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6832A - 숏폼 콘텐츠 플랫폼에서 인기 음원을 추천하는 방법, 컴퓨터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숏폼 콘텐츠 플랫폼에서 인기 음원을 추천하는 방법, 컴퓨터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6832A
KR20230146832A KR1020220045743A KR20220045743A KR20230146832A KR 20230146832 A KR20230146832 A KR 20230146832A KR 1020220045743 A KR1020220045743 A KR 1020220045743A KR 20220045743 A KR20220045743 A KR 20220045743A KR 20230146832 A KR20230146832 A KR 202301468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pool
content
sound
pop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5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현
유대천
박도영
한지욱
Original Assignee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45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6832A/ko
Priority to JP2023063252A priority patent/JP2023157004A/ja
Publication of KR20230146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68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686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information manually generated, e.g. tags, keywords, comments, title or artist information, time, location or usage information, user rat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3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upon Internet or website r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숏폼 콘텐츠 플랫폼에서 인기 음원을 추천하는 방법, 컴퓨터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개시된다. 인기 음원 추천 방법은, 숏폼 콘텐츠 플랫폼(short-form content platform)을 통해 노출 가능한 음원 풀을 구성하고, 각 음원에 대한 사용자 로그로서 해당 음원을 이용하여 숏폼 콘텐츠가 생성된 콘텐츠 생성 횟수를 기초로 상기 음원 풀에서 일부 음원을 선별하여 인기 풀로 구성하고, 타겟 사용자를 대상으로 상기 인기 풀에 포함된 음원 중 적어도 일부를 인기 음원으로 추천할 수 있다.

Description

숏폼 콘텐츠 플랫폼에서 인기 음원을 추천하는 방법, 컴퓨터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METHOD, COMPUTER DEVICE, AND COMPUTER PROGRAM TO RECOMMEND POPULAR MUSIC ON SHORT-FORM CONTENT PLATFORM}
아래의 설명은 인기 음원을 추천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현재 다양한 온라인 음악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으며, 일반적인 온라인 음악 서비스는 음원을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거나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의 방식으로 온라인에 연결된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음원을 제공하고 있다.
온라인 음악 서비스의 일례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15522호(등록일 2006년 08월 17일)에는 음악 콘텐츠를 내용 기반으로 분류하고 그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하는 사용자들에게 음악 콘텐츠를 제공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숏폼 콘텐츠 플랫폼(short-form content platform)에서 숏폼 콘텐츠와 관련된 인기 음원을 추천할 수 있다.
각 음원에 대한 사용자 로그(user log)를 점수화하여 인기 음원을 선별할 수 있다.
최신성을 고려한 가중치를 부여하여 사용자 소비 편향에 기반한 음원 랭킹을 보완할 수 있다.
컴퓨터 장치에서 실행되는 음원 추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장치는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음원 추천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숏폼 콘텐츠 플랫폼(short-form content platform)을 통해 노출 가능한 음원 풀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각 음원에 대한 사용자 로그로서 해당 음원을 이용하여 숏폼 콘텐츠가 생성된 콘텐츠 생성 횟수를 기초로 상기 음원 풀에서 일부 음원을 선별하여 인기 풀로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타겟 사용자를 대상으로 상기 인기 풀에 포함된 음원 중 적어도 일부를 인기 음원으로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원 추천 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인기 풀로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 생성 횟수를 점수화하여 점수 기준 음원 랭킹을 기준으로 상기 인기 풀을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인기 풀로 구성하는 단계는, 각 음원이 상기 음원 풀에 진입한 시점을 기준으로 해당 음원에 최신성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인기 풀로 구성하는 단계는, 각 음원에 대한 사용자 로그로서 상기 콘텐츠 생성 횟수와 함께 해당 음원의 즐겨찾기(bookmark) 등록 횟수 및 해당 음원이 추가된 숏폼 콘텐츠의 재생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점수화하여 점수 기준 음원 랭킹을 기준으로 상기 인기 풀을 구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점수화를 위한 상기 콘텐츠 생성 횟수에 대한 단위 점수가 상기 즐겨찾기 등록 횟수나 상기 재생 횟수에 대한 단위 점수보다 높게 책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점수화를 위한 상기 콘텐츠 생성 횟수와 상기 즐겨찾기 등록 횟수 및 상기 재생 횟수에 대한 단위 점수가 상기 타겟 사용자의 행동 유형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인기 풀로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음원 풀에 포함된 전체 음원을 대상으로 일정 주기마다 상기 사용자 로그에 기반한 상기 인기 풀을 구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추천하는 단계는, 상기 인기 풀에 포함된 음원 중에서 음원 랭킹에 따른 상위 일정 개수의 음원 또는 무작위로 선정된 음원을 인기 음원 목록으로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음원 풀을 