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8329A - 편광막, 편광 필름, 화상 표시 패널, 및 화상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편광막, 편광 필름, 화상 표시 패널, 및 화상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8329A
KR20230148329A KR1020237026958A KR20237026958A KR20230148329A KR 20230148329 A KR20230148329 A KR 20230148329A KR 1020237026958 A KR1020237026958 A KR 1020237026958A KR 20237026958 A KR20237026958 A KR 20237026958A KR 20230148329 A KR20230148329 A KR 202301483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ing film
film
boric acid
image display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6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료 시마즈
시오미 야기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48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832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0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mpositions of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8L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5/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sulfur, nitrogen, oxygen and carbo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5/04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sulfur, nitrogen, oxygen and carbo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containing bor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3Arrangements for polarized light emiss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에 2색성 물질이 흡착 배향되고, 붕산 가교에 의해 배향 고정된 편광막으로서, (A) FT-IR에 있어서의 ATR법으로 산출되는 붕산 지수와, (B) 중화 적정법에 의해 산출되는 붕산 함유량(중량%)의 비((A)/(B))가 0.13 미만인 편광막. 상기 편광막은 고온 고습 환경 하에 있어서의 내구성이 우수하고, 또한 모양 자국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편광 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편광막, 편광 필름, 화상 표시 패널, 및 화상 표시 장치
본 발명은 편광막, 편광 필름, 화상 표시 패널, 및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액정 표시 장치나 유기 EL 표시 장치 등의 각종 화상 표시 장치에 사용하는 편광막(편광자)으로서는, 고투과율과 고편광도를 겸비하고 있는 점으로부터, 염색 처리된(요오드나 2색성 염료 등의 2색성 물질을 함유한다)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편광막은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에, 욕 중에서, 예를 들면, 팽윤, 염색, 가교, 연신 등의 각 처리를 실시한 후에, 세정 처리를 실시하고나서, 건조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상기 편광막은 투명 보호 필름 접착제층을 개재해서 접합되어 편광 필름으로서 사용되고, 또한 상기 편광 필름은 필요에 따라서, 다른 광학층을 적층해서 적층 편광 필름(광학 적층체)으로서 사용된다. 또한, 상기 편광 필름 또는 상기 적층 편광 필름(광학 적층체)은 액정 셀이나 유기 EL 소자 등의 화상 표시 셀에 접합된 화상 표시 패널로서 사용된다. 또한, 상기 화상 표시 패널은 점착제층이나 접착제층을 개재해서, 시인측에 있어서의 앞면 투명판(윈도우층)이나 터치 패널 등의 앞면 투명 부재에 접합되어, 상기의 각종 화상 표시 장치로서 사용된다(특허문헌 1-3).
일본특허공개 2014-102353호 공보 국제공개 제2019/188779호 일본특허공표 2018-44992호 공보
특허문헌 2에서는, 고온 환경 하에 있어서의 편광막의 광학 특성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편광막 중의 붕소 함유량을 높이는 것이 유효한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3과 같은 저투습도의 투명 보호 필름과 편광막이, 수계 접착제층을 개재해서 접합되어 있는 편광 필름에서는 단지, 편광막의 붕산 함유량을 높인 경우, 편광막이 수계 접착제층에 포함되는 수분을 도입하기 쉬워지는 것에 의해 재팽윤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와 같이 편광막이 재팽윤함으로써, 형광등의 광의 반사에 의해 확인되는 요철 모양의 외관의 결함(모양 자국)이 발생해버려, 편광 필름에 외관 불량이 생기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3과 같은 저투습도의 투명 보호 필름과 편광막이, 수계 접착제층을 개재해서 접합되어 있는 편광 필름에서는 고온 고습 하에서의 내구성도 요구되고 있다.
이상과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고온 고습 환경 하에 있어서의 내구성이 우수하고, 또한 모양 자국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편광 필름을 형성할 수 있는 편광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에 2색성 물질이 흡착 배향되고, 붕산 가교에 의해 배향 고정된 편광막으로서, (A) FT-IR에 있어서의 ATR법으로 산출되는 붕산 지수와, (B) 중화 적정법에 의해 산출되는 붕산 함유량(중량%)의 비((A)/(B))가 0.13 미만인 편광막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투명 보호 필름과 상기 편광막이, 수계 접착제층을 개재해서 접합되어 있는 편광 필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화상 표시 셀에, 상기 편광 필름이 접합되어 있는 화상 표시 패널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상 표시 패널과 앞면 투명 부재를 갖는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편광막에 있어서의 효과의 작용 메카니즘의 상세는 이하와 같이 추정된다. 단, 본 발명은 이 작용 메카니즘에 한정해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편광막은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에 2색성 물질이 흡착 배향되고, 붕산 가교에 의해 배향 고정된 편광막으로서, (A) FT-IR에 있어서의 ATR법으로 산출되는 붕산 지수와, (B) 중화 적정법에 의해 산출되는 붕산 함유량(중량%)의 비((A)/(B))가 0.13 미만이다. 상기 (A) FT-IR에 있어서의 ATR법으로 산출되는 붕산 지수는, 편광막 표면의 붕산량(표면 붕산량)을 나타내고, 또한 상기 (B) 중화 적정법에 의해 산출되는 붕산 함유량(중량%)은 편광막 전체의 붕산 농도(벌크 붕산농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편광막은 상기 (A)와 상기 (B)의 비((A)/(B))가 0.13 미만인 것에 의해, 수계 접착제층의 수분에 의한 편광막의 재팽윤이 발생하기 어렵기 때문에, 고온 고습 환경 하에 있어서의 내구성이 우수하면서도 모양 자국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편광 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편광막>
본 발명의 편광막은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에 2색성 물질이 흡착 배향되고, 붕산 가교에 의해 배향 고정되고, (A) FT-IR에 있어서의 ATR법으로 산출되는 붕산 지수와, (B) 중화 적정법에 의해 산출되는 붕산 함유량(중량%)의 비((A)/(B))가 0.13 미만이다.
