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4226B1 - 수목 주변 잡초생성억제를 겸한 작물재배용 커버 - Google Patents

수목 주변 잡초생성억제를 겸한 작물재배용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4226B1
KR100894226B1 KR1020070084720A KR20070084720A KR100894226B1 KR 100894226 B1 KR100894226 B1 KR 100894226B1 KR 1020070084720 A KR1020070084720 A KR 1020070084720A KR 20070084720 A KR20070084720 A KR 20070084720A KR 100894226 B1 KR100894226 B1 KR 100894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ver
plant
trees
crop culti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4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6754A (ko
Inventor
김병동
Original Assignee
김병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동 filed Critical 김병동
Priority to KR1020070084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4226B1/ko
Publication of KR20070116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6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4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4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93Anchoring means for ground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15Leaf crops, e.g. lettuce or spinac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9/00Root feeders; Injecting fertilisers into the ro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2013/006Protecting plants with perfora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otany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본체는 상협하광 형상의 원추형으로 구성하되, 본체 일면을 소정 간격으로 절개하여 식물의 유입 통로가 될 수 있도록 절개부로 형성하고, 본체 상단부는 식재한 식물의 줄기가 위치하는 공간으로의 활용과 더불어 수목이나 작물의 줄기가 상측으로 부피, 길이생장 함을 고려하여 식물줄기에 해당하는 적절한 너비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이완이 자유로운 연재질의 확장부로 형성하는 한편, 본체 하단부는 그 외주연을 소폭 연장하여서 상측 방향으로 절곡시킨 응집부와, 상기 응집부 내측에 등간격으로 형성한 배수공을 더 마련하여 우천시 또는 기온차에 의한 수분 발생시 자연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보다 많은 유수를 확보하여 식물의 뿌리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며, 지면과 밀착하는 본체 저면에는 다수의 고정핀을 형성하여서 상기 본체를 지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보호덮개, 작물재배용 커버

Description

수목 주변 잡초생성억제를 겸한 작물재배용 커버{The protection-cover that weeds are not grow for a plant}
본 발명은 수목 내지 각종 작물을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여 훼손 없이 생장할 수 있게 유도하는 작물재배용 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재한 농작물 또는 각종 수목 등의 식물 하단부에 설치하여 상기 식물이 발육하기 위한 최적의 환경을 조성함은 물론, 식물 주변에서 번성하는 잡초 제거작업시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식물이 손상될 수 있는 위험요소를 미연에 제거하고, 이로 인해 제초작업 속도 및 작업능률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수목 주변 잡초생성억제를 겸한 작물재배용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잡초는 작물에 비하여 생육이 빠르고 번식력이 강할 뿐 아니라, 종자의 수명도 길어 작물이 차지하는 지면과 공간을 점차적으로 점령하여 양분과 수분을 빼앗게 되고, 경우에 따라 식재한 작물보다 더 크게 번식하게 되면 일광을 차단하여 작물의 광합성 작용을 방해함으로써 작물의 성장을 방해함은 물론, 이렇게 잡초가 우거진 곳은 병균과 벌레의 서식처, 번식처가 되므로 이를 전이시키는 권원이 되어 종국에는 잡초의 종자가 작물의 종자에 섞여 작물의 품질을 저하시키 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작물을 원활하게 생장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작물 주위에서 자라는 잡초를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이러한 잡초를 제거하기 위해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일일이 작물 주위에서 자라고 있는 잡초를 제거하게 되는바, 수작업에 의한 잡초의 제거 방식은 노동력이 많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수작업으로 일일이 잡초의 뿌리까지 제거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어 왔다.
