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8320A - 블라스트 장치, 및 선박 - Google Patents

블라스트 장치, 및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8320A
KR20230148320A KR1020237017919A KR20237017919A KR20230148320A KR 20230148320 A KR20230148320 A KR 20230148320A KR 1020237017919 A KR1020237017919 A KR 1020237017919A KR 20237017919 A KR20237017919 A KR 20237017919A KR 20230148320 A KR20230148320 A KR 20230148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ecovery
combustion ash
combustion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7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쇼와 카자와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쥬기가이 마린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쥬기가이 마린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도모쥬기가이 마린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48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832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3/0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 B24C3/32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designed for abrasive blasting of particular work, e.g. the internal surfaces of cylinder 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5/00Devices or accessories for generating abrasive blasts
    • B24C5/02Blast guns, e.g. for generating high velocity abrasive fluid jets for cutting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7/00Equipment for feeding abrasive material; Controlling the flowability, constitution, or other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brasive bla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7/00Equipment for feeding abrasive material; Controlling the flowability, constitution, or other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brasive blasts
    • B24C7/0046Equipment for feeding abrasive material; Controlling the flowability, constitution, or other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brasive blasts the abrasive material being fed in a gaseous c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9/00Appurtenances of 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e.g. working chambers, arrangements for handling used abrasiv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9/00Appurtenances of 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e.g. working chambers, arrangements for handling used abrasive material
    • B24C9/006Treatment of used abrasiv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6Cleaning devices for hu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Abstract

블라스트 장치는, 연소재를 대상물에 투사하는 블라스트 장치로서, 연소재를 투사하는 투사부와, 투사한 연소재를 회수하는 회수부를 구비하고, 회수부는, 투사부에 의한 연소재의 투사를 하면서, 연소재를 회수 가능하다.

Description

블라스트 장치, 및 선박
본 발명은, 블라스트 장치, 및 선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블라스트 장치로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블라스트 장치는, 선박의 외판 등의 대상물에 대하여 연마제를 투사함으로써, 대상물을 연마한다. 또, 이 블라스트 장치는, 연마 작업에서 발생한 분진을 집진회수(集塵回收)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실용신안출원공개공보 소58-108998호
여기에서, 상기 종래기술에 의한 연마제 외에, 배의 외판에 도료를 부착하기 쉽게 하기 위한 연소재(硏掃材)를 투사(投射)하는 것도 있다. 연소재에 의하여, 외판의 표면적이 증가하고, 그만큼 도장도 부착하기 쉬워진다. 이 반면, 투사 후의 연소재는, 습기나 먼지가 부착되기(습기나 먼지가 부착되면 녹의 원인이 된다) 때문에 그대로 폐기되고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연소재의 사용량을 저감시킴과 함께,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블라스트 장치, 및 선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블라스트 장치는, 연소재를 대상물에 투사하는 선박의 블라스트 장치로서, 연소재를 투사하는 투사부와, 투사한 연소재를 회수하는 회수부를 구비하고, 회수부는, 투사부에 의한 연소재의 투사를 하면서, 연소재를 회수 가능하다.
블라스트 장치는, 연소재를 투사하는 투사부와, 투사한 연소재를 회수하는 회수부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블라스트 장치가 회수부를 구비함으로써, 블라스트 장치는, 한 번 대상물에 투사한 연소재를 회수부에서 회수함으로써, 폐기하지 않고, 재차 사용할 수 있다. 또, 회수부는, 투사부에 의한 연소재의 투사를 하면서, 연소재를 회수 가능하다. 따라서, 블라스트 장치는, 투사부에서의 투사의 작업을 정지하지 않고, 투사 후의 연소재에 습기나 먼지가 부착되기 전에, 회수부에서 연소재의 회수작업을 행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연소재의 사용량을 저감시킴과 함께,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회수부는, 투사부에서 투사 대상에 닿아 낙하한 연소재를 회수해도 된다. 이로써, 회수부는, 투사부가 연소재의 투사를 행하고 있는 한편, 투사 대상의 하방에 저장된 상태의 연소재를 회수할 수 있다.