구성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제공자(content provider)가 제공하는 음원 중에서 상기 콘텐츠 제공자 별로 정해진 비율의 음원으로 상기 음원 풀을 구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음원 풀을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숏폼 콘텐츠 플랫폼의 CMS(content management system)를 통해 설정된 업데이트 주기와 콘텐츠 제공자 별 음원 선정 비중에 따라 상기 음원 풀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음원 추천 방법을 상기 컴퓨터 장치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컴퓨터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숏폼 콘텐츠 플랫폼을 통해 노출 가능한 음원 풀을 구성하고, 각 음원에 대한 사용자 로그로서 해당 음원을 이용하여 숏폼 콘텐츠가 생성된 콘텐츠 생성 횟수를 기초로 상기 음원 풀에서 일부 음원을 선별하여 인기 풀로 구성하고, 타겟 사용자를 대상으로 상기 인기 풀에 포함된 음원 중 적어도 일부를 인기 음원으로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가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숏폼 콘텐츠 서비스의 일부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음원 풀과 관련된 운영자 관리 화면의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음원 풀과 인기 풀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음원 인기 로직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인기 음원을 추천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개시되는 것들을 포함하는 실시예들은 숏폼 콘텐츠를 생성 및 공유하는 플랫폼에서 숏폼 콘텐츠와 관련된 인기 음원을 추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인기 음원 추천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인기 음원 추천 방법은 인기 음원 추천 시스템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컴퓨터 장치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이 설치 및 구동될 수 있고, 컴퓨터 장치는 구동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인기 음원 추천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장치와 결합되어 인기 음원 추천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 복수의 서버들(150, 160) 및 네트워크(170)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도 1은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 전자 기기의 수나 서버의 수가 도 1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본 실시예들에 적용 가능한 환경들 중 하나의 예를 설명하는 것일 뿐, 본 실시예들에 적용 가능한 환경이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은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의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내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이 있다. 일례로 도 1에서는 전자 기기(110)의 예로 스마트폰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전자 기기(110)는 실질적으로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70)를 통해 다른 전자 기기들(120, 130, 140) 및/또는 서버(150, 160)와 통신할 수 있는 다양한 물리적인 컴퓨터 장치들 중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17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 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7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7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서버(150, 160) 각각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과 네트워크(170)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콘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50)는 네트워크(170)를 통해 접속한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로 서비스(일례로, 숏폼 콘텐츠 서비스 등)를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앞서 설명한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 각각이나 서버들(150, 160) 각각은 도 2를 통해 도시된 컴퓨터 장치(2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장치(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210), 프로세서(220), 통신 인터페이스(230) 그리고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0)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OM과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는 메모리(210)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영구 저장 장치로서 컴퓨터 장치(2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210)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0)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부터 메모리(210)로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아닌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메모리(210)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170)를 통해 수신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기반하여 컴퓨터 장치(200)의 메모리(210)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0)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230)에 의해 프로세서(220)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30)는 네트워크(170)를 통해 컴퓨터 장치(200)가 다른 장치(일례로, 앞서 설명한 저장 장치들)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컴퓨터 장치(200)의 프로세서(220)가 메모리(2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이나 명령, 데이터, 파일 등이 통신 인터페이스(230)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70)를 