한편으로, 작물의 주위에 번성해 있는 잡초를 제거하기 위하여 제초제를 살포하는 경우, 잡초는 제거할 수 있지만 제초제의 사용으로 인해 토양을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제초제 자체가 유독성을 가져 인간이나 다른 야생 생물들의 생존에도 영향을 미쳐 생태계를 파괴시킬 염려가 있으며, 상기 제초제의 강한 약효에 의해 작물 등이 오히려 고사하거나 유실수의 열매 질이 떨어지게 되고, 또한 제초제의 오랜 사용으로 잡초에 내성이 생겨 제초의 효과를 얻어내지 못하여 결국 제초제 비용은 생산가를 높이게 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이에, 최근에는 기계적인 힘을 이용하여 짧은 시간에 잡초를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한 예초기가 제공되고 있으며, 이러한 예초기는 모터의 동력으로 하여금 날카로운 날을 회전시켜 잡초를 제거하는 방식으로, 작업 속도 및 효율성을 높으나 사고의 위험이 상당하고, 특히 어린 묘목이나 작물 주위에 번성한 잡초제거시 이러한 예초기의 사용은 자칫 잡초와 함께 묘목, 작물 등에도 손상을 줄 수 있는 위험부담이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예초기의 사용시 기기 사용자는 작물 주위의 잡초를 제거 하고자 하는 경우에 작물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더욱 유의하여야만 하고, 이로 인해 작업 속도 및 그 효율성은 현저히 떨어지게 됨에 따라 이러한 제초작업시에도 수목 내지 기타 작물 등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기구가 필요로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수목 내지 각종 작물 외부에 작물재배용 커버를 시설하여 제초작업시 기기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함은 물론, 상기 커버가 씌워진 상태에서도 빗물 등의 수분을 자연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별도의 배수공을 마련함으로써 식재한 작물, 수목 등이 생장하는데 부족함이 없는 식생 공간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본체는 상협하광 형상의 원추형으로 구성하되, 본체 일면을 소정 간격으로 절개하여 식물의 유입 통로가 될 수 있도록 절개부로 형성하고, 본체 상단부는 식재한 식물의 줄기가 위치하는 공간으로의 활용과 더불어 수목이나 작물의 줄기가 상측으로 부피, 길이생장 함을 고려하여 식물줄기에 해당하는 적절한 너비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이완이 자유로운 연재질의 확장부로 형성하는 한편, 본체 하단부는 그 외주연을 소폭 연장하여서 상측 방향으로 절곡시킨 응집부와, 상기 응집부 내측에 등간격으로 형성한 배수공을 더 마련하여 우천시 또는 기온차에 의한 수분 발생시 자연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보다 많은 유수를 확보하여 식물의 뿌리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며, 지면과 밀착하는 본체 저면에는 다수의 고정핀을 형성하여서 상기 본체를 지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첫째, 제초작업시 식물이 손상될 수 있는 위험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되어 제초작업의 속도 및 능률이 크게 향상되고, 식재한 식물이 생장할 경우에도 그 크기에 적합한 공간을 구축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식물이 식생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서는 본체 하단부에 응집부 및 배수공을 더 구성함으로써 본체 내의 온도와 대기온도의 차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수분을 확보하여 자연적으로 배수공을 통해 식물의 뿌리로 공급함에 따라 보다 많은 유수를 확보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충분한 영양분을 수목 내지 작물에 제공하여 더욱 유리한 성장조건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셋째, 작물재배용 커버 본체의 색상을 흰색으로 할 경우 별도로 모종을 할 필요가 없고 파종을 앞당길 수 있으며, 본체의 색상을 황색으로 할 경우에는 까치, 찌르레기 등의 조류 피해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의 커버가 씌워진 작물 내지 수목은 본체의 확장부와 맞물려 줄기가 생장함에 따라 자연적으로 본체 내측에 기생하고 있는 잡초에 빛을 차단하게 되고, 또한 외부 공기 유입을 방해하여 잡초가 더 이상 자라지 못하고 고사하게 된다.
다섯째, 본 발명은 각종 농작물에 적용할 수 있으며, 배추재배용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출하시 상기 커버를 제거하지 않은 상태 그대로 커버에 씌워진 배추를 수 확함으로써 운반을 위해 트럭에 적재된 배추끼리의 직접적인 마찰을 방지하도록 하여 장시간 운송에도 배추 상품의 모양이 변형되거나 배춧잎이 떨어지지 않아 원상태 그대로 보존할 수 있게 되어 상품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수단이 된다.
