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6829A -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6829A
KR20230146829A KR1020220045740A KR20220045740A KR20230146829A KR 20230146829 A KR20230146829 A KR 20230146829A KR 1020220045740 A KR1020220045740 A KR 1020220045740A KR 20220045740 A KR20220045740 A KR 20220045740A KR 20230146829 A KR20230146829 A KR 202301468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reography
user
service
creation
avat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5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신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45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6829A/ko
Publication of KR20230146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682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3Querying
    • G06F16/432Query formulation
    • G06F16/434Query formulation using image data, e.g. images, photos, pictures taken by a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20/00Business processing using cryptography
    • G06Q2220/10Usage protection of distributed data files
    • G06Q2220/16Copy protection or prevention
    • G06Q2220/165Having origin or program 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Econom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Fina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들이 보다 쉽고 편리하게 자신만의 안무를 창작하기 위한 창작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안무를 창작하기 위하여는 전문적인 안무가들이 여러 가지 동작을 구상하고 반복적인 시행착오를 통해 최적의 동작을 결정하는 과정이 필요하므로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고, 전문적인 안무가가 아닌 일반인들이 용이하게 안무를 창작할 수 있는 창작환경이 제공되지 못함으로 인해 안무창작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대중화가 어려운 한계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안무창작 환경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자신만의 안무를 만들 수 있는 창작환경을 제공하는 동시에, 예를 들면, 메타버스(metaverse)와 같은 가상현실 개념을 도입하여, 온라인 공간에서 자신의 아바타를 통해 자신이 작성한 안무를 공연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각각의 사용자들이 가상환경을 통해 자신만의 개성을 표현하고 서로 소통하며 즐거움을 함께 나눌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horeography creation platform service}
본 발명은 사용자들이 보다 쉽고 편리하게 자신만의 안무를 창작할 수 있는 창작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최근, 우리나라의 K-POP이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고 댄스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단순히 기존 가수들의 안무를 그대로 따라하는 것에서 벗어나 스스로 안무를 만들어 보고자 하는 안무창작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안무를 창작하기 위하여는 전문적인 안무가들이 여러 가지 동작을 구상하고 반복적인 시행착오를 통해 최적의 동작을 결정하는 과정이 필요하므로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고, 그로 인해,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들은 쉽게 접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안무창작 환경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온라인을 통해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자신만의 안무를 만들 수 있는 창작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최근 안무창작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전문적인 안무가가 아닌 일반인들도 용이하게 안무를 창작할 수 있는 창작환경이 제공되지 못함으로 인해 안무창작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대중화가 어려운 한계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안무창작 환경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각각의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고 미리 준비된 각종 댄스 동작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자신만의 안무를 구성하며, 이때, 각각의 기본동작 사이의 연결동작을 별도로 구현하여 보다 자연스럽고 완성도 높은 안무를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자신만의 안무를 만들 수 있는 창작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자신만의 안무를 만들 수 있는 창작환경을 제공하는 동시에, 예를 들면, 메타버스(metaverse)와 같은 가상현실 개념을 도입하여, 각각의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자신만의 아바타를 생성하고, 온라인 공간에 구비된 공연장이나 커뮤니티 등에서 자신의 아바타를 통해 자신이 작성한 안무를 공연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온라인을 통해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자신만의 안무를 창작할 수 있는 데 더하여, 각각의 사용자들이 가상환경을 통해 자신만의 개성을 표현하고 서로 소통하며 즐거움을 함께 나눌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안무를 창작하기 위하여는 전문적인 안무가들이 우선 여러 가지 동작을 구상한 다음 반복적인 시행착오를 통해 최적의 동작을 결정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전체적인 안무를 완성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따라서 하나의 안무를 완성하기 위하여는 그만큼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며, 이에,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들은 안무를 창작하기 어려우므로 대부분 기존에 만들어진 안무를 감상하거나 따라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우리나라의 K-POP이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고 댄스에 대한 인식도 높아지고 있으며, 그에 따라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들도 단순히 기존의 안무를 그대로 따라하는 것에 더하여 스스로 안무를 직접 만들어 보고자 하는 안무창작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이러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안무창작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한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안무창작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대한 종래기술의 예로는, 먼저, 예를 들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13577호에 제시된 바와 같은 "안무 구상 지원 장치 및 방법"이 있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13577호는, 복수개의 안무 동작들 각각에 대한 모션캡쳐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안무동작 DB; 복수개의 안무 동작들 각각에 대한 생체역학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안무속성 DB; 사용자로부터 구간동작검색 및 안무속성검색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검색대상 안무를 입력받아 