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8486A - 시리즈 연계 토큰을 이용한 가상 아이템 형성 시스템 - Google Patents

시리즈 연계 토큰을 이용한 가상 아이템 형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8486A
KR20230148486A KR1020220047267A KR20220047267A KR20230148486A KR 20230148486 A KR20230148486 A KR 20230148486A KR 1020220047267 A KR1020220047267 A KR 1020220047267A KR 20220047267 A KR20220047267 A KR 20220047267A KR 20230148486 A KR20230148486 A KR 20230148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ken
pieces
linkage
virtual item
ser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7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화인
최윤일
전명산
김종현
Original Assignee
최화인
(주)소셜인프라테크
최윤일
전명산
김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화인, (주)소셜인프라테크, 최윤일, 전명산, 김종현 filed Critical 최화인
Priority to KR1020220047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8486A/ko
Publication of KR20230148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848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1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 H04L9/321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using tickets or tokens, e.g. Kerber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60Digital content management, e.g. content distribu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타버스 내에서 가상의 아이템을 형성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 개의 피스를 형성하며, 복수 개의 피스의 고유성과 연계성을 제공하고, 복수 개의 피스의 선택적 조합을 통해 가상의 아이템 창설이 가능하도록 하는 아이템 매니지먼트 유닛(item management unit)을 포함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시리즈 연계 토큰을 이용한 가상 아이템 형성 시스템{Virtual item formation system by using series connection tokens}
본 발명은 메타버스 내에서 가상의 아이템을 형성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가상의 아이템을 창설하기 위한 복수 개의 피스를 형성하고, 복수 개의 피스에 대하여 시리즈성이 부여되어 개별적인 피스가 연계되는 연계성 집단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시리즈 연계 토큰을 이용한 가상 아이템 형성 시스템에 관한 기술 분야이다.
가상자산 운용사 그레이스케일은 2021년 ‘메타버스: 웹3.0 가상클라우드, 이코노미’ 보고서를 통해 현 메타버스 컨셉이 NFT와 결합, 향후 웹 3.0 시대를 열며 1조달러 규모까지 성장할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놨다.
메타버스는 확장 가상 세계, 가상, 초월을 의미하는 메타와 세계, 우주를 의미하는 유니버스를 합성한 신조어로 '가상 우주'로 번역하기도 한다.
메타버스는 가상현실, 증강현실의 상위 개념으로 현실을 디지털 기반의 가상 세계로 확장하여 가상 공간에서 모든 활동을 할 수 있게 만드는 곳으로, 일반적으로 메타버스는 현실 세계와 같은 사회적, 경제적 활동이 통용되는 3차원 가상 공간의 의미로 통용되고 있다.
글로벌 기업 페이스북이 '메타'로 사명을 바꾸고 메타버스 시장에 뛰어든 것으로, 웹 2.0 시대의 기술기업들이 이에 동참하면서 웹 3.0 시장이 크게 성장할 것이라는 시나리오가 발표되었다. 보고서는 메타버스가 웹 3.0의 체제 붕괴자로 떠오를 수 있다고 진단했다.
웹3.0은 분산형 인터넷을 지칭하는 새로운 기술용어로서, 기존 웹2.0과 웹3.0의 가장 큰 차이는 가상세계 내 자산이 실물경제로 이어진다는 점이다. 기존 웹2.0 시스템에서는 기업이 각종 게임, 플랫폼 내 자산을 통제했지만, 웹3.0 시대의 메타버스 세계에서는 이용자가 자산에 대한 소유권을 가진 채 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가상의 자산이 실물 경제로 이동할 수 있는 수단으로는 NFT관련 자산을 활용하여 플랫폼 밖에서 거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자유로운 인터넷 경제를 창출 할 수 있으며, 메타버스는 게임을 비롯하여 광고, 소셜커머스, 하드웨어, 디지털 이벤트, 개발자 및 크리에이터 수익창출 플랫폼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인터넷을 통하여 공유하는 세계 환경에 해당하는 메타버스 내에서 아이템 혹은 디지털 자산을 제공하고 디지털 자산을 보호, 공유, 거래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존재하고 있다.
디지털 자산에 대한 보호, 공유, 거래에 대한 공개된 문헌으로는, 예컨대, "암호화로 보호된 디지털 자산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공개번호 제10-2021-0101275호,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가 존재한다.