상기 편광막은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에 요오드나 2색성 염료 등의 2색성 물질이 흡착 배향해서 형성된다. 2색성 색소로서는, 아크리딘 색소, 옥사진 색소, 시아닌 색소, 나프탈렌 색소, 아조 색소 및 안트라퀴논 색소 등이 열거된다. 편광막의 초기의 편광 성능의 관점에서, 상기 2색성 물질로서 요오드를 포함하는, 요오드계 편광막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알콜(PVA)계 필름은 가시광 영역에 있어서 투광성을 갖고, 요오드나 2색성 염료 등의 2색성 물질을 분산 흡착하는 것을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의 재료로서는, 폴리비닐알콜 또는 그 유도체가 열거된다. 상기 폴리비닐알콜의 유도체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포르말, 폴리비닐아세탈;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올레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및 그 알킬에스테르, 아크릴아미드 등으로 변성한 것 등이 열거된다. 상기 폴리비닐알콜은 평균 중합도가 100∼10,000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0∼10,000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00∼4,500정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리비닐알콜은 비누화도가 80∼100몰%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95몰%∼99.95몰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평균 중합도 및 상기 비누화도는, JIS K 6726에 준해서 구할 수 있다.
상기 편광막은 (A) FT-IR에 있어서의 ATR 법으로 산출되는 붕산 지수와, (B)중화 적정법에 의해 산출되는 붕산 함유량(중량%)의 비((A)/(B))가 0.13 미만이다.
상기 (A) FT-IR에 있어서의 ATR법으로 산출되는 붕산 지수는, 푸리에 변환 적외 분광 광도계(FT-IR)를 사용하고, 전반사 쇠퇴 분광(ATR) 측정에 의해 산출되고, 편광막 표면의 붕산량(표면 붕산량)을 나타낸다. 이러한 편광막 표면의 붕산량의 측정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국제공개 제2017/145607호가 참고가 된다. 상기 (A) FT-IR에 있어서의 ATR법으로 산출되는 붕산 지수는, 내구성을 향상하는 관점에서, 2.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22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91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그리고, 모양 자국의 발생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3.46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B) 중화 적정법에 의해 산출되는 붕산 함유량(중량%)은 편광막 전체의 붕산 농도(벌크 붕산 농도)를 나타낸다. 이러한 편광막 전체의 붕산 농도의 측정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국제공개 제2019/188779호가 참고가 된다. 상기 (B) 중화 적정법에 의해 산출되는 붕산 함유량(중량%)은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20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2중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4중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그리고, 치수 변화율(수축률)의 관점에서, 35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2중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중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편광막은 (A) FT-IR에 있어서의 ATR법으로 산출되는 붕산 지수와, (B)중화 적정법에 의해 산출되는 붕산 함유량(중량%)의 비((A)/(B))는 반송성을 향상하는(욕 중의 꺽임을 방지한다) 관점에서, 0.06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074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그리고, 모양 자국의 발생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0.12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막의 제조 방법>
상기 편광막은 상기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에 염색 공정, 가교 공정, 및 연신 공정이 실시되고, 또한 임의의 공정으로서, 팽윤 공정, 세정 공정, 및 건조 공정 중 적어도 1개의 처리 공정이 실시됨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편광막 중에 포함되는 상기 붕소의 함유량은 팽윤 공정, 염색 공정, 가교 공정, 연신 공정 및 세정 공정에 있어서의 각 처리 욕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붕산, 붕산염, 붕사 등의 붕소 화합물 등의 붕소 성분 공여 물질의 농도, 상기의 각 처리 욕에 의한 처리 온도 및 처리 시간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특히, 가교 공정 및 연신 공정은 붕소 성분 공여 물질의 농도 등의 처리 조건에 의해, 상기 붕소의 함유량의 함유량을 소망의 범위로 조정하기 쉽다. 또한, 세정 공정은 염색 공정, 가교 공정, 또는 연신 공정 등에서 사용한 붕소 성분 공여 물질 등의 처리 조건을 고려한 점에서, 붕소를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으로부터 용출시킬 수 있는 관점으로부터, 상기 붕소의 함유량을 소망의 범위로 조정하기 쉽다.
상기 팽윤 공정은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팽윤 욕 중에 침지하는 처리 공정이고, 폴리비닐알콜계 필름 표면의 오염이나 블록킹제 등을 제거할 수 있고, 또한,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팽윤시킴으로써 염색 얼룩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팽윤 욕은 통상, 물, 증류수, 순수 등의 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매체가 사용된다. 상기 팽윤 욕은 상법에 따라서, 계면활성제, 알콜 등이 적시에 첨가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팽윤욕에 요오드화 칼륨을 사용해도 되고, 이 경우, 상기 팽윤 욕 중 요오드화 칼륨의 농도는, 1.5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중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5중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팽윤 욕의 온도는 10∼6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15∼45℃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8∼30℃ 정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팽윤 욕에의 침지 시간은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의 팽윤의 정도가 팽윤 욕의 온도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결정할 수 없지만, 5∼300초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10∼200초간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100초간 정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팽윤 공정은 1회만 실시되어도 되고, 필요에 따라서 복수회 실시되어도 된다.