회수부에서 회수한 연소재를 투사부에서 재이용해도 된다. 이로써, 연소재의 사용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투사부와 회수부는, 하나의 카고 탱크 내에서 투사 및 회수를 행해도 된다. 예를 들면, 투사부 및 회수부를 복수의 카고 탱크에 마련하는 경우(예를 들면, 투사부를 어느 카고 탱크에 마련하고, 회수부를 다른 카고 탱크에 마련하는 경우), 각각의 카고 탱크의 용량이 상이하면, 회수하는 연소재의 양과 투사하는 연소재의 양이 불균일해져, 회수하여 투사하는 연소재가 부족해질 가능성이 있다. 이것에 대하여, 투사부와 회수부가, 하나의 카고 탱크 내에서 투사 및 회수를 행하는 경우, 회수하여 투사하는 연소재가 부족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회수부는, 분진 및 연소재를 회수하는 모드와, 분진만을 회수하는 모드를 가져도 된다. 이 경우, 회수부는 상황에 따라 모드의 전환을 행할 수 있다.
회수부는, 회수 라인을 통하여, 연소재를 흡인하는 흡인부와 접속되고, 회수 라인의 중도 위치에는, 연소재를 저장해 두는 저장부가 마련되며, 흡인부에서 흡인된 연소재 중, 저장부 내로 낙하하여 퇴적되는 것이, 투사부에서 재투사되는 연소재로서 저장되어도 된다. 회수 라인은, 흡인부에서 발생한 흡인력을 회수부에 전달함과 함께, 회수부에서 회수한 연소재를 저장부에 이송하기 위한 이송로로서 기능할 수 있다.
회수부에서 회수된 분진은, 흡인부에 의하여 저장부로 흡인되고, 당해 저장부 내로부터 다시 흡인부로 흡인되어도 된다. 이 경우, 저장부에 있어서, 연소재와 분진을 분리할 수 있다.
블라스트 장치는, 투사부에서 투사하는 연소재의 부족분을 보급하는 보급부를 더 구비해도 된다. 이 경우, 연소재가 부족한 경우에, 보급부가 연소재를 보급할 수 있다.
상술한 블라스트 장치는, 선박에 마련되어도 된다. 이 경우, 블라스트 장치는, 선박 내의 구조물에 대하여 연소재를 투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선박은, 상술한 블라스트 장치를 갖는다.
본 발명에 관한 선박은, 상술한 블라스트 장치와 동일한 취지의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소재의 사용량을 저감시킴과 함께,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블라스트 장치, 및 선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블라스트 장치, 및 선박을 나타내는 부분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블라스트 장치, 및 선박을 나타내는 부분측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블라스트 장치, 및 선박을 나타내는 부분측면도이다. 블라스트 장치(1)는, 연소재를 대상물에 투사함으로써, 대상물의 도장을 행하는 장치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블라스트 장치(1)는, 선박(100)에 마련되어 있다. 블라스트 장치(1)는, 선박(100)의 내부의 구조물에 대하여 연소재를 투사하고 있다. 블라스트 장치(1)는, 투사부(2)와, 회수부(3)와, 흡인부(4)와, 저장부(6)와, 보급부(7)를 구비한다. 또, 블라스트 장치(1)는, 회수부(3)와 저장부(6)를 접속하는 라인(L1)과, 저장부(6)와 흡인부(4)를 접속하는 라인(L2)과, 보급부(7)와 라인(L1)을 접속하는 라인(L3)과, 라인(L1)과 라인(L2)을 접속하는 바이패스 라인(L4)을 구비한다. 블라스트 장치(1)는, 회수부(3)에서 회수한 연소재를 투사부(2)에서 재이용한다. 또, 투사부(2)와 회수부(3)는, 하나의 카고 탱크 내에서 투사 및 회수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투사부(2)는, 연소재를 투사하는 장치이다. 투사부(2)는, 분사 장치(11)와, 블라스트 노즐(15)과, 블라스트용 호스(13)를 구비한다. 분사 장치(11)는, 저장부(6)로부터 공급된 연소재에 압력을 부여하는 장치이다. 