안무동작 DB 및 안무속성 DB에서 유사도 판단을 기초로 검색하며, 구간동작검색 및 안무속성검색으로 검색대상 안무를 입력받은 경우 구간동작검색 및 안무속성검색에 각각 가중치를 부여하여 유사도 판단을 수행하는 검색부; 및 검색부에서 판단된 유사도를 기초로 검색된 안무동작 DB 및 안무속성 DB의 안무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며, 가중치가 부여된 경우 검색된 안무동작 DB의 안무 데이터 및 안무속성 DB의 안무 데이터 중에서 더 높은 가중치가 부여된 DB의 안무 데이터를 검색결과 리스트의 상위에 위치하도록 표시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무속성검색은, 사용자로부터 안무 동작의 빠르기, 파워, 유연성, 복잡도, 공간 활용도, 난이도, 및 집중 부위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대한 질의로 이루어지는 것에 의해, 안무가가 기존에 창작되었던 유사 안무들을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쉽고 빠르게 검색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해, 초기 안무구상 단계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안무구상 지원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안무창작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대한 종래기술의 다른 예로는, 예를 들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29195호에 제시된 바와 같은 "질의동작기반 안무 검색 시스템 및 방법"이 있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29195호는, 질의동작기반 검색 서비스 장치에서의 질의동작기반 검색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콘텐츠들에 대한 영상 데이터와 검색 참조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입력받는 질의동작 영상을 분석하여 각 영상 프레임에서 질의자의 관절들에 대한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질의자의 관절들에 대한 위치정보로부터 추출된 자세 기술자들에 기초하여 구간별 질의자의 대표 자세 기술자를 추출하는 단계; 검색 참조정보를 참조하여 포인트 구간별 콘텐츠들의 대표 자세 기술자를 추출하는 단계; 및 구간별 질의자의 대표 자세 기술자와 구간별 콘텐츠들의 대표 자세 기술자를 비교하여 유사도를 산출하고, 유사도가 가장 높은 모션영상을 포함하는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검색 참조정보는, 각 영상 프레임에서 안무가의 각 관절에 대한 위치정보, 소정의 포인트 구간별 각 영상 프레임에서의 안무가 자세 기술자 및 포인트 구간별 대표 자세 기술자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한 안무영상이나 안무 구간영상을 입력한 질의에 대하여 안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K-POP 등 안무 저작물들과 비교하여 유사도 순으로 정렬된 안무 저작물 리스트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 텍스트 기반 검색이 아닌 직관적인 안무영상 입력 기반 검색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그것에 의해, 전문 안무가들이 댄스 안무를 창작할 때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질의동작기반 안무검색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안무창작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장치 및 방법들이 제시된 바 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내용들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는 것이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안무창작 장치 및 방법들은, 전문가들이 안무를 창작할 때 초기 구상단계에서 참고를 위해 다양한 안무동작들을 보다 쉽고 빠르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기 검색기능만을 제공하고 있을 뿐,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들도 누구나 쉽게 직접 안무를 창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능에 대하여는 제시된 바 없었다.
더욱이,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안무창작 장치 및 방법들은, 일반적으로 전문가들이 안무창작시에 이용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음으로 인해 날로 증가하는 일반인들의 안무창작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한계가 있고, 그로 인해, 안무창작의 대중화가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안무창작 장치 및 방법들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하여는, 예를 들면, 온라인 플랫폼을 통하여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없이 이용 가능한 동시에, 전문적인 지식이 없이도 누구나 쉽게 자신만의 안무를 창작할 수 있는 창작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새로운 구성의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를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아직까지 그러한 요구를 모두 만족시키는 장치나 방법은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13577호 (2019.08.23.)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29195호 (2017.04.21.)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으로, 안무를 창작하기 위하여는 전문적인 안무가들이 여러 가지 동작을 구상하고 반복적인 시행착오를 통해 최적의 동작을 결정하는 과정이 필요하므로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고, 그로 인해,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들은 쉽게 접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안무창작 환경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온라인을 통해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자신만의 안무를 만들 수 있는 창작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전문적인 안무가가 아닌 일반인들도 용이하게 안무를 창작할 수 있는 창작환경이 제공되지 못함으로 인해 안무창작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대중화가 어려운 한계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안무창작 환경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각각의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고 미리 준비된 각종 댄스 동작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자신만의 안무를 구성하며, 이때, 각각의 기본동작 사이의 연결동작을 별도로 구현하여 보다 자연스럽고 완성도 높은 안무를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자신만의 안무를 만들 수 있는 창작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이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자신만의 안무를 만들 수 있는 창작환경을 제공하는 동시에, 예를 들면, 메타버스(metaverse)와 같은 가상현실 개념을 도입하여, 각각의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자신만의 아바타를 생성하고, 온라인 공간에 구비된 공연장이나 커뮤니티 등에서 자신의 아바타를 통해 자신이 작성한 안무를 공연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온라인을 통해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자신만의 안무를 창작할 수 있는 데 더하여, 각각의 사용자들이 가상환경을 통해 자신만의 개성을 표현하고 서로 소통하며 즐거움을 함께 나눌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의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요청하고 제공받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 및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통해 연결되어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의 요청을 수신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미리 저장된 댄스 동작이나 