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6073A -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6073A
KR20230146073A KR1020237031457A KR20237031457A KR20230146073A KR 20230146073 A KR20230146073 A KR 20230146073A KR 1020237031457 A KR1020237031457 A KR 1020237031457A KR 20237031457 A KR20237031457 A KR 20237031457A KR 20230146073 A KR20230146073 A KR 20230146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gas
liquefied gas
boil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1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스케 모리모토
가즈시 구와하타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조우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850954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230146073(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조우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조우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46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607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8Apparatu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marine vessels, for handling power plant or unit liquids, e.g. lubricants, coolants, fuel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27Tanks for fuel or the like ; Accessories therefor, e.g. tank filler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12Heating;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3/02Driving of auxiliaries from propulsion power pl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2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gaseous fu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03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gaseous fuel
    • F02M21/0209Hydrocarbon fuels, e.g. methane or acetyle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9/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9/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change of state, e.g. vapor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2Mixing fluids
    • F17C2265/022Mixing fluids identical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3Treating the boil-off
    • F17C2265/031Treating the boil-off by dischar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6Fluid distrib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30Use of alternative fuels, e.g. biofu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50Measur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related to the propulsion system
    • Y02T70/5218Less carbon-intensive fuels, e.g. natural gas, biofu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Abstract

선박은, 액화 가스 탱크의 액화 가스를 주기에 도입하는 제1 라인과, 제1 라인에 구비되어 액화 가스를 압송하는 상류 측 펌프와, 제1 라인에 있어서의 상류 측 펌프보다 하류 측에 구비되고, 액화 가스를 상류 측 펌프보다 높은 압력으로 압송하는 하류 측 펌프와, 액화 가스 탱크 내의 보일 오프 가스를 보기에 도입하는 제2 라인과, 제2 라인에 구비되며, 보일 오프 가스를 상류 측 펌프의 토출 측보다 높고, 또한 하류 측 펌프의 토출 측보다 낮은 압력으로 압송하는 압축기와, 제1 라인에 있어서의 상류 측 펌프와 하류 측 펌프의 중간부와 제2 라인에 있어서의 압축기보다 하류 측의 부분을 접속하며, 제2 라인의 보일 오프 가스를 제1 라인의 액화 가스에 혼합 가능한 혼합 라인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선박
본 개시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21년 3월 31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21-060225호에 대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액화 가스를 운반하는 선박 등에서는, 가스 탱크에 수용된 액화 가스가 외부로부터의 자연 입열(入熱) 등에 의하여 기화하여, 이른바 보일 오프 가스가 생성된다. 보일 오프 가스가 생성되면, 탱크 내의 압력이 상승한다. 탱크 내의 압력의 과도한 상승을 억제하기 위하여 보일 오프 가스를 처리하는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고압 압축 라인과, 저압 압축 라인을 구비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증발 가스 처리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고압 압축 라인은, LNG 저장 탱크에서 발생하는 보일 오프 가스(증발 가스)를 고압 압축기로 압축한다. 저압 압축 라인은, LNG 저장 탱크에서 발생하는 보일 오프 가스를 저압 압축기로 압축한다. 또한, 고압 압축 라인과 저압 압축 라인에서 압축된 보일 오프 가스는,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가스 엔진, GCU(GAS Combustion Unit), 보일러를 포함하는 가스 소비처에 공급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보 제6366727호
그러나, 특허문헌 1에 있어서, 예를 들면 선박의 주기(主機)로서 이용되는 가스 엔진에 보일 오프 가스를 공급하는 경우, 주기에서 소비되는 보일 오프 가스의 양은, 주기의 회전수, 즉 선박의 항행 속도에 따라 상이하다. 또, 보일 오프 가스를, 선박의 발전기에 공급하는 경우, 보기(補機)에서 소비되는 보일 오프 가스의 양은, 주기에서 소비되는 보일 오프 가스의 양에 비교하면 적다. 그 때문에, LNG 저장 탱크에서 발생하는 보일 오프 가스의 양과, 주기나 보기에서 소비되는 보일 오프 가스의 양의 밸런스가 맞춰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 보일 오프 가스를 GCU에서 연소시키는 경우, 보일 오프 가스의 연소 에너지를 유효 이용하지 않고 버리게 된다.
또한, 보일 오프 가스를 재액화시키는 수법도 있지만, 이 경우, 재액화 장치가 필요하게 되어, 설비 비용의 상승으로 이어진다.
본 개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보일 오프 가스의 처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선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개시에 관한 선박은, 선체와, 액화 가스 탱크와, 제1 라인과, 상류 측 펌프와, 하류 측 펌프와, 제2 라인과, 압축기와, 혼합 라인을 구비한다. 상기 액화 가스 탱크는, 상기 선체에 구비된다. 상기 액화 가스 탱크는, 액화 가스를 저류한다. 상기 제1 라인은, 상기 액화 가스 탱크의 상기 액화 가스를 주기에 도입한다. 상기 상류 측 펌프는, 상기 제1 라인에 구비된다. 상기 상류 측 펌프는, 상기 액화 가스를 압송한다. 상기 하류 측 펌프는, 상기 제1 라인에 있어서의 상기 상류 측 펌프보다 하류 측에 구비된다. 상기 하류 측 펌프는, 상기 액화 가스를 상기 상류 측 펌프보다 높은 압력으로 압송한다. 상기 제2 라인은, 상기 액화 가스 탱크 내에서 상기 액화 가스가 증발함으로써 생성된 보일 오프 가스를 보기에 도입한다. 상기 압축기는, 상기 제2 라인에 구비된다. 상기 압축기는, 상기 보일 오프 가스를 상기 상류 측 펌프의 토출 측보다 높고, 또한 상기 하류 측 펌프의 토출 측보다 낮은 압력으로 압송한다. 상기 혼합 라인은, 상기 제1 라인에 있어서의 상기 상류 측 펌프와 상기 하류 측 펌프의 중간부와 상기 제2 라인에 있어서의 상기 압축기보다 하류 측의 부분을 접속한다. 상기 혼합 라인은, 상기 제2 라인의 상기 보일 오프 가스를 상기 제1 라인의 상기 액화 가스에 혼합 가능하다.