본 발명은 수목을 포함한 각종 식물을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여 훼손 없이 생장할 수 있게 유도하는 작물재배용 커버에 관련된 것이며, 식재한 농작물 또는 각종 수목 등의 식물 하단부에 설치하여 상기 식물이 발육하기 위한 최적의 환경을 조성함은 물론, 식물 주변에서 번성하는 잡초 제거작업시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식물이 손상될 수 있는 위험요소를 미연에 제거하고, 이로 인해 제초작업 속도 및 작업능률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수목 주변 잡초생성억제를 겸한 작물재배용 커버임을 주지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된 작물재배용 커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된 작물재배용 커버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된 작물재배용 커버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된 작물재배용 커버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작물재배용 커버 본체(11)는 상측 직경이 하측에 비해 협소한 원추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의 일정면을 종으로 소 폭 절개하여 형성한 절개부(17)로 하여금 목표로 하는 식물을 커버 내부에 유입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상기 절개부(17)를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양쪽으로 벌릴 수 있는 구조이어서 목표 식물의 크기만큼 절개부를 확장시켜 그 내측에 식물을 수용할 수 있는 유용한 통로가 된다.
상기 절개부(17)의 확장으로 커버 내측에 해당 식물을 위치시키고 나면, 도면에서와 같이 절개부를 재차 최초 이격된 거리만큼 원상복귀시켜 입구를 봉쇄하게 되고, 식물을 수용한 커버는 본체 최하단면에서 지면과 접촉하는 다수의 고정핀(21)에 의해 견고히 고정된다.
상기 본체(11)의 상단부는 통상 식물의 줄기가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 확장부(13)로 구성하여서 상기 식물이 점차 생장함에 따라 부피 및 길이가 비대해지는 줄기를 완벽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하였는바, 이러한 확장부(13)는 식물 줄기의 크기에 따라 유연하게 이완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본체의 두께보다 더욱 얇게 제작되어 유연성을 가지도록 구성하였다. 이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다.
한편, 상기 본체(11)의 하단부에는 본 발명의 요부인 응집부(19) 및 배수공(15)을 더 형성하여 주변 잡초의 성장은 억제하면서도 작물 또는 수목 등이 발육하는데에는 더욱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게 한다.
상기 응집부(19)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하단면의 외주연을 일정길이 연장하여서 상측 방향으로 절곡시킨 형태이며, 그 내측에는 배수공(15)이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는, 우천시 또는 본체 내에서 광합성을 하는 식물의 온 도와 대기의 온도차에 의해 생성되는 수분을 자연적으로 식물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자칫 식물 표면을 감싸고 있는 상기 커버에 의해 수분이 조달되지 않을 수 있는 가능성에 대비하기 위함이며, 상기 응집부(19)의 공간으로 하여금 비교적 많은 양의 물을 확보하게 되면서 배수공(15)을 통해 흘러들어간 물이나 거름 등이 식물의 뿌리에 조달되어 적합한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 작물재배용 커버의 작용 및 그 효과를 상세히 살펴본다.
