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9412A - 미닫이 창호용 완충 스토퍼 - Google Patents

미닫이 창호용 완충 스토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9412A
KR20230149412A KR1020220048585A KR20220048585A KR20230149412A KR 20230149412 A KR20230149412 A KR 20230149412A KR 1020220048585 A KR1020220048585 A KR 1020220048585A KR 20220048585 A KR20220048585 A KR 20220048585A KR 20230149412 A KR20230149412 A KR 20230149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buffer
window frame
sliding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8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퍼넥스이노베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퍼넥스이노베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퍼넥스이노베이션
Priority to KR1020220048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9412A/ko
Publication of KR20230149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94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05Y2201/212Buff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24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5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fixed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틀의 가이드 레일과 창짝의 미끄럼 레일의 높낮이에 상관없이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미닫이 창호용 완충 스토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창호의 창짝을 열 때 가해지는 기계적인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창짝의 측면에 부착되고, 하면의 가운데에 창호틀의 가이드 레일을 삽입하기 위한 레일홈이 형성된 버퍼 및 상기 레일홈의 개구 면적을 임의로 조절하여 창호틀의 가이드 레일과 창짝의 미끄럼 레일 사이로 외기나 벌레의 유입을 막기 위해 상기 버퍼에 수동적 조작으로 오르내리게 설치된 가변셔터를 포함하는 미닫이 창호용 완충 스토퍼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미닫이 창호용 완충 스토퍼{CUSHION STOPPER FOR SLIDING WINDOWS AND DOORS}
본 발명은 창호틀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미끄러져 이동하는 창짝을 열 때 그의 충격을 완충하기 위하여 창짝의 측면에 붙이는 미닫이 창호용 완충 스토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창호틀의 가이드 레일과 창짝의 미끄럼 레일의 높낮이 차이에 상관없이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고, 창호틀의 가이드 레일과 창짝의 미끄럼 레일 사이의 틈을 통한 외부 공기나 먼지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기밀성과 수밀성 및 단열성을 높일 수 있는 미닫이 창호용 완충 스토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닫이(sliding door) 방식의 창호(Windows and Doors)는 문이나 창을 옆으로 강하게 밀어서 열 때 손잡이나 크리센트(crescent) 따위의 하드웨어가 창호틀에 부딪혀서 파손되거나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창호틀의 가이드 레일 상에는 창호가 열리는 유효 면적을 일정한 범위 내로 제한하는 스토퍼를 장착하고 있고, 이와 대향하는 창짝의 측면에는 창짝을 열 때의 충격을 완충하고 창호틀과 창짝 사이에 손가락 끼임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른바 완충 스토퍼를 부착하여 사용하고 있다.
즉, 창호틀에 고정하는 스토퍼는 문이나 창을 문틀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옆으로 밀어서 열 때 일정한 거리 이상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여 창호의 손잡이나 크리센트 등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창짝의 측면에 부착하는 완충 스토퍼는 창호의 개폐 시 충격을 흡수하여 소음을 줄일 수 있다.
근래에 창호틀의 가이드 레일과 이에 대응하는 창짝의 미끄럼 레일(sliding channel) 사이의 틈을 통해 외기나 벌레가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구조의 완충 스토퍼가 제안된 바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짝(20)의 측면에 결합되어 창짝(20)의 개폐 시 창틀프레임(10)과의 충돌에 따른 충격을 완화하고, 창틀프레임(10)의 레일(11)과 창짝(20)의 레일홈(21) 사이의 틈을 막아 외기의 유입을 방지하는 '창짝 마감용 스토퍼'가 개시되어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창짝(20)의 측면에 끼움 결합되는 마감부재(110) 및 레일홈(21)의 내벽(21a)에 끼워서 마감부재(110)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클립(120)으로 구성되며, 특히 마감부재(110)의 안쪽에는 삽입홈(111)이 형성되어 있고, 그 삽입홈(111) 앞쪽에는 창짝(20)의 레일홈(21)과의 틈새로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착홈(115)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안착홈(115)에는 창틀프레임(10)의 레일(11)을 감싸는 절개홈(117)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창짝(20)의 레일홈(21)과 창틀프레임(10)의 상부 및 하부 레일(11) 간에 끼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소정의 여유틈새와 조립공차가 적용되는 특성상 창호틀(10)의 가이드 레일(11)과 창짝(20)의 미끄럼 레일(21)의 다양한 형태, 크기 및 윤곽 등 종류에 맞춰서 마감부재(110)를 각기 다르게 제조한 후 개개의 종류에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호환성 및 범용성이 상당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자가 보유하거나 본 발명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히며, 아울러 종래기술에서의 도면 부호는 본 발명에서의 도면 부호와 상호 무관한 것이다.