통해 다른 장치들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다른 장치로부터의 신호나 명령, 데이터, 파일 등이 네트워크(170)를 거쳐 컴퓨터 장치(200)의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컴퓨터 장치(200)로 수신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수신된 신호나 명령, 데이터 등은 프로세서(220)나 메모리(210)로 전달될 수 있고, 파일 등은 컴퓨터 장치(200)가 더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상술한 영구 저장 장치)로 저장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는 입출력 장치(250)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마이크,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피커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입출력 장치(250)는 컴퓨터 장치(200)와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적은 혹은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컴퓨터 장치(200)는 상술한 입출력 장치(250)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숏폼 콘텐츠 플랫폼에서 인기 음원을 추천하는 방법 및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숏폼 콘텐츠는 제한된 길이(예를 들어, 10초에서 5분 이내)의 숏폼 비디오 형식의 콘텐츠를 의미할 수 있으며, 숏폼 콘텐츠 플랫폼은 숏폼 콘텐츠를 저작 및 공유할 수 있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200)는 클라이언트(client)를 대상으로 클라이언트 상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나 컴퓨터 장치(200)와 관련된 웹/모바일 사이트 접속을 통해 숏폼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컴퓨터 장치(200)에는 컴퓨터로 구현된 인기 음원 추천 시스템이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인기 음원 추천 시스템은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거나, 혹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인-앱(in-app)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장치(200)의 프로세서(220)는 이하의 인기 음원 추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20)의 구성요소들은 선택적으로 프로세서(220)에 포함되거나 제외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20)의 구성요소들은 프로세서(220)의 기능의 표현을 위해 분리 또는 병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220) 및 프로세서(220)의 구성요소들은 이하의 인기 음원 추천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컴퓨터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 및 프로세서(220)의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0)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의 코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코드에 따른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220)의 구성요소들은 컴퓨터 장치(20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가 제공하는 명령에 따라 프로세서(220)에 의해 수행되는 서로 다른 기능들(different functions)의 표현들일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컴퓨터 장치(200)의 제어와 관련된 명령이 로딩된 메모리(210)로부터 필요한 명령을 읽어들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읽어들인 명령은 프로세서(220)가 이후 설명될 단계들을 실행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설명될 인기 음원 추천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은 도시된 순서와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 있으며, 단계들 중 일부가 생략되거나 추가의 과정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가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S310)에서 프로세서(220)는 숏폼 콘텐츠 플랫폼에 노출하고자 하는 음원 풀(sound pool)을 구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숏폼 콘텐츠 플랫폼과 관련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예를 들어, 음원 허브 등) 상에 등록된 음원을 기반으로 음원 풀을 구성할 수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220)는 숏폼 콘텐츠 플랫폼과 연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제공자(content provider)가 제공하는 음원 중에서 숏폼 콘텐츠 플랫폼의 CMS(content management system)를 통해 운영자에 의해 선별된 음원을 음원 풀로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220)는 사전에 정해진 콘텐츠 제공자 별 비중을 기초로 음원 풀 구성을 자동화할 수 있다. 숏폼 콘텐츠 플랫폼의 운영자는 CMS를 통해 음원 풀의 업데이트 주기(update period)와 콘텐츠 제공자 별 음원 선정 비중을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운영자 설정에 따라 정해진 주기마다 음원 풀을 자동으로 구성 및 업데이트하되 콘텐츠 제공자 별로 정해진 비율만큼의 음원으로 음원 풀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220)는 콘텐츠 제공자가 제공하는 음원 중에서 숏폼 콘텐츠 플랫폼을 통해 서비스할 음원을 바인딩(binding)하여 음원 풀로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숏폼 콘텐츠 운영자는 CMS를 통한 음원 풀의 업데이트 주기를 1주로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제공자 별 음원 선정 비중은 콘텐츠 제공자 별 각각 1/n으로 선정될 수 있다.
단계(S320)에서 프로세서(220)는 음원 풀에 포함된 각 음원에 대한 사용자 로그를 기초로 음원 풀에서 일부 음원을 선별하여 별도의 음원 풀(이하, '인기 풀'이라 칭함)을 구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음원 풀을 기반으로 각 음원에 대한 사용자 로그와 최신 음원 여부를 점수화하여 인기 음원을 선별함으로써 인기 풀을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로그는 콘텐츠 생성 횟수와 즐겨찾기 등록 횟수 및 콘텐츠 재생 횟수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하, 사용자 로그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아래와 같다.