분사 장치(11)는, 선박(100)의 갑판(101) 상에 마련된다. 분사 장치(11)에는, 블라스트용 호스(13)가 접속되어 있고, 당해 블라스트용 호스(13)는, 선박(100)의 내부로 뻗어 있다. 블라스트용 호스(13)는, 분사 장치(11)에서 가압된 연소재를 선박(100)의 내부에 이송하는 호스이다. 블라스트용 호스(13)의 선단에는, 블라스트 노즐(15)이 마련되어 있다. 블라스트 노즐(15)은, 블라스트용 호스(13)로 이송된 연소재를, 대상물에 투사하는 투사구를 구성하는 부재이다. 작업자는, 블라스트 노즐(15)을 유지하고, 선박(100)의 원하는 개소를 향하여, 연소재를 투사할 수 있다. 다만, 블라스트 노즐(15)은, 주행대차(走行台車) 등에 마련되어도 되고, 이 경우는, 블라스트 노즐(15)의 주행대차의 이동에 따라, 연소재를 투사하면서 이동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투사부(2)는, 2대의 분사 장치(11)를 구비하고 있고, 각 분사 장치(11)가 2세트의 블라스트용 호스(13) 및 블라스트 노즐(15)을 갖고 있지만, 수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회수부(3)는, 투사한 연소재를 회수하는 장치이다. 회수부(3)는, 투사부(2)에서 투사 대상에 닿아 낙하한 연소재를 회수한다. 회수부(3)는, 라인(L1, L2)을 통하여, 연소재를 흡인하는 흡인부(4)와 접속된다. 따라서, 회수부(3)는, 흡인부(4)로부터의 흡인력에 의하여, 연소재를 회수한다. 회수부(3)는, 헤더(14)와, 바닥 브러시(16)와, 회수용 호스(17)를 구비한다. 헤더(14)는, 라인(L1)과 복수 개의 회수용 호스(17)를 접속하는 이음매이다. 헤더(14)는, 선박(100)의 갑판(101) 상에 마련된다. 헤더(14)는, 수평방향으로 뻗는 파이프상의 부재이며, 길이방향에 있어서 소정 간격으로, 회수용 호스(17)를 접속하는 접속부(14a)를 갖는다. 접속부(14a)에 접속된 회수용 호스(17)는, 선박(100)의 내부로 뻗어 있다. 회수용 호스(17)는, 바닥 브러시(16)에서 흡인된 연소재를 헤더(14)에 이송하는 호스이다. 회수용 호스(17)의 선단에는, 바닥 브러시(16)가 마련되어 있다. 바닥 브러시(16)는, 대상물에 투사된 후의 연소재를 쓸면서 회수하는 기구이다. 작업자는, 바닥 브러시(16)를 유지하고, 선박(100)의 원하는 개소에서 연소재를 쓸면서 흡인할 수 있다. 다만, 바닥 브러시(16)는, 주행대차 등에 마련되어도 되고, 이 경우는, 바닥 브러시(16)가 주행대차의 이동에 따라, 연소재를 회수하면서 이동한다.
다만, 헤더(14)의 선단부에는, 보급구(14b)가 마련되어 있다. 보급구(14b)에는, 도시되지 않은 호스가 접속되고, 선박(100) 외의 안벽(岸壁) 등에 설치된 연소재박스 등으로부터, 보급용의 연소재를 흡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닥 브러시(16)로부터 선박(100) 내의 연소재의 회수가 불가능해진 경우 등에, 보급구(14b)는, 긴급 대응으로서 선박(100) 외의 연소재를 흡인해도 된다.
흡인부(4)는, 회수부(3)에서 연소재를 흡인하기 위한 흡인력을 발생하는 장치이다. 흡인부(4)는, 선박(100)의 갑판(101) 상에 마련된다. 예를 들면, 흡인부(4)는, 내부를 진공 상태로 하여 흡인력을 발생하는 진공 회수기(18)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인부(4)는 2대의 진공 회수기(18)를 구비하고 있지만, 수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흡인부(4)는, 라인(L2), 저장부(6)의 내부 공간, 및 라인(L1)을 통하여, 회수부(3)의 헤더(14)와 연통하고 있다. 즉, 흡인부(4)에서 발생한 흡인력은, 회수부(3)의 헤더(14)에 전달되고, 또한 회수용 호스(17)를 통하여 바닥 브러시(16)에 전달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라인(L2), 및 라인(L1)은, 선박(100) 내의 연소재, 및 그곳에 포함되는 분진 등을 회수하기 위한 회수 라인(L10)으로서 구성된다.