KR 10-2177820 B1(2020.11.05) KR 10-1775997 B1(2017.09.01) KR 10-2055623 B1(2019.12.09) KR 10-2100231 B1(2020.04.07) KR 10-2258791 B1(2021.05.25) KR 10-2335902 B1(2021.12.01)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함과 동시에 기존의 미닫이 창호용 완충 스토퍼 기술이 지닌 기술적 한계 및 문제점들을 해결하려는 발상에서, 창호틀의 가이드 레일과 창짝의 미끄럼 레일의 다양한 형태와 크기 및 윤곽(모양), 높낮이 차이에 상관없이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창호틀의 가이드 레일과 창짝의 미끄럼 레일 사이 틈을 통해 외기나 이물질 및 벌레가 유입되는 것을 확실하게 차단하여 기밀성과 수밀성 및 단열성을 높일 수 있고, 아울러 별도의 체결용 부재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구성 부품을 쉽고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나아가 창호를 열 때 부딪히는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미닫이 창호용 완충 스토퍼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다양한 창호에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미닫이 창호용 완충 스토퍼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구성 부품 간 조립의 용이성을 향상시키고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는 미닫이 창호용 완충 스토퍼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착상을 구체화하면서 특정의 기술적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태양(aspect)에 따른 구체적인 수단은, 창호의 창짝을 열 때 가해지는 기계적인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창짝의 측면에 부착되고, 하면의 가운데에 창호틀의 가이드 레일을 삽입하기 위한 레일홈이 형성된 버퍼 및 상기 레일홈의 개구 면적을 임의로 조절하여 창호틀의 가이드 레일과 창짝의 미끄럼 레일 사이로 외기나 벌레의 유입을 막기 위해 상기 버퍼에 수동적 조작으로 오르내리게 설치된 가변셔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버퍼는, 하부의 가운데에 상기 레일홈을 이루는 제1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개구를 중심으로 양쪽에 각각 관통구멍이 형성된 커버부재, 탄성체로 이루어져 상기 커버부재의 내부에 삽입 장착되고, 하부의 가운데에 상기 레일홈을 이루는 제2개구가 형성되고, 안쪽에 상기 가변셔터의 승강을 안내하는 미끄럼안내부가 형성되고, 전면의 양쪽에 각각 상기 커버부재의 관통구멍을 통해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접촉부가 형성되며, 후면의 테두리에 창짝의 측면에 밀착하기 위한 플랜지부가 형성된 완충부재 및 상기 완충부재와 끼워맞춤으로 결합되고, 하부의 가운데에 상기 레일홈을 이루는 제3개구가 형성되고, 후면의 가운데에 창짝의 측면에 뚫린 구멍 속에 탄성 변형으로 끼워서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후크형 탄성결합부가 돌출 형성된 고정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호용 완충 스토퍼를 제시한다.