자세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각각의 동작이나 자세를 연결하여 안무를 생성하는 안무창작 서비스와, 각각의 사용자들이 가상현실 환경에서 자신이 작성한 안무를 공연하고 서로 소통할 수 있는 가상환경 서비스를 포함하는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PC나 노트북을 포함하는 정보처리장치나, 또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를 포함하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장치에 상기 서비스 서버와 연동되는 전용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 AR),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혼합현실(Mixed Reality ; MR), 또는, 확장현실(eXpended Reality ; XR)이 구현 가능한 기기에 상기 서비스 서버와 연동되는 전용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는, 각종 댄스 동작이나 자세에 대한 영상이나 이미지 및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를 수집하고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하여 이루어지는 데이터베이스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댄스 동작이나 자세를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해당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각각의 동작이나 자세를 연결하여 안무를 생성하며, 생성된 안무를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저장하고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표시되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안무창작 서비스 제공부; 가상현실 환경에서 각각의 사용자들이 자신이 작성한 안무를 공연하고 서로 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가상환경 서비스 제공부; 유선 또는 무선통신 중 적어도 한 가지 방식으로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행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통신부; 및 상기 시스템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전문가에 의해 수행된 각종 댄스 동작 및 자세에 대한 영상이나 이미지를 미리 정해진 설정에 따라 각각의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구축된 안무 라이브러리 및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와 해당 사용자의 아바타 정보 및 해당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안무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각각의 사용자들의 서비스 이용내역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전반에 대한 빅데이터를 구축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안무창작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미리 정해진 카테고리별로 각각 저장된 댄스 동작이나 자세를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이나 자세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전체적인 안무의 기본동작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기본동작 처리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각각의 기본동작들이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각각의 댄스 동작이나 자세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미리 정해진 카테고리별로 각각 저장된 연결동작을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원하는 연결동작을 선택하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연결동작 처리부;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각각의 기본동작과 연결동작을 서로 연결하여 단일의 안무를 생성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안무생성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안무창작 서비스 제공부는, 각각의 기본동작 및 연결동작에 대한 세부설정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동작 처리부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본동작의 종류에 따라 미리 설정된 연결동작들을 사용자에게 제시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연결동작을 삽입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딥러닝(Deep Learning)을 포함하는 인공지능(AI)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각종 안무에 대하여 미리 학습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통해 기본동작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연결동작을 선택하여 삽입하는 처리가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가상환경 서비스 제공부는, 메타버스(metaverse)를 포함하는 미리 구축된 가상현실 환경을 통하여, 각각의 사용자들이 자신의 아바타 및 가상공간을 통해 자신이 작성한 안무를 공연할 수 있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공연장 서비스와, 각각의 사용자가 자신의 아바타 및 가상공간을 원하는 대로 꾸밀 수 있도록 각종 의상이나 액세서리, 소품 및 배경음악(BGM)을 포함하는 커스터마이징 아이템을 제공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커스터마이징 서비스 및 다수의 사용자들이 온라인상에서 서로 소통할 수 있도록 실시간 채팅 및 커뮤니티 서비스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각각 제공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상환경 서비스 제공부는, 블록체인(block chain) 또는 대체불가능토큰(Non-fungible token ; NFT)을 이용하여 각각의 사용자별로 생성된 아바타 및 가상공간과 안무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서비스 서버는, 미리 정해진 설정에 따라 각각의 서비스에 대한 과금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과금처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에 기재된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시스템을 이용한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회원가입 및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로그인 단계; 로그인한 사용자가 안무작성 서비스 메뉴를 선택하면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해당 사용자에게 댄스별로 미리 분류된 안무 카테고리를 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안무별 기본동작을 제시하여 원하는 기본동작을 선택하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기본동작 선택단계; 상기 기본동작 선택단계에서 선택된 기본동작에 따라 미리 설정된 연결동작을 사용자에게 제시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본동작 사이에 삽입되는 연결동작을 선택하도록 하는 처리가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연결동작 선택단계; 사용자가 선택을 완료할 때까지 상기 기본동작 선택단계와 상기 연결동작 선택단계의 처리를 반복하고 선택된 각각의 동작들을 연결하여 단일의 안무를 생성하는 처리가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안무생성단계; 및 상기 안무생성단계를 통해 작성된 안무를 가상현실 환경을 통해 공연하고 다수의 사용자들과 서로 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처리가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가상환경 서비스 제공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동작 선택단계는, 각종 안무에 대하여 미리 학습된 딥러닝 기반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본동작들 사이에 적절한 연결동작을 선택하고 삽입하는 처리가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가상환경 서비스 제공단계는, 상기 로그인 단계에서 