저장부(6)는, 연소재를 저장해 두는 장치이다. 저장부(6)는, 내부 공간에 연소재를 저장해 두는 컬렉트탱크에 의하여 구성된다. 또, 저장부(6)는, 회수 라인(L10)의 중도 위치에 마련된다. 즉, 저장부(6)는, 라인(L1)과 라인(L2)의 사이에 마련된다. 라인(L1) 및 라인(L2)은, 저장부(6)의 상단부(6b)에 마련된다. 라인(L1) 및 라인(L2)에는, 저장부(6)의 상단부(6b) 부근에 보급용 댐퍼(21)가 마련된다. 다만, 블라스트 장치(1)의 운전 개시 시에는, 저장부(6)의 상부 덮개가 열리고, 새로운 연소재가 공급된다.
저장부(6)는, 선박(100)의 갑판(101)으로부터 상방에 이간(離間)된 위치이며, 투사부(2)의 분사 장치(11)의 상측에 마련된다. 저장부(6)의 하단 측에는, 내부 공간에 저장된 연소재를 모으는 호퍼(6a)가 마련된다. 또, 호퍼(6a)는, 연소재를 각 분사 장치(11)에 분배하기 위한 분배부(22)를 통하여, 각 분사 장치(11)에 접속된다. 분배부(22)는, 호퍼(6a)의 저부 중 하나의 개구부로부터 뻗는 1개의 유로가, 2개의 유로로 분기하는 구성을 갖는다. 또, 분배부(22)의 각 유로와 각 분사 장치(11)는, 공급용 댐퍼(23)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저장부(6)는, 프레임(25)에 지지되어 있고, 분사 장치(11)는 프레임(25)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저장부(6)와 분사 장치(11)는, 일체적인 유닛으로서 컴팩트하게 구성된다.
여기에서, 저장부(6) 내에 저장된 연소재의 계면을 "F"라고 한다. 이 경우, 계면(F)과 상단부(6b)의 사이에는 공간(SP)이 형성된다. 회수부(3)에서 회수된 연소재는, 라인(L1)을 통하여, 저장부(6)의 공간(SP) 내에 공급된다. 이때, 소정의 크기의 연소재의 입자는, 공간(SP) 내를 낙하하여, 계면(F) 상에 퇴적된다. 한편, 작아진 입자는, 라인(L2)으로부터의 흡인력에 의하여, 분진으로서 라인(L2)으로 흡인된다. 이와 같이, 흡인부(4)에서 흡인된 연소재 중, 저장부(6) 내에 낙하하여 퇴적되는 것이, 투사부(2)에서 재투사되는 연소재로서 저장된다. 한편, 회수부(3)가 회수한 분진은, 흡인부(4)에 의하여 저장부(6)로 흡인되고, 당해 저장부(6) 내로부터 다시 흡인부(4)로 흡인된다. 다만, 106μm 이하의 입자가, 분진으로서 라인(L2)으로 흡인되고, 그것보다 큰 입자가 연소재로서 계면(F)에 퇴적된다. 이때의 흡인부(4)에서 발생하는 흡인력에 관하여, 진공 회수기의 출력이 75kw로 설정되고, 진공압이 -60kpa로 설정되며, 최대 풍량이 45m2/min으로 설정되어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흡인부(4)가 회수 라인(L10)을 통하여 회수부(3)의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동작과, 투사부(2)가 저장부(6)로부터 공급되는 연소재를 분사하는 동작은, 서로 독립적인 관계에 있다. 즉, 회수부(3)는, 투사부(2)가 투사를 행하고 있는지 아닌지에 관계없이, 연소재의 회수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회수부(3)는, 투사부(2)에 의한 연소재의 투사를 하면서, 연소재를 회수할 수 있다.
보급부(7)는, 투사부(2)에서 투사하는 연소재의 부족분을 보급하는 장치이다. 보급부(7)는, 연소재를 저장하는 탱크(31)와, 탱크(31)와 라인(L1)을 접속하는 라인(L3)에 마련된 보급용 댐퍼(32)를 구비한다. 보급부(7)는, 저장부(6)에서의 연소재가 부족한 경우에, 보급용 댐퍼(32)를 개방으로 한다. 이로써, 탱크(31)의 연소재는, 탱크(31)로부터 라인(L1)에 낙하하고, 흡인되어 저장부(6)에 공급된다.
라인(L1)과 라인(L2)을 접속하는 바이패스 라인(L4)에는, 바이패스용 댐퍼(33)가 마련된다.
