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8703A - 농업용 작업차의 냉각 시스템 - Google Patents

농업용 작업차의 냉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8703A
KR20230148703A KR1020220047832A KR20220047832A KR20230148703A KR 20230148703 A KR20230148703 A KR 20230148703A KR 1020220047832 A KR1020220047832 A KR 1020220047832A KR 20220047832 A KR20220047832 A KR 20220047832A KR 20230148703 A KR20230148703 A KR 20230148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unit
cooling
engine
engine room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7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헌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to KR1020220047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8703A/ko
Publication of KR20230148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87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6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ai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liquid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8Air inlets for cooling; Shutters or blinds therefor
    • B60K11/085Air inlets for cooling; Shutters or blinds therefor with adjustable shutters or bli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04Arrangements of liquid pipes or h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5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7Auxiliary drives
    • B60Y2400/89Cooling systems, e.g. fan 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의 냉각 시스템은 라디에이터를 포함하며 냉각 작용을 수행하는 냉각 유닛, 및 냉각 유닛을 엔진룸의 내측벽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농업용 작업차의 냉각 시스템{COOLING SYSTEM OF AGRICULTURAL WORK VEHICLE}
본 발명은 농업용 작업차의 냉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엔진룸 내에 일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농업용 작업차의 냉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농업용 작업차의 엔진룸 내부에는 엔진을 비롯해 각종 기계 장치 및 전자 장치들이 실장된다. 그런데, 엔진룸 내부의 크기는 한정적이기 때문에, 조립의 용이성뿐만 아니라 유지보수 방법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부품들을 설계하고 배치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한편, 종래의 농업용 작업차들에서는, 라디에이터, 인터 쿨러, 오일 쿨러 등을 포함하는 냉각 시스템이 엔진의 전면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오일 필터 등 소모품을 교체하거나 또는 간단한 경정비를 하는 경우에도 냉각 시스템 분리 작업이 선행되어야 하고, 이는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또한, 단면적이 넓은 냉각 시스템이 엔진룸 전면을 막고 있기 때문에, 냉각 시스템이 장착된 상태에서는 엔진룸 내부 청소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냉각 시스템을 분해하지 않더라도 냉각 시스템 후방에 위치한 부품들이 용이하게 노출될 수 있도록, 엔진룸 내부에서 일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냉각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의 냉각 시스템은, 라디에이터를 포함하며 냉각 작용을 수행하는 냉각 유닛, 및 상기 냉각 유닛을 엔진룸의 내측벽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 유닛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결합 유닛은, 상기 냉각 유닛의 제1 측면에 구비되어 엔진룸의 제1 내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부, 및 상기 냉각 유닛의 제2 측면에 구비되어 엔진룸의 제2 내측벽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고정부가 상기 엔진룸의 제2 내측벽에서 분리되면, 상기 냉각 유닛은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냉각 유닛의 회전 범위를 기 설정된 각도 범위 이내로 제한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자석을 이용하여 상기 엔진룸의 제2 내측벽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농업용 작업차의 냉각 시스템은 상기 냉각 유닛으로 유입된 공기를 냉각팬으로 안내하기 위한 쉬라우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쉬라우드는, 상기 냉각 유닛을 통과한 공기를 상기 냉각팬 방향으로 유도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어 내부에 상기 냉각팬의 일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냉각 유닛의 상기 제1 측면 방향에서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냉각팬 사이의 간격은, 상기 냉각 유닛의 상기 제2 측면 방향에서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냉각팬 사이의 간격보다 더 클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농업용 작업차의 냉각 시스템은 가열된 엔진 냉각수를 상기 라디에이터로 공급하는 호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호스는 상기 냉각 유닛의 상기 제1 측면 방향에서 상기 라디에이터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라디에이터에 연결되는 상기 호스의 말단은 플렉서블한 소재일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의 냉각 시스템은, 엔진에서 가열된 엔진 냉각수 및 엔진 오일을 냉각하는 냉각 유닛, 상기 냉각 유닛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엔진룸의 내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부, 상기 냉각 유닛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엔진룸의 내측벽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 및 상기 엔진에서 가열된 엔진 냉각수와 엔진 오일을 상기 냉각 유닛으로 전달하고 상기 냉각 유닛에서 냉각된 엔진 냉각수와 엔진 오일을 상기 엔진으로 리턴시키는 호스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호스는 상기 힌지부가 구비된 상기 냉각 유닛의 일측 방향에서 상기 냉각 유닛과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의 냉각 시스템은, 엔진에서 가열된 엔진 냉각수 및 엔진 오일을 냉각하는 냉각 유닛, 상기 냉각 유닛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엔진룸의 내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부, 상기 냉각 유닛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엔진룸의 내측벽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 및 상기 냉각 유닛과 냉각팬 사이에 구비되어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고 내부에 상기 냉각팬의 일부가 수용되는 쉬라우드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힌지부가 구비된 상기 냉각 유닛의 일측 방향에서 상기 쉬라우드와 그 내부에 수용된 상기 냉각팬 사이의 간격은, 상기 고정부가 구비된 상기 냉각 유닛의 타측 방향에서 상기 쉬라우드와 그 내부에 수용된 상기 냉각팬 사이의 간격보다 더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의 냉각 시스템은 냉각 유닛이 엔진룸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필요 시 냉각 유닛을 회전시켜 냉각 유닛 후방에 위치한 부품들을 간편하게 수리하거나 교환할 수 있으며, 엔진룸 내부를 보다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농업용 작업차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엔진룸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 시스템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들이다.