로그인한 사용자가 가상환경 서비스 메뉴를 선택하면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로그인한 사용자의 아바타 정보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아바타 정보가 없을 경우는 자신의 아바타 및 가상공간을 각각 생성하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아바타 생성단계; 상기 아바타 생성단계에서 아바타가 이미 존재하거나 아바타 작성이 완료되면, 상기 기본동작 선택단계와 상기 연결동작 선택단계 및 상기 안무생성단계를 통해 작성된 안무를 해당 사용자의 아바타 및 가상공간을 통해 공연하거나, 또는, 가상현실 환경에 구축된 별도의 공연장에서 다수의 사용자들이 모여서 함께 안무를 공연하고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안무공연 서비스 제공단계; 및 다수의 사용자들이 함께 안무를 공연하고 감상하는 동시에 문자나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소통할 수 있도록, 실시간 채팅기능 및 SNS를 포함하는 커뮤니티 기능을 제공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방법은, 각각의 사용자가 상기 아바타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자신의 아바타 및 가상공간을 원하는 대로 꾸밀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각종 복장이나 액세서리, 소품 및 배경음악(BGM)을 포함하는 커스터마이징 아이템을 제공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커스터마이징 단계; 블록체인(block chain) 또는 대체불가능토큰(Non-fungible token ; NFT)을 이용하여, 각각의 사용자별로 생성된 아바타 및 가상공간과 안무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암호화 처리단계; 및 미리 정해진 설정에 따라 각각의 서비스에 대한 과금처리가 수행되는 과금처리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고 미리 준비된 각종 댄스 동작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자신만의 안무를 구성하며, 이때, 각각의 기본동작 사이의 연결동작을 별도로 구현하여 보다 자연스럽고 완성도 높은 안무를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됨으로써,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자신만의 안무를 만들 수 있는 창작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온라인을 통해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자신만의 안무를 만들 수 있는 창작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됨으로써, 안무를 창작하기 위하여는 전문적인 안무가들이 여러 가지 동작을 구상하고 반복적인 시행착오를 통해 최적의 동작을 결정하는 과정이 필요하므로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며, 전문적인 안무가가 아닌 일반인들이 용이하게 안무를 창작할 수 있는 창작환경이 제공되지 못함으로 인해 안무창작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대중화가 어려운 한계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안무창작 환경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자신만의 안무를 만들 수 있는 창작환경을 제공하는 동시에, 예를 들면, 메타버스(metaverse)와 같은 가상현실 개념을 도입하여, 각각의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자신만의 아바타를 생성하고, 온라인 공간에 구비된 공연장이나 커뮤니티 등에서 자신의 아바타를 통해 자신이 작성한 안무를 공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됨으로써,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자신만의 안무를 창작할 수 있는 데 더하여, 각각의 사용자들이 가상환경을 통해 자신만의 개성을 표현하고 서로 소통하며 즐거움을 함께 나눌 수 있는 디지털 융복합 엔터테인먼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서비스 서버의 구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안무창작 서비스 제공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시스템을 이용한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의 구체적인 처리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에서 가상환경 서비스 제공단계의 구체적인 처리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이하에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의 내용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에 유념해야 한다.
또한, 이하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종래기술의 내용과 동일 또는 유사하거나 당업자의 수준에서 용이하게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부분에 대하여는, 설명을 간략히 하기 위해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념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안무를 창작하기 위하여는 전문적인 안무가들이 여러 가지 동작을 구상하고 반복적인 시행착오를 통해 최적의 동작을 결정하는 과정이 필요하므로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고, 그로 인해,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들은 쉽게 접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안무창작 환경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온라인을 통해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자신만의 안무를 만들 수 있는 창작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문적인 안무가가 아닌 일반인들도 용이하게 안무를 창작할 수 있는 창작환경이 제공되지 못함으로 인해 안무창작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대중화가 어려운 한계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안무창작 환경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각각의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고 미리 준비된 각종 댄스 동작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자신만의 안무를 구성하며, 이때, 각각의 기본동작 사이의 연결동작을 별도로 구현하여 보다 자연스럽고 완성도 높은 안무를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자신만의 안무를 만들 수 있는 창작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자신만의 안무를 만들 수 있는 창작환경을 제공하는 동시에, 예를 들면, 메타버스(metaverse)와 같은 가상현실 개념을 도입하여, 각각의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자신만의 아바타를 생성하고, 온라인 공간에 구비된 공연장이나 커뮤니티 등에서 자신의 아바타를 통해 자신이 작성한 안무를 공연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온라인을 통해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자신만의 안무를 창작할 수 있는 데 더하여, 각각의 사용자들이 가상환경을 통해 자신만의 개성을 표현하고 서로 소통하며 즐거움을 함께 나눌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계속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더 상세하게는,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시스템(10)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시스템(10)은, 크게 나누어, 각각의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요청하고 제공받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11)와,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11)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통해 연동되어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11)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의 요청을 수신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미리 구축된 안무창작 플랫폼을 통해 해당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서비스 