본 개시의 선박에 의하면, 보일 오프 가스의 처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에 구비된 연료 공급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에 구비된 연료 공급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선박의 전체 구성)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의 측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의 선박(1)은, 선체(2)와, 액화 가스 탱크(10)와, 주기(21)와, 보기(22)와, 연료 공급 시스템(30A)을 주로 구비하고 있다. 선박(1)의 선종(船種)은, 특정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박(1)의 선종은, 예를 들면, 액화 천연 가스(LNG), 이산화탄소, 암모니아 등의 액화 가스의 운반선, 페리, RORO선(Roll-on/Roll-off선), PCTC(Pure Car&Truck Carrier)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선체(2)는, 그 외각(外殼)을 이루는, 한 쌍의 현측(舷側)(3A, 3B)과, 선저(船底)(4)를 갖고 있다. 현측(3A, 3B)은, 좌우 현측을 각각 형성하는 한 쌍의 현측 외판을 구비한다. 선저(4)는, 이들 현측(3A, 3B)을 접속하는 선저 외판을 구비한다. 이들 한 쌍의 현측(3A, 3B) 및 선저(4)에 의하여, 선체(2)의 외각은, 선수미(船首尾) 방향(FA)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U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선체(2)는, 가장 상층에 배치되는 전통(全通) 갑판인 상갑판(5)을 더 구비하고 있다. 이 상갑판(5) 상에는, 상부 구조(7)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구조(7) 내에는, 거주구(居住區) 등이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선박(1)에서는, 예를 들면, 상부 구조(7)보다 선수미 방향(FA)의 선수(船首) 측에, 화물을 탑재하는 카고 스페이스(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 있다.
(주기, 보기의 구성)
주기(21), 및 보기(22)는, 선체(2) 내에 마련되어 있다. 주기(21), 및 보기(22)는, 액화 가스를 연료로 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주기(21), 및 보기(22)가 LNG를 연료로 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주기(21)는, 선박(1)을 항행시키는 추진력을 발휘한다. 주기(21)는, 예를 들면, 선체(2)의 선미(船尾)(2b)의 외부에 마련된 스크류(9)를 회전 구동시킨다. 주기(21)로서는, 증기 터빈용 보일러, 가스 터빈, 레시프로케이팅 엔진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보기(22)는, 선박(1) 내에서 사용되는 동력을 발생시킨다. 본 실시형태의 선박(1)은, 보기(22)로서, 발전기(도시하지 않음)를 구동시키기 위한 발전기용 엔진을 구비하고 있다. 보기(22)로서는, 예를 들면 가스 터빈이나 레시프로케이팅 엔진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보기(22)에서 발생한 회전 에너지는, 발전기에서 전기 에너지로 변환되어, 선체(2) 내 각부에 공급된다.
(액화 가스 탱크의 구성)
액화 가스 탱크(10)는, 주기(21)나 보기(22)의 연료가 되는 LNG를 저류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액화 가스 탱크(10)는, 상갑판(5) 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액화 가스 탱크(10)의 배치는, 상갑판(5) 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액화 가스 탱크(10)는, 예를 들면, 선체(2) 내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연료 공급 시스템의 구성)
연료 공급 시스템(30A)은, 주기(21), 및 보기(22)에 대하여, 연료가 되는 LNG를 공급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료 공급 시스템(30A)은, 제1 라인(31)과, 제2 라인(32)과, 혼합 라인(33A)과, 폐기 라인(34)을 구비하고 있다.
제1 라인(31)은, 액화 가스 탱크(10)와 주기(21)를 접속하고 있다. 제1 라인(31)은, 액화 가스 탱크(10) 내에 저류된 액화 가스(LG)를 주기(21)로 유도하는 유로를 형성하고 있다. 이 제1 라인(31)에는, 상류 측 펌프(41)와, 하류 측 펌프(42)와, 증발기(46)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상류 측 펌프(41)는, 액화 가스 탱크(10) 내에 저류된 액화 가스(LG)를, 주기(21)를 향하여 압송한다. 상류 측 펌프(41)는, 액화 가스 탱크(10) 내의 제1 라인(31)에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상류 측 펌프(41)는, 액화 가스 탱크(10) 내의 하부에 배치됨과 함께, 제1 라인(31)에 있어서의 액화 가스(LG)가 흐르는 방향에 있어서, 제1 라인(31)의 상류 측의 단부(端部)에 마련되어 있다.