상기 염색 공정은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염색 욕(요오드 용액)에 침지하는 처리 공정이고,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에, 요오드 또는 2색성 염료 등의 2색성 물질을 흡착·배향시킬 수 있다. 상기 요오드 용액은 통상, 요오드 수용액인 것이 바람직하고, 요오드 및 용해 조제로서 요오드화물을 함유한다. 또한, 상기 요오드화물로서는, 요오드화 칼륨, 요오드화 리튬, 요오드화 나트륨, 요오드화 아연, 요오드화 알루미늄, 요오드화 납, 요오드화 구리, 요오드화 바륨, 요오드화 칼슘, 요오드화 주석, 요오드화 티타늄 등이 열거된다.
상기 염색 욕 중, 요오드의 농도는 0.01∼1중량%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0.02∼0.5중량%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염색 욕 중, 상기 요오드화물의 농도는 0.01∼10중량%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5중량%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3중량% 정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염색 욕의 온도는 10∼5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15∼45℃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8∼30℃ 정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염색 욕에의 침지 시간은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의 염색의 정도가 염색 욕의 온도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결정할 수 없지만, 10∼300초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20∼240초간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염색 공정은 1회만 실시되어도 되고, 필요에 따라서 복수회 실시되어도 된다.
상기 가교 공정은 상기 염색 공정에서 염색된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붕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처리 욕(가교 욕) 중에 침지하는 처리 공정이며, 붕소 화합물에 의해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이 가교하고, 요오드 분자 또는 염료 분자가 상기 가교 구조에 흡착할 수 있다. 상기 붕소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붕산, 붕산염, 붕사 등이 열거된다. 상기 가교 욕은 수용액이 일반적이지만, 예를 들면, 물과의 혼화성이 있는 유기 용매 및 물의 혼합 용액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가교 욕은 요오드화 칼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교욕 중 상기 붕소 화합물의 농도는, 1∼15중량%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1.5∼10중량%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5중량%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교 욕에 요오드화 칼륨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가교 욕 중, 요오드화 칼륨의 농도는 1∼15중량%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1.5∼10중량%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5중량%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가교 욕의 온도는, 20∼7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30∼60℃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교 욕에의 침지 시간은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의 가교의 정도가 가교 욕의 온도의 영향을 받기 위해서 일률적으로 결정할 수 없지만, 5∼300초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10∼200초간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가교 공정은 1회만 실시되어도 되고, 필요에 따라서 복수회 실시되어도 된다.
상기 연신 공정은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적어도 일방향으로 소정의 배율로 연신하는 처리 공정이다. 일반적으로는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반송 방향(길이 방향)으로 1축 연신한다. 상기 연신의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습윤 연신법과 건식 연신법의 어느 것으로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연신 공정은 1회만 실시되어도 되고, 필요에 따라서 복수회 실시되어도 된다. 상기 연신 공정은 편광막의 제조에 있어서, 어느 쪽의 단계에서 행해져도 된다.
상기 습윤 연신법에 있어서의 처리 욕(연신 욕)은 통상, 물 또는 물과의 혼화성이 있는 유기 용매 및 물의 혼합 용액 등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연신 욕은 요오드화 칼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신 욕에 요오드화 칼륨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연신 욕 중, 요오드화 칼륨의 농도는, 1∼15중량%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2∼10중량%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6중량% 정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처리 욕(연신 욕)에는, 연신 중의 필름 파단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상기 붕소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연신 욕 중 상기 붕소 화합물의 농도는, 1∼15중량%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1.5∼10중량%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5중량%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연신 욕의 온도는 25∼8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40∼75℃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70℃ 정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신 욕에의 침지 시간은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의 연신의 정도가 연신 욕의 온도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결정할 수 없지만, 10∼800초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30∼500초간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습윤 연신법에 있어서의 연신 처리는, 상기 팽윤 공정, 상기 염색 공정, 상기 가교 공정 및 상기 세정 공정 중 어느 1개 이상의 처리 공정과 아울러 실시해도 된다.
상기 건식 연신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롤간 연신 방법, 가열 롤 연신 방법, 압축 연신 방법 등이 열거된다. 또한, 상기 건식 연신법은 상기 건조 공정과 아울러 실시해도 된다.
상기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에 실시되는 총연신 배율(누적의 연신 배율)은 목적에 따라서 적당히 설정할 수 있지만, 2∼7배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3∼6.8배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5∼6.5배 정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세정 공정은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세정 욕 중에 침지하는 처리 공정이고,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의 표면 등에 잔존하는 이물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세정 욕은 통상, 물, 증류수, 순수 등의 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매체가 사용된다. 또한, 상기 세정 욕에 요오드화 칼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상기 세정 욕 중, 요오드화 칼륨의 농도는 1∼10중량%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1.5∼4중량%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8∼3.8중량% 정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세정 욕의 온도는, 5∼5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10∼40℃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36℃ 정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세정 욕에의 침지 시간은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의 세정의 정도가 세정 욕의 온도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결정할 수 없지만, 1∼100초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2∼50초간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20초간 정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팽윤 공정은 1회만 실시되어도 되고, 필요에 따라서 복수회 실시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세정 공정은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의 표면 등에 잔존하는 이물을 제거할 수 있으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상기의 매체에서 도포(도공)해서 세정해도 된다. 도포(도공)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롤 코트법, 스핀 코트법, 와이어바 코트법, 딥 코트법, 다이 코트법, 커튼 코트법, 스프레이 코트법, 나이프 코트법(콤마 코트법 등) 등의 코팅 방법 등이 열거된다. 상기 세정 공정은 1회만 실시되어도 되고, 필요에 따라서 복수회 실시되어도 된다.