도 4는 도 3에서 냉각 시스템과 팬 사이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5는 도 3에서 냉각 시스템과 호스 사이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농업용 작업차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엔진룸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상기 농업용 작업차는 트랙터, 콤바인, 스키드 로더 등 엔진룸 내부에 냉각 시스템이 구비된 챠량들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냉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냉각 시스템이 장착되는 차량이라면 동일 유사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스키드 로더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스키드 로더(skid loader)는 흙이나 모래와 같이 일정한 형태가 없는 물체를 이동하거나 높은 곳에 적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작업차로서, 제자리에서 360도 회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 반경이 좁은 작업 현장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키드 로더(1)는 차체(10), 차체(10)를 지지하고 이동시키는 바퀴(20), 차체(10) 상에 설치되어 작업자의 탑승 공간을 제공하는 운전실(30), 및 차체(10)에 구비된 작업장치(40)를 포함할 수 있다.
차체(10)는 엔진이 장착된 엔진룸(12) 및 각종 유압 실린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엔진룸(12)은 차체(10) 후방에 위치한 엔진룸 커버(11)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바퀴(20)는 차체(10) 및 운전실(30)을 지지하고, 엔진에서 발생한 동력을 이용하여 스키드 로더(1)를 주행시킬 수 있다.
운전실(30)은 차체(10) 상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운전자가 탑승하여 스키드 로더(1)를 조종할 수 있다. 운전실(30) 내부에는 차량을 구동시키고 작업장치(40)를 조종하기 위한 각종 조종 장치들이 구비될 수 있다.
작업장치(40)는 차체(10)에 연결되는 붐(41), 상기 붐(41)에 연결된 어태치먼트(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태치먼트는 버켓, 파쇄기, 브레이커, 스노우 블레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버켓이 장착된 스키드 로더(1)가 도시되어 있다. 작업장치(40)는 유압 펌프에서 발생된 작동유의 압력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한편, 엔진룸(12)은 엔진룸 커버(11)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룸 커버(11)를 개방해 보면, 라디에이터를 포함하는 냉각 시스템(13)이 엔진(14)의 전면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오일 필터 등의 소모품 교환이나 엔진(14) 정비를 위해서는 냉각 시스템(13)을 분해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비교적 간단한 정비임에도 불구하고, 냉각 시스템(13)의 존재로 인해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냉각 시스템이 엔진룸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주된 특징이다. 따라서, 냉각 시스템을 분해하지 않고, 간단한 조작만으로 냉각 시스템 내부에 위치한 부품들이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이하게 차량의 유지보수 및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의 냉각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 시스템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들이다. 도 4는 냉각 시스템과 냉각팬 사이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들이고, 도 5는 냉각 시스템과 호스 사이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냉각 시스템(100)은 엔진룸(12)에 필요한 냉각 기능을 수행하는 냉각 유닛(110), 및 냉각 유닛(110)을 엔진룸(12) 내측벽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 유닛(120)을 포함할 수 있다.
냉각 유닛(110)은 차량의 안정적인 구동을 위하여 엔진룸(12) 내부에서 냉각 작용을 수행하는 부품들의 집합이며, 라디에이터, 인터 쿨러, 오일 쿨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냉각 유닛(110)을 구성하는 상기 부품들은 서로 적층되거나 또는 상하/좌우로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라디에이터는 엔진 냉각수를 냉각시키는 구성이며, 엔진을 냉각시키고 가열된 엔진 냉각수는 상기 라디에이터에서 다시 냉각되어 엔진으로 리턴될 수 있다. 상기 인터 쿨러는 외부에서 엔진룸(12)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 오일 쿨러는 엔진 오일을 냉각시키는 구성이며, 가열된 엔진 오일은 상기 오일 쿨러에서 다시 냉각되어 엔진으로 리턴될 수 있다.