아울러 가변셔터는, 상기 완충부재의 미끄럼안내부를 따라 수동적 조작으로 오르내리어 위치를 조절하는 슬라이더부재, 창호틀의 가이드 레일에 탄력적으로 밀착하기 위해 탄성체로 이루어져 상기 슬라이더부재의 하부에 장착된 풍지부재 및 상기 풍지부재의 고정 상태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슬라이더부재의 후면에 장착된 홀딩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호용 완충 스토퍼를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창호틀의 가이드 레일과 창호의 미끄럼 레일의 다양한 형태와 크기 및 윤곽(모양), 높낮이 차이에 상관없이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창호틀의 가이드 레일과 창짝의 미끄럼 레일 사이의 틈을 통해 외기나 이물질 및 벌레가 유입되는 것을 확실하게 차단하여 기밀성과 수밀성 및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은, 상기 미끄럼안내부의 양쪽 내벽에 각각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부재의 위치를 설정하는 스토퍼홈 및 상기 슬라이더부재의 양쪽 측면에 각각 탄성 변형 가능하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홈들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끼어 물려서 상기 슬라이더부재가 자유로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돌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가변셔터의 높낮이를 창호의 미끄럼 레일의 형태와 크기 및 윤곽(모양)에 따라 알맞게 더욱 안정적으로 조절하고, 그 조절된 상태 및 위치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은, 상기 미끄럼안내부의 양쪽 내벽에 각각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부재의 위치 조절 범위를 설정하는 가이드 슬롯, 상기 슬라이더부재의 전면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가변셔터의 상하 방향으로 오르내리는 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손잡이 및 상기 슬라이더부재의 양쪽 측면에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슬롯에 탄력적으로 끼워져 상기 슬라이더부재의 승강 작동을 제한하고 이탈을 방지하는 래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가변셔터의 슬라이딩 이동이 더욱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버퍼와의 결합력 및 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
나아가 별도의 체결용 부재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구성 부품을 쉽고 간편하게 조립하여 창호에 부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성 부품 간의 내구성을 강화하여 창호를 열 때 발생하는 충격이 전달되더라도 분리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특유한 해결 수단이 기초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실시 예(embodiment)에 따르면, 버퍼에 대하여 가변셔터의 높낮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창호틀의 가이드 레일과 창호의 미끄럼 레일의 다양한 형태와 크기 및 윤곽(모양), 높낮이 차이 등에 상관없이 그 레일홈의 개구 면적을 적당하게 설정하여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즉, 가변셔터의 위치를 창호틀의 가이드 레일에 밀착력 있게 최적인 높이로 조절하여 장치할 수 있으므로 창호틀의 가이드 레일과 창짝의 미끄럼 레일 사이의 틈을 통해 외기나 이물질 및 벌레가 유입되는 것을 확실하게 차단하여 기밀성과 수밀성 및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창호틀의 가이드 레일과 창호의 미끄럼 레일에 맞는 다양하고 적절한 크기(size) 별로 구분하여 여러 개를 제작 및 마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생산 효율성을 증대시킴은 물론 사용의 용이성과 활용성을 극대화하며, 그에 따른 경제성 및 제품의 차별화로 상품성을 제고하는 등 사용상의 편익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체결용 부재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쉽고 간편하게 조립하여 창짝에 부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성 부품 간의 결합 상태와 내구성을 강화하여 창호를 열 때 발생하는 충격 등의 외력이 전달되더라도 구성 부품이 분리 및 파손됨 없이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미닫이 창호용 완충 스토퍼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닫이 창호용 완충 스토퍼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닫이 창호용 완충 스토퍼를 구성하는 주요 요소 중 가변셔터가 완전히 열린 상태를 나타낸 배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닫이 창호용 완충 스토퍼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닫이 창호용 완충 스토퍼를 구성하는 주요 요소 중 가변셔터가 완전히 닫히고 고정부재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배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닫이 창호용 완충 스토퍼를 구성하는 주요 요소 중 가변셔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닫이 창호용 완충 스토퍼를 확대하여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닫이 창호용 완충 스토퍼를 창호의 창짝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국부 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될 수 있고, 그 도면상의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또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거나 가진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설시(說示)하는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상측, 하측, 전후, 좌우 등의 용어는 각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로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거나 지칭하고,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폭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명명하거나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에서 제2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 있고, 또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닫이 창호용 완충 스토퍼를 구성하는 주요 요소는 크게 버퍼(100) 및 가변셔터(200)를 포함하고 있다.