상기 건조 공정은 상기 세정 공정에서 세정된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건조해서 편광막을 얻는 공정이고, 건조에 의해 소망의 수분율을 갖는 편광막이 얻어진다. 상기 건조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행해지고, 예를 들면, 자연 건조, 송풍 건조, 가열 건조가 열거된다. 상기 편광막은 수분율이 8∼25중량%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12∼20중량%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 온도는 20∼15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25∼100℃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건조 시간은 편광막의 건조 정도가 건조 온도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결정할 수 없지만, 30∼600초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60∼300초간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 공정은 1회만 실시되어도 되고, 필요에 따라서 복수회 실시되어도 된다.
상기 편광막은 편광막의 초기의 편광도를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두께가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그리고, 패널의 휘어짐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두께가 8㎛ 정도 이하의 편광막을 얻기 위해서는, 상기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으로서, 열가소성 수지 기재 상에 제막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층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사용하는, 이하의 박형의 편광막의 제조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편광막(박형의 편광막)은 종전의 편광막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고, 예를 들면, 장척상의 열가소성 수지 기재의 편측에, 폴리비닐알콜계 수지(PVA계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층(PVA계 수지층)을 형성해서 적층체를 준비하는 공정과, 얻어진 적층체를 길이 방향으로 반송하면서, 상기 적층체에, 임의의 불용화 처리 공정, 가교 처리 공정, 및 세정 처리 공정과, 적어도 공중 보조 연신 처리 공정, 염색 처리 공정, 및 수중 연신 처리 공정을 실시해서 얻어진다. 상기 박형의 편광막 중에 포함되는 상기 붕소의 함유량은 불용화 처리 공정, 가교 처리 공정, 세정 처리 공정, 염색 처리 공정, 및 수중 연신 처리 공정에 있어서의 각 처리 욕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붕산, 붕산염, 붕사 등의 붕소 화합물 등의 붕소 성분 공여 물질의 농도, 상기의 각 처리 욕에 의한 처리 온도 및 처리 시간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편광 필름>
본 발명의 편광 필름은 제 1 투명 보호 필름과 상기 편광막이, 수계 접착제층을 개재해서 접합되어 있다.
<제 1 투명 보호 필름>
상기 제 1 투명 보호 필름은 편광 필름에 사용되고 있는 투명 보호 필름이면 특별히 제한 없지만, 상기 편광 필름의 제 1 투명 보호 필름측을 화상 표시 셀에 접합시키는 경우, 접합시킨 후의 건조 공정의 생산 효율의 관점에서, 투습도가 50g/(m2·24h)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투습도가 30g/(m2·24h)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g/(m2·24h)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편광 필름의 제 1 투명 보호 필름의 반대면에 제 2 투명 보호 필름을 접합시켜도 되고, 이 경우, 제 2 투명 보호 필름은 앞 편광막의 고온 고습 하의 내구성의 관점에서, 투습도가 1000g/(m2·24h)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00g/(m2·24h)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00g/(m2·24h)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투습도는 JIS Z0208의 투습도 시험(컵법)에 준하여 직경 60mm로 절단한 샘플을 약 15g의 염화 칼슘을 넣은 투습 컵에 세트하고, 온도 40℃, 습도 90% R.H.의 항온기에 넣고, 24시간 방치한 전후의 염화 칼슘의 중량 증가를 측정함으로써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투명 보호 필름의 재질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편광 필름에 사용되고 있는 투명 보호 필름, 위상차 필름 등의 유기 기재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투명 보호 필름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메타)아크릴계 수지,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이 열거된다. 상기 위상차 필름으로서는, 예를 들면, 고분자 소재를 1축 또는 2축 연신 처리해서 이루어지는 복굴절성 필름, 액정 폴리머의 배향 필름, 액정 폴리머의 배향층을 필름으로 지지한 것 등이 열거된다.
상기 편광 필름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투명 보호 필름의 편광막을 접합시키기 않는 면에는, 하드 코트층, 스티킹 방지층, 확산층 또는 안티글레어층 등의 다른 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다른 층은 보호 필름, 바로 그것에 형성할 수 있는 것 이외에, 별도, 보호 필름과는 별체의 것으로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투명 보호 필름의 두께는 적당하게 결정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강도나 취급성 등의 작업성, 박층성 등의 관점으로부터, 1∼50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1∼300㎛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100㎛ 정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및 제 2 투명 보호 필름에는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활제, 가소제, 이형제, 착색 방지제, 난연제, 대전 방지제, 안료, 착색제 등의 임의의 적절한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수계 접착제층>
상기 수계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접착제로서는, 편광 필름에 사용되고 있는 각종 수계 접착제를 적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이소시아네이트계 접착제, 폴리비닐알콜계 접착제, 젤라틴계 접착제, 비닐계 라텍스계, 수계 폴리에스테르 등이 열거된다. 이것들 중에서도, 폴리비닐알콜계 접착제가 바람직하고, 아세트아세틸기 함유 폴리비닐알콜계 접착제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수계 접착제는, 가교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 가교제로서는, 통상, 접착제를 구성하는 폴리머 등의 성분과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를 1분자 중에 적어도 2개 갖는 화합물이 사용되고, 예를 들면, 알킬렌디아민류; 이소시아네이트류; 에폭시류; 알데히드류; 메티롤 요소, 메티롤 멜라민 등의 아미노-포름알데히드 등이 열거된다. 접착제 중의 가교제의 배합량은 접착제를 구성하는 폴리머 등의 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10∼60중량부 정도이다.
상기 제 2 투명 보호 필름을 상기 편광막에 접합하는 경우, 통상, 접착제가 사용된다. 상기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의 수계 접착제 외에,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전자선 경화형 접착제 등이 열거된다. 또한, 상기 접착제에는 금속 화합물 필러 등을 함유시킬 수 있다.