다음으로, 블라스트 장치(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에 있어서 나타나는 화살표는, 회수부(3)에서 회수된 연소재, 및 분진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 2 내에 있어서 나타나는 화살표는, 분진의 회수만을 행하는 경우의 분진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회수부(3)는, 분진 및 연소재를 회수하는 모드와, 분진만을 회수하는 모드를 갖는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수부(3)에서 연소재의 회수를 행할 때에는, 보급용 댐퍼(21), 및 공급용 댐퍼(23)를 개방으로 하고, 보급용 댐퍼(32) 및 바이패스용 댐퍼(33)를 폐쇄로 한다. 또, 투사부(2)의 분사 장치, 및 흡인부(4)의 진공 회수기(18)를 기동시킨다. 이로써, 투사부(2)의 블라스트 노즐(12)로부터 연소재의 투사가 행해진다. 또, 회수부(3)의 바닥 브러시(16)가 선박(100) 내의 연소재를 흡인하여 회수한다.
회수부(3)에서 회수된 연소재 및 분진은, 라인(L1)을 통하여 저장부(6)에 공급된다. 연소재는, 저장부(6)의 상단부(6b)로부터 공간(SP)으로 낙하하여, 계면(F)에 퇴적된다. 한편, 분진은, 저장부(6)로부터 라인(L2)을 통하여 흡인부(4)까지 더 흡인된다. 이로써, 투사 후의 연소재는 저장부(6)에 다시 저장되고, 분진은 진공 회수기(18)에 회수된다. 순환하는 연소재가 부족한 것이 검지된 경우, 보급부(7)는 보급용 댐퍼(32)를 개방으로 하고, 탱크(31) 내의 새로운 연소재를 라인(L1)에 낙하시킨다. 라인(L1)에 낙하한 새로운 연소재는, 저장부(6)로 흡인됨과 함께, 낙하하여 계면(F)에 퇴적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수부(3)에서 분진의 회수만을 행할 때에는, 보급용 댐퍼(21), 공급용 댐퍼(23), 및 보급용 댐퍼(32)를 폐쇄로 하고, 바이패스용 댐퍼(33)를 개방으로 한다. 또, 흡인부(4)의 진공 회수기(18)를 기동시킨다. 이로써, 회수부(3)의 바닥 브러시(16)가 선박(100) 내의 분진을 흡인하여 회수한다. 그리고, 회수부(3)에서 회수된 분진은, 라인(L1)을 통과함과 함께, 바이패스 라인(L4)을 통과하여 라인(L2)으로 바이패스되고, 흡인부(4)의 진공 회수기(18)에서 회수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블라스트 장치(1), 및 선박(100)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블라스트 장치(1)는, 연소재를 투사하는 투사부(2)와, 투사한 연소재를 회수하는 회수부(3)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블라스트 장치(1)가 회수부(3)를 구비함으로써, 블라스트 장치(1)는, 한 번 대상물에 투사한 연소재를 회수부(3)로 회수함으로써, 폐기하지 않고, 재차 사용할 수 있다. 또, 회수부(3)는, 투사부(2)에 의한 연소재의 투사를 하면서, 연소재를 회수 가능하다. 따라서, 블라스트 장치(1)는, 투사부(2)에서의 투사의 작업을 정지하지 않고, 투사 후의 연소재에 습기나 먼지가 부착되기 전에, 회수부(3)에서 연소재의 회수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연소재의 사용량을 저감시킴과 함께,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종래의 블라스트 장치는, 저장부(6)를 통하여 분사 장치(11)로부터 연소재를 투사하는 작업과, 배큐엄 클리너로 연소재를 컬렉트탱크에 회수하여 프레콘백에 넣어 폐기하는 작업과, 프레콘백의 연소재를 크레인으로 저장부(6)에 넣는 작업이, 서로 독립적인 작업으로서 행해진다. 이와 같이, 각 작업이 독립적으로 행해지기 때문에, 작업효율이 낮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블라스트 장치(1)는, 투사, 회수, 저장, 및 보급이 1세트의 장치로 유닛화된 상태로 구성된다. 따라서, 블라스트 장치(1)는, 투사, 회수, 저장, 보급이라는 사이클을 정지하지 않고, 연소재의 리사이클을 가능하게 하고, 공정수 감소, 및 경비압축을 실현가능하다. 또, 작업자의 작업은 선박(100)의 내부에서 완결하기 위하여, 날씨에 영향받지 않고, 전천후형으로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종래의 블라스트 장치의 연소재의 사용 예산 실적이 2.82배인 것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블라스트 장치(1)를 이용함으로써 1 이하로 할 수 있다. 또, 연소재의 보급 시간이 종래의 블라스트 장치에서는 20시간이었던 것을, 본 실시형태에 관한 블라스트 장치(1)를 이용함으로써, 5시간 이하로 할 수 있다.