버퍼(100)는 창짝(W)을 열 때 발생하는 운동에너지를 흡수하여 창짝(W)에 가해지는 기계적인 충격을 완화하는 작용을 하기 위해 창짝(W)의 측면에 부착하는 것으로, 충격 흡수 및 소음 차단 효과를 갖는 합성수지, 합성고무 등으로 성형하여 이루어져 있고, 그 하면의 가운데에는 길이 방향으로 창호틀(F)의 가이드 레일(R)을 삽입하기 위한 레일홈(10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레일홈(101)은 창짝(W)을 개폐 시 움직이거나 간섭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이드 레일(R) 및 창짝(W)의 미끄럼 레일(S) 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단면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레일홈(101)의 단면 모양은 창짝(W)의 미끄럼 레일의 단면 모양과 같이 마치 '∩'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레일홈(101)의 좌우 폭은 창호틀(F)의 가이드 레일(R) 및 창짝(W)의 미끄럼 레일(S)이 갖는 다양한 폭 및 크기에 상관없이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 자연스럽게 끼워지도록 하기 위해 그 가이드 레일(R) 및 미끄럼 레일(S)의 폭보다 약간 더 넓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버퍼(100)는 구체적으로 커버부재(110)와 완충부재(120) 및 고정부재(130)로 구성되어 있다.
커버부재(110)는 합성수지 등으로 성형하여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 그 하부의 가운데 부분에는 레일홈(101)을 이루는 제1개구(111)가 형성되어 있고, 그 제1개구(111)를 중심으로 양쪽에는 각각 관통구멍(112)이 뚫려 있다.
그리고 커버부재(110)의 상부 중 완충부재(120)와 대향하는 면에는 완충부재(120)와의 결합 상태를 지지하는 지지돌기(미부호)가 다수 형성되어 있다.
완충부재(120)는 창짝(W)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 및 완화하기 위해 합성고무 등의 탄성체로 성형하는 것으로, 그 한쪽의 일부분이 커버부재(110)의 내부에 끼워져 결합되어 있고, 하부의 가운데 부분에는 레일홈(101)을 이루는 제2개구(12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완충부재(120)의 안쪽에는 가변셔터(200)의 원활한 승강 작동을 안내하는 미끄럼안내부(122)가 형성되어 있고, 전면의 제2개구(121)를 중심으로 양쪽에는 창호틀(F)이나 가이드 레일(R) 상에 고정되는 스토퍼 등에 닿는 면적을 줄이면서 완충력을 높이기 위해 커버부재(110)의 관통구멍(112)을 통해 각각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접촉부(123)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접촉부(123)는 창호틀(F)이나 창호틀(F)의 가이드 레일(R) 상에 고정된 스토퍼 등에 가장 먼저 부딪히도록 레일홈(101)을 중심으로 양쪽에 대칭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완충부재(120)의 후면 테두리에는 창짝(W)의 측면에 밀착하기 위한 플랜지부(12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미끄럼안내부(122)의 양쪽 내벽에는 가변셔터(200)의 높낮이, 즉 슬라이더부재(210)의 위치를 설정하여 레일홈(101)의 개구 면적을 조절하기 위한 스토퍼홈(125)이 각각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스토퍼홈(125)의 단면 모양은 반원 모양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완충부재(120)의 후면 상부에는 창짝(W)의 측면에 뚫린 구멍 속에 압입하여 버퍼(100)가 움직이거나 이탈되지 않게 고정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압입결합부(126)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미끄럼안내부(122)의 양쪽 내벽 중 일부분에는 각각 슬라이더부재(210)의 위치 조절 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가이드 슬롯(127)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뚫려 있다.