특허문헌 1의 경우, 신발류 물품들에 대한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들, 그러한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들을 제조/사용하는 방법들,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신발을 채굴하고, 혼합시키며 교환하기 위한 블록체인 제어 로직을 갖는 분산 컴퓨팅 시스템이 제시된다. 디지털 자산들을 프로비저닝하는 방법은 제1 당사자로부터 제2 당사자로의 신발류 물품 또는 이를 나타내는 디지털 파일의 완료된 거래를 나타내는 거래 확인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제2 당사자로의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의 양도를 기록하기 위해 암호화 블록을 분산 블록체인 원장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디지털 자산에 대하여 거래, 저장, 공유하는 방법에 대한 문헌으로 "토큰화 플랫폼(공개번호 제10-2021-0127132호, 이하 특허문헌2라 한다.)"가 존재한다.
특허문헌 2의 경우, 디지털 토큰을 생성, 저장, 거래, 이전, 교환, 및/또는 기타의 방식으로 처리하는, 시스템, 방법, 플랫폼 및 디바이스가 설명된다.
특허문헌 2에서, 시스템, 방법, 플랫폼, 및 디바이스는, 아이템 속성 세트를 포함하는 아이템에 대한 식별자를 획득하고, 아이템 속성 세트에 대응하는 디지털 속성 세트를 포함하는 디지털 토큰을 생성하고, 디지털 토큰을 아이템의 하나 이상의 유닛에 암호화방식으로 링크한다. 디지털 토큰은, 이전, 교환, 상환 또는 기타의 방식으로 거래될 수 있고, 이것은 가상 아이템 거래의 유연성 및 편의성과 물리적 아이템 거래의 신뢰성과 가치 양쪽 모두를 제공한다.
아울러, 디지털 자산에 대하여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선행 문헌으로는 "분산 원장 플랫폼에서 디지털 유동성 토큰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저장 매체(공개번호 제10-2022-0027826호, 이하 특허문헌 3이라 한다.)"가 존재한다.
특허문헌 3의 경우, 자산의 두 가지 개별 표현에 대한 유동성 기능을 나타내는 분산 원장 대체불가 토큰 데이터 구조를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장치,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및 컴퓨터 구현 방법이 개시된다. 표현은 원장, 네트워크, 관할 구역, 가용성 등을 포함하여 다른 특성을 가진 다른 자산 또는 단일 자산 유형일 수 있다. 유동성 기능은 가격 책정 기능, 수수료 및 전달 메커니즘을 포함하여 자산을 변환하거나 교환하는 메커니즘이다. 유동성 토큰의 투자 성과는 자산 쌍에 대한 유동성 수요에 비례할 수 있다.
종래의 선행 기술들의 경우, 디지털로 형성되는 자산에 대한 특성이나 변환 또는 위조에 대한 증명만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디지털 자산에 대한 고유성과 함께 시리즈로서의 디지털 자산이 인정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번호 제10-2021-0101275호 공개번호 제10-2021-0127132호 공개번호 제10-2022-0027826호
본 발명에 따른 시리즈 연계 토큰을 이용한 가상 아이템 형성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디지털 자산에 대한 고유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시리즈성을 부여하여 아이템 집단으로 아이템 간에 연계성이 제공되고자 한다.
둘째, 아이템이 복수 개의 피스로 제공됨을 통하여 아이템의 창설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리즈 연계 토큰을 이용한 가상 아이템 형성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시리즈 연계 토큰을 이용한 가상 아이템 형성 시스템은 메타버스 내에서 가상의 아이템을 형성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 개의 피스를 형성하며, 상기 복수 개의 피스의 고유성과 연계성을 제공하고, 상기 복수 개의 피스의 선택적 조합을 통해 상기 가상의 아이템 창설이 가능하도록 하는 아이템 매니지먼트 유닛(item management uni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리즈 연계 토큰을 이용한 가상 아이템 형성 시스템은 상기 복수 개의 피스 각각은, 소정의 토큰을 구비하고, 상기 소정의 토큰의 미리 결정된 조합 조건을 통하여 상기 복수 개의 피스 각각의 고유성과 연계성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리즈 연계 토큰을 이용한 가상 아이템 형성 시스템은 상기 아이템 매니지먼트 유닛은, 상기 소정의 토큰을 생성하는 토큰 생성부; 및 상기 토큰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상기 소정의 토큰이 상기 복수 개의 피스 각각에 부여되는 토큰 할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리즈 연계 토큰을 이용한 가상 아이템 형성 시스템은 상기 토큰 생성부는, 상기 복수 개의 피스 간에 연계성을 제공하는 연계 토큰을 형성하는 연계 