상기 수계 접착제 등의 접착제의 도포는, 상기 제 1 및 제 2 투명 보호 필름, 상기 편광막 중 어느 하나에 행해도 되고, 양자에 행해도 된다. 접합 후에는 건조 공정을 실시하고, 도포 건조층으로 이루어지는 접착제층을 형성한다. 상기 편광막과 상기 투명 보호 필름의 접합은 롤 라미네이터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상기 건조 공정 후에는, 필요에 따라서, 자외선이나 전자선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30∼5000n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1000nm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및 제 2 투명 보호 필름과 상기 편광막은 표면 개질 처리층, 이접착제층, 블록층, 굴절률 조정층 등의 개재층을 개재해서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표면 개질층을 형성하는 표면 개질 처리로서는, 예를 들면,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프라이머 처리, 비누화 처리 등이 열거된다.
상기 이접착층을 형성하는 이접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골격, 폴리에테르 골격, 폴리카보네이트 골격, 폴리우레탄 골격, 실리콘계, 폴리아미드 골격, 폴리이미드 골격, 폴리비닐알콜 골격 등을 갖는 각종 수지를 포함하는 형성 재가 열거된다. 상기 이접착층은 통상, 보호 필름에 미리 형성해 두고, 상기 보호 필름의 이접착층측과 편광막을, 상기 점착제층 또는 상기 접착제층에 의해 적층한다.
상기 블록층은 투명 보호 필름 등으로부터 용출되는 올리고머나 이온 등의 불순물이 편광막 중에 이행(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층이다. 상기 블록층은 투명성을 갖고, 또한 투명 보호 필름 등으로부터 용출되는 불순물을 방지할 수 있는 층이면 되고, 블록층 형성재로서는, 예를 들면, 우레탄 프리폴리머계 형성재,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형성재, 에폭시계 형성재 등이 열거된다.
상기 굴절률 조정층은, 상기 투명 보호 필름과 편광막 등 굴절률이 상이한 층간에서의 반사에 수반되는 투과율의 저하를 억제하기 위해서 형성되는 층이다. 상기 굴절률 조정층을 형성하는 굴절률 조정재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카계, 아크릴계, 아크릴-스티렌계, 멜라민계 등을 갖는 각종 수지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형성제가 열거된다.
상기 편광 필름은 상기 편광 필름이 광학층에 접합되어 있는 적층 편광 필름(광학 적층체)이어도 된다. 상기 광학층은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예를 들면, 반사판이나 반투과판, 위상차판(1/2이나 1/4 등의 파장판을 포함한다), 시야각 보상 필름 등의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형성에 사용되는 경우가 있는 광학층을 1층 또는 2층 이상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적층 편광 필름으로서는, 특히, 상기 편광 필름에 더욱 반사판 또는 반투과 반사판이 적층되어서 이루어지는 반사형 편광 필름 또는 반투과형 편광 필름, 상기 편광 필름에 위상차판이 더 적층되어서 이루어지는 타원 편광 필름 또는 원평광 필름, 상기 편광 필름에 시각 보상 필름이 더 적층되어서 이루어지는 광시야각 편광 필름 또는 상기 편광 필름에 휘도 향상 필름이 더 적층되어서 이루어지는 편광 필름이 열거된다.
상기 편광 필름 또는 상기 적층 편광 필름의 일방의 면 또는 양방의 면에는, 액정 셀이나 유기 EL 소자 등의 화상 표시 셀과, 시인측에 있어서의 앞면 투명판이나 터치 패널 등의 앞면 투명 부재 등의 다른 부재를 접합시키기 위한 접착제층이 부설되어도 된다. 상기 접착제층으로서는, 점착제층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아크릴계 중합체, 실리콘계 폴리머,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 불소계나 고무계 등의 폴리머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것을 적당하게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아크릴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점착제와 같이, 광학적 투명성이 우수하고, 적당한 젖음성과 응집성과 접착성을 나타내고, 내후성이나 내열성 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편광 필름이나 상기 적층 편광 필름의 편면 또는 양면에의 점착제층의 부설은 적당한 방식으로 행할 수 있다. 점착제층의 부설로서는, 예를 들면, 점착제 용액을 조제하고, 그것을 유연 방식이나 도포 방식 등의 적당한 전개 방식으로 상기 편광 필름이나 상기 적층 편광 필름 상에 직접 부설하는 방식 또는 세퍼레이터 상에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그것을 상기 편광 필름이나 상기 적층 편광 필름 상에 이착(移着)하는 방식 등이 열거된다.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는, 사용 목적이나 접착력 등에 따라서 적당하게 결정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는 1∼500㎛이고, 5∼20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1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편광 필름이나 상기 적층 편광 필름 중 적어도 일방의 면에 점착제층이 형성된 것을, 점착제층이 있는 편광 필름 또는 점착제층이 있는 적층 편광 필름이라고 한다.
상기 점착제층의 노출면에 대해서는, 실용에 제공되기까지는 그 오염 방지 등을 목적으로 세퍼레이터가 가착(假着)되어서 커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통례의 취급 상태로 점착제층의 오염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로서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 필름, 고무 시트, 종이, 천, 부직포, 네트, 발포 시트나 금속박, 그것들의 라미네이트체 등의 적당한 박엽체를, 필요에 따라서 실리콘계나 장쇄 알킬계, 불소계나 황화 몰리브덴 등의 적당한 박리제로 코트 처리한 것 등이 사용된다.