하류 측 펌프(42)는, 제1 라인(31)에 있어서의 액화 가스(LG)의 흐름 방향에 있어서, 상류 측 펌프(41)보다 하류 측에 배치되어 있다. 하류 측 펌프(42)는, 액화 가스(LG)를 상류 측 펌프(41)보다 높은 압력으로, 주기(21)를 향하여 압송한다.
증발기(46)는, 제1 라인(31)에 있어서 하류 측 펌프(42)보다, 제1 라인(31)에 있어서의 액화 가스(LG)의 흐름 방향의 하류 측에 배치되어 있다. 증발기(46)는, 하류 측 펌프(42)에 의하여 압송되어 온 액화 가스(LG)를 기화시킨다. 이 증발기(46)에 의하여 기화된 액화 가스(LG)가, 주기(21)에 도입된다.
제1 라인(31)은, 오프셋 벤트(48)를 더 구비하고 있다. 오프셋 벤트(48)는, 하류 측 펌프(42)보다, 제1 라인(31)에 있어서의 액화 가스(LG)의 흐름 방향의 상류 측에 마련되어 있다. 오프셋 벤트(48)는, 적어도 내부 유체에 의한 열수축 및 선수미 방향(FA)에 있어서의 선체(2)의 신축 변형에 따라, 선수미 방향(FA)으로 탄성 변형 가능해진다. 즉, 오프셋 벤트(48)는, 이와 같이 탄성 변형함으로써 내부 유체에 의한 열수축 및 선수미 방향(FA)의 선체(2)의 신축 변형분을 흡수하고 있다.
오프셋 벤트(48)는,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48k)를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오프셋 벤트(48)는, 복수의 굴곡부(48k)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 복수의 굴곡부(48k)에 의하여 사각형 파상(波狀)을 이루고 있다. 이들 복수의 굴곡부(48k)를 마련함으로써, 오프셋 벤트(48) 내를 흐르는 액화 가스(LG)가 사행(蛇行)하게 된다. 그리고,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오프셋 벤트(48)는, 굴곡부(48k)를 구비함으로써, 선체(2)의 선수미 방향(FA)의 신축 변형에 따라, 용이하게 선수미 방향(FA)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오프셋 벤트(48)는, 혼합 라인(33A)과 제1 라인(31)의 합류부(31j)보다, 제1 라인(31)에 있어서의 액화 가스(LG)의 흐름 방향의 하류 측에 구비되어 있다.
제2 라인(32)은, 액화 가스 탱크(10) 내의 기상과, 보기(22)를 접속한다. 액화 가스 탱크(10) 내에서는, 외부로부터의 자연 입열에 의하여, 액 상태의 액화 가스(LG)가 증발하여, 보일 오프 가스(BOG)가 발생한다. 제2 라인(32)은, 액화 가스 탱크(10) 내에서 발생한 보일 오프 가스(BOG)를, 보기(22)에 도입한다.
제2 라인(32)에는, 압축기(44)와, 제1 열교환기(45)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압축기(44)는, 액화 가스 탱크(10)에서 발생한 보일 오프 가스(BOG)를 압축하여 송출한다. 압축기(44)에 의하여 압축된 보일 오프 가스(BOG)의 압력은, 제1 라인(31)에 마련된 상류 측 펌프(41)의 토출 측의 압력보다 높고, 또한 하류 측 펌프(42)의 토출 측의 압력보다 낮다.
제1 열교환기(45)는, 제2 라인(32)에 있어서의 보일 오프 가스(BOG)가 흐르는 방향에 있어서, 압축기(44)보다 하류 측의 제2 라인(32)에 마련되어 있다. 제1 열교환기(45)는, 냉매인 선체(2)의 외부로부터 도입된 해수 등의 물과, 압축기(44)에 의하여 압축된 보일 오프 가스(BOG)를 열교환한다.
혼합 라인(33A)은, 제1 라인(31)에 있어서의 상류 측 펌프(41)와 하류 측 펌프(42)의 중간부의 합류부(31j)와, 제2 라인(32)에 있어서의 압축기(44), 및 제1 열교환기(45)보다 하류 측의 부분(32s)을 접속하고 있다. 혼합 라인(33A)은, 제2 라인(32)에 있어서 압축기(44) 및 제1 열교환기(45)를 거친 보일 오프 가스(BOG)의 일부를, 합류부(31j)로부터 제1 라인(31)의 액화 가스(LG)에 합류시킨다. 이와 같이 제1 라인(31)의 액화 가스(LG)에 보일 오프 가스(BOG)의 일부를 합류시킴으로써, 보일 오프 가스(BOG)의 일부가 제1 라인(31)의 액화 가스(LG)에 혼합된다.
폐기 라인(34)은, 제2 라인(32)에 있어서의 압축기(44) 및 제1 열교환기(45)보다 하류 측의 부분(32s)으로부터 분기되어 GCU(23)에 이르고 있다. 폐기 라인(34)은, 제2 라인(32)에 있어서 압축기(44) 및 제1 열교환기(45)를 거친 보일 오프 가스(BOG)의 일부를, GCU(23)에 도입하는 유로를 형성하고 있다. GCU(23)에 도입된 보일 오프 가스(BOG)는, GCU(23)에 의하여 연소됨으로써 처분된다.