프로세서(220)는 음원을 이용하여 숏폼 콘텐츠가 생성된 횟수(이하, '콘텐츠 생성 횟수'라 칭함)를 점수화하여 음원 랭킹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220)는 음원의 즐겨찾기(bookmark) 등록 횟수를 점수화하여 음원 랭킹을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220)는 음원이 포함된 숏폼 콘텐츠의 재생 횟수(이하, '콘텐츠 재생 횟수'라 칭함)를 점수화하여 음원 랭킹을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220)는 음원의 콘텐츠 생성 횟수, 즐겨찾기 등록 횟수, 및 콘텐츠 재생 횟수 중 둘 이상에 대한 점수를 합산하여 음원 랭킹을 결정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콘텐츠 생성 횟수와 즐겨찾기 등록 횟수 및 콘텐츠 재생 횟수는 1회 당 부여되는 단위 점수가 각각 다르게 정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콘텐츠 생성 횟수에 대한 단위 점수가 즐겨찾기 등록 횟수나 콘텐츠 재생 횟수보다 높게 책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콘텐츠 생성 횟수와 즐겨찾기 등록 횟수 및 콘텐츠 재생 횟수에 대한 단위 점수가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추천 타겟 사용자나 서비스 유입 경로 등에 따라 1회 당 단위 점수는 가변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천 타겟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패턴이나 서비스 요청 시간대와 같은 행동 유형에 따라 콘텐츠 생성 횟수와 즐겨찾기 등록 횟수 및 콘텐츠 재생 횟수에 대한 단위 점수가 달라질 수도 있다.
프로세서(220)는 사용자 로그를 이용한 소비 편향에 기반한 음원 랭킹을 보완하기 위해 각 음원이 음원 풀에 진입한 시점(즉, 숏폼 콘텐츠 플랫폼 상의 음원으로 노출이 시작된 시점)을 기준으로 최신성 가중치를 부여하여 음원 랭킹을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프로세서(220)는 숏폼 콘텐츠 플랫폼 상에 노출된지 일정 기간(예를 들어, 한달)이 경과하지 않은 음원에 대해 최신성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프로세서(220)는 각 음원에 대한 사용자 로그(콘텐츠 생성 횟수와 즐겨찾기 등록 횟수 및 콘텐츠 재생 횟수 중 적어도 하나)와 최신 음원 여부를 점수화하여 점수 기준 상위 일정 개수(예를 들어, 30개)의 음원을 선별해 인기 풀로 구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음원 풀을 이용하여 일정 주기(예를 들어, 매일 자정에 한번)마다 사용자 로그 기반의 인기 풀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단계(S330)에서 프로세서(220)는 추천 타겟 사용자를 대상으로 인기 풀을 이용하여 인기 음원 목록을 추천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인기 풀에 포함된 음원 중 적어도 일부 음원을 인기 음원으로 추천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20)는 인기 풀에 포함된 음원 중에서 음원 랭킹에 따른 상위 일정 개수의 음원 또는 무작위로 선정된 음원을 인기 음원 목록으로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숏폼 콘텐츠 서비스의 일부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숏폼 콘텐츠를 저작하는 과정의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프로세서(220)는 숏폼 콘텐츠 저작 도구로서 카메라 인터페이스 화면(410)을 제공할 수 있으며, 카메라 인터페이스 화면(410)에는 만들고자 하는 숏폼 콘텐츠에 음원을 추가하기 위한 음원 추가 인터페이스(411)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사용자가 카메라 인터페이스 화면(410)에서 음원 추가 인터페이스(411)를 선택하는 경우 음원 선택 화면(420)으로 이동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음원 선택 화면(420)을 통해 음원 풀에 포함된 적어도 일부 음원을 제공할 수 있다. 음원 선택 화면(420)은 서비스 카테고리 별로 분류된 음원 목록(예를 들어, 인기 음원 목록, 최신 음원 목록, 추천 음원 목록, 댄스 음원 목록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220)는 음원 선택 화면(420)에 포함된 카테고리 중 하나로 인기 풀의 적어도 일부 음원인 인기 음원 목록(421)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인기 음원 목록(421)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로그(콘텐츠 생성 횟수와 즐겨찾기 등록 횟수 및 콘텐츠 재생 횟수 중 적어도 하나)와 최신 음원 여부에 따른 음원 랭킹으로 결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사용자가 음원 선택 화면(420)에서 특정 음원을 선택하는 경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원 편집 화면(53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음원 편집 화면(530)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음원의 제목, 뮤지션 이름, 가사 등이 표시될 수 있고, 해당 음원에서 이용하고자 하는 구간을 선택하기 위한 구간 편집 인터페이스(531)가 포함될 수 있다.
