 하부외주면을 따라 소정 폭을 가지는 밴드 구조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제2지면고정부(122)와 함께 연속되는 밴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1지면고정부(112)는 하방으로 폭이 좁아지고 상부가 개방된 경사면 구조이며, 덩굴성식물이 식재된 지면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2지면고정부(122)는, 제2연장부(121)의 하부외주면을 따라 소정 폭을 가지는 밴드 구조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제1지면고정부(112)와 함께 연속되는 밴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2지면고정부(122) 하방으로 폭이 좁아지고 상부가 개방된 경사면 구조이며, 덩굴성식물이 식재된 지면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제1연장부(111), 제2연장부(121), 제1지면고정부(112) 및 제2지면고정부(122)를 구비함으로써, 제1커버부(110)와 제2커버부(120)를 결합시켜 하나의 중공형 원기둥 구조를 형성한 후, 제1지면고정부(112)와 제2지면고정부(122)를 이용하여 덩굴성식물이 식재된 토양에 안정적으로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어, 덩굴성식물로부터 생장되는 공중뿌리를 안정적으로 수용하여 보호할 수 있는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커버부(110)와 제2커버부(120)의 상부 내측에 삽입고정홈(113, 123)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삽입고정홈(113, 123)은 제1지면고정부(112)와 제2지면고정부(122)를 수용하여 고정할 수 있는 구조로서, 또 다른 제1커법부와 제2커버부(120)과 결속되는 구조이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제1지면고정부(112), 제2지면고정부(122) 및 삽입고정홈(113, 123)을 구비함으로써, 제1커버부(110)와 제2커버부(12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중공형 원기둥 구조를 다수 연결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의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를 구현하 수 있고, 더 나아가 다양한 내경을 가지는 중공형 원기둥 구조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다양한 사이즈의 덩굴성식물에 맞춤적용 할 수 있는 범용 구조를 포함하는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를 나타내는 종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를 나타내는 종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100)는, 특정 구조의 제1추가커버부(151) 및 제2추가커버부(152)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추가커버부(151)는 제1커버부(110)의 외주면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제1커버부(110)의 연장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위치변경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제1추가커버부(151)는, 외주면에 통풍구(101)와 대응되는 위치와 크기의 관통구(153)가 형성되며, 슬라이딩 위치변경에 따라 제1커버부(110)의 통풍구(101)를 차단하거나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제2추가커버부(152)는 제2커버부(120)의 외주면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제2커버부(120)의 연장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위치변경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제2추가커버부(152)는, 외주면에 통풍구(101)와 대응되는 위치와 크기의 관통구(153)가 형성되며, 슬라이딩 위치변경에 따라 제2커버부(120)의 통풍구(101)를 차단하거나 개방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제1추가커버부(151) 및 제2추가커버부(152)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제1커버부(110)와 제2커버부(120)에 형성된 통풍구(101)의 개방 수량 및 개방 정도를 변경할 수 있어, 덩굴성식물로부터 생성된 공중뿌리의 생육 조건을 의도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는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100)는, 특정 구조의 양액공급부(161), 분사노즐(162), 검출부(163) 제어부(164)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양액공급부(161)는, 제1커버부(110)와 제2커버부(12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중공형 원기둥 구조의 내부 일측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중공형 원기둥 구조의 정중앙을 종절단한 반원기둥 구조이다. 이때, 양액공급부(161)는, 중공형 원기둥 구조의 내부 방향을 향하는 측면에 다수의 분사노즐(162)이 상하 높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장착되며, 내부에 양액을 저장하는 구조일 수 있다. 