회수부(3)는, 투사부(2)에서 투사 대상에 닿아 낙하한 연소재를 회수해도 된다. 이로써, 회수부(3)는, 투사부(2)가 연소재의 투사를 행하고 있는 한편, 투사 대상의 하방에 저장된 상태의 연소재를 회수할 수 있다.
회수부(3)에서 회수한 연소재를 투사부(2)에서 재이용해도 된다. 이로써, 연소재의 사용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투사부(2)와 회수부(3)는, 하나의 카고 탱크 내에서 투사 및 회수를 행해도 된다. 예를 들면, 투사부(2) 및 회수부(3)를 복수의 카고 탱크에 마련하는 경우(예를 들면, 투사부(2)를 어느 카고 탱크에 마련하고, 회수부(3)를 다른 카고 탱크에 마련하는 경우), 각각의 카고 탱크의 용량이 상이하면, 회수하는 연소재의 양과 투사하는 연소재의 양이 불균일해져, 회수하여 투사하는 연소재가 부족해질 가능성이 있다. 이것에 대하여, 투사부(2)와 회수부(3)가, 하나의 카고 탱크 내에서 투사 및 회수를 행하는 경우, 회수하여 투사하는 연소재가 부족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회수부(3)는, 분진 및 연소재를 회수하는 모드와, 분진만을 회수하는 모드를 가져도 된다. 이 경우, 회수부(3)는 상황에 따라 모드의 전환을 행할 수 있다.
회수부(3)는, 회수 라인(L10)을 통하여, 연소재를 흡인하는 흡인부(4)와 접속되고, 회수 라인(L10)의 중도 위치에는, 연소재를 저장해 두는 저장부(6)가 마련되며, 흡인부(4)에서 흡인된 연소재 중, 저장부(6) 내에 낙하하여 퇴적되는 것이, 투사부(2)에서 재투사되는 연소재로서 저장되어도 된다. 회수 라인(L10)은, 흡인부(4)에서 발생한 흡인력을 회수부(3)에 전달함과 함께, 회수부(3)에서 회수한 연소재를 저장부에 이송하기 위한 이송로로서 기능할 수 있다.
회수부(3)에서 회수된 분진은, 흡인부(4)에 의하여 저장부(6)로 흡인되고, 당해 저장부(6) 내로부터 다시 흡인부(4)로 흡인되어도 된다. 이 경우, 저장부(6)에 있어서, 연소재와 분진을 분리할 수 있다.
블라스트 장치(1)는, 투사부(2)에서 투사하는 연소재의 부족분을 보급하는 보급부(7)를 더 구비해도 된다. 이 경우, 연소재가 부족한 경우에, 보급부(7)가 연소재를 보급할 수 있다.
상술한 블라스트 장치(1)는, 선박(100)에 마련되어도 된다. 이 경우, 블라스트 장치(1)는, 선박(100) 내의 구조물에 대하여 연소재를 투사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100)은, 상술한 블라스트 장치(1)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100)은, 상술한 블라스트 장치(1)와 동일한 취지의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선박에 블라스트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만, 일반 공장이나 교량 등의 현지공사현장의 블라스트 장치에 적용되어도 된다.