본 발명의 본체(11)는 상협하광 형상의 원추형으로 구성하되, 본체 일면을 소정 간격으로 절개하여 식물의 유입 통로가 될 수 있도록 절개부(17)로 형성하고, 본체 상단부는 식재한 식물의 줄기가 위치하는 공간으로의 활용과 더불어 수목이나 작물의 줄기가 상측으로 부피, 길이생장 함을 고려하여 식물줄기에 해당하는 적절한 너비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이완이 자유로운 연재질의 확장부(13)로 형성하는 한편, 본체 하단부는 그 외주연을 소폭 연장하여서 상측 방향으로 절곡시킨 응집부(19)와, 상기 응집부 내측에 등간격으로 형성한 배수공(15)을 더 마련하여 우천시 또는 자체적인 수분 발생시 보다 많은 유수를 확보하여 식물의 뿌리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며, 지면과 밀착하는 본체 저면에는 다수의 고정핀(21)을 형성하여서 상기 본체를 지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작물재배용 커버의 사용양태를 살펴보면, 설치할 작물 또는 나무 등의 식물 아랫부위 지면을 평탄화하고 난 후, 원추형상의 커버 일측면에 형성시킨 절개부(17)를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작물 내지 나무 등의 식물줄기 직경보다 넓게 확장시켜 상기 커버 내측으로 해당 식물을 유입시키고, 이와 동시에 도 3에서처럼 식물의 줄기가 확장부(13)에 일치시켜 상기 줄기가 확장부를 경유하여 돌출되도록 시설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커버의 확장부(13)에 작물 또는 나무의 줄기가 위치되고 해당 식물이 완벽하게 커버에 수용되는 과정을 종료하게 되면, 상기 본체의 하단부 저면에 형성된 다수의 고정핀(21)을 지면상에 고정함으로써 모든 과정을 마치게 된다. 이때, 식물의 유입을 위해 작업자가 힘을 가하여 확장시킨 절개부(17)는 가해준 압력이 해제되면 자연스럽게 원상태로 복귀하게 되면서 최초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의 과정을 마친 식물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부피생장 및 길이생장을 하고, 이로 인해 확장부(13)는 비대해지는 식물 줄기의 팽창과 더불어 줄기의 늘어난 부피만큼 유연하게 확장됨으로써 주변 잡초의 생장은 억제하면서도 식물의 생장에는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게 된다. 특히, 식재된 상기의 식물들은 이후 오랜 시간 동안 보호받으면서 각종 영양분을 제공받아야 하는바, 본 발명에서는 본체의 하단부를 상측으로 절곡시켜 소정의 홈을 갖도록 구성한 응집부(19)를 더 마련하여 상대적으로 보다 많은 수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렇게 확보된 수분은 응집부 내측에 등간격으로 형성시킨 배수공(15)으로 흘러들어가 식물에 전달된다.
한편, 첨부도면 4는 본 발명이 작물에 적용될 수 있음을 쉽게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또 다른 실시예로, 도면에서와 같이 배추를 본 발명의 커버 내측으로 수용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은 작용 및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배추재배시 본 발명의 커버를 배추로부터 제거하지 않은 상태로 수확하게 되면 배추 표 면을 감싸고 있는 커버로 인해 운송중에 타 상품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아 훼손으로부터 보호하여 상품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작물재배용 커버의 본체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 있는 원형뿐만 아니라,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선택적으로 삼가, 사각 등의 다각형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그 색상 또한 출하시기 조절 및 조류 퇴치 등을 위해 흰색 또는 황색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각종 식물의 주위에 기생하는 잡초의 성장은 억제하고, 더불어 번성한 잡초의 제거시 해당 식물과의 간섭을 미연에 방지하며, 식재된 식물에는 보다 유리한 환경을 구현하여 식물의 발육을 돕기에 유용한 것으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환,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된 작물재배용 커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된 작물재배용 커버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된 작물재배용 커버의 사용상태도.
도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에 의하여 구성된 작물재배용 커버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본체 13. 확장부
15. 배수공 17. 절개부
19. 응집부 21. 고정핀
30. 커버

Claims (4)

  1. 본체는 상협하광 형상의 원추형으로 구성되며, 상하를 개방되게 하는 개구부; 상기 본체를 식물의 기둥에 끼울 수 있도록 일면을 절개한 절개부; 상기 본체에 식물의 성장에 따라 굵어지는 기둥에 의해 본체의 상측이 자유롭게 이완될 수 있도록 한 확장부; 상기 본체를 지면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본체의 저면에 형성되는 고정핀;으로 구성되는 수목 주변 잡초생성억제를 겸한 작물재배용 커버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수분 및 수증기가 응집될 수 있도록 상협하광으로 이루어지는 하단부를 외측방향으로 절곡하여 구성되는 응집부;와,
    상기 응집부에 발생된 수분 및 수증기를 본체 내의 수목 또는 작물에 자연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응집부의 저면 내측으로 다수 개 형성되는 배수공;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주변 잡초생성억제를 겸한 작물재배용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를 투명한 흰색 또는 황색으로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주변 잡초생성억제를 겸한 작물재배용 커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배추재배용으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주변 잡초생성억제를 겸한 작물재배용 커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를 원형, 삼각, 사각, 다각형 등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주변 잡초생성억제를 겸한 작물재배용 커버.