양액공급부(161)는 제어부(164)의 제어신호에 따라 분사노즐(162)을 통해 내부 저장된 양액을 분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검출부(163)는, 양액공급부(161)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중공형 원기둥 구조의 내부 온도 및 습도를 실시간 측정하여 제어부(164)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64)는, 양액공급부(161)의 상단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와 무선연동하여 사용자로부터 제어값을 입력받으며, 입력된 제어값과 검출부(163)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양액공급부(161)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분사노즐(162), 양액공급부(161), 검출부(163), 제어부(164)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생육조건에 맞춤 적용하여 덩굴성식물로부터 생성된 공중뿌리의 생장 환경을 손쉽게 맞춤 구현할 수 있는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
101: 통풍구
102: 힌지구조
110: 제1커버부
111: 제1연장부
112: 제1지면고정부
113: 삽입고정홈
120: 제2커버부
121: 제2연장부
122: 제2지면고정부
123: 삽입고정홈
130: 커버체결부
131: 체결돌기
132: 체결고리
140: 공중뿌리진입구
151: 제1추가커버부
152: 제1추가커버부
153: 관통구
161: 양액공급부
162: 분사노즐
163: 검출부
164: 제어부

Claims (6)

  1. 제2커버부(120)와 함께 결합되어 하나의 중공형 원기둥 구조를 형성하는 종절단된 파이프 구조이고, 외주면에 다수의 통풍구(101)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며, 제2커버부(120)와 힌지구조(102)에 의해 결속되는 제1커버부(110);
    상기 제1커버부(110)와 함께 결합되어 하나의 중공형 원기둥 구조를 형성하는 종절단된 파이프 구조이고, 외주면에 다수의 통풍구(101)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며, 제1커버부(110)와 힌지구조(102)에 의해 결속되는 제2커버부(120);
    상기 제1커버부(110)와 제2커버부(120)가 서로 맞닿아 연결되는 부분에 각각 장착되고, 서로 맞물려 고정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구조의 커버체결부(130); 및
    상기 제1커버부(110)와 제2커버부(120)가 서로 맞닿아 연결되는 부분에 각각 형성되고, 원형구조로 탈거되어 덩굴성식물의 공중뿌리가 진입할 수 있는 진입통로를 형성하는 공중뿌리진입구(1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는,
    상기 제1커버부(110)의 일단부로부터 일체형 구조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고, 제2연장부(121)와 함께 결합되어 하나의 중공형 원기둥 구조를 형성하는 종절단된 파이프 구조이고, 제1커버부(110)의 외경 대지 50 내지 90 %의 외경을 가지는 구조의 제1연장부(111); 및
    상기 제2커버부(120)의 일단부로부터 일체형 구조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고, 제1연장부(111)와 함께 결합되어 하나의 중공형 원기둥 구조를 형성하는 종절단된 파이프 구조이고, 제2커버부(120)의 외경 대지 50 내지 90 %의 외경을 가지는 구조의 제2연장부(12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는,
    상기 제1연장부(111)의 하부외주면을 따라 소정 폭을 가지는 밴드 구조로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제2지면고정부(122)와 함께 연속되는 밴드 구조를 형성하며, 하방으로 폭이 좁아지고 상부가 개방된 경사면 구조이며, 덩굴성식물이 식재된 지면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지면고정부(112);
    상기 제2연장부(121)의 하부외주면을 따라 소정 폭을 가지는 밴드 구조로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제1지면고정부(112)와 함께 연속되는 밴드 구조를 형성하며, 하방으로 폭이 좁아지고 상부가 개방된 경사면 구조이며, 덩굴성식물이 식재된 지면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지면고정부(122); 및
    상기 제1커버부(110)와 제2커버부(120)의 상부 내측에 형성되고, 제1지면고정부(112)와 제2지면고정부(122)를 수용하여 고정할 수 있는 구조이며, 또 다른 제1커법부와 제2커버부(120)과 결속될 수 있는 삽입고정홈(113, 123);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는,
    상기 제1커버부(110)의 외주면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제1커버부(110)의 연장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위치변경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외주면에 통풍구(101)와 대응되는 위치와 크기의 관통구(153)가 형성되며, 슬라이딩 위치변경에 따라 제1커버부(110)의 통풍구(101)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제1추가커버부(151); 및
    상기 제2커버부(120)의 외주면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제2커버부(120)의 연장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위치변경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외주면에 통풍구(101)와 대응되는 위치와 크기의 관통구(153)가 형성되며, 슬라이딩 위치변경에 따라 제2커버부(120)의 통풍구(101)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제2추가커버부(15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결부(130)는,