구간 편집 인터페이스(531)는 선택 음원의 전체 길이 내에서 스크롤되면서 고정된 단위 길이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의 구간이 선택되는 기능을 지원한다.
음원 편집 화면(530) 상에 선택 음원의 가사가 표시되는 경우 구간 편집 인터페이스(531)의 스크롤과 연동되어 구간 편집 인터페이스(531)에 의해 선택된 구간에 대응되는 부분의 가사가 강조 표시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음원 편집 화면(530)을 통해 선택 음원에 대한 편집이 완료되면 카메라 인터페이스 화면(41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음원이 선택된 상태에서의 카메라 인터페이스 화면(410)에는 음원 추가 인터페이스(411)를 대신하여 선택 음원 정보(412)가 표시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카메라 인터페이스 화면(410)을 통해 영상 촬영이 완료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텐츠 후편집 화면(64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콘텐츠 후편집 화면(640)은 영상과 음원을 편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화면으로, 음원을 변경 및 편집하기 위한 음원 메뉴(641), 볼륨을 조정하기 위한 볼륨 메뉴(642), 영상에 텍스트를 추가하기 위한 텍스트 메뉴(643), 영상에 스티커를 추가하기 위한 스티커 메뉴(64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사용자가 콘텐츠 후편집 화면(640)에서 음원 메뉴(641)를 선택하는 경우 음원 선택 화면(420) 또는 음원 편집 화면(530)으로 이동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사용자가 콘텐츠 후편집 화면(640)에서 볼륨 메뉴(642)를 선택하는 경우 숏폼 콘텐츠에 포함된 사운드 볼륨을 조정하기 위한 볼륨 조정 인터페이스(645)를 제공할 수 있다.
숏폼 콘텐츠는 숏폼 콘텐츠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음원으로 추가한 뮤직 사운드, 카메라를 통한 영상 촬영 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카메라 사운드(오리지널 사운드), 별도의 더빙을 통해 입력된 더빙 사운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볼륨 조정 인터페이스(645)를 통해 각 사운드를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상기한 카메라 인터페이스 화면(410)을 통해 음원을 먼저 선택한 후 영상을 촬영하여 숏폼 콘텐츠를 저작할 수 있고, 반대로 영상을 먼저 촬영한 후 음원을 선택하여 숏폼 콘텐츠를 저작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사용자에 의해 저작된 숏폼 콘텐츠를 숏폼 콘텐츠 플랫폼 상에 업로드할 수 있다.
도 7은 숏폼 콘텐츠를 소비하는 과정의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프로세서(220)는 사용자가 숏폼 콘텐츠 플랫폼 상에 업로드된 숏폼 콘텐츠를 선택하는 경우 콘텐츠 뷰어 화면(750)을 통해 해당 숏폼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콘텐츠 뷰어 화면(750)에는 숏폼 콘텐츠에 추가된 음원 정보(751)가 표시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220)는 사용자가 콘텐츠 뷰어 화면(750) 상의 음원 정보(751)를 선택하는 경우 해당 음원의 제목, 뮤지션 이름 등을 포함한 음원 상세 화면(752)을 제공할 수 있다.