이와 같은 연료 공급 시스템(30A)에서는, 액화 가스 탱크(10)에 저류된 액화 가스(LG)가, 제1 라인(31)을 통하여 주기(21)에 도입된다. 여기에서, 액화 가스(LG)가, LNG인 경우, 액화 가스 탱크(10) 내에는, 예를 들면, -163℃정도의 액화 가스(LG)가 저류되어 있다. 제1 라인(31)에 있어서, 액화 가스(LG)는, 상류 측 펌프(41)에서 승압되고, 예를 들면 압력 0.5MPaG, -150℃정도가 된다. 이 승압된 액화 가스(LG)는, 하류 측 펌프(42)에서, 더 높은 압력으로 승압되며, 예를 들면 30MPaG, -120℃정도가 된다. 그리고, 하류 측 펌프(42)에서 승압된 액화 가스(LG)는, 증발기(46)에서 기화되고, 주기(21)에 도입된다. 주기(21)에 도입된 액화 가스(LG)는, 주기(21)에서 연소됨으로써 소비된다.
또, 액화 가스 탱크(10) 내에 있어서의 액화 가스(LG)의 증발에 의하여 발생된 보일 오프 가스(BOG)는, 예를 들면, 0.05MPaG 정도의 압력이 된다. 보일 오프 가스(BOG)는, 액화 가스 탱크(10)의 기상으로부터 제2 라인(32)을 통하여 압축기(44)에 도입된다. 그리고, 보일 오프 가스(BOG)는, 압축기(44)로 압축되며, 예를 들면, 0.6MPaG, 100℃정도가 된다. 압축기(44)를 거친 보일 오프 가스(BOG)는, 제1 열교환기(45)에서 해수 등의 물과 열교환됨으로써, 상온 정도, 예를 들면, 0.6MPaG, 30℃정도가 된다. 이 제1 열교환기(45)를 거친 보일 오프 가스(BOG)는, 보기(22)에 도입된다. 보기(22)에 도입된 보일 오프 가스(BOG)는, 보기(22)에서 연소됨으로써 소비된다.
보기(22)에 있어서의 보일 오프 가스(BOG)의 소비량을 상회하는 보일 오프 가스(BOG)는, 혼합 라인(33A)을 통하여, 제1 라인(31)에 있어서의 상류 측 펌프(41)와 하류 측 펌프(42)의 중간부의 합류부(31j)로부터, 제1 라인(31)에 합류되고, 액화 가스(LG)에 혼합된다. 이때, 제2 라인(32)으로부터 혼합 라인(33A)으로 유입되는 보일 오프 가스(BOG)는, 압축기(44)로 압축됨으로써, 상류 측 펌프(41)의 토출 측보다 높고, 또한 하류 측 펌프(42)의 토출 측보다 낮은 압력(예를 들면 0.6MPaG)이 된다. 보일 오프 가스(BOG)가 혼합 라인(33A)으로부터 제1 라인(31)으로 유입되는 부분(바꾸어 말하면, 합류부(31j) 근방)에 있어서, 제1 라인(31)의 액화 가스(LG)는, 상류 측 펌프(41)의 토출 측의 압력(예를 들면 0.5MPaG)이다. 즉, 혼합 라인(33A)으로부터 유입되는 보일 오프 가스(BOG)의 압력이, 제1 라인(31)의 액화 가스(LG)의 압력보다 높다. 그 때문에, 이들 압력차에 의하여, 혼합 라인(33A)의 보일 오프 가스(BOG)는, 제1 라인(31)의 액화 가스(LG) 내에 원활히 합류한다. 또, 액화 가스(LG)는 상류 측 펌프(41)에서 가압됨으로써 예를 들면 -150℃정도까지 승온하지만, 가압 후(예를 들면 0.5MPaG)에 있어서의 포화 온도(예를 들면 -134℃정도)보다 낮은 온도이기 때문에, 혼합 라인(33A)으로부터 유입되는 보일 오프 가스(BOG)는 냉각되어 응축된다. 이와 같이 하여 액화 가스(LG)에 혼합된 보일 오프 가스(BOG)는, 액화 가스(LG)와 함께 주기(21)에 도입되어 연소된다.
또, 보기(22), 및 주기(21)에 있어서의 보일 오프 가스(BOG)의 소비량을 상회하는 보일 오프 가스(BOG)가 제2 라인(32)을 흐르고 있는 경우, 잉여분의 보일 오프 가스(BOG)는, 폐기 라인(34)을 통하여 GCU(23)에 도입된다. GCU(23)에서는, 잉여분의 보일 오프 가스(BOG)가 상술한 바와 같이 처분된다.