토큰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리즈 연계 토큰을 이용한 가상 아이템 형성 시스템은 상기 토큰 생성부는, 상기 복수 개의 피스 각각에 고유성을 제공하는 유효 토큰을 형성하는 유효 토큰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리즈 연계 토큰을 이용한 가상 아이템 형성 시스템은 상기 아이템 매니지먼트 유닛은, 상기 유효 토큰과 상기 연계 토큰을 미리 결정된 조합 조건에 따라 조합하여 상기 유효 토큰과 상기 연계 토큰이 조합된 어셈블 토큰을 상기 가상의 아이템에 반영하는 토큰 어셈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리즈 연계 토큰을 이용한 가상 아이템 형성 시스템은 상기 어셈블 토큰은, 상기 어셈블 토큰 내 연계 토큰의 연계 코드를 통하여 상기 어셈블 토큰 상호 간의 연계성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리즈 연계 토큰을 이용한 가상 아이템 형성 시스템은 상기 가상의 아이템은, 상기 어셈블 토큰 내 상기 연계 토큰의 연계성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피스의 상호 간의 연계성이 마련되며, 상기 복수 개의 피스 상호 간의 복수 개의 연계성 집단으로 개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리즈 연계 토큰을 이용한 가상 아이템 형성 시스템은 상기 어셈블 토큰이 반영된 상기 복수 개의 피스의 경우, 트랜잭션 정보를 미리 설정된 군집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노드에 공유하여, 상기 복수의 노드 간에 상기 복수 개의 피스에 대한 이벤트를 합치하는 트랜잭션 쉐어링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리즈 연계 토큰을 이용한 가상 아이템 형성 시스템은 상기 트랜잭션 쉐어링 유닛은, 상기 복수의 노드 중 어느 하나의 노드에서 상기 복수 개의 피스에 대한 트랜잭션 정보가 발생되면, 상기 복수의 노드에 공유된 상기 복수 개의 피스에 대한 트랜잭션 정보를 각각 비교하고, 상기 복수의 노드 중 어느 하나의 노드를 통해 상기 복수 개의 피스에 발생된 이벤트에 대한 수정 또는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시리즈 연계 토큰을 이용한 가상 아이템 형성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일련의 규칙을 가지는 디지털 콘텐츠 각각에 소정의 토큰을 통한 연계성이 부여되어 각각의 디지털 콘텐츠가 하나의 연계성 집단으로서 집합의 개념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둘째, 디지털 콘텐츠에 시리즈성을 부여하여 일정한 규칙에 따라 시리즈로서의 권한을 부여함과 함께, 각각의 디지털 콘텐츠의 고유성을 부여하도록 한다.
셋째, 연계 토큰과 유효 토큰의 조합을 통하여 복수 개의 디지털 콘텐츠가 연계성 집단으로 개별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리즈 연계 토큰을 이용한 가상 아이템 형성 시스템 중, 아이템 제작자가 복수 개의 피스로 구성된 복수 개의 아이템 집단을 형성하고, 복수 개의 아이템 집단을 가상의 플랫폼에 업로드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리즈 연계 토큰을 이용한 가상 아이템 형성 시스템 중, 복수 개의 아이템 집단이 아이템 매니지먼트 유닛을 통하여 연계성 집단으로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리즈 연계 토큰을 이용한 가상 아이템 형성 시스템 중, 연계성 집단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피스 각각에 소정의 토큰이 반영된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리즈 연계 토큰을 이용한 가상 아이템 형성 시스템 중, 연계성 집단 #1을 형성되는 복수 개의 피스 각각에 유효 토큰과 연계 토큰이 반영된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리즈 연계 토큰을 이용한 가상 아이템 형성 시스템 중, 연계성 집단 #2를 형성되는 복수 개의 피스 각각에 유효 토큰과 연계 토큰이 반영된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리즈 연계 토큰을 이용한 가상 아이템 형성 시스템 중, 연계 토큰 생성부와 유효 토큰 생성부를 통해 연계 토큰과 유효 토큰이 생성된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리즈 연계 토큰을 이용한 가상 아이템 형성 시스템 중, 토큰 어셈블부를 통하여 연계 토큰과 유효 토큰이 조합되어 어셈블 토큰으로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리즈 연계 토큰을 이용한 가상 아이템 형성 시스템 중, 어셈블 토큰에 대한 트랜잭션 정보가 복수의 노드에 공유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리즈 연계 토큰을 이용한 가상 아이템 형성 시스템 중, 각 유닛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리즈 연계 토큰을 이용한 가상 아이템 형성 시스템 중, 아이템 매니지먼트 유닛과 그 하위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리즈 연계 토큰을 이용한 가상 아이템 형성 시스템 중, 토큰 생성부와 