음원 상세 화면(752)에는 해당 음원을 즐겨찾기에 등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해당 음원을 이용한 숏폼 콘텐츠 저작 환경으로 이동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음원 풀과 관련된 운영자 관리 화면의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운영자 관리 화면(800)은 음원 풀의 업데이트 주기를 설정하기 위한 업데이트 주기 인터페이스(810), 음원을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자 별로 음원 풀 구성 비중을 설정하기 위한 CP 비중 인터페이스(8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운영자 관리 화면(800)을 통한 운영자 설정(업데이트 주기, 콘텐츠 제공자 별 음원 비중 등)에 기초하여 숏폼 콘텐츠 플랫폼을 통해 제공할 음원 풀을 자동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음원 풀과 인기 풀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프로세서(220)는 숏폼 콘텐츠 플랫폼과 연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제공자가 제공하는 음원 중에서 콘텐츠 제공자 별로 정해진 비율만큼의 음원을 음원 풀(910)로 구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숏폼 콘텐츠 플랫폼을 통해 음원 풀(910)에 포함된 음원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음원 풀(910)에 포함된 각 음원에 대한 사용자 로그를 기초로 음원 풀(910)에서 일부 음원을 선별하여 인기 풀(920)을 구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각 음원에 대한 사용자 로그를 점수화하여 해당 점수가 높은 순으로 일정 개수의 음원을 인기 음원으로 선별할 수 있다.
사용자 로그 유형 별 단위 점수표는 도 10과 같다. 예를 들어, 콘텐츠 생성 횟수는 1회 당 3점이 부여되고, 즐겨찾기 등록 횟수는 1회당 0.3점이 부여되고, 콘텐츠 재생 횟수는 1회 당 0.2점이 부여될 수 있다.
각 음원의 인기 점수(SCORE)는 수학식 1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수학식 1은 각 음원에 대한 사용자 로그 중 콘텐츠 생성 횟수, 즐겨찾기 등록 횟수 및 콘텐츠 재생 횟수 모두에 대한 점수를 합산하여 음원 랭킹을 결정하는 경우에 해당된다.
[수학식 1]
SCORE=Cscore+Fscore+Pscore
여기서, Cscore는 콘텐츠 생성 횟수×3, Fscore는 즐겨찾기 등록 횟수×0.3, Pscore는 콘텐츠 재생 횟수×0.2에 해당된다.
또한,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음원의 콘텐츠 생성 횟수, 즐겨찾기 등록 횟수 및 콘텐츠 재생 횟수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점수를 합산하여 음원 랭킹을 결정할 경우에는 해당 항목에 대한 점수로 음원 랭킹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음원의 콘텐츠 생성 횟수, 즐겨찾기 등록 횟수 및 콘텐츠 재생 횟수 중 둘 이상에 대한 점수를 합산하여 음원 랭킹을 결정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프로세서(220)는 각 음원에 대한 사용자 로그와 함께 최신 음원 여부를 점수화하여 해당 점수가 높은 순으로 일정 개수의 음원을 인기 음원으로 선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음원의 인기 점수(SCORE)는 수학식 2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수학식 2]
SCORE=Cscore+Fscore+Pscore+W
여기서, W는 최신성 가중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숏폼 콘텐츠 플랫폼 상에 노출된지 일정 기간(예를 들어, 한달)이 경과한 음원은 0, 일정 기간을 경과하지 않은 음원은 1이 부여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사용자 로그(콘텐츠 생성 횟수와 즐겨찾기 등록 횟수 및 콘텐츠 재생 횟수)에 대한 단위 점수가 추천 타겟 사용자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숏폼 콘텐츠 플랫폼 상의 행동 유형이나 프로필 등을 기초로 사용자를 복수 개의 그룹으로 나눌 수 있고, 각 사용자 그룹 별로 각각 다른 로직을 통해 인기 풀(920)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사용자 그룹에 대한 인기 풀(920)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로그에 대한 단위 점수로 제1 점수표(1110)를 적용하는 한편, 제2 사용자 그룹에 대한 인기 풀(920)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로그에 대한 단위 점수로 제2 점수표(1120)를 활용할 수 있다.