또, 상술한 각 구성요소의 배치는 일례이며,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1…블라스트 장치
2…투사부
3…회수부
4…흡인부
6…저장부
7…보급부
100…선박
L10…회수 라인

Claims (10)

  1. 연소재를 대상물에 투사하는 선박의 블라스트 장치로서,
    상기 연소재를 투사하는 투사부와,
    투사한 상기 연소재를 회수하는 회수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수부는, 상기 투사부에 의한 상기 연소재의 투사를 하면서, 상기 연소재를 회수 가능한, 블라스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부는, 상기 투사부에서 투사 대상에 닿아 낙하한 상기 연소재를 회수하는, 블라스트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부에서 회수한 상기 연소재를 상기 투사부에서 재이용하는, 블라스트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사부와 상기 회수부는, 하나의 카고 탱크 내에서 투사 및 회수를 행하는, 블라스트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부는, 분진 및 상기 연소재를 회수하는 모드와, 분진만을 회수하는 모드를 갖는, 블라스트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부는, 회수 라인을 통하여, 상기 연소재를 흡인하는 흡인부와 접속되고,
    상기 회수 라인의 중도 위치에는, 상기 연소재를 저장해 두는 저장부가 마련되며,
    상기 흡인부에서 흡인된 상기 연소재 중, 상기 저장부 내에 낙하하여 퇴적되는 것이, 상기 투사부에서 재투사되는 연소재로서 저장되는, 블라스트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부에서 회수된 분진은, 상기 흡인부에 의하여 상기 저장부로 흡인되고, 당해 저장부 내로부터 다시 상기 흡인부로 흡인되는, 블라스트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사부에서 투사하는 상기 연소재의 부족분을 보급하는 보급부를 더 구비하는, 블라스트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선박에 마련되는 것인, 블라스트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블라스트 장치를 갖는 선박.
KR1020237017919A 2021-03-02 2022-01-14 블라스트 장치, 및 선박 KR202301483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32755 2021-03-02
JPJP-P-2021-032755 2021-03-02
PCT/JP2022/001113 WO2022185734A1 (ja) 2021-03-02 2022-01-14 ブラスト装置、及び船舶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8320A true KR20230148320A (ko) 2023-10-24

Family

ID=83153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7919A KR20230148320A (ko) 2021-03-02 2022-01-14 블라스트 장치, 및 선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WO2022185734A1 (ko)
KR (1) KR20230148320A (ko)
CN (1) CN116568460A (ko)
WO (1) WO2022185734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5585Y2 (ja) * 1982-06-03 1985-10-22 三井造船株式会社 グリツト回収コンベア用ダクトカバ−
JP2004291164A (ja) * 2003-03-27 2004-10-21 Ohbayashi Corp ショットブラスト装置
JP2008018518A (ja) * 2006-07-14 2008-01-31 Fujitsu Hitachi Plasma Display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隔壁形成方法および隔壁形成装置
RU2690060C1 (ru) * 2015-11-09 2019-05-30 Ниссан Мотор Ко., Лтд. Устройство поверхностной обработки и способ поверхностной обработки
JP6753124B2 (ja) * 2016-04-13 2020-09-0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表面処理装置および表面処理方法
JP2017189841A (ja) * 2016-04-13 2017-10-1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表面処理装置および表面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2185734A1 (ko) 2022-09-09
CN116568460A (zh) 2023-08-08
WO2022185734A1 (ja) 2022-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148320A (ko) 블라스트 장치, 및 선박
EP2912229A1 (en) Multipurpose tool for oil spill control, preferably offshore
US2004000348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llection of debris
CN219469084U (zh) 一种卸煤与清扫的船舱机器人
JP3513510B1 (ja) ドライブラスト装置
KR101099660B1 (ko) 연마재 이송관을 구비하는 진공 블라스팅 장치의 연마재 이송방법
CN209631741U (zh) 一种桁架型集装箱干冰清洗系统
KR101787325B1 (ko) 압송 배출식 건식 진공흡입차
CN209631742U (zh) 一种集装箱干冰清洗系统
JP5107588B2 (ja) 処理システム
CN109848139A (zh) 一种桁架型集装箱干冰清洗系统
CN209177401U (zh) 用于斗式提升机的回收装置和斗式提升机
CN208553512U (zh) 一种新型装车楼作业除尘系统
JPH10309972A (ja) 粉体輸送タンク車の粉体タンク室のクリーニング方法と、それに用いるクリーニングプラント
CN207812366U (zh) 一种喷水式防尘清扫车
CN109848140A (zh) 一种集装箱干冰清洗系统
JPS583924B2 (ja) 集塵装置
KR101583249B1 (ko) 이동형 쇼트 블라스트 장치
US11717129B2 (en) Docking station with undercarriage cleaning functionality for floor cleaning machine
KR200330853Y1 (ko) 수직 벽면 진공 브라스팅장치 해드
US20240099537A1 (en) Floor cleaner dock
CN216797557U (zh) 清洁设备
CN216401839U (zh) 一种抑尘回收装置
CN218220885U (zh) 一种水带敷设车水带清理结构
JP2007125676A (ja) 直圧式ブラスト加工における研掃材の連続供給方法及び直圧式ブラスト装置における研掃材の連続供給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