KR1020070084720A 2007-08-23 2007-08-23 수목 주변 잡초생성억제를 겸한 작물재배용 커버 KR100894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4720A KR100894226B1 (ko) 2007-08-23 2007-08-23 수목 주변 잡초생성억제를 겸한 작물재배용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4720A KR100894226B1 (ko) 2007-08-23 2007-08-23 수목 주변 잡초생성억제를 겸한 작물재배용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6754A KR20070116754A (ko) 2007-12-11
KR100894226B1 true KR100894226B1 (ko) 2009-04-20

Family

ID=39142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4720A KR100894226B1 (ko) 2007-08-23 2007-08-23 수목 주변 잡초생성억제를 겸한 작물재배용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422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47364A2 (ko) * 2009-06-15 2010-12-23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전기 침투식 슬러지 감량장치
KR200459470Y1 (ko) 2009-09-14 2012-03-27 고인석 나무 뿌리 성장 유도기
KR20220077555A (ko) 2020-12-02 2022-06-09 이동주 어린 농작물 보호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4082B1 (ko) * 2016-10-17 2018-07-31 손창규 잡초 생장 억제용 덮개
KR101878122B1 (ko) * 2018-03-26 2018-07-12 이승우 잡초 성장억제용 덮개
CN110754250A (zh) * 2019-12-03 2020-02-07 怀化市鹤翔生态农业股份有限公司 一种果树栽培装置
CN111937660B (zh) * 2020-09-15 2022-05-17 马鞍山万森园林绿化工程有限公司 一种市政用树木防冻装置及其安装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1980U (ko) * 1989-10-23 1991-06-18
JPH10191807A (ja) 1997-01-13 1998-07-28 Sunny Sangyo Kk 雑草防止用カバ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1980U (ko) * 1989-10-23 1991-06-18
JPH10191807A (ja) 1997-01-13 1998-07-28 Sunny Sangyo Kk 雑草防止用カバ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47364A2 (ko) * 2009-06-15 2010-12-23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전기 침투식 슬러지 감량장치
WO2010147364A3 (ko) * 2009-06-15 2011-04-21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전기 침투식 슬러지 감량장치
KR200459470Y1 (ko) 2009-09-14 2012-03-27 고인석 나무 뿌리 성장 유도기
KR20220077555A (ko) 2020-12-02 2022-06-09 이동주 어린 농작물 보호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6754A (ko) 2007-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lada et al. Suggested cultural practices for bitter gourd
KR100894226B1 (ko) 수목 주변 잡초생성억제를 겸한 작물재배용 커버
CN103039242A (zh) 一种玉米无公害高产栽培的方法
JP3170682U (ja) 植物の成育管理装置
KR100906406B1 (ko) 채소류 생장 보호구
KR101780467B1 (ko) 농작물 지지대
JP2005192431A (ja) 紙を活用した直蒔き水稲種子の栽培法
Butcaru et al. Cultivation technology of organic roses for petal production.
Erez et al. Temperature and chemical effects on competing sinks in peach bud break
KR200431221Y1 (ko) 잡초방지용 덮개
Traynor Sweet potato: production guide for the top end
KR20190108704A (ko) 잡초 성장억제용 덮개
KR200422325Y1 (ko) 작물 및 과수목 보호용 커버
KR20110075194A (ko) 수목(樹木) 하부의 잡초 방제용 덮개
FI106091B (fi) Menetelmä pellon metsittämiseen
Harden et al. Tree Seedling Planting Guide
Reddy et al. Good Horticultural Practices (GHP) for effective resource conservation and productivity in vegetables
Boyhan et al. Green onions: commercial vegetable production
KR20160118704A (ko) 친환경 농작물 재배를 위한 잡초성장차단용 포대
Roper et al. Almonds in the Home Garden
Aman Problems and challenges in managing field genebank
GB2488621A (en) Combined rake and hoe
Mansour et al. Grow your own tomatoes
RU2130703C1 (ru) Способ борьбы с сорной растительностью на плантациях земляники
KR20100006295A (ko) 농작물 성장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