고정부재(130)는 합성수지 등으로 성형하여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 완충부재(120)의 안쪽으로 밀어넣어 고정하는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고, 그 하부의 가운데 부분에는 레일홈(101)을 이루는 제3개구(131)가 형성되어 있다.
즉, 고정부재(130)는 가변셔터(200)가 이탈되지 않도록 잡아주기 위해 완충부재(120)와 슬라이딩 끼움 및 후크 잠금 방식으로 체결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부재(130)의 후면 가운데 부분에는 창짝(W)의 측면에 뚫린 구멍 속에 탄성 변형으로 끼워서 결합 상태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후크형 탄성결합부(132)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즉, 탄성결합부(132)는 창짝(W)의 구멍 속으로 완전히 압입되면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여 빠지지 않게 잡아주는 후크(hook) 모양의 돌기를 바깥쪽 둘레에 갖는 형상으로 제3개구(131)의 위쪽에 형성되어 있다.
가변셔터(200)는 레일홈(101)의 개구 면적을 임의로 조절하여 창호틀(F)의 가이드 레일(R)과 창짝(W)의 미끄럼 레일(S) 사이의 틈으로 외기나 벌레의 유입을 막기 위해 버퍼(100)의 내부에 설치하는 것으로, 버퍼(100)의 미끄럼안내부(122)를 따라 수동적 조작으로 오르내리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가변셔터(200)는 구체적으로 슬라이더부재(210)와 풍지부재(220) 및 홀딩부재(230)로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더부재(210)는 완충부재(120)의 미끄럼안내부(122)를 따라 수동적 조작으로 오르내리어 위치가 조절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더부재(210)는 그 안쪽에 위치하는 풍지부재(220)가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잡아주기 위해 일정한 면적을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더부재(210)의 양쪽 측면에는 각각 탄성 변형 작용으로 스토퍼홈(125)들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끼어 물리면서 슬라이더부재(210)가 자유로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돌기(21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스토퍼돌기(211)는 외력을 받을 시 탄성 변형이 탄력적으로 일어나고, 이와 대응하는 스토퍼홈(125)에 완전히 삽입되면 원래의 상태로 복원 및 복귀되어 스토퍼홈(125)과 물리는 접촉 상태를 유지하여 가변셔터(200)가 버퍼(100)에 대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 및 구속한다.
여기서 스토퍼돌기(211)의 단면 모양은 스토퍼홈(125)의 단면 모양과 대응되게 반원기둥 모양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슬라이더부재(210)의 전면 하부에는 가변셔터(200)의 상하 방향으로 오르내리는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21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더부재(210)의 양쪽 측면에는 각각 가이드 슬롯(127)에 탄력적으로 끼워져 슬라이더부재(210)의 승강 이동 범위를 제한하고 이탈을 방지하는 래치(21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슬라이더부재(210)의 하부에는 풍지부재(220)를 끼워서 고정하기 위한 고정돌기(214)가 형성되어 있다.
풍지부재(220)는 탄성체로 하여 판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창호틀(F)의 가이드 레일(R)에 탄력적으로 밀착하기 위해 슬라이더부재(210)의 하부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풍지부재(220)의 상부에는 슬라이더부재(210)의 고정돌기(214)에 끼워서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고정구멍(221)이 뚫려 있다.
즉, 풍지부재(220)는 슬라이더부재(210)와 홀딩부재(230)의 사이에 상부가 삽입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풍지부재(220)는 창호틀(F)의 가이드 레일(R)과 창짝(W)의 미끄럼 레일(S) 사이의 틈을 기밀하게 차단하여 외기나 벌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 창짝(W)의 개폐에 따른 마찰로 창호틀(F) 중 가이드 레일(R)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창호틀(F)의 가이드 레일(R)에 접촉 시 탄성 변형 작용으로 유연하게 휘어져 밀착되는 실리콘 등과 같은 연질의 합성수지 또는 모헤어 (mohair)나 EPDM, 고무, 폴리에틸렌 등과 같이 충격흡수력과 탄성력이 뛰어난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풍지부재(220)의 하부는 창호틀(F)의 가이드 레일(R) 상부 단면과 대응하는 형상과 함께 창호틀(F)의 가이드 레일(R)과 밀착이 한층 더 자연스럽고 원활하고 기밀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절개하여 여러 부분으로 나눈 모양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홀딩부재(230)는 풍지부재(220)의 고정된 상태를 지지하기 위해 슬라이더부재(210)의 후면에 끼워맞춤으로 결합되어 있다.