<화상 표시 패널>
본 발명의 화상 표시 패널은 화상 표시 셀에, 상기 편광 필름의 제 1 투명 보호 필름측이 접합되어 있다. 상기 화상 표시 셀로서는, 예를 들면, 액정 셀이나 유기 EL 셀 등이 열거된다. 상기 액정 셀로서는, 예를 들면, 외광을 이용하는 반사형 액정 셀, 백라이트 등의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이용하는 투과형 액정 셀, 외부로부터 광과 광원으로부터의 광의 양자를 이용하는 반투과 반반사형 액정 셀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해도 된다. 상기 액정 셀이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이용하는 것일 경우, 화상 표시 장치(액정 표시 장치)는 화상 표시 셀(액정 셀)의 시인측과 반대측에도 편광 필름이 배치되고, 또한 광원이 배치된다. 상기 광원측의 편광 필름과 액정 셀은 적당한 접착제층을 개재해서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정 셀의 구동 방식으로서는, 예를 들면, VA 모드, IPS 모드, TN 모드, STN 모드나 벤드 배향(π형) 등의 임의의 타입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 EL 셀로서는, 예를 들면, 투명 기판 상에 투명 전극과 유기 발광층과 금속 전극을 이 순서대로 적층해서 발광체(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발광체)를 형성한 것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유기 발광층은 다양한 유기 박막의 적층체이고, 예를 들면, 트리페닐아민 유도체 등으로 이루어지는 정공 주입층과, 안트라센 등의 형광성의 유기 고체로 이루어지는 발광층과의 적층체나, 이것들의 발광층과 페릴렌 유도체 등으로 이루어지는 전자 주입층의 적층체 또는 정공 주입층, 발광층, 및 전자 주입층의 적층체 등, 다양한 구성이 채용될 수 있다.
<화상 표시 장치>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상기 화상 표시 패널과 앞면 투명 부재를 갖는다. 상기 화상 표시 패널은 통상, 상기 화상 표시 패널의 상기 제 2 투명 보호 필름측에, 앞면 투명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화상 표시 셀의 시인측에 배치되는 앞면 투명 부재로서는, 예를 들면, 앞면 투명판(윈도우층)이나 터치패널 등이 열거된다. 상기 전면 투명판으로서는, 적당한 기계 강도 및 두께를 갖는 투명판이 사용된다. 이러한 투명판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수지나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와 같은 투명 수지판 또는 유리판 등이 사용된다. 상기 터치 패널로서는, 예를 들면, 저항막 방식, 정전 용량 방식, 광학 방식, 초음파 방식 등의 각종 터치 패널이나, 터치 센서 기능을 구비하는 유리판이나 투명 수지판 등이 사용된다. 상기 앞면 투명 부재로서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이 사용되는 경우, 터치 패널보다 더 시인측에, 유리나 투명 수지판으로 이루어지는 앞면 투명판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편광 필름은 고온 고습 환경 하에 있어서의 내구성이 우수한 점으로부터, 예를 들면,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 용도나 모바일 용도뿐만 아니라, 차량 탑재 디스플레이 용도나, 사이니즈에 대표되는 옥외에서의 사용을 목적으로 한 디스플레이 용도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들의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편광막의 제작>
평균 중합도가 2,400, 비누화도가 99.9몰%, 두께가 45㎛인 폴리비닐알콜 필름을 준비했다. 폴리비닐알콜 필름을, 주속비가 상이한 롤 사이에서, 30℃의 팽윤 욕(수욕) 중에 30초간 침지해서 팽윤하면서 반송 방향으로 2.2배로 연신하고(팽윤 공정), 이어서, 30℃의 염색 욕(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요오드와 요오드화 칼륨을 1:7의 중량비로 배합해서 얻어진 요오드 수용액) 중에서, 편광막이 소정의 투과율이 되도록 요오드 농도를 조정하면서 30초간 침지해서 염색하면서 원래의 폴리비닐알콜 필름(반송 방향으로 전혀 연신되어 있지 않은 폴리비닐알콜 필름)을 기준으로 해서 반송 방향으로 3.3배로 연신했다(염색 공정). 다음에, 염색한 폴리비닐알콜 필름을, 40℃의 가교 욕(붕산 농도가 3.5중량%, 요오드화 칼륨 농도가 3.0중량%, 황산 아연 농도가 3.6중량%인 수용액) 중에서 28초간 침지해서 원래의 폴리비닐알콜 필름을 기준으로 해서 반송 방향으로 3.6배까지 연신했다(가교 공정). 또한, 얻어진 폴리비닐알콜 필름을, 64℃의 연신 욕(붕산 농도가 4.8중량%, 요오드화 칼륨 농도가 5.0중량%, 황산 아연 농도 5.0중량%인 수용액) 중에서 60초간 침지해서 원래의 폴리비닐알콜 필름을 기준으로 해서 반송 방향으로 6.0배까지 연신한(연신 공정) 후, 29℃의 세정 욕(요오드화 칼륨 농도가 2.3중량%) 중에서 10초간 침지하였다(세정 공정). 세정한 폴리비닐알콜 필름을, 40℃에서 30초간 건조해서 편광막을 제작했다. 이하의 측정 방법으로 구했다, (A) FT-IR에 있어서의 ATR법으로 산출되는 붕산 지수는 3.20, (B) 중화 적정법에 의해 산출되는 붕산 함유량(중량%)은 27.5중량%이었다. 또한, 편광막의 두께는 18㎛이었다.
<(A) FT-IR에 있어서의 ATR법으로 산출되는 붕산 지수의 측정 방법>
상기에서 얻어진 편광막을 사용하고, 푸리에 변환 적외 분광 광도계(FT-IR) (Perkin Elmer사 제작, 상품명 「SPECTRUM2000」)로, 전반사 쇠퇴 분광(ATR) 측정에 의해 붕산 피크(665cm-1)의 강도 및 참조 피크(2940cm-1)의 강도를 측정했다. 얻어진 붕산 피크 강도 및 참조 피크 강도로부터 붕산 지수를 하기 식에 의해 산출했다.