    상기 제1커버부(110)의 일측 단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고, 측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돌출된 구조이며, 체결고리(132)에 맞물려 결속되는 구조의 체결돌기(131); 및
    상기 제2커버부(120)의 일측 단부에 일전 간격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고, 측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된 고리 구조이며, 체결돌기(131)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는 구조의 체결고리(13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는,
    상기 제1커버부(110)와 제2커버부(12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중공형 원기둥 구조의 내부 일측에 장착되고, 중공형 원기둥 구조의 정중앙을 종절단한 반원기둥 구조이며, 중공형 원기둥 구조의 내부 방향을 향하는 측면에 다수의 분사노즐(162)이 상하 높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장착되며, 내부에 양액을 저장하고, 제어부(164)의 제어신호에 따라 분사노즐(162)을 통해 내부 저장된 양액을 분사하는 양액공급부(161);
    상기 양액공급부(161)의 일측면에 장착되고, 중공형 원기둥 구조의 내부 온도 및 습도를 실시간 측정하여 제어부(164)에 전달하는 검출부(163); 및
    상기 양액공급부(161)의 상단에 장착되고,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와 무선연동하여 사용자로부터 제어값을 입력받으며, 입력된 제어값과 검출부(163)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양액공급부(16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6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
KR1020220050387A 2022-04-22 2022-04-22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 KR202301506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0387A KR20230150665A (ko) 2022-04-22 2022-04-22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0387A KR20230150665A (ko) 2022-04-22 2022-04-22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0665A true KR20230150665A (ko) 2023-10-31

Family

ID=88543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0387A KR20230150665A (ko) 2022-04-22 2022-04-22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066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143B1 (ko) 2007-07-19 2009-04-22 대한민국 육묘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143B1 (ko) 2007-07-19 2009-04-22 대한민국 육묘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0203688B2 (en) Hydroponics
US7069691B2 (en) Hydroponics plant cultivation assembly for diverse sizes of pots and plants
KR101637227B1 (ko) 딸기재배용 사각포트를 이용한 딸기 재배 시설 및 재배 방법
KR20150130898A (ko) 화분식 묘목 생산용 기구
US6173531B1 (en) Perforated container
KR100894226B1 (ko) 수목 주변 잡초생성억제를 겸한 작물재배용 커버
US20220039329A1 (en) Planter with a removable floor
US5339566A (en) Seedling container
KR20230150665A (ko) 덩굴성식물 뿌리 지지장치
KR101780467B1 (ko) 농작물 지지대
US10624281B2 (en) Drip irrigation device for flower pot
KR101766591B1 (ko) 딸기 육묘와 재배를 겸하는 딸기 고설재배장치에 사용되는 개별육묘포트
WO2018186908A2 (en) Tie-down planter systems and method
KR101548900B1 (ko) 딸기모종용 포트
JP4901424B2 (ja) プランター
KR20140004927U (ko) 식물 재배용기
KR200375590Y1 (ko) 육묘용 포트
JP3231863U (ja) 根鉢付きダブル苗
KR102045705B1 (ko) 생육활성화가 가능한 이식용 식물재배관리기
KR200493718Y1 (ko) 식물 재배용 파이프형 화분
KR101663865B1 (ko) 양액 토양 겸용 화분 및 상기 양액 토양 겸용 화분에 적용되는 화분 받침 부재 및 화분 내부 부재
KR200359219Y1 (ko) 활엽수용 양묘 포트
KR102620968B1 (ko) 자바라스트로우로 양액을 공급하는 비닐하우스용 양액재배장치
JP2014207868A (ja) 植物育成装置および植物育成方法
KR102169932B1 (ko) 작물 재배 또는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