즉, 홀딩부재(230)는 슬라이더부재(210) 안에 삽입된 풍지부재(220)를 덮듯이 고정하기 위해 풍지부재(22)보다 큰 판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양쪽 테두리 부분은 슬라이더부재(210)의 양쪽 테두리 부분과 후크 잠금 방식으로 체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닫이 창호용 완충 스토퍼는 창호틀(F)의 가이드 레일(R)과 창호(W)의 미끄럼 레일(S)의 형태와 크기 및 윤곽(모양), 높낮이 차이 등에 따라 가변셔터(200)의 높낮이를 임의로 조절하여 레일홈(101)의 개구 면적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창짝(W)의 상부 및 하부 측면에 부착한 상태에서 창호틀(F)의 가이드 레일(R) 위쪽에서 가변셔터(200)의 손잡이(212)를 잡고 아래로 일정한 힘 이상으로 가압하거나 누르면 버퍼(100)의 미끄럼안내부(122)를 따라 미끄러지듯이 하강하여 레일홈(101)을 단계적으로 폐쇄함과 동시에 가변셔터(200)의 풍지부재(220)가 창호틀(F)의 가이드 레일(R) 상단과 접촉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가이드 레일(R)의 상부에 자연스레 밀착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가변셔터(200)의 스토퍼돌기(211)는 미끄럼안내부(122)와의 접촉 간섭으로 인해 안쪽을 향해 오므라졌다가 버퍼(100)의 스토퍼홈(125)에 위치하면 탄성에 의한 복원력 작용으로 원래대로 벌어지면서 그 스토퍼홈(125) 속에 끼워져 물리고, 이렇게 되면 버퍼(100)의 스토퍼홈(125)과 가변셔터(200)의 스토퍼돌기(211) 상호 간의 정지마찰에 의한 체결력으로 인해 가변셔터(200)의 높낮이가 조절된 상태, 즉 가변셔터(200)의 위치가 창호틀(F)의 가이드 레일(R)과 창짝(W)의 미끄럼 레일(S) 사이의 틈을 기밀하게 차단하기에 충분하고 최적인 높이로 조절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닫이 창호용 완충 스토퍼는 창짝(W)에 부착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가변셔터(200)의 높낮이를 단계적으로 변경하여 조절함으로써 레일홈(101)의 개구 면적을 적당하게 설정할 수 있어 창호틀(F)의 가이드 레일(R)과 창호(W)의 미끄럼 레일(S)의 다양한 형태와 크기 및 윤곽(모양), 높낮이 차이에 상관없이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즉, 창호틀(F)의 가이드 레일(R)에 가변셔터(200)의 위치를 밀착력 있게 조절하여 장치할 수 있어 창호틀(F)의 가이드 레일(R)과 창짝(W)의 미끄럼 레일(S) 사이의 틈을 통해 외기나 이물질 및 벌레가 유입되는 것을 확실하게 차단함으로써 기밀성과 수밀성 및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버퍼(100)의 탄성결합부(132)와 압입결합부(126)를 억지끼움 방식으로 창짝(W)의 측면에 박아 넣음으로써 버퍼(100)가 창짝(W)에 안정적으로 결합되므로 별도의 체결용 부재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원터치 방식으로 쉽고 간편하게 창짝(W)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버퍼(100)와 가변셔터(200)를 별도의 체결용 부재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쉽고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어 잦은 사용에 따른 풍지부재(220)의 마모나 파손이 발생할 경우 간편하게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버퍼(100)와 가변셔터(200)를 구성하는 부품 간의 결합 상태와 내구성을 강화하여 창호를 열 때 발생하는 충격 등의 외력이 전달되더라도 구성 부품이 분리 및 파손됨 없이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embodiment)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변형하고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변형하고 응용하는 것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0: 버퍼 101: 레일홈
110: 커버부재 111: 제1개구
112: 관통구멍 120: 완충부재