결합 유닛(120)은 냉각 유닛(110)을 엔진룸(12)의 내측벽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힌지부(121)와 고정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부(121)는 냉각 유닛(110)의 일 측면에 구비되며, 엔진룸(12)의 일 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는 힌지부(121)가 제1 브라켓(17)을 통해 엔진룸(12)의 일 측벽에 장착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다르게, 별도의 브라켓을 사용하지 않고 힌지부(121)가 직접 엔진룸(12)의 내부 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힌지부(121)는 냉각 유닛(110)의 회전 범위를 기 설정된 각도 범위 이내로 제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힌지부(121)가 냉각 유닛(110)을 너무 넓은 각도 범위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면, 냉각 유닛(110)이 지나치게 많이 회전하면서 엔진룸 커버(11)와 부딪혀 파손될 수 있고, 냉각 유닛(110)에 연결된 호스들(140)도 분리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힌지부(121)의 회전 가능 각도 범위가 지나치게 좁으면, 냉각 유닛(110)을 회전시키더라도 유지보수나 청소 등의 작업을 수행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힌지부(121)를 통한 냉각 유닛(110)의 회전 범위는 적절하게 설정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힌지부(121)는 냉각 유닛(110)의 회전 범위를 45도 각도 범위로 제한할 수 있다.
고정부(123)는 냉각 유닛(110)의 타 측면, 즉, 냉각 유닛(110)에서 힌지부(121)가 구비된 상기 일 측면의 반대편 측면에 구비되며, 엔진룸(12)의 내측벽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3에는 고정부(123)가 제2 브라켓(18)을 통해 엔진룸(12)의 일 측벽에 장착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다르게, 별도의 브라켓을 사용하지 않고 고정부(123)가 직접 엔진룸(12)의 내부 측벽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고정부(123)는 제2 브라켓(18)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고, 제2 브라켓(18)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부(123)와 제2 브라켓(18)이 서로 반대 극성의 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23)가 제2 브라켓(18)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차량 작동 중 냉각 유닛(110)이 흔들리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비교적 작은 힘을 가하는 것만으로 제2 브라켓(18)에서 고정부(123)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고정부(123)와 제2 브라켓(18)은 걸쇠 형태나 클립 형태 등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냉각 유닛(110)은 결합 유닛(120)에 의해 엔진룸(12)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이 때, 힌지부(121)는 엔진룸(12) 내부 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고정부(123)는 엔진룸(12) 내부 측벽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123)가 엔진룸(12)의 내측벽에서 분리되면, 냉각 유닛(110)은 힌지부(121)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평상시에는 힌지부(121)와 고정부(123)를 이용하여 냉각 유닛(110)을 엔진룸(12)에 고정시킬 수 있고, 필요 시 힌지부(121)를 중심으로 냉각 유닛(110)을 회전시켜 냉각 유닛(110) 후방에 위치한 부품들을 노출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이 도 3(a)와 도 3(b)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냉각 유닛(110)에서 힌지부(121)가 구비된 측면을 제1 측면(111)이라고 지칭하고, 고정부(123)가 구비된 측면을 제2 측면(113)이라고 지칭하기로 한다. 이 때, 힌지부(121)와 고정부(123)는 각각 제1 측면(111)과 제2 측면(113)에 구비되면 족하고, 그 설치 높이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힌지부(121)와 고정부(123)는 각각 제1 측면(111)과 제2 측면(113)의 하부에 구비되거나, 또는 중간 높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냉각 시스템(100)은 냉각 유닛(110)을 통과한 공기를 냉각팬(15)으로 안내하기 위한 쉬라우드(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쉬라우드(130)는 냉각 유닛(110) 후방에 구비되며, 냉각팬(15)과 함께 공기의 흐름을 유발하여 냉각 유닛(110)의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엔진룸(12) 내부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서는 냉각 시스템(100)과 냉각팬(15)을 최대한 밀착 배치하여야 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냉각팬(15)의 일부가 쉬라우드(130) 내부에 삽입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냉각팬(15)의 일부가 쉬라우드(130) 내부에 삽입되면 공기 유도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고, 냉각 시스템(100)의 냉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 구조를 위하여, 쉬라우드(130)는 바디부(131)와 가이드부(132, 133)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디부(131)는 냉각 유닛(110)을 통과한 공기를 냉각팬(15)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 가이드부(132, 133)는 바디부(131)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며, 돌출된 가이드부(132, 133) 사이에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공간인 챔버(135)가 형성될 수 있다. 