(작용 효과)
상기 실시형태의 선박(1)에서는, 선체(2)와, 선체(2)에 구비되고, 액화 가스(LG)를 저류하는 액화 가스 탱크(10)와, 액화 가스 탱크(10)의 액화 가스(LG)를 주기(21)에 도입하는 제1 라인(31)과, 제1 라인(31)에 구비되어 액화 가스(LG)를 압송하는 상류 측 펌프(4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선박(1)에서는, 제1 라인(31)에 있어서의 상류 측 펌프(41)보다 하류 측에 구비되고, 액화 가스(LG)를 상류 측 펌프(41)보다 높은 압력으로 압송하는 하류 측 펌프(42)와, 액화 가스 탱크(10) 내에서 액화 가스(LG)가 증발함으로써 생성된 보일 오프 가스(BOG)를 보기(22)에 도입하는 제2 라인(32)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선박(1)에서는, 제2 라인(32)에 구비되고, 보일 오프 가스(BOG)를 상류 측 펌프(41)의 토출 측보다 높으며, 또한 하류 측 펌프(42)의 토출 측보다 낮은 압력으로 압송하는 압축기(44)와, 제1 라인(31)에 있어서의 상류 측 펌프(41)와 하류 측 펌프(42)의 중간부와 제2 라인(32)에 있어서의 압축기(44)보다 하류 측의 부분을 접속하고, 제2 라인(32)의 보일 오프 가스(BOG)를 제1 라인(31)의 액화 가스(LG)에 혼합 가능한 혼합 라인(33A)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선박(1)에 의하면, 보기(22)에서 미처 소비되지 못한 잉여의 보일 오프 가스(BOG)를, 주기(21)에서 연소시킴으로써, GCU(23)에서 연소시키는 보일 오프 가스(BOG)의 양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보일 오프 가스(BOG)의 처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실시형태의 선박(1)에서는, 제2 라인(32)에 있어서의 압축기(44)보다 하류 측에 배치되고, 선체(2)의 외부의 해수 등의 물과의 열교환을 행하는 제1 열교환기(45)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제2 라인(32)으로부터 혼합 라인(33A)을 거쳐 제1 라인(31)으로 유입되는 보일 오프 가스(BOG)의 온도가, 제1 열교환기(45)에 있어서의 해수 등의 물과의 열교환에 의하여, 예를 들면, 상온 정도가 된다. 그 때문에, 보일 오프 가스(BOG)와 혼합된 후의 제1 라인(31)의 액화 가스(LG)의 온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하류 측 펌프(42)를 거친 후, 주기(21)에서 연소시키기 위하여 액화 가스(LG)를 증발기(46)에서 기화시킬 때에 필요한 에너지량이 적어도 된다. 이 점에 있어서도, 보일 오프 가스(BOG)의 처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실시형태의 선박(1)에서는, 제1 라인(31)이, 제1 라인(31)과 혼합 라인(33A, 33B)의 합류부(31j)보다 하류 측에,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48k)를 더 갖고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혼합 라인(33A)으로부터 보일 오프 가스(BOG)가 유입된 제1 라인(31)의 액화 가스(LG)의 흐름이, 굴곡부(48k)를 통과함으로써 사행하여 교반된다. 따라서, 보일 오프 가스(BOG)와 액화 가스(LG)의 혼합을 촉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실시형태의 선박(1)에서는, 제1 라인(31)은, 제1 라인(31)과 혼합 라인(33A, 33B)의 합류부(31j)보다 하류 측에, 내부 유체에 의한 열수축 및 선체(2)의 선수미 방향(FA)의 신축 변형을 흡수하는 오프셋 벤트(48)가 더 구비되고, 굴곡부(48k)가, 오프셋 벤트(48)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내부 유체에 의한 열수축 및 선체(2)의 선수미 방향(FA)의 신축 변형을 흡수하기 위하여 제1 라인(31)에 마련된 오프셋 벤트(48)의 굴곡부(48k)를, 보일 오프 가스(BOG)와 액화 가스(LG)의 혼합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유효 이용할 수 있다. 그 결과, 보일 오프 가스(BOG)와 액화 가스(LG)의 혼합을 촉진시키기 위한 교반기나 추가의 굴곡부(48k)를 별도 마련할 필요가 없고, 비용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개시에 관한 선박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실시형태와 제2 열교환기의 구성만이 상이하므로, 제1 실시형태와 동일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함과 함께,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형태의 선박(1)에 있어서의 연료 공급 시스템(30B)은, 상기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연료 공급 시스템(30A)의 구성에 더하여, 제2 열교환기(49)를 구비하고 있다. 제2 열교환기(49)는, 혼합 라인(33B)을 흐르는 보일 오프 가스(BOG)와, 제1 라인(31)에 있어서의 하류 측 펌프(42)보다 하류 측을 흐르는 액화 가스(LG), 즉 보일 오프 가스(BOG)와 혼합된 후의 액화 가스(LG)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한다.
하류 측 펌프(42)를 거친 제1 라인(31) 내의 액화 가스(LG)는, 온도가, 예를 들면 -110℃정도로 되어 있다. 제2 열교환기(49)에서, 이 액화 가스(LG)와 열교환을 행함으로써, 혼합 라인(33B) 내의 보일 오프 가스(BOG)는, 예를 들면 30℃로부터 -50℃정도로 온도가 저하된다. 이로써, 제1 라인(31)에 있어서의 하류 측 펌프(42)보다 하류 측을 흐르는 액화 가스(LG)를 승온시킬 수 있다. 또, 합류부(31j)에서 혼합 라인(33B)으로부터 제1 라인(31)에 도입되는 보일 오프 가스(BOG)의 온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제1 라인(31)의 액화 가스(LG)로 응축되는 보일 오프 가스(BOG)의 질량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실시형태의 선박(1)에 의하면, 혼합 라인(33B)과, 제1 라인(31)에 있어서의 하류 측 펌프(42)보다 하류 측의 부분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하는 제2 열교환기(49)를 구비하고 있음으로써,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보일 오프 가스(BOG)의 처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외의 실시형태)
이상,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의 설계 변경 등도 포함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보기(22)로서, 발전기용 엔진을 예시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보기(22)로서, 발전기용 엔진 이외의 용도의 것을 채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열교환기(45), 오프셋 벤트(48)를 구비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제1 열교환기(45)나 오프셋 벤트(48)는, 필요에 따라 마련하면 되고, 생략해도 된다. 또, 오프셋 벤트(48)가 사각형 파상으로 굴곡된 굴곡부(48k)를 구비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굴곡부(48k)는 혼합이 촉진되는 형상이면 되고, 사각형 파상으로 굴곡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다. 굴곡부(48k)는, 예를 들면, 톱니 형상으로 굴곡시키거나, 나선 형상으로 만곡시키거나 해도 된다.