그 하위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리즈 연계 토큰을 이용한 가상 아이템 형성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리즈 연계 토큰을 이용한 가상 아이템 형성 시스템 중, 아이템 제작자가 복수 개의 피스로 구성된 복수 개의 아이템 집단을 형성하고, 복수 개의 아이템 집단을 가상의 플랫폼에 업로드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리즈 연계 토큰을 이용한 가상 아이템 형성 시스템 중, 복수 개의 아이템 집단이 아이템 매니지먼트 유닛을 통하여 연계성 집단으로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리즈 연계 토큰을 이용한 가상 아이템 형성 시스템 중, 연계성 집단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피스 각각에 소정의 토큰이 반영된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리즈 연계 토큰을 이용한 가상 아이템 형성 시스템 중, 연계성 집단 #1을 형성되는 복수 개의 피스 각각에 유효 토큰과 연계 토큰이 반영된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리즈 연계 토큰을 이용한 가상 아이템 형성 시스템 중, 연계성 집단 #2를 형성되는 복수 개의 피스 각각에 유효 토큰과 연계 토큰이 반영된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리즈 연계 토큰을 이용한 가상 아이템 형성 시스템 중, 연계 토큰 생성부와 유효 토큰 생성부를 통해 연계 토큰과 유효 토큰이 생성된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리즈 연계 토큰을 이용한 가상 아이템 형성 시스템 중, 토큰 어셈블부를 통하여 연계 토큰과 유효 토큰이 조합되어 어셈블 토큰으로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리즈 연계 토큰을 이용한 가상 아이템 형성 시스템 중, 어셈블 토큰에 대한 트랜잭션 정보가 복수의 노드에 공유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리즈 연계 토큰을 이용한 가상 아이템 형성 시스템 중, 각 유닛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리즈 연계 토큰을 이용한 가상 아이템 형성 시스템 중, 아이템 매니지먼트 유닛과 그 하위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리즈 연계 토큰을 이용한 가상 아이템 형성 시스템 중, 토큰 생성부와 그 하위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리즈 연계 토큰을 이용한 가상 아이템 형성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템 제작자가 창출한 복수 개의 아이템 집합에 속해 있는 복수 개의 피스를 가상의 플랫폼 상에 업로드하고, 가상의 플랫폼 상에서 복수 개의 피스에 소정의 토큰을 부여하여 가상의 플랫폼과 연계된 메타버스 내에서 복수 개의 피스에 대한 사용, 조합, 거래가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리즈 연계 토큰을 이용한 가상 아이템 형성 시스템은 아이템 매니지먼트 유닛(item management unit, 100)을 포함하게 된다.
아이템 매니지먼트 유닛(100)의 경우, 복수 개의 피스(piece)를 형성하며, 복수 개의 피스의 고유성과 연계성을 제공하고, 복수 개의 피스의 선택적 조합을 통해 가상의 아이템 창설이 가능하도록 한다.
아이템 매니지먼트 유닛(100)의 경우, 가상의 플랫폼 내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가상의 플랫폼은 블록체인 네트워크(Blockchain network) 기반으로 운영되는 메인넷(mainnet)에 해당할 수 있다.
메타버스의 경우, 현실 세계와 같은 사회적, 경제적 활동이 통용되는 3차원 가상 공간의 의미하는 것으로, 게임 및 플랫폼에서 활용하는 가상의 세계인 메타버스(metaverse)를 의미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피스의 경우, 예컨대, 레고 피스, 모자이크의 파편, 포켓 몬스터의 개별 캐릭터 등과 같은 디지털 오브젝트(object)에 해당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피스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타버스 상에서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가상의 플랫폼 상에서 사용되는 가상 세계 내 유형물에 해당할 수 있으며 아이템(item)으로서 가치를 가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의 플랫폼 상에 업로드된 복수 개의 피스는 가상의 플랫폼 상에서 소정의 토큰이 반영되며, 소정의 토큰을 통하여 가상의 아이템에 고유성과 연계성이 반영되어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계성의 경우, 피스에 대한 형태에 따라 연계성이 부여되어질 수도 있다.
복수 개의 피스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템 제작자가 블록체인 플랫폼 내 디앱(dApp)에 복수 개의 피스를 업로드하고, 디앱 내에서 복수 개의 피스에 소정의 토큰을 부여하도록 할 수 있다.