냉각팬(15)의 일부는 상기 챔버(135)에 수용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의 냉각 유닛(110)은 힌지부(121)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한데 비하여, 냉각팬(15)은 고정된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냉각 유닛(110) 회전 시에 쉬라우드(130)의 가이드부 (132, 133)와 냉각팬(15) 사이에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회전축인 힌지부(121)와 가까운 제1 가이드부 (132) 부분이 냉각팬(15)의 날개와 간섭을 일으킬 가능성이 크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가이드부(132, 133) 전체와 냉각팬(15) 사이의 간격을 증가시키면, 냉각팬(15)을 통한 송풍 효과가 감소할 수 있고 이는 냉각 시스템(100)의 성능 하락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방향에 따라 가이드부(132, 133)와 냉각팬(15)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도록 설계함으로써, 냉각 성능 하락을 최소화하면서 가이드부(132, 133)와 냉각팬(15) 사이의 간섭을 회피하였다. 구체적으로, 힌지부(121) 방향에 위치한 제1 가이드부(132)와 냉각팬(15)의 날개 끝단 사이의 간격(D1)이, 고정부(123) 방향에 위치한 제2 가이드부(133)와 냉각팬(15)의 날개 끝단 사이의 간격(D2)보다 더 크도록(D1>D2) 쉬라우드(130)의 형상을 설계하였다. 이에 따라, 냉각 유닛(110) 회전 시의 간섭 현상을 방지하면서도, 냉각 효율 하락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엔진에서 가열된 엔진 냉각수와 엔진 오일 등은 냉각 유닛(110)을 경유하는 과정에서 냉각될 수 있다. 따라서, 엔진과 냉각 유닛(110) 사이에는 엔진 냉각수, 엔진 오일 등의 전달 통로가 필요한데, 본 발명에서는 이들을 호스(140)라 지칭하기로 한다. 즉, 가열된 엔진 냉각수와 엔진 오일 등은 엔진에서 호스(140)를 통해 냉각 유닛(110)으로 공급되고, 냉각 유닛(110)에서 냉각된 이후 다시 호스(140)를 통해 엔진으로 리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호스(140)는 냉각 유닛(110)의 제1 측면(111) 방향에서 냉각 유닛(1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것이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냉각 유닛(110) 회전 시 고정부(123)가 구비된 제2 측면(113)은 엔진룸(12)의 측벽에서 완전히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호스(140)를 제2 측면(113) 방향으로 냉각 유닛(110)에 연결시키면, 냉각 유닛(110) 회전 시 호스(140)가 냉각 유닛(110)에서 분리될 염려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호스(140)가 냉각 유닛(110)의 제1 측면(111) 방향에서 냉각 유닛(110)에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냉각 유닛(110) 회전 시에도 호스(140)가 분리되지 않고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호스(140)의 말단을 고무 등 플렉서블(flexible)한 소재로 형성하면, 냉각 유닛(110) 회전 시 호스(140)가 분리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의 냉각 시스템(100)은 엔진룸(12)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필요 시 냉각 유닛(110)을 회전시켜 냉각 유닛(110) 후방에 위치한 부품들을 간편하게 수리하거나 교환할 수 있으며, 엔진룸(12) 내부를 보다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이 때, 회전축이 되는 힌지부(121) 방향에서 쉬라우드(130)의 가이드부(132)와 냉각팬(15) 사이의 간격을 증가시킴으로써 냉각 유닛(110) 회전 시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호스(140) 역시 힌지부(121)가 구비된 방향에서 냉각 유닛(110)에 연결함으로써 냉각 유닛(110) 회전 시 호스(140)가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정적으로 냉각 시스템(1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스키드 로더 10: 차체
11: 엔진룸 커버 12: 엔진룸
15: 냉각팬 17: 제1 브라켓
18: 제2 브라켓 20: 바퀴
30: 운전실 40: 작업장치
100: 농업용 작업차의 냉각 시스템
110: 냉각 유닛 111: 제1 측면
113: 제2 측면 120: 결합 유닛
121: 힌지부 122: 고정부
130: 쉬라우드 131: 바디부
132: 제1 가이드부 133: 제2 가이드부
135: 챔버 140: 호스

Claims (10)

  1. 라디에이터를 포함하며 냉각 작용을 수행하는 냉각 유닛; 및
    상기 냉각 유닛을 엔진룸의 내측벽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 유닛을 포함하는 농업용 작업차의 냉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유닛은,
    상기 냉각 유닛의 제1 측면에 구비되어 엔진룸의 제1 내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부; 및
    상기 냉각 유닛의 제2 측면에 구비되어 엔진룸의 제2 내측벽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가 상기 엔진룸의 제2 내측벽에서 분리되면, 상기 냉각 유닛은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의 냉각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냉각 유닛의 회전 범위를 기 설정된 각도 범위 이내로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의 냉각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자석을 이용하여 상기 엔진룸의 제2 내측벽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의 냉각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유닛으로 유입된 공기를 냉각팬으로 안내하기 위한 쉬라우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쉬라우드는,
    상기 냉각 유닛을 통과한 공기를 상기 냉각팬 방향으로 유도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어 내부에 상기 냉각팬의 일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의 냉각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유닛의 상기 제1 측면 방향에서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냉각팬 사이의 간격은, 상기 냉각 유닛의 상기 제2 측면 방향에서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냉각팬 사이의 간격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의 냉각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가열된 엔진 냉각수를 상기 라디에이터로 공급하는 호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호스는 상기 냉각 유닛의 상기 제1 측면 방향에서 상기 라디에이터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의 냉각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에이터에 연결되는 상기 호스의 말단은 플렉서블한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의 냉각 시스템.