콘텐츠 생성 빈도가 높은 사용자군은 콘텐츠 생성 횟수에 대한 단위 점수가 즐겨찾기 등록 횟수나 콘텐츠 재생 횟수보다 높게 책정된 로직을 적용하여 인기 풀(920)을 구성할 수 있고, 콘텐츠 생성 빈도가 낮은 사용자군은 콘텐츠 생성 횟수와 즐겨찾기 등록 횟수 및 콘텐츠 재생 횟수에 대한 단위 점수가 모두 동일한 로직을 적용하여 인기 풀(920)을 구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사용자 로그에 기반한 인기 풀(920)을 이용하여 음원 선택 화면(420) 상에 인기 음원 목록(421)을 추천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숏폼 콘텐츠 플랫폼에서 각 음원에 대한 사용자 로그를 점수화하여 인기 음원을 선별할 수 있고, 최신성을 고려한 가중치를 부여하여 사용자 소비 편향에 기반한 음원 랭킹을 보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 개의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어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컴퓨터 장치에서 실행되는 음원 추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장치는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음원 추천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숏폼 콘텐츠 플랫폼(short-form content platform)을 통해 노출 가능한 음원 풀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각 음원에 대한 사용자 로그로서 해당 음원을 이용하여 숏폼 콘텐츠가 생성된 콘텐츠 생성 횟수를 기초로 상기 음원 풀에서 일부 음원을 선별하여 인기 풀로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타겟 사용자를 대상으로 상기 인기 풀에 포함된 음원 중 적어도 일부를 인기 음원으로 추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원 추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기 풀로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 생성 횟수를 점수화하여 점수 기준 음원 랭킹을 기준으로 상기 인기 풀을 구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추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기 풀로 구성하는 단계는,
    각 음원이 상기 음원 풀에 진입한 시점을 기준으로 해당 음원에 최신성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원 추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기 풀로 구성하는 단계는,
    각 음원에 대한 사용자 로그로서 상기 콘텐츠 생성 횟수와 함께 해당 음원의 즐겨찾기(bookmark) 등록 횟수 및 해당 음원이 추가된 숏폼 콘텐츠의 재생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점수화하여 점수 기준 음원 랭킹을 기준으로 상기 인기 풀을 구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추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점수화를 위한 상기 콘텐츠 생성 횟수에 대한 단위 점수가 상기 즐겨찾기 등록 횟수나 상기 재생 횟수에 대한 단위 점수보다 높게 책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추천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점수화를 위한 상기 콘텐츠 생성 횟수와 상기 즐겨찾기 등록 횟수 및 상기 재생 횟수에 대한 단위 점수가 상기 타겟 사용자의 행동 유형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추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기 풀로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음원 풀에 포함된 전체 음원을 대상으로 일정 주기마다 상기 사용자 로그에 기반한 상기 인기 풀을 구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추천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하는 단계는,
    상기 인기 풀에 포함된 음원 중에서 음원 랭킹에 따른 상위 일정 개수의 음원 또는 무작위로 선정된 음원을 인기 음원 목록으로 구성하여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추천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풀을 구성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제공자(content provider)가 제공하는 음원 중에서 상기 콘텐츠 제공자 별로 정해진 비율의 음원으로 상기 음원 풀을 구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추천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풀을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숏폼 콘텐츠 플랫폼의 CMS(content management system)를 통해 설정된 업데이트 주기와 콘텐츠 제공자 별 음원 선정 비중에 따라 상기 음원 풀을 구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추천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음원 추천 방법을 상기 컴퓨터 장치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2. 컴퓨터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숏폼 콘텐츠 플랫폼을 통해 노출 가능한 음원 풀을 구성하고,
    각 음원에 대한 사용자 로그로서 해당 음원을 이용하여 숏폼 콘텐츠가 생성된 콘텐츠 생성 횟수를 기초로 상기 음원 풀에서 일부 음원을 선별하여 인기 풀로 구성하고,