서버(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사용자 단말기(11)는, 예를 들면, PC나 노트북을 포함하는 정보처리장치나, 또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를 포함하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11)에 서비스 서버(12)와 연동되는 전용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구성됨으로써, 별도의 하드웨어를 구현할 필요 없이 보다 간단한 구성 및 저렴한 비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시스템(10)의 서비스 서버(12)의 구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서비스 서버(12)는, 크게 나누어, 각종 댄스 동작이나 자세에 대한 영상이나 이미지 및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를 수집하고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하여 이루어지는 데이터베이스부(21)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부(21)에 저장된 댄스 동작이나 자세를 검색하여 제시하고, 해당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각각의 동작이나 자세를 연결하여 안무를 생성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안무창작 서비스 제공부(22)와, 예를 들면, 메타버스(metaverse) 등과 같이, 각각의 사용자들이 자신의 아바타를 통해 가상현실 환경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체험하고 커뮤니티를 통하여 온라인상에서 서로 소통할 수 있는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가상환경 서비스 제공부(23)와, 유선 또는 무선통신 중 적어도 한 가지 방식으로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11)와 통신을 행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통신부(24) 및 상기한 각 부와 시스템(1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제어부(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한 데이터베이스부(21)는, 예를 들면, 전문가에 의해 수행된 각종 댄스 동작 및 자세에 대한 영상이나 이미지를 미리 정해진 설정에 따라 각각의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구축된 안무 라이브러리와,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와 해당 사용자의 아바타 정보 및 해당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안무 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각각의 사용자들의 서비스 이용내역 등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여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전반에 대한 빅데이터를 구축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한 안무창작 서비스 제공부(22)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부(21)의 안무 라이브러리에 각각의 카테고리별로 저장된 댄스 동작이나 자세를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각각의 동작이나 자세를 연결하여 안무를 생성하며, 생성된 안무를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저장하고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11)로 전송하여 표시되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한 가상환경 서비스 제공부(23)는, 예를 들면, 최근 주목받고 있는 메타버스(metaverse) 등과 같이, 가상현실 개념을 도입하여 각각의 사용자들이 가상현실 환경에서 자신의 아바타를 통해 자신이 작성한 안무를 공연할 수 있는 공연장 서비스와, 다양한 액세서리나 소품 및 배경음악 등을 통해 각각의 사용자가 자신의 아바타 및 공연장을 원하는 대로 꾸밀 수 있도록 하는 커스터마이징 서비스 및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들이 온라인상에서 서로 소통할 수 있는 커뮤니티 서비스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가상현실 기반으로 구축된 메타버스 세계관을 통해 제공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11)를 통해 서비스 서버(12)에 접속하여 원하는 안무의 카테고리를 선택하면 해당하는 세부 동작들이 선택메뉴로 표시되고, 사용자가 각각의 동작을 선택하면 안무창작 서비스 제공부(22)에서 선택된 동작들을 연결하여 자동으로 안무가 완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각 동작과 동작 사이에 연결동작을 별도로 구비하여 두고, 각각의 동작 사이에 적절한 연결동작을 추가하는 처리가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보다 자연스러운 안무가 만들어질 수 있으며, 그것에 의해, 작성된 안무의 완성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즉,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12)의 안무창작 서비스 제공부(22)의 구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안무창작 서비스 제공부(22)는, 예를 들면, 점프나 구르기 또는 특정한 동작이나 자세 등과 같이, 데이터베이스부(21)에 각각의 카테고리별로 미리 저장된 댄스 동작이나 자세를 사용자에게 제시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이나 자세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전체적인 안무의 기본동작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기본동작 처리부(31)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각각의 기본동작들이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각의 댄스 동작이나 자세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부(21)에 각각의 카테고리별로 미리 저장된 연결동작을 사용자에게 제시하여 적절한 연결동작을 선택하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연결동작 처리부(32)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각각의 기본동작과 연결동작을 서로 연결하여 하나의 안무를 생성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안무생성 처리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안무창작 서비스 제공부(22)는, 각각의 기본동작 및 연결동작을 선택한 후 각각의 동작의 실행속도나 실행시간, 이동 거리, 높이 등과 같은 세부설정을 사용자가 임의로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것에 의해, 단순히 미리 제작된 동작들을 나열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보다 자유롭고 창의적인 안무를 작성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점프 동작을 선택할 경우 점프의 높이나 이동거리 및 속도 등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특정 자세를 선택할 경우 해당 자세로 이행하는 실행속도나 해당 자세의 유지시간 등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연결동작 처리부(32)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본동작의 종류에 따라 미리 설정된 연결동작들을 사용자에게 제시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연결동작을 삽입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각각의 기본동작의 종류에 따라 미리 정해진 설정에 근거하여 적절한 연결동작을 자동으로 선택하고 삽입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한 연결동작 처리부(32)는, 예를 들면, 딥러닝(Deep Learning) 등과 같은 인공지능(AI)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각종 안무에 대하여 미리 학습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통해 기본동작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연결동작을 선택하여 삽입하는 처리가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등,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임에 유념해야 한다.