또, 주기(21)나 보기(22)의 설치 대수, 설치 위치는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형태로 나타낸, 연료 공급 시스템(30A, 30B)의 각부에 있어서의 액화 가스(LG)나 보일 오프 가스(BOG)의 압력이나 온도의 수치는 일례에 지나지 않는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주기(21)나 보기(22)에서 연소시키는 액화 가스로서, LNG를 예로 들었지만, 주기(21)나 보기(22)에서 연소시킬 수 있으면, LNG 이외의 액화 가스여도 된다. 액화 가스의 종류에 따라서는, 증발기(46)를 구비하지 않는 기기 구성도 있을 수 있다.
또, 제1 열교환기(45)에 있어서의 열교환의 냉매로서는 해수의 예를 들었지만, 선내에서 사용 가능한 예를 들면 청수(水)나 글라이콜수를 이용해도 된다.
<부기(付記)>
각 실시형태에 기재된 선박(1)은,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파악된다.
(1) 제1 양태에 관한 선박(1)은, 선체(2)와, 상기 선체(2)에 구비되고, 액화 가스(LG)를 저류하는 액화 가스 탱크(10)와, 상기 액화 가스 탱크(10)의 상기 액화 가스(LG)를 주기(21)에 도입하는 제1 라인(31)과, 상기 제1 라인(31)에 구비되어 상기 액화 가스(LG)를 압송하는 상류 측 펌프(41)와, 상기 제1 라인(31)에 있어서의 상기 상류 측 펌프(41)보다 하류 측에 구비되며, 상기 액화 가스(LG)를 상기 상류 측 펌프(41)보다 높은 압력으로 압송하는 하류 측 펌프(42)와, 상기 액화 가스 탱크(10) 내에서 상기 액화 가스(LG)가 증발함으로써 생성된 보일 오프 가스(BOG)를 보기(22)에 도입하는 제2 라인(32)과, 상기 제2 라인(32)에 구비되고, 상기 보일 오프 가스(BOG)를 상기 상류 측 펌프(41)의 토출 측보다 높으며, 또한 상기 하류 측 펌프(42)의 토출 측보다 낮은 압력으로 압송하는 압축기(44)와, 상기 제1 라인(31)에 있어서의 상기 상류 측 펌프(41)와 상기 하류 측 펌프(42)의 중간부와 상기 제2 라인(32)에 있어서의 상기 압축기(44)보다 하류 측의 부분을 접속하고, 상기 제2 라인(32)의 상기 보일 오프 가스(BOG)를 상기 제1 라인(31)의 상기 액화 가스(LG)에 혼합 가능한 혼합 라인(33A, 33B)을 구비한다.
보기로서는, 발전기용 엔진을 들 수 있다.
액화 가스(LG)로서는, LNG를 들 수 있다.
이 선박(1)은, 액화 가스 탱크(10)에 저류된 액화 가스(LG)가, 제1 라인(31)을 통하여 주기(21)에 도입된다. 제1 라인(31)에 있어서, 액화 가스(LG)는, 상류 측 펌프(41)에서 승압된 후, 하류 측 펌프(42)에서, 더 높은 압력으로 승압되어 주기(21)에 도입된다. 주기(21)에 도입된 액화 가스(LG)는, 기화된 후, 주기(21)에서 연소됨으로써 소비된다.
액화 가스 탱크(10) 내에서 액화 가스(LG)가 증발함으로써 생성된 보일 오프 가스(BOG)는, 제2 라인(32)을 통하여 보기(22)에 도입된다. 보기(22)에 도입된 보일 오프 가스(BOG)는, 보기(22)에서 연소됨으로써 소비된다.
보기(22)에 있어서의 보일 오프 가스(BOG)의 소비량을 상회하는 보일 오프 가스(BOG)는, 혼합 라인(33A, 33B)을 통하여, 제1 라인(31)에 있어서의 상류 측 펌프(41)와 하류 측 펌프(42)의 중간부에서, 제1 라인(31)의 액화 가스(LG)에 혼합된다. 이때, 제2 라인(32)으로부터 혼합 라인(33A, 33B)으로 유입되는 보일 오프 가스(BOG)는, 압축기(44)로 압축됨으로써, 상류 측 펌프(41)의 토출 측보다 높고, 또한 하류 측 펌프(42)의 토출 측보다 낮은 압력으로 되어 있다. 혼합 라인(33A, 33B)으로부터 보일 오프 가스(BOG)가 제1 라인(31)으로 유입되는 부분에 있어서, 제1 라인(31)의 액화 가스(LG)는, 상류 측 펌프(41)의 토출 측의 압력이다. 즉, 혼합 라인(33A, 33B)으로부터 유입되는 보일 오프 가스(BOG)의 압력이, 제1 라인(31)의 액화 가스(LG)의 압력보다 높다. 이 때문에, 제1 라인(31)에 있어서의 상류 측 펌프(41)와 하류 측 펌프(42)의 중간부에서, 혼합 라인(33A, 33B)으로부터 제1 라인(31)으로 유입되는 보일 오프 가스(BOG)가, 제1 라인(31)의 액화 가스(LG)에 혼합된다. 또, 액화 가스(LG)는 상류 측 펌프(41)에서 가압됨으로써 승온되지만, 가압 후에 있어서의 포화 온도보다 낮은 온도이기 때문에, 혼합 라인(33A, 33B)으로부터 유입되는 보일 오프 가스(BOG)는 냉각되어 응축된다. 이와 같이 하여 액화 가스(LG)에 혼합된 보일 오프 가스(BOG)는, 액화 가스(LG)와 함께 주기(21)에 도입되어 연소된다.