    타겟 사용자를 대상으로 상기 인기 풀에 포함된 음원 중 적어도 일부를 인기 음원으로 추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콘텐츠 생성 횟수를 점수화하여 점수 기준 음원 랭킹을 기준으로 상기 인기 풀을 구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각 음원이 상기 음원 풀에 진입한 시점을 기준으로 해당 음원에 최신성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각 음원에 대한 사용자 로그로서 상기 콘텐츠 생성 횟수와 함께 해당 음원의 즐겨찾기 등록 횟수 및 해당 음원이 추가된 숏폼 콘텐츠의 재생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점수화하여 점수 기준 음원 랭킹을 기준으로 상기 인기 풀을 구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점수화를 위한 상기 콘텐츠 생성 횟수에 대한 단위 점수가 상기 즐겨찾기 등록 횟수나 상기 재생 횟수에 대한 단위 점수보다 높게 책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점수화를 위한 상기 콘텐츠 생성 횟수와 상기 즐겨찾기 등록 횟수 및 상기 재생 횟수에 대한 단위 점수가 상기 타겟 사용자의 행동 유형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인기 풀에 포함된 음원 중에서 음원 랭킹에 따른 상위 일정 개수의 음원 또는 무작위로 선정된 음원을 인기 음원 목록으로 구성하여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제공자가 제공하는 음원 중에서 상기 콘텐츠 제공자 별로 정해진 비율의 음원으로 상기 음원 풀을 구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숏폼 콘텐츠 플랫폼의 CMS를 통해 설정된 업데이트 주기와 콘텐츠 제공자 별 음원 선정 비중에 따라 상기 음원 풀을 구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KR1020220045743A 2022-04-13 2022-04-13 숏폼 콘텐츠 플랫폼에서 인기 음원을 추천하는 방법, 컴퓨터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3014683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5743A KR20230146832A (ko) 2022-04-13 2022-04-13 숏폼 콘텐츠 플랫폼에서 인기 음원을 추천하는 방법, 컴퓨터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2023063252A JP2023157004A (ja) 2022-04-13 2023-04-10 音源推薦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5743A KR20230146832A (ko) 2022-04-13 2022-04-13 숏폼 콘텐츠 플랫폼에서 인기 음원을 추천하는 방법, 컴퓨터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6832A true KR20230146832A (ko) 2023-10-20

Family

ID=88468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5743A KR20230146832A (ko) 2022-04-13 2022-04-13 숏폼 콘텐츠 플랫폼에서 인기 음원을 추천하는 방법, 컴퓨터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23157004A (ko)
KR (1) KR20230146832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157004A (ja) 2023-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42626B2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facilitating content consumption and sharing through geographic and incentive based virtual networks
WO2014062654A2 (en) Creating multiple recommended stations based on purchase history
JP2016501411A (ja) マルチメディアコンテンツの自動配信
WO2014062641A2 (en) Dynamically updating a shared radio station
US20240048785A1 (en) Platform, system and method of generating, distributing, and interacting with layered media
US20150161683A1 (en) Incentivizing play of audio/visual material
KR102046411B1 (ko)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재생 로그를 이용하여 개인화 된 플레이리스트를 구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7427692B2 (ja) カスタマイズされた補足メディアコンテンツの動的な統合
KR101682671B1 (ko) 앱스토어와 타임라인을 연계하여 게시물을 추천하는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20170061003A1 (en) System, method, device and product for compiling aggregated media in a time-based playlist
US20210093971A1 (en)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 medium for providing content based on user response
JP5683658B1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ツの再生サービスを提供するサーバ及び方法
KR20230146832A (ko) 숏폼 콘텐츠 플랫폼에서 인기 음원을 추천하는 방법, 컴퓨터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7413266B2 (ja) ストリーミングコンテンツリアルタイム共有方法およびシステム
TW202247068A (zh) 帳戶推薦方法、電腦裝置及電腦程式
KR102244130B1 (ko) 영화 검색에서 사용자 경험 개선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220152996A (ko) 개인화된 게임 알림
KR20230148670A (ko) 숏폼 콘텐츠의 음원과 영상을 동기화하는 방법, 컴퓨터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6250610B2 (ja) 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情報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配信装置
KR101827863B1 (ko)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660807B1 (ko) 어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는 과정에서 추가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252053B1 (ko) 듀얼 스크린에서의 컨텐츠 중복을 배제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08235094A (zh) 歌词显示方法、装置、可读存储介质及设备
KR101654316B1 (ko) 저작료 지불에 기초한 비디오 영상 데이터 제공 시스템
KR20240040322A (ko) 개인화된 예상 평점을 기초로 콘텐츠를 추천하는 방법, 컴퓨터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