아울러, 상기한 가상환경 서비스 제공부(23)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작성된 안무를 가상현실 기반의 메타버스 환경의 공연장에서 자신의 아바타를 통해 공연할 수 있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각각의 사용자들이 서로 소통할 수 있도록 실시간 채팅 및 커뮤니티 기능을 제공하는 동시에, 자신의 공연장이나 아바타를 원하는 대로 꾸밀 수 있도록 각종 액세서리나 소품 및 배경음악 등의 아이템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추가적인 수익창출을 도모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한 서비스 서버(12)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미리 정해진 과금설정에 따라 각각의 서비스에 대하여 과금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과금처리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한 사용자 단말기(11)는, 예를 들면,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 AR),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혼합현실(Mixed Reality ; MR), 또는, 확장현실(eXpended Reality ; XR)이 구현 가능한 기기를 이용하여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실감나는 메타버스 환경 및 체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동작들을 하나로 연결하는 처리나, 딥러닝 기반의 인공지능 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한 영상인식 처리 및 메타버스와 같은 가상현실을 통해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처리 및 각각의 서비스에 대한 과금처리 과정 등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는 종래기술의 각종 가상현실 시스템이나 온라인 서비스들의 내용들을 참조하여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본 발명에서는, 설명을 간략히 하기 위해,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문헌 등을 참고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는 내용에 대하여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념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시스템(10) 및 이를 이용한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시스템(10)을 이용한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의 구체적인 처리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시스템(10)을 이용한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은, 크게 나누어, 먼저,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11)를 통해 서비스 서버(12)에 접속하여 회원가입 및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로그인 단계(S10)와, 로그인한 사용자가 안무작성 서비스 메뉴를 선택하면 서비스 서버(12)에서 해당 사용자에게 댄스별로 미리 분류된 안무 카테고리를 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안무별 기본동작을 제시하여 원하는 기본동작을 선택하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기본동작 선택단계(S20)와, 기본동작 선택단계(S20)에서 선택된 기본동작에 따라 미리 설정된 연결동작을 사용자에게 제시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본동작 사이에 삽입되는 연결동작을 선택하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연결동작 선택단계(S30)와, 사용자가 선택을 완료할 때까지 기본동작 선택단계(S20)와 연결동작 선택단계(S30)의 처리를 반복하고 선택된 각각의 동작들을 연결하여 단일의 안무를 생성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안무생성단계(S40) 및 안무생성단계(S40)를 통해 작성된 안무를 가상현실 환경을 통해 공연하고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들과 서로 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가상환경 서비스 제공단계(S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기본동작 선택단계(S20)와 연결동작 선택단계(S30)의 처리는 각 단계가 서로 각각 번갈아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기본동작을 모두 선택한 후 연결동작을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연결동작 선택단계(S30)의 처리는, 예를 들면, 딥러닝 기반의 인공지능 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본동작들 사이에 적절한 연결동작을 선택하고 삽입하는 처리가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등,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임에 유념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은 단순히 안무를 창작하는 창작환경을 제공하는 것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작성된 안무를, 예를 들면, 메타버스 등과 같이, 온라인이나 가상현실 환경에 구현된 공연장 등에서 직접 공연할 수 있는 공연기능과, 다수의 사용자들이 서로 소통할 수 있는 커뮤니티 기능 및 각종 아이템을 통해 자신만의 개성을 더욱 부각시킬 수 있도록 커스터마이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도 4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에서 가상환경 서비스 제공단계(S50)의 구체적인 처리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가상환경 서비스 제공단계(S50)는, 먼저, 상기한 로그인 단계(S10)에서 로그인한 사용자가 가상환경 서비스 메뉴를 선택하면 서비스 서버(12)에서 로그인한 사용자의 아바타 정보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아바타 정보가 없을 경우는 자신의 아바타를 생성하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아바타 생성단계(S51)가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아바타 생성단계(S51)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홈이나 방 등과 같이, 각각의 사용자에 고유한 가상의 공간을 생성하여 아바타와 함께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는, 예를 들면, 각종 복장이나 액세서리, 가구나 악기 등의 소품 및 배경음악(BGM) 등과 같이, 자신의 아바타 및 가상공간(홈 또는 방)을 원하는 대로 꾸밀 수 있는 다양한 커스터마이징 아이템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는 단순히 안무창작 이외에 다양한 즐길거리를 제공하는 동시에, 서비스 제공자측에는 추가적인 수익창출을 도모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미리 정해진 과금설정에 따라 각각의 서비스에 대하여 과금처리가 수행되는 과금처리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은, 예를 들면, 최근 보안관련 기술로 주목받고 있는 블록체인(block chain)이나 대체불가능토큰(Non-fungible token ; NFT) 등을 이용하여, 상기한 아바타 생성단계(S51)에서 각각의 사용자별로 생성된 아바타 및 가상공간과 해당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안무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것에 의해, 각 개인에 고유한 자신만의 아바타 및 가상공간을 제공하고 안무 데이터의 소유권을 명확히 나타내어 무단도용이나 불법복제 등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한 아바타 생성단계(S51)에서 아바타가 이미 존재하거나 아바타 작성이 완료되면, 안무공연 서비스 제공단계(S52)로 이행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기본동작 선택단계(S20)와 연결동작 선택단계(S30) 및 안무생성단계(S40)를 통해 작성된 안무를 해당 사용자의 아바타 및 가상공간을 통해 공연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안무공연 서비스 제공단계(S52)는,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가상공간에서 작성된 안무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메타버스와 같은 가상현실 환경에 구축된 별도의 공연장에서 다수의 사용자들이 모여서 함께 안무를 공연하고 감상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임에 유념해야 한다.