(붕산 지수)=(붕산 피크 665cm-1의 강도)/(참조 피크 2940cm-1의 강도)
<(B) 중화 적정법에 의해 산출되는 붕산 함유량(중량%)의 측정 방법>
120℃에서 2시간 건조시킨 편광막(약 0.2g)을 물에 녹이고, 만니톨 및 BTB 용액을 소량 적하한 수용액에, 0.1mol/L의 NaOH 수용액을 뷰렛을 사용해서 중화 적정하고, 편광막의 붕소 함유율을 하기 식에 근거해서 산출했다.
편광막의 붕소 함유량(중량%)=C×V×Mw/M×100
C: NaOH 수용액의 농도(mol/L)
V: NaOH 수용액의 적하량(L)
Mw: 붕소의 분자량(g/mol)
M: 120℃, 2시간 건조 후의 편광막 중량(g)
<편광 필름의 제작>
접착제로서, 아세트아세틸기를 함유하는 폴리비닐알콜 수지(평균 중합도가 1,200, 비누화도가 98.5몰%, 아세토아세틸화도가 5몰%)와 메티롤 멜라민을 중량비 3:1로 함유하는 수용액을 사용했다. 이 접착제를 사용하고, 제 1 투명 보호 필름으로서, 상기에서 얻어진 편광막의 일방의 면(화상 표시 셀측 표면)에, 시클로올레핀계 필름(투습도가 10g/(m2·24h), NIPPON SHOKUBAI CO., LTD. 제작, 상품명 「ZT 필름」)(이하, 이 필름을 「투명 필름 A」라고 칭한다), 또한, 제 2 투명 보호 필름으로서, 타방의 면(시인측)에,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FUJIFILM Corporation 제작, 상품명 「TJ40UL」)에 HC를 형성한 두께 48㎛의 투명 보호 필름(투습도는 300g/(m2·24h)「투명 필름 B」라고 칭한다)을 롤 접합기로 접합한 후, 이어서 오븐 내에서 가열 건조(온도가 90℃, 시간이 10분간)시켜서, 편광막의 양면에 투명 보호 필름이 접합된 편광 필름을 제작했다.
<모양 자국의 평가>
목시의 외관 검사(레벨 견본 샘플을 사용한 상대 평가, 관능 평가)에서 레벨 분류했다. 레벨 1 또는 2이면, 실용 상 사용할 수 있고, 레벨 1이 보다 바람직하다.
레벨 1: 편광 필름 상태에서 요철은 시인되지 않는다.
레벨 2: 유사 패널(유리) 접합 상태에서는 시인되지 않고, 편광 필름 상태에서 요철이 시인된다.
레벨 3: 유사 패널(유리) 접합 상태에서 요철이 시인된다.
<아크릴계 점착제의 조제>
교반 날개, 온도계, 질소 가스 도입관, 냉각기를 구비한 4구 플라스크에, 부틸아크릴레이트 99부,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1부를 함유하는 모노머 혼합물을 투입했다. 또한, 상기 모노머 혼합물(고형분) 100부에 대하여, 중합 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1부를 아세트산 에틸 100부와 함께 투입하고, 서서히 교반하면서 질소 가스를 도입해서 질소 치환한 후, 플라스크 내의 액체 온도를 55℃ 부근에 유지해서 8시간 중합 반응을 행하여 중량 평균 분자량(Mw) 180만의 아크릴계 폴리머의 용액을 조제했다. 그 후, 얻어진 아크릴계 폴리머의 용액의 고형분 100부에 대하여, 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TOSOH CORPORATION 제작, 상품명 「타케네이트 D110N」, 트리메티롤프로판/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 0.02부, 실란 커플링제(Shin-Etsu Chemical Co., Ltd. 제작, 상품명 「X-41-1056」) 0.2부를 배합하여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용액을 조제했다.
<점착제가 있는 편광 필름의 제작>
상기에서 얻어진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용액을, 실리콘계 박리제로 처리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Mitsubishi Chemical Polyester Film Corporation 제작, 상품명 「MRF38」, 세퍼레이터 필름)의 편면에, 건조 후의 점착제층의 두께가 20㎛가 되도록 도포하고, 90℃에서 1분간 건조를 행하여 세퍼레이터 필름의 표면에 점착제층을 형성했다. 이어서, 상기에서 제작한 편광 필름의 화상 표시 셀측의 보호 필름면에, 세퍼레이터 필름 상에 형성한 점착제층을 전사하여 점착제층이 있는 편광 필름을 제작했다.
<유사 화상 표시 패널의 제작>
상기에서 얻어진 점착제층이 있는 편광 필름을, 편광막의 흡수축이 장변과 평행해지도록 40×40mm의 사이즈로 절단하고,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유리판(50×45mm, 두께 1.1mm)을 접합하고, 50℃, 0.5MPa로 15분간 오토클레이브 처리하여 유사 화상 표시 패널(편면 점착제층이 있는 편광 필름을 갖는 적층체)을 제작했다.
<고온 고습 환경 하에 있어서의 내구성의 평가>
상기에서 얻어진 유사 화상 표시 패널을, 온도 85℃ 및 상대 습도 85%에서 240시간의 내구 시험에 제공했다. 투입(가습) 전후의 편광도(ΔP)를 측정했다. 편광도는, 분광 광도계(Otsuka Electronics Co., Ltd. 제작, LPF-200)를 사용해서 측정했다. 편광도(ΔP)는 -0.01∼-0.03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1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측정 파장은 380∼780nm(5nm 마다)이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7, 9>
편광막의 제작에 있어서, 연신 욕의 붕산 농도 및 세정 욕의 온도를, 표 1에 기재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에 의해, 유사 화상 표시 패널을 제작했다.