이와 같이, 보기(22)에서 미처 소비되지 못한 잉여의 보일 오프 가스(BOG)를, 주기(21)에서 연소시킴으로써, GCU(23)에서 연소시키는 보일 오프 가스(BOG)의 양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보일 오프 가스(BOG)의 처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2) 제2 양태에 관한 선박(1)은, (1)의 선박(1)이며, 상기 제2 라인(32)에 있어서의 상기 압축기(44)보다 하류 측에 배치되고, 냉매와의 열교환을 행하는 제1 열교환기(45)를 더 구비한다.
이로써, 제2 라인(32)으로부터 혼합 라인(33A, 33B)을 거쳐 제1 라인(31)으로 유입되는 보일 오프 가스(BOG)는, 제1 열교환기(45)에 있어서의 냉매와의 열교환에 의하여, 온도가 상온 정도까지 상승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보일 오프 가스(BOG)가 혼합된 후의 제1 라인(31)의 액화 가스(LG)의 온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하류 측 펌프(42)를 거친 후, 주기(21)에서 연소시키기 위하여 액화 가스(LG)를 기화시킬 때에 필요한 에너지량이 적어도 된다. 이 점에 있어서도, 보일 오프 가스(BOG)의 처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3) 제3 양태에 관한 선박(1)은, (1) 또는 (2)의 선박(1)이며, 상기 제1 라인(31)은, 상기 제1 라인(31)과 상기 혼합 라인(33A, 33B)의 합류부(31j)보다 하류 측에,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48k)를 갖는다.
이로써, 혼합 라인(33A, 33B)으로부터 보일 오프 가스(BOG)가 유입된 제1 라인(31)의 액화 가스(LG)의 흐름이, 굴곡부(48k)를 통과함으로써 교반된다. 이로써, 보일 오프 가스(BOG)와 액화 가스(LG)의 혼합이 촉진된다.
(4) 제4 양태에 관한 선박(1)은, (3)의 선박(1)이며, 상기 제1 라인(31)은, 상기 제1 라인(31)과 상기 혼합 라인(33A, 33B)의 합류부(31j)보다 하류 측에, 내부 유체에 의한 열수축 및 상기 선체(2)의 선수미 방향의 신축 변형을 흡수하는 오프셋 벤트(48)가 구비되고, 상기 굴곡부(48k)는, 상기 오프셋 벤트(48)의 일부를 구성한다.
이로써, 보일 오프 가스(BOG)와 액화 가스(LG)의 혼합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내부 유체에 의한 열수축 및 선체(2)의 선수미 방향의 신축 변형을 흡수하기 위하여 제1 라인(31)에 마련된 오프셋 벤트(48)의 굴곡부(48k)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보일 오프 가스(BOG)와 액화 가스(LG)의 혼합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굴곡부(48k)를 별도 마련할 필요가 없고, 비용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5) 제5 양태에 관한 선박(1)은,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선박(1)이며, 상기 혼합 라인(33B)과, 상기 제1 라인(31)에 있어서의 상기 하류 측 펌프(42)보다 하류 측의 부분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하는 제2 열교환기(49)를 더 구비한다.