소정의 토큰이 부여된 복수 개의 피스의 경우, 메타버스 내에서 아이템으로서 사용 및 거래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복수 개의 피스를 통하여 목적하는 아이템이 만들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아이템 제작자는 복수 개의 피스를 개별적으로 판매 또는 복수 개의 피스를 통하여 제작된 아이템을 판매하도록 할 수 있다.
아이템 제작자는 아이템 제작자의 단말기를 통하여 아이템 집단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피스를 업로드하는 것으로, 아이템 제작자의 단말기는 최근 흔히 상용화되어 있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랩톱 PC, 데스크톱 PC를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리즈 연계 토큰을 이용한 가상 아이템 형성 시스템의 복수 개의 피스 각각은, 소정의 토큰을 구비하고, 소정의 토큰의 미리 결정된 조합 조건을 통하여 복수 개의 피스 각각의 고유성과 연계성을 형성할 수 있다.
소정의 토큰이란, 데이터 단위로서 생성되는 토큰에 해당할 수 있으며, 유한개로 발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정의 토큰의 경우, 권리를 형성하며, 개별적인 아이덴티티를 형성할 수 있는데, 소정의 토큰에 의하여 복수 개의 피스에 대한 고유성과 연계성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이다.
소정의 토큰이 각각 부여된 복수 개의 피스의 경우, 복수 개의 피스의 위변조 및 임의 복제가 방지될 수 있는데, 이는 가상의 플랫폼 상에서 복수 개의 피스에 소정의 토큰이 부여되고, 복수 개의 피스에 부여된 소정의 토큰의 트랜잭션에 대한 정합을 통하여 위변조 및 임의 복제가 방지되어질 수 있다.
소정의 토큰에 대한 트랜잭션을 공유하고, 정합하는 것은 가상의 플랫폼을 형성하는 복수의 노드(N)를 통하여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소정의 토큰의 경우, 미리 결정된 조합 조건을 통하여 조합되어 복수 개의 피스에 제공되는 것으로 미리 결정된 조합 조건에 대하여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리즈 연계 토큰을 이용한 가상 아이템 형성 시스템의 아이템 매니지먼트 유닛(100)은, 토큰 생성부(110), 토큰 할당부(12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토큰 생성부(110)는 소정이 토큰을 생성한다.
토큰 할당부(120)는 토큰 생성부(110)를 통해 생성된 소정의 토큰이 복수 개의 피스 각각에 부여되도록 한다.
토큰 생성부(110)는 연계 토큰 생성부(111)와 유효 토큰 생성부(112)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토큰 생성부(110)를 통하여 생성되는 소정의 토큰의 경우, 복수 개의 피스 각각에 고유성을 부여하는 유효 토큰(2)과 연계성을 부여하는 연계 토큰(1)을 생성하게 된다.
각각의 유효 토큰(2)과 연계 토큰(1)은, 유효 토큰 생성부(112)와 연계 토큰 생성부(111)를 통하여 생성되어진다.
유효 토큰(2)의 경우, 복수 개의 피스 각각에 고유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피스 각각이 독립적으로 고유성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다.
고유성을 부여하는 유효 토큰(2)의 경우, NFT(Non-Fungible Token)과 같은 개념의 토큰으로 제공되어질 수 있으며, 교환과 복제가 불가능하고, 고유성과 희소성을 지니도록 할 수 있다.
유효 토큰(2)의 경우, 대체 불가능한 형태로 제공되는 것으로 유효 토큰(2)이 부여된 피스의 경우, 복제 불가능한 피스로 가상의 플랫폼 및 메타버스 내에 제공되는 것이다.
연계 토큰(1)의 경우, 연계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예컨대, 연계 토큰(1)의 경우, 가치 및 속성이 동일한 토근에 해당할 수 있다. 연계 토큰(1)의 경우, 유한개가 발행되는데, 각 연계 토큰(1)에는 연계되는 일련번호가 주어져 일련번호의 연계성을 통하여 연계 토큰(1)의 연계성이 반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리즈 연계 토큰을 이용한 가상 아이템 형성 시스템의 아이템 매니지먼트 유닛(100)은, 토큰 어셈블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토큰 어셈블부(130)의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효 토큰(2)과 연계 토큰(1)을 미리 결정된 조합 조건에 따라 조합하며, 유효 토큰(2)과 연계 토큰(1)이 조합된 어셈블 토큰(3)이 가상의 아이템에 반영되도록 하는 것이다.
미리 결정된 조합 조건의 경우, 예컨대, 고유성을 부여하는 유효 토큰(2)과 연계성을 부여하는 연계 토큰(1)에 대한 조합에 대한 조건에 해당한다.