<실시예 8>
편광막의 작성에 있어서, 세정 욕 공정과 편광자의 건조 공정 사이에 약 40℃의 온수를 공급한 그라비아 롤과 편광자를 접촉시키는 제 2 세정 공정을 추가한 것, 연신 욕의 붕산 농도 및 세정 욕의 온도를,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에 의해, 유사 화상 표시 패널을 제작했다.
<비교예 1-2>
편광막의 제작에 있어서, 연신 욕의 붕산 농도 및 세정 욕의 온도를,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에 의해, 유사 화상 표시 패널을 제작했다.
상기에서 얻어진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유사 화상 표시 패널을 사용하고, 상기의 <모양 자국의 평가> 및 <고온 고습 환경 하에 있어서의 내구성의 평가>를 행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Claims (9)

  1.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에 2색성 물질이 흡착 배향되고, 붕산 가교에 의해 배향 고정된 편광막으로서, (A) FT-IR에 있어서의 ATR법으로 산출되는 붕산 지수와, (B) 중화 적정법에 의해 산출되는 붕산 함유량(중량%)의 비((A)/(B))가 0.13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FT-IR에 있어서의 ATR법으로 산출되는 붕산 지수와, 상기 (B) 중화 적정법에 의해 산출되는 붕산 함유량(중량%)의 비((A)/(B))가 0.06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막.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A) FT-IR에 있어서의 ATR법으로 산출되는 붕산 지수가 3.46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막.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 중화 적정법에 의해 산출되는 붕산 함유량(중량%)이 20중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막.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막은 요오드가 흡착 배향해서 이루어지는 요오드계 편광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막.
  6. 제 1 투명 보호 필름과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편광막이 수계 접착제층을 개재해서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필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투명 보호 필름은 투습도가 50g/(m2·24h)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필름.
  8. 화상 표시 셀에, 제 7 항에 기재된 편광 필름의 제 1 투명 보호 필름측이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패널.
  9. 제 8 항에 기재된 화상 표시 패널과 앞면 투명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20237026958A 2021-03-01 2022-02-24 편광막, 편광 필름, 화상 표시 패널, 및 화상 표시장치 KR202301483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31482 2021-03-01
JP2021031482 2021-03-01
PCT/JP2022/007520 WO2022186029A1 (ja) 2021-03-01 2022-02-24 偏光膜、偏光フィルム、画像表示パネル、及び画像表示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8329A true KR20230148329A (ko) 2023-10-24

Family

ID=83155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6958A KR20230148329A (ko) 2021-03-01 2022-02-24 편광막, 편광 필름, 화상 표시 패널, 및 화상 표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WO2022186029A1 (ko)
KR (1) KR20230148329A (ko)
CN (1) CN117043644A (ko)
TW (1) TW202244144A (ko)
WO (1) WO2022186029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02353A (ja) 2012-11-19 2014-06-05 Nitto Denko Corp 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なら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JP2018044992A (ja) 2016-09-12 2018-03-22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WO2019188779A1 (ja) 2018-03-28 2019-10-03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偏光フィルム、積層偏光フィルム、画像表示パネル、および画像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0947A (ja) * 2002-02-14 2003-08-27 Nitto Denko Corp 偏光子の製造方法、偏光子、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20070035681A1 (en) * 2003-09-19 2007-02-15 Masaru Okada Polarizing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9237124A (ja) * 2008-03-26 2009-10-15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用途
CN101852879B (zh) * 2009-03-30 2014-02-26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膜的制造方法
JP6073566B2 (ja) * 2012-03-30 2017-02-01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の製造方法、偏光子、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125061B2 (ja) * 2015-02-13 2017-05-10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並びに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連続製造方法
US10884169B2 (en) * 2016-02-26 2021-01-05 Nitto Denko Corporation Polarizer, one-side-protected polarizing film, pressure-sensitive-adhesive-layer-attached polarizing film,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inuously producing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02353A (ja) 2012-11-19 2014-06-05 Nitto Denko Corp 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なら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JP2018044992A (ja) 2016-09-12 2018-03-22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WO2019188779A1 (ja) 2018-03-28 2019-10-03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偏光フィルム、積層偏光フィルム、画像表示パネル、および画像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043644A (zh) 2023-11-10
TW202244144A (zh) 2022-11-16
WO2022186029A1 (ja) 2022-09-09
JPWO2022186029A1 (ko) 2022-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1482B1 (ko) 화상 표시 장치
JP6985555B2 (ja) 偏光子、偏光フィルム、積層偏光フィルム、画像表示パネル、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7405683B2 (ja) 偏光フィルム、積層偏光フィルム、画像表示パネル、および画像表示装置
CN111837061B (zh) 偏振膜、层叠偏振膜、图像显示面板、以及图像显示装置
KR20230007310A (ko) 화상 표시 장치
KR102539985B1 (ko) 편광막, 편광 필름, 적층 편광 필름, 화상 표시 패널 및 화상 표시 장치, 및 편광막의 제조 방법
JP6772402B1 (ja) 偏光子の製造方法、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積層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画像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20230148329A (ko) 편광막, 편광 필름, 화상 표시 패널, 및 화상 표시장치
JP2024056037A (ja) 偏光膜および偏光フィルム
CN118091813A (zh) 偏光件、偏光薄膜、层叠偏光薄膜、图像显示面板及图像显示装置
WO2021206073A1 (ja) 偏光フィルム
WO2021200390A1 (ja) 偏光フィルム、積層偏光フィルム、画像表示パネル、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220164467A (ko) 편광막 및 편광 필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