아울러, 상기한 가상환경 서비스 제공단계(S5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다수의 사용자들이 함께 안무를 공연하고 감상하는 동시에, 문자나 음성 등을 통해 서로 자유롭게 소통할 수 있도록 실시간 채팅기능 및 SNS 등과 같은 커뮤니티 기능을 제공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단계(5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르면, 춤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들도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자신만의 안무를 창작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들이 가상현실 환경의 공연장에 모여서 자신이 작성한 안무를 공연하고 서로 소통하면서 즐길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댄스 배틀이나 경연대회 등과 같이, 사용자들이 서로 자신의 안무를 공연하고 다른 사용자의 안무를 평가하는 경쟁형 컨텐츠나 게임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는 등, 댄스와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해진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단순히 안무창작을 위한 다양한 동작이나 자세 및 아바타나 가상공간을 꾸밀 수 있는 커스터마이징 아이템을 제공하는 것에 더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댄스와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를 통해 추가적인 수익창출이 가능한 장점 또한 가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을 구현할 수 있으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고 미리 준비된 각종 댄스 동작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자신만의 안무를 구성하며, 이때, 각각의 기본동작 사이의 연결동작을 별도로 구현하여 보다 자연스럽고 완성도 높은 안무를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됨으로써,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자신만의 안무를 만들 수 있는 창작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온라인을 통해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자신만의 안무를 만들 수 있는 창작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됨으로써, 안무를 창작하기 위하여는 전문적인 안무가들이 여러 가지 동작을 구상하고 반복적인 시행착오를 통해 최적의 동작을 결정하는 과정이 필요하므로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며, 전문적인 안무가가 아닌 일반인들이 용이하게 안무를 창작할 수 있는 창작환경이 제공되지 못함으로 인해 안무창작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대중화가 어려운 한계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안무창작 환경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자신만의 안무를 만들 수 있는 창작환경을 제공하는 동시에, 예를 들면, 메타버스(metaverse)와 같은 가상현실 개념을 도입하여, 각각의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자신만의 아바타를 생성하고, 온라인 공간에 구비된 공연장이나 커뮤니티 등에서 자신의 아바타를 통해 자신이 작성한 안무를 공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됨으로써,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자신만의 안무를 창작할 수 있는 데 더하여, 각각의 사용자들이 가상환경을 통해 자신만의 개성을 표현하고 서로 소통하며 즐거움을 함께 나눌 수 있는 디지털 융복합 엔터테인먼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의 상세한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설계상의 필요 및 기타 다양한 요인에 따라 여러 가지 수정, 변경, 결합 및 대체 등이 가능한 것임은 당연한 일이라 하겠다.
10.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시스템
11. 사용자 단말기 12. 서비스 서버
21. 데이터베이스부 22. 안무창작 서비스 제공부
23. 가상환경 서비스 제공부 24. 통신부
25. 제어부 31. 기본동작 처리부
32. 연결동작 처리부 33. 안무생성 처리부

Claims (15)

  1.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의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요청하고 제공받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 및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통해 연결되어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의 요청을 수신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미리 저장된 댄스 동작이나 자세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각각의 동작이나 자세를 연결하여 안무를 생성하는 안무창작 서비스와, 각각의 사용자들이 가상현실 환경에서 자신이 작성한 안무를 공연하고 서로 소통할 수 있는 가상환경 서비스를 포함하는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PC나 노트북을 포함하는 정보처리장치나, 또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를 포함하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장치에 상기 서비스 서버와 연동되는 전용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 AR),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혼합현실(Mixed Reality ; MR), 또는, 확장현실(eXpended Reality ; XR)이 구현 가능한 기기에 상기 서비스 서버와 연동되는 전용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각종 댄스 동작이나 자세에 대한 영상이나 이미지 및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를 수집하고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하여 이루어지는 데이터베이스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댄스 동작이나 자세를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해당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각각의 동작이나 자세를 연결하여 안무를 생성하며, 생성된 안무를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저장하고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표시되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안무창작 서비스 제공부;
    가상현실 환경에서 각각의 사용자들이 자신이 작성한 안무를 공연하고 서로 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가상환경 서비스 제공부;
    유선 또는 무선통신 중 적어도 한 가지 방식으로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행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통신부; 및
    상기 시스템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전문가에 의해 수행된 각종 댄스 동작 및 자세에 대한 영상이나 이미지를 미리 정해진 설정에 따라 각각의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구축된 안무 라이브러리 및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와 해당 사용자의 아바타 정보 및 해당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안무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각각의 사용자들의 서비스 이용내역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전반에 대한 빅데이터를 구축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안무창작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미리 정해진 카테고리별로 각각 저장된 댄스 동작이나 자세를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이나 자세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전체적인 안무의 기본동작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기본동작 처리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각각의 기본동작들이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각각의 댄스 동작이나 자세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미리 정해진 카테고리별로 각각 저장된 연결동작을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원하는 연결동작을 선택하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연결동작 처리부;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각각의 기본동작과 연결동작을 서로 연결하여 단일의 안무를 생성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안무생성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안무창작 서비스 제공부는,
    각각의 기본동작 및 연결동작에 대한 세부설정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시스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동작 처리부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본동작의 종류에 따라 미리 설정된 연결동작들을 사용자에게 제시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연결동작을 삽입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딥러닝(Deep Learning)을 포함하는 인공지능(AI)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각종 안무에 대하여 미리 학습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통해 기본동작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연결동작을 선택하여 삽입하는 처리가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시스템.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환경 서비스 제공부는,
    메타버스(metaverse)를 포함하는 미리 구축된 가상현실 환경을 통하여, 각각의 사용자들이 자신의 아바타 및 가상공간을 통해 자신이 작성한 안무를 공연할 수 있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공연장 서비스와,
    각각의 사용자가 자신의 아바타 및 가상공간을 원하는 대로 꾸밀 수 있도록 각종 의상이나 액세서리, 소품 및 배경음악(BGM)을 포함하는 커스터마이징 아이템을 제공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커스터마이징 서비스 및
    다수의 사용자들이 온라인상에서 서로 소통할 수 있도록 실시간 채팅 및 커뮤니티 서비스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각각 제공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환경 서비스 제공부는,
    블록체인(block chain) 또는 대체불가능토큰(Non-fungible token ; NFT)을 이용하여 각각의 사용자별로 생성된 아바타 및 가상공간과 안무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미리 정해진 설정에 따라 각각의 서비스에 대한 과금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과금처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시스템.