연계 토큰(1)의 경우, 복수 개의 피스를 하나의 집단으로서 집단 내에서의 연계성을 부여하기에 어셈블 토큰(3)이 피스에 해당하는 아이템에 반영되어지는 경우, 아이템의 집단으로서의 형상, 성질에 따라 연계 토큰(1)이 연계성을 가지도록 부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어셈블 토큰(3)의 경우, 유효 토큰(2)과 연계 토큰(1)을 적어도 하나 이상 조합하도록 함으로, 어셈블 토큰(3)을 부여받는 아이템의 경우, 고유성을 가짐과 함께, 연계성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시리즈 연계 토큰을 이용한 가상 아이템 형성 시스템의 어셈블 토큰(3)은, 어셈블 토큰(3) 내 연계 토큰(1)의 연계 코드를 통하여 어셈블 토큰(3) 상호 간의 연계성이 마련된다.
어셈블 토큰(3)의 경우, 연계되는 코드를 가지고 있으며, 연계되는 코드를 통하여 연계성을 형성하게 되는데, 연계 코드의 경우, 예컨대, 연속되는 일련번호에 해당할 수도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동일한 코드와 연속되는 일련번호를 동시 포함하여 연속성과 연계성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가상의 아이템은, 어셈블 토큰(3) 내 연계 토큰(1)의 연계성에 따라 복수 개의 피스의 상호 간에 연계성이 마련되며, 복수 개의 피스 상호 간의 복수 개의 연계성 집단으로 개별 형성된다.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셈블 토큰(3)의 경우, 복수 개의 피스 상호 간에 연계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연계 토큰(1)에 대한 연계 코드를 통해 복수 개의 피스 상호 간에 연계성을 제공하게 된다.
예컨대,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계성 집단 #1의 경우, 피스 2개로 형성된 각각의 피스에 어셈블 토큰(3)이 각각 부여되며, 연계성 집단으로 형성되는 집단은 연계되는 어셈블 토큰(3)이 부여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계성 집단#1-1을 형성하는 피스에 부여된 어셈블 토큰(3)의 유효 토큰(2)과 연계 토큰(1)의 경우, 유효 토큰(2)은 Y3, X2, Z1으로 어셈블 토큰(3)에 제공되고, 연계 토큰(1)은 M1으로 제공된다.
또한, 연계성 집단#1-2을 형성하는 피스에는 연계 토큰(1)이 M2가 조합되어 반영되는 것이다.
연계성 집단#1-1의 어셈블 토큰(3)은 Y3, X2, Z1, M1으로 유효 토큰(2)과 연계 토큰(1)이 조합되어 반영된 것이며, 연계성 집단#1-2의 어셈블 토큰(3)은 Y3, X2, Z1, M2으로 유효 토큰(2)과 연계 토큰(1)이 조합되어 반영된 것이다.
여기에서 연계성 집단#1-1과 연계성 집단 #1-2의 유효 토큰(2)의 값은 동일하나, 연계 토큰(1)의 변화를 통하여 어셈블 토큰(3)의 연계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유효 토큰(2)을 통하여서는 동일 집단에 속하는 것임이 확인되어질 수 있다.
아울러,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계성 집단 #1과 연계성 집단 #2는 유효 토큰(2)이 상이하게 제공되어 각각의 집단이 구분되어 짐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셈블 토큰(3)의 경우, 연계 토큰(1)과 유효 토큰(2) 외에 대체 가능(fungible token)토큰(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연계 토큰(1), 유효 토큰(2), 대체 가능 토큰이 병합된 상태로 어셈블 토큰(3)에 부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리즈 연계 토큰을 이용한 가상 아이템 형성 시스템은 트랜잭션 쉐어링 유닛(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트랜잭션 쉐어링 유닛(200)은, 에셈블 토큰(3)이 반영된 복수 개의 피스의 경우, 트랜잭션 정보를 미리 설정된 군집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노드(N)에 공유하여, 복수의 노드(N) 간에 복수 개의 피스에 대한 이벤트를 합치할 수 있다.
트랜잭션 정보란, 복수 개의 피스와 어셈블 토큰(3)에 대하여 발생된 모든 이벤트의 기록을 말한다. 예컨대, 복수 개의 피스와 어셈블 토큰(3)의 등록, 해쉬(hash)값, 거래, 복사, 수정, 변경, 결제, 라이센싱 체결, 라이센싱 내용, 권리자 변경, 라이센싱 내용 변경 등, 복수 개의 피스에서 부수할 수 있는 모든 이벤트를 총 망라하게 된다.