이로써, 혼합 라인(33B)으로부터 제1 라인(31)으로 이송되는 보일 오프 가스(BOG)의 온도가, 하류 측 펌프(42)보다 하류 측의 부분에서의 제2 열교환기(49)에 의한 열교환에서, 저하된다. 이로써, 보일 오프 가스(BOG)의 체적이 감소하고, 혼합 라인(33B)으로부터 제1 라인(31)의 액화 가스(LG)에 혼합되는 보일 오프 가스(BOG)의 질량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양태에 의하면, 보일 오프 가스의 처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1…선박
2…선체
2b…선미
3A, 3B…현측
4…선저
5…상갑판
7…상부 구조
9…스크류
10…액화 가스 탱크
21…주기
22…보기
30A, 30B…연료 공급 시스템
31…제1 라인
31j…합류부
32…제2 라인
32s…부분
33A…혼합 라인
33B…혼합 라인
34…폐기 라인
41…상류 측 펌프
42…하류 측 펌프
44…압축기
45…제1 열교환기
46…증발기
48…오프셋 벤트
48k…굴곡부
49…제2 열교환기
FA…선수미 방향
BOG…보일 오프 가스
LG…액화 가스

Claims (5)

  1. 선체와,
    상기 선체에 구비되고, 액화 가스를 저류하는 액화 가스 탱크와,
    상기 액화 가스 탱크의 상기 액화 가스를 주기에 도입하는 제1 라인과,
    상기 제1 라인에 구비되어 상기 액화 가스를 압송하는 상류 측 펌프와,
    상기 제1 라인에 있어서의 상기 상류 측 펌프보다 하류 측에 구비되며, 상기 액화 가스를 상기 상류 측 펌프보다 높은 압력으로 압송하는 하류 측 펌프와,
    상기 액화 가스 탱크 내에서 상기 액화 가스가 증발함으로써 생성된 보일 오프 가스를 보기에 도입하는 제2 라인과,
    상기 제2 라인에 구비되고, 상기 보일 오프 가스를 상기 상류 측 펌프의 토출 측보다 높으며, 또한 상기 하류 측 펌프의 토출 측보다 낮은 압력으로 압송하는 압축기와,
    상기 제1 라인에 있어서의 상기 상류 측 펌프와 상기 하류 측 펌프의 중간부와 상기 제2 라인에 있어서의 상기 압축기보다 하류 측의 부분을 접속하고, 상기 제2 라인의 상기 보일 오프 가스를 상기 제1 라인의 상기 액화 가스에 혼합 가능한 혼합 라인을 구비하는 선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라인에 있어서의 상기 압축기보다 하류 측에 배치되고, 냉매와의 열교환을 행하는 제1 열교환기를 더 구비하는 선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라인은, 상기 제1 라인과 상기 혼합 라인의 합류부보다 하류 측에,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를 갖는 선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라인은, 상기 제1 라인과 상기 혼합 라인의 합류부보다 하류 측에, 내부 유체에 의한 열수축 및 상기 선체의 선수미 방향의 신축 변형을 흡수하는 오프셋 벤트가 구비되고,
    상기 굴곡부는, 상기 오프셋 벤트의 일부를 구성하는 선박.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라인과, 상기 제1 라인에 있어서의 상기 하류 측 펌프보다 하류 측의 부분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하는 제2 열교환기를 더 구비하는 선박.
KR1020237031457A 2021-03-31 2022-03-23 선박 KR202301460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60225 2021-03-31
JP2021060225A JP6966661B1 (ja) 2021-03-31 2021-03-31 船舶
PCT/JP2022/013584 WO2022210178A1 (ja) 2021-03-31 2022-03-23 船舶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6073A true KR20230146073A (ko) 2023-10-18

Family

ID=78509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1457A KR20230146073A (ko) 2021-03-31 2022-03-23 선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966661B1 (ko)
KR (1) KR20230146073A (ko)
CN (1) CN117098705A (ko)
WO (1) WO20222101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157592A (ja) * 2022-04-15 2023-10-26 三菱造船株式会社 船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66727U (ko) 1986-10-20 1988-05-06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09000A (ja) * 2012-03-30 2013-10-10 Mitsubishi Heavy Ind Ltd 船舶、液化燃料ガス移送装置および液化燃料ガス移送方法
JP6389404B2 (ja) * 2014-09-12 2018-09-12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ガス供給システム及びそれを備える船舶
KR102324448B1 (ko) * 2015-10-16 2021-11-10 크라이오스타 에스아에스 적어도 하나의 엔진에 공급하기 위한 목적으로 보일오프 가스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18103955A (ja) * 2016-12-28 2018-07-05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船舶
JP2019011735A (ja) * 2017-06-30 2019-01-24 三井E&S造船株式会社 液化ガス燃料供給システム
KR102194608B1 (ko) * 2018-12-04 2020-12-24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증발가스 재액화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66727U (ko) 1986-10-20 1988-05-0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66661B1 (ja) 2021-11-17
WO2022210178A1 (ja) 2022-10-06
JP2022156499A (ja) 2022-10-14
CN117098705A (zh) 2023-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4904B1 (ko) 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JP6609176B2 (ja) 船舶
KR101750592B1 (ko) 선박에 lng 연료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450533B1 (ko) 휘발성 유기화합물 처리 시스템 및 선박
US10823453B2 (en) Marinized vaporizer unit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AU2021370613B2 (en) Floating body
CN110431075B (zh) 浮体
KR20230146073A (ko) 선박
KR20170055401A (ko) Lng 운반선
KR20220027319A (ko) 선박용 연료 공급 시스템 및 동 시스템을 구비한 선박
KR101824421B1 (ko)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
WO2017200388A1 (en) Natural gas power plant arrangement
KR20220112889A (ko) 선박의 연료공급시스템 및 방법
KR20210131862A (ko) 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210090842A (ko) 에너지 절약형 연료가스 가열 시스템 및 방법
WO2024018873A1 (ja) 浮体
KR20150083665A (ko) 벤트 마스터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화천연가스 운반선
KR102594024B1 (ko) 선박의 연료공급시스템 및 방법
KR102372229B1 (ko)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600605B1 (ko) 선박의 암모니아 연료공급시스템
KR102589463B1 (ko) 선박용 화물탱크 압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150152B1 (ko) 가스 처리 시스템 및 선박
KR20230079091A (ko) 고압 및 저압 가스 소비 기기를 위한 가스 공급 시스템
KR20230124782A (ko) 선박의 연료공급시스템
Kim et al. 2018A-JK-3 DSME's LNG Re-liquefaction and Re-gasification Technologies and Introduction of Cryogenic Test Facilities