121: 제2개구 122: 미끄럼안내부
123: 접촉부 124: 플랜지부
125: 스토퍼홈 126: 압입결합부
127: 가이드 슬롯 130: 고정부재
131: 제3개구 132: 탄성결합부
200: 가변셔터 210: 슬라이더부재
211: 스토퍼돌기 212: 손잡이
213: 래치(latch) 220: 풍지부재
230: 홀딩부재

Claims (3)

  1. 창호의 창짝(W)을 열 때 가해지는 기계적인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창짝(W)의 측면에 부착되고, 하면의 가운데에 창호틀(F)의 가이드 레일(R)을 삽입하기 위한 레일홈(101)이 형성된 버퍼(100); 및
    상기 레일홈(101)의 개구 면적을 임의로 조절하여 창호틀(F)의 가이드 레일(R)과 창짝(W)의 미끄럼 레일(S) 사이로 외기나 벌레의 유입을 막기 위해 상기 버퍼(100)에 수동적 조작으로 오르내리게 설치된 가변셔터(200);
    를 포함하되,
    상기 버퍼(100)는,
    하부의 가운데에 상기 레일홈(101)을 이루는 제1개구(111)가 형성되고, 상기 제1개구(111)를 중심으로 양쪽에 각각 관통구멍(112)이 형성된 커버부재(110);
    탄성체로 이루어져 상기 커버부재(110)의 내부에 삽입 장착되고, 하부의 가운데에 상기 레일홈(101)을 이루는 제2개구(121)가 형성되고, 안쪽에 상기 가변셔터(200)의 승강을 안내하는 미끄럼안내부(122)가 형성되고, 전면의 양쪽에 각각 상기 커버부재(110)의 관통구멍(112)을 통해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접촉부(123)가 형성되며, 후면의 테두리에 창짝(W)의 측면에 밀착하기 위한 플랜지부(124)가 형성된 완충부재(120); 및
    상기 완충부재(120)와 끼워맞춤으로 결합되고, 하부의 가운데에 상기 레일홈(101)을 이루는 제3개구(131)가 형성되고, 후면의 가운데에 창짝(W)의 측면에 뚫린 구멍 속에 탄성 변형으로 끼워서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후크형 탄성결합부(132)가 돌출 형성된 고정부재(130);
    로 구성되고,
    상기 가변셔터(200)는,
    상기 완충부재(120)의 미끄럼안내부(122)를 따라 수동적 조작으로 오르내리어 위치가 조절되는 슬라이더부재(210);
    창호틀(F)의 가이드 레일(R)에 탄력적으로 밀착하기 위해 탄성체로 이루어져 상기 슬라이더부재(210)의 하부에 장착된 풍지부재(220); 및
    상기 풍지부재(220)의 고정 상태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슬라이더부재(210)의 후면에 장착된 홀딩부재(23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호용 완충 스토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안내부(122)의 양쪽 내벽에 각각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부재(210)의 위치를 설정하는 스토퍼홈(125); 및
    상기 슬라이더부재(210)의 양쪽 측면에 각각 탄성 변형 가능하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홈(125)들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끼어 물려서 상기 슬라이더부재(210)가 자유로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돌기(211);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호용 완충 스토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안내부(122)의 양쪽 내벽에 각각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부재(210)의 위치 조절 범위를 설정하는 가이드 슬롯(127);
    상기 슬라이더부재(210)의 전면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가변셔터(200)의 상하 방향으로 오르내리는 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손잡이(212); 및
    상기 슬라이더부재(210)의 양쪽 측면에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슬롯(127)에 끼워져 상기 슬라이더부재(210)의 승강 이동을 제한하고 이탈을 방지하는 래치(213);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호용 완충 스토퍼.