복수의 노드(N)의 미리 설정된 군집의 경우, 복수의 노드(N)의 경계를 구획하는 범위와 개수 그리고 어떤 노드를 포함시킬지에 대한 정보를 미리 설정하게 된다. 그리고 노드는 미리 지정된 서버 등에 대한 자체적 데이터 저장소인 스토리지를 구비하는 요소를 의미한다.
복수의 노드(N) 각각은 트랜잭션 정보에 대하여 공유하는 것으로, 복수 개의 피스에 어셈블 토큰(3)의 반영, 복수 개의 피스의 사용, 거래에 따른 어셈블 토큰(3)에 발생되는 이벤트에 대한 트랜잭션 정보에 해당하는 일련의 내용을 복수의 노드(N)에 각각 공유하게 된다.
복수의 노드(N) 각각은 트랜잭션 정보를 상호 교차적으로 매칭 비교하여, 이들이 구비하는 복수 개의 피스와 어셈블 토큰(3)에 대하여 매칭 비교하며, 이들이 구비하는 복수 개의 피스와 어셈블 토큰(3)에 대한 트랜잭션 정보가 상호 정합하는지 여부를 매칭 비교하여 확인하여 합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시리즈 연계 토큰을 이용한 가상 아이템 형성 시스템의 트랜잭션 쉐어링 유닛(200)은 복수의 노드 중 어느 하나의 노드에서 복수 개의 피스에 대한 트랜잭션 정보가 발생되면, 복수의 노드에 공유된 복수 개의 피스에 대한 트랜잭션 정보를 각각 비교하고, 복수의 노드 중 어느 하나의 노드를 통해 복수 개의 피스에 발생된 이벤트에 대한 수정 또는 변경 여부를 결정한다.
어느 하나의 노드에서 발생된 이벤트를 통하여 노드 상호간의 데이터의 정합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이벤트 매니지먼트 유닛(100)으로부터 소싱되지 않은 정보는 선택적으로 제거되고, 노드 상호 간의 데이터의 정합을 이루도록 한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N: 노드
1: 연계 토큰
2: 유효 토큰
3: 어셈블 토큰
100: 아이템 매니지먼트 유닛
110: 토큰 생성부
111: 연계 토큰 생성부
112: 유효 토큰 생성부
120: 토큰 할당부
130: 토큰 어셈블부
200: 트랜잭션 쉐어링 유닛

Claims (10)

  1. 메타버스 내에서 가상의 아이템을 형성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 개의 피스를 형성하며, 상기 복수 개의 피스의 고유성과 연계성을 제공하고, 상기 복수 개의 피스의 선택적 조합을 통해 상기 가상의 아이템 창설이 가능하도록 하는 아이템 매니지먼트 유닛(item management uni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리즈 연계 토큰을 이용한 가상 아이템 형성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피스 각각은,
    소정의 토큰을 구비하고, 상기 소정의 토큰의 미리 결정된 조합 조건을 통하여 상기 복수 개의 피스 각각의 고유성과 연계성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리즈 연계 토큰을 이용한 가상 아이템 형성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 매니지먼트 유닛은,
    상기 소정의 토큰을 생성하는 토큰 생성부; 및
    상기 토큰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상기 소정의 토큰이 상기 복수 개의 피스 각각에 부여되는 토큰 할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리즈 연계 토큰을 이용한 가상 아이템 형성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토큰 생성부는,
    상기 복수 개의 피스 간에 연계성을 제공하는 연계 토큰을 형성하는 연계 토큰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리즈 연계 토큰을 이용한 가상 아이템 형성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토큰 생성부는,
    상기 복수 개의 피스 각각에 고유성을 제공하는 유효 토큰을 형성하는 유효 토큰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리즈 연계 토큰을 이용한 가상 아이템 형성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 매니지먼트 유닛은,
    상기 유효 토큰과 상기 연계 토큰을 미리 결정된 조합 조건에 따라 조합하여 상기 유효 토큰과 상기 연계 토큰이 조합된 어셈블 토큰을 상기 가상의 아이템에 반영하는 토큰 어셈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리즈 연계 토큰을 이용한 가상 아이템 형성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어셈블 토큰은,
    상기 어셈블 토큰 내 연계 토큰의 연계 코드를 통하여 상기 어셈블 토큰 상호 간의 연계성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리즈 연계 토큰을 이용한 가상 아이템 형성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아이템은,
    상기 어셈블 토큰 내 상기 연계 토큰의 연계성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피스의 상호 간의 연계성이 마련되며, 상기 복수 개의 피스 상호 간의 복수 개의 연계성 집단으로 개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리즈 연계 토큰을 이용한 가상 아이템 형성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어셈블 토큰이 반영된 상기 복수 개의 피스의 경우,
    트랜잭션 정보를 미리 설정된 군집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노드에 공유하여, 상기 복수의 노드 간에 상기 복수 개의 피스에 대한 이벤트를 합치하는 트랜잭션 쉐어링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시리즈 연계 토큰을 이용한 가상 아이템 형성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잭션 쉐어링 유닛은,
    상기 복수의 노드 중 어느 하나의 노드에서 상기 복수 개의 피스에 대한 트랜잭션 정보가 발생되면, 상기 복수의 노드에 공유된 상기 복수 개의 피스에 대한 트랜잭션 정보를 각각 비교하고, 상기 복수의 노드 중 어느 하나의 노드를 통해 상기 복수 개의 피스에 발생된 이벤트에 대한 수정 또는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리즈 연계 토큰을 이용한 가상 아이템 형성 시스템.