  12. 청구항 1항 내지 청구항 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시스템을 이용한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회원가입 및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로그인 단계;
    로그인한 사용자가 안무작성 서비스 메뉴를 선택하면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해당 사용자에게 댄스별로 미리 분류된 안무 카테고리를 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안무별 기본동작을 제시하여 원하는 기본동작을 선택하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기본동작 선택단계;
    상기 기본동작 선택단계에서 선택된 기본동작에 따라 미리 설정된 연결동작을 사용자에게 제시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본동작 사이에 삽입되는 연결동작을 선택하도록 하는 처리가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연결동작 선택단계;
    사용자가 선택을 완료할 때까지 상기 기본동작 선택단계와 상기 연결동작 선택단계의 처리를 반복하고 선택된 각각의 동작들을 연결하여 단일의 안무를 생성하는 처리가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안무생성단계; 및
    상기 안무생성단계를 통해 작성된 안무를 가상현실 환경을 통해 공연하고 다수의 사용자들과 서로 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처리가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가상환경 서비스 제공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동작 선택단계는,
    각종 안무에 대하여 미리 학습된 딥러닝 기반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본동작들 사이에 적절한 연결동작을 선택하고 삽입하는 처리가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환경 서비스 제공단계는,
    상기 로그인 단계에서 로그인한 사용자가 가상환경 서비스 메뉴를 선택하면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로그인한 사용자의 아바타 정보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아바타 정보가 없을 경우는 자신의 아바타 및 가상공간을 각각 생성하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아바타 생성단계;
    상기 아바타 생성단계에서 아바타가 이미 존재하거나 아바타 작성이 완료되면, 상기 기본동작 선택단계와 상기 연결동작 선택단계 및 상기 안무생성단계를 통해 작성된 안무를 해당 사용자의 아바타 및 가상공간을 통해 공연하거나, 또는, 가상현실 환경에 구축된 별도의 공연장에서 다수의 사용자들이 모여서 함께 안무를 공연하고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안무공연 서비스 제공단계;
    다수의 사용자들이 함께 안무를 공연하고 감상하는 동시에 문자나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소통할 수 있도록, 실시간 채팅기능 및 SNS를 포함하는 커뮤니티 기능을 제공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각각의 사용자가 상기 아바타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자신의 아바타 및 가상공간을 원하는 대로 꾸밀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각종 복장이나 액세서리, 소품 및 배경음악(BGM)을 포함하는 커스터마이징 아이템을 제공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커스터마이징 단계;
    블록체인(block chain) 또는 대체불가능토큰(Non-fungible token ; NFT)을 이용하여, 각각의 사용자별로 생성된 아바타 및 가상공간과 안무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암호화 처리단계; 및
    미리 정해진 설정에 따라 각각의 서비스에 대한 과금처리가 수행되는 과금처리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
KR1020220045740A 2022-04-13 2022-04-13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202301468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5740A KR20230146829A (ko) 2022-04-13 2022-04-13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5740A KR20230146829A (ko) 2022-04-13 2022-04-13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6829A true KR20230146829A (ko) 2023-10-20

Family

ID=88514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5740A KR20230146829A (ko) 2022-04-13 2022-04-13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682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9195B1 (ko) 2014-10-16 2017-04-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질의동작기반 안무 검색 시스템 및 방법
KR102013577B1 (ko) 2015-09-14 2019-08-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안무 구상 지원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9195B1 (ko) 2014-10-16 2017-04-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질의동작기반 안무 검색 시스템 및 방법
KR102013577B1 (ko) 2015-09-14 2019-08-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안무 구상 지원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35242B2 (en) Cloud-based game slice generation and frictionless social sharing with instant play
CN103902808B (zh) 用于生成和共享云供应游戏的视频剪辑的系统和方法
JP6542503B2 (ja) タグコンテンツおよび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クコンテンツに基くクラウドで実行されたミニゲームをランク付け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3248292A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表示方法
JP6714757B1 (ja) サーバ及び情報システム
CN116261857A (zh) 一种显示设备及应用程序界面显示方法
CN111741370A (zh) 一种多媒体互动的方法、相关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210146827A (ko) 게임 통신 트랜스크립트에서 텍스트 태그의 생성
JP5740351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表示方法
JP2013250895A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表示方法
JP2013250898A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表示方法
JP2013250899A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コンテンツ推薦方法
JP4143689B2 (ja) サーバシステムの演算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
KR20230146829A (ko) 안무창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Davies et al. Evolving atomic aesthetics and dynamics
KR20240005086A (ko) 적합한 콘텐츠의 자동 프리젠테이션
JP7078478B2 (ja) 連動設定方法、連動用サーバ、ゲームサーバ、マネージメントサーバ及びゲームシステム
Champlin Making games watchable: Broadcasting video games and playing attention
KR20200127658A (ko) 방송 효과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10024377A (ko) 3차원 아바타를 이용한 노래방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JP6995300B1 (ja) 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
KR102227998B1 (ko) 가상현실 노래방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vr 노래방 제공 방법
KR20100096605A (ko) 아바타의 모션 편집이 가능한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17032458A (zh) 虚拟管家的交互方法、存储介质和电子设备
Punt Human-computer interaction in an integrated environment combining digital TV, mobile devices and intern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