KR1020220048585A 2022-04-20 2022-04-20 미닫이 창호용 완충 스토퍼 KR202301494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585A KR20230149412A (ko) 2022-04-20 2022-04-20 미닫이 창호용 완충 스토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585A KR20230149412A (ko) 2022-04-20 2022-04-20 미닫이 창호용 완충 스토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9412A true KR20230149412A (ko) 2023-10-27

Family

ID=88514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8585A KR20230149412A (ko) 2022-04-20 2022-04-20 미닫이 창호용 완충 스토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9412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5997B1 (ko) 2017-04-10 2017-09-11 주식회사 대호시스템 창호의 추락방지용 가이드 장치
KR102055623B1 (ko) 2019-05-21 2019-12-13 합자회사 대동창호 창문 강화용 보조 유닛
KR102100231B1 (ko) 2019-08-26 2020-04-13 이총기 창호 충격방지용 스토퍼
KR102177820B1 (ko) 2017-08-21 2020-11-11 (주)엘지하우시스 클립 고정방식의 창짝 마감용 스토퍼
KR102258791B1 (ko) 2020-04-13 2021-05-28 장만동 창호용 완충부재
KR102335902B1 (ko) 2021-01-04 2021-12-06 삼원시스템 주식회사 미서기창의 방풍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5997B1 (ko) 2017-04-10 2017-09-11 주식회사 대호시스템 창호의 추락방지용 가이드 장치
KR102177820B1 (ko) 2017-08-21 2020-11-11 (주)엘지하우시스 클립 고정방식의 창짝 마감용 스토퍼
KR102055623B1 (ko) 2019-05-21 2019-12-13 합자회사 대동창호 창문 강화용 보조 유닛
KR102100231B1 (ko) 2019-08-26 2020-04-13 이총기 창호 충격방지용 스토퍼
KR102258791B1 (ko) 2020-04-13 2021-05-28 장만동 창호용 완충부재
KR102335902B1 (ko) 2021-01-04 2021-12-06 삼원시스템 주식회사 미서기창의 방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2618B2 (en) Door for vehicle having a door glass with projecting portions
KR102177820B1 (ko) 클립 고정방식의 창짝 마감용 스토퍼
MX2008007187A (es) Cierre inclinado de hoja abatible de ventana.
KR102100231B1 (ko) 창호 충격방지용 스토퍼
KR101718484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스토퍼
CN104120950A (zh) 汽车推拉窗
KR101990204B1 (ko) 미닫이 도어용 완충 장치
KR20230149412A (ko) 미닫이 창호용 완충 스토퍼
KR102014607B1 (ko) 창호의 완충부 장착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한 창호
KR102602235B1 (ko) 완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KR101991181B1 (ko) 창호의 기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창호
KR101668607B1 (ko) 에너렉스 자동도어
KR200401750Y1 (ko) 창호용 필링피스
US9796254B2 (en) Vehicle sealing member and attachment structure of vehicle sealing member
KR20180002322U (ko) 창호용 가스켓
KR102335902B1 (ko) 미서기창의 방풍장치
KR20200107900A (ko) 완충형 스토퍼가 구비된 창호
JPS5976384A (ja) 乗り物における高さ調節可能な窓ガラスのための窓ガラスガイド
KR200254982Y1 (ko) 미닫이식 창호용 스토퍼
KR102277927B1 (ko) 발포폼을 이용한 방풍재
KR100646596B1 (ko) 미닫이식 유리창 가이드용 패킹
KR102625277B1 (ko) 미닫이 창호용 완충마감부재
EP1662084A3 (en) Guide for liftable glass panes of vehicle door windows
KR20190001418U (ko) 슬라이딩 창호용 바람막이
KR200401741Y1 (ko) 분리형 필링피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