KR1020220047267A 2022-04-18 2022-04-18 시리즈 연계 토큰을 이용한 가상 아이템 형성 시스템 KR202301484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7267A KR20230148486A (ko) 2022-04-18 2022-04-18 시리즈 연계 토큰을 이용한 가상 아이템 형성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7267A KR20230148486A (ko) 2022-04-18 2022-04-18 시리즈 연계 토큰을 이용한 가상 아이템 형성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8486A true KR20230148486A (ko) 2023-10-25

Family

ID=88515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7267A KR20230148486A (ko) 2022-04-18 2022-04-18 시리즈 연계 토큰을 이용한 가상 아이템 형성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8486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1275A (ko) 2018-12-07 2021-08-18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암호화로 보호된 디지털 자산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27132A (ko) 2018-11-02 2021-10-21 베로나 홀딩스 에스이지씨 토큰화 플랫폼
KR20220027826A (ko) 2019-04-29 2022-03-08 시커런시 인크 분산 원장 플랫폼에서 디지털 유동성 토큰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저장 매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7132A (ko) 2018-11-02 2021-10-21 베로나 홀딩스 에스이지씨 토큰화 플랫폼
KR20210101275A (ko) 2018-12-07 2021-08-18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암호화로 보호된 디지털 자산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27826A (ko) 2019-04-29 2022-03-08 시커런시 인크 분산 원장 플랫폼에서 디지털 유동성 토큰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저장 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nisi et al. Blockchain-based decentralized storage networks: A survey
McConaghy et al. Bigchaindb: a scalable blockchain database
TWI746949B (zh) 基於區塊鏈的隱私交易及其應用方法和裝置
Singh et al. Blockchain: Future of financial and cyber security
Wang et al. Blockchain router: A cross-chain communication protocol
JP2018166000A (ja) 階層型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これに用いられるノード及びプログラム
Al-Maaitah et al. E-voting system based on blockchain technology: A survey
TWI727284B (zh) 基於區塊鏈的隱私交易方法、裝置及其電腦設備、基於區塊鏈內的隱私交易的應用方法及其電腦設備
US11093650B2 (en) Blockchain-based copyright distribution
Andrey et al. Review of existing consensus algorithms blockchain
Wang et al. Research on Metaverse: Concept, development and standard system
Gayvoronskaya et al. Blockchain
US20210065324A1 (en) Rights management method, device and system, and storage medium
Innerbichler et al. Federated byzantine agreement to ensure trustworthiness of digital manufacturing platforms
TW202044172A (zh) 基於區塊鏈的著作權分配方法和裝置
CN109559164A (zh) 优惠信息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Hassan et al. Future of the internet of things emerging with blockchain and smart contracts
CN113254424B (zh) 数据服务迁移方法、装置及设备
Averin et al. Review of blockchain frameworks and platforms
KR20200078922A (ko) 블록체인 기반 인수 합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Sung Prospects and challenges posed by blockchain technology on the copyright legal system
KR20230148486A (ko) 시리즈 연계 토큰을 이용한 가상 아이템 형성 시스템
KR20230148487A (ko) 피스의 선택적 조합을 이용한 가상 아이템 형성 시스템
Zaman et al. Layerwise Interoperability in Metaverse: Key to Next-Generation Electronic Commerce
KR20230150512A (ko) 피스 재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가상 아이템 발행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