  9. 엔진에서 가열된 엔진 냉각수 및 엔진 오일을 냉각하는 냉각 유닛;
    상기 냉각 유닛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엔진룸의 내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부;
    상기 냉각 유닛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엔진룸의 내측벽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 및
    상기 엔진에서 가열된 엔진 냉각수와 엔진 오일을 상기 냉각 유닛으로 전달하고, 상기 냉각 유닛에서 냉각된 엔진 냉각수와 엔진 오일을 상기 엔진으로 리턴시키는 호스를 포함하고,
    상기 호스는 상기 힌지부가 구비된 상기 냉각 유닛의 일측 방향에서 상기 냉각 유닛과 연결되는 농업용 작업차의 냉각 시스템.
  10. 엔진에서 가열된 엔진 냉각수 및 엔진 오일을 냉각하는 냉각 유닛;
    상기 냉각 유닛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엔진룸의 내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부;
    상기 냉각 유닛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엔진룸의 내측벽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 및
    상기 냉각 유닛과 냉각팬 사이에 구비되어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고, 내부에 상기 냉각팬의 일부가 수용되는 쉬라우드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가 구비된 상기 냉각 유닛의 일측 방향에서 상기 쉬라우드와 그 내부에 수용된 상기 냉각팬 사이의 간격은, 상기 고정부가 구비된 상기 냉각 유닛의 타측 방향에서 상기 쉬라우드와 그 내부에 수용된 상기 냉각팬 사이의 간격보다 더 큰 농업용 작업차의 냉각 시스템.
KR1020220047832A 2022-04-18 2022-04-18 농업용 작업차의 냉각 시스템 KR202301487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7832A KR20230148703A (ko) 2022-04-18 2022-04-18 농업용 작업차의 냉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7832A KR20230148703A (ko) 2022-04-18 2022-04-18 농업용 작업차의 냉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8703A true KR20230148703A (ko) 2023-10-25

Family

ID=88515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7832A KR20230148703A (ko) 2022-04-18 2022-04-18 농업용 작업차의 냉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870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94968B2 (ja) 作業車両
KR20070050369A (ko) 건설 기계
WO2012011530A1 (ja) 電動作業車両
US10458309B2 (en) Work vehicle
JP5204911B1 (ja) ブルドーザ
WO2003080945A1 (fr) Petite pelle mecanique a balancier
JP6408701B1 (ja) 作業車両及び作業車両の可動部の位置調整方法
US20140138066A1 (en) Cooling package for a machine
KR20230148703A (ko) 농업용 작업차의 냉각 시스템
US20170314230A1 (en) Working machine
US20230003001A1 (en) Fan structure and work vehicle
JP6886380B2 (ja) 作業用車両
JP2005068866A (ja) 建設機械
US11485194B2 (en) Ventilation system for a power machine
JP2004218510A (ja) 建設機械
WO2021250964A1 (ja) 作業機
US20240018744A1 (en) Electric Work Vehicle
WO2022168909A1 (ja) 作業車両の冷却装置および作業車両
JP2001132454A (ja) 建設機械のエンジン冷却装置
JP2020118140A (ja) 作業機械
WO2020096039A1 (ja) 建設機械
JP2004003298A (ja) 後端小旋回型ショベル
JP2014084627A (ja) 建設機械の排気装置
JP2014084050A (ja) 建設機械の防塵ネットの取り付け装置及び熱交換装置
JP2014004